KR102651936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936B1
KR102651936B1 KR1020230047727A KR20230047727A KR102651936B1 KR 102651936 B1 KR102651936 B1 KR 102651936B1 KR 1020230047727 A KR1020230047727 A KR 1020230047727A KR 20230047727 A KR20230047727 A KR 20230047727A KR 102651936 B1 KR102651936 B1 KR 102651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ontractor
system serv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원국
김시호
박도선
신진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드림
Priority to KR102023004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93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9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내부에 수요반응(DR) 모듈이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은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발령되는 수요반응(DR) 발령을 수신할 때,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과 함께 DR 내비게이션을 전송하고 DR 계약자가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DR 계약자에게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지급하는 DR 보상금을 배분하는 시스템 서버; 충전기를 사용하여 DR 충전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서버와 무선 통신에 의해 DR 발령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전기차(EV); 및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과 함께 DR 내비게이션을 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DR 계약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DR 계약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mpensation to participating customers (DR subscribers) when they participate in DR execu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with a demand response (DR) modul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It relates to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implementing it.
When the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su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it transmits DR navigation along with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s terminal, and the DR contractor controls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A system server that distributes DR compensation paid by the Korea Power Exchange to DR contractors when they participate in DR execution by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installed with DR;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that has a battery that is DR charged using a charger, receives a DR comman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for the battery is completed. Multiple electric vehicles (EV) installed; and a plurality of DR contractor terminals for receiving DR navigation along with a DR issuance from the system server by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the DR contractor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operator operating the system server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an electric vehicle (EV).

Description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본 발명은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피크 상황이나 신재생에너지 초과발전 상황에서 신뢰성 DR 발령이나 플러스 DR 발령에 따라 내부에 수요반응(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나 수요반응(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DR 충전기)를 활용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실행에 참여한 데이터를 생성 관리하여 참여고객(DR 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 In particular, in a power peak situation or renewable energy excess generation situation, internal demand response (DR)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reliability DR or plus DR.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with a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stalled, or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r (DR charger) with a demand response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installed, DR This relates to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generating and managing data that participated in the execution and providing compensation to participating customers (DR subscribers).

우리나라 전력망은 폐쇄형이고, 신재생에너지는 간헐적 추가공급만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차(EV : Electric Vehicle)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는 수요반응(DR : Demand Response) 적용을 통한 전력망 안정화를 할 수밖에 없다.Since Korea's power grid is closed and renewable energy can only be supplied intermittently, there is no choice but to stabilize the power grid by applying demand response (DR) in a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EVs) is increasing exponentially.

2019년 기준으로 최대전력 90GW 수준의 전력공급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117GW 수준으로 올리는데 발전소용 건설 부지의 고갈, 지역 주민의 전력공급설비 수용 기피, 원전 안전성 우려 여론 확산, CO2 등 환경규제 강화와 같은 요인들이 있어 약 15년의 기간이 소요되고 있다.As of 2019, it has a maximum power supply capacity of 90GW, and in order to increase this to 117GW, there are various factors such as depletion of construction sites for power plants, local residents' reluctance to accept power supply facilities, public opinion spreading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and strength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such as CO2. Due to various factors, it takes about 15 years.

전기차(EV)는 하루 평균 40km를 주행하며 하루에 8kwh 전력 소모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차(EV) 보급은 2030년 기준 450만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전기차(EV) 충전을 위해 36GWh/day 전력이 추가로 소모되어 전력공급 능력 확대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발전소의 추가건설은 수요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기차(EV)의 충전 전력 공급에 대한 수요대응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 증가된 전기차(EV)의 충전 수요를 제한할 수 있는 수요반응(DR)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Electric vehicles (EVs) drive an average of 40 km per day and consume 8 kwh of power per day. However, the supply of electric vehicles (EVs) is expected to increase to 4.5 million units by 2030, and an additional 36GWh/day of electricity is consumed to charge electric vehicles (EVs), so demand for expansion of power supply capacity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but the addition of power plants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Construction is unable to keep up with the increase in demand. Therefore, demand response to the supply of charging power for electric vehicles (EV) is practically impossible, so demand response (DR)-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for electric vehicles (EV) is required to limit the increased charging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EV). .

종래에는 각 일반 빌딩에 구비된 냉난방 공조설비, 냉동기, 조명, 펌프, 비상발전기, 산업체에 구비된 생산설비, 조명, 펌프, 공동주택에 구비된 조명, 펌프 등의 부하를 파악하고 우선 절전대상을 편성하여 전력피크 상황시에 전력 차단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Conventionally, the load of heating and cooling equipment, refrigerators, lighting, pumps, emergency generators installed in each general building, production facilities, lighting, and pumps installed in industrial companies, and lighting and pumps installed in apartment complexes were identified, and power saving targets were identified first. Power cut-off control is implemented during power peak situations.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발전-송전, 배전-판매'의 단계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단방향 전력망에 IT 기술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수요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을 가리킨다. 발전소와 송전, 배전 시설과 전력 수요자를 정보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양방향으로 공유하는 정보를 통하여 전력시스템 전체가 한몸처럼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Smart grid is an 'intelligent grid' that optimizes energy efficiency by allowing power suppliers and consumers to exchange real-time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by applying IT technology to the existing one-way power grid, which consists of 'generation-transmission, distribution-sales' stages. It refers to the ‘power grid’. The basic concept is that the entire power system operates efficiently as one body by connecting power plants, transmission, distribution facilities, and power consumers through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nd sharing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에너지 공급자와 에너지 수요자 간에 에너지 및 그에 대한 정보를 양방향으로 공유함으로써 한정된 에너지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스마트 그리드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스마트 그리드의 능동적인 양방향 전력 관리를 통해 기존의 단순한 공급 위주의 에너지 정책이 에너지 수요 관리 정책으로 전환되고 있다.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accelerating the construction of smart grids to utilize limited energy resources more efficiently by bidirectionally sharing energy and information about it between energy suppliers and energy consumers, and through active two-way power management of smart grids. The existing simple supply-oriented energy policy is being converted to an energy demand management policy.

에너지 수요 관리 차원에서 전력 수급 안정화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키기 위해 수요반응(DR : Demand Response)이란 개념이 도입되었다.In terms of energy demand management, stabilizing power supply and demand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 the concept of demand response (DR) was introduced to reduce overall energy loss by using energy more efficiently.

수요반응(DR)은 에너지 소비자가 다양한 유인동기에 반응하여 자신의 평상시 소비패턴(Normal consumption pattern)으로부터 에너지 사용량 수준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수요반응을 유도하기 위해서 에너지 소비 절감에 따른 인센티브를 부여하거나 시간대별 전기요금을 차등적으로 부가하는 등의 다양한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Demand response (DR) means that energy consumers change their energy usage levels from their normal consumption patterns in response to various incentives. In order to induce such demand response, various polici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providing incentive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r differentially charging electricity rates by time of day.

특히, 수요반응(DR)은 에너지 수급의 비상시에 피크부하를 이전 또는 억제함으로써 계통 신뢰도를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공급 측면의 발전용량 확대에 대응되는 신뢰성 DR로서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평상시에도 전력시장가격이 매우 비싼 시간대의 수요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연료비가 비싼 발전기를 대체하고 전체적인 에너지 생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경제성 DR로서 적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demand response (DR) is applied as a reliability DR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of power generation capacity on the supply side with the purpose of securing system reliability by transferring or suppressing peak loads in times of energy supply and demand emergencies, and also in normal times, when the electricity market price is It is being applied as an economical DR to replace relatively expensive generators with relatively high fuel costs and reduce overall energy production costs by reducing demand during very expensive times.

종래에 수요반응(DR) 시장을 통한 부하관리 프로그램에는 한국전력공사(KEPCO), 한국전력거래소(KPX) 등에서 수요반응(DR) 시장을 개설하고 수요반응(DR) 시장에서 수요반응(DR) 이벤트를 공시하여 이에 대한 부하관리를 통한 에너지 감축량으로 수요반응(DR) 이벤트에 입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In the past, load management programs through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included opening a demand response (DR) market at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Korea Power Exchange (KPX), etc., and holding a demand response (DR) event in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Various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to bid on demand response (DR) events with energy reduction through load management.

이와 같은 수요반응(DR) 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수요반응(DR) 시장의 자원 발굴이 필요한데, 현재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전기차(EV)는 그 운영을 위해 충전이 필수적이며, 향후 전기차의 보급 대수가 늘어날수록 전체 전기차의 충전전력은 부하 관리 차원에서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효과적으로 전기차(EV)의 충전전력에 대한 부하 관리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수요반응(DR) 시장의 자원으로 반영시킬 수 있는 방안도 필요하다.In order to further revitalize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and further increase overall energy use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resources in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Electric vehicles (EVs),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at a rapid pace, require charging for their operation. This is essential, and as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distributed increases in the future, the charging power of all electric vehicles is expected to take up a large portion in load management, so an effective load management plan for the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s (EVs) is needed, and this is called demand response (demand response). DR) We also need a plan to reflect it as a market resource.

특히, 전기차(EV)는 충전이 정해진 곳이나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지지 않고 운행 중의 상황에 따라 가정, 회사 건물, 도로의 충전 스테이션 등 정해지지 않은 다양한 장소에서 필요한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유동적 이동성 부하의 충전전력 사용을 정적인 장소에서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소비 패턴화시켜 수요반응(DR)으로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s) is not carried out in a fixed place or at a set time, but is carried out at necessary times in various places such as homes, company buildings, and charging stations on the road, depending on the driving situation, so charging power is used for flexible mobility load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induce demand response (DR) by creating a consumption pattern for energy use in static places.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77853호(특허문헌 1)에는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전기차 등의 이동성 부하의 충전을 위한 충전 전력을 부하 관리 자원으로 편입시켜 수요반응(DR) 시장의 자원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Considering these conventional problem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77853 (Patent Document 1) incorporates charging power for charging mobility loads such as electric vehicles, which are rapidly spreading, as a load management resource to provide demand response (DR). ) It suggests ways to manage with market resources.

특히 특허문헌 1에서는 전기차 등의 이동성 부하는 정해진 한곳에서 정해진 시간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운행 중의 상황에 따라 가정, 회사 건물, 도로의 충전 스테이션 등 정해지지 않은 다양한 장소에서 필요한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이와 같은 전기차 등의 유동적 이동성 부하의 충전 전력 사용을 정적인 장소에서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소비 패턴화시켜 수요반응(DR)으로 유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Patent Document 1, charging of mobility loads such as electric vehicles is not carried out in one designated place at a fixed time, but is carried out at necessary times in various undetermined places such as homes, company buildings, and charging stations on the road, depending on the driving situation. It is solving the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induce demand response (DR) by patterning the charging power use of mobile mobility loads such as electric vehicles into a consumption pattern for energy use in static places.

상기 특허문헌 1의 이동성 부하의 관리 방법은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충전하여 이를 구동 에너지원으로서 운행하는 이동성 부하의 충전 수행에 따른 충전 정보를 부하관리 서버(DRMS)가 획득하는 충전 정보 획득한 후, 부하관리 서버가 이동성 부하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에 충전 정보를 기초로 전력 사용을 반영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사용자 전력 사용량을 산출하고, 사용자 전력 사용량에 기초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고객기준부하량(CBL)을 산출하고 있다. The method of managing a mobility load in Patent Document 1 is to charge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source and operate it as a driving energy source after obtaining the charg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ging performance of the mobility load, which is obtained by the load management server (DRMS). , the load management server calculates the user power usage for the user account by reflecting the power usage based on charging information in the user account corresponding to the mobility load, and calculates the customer base load (CBL) for the user account based on the user power usage. is being calculated.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이동성 부하의 사용자 전력 사용량과 고객기준부하량(CBL)을 산출함에 의해 효과적으로 전력 수요를 파악할 수 있으나, 전력피크 상황시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 1, power demand can be effectively identified by calculating user power usage and customer reference load (CBL) of mobility load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nagement cannot be performed during power peak situations.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2895호(특허문헌 2)에는 수용가들의 신재생 에너지와 중소용량 ESS를 수요반응(DR) 자원으로 이용하면서도 각각의 수용가 및 그룹화된 수용가별로 전력 피크 분산 효과를 이루도록 구체적인 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수요반응(DR) 서비스를 최적화시키고 각 수용가의 ESS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력 피크 관리가 가능한 분산 ESS 기반의 수요반응 서비스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02895 (Patent Document 2) states that while using consumers' renewable energy and small and medium-capacity ESS as demand response (DR) resources, it is possible to achieve a power peak distribution effect for each consumer and grouped consumers. By presenting a specific business model, a distributed ESS-based demand response service system that optimizes demand response (DR) services and enables power peak management to effectively operate each consumer's ESS is proposed.

더욱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1265호(특허문헌 3)에는 사용자의 DR 성향, 전기사용 목표 예산 및 불편도 값에 근거하여 전력 소비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DR 가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력 소비자의 DR 참여에 대한 관심을 이끌고 DR 참여에 적극적이거나 DR 참여가 필수적인 수요자에게 효과적인 DR 가이드를 제공하여 종래 DR에 비하여 수요자의 DR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수요반응 가이드 제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Moreove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1265 (Patent Document 3) provides customized DR guide information optimized for power consumers based on the user's DR tendency, electricity use target budget, and inconvenience value, thereby helping power consumers A demand response guide provision system has been disclosed that can increase the DR participation rate of consumers compared to conventional DR by attracting interest in DR participation and providing effective DR guides to consumers who are active in DR participation or for whom DR participation is essential.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1604호(특허문헌 4)에는 고속 수요반응(Fast Demand Response)에서 계통 주파수의 하락/복귀에 대응, 단계별로 고속 수요반응 부하 자원을 차단/투입함으로써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성 및 변동성에 동적으로 대응하며, 계통 주파수 단계에 따라 고속 수요반응 자원이 작동됨으로 인해 계통 주파수가 동적으로 조정되어 전체 계통에서 안정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고속 수요반응(Fast Demand Response) 자원 운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604 (Patent Document 4) states that fast demand response responds to a drop/return in grid frequency and blocks/injects high-speed demand response load resources in stages to provide new and renewable energy. A fast demand response resource operation system that dynamically responds to the intermittency and volatility of the system and uses stable power throughout the entire system by dynamically adjusting the system frequency by operating high-speed demand response resources according to the system frequency level. This is disclosed.

한편,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전환에 따라 재생에너지 증가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Meanwhile, it is expected that an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will be inevitable as the world transitions to carbon neutrality.

제주도의 경우 2015년 풍력 위주의 재생에너지 보급이 시작된 후 심야 시간에는 전력수요가 낮 시간대보다 작기 때문에 풍력발전 출력제어가 발생하며 그 후 태양광 보급까지 확대돼 낮 시간에도 출력제어가 발생해왔다. 2020년에는 제주도에서 출력제한이 77회 증가하는 등 재생에너지의 수용한계는 더욱 제약적인 상황이 되고 있다.In the case of Jeju Island, after the distribution of renewable energy centered on wind power began in 2015, wind power generation output control occurred during late night hours because power demand was less than during the daytime. Afterwards, the distribution of solar power was expanded to include output control during the daytime as well. In 2020, the acceptance limit of renewable energy is becoming more restrictive, with output limits increasing 77 times in Jeju Island.

정부는 전력공급 과잉에 따른 대용량 풍력발전시설의 출력제어 상황을 줄이기 위해 플러스(+) DR 제도를 제주도에 우선 도입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first introducing the plus (+) DR system to Jeju Island to reduce the output control situation of large-capacity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due to excessive power supply.

플러스(+) DR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인해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계통 안정을 위해 특정시간에 고객의 전력사용량을 증대해 공급과 수요를 맞추고 참여고객에게는 보상을 해주는 제도이다. Plus (+) DR is a system that matches supply and demand by increasing customers' power usage at specific times to stabilize the power system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due to an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compensates participating customers.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1509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01509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2895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02895 :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1265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41265 :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21604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60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내부에 수요반응(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charg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installed with a demand respons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participating customers (DR subscribers) when they participate in DR implement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충전관제소의 충전 통제에 따라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DR 충전소 사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rg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DR charger equipped with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reliability DR issuance, and when participating in DR execution according to the charging control of the DR charging control station, a DR charging st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business operato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DR 계약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rg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at a location desired by the DR contractor using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and when participating in DR execution according to a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participating customer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DR subscrib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는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rge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and when participating in DR execution according to a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participating customers (D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subscrib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인해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망 안정을 위해 플러스(+) DR이 발령된 경우,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를 이용하거나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 또는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함에 의해 전력수요를 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되는 시점으로 이전하여 피크부하시 전력수요를 억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electric vehicles (EV) and DR modules with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stalled when positive DR is issued to stabilize the power grid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due to an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d by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DR charger equipped with a DR control device,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electricity demand is transferred to a point wher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creases. The goal is to provid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stabilize the power grid by suppressing power demand during peak loa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한 DR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지역별 및 시간대별로 충전 부하가 적은 지역이나 무부하 상태의 충전기가 많은 지역으로 충전 수요를 유도할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velop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system that can induce charging demand to areas with low charging load or areas with many chargers in no-load condition by region and time using DR navigation built using big data. )'s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 DR과 플러스(+) DR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handle both reliability DR and positive D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은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발령되는 수요반응(DR) 발령을 수신할 때,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전송하고 DR 계약자가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DR 계약자에게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지급하는 DR 보상금을 배분하는 시스템 서버; 충전기를 사용하여 DR 충전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전기차(EV); 및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DR 계약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DR 계약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s) receives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su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it transmits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s terminal. A system server that distributes DR compensation paid by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DR contractor when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on which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s installed; Multiple devices equipped with a battery that is DR charged using a charger and equipped with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that receives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of electric vehicles (EV); and a plurality of DR contractor terminals for receiving DR orders from the system server, wherein the DR contractor signs a DR contract with a DR business operator operating the system server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DR in his or her electric vehicle (EV). It is characterized by installing a control device.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DR 충전과 페널티 요금이 부과되는 일반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the DR contractor can choose between DR charging and general charging with a penalty fee.

또한, 상기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이 제한되는 제한 충전 및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 charging includes continuous charging in which the charging point is postponed until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limited charging in which the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is limited, an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beyond a preset capacity. ) It may be that the battery has stopped charging.

더욱이,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은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DR 입증 데이터는 계약자 ID, 전기차 ID, 충전위치 및 충전이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DR charging for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DR module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and the DR verification data may include contractor ID, electric vehicle ID, charging location, and charging history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DR 계약을 진행하고 DR 계약자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한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DR 충전에 실시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한 전기차(EV)가 운행하지 않더라도 기본요금을 보상하는 것은 DR 충전이력 데이터를 만들기 위해 불필요하게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n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proceeds with a DR contract and installs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on the DR contractor's own electric vehicle (EV), the DR contractor If you perform DR charging, you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above DR is issued, you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s mentioned above, compensating the base fee even if the electric vehicle (EV) installed with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s not running is to prevent unnecessary charging at a charging station to create DR charging history data.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의 각종 안내와 DR 발령에 따른 안내 서비스 문자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되며, 상기 앱(APP)의 구동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DR 내비게이션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DR 내비게이션 메뉴를 선택할 때,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소의 주소와 DR 과금 테이블을 제공하는 팝업창을 지도상에 제공하는 DR 내비게이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DR contractor terminal downloads and installs the app (APP) required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ystem server and guidance service text messages according to the DR issuance, and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pp (APP) is DR. It includes a navigation menu, and when the DR navigation menu is selected, a DR navigation that provides a pop-up window on the map that provides the address of a DR charging station capable of DR charging and a DR charging table may be displayed.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DR 데이터 메뉴를 더 포함하며, 상기 DR 충전을 실시할 때, 상기 DR 데이터 메뉴를 선택하면 DR 충전에 따른 DR 입증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further includes a DR data menu, and when performing the DR charging, if the DR data menu is selected, DR verification data according to the DR charging may be displayed.

또한, 상기 DR 내비게이션은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기가 설치된 DR 충전소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지도에 표시된 복수의 DR 충전소 중 하나를 지정하면, 현재상태에서 선택된 DR 충전소의 주소와 DR 과금 테이블을 제공하는 팝업창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 navigation provides map information showing DR charging stations equipped with DR chargers capable of DR charging, and when the user designates one of the plurality of DR charging stations displayed on the map, the address of the DR charging station selected in the current state and DR charging are displayed. A pop-up window offering a table may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한 경우 전기차(EV)의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 및 일반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DR 충전기를 구비하는 DR 충전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DR 사업자는 상기 DR 충전소를 운영하는 DR 충전기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DR 충전기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DR 모듈은 DR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DR charger that can select between DR charging and general charging for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when receiving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It further includes a DR charging station, wherein the DR operator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a DR charger operator operating the DR charging station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on the DR charger, and the DR module is used when DR charging is performed. DR verific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또한,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가 DR 계약을 진행하고 충전기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한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가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는 해당될 수 있으나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로 일반충전을 할 경우에는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 charger operator conducts a DR contract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the charger, if the DR charger operato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it is subject to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and the DR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issued, you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ic rate, but a penalty may be imposed if you perform general charging using a DR charger with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stall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은 상기 DR 충전소에 대한 충전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DR 충전관제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DR 충전관제소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의 충전 차단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R charging control center that provides charging control services for the DR charging station, and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issues a DR from the system server. When receiving,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can remotely control the charging cutoff of the installed DR charger.

상기 DR 충전기는 상기 전기차(EV)의 배터리(BAT)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상기 시스템 서버와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모듈; 및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통신장치를 통하여 DR 발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전기차(EV)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DR 충전을 실시하고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상기 DR 모듈의 제어에 따라 DR 충전기의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 charger includes a charger for charging a battery (BAT) of the electric vehicle (EV);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nd a DR module that performs DR charging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EV) user when receiving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and a D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 charging of the DR charger according to control of the DR module.

상기 DR 통제장치는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모듈;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시키는 순연충전모듈; 및 상기 전기차(EV) 배터리의 최대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 control device includes a power cutoff module to stop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A continuous charging module that postpones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DR issuance end time; and a limiting charging module for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에 따라 충전에 제한이 이루어지는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고전압의 급속 충전 대신에 저전압의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의 기준을 낮추는 최대 충전량 제한 충전 및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Moreover, in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R charging in which charging is restricted according to a DR issuance from the system server is delayed charging by delaying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changed to low-voltage slow charging instead of high-voltage fast charging, or charging with a maximum charge amount limit that lowers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stopp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It could be any one.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차단과 DR 충전 대신에 상기 DR 충전기를 이용하여 일반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When a DR is issued from the system server,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DR charger operator if charging of the battery is blocked and normal charging is performed using the DR charger instead of DR charging.

또한, DR 미계약자인 사용자가 DR 발령시에 DR 충전소를 방문하여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DR 충전소에서 제공하는 할인요금 서비스 보상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 Additionally, if a user who does not have a DR contract visits a DR charging station when a DR is issued and participates in DR charging, he or she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for the discount rate service provided by the DR charg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며 상기 시스템 서버와 통신에 의해 DR 발령을 수신하고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이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차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receives a DR comm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nd completes DR charging for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t further includes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with a DR module that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and the electric vehicle user can enter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operator who operates the system server.

이 경우, 상기 공용 DR 충전장치가 설치된 공동주택에 거주하면서 DR 계약을 진행한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case,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hile residing in an apartment building where the above-mentioned public DR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performance fee if he or she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you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rate.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은 충전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시스템 서버와 통신에 의해 DR 발령을 수신하고 전기차(EV)의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차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Moreover, the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charger, receives a DR comm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nd completes DR charging for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EV). In this case, it further includes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DR module that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and the electric vehicle user can enter into a DR contract with a DR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the system server.

이 경우, DR 계약을 진행하고 상기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소유한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and owns th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if he or she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and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Even if you do not do so, you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또한, 사용자가 DR 계약을 진행하였으나 DR 계약자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DR 발령시에 상기 DR 충전소를 방문하여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나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 보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In addition, if the user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but has not installed the DR module in the DR contractor's electric vehicle (EV), if the user visits the DR charging station and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he/she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execution fee. However,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you are not eligible for compensation.

상기 DR 발령이 플러스(+) DR인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고려하여 추가로 배터리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If the DR issuance is a plus (+) DR, the DR contractor may perform additional battery charging considering the current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또한, 상기 DR 발령은 전력수요가 전력공급을 초과하는 전력피크 상황시에 전력 사용을 억제시키기 위해 발생되는 신뢰성 DR 및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 사용을 장려하도록 발생되는 플러스(+) D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 issuance is a reliability DR generated to suppress power use during peak power situations when power demand exceeds power supply, and a plus (+) generated to encourage power use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It can be any one of DR.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계약자가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managing the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demand respo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to occur and a demand response (DR)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system server of the DR operator, the system server manages DR. Transmitting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of the contractor; When receiving a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on which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계약자가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demand respo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to occur and a demand response (DR) comman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of the DR operator, the system server transmitting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When receiving a DR orde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과 함께 DR 내비게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server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DR navigation along with the DR issuance to the DR contract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또한,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페널티 요금이 부과되는 일반 충전과 충전에 제한이 이루어지는 DR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고전압의 급속 충전 대신에 저전압의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의 기준을 낮추는 최대 충전량 제한 충전 및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the DR contractor selects between general charging with a penalty fee and DR charging with restrictions on charging, and the DR charging is postponed until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sequential charging, where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voltage slow charging instead of high-voltage fast charging, or charging with a maximum charge amount limit that lowers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charging suspension to block charging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It can be any one of them.

더욱이, 상기 DR 계약자는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Moreover, if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he or she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and may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even if he or she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이 경우, 상기 DR 사업자는 전기차(EV) 신차에 대한 판매 계약과 동시에 DR 계약을 진행하고 판매하는 전기차(EV) 신차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여 판매하는 전기차 제조회사일 수 있고, 전기차를 운영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 business operator may be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that conducts a DR contract at the same time as a sales contract for a new electric vehicle (EV) vehicle and installs and sells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the new electric vehicle (EV) vehicle being sold. It may be a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계약자가 상기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to occur and a demand response (DR)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system server of the DR operator, the system server jointly Transmitting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residing in the house; When receiving a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이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he or she will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ic fee and execution fee. Even if he or she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he or she will b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ic fee. You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충전기 사업자의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와 상기 DR 충전기에 대한 충전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DR 충전관제소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충전관제소가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충전기에 의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차단과 제한 충전이 이루어지는 DR 충전 중 하나를 원격 제어하는 단계; 상기 DR 충전기에 의해 상기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차단과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demand respon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hen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to occur and a demand response (DR) comman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of the DR operator, the system server Transmitting the DR order to a DR charger in which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of a DR charger operator are installed and a DR charging control center that provides charging control services for the DR charger; When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receives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remotely controlling one of DR charging in which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by the DR charger is blocked and limited charging is performed;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blocking and DR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by the DR charger are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이 경우,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페널티 요금이 부과되는 일반 충전과 충전에 제한이 이루어지는 DR 충전 중 하나가 실행되며, 상기 충전 제한이 이루어지는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고전압의 급속 충전 대신에 저전압의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의 기준을 낮추는 최대 충전량 제한 충전 및 사전설정된 조건에 따라 충전을 차단하는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either general charging with a penalty fee and DR charging with charging restrictions are executed, and DR charging with the charging restrictions is performed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Natural charging that postpones charging, low-voltage slow charging instead of high-voltage fast charging, charging that limits the maximum charge amount to lower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charging that blocks charging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It can be any of the middle fingers.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충전 차단과 DR 충전 대신에 상기 DR 충전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DR charger operator if normal charging is performed using the DR charger instead of blocking charging of the battery and DR charging.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내부에 수요반응(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installed with a demand response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internally in accordance with a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when participating in DR execution The power grid can be stabilize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participating customers (DR subscribe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충전관제소의 충전 통제에 따라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DR 충전소 사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DR charger equipped with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in accordance with a reliability DR issuance, and participating in DR execution according to the charging control of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the DR charging station operator The power grid can be stabilize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또한,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DR 계약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는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at a location desired by the DR contractor using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if a participating customer (D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according to a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the participating customer (DR) The power grid can be stabilized by providing compensation to subscribers.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참여고객(DR 가입자)에는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participating customers (DR subscribers) participate in DR execution according to the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The power grid can be stabilized by providing compensa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로 인해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망 안정을 위해 플러스(+) DR이 발령된 경우, DR 모듈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 DR 모듈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를 이용하거나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 또는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함에 의해 전력수요를 재생에너지 발전이 증가되는 시점으로 이전하여 피크부하시 전력수요를 억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sitive DR is issued to stabilize the power grid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due to an increas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n electric vehicle (EV) equipped with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a DR module, and By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DR charger equipped with a DR control device,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or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power demand is transferred to the point wher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increases, thereby reaching the peak. The power grid can be stabilized by suppressing power demand during load.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신뢰성 DR 또는 플러스(+) DR이 발령된 경우 빅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한 DR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지역별 및 시간대별로 충전 부하가 적은 지역이나 무부하 상태의 충전기가 많은 지역으로 충전 수요를 유도하여 플러스(+)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DR 충전소 사업자와 참여고객(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liability DR or plus (+) DR is issued, DR navigation built using big data is used to direct charging demand to areas with low charging load or areas with many chargers in no-load condition by region and time zone. If you participate in the implementation of Plus (+) DR, compensation can be provided to the DR charging station operator and participating customers (subscribers).

본 발명에서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에 의해 신뢰성 DR과 플러스(+) DR을 모두 처리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reliability DR and positive DR can be handled by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R 계약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EV)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R 충전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중 전력거래소의 DR 발령부터 DR 계약자 단말기까지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중 신뢰성 DR 발령에 따른 실행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중 플러스 DR 발령에 따른 실행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중 DR 정산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a는 내지 도 9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의 종류와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도 10은 한국전력거래소(KPX)로부터의 DR 발령에 따른 발령 예보를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11은 DR 발령에 따른 DR 과금 테이블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DR 발령시에 DR 계약자에게 제공되는 DR 충전 네비게이션을 나타내는 화면의 일 예이다.
1A and 1B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showing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EV)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 contracto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EV)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 char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dure from the issuance of DR by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among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execu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reliability DR among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execu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Plus DR among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DR settlement procedure among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to 9I are examples showing types of data tables and data tables stored in a database of a system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n issuance forecast following a DR issuance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a DR charging table according to DR issuance.
Figure 12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the DR charging navigation provided to the DR contractor when DR is issu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erms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에너지 수요 관리 차원에서 전력 수급 안정화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데, 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손실을 절감시키기 위해 수요반응(DR : Demand Response)이란 개념이 도입되었다. In terms of energy demand management, stabilizing power supply and demand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 the concept of demand response (DR) was introduced to reduce overall energy loss by using energy more efficiently.

수요반응(DR)은 에너지 소비자가 다양한 유인동기에 반응하여 자신의 평상시 소비패턴으로부터 에너지 사용량 수준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수요반응(DR)을 유도하기 위해서 에너지 소비 절감에 따른 인센티브를 부여하거나 시간대별 전기요금을 차등적으로 부가하는 등의 다양한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Demand response (DR) means that energy consumers change their energy usage levels from their usual consumption patterns in response to various incentives. In order to induce such demand response (DR), various polici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providing incentive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r differentially charging electricity rates by time of day.

특히, 수요반응(DR)은 에너지 수급의 비상시에 피크부하를 이전 또는 억제함으로써 계통 신뢰도를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공급 측면의 발전용량 확대에 대응되는 신뢰도 DR로서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평상시에도 전력시장 가격이 매우 비싼 시간대의 수요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연료비가 비싼 발전기를 대체하고 전체적인 에너지 생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경제성 DR로서 적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demand response (DR) is applied as a reliability DR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of power generation capacity on the supply side with the purpose of securing system reliability by transferring or suppressing peak loads in times of energy supply and demand emergencies, and also in normal times, the electricity market price is It is being applied as an economical DR to replace relatively expensive generators with relatively high fuel costs and reduce overall energy production costs by reducing demand during very expensive times.

수요반응(DR) 시장을 통한 부하관리 프로그램은 한국전력공사(KEPCO), 한국전력거래소(KPX : Korea Power Exchange) 등이 주도하고 있다. Load management programs through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are l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and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한국전력공사(KEPCO)의 부하관리 프로그램은 예고기간을 2개월 전 또는 5일 내지 1일 전과 같이 비교적 예고기간이 길며, 부하특성으로는 휴가, 보수일정 조정이나 적정기간 필요 수요를 대상으로 하계 피크발생 예상기간을 대비하는 지정기간 수요조정 또는 주간예고 수요조정 프로그램이다.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s load management program has a relatively long notice period, such as 2 months in advance or 5 to 1 day in advance, and the load characteristics include vacation, maintenance schedule adjustment, and summer peak for demand that requires an appropriate period of time. It is a designated period demand adjustment or weekly notice demand adjustment program to prepare for the expected occurrence period.

한국전력거래소(KPX)의 부하관리 프로그램은 예고기간이 1일 내지 3시간 전 또는 1시간 전과 같이 비교적 예고기간이 짧고, 부하특성으로는 전기차(EV)와 같이 즉시 적용 가능한 수요를 대상으로 개별지원 또는 부하관리사업자의 합계가 감축 가능한 전력량을 300kW 이상 또는 100kW 이상을 적용 대상으로 한 수요자원시장 또는 지능형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으며, DR 계약자에게는 소정의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The Korea Power Exchange (KPX)'s load management program has a relatively short notice period, such as 1 day to 3 hours in advance or 1 hour in advance, and provides individual support for demand that can be applied immediately, such as electric vehicles (EV), in terms of load characteristics. Alternatively, the total of load management business operators operates a demand resource market or an intelligent demand management program targeting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be reduced by more than 300kW or more than 100kW, and a small subsidy is paid to DR contractors.

상기한 바와 같이, 한국전력공사(KEPCO), 한국전력거래소(KPX) 등이 수요반응(DR) 시장을 개설하고 상기 수요반응(DR) 시장에서 수요반응(DR) 이벤트를 공시하여, 이에 대한 부하관리를 통한 에너지 감축량으로 수요반응(DR) 이벤트에 입찰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Korea Power Exchange (KPX), etc. have opened a demand response (DR) market and announced demand response (DR) events in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thereby reducing the load on this. Various programs are being implemented to bid on demand response (DR) events based on energy reduction through management.

이와 같은 수요반응(DR) 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키고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 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수요반응(DR) 시장의 자원 발굴이 필요한데, 현재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전기차(EV)는 그 운영을 위해 충전이 필수적이며, 향후 전기차의 보급 대수가 늘어날수록 전체 전기차의 충전전력은 부하 관리 차원에서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어 효과적으로 전기차의 충전전력에 대한 부하 관리 방안이 필요하며, 이를 수요반응(DR) 시장의 자원으로 반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In order to further revitalize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and further increase overall energy use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discover resources in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Electric vehicles (EVs),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at a rapid pace, require charging for their operation. This is essential, and as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distributed increases in the future, the charging power of all electric vehicles is expected to take up a large portion in load management, so an effective load management plan for the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s is needed, which is called the demand response (DR) market. It is necessary to reflect it with resources.

한국전력거래소(KPX)는 대한민국의 전력 시장과 전력 계통 운영을 전담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전력 시장의 공정하고 투명한 운영과 전력 계통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 실시간 급전 운영, 전력수급 기본계획 수립 등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is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operation of Korea's electricity market and power system. Its functions include fair and transparent operation of the power market,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real-time power supply operation, and establishment of a basic plan for power supply and demand. I am in charge.

상기한 바와 같이, 한국전력거래소(KPX)는 전력 피크 상황을 대비하여 예고기간이 1시간 전과 같이 매우 짧고, 부하특성으로는 즉시 운용 가능한 수요를 대상으로 감축 가능한 합계 전력량이 100kW 이상을 적용 대상으로 한 지능형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부하관리사업자, 즉 수요반응(DR) 사업자를 대상으로 운용하고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has a very short notice period of 1 hour in advance to prepare for power peak situations, and in terms of load characteristics, the total amount of power that can be reduced for demand that can be operated immediately is 100kW or more. An intelligent demand management program is being operated for load management operators, that is, demand response (DR) operators.

상기 수요반응(DR) 사업자는 복수의 산업체, 생산시설 등의 참여고객(사용자)과 계약하고 한국전력거래소(KPX)에 등록한 후, 매일 감축량을 입찰하여 감축량을 낙찰 받으며 한국전력거래소(KPX)로부터 감축 지시가 있으면 수요반응(DR) 사업자는 참여고객(사용자)에게 감축을 요청하고 감축량 산정에 따라 한국전력거래소(KPX)로부터 정산금이 지급되면 참여고객(사용자)에게 정산금을 배분하는 역할을 한다.The demand response (DR) operator contracts with participating customers (users) such as multiple industries and production facilities, registers with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bids for the reduction amount every day and wins the reduction amount, and receives the reduction amount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When there is a reduction order from ), the demand response (DR) operator requests participating customers (users) to reduce the amount, and when the settlement amount is paid by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reduction amount, the demand response (DR) business distributes the settlement amount to the participating customers (users). Do it.

우리나라의 수요자원 거래시장은 크게 한국전력거래소(KPX), 수요관리사업자, 참여고객(전기사용자)으로 구성되며, 정전 예방 및 최대전력 삭감을 위한 피크감축 수요반응(신뢰성 DR)과 전력공급비용 절감을 위한 요금절감 수요반응(경제성 DR)으로 구분해 운영하고 있다. Korea's demand resource trading market is largely composed of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demand management operators, and participating customers (electricity users), and provides peak reduction demand response (reliability DR) to prevent power outages and reduce maximum power, and reduce power supply costs. It is operated by dividing it into rate reduction demand response (economic DR).

상기 피크감축 DR, 즉 신뢰성 DR은 감축 1시간 전 급전지시 발령이 나고 수급상황 급변시 긴급하게 가동되는 비싼 발전기 대체하는 것이며, 감축 보상은 기본급(용량요금)+실적금(최고 변동비)을 수령한다.The peak reduction DR, that is, reliability DR, replaces expensive generators that are urgently operated when a power supply order is issued 1 hour before reduction and the supply and demand situation changes suddenly. Reduction compensation is basic salary (capacity fee) + performance payment (highest variable cost). .

상기 참여고객(사용자)은 산업체, 생산시설 등의 대규모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사용자(소비자)를 지칭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소규모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기차(EV)는 상기한 참여고객(사용자)에 해당되지 않는다. The above-mentioned participating customers (users) refer to electricity users (consumers) who use large-scale electricity such as industries and production facilities. Therefore, electric vehicles (EVs) that require small-scale charging,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at a rapid pace, do not fall under the above-mentioned participating customers (users).

본 발명은 개별적인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량은 작으나, 충전이 필요한 수가 수백만대에 이르는 전체 전기차(EV)의 배터리 충전전력은 효과적인 부하 관리가 요구되는 점과 DR 발령 지역 충전소의 충전전력 제한이 전력 감축에 미치는 크나큰 효과에 기초하여 안출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amount of individual electric vehicle (EV) batteries is small, but the battery charging power of the entire electric vehicle (EV), which requires charging in the millions, requires effective load management and the charging power limit of charging stations in areas where DR is issued is limited. It was designed based on its great effect on reduction.

본 발명에서는 한국전력거래소(KPX)에서 운용하는 수요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수요반응(DR) 사업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요반응(DR)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을 운용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erform the role of a demand response (DR) operator according to the demand management program operated by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charging power management of a demand response (DR)-based electric vehicle (EV) as shown in Figure 1a Operate the system 1000.

도 1a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DR)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은 한국전력거래소(KPX)(100), 시스템 서버(200), 관리자 단말기(400), DR 계약자 단말기(500), 전기차(EV)(600) 및 DR 충전기(701)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ure 1a, the demand response (DR) 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100, a system server 200, It includes an administrator terminal (400), a DR contractor terminal (500), an electric vehicle (EV) (600), and a DR charger (701).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EV)(600)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된 배터리(BAT)(630)를 내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이면 용도와 무관하게 승용차, 버스, 지게차 및 트럭 등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electric vehicle (EV)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battery (BAT) 630 composed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any vehicle that is driven using this can be used as a passenger car, bus, forklift, or truck, etc., regardless of the purpose. All are applicable.

먼저, 상기 한국전력거래소(KPX)(100)는 대한민국의 전력 시장과 전력 계통 운영을 전담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전력 계통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전력피크 상황시에 전력 차단 제어를 위해 수요반응(DR) 계약자에 대한 DR 발령을 수요반응(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200)로 전송하고, 수요반응(DR) 계약자의 전기차(EV)(600) 및 DR 충전기(701)의 DR 입증 데이터를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때, 수요반응(DR) 계약자에 대한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First,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100) is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Korea's electricity market and power system operation. It operates a demand management program for stable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and provides power cutoff control during power peak situations. In order to transmit the DR issuance to the demand response (DR) contractor to the system server 200 of the demand response (DR) operator, the DR of the demand response (DR) contractor's electric vehicle (EV) (600) and DR charger (701) When verification data is received from the system server 200, compensation to the demand response (DR) contractor can be performed.

상기 한국전력거래소(KPX)(100)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DR 발령 테이블(110)과 DR 보고 데이터 테이블(120)을 포함하고 있다.The Korea Power Exchange (KPX) 100 is equipped with a database, and the database includes a DR issuing table 110 and a DR reporting data table 120.

상기 DR 발령 테이블(110)에는 DR 발령 예보 데이터와 DR 발령 데이터(즉, DR 발령 일자, DR 발령 시작시간, DR 발령 종료시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DR 시간 데이터 테이블(112)과 DR 발령 규모 데이터를 저장하는 DR 규모 데이터 테이블(114)을 포함하고 있다.The DR issuing table 110 includes a DR time data table 112 that stores DR issuing forecast data and DR issuing data (i.e., DR issuing date, DR issuing start time, and DR issuing end time data) and DR issuing scale data. It includes a DR scale data table 114 for storing.

상기 DR 보고 데이터 테이블(120)에는 DR 사업자 ID, 이벤트(Event) ID, 수정번호, 이벤트 시작시간, 이벤트 지속시간, 감축량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다.The DR reporting data table 120 stores DR operator ID, event ID, revision number, event start time, event duration, reduction amount data, etc.

상기 DR 사업자는 자신의 전기차(EV)(600)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하고 상기 한국전력거래소(KPX)(100)로부터의 DR 발령에 따라 설정된 일자, 시간 동안 충전 통제에 동의하는 계약을 수락한 수요반응(DR) 계약자를 모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는 하나의 DR 모듈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The DR business operator installs the DR module 620 and the DR control device 650 in his/her electric vehicle (EV) 600 and operates on the date and time set according to the DR order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100. Demand response (DR) contractors can be recruited who have accepted a contract agreeing to control charging. In this case, it is of course possible for the DR module 620 and the DR control device 650 to be implemented as a single DR module device.

이 경우, DR 계약자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의 시스템 서버(20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DR 계약자 단말기 APP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 contractor can access the homepage provided by the system server 200 of the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download the DR contractor terminal APP to perform a user registration procedure.

또한, 상기 DR 사업자는 충전기에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를 설치한 DR 충전기(701)를 운용하는 DR 충전기 사업자를 모집할 수 있으며, DR 충전기 사업자는 시스템 서버(2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DR 등록한 DR 충전기(701)에 대한 DR 충전기 등록 절차를 수행하거나 별도의 계약으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는 하나의 DR 모듈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 operator can recruit DR charger operators who operate the DR charger 701 with the DR module 720 and the DR control device 740 installed in the charger, and the DR charger operator can operate the system server 200. You can access the homepage and perform the DR charger registration process for the DR registered DR charger (701) or perform the registration process with a separate contract. In this case, it is of course possible for the DR module 720 and the DR control device 740 to be implemented as a single DR module device.

이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는 자신의 DR 충전소(700)에 충전기에 DR 모듈(720)을 설치한 DR 충전기(701)와 별도로 DR 모듈(720)을 설치하지 않은 일반적인 충전기(702)를 모두 보유하여 전기차 충전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DR 충전 또는 일반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 charger operator has both a DR charger (701) installed with a DR module (720) installed in the charger and a general charger (702)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DR module (720) installed at its DR charging station (700).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choi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user, either DR charging or general charging can be selected.

더욱이,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 또는 전기차 제조회사가 직접 상기 한국전력거래소(KPX)에서 운용하는 수요관리 프로그램에 따른 수요반응(DR) 사업자로 한국전력거래소(KPX)에 등록신청을 하여 DR 사업자 자격을 획득하고, DR 사업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the DR charger business operator or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directly applies for registration with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as a demand response (DR) business operator according to the demand management program operated by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and obtains DR business qualif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A to perform the role as a DR operator.

이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는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충전기에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를 설치하고 시스템 서버(2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DR 모듈(720)을 설치한 DR 충전기(701)에 대한 DR 충전기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 charger operator installs the DR module 720 and DR control device 740 in the charger it owns and connects to the homepage of the system server 200 or enters the DR module 720 through a separate contract. The DR charger registr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for the installed DR charger 701.

또한, 상기 전기차(EV)(600)의 배터리(630)에 전기를 충전하는 DR 충전소(700)는 내연기관 차량에 대한 기름을 충전하는 주유소와 이들 주유소를 관리하는 주유소 관리회사와 유사하게 복수의 DR 충전소(700)에 대한 충전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와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R charging station 700, which charges electricity to the battery 630 of the electric vehicle (EV) 600, has a plurality of gas stations similar to gas stations that charge o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and gas station management companies that manage these gas stations. It is connected to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which provides charging control services for the DR charging station 700.

이 경우,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는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할 때,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가 설치된 DR 충전기(701)를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의 전체적인 공급 가능한 전력에 기초하여 DR 충전기(701)를 원격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when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receives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200, the DR charger 701 on which the DR module 720 and the DR control device 740 are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It is also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the DR charger 701 based on the overall power that can be supplied by the (management server) 760.

상기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는 일반적으로 DR 충전소(700)에 설치된 복수의 DR 충전기(701) 및 충전기(702)에 의해 전기차(EV)(600)의 배터리(630)에 대한 전기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계량 및 과금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네트웍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는 DR 충전기(701)에 대하여 DR 충전이 이루어질 때 DR 통제장치(740)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충전, 순연 충전 및 충전 중지 등의 원격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generally provides electricity for the battery 630 of the electric vehicle (EV) 600 by a plurality of DR chargers 701 and chargers 702 installed a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When charging occurs, a network is provided to remotely manage metering and billing. In addition,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performs limited charging, continuous charging, and charging suspension as shown in FIG. 6 through the DR control device 740 when DR charging is performed for the DR charger 701. Remote control, etc. can be performed.

또한, DR 사업자 자격을 획득한 전기차 제조회사는 전기차(EV) 신차를 판매할 때, 구매자와 전기차(EV) 신차에 대한 판매 계약과 동시에 DR 계약을 진행하고 구매자가 DR 계약에 동의하는 경우 판매하는 전기차(EV)(600) 신차에 DR 모듈(620)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차 제조회사 또는 사용자(차주)가 시스템 서버(20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that has acquired DR business qualification sells a new electric vehicle (EV), it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the buyer at the same time as the sales contract for the new electric vehicle (EV), and if the buyer agrees to the DR contract, it sells the new electric vehicle (EV).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can be installed and sold in new electric vehicles (EV) (600). In this case, the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or user (vehicle owner) can access the homepage provided by the system server 200 or perform a user registration procedure through a separate contract.

이 경우, DR 사업자 자격을 획득한 전기차 제조회사는 사용자(차주)와의 사이에 DR 기본요금과 DR 실행요금을 분할하여 보상받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for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that has acquired DR business qualification to receive compensation by dividing the DR base fee and DR execution fee between the user (vehicle owner).

DR 계약자가 한국전력거래소(KPX)로부터 DR 발령에 참여한 경우 보상으로 제공되는 기본정산금은 DR 사업자와 DR 계약자 사이에 예를 들어, 5: 95의 비율로 분배될 수 있다. If a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issuing a DR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KPX), the basic settlement amount provided as compensation may be distributed between the DR business operator and the DR contractor at a ratio of, for example, 5:95.

한편, 전기차 제조회사에서 최초 전기차(EV)를 출고할 때, 차량의 충전장치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전기차(EV) 모델을 판매하고, 구매자인 차주는 옵션으로 DR 계약을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ships the first electric vehicle (EV), it sells an electric vehicle (EV) model with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stalled in the vehicle's charging device, and the buyer, the owner, has an option. You can choose a DR contract.

이 경우,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전기차(EV)(600)는 DR 발령시에 강제실행방식으로 DR에 참여하는 사업모델이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business model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EV) 600 installed with the DR module 620 and the DR control device 650 participates in DR in a forced execution method when DR is issued can be configured.

이러한 강제실행방식의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전기차(EV)(600)를 판매하는 전기차 제조회사도 DR 사업자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금 지원 규모와 연계는 지자체 조례 및 정부정책화가 필요하다.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that sells an electric vehicle (EV) 600 equipped with this forced execution typ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can also serve as a DR business operator. In this case,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nd government polic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scale and linkage of subsidy support.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차주)가 전기차 제조회사 또는 중고시장에서 전기차(EV)를 구매할 때, 전기차 제조회사 또는 중고시장의 DR 제안에 따라 차주와의 DR 계약을 진행하고 전기차(EV)(600)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후, 사용자(차주)가 시스템 서버(20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vehicle owner) purchases an electric vehicle (EV) from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or a used market, a DR contract with the owner is made according to the DR proposal of the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or a used market, and the electric vehicle (EV) (600) ), the user (borrower) can access the homepage provided by the system server 200 or perform a user registration procedure through a separate contract.

또한, DR 계약없이 전기차(EV)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DR 모듈제조사나 판매점으로부터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구입한 후,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하고, 시스템 서버(200)가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 user who uses an electric vehicle (EV) without a DR contract purchases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from a DR module manufacturer or dealer and then installs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 his or her electric vehicle (EV). The DR control device 650 can be installed and the user registr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by accessing the homepage provided by the system server 200 or through a separate contract.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수요반응(DR) 사업자가 DR 관리를 위해 운용하는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의 시스템 서버(200)로서, 통신장치(210) 및 제어 프로그램(222)을 실행하는 프로세서(220)를 포함하고 있다. The system server 200 is a system server 200 of the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operated by the demand response (DR) operator for DR management, and runs the communication device 210 and the control program 222. It includes a processor 220.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통신장치(210)에 의해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한국전력거래소(100), DR 계약 단말기(500),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전기차(EV)(600),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를 설치한 DR 충전기(701), DR 충전관제소(760)와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ystem server 200 installs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the DR contract terminal 500, the DR module 620, and the DR control device 650 through a wireless and/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communication device 210. Communication can be made with an electric vehicle (EV) 600, a DR charger 701 equipped with a DR module 720 and a DR control device 740, and a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상기 프로세서(220)는 제어 프로그램(222)을 실행함에 따라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제어 플로우에 따른 절차를 수행하며, 사용자(계약자)가 시스템 서버(200)에 접속할 때, 사용자(계약자)가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ocessor 220 performs procedures according to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S. 5 to 8 as it executes the control program 222, and when the user (contractor) connects to the system server 200, the user (contractor) A homepage may be provided so that user registration procedures can be performed.

상기 시스템 서버(200)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300)는 DR 데이터 테이블(310)과 데이터 테이블(320)을 구비하고 있다.The database 300 provided in the system server 200 includes a DR data table 310 and a data table 320.

상기 DR 데이터 테이블(310)은 DR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며 각각 도 9g 및 도 9h에 도시된 DR 발령 데이터 관리 테이블(327)과 DR 입증 데이터 관리 테이블(328)을 포함하고 있다.The DR data table 310 stores DR-related data and includes a DR issuing data management table 327 and a DR verification data management table 328 shown in FIGS. 9G and 9H, respectively.

상기 데이터 테이블(320)은 DR 계약자 단말기(500),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전기차(EV)(600),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를 설치한 DR 충전기(701)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각종 등록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도 9a 내지 도 9f에 각각 도시된 충전소 관리 테이블(321), 충전기 관리 테이블(322), 충전 이력 관리 테이블(323), 전기차(EV) 관리 테이블(324), DR 모듈 관리 테이블(325), 계약자 관리 테이블(326)을 구비하고 있다. The data table 320 includes the electric vehicle (EV) 600, DR module 720, and DR control device 740 installed with the DR contractor terminal 500,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t stores various registration data necessary to manage the installed DR charger 701, and the charging station management table 321, charger management table 322, and charging history management table 323 shown in FIGS. 9A to 9F, respectively. , it is equipped with an electric vehicle (EV) management table (324), a DR module management table (325), and a contractor management table (326).

이 경우, 상기 데이터 테이블(320)은 필요에 따라 충전기 이벤트 관리 테이블, 전기차 이벤트 관리 테이블, 충전기 사진/전기차 사진 관리 테이블, 환경 설정 관리 테이블, DR 네비게이션 관리 테이블, 개인정보등록 테이블, 사용자(계약자) 접속 이력 관리 테이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table 320 includes a charger event management table, an electric vehicle event management table, a charger photo/electric vehicle photo management table, an environment settings management table, a DR navigation management table, a personal information registration table, and a user (contractor) table, as needed.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history management table, etc.

상기 사용자 등록 절차에 따라 입력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00)의 일반 데이터 테이블(320)에 기록되고, DR 관련 데이터는 DR 데이터 테이블(310)에 기록된다.Data input according to the user registration procedure is recorded in the general data table 320 of the database 300, and DR-related data is recorded in the DR data table 310.

한국전력거래소(100)로부터의 DR 발령 관련 데이터는 도 9g에 도시된 DR 데이터 테이블(310)의 DR 발령 데이터 관리 테이블(327)에 기록되고, 상기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전기차(EV)(600)와, DR 모듈(720) 및 DR 통제장치(740)를 설치한 DR 충전기(701)로부터 입력된 DR 입증 데이터는 도 9h에 도시된 DR 데이터 테이블(310)의 DR 입증 데이터 관리 테이블(328)에 기록된다.DR order-related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is recorded in the DR order data management table 327 of the DR data table 310 shown in FIG. 9g, and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The DR verification data input from the electric vehicle (EV) 600 installed, the DR module 720, and the DR charger 701 installed with the DR control device 740 are the DR data table 310 shown in FIG. 9h. is recorded in the DR verification data management table 328.

도 9a에 도시된 충전소 관리 테이블(321)은 예를 들어, 순번, 충전소 명, 충전소 GPS 위도, 충전소 GPS 경도, 충전소 주소, 충전소 타입, 사용가능 시작시간, 사용가능 종료시간, 변경 날짜, 삭제 여부, 삭제 날짜를 포함하고 있다.The charging station management table 321 shown in FIG. 9A includes, for example, sequence number, charging station name, charging station GPS latitude, charging station GPS longitude, charging station address, charging station type, available start time, available end time, change date, and whether to delete. , including the date of deletion.

도 9b에 도시된 충전기 관리 테이블(322)은 예를 들어, 순번, 충전소 ID, 충전기 방식, 충전기 입력, 충전기 출력, 충전 속도, 유료/무료, 충전기 제조년월, 충전기 IP 주소, 충전기 시리얼넘버, 충전기 제조사, 충전기 모델명, 충전기 펌웨어 버전, SIM 카드 고유 일련번호, 국제 모바일 가입식별자, 충전소 전기 공급 타입, 충전소 전기 공급 번호, 충전기 상태(0 : 미연결, 1 : 사용불가, 2: 사용가능, 3 : 사용중), 충전기 상태 변경일시, 총 충전량, 등록 날짜, 변경 날짜, 삭제 여부, 삭제 날짜를 포함하고 있다. The charger management table 322 shown in FIG. 9B includes, for example, sequence number, charging station ID, charger method, charger input, charger output, charging speed, paid/free charger, charger manufacturing date, charger IP address, charger serial number, charger Manufacturer, charger model name, charger firmware version, SIM card unique serial number, international mobile subscription identifier, charging station electricity supply type, charging station electricity supply number, charger status (0: not connected, 1: not available, 2: available, 3: (in use), charger status change date and time, total charge amount, registration date, change date, deletion status, and deletion date.

도 9c에 도시된 충전 이력 관리 테이블(323)은 예를 들어, 순번, 차량 ID, 충전기 ID, 차대 번호, 충전 방식, 충전 전 충전량, 충전 후 충전량, 충전 전 SOC, 충전 후 SOC, 충전 시작 시간, 충전 종료 시간, 충전 시간, 삭제 여부, 삭제 날짜를 포함하고 있다. The charging history management table 323 shown in FIG. 9C includes, for example, sequence number, vehicle ID, charger ID,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charging method, charge amount before charging, charge amount after charging, SOC before charging, SOC after charging, and charging start time. , includes charging end time, charging time, deletion status, and deletion date.

도 9d에 도시된 전기차(EV) 관리 테이블(324)은 예를 들어, 순번, 차량 명, 차량 번호, 차대 번호, 소유자, DR 여부, 차량 컬러, 제조년월, 구매일자, 충전 방식, 제조사, 모델, 변경 날짜, 삭제 여부, 삭제 날짜를 포함하고 있다. The electric vehicle (EV) management table 324 shown in FIG. 9D includes, for example, serial number, vehicle name, vehicle number, 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owner, DR status, vehicle color, date of manufacture, date of purchase, charging method, manufacturer, and model. , includes the date of change, whether or not it was deleted, and the date of deletion.

도 9e에 도시된 DR 모듈 관리 테이블(325)은 예를 들어, 순번, DR 모듈 ID, 차량 ID, 충전기 ID, DR 모듈 IP 주소, DR 모듈 시리얼넘버, DR 모듈 모델명, DR 모듈 펌웨어 버전을 포함하고 있다. The DR module management table 325 shown in FIG. 9E includes, for example, a sequence number, DR module ID, vehicle ID, charger ID, DR module IP address, DR module serial number, DR module model name, and DR module firmware version. there is.

도 9f에 도시된 계약자 관리 테이블(326)은 예를 들어, 순번, 사용자 ID, 사용자 암호, 암호 SALT, 사용자 명, 사용자 권한, 사용자 사진,연락처, 생년월일, 이메일, 성별, 가입일, 암호변경일, 로그인 실패, 승인 여부, 삭제 여부, 삭제 날짜를 포함하고 있다. The contractor management table 326 shown in FIG. 9F includes, for example, sequence number, user ID, user password, password SALT, user name, user authority, user photo, contact information, date of birth, email, gender, subscription date, password change date, It includes login failure, approval status, deletion status, and deletion date.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할 때 어떤 정보는 암호화해서 저장해야한다. 특히, 비밀번호나 바이오 정보같은 개인정보는 반드시 암호화를 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When stor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some information must be encrypted and stored. In particular, the law stipulates tha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passwords and bio information must be encrypted.

상기 암호 SALT에서 Salt는 비밀번호를 암호화할 때 단방향 암호화 알고리즘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랜덤한 값이며 비밀번호와 함께 해싱이 된다. In the above password SALT, Salt is a random value used to compensate for the vulnerability of the one-way encryption algorithm when encrypting the password and is hashed together with the password.

도 9g에 도시된 DR 발령 데이터 관리 테이블(327)은 예를 들어, 순번, DR 발령 시작시간, DR 발령 종료시간, DR 발령 ID, DR 발령 규모(레벨), DR 발령 이벤트(문구). 비고를 포함하고 있다. The DR order data management table 327 shown in FIG. 9g includes, for example, sequence number, DR order start time, DR order end time, DR order ID, DR order scale (level), and DR order event (phrase). Includes remarks.

도 9h에 도시된 DR 입증 데이터 관리 테이블(327)은 예를 들어, 순번, 비고, [DR 발령 데이터 관리] 연계, [충전 이력 관리] 연계를 포함하고 있다.The DR verification data management table 327 shown in FIG. 9H includes, for example, sequence number, remark, [DR issuance data management] linkage, and [charge history management] linkage.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는 상기 DR 사업자가 시스템 서버(200)에 접속하여 시스템 서버(200)의 동작 상태 점검 및 모니터링하거나, DR 발령시에 DR 계약자 단말기(500)에 제공하는 DR 충전 네비게이션 자료를 업로드할 때 이용한다.The manager terminal 400 connects to the system server 200 by the DR provider to check and monitor the operating status of the system server 200, or provides DR charging navigation data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500 when a DR is issued. Use when uploading.

상기 DR 계약 단말기(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계약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통신장치(510)를 이용하여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망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PC(personal computer) 또는 모바일 장치일 수 있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2, the DR contract terminal 500 is a terminal used by a DR contractor, and is a personal computer (PC) or a PC capable of connecting to a wireless and/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510. It may be a mobile device, and the mobile device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laptop computer, a smartphone, or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500)는 통신장치(510), 프로세서(5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530)를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R contractor terminal 50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510, a processor 520, and a user interface (UI) 530.

사용자(DR 계약자)는 DR 계약과 관련된 시스템 서버(200)로부터의 각종 안내와 DR 발령에 따른 안내 서비스 문자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앱(APP)(522)을 DR 계약 단말기(500)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user (DR contractor) downloads and installs the app (APP) 522 required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ystem server 200 related to the DR contract and guidance service text messages according to DR issuance on the DR contract terminal 500. You can.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530)는 DR 내비게이션 메뉴(532)와 DR 데이터 메뉴(534)를 포함하고 있다.The user interface 530 includes a DR navigation menu 532 and a DR data menu 534.

이 경우, 사용자(DR 계약자)가 앱(APP)(522)을 동작시키면 상기 프로세서(520)는 앱(APP)(522)을 구동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30)를 디스플레이(540)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DR 내비게이션 메뉴(532)를 선택하면, 도 12에 도시된 DR 내비게이션(750)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540)에 표시된다. In this case, when the user (DR contractor) operates the app (APP) 522, the processor 520 runs the app (APP) 522 and displays the user interface 530 on the display 540, and the user When the DR navigation menu 532 is selected, the DR navigation 750 shown in FIG. 1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540 of the terminal.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에는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기(701)가 설치된 DR 충전소(700)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도에 표시된 복수의 DR 충전소(700) 중 하나를 지정하면, 현재상태에서 선택된 DR 충전소(700)에 설치된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기(701)에 대한 DR 충전소(700)의 주소(752)와 DR 과금 테이블(753)을 제공하는 팝업창(751)이 제공된다. The DR navigation 750 provides map information showing a DR charging station 700 where a DR charger 701 capable of DR charging is installed. In this case, when the user designates one of the plurality of DR charging stations 700 displayed on the map, the address of the DR charging station 700 for the DR charger 701 capable of DR charging installed at the selected DR charging station 700 in the current state A pop-up window 751 providing 752 and DR charging table 753 is provided.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에 표시된 다른 DR 충전소(700)를 검색하여 표시되는 DR 충전소 중에 자신의 위치로부터의 거리와 과금 요금을 고려하여 원하는 DR 충전기(701)가 위치한 DR 충전소(700)를 선택하여 DR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searches for other DR charging stations 700 displayed on the DR navigation 750 and selects the DR charging station 700 where the desired DR charger 701 is located, considering the distance from the user's location and the billing fee among the displayed DR charging stations. ) can be selected to perform DR charging.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DR 충전소(700)를 지정한 경우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지정된 DR 충전소(700)로 사용자를 안내하는 내비게이터로서 역할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esignates one DR charging station 700, the DR navigation 750 serves as a navigator that guides the user from the user's current location to the designated DR charging station 700.

이 경우,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에는 DR 발령에 따라 DR 요금이 적용되는 DR 충전소(700) 뿐 아니라 DR 발령이 적용되지 않는 지역의 충전소와 충전요금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 navigation 750 may provide not only the DR charging station 700 to which the DR fe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DR issuance, but also charging stations and charging fees in areas where the DR issuance is not applied.

한편, 사용자(DR 계약자)가 DR 충전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DR 계약 단말기(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30)에서 제공하는 DR 데이터 메뉴(534)를 선택함에 따라 DR 충전에 따른 DR 입증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when a user (DR contractor) performs DR charging, the DR contract terminal 500 can check DR verification data according to DR charging by selecting the DR data menu 534 provided in the user interface 530. there is.

도 11은 DR 발령에 따른 DR 과금 테이블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 shows an example of a DR charging table according to DR issuanc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과금 테이블은 시간과 지역에 따라 상이한 요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11, it can be seen that the DR charging table provides different rates depending on time and region.

예를 들어, 13:00~15:00 시간대에는 기본요금(평균요금) 1,300원보다 저렴한 900원이 적용되고, 22:00~02:00 시간대에는 기본요금(평균요금)보다 비싼 1,500원이 적용되며, 02:00~04:00 시간대에는 기본요금(평균요금)보다 가장 저렴한 700원이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13:00~15:00 time zone, 900 won, which is cheaper than the basic rate (average rate) of 1,300 won, is applied, and in the 22:00~02:00 time zone, 1,500 won, which is more expensive than the basic rate (average rate), is applied. You can see that the lowest price of 700 won is applied during the 02:00~04:00 time period, which is the lowest price compared to the basic rate (average rate).

즉, 사용자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황금시간대, 즉 22:00~02:00 시간대에는 기본요금(평균요금)보다 비싼 요금이 적용되고, 황금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는 할인된 요금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간대별 과금 요금의 차별화 적용은 충전 시간의 쏠림현상을 분산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a higher rate than the basic rate (average rate) is applied during the golden hour, that is, the time zone that users use the most, that is, from 22:00 to 02:00, and a discounted rate is applied for times other than the golden hour. Differentiated application of charging rates by time slot can disperse the concentration of charging times.

상기 전기차(EV)(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망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통신모듈(610), DR 모듈(620), 배터리(BAT)(630),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 및 DR 통제장치(650)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electric vehicle (EV) 6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610, a DR module 620, a battery (BAT) 630,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that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640) and a DR control device (650).

상기 통신모듈(610)은 시스템 서버(200)와의 무선 통신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DR 모듈(620)은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통신모듈(610)를 통하여 DR 발령을 수신한 경우 EV 사용자의 충전 옵션 선택에 따라 DR 충전을 실시하고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DR 통제장치(640)는 상기 DR 모듈(620)의 제어에 따라 DR 충전을 제어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610 is responsib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200, and the DR module 620 charges the EV user when receiving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610. DR charg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option selection, and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DR ver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200, and the DR control device 640 controls DR charging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R module 620. do.

사용자가 DR 사업자와 직접 DR 계약을 하거나 전기차 제조회사 또는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기차(EV)를 구매하면서 DR 계약을 한 경우, 차량 내부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가 설치될 수 있다. If a user signs a DR contract directly with a DR business operator or makes a DR contract while purchasing an electric vehicle (EV) through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or other channels,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can b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there is.

상기 전기차(EV)(600)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배터리(BAT)(630)는 배터리 팩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터리(BAT)(630)는 배터리 팩,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셀을 총칭하는 것으로, 재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된 것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battery (BAT) 630, which is basically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EV) 600,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640 within the battery pack. The battery (BAT) 630 is a general term for a battery pack,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cell, and can be applied to any battery that consists of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은 배터리 팩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배터리 셀의 전압 밸런싱(voltage balancing)을 통해 배터리 셀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관리하는 배터리 셀 관리 기능, 배터리 셀 각각의 전류, 전압 및/또는 온도 등을 센싱하여 충전 상태(SOC)를 예측하는 충전 상태 예측 기능, 배터리 셀 각각의 과충전과 과방전을 방지하는 파워 제한 기능, 배터리 팩과 배터리 셀의 고장을 진단하는 진단 기능 및 배터리 팩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 제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64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for example, preventing overload of the battery cells through voltage balancing of the battery cells. Battery cell management function to prevent overcharging, charge state prediction function to predict the state of charge (SOC) by sensing the current, voltage, and/or temperature of each battery cell, and power to prevent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of each battery cell. It may include a limiting function, a diagnostic function to diagnose failure of the battery pack and battery cells, and a cooling control function to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battery pack.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차(EV)(600)에 설치되는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가 상기한 BMS(640)와 연계하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차(EV)(600)에 설치되는 배터리(BAT)(630)는 기본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의 제어에 따라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EV) 600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BMS 64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battery (BAT) 630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EV) 600 must be charged and discharged under the control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640.

따라서, 상기 배터리(BAT)(630)에 대한 충전(신뢰성 DR인 경우)과 방전(플러스 DR인 경우)의 창구 역할을 하는 DR 모듈(620)은 배터리 셀의 과부하 방지, 충전 상태 예측, 배터리 셀 각각의 과충전과 과방전을 방지, 배터리 셀의 고장을 진단 및 냉각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과 연계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DR module 620, which serves as a window for charging (in case of reliable DR) and discharging (in case of plus DR) for the battery (BAT) 630, prevents overload of the battery cell, predicts the state of charge, and monitors the battery cell. It is desirable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640 that prevents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diagnoses battery cell failure, and performs cooling control functions.

더욱이, 전기차 제조회사에서 전기차(EV)(600)를 제조할 때 처음부터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과 연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추후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추가 설치할 때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640)과 쉽게 연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Moreover, when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manufactures an electric vehicle (EV) 600,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are install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640 from the beginning, or When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ar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future, they can be design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linked with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640.

신뢰성 DR이 발령된 경우, DR 계약자(사용자)는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충전 중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및 상기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이 제한되는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할 수 있다. When a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DR contractor (user) stop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charged beyond the preset capacity, postpones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DR issuance end time, and performs natural charging and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e battery 630 can be charged by selecting one of the charging options of the (EV) battery 630's charging capacity or limited charging where the charging voltage is limited.

이를 위해 상기 DR 통제장치(650)는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모듈(652),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시키는 순연충전모듈(654) 및 상기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충전모듈(656)을 포함하고 있다.To this end, the DR control device 650 includes a power cutoff module 652 to stop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and charges by delaying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DR issuing end time. It includes a natural charging module 654 and a limiting charging module 656 for limiting the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또한, 상기 신뢰성 DR이 발령될지라도 DR 계약자(사용자)는 상기한 DR 충전에 따라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하지 않고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는 일반 충전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DR contractor (user) does not select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stopping charging, natural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according to the DR charging, and a penalty is imp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regular charging.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DR 충전기(701)는 무선 통신망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통신장치(710), DR 모듈(720), 충전기(725), 디스플레이(730) 및 DR 통제장치(740)를 구비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DR charger 701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710, a DR module 720, a charger 725, a display 730, and a DR control device 740 that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vailable.

상기 DR 충전기(701)는 전기차(EV)(600)의 배터리(BAT)(630)를 충전하기 위한 일반적인 충전기(725)에, 상기 시스템 서버(200)와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장치(710),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통신장치(710)를 통하여 DR 발령을 수신한 경우 EV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DR 충전을 실시하고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720), 상기 DR 충전을 선택한 경우 DR 충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EV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730) 및 상기 DR 모듈(720)의 제어에 따라 DR 충전기(701)의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740)를 더 포함하고 있다.The DR charger 701 is a general charger 725 for charging the battery (BAT) 630 of an electric vehicle (EV) 600, and a communication device 710 that allow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200. ), when a DR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ystem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710, DR charg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V user's selection, and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DR ver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200. DR module 720, a display 730 to inform the EV user of the status of DR charging when the DR charging is selected, and DR charging of the DR charger 701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R module 720. It further includes a DR control device 740 for control.

신뢰성 DR이 발령된 경우, DR 충전기 사업자는 전기차 사용자의 충전 옵션 선택에 따라 DR 발령 직전까지 충전 중이던 전기차(EV)에 대한 충전중지, 사전 설정된 충전 용량 이상으로 배터리(630)가 충전된 전기차(EV)에 대한 충전중지 및 DR 충전소(700)의 전력사용 총량이 전에 협약된 전력량을 초과한 경우 DR 충전관제소(760)의 통제에 따라 DR 충전기(701)의 충전중지 중 하나의 충전중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및 상기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최대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제한에 따라 저속 충전되는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할 수 있다. When a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DR charger operator stop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EV) that was charging right before the DR is issued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user's charging option selection, and stop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EV) whose battery 630 is charged beyond the preset charging capacity. ), and when the total power usage of the DR charging station (700) exceeds the previously agreed upon amount of power, one of the charging stops of the DR charger (701) is stopped under the control of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and charging time. Battery 630 can be charged by selecting one of the following charging options: natural charging, which is postponed until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and limited charging, which is low-speed charging according to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limit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can be charged.

이를 위해 상기 DR 통제장치(740)는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모듈(742),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시키는 순연충전모듈(744) 및 상기 전기차(EV) 배터리(630)의 최대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충전모듈(746)을 포함하고 있다.To this end, the DR control device 740 includes a power cutoff module 742 to stop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and charges by delaying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It includes a natural charging module 744 and a limiting charging module 746 for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630.

본 발명에 따른 DR 충전은 상기한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을 포함하며, 상기 신뢰성 DR이 발령될지라도 전기차 사용자가 상기한 DR 충전에 따른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하지 않고 일반 충전을 선택하여 DR 충전기(701)를 사용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하는 경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는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DR charg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mentioned charging stop, natural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and even if the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electric vehicle user has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charging stop, natural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DR charging. If you select normal charging without selecting and charge the battery 630 using the DR charger 701,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DR charger operator.

또한, DR 계약이 없는 일반적인 EV 사용자는 DR 충전소(700)에서 DR 충전기(701)를 이용한 DR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DR 충전소(700)에서는 DR 계약이 없는 일반적인 EV 사용자에게 할인요금을 제시하면서 DR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 Additionally, general EV users without a DR contract can perform DR charging using the DR charger 701 a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At this time, the DR charging station 700 can encourage DR charging by offering a discount rate to general EV users without a DR contract.

이 경우, 상기한 DR 충전기(701)는 DR 충전소(700)에 대한 충전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는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할 때, DR 충전관제소(760)의 관리하에 있는 DR 모듈(720)과 DR 통제장치(740)가 설치된 DR 충전기(701)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R charger 701 may be connected to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which provides charging control services for the DR charging station 700, and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When receiving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200, it can control the DR module 720 under the management of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and the DR charger 701 on which the DR control device 740 is installed.

즉, 상기 DR 충전관제소(관리서버)(760)는 DR 충전기(701)에 대하여 DR 충전이 이루어질 때 DR 통제장치(740)를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 충전, 순연 충전 및 충전 중지 등의 원격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That is, when DR charging is performed on the DR charger 701,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management server) 760 performs limited charging, continuous charging, and charging suspension as shown in FIG. 6 through the DR control device 740. Remote control, etc. can be performed.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DR)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사업자가 전기차(EV)(600)를 소유한 개인 사용자와 DR 모듈(620)을 전기차(EV)(600)에 설치하는 DR 계약을 진행하거나, DR 모듈(720)을 설치한 DR 충전기(701)를 구비한 DR 충전소(700)를 운영하는 DR 충전기 사업자를 DR 계약자로 모집하여 전기차(EV)(600)와 DR 충전기(701)를 시스템 서버(200)에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고 있다. Meanwhile, the demand response (DR)-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1A, and the DR business operator owns the electric vehicle (EV) 600. Proceed with a DR contract with an individual user to install a DR module (620) on an electric vehicle (EV) (600), or operate a DR charging station (700) equipped with a DR charger (701) with a DR module (720) installed. DR charger operators are being recruited as DR contractors, and the electric vehicle (EV) 600 and DR charger 701 are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2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DR)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은 도 1b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이 공동주택에 거주하면서 전기차(EV)(600)를 소유한 개인 사용자와 DR 계약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demand response (DR)-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ure 1b, allows electric vehicles ( It is also possible to enter into a DR contract with an individual user who owns EV (600).

이 경우, DR 계약한 DR 계약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자신의 단말기를 DR 계약 단말기(500)로 시스템 서버(200)에 등록함에 의해 시스템 서버(200)로부터의 DR 발령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DR contractor who has signed a DR contract can receive a DR order from the system server 200 by registering his terminal as the DR contract terminal 500 in the system server 20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do.

도 1b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DR 모듈(620)을 전기차(EV)(600)에 설치하는 것 대신에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구비된 복수의 공용충전기 중 적어도 하나를 대체하여 공용 DR 충전장치(623)를 설치하고 DR 모듈(620)이 설치되지 않은 복수의 전기차(EV)(601)의 배터리(630)에 DR 충전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ure 1b, instead of installing the DR module 620 in the electric vehicle (EV) 600,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by replac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ublic chargers provided in the parking lot of an apartment complex.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623 and perform DR charging on the batteries 630 of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EV) 601 without the DR module 620 installed.

상기 공용 DR 충전장치(623)는 DR 모듈과 DR 통제장치를 포함하는 DR 모듈장치를 구비하고, 통신모듈(610)을 통하여 시스템 서버(200)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연결됨에 따라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며, DR 발령시에는 DR 계약자의 선택에 따라 DR 충전을 실시하고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common DR charging device 623 is equipped with a DR module device including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and is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200 through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odule 610, thereby enabling the system server 200 ), and when a DR is issued, DR charg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 contractor's selection, and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it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200.

이 경우,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구비된 공용충전기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623)는 공용 DR 충전기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public DR charging device 623 installed in the public charger provided in the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complex serves as a public DR charger.

또한, 도 1b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는 DR 모듈(620)를 전기차(EV)(600)에 설치하는 것 대신에 밧데리(630)에 대한 충전이 필요할 때마다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를 이용하여 DR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는 통상적인 충전기에 DR 모듈과 DR 통제장치를 포함하는 DR 모듈장치를 결합시켜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충전기와 DR 모듈장치는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1B, instead of installing the DR module 620 in the electric vehicle (EV) 600,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is installed whenever charging of the battery 630 is required. DR charging can be performed using DR. Th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can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DR module device including a DR module and a DR control device with a typical charger. A typical charger and a DR module device may have a detachable combination structure.

이 경우,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DR 계약한 후 DR 계약자로서 자신의 단말기를 DR 계약 단말기(500)로서 시스템 서버(200)에 사용자 등록 절차를 수행함에 의해 시스템 서버(200)로부터의 DR 발령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user using th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signs a DR contract and registers his/her terminal as a DR contract terminal 500 on the system server 200 by performing a user registration procedure. ), it is possible to receive DR orders from.

상기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는 DR 모듈장치 내부에 시스템 서버(200)와 무선 통신망으로 연결하는 데 필요한 무선 통신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시스템 서버(200)로부터 DR 발령을 무선으로 수신하며, DR 발령시에는 DR 계약자의 선택에 따라 DR 충전 운용 방식을 실시하고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ide the DR module device necessary to connect to the system server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ly receives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200, When issuing a DR, a DR charging operation method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DR contractor's selection, and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DR ver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20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요반응(DR)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1000)의 동작을 도 1a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demand response (DR) 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to 12.

일반적으로 산업지역의 주간 시간대에 전력수요 패턴은 오전 9시부터 12시 사이에 1차 전력 피크 상황이 크게 발생되고, 오후 1시부터 5시 사이에 2차 전력 피크 상황이 발생되고 있다. In general, the power demand pattern during daytime hours in industrial areas shows that the first power peak occurs between 9:00 AM and 12:00 PM, and the second power peak occurs between 1:00 PM and 5:00 PM.

또한, 산업지역의 하계 시간대에 전력수요 패턴은 오전 10시부터 11시 사이에 1차 전력 피크 상황이 발생되고, 오후 2시부터 5시 사이에 2차 전력 피크 상황이 크게 발생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demand pattern during summer time in industrial areas is such that the first power peak occurs between 10 AM and 11 AM, and the second power peak occurs between 2 PM and 5 PM.

더욱이, 산업지역의 동계 시간대에 전력수요 패턴은 오전 10시부터 12시 사이에 1차 전력 피크 상황이 크게 발생되고, 오후 5시부터 7시 사이에 2차 전력 피크 상황이 또한 크게 발생되고 있다. Moreover, the power demand pattern during winter time in industrial areas is such that the first power peak situation occurs significantly between 10 AM and 12 PM, and the second power peak situation also occurs significantly between 5 PM and 7 PM.

주거지역의 전력수요 패턴은 야간시간대인 오후 7시부터 12시 사이에 전력 피크 상황이 크게 발생되고 있다. The electricity demand pattern in residential areas shows a significant power peak situation occurring at night between 7 PM and 12 PM.

또한, 주거지역의 전력수요 패턴은 1월달에는 7~8시 사이의 오전시간에 난방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8월달에는 냉방 전력수요가 오후 6시부터 10시 사이에 급증하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electricity demand pattern in residential areas has a pattern in which heating power demand rapidly increases in the morning between 7 and 8 am in January, and cooling power demand rapidly increases between 6 and 10 pm in August.

기존 DR 사업에서는 한국전력거래소에 고객 등록을 하기 위해 "전기소비패턴 검증(RRMSE: Relative Root Mean Squared Error)”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전기차(EV)의 경우 충전에 대한 패턴화가 되어 있어 고객 등록이 가능하다. In the existing DR business,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 verification (RRMSE: Relative Root Mean Squared Error)” must be conducted first in order to register customers at the Korea Power Exchange, but in the case of electric vehicles (EVs), customer registration is possible because charging is patterned. .

우리나라의 지역에 따른 시간별 전기차(EV) 충전 전력량 패턴과 계절/용도(공공, 주거, 상업)에 따른 전기차(EV) 충전 전력량 패턴은 논문으로 발표된 바 있으며, 발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계 및 동계 전력피크치에 대응할 수 있다.The pattern of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by time by region in Korea and the pattern of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by season/use (public, residential, commercial) have been published in a paper, and based on the published data, the pattern has been published in summer and winter. It can respond to power peak values.

즉, 전기차(EV)의 배터리 충전은 패턴화가 이미 입증된 상태이므로 DR 전력 수요 예측이 가능하여 패턴화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전력거래소의 감축/소비 지시를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patterning of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ing has already been proven, it is possible to predict DR power demand and stably respond to the Korea Power Exchange's reduction/consumption instructions based on patterned data.

먼저, 한국전력거래소(100)는 산업지역/거주지역과 시간대에 따라 또는 계절별/용도에 따른 EV 충전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력 피크 상황을 대비하여 1시간 전에 DR 발령을 예보하면서 DR 발령에 대한 시간과 규모를 DR 사업자에게 전달한다(S11). First,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predicts DR issuance 1 hour in advance in preparation for power peak situations based on EV charging pattern data according to industrial area/residential area and time zone, or by season/use, and sets the time for DR issuance. and scale are delivered to the DR operator (S11).

이 경우, 대부분의 경우는 전력 피크 상황을 대비하여 전력 사용량 감소를 독려하는 신뢰성 DR이 주로 발령된다.In this case, in most cases, a reliability DR is issued to encourage a reduction in power usage in preparation for power peak situations.

또한, 전력 수요가 적은 계절이나 시간대 또는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전력수요를 초과하는 지역(예를 들어, 제주도)에 있어서는 풍력발전기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인하여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계통 안정을 위해 플러스(+) DR을 발령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easons or times when demand for electricity is low, or in areas where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generation exceeds electricity demand (e.g. Jeju Island), when electricity supply exceeds electricity demand due to the generation of new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power generators, A plus (+) DR can be issued to stabilize the system.

그 후, DR 발령 해당 일시가 도래하면 정식으로 DR을 발령한다(S12).Afterwards, when the DR issuance date and time arrives, the DR is officially issued (S12).

상기 한국전력거래소(100)로부터의 DR 발령(예보)가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200)에 전달되면,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계약자의 계약자 단말기(500), 전기차(EV)(600) 및 DR 충전기(701)에 DR 발령(예보)를 전달한다(S13). 이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충전소(700)의 DR 충전기(701)를 관리하는 DR 충전관제소(760)에도 DR 발령(예보)를 전달할 수 있다. When the DR issuance (forecast)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is delivered to the DR service provider's system server (200), the system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DR contractor's contractor terminal (500) and electric vehicle (EV) (600). And a DR issuance (forecast) is transmitted to the DR charger 701 (S13). In this case, the system server 200 may also deliver a DR order (forecast) to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which manages the DR charger 701 of the DR charging station 700.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을 수신할 때, 데이터 베이스(300)의 DR 데이터 테이블(310)에 DR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DR 데이터는 DR 발령 시작시간, DR 발령 종료시간, DR 발령 ID, DR 발령 규모(레벨), DR 발령 이벤트(문구) 등을 포함하고 있다. When receiving a DR order, the system server 200 stores DR data in the DR data table 310 of the database 300. The DR data includes DR issuing start time, DR issuing end time, DR issuing ID, DR issuing scale (level), DR issuing event (text), etc.

상기 DR 발령은 전력 피크 상황을 대비하여 전력 사용량 감소를 독려하는 신뢰성 DR과 재생에너지의 초과 발전에 의해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잉여 재생에너지의 소비를 독려하는 플러스(+) DR 중 하나가 발생될 수 있다.The above DR issuance is one of two types: reliability DR, which encourages a reduction in power usage in preparation for peak power situations, and positive DR, which encourages consumption of surplus renewable energy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due to excessive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may occur.

상기 계약자 단말기(500)와 DR 충전관제소(760)에 DR 발령(예보)를 전달하면, DR 계약자는 전기차(EV)(600)에 내장된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 잔량과 주행 가능거리, DR 발령 종료시간 및 자신이 주행하고자 하는 목표지역까지의 거리를 미리 확인하고, 예를 들어, 1시간 후에 DR 발령이 내려질 때 DR 발령 기간, 예를 들어, DR 발령 후 2시간 동안 배터리(630)의 충전 필요성을 고려하여 DR 충전의 참가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When a DR order (forecast) is delivered to the contractor terminal 500 and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the DR contractor receives the current remaining charge amount and driving distance of the battery 630 built into the electric vehicle (EV) 600, and DR Check in advance the end time of the order and the distance to the target area where you want to drive, and for example, when the DR order is issued 1 hour later, the battery 630 is charged for the DR order period, for example, 2 hours after the DR is issued. Participation in DR charging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by considering the need for charging.

또한, DR 충전관제소(760)도 충전관제소(760)가 관리하는 복수의 DR 충전기(701)에 대한 운영방안을 미리 계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can also plan in advance an operation plan for a plurality of DR chargers 701 managed by the charging control center 760.

더욱이, 상기와 유사하게 공용 DR 충전장치(623)를 사용하는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DR 계약자나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를 사용하는 DR 계약자도 전기차(EV)(600)에 내장된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 잔량과 주행 가능거리, DR 발령 종료시간 및 자신이 주행하고자 하는 목표지역까지의 거리를 미리 확인하고, DR 충전의 참가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Moreover, similar to the above, DR contractors living in apartments using the public DR charging device 623 or DR contractors using th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also use the battery ( 630), you can check in advance the current remaining charge amount, possible driving distance, DR issuance end time, and distance to the target area you want to drive, and decide in advance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DR charging.

또한,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이 아니라 플러스(+) DR이 발령된 경우에도 전기차(EV)(600)에 내장된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 잔량과 주행 가능거리, DR 발령 종료시간 및 자신이 주행하고자 하는 목표지역까지의 거리를 미리 확인하고, 플러스(+) DR 충전의 참가 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R is issued not as a reliability DR but as a plus (+) DR, the current remaining charge of the battery 630 built into the electric vehicle (EV) 600, the possible driving distance, the end time of the DR issue, and the You can check the distance to the target area you want to drive in advance and decide in advance whether to participate in Plus (+) DR charging.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예보)를 수신할 때, DR 계약자의 계약자 단말기(500)로 DR 공지를 전달한다(S15).When receiving a DR order (forecast), the system server 200 delivers a DR notice to the DR contractor's contract terminal 500 (S15).

이 경우, DR 발령(예보)시에 전기차(EV)(600)에도 전달되어 전기차(EV)(6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DR이 발령되었습니다'라는 DR 승인을 안내하는 문구가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R is issued (forecast), it is also delivered to the electric vehicle (EV) 600, and a pop-up message informing of DR approval, ‘DR has been issu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electric vehicle (EV) 600. You can.

상기 DR 공지에는 (신뢰성 DR/플러스 DR)에 참여할 때 DR 계약자에 대한 인센티브의 내용을 공지한다. 또한, 상기 DR 공지에는 신뢰성 DR이 발령되는 시간 동안 충전을 하게 되면 패널티를 부과하는 것에 대한 공지도 포함되어 있다.The above DR notice announces the details of incentives for DR contractors when participating in (Reliability DR/Plus DR). Additionally, the DR notice also includes a notice regarding the imposition of a penalty if charging is performed during the time when the reliability DR is issued.

상기 DR 공지에 따른 DR 발령 내용은 문자메시지(230) 또는 앱(APP) 알림 형식으로 계약자 단말기(500)로 전송된다.The DR issuance details according to the above DR notice are transmitted to the contractor terminal 500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230 or an APP notification.

상기 DR 발령 내용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발령의 주체와 DR의 종류, 감축일, 감축시간(통상적으로 2시간), 목표전력사용량을 안내한다.As shown in Figure 10, the DR issuance details inform the subject of the DR issuance, type of DR, reduction date, reduction time (typically 2 hours), and target power usage.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을 수신할 때, DR 수익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DR 계약자의 계약자 단말기(500)를 통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DR 내비게이션(750)이 가능한 DR 지도(Map)를 제공하면서 DR 충전 시간과 지역에 따라 차별화된 과금테이블(시간, 지역, 금액)(753)을 제공한다(S14). When receiving a DR order, the system server 200 creates a DR map (Map) capable of DR navigation 750 as shown in FIG. 12 through the DR contractor's contractor terminal 500 based on the DR profit algorithm. In addition, differentiated charging tables (time, region, amount) (753) are provided according to DR charging time and region (S14).

도 11에 도시된 과금테이블은 예를 들어, 주거지역에 DR 발령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는 과금테이블을 나타낸다. 상기 과금테이블(753)을 참고하면, 일반적인 사용자가 가장 많이 충전을 시도하는 22:00~02:00 시간대에는 기본요금(1,300원)보다 더 비싼 요금(1,500원)이 적용되고, 13:00~15:00 시간대와 02:00~15:00 시간대에는 기본요금(1,300원)보다 더 싼 요금(900원 및 700원)이 적용되고 있다. The charging table shown in FIG. 11 represents a charging table applied when, for example, a DR order is not issued to a residential area. Referring to the charging table 753, a more expensive rate (KRW 1,500) than the basic rate (KRW 1,300) is applied between 22:00 and 02:00, when most users attempt to charge, and between 13:00 and 13:00. During the 15:00 time zone and the 02:00 to 15:00 time zone, cheaper rates (900 won and 700 won) are applied than the basic rate (1,300 won).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과금테이블(753)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충전 피크시간의 분산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ystem server 200 can provide the charging table 753 even when a DR order is not issued, and this can serve to induce distribution of the charging peak time.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에는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기(701)가 설치된 DR 충전소(700)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전소 주소(752)와 같은 위치정보, 금액정보와 적용시간이 표시되는 과금 테이블(753)을 제공한다. The DR navigation 750 provides map information showing the DR charging station 700 where a DR charger 701 capable of DR charging is installed, and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charging station address 752, price information, and application time are displayed. A charging table 753 is provided.

상기 시스템 서버(200)가 앱(APP)(522)이 설치된 계약자 단말기(500)로 DR 충전 지도 서비스(즉, DR 네비게이션)를 제공하면, DR 계약자(사용자)는 앱(APP)(522)을 구동하여 DR 내비게이션(750)을 실행시킨 후, 원하는 DR 충전소(700)를 선택하면 DR 계약자가 선택한 DR 충전소(700)를 찾아갈 수 있도록 안내한다.When the system server 200 provides a DR charging map service (i.e., DR navigation) to the contractor terminal 500 on which the app (APP) 522 is installed, the DR contractor (user) uses the app (APP) 522. After driving and executing the DR navigation (750), if you select the desired DR charging station (700), the DR contractor will guide you to the selected DR charging station (700).

DR이 적용된 경우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에 표시되는 과금 테이블(753)에는 DR 발령시간대(13:00~15:00)는 과금 및 할인 요금이 표시되지 않으며, 대신 "DR 발령"이 표시된다. 상기 DR 발령시간대(13:00~15:00)의 과금 및 할인 요금은 DR 수익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When DR is applied, the billing table 753 displayed in the DR navigation 750 does not display the billing and discount rates during the DR issuance time period (13:00 to 15:00), and instead displays “DR issuance.” The billing and discount rates for the DR issuing time period (13:00 to 15:0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DR profit algorithm.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DR 내비게이션(75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에는 지역별 시간대별 부하가 적은 지역이나 무부하 상태의 충전기가 많은 지역의 충전소를 검색할 수 있으며, 지역별 시간대별 부하가 적은 지역은 저렴한 할인 요금이 적용된다.The system server 200 can provide DR navigation 750 even when a DR order is not issued. The DR navigation 750 can search for charging stations in areas with low load by region and time slot or areas with many chargers in an unloaded state, and low discount rates are applied to areas with low load by region and time slot.

따라서,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DR 계약자에게 DR 내비게이션(750)을 제공하여 저렴한 할인 요금을 적용하는 충전소를 안내함에 의해 무부하 상태의 충전기가 있는 지역으로 충전 수요를 분산 유도할 수 있다.Therefore, even when a DR order is not issued, the system server 200 provides the DR navigation 750 to the DR contractor and guides charging stations applying low discount rates, thereby directing charging demand to areas with chargers in an unloaded state. Dispersion can be induced.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계약자 단말기(500)를 통하여 DR 계약자에게 DR 공지를 전달한 후, 이어서 DR 과금테이블(시간, 지역, 금액)과 DR 내비게이션(750)을 전달한다(S16).The system server 200 delivers a DR notice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500 and then delivers the DR billing table (time, region, amount) and DR navigation 750 (S16).

상기 DR 내비게이션(750)은 앱(APP) 또는 웹(WEB)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DR navigation 750 may be operated based on an app or web.

DR 계약자(사용자)는 전달받은 DR 과금테이블(시간, 지역, 금액)과 함께 전기차(EV)(600)에 내장된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 잔량과 주행 가능거리, DR 발령 종료시간 및 자신이 주행하고자 하는 목표지역까지의 거리를 미리 확인하고, DR 충전의 참가 여부를 판단한다(S17). The DR contractor (user) receives the received DR billing table (time, region, amount) along with the current charge remaining amount and driving distance of the battery 630 built into the electric vehicle (EV) 600,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Check the distance to the target area where you want to drive in advance and determine whether to participate in DR charging (S17).

상기 판단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계약자(사용자)가 신뢰성 DR 또는 플러스(+) DR 발령에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DR 충전이 완료될 때 DR 입증 데이터는 시스템 서버(200)로 전송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judgment, as shown in FIGS. 6 and 7, if the DR contractor (use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issuing reliability DR or plus (+) DR,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the DR verification data is sent to the system server (200) ) is transmitted.

또한, DR 계약자(사용자)가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고 일반 충전을 선택한 경우, 페널티 충전에 대한 데이터도 시스템 서버(200)로 전송된다. Additionally, if the DR contractor (user)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and selects general charging, data on penalty charging is also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200.

시스템 서버(200)는 DR 계약자(사용자)가 신뢰성 DR 또는 플러스(+) DR 발령에 따라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고 일반 충전을 선택한 경우, 전기차(EV)(600)를 소유한 DR 계약자(사용자)가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는 경우를 종합하여 DR 입증 데이터를 한국전력거래소(100)에 전달한다(S18).The system server 200 owns the electric vehicle (EV) 600 when the DR contractor (use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reliability DR or plus (+) DR or when normal charging is selected without participating in DR charging. In cases where a DR contractor (user)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DR verification data is delivered to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S18).

상기 DR 입증 데이터는 한국전력거래소(100)에 대한 DR사업자 ID(VTN-id), 이벤트(Event) ID, 수정번호, 이벤트 시작시간, 이벤트 지속시간 및 감축량(EV 미 충전 기록 포함)을 포함하며, 상기 DR 입증 데이터는 한국전력거래소(100)의 수요반응자원 전력거래시스템에서 규정하고 있는 OpenADR 프로토콜에 연동하여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The DR verification data includes DR business ID (VTN-id), event ID, modification number, event start time, event duration, and reduction amount (including EV uncharged record) for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In addition, the DR verification data is transmit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ADR protocol specified in the demand response resource power trading system of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상기한 단계(S17)에서 DR 계약자(사용자)는 DR 충전에 참가할 수 있다. In the above step (S17), the DR contractor (user) can participate in DR charging.

이하에서는 신뢰성 DR이 발행되어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를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reliability DR is issued and participation in DR charging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계약을 맺지 않은 일반사용자가 DR 충전기(701)가 위치한 DR 충전소(700)를 방문하여 전기차의 배터리(630) 충전을 요구할 때, DR 충전기 사업자는 신뢰성 DR 발령 사실과 이에 따른 DR 보상을 설명하고 DR 충전을 유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a general user who has not signed a DR contract visits the DR charging station 700 where the DR charger 701 is located and requests to charge the battery 630 of an electric vehicle, the DR charger operator confirms the fact that the reliability DR is issued. and the corresponding DR compensation can be explained and DR charging can be induced.

이 경우, 상기 DR 충전은 제한 충전, 순연 충전 및 충전 중지 중 하나이고, DR 충전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충전도 선택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R charging is one of limited charging, continuous charging, and charging suspension, and general charging that does not correspond to DR charging can also be selected.

그 후, 일반 사용자는 일반 충전, 제한 충전, 순연 충전 및 충전 중지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S22).Afterwards, the general user can select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normal charging, limited charging, natural charging, and charging suspension (S22).

먼저, 상기 제한 충전(S24)은 DR 통제장치(740)의 제한충전모듈(746)을 구동시켜서 배터리(630)의 충전 전압을 낮추거나 급속 충전 대신 완속 충전 또는 완속 충전 대신 저속 충전으로 충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First, the limit charge (S24) operates the limit charge module 746 of the DR control device 740 to lower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630 or to increase the charging speed to slow charging instead of fast charging or slow charging instead of slow charging. It can be lowered.

일반적으로 급속 충전시에는 완속 충전시보다 충전 전압과 전류가 모두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배터리(630)의 충전 전압을 낮추는 경우에도 충전 전류가 일정할 때 충전되는 전력은 감소하게 된다. Generally, during fast charging, both the charging voltage and current are set higher than during slow charging. Therefore, even whe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630 is lowered, the charging power is reduced when the charging current is constant.

또한, 상기 제한 충전(S24)을 선택한 경우, 배터리(630)의 최대 충전 잔량의 기준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배터리(630)의 최대 충전량을 예를 들어, 90%에서 60%로 최대 충전의 기준을 낮출 수 있다. 단,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량이 방전 경고치에 도달하는 경우는 충전전압 통제시에 저속(완속) 충전을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imited charging (S24) is selected,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remaining charge of the battery 630 can be limited. That is, the maximum charge standard of the battery 630 can be lowered from, for example, 90% to 60%. However, if the current charge of the battery 630 reaches the discharge warning value, low-speed (slow) charging can be selected when controlling the charging voltage.

상기 사용자가 순연 충전(S25)을 선택하는 경우, DR 통제장치(740)의 순연충전모듈(744)을 구동시켜서 밧데리의 잔류 충전량이 일정 용량 이상일 때,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피크 타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것이다. 이 경우, 순연충전모듈(744)의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예약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natural charging (S25), the natural charging module 744 of the DR control device 740 is driven to determine the charging time as the DR issuing end time (peak time) when the remaining charge of the battery is above a certain capacity. It will be postponed until later to recharge. In this case, reserved charg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reservation function of the continuous charging module 744.

사용자가 신뢰성 DR 발령 중에 충전중지(S26)를 선택하는 경우, DR 통제장치(740)의 전원차단모듈(742)을 구동시켜서 DR 발령 직전까지 충전 중이던 전기차(EV)에 대한 충전중지, 사전 설정된 충전 용량 이상으로 배터리(630)가 충전된 전기차(EV)에 대한 충전중지 및 DR 충전소(700)의 전력사용 총량이 전에 협약된 전력량을 초과한 경우 DR 충전관제소(760)의 통제에 따라 DR 충전기(701)의 충전중지 중 하나에 따라 충전을 차단한다. If the user selects to stop charging (S26) during a reliability DR issuance, the power cutoff module 742 of the DR control device 740 is activated to stop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EV) that was charging right before the DR issuance, and preset charging. When charging is stopped for an electric vehicle (EV) whose battery 630 has been charged beyond its capacity and the total amount of power used a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exceeds the previously agreed upon amount of power, the DR charger ( Charging is blocked according to one of the charging stops in 701).

상기 DR 발령이 이루어진 경우 DR 충전기(701)는 DR 충전관제소(760)의 통제에 따라 전기차(EV)(600)에 대한 충전을 차단시킬 수 있다.When the DR is issued, the DR charger 701 may block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EV) 600 under the control of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또한, 신뢰성 DR이 발령될지라도 전기차 사용자가 상기 제한 충전(S24), 순연 충전(S25) 및 충전 중지(S26)을 포함하는 DR 충전 대신에 일반 충전(S23)을 선택하여 DR 충전기(701)를 사용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는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electric vehicle user selects normal charging (S23) instead of DR charging including limited charging (S24), natural charging (S25), and charging stop (S26) and uses the DR charger 701. The battery 630 can be charged using DR, and in this case,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DR charger operator.

상기 DR 충전기(701)를 운영하는 DR 충전소(700)의 DR 충전기 사업자에게 적용되는 DR 보상액은 DR 기본료 및 실행요금 모델에 따라 결정되며, DR 발령 기본료에 DR 발령시간 기간동안 이루어진 DR 실행요금이 부가되는 방식이다. The DR compensation amount applied to the DR charger operator of the DR charging station 700 that operates the DR charger 701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R base fee and execution fee model, and the DR execution fee made during the DR issuance time period is added to the DR issuance base fee. This is the way it works.

상기와 같이, DR 충전소(700)에서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DR 충전기(701)의 DR 모듈(720)이나 DR 충전관제소(760)는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계약자(즉, DR 충전기 사업자) ID, 충전기 ID, 충전소 위치 및 충전이력 데이터를 DR 입증 데이터로 전송한다(S27).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단계(S18)와 같이 상기 한국전력거래소(100)에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a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the DR module 720 of the DR charger 701 or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connects the system server 200 to the contractor (i.e., DR charger operator). ID, charger ID, charging station location, and charging history data are transmitted as DR verification data (S27). Accordingly, the system server 200 transmits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as in step S18.

한편, DR 모듈(620)이 설치된 전기차(EV)(600)를 소유한 DR 계약자(사용자)가 DR 발령(예고), DR 과금테이블(시간, 지역, 금액)과 DR 내비게이션(750)을 DR 계약자 단말기(500)를 통하여 수신한 후, 신뢰성 DR 충전에 참가를 결정할 수 있다(S21). Meanwhile, a DR contractor (user) who owns an electric vehicle (EV) 600 with the DR module 620 installed can issue DR (notice), send DR billing table (time, region, amount) and DR navigation (750) to the DR contractor. After receiving it through the terminal 500, participation in reliable DR charging can be decided (S21).

이 경우, DR 계약자(사용자)는 신뢰성 DR 충전 참가를 결정한 경우, DR 계약자 단말기(500)는 전달받은 DR 과금테이블(시간, 지역, 금액)과 함께 전기차(EV)(600)에 내장된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 잔량과 주행 가능거리, DR 발령 종료시간 및 자신이 주행하고자 하는 목표지역까지의 거리 등을 미리 확인하고, DR 내비게이션(750)을 구동하여 원하는 DR 충전소(700)를 찾아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DR contractor (user) decides to participate in reliable DR charging, the DR contractor terminal 500 sends the battery ( 630), you can check in advance the current remaining charge, the possible driving distance, the DR issuance end time, and the distance to the target area you want to drive, and run the DR navigation (750) to find the desired DR charging station (700). there is.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이 발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DR 계약자에게 DR 내비게이션(750)을 제공하여 저렴한 할인 요금을 적용하는 충전소를 안내함에 의해 무부하 상태의 충전기가 있는 지역으로 충전 수요를 분산 유도할 수 있다.Even when a DR order is not issued, the system server 200 provides DR navigation 750 to DR contractors and guides them to charging stations applying low discount rates, thereby distributing charging demand to areas with chargers in an unloaded state. can do.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DR 발령시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뢰성 DR 발령 내용과 DR 보상에 대한 내용을 공지한다(S28).When issuing a DR, the system server 200 announces the details of the reliability DR issuance and DR compensation as shown in FIG. 10 (S28).

그 후, DR 계약자는 DR 충전소(700)를 방문하여 일반 충전, 제한 충전, 순연 충전 및 충전 중지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S29).Afterwards, the DR contractor can visi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and select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normal charging, limited charging, delayed charging, and charging stop (S29).

먼저, 상기 제한 충전(S32)은 DR 통제장치(650)의 제한충전모듈(656)을 구동시켜서 배터리(630)의 충전 전압을 낮추거나 급속 충전 대신 완속 충전 또는 완속 충전 대신 저속 충전으로 충전 속도를 낮출 수 있다. First, the limit charge (S32) operates the limit charge module 656 of the DR control device 650 to lower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630 or to increase the charging speed to slow charge instead of fast charge or slow charge instead of slow charge. It can be lowered.

일반적으로 급속 충전시에는 완속 충전시보다 충전 전압과 전류가 모두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배터리(630)의 충전 전압을 낮추는 경우에도 충전 전류가 일정할 때 충전되는 전력은 감소하게 된다. Generally, during fast charging, both the charging voltage and current are set higher than during slow charging. Therefore, even whe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630 is lowered, the charging power is reduced when the charging current is constant.

또한, 상기 제한 충전(S32)을 선택한 경우, 배터리(630)의 최대 충전 잔량의 기준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배터리(630)의 최대 충전량을 예를 들어, 90%에서 60%로 최대 충전의 기준을 낮출 수 있다. 단,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량이 방전 경고치에 도달하는 경우는 충전전압 통제시에 저속(완속) 충전을 선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limited charging (S32) is selected,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remaining charge of the battery 630 can be limited. That is, the maximum charge standard of the battery 630 can be lowered from, for example, 90% to 60%. However, if the current charge of the battery 630 reaches the discharge warning value, low-speed (slow) charging can be selected when controlling the charging voltage.

상기 순연 충전(S33)을 선택하는 경우, DR 통제장치(650)의 순연충전모듈(654)을 구동시켜서 밧데리의 잔류 충전량이 일정 용량 이상일 때,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피크 타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것이다. 이 경우, 순연충전모듈(654)의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예약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When selecting the natural charging (S33), the natural charging module 654 of the DR control device 650 is driven and when the remaining charge of the battery is above a certain capacity, the charging time is set to after the DR issuing end time (peak time). It is recharged by acting. In this case, reserved charging can be performed using the reservation function of the continuous charging module 654.

상기 충전중지(S31)를 선택하는 경우, DR 통제장치(650)의 전원차단모듈(652)을 구동시켜서 사전 설정된 충전 용량 이상으로 배터리(630)가 충전된 전기차(EV)에 대한 충전중지에 따라 충전을 차단한다.When the charging stop (S31) is selected, the power cutoff module 652 of the DR control device 650 is driven to stop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EV) whose battery 630 is charged beyond the preset charging capacity. Block charging.

또한, 신뢰성 DR이 발령될지라도 DR 계약자가 상기 제한 충전(S32), 순연 충전(S33) 및 충전 중지(S31)을 포함하는 DR 충전 대신에 일반 충전(S30)을 선택하여 배터리(630)를 충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DR 계약자에게는 페널티가 부과될 수 있다.Additionally, even if a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DR contractor chooses normal charging (S30) to charge the battery 630 instead of DR charging, which includes the above limited charging (S32), natural charging (S33), and charging stop (S31). This can be done, and in this case, a penalty may be imposed on the DR contractor.

상기와 같이 DR 계약자가 신뢰성 DR 충전에 참가하여 DR 충전을 완료할 때, DR 모듈(620)은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계약자 ID, EV ID(즉, 전기차 ID), 충전위치 및 충전이력 데이터를 DR 입증 데이터로 전송한다(S34).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단계(S18)와 같이 상기 한국전력거래소(100)에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reliable DR charging and completes DR charging, the DR module 620 sends the contractor ID, EV ID (i.e., electric vehicle ID), charging location, and charging history data to the system server 200. is transmitted as DR verification data (S34). Accordingly, the system server 200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as in step S18.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중 플러스 DR 발령에 따른 실행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execu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Plus DR among the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DR 발령의 종류가 재생에너지의 초과 발전에 의해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잉여 재생에너지의 소비를 독려하는 플러스(+) DR일 수 있다. The type of DR issuance may be a plus (+) DR that encourages consumption of surplus renewable energy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due to excessive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상기 한국전력거래소(100)로부터의 플러스(+) DR 발령(예보)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200)에 전달되어(S13), 상기 시스템 서버(200)가 DR 계약자의 계약자 단말기(500), 전기차(EV)(600), DR 충전기(701) 및 DR 충전관제소(760)에 DR 발령(예보)를 전달한다(S15). The plus (+) DR issuance (forecast)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is delivered to the DR operator's system server 200 (S13), and the system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DR contractor's contractor terminal 500, A DR issuance (forecast) is delivered to the electric vehicle (EV) 600, DR charger 701, and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S15).

상기와 같이 플러스(+) DR이 발령되어 DR 모듈(620)이 설치된 전기차(EV)(600)를 소유한 DR 계약자(사용자)에게 전달될 때, DR 계약자(사용자)가 플러스(+) DR 충전에 참가를 결정하여(S35), 배터리(630)의 현재 충전량을 고려하여 추가로 최대 충전용량까지 배터리(630)를 충전할 수 있다(S38). When the plus (+) DR is issued as above and delivered to the DR contractor (user) who owns the electric vehicle (EV) 600 on which the DR module 620 is installed, the DR contractor (user) charges the plus (+) DR. By deciding to participate (S35), the battery 630 can be additionally charged up to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by considering the current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630 (S38).

더욱이, 상기와 같이 DR 계약자(사용자)가 플러스(+) DR 충전에 참가하여 DR 충전을 완료할 때, DR 모듈(620)은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계약자 ID, EVID(즉, 전기차 ID), 충전 위치 및 충전이력 데이터를 DR 입증 데이터로서 전송한다(S39).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단계(S18)와 같이 상기 한국전력거래소(100)에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Moreover, as described above, when a DR contractor (user) participates in plus (+) DR charging and completes DR charging, the DR module 620 sends the contractor ID and EVID (i.e., electric vehicle ID) to the system server 200. , the charging location and charging history data are transmitted as DR verification data (S39). Accordingly, the system server 200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as in step S18.

또한, 신뢰성 DR이 발령된 경우 DR 충전소(700)는 전기차(EV)(600)에 대한 충전 금지나 충전 제한과 같은 충전량 감소를 유도하는 것이나, 플러스(+) DR이 발령되는 경우는 이와 반대로 충전을 독려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 reliability DR is issued, the DR charging station 700 induces a reduction in charging amount, such as a charging ban or charging limit for the electric vehicle (EV) 600, but when a positive DR is issued, on the contrary, charging is to encourage.

이에 따라 DR 충전소(700)는 충전소를 찾아온 전기차(EV)(600) 사용자에게 플러스(+) DR 발령 사실과 이에 따른 DR 보상을 설명하고 밧데리(630)의 현재 충전량을 고려하여 추가로 충전 가능한 밧데리 충전을 DR 충전과 사용자가 원하는 일반 충전 중 하나를 권유하여 사용자가 DR 충전을 선택한 경우 플러스(+) DR 충전을 실시한다(S36). Accordingly, the DR charging station 700 explains the fact that a plus (+) DR is issued and the corresponding DR compensation to the electric vehicle (EV) 600 users who visit the charging station, and provides additional chargeable batterie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630. Charging is recommended between DR charging and normal charging desired by the user, and if the user selects DR charging, plus (+) DR charging is performed (S36).

상기와 같이, 플러스(+)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DR 충전기(701)나 DR 충전관제소(760)는 상기 시스템 서버(200)로 계약자(DR 충전기 사업자) ID, 충전소 ID, 충전소 위치 및 충전이력 데이터를 DR 입증 데이터로 전송한다(S37).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상기 단계(S18)와 같이 상기 한국전력거래소(100)에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positive DR charging is completed, the DR charger 701 or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760 sends the contractor (DR charger operator) ID, charging station ID, charging station location, and charging to the system server 200. The history data is transmitted as DR verification data (S37). Accordingly, the system server 200 transmits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as in step S18.

한국전력거래소(100)는 시스템 서버(200)를 통하여 신뢰성 DR 및 플러스(+) DR 충전에 따른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한 후(S19),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R 정산을 실시한다.After receiving DR verification data according to reliability DR and plus (+) DR charging through the system server 200 (S19), Korea Power Exchange 100 performs DR settlement as shown in FIG. 8.

도 8을 참고하면, 한국전력거래소(100)는 DR 사업자로부터 전달 받은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하여 DR 보상 금액을 산출한 후(S41), 상기 DR 보상 금액을 DR 사업자에게 전달한다(S42).Referring to FIG. 8, the Korea Power Exchange 100 calculates the DR compensation amount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DR business operator (S41) and then delivers the DR compensation amount to the DR business operator (S42).

DR 사업자는 DR 계약자별 수익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DR 보상 금액의 분배를 실시한다(S43). 즉, DR 계약자(사용자)가 참여한 신뢰성 DR, 플러스 DR의 충전 이력에 대한 수치와 계약 비율에 따라 결정되는 수익 정산 및 분배를 실시한다.The DR operato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profit algorithm for each DR contractor (S43). In other words, profit settlement and distribu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contract ratio and figures on the charging history of reliability DR and plus DR in which the DR contractor (user) participated.

이 경우, 밧데리(630) 충전시에 적용되는 전기요금은 충전 종류와 시간대별로 차등적으로 부가하여 차등 정산된다.In this case, the electricity fee applied when charging the battery 630 is differentially charged and settled according to the charging type and time period.

DR 사업자는 DR 계약자(사용자)별로 결정된 DR 수익 분배 및 전기요금 차등과금을 고지한다(S44). 즉, DR 사업자는 DR 계약자(사용자)별로 계약 비율에 의한 DR 수익 분배를 고지하고, 또한 DR 발령 중 발생한 충전 실적 및 패널티에 대하여도 고지한다. The DR business operator notifies the DR profit distribution and differential electricity billing determined for each DR contractor (user) (S44). In other words, the DR business operator notifies each DR contractor (user) of DR profit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ontract ratio, and also notifies the charging performance and penalties that occurred during DR issuance.

본 발명에서 DR 발령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iteria for provid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DR are as follows.

첫번째, 사용자가 DR 계약을 진행하고 DR 계약자 자신의 전기차(EV)(600)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한 경우, DR 계약자는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된다. First, if the user proceeds with a DR contract and installs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 the DR contractor's electric vehicle (EV) (600),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and pays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You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fee, and you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ic fee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DR is issued.

두번째, 사용자가 DR 계약을 진행하였으나 DR 계약자 자신의 전기차(EV)(600)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DR 발령시에 DR 충전소(700)를 방문하여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DR 충전소(700)와 함께 실행요금을 분배 받을 수 있으나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 보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Second, if the user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but has not installed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 the DR contractor's electric vehicle (EV) (600), visi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when DR is issued. Therefore, if you participate in DR charging, you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execution fee and can receive the execution fee together with the DR charging station 700, but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you are not eligible for compensation.

세번째, DR 미계약자인 사용자가 DR 발령시에 DR 충전소(700)를 방문하여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DR 충전소에서 제공하는 할인요금 서비스 보상 대상에 해당된다. Third, if a user who does not have a DR contract visits the DR charging station (700) and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he or she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for the discounted rate service provided by the DR charging station.

네번째, 공용 DR 충전장치(623)가 설치된 공동주택에 거주하면서 DR 계약을 진행한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된다. 이 경우,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DR 계약자는 자신의 전기차(EV)(600)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하는 것이 보상과 무관하다.Fourth, DR contractors who have entered into a DR contract while residing in an apartment where a public DR charging device (623) is installed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performance fee if they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you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rate. In this case, the DR contractor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has nothing to do with compensation if he or she installs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 his or her electric vehicle (EV) 600.

다섯번째, DR 계약을 진행하고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를 소유한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된다. 이 경우, 휴대용 DR 충전장치(621)를 소유한 DR 계약자는 자신의 전기차(EV)(600)에 DR 모듈(620) 및 DR 통제장치(650)를 설치하는 것이 보상과 무관하다.Fifth,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and owns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if he or she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DR is issued, and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when DR is issued.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you are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In this case, the DR contractor who owns th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1 installing the DR module 620 and DR control device 650 in his electric vehicle (EV) 600 is not eligible for compensation.

본 발명에서는 DR 발령시에 전기차(EV)(600)를 운행 중 상태가 아니면 실행요금에 의한 DR 보상은 해당되지 않으며, DR 충전소(700)에서 일정 충전율 이하로 충전을 진행하여 DR 충전의 승인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그때부터 DR 충전이 인정되고, 상기 DR 충전으로 인하여 충전 받지 못한 부분에 대한 DR 보상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electric vehicle (EV) 600 is not in operation when DR is issued,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running fee is not applicable, and DR charging is approved by charging below a certain charging rate at the DR charging station 700. DR charging is recognized from then on only if it is done, and DR compensation is made for the portion that was not charged due to the DR charging.

본 발명에서 DR 발령에 따른 보상을 제공하는 기준에서 DR 계약자가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것이나, DR 충전에 참가하는 운전자(사용자)는 반드시 DR 계약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 가족이나 제3자가 운전하는 경우에도 DR 계약자에게 DR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tandard for providing compensation according to the issuance of DR, if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charging, he/she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execution fee, and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even if he or she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Although eligible, drivers (users) participating in DR charging are not necessarily directly driven by the DR contractor, and DR compensation may be provided to the DR contractor even if a family member or third party drives the vehicle.

본 발명은 전력피크 상황 발생시에 발령되는 신뢰성 DR 발령에 따라 내부에 수요반응(DR) 모듈이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또는 수요반응(DR) 모듈이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DR 충전기)를 활용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충전할 때, DR 실행에 참여한 데이터를 생성 관리하여 참여고객(DR 가입자)에게 보상을 실시함에 의해 전력망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with a demand response (DR) module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 reliability DR issued when a power peak situation occurs, or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DR charger) with a demand response (DR) module installed. When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 the data that participated in the DR execution is generated and managed to compensate participating customers (DR subscribers), thereby stabilizing the power grid. It can be used in a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100: 한국전력거래소 110: DR 발령 테이블
112: DR 시간 데이터 테이블 114: DR 규모 데이터 테이블
120: DR 보고 데이터 테이블 200: 시스템 서버
210,510: 통신장치 220,520: 프로세서
222: 프로그램 300: 데이터 베이스
310: DR 데이터 테이블 320: 데이터 테이블
321: 충전소 관리 테이블 322: 충전기 관리 테이블
323: 충전 이력 관리 테이블 324: 전기차 관리 테이블
325: DR 모듈 관리 테이블 326: 계약자 관리 테이블
327: DR 발령 데이터 관리 테이블 400: 관리자 단말기
328: DR 입증 데이터 관리 테이블 230: 문자메시지
500: DR 계약자 단말기 522: APP
530: 사용자 인터페이스 532: DR 내비게이션 메뉴
534: DR 데이터 메뉴 540,730: 디스플레이
600,601: 전기차(EV) 610,710: 통신모듈
620,720: DR 모듈 621: 휴대용 DR 충전장치
623: 공용 DR 충전장치 630: 배터리(BAT)
640: BMS 650,740: DR 통제장치
652,742: 전원차단모듈 654,744: 순연충전모듈
656,746: 제한충전모듈 700: DR 충전소
701: DR 충전기 702,725: 충전기
750: DR 내비게이션 751: 팝업창
752: 주소 753: DR 과금테이블
1000: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100: Korea Power Exchange 110: DR issuance table
112: DR time data table 114: DR scale data table
120: DR reporting data table 200: System server
210,510: Communication device 220,520: Processor
222: Program 300: Database
310: DR data table 320: data table
321: Charging station management table 322: Charger management table
323: Charging history management table 324: Electric vehicle management table
325: DR module management table 326: Contractor management table
327: DR order data management table 400: Administrator terminal
328: DR verification data management table 230: Text message
500: DR contractor terminal 522: APP
530: User Interface 532: DR Navigation Menu
534: DR data menu 540,730: Display
600,601: Electric vehicle (EV) 610,710: Communication module
620,720: DR module 621: Portable DR charging device
623: Public DR charging device 630: Battery (BAT)
640: BMS 650,740: DR control device
652,742: Power cutoff module 654,744: Pure lead charging module
656,746: Limited charging module 700: DR charging station
701: DR Charger 702,725: Charger
750: DR navigation 751: Pop-up window
752: Address 753: DR charging table
1000: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Claims (33)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발령되는 수요반응(DR) 발령을 수신할 때,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전송하고 DR 계약자가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한 경우 DR 계약자에게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지급하는 DR 보상금을 배분하는 시스템 서버;
충전기를 사용하여 DR 충전되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상기 DR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DR 계약자가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할 때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복수의 전기차(EV); 및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기 위한 DR 계약자 소유의 복수의 DR 계약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DR 계약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페널티 요금이 부과되는 일반 충전과 상기 DR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DR 보상금은 상기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한 DR 계약자인 경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기본요금과 상기 DR 충전에 참가한 실적에 비례하여 보상금이 결정되는 실행요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When receiving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su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DR order is transmitted to the DR contractor's terminal, and if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the above KEPCO is sent to the DR contractor. A system server that distributes DR compensation paid from the exchange;
A DR module equipped with a battery that is DR charged using a charger, receives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for the battery is completed, and is controlled by the DR module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EVs) installed with a DR control device to control DR charging when the DR contractor selects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charging stop, continuous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DR contractor terminals owned by the DR contractor for receiving DR orders from the system server,
The DR contractor signs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the system server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his or her electric vehicle (EV),
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the DR contractor selects between general charging with a penalty fee and the DR charging,
The DR compensation amoun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basic fee eligible for compens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in the DR recharge even if the DR contractor does not participate in DR recharge when DR is issued in the case of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charg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 통제장치는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시키는 순연충전모듈;
상기 전기차(EV) 배터리의 최대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충전모듈; 및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모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 control device is
A continuous charging module that postpones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DR issuance end time;
A limiting charging module for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and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a power cutoff module for stopp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은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DR 입증 데이터는 계약자 ID, 전기차 ID, 충전위치 및 충전이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DR charging for the battery is completed, the DR module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The DR verification data is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ncludes contractor ID, electric vehicle ID, charging location, and charging history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의 각종 안내와 DR 발령에 따른 안내 서비스 문자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되며,
상기 앱(APP)의 구동에 따라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DR 내비게이션 메뉴를 포함하며,
상기 DR 내비게이션 메뉴를 선택할 때,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소의 주소와 DR 과금 테이블을 제공하는 팝업창을 지도상에 제공하는 DR 내비게이션이 디스플레이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R contractor terminal downloads and installs the app (APP) necessary t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system server and information service text messages according to the DR issuance,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when the app is running includes a DR navigation menu,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displays a DR navigation that provides a pop-up window on the map that provides the address of a DR charging station capable of DR charging and a DR charging table when the DR navigation menu is sel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DR 데이터 메뉴를 더 포함하며,
상기 DR 충전을 실시할 때, 상기 DR 데이터 메뉴를 선택하면 DR 충전에 따른 DR 입증 데이터가 표시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user interface further includes a DR data menu,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EV) in which DR verification data according to DR charging is displayed when the DR data menu is selected when performing the DR charg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R 내비게이션은 DR 충전이 가능한 DR 충전기가 설치된 DR 충전소가 표시된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지도에 표시된 복수의 DR 충전소 중 하나를 지정하면, 현재상태에서 선택된 DR 충전소의 주소와 DR 과금 테이블을 제공하는 팝업창이 제공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DR navigation provides map information showing DR charging stations equipped with DR chargers capable of DR charging,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 that provides a pop-up window that provides the address of the selected DR charging station and the DR charging table in the current state when the user specifies one of multiple DR charging stations displayed on the ma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한 경우 전기차(EV)의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 및 일반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DR 충전기를 구비하는 DR 충전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DR 사업자는 상기 DR 충전소를 운영하는 DR 충전기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DR 충전기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DR 모듈은 DR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DR charging station having a DR charger capable of selecting one of DR charging and general charging for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when a DR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system server,
The DR business operator signs a DR contract with the DR charger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the DR charging station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on the DR charger. The DR module send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is performed.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R 충전소에 대한 충전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DR 충전관제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DR 충전관제소는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의 충전 차단을 원격 제어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It further includes a DR charging control station that provides charging control services for the DR charging station,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remotely controls charging blocking of the DR charger on which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when receiving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R 충전기는
상기 전기차(EV)의 배터리(BAT)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상기 시스템 서버와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신모듈;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통신장치를 통하여 DR 발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전기차(EV)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DR 충전을 실시하고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상기 DR 모듈의 제어에 따라 DR 충전기의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를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DR charger is
A charger for charging the battery (BAT) of the electric vehicle (EV);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 DR module that performs DR charging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EV) user when receiving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device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is completed; and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EV), including a DR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DR charging of the DR charg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DR modu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R 통제장치는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을 중지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모듈;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시키는 순연충전모듈; 및
상기 전기차(EV) 배터리의 최대 충전용량이나 충전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충전모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DR control device is
A power cutoff module for stopp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A continuous charging module that postpones the charging time until after the DR issuance end time; and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EV), including a limiting charging module for limiting the maximum charging capacity or charging voltage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에 따라 충전에 제한이 이루어지는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고전압의 급속 충전 대신에 저전압의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의 기준을 낮추는 최대 충전량 제한 충전 및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DR charging, in which charging is limited according to the DR issuance from the system server, is a natural charge in which the charging time is postponed until after the DR issuance end time,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is low-voltage slow charging instead of high-voltage rapid charging.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either limits the maximum charge amount or lowers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nd stops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DR 충전기를 이용하여 일반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 페널티가 부과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a penalty is imposed on the DR charger operator when a DR is issued from the system server and general charging is performed using the DR charger.
제9항에 있어서,
DR 미계약자인 사용자가 DR 발령시에 DR 충전소를 방문하여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DR 충전소에서 제공하는 할인요금 서비스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for the discount rate service provided by the DR charging station when a user who is not a DR contract visits the DR charging station and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DR is issued.
제1항에 있어서,
공동주택에 설치되며 상기 시스템 서버와 무선 통신에 의해 DR 발령을 수신하고 전기차의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이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차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installed in an apartment complex and further includes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with a DR module that receives a DR ord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of the electric vehicle is completed. And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s)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user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a DR operator who operates the system serv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DR 충전장치가 설치된 공동주택에 거주하면서 DR 계약을 진행한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6,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hile residing in an apartment where the above-mentioned public DR charging device is installed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implementation fee if he or she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and is not eligible for DR charging when the above-mentioned DR is issued.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rate even if you do not participate.
제1항에 있어서,
충전기에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시스템 서버와 무선 통신에 의해 DR 발령을 수신하고 전기차(EV)의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기차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rtable DR tha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charger and has a DR module that receives a DR comman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server and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for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is completed. It further includes a charging device,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s) in which the electric vehicle user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a DR operator who operates the system server.
제18항에 있어서,
DR 계약을 진행하고 상기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소유한 DR 계약자는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면 기본요금과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고, 상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기본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8,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and owns the above portable DR charging device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fee and implementation fee if he or she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even if he or she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above DR is issued.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eligible for compensation based on the base rate.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DR 계약을 진행하였으나 DR 계약자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DR 발령시에 상기 DR 충전소를 방문하여 DR 충전에 참가한 경우 실행요금에 의한 보상 대상에 해당되나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 보상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If the user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but has not installed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the DR contractor's electric vehicle (EV), and if the user visits the DR charging station and participates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compensation is provided based on the execution fee.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that is eligible for compensation but is not eligible for compensation if you do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 발령이 플러스(+) DR인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배터리의 현재 충전량을 고려하여 추가로 배터리 충전을 실시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DR issuance is a plus (+) DR, the DR contractor performs additional battery charging by considering the current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 demand response-based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EV).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 발령은 전력수요가 전력공급을 초과하는 전력피크 상황시에 전력 사용을 억제시키기 위해 발생되는 신뢰성 DR 및 전력공급이 전력수요를 초과할 때 전력 사용을 장려하도록 발생되는 플러스(+) DR 중 어느 하나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above DR issuance is one of the reliability DR generated to suppress power use during peak power situations when power demand exceeds power supply, and the positive DR generated to encourage power use when power supply exceeds power demand.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wer management system.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계약자가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고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상기 DR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DR 계약자가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할 때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R 계약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DR 계약자는 페널티 요금이 부과되는 일반 충전과 상기 DR 충전 중 하나를 선택하며,
상기 DR 보상금은 상기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한 DR 계약자인 경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기본요금과 상기 DR 충전에 참가한 실적에 비례하여 보상금이 결정되는 실행요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When the occurrence of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and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 transmitt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system server of the DR business operator, the system server transmits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When receiving a DR command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a DR module that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the DR contractor receives the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and completes DR charging of the battery, and the DR module It is controlled by and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installed with a DR control device to control DR charging when the DR contractor selects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charging stop, natural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step;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signs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the system server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his or her electric vehicle (EV),
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the DR contractor selects between general charging with a penalty fee and the DR charging,
The DR compensation amoun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basic fee eligible for compens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in the DR recharge even if the DR contractor does not participate in DR recharge when DR is issued in the case of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s) based on demand response including charges.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계약자가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하고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DR 모듈 및 상기 DR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DR 계약자가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할 때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R 계약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자신의 전기차(EV)에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DR 보상금은 상기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한 DR 계약자인 경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기본요금과 상기 DR 충전에 참가한 실적에 비례하여 보상금이 결정되는 실행요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When the occurrence of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and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 transmitt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system server of the DR business operator, the system server transmits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When receiving a DR command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a DR module that transmits DR verification data to the system server when the DR contractor receives the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and completes DR charging of the battery, and the DR module It is controlled by and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is charged using a portable DR charging device equipped with a DR control device to control DR charging when the DR contractor selects one of the charging options among charging stop, natural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Participating in DR execution by charging DR;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signs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the system server and installs a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in his or her electric vehicle (EV),
The DR compensation amoun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basic fee eligible for compens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in the DR recharge even if the DR contractor does not participate in DR recharge when DR is issued in the case of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s) based on demand response including charges.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과 함께 DR 내비게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23 or 24,
The system server transmits DR navigation along with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A method of managing charging power for a demand response-based electric vehicle (EV) further comprising: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고전압의 급속 충전 대신에 저전압의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의 기준을 낮추는 최대 충전량 제한 충전 및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23,
The DR charging is a continuous charging in which the charging time is postponed until after the end time of the DR issuance, a low-voltage slow charging is performed instead of a high-voltage rapid charging o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battery, or a maximum charging amount that lowers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charging amount of the battery. A method for managing the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demand response, which includes either limited charging or stopp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삭제delete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R 사업자는 전기차(EV) 신차에 대한 판매 계약과 동시에 DR 계약을 진행하고 판매하는 전기차(EV) 신차에 DR 모듈을 설치하여 판매하는 전기차 제조회사 또는 복수의 전기차를 운영하는 사업자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23,
The DR business operator is a demand response-based business that is an electric vehicle manufacturer that conducts a DR contract at the same time as a sales contract for a new electric vehicle (EV) vehicle and installs and sells a DR module in the new electric vehicle (EV) vehicle it sells, or a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multiple electric vehicles. How to manage charging power for electric vehicles (EV).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DR 계약자의 DR 계약자 단말기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로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계약자가 상기 공동주택에 설치된 공용 DR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차(EV)의 배터리를 DR 충전하여 DR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에 대한 DR 충전을 완료한 경우 공용 DR 충전장치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계약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R 계약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공용 DR 충전장치에 DR 모듈 및 상기 DR 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DR 계약자가 충전 중지, 순연 충전 및 제한 충전 중 하나의 충전 옵션을 선택할 때 DR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DR 통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DR 보상금은 상기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한 DR 계약자인 경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기본요금과 상기 DR 충전에 참가한 실적에 비례하여 보상금이 결정되는 실행요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When the occurrence of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and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 transmitt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DR operator's system server, the system server transmits the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of the DR contractor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step;
When receiving a DR order to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participates in DR execution by DR charging the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EV) using a public DR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a public DR charging devic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battery is completed;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ontrac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ontractor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a DR business operator that operates the system server and is controlled by the DR module and the DR module in the public DR charging device, and the DR contractor performs one of charging stops, continuous charging, and limited charging. When selecting an option, install a DR control device to control DR charging,
The DR compensation amoun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basic fee eligible for compens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in the DR recharge even if the DR contractor does not participate in DR recharge when DR is issued in the case of a DR contractor who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s) based on demand response including charges.
삭제delete 전력피크 상황 발생이 예측되어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수요반응(DR) 발령이 DR 사업자의 시스템 서버로 전달될 때, 상기 시스템 서버는 DR 충전기 사업자의 DR 모듈 및 DR 통제장치가 설치된 DR 충전기와 상기 DR 충전기에 대한 충전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DR 충전관제소로 상기 DR 발령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DR 충전관제소가 상기 시스템 서버로부터 DR 발령을 수신할 때, 상기 DR 충전기에 의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에 제한이 이루어지는 DR 충전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
상기 DR 충전기에 의해 상기 전기차(EV) 배터리의 DR 충전이 완료된 경우 상기 DR 모듈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로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수신할 때 한국전력거래소로 상기 DR 입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입증 데이터에 기초한 DR 보상금을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한국전력거래소로부터 상기 DR 보상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DR 보상금을 상기 DR 계약자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 배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운영하는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DR 충전 대신에 상기 DR 충전기를 이용하여 일반 충전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DR 충전기 사업자에게 페널티가 부과되며,
상기 DR 보상금은 상기 DR 사업자와 DR 계약을 체결한 DR 충전기 사업자인 경우 DR 발령시에 DR 충전에 참가하지 않을지라도 보상 대상에 해당되는 기본요금과 상기 DR 충전에 참가한 실적에 비례하여 보상금이 결정되는 실행요금을 포함하는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When the occurrence of a power peak situation is predicted and a demand response (DR) order is transmitted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the DR operator's system server, the system server connects the DR charger with the DR module and DR control device of the DR charger operator installed and the DR charger. Transmitting the DR order to a DR charging control center that provides charging control services for;
When the DR charging control center receives a DR command from the system server, remotely controlling DR charging, which limits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by the DR charger;
Transmitting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DR module to the system server when DR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EV) battery is completed by the DR charger;
When the system server receives the DR verification data, transmitting the DR verification data to the Korea Power Exchange;
Transmitting DR compensation based on the DR verification data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o a system server; and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R compensation from the Korea Power Exchange, the system server distributes the DR compensation to the DR charger operator through the DR contractor terminal.
The DR charger operator enters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operator that operates the system server,
If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if general charging is made using the DR charger instead of the DR charging, a penalty is imposed on the DR charger operator,
The DR compensation amount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base rate eligible for compensation and the performance of participating in the DR charging even if the DR charger business operator has entered into a DR contract with the DR business operator and does not participate in DR charging when the DR is issued. Charging power management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EVs) based on demand response including running charges.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DR 발령이 신뢰성 DR인 경우, 상기 DR 충전은 충전 시점을 DR 발령 종료시간 이후로 연기하여 충전하는 순연 충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고전압의 급속 충전 대신에 저전압의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배터리의 최대 충전량의 기준을 낮추는 최대 충전량 제한 충전 및 사전 설정된 용량 이상으로 충전된 전기차(EV) 배터리의 충전 중지 중 어느 하나인 수요반응 기반 전기차(EV)의 충전전력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31,
When the DR issuance is a reliable DR, the DR charging is performed by delaying the charging time to after the DR issuance end time and charging, low-voltage slow charging is performed instead of high-voltage rapid charging of the battery, or the battery is charged by slow charging. A method of managing the charging power of an electric vehicle (EV) based on demand response, which includes either limiting the maximum charge amount, which lowers the standard for the maximum charge amount, or stopping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EV) battery charged beyond a preset capacity.
삭제delete
KR1020230047727A 2023-04-11 2023-04-1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KR1026519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727A KR102651936B1 (en) 2023-04-11 2023-04-1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727A KR102651936B1 (en) 2023-04-11 2023-04-1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936B1 true KR102651936B1 (en) 2024-03-28

Family

ID=9048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727A KR102651936B1 (en) 2023-04-11 2023-04-11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936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223A (en) * 2010-01-29 2012-11-01 쿨롬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JP2015032286A (en) * 2013-08-07 2015-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Power management system
JP2015510199A (en) * 2012-02-13 2015-04-02 アクセンチュア グローバル サービスィズ リミテッド Electric vehicle decentralized intelligence
KR101602895B1 (en) 2015-07-15 2016-03-14 주식회사 우암코퍼레이션 Distributed ess based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for management of peak-power
KR20190041265A (en) 2017-10-12 2019-04-22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 guide to customer
KR102021604B1 (en) 2018-12-13 2019-11-04 (주)호디 Fast demand response resourc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step-by-step load control
KR102101509B1 (en) 2013-03-29 2020-04-1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applying response mobility load to demand response market for electric power and system for management electric charging of mobility load
KR20220077088A (en)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Demand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ic Vehicle Charger
KR20220142298A (en)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System for respond to demand response,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s to respond to demand respons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220152039A (en)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Charging Device with Minimized demand charging capacity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0223A (en) * 2010-01-29 2012-11-01 쿨롬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Host Definable Pricing
JP2015510199A (en) * 2012-02-13 2015-04-02 アクセンチュア グローバル サービスィズ リミテッド Electric vehicle decentralized intelligence
KR102101509B1 (en) 2013-03-29 2020-04-1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applying response mobility load to demand response market for electric power and system for management electric charging of mobility load
JP2015032286A (en) * 2013-08-07 2015-0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Power management system
KR101602895B1 (en) 2015-07-15 2016-03-14 주식회사 우암코퍼레이션 Distributed ess based demand response management system for management of peak-power
KR20190041265A (en) 2017-10-12 2019-04-22 전자부품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R guide to customer
KR102021604B1 (en) 2018-12-13 2019-11-04 (주)호디 Fast demand response resourc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step-by-step load control
KR20220077088A (en)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Demand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ic Vehicle Charger
KR20220142298A (en) *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System for respond to demand response, Control circuit for electric vehicles to respond to demand respons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220152039A (en)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Charging Device with Minimized demand charging capac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5968B2 (en) System and method of charging a vehicle using a dynamic power grid, and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power consumption in the vehicle
Brooks Vehicle-to-grid demonstration project: Grid regulation ancillary service with a battery electric vehicle
Kamboj et al. Deploying power grid-integrated electric vehicles as a multi-agent system
TWI419065B (en) Method and system of applying environmental incentives
Beer et al. An economic analysis of used electric vehicle batteries integrated into commercial building microgrids
US8019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distributed generation of power by a plurality of electric vehicles
Grahn et al. The customer perspective of the electric vehicles role on the electricity market
JP7461769B2 (en) Energy supply system and energy supply method
Khan et 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electric vehicles into the grid
KR1026519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Based on Demand Response
KR102047913B1 (en) Virtual power plant management method to provide reward by reflecting game elements, server and system using the same
US11685282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ggregation
Burger et al. The time is now: smart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Pavić et al. Profit margin of electric vehicle battery aggregator
Dayem et al.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trategies
Lo Schiavo et al. Regulatory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Electro-Mobility Services: Lessons Learned from the Italian Experience
EP4147904A1 (en) Electric vehicle,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facility
KR102527116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billing system using variable power control and profit-based billing method
US202300961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mart grid
US202302817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mart grid
Adams et al. NINES project: 6A Commercial Arrangements and Economics Report
Lamberg Bidirectional EV charging: Experiences from real life use cases
de Almeida Coordinated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 Solar Parking lot as a Virtual Power Plant
Bentley et al. Leicester City Hall Operational Pilot: V2B and V2G at Leicester City Hall–case study
Bentley et al. Leicester City Hall Operational Pil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