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048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048B1
KR102645048B1 KR1020180159294A KR20180159294A KR102645048B1 KR 102645048 B1 KR102645048 B1 KR 102645048B1 KR 1020180159294 A KR1020180159294 A KR 1020180159294A KR 20180159294 A KR20180159294 A KR 20180159294A KR 102645048 B1 KR102645048 B1 KR 102645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ut
area
warning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5108A (en
Inventor
전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048B1/en
Publication of KR20200075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0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8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involving a plurality of land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05D1/0291Flee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는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ut-in intention or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the platooning vehicle are cut-in, a processor that performs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urrounding vehicle;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or whether the cut-in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Description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Platoon driving control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군집주행 중인 중대형 상용차의 군집 주행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platooning control technology for medium-to-large commercial vehicles in platooning.

지능형 차량의 기술이 고도화 됨에 따라 여러 대의 차량이 그룹을 지어서 자율 주행하는 군집 주행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군집 주행은 차량들이 군집을 유지함으로써 공기 저항에 따른 연료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운전자가 운전하는 경우보다 차량간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여 주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도로 사용률을 늘릴 수 있다는 효과가 있어 더욱 각광받고 있다.As intelligent vehicle technology becomes more advanced, platoon driving technology, in which multiple vehicles form a group and drive autonomously, is being researched. Platoon driving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fuel use due to air resistance by keeping vehicles in a group, and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closer distance between vehicles than when a driver drives,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road use.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특히 연비저감 및 사고발생율 저감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현실적으로 버스/트럭과 같은 중대형 상용차량이 군집주행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상용 차량의 경우 기본적으로 무거운 차체중량 및 중량물 적재 등으로 인해 군집주행 간 대열 사이에 갑자기 소형 차량이 끼어들 경우, 군집주행중인 상용차량이 미처 소형 차량을 인지하지 못하는 등 돌발 상황에 재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워,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In particular, considering aspects such as reduced fuel consumption and accident rate, realistically, mid-to-large commercial vehicles such as buses and trucks utilize platooning. In the case of these mid- to large-sized commercial vehicles, due to the heavy vehicle weight and loading of heavy objects, etc., when a small vehicle suddenly enters the platoon line, the commercial vehicle in the platoon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the small vehicle, and quickly responds to unexpected situations. It is difficult to deal with, and accidents are likely to occur.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군집주행 중인 차량 사이 공간에 컷인(Cut-in)하는 차량에 대한 사전 경고를 제공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that can prevent accidents by providing advance warning of vehicles cutting into the space between platooning vehicl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는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that determines the cut-in intention or cut-in status of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a vehicle in platooning and performs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or whether the cut-in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옆차선의 공간을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sets the space in the next lan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driving zone as a warning area, and determines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차량과 상기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거리를 상기 경고 영역의 종방향폭으로 설정하고, 도로의 차선 폭 및 차량의 전폭을 이용하여 상기 경고 영역의 횡방향폭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sets the distance of the spa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to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warning area, and uses the lane width of the road and the overall width of the vehicle to determine the lateral width of the warning area. This may include setting the direction width.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컷인 한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 및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uts into the warning are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and determines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 It may include performing a first warning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경고 레벨은, 상기 차량의 차종에 따라 가이드라인 광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사하고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을 미리 정한 색상으로 상기 주변 차량의 위치를 향하여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for the first warning level, irradiat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at a different height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vehicle and irradiat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in a predetermined color toward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It may includ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경우, 상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s within the warning area have the intention of cutting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and if there is the intention to cut into the It may include performing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depending on vehicle type and locati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미리 정한 영역 이내로 컷인한 경우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uts in with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danger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면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when the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front end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to the danger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차종에 따라 가이드라인 광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사하고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을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점멸하고 헤드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irradiat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at different heights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vehicle, chang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to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used when controlling the first warning level, flash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and turns on the headlamp. It may include controlling it to blink.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 또는 상기 헤드램프의 점멸을 미리 정한 횟수 또는 시간 동안 수행한 후 오프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link the guideline light source or the headlamp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then turn it off.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컷인 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종 및 위치와 상관없이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s in the warning area have cut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y have cut in, the vehicle type and It may include performing third warning level control regardless of locatio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미리 정한 영역을 초과하여 컷인한 경우 상기 컷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include determining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been cut in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danger are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 한 후 미리 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주변 차량의 후방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는 경우 상기 컷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cut in when the rear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 within the risk are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ront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 the risk area. It may include judging tha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차 감속 제어, 안전 거리 확보 제어, 및 헤드램프 점멸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perform the third warning level control by performing self-vehicle deceleration control, safety distance securing control, and headlamp blinking control.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위해, 가이드라인 광원의 색상 또는 패턴을 경고 레벨별 다르게 설정하거나, 노면에 조사되는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에 안내 문구를 함께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order to control platooning for each warning level, the processor sets the color or pattern of the guideline light source differently for each warning level, or illuminates a guidance text together with the guideline light source illuminated on the road surface.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및 상기 군집 주행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광원의 색상 또는 패턴을 변경하여 조사 또는 점멸하는 광원 조사 모듈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ooning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e cut-in intention or presence of cut-in of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a vehicle in platooning and performs platooning control according to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 And it may include a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that is controlled by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to change the color or pattern of the light source to irradiate or blink.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 조사 모듈은,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의 제 1 높이에 장착되는 제 1 광원 조사모듈; 상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에 장착되는 제 2 광원 조사 모듈; 및 상기 제 2 높이보다 높은 제 3 높이에 장착되는 제 3 광원 조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includes: a first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mounted at a first height in front of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platoon; a second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mounted at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and a third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mounted at a third height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방법은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platoo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or presence of cut-in of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a vehicle in platooning; and performing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urrounding vehicl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옆차선의 공간인 경고 영역에 상기 주변 차량이 진입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 내에 상기 주변 차량이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컷인 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상기 주변 차량이 미리 정한 거리를 초과하여 진입 하였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컷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rrounding vehicle intends to cut in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a warning area, which is a space in a side lane of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steps;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a risk area, which is a spa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n the group driv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t-i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risk area by excee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레벨에 진입한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위치에 따른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경고 레벨에 진입한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위치에 따른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레벨에 진입한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컷인 한 경우,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erforming of the platooning control according to the warning level includes,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enters the warning level, performing a first warning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vehicl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 If a surrounding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warning level intends to cut into the danger area, performing a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vehicl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and performing third warning level control when a surrounding vehicle that has entered the warning level cuts into the danger area.

본 기술은 군집주행 중인 차량 사이 공간에 컷인하는 차량에 대한 사전 경고를 제공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is technology can prevent accidents by providing advance warning of vehicles cutting into the space between vehicles in a platoon.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that can b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중 소형차의 컷인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경고 영역 내의 차량 진입 판단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경고 영역 내의 차량으로 제 1 경고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위험 영역 내의 차량 진입 의도 및 진입 여부 판단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선로와 곡선로에서의 위험 영역 내의 차량 진입 의도 및 컷인 여부 판단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레이더 감지 영역 및 카메라 감지 영역에 따른 타겟차량 위치별 우선순위 결정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우측(RH) 방향 컷인 시 경고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좌측(LH) 방향 컷인 시 경고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양방향 컷인 시 경고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높이별 광원 조사 모듈 의 장착 예 및 노면에 조사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라인 광원 조사 시 노면에 안내문구를 함께 조사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ystem including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platoon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ut-in situation of a small car during platoon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vehicle entry into a warning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performing first warning level control on a vehicle within a warning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a vehicle's intention to enter and whether to enter a risk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a vehicle's intention to enter a dangerous area and whether to cut in on a straight road or a curved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priorities for each target vehicle location according to a radar detection area and a camera detection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latoo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warning when cutting in the right (RH) direction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warning when cutting in the left (LH) direction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warning upon bidirectional cut-in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for each height of a vehicle and an example of a pattern irradiated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xample of guidance text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when irradiating a guideline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shows a compu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본 발명은 군집 주행 중 군집 주행 대열 사이에 소형 차량이 갑자기 컷인(Cut-in, 끼어들기) 하는 경우 이를 인지하여 소형 차량에게 군집주행중임을 경고함으로써 소형 차량이 컷인을 중지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when a small vehicle suddenly cuts in between the platoon lines during platooning and warns the small vehicle that it is platooning, thereby inducing the small vehicle to stop cutting in. Begin.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의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중 소형차의 컷인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ystem including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platoon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ut-in situation of a small car during platoon driv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스템은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 센싱 모듈(200), 광원 조사 모듈(300), 조향 제어 장치(400), 제동 제어 장치(500), 엔진 제어 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a sensing module 200, a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300, a steering control device 400, and a braking control device 500. ), may include an engine control device 600.

도 2와 같이 중대형 상용차들이 군집 주행 중에 도 3 과 같이 소형차가 군집 주행중인 중대형 차량 사이에 컷인 하는 경우,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이를 미리 감지하여 경고 및 안전 주행을 위한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mid- to large-sized commercial vehicles are platooned and a small car cuts in between medium- and large-sized commercial vehicles as shown in FIG. 3,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etects this in advance and performs warning and vehicle control for safe driving. You can.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a storage unit 120, and a processor 130.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캔(can) 통신, 린(LIN) 통신 등을 통해 차량 내 통신을 수행하며, 군집 주행중인 다른 차량들과 차량통신(V2X)을 수행하여 군집주행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is a hardware device implemented with various electronic circuits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wireless or wired conne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in-vehicl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CAN communication, LIN communication, etc. In addition, platooning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performing vehicle communication (V2X) with other vehicles in platooning.

저장부(120)는 군집 대열 내의 타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정보, 센싱 모듈(200)의 센싱 결과, 프로세서(130)가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 및 프로세서(130)에 의해 획득된 경고 레벨 판단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20 includes information received from other vehicles in the platoon, sensing results of the sensing module 200,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ocessor 130 intends to cut in or whether to cut in, and information obtained by the processor 130. Warning level judgment results, etc. can be saved. The storage unit 120 ha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icro type, and a card type (e.g., a Secure Digital Card (SD Card) or an eXtream Digital Card (XD Card).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M), ROM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and magnetic memory (MRAM) , Magnetic RAM,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type memory.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 및 저장부(12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storage unit 120, may electrically control each component, and may be an electrical circuit that executes software instruc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variety of data processing and calculations can be performed.

프로세서(130)는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여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can determine the cut-in intention or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the vehicle in platooning are cut-in and perform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프로세서(130)는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옆차선의 공간을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set the space in the lane next to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platoon driving as a warning area and determine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프로세서(130)는 전방 차량과 상기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거리를 상기 경고 영역의 종방향폭으로 설정하고, 도로의 차선 폭 및 차량의 전폭을 이용하여 상기 경고 영역의 횡방향폭을 설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set the distance of the spa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s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warning area, and set the horizontal width of the warning area using the lane width of the road and the overall width of the vehicle. .

프로세서(130)는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컷인한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주변 차량의 차종 및 위치를 판단하여,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 1 경고 레벨은, 차량의 차종에 따라 가이드라인 광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사하고 가이드라인 광원을 미리 정한 색상(예, 녹색)으로 주변 차량의 위치를 향하여 조사할 수 있다.When a surrounding vehicle cuts into the warning are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determines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and determines the first vehicle type and loca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Warning level control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first warning level may be irradiated at a different height of the guideline light source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and the guideline light source may be irradiated in a predetermined color (e.g., green) toward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프로세서(130)는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컷인 의도가 있는 경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s in the warning area have an intention to cut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platooning, and if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sets a second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프로세서(130)는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미리 정한 영역 이내로 컷인한 경우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주변 차량의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면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when a surrounding vehicle cuts in with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danger area.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when the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front end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to the danger area.

프로세서(130)는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라 가이드라인 광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사하고 가이드라인 광원을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의 색상과 다른 색상(예, 붉은색)으로 변경하여 점멸하고 헤드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irradiat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at a different height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surrounding vehicle, chang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to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used when controlling the first warning level (e.g., red), blinks, and turns on the headlamp. It can be controlled to blink.

프로세서(130)는 가이드라인 광원 또는 헤드램프의 점멸을 미리 정한 횟수(예, 5회) 또는 시간동안(예, 5초) 수행한 후 오프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turn off the guide light source or headlamp after blink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e.g., 5 times) or for a period of time (e.g., 5 seconds).

프로세서(130)는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여부를 판단하고, 컷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종 및 위치와 상관없이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자차 감속 제어, 안전 거리 확보 제어, 및 헤드램프 점멸 제어를 수행하여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determines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s in the warning area have cut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y have cut in, sets the third warning level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Control can be performed. The processor 130 may perform third warning level control by performing self-vehicle deceleration control, safety distance securing control, and headlamp flashing control.

프로세서(130)는 주변 차량이 위험 영역 내에 미리 정한 영역을 초과하여 컷인한 경우 주변 차량이 컷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주변 차량의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이 위험 영역 내에 컷인 한 후 미리 정한 시간 이내에 주변 차량의 후방 좌우 코너 영역이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는 경우 컷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cut in when it exceeds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danger area. The processor 130 may determine that the rear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 within the danger are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ront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 the danger area.

프로세서(130)는 상기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위해, 가이드라인 광원의 색상 또는 패턴을 경고 레벨별 다르게 설정하거나, 노면에 조사되는 가이드라인 광원에 안내 문구를 함께 조사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platooning for each warning level, the processor 130 may set the color or pattern of the guideline light source differently for each warning level, or may irradiate a guideline light source illuminated on the road surface with a guidance messag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전방/측방 센싱모듈(200)을 기반으로 좌/우 옆 차선 경고 영역 내 차량 존재 여부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경고 영역 내 차량이 일정비율(종방향 기준, 3.6미터) 이상 컷인 시, 컷인 차량의 전고 기준으로 차량 높이에 따라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전방 주행방향 노면에 조사한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real-time monitoring of the presence of vehicles in the left/right side lane warning area based on the vehicle front/side sensing module 200, and detects the presence of vehicles in the warning area more than a certain percentage (3.6 met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cutting in, a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lluminated on the road surface in the forward driv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vehicle height based on the total height of the cut-in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경고 영역 내 차량이, 위험 영역(군집주행중인 앞 차량과의 사이 영역)에 컷인하는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위험 영역 내 차량이 일정비율(0~20%)로 컷인 시, 가이드라인 광원 색상을 붉은색으로 변경 후 점멸 및 헤드램프 동시 점멸하고, 위험 영역 내 차량이 20% 초과하여 컷인 시, 자차 감속 제어, 안전거리 확보 제어 및 헤드램프를 점멸제어한다. 이때 가이드라인 광원 및 헤드램프의 점멸을 지속하는 경우 안전운행에 방해될 수 있으므로 가이드라인 광원 및 헤드램프를 5회 점멸 후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in real time whether the vehicles in the warning area are cut into the danger area (the area between the vehicles in front of the group driving), and when the vehicles in the danger area are cut in at a certain rate (0 to 20%), the guideline is set. After changing the light source color to red, it blinks and the headlamps blink simultaneously, and when the number of vehicles in the danger area exceeds 20% and cuts in, it controls the vehicle's deceleration, controls to secure a safe distance, and controls the blinking of the headlamps. At this time, if the guideline light source and headlamp continue to blink, it may interfere with safe driving, so the guideline light source and headlamp can be controlled to blink 5 times and then turn off.

또한 군집 주행 중 차량간 통신(V2V)의 페일 발생 시, 상술한 본 발명의 군집 주행 제어(제 1 경고 레벨 제어, 제 2 경고 레벨 제어, 제 3 경고 레벨 제어)방식이 순간적인 백업 솔루션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failure of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occurs during platooning, the platooning control (first warning level control,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and third warning level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n instantaneous backup solution. You can.

센싱 모듈(200)은 차량 주변의 차량을 감지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주변 차량의 위치, 주변 차량의 속도, 주변 차량의 이동 방향 및/또는 주변 차량의 종류(예: 승용차,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싱 모듈(200)은 초음파 센서, 레이더, 카메라, 레이저 스캐너 및/또는 코너 레이더, 라이다, 가속도 센서, 요레이트 센서, 토크 측정 센서 및/또는 휠스피드 센서, 조향각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싱 모듈(200)을 통해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 및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는 지, 컷인한 정도 등을 감지하여 알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20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o detect vehicles around the vehicle, and may detect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the speed of the surrounding vehicl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or the type of surrounding vehicles (e.g., passenger cars, You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small cars, medium-sized cars, large cars, etc.). To this end, the sensing module 200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radar, camera, laser scanner and/or corner radar, lidar, acceleration sensor, yaw rate sensor, torque measurement sensor and/or wheel speed sensor, steering angle sensor, etc. You can.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sensing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determine whether nearby vehicles are cut into the warning area and the danger area, and the extent of the cut-in.

광원 조사 모듈(300)은 레이저 조사 모듈로서, 녹색, 붉은색 등 서로 다른 색상의 광원을 차량 전방(전측방 포함)의 노면에 조사한다. 또한, 광원 조사 모듈(300)은 녹색 광원과 붉은색 광원을 조합하여 원하는 다양한 색상으로 조사할 수 있으며, 조사 패턴을 다양한 패턴으로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 조사 패턴과 관련하여 추후 도 13 및 도 1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300 is a laser irradiation module that radiates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rs, such as green and red, onto the road surface in fron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front and sides). 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300 can irradiate in various desired colors by combining a green light source and a red light source, and can irradiate in various irradiation patterns. The laser irradiation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조향 제어 장치(400)는 차량의 조향각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휠과 연동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ering control device 4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an actuator linked to the steering wheel, and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actuator.

제동 제어 장치(500)는 차량의 제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aking control device 5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braking of a vehicle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brakes.

엔진 제어 장치(600)는 차량의 엔진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engine control device 6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engine operation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speed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군집주행 중인 중대형 상용차량 사이 공간으로 컷인하는 차량에 대한 사전 경고 제공을 통해 사고 예방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ccidents by providing advance warning of vehicles cutting into the space between medium and large commercial vehicles in platoonin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경고 영역 내의 차량 진입 판단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vehicle entry into a warning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군집주행 중인 선도차량(LV:Lead Vehicle)과 뒤따르는 추종차량(FV:Following Vehicle)간 거리를 D1(종방향 폭)이라고 정의할 때, D1에 대응되는 우측 차선과 좌측 차선의 영역을 경고 영역(401, 402)으로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efines the distance between a leading vehicle (LV) and a following vehicle (FV) in platooning as D1 (longitudinal width), The areas of the right lane and left lane corresponding to D1 can be set as warning areas (401, 402).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선폭에서 대형 상용차량의 전폭을 뺀 값을 2로 나눈 값을 1개의 차선폭과 합한 값을 경고 영역(401, 402)의 횡방향 폭(D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때, 차선폭이 3.5m, 대형 상용차량의 전폭이 2.5m일 때, (3.5 - 2.5)/2 + 3.5가 되어 횡방향폭(D2)은 4m로 설정될 수 있다. 경고 영역(401, 402)의 종방향폭(D1)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set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overall width of a large commercial vehicle from the lane width divided by 2 and adding the value of one lane width to the lateral width D2 of the warning areas 401 and 402. there is. For example, at this time, when the lane width is 3.5m and the overall width of a large commercial vehicle is 2.5m, (3.5 - 2.5)/2 + 3.5, so the lateral width (D2) can be set to 4m. The longitudinal width D1 of the warning areas 401 and 402 can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선도차량(LV)와 추종 차량(FV) 사이의 공간의 좌우 옆차선의 경고 영역(401, 402)에 좌우 차선을 주행중이던 차량(11, 12)이 각각 컷인하는 경우,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401, 402)에 컷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allows the vehicles 11 and 12 traveling in the left and right lanes to cut into the warning areas 401 and 402 of the left and right side lanes of the space between the lead vehicle (LV) and the following vehicle (FV), respectively.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cut into the warning areas 401 and 402.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경고 영역 내의 차량으로 제 1 경고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종이 승용차 또는 SUV 차량인 경우 제 1 경고 레벨 제어는 차량 방향별 1단계 높이로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performing first warning level control on a vehicle within a warning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vehicle type is a passenger car or SUV, the first warning level control may include irradiating a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at one level height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도 5를 참조하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량이 옆 차선으로 끼어들기 위해서는 차량 후미가 옆 차선 차량보다 앞에 있어야 된다는 점을 기준으로 하여,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에 D3 이상 컷인 시 경고 영역에 컷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D3는 차량 전장의 최소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6m로 설정할 수 있으며,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주변 차량(11, 12)이 경고 영역(401, 402)의 D3만큼 컷인한 경우, 경고 영역에 컷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is based on the fact that in order for a vehicle to cut into the adjacent lane, the rear of the vehicle must be in front of the vehicle in the adjacent lane, and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uts into the warning area by D3 or more, the warning area It can be judged that it was cut in. At this time, D3 can be set to the minimum value of the vehicle's overall length, for example, 3.6m, and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controls the surrounding vehicles 11 and 12 to cut in as much as D3 in the warning areas 401 and 402.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that the warning area has been cut in and the first warning level control is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위험 영역 내의 차량 진입 의도 및 컷인 여부 판단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whether a vehicle enters a danger area and whether to cut in or not by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601을 참조하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선도차량(LV)와 추종 차량(FV) 사이의 공간을 위험 영역(61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선도차량(LV)와 추종 차량(FV) 사이의 거리를 위험 영역(611)의 종방향 폭(D4)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위험 영역(611)의 종방향 폭(D4)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601 in FIG. 6,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define the space between the lead vehicle (LV) and the following vehicle (FV) as a risk area 611. That is,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define the distance between the lead vehicle (LV) and the following vehicle (FV) as the longitudinal width D4 of the risk area 611.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width D4 of the risk area 611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various situations.

또한,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위험 영역(611)의 횡방향 폭(D5)은 도로의 차선폭과 동일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 차선의 일반적인 차선폭인 3.5m로 설정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set the lateral width D5 of the danger area 611 to be the same as the lane width of a road and set to 3.5 m, which is a typical lane width of a highway lane.

602와 같이, 경고 영역에서 주행중이던 주변 차량(12)이 위험 영역(611)으로 컷인하려고 하는 경우, 즉 주변 차량(12)이 위험 영역(611) 내의 0~20% 사이에 걸쳐 있는 경우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위험 영역 내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한다. 이때,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주변 차량(12)의 차종에 따라 차량 높이별로 가이드라인 광원을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변경한 후 점멸하고 헤드램프를 함께 점멸하되, 가이드라인 광원과 헤드램프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횟수 동안 점멸하는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한다. As shown in 602, when the surrounding vehicles 12 driving in the warning area try to cut into the danger area 611, that is, when the surrounding vehicles 12 are between 0 and 20% of the danger area 611, platooning occurs. The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to the danger area and performs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At this time,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changes the guideline light source from green to red for each vehicle height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 12 and then flashes the headlamp together, but the guideline light source and the headlamp are The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is performed by blink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a certain number of times.

603과 같이, 경고 영역에서 주행 중이던 주변 차량(12)이 위험 영역(611) 내로 완전히 진입하거나 20% 초과 진입한 경우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한다.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주변차량(12)의 차종과 상관없이 자차 감속 제어, 안전거리 확보 제어, 노면 가이드라인 광원 및 헤드램프의 점멸을 지속하는 제 3 경고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603,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12 driving in the warning area completely enters or exceeds 20% of the danger area 611,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performs third warning level control.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can control the third warning level to continuously flash the own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safety distance securing control, road guideline light source, and headlamp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 1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직선로와 곡선로에서의 위험 영역 내의 차량 진입 의도 및 컷인 여부 판단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determining a vehicle's intention to enter a dangerous area and whether to cut in on a straight road or a curved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01을 참조하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컷인 차량 컷인 판단 기준 위치를 1차 위치와 2차 위치로 구분한다. 1차 위치는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 (예, FR fender LH/RH, FR Bumper 등)을 의미하고, 2차 위치는 차량 후방 좌/우 코너 영역(예, RR fender LH/RH, RR Bumpe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Referring to 701,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ivides the cut-in vehicle cut-in judgment reference position into a primary position and a secondary position. The primary location refers to the left/right corner area at the front of the vehicle (e.g., FR fender LH/RH, FR Bumper, etc.), and the secondary location refers to the left/right corner area at the rear of the vehicle (e.g., RR fender LH/RH, RR Bumper). etc.).

702 및 703을 참조하면 선도 차량(LV)와 추종 차량(FV) 사이로 컷인 차량(주변 차량)이 컷인 시, 컷인 차량은 반드시 차량의 앞부분 즉 1차 위치(예, FR Fender/Bumper 부분)가 컷인하고자 하는 차선방향으로 제일 먼저 들어올 수 밖에 없게 된다. Referring to 702 and 703, when a vehicle (peripheral vehicle) is cut in between the leading vehicle (LV) and the following vehicle (FV), the front part of the cut-in vehicle, i.e. the primary position (e.g., FR Fender/Bumper part), must be cut in. You have no choice but to be the first to go in the direction you want to go.

차량이 최초 진입하는 순간에는 1차 위치(FR 코너부)가 가장 먼저 진입하고자 하는 차선으로 진입하나 일정 진입시간(T) 경과 후에는 필연적으로 선도 차량(LV)와 추종 차량(FV)과 나란하게 주행하는 상황이 되므로 차량 후미 좌/우 코너부를 판단기준으로 해야 한다. 이때, 진입하는 차량마다 진입 시간이 다르므로 진입시간(T)를 별도 정의할 필요가 있다. When a vehicle first enters, the primary position (FR corner) enters the lane it wants to enter first, but after a certain entry time (T), it inevitably moves side by side with the lead vehicle (LV) and the following vehicle (FV). Since it is a driving situation, the rear left and right corners of the vehicle sh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ment. At this time, since the entry time is different for each entering vehicl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define the entry time (T).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컷인 차량의 1차 위치가 자차가 주행중인 차선 내에 진입한 후 일정 컷인 시간 경과 후 진입 차량의 2차 위치가 자차가 주행중인 차선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위험 영역 내에 차량이 진입 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primary location of the cut-in vehicle enters the lane in which the own vehicle is traveling and, after a certain cut-in time, whether the secondary location of the entering vehicle enters the lane in which the own vehicle is travel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ary location of the entering vehicle enters the lane in which the own vehicle is traveling,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vehicle has enter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레이더 감지 영역 및 카메라 감지 영역에 따른 타겟차량 위치별 우선순위 결정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SCC, Smart Cruise Control) 및 긴급 제동 시스템(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을 기반으로 컷인 차량의 존재를 인식하는 예를 개시한다. 이때,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은 도로에서 앞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주행 속도 조절, 편리하고 안전한 주행을 수행하는 기술이다. 긴급 제동 시스템은 전방 추돌이 예상되는 경우, 차량이 자동으로 전방의 물체나 보행자를 인식해 능동적으로 브레이크를 작동한다.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priority determination for each target vehicle location according to a radar detection area and a camera detection area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discloses an example of recognizing the presence of a cut-in vehicle based on a smart cruise control system (SCC) and an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AEB). At this time, the smart cruise control system is a technology that detects the distance to the vehicle in front on the road, automatically adjusts the driving speed based on the speed set by the driver, and performs convenient and safe driving. When a frontal collision is expected, the emergency braking system automatically recognizes objects or pedestrians ahead and actively applies the brakes.

즉,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및 긴급 제동 시스템과 연동하여 레이더 센서 및 카메라를 통해 전방 차량 중 컷인 차량을 감지하고 센서 별 감지영역 내에 존재하는 타겟 차량 가운데 자차선 내 차량을 최우선 제어 대상을 판단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etects cut-in vehicles among the vehicles ahead through radar sensors and cameras in conjunction with the smart cruise control system and emergency braking system, and detects vehicles within the own lane among target vehicles present within the detection area for each sensor. The highest priority control target can be determined.

또한 도 8과 같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우선순위가 높은 0번, 1번 차량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2번, 3번 차량이 다음 높은 우선순위 대상이 되나 자차선 내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SCC 및 AEB 동작은 하지 않으며, 2번/3번 차량이 자차선으로 컷인 시 당연히 제어의 대상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kes vehicles 2 and 3 the next high priority targets when high priority vehicles 0 and 1 do not exist, but since they do not exist within the own lane, SCC and AEB operation is not performed, and can naturally become the target of control when vehicles 2 and 3 cut into the own lane.

도 8은 다른 실시 예로서 컷인 차량을 감지하는 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센서 감지영역 내 자차선 타겟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만 판단하여 제어를 하며 복수의 차량 존재 시 우선순위만 부여하고 제어를 수행하는 예를 개시한다.Figure 8 illustrates an example of detecting a cut-in vehicle as another embodiment, and control is performed by determining only whether a target vehicle in the own lane exists within the sensor detection area, and when multiple vehicles exist, only priority is given and control is performed. begins.

이와 같이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레이더 센서 및 카메라 등을 통해 미리 주변상황에 대해 인지하고 필요 시 제동을 통해 안전거리 확보 등이 가능하지만, 실 도로 주행 시 예측이 어려운 돌발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사전에 주변차량에 대해 군집주행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갑작스레 끼어드는 등의 위험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advance through radar sensors and cameras mounted on the vehicle and secure a safe distance through braking when necessary. However,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that is difficult to predict occurs while driving on the actual road,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surrounding vehicles to recognize in advance that they are in a platooning situation, dangerous situations such as sudden cutting i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컷인 차량이 경고 영역, 위험 영역에 내에 얼만큼 진입 하였는지를 판단하여 경고 레벨을 다르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rning level can be varied by determining how far the cut-in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or danger area.

이하, 표 1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Hereinafter, a platoo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able 1 and FIG. 9. Figure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latoon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의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가 도 9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9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의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of FIG. 1 performs the process of FIG. 9. Additionally, in the description of FIG. 9, opera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device may be understood as being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30 of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경고 레벨/차종Warning level/vehicle model 승용차 및 SUVPassenger cars and SUVs 중소형 상용차Small and medium-sized commercial vehicles 대형 상용차large commercial vehicle 제 1 경고 레벨 제어1st warning level control 차량 방향별 1단계 높이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 조사1st level height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rradiation for each vehicle direction 차량 방향별 2단계 높이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 조사2-level height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rradiation for each vehicle direction 차량 방향별, 3단계 높이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 조사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rradiation for each vehicle direction and 3 levels of height 제 2 경고 레벨 제어Second warning level control 1단계 높이로 붉은색 가이드라인 광원 점멸 및 헤드램프 점멸Red guideline light source flashes and headlamp flashes at level 1 height. 2단계 높이로 붉은색 가이드라인 광원 점멸 및 헤드램프 점멸Red guide light source flashes and headlamp flashes at 2 levels of height. 3단계 높이로 붉은색 가이드라인 광원 점멸 및 헤드램프 점멸Red guide light source and headlamp blink at 3 levels of height. 제 3 경고 레벨 제어Third warning level control 자차 감속 제어, 안전거리 확보 및 헤드램프 점멸 지속Own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ensuring safe distance, and continuous headlamp flashing 자차 감속 제어, 안전 거리 확보 및 헤드램프 점멸 지속Own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ensuring safe distance, and continuous headlamp flashing 자차 감속 제어, 안전 거리 확보 및 헤드램프 점멸 지속Own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ensuring safe distance, and continuous headlamp flashing

도 9를 참조하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경고 영역내 차량 컷인 여부 판단할 수 있다 (S110).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종방향 기준으로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 내에 미리 정한 기준거리(예, 4m)를 초과하여 진입한 경우 주변 차량이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can determine whether a vehicle is cut in within the warning area (S110).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enters the warning area by exceeding a predetermined standard distance (eg, 4 m)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종 및 차량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이때, 차종은 승용차, SUV, 중소형차, 대형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차량 위치는 주변 차량이 우측의 경고 영역으로 진입 중인지 좌측의 경고 영역으로 진입 중인지 양측 차선의 경고 영역에 모두 진입 중인지를 판단한다.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can determine the vehicle type and vehicle location (S120). At this time, vehicle types may include passenger cars, SUVs, small and medium-sized vehicles, large vehicles, etc., and the vehicle location determines whether surrounding vehicles are entering the warning area on the right, the left, or both lanes. do.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종에 따라 경고 레벨을 달리 적용하여 해당 경고 영역에 진입한 차량으로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한다(S130).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applies different warning level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and performs first warning level control on vehicles entering the corresponding warning area (S130).

중대형 상용차 특히 대형트럭의 경우 운전자의 눈높이 지상고가 약 2.5M 이며 트럭 캡 자체가 매우 크기 때문에, 운전자가 시트 착좌 상태에서 트럭 캡 주변의 잘 보이지 않는 사각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캡 우측 바로 옆 영역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실제 전 차속 구간에 걸쳐 사각영역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차량 간 거리가 10M 이하인 실제 대형트럭 간 군집주행 상황에서 차량 사이로 전고(차고)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승용차량이 갑자기 컷인할 경우 트럭 운전자는 사전에 차량을 인지하고 제동과 같은 후속대응을 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edium to large commercial vehicles, especially large trucks, the ground clearance at the driver's eye level is approximately 2.5m. And because the truck cab itself is very large, an obscured blind area may occur around the truck cab when the driver is seated. In particular, the area immediately to the right of the cap becomes difficult to see. As a result, many accidents occur due to blind spots across all vehicle speed ranges, and in actual platooning situations between large trucks where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is less than 10m, when a passenger vehicle with a relatively low overall height suddenly cuts in between the vehicles. Truck drivers may encounter situations where it is very difficult to recognize a vehicle in advance and take follow-up actions such as braking.

이에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컷인하는 차량의 차종을 구분하여 차종에 따라 경고 레벨을 다르게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distinguish the vehicle type of the vehicle making the cut-in and perform different warning level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이때, 승용차 및 SUV는 차량 높이가 1900 이하이고, 중소형 상용차량의 높이는 1900 초과 ~ 2400 이하이며, 대형 상용차량의 높이는 2400 초과한다. 예를 들어 냉동탑차와 같은 차량의 경우, 차량 대비 전고가 높으므로 대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hicle height of passenger cars and SUVs is less than 1900, the height of small and medium-sized commercial vehicles is between 1900 and less than 2400, and the height of large commercial vehicles is more than 2400. For example, vehicles such as refrigerated trucks can be classified as large because their overall height is high compared to the vehicle.

이에 차고에 따른 차종의 종류에 따라 경고레벨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표 1을 참조 하면,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 경고 영역에 컷인한 차량의 차종이 승용차 및 SUV 차량의 경우, 차량 방향별(컷인 차량을 향해서) 1단계 높이로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하고, 차종이 소형 상용차이면 차량 방향별 2단계 높이로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하고 대형 상용차의 경우 차량 방향별 3단계 높이로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한다. 즉 차고가 높은 차량일수록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의 조사 높이를 높게 하여 컷인 중인 주변 차량이 경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rning level can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depending on the garage. Referring to Table 1, when controlling the first warning level, if the vehicle type cut into the warning area is a passenger car or SUV, the warning level is changed by vehicle direction (cut-in). (towards the vehicle), the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at 1 level height, if the vehicle type is a small commercial vehicle, the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at 2 levels height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the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at 3 levels height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investigat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ehicle ride height, the higher the irradiation height of the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so that surrounding vehicles that are cutting in can recognize the warning.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위험 영역 내 차량 컷인 의도 여부 판단한다(S140).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횡 방향 기준으로 주변 차량이 위험 영역 내에 0~20% 컷인한 경우, 위험 영역 내 차량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intended to be cut into the risk area (S140).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vehicles in the risk area when surrounding vehicles are cut in by 0 to 20% within the risk area based on the lateral direction.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종에 따라 경고 레벨을 달리 적용하여 해당 컷인중인 차량으로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50).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apply different warning level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and perform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on the vehicle being cut in (S150).

표 1을 참조 하면, 제 2 경고 레벨 제어 시, 위험 영역에 컷인 시작한 차량의 차종이 승용차 및 SUV 차량의 경우, 차량 방향별 1단계 높이로 붉은색 가이드라인 광원 점멸 및 헤드램프 점멸을 수행하고, 차종이 소형 상용차이면 차량 방향별 2단계 높이로 붉은색 가이드라인 광원 점멸 및 헤드램프 점멸을 수행하고, 대형 상용차의 경우 차량 방향별 3단계 높이로 붉은색 가이드라인 광원 점멸 및 헤드램프 점멸을 수행한다. 즉 차고가 높은 차량일수록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의 조사 높이를 높게 하여 컷인 중인 주변 차량이 경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when controlling the second warning level, if the vehicle type that started cutting into the danger area is a passenger car or SUV, the red guideline light source flashes and the headlamp flashes at one level height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If the vehicle type is a small commercial vehicle, the red guideline light source flashes and the headlamp flashes at 2 levels of height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In the case of a large commercial vehicle, the red guideline light source flashes and the headlamp flashes at 3 levels of height for each direction of the vehicle. .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ehicle ride height, the higher the irradiation height of the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so that surrounding vehicles that are cutting in can recognize the warning.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위험 영역 내 차량 컷인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횡방향 기준으로 주변 차량이 위험 영역 내에 20% 초과하여 컷인한 경우, 위험 영역 내 차량이 컷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vehicle is cut in within the risk area (S160). That is,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within the risk area has been cut in when more than 20% of surrounding vehicles have been cut into the risk area based on the lateral direction.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차종에 따라 경고 레벨을 달리 적용하여 해당 차량으로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170).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may apply different warning levels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and perform third warning level control on the corresponding vehicle (S170).

표 1을 참조하면, 군집 주행 제어 장치(100)는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위해, 차종과 상관없이 자차 감속 제어, 안전거리 확보 및 헤드램프 점멸 지속을 수행한다.Referring to Table 1,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100 performs self-vehicle deceleration control, secures a safe distance, and continues flashing of headlamps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to control the third warning level.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우측(RH) 방향 컷인 시 경고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좌측(LH) 방향 컷인 시 경고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군집 주행 제어 장치의 양방향 컷인 시 경고의 예시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warning when cutting in the right (RH) direction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an example warning operation when cutting in the left (LH) direction.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warning upon bidirectional cut-in of a platoon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서는 주변 차량이 우측방향(RH)으로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 우측방향으로 차종별 높이를 달리하여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하고 제 2 경고 레벨 제어 시 차종별 높이를 달리 하여 우측으로 붉은색 가이드 라인을 조사함을 알 수 있다. 즉 광원 조사 모듈(1001, 1002, 1003)의 높이가 다름을 알 수 있다.In Figure 10, when surrounding vehicles control the first warning level to the right (RH), a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lluminated at different heights for each vehicle type to the right, and when the second warning level is controlled, a red guideline light source is illuminated to the right at different heights for each vehicle type. It can be seen that the .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s of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s 1001, 1002, and 1003 are different.

도 11에서는 주변 차량이 좌측방향(LH)으로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 좌측방향으로 차종별 높이를 달리하여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하고 제 2 경고 레벨 제어 시 차종별 높이를 달리 하여 좌측으로 붉은색 가이드 라인을 조사함을 알 수 있다.In Figure 11, when surrounding vehicles control the first warning level to the left (LH), a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lluminated at different heights for each vehicle type to the left, and when the second warning level is controlled, a red guideline light source is illuminated to the left at different heights for each vehicle type. It can be seen that the .

도 12에서는 주변 차량이 양방향으로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 양방향으로 차종별 높이를 달리하여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조사하고 제 2 경고 레벨 제어 시 차종별 높이를 달리 하여 양방향으로 붉은색 가이드 라인을 조사함을 알 수 있다.In Figure 12, it can be seen that when surrounding vehicles control the first warning level in both directions, the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lluminated at different heights for each vehicle type in both directions, and when the second warning level is controlled, the red guide line is illuminated in both directions at different heights for each vehicle type. You ca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높이별 광원 조사 모듈 의 장착 예 및 노면에 조사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 조사 모듈(300)을 차량 높이별 3개의 레이저 조사 모듈을 장착한 예를 개시한다.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ounting a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for each height of a vehicle and an example of a pattern irradiated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300 is equipped with three laser irradiation modules for each vehicle height.

도 13을 참조하면 1301, 1302, 1303에서 각각 광원 조사 모듈(1300)의 장착 위치가 높이별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이때, 광원 조사 모듈(1300)은 녹색광원과 붉은색 광원을 포함하며 녹색광원과 붉은색 광원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색의 광원을 가이드라인 광원으로서 조사할 수 있다. 1311은 녹색 가이드라인 광원을 노면에 조사한 경우이고 1312는 녹색, 붉은색, 파랑색의 광원을 노면에 조사한 경우 노면에 나타나는 패턴을 표시한다. Referring to FIG. 13, it can be seen that the mounting positions of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1300 at 1301, 1302, and 1303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ight. At this time,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1300 includes a green light source and a red light source, and can irradiate light sources of various colors as a guideline light source by combining the green light source and the red light source. 1311 indicates the case where a green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to the road surface, and 1312 indicates the pattern that appears on the road surface when green, red, and blue light sources are irradiated to the road surfac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라인 광원 조사 시 노면에 안내문구를 함께 조사한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1401과 같이 광원을 조사한 경우, 1402와 같이 노면에 글씨가 보이도록 광원이 조사될 수 있다. Figure 14 is an example of guidance text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when irradiating a guideline light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4, when a light source is irradiated as shown in 1401, the light source may be irradiated so that letters are visible on the road surface as shown in 140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군집주행 중인 중대형 상용차 옆 차선 경고 영역으로 컷인하는 차량에 대한 사전 알림 및 경고를 통한 주행 안전 확보를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driving safety through advance notification and warning of vehicles cutting into the lane warning area next to medium-to-large commercial vehicles in platooning.

또한, 본 발명은 군집주행 중인 중대형 상용차 사이 영역으로 갑자기 컷인(Cut-in)하는 차량에 대해, 시각경고 및 긴급상황 시 자동제동/안전거리 확보를 통한 사고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ccident prevention effect through visual warning and automatic braking/securing a safe distance in emergency situations for vehicles that suddenly cut into the area between medium and large commercial vehicles in platooning.

또한, 본 발명은 군집 주행 중 V2X 통신이 일시적으로 오류/문제 발생 시 차량의 센서(ADAS 센서, 레이더, 카메라 등)를 기반으로 주변 차량의 주행상황을 판단하고 위험 발생 시 경고해줄 수 있으며 V2X 통신 문제가 없더라도 군집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driving situation of surrounding vehicles based on the vehicle's sensors (ADAS sensor, radar, camera, etc.) when a temporary error/problem occurs in V2X communication during platoon driving and warn in case of danger, and V2X communication Even if there are no problems, it can help with platoon driving.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Figure 15 shows a comput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the computing system 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0, a memory 130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400,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500, and storage connected through a bus 1200. It may include (1600), and a network interface (1700).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or 11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processes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Memory 1300 and storage 160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1300 may include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Accordingly,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software modules, or a combination of the two executed by processor 1100. Software modules reside in a storage medium (i.e., memory 1300 and/or storage 1600), such as RAM memory, flash memory, ROM memory, EPROM memory, EEPROM memory, registers, hard disk, removable disk, or CD-ROM. You may.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An exemplary storage medium is coupled to processor 1100, which can read information from and write information to the storage medium. Alternatively, the storage medium may be integrated with processor 1100.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within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The ASIC may reside within the user terminal. Alternatively, the processor and storage medium may reside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user terminal.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옆차선의 공간을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경우, 상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컷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종 및 위치와 상관없이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A processor that detects the cut-in intention or presence of cut-in of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a vehicle in platooning and performs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or whether the cut-in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
Set the space in the next lan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ing as a warning area, and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enters the warning area, perform first warning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
Determine whether surrounding vehicles within the warning area have the intention of cutting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group driving, and if there is the intention to cut in, control the second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Do th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cut into the danger area,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performs a third warning level control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 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방 차량과 상기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거리를 상기 경고 영역의 종방향폭으로 설정하고,
도로의 차선 폭 및 차량의 전폭을 이용하여 상기 경고 영역의 횡방향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Set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as the longitudinal width of the warning area,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eral width of the warning area is set using the lane width of the road and the overall width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에 미리 정한 거리만큼 컷인한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uts into the warning are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경고 레벨은,
상기 차량의 차종에 따라 가이드라인 광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사하고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을 미리 정한 색상으로 상기 주변 차량의 위치를 향하여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4,
The processor,
The first warning level is,
A platoon driv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at a different height depending on the vehicle model and the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in a predetermined color toward th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미리 정한 영역 이내로 컷인한 경우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uts in within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danger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면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n intention to cut in when the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front end of the surrounding vehicle are cut into the danger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차종에 따라 가이드라인 광원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조사하고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을 제 1 경고 레벨 제어 시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변경하여 점멸하고 헤드램프를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Group dri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line light source is irradiated at a different height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the guideline light source is changed to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used when controlling the first warning level, and the headlamp is controlled to blink. controll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 또는 상기 헤드램프의 점멸을 미리 정한 횟수 또는 시간동안 수행한 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9,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light source or the headlamp blinks for a predetermined number or time and then turns of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컷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종 및 위치와 상관없이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Determine whether surrounding vehicles in the warning area cut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driving,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t-in has occurred, a third warning level control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미리 정한 영역을 초과하여 컷인한 경우 상기 컷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1,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cuts in beyond a predetermined area within the danger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cut i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변 차량의 차량 앞단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 한 후 미리 정한 시간 이내에 상기 주변 차량의 후방 좌우 코너 영역이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컷인하는 경우 상기 컷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1,
The processor,
Group driv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the rear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re cut in within the risk area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ront left and right corner areas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re cut in the risk area.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차 감속 제어, 안전 거리 확보 제어, 및 헤드램프 점멸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1,
The processor,
A platoon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warning level control is performed by performing own vehicle deceleration control, safety distance securing control, and headlamp flashing contro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위해,
가이드라인 광원의 색상 또는 패턴을 경고 레벨별 다르게 설정하거나, 노면에 조사되는 상기 가이드라인 광원에 안내 문구를 함께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In claim 1,
The processor,
For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 platoon driving control device that sets the color or pattern of the guideline light source differently for each warning level, or illuminates a guidance text together with the guideline light source illuminated on the road surface.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여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군집 주행 제어 장치; 및
상기 군집 주행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광원의 색상 또는 패턴을 변경하여 조사 또는 점멸하는 광원 조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군집 주행 제어 장치는,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옆차선의 공간을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경고 영역으로 진입한 경우, 상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경고 영역 내의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컷인 의도가 있는 경우, 상기 차종 및 위치에 따라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컷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종 및 위치와 상관없이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A platooning control device that detects the cut-in intention or presence of cut-in of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around a vehicle in platooning and performs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of the surrounding vehicles; and
A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controlled by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to change the color or pattern of the light source to irradiate or blink,
The platooning control device,
Set the space in the next lan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ing as a warning area, and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enters the warning area, perform first warning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Determine whether surrounding vehicles within the warning area have the intention of cutting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group driving, and if there is the intention to cut in, control the second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Do this,
A 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rrounding vehicle has cut into the danger area, a third warning level control is performed regardless of the vehicle type and loca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광원 조사 모듈은,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차량의 전방의 제 1 높이에 장착되는 제 1 광원 조사모듈;
상기 제 1 높이보다 높은 제 2 높이에 장착되는 제 2 광원 조사 모듈; 및
상기 제 2 높이보다 높은 제 3 높이에 장착되는 제 3 광원 조사 모듈;
을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스템.
In claim 16,
The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a first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mounted at a first height in front of the vehicle traveling in the platoon;
a second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mounted at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and
a third light source irradiation module mounted at a third height higher than the second height;
A vehicle system comprising:
군집 주행 중인 차량 주변을 주행중인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에 따른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레벨별 군집 주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차량이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의 옆차선의 공간인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위치에 따른 제 1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경고 영역에 진입한 주변 차량이 상기 상기 군집 주행 중인 전방 차량과 후방 차량의 사이 공간인 위험 영역으로의 컷인 의도가 있는 경우, 상기 주변 차량의 차종 및 차량 위치에 따른 제 2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 영역에 진입한 주변 차량이 상기 위험 영역으로 컷인 한 경우, 제 3 경고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방법.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surrounding vehicles driving in a platoon have cut-in intentions or have been cut-in; an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surrounding vehicle,
The step of performing platooning control for each warning level is:
When the surrounding vehicle enters a warning area, which is a space in a side lane of the space between the front vehicle and the rear vehicle in the group driving, performing a first warning level control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vehicl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If a surrounding vehicle entering the warning area has the intention of cutting into the danger area, which is the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vehicles in the platoon, a second warning level control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and vehicle loc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steps; and
If a surrounding vehicle entering the warning area cuts into the danger area, performing third warning level control
A platoon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주변 차량의 컷인 의도 또는 컷인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영역에 상기 주변 차량이 진입하였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상기 주변 차량이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컷인 의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 영역 내에 상기 주변 차량이 미리 정한 거리를 초과하여 진입하였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컷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군집 주행 제어 방법.
In claim 18,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or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is cut-in is,
determining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warning area;
determining the cut-in intention by determining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risk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t-i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urrounding vehicle has entered the risk area by excee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A platooning control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180159294A 2018-12-11 2018-12-11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6450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94A KR102645048B1 (en) 2018-12-11 2018-12-11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294A KR102645048B1 (en) 2018-12-11 2018-12-11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108A KR20200075108A (en) 2020-06-26
KR102645048B1 true KR102645048B1 (en) 2024-03-08

Family

ID=7113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294A KR102645048B1 (en) 2018-12-11 2018-12-11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04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5862A (en) * 2016-04-04 2017-10-12 スズキ株式会社 Drive support system
JP2018176761A (en) 2017-04-03 2018-11-15 孟重 関 Non-physical manner vehicle conne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16B1 (en) * 2011-12-30 2013-12-19 주식회사 퓨트로닉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for car based on laser sensor and ultrasonic sensor and collision avoidance apparatus thereof
KR20160066765A (en) * 2014-12-03 2016-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eceding-vehicle selecting apparatus and method in smart cruise control system
KR102592199B1 (en) * 2016-09-22 2023-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alerting area of vehicle and bind spot detection system for making the same
KR101962348B1 (en) * 2018-06-12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5862A (en) * 2016-04-04 2017-10-12 スズキ株式会社 Drive support system
JP2018176761A (en) 2017-04-03 2018-11-15 孟重 関 Non-physical manner vehicle conn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108A (en)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02795B (en) System for adapting to pedestrian during autonomous vehicle operates
US9744969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afety
JP7096150B2 (en) Brake light detection of vehicles traveling in front to adapt the activation of active safety mechanisms
KR10220668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n overtaking assistance system
EP3044061B1 (en) Modifying adaptive cruise control to mitigate rear-end collisions
US8615357B2 (en) Method for assisting a user of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a driver-assistance system of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such a control device
CN109263635B (en) Hazard detection during intentional lane changes
EP2996900B1 (en) Illuminating device, illuminating method, program, and medium
US11427166B2 (en) Adaptive AEB system considering steerable path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709122B (en) Prospective control system for motor vehicle
KR102629625B1 (en) Driving lane changing apparatus and driving lane changing method
WO2018164136A1 (en) Travel control device
JP2013203251A (en) Light emission control device, emission warning system, light control system, and light emission control program
US7715275B2 (en) Start assist system for motor vehicles
US20180190120A1 (en) Pedestrian collision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considering pedestrian gaze
TW201821311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the speed of a motor cycle
CN112477856B (en) Arbit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steering
CN111731277A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limiting accident risk and storage medium
CN110099832B (en) Adaptive speed contro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CN112088398A (en) ECU and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JP7151064B2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US201800656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vehicle
KR10264504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latooning driving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RU2616114C1 (en) Method preventing the vehicles collision
KR20160123110A (en)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