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980B1 -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980B1
KR102643980B1 KR1020230033156A KR20230033156A KR102643980B1 KR 102643980 B1 KR102643980 B1 KR 102643980B1 KR 1020230033156 A KR1020230033156 A KR 1020230033156A KR 20230033156 A KR20230033156 A KR 20230033156A KR 102643980 B1 KR102643980 B1 KR 10264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product
concept
information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천민주
Original Assignee
천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민주 filed Critical 천민주
Priority to KR102023003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된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복수의 키워드를 전송하는 질문 제공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답변 수신부; 및 상기 답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가가 키워드를 선택한 소비자의 수를 합산한 결과를 제품 또는 디자인 개발 컨셉 정보로서 생성하는 컨셉 설계부를 포함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question providing unit transmitting a plurality of keywords for each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the user terminal of the extracted consumer; an answer receiver that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keyw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oncept design unit that generates a result of adding up the number of consumers who selected a keyw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as product or design development concept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nswer reception unit, a product or service concept. A development platform provision system is provided.

Description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Product or service concept development platform provision system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본 발명은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적화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소비자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개발 컨셉을 제공해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 product or service concept development platform,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stem that can provide development concepts for products or servic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at can provide optimized insights. .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판매하는 제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과 고객의 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이에 기초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이 필요하다.In general,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s that companies sell or the services they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ustomers and their activities and efficient and effective marketing activities based on this are necessary.

그러나 마케팅 활동에는 데이터 수집과 처리에 많은 비용과 인력, 그리고 시일이 소요되며, 대부분 마케팅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마케팅 지원 솔루션은 설문작성, 간단한 통계분석 등의 단순한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However, marketing activities require a lot of money, manpower, and time to collect and process data, and since most data collection for marketing is done manually, existing marketing support solutions consist of simple modules such as questionnaire creation and simple statistical analysis. there is.

한편, 마케팅에 있어서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product concept)은 어떠한 제품을 제조하느냐를 결정하는 문제부터 최종 패키징 및 브랜드에 관련되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marketing, the brand or product concept can include everything from deciding what product to manufacture to final packaging and branding.

예를 들어, 제품 컨셉은 제품이 제공하는 기능(function), 그 제품에 얼마나 많은 수의 모델이나 사이즈, 색상 등의 변종(variant)을 부여할 것인가, 제품에 제공하는 품질 보증(quality assurance)의 정도, 패키징 수량, 보증수리 및 고객지원 등의 다양한 양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concept refers to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product, how many variants such as models, sizes, and colors will be given to the product, and the quality assurance provided to the product. It can include various aspects such as accuracy, packaging quantity, warranty repair and customer support.

따라서, 이러한 브랜드 또는 제품을 개발하는 단계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을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과 비교하여 차별화될 수 있도록 정확히 제안할 수 있는 툴이 있다면 기업은 신규 브랜드 또는 신제품의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there is a tool that can accurately suggest the concept of the brand or product to be developed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brand or product to differentiate it from competing brands or products, the company can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of the new brand or new product. Not only that, but it will also save development costs.

그러나, 종래에는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 개발에 있어서, 컨셉 개발을 의뢰받은 컨셉 개발자가 수작업을 통한 문답식의 설문 조사나 시장 조사 등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범위에서 컨셉 개발이 이루어지는 등 경쟁 브랜드 또는 제품과 차별화될 수 있는 정확하고 체계적인 컨셉 제안 툴이 존재하지 않아,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부합하는 정확한 컨셉 제안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ast, in the concept development of a brand or product, the concept developer who was requested to develop the concept developed the concept within the scope of his or her knowledge through manual question-and-answer surveys or market research. Since there is no accurate and systematic concept proposal tool that can differentiate from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에게 복수 카테고리에 대한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추구 가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 또는 디자인 컨셉 개발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consumers to select keywords for multiple categories, thereby enabling consumers to identify their pursuit values and thereby develop product or design concepts.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의 키워드 선택뿐만 아니라, 선택 이유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잠재된 추구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identify information about the consumer's potential pursuit value by analyzing not only the consumer's keyword selection but also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주요 타깃층의 답변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타깃층에 최적화된 컨셉 설계가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oncept design optimized for the target group by applying high weight to the answers of the main target group of the target product or servic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출된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복수의 키워드를 전송하는 질문 제공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답변 수신부; 및 상기 답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가가 키워드를 선택한 소비자의 수를 합산한 결과를 제품 또는 디자인 개발 컨셉 정보로서 생성하는 컨셉 설계부를 포함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question providing unit transmitting a plurality of keywords for each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the user terminal of the extracted consumer; an answer receiver that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keyw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oncept design unit that generates a result of adding up the number of consumers who selected a keyw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as product or design development concept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nswer reception unit, a product or service concept. A development platform provision system is provided.

상기 답변 수신부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와 함께 상기 특정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The answer receiver may additionall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specific keyword along with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keyword.

상기 답변 수신부는, 상기 특정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 정보에 다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특정 키워드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낮추고, 낮춰진 가중치만큼 상기 다른 키워드에 적용할 수 있다. If other keywords are included in the reason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specific keyword, the answer receiver may lower the weight applied to the specific keyword and apply the lowered weight to the other keywor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복수 카테고리에 대한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추구 가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 또는 디자인 컨셉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having the consumer select keywords for multiple categories, the value pursued by the consumer can be identifi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evelop a product or design concep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의 키워드 선택뿐만 아니라, 선택 이유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잠재된 추구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analyzing not only the consumer's keyword selection but also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consumer's potential pursuit value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주요 타깃층의 답변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타깃층에 최적화된 컨셉 설계가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cept design optimized for the target group is possible by applying a high weight to the answers of the main target group of the target product or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roduct or service concept develop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are not necessarily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that follows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together with all equivalents to what those claims assert, if properly described. Similar reference numbers in the drawings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across various aspect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order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product or service concept development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소비자 추출부(110), 질문 제공부(120), 답변 수신부(130), 컨셉 설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latform provis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sumer extraction unit 110, a question provision unit 120, an answer reception unit 130, and a concept design unit 140. there is.

소비자 추출부(110), 질문 제공부(120), 답변 수신부(130), 컨셉 설계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는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 또는 이와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또는 하드웨어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플랫폼 제공 시스템(100)은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sumer extractor 110, question provider 120, answer receiver 130, and concept design unit 140 may be program modules or hardwa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These program modules or hardware may be included in the platform providing system 100 or other devices capable of communicating therewith in the form of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 modules,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i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there is. Meanwhile, such program modules or hardwar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specific tasks or execute specific abstract data ty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platform providing system 10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소비자 추출부(1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질문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기 위한 대상 소비자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소비자는 최종적으로 개발될 상품 또는 서비스의 후보가 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소비자 추출을 임의적으로 될 수도 있으며, 기 구출된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는 소비자 풀에서 추출될 수도 있다.The consumer extraction unit 110 provides questions described below and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target consumers to receive answers. Consumers may be people who are candidates for the product or service that will ultimately be developed. Consumer selection may be random, or it may be drawn from a pool of consumers within a previously rescued database.

추출된 소비자에게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의 컨셉 개발을 위한 설문 대상자로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소비자의 스마트폰(사용자 단말기)으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Information notifying that they have been selected as survey subjects for developing the concept of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can be sent to the extracted consumers offline or online. For example, th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sumer's smartphone (user terminal).

질문 제공부(120)는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키워드를 설문 대상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해당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키워드를 전달할 수 있다.The question provider 120 provides keywords for each of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survey consumers. For example, keywords can be delivered to the consumer's user terminal.

복수의 카테고리는, 1) 관심사, 2) 추구하는 가치, 3) 구매 목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plurality of categories may be, but are not limited to, 1) interest, 2) value pursued, and 3) purchase purpose.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키워드는 다음과 같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Keywords belonging to each category may be as follow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카테고리category 키워드keyword 관심사Interest 운동, 사업, 재테크, 연애, 여행, 독서 등Exercise, business, finance, dating, travel, reading, etc. 추구하는 가치value pursued 즐거움, 자극, 안전, 자유, 권력, 성취 등Pleasure, stimulation, safety, freedom, power, achievement, etc. 구매 목적Purpose of purchase 자아실현, 웰빙, 과시Self-actualization, well-being, showing off

질문 제공부(120)는 상기와 같이 각 카테고리별 키워드를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소비자의 키워드 선택과 더불어 해당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답변 수신부(130)는 상기와 같이 제공된 질문에 대해 소비자가 각 카테고리별로 선택한 키워드 정보 및 해당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question provider 120 provides keywords for each category to consumers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nsumer's keyword selection, an interface is additionally provided through which the consumer can input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keyword. The answer receiver 13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keyword selected by the consumer for each category and the keyword selected by the consumer in response to the question provided as above. Receive reason information. For example, it can be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소비자는 특정 키워드를 선택할 수 있는데, 그 이유 정보에는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다른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Consumers can select specific keywords, but the reason information may include other keywords that fall into that category.

이러한 경우, 상기 특정 키워드에 적용되는 가중치를 낮추고, 낮춰진 만큼의 가중치를 상기 다른 키워드에 부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eight applied to the specific keyword can be lowered, and the lowered weight can be given to the other keyword.

예를 들어, 소비자가 관심사 카테고리 중 “운동”을 선택하였고, 그 선택 이유로서, “사업에 운동이 도움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라는 정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이유 정보에 포함된 “사업”이라는 키워드도 해당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관심사이다. 각 카테고리별 소비자의 선택 키워드에 적용되는 총 가중치를 W라고 한다면,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선택한 키워드, 즉, “운동”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a·W(0<a<1)만큼 낮추고, 이유에 포함되는 키워드, 즉, “사업”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a·W만큼 높일 수 있다. a가 0.3이고, W가 1인 경우, 상기의 예에서, “운동”에는 0.7의 가중치가 적용되고, “사업”에는 0.3의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consumer selects “exercise” among the interest categories and enters the information “I think exercise is helpful for business” as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the “business” included in the reason information is entered. Keywords are also an interest that the consumer considers important. If the total weight applied to the consumer's selected keywords for each category is W, the weight for the keyword directly selected by the consumer, that is, “exercise,” is lowered by a·W (0<a<1), and the weight included in the reason is lowered by a·W(0<a<1). For the keyword, that is, “business”, the weight can be increased by a·W. If a is 0.3 and W is 1, in the example above, a weight of 0.7 may be applied to “exercise” and a weight of 0.3 may be applied to “business.”

만약, 소비자가 “운동”, “사업”을 동시에 선택한 경우, 기본적으로, “운동”과 “사업”에 0.5씩의 가중치가 적용되나, “운동”을 선택한 이유로서, 상기와 같이 입력한 경우, “운동”에는 0.35(=0.5x0.7)의 가중치가 적용되고, “사업”에는 0.65(=0.5+(0.5x0.3))의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If the consumer selects “Exercise” and “Business” at the same time, by default, a weight of 0.5 is applied to “Exercise” and “Business”, but if the reason for selecting “Exercise” is entered as above, A weight of 0.35 (=0.5x0.7) can be applied to “exercise”, and a weight of 0.65 (=0.5+(0.5x0.3)) can be applied to “business.”

이러한 방식으로, 소비자의 답변 정보, 즉, 키워드 선택 정보 및 선택 이유 정보를 토대로, 해당 소비자가 각 카테고리별로 어떠한 키워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ased on the consumer's answer information, that is, keyword selection information and selection reas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keywords the consumer considers most important for each category.

컨셉 설계부(140)는 답변 수신부(130)에 의해 수신된 답변 및 해당 답변을 토대로 상기의 방법에 따라 분석된 해당 소비자의 중요 키워드를 기준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개발 컨셉을 설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cept design unit 140 performs the function of designing a development concept for a product or service based on the answer received by the answer receiving unit 130 and the important keywords of the consumer analyz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based on the answer.

각 소비자의 특성 정보로서, 예를 들면, 성별, 연령대, 직업군, 거주지역, 소득 수준, 학력 정보가 소비자 추출부(11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데, 제품 또는 서비스의 컨셉 개발의 대상이 되는 제품의 주요 타깃 소비자의 특성과 유사할수록 해당 소비자의 답변에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As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each consumer, for example, gender, age group, occupational group, residential area, income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the consumer extraction unit 110, which is the subject of product or service concept development. The more similar the characteristics are to the product's main target consumer, the more weight can be given to that consumer's answ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의 특성 정보는, N 차원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차원은, 특성 정보의 종류로서, 성별, 연령대, 직업군, 거주지역, 소득 수준, 학력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주요 예상 소비자군이 연봉 4000만원대인 30대 여성인 경우, 이와 동일한 특성 정보를 가지고 있는 소비자의 답변에 가장 높은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고, 연봉 3000만원대인 30대 여성인 경우, 그 다음 높은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expressed as an N-dimensional vector. Each dimension is a type of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may include gender, age group, occupational group, residential area, income level, and educational level information. For example, if the main expected consumer group for the target product or service is women in their 30s with an annual salary in the 40 million won range, the highest weight may be applied to the answers of consumer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answers of consumers in their 30s with an annual salary in the 30 million won range may be given the highest weight. If you are a woman, the next higher weight may be applied.

컨셉 설계부(140)는 이러한 가중치 적용 후, 각 카테고리별로 복수의 키워드 각각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 결과 값을 합산할 수 있다. After applying these weights, the concept design unit 140 may add up the consumer's selection result valu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keywords for each category.

상기 합산은, 각 키워드를 선택한 소비자의 수일 수 있으며, 상기의 방식으로 각 키워드에 가중치가 적용되는 경우, 각 키워드를 선택한 소비자의 수는 각각 적용된 가중치의 합일 수 있다. The sum may be the number of consumers who selected each keyword, and when weights are applied to each keyword in the above manner, the number of consumers who selected each keyword may be the sum of the applied weights.

제1 소비자의 답변 결과에 있어서, 관심사 카테고리에서의 키워드 선택 결과, 운동(가중치 0.7), 사업(가중치 0.3)으로 나타났고, 제2 소비자의 답변 결과에 있어서, 관심사 카테고리에서의 키워드 선택 결과, 운동(가중치 1)로 나타난 경우, 제1 소비자와 제2 소비자의 선택 결과 합산은, 관심사 카테고리에서, 운동(가중치 1.7), 사업(가중치 0.3)으로 나타날 수 있다. In the first consumer's answer result, the keyword selection result in the interest category was exercise (weight 0.7) and business (weight 0.3), and in the second consumer's answer result, the keyword selection result in the interest category was exercise. In the case of (weight 1), the sum of the selection results of the first consumer and the second consumer may appear as exercise (weight 1.7) and business (weight 0.3) in the interest category.

컨셉 설계부(140)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 카테고리별 주요 키워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 결과를 통해 개발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주요 타깃 소비자층들이 어떠한 컨셉을 선호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계산된 결과를 제품 또는 디자인 컨셉으로서 도출할 수 있게 된다. The concept design unit 140 can analyze which concept the main target consumer base of the product or service to be developed prefers through the results of consumers' selection of the main keywords for each category in the same manner as above, and the results calculated as above. can be derived as a product or design concept.

예를 들어, 특정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각 카테고리 별로 사업적 측면, 성취의 측면, 자아실현의 측면이 가장 높은 가치를 가지는 키워드로서 도출될 수 있고, 이렇게 도출된 키워드 정보를 컨셉 정보로서, 제품 또는 서비스 개발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for a specific product or service, the business aspect, achievement aspect, and self-realization aspect can be derived as keywords with the highest value for each category, and the keyword information derived in this way can be used as concept information for the product. Alternatively,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develop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복수 카테고리에 대한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추구 가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 또는 디자인 컨셉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having the consumer select keywords for multiple categories, the value pursued by the consumer can be identifi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evelop a product or design concep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비자의 키워드 선택뿐만 아니라, 선택 이유도 분석함으로써, 소비자의 잠재된 추구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analyzing not only the consumer's keyword selection but also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information on the consumer's potential pursuit value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제품 또는 서비스의 주요 타깃층의 답변에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타깃층에 최적화된 컨셉 설계가 가능해진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cept design optimized for the target group is possible by applying a high weight to the answers of the main target group of the target product or servic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singl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랫폼 제공 시스템
110: 소비자 추출부
120: 질문 제공부
130: 답변 수신부
140: 컨셉 설계부
100: Platform provision system
110: Consumer extraction department
120: Question provision section
130: Reply receiver
140: Concept Design Department

Claims (3)

추출된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복수의 키워드를 전송하는 질문 제공부;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답변 수신부; 및
상기 답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각 키워드를 선택한 소비자의 수를 합산한 결과를 제품 또는 디자인 개발 컨셉 정보로서 생성하는 컨셉 설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답변 수신부는,
상기 특정 키워드에 대한 선택 정보와 함께 상기 특정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 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하고,
소비자가 특정 카테고리 내에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1 키워드를 선택한 이유 정보에 상기 제1 키워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키워드보다 상기 제2 키워드에 더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제1 키워드와 제2 키워드에 적용되는 가중치의 총 합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컨셉 설계부는,
상기 합산 시, 제품 또는 디자인 개발의 타깃 소비자 특성 정보와 유사한 소비자의 답변일수록 높은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을 수행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 컨셉 개발 플랫폼 제공 시스템.
a question provider that transmits a plurality of keyword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to the extracted consumer's user terminal;
an answer receiver that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keyw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concept design unit that generates a result of adding up the number of consumers who selected each keywor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as product or design development concept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answer receiver,
The response receiver is,
Additionall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specific keyword along with selection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keyword,
When a consumer selects a first keyword and a second keyword within a specific category, and the first keyword is included in the reason information for selecting the first keyword, a higher weight is given to the second keyword than to the first keyword. And, the total sum of weight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keywords is maintained constant,
The concept design department,
A system for providing a product or service concept development platform that performs the summation by applying a higher weight to consumers' answers that are similar to the target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product or design develop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33156A 2023-03-14 2023-03-14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KR1026439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156A KR102643980B1 (en) 2023-03-14 2023-03-14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156A KR102643980B1 (en) 2023-03-14 2023-03-14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980B1 true KR102643980B1 (en) 2024-03-06

Family

ID=9023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156A KR102643980B1 (en) 2023-03-14 2023-03-14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8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995A (en) * 2017-04-26 2018-11-05 (주) 퍼셉션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osing concept of new brand or goods through survey based on im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995A (en) * 2017-04-26 2018-11-05 (주) 퍼셉션 Apparatus and method for proposing concept of new brand or goods through survey based on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377B2 (en) Task similarity clusters for worker assessment
Broderick et 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egesis of the consumer involvement construct: The psychology of the food shopper
Buddin Analysis of early military attrition behavior
US88384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life stage modeling
US7653568B2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individuals of influence
Bazarova EFFECTIVENESS OF USING PR-ADVERTISING SERVICES IN THE PROCESS OF PRODUCT DELIVERY ON THE EXAMPLE OF BUKHARA REGION
Tan et 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SMEs: The Singapore case
Schmidt New product myopia
US20170154268A1 (en) An automatic statistical processing tool
KR20190143791A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matching procurement bidding information
Rudinskaya et al. Estimation of technical efficiency of Czech farms operating in less favoured areas.
Huntington-Klein The search: The effect of the college scorecard on interest in colleges
KR102643980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cept development of product or service
Sinha et al. Perceived innovation championing strategies and intrapreneurial orientation the role of social cultural context
McKenzie et al. The direct and spillover impacts of a business training program for female entrepreneurs in Kenya
Baganzi et al. Using choice-based conjoint analysis to determine smartphone choice-a student's perspective
Chapman et al. Profile CBC: Using conjoint analysis for consumer profiles
Koththagoda et al. Customer based brand equity for empowering Sri Lanka as a tourism destin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tea tourism
Chen et al. Study on User's Satisfaction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An Example of Manufacturing
Bhatti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rporate reputation from a customer perspective in Takaful (Islamic insurance) industry
US8589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viability and marketability of assets
Montazeri et al. Prioritization of the advertising activities of Tehran stock exchange investment companies based on investors' financial literacy using step-by-step ANP approach
Zhu Exploring consumer online product returning behavior: Chinese e-consumers’ perspective
Banerjee et al. Scale Development for Analyzing Impact of Various Risk Dimensions on Online Shopping Intensions amongst Indian Youth
Vongchalerm Analysis of predicting the success of the banking telemarketing campaigns b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