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454B1 -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454B1
KR102641454B1 KR1020230127717A KR20230127717A KR102641454B1 KR 102641454 B1 KR102641454 B1 KR 102641454B1 KR 1020230127717 A KR1020230127717 A KR 1020230127717A KR 20230127717 A KR20230127717 A KR 20230127717A KR 102641454 B1 KR102641454 B1 KR 102641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image
irradiation
ultra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
성시용
이현숙
황태현
강동환
박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Priority to KR102023012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1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6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8/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초음파 조사 장치, 초음파 촬영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초음파 영상 처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으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하고, 조사 부위 영상 내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하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ULTRASONIC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SYSTEM AND PROGRAM}
본 개시는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는 20KHz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초음파 진단 장치, 초음파 치료기 등 의료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의 초음파의 활용은 초음파의 투과 및 반사 성질을 이용한 초음파 이미지 장치가 가장 대표적이다. 예를 들면, 초음파가 인체 내를 투과하여 각각의 장기를 투과하면서, 반사되는 시간과 강도를 시각화하여 인체 내의 단면 영상을 얻는 장치가 있다.
또한,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HIFU,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피부 내 종양과 같은 특정 피하조직을 태워 제거하거나, 피부조직의 변성 및 재생을 유발시키는 장치가 있다.
그런데, 종래 초음파를 이용한 장치는, 초음파가 집속되는 위치 및 종양이 변성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하는데 한계가 있어,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부정확성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15728(2009.11.05.공개)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초음파가 집속되는 위치 및 종양이 변성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부정확성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는, 초음파 조사 장치, 초음파 촬영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초음파 영상 처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으며,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조사 부위 영상 내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하며,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진폭과 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에지(Edge)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변성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초음파 영상 처리 방법은,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는 단계;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조사 부위 영상 내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 조사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에지(Edge)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변성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은, 초음파 조사 장치; 초음파 촬영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으며,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조사 부위 영상 내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하며,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초음파 영상 처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개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초음파가 집속되는 위치 및 종양이 변성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부정확성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는, 컴퓨터, 서버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애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은,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으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하고, 조사 부위 영상 내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하고,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은, 초음파가 집속되는 위치 및 종양이 변성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부정확성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을 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1000)은, 초음파 조사 장치(10), 초음파 촬영 장치(20), 디스플레이 장치(30),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초음파를 조사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트랜스듀서가 장착된 핸드 피스 또는 조사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초음파 조사장치(10)는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일 수 있다.
초음파 촬영 장치(20)는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여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촬영 장치(20)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브는 초음파 조사장치(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는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조사 헤드의 중앙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초음파 촬영 장치(20)는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장치일 수 있다.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10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처리 및 초음파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120),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초음파 조사 장치(10), 초음파 촬영 장치(20) 및 디스플레이 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초음파 촬영 장치(20)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을 수 있다. 통신부(130)는 유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 5G, 6G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모리(110)와 프로세서(120)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와 프로세서(120)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10)는 본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와, 본 장치 내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있고, 본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본 장치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처리 및 초음파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처리 및 초음파 영상의 처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촬영 장치(20)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을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진폭과 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IQ(Inphase Quadrature) data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 내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초음파 조사장치(10)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조사 부위 영상의 에지(Edge)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변성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초음파 영상 처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초음파 영상 처리 방법은, 수신 단계(S300), 추출 단계(S310), 판단 단계(S320), 보정 단계(S330), 제어 단계(S3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는, 통신부(130)를 통해, 초음파 촬영 장치(20)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을 수 있다(S300).
추출 단계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초음파 촬영 장치(20)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S310).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초음파 조사 시작 지점(P1)부터 초음파 조사 끝 지점(Pn)까지 초음파 조사 위치에 상응하는 초음파 조사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초음파 촬영 장치(20)는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초음파 영상(I)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근종을 괴사시키기 위해, 초음파 조사 시작 지점(P1)부터 초음파 조사 끝 지점(Pn)까지 근종의 부위에 따라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초음파 조사 시작 지점(도4의 P1)부터 초음파 조사 끝 지점(도4의 Pn)까지 이동하면서 열을 누적하여 근종을 괴사시킬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트랜스듀서가 장착된 핸드 피스 또는 조사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촬영 장치(20)는 초음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초음파 촬영 장치(20)는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브는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브는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조사 헤드의 중앙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진폭과 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IQ(Inphase Quadrature) data 기반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IQ Data는 진폭과 위상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IQ Data는 위상 성분을 알고 있어 주파수 이동에 대한 값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IQ Data 기반의 프로세서(120)는 IQ Data로 처리시, beamforming data로 IQ 처리까지 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처리량도 적어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관심 영역에 대한 조사전 부위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추출된 조사전 부위 영상 Data를 Default 기준값으로 적용할 수 있다.
판단 단계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조사 부위 영상 내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초음파 조사장치(10)의 초음파 집속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0). 이때,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이 있을 경우 초음파 집속 상태로 판단하고,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이 없을 경우 초음파 집속이 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에코는, 초음파 화면으로 보이는 병변의 색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이 없을 경우 초음파 집속이 되지 않은 상태임을 초음파 조사 장치(10)와 디스플레이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여,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사용을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이 있을 경우 초음파 집속된 상태임을 초음파 조사 장치(10)와 디스플레이 장치(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 신호의 변화량이 있을 경우 초음파 에코 신호의 변화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IQ(Inphase Quadrature) data 기반으로, 조사 부위 영상 내 초음파 조사전의 신호 변화량(Echo Change), 초음파 조사후의 신호 변화량을 각각 파악하여,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각 단계 별 신호 변화량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초음파 조사전의 신호 변화량은 조직의 반사계수가 낮아 진폭(Amplitude)값이 작고, 초음파 조사후의 신호 변화량은 조직의 반수계수가 커져 진폭값이 클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IQ Data를 기반으로, 시간 영역별로 초음파 조사전과 초음파 조사후의 진폭을 비교한 진폭 변화량(S)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1회 초음파 조사시 진폭값이 10mVpp일 수 있고, 2회 초음파 조사시 진폭값이 20mVpp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초음파 조사로 인해 변형되면서 단단해지는 조직의 신호 변화량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Time domain의 시간 영역별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FT)하여 Frequency domain의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고, 분석된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주파수 성분(f0 내지 f4), 주파수 성분(f0 내지 f4)과 연계된 진폭값(S2 내지 S7)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출력된 각 단계 별 신호 변화량을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시간 영역별로 초음파 조사전과 초음파 조사후의 진폭을 비교한 진폭 변화량을 각 단계별로 표시할 수 있고, 분석된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주파수 성분과 연계된 진폭값을 각 단계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I1) 내 선택된 B 모드(brightness mode)에 해당하는 2D 형태의 초음파 조사 지점(VP1~VP2)에 대한 신호 변화량(S8)을 M 모드(motion mode)에 해당하는 조사 부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상단의 B 모드(brightness mode)에 해당하는 2D 형태의 조사 부위 영상(I2)에서 Scan Line(Ultrasound line, L)으로 지정된 부분에 대해, Time 축 방향으로 M 모드(motion mode)에 해당하는 조사 부위 영상(I3)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M 모드에 해당하는 조사 부위 영상(I3)은 Time 축 방향으로 변화량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집속하는 영역을 Scan Line(Ultrasound line, L)으로 지정하고, 지정된 Scan Line(Ultrasound line, L)을 기반으로 초음파 조사전인 신호와 초음파 조사중인 신호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른 신호 변화량을 수신받아 조사 부위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보정 단계는, 프로세서(120)를 통해, 초음파 조사 장치(10)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S330).
일예로,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추출하고(S331),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구분할 수 있다(S332).
이 후, 프로세서(120)는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증대시켜 보정할 수 있다(S333). 여기에서,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구분하고 증대시켜 보정하는 과정은, 영상 내에서 검은색과 흰색의 구분을 증가시켜 좀 더 선명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과정이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구분하고 증대시키기 위한 방식으로, 흑백 채널 상 Histogram Range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Histogram은, 영상 내에서 밝기값의 분포 정도를 그래프로 표현한 것일 수 있고, Histogram Range를 추출하는 것은, 검은색부터 흰색까지 밝기값이 어느 정도 분포되어 있는지를 추출하는것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Histogram Range의 추출을 통해 현재 보이는 영상이 너무 밝은지, 너무 어두운지, 적당한 밝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이미지 스트레칭(Image Stretching) 방식으로, Histogram Range를 기 설정된 5% 내지 95% 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프로세서(130)는 조사 부위 영상의 컨디션에 맞는 파라미터의 설정을 통해 Histogram Range를 다른 구간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이 후, 프로세서(120)는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도를 기준으로 명암의 변화가 큰 지점인 에지(Edge)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20)는 3x3 커널 적용된 Sobel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x, y Sobel Filter를 통해 추출 및 합성할 수 있다(S334). 이때, Sobel 알고리즘은, 조사 부위 영상에서 보이는 경계선을 강조하여 표시하고, 3x3 크기의 행렬(커널)의 값들을 조절하며, 조절된 3x3 크기의 행렬(커널)의 값들을 기반으로 각 방향의 변화량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Sobel filter는 X방향의 경계선이 강조된 영상, y방향의 경계선이 강조된 영상을 추출할 수 있고, 두개를 합성하여 모든 방향에서의 경계선이 강조된 합성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프로세서(120)는 원본 조사 부위 영상과 Sobel Filter를 합성하여 명암 및 Edge가 증대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335). 이때, 프로세서(120)는 원본 조사 부위 영상에서 경계선이 살아난 샤프한 영상을 획득하여, 명암 및 Edge가 증대된 영상을 획득하도록, 원본 조사 부위 영상과 Sobel Filter를 합성할 수 있다.
제어 단계는,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프로세서(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S340). 이때, 프로세서(120)는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변성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30)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는 관심 영역 내 변성되고 있는 부위를 가시화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변성되고 있는 부위와 초음파가 집속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초음파 조사 전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초음파 조사중인 상태로, (b) 단계에서 (e) 단계로 갈수록,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근종의 변성 부위가 커지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근종을 괴사시키기 위해, 초음파의 집속 깊이와 집속 시간을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고, 초음파 조사 시작 지점(도4의 P1)부터 초음파 조사 끝 지점(도4의 Pn)까지 근종의 부위에 따라 초음파를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조사 장치(10)는 초음파 조사 시작 지점(도4의 P1)부터 초음파 조사 끝 지점(도4의 Pn)까지 이동하면서 열을 누적하여 근종을 괴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열이 중간에 많이 집중되므로, 초음파 조사 시작 지점(도4의 P1)과 초음파 조사 끝 지점(도4의 Pn)보다, 중간에 위치한 초음파 조사 지점들에서 Z축 방향으로 근종이 더 괴사되어, 최종 변성된 형태를 구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조사전에 근종의 조직은 말랑말랑한 상태이고 블랙으로 표시되고, 초음파 조사중에 근종의 조직은 괴사되어 단단해진 상태이고 하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초음파가 집속되는 위치 및 종양이 변성되는 과정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면서, 초음파 조사 및 집속의 부정확성에 따른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7, 도 9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 및 도 8은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및 도 8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및 도 8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0: 시스템 100: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130: 통신부

Claims (10)

  1. 초음파 조사 장치, 초음파 촬영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초음파 영상 처리와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으며,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진폭과 IQ(Inphase Quadrature) data 기반으로 추출하고,
    상기 IQ data를 기반으로, 시간 영역별로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 내 초음파 조사전과 초음파 조사후의 진폭을 비교한 진폭 변화량을 출력하며,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 내 Time domain의 시간 영역별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Frequency domain의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주파수 성분과 연계된 진폭값을 출력하며,
    상기 조사 부위 영상 내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의 상기 진폭 변화량 및 상기 진폭값을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인 경우, Histogram Range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증대시켜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에지(Edge)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변성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6.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초음파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는 단계;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진폭과 IQ(Inphase Quadrature) data 기반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IQ data를 기반으로, 시간 영역별로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 내 초음파 조사전과 초음파 조사후의 진폭을 비교한 진폭 변화량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 내 Time domain의 시간 영역별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Frequency domain의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주파수 성분과 연계된 진폭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사 부위 영상 내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의 상기 진폭 변화량 및 상기 진폭값을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인 경우, Histogram Range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증대시켜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단계는,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을 보정할 때,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에지(Edge)를 기 설정된 수준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 내 변성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더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초음파 조사 장치;
    초음파 촬영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로부터 초음파 영상을 수신받으며,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조사 신호와 연계된 상기 초음파 촬영 장치의 초음파 영상 내 관심 영역(ROI)에 대한 조사 부위 영상을 진폭과 IQ(Inphase Quadrature) data 기반으로 추출하고,
    상기 IQ data를 기반으로, 시간 영역별로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 내 초음파 조사전과 초음파 조사후의 진폭을 비교한 진폭 변화량을 출력하며,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 내 Time domain의 시간 영역별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하여 Frequency domain의 주파수 영역을 분석하고,
    상기 주파수 영역을 기반으로 주파수 성분과 연계된 진폭값을 출력하며,
    상기 조사 부위 영상 내 상기 초음파 조사 신호의 상기 진폭 변화량 및 상기 진폭값을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 조사 장치의 초음파 집속 상태일 경우, Histogram Range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조사 부위 영상의 명암을 기 설정된 수준으로 증대시켜 보정하고,
    상기 보정된 조사 부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0230127717A 2023-09-25 2023-09-25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641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717A KR102641454B1 (ko) 2023-09-25 2023-09-25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7717A KR102641454B1 (ko) 2023-09-25 2023-09-25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454B1 true KR102641454B1 (ko) 2024-02-28

Family

ID=9012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7717A KR102641454B1 (ko) 2023-09-25 2023-09-25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45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071A (ja) * 2004-03-12 2007-10-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画像におけるエッジの検出
KR20090115728A (ko) 2007-01-19 2009-11-05 써니브룩 헬스 사이언시즈 센터 초음파와 광학 영상 진단 수단이 결합된 영상 탐침 장치
JP2010259806A (ja) * 2009-05-04 2010-11-1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医用超音波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高密度焦点式超音波に対するフィードバックを行う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記録媒体
KR20120054920A (ko) * 2010-11-22 2012-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에서 종괴의 경계 검출 방법
KR101312307B1 (ko) * 2011-10-13 2013-09-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 신호를 제거하는 초음파신호처리방법 및 초음파신호처리장치
KR101334375B1 (ko) * 2012-07-31 2013-11-2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 간섭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JP5476534B2 (ja) * 2008-09-17 2014-04-23 公益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超音波画像処理による集束超音波自動照射システム並びに集束超音波自動照射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6027842A (ja) * 2014-07-11 2016-02-2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超音波治療装置
JP2017023498A (ja) * 2015-07-24 2017-02-0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超音波医用装置
KR101935375B1 (ko) * 2016-02-01 2019-01-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와 초음파 영상을 위한 초음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3084489A (ja) * 2021-12-07 2023-06-19 ソニア・セラピューティクス株式会社 Hifu治療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9071A (ja) * 2004-03-12 2007-10-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画像におけるエッジの検出
KR20090115728A (ko) 2007-01-19 2009-11-05 써니브룩 헬스 사이언시즈 센터 초음파와 광학 영상 진단 수단이 결합된 영상 탐침 장치
JP5476534B2 (ja) * 2008-09-17 2014-04-23 公益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超音波画像処理による集束超音波自動照射システム並びに集束超音波自動照射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0259806A (ja) * 2009-05-04 2010-11-18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医用超音波イメージングにおける高密度焦点式超音波に対するフィードバックを行う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出し可能記録媒体
KR20120054920A (ko) * 2010-11-22 2012-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에서 종괴의 경계 검출 방법
KR101312307B1 (ko) * 2011-10-13 2013-09-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 신호를 제거하는 초음파신호처리방법 및 초음파신호처리장치
KR101334375B1 (ko) * 2012-07-31 2013-11-2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 간섭 신호 제거 방법 및 장치
JP2016027842A (ja) * 2014-07-11 2016-02-25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超音波治療装置
JP2017023498A (ja) * 2015-07-24 2017-02-02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超音波医用装置
KR101935375B1 (ko) * 2016-02-01 2019-01-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Hifu와 초음파 영상을 위한 초음파 치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3084489A (ja) * 2021-12-07 2023-06-19 ソニア・セラピューティクス株式会社 Hifu治療用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9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for optimal execution of surgical procedures
US20110007957A1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021682B1 (ko) 해부학적 수술 동안 수술 거즈의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6705134B2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超音波画像処理方法及び超音波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400645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ly diagnosing crop growth using terahertz waves
WO2015083471A1 (ja) 超音波観測装置、超音波観測装置の作動方法、及び超音波観測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CN111598989B (zh) 一种图像渲染参数设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214652B1 (ko) 이미지 분석 장치 및 이미지 분석 방법
CN115668387A (zh) 用于为美容皮肤处理单元确定最佳操作参数集的方法和系统
JP2017042612A (ja) 被検体情報を取得する装置および方法
Mudassar et al. Extraction of blood vessels in retinal images using four different techniques
Elmas et al. Dermoscopic findings of nevus of Ota
KR102641454B1 (ko) 초음파 영상 처리 장치, 그 영상 처리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CN112508941A (zh) 三维超声扫描完整性检测方法及装置
CN114332132A (zh) 图像分割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1101753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cephalometric image
CN111986139A (zh) 颈动脉内中膜厚度的测量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0092710B2 (en) Method of obtaining a classification boundary and automatic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16439740A (zh) 一种手臂血管通路的质量管理方法及相关装置
JP6417303B2 (ja) 医用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12984A (ja) 血管可視化装置、血管可視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962938A (zh) 图像分割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375438A (zh) 静脉血管肿瘤影像处理方法及相关产品
CN110610147A (zh) 血管图像提取方法、相关装置及存储设备
KR102641448B1 (ko) 초음파 조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