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849B1 -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 Google Patents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849B1
KR102639849B1 KR1020230088882A KR20230088882A KR102639849B1 KR 102639849 B1 KR102639849 B1 KR 102639849B1 KR 1020230088882 A KR1020230088882 A KR 1020230088882A KR 20230088882 A KR20230088882 A KR 20230088882A KR 102639849 B1 KR102639849 B1 KR 10263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er
slider
plate
excavator
finish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덕환
Original Assignee
김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환 filed Critical 김덕환
Priority to KR1020230088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8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8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8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 E01C19/187Devices for distributing road-metals mixed with binders, e.g. cement, bitumen, without consolidating or ironing effect solely for spreading-out or striking-off deposited mixtures, e.g. spread-out screws, strike-off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가 개시된다.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는, 굴삭기의 버킷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측에 돌출되는 피니셔 플레이트와, 삽입부의 일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피니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와, 삽입부의 타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피니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한다.An asphalt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is disclosed. The asphalt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includes a finisher plate on which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edge of the excavator's bucket is inserted protrudes on one side, a first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whil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unit.

Description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Asphalt finisher device for excavator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킷에 고정되며 아스콘의 폭과 높이를 적절하게 유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that is fixed to the bucket of an excavator and enables construction while appropriately maintaining the width and height of the asphalt concrete.

일반적으로 아스콘 포장공사 시에 아스콘과 아스콘이 포설되는 하부면과의 접착을 위해 아스콘 유제를 살포하여 코팅 작업을 수행하고, 상부에 아스콘을 포설한다.Generally, during asphalt paving construction, an asphalt emulsion is sprayed to achieve adhesion between asphalt concrete and the lower surface where the asphalt concrete is laid, and asphalt concrete is laid on the upper part.

구체적으로 아스콘 포장면의 형성 작업은 기존 포장면을 절삭하고 절삭면의 청소를 수행한 뒤, 아스콘 유제를 포설하고 아스콘 유제를 양생하여 코팅층을 형성시킨다.Specifically, the formation of the asphalt pavement surface involves cutting the existing pavement surface, cleaning the cut surface, spreading the asphalt emulsion, and curing the asphalt emulsion to form a coating layer.

이후 아스콘 운반 덤프 차량을 이용하여 아스콘을 코팅층 상부에 포설한 뒤 아스콘 피니셔를 이용하여 아스콘 포설작업을 마무리한다.Afterwards, asphalt concrete is laid on the upper part of the coating layer using an asphalt transport dump vehicle, and then the asphalt concrete laying work is completed using an asphalt concrete finisher.

이러한 아스콘 피니셔는, 아스콘의 시공 상태를 안정적으로 마무리하도록 아스콘의 시공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아스콘의 포설 작업이 마무리될 수 있다.This asphalt concrete finisher can complete the asphalt laying work by moving along the construction direction of the asphalt concrete to stably finish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asphalt concrete.

그러나 종래 아스콘 피니셔는 좌우 길이와 높이의 가변이 불가능하여, 아스콘의 시공 상태에 따른 적절한 아스콘 포설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sphalt concrete finisher cannot change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appropriate asphalt laying work is not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tus of the asphalt concrete.

등록특허공보 10-187965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187965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스콘의 시공 폭에 대응하여 아스콘의 시공을 가이드하는 가이더의 좌우 설치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고, 가이더의 상하 높이 조절도 용이하게 가능한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nstalled lengths of the guider that guides the construction of asphalt concrete can be varied in response to the construction width of the asphalt concrete,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heights of the guider can be easily adjust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굴삭기의 버킷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측에 돌출되는 피니셔 플레이트와, 삽입부의 일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피니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와, 삽입부의 타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피니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isher plate on which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edge of an excavator's bucket is inserted protrudes on one side, a first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whil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 and a second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unit.

삽입부는,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부에는 버킷의 가장자리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된 제1 삽입부와, 제1 삽입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버킷의 가장자리의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includes a first insertion part that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has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top into which one side of the edge of the bucket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other side of the edge of the bucket is inserted and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portion in which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제1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first slider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lider move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피니셔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제2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제2 슬라이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slider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lider moves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nisher plate.

제1 슬라이더는, 일측은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제1 슬라이더 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베이스부와,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lider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first slider hole with one sid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a protruding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The end may include a first guider having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hereon.

제1 베이스부는, 제1 슬라이더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설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rst base part may be variable by a bolt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slider hole and is fixed thereto.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지지되어 높이 가변된 상태를 지지하는 제1 스토퍼부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stopper part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se part to support the height-variable state.

제2 슬라이더는, 일측은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제2 슬라이더 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베이스부와, 제2 베이스부에서 피니셔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lider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second slider hole with one sid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a protruding end that protrudes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may include a second guider on which a second inclined surface is formed.

제2 베이스부는, 제2 슬라이더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설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econd base part may be variable by a bolt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slider hole and is fixed thereto.

제2 베이스부의 하부에 지지되어 높이 가변된 상태를 지지하는 제2 스토퍼부가 설치될 수 있다.A second stopper part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ase part to support the height-variable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굴삭기의 버킷에 삽입부가 고정된 상태로, 굴삭기 암의 작동에 따라 바닥면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아스콘의 시공되는 폭과 높이를 적절하게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part is fixed to the bucket of the excavator and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part from the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cavator arm, thereby properly maintaining the construction width and height of the asphalt concrete. It can be installed to ensure stable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버킷에 고정되는 피니셔 플레이트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제1/제2 슬라이더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피니셔 플레이트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바, 아스콘의 시공되는 폭과 높이의 적절한 유지가 가능하여 아스콘의 시공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on both opposite edges of the finisher plate fixed to the bucket can be adjusted, and the height of the finisher plate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t is installed to do so,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width and height of the asphalt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asphalt concre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phalt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ure 1.
Figure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ure 1.
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ure 1.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 설명하는 피니셔 장치는 바닥면에 아스콘의 시공 작업 과정에서 굴삭기의 버킷에 결합되는 것으로, 굴삭기의 암 작동에 의해 아스콘을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로 평탄화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inisher device described below is coupled to the bucket of an excavato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sphalt concrete on the floor, and is installed to enable work on the asphalt concrete to be flattened to a certain height on the floor by operating the arm of the excavator.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n excavator of Figure 1. It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 1, and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 1. FIG.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the excavator of FIG. 1. .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100)는, 굴삭기의 버킷(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20)가 일측에 돌출되는 피니셔 플레이트(10)와, 삽입부(20)의 일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30)와, 삽입부(20)의 타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5, the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100 for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sertion portion 20 into which the edge of the bucket 1 of the excavator is inserted protruding on one side. A first slider 30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the insertion portion 20,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0 It includes a second slider 40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while being spaced apart.

피니셔 플레이트(10)는 아스콘 작업이 실시되는 바닥면에 대해 폭방향으로 수직한 상태로 버킷(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nisher plate 10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bucket 1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on which asphalt concrete work is performed.

이를 위해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는 버킷(1)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20)가 돌출된 수 있다. 참조 번호 12는 손잡이부를 말한다.To this end, an insertion portion 20 into which the bucket 1 is inserted and fixed may protrude at approximately the center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Reference number 12 refers to the handle part.

이러한 삽입부(20)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설치되어 버킷(1)의 가장자리가 삽입 고정되는 제1 삽입부(21) 및 제2 삽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This insertion portion 20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ortion 21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23 install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into which the edge of the bucket 1 is inserted and fixed. You can.

제1 삽입부(21)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부에는 버킷의 가장자리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1 삽입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may be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groove 21a at the upper portion into which one side of the edge of the bucket is inserted and fixed.

이러한 제1 삽입홈(21a)에는 버킷(1)의 단부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가압 고정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bucket 1 may be pressed and fix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a.

제2 삽입부(23)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부에는 버킷의 가장자리의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2 삽입홈(23a)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3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may be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23a at the upper portion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edge of the bucket is inserted and fixed.

이러한 제2 삽입홈(23a)에는 버킷(1)의 단부의 타측이 삽입된 상태로 가압 고정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bucket 1 can be pressed and fix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3a.

전술한 제1 삽입부(21)와 제2 삽입부(23)는 동일 또는 유사 형상으로 피니셔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바, 굴삭기의 버킷의 단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rst insertion part 21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23 are installed on the finisher plate 10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so that the end of the bucket of the excavator can be stably fixed.

이와 같이, 굴삭기의 버킷은 제1/제2 삽입부(21, 23)에 고정되어 굴삭기의 암의 작동에 따라 피니셔 플레이트(10)가 바닥면의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하부 가장자리와 바닥면의 사이 위치에 아스콘이 일정 높이로 시공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bucket of the excavator is fixed to the first/second insertion portions 21 and 23, and the finisher plate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t a certain distance on the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rm of the excavator. ,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sphalt concrete at a certain height at a position between the lower edg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대향하는 양측에는 제1/제2 슬라이더(30, 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irst and second sliders 30 and 40 may be slidably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finisher plate 10.

제1/제2 슬라이더(30, 40)는 서로 이격된 위치의 가변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아스콘의 시공 면적에 대응하여 제1/제2 슬라이더(30, 40)의 이격된 거리를 적절하게 가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second sliders (30, 40) are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chang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second sliders (30, 40) is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area of the asphalt concrete. It can be installed to be variable.

이를 위해, 피니셔 플레이트(10)에는 제1 슬라이더(30)의 이동을 위한 제1 슬라이더 홀(11)과 제2 슬라이더(40)의 이동을 위한 제2 슬라이더 홀(13)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first slider hole 11 for movement of the first slider 30 and a second slider hole 13 for movement of the second slider 40 may be formed in the finisher plate 1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슬라이더(30)는, 일측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제1 슬라이더 홀(11)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베이스부(31)와, 제1 베이스부(31)에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1 경사면(33a)이 형성된 제1 가이더(33)를 포함할 수 있다.To be more specific, the first slider 30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31 that moves along the first slider hole 11 with one sid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a first It may include a first guider 33 that protrudes from the base portion 3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33a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제1 베이스부(31)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니셔 플레이트(10)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base portion 31 is installed in surface contact on th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has vertical height adjustment on the finisher plate 10. Possibly can be installed.

이를 위해 제1 베이스부(31)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제1 슬라이더 홀(11)을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볼트부재(15)가 제1 슬라이더 홀(11)을 통과하여 제1 베이스부(31)에 고정되는 바, 제1 베이스부(31)의 적절한 이동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base portion 31 is moved along the first slider hole 11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the bolt member 15 passes through the first slider hole 11 to form the first base portion ( 31), an appropriate movement operation of the first base portion 31 can be achieved.

제1 베이스부(31)의 설치된 높이의 가변은 제1 베이스부(31)의 상하 높이 조절한 상태로 볼트부재(15)를 제1 슬라이더 홀(11)을 통과시켜 제1 베이스부(31)의 측면에 결합하는 바, 제1 베이스부(31)의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talled height of the first base part 31 can be changed by passing the bolt member 15 through the first slider hole 11 with the top and bottom height of the first base part 31 adjusted. By being coupled to the side of, the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base portion 31 can be adjusted.

이러한 제1 베이스부(31)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바닥면에 시공하는 아스콘의 시공 폭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is movement of the first base portion 31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can be moved in response to the construction width of the asphalt concrete to be constructed on the floor surface.

그리고, 제1 베이스부(31)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은, 아스콘이 바닥면에 시공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base portion 31 can be adjusted up and down of the finisher plate 10 in response to the height at which asphalt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floor.

한편, 제1 베이스부(31)가 피니셔 플레이트(10)에 높이 조절된 상태는 제1 스토퍼부(3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first base part 31 is adjusted to the finisher plate 10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stopper part 35.

제1 스토퍼부(35)는 일측면에 제1 다단 안착부(45a)가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 제1 베이스부(31)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 사이 위치로 제1 다단 안착부(45a)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1 베이스부(31)의 높이 조절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part 35 is installed at an angle with a first multi-stage seating part 45a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multi-stage seating part is located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base part 31 and the finisher plate 10. (45a) can be inserted to stably support the height-adjusted load of the first base portion 31.

이러한 제1 스토퍼부(35)는 제1 베이스부(31)의 측면에 제1 와이어(35b)로 연결될 수 있다.This first stopper part 35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rst base part 31 with a first wire 35b.

한편, 제1 베이스부(31)에는 제1 가이더(33)가 돌출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guider 33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ase portion 31.

제1 가이더(33)는, 제1 베이스부(31)에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1 경사면(33a)이 형성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guider 33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3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may protrude such that a first inclined surface 33a is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이러한 제1 가이더(33)는 제1 베이스부(31)에 돌출된 상태에서 돌출된 단부 위치에 제1 경사면(33a)이 형성되는 바, 후술하는 제2 가이더(43)와의 사이에서 아스콘의 시공 작업의 용이한 가이드가 가능하다.This first guider 33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31 and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33a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posi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sphalt concrete between the second guider 4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asy guidance of work is possible.

한편, 피니셔 플레이트(10)에는 삽입부(20)의 타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제2 슬라이더(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second slider 40 may be slidably installed on the finisher plate 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art 20 .

제2 슬라이더(40)는 삽입부(20)를 사이에 두고 제1 슬라이더(30)가 설치된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lider 40 may be installed to be slidable along a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lider 30 is installed, with the insertion part 20 interposed therebetween.

이러한 제2 슬라이더(40)는, 일측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제2 슬라이더 홀(13)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베이스부(41)와, 제2 베이스부(41)에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2 경사면(43a)이 형성된 제2 가이더(43)를 포함할 수 있다.This second slider 40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41 that moves along the second slider hole 13 with one sid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a second base portion 41. It may include a second guider 43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has a second inclined surface 43a formed on the protruding end.

제2 베이스부(41)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측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피니셔 플레이트(10)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base portion 41 is install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inisher plate 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has vertical height adjustment on the finisher plate 10. Possibly can be installed.

이를 위해 제2 베이스부(41)는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제2 슬라이더 홀(13)을 따라이동된 상태에서 볼트부재(15)가 제2 슬라이더 홀(13)을 통과하여 제2 베이스부(41)에 고정되는 바, 제2 베이스부(41)의 적절한 이동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base portion 41 is moved along the second slider hole 13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the bolt member 15 passes through the second slider hole 13 to form the second base portion ( 41), the second base portion 41 can be moved appropriately.

제2 베이스부(41)의 설치된 높이의 가변은 제2 베이스부(41)의 상하 높이 조절한 상태로 볼트부재(15)를 제2 슬라이더 홀(13)을 통과시켜 제2 베이스부(41)의 측면에 결합하는 바, 제2 베이스부(41)의 상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installed height of the second base part 41 can be changed by passing the bolt member 15 through the second slider hole 13 with the top and bottom height of the second base part 41 adjusted. By being coupled to the side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 the vertical height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 can be adjusted.

이러한 제2 베이스부(41)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은, 바닥면에 시공하는 아스콘의 시공 폭에 대응하여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10 can be moved in response to the construction width of the asphalt concrete to be constructed on the floor surface.

즉, 제1 베이스부(31)와 제2 베이스부(41)는 아스콘의 시공 폭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된 거리를 적절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base portion 3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41 may be installed so that their distance from each oth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width of the asphalt concrete.

그리고, 제2 베이스부(41)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상하 높이 조절되는 것은, 아스콘이 바닥면에 시공되는 높이에 대응하여 높이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 can be adjusted up and down of the finisher plate 10 in response to the height at which asphalt concrete is installed on the floor.

한편, 제2 베이스부(41)가 피니셔 플레이트(10)에 높이 조절된 상태는 제2 스토퍼부(4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ase part 41 is adjusted in height to the finisher plate 10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stopper part 45.

제2 스토퍼부(45)는 제1 스토퍼부(35)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opper part 45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similar shape and size as the first stopper part 35 .

이러한 제2 스토퍼부(45)는 일측면에 제2 다단 안착부(45a)가 형성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 제2 베이스부(41)와 피니셔 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 사이 위치로 제2 다단 안착부(45a)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2 베이스부(41)의 높이 조절된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is second stopper part 45 is installed obliquely with a second multi-stage seating part 45a formed on one side, and the second multi-stage seating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edge of the second base part 41 and the finisher plate 10. The portion 45a may be inserted to stably support the height-adjusted load of the second base portion 4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100)는, 굴삭기의 버킷(1)에 삽입부(20)가 고정된 상태로, 굴삭기 암의 작동에 따라 바닥면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아스콘의 시공되는 폭과 높이를 적절하게 유지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100 for an excavator of this embodiment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portion 20 is fixed to the bucket 1 of the excavator and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lo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xcavator arm. It can be installed to ensure stable construction while maintaining the appropriate width and height of the asphalt concrete.

또한, 피니셔 플레이트(10)의 대향하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제1/제2 슬라이더(30, 40)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피니셔 플레이트(10)의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바, 아스콘의 시공되는 폭과 높이의 적절한 유지가 가능하여 아스콘의 시공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ers 30 and 40 can be adjusted at both opposite edges of the finisher plate 10, and the height of the finisher plate 10 can be easily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t is installed to do so,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width and height of the asphalt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construction quality of the asphalt concrete.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is is als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it falls within the scope of .

10...피니셔 플레이트 11...제1 슬라이더 홀
12...손잡이부 13...제2 슬라이더 홀
20...삽입부 21...제1 삽입부
21a..제1 삽입홀 23...제2 삽입부
23a..제2 삽입홀 30...제1 슬라이더
31...제1 베이스부 33...제1 가이더
33a..제1 경사면 40...제2 슬라이더
41...제2 베이스부 43...제2 가이더
43a..제2 경사면
10...Finisher plate 11...First slider hole
12...Handle part 13...2nd slider hole
20...insertion portion 21...first insertion portion
21a...first insertion hole 23...second insertion portion
23a...second insertion hole 30...first slider
31...First base part 33...First guider
33a...first slope 40...second slider
41...2nd base part 43...2nd guider
43a..second slope

Claims (5)

굴삭기의 버킷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일측에 돌출되는 피니셔 플레이트;
상기 삽입부의 일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를 포함하며,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제1 슬라이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상기 제2 슬라이더가 이동되는 제2 슬라이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일측은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 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는, 상기 제1 슬라이더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설치 높이가 가변되고,
상기 제1 베이스부의 하부에 지지되어 높이 가변된 상태를 지지하는 제1 스토퍼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일측은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타측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슬라이더 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2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된 제2 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2 슬라이더 홀을 통과하여 고정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설치 높이가 가변되고,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하부에 지지되어 높이 가변된 상태를 지지하는 제2 스토퍼부가 설치되는,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
A finisher plate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edge of the excavator bucket is inserted protrudes on one side;
a first slid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slide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isher plate;
Includes,
A first slider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lider moves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a second slider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slider move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nisher plate,
The first slider is,
a first base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first slider hole while one side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A first guider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and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on a protruding end,
The first base portion has a variable installation height by a bolt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slider hole and is fixed,
A first stopper pa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ase part to support the height-variable state,
The second slider is,
a second base portion that moves along the second slider hole with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a second guider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finisher plate an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on a protruding end,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econd base part is variable by a bolt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second slider hole and is fixed,
An asphalt concrete finisher device for an excavator, in which a second stopper par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base part to support the height-variabl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피니셔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부에는 상기 버킷의 가장자리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된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버킷의 가장자리의 타측이 삽입 고정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삽입부;
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아스콘 피니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sertion part,
a first insertion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nisher plate and having a first insertion groove formed on an upper portion into which one side of an edge of the bucket is inserted and fixed;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edge of the bucket is inserted and fix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insertion portion;
Containing, asphalt finisher device for excav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88882A 2023-07-10 2023-07-10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KR102639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82A KR102639849B1 (en) 2023-07-10 2023-07-10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82A KR102639849B1 (en) 2023-07-10 2023-07-10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849B1 true KR102639849B1 (en) 2024-02-23

Family

ID=9004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882A KR102639849B1 (en) 2023-07-10 2023-07-10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84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677Y1 (en) * 2005-08-26 2005-11-21 강승호 work plate for shovel bucket
KR20170031511A (en) * 2015-09-11 2017-03-21 윤석은 collection and loading integrated apparatus salt
KR101879658B1 (en) 2016-11-10 2018-07-18 한국도로공사 Asphalt Pavement device
KR102262000B1 (en) * 2021-03-03 2021-06-08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Mortar pouring machine for sewage pipe rep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677Y1 (en) * 2005-08-26 2005-11-21 강승호 work plate for shovel bucket
KR20170031511A (en) * 2015-09-11 2017-03-21 윤석은 collection and loading integrated apparatus salt
KR101879658B1 (en) 2016-11-10 2018-07-18 한국도로공사 Asphalt Pavement device
KR102262000B1 (en) * 2021-03-03 2021-06-08 주식회사 모던비앤씨 Mortar pouring machine for sewage pipe rep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939007A (en) Adjustable concrete form
US2089094A (en) Stone spreading machine
US20060257207A1 (en) Concrete screed with movable leading edge
KR102639849B1 (en) Asphalt finisher for excavator
JP2007303222A (en) Device for compacting end part of pavement body
US7476053B2 (en) Portable form and method for using same for concrete strike-off
US7357596B2 (en) Concrete screed with movable leading edge
US5909981A (en) Bump cutting for wide-pour concrete floors
US3288041A (en) Multiple-use paver
US1726665A (en) Concrete-grooving device
US5702202A (en) Laying beam for a road finisher
EP2195489B1 (en) Machine for laying concrete paths
US2194754A (en) Mechanical cement finisher
JP4034127B2 (en) Paving material leveling equipment
US7604433B2 (en) Concrete screed with vertically adjustable gate
JP3235772U (en) Concrete block for pavement
DE19724975C2 (en) Screed edge strip cutter
JP2016138429A (en) Pavement leveling tool
CN108787302A (en) A kind of cement smearing device
US8052347B2 (en) Concrete screed with pivoting leading—edge blade for angular positioning thereof
CN217078316U (en) Material distributing device of pavement paver for inhibiting reflection cracks of asphalt pavement structural layer
CN108797285A (en) A kind of construction water mash dauber
US1846138A (en) Template
US2053900A (en) Road joint apparatus
US20110044757A1 (en) Concrete screed with angularly positionable rake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