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493B1 -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 Google Patents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493B1
KR102639493B1 KR1020210184375A KR20210184375A KR102639493B1 KR 102639493 B1 KR102639493 B1 KR 102639493B1 KR 1020210184375 A KR1020210184375 A KR 1020210184375A KR 20210184375 A KR20210184375 A KR 20210184375A KR 102639493 B1 KR102639493 B1 KR 10263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video content
sam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4889A (en
Inventor
홍충선
당 트리 응우옌
김기태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8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493B1/en
Publication of KR2023009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4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493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360°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360°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및 유선 통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360°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 video content are disclosed.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 wired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nds 360° video content to the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type of 360°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You can decide whether to make a request to one or more of the terminals.

Description

360°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방법{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 video content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 video content}

360°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직교(Orthogonal) 또는 비직교(Non-Orthogonal) 통신 자원을 사용하여 서버 모드, 장치 간 통신(Device-to-Device Communication) 모드를 결정하는 기지국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relates to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server mode and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ode using orthogonal or non-orthogonal communication resources to provide 360° video content.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에서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이 인포테인먼트 서비스에서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VR 기반 서비스를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매우 높은 데이터 속도와 초저지연이 만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인프라에 부담을 주는 상당한 양의 통신 및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하게 될 수 있다.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are expected to become important applications in infotainment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VR-based services to end users, very high data rates and ultra-low latency must be satisfied. This may require significant amounts of communication and computing resources that place a strain on the network infrastructure.

360°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 video content.

일 양상에 따르면,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및 유선 통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 wired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sends the 360 o video content to the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s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You can decide whether to make a request to one or more of the terminals.

제어부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을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버 모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OMA(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rovides a server mode for receiving content from a server, a D2D-OMA (Device to OMA) for providing content from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It can be decided on either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or D2D-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s.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또는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may be a user terminal that has all or part of the same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전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ll other user terminals that have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 All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an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일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컨텐츠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some of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 part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d the remaining content no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sen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an be transmitted.

제어부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획득하며, 프레임 단위 별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할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obtains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in units of frames of the 360 o video content, and can determine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o request the 360 o video content for each frame.

일 양상에 따르면,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 받는 단계; 및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method of providing 360o video content includes receiving a request for 360o video content from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quest 360 o video content from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It can be included.

결정하는 단계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을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버 모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OMA(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is a server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erver for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viewing information, and a D2D-OMA (D2D-OMA)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ingle content-providing user terminal. It can be decided on eithe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or D2D-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s.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또는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may be a user terminal that has all or part of the same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결정하는 단계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전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is to select,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ll other user terminals that have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ll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may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결정하는 단계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일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컨텐츠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determining step is to select,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some of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Part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d the remaining content no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sen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결정하는 단계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획득하며, 프레임 단위 별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할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In the determining step,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is acquired in units of frames of the 360 o video content, and the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o request the 360 o video content can be determined for each frame.

한정적인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360o 비디오 오 컨텐츠 스트리밍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Limited network resources can be used efficiently to meet the requirements of 360 o video content streaming service through a wireless network.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사용자 시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s 3 and 4 are exemplary diagrams to explain the user's field of view of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및 방법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동작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예에 따르면, 기지국(100)은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 또는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1 내지 15) 및 서버(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100)은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2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00)은 장치 간 통신(D2D :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D2D 통신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을 경유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하, 실시예에서 360o 비디오 컨텐츠는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 컨텐츠 등과 같이 전방위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base station 100 may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user terminals 11 to 15 and a server 20 that use or store 360 o video content. As an example, the base station 100 may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the server 20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the base station 100 can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rough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D2D) and transmit it to other user terminals. In the following embodiment, D2D communication assumes that user terminals communicate via a base station. Hereinafter, in the embodiments, 360 o video content includes all content that provides omnidirectional three-dimensional images, such as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content.

일 예로, D2D 통신은 OMA(Orthogonal Multiple Access) 또는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방식 일 수 있다. OMA 방식은 주파수, 시간, 코드, 리소스 블록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자원 차원에서 사용자에게 통신 자원이 직교하게 할당된다. 반면, NOMA 방식은 동일한 통신 자원에 여러 사용자가 할당된다.As an example, D2D communication may be an Orthogonal Multiple Access (OMA) or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method. In the OMA method, communication resources are orthogonally allocated to users in at least one radio resource dimension such as frequency, time, code, resource block, etc. On the other hand, in the NOMA method, multiple user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munication resource.

일 예를 들어, D2D-OMA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100)은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아 다른 하나의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D2D-NOMA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100)은 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 받아 다른 하나의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ing the D2D-OMA method, the base station 100 can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one user terminal and transmit it to another user. For another example, when using the D2D-NOMA method, the base station 100 can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two or more user terminals and transmit it to another use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의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ase station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00)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110),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120) 및 무선 통신부(110) 및 유선 통신부(120)와 연결된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 wired communication unit 120 that communicates with a serve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20. It may include (1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sends 360 o video content to one of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to request the above.

일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서버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서버 및 하나의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협력적으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둘 이상의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협력적으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받아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360 ° video content from a server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operatively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a server and one other user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one user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For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cooperatively receive 360 o video content from two or more other users and transmit i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을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버 모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OMA(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configures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viewing information into a server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erver, and a content provision user terminal in a single mode. It can be decided on either a D2D-OMA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or a D2D-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s.

일 예로, 제어부(130)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기 서버 모드, D2D-OMA 모드 및 D2D-NOMA 모드 중 적절한 모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모드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 를 가져오며, D2D-OMA 모드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Field of View, FoV)를 가진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가져오며, D2D-NOMA 모드에서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는 다른 두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가져온다. 또한, D2D-NOMA 모드에서는 SIC(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기술을 이용하여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컨텐츠 요청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select an appropriate mode among server mode, D2D-OMA mode, and D2D-NOMA mode to transmit 360 o video conten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For example, in server mode,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the server, and in D2D-OMA mode,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other user terminals with the same user field of view (FoV). o Video content is retrieved, and in D2D-NOMA mode,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two other user terminals with the same or similar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dditionally, in D2D-NOMA mode, 360 o video content can b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using SIC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technology.

일 예에 따르면, 360o 비디오 컨텐츠 기반 서비스의 경우, 기지국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를 위한 Quality of Service(QoS) 및 Quality of Experience(QoE) 뿐 만 아니라 스펙트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전송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According to one example, for 360 o video content-based services, the base station must select a transmission method that improves spectral efficiency as well as Quality of Service (QoS) and Quality of Experience (QoE) for users requesting cont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또는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has all or part of the same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t may be a user terminal.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시야 정보, 투사 유형(Projection Type), 360o 비디오 컨텐츠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의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 CSI) 정보를 알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projection type, 360 o video content type, and content streaming loca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can know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일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시야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을 서버 모드, D2D-OMA 모드, D2D-NOMA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모드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은 각각 고유한 시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반면, D2D-OMA 모드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시야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2D-NOMA 모드로 결정되는 사용자 단말은 3개의 사용자 단말로 구성된 하위 그룹이 있으며, 하위 그룹 내 사용자 단말의 시야 정보가 나머지 2 개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130 may determine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to be a server mode, D2D-OMA mode, or D2D-NOMA mode based on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For example, each user terminal determined to be in server mode may have unique field of view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user terminals determined in D2D-OMA mode may consist of a pair of user terminals having the same field of view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determined in D2D-NOMA mode has a subgroup consisting of three user terminals, and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within the subgroup may be covered by the remaining two user termina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전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ll of which have the same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The terminal is determined to be a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all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an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도 3을 참조하면,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거나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 12, 13은 동일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 또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서로 다른 시야 정보를 가지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시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mong multiple us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same base station, there may be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at are using or storing the same 360 o video content. For example, user terminals 11, 12, and 13 may be using or storing the same 360 o video content. At this time, each user terminal may have different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or some or all of them may have the same view information.

일 예로, 사용자 단말11을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 12, 13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라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의 시야 정보(b)와 사용자 단말 13의 시야 정보(a)는 서로 다른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 13이 가지고 있는 360o 비디오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 11에서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 12의 시야 정보(b)는 사용자 단말 11의 시야 정보(b)와 전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11은 시야 정보가 동일한 부분의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1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As an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user terminal 11 is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s 12 and 13 ar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s. For example,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b) of user terminal 11 and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a) of user terminal 13 have different field of view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360 o video content possessed by the user terminal 13 may not be used by the user terminal 11. On the other hand,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b) of the user terminal 12 may be completely identical to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b) of the user terminal 11. there is.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1 can receive 360 o video content with the same field of view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일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컨텐츠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selects another user who has some of the same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The terminal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part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The remaining content no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is It can be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도 4를 참조하면, 동일한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하고 있거나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1, 12, 13은 동일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이용 또는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서로 다른 시야 정보를 가지거나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시야 정보를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mong multiple user terminals connected to the same base station, there may be one or more user terminals that are using or storing the same 360 o video content. For example, user terminals 11, 12, and 13 may be using or storing the same 360 o video content. At this time, each user terminal may have different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or some or all of them may have the same view information.

일 예로, 사용자 단말11을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 12, 13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라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과 사용자 단말 13은 일부 동일한 시야 정보(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12는 사용자 단말 11과 일부 동일한 시야 정보(c)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11은 시야 정보가 동일한 부분의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12 및 사용자 단말 13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As an example, it may be assumed that user terminal 11 is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d user terminals 12 and 13 ar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s. For example, user terminal 11 and user terminal 13 may have some of the same view information (a). Additionally, the user terminal 12 may have some of the same field of view information (c) as the user terminal 11. Accordingly, user terminal 11 can receive 360 o video content with the same field of view information from user terminal 12 and user terminal 13.

일 예로, 사용자 단말 11은 시야 정보(a) 및 시야 정보(c)에 해당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12와 사용자 단말 13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나, 시야 정보(b)의 360o 비디오 컨텐츠는 제공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시야 정보(b)의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11로 제공할 수 있다.As an example, user terminal 11 may receive 360 o video content corresponding to field of view information (a) and field of view information (c) from user terminal 12 and user terminal 13, but the 360 o video content of field of view information (b) is cannot be provid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30 can receive the 360 o video content of the field of view information (b) from the server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획득하며, 프레임 단위 별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할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30 obtains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in units of frames of 360o video content, and may determine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o request the 360o video content for each frame.

일 예로, 사용자는 매 순간 360o 비디오 컨텐츠를 바라보는 시야를 바꿀 수 있다. 이에 따라, 매 순간 사용자의 시야 정보는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대상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확인하여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할 서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간격은 프레임 단위일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user can change the view of the 360 o video content at every moment. Accordingly,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may change at every moment, and accordingly, the target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may also change. Therefore, the control unit 130 can check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determine the server that will provide the 360 o video content and the user terminal that will provide the content. For example,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in frames.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 받을 수 있다(510).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base station providing 360o video content may receive a request for 360o video content from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5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requests 360 o video content from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You can decide whether to do it or no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을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버 모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OMA(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provides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in a server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erver, and a single content provider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It can be decided on either D2D-OMA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or D2D-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또는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has all or part of the same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t may be a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전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selects other user terminals that all have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t is determined by the providing user terminal, and all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an be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일부를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컨텐츠는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selects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some of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hat store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t is decided by the providing user terminal, and part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The remaining content no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The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requesting the content.

일 실시예에 따르며, 기지국은 360o 비디오 컨텐츠의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획득하며, 프레임 단위 별로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할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station obtains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on a frame basis of 360 o video content, and can determine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o request the 360 o video content for each frame unit.

도 5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다.The specific embodiment of FIG. 5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redundant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des and code segments implementing the above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isk, etc.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written and executed as computer-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patent claims.

11~15: 사용자 단말
20: 서버
100: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110: 무선 통신부
120: 유선 통신부
130: 제어부
11~15: User terminal
20: Server
100: Base station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110: Wireless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Wired communication department
130: control unit

Claims (12)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유선 통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을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버 모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OMA(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로 결정하되,
상기 D2D-OMA 모드는,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Field of View)를 가진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가져오며,
상기 D2D-NOMA 모드는,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는 다른 두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가져오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 wired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Server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erver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 server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ingle content provision user terminal; Decide on D2D-OMA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or D2D-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that provides multiple content,
In the D2D-OMA mode,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another user terminal with the same user field of view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The D2D-NOMA mode is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in which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two other user termina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전부를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 which receives all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컨텐츠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some of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Receiving a portion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which receives the remaining content no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from the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60o 비디오 컨텐츠의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획득하며,
프레임 단위 별로 상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할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지국.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Obtaining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in frame units of the 360 o video content,
A base station that provides 360 o video content, which determines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o request the 360 o video content on a frame-by-frame basis.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 받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 및 사용자 시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을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서버 모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OMA(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 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는 D2D-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모드로 결정하며,
상기 D2D-OMA 모드는,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Field of View)를 가진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가져오며,
상기 D2D-NOMA 모드는,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는 다른 두 사용자 단말로부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가져오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Receiving a request for 360 o video content from a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o request the 360 o video content from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based on the type of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ing step is,
360 o Server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erver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based on the type of video content, content streaming location, and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nd D2D-OMA (Device to Devic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singl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Communicati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or D2D-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mode in which content is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that provides multiple contents,
In the D2D-OMA mode,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another user terminal with the same user field of view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The D2D-NOMA mode is a method of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in which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retrieves 360 o video content from two other user terminals having the same or similar user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전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전부를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decision step is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360 o video content, wherein all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 중 동일한 컨텐츠 스트리밍 위치에서 일부 동일한 사용자 시야 정보를 가지고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을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 결정하며,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이 요청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의 일부를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제공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지 않는 나머지 컨텐츠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decision step is
Among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storing the same content as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nother user terminal that has some of the same user field of view information at the same content streaming location is determined as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Receiving a portion of the 360 o video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from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360o video content in which the remaining content no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ser termi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questing user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360o 비디오 컨텐츠의 프레임 단위로 사용자의 시야 정보를 획득하며,
프레임 단위 별로 상기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요청할 서버 및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360o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decision step is
Obtaining the user's field of view information in frame units of the 360 o video content,
A method of providing 360o video content, determining a server and one or more other user terminals to request the 360o video content on a frame-by-frame basis.
KR1020210184375A 2021-12-21 2021-12-21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KR1026394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75A KR102639493B1 (en) 2021-12-21 2021-12-21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375A KR102639493B1 (en) 2021-12-21 2021-12-21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889A KR20230094889A (en) 2023-06-28
KR102639493B1 true KR102639493B1 (en) 2024-02-23

Family

ID=8699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375A KR102639493B1 (en) 2021-12-21 2021-12-21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4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59B1 (en) * 2016-10-21 2018-01-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 degree im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521A (en)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service through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server and system
KR102632270B1 (en) * 2015-11-27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d generating panorama vide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0359B1 (en) * 2016-10-21 2018-01-1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360 degre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4889A (en)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0246B (en) Network sli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JP6941679B2 (en) Network slice selec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equipment
US114450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s
JP589289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content distribution based on movement
KR101072966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ng file data
WO2020043208A1 (en) Network slice sel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6301331B2 (en) Service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service management platform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1686073B1 (en) Method,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llowing client terminal to be provided with services by converting network topology adaptivel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s
US20040105458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server apparatus, and client apparatus
KR102639493B1 (en) A bas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360°video content
KR20150025484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WO2023001083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gateway, device, and storage medium
US9693260B2 (en)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77837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selection of algorithms to load and spread traffic on an aggregation of network interface cards
KR101697289B1 (en) System for integrating multi wireless networks based on software defined network and method therefor
CN109379277B (en) Distributed IM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routing addressing
US20140164608A1 (en) Content transmission system
WO2021212999A1 (en) Media packet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7358665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WO2024103237A1 (en) Sensing service execu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050177874A1 (en) Access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access information generating method and receiver device
CN111557088B (en) Method for transmitting frames via an access point of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5058758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ITS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101580635B1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in heterogeneous network
KR101496554B1 (en) Method for receiving content in the content centric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