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271B1 -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 Google Patents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271B1
KR102639271B1 KR1020220172047A KR20220172047A KR102639271B1 KR 102639271 B1 KR102639271 B1 KR 102639271B1 KR 1020220172047 A KR1020220172047 A KR 1020220172047A KR 20220172047 A KR20220172047 A KR 20220172047A KR 102639271 B1 KR102639271 B1 KR 10263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pace
holder
insertion portio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집쇼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7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21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cameras and obje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플래폼(200)을 제공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에 3차원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시스템(100); 상기 서버(400)가 제공하는 상기 온라인 플래폼(200)에 접속하여 상기 카메라 시스템(100)이 제공한 촬영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2 수요자 단말(300a, 300b)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시스템(100)은 상기 3차원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60), 상기 카메라(6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거치대(70), 상기 거치대(70)의 하부에 위치하는 쿠션 시트(80), 및 상기 카메라(60), 거치대(70) 및 쿠션 시트(80)를 보관할 수 있는 카메라 케이스(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공간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Space rental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space based on 3D space scan data}
본 발명은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간 대여란 교습소, 공부방, 카메라 스튜디오, 결혼식장, 사무실 등 소유자는 수요자에게 공간을 일정 시간 대여해주고 수요자는 이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다.
생활 공간 서비스의 대표적 기업인 스페이스 클라우드는 2022년 현재 누적 거래액 700억을 돌파했으며 MZ세대를 타겟으로 누적 회원 100만원 및 누적 거래 예약 300만건을 돌파하는 것처럼 공간 대여 시장은 확장되고 있다.
공간(교습소, 공부방, 카메라 스튜디오, 결혼식장, 사무실) 소유자는 자신이 소유하는 온라인상으로 홍보 자료나 사진을 검토하고 공간 소유자에게 대여를 신청하게 되는데 실제 대여 장소에 도착해서는 온라인상으로 검토한 자료와 실제 공간에서 느끼는 상황이 달라서 실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도 1과 같이 실제 공간과 같이 촬영을 한 후 소비자에게 이미지를 공개하고 예약하는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여하고자 하는 공간을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제와 같이 촬영을 하여 가상 공간을 제작하고 이를 온라인 플래폼에 게시하여 수요자가 실제 공간과 같은 촬영 이미지를 기초로 공간 대여 예약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개 특허 제10-2014-0090022호 (2014.07.16) 등록 특허 제10-2435185-0000호 (2022.08.18)
본 발명에서는 3차원 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을 통하여 실제 공간과 같이 촬영을 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기초로 가상 현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가상 현실을 기초로 공간 대여 온라인 플래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3차원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거치대, 쿠션 시트 및 카메라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시트는 카메라가 넘어지는 경우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3차원 공간 촬영시 적합한 조명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카메라 케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폰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카메라 설치에 적합한 장소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에는 카메라 부품 및 상기 쿠션 시트가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에 손잡이를 2개 구비하고 덮개가 제1 측면에 2번 결합되게 하여 덮개가 제1 측면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공간을 대여하기 위한 온라인 플래폼(200)을 제공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에 3차원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시스템(100); 상기 서버(400)가 제공하는 상기 온라인 플래폼(200)에 접속하여 상기 카메라 시스템(100)이 제공한 촬영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2 수요자 단말(300a, 300b)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시스템(100)은 상기 3차원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60), 상기 카메라(6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거치대(70), 상기 거치대(70)의 하부에 위치하는 쿠션 시트(80), 및 상기 카메라(60), 거치대(70) 및 쿠션 시트(80)를 보관할 수 있는 카메라 케이스(90)를 포함하는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 시스템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온라인 플래폼(200)은 상기 대여되는 공간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201), 상기 검색된 공간의 이미지를 전시하는 3차원 이미지 전시부(210), 상기 검색된 공간에 대한 대여하기 위한 예약 가능 날짜 선택부(220)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전시부(210)는 3차원 공간의 가상현실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대(70)는 상기 카메라(6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카메라 고정부(73), 상기 카메라 고정부(73) 아래에 위치하는 거치대 다리 고정부(74) 및 상기 거치대 다리 고정부(74)에 고정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90)는 상부면(93), 상기 상부면(93)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 및 상기 상부면(93)을 덮고 상기 제1 측면(91a)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는 덮개(9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91a)에는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및 상기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벨크로 결합부(91a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92)는 제1 측면 덮개부(92a)와 상부면 덮개부(9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덮개부(92a)는 상기 2개의 덮개 결합홈(91ab)와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덮개 결합 볼록부(92ab)와 상기 2개의 덮개 결합 볼록부(92ab)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결합부(91ac)와 결합되는 제2 벨크로 결합부(92ac)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93)에는 카메라(60)가 삽입 가능한 카메라 삽입부(93a), 거치대(70)가 삽입가능한 거치대 삽입부(93b) 및 시트(80)가 삽입가능한 시트 삽입부(9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삽입부(93a)는 카메라 본체(61)가 놓여지는 본체 삽입부(93ab)와 상기 본체 삽입부(93ab)의 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 삽입부(93ac)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삽입부(93ab)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마주보는 2개의 면에는 2개씩 돌기부(93a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93aa)의 상부에는 경사면(93aa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 삽입부(93b)는 카메라 고정부(73)가 삽입되는 카메라 고정부 삽입부(93be), 거치대 다리 고정부(74)가 삽입되는 거치대 다리 고정부 삽입부(93bd)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 삽입부(93ba, 93bb, 93bc)를 포함하고, 카메라 고정부 삽입부(93be)의 단부, 거치대 다리 고정부 삽입부(93bd)의 양쪽 단부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의 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홈(93baa)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 시트(80)는 쿠션 본체(81), 상기 쿠션 본체(81)의 측면에 형성된 시트 손잡이(82), 상기 쿠션 본체(81)의 가로 방향을 관통하는 오목 홈(83), 및 상기 쿠션 본체(81)의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접힘부(82)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 본체(81)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지면 고정부(77a, 77b, 77c)가 위치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개구(81a, 81b, 8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의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은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의 각각의 방향에서의 조명도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조명 센서(91aa, 91ba, 91ca, 91d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차원 공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을 통하여 실제 공간을 촬영 하여 실제 공간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온라인 플래폼에 제공하여 수요자가 실제 공간과 같은 이미지를 보고 공간 대여를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3차원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시스템은 카메라, 거치대, 쿠션 시트 및 카메라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시트는 카메라가 넘어지는 경우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케이스에 카메라, 거치대, 쿠션 시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하여 3차원 공간 촬영을 위한 카메라의 보호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3차원 공간 촬영시 적합한 조명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카메라 케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의 정보를 기초로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 제어부를 통해 카메라의 촬영에 적합한 장소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카메라가 넘어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바닥에 쿠션 시트를 설치하여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에는 카메라 부품 및 상기 쿠션 시트가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운반이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에 손잡이를 2개 구비하고 덮개가 제1 측면에 2번 결합되게 하여 덮개가 제1 측면에서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카메라가 쉽게 케이스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하여 촬영된 3차원 영상을 통해 공간 대여를 운영하는 플래폼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하여 촬여된 공간에 대한 가상 현실에 대한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하여 촬영되는 공간에 대한 예시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공간 대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 시스템의 카메라(60) 및 거치대(7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시스템의 카메라(60), 거치대(70) 및 쿠션 시트(8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시스템의 쿠션 시트(8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 시스템의 카메라 케이스(90)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 시스템에 의하여 촬영된 3차원 영상을 통해 공간 대여를 운영하는 플래폼에 대한 이미지로서, 3차원 이미지와 예약 가능한 날짜와 시간이 전시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3차원 이미지를 통해 임대하고자 하는 공간을 확인하고 예약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온라인 플래폼(200)을 제공하는 서버(400), 서버(400)에 3차원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시스템(100), 상기 서버(400)가 제공하는 플래폼(200)에 접속하여 카메라 시스템(100)이 제공한 촬영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2 수요자 단말(300a, 300b)을 포함한다.
서버(400)가 제공하는 플래폼(200)은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창(201), 3차원 이미지 전시부(210), 예약 가능 날짜 선택부(220)를 제공하고, 제1 내지 제2 수요자 단말(300a, 300b)은 상기 플래폼(200)에 접속하여 검색창(201)을 통해 원하는 대여 공간을 검색하고 3차원 이미지 전시부(210)를 통해 공간의 3차원 이미지를 리뷰한 후 예약 가능 날짜 선택부(220)를 통해 공간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전시부(210)를 클릭하면 도 2a 내지 도 2b와 같이 사용자는 실제 3차원 공간의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글등을 끼고 도 2a 내지 도 2b에서 구현되는 가상 현실을 체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이 촬영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상기 공간은 바닥면(1), 상기 바닥면(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면(3a, 3b) 및 천장면(2)을 포함하고, 제1 측면(3a)에는 다양한 장식품(3aa, 3ab, 3ac)이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면(3b)에는 제1 및 제2 윈도우(3ba, 3bb)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바닥면(1)에는 테이블(4)과 제1 내지 제3 의자(4a, 4b, 4c)가 놓여지고 서랍장(6)이 설치되어 있을수 있다.
도3a와 도 3b는 카메라(60), 거치대(70) 및 쿠션 시트(80)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100)을 상기 공간(10)에 설치하고 3차원 공간을 촬영하는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 공간(10) 내에서 위치를 옮겨가면서 카메라(60)를 통해 촬영을 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카메라(60)와 거치대(70)에 대한 사시도로서, 카메라(60)는 카메라 본체(61)와 카메라 손잡이(62)를 포함하고, 거치대(70)는 카메라 고정부(73), 거치대 다리 고정부(74)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를 포함한다.
카메라(60)는 카메라 고정부(73)에 고정되며 카메라 고정부(73)는 회전이 가능하여 카메라(60)은 회전이 되면서 3차원 공간을 촬영한다.
카메라 고정부(73) 하부에는 거치대 다리 고정부(74)가 있으며, 거치대 다리 고정부(74)의 가운데에 제1 거치대 다리(75-1)가 고정되고 제1 거치대 다리(75-1)의 좌우에 제2 및 제3 거치대 다리(75-2, 75-3)가 고정된다.
제1 거치대 다리(75-1)은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내지 제5 보조 다리(75a1, 75b1, 75c1, 75d1, 75e1)가 있으며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 다리는 상부의 내부에 끼워지면서 도 4b와 같이 접혀지고, 제2 내지 제5 보조 다리(75b1, 75c1, 75d1, 75e1)의 각각의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 보조 다리 고정부(76a1, 76b1, 76c1)가 있어서 제2 내지 제5 보조 다리(75b1, 75c1, 75d1, 75e1) 사이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제1 및 제2 보조 다리(75a1, 75b1)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로에 대해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및 제3 거치대 다리(75-2, 75-3)로 제1 거치대 다리(75-1)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한다.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의 각각의 단부에는 지면과 접촉하는 제1 내지 제3 지면 고정부(77a, 77b, 77c)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대(70)는 쿠션 시트(80)에 고정되고, 쿠션 시트(80)에는 제1 내지 제3 지면 고정부(77a, 77b, 77c)가 위치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개구(81a, 81b, 81c)가 설치되어 있다.
쿠션 시트(80)를 바닥에 먼저 깔고 거치대(70)를 쿠션 시트에 위치 시킨후 카메라(60)를 거치대(70)에 설치하도록 하여, 만일에 거치대(70)가 넘어져도 쿠션 시트(80)에서 카메라(60)의 충격을 흡수하여 카메라(60)가 고장나지 않게 하고자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쿠션 시트(80)에는 쿠션 본체(81) 및 상기 쿠션 본체(81)의 측면에 형성된 시트 손잡이(82)를 포함하고, 쿠션 본체(81)를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오목 홈(83) 및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접힘부(82)이 형성되어 쿠션 본체(81)은 세로 방향으로 접힌 후 가로 방향으로 말리면서 접힐수 있다.
쿠션 본체(81)에는 제1 내지 제3 개구(81a, 81b. 81c)가 형성되어 제1 내지 제3 지면 고정부(77a, 77b, 77c)가 끼워지면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목 홈(83)에 의해 접혀진 후 다수의 접힘부(82)를 통해 감긴 쿠션 시트(80)는 카메라 케이스(90)의 시트 삽입부(93c)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카메라 케이스(90)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카메라 케이스(90)는 상부면(93), 상기 상부면(93)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 및 상기 상부면(93)을 덮고 상기 제1 측면(91a)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는 덮개(9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91a)에는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상기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벨크로 결합부(91ac)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92)는 제1 측면 덮개부(92a)와 상부면 덮개부(9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덮개부(92a)에는 상기 2개의 덮개 결합홈(91ab)와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덮개 결합 볼록부(92ab)와 상기 2개의 덮개 결합 볼록부(92ab)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결합부(91ac)와 결합되는 제2 벨크로 결합부(92ac)를 포함한다.
제1 측면 덮개부(92a)와 제1 측면(91a)이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및 제1 벨크로 결합부(91ac)의 결합에 의해 2중으로 결합되어 2개의 덮개 결합홈(91ab)이 고장이 발생해도 제1 측면 덮개부(92a)가 제1 측면(91a)으로부터 바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카메라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였다.
상부면(93)에는 오목한 형상의 카메라 삽입부(93a), 거치대 삽입부(93b) 및 시트 삽입부(93c)를 포함하여, 카메라(60), 거치대(70) 및 쿠션 시트(8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삽입부(93a)는 카메라 본체(61)가 놓여지는 본체 삽입부(93ab)와 상기 본체 삽입부(93ab)의 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 삽입부(93ac)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삽입부(93ab)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마주보는 2개의 면에는 2개씩 돌기부(93aa)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카메라(60)를 카메라 삽입부(93a)에 보관할때 2개의 돌기부(93aa)사이및 돌기부(93aa)의 측면에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카메라(60)를 빼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며 돌기부(93aa)의 상부에는 경사면(93aa1)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메라(60)를 카메라 삽입부(93a)에 넣을때 미끄러지면서 삽입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거치대 삽입부(93b)에는 카메라 고정부(73)가 삽입되는 카메라 고정부 삽입부(93be), 거치대 다리 고정부(74)가 삽입되는 거치대 다리 고정부 삽입부(93bd)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 삽입부(93ba, 93bb, 93bc)를 포함하고, 카메라 고정부 삽입부(93be)의 단부, 거치대 다리 고정부 삽입부(93bd)의 양쪽 단부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의 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홈(93baa)이 형성되어 삽입된 거치대(90)를 용이하게 뺄수 있다.
또한, 카메라 케이스의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에는 제1 내지 제4 조명 센서(91aa, 91ba, 91ca, 91da)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의 앱 또는 카메라 제어부와 통신 연결되어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 방향에서의 조명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 또는 카메라 제어부에 알려줄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케이스를 옮겨가면서 제1 내지 제4 조명 센서(91aa, 91ba, 91ca, 91da)와 사용자 앱 또는 카메라 제어부를 통해 얻은 조명도 정보를 통해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에서의 조명도 편차가 가장 적은 위치를 카메라의 촬영 위치로 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 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바닥면 3a, 3b: 제1 및 제2 측면
60: 카메라 61: 카메라 몸체
62: 손잡이 70: 거치대
73: 카메라 고정부 74: 거치대 다리 고정부
75-1, 75-2, 75-3: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
80: 쿠션 시트 82: 시트 손잡이
83: 오목 홈 90: 카메라 케이스
91a, 91b, 91c, 91d: 제1 내지 제4 측면
92: 덮개 92a: 제1 측면 덮개부
92b: 상부면 덮개부 93: 상부면

Claims (3)

  1. 공간을 대여하기 위한 온라인 플래폼(200)을 제공하는 서버(400);
    상기 서버(400)에 3차원 촬영 이미지를 제공하는 카메라 시스템(100);
    상기 서버(400)가 제공하는 상기 온라인 플래폼(200)에 접속하여 상기 카메라 시스템(100)이 제공한 촬영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2 수요자 단말(300a, 300b)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시스템(100)은 3차원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60), 상기 카메라(6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거치대(70), 상기 거치대(70)의 하부에 위치하는 쿠션 시트(80), 및 상기 카메라(60), 거치대(70) 및 쿠션 시트(80)를 보관할 수 있는 카메라 케이스(90)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플래폼(200)은 상기 대여되는 공간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201), 상기 검색된 공간의 이미지를 전시하는 3차원 이미지 전시부(210), 상기 검색된 공간에 대한 대여하기 위한 예약 가능 날짜 선택부(220)를 제공하고,
    상기 이미지 전시부(210)는 3차원 공간의 가상 현실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거치대(70)는 상기 카메라(6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카메라 고정부(73), 상기 카메라 고정부(73) 아래에 위치하는 거치대 다리 고정부(74) 및 상기 거치대 다리 고정부(74)에 고정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90)는 상부면(93), 상기 상부면(93)의 각각의 모서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 및 상기 상부면(93)을 덮고 상기 제1 측면(91a)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는 덮개(9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91a)에는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및 상기 2개의 덮개 결합홈(91a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벨크로 결합부(91ac)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92)는 제1 측면 덮개부(92a)와 상부면 덮개부(9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덮개부(92a)는 상기 2개의 덮개 결합홈(91ab)와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덮개 결합 볼록부(92ab)와 상기 2개의 덮개 결합 볼록부(92ab)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벨크로 결합부(91ac)와 결합되는 제2 벨크로 결합부(92ac)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93)에는 카메라(60)가 삽입 가능한 카메라 삽입부(93a), 거치대(70)가 삽입가능한 거치대 삽입부(93b) 및 시트(80)가 삽입가능한 시트 삽입부(93c)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삽입부(93a)는 카메라 본체(61)가 놓여지는 본체 삽입부(93ab)와 상기 본체 삽입부(93ab)의 측면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 삽입부(93ac)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삽입부(93ab)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고 마주보는 2개의 면에는 2개씩 돌기부(93a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부(93aa)의 상부에는 경사면(93aa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 삽입부(93b)는 카메라 고정부(73)가 삽입되는 카메라 고정부 삽입부(93be), 거치대 다리 고정부(74)가 삽입되는 거치대 다리 고정부 삽입부(93bd)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 삽입부(93ba, 93bb, 93bc)를 포함하고,
    카메라 고정부 삽입부(93be)의 단부, 거치대 다리 고정부 삽입부(93bd)의 양쪽 단부 및 제1 내지 제3 거치대 다리(75-1, 75-2, 75-3)의 단부에는 외부로 연장되는 홈(93ba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 시트(80)는 쿠션 본체(81), 상기 쿠션 본체(81)의 측면에 형성된 시트 손잡이(82), 상기 쿠션 본체(81)의 가로 방향을 관통하는 오목 홈(83), 및 상기 쿠션 본체(81)의 세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접힘부(82)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 본체(81)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 지면 고정부(77a, 77b, 77c)가 위치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3 개구(81a, 81b, 8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 케이스의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은 제1 내지 제4 측면(91a, 91b, 91c, 91d)의 각각의 방향에서의 조명도을 측정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조명 센서(91aa, 91ba, 91ca, 91d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 시스템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72047A 2022-12-09 2022-12-09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KR10263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047A KR102639271B1 (ko) 2022-12-09 2022-12-09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047A KR102639271B1 (ko) 2022-12-09 2022-12-09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271B1 true KR102639271B1 (ko) 2024-02-21

Family

ID=9005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047A KR102639271B1 (ko) 2022-12-09 2022-12-09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69A (ko) * 1989-10-07 1991-05-30 오오가 노리오 비디오 카메라 및 부속품 운반용 케이스
JPH06308601A (ja) * 1993-04-20 1994-11-04 Yasufumi Yamagata カメラ安定保持具
KR20140090022A (ko) 2013-01-08 2014-07-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3차원 전자지도상에 촬영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9862B1 (ko) * 2018-08-06 2020-03-17 현대건설주식회사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조명일체형 카메라 지지대
KR20200033608A (ko) * 2018-09-20 2020-03-30 이원희 공간 대여 시스템
KR20200088594A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브리즘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KR102435185B1 (ko) 2021-03-25 2022-08-22 노원일 360°vr촬영 기반의 3차원 이미지 생성 및 360°vr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7469A (ko) * 1989-10-07 1991-05-30 오오가 노리오 비디오 카메라 및 부속품 운반용 케이스
JPH06308601A (ja) * 1993-04-20 1994-11-04 Yasufumi Yamagata カメラ安定保持具
KR20140090022A (ko) 2013-01-08 2014-07-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3차원 전자지도상에 촬영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9862B1 (ko) * 2018-08-06 2020-03-17 현대건설주식회사 수평조절기능을 갖는 조명일체형 카메라 지지대
KR20200033608A (ko) * 2018-09-20 2020-03-30 이원희 공간 대여 시스템
KR20200088594A (ko) *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브리즘 3d 이미지 생성용 촬영 장치
KR102435185B1 (ko) 2021-03-25 2022-08-22 노원일 360°vr촬영 기반의 3차원 이미지 생성 및 360°vr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 et al. Generating a virtual tour for the preservation of the (in)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Tampines Chinese Temple in Singapore
ES2771399T3 (es) Sistema informático para hacer panorámicas oblicuas continuas
CN102763404B (zh) 摄影装置、信息取得系统及程序
Portalés et al. Photogrammetry and augmented reality for cultural heritage applications
KR101302929B1 (ko) 위치지정 가능한 장소에서 사람이 경험한 감정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 연관 서버
Varnajot “Walk the line”: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ritual of crossing the Arctic Circle—Case Rovaniemi
US9053566B1 (en) Real estate blueprint and panoramic video visualization
KR102639271B1 (ko) 3d 공간 스캔 데이터 기반 가상 공간을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Blakely et al. Everyday practices of memory: Authenticity, value and the gift
Coulton et al. Designing mobile augmented reality art applications: addressing the views of the galleries and the artists
Duer et al.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Illuminating the hidden histories of the world war I tunnels at vauquois through a hybridized virtual reality exhibition
KR102573048B1 (ko) 3d 공간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공간 대여 시스템
KR102584433B1 (ko) 3차원 공간 촬영 카메라 시스템
Huang et al. From archive, to access, to experience––historical documents as a basis for immersive experiences
JP6849895B2 (ja) 位相特定装置、携帯端末、位相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arlton Melancholy mapping: A ‘dispatcher’s eye’and the locations of loss in Johannesburg
CN113282179A (zh) 一种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EP1093090A1 (en) Digital photograph album
Pettigrew Parallel landscapes: Ritual and political values of a shamanic soul journey
Penz The Cinema in the Map–The Case of Braun and Hogenberg’s Civitates Orbis Terrarum
Eve et al. More than modal? Exploring affect, affordance, invitation and solicitation
Schnädelbach et al. The iterative design process of a location-aware device for group use
KR102655400B1 (ko) 360도 이미지를 기반으로 스토리텔링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im et al. Travel q: Questifying micro activities using travel photos to enhance travel experience
Schnädelbach et al. The Augurscope: refining its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