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031B1 -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 Google Patents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031B1
KR102636031B1 KR1020220108090A KR20220108090A KR102636031B1 KR 102636031 B1 KR102636031 B1 KR 102636031B1 KR 1020220108090 A KR1020220108090 A KR 1020220108090A KR 20220108090 A KR20220108090 A KR 20220108090A KR 102636031 B1 KR102636031 B1 KR 10263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ntrol device
toilet
sensor modu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0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규홍
Original Assignee
임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규홍 filed Critical 임규홍
Priority to KR102022010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5Proximity switches using a capacitive detec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정전용량 센서 모듈로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대상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 모듈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의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More specifically, by enabling all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device to be used with a single capacitance sensor module, the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installation accordingly. This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that can be used easily and intuitively guides the user on how to use it.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sensor module made of a capacitive type, a control device that process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nsor module, and a control target devic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The sensor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Description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Toilet control apparatus using a non-contact capacitive sensor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본 발명은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정전용량 센서 모듈로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More specifically, by enabling all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device to be used with a single capacitance sensor module, the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installation accordingly. This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that can be used easily and intuitively guides the user on how to use it.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에는 해당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사용자 등으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위치는 푸쉬 스위치, 토글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등과 같이 물리적인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Generally, electrical appliances are equipped with switches to receive signal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al appliance from the user, etc., and these switch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ush switches, toggle switches, slide switches, etc. there is.

예를 들어, 도 1은 종래의 벽면 설치용 토글 스위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체(10)의 전면으로 스위치(2)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2)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를 눌러 기계적으로 동작시킴에 따라 ON 또는 OFF 동작하게 된다.For example,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oggle switch for wall installation, in which a switch 2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is mechanically operated by pressing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witch 2. It operates ON or OFF depending on the condition.

그러나, 푸쉬 스위치, 토글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등과 같은 기계적 스위치는 기구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물리적으로 이격된 접점체를 상호 접촉시키거나 접촉된 접점체를 이격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뤄짐에 따라 필연적인 물리적 마모를 수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mechanical switches such as push switches, toggle switches, slide switches, etc. require physically spaced contacts to contact each other or contact contacts to be spaced apart in ord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s these operations are repeated, it is inevi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entailed physical wear and tear.

이러한 물리적 마모는 스위치의 수명단축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전기적 단락 등의 안전 사고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is physical wear not only causes the lifespan of the switch to be shortened, but also causes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al short circuits.

특히 요즘과 같은 코로나 19에 의한 팬데믹 시대에는 공공 장소에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곳에 접촉하는 것은 상당히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다.Especially in these days of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there is a problem of being quite reluctant to come into contact with places that are frequently used by people in public places.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5582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전극(20)이 내장되도록 사출성형되는 플레이트(10); 및 상기 전극(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스위치의 ON/OFF 제어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위치를 ON 또는 OFF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제어보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보드(3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플레이트(20)와 조립되어 벽체(W)에 설치되는 금속성 재질의 하우징(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255829 as shown in FIGS. 1 and 2 was proposed, the technical feature of which is a plate (10) that is injection molded so that the electrodes (20) are embedded. ); and a detection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10 to detect changes in capacitance, and controls the switch to ON or OFF by determining whether to control the switch ON/OFF according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 housing 40 made of a metallic material, which includes a control board 30 with a control unit, and is assembled with the plate 20 and installed on the wall W while accommodating the control board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255829호에 기재된 기술은 인체의 손이나 임의의 대상물이 스위치에 근접함에 따라 정전용량에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대상물과 비접촉인 상태에서도 스위치에 의한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단순 온오프 제어만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제어를 위해서는 다수의 센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No. 10-1255829 detects changes in capacitance as the human hand or any object approaches the switch, and detects changes in electrostatic capacity by the switch even when not in contact with the object. There i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but since only simple on-off control is possible, a large number of sensors must be installed for various controls, which makes the structure complicat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또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치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various products becaus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nstallation is not easy.

한국등록특허 제10-1255829호(2013.04.11.등록)Korean Patent No. 10-1255829 (registered on April 11,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센서 모듈을 통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 모션의 다양한 패턴을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센서모듈만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장치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various control by recognizing various patterns of motion detected in a non-contact manner as control signals through a single capacitive sensor module. By doing so, the aim is to provide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that simplifies the structure by allowing all functions of the device to be used in a non-contact manner with only one sensor module and thus facilitates install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 장소에서 하나의 센서 모듈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홀로그램 방식으로 안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장치를 비접촉 방식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olographic guidance on how to use various functions with a single sensor module in public places used by many people,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check how to use the device and use it in a non-contact manner. The aim is to provide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that can be easily us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se problems;

정전 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대상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ensor module made of a capacitive type, a control device that processe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nsor module, and a control target devic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여기서, 상기 센서 모듈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의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nsor module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이때, 상기 센서 모듈은 다수개의 단위 센서 부재와,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단위 센서 부재와 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nsor modul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nit sensor member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nd a connection wire connecting the unit sensor member and the connector.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각 단위 센서 부재의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통하여 대상물의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cts the mo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changing capacitance of each unit sensor member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i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여기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는 공중 화장실에 설치된 스피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 파일 중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되는 음악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sists of a speaker installed in a public restroom, and when the control device receives a signal from the sensor module, it transmits music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from among the music file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unit to the communication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through a module and output.

한편,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변기 장치가 더 연결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변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toilet devic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s the control target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functions of the toilet device according to signals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이때, 상기 변기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살균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기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 모터를 작동시켜 시트와 변기 커버를 덮은 후, 상기 변기 커버의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를 통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시트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when the toilet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steriliz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it operates a cover motor provided in the toilet device to cover the seat and the toilet cover, and then uses an ultraviolet sterilize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cover. It is characterized by sterilizing the sheet for a set period of time.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의 상부로 홀로그램 이미지를 조사하는 홀로그램 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모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ologram device that projects a hologram image onto the sensor module is further provided, and the hologram device outputs motions for using each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

여기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상부로 출력된 홀로그램 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위치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면 그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performs corresponding control when a change in capacitance is detected at a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output to the top of the sensor modul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센서 모듈을 통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감지한 모션의 다양한 패턴을 제어신호로 인식하여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센서모듈만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장치의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various patterns of motion detect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single capacitive sensor module are recognized as control signals to enable various controls, enabling a non-contact method with only one sensor module. By allowing all of the device's functions to be used,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installation easier.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 장소에서 하나의 센서 모듈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홀로그램 방식으로 안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방법을 확인할 수 있어 해당 장치를 비접촉 방식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olographic guidance on how to use various functions with a single sensor module in public places used by many people, so that users can intuitively check how to use the device, making it easy to use the device in a non-contact manner.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usable.

도 1은 종래의 비접촉 근접 스위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비접촉 근접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단위 센서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센서 모듈 상부에서 특정 모션을 취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제어 대상 장치인 변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홀로그램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모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non-contact proximity switch.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non-contact proximity switch.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sensor member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a specific motion taken at the top of the sensor module of the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oilet device, which is a control target device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hologram device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tion for using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for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dditional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단위 센서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센서 모듈 상부에서 특정 모션을 취하는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제어 대상 장치인 변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홀로그램 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모션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sensor member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of a restroom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a specific motion taken at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module of the restroom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block diagram of the restroom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toilet device, which is a control target device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nd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hologram device of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stalled state. ,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tion for using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모듈(100)과 상기 센서 모듈(100)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200)와 상기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대상 장치(3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ive sensor. As shown in FIGS. 3 to 7,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module 100 made of a capacitive method and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nsor module 100. It consists of a control device 200 that processes and a control target device 300 that is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여기서, 상기 센서 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형성되어 사람의 손이나 터치펜 같은 대상물이 완전히 접촉되지 않더라도 소정거리 이내(약 20mm 정도)에 위치하면 정전 용량이 변화됨으로써, 이를 감지하여 비접촉방식으로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ensor module 100 is formed in a capacitive mann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even if an object such as a human hand or a touch pen is not completely contacted, the capacitance changes when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bout 20 mm), By detecting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rol target device 300 in a non-contact manner.

그래서, 코로나 19에 의한 팬데믹 시대에 공중 화장실을 사용할 때, 화장실의 도어 내측면에 설치되어 화장실에 구비된 변기 장치(320) 등을 포함한 대상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접촉에 의해 신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using a public restroom in the era of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it is possible to minimize direct contact with objects, including the toilet device 320, which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of the restroom and provided in the restroom. can prevent contamination.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100)은 다수개의 단위 센서 부재(110)와 상기 제어 장치(200)와 연결되는 커넥터(140)와 상기 단위 센서 부재(110)와 상기 커넥터(140)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connector 14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nit sensor members 110 and the control device 200, and a connection wire connecting the unit sensor members 110 and the connector 140. It can be done as (130).

여기서, 상기 단위 센서 부재(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필름(111)과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필름(113)과 상기 베이스 필름(111)과 상부 필름(113)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이스(112,trace)로 이루어진다.Here, as shown in FIG. 4, the unit sensor member 110 includes a base film 111 constituting the lower part, an upper film 113 constituting the upper part, and the base film 111 and the upper film 113. It consists of a trace (112, trace) located in between.

이때, 상기 상부 필름(113)과 베이스 필름(111)은 PET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필름(113)의 하면에 상기 트레이스(112)가 실크스크린 인쇄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트레이스(112)의 재질은 ITO, 구리, 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박판 형상 또는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film 113 and the base film 111 are made of PET material, and the traces 112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113 in various ways, including silk screen printing, and the traces ( The material of 112) may be made of ITO, copper, silver, etc., and may be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or mesh shap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그래서, 상기 센서 모듈(100)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 센서 부재(110)를 통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하나의 센서 모듈(100)로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Therefore, various movements can be det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unit sensor members 110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100, enabling various control with one sensor module 100.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극(10)을 통하여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라 단순히 스위치를 ON/OFF시키는 기능만 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단위 센서 부재(110)를 구비하여 각 단위 센서 부재(110)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손이나 터치펜과 같은 대상물의 상기 센서 모듈(100)에 인접한 상태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hown in FIGS. 1 and 2, only the function of turning the switch ON/OFF according to the change in capacitance detected through the electrode 10 was possibl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nit sensor members 110 ) by detecting changes in capacitance of each unit sensor member 110, various movements of an object such as a hand or a touch pen can be detected while adjacent to the sensor module 100.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 센서 부재(110)를 구성하는 트레이스(112)를 하나의 박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메쉬 형상으로 형성하여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는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Here, as described above, the trace 112 constituting the unit sensor member 110 may be formed as a single thin plate, but by forming it in a mesh shap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ocation where changes in capacitance occur, allowing for more diverse movements. can be detect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센서 모듈(100)을 사용하여 다양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다수의 센서 모듈(100)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vements can be detected using one sensor module 100, so there is no need to have multiple sensor modules 100, so the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installation can also be facilitated. there i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스(112)는 상부 필름(113)의 하면에 실크 스크린 인쇄 등의 방식으로 부착되고, 상기 트레이스(112)와 베이스 필름(111) 사이에는 접착제(115)가 도포되어 견고하게 접착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ce 112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m 113 using a method such as silk screen printing, and an adhesive 115 is applied between the trace 112 and the base film 111. It adheres firmly.

이때, 상기 상부 필름(113)의 상면에는 OCA 필름(114, Optically clean adhesive)이 더 구비되어 상부에 부착되는 커버(122)와 견고하게 부착되면서도 빛의 왜곡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an OCA film (114, optically clean adhesive)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lm 113 to prevent distortion of light while firmly attaching to the cover 122 attached to the top.

물론, 상기 상부 필름(113) 및 베이스 필름(111) 역시 투명한 PET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 모듈(100)을 투명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별도의 색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센서 모듈(100)의 두께는 약 0.3mm 정도로 형성되어 다양한 장소에 부착 설치할 수 있다.Of course, the upper film 113 and the base film 111 may also be formed of transparent PET to make the sensor module 100 transparent, or may be formed in a separate color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the sensor module ( 100) has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0.3mm and can be attached and installed in various places.

한편, 상기 제어 장치(200)는 상기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각 단위 센서 부재(110)의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통하여 대상물의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에서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30)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40)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that detects the motion of an object through the changing capacitance of each unit sensor member 110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It consists of a communication module 230 tha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210 to the control target device 300, and a battery 240 that supplies power.

여기서,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0)의 한가지 실시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피커(310)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여성의 경우 공중 화장실에서 소변이나 대변을 볼 때, 소리가 나는 것을 부끄러워하기 때문에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적절한 크기로 음악을 출력하여 부끄러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Here, as an example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0, a speaker 310 as shown in FIG. 3 can be used. Since women are embarrassed to make noise when urinating or defecating in a public restroom, It is possible to relieve embarrassment by outputting music at an appropriate size through the speaker.

이때, 상기 제어 장치(200)의 내부에는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대중음악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향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부(2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 장치(200)는 상기 저장부(220)에 저장된 음향 파일 중에서 상기 센서 모듈(100)로부터 수신한 특정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 파일을 상기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220 inside which various sound files including natural sounds, classical music, popular music, etc. are stored.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the storage unit ( Among the sound files stored in 220), the sound fil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and output.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센서 모듈(100)과 인접하게 손을 위치하여 간단한 모션만으로 다양한 음향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어 편안한 상태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nd output various sounds with a simple motion by placing his or her hand adjacent to the sensor module 100,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restroom comfortably.

즉, 모션의 예를 들자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손가락을 붙인 상태로 펼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고,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하나를 펼친 상태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사인파 형태로 이동시키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손가락의 방향을 다르게 하여 왼쪽에서 오른쪽, 또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사인파 형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이러한 모션에 대응되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음향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o give an example of a motion, as shown in FIG. 6, you can spread it with four fingers attached and move it from left to right, or as shown in (a) of FIG. 9, move it from the left with one finger spread. Move the finger to the right in a sine wave shape, move it from right to left, or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inger to move it in a sine wave shape from left to right or right to left,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220 corresponding to this motion. Saved sounds can now be output selectively.

그리고, 요즘과 같은 코로나 시대에 공중 화장실에서 변기를 사용 후, 물을 내릴 때, 직접 손으로 레버를 작동시켜야 하는 것은 위험 부담이 있는 행동인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변기 장치를 본 발명의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를 통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변기 장치(32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And, in these days of Corona, it is a risky action to have to manually operate the lever when flushing the toilet after using it in a public restroom. As shown in FIG. 7,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oilet device. Various functions of the toilet device 320 can be controll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the toilet control device using the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상기 변기 장치(320)는 변기 몸체(321)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시트(322)와 상기 시트(322)의 상부를 커버하는 변기 커버(323)와 상기 시트(322)과 변기 커버(323)를 개폐하는 커버 모터(미도시)와 상기 변기 커버(323)의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324)로 이루어진다.Here, the toilet device 320 includes a toilet body 321, a seat 322 on which the user sits, a toilet cover 323 that covers the top of the seat 322, and the seat 322 and the toilet cover 323. ) and a cover moto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toilet cover 323 and an ultraviolet sterilizer 324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cover 323.

사용자 용변 후, 변기의 물을 내리게 하기 위하여 손으로 특정 모션을 취하면 변기 장치(320)의 물이 내려가고, 사용자가 화장실 도어 개방을 위해 손으로 열림 모션을 취하면 화장실 도어 개방과 동시에 변기 커버(323)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커버 모터를 작동시켜 시트(322)와 변기 커버(323)를 덮은 후, 상기 자외선 살균기(324)에서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설정된 시간동안 조사하도록 하여 시트(322)를 살균하도록 한다.After the user uses the toilet, if a specific motion is made with the hand to flush the toilet, the water in the toilet device 320 goes down. If the user makes an opening motion with the hand to open the toilet door, the toilet cover is opened at the same time as the toilet door is opened. (323) operates the cover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200 to cover the seat 322 and the toilet cover 323, and then radiates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from the ultraviolet sterilizer 324 for a set time. to sterilize the sheet 322.

이때, 또 다른 사용자가 입장하고, 상기 변기 장치(320)의 변기 커버(323)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센서 모듈(100)과 인접한 상태인 손으로 특정한 모션을 취할 경우, 상기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커버 모터를 작동시켜 시트(322)로부터 변기 커버(323)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변기 장치(32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when another user enters and makes a specific motion with his hand adjacent to the sensor module 100 to open the toilet cover 323 of the toilet device 320, the control device 200 By operating the cover motor under control, the toilet cover 323 is switched from the seat 322 to an open state, allowing the toilet device 320 to be used.

추가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공중 화장실에는 손을 씻기 위한 수도꼭지뿐만 아니라 깨끗한 세척을 위한 액체 타입의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데, 센서를 통하여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장치의 작동 여부를 상기 변기 장치(320)를 제어하는 센서 모듈(100) 및 제어 장치(200)를 통하여 같이 제어하도록 한다.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public restrooms are equipped with not only a faucet for hand washing but also a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supplies liquid type detergent for clean washing. The operation of the detergent supply device that supplies detergent is checked through a sensor. The toilet device 320 is controlled together through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control device 200.

따라서, 상황에 따라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세적제 공급 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필요할 경우에만 세정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 detergent is not used. In this case, the detergent supply device is disabled so that the detergent can be used only when necessar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 모듈(100)의 상부로 홀로그램 이미지를 조사하기 위한 홀로그램 장치(4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는 상기 센서 모듈(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 대상 장치(300)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모션을 홀로그램 방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방법을 안내하게 된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a hologram device 400 for projecting a hologram image onto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module 10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hologram device 4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nsor module 100 and outputs a motion for using the func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0 in a hologram format to guide the user on how to use it.

즉, 상기 센서 모듈(100)에서 감지할 수 있는 모션은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모션을 해야 하는지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는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도록, 상기 홀로그램에서 특정 제어에 대한 특정 모션을 보여주면 사용자는 특정 제어를 위해 홀로그램에서 표시하는 특정 모션을 홀로그램 화면 공간에서 그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원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 motions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100 are quite diverse, there is a problem that a first-time user cannot know what kind of motion to use in order to use the function desired by the u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ogram device In order for the user to intuitively know how to use it through (400), if the hologram shows a specific motion for a specific control, the user simply follows the specific motion displayed by the hologram for the specific control in the holographic screen space. You can have the control you want.

그리고,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는 내부에 구비되는 레이저 조사부(미도시)를 통하여 1파장의 레이저 광을 직접파와 물체파로 나누어 서로 위상을 다르게 출사함으로써,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이미지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를 통하여 상기 직접파와 물체파가 조사되는 조사부(402)와 레이저광의 간섭에 의해 이미지가 공간상에 형성되는 홀로그램 이미지부(40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logram device 400 divides the 1-wavelength laser light into a direct wave and an object wave through a laser irradi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inside and emits them with different phases, thereby outputting an image due to mutual interference. As shown in FIG. 8, a holographic image unit 404 is formed in which an image is formed in space by interference of an irradiation unit 402, where the direct wave and an object wave are irradiated through the hologram device 400, and a laser beam. do.

이러한 홀로그램 장치(400)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is hologram device 400 is already known,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는 상기 제어 장치(200)와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통하여 출력되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제어하게 된다.Here, the hologram device 4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00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trols the output hologram image through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이때,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실의 도어에 설치된 상기 센서 모듈(100)의 측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hologram device 400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sensor module 100 installed on the door of the bathroom, as shown in FIG. 8, or may be installed to be embedded inside the door.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100)을 구성하는 트레이스(112)가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손이나 터치펜 등의 대상물이 센서 모듈(100)에 인접하게 되면 인접한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와 동기화하여 터치 스크린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ce 112 constituting the sensor module 100 is formed in a mesh shape, when an object such as a hand or a touch pen is adjacent to the sensor module 100, the adjacent location can be confirmed, so that the hologram device It can also function as a touch screen by synchronizing with (400).

즉, 상기 제어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220)에는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를 통하여 출력하는 이미지가 저장되어 상기 통신 모듈(230)을 통하여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므로 현재 출력되는 이미지를 특정할 수 있으며, 센서 장치(100)에 손 등의 대상물이 인접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hologram device 400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provided inside the control device 200 and transmitted to the hologram device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30. Since it is output, the currently output image can be specified, and the location of an object such as a hand adjacent to the sensor device 100 can be confirmed.

그래서, 홀로그램 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대상물이 인접하게 되면 그 부분에 정전용량의 변화가 감지되고 감지된 위치를 상기 제어 장치(200)에서 확인하여 홀로그램 이미지의 해당 좌표에 출력되는 버튼 등의 기능에 대응되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장치(300) 또는 홀로그램 장치(400)를 각각 제어할 수 있어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진 터치 스크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So, when an object is adjacent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a change in capacitance is detected at that part, the detected position is confirmed by the control device 200, and functions such as buttons output at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of the holographic image are responded to. Each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300 or the hologram device 400 can be controlled to perform an action, thereby functioning as a touch screen made of a hologram.

한편, 본 발명의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수의 칸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칸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사용자는 도어가 개방된 칸으로 진입한다.Meanwhile, looking at the process of using a public restroom using the restroom control device using the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f the unused compartment among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is maintained in an open state, so the user can keep the door open. Enter the compartment.

여기서, 사용자가 없는 상태에서는 모든 기능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게 되는데, 칸의 내측면 일측에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의 사용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장치(100)와 인접하여 손으로 특정 모션을 취하도록 한다.Here, in the absence of the user, all functions are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to prevent waste of power. A guide boar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compartment to begin use of the toilet control device using the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o this, a specific motion is made with the hand adjacent to the sensor device 100.

그러면 상기 변기 장치(320)를 구성하는 변기 커버(323)가 개방되어 사용자가 시트(322)에 착석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용변을 보는 도중에 상기 홀로그램 장치(400)를 통하여 출력되는 홀로그램 이미지를 통하여 각 기능의 사용 방법을 배우게 되며, 사용자가 용변 후, 상기 센서 장치(100)와 인접한 상태인 손으로 특정 모션을 취하게 되면 비데가 설치된 경우 비데의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변기 장치(320)의 물을 내리게 된다.Then, the toilet cover 323 constituting the toilet device 320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sit on the seat 322, and the user can view the hologram image output through the hologram device 400 while toileting. Through this, the user learns how to use each function, and when the user makes a specific motion with the hand adjacent to the sensor device 100 after toileting, the bidet function can be used when the bidet is installed, and the toilet device 320 water is poured down.

이때,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모양을 특정 형태로 하고 상기 센서 모듈(100)의 상부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홀로그램으로 출력되는 화면을 다음 화면 또는 이전 화면으로 전환하면서 사용 방법을 확인할 수도 있고, 아치 형상으로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어를 잠그거나 해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9, the hand is shaped into a specific shape and moved to the left or right at the top of the sensor module 100 to switch the screen output as a hologram to the next or previous screen. You can check how to use it while doing so, and you can lock or unlock the door by moving it in an arch-shaped direction to the left or right.

상기 센서 모듈(100)은 손가락의 방향(상하, 좌우), 펼친 손가락의 개수(1개, 3개, 5개 등), 손의 운동 방향(상하 좌우 이동 및 이동 반복 횟수 등)에 따라 다른 센싱값을 입력받는다.The sensor module 100 performs different sensing function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fingers (up and down, left and right), the number of spread fingers (1, 3, 5, etc.), and the direction of hand movement (up and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number of movement repetitions, etc.) Receives a value as input.

또한, 사용자가 다시 한번 상기 센서 장치(100)와 인접한 상태인 손으로 특정 모션을 취하게 되면 변기 커버(323)가 커버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게 되고, 변기 커버(323)의 내측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324)를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시켜 시트(322)를 살균하여 이후에 사용할 사용자가 쾌적한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nce again makes a specific motion with the hand adjacent to the sensor device 100, the toilet cover 323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cover motor, and the ultraviolet sterilizer installed inside the toilet cover 323 324 is operated for a set time to sterilize the sheet 322 so that future users can relieve themselves in a comfortable condition.

추가로 다른 실시 예로서, 물을 내릴 때에 소변 또는 대변에 따라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모양을 특정 형태로 하여 상기 센서 모듈(100)의 상부에서 좌우로 반복 이동시키면 물을 많이 내리게 하고, 상하로 반복 이동시키면 적은 양의 물을 내리도록 하여 물의 낭비를 줄일 수도 있으며, 변기 커버(323)의 열림 및 닫힘도 각각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flushing water, as shown in (c) of FIG. 9 according to urine or feces, the hand is shaped into a specific shape and repeatedly moved left and right at the top of the sensor module 100 to dispense water. By flushing a large amount and moving it up and down repeatedly, a small amount of water can be flushed to reduce water was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oilet cover 323 can also be adjusted.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서 모듈(100)을 사용하여 변기 장치(320) 및 도어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various functions of the toilet device 320 and the door can be controlled using one sensor module 10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e scop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above.

본 발명은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정전용량 센서 모듈로 장치의 다양한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 방법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More specifically, by enabling all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device to be used with a single capacitance sensor module, the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and installation accordingly. This relates to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that can be easily used and intuitively guides the user on how to use it.

100 : 센서 모듈 110 : 단위 센서 부재
130 : 연결 와이어 140 : 커넥터
200 : 제어 장치 210 : 제어부
220 : 저장부 230 : 통신모듈
240 : 배터리 300 : 제어 대상 장치
310 : 스피커 320 : 변기 장치
400 : 홀로그램 장치
100: sensor module 110: unit sensor member
130: connection wire 140: connector
200: control device 210: control unit
220: storage unit 230: communication module
240: Battery 300: Control target device
310: Speaker 320: Toilet device
400: Holographic device

Claims (9)

정전 용량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대상 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 모듈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의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해당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다수개의 단위 센서 부재와,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커넥터와, 상기 단위 센서 부재와 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각 단위 센서 부재의 변화되는 정전 용량을 통하여 대상물의 모션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대상 장치는 공중 화장실에 설치된 스피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된 음악 파일 중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되는 음악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피커로 전송하여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 장치에는 상기 제어 대상 장치로 변기 장치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따라 변기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변기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살균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기 장치에 구비되는 커버 모터를 작동시켜 시트와 변기 커버를 덮은 후, 상기 변기 커버의 하면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기를 통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시트를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
A sensor module made of a capacitive method,
A control device that processes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sensor module,
Consisting of a control target device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The sensor module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 device,
The sensor module consists of a plurality of unit sensor member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nd a connection wire connecting the unit sensor member and the connector,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cts the motion of an object through the changing capacitance of each unit sensor member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nd send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control object. It consists of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o the device,
The control target device consists of a speaker installed in a public restroom,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and outputs music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signal from among the music files stored in the internal storage unit to the speak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 toilet devic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s the control target device,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toilet device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module,
When the toilet device receives a control signal instructing sterilization from the control device, it operates a cover motor provided in the toilet device to cover the seat and the toilet cover, and then uses an ultraviolet sterilize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ilet cover for a set time. A toilet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it sterilizes sheets while in u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의 상부로 홀로그램 이미지를 조사하는 홀로그램 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로그램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 대상 장치의 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모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holographic device is further provided to project a holographic image onto the upper part of the sensor module,
The hologram device is a bathroom control device using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ogram device outputs motions for using each function of the control target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상부로 출력된 홀로그램 이미지의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센서 모듈의 위치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가 감지되면 그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정전용량 센서를 이용한 화장실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control device uses a non-contact capacitanc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change in capacitance is detected at a position of the sensor modul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holographic image output to the top of the sensor module, the control device performs corresponding control. Toilet control unit.
KR1020220108090A 2022-08-29 2022-08-29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KR102636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090A KR102636031B1 (en) 2022-08-29 2022-08-29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090A KR102636031B1 (en) 2022-08-29 2022-08-29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031B1 true KR102636031B1 (en) 2024-02-13

Family

ID=8989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090A KR102636031B1 (en) 2022-08-29 2022-08-29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03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555A (en) * 2007-11-19 2010-09-29 서크 코퍼레이션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KR20120011892A (en) * 2009-05-19 2012-02-08 애플 인크.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KR101255829B1 (en) 2011-08-09 2013-04-17 이상열 Contactless proximity swi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5555A (en) * 2007-11-19 2010-09-29 서크 코퍼레이션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KR20120011892A (en) * 2009-05-19 2012-02-08 애플 인크. Control of appliances, kitchen, and home
KR101255829B1 (en) 2011-08-09 2013-04-17 이상열 Contactless proximity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441B2 (en) Virtual control device and system
JP5273370B2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water discharge device
US5434757A (en) Unit panel structure for a door trim
US20060206997A1 (en) Toilet disinfection system
GB2407650A (en) Control system with user discrimination
CN103126604A (en) Toilet seat with human-computer interface
KR102636031B1 (en) control apparatus of toilet using contactless capacitive sensor
JP2011006981A (en) Operation-input device and water discharge device
JP2021535295A (en) Electronic automatic adjustment bidet with machine learning function
JP2005168719A (en) Toilet apparatus
US11014111B2 (en) Sanitary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907434B2 (en) Remote control device
CN107415694A (en) Use the replacing vehicle lug-latch interface device close to sensing
KR20220159749A (en) Covering type touch switch structure
JP7299652B1 (en) capacitance sensor
EP2911300B1 (en) Touch sensitive electrical control device with a haptic feedback
JP7326751B2 (en) toilet system
TWM535237U (en) Infrared human body position detection and early warning device of restroom urinal
JP7443801B2 (en) operating device
JP2002317482A (en) Sanitary washing device
CN111851682A (en) Intelligent closestool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intelligent closestool
CN214073112U (en) Visual foot touches response flip toilet bowl
CN212506602U (en) Intelligent closestool control system and intelligent closestool
CN217267866U (en) Intelligent closestool gesture recognition component and intelligent closestool
CN215253265U (en) Induction device and closestool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