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713B1 -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 Google Patents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713B1
KR102634713B1 KR1020230113434A KR20230113434A KR102634713B1 KR 102634713 B1 KR102634713 B1 KR 102634713B1 KR 1020230113434 A KR1020230113434 A KR 1020230113434A KR 20230113434 A KR20230113434 A KR 20230113434A KR 102634713 B1 KR102634713 B1 KR 10263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real
information
time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승진
Original Assignee
(주)화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코리아 filed Critical (주)화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113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7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7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교, 체육관, 오피스, 주상복합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시설물 등과 같은 대상물이 소비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저장한 후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물의 소비 예상 부하 전력을 산출한 후 이를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의 관리가 가능한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control 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objects such as devices or facilities that use energy in buildings such as schools, gyms, offices,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apartments, etc. Improves convenience of management by monitoring power usage by load usage in real time, stor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with a real-time timeline, analyzing the stored data, calculating the expected load power consumption of the object, and then automatically executing the calculation. It is about a real-time controllabl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energy management.

Description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융합 유선통신 및 메쉬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하여 다중 채널 무선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학교, 체육관, 오피스, 주상복합빌딩, 아파트 등과 같은 건물에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시설물 등과 같은 대상물이 소비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저장한 후 저장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상물의 소비 예상 부하 전력을 산출한 후 이를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에너지의 관리가 가능한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controllabl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it is based on a multi-channel wireless convergence platform by applying wireless communication, convergence wired communication and mesh network technology to schools, gyms, In buildings such as offices,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apartments, etc., we monitor in real time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consumed by objects such as devices or facilities that use energy, and store the monitored information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This relates to a real-time control 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s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enables energy management by analyzing and calculating the expected load power consumption of the object and then automatically executing it.

최근 들어 건물의 설비가 현대화됨에 따라 건물 내에 설치된 전력, 조명, 냉방 및 난방 등과 같은 공조장치, 방재 및 방범설비 등과 같은 시설물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시스템이 확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자동제어시스템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빌딩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제안되었다.Recently, as building facilities have been modernized, automatic control systems that automatically control facilities such as power, lighting, air conditioning such as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nd disaster prevention and crime prevention facilities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have spread. The development of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the building as a whole has been proposed.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개개의 단일건물에 사용되는 전기, 가스, 온도, 유량 등과 같은 소비에너지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관리자에게 각각의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건물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에너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관리가 없는 경우 사용량을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건물의 통합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building management system measures the amount of energy consumed, such as electricity, gas, temperature, flow, etc., used in each single building and provides each data to the manager. Separate data is provided for each energy used in the building. If there is no management,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building is difficult because the usage amount cannot be accurately known.

또한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에너지의 소비량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센서나 기기들이 에너지를 관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장치 또는 시설물의 유지 관리를 위해 설치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량과 측정 사용량 사이에 오차가 크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측정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휘발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측정에 사용하는 시간이 지나더라도 누적된 데이터나 정보가 없기 때문에 추후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예측이나 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uilding management system, sensors or devices installed to measure energy consumption are not installed to manage energy but to maintain each device or facility, so there is an error between actual consumption and measured consumption. Not only does it occur significantly, but because the measured data is not stored and volatile is used, there is no accumulated data or information even after the time used for measurement, making it difficult to predict or manage energy consumption in the future.

그리고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소비량에 있어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는 주로 난방, 냉방 및 조명장치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충분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건물 내부에서 난방 에너지가 소모되거나, 외부 온도가 충분히 낮음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내부에서 냉방 에너지가 소모되거나, 외부 조도가 충분히 밝음에도 건물 내부에 설치된 조명이 사용됨으로써 조명 에너지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in buildings, unnecessary energy consumption mainly occurs in heating, cooling, and lighting devices. For example, heating energy is consumed inside the building even though the outsid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high, or the outside temperature is sufficiently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cooling energy is consumed inside the building despite the low level, or lighting energy is consumed because the lighting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is used even though the external illumination level is sufficiently bright.

종래의 빌딩관리시스템은 해당 건물에 위치하는 지역 범위의 에너지 소비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특정 건물에서 고가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It is difficult for conventional building management systems to reflect the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which the building is located, and expensive energy management systems are operated in specific buildings.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2-0067379호(2022.05.2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67379 (2022.05.24, publis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862호(2011.09.23.,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068862 (registered on September 23,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건물에서 에너지를 소비하는 장치 및 시설물(이하, ‘대상물’이라 약칭함)에서 사용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대상물의 동작에 소비되는 전력사용량을 최적의 조건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케쥴을 생성 및 실행함으로써 건물의 에너지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킨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nitors in real time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used by devices and facilities (hereinafter abbreviated as 'objects') that consume energy in a building, and monitors the information.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energy management in buildings by accumulating and stor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analyz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creating and executing a schedule that can supply the power usage consumed by the operation of the object under optimal condition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with improved real-time control.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케쥴을 생성함에 있어 날씨, 온도, 조도 등과 같은 환경정보를 보정값으로 반영하여 보정된 스케쥴을 생성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l-time controllable medium- and long-distance wired system that can reduce energy waste by ref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weathe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as correction values when creating a schedu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n object and generating a corrected schedule. and the purpose of providing a wireless fusion energy management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동작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구비되되, 각각의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대비 판단하여 대상물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이상 증후 또는 이상 발생이 감지된 대상물에 대한 정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that detect the motion of an objec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bject by comparing the detection values detected by each sensor,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for which abnormal symptoms or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s been detec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al-time control-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can transmit to a pre-stored administrator terminal and take prompt follow-up action.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LoRa/Bluetooth) 또는 융합 유선통신(DMX-512) 및 메쉬 네트워크(MESH-Network)기술을 적용하고 다중채널 무선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대상물의 에너지 관리를 실시간으로 관제하되, 누적된 정보를 학습하여 대상물의 에너지 관리를 진행하는 스케쥴을 생성하는 인공지능형으로 구성되어 대상물의 에너지 관리의 정확도 및 예측 정확성을 향상시킨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wireless communication (LoRa/Bluetooth) or convergence wired communication (DMX-512) and mesh network (MESH-Network) technology and controls the energy management of the object in real time based on a multi-channel wireless convergence platform, It provides a real-time control-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that improves the accuracy and prediction accuracy of energy management of objects by learning accumulated information and creating a schedule for energy management of objects.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량 수집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age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in real time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of an object consuming energy and stores the received power usage by load use in a database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량 산출부;a usage calculation unit that analyzes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bject;

상기 사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소비 전력량을 해당 대상물에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관리부;를 포함하되,An operation management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by apply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calculated by the usage calculation unit to the object in real time,

상기 사용량 산출부는,The usage calculation unit,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저장된 타임라인별로 분류하여 계절별 또는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구분하여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산출모듈과,A calculation module that classifies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stored timeline and divides it by season, date, or time to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of the object;

산출된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통해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스케쥴을 생성하는 스케쥴 생성모듈과,A schedule creation module that generates a control schedu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calculated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제어스케쥴을 전달 받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날씨정보, 미세먼지정보, 공기정보, 일출시간, 일몰시간 등과 같은 환경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제어스케쥴에 적용하는 스케쥴 보정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receiving the control schedule created through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ir information, sunrise time, sunset time, etc. i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chedule correction module applied to the control schedule.

또한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은,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스케쥴에 상기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보정된 보정스케쥴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스케쥴을 상기 산출모듈로 전달하여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정값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generates a corrected correction schedule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object by apply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schedule received from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rrection schedule to the calculation module to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pplied as a correction valu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또한 상기 사용량 수집부는, 상기 대상물에 배치된 전자접촉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전자접촉기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에서 측정한 전류값과, 상기 전자접촉기와 전원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에서 측정한 전압값을 각각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전류값과 상기 전압값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상 상황 발생시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진단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sage collection unit remotely controls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placed on the object, and calculates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a current sensor that measures the current between the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the voltage betwee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the power line. It further includes a status diagnosis unit that receives the voltage values measured from the measuring voltage sensor in real time and stores them in the databas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pre-stored administrator terminal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current and voltage value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이때 상기 상태진단부는, 전달 받은 전압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 동시에 전달 받은 전류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되, 상기 전압값이 비정상일 때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압값은 정상, 상기 전류값이 비정상일 때 해당 대상물을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atus diagnosis unit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ceived voltage value and at the same time check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ceived current value. When the voltage value is abnormal, it determines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power supply and sends this to the previously stored manager terminal.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 and when the voltage value is normal and the current value is abnormal,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in trouble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re-stored manager terminal.

또한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중앙제어서버로 상기 사용량 수집부, 상기 사용량 산출부, 상기 동작관리부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통신모듈이 더 구비되되, 상기 통신모듈은, Lora(Long Rang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무선통신부와, RS-485를 포함한 시리얼통신(Serial Communication)으로 구성되는 유선통신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ommunication module is further provided to transmi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usage collection unit, the usage calculation unit,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to a pre-stored administrator terminal or a central control server in real tim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is Lora (Long Range) or Bluetooth.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sisting of one of Bluetooth and a wired communication unit consisting of serial communication including RS-485.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건물에 배치된 대상물에서 사용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은 물론 모니터링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누적하여 저장된 정보를 분석한 후 이를 각 대상물이 최적의 동작에 필요한 스케쥴을 생성 및 실행함으로써 건물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hieved as described above not only monitors in real time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used by objects placed in a building, but also accumulates and stores the monitored information, analyzes the accumulated and stored information, and then optimizes the operation of each objec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by creating and executing the necessary schedule.

또한 본 발명은 건물에 배치된 대상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사용에 소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각 대상물의 동작에 필요한 최적의 동작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aste of energy used by objects placed in a building, thereby reducing the cost consumed in energy use, and by providing the optimal operation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object, i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use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건물에 배치된 대상물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수단을 통해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 감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by detecting in real tim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bnormalities in objects placed in a building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information to a pre-stored manager terminal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enable prompt follow-up action. It ha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을 에너지 관리를 제어하는 스케쥴을 생성함에 있어 누적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사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에너지 관리에 대한 동작 및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operation and prediction accuracy for energy management as usage time increases by learning accumulated data in creating a schedule for controlling energy management of an obj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사용량 수집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사용량 수집부의 모니터링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태진단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
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controllable medium- and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al-time controllable medium- and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usage collection uni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monitoring screen of the usage collection uni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dition diagnosis uni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al-time controllable medium- and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control 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Hereinafter, other purpos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purpose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al-time control type medium- and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량 수집부(1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량 산출부(20)와, 상기 사용량 산출부(20)에서 산출된 소비 전력량을 해당 대상물에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관리부(30)를 포함한다.First, the real-time control-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consuming energy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received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in a real-time timeline. A usage collection unit 10 that stores the data together in a database, a usage calculation unit 20 that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bject by analyzing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power consumption calculated by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It includes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by applying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to the object in real time.

상기 사용량 수집부(10)는, 건물에 배치된 대상물에서 소비하는 전력사용량을 수집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사용량 수집부(10)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The usage collection unit 10 collects the power usage consumed by objects placed in a building.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collects power usage by load purpose of objects consuming energy in real time. The power consumption for each load purpose is stored in the database 40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이러한 사용량 수집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물에 배치된 전자접촉기(11)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전자접촉기(11)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12)에서 측정한 전류값과, 상기 전자접촉기(11)와 전원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13)에서 측정한 전압값을 각각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전류값과 상기 전압값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상 상황 발생시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진단부(14)가 더 포함된다.This usage collection unit 10 remotely controls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placed on the object as shown in FIG. 3, and a current sensor 12 that measures the current between the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 and the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sensor 13, which measures the voltage between the magnetic contactor 11 and the power line, are received in real time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current value and the voltage A status diagnosis unit 14 that transmits the relevant information to a previously stored administrator terminal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value is further included.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40)는 사용량 수집부(10)와 연결되어 전달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동작은 공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database 40 is a storage medium that is connected to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and stores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is database are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기 사용량 수집부(10)는 상기 전류센서(12)와 전압센서(13)에서 감지한 감지값을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각 대상물에서 사용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누적하여 데이터화하고, 각 대상물에 배치된 전자접촉기(11)를 원격으로 제어하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사용량 수집부(10)에 연결된 전자접촉기(11)의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관리부(30)에서 생성된 대상물의 제어 스케쥴에 의해 제어된다.The usage collection unit 10 stores the sensed values detected by the current sensor 12 and the voltage sensor 13 in a database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and accumulates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used by each object and converts it into data.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placed on each object is remotely controlled. More precisely,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connected to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chedule of the object generated by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trolled by

상기 전류센서(12)는 대상물과 상기 전자접촉기 사이에 배치되어 해당 대상물의 동작 중 발생하는 전류를 감지하고, 상기 전압센서(13)는 상기 전자접촉기와 대상물에 전원(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접촉기로 공급되는 전기의 전압을 감지한다.The current sensor 12 is disposed between the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to detect the curren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bject, and the voltage sensor 13 is a power source that supplies power (energy)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the object. It is placed between them and detects the voltage of electricity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전류센서(12)와 전압센서(13)는 각각이 감지한 전류값과 전압값을 상태진단부(14)로 전송하고, 상기 상태진단부(14)는, 전달 받은 전압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 동시에 전달 받은 전류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되, 상기 전압값이 비정상일 때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압값은 정상, 상기 전류값이 비정상일 때 해당 대상물을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The current sensor 12 and the voltage sensor 13 arranged as above transmit the current and voltage values sensed by each to the status diagnosis unit 14, and the status diagnosis unit 14 transmits the received voltage value. Check for abnormalities, and at the same time check for abnormalities in the received current value. If the voltage value is abnormal, it is determined that a problem has occurred in power supply,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e-stored manager terminal, and the voltage value is checked. is normal, and when the current value is abnormal,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in trouble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eviously stored manager terminal.

상기 상태진단부(14)는 전류센서(12)와 전압센서(13)에서 전달된 감지값(전류값, 전압값)을 대비하여 대상물의 이상 유무의 판단은 물론 대상물에서 소비하고 있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한 후 이를 후술하는 사용량 산출부(20)로 전송한다.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4 compares the detection values (current value, voltage value) transmitted from the current sensor 12 and the voltage sensor 13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bject as well as the power consumed by the object for each load purpose. After detecting the usage in real time, it is transmitted to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사용량 산출부(20)는 상기 사용량 수집부(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분석하여 해당 대상물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용량 산출부(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분석하여 대상물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일정 주기는 대상물의 종류, 용량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bject by analyzing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This usage calculation unit 20 is stored in the database. It is desirable to analyze the stored information at regular intervals to calculate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bject. In this case, the constant cycle may change depending on the type and capacity of the object.

상기 사용량 산출부(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저장된 타임라인별로 분류하여 계절별 또는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구분하여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산출모듈(21)과, 산출된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통해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스케쥴을 생성하는 스케쥴 생성모듈(22)과,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을 통해 생성된 제어스케쥴을 전달 받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날씨정보, 미세먼지정보, 공기정보, 일출시간, 일몰시간 등과 같은 환경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제어스케쥴에 적용하는 스케쥴 보정모듈(23)을 포함한다.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includes a calculation module 21 that classifies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stored timeline and divides it by season, date, or time to calculate the power usage by load usage of the object; A schedule creation module 22 that generates a control sche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calculated power consumption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receives the control schedule generated through the schedule generation module 22, and receives the control schedul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t includes a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that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ir information, sunrise time, sunset time, etc. through the Internet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means and then applies it to the control schedule.

상기 산출모듈(21)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대상물이 사용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타임라인별로 산출하는 것으로, 산출모듈(21)에서 산출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은 대상물이 실제 사용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계절별, 날짜별, 시간별로 구분하여 정렬한다.The calculation module 21 analyz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calculates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used by the object by timeline.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module 21 is calculated by the load purpose actually used by the object. Sort power usage by season, date, and time.

이러한 산출모듈(21)은 일정한 주기로 반복 동작하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 여기서 일정한 주기는 3일, 7일, 14일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주기는 대상물의 종류 및 대상물의 용량에 따라 변경 가능하고, 이외에도 외부 온도, 외부 조도 등과 같은 환경 조건이 단시간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시기에는 주기를 짧게 하고, 환경 조건의 변화가 작은 기간에는 주기를 길게 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This calculation module 21 analyze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while repeatedly operating at a constant cycle. Here, the constant cycle may be one of 3 days, 7 days, or 14 days, and this cycle depends on the type of object and the capacity of the object. It can be changed accordingly, and in addition, the cycle can be shortened whe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external temperature and external illumination change rapidly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cycle can be changed to lengthen during periods when the change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s small.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은 상기 산출모듈(21)에서 산출된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전달 받은 후 해당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할 제어스케쥴을 생성하는 것으로, 스케쥴 생성모듈(22)에서 생성하는 스케쥴은 대상물의 동작을 On/Off 하는 것 이외에도 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동작속도, 동작강도 등을 제어하는 스케쥴도 포함된다.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generates a control schedu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bject after receiving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module 21. The schedule generation module 22 generates a control schedule. In addition to turning the object's operation on/off, the schedule also includes a sche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speed and intensity of the oper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object.

한편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에서 생성되는 제어스케쥴은 상기 산출모듈(21)에서 산출된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 즉 대상물이 실시간으로 사용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만을 분석하여 생성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 날씨, 온도, 조도(照度) 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성된 제어스케쥴로 대상물을 제어하는 경우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chedule generated in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is generated by analyzing only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of the object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module 21, that is,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used by the object in real time, so external weather, Since temperature, illuminance, etc.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problems of wasting energy may occur when controlling an object using the generated control schedule.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을 통해 생성된 제어스케쥴이 스케쥴 보정모듈(23)로 전달된 후 환경정보를 추가하여 실제 사용될 보정스케쥴을 생성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chedule generated through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is transmitted to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nd then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added to create a correction schedule to be actually used.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수집한 날씨정보, 미세먼지정보, 공기정보, 일출시간, 일몰시간 등과 같은 환경정보를 상기 제어스케쥴에 적용하여 대상물을 실제 제어할 보정스케쥴을 생성한다.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pplie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weather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ir information, sunrise time, sunset time, etc.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to the control schedule to actually control the object. Create a correction schedule to control.

이러한 스케쥴 보정모듈(23)은,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스케쥴에 상기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보정된 보정스케쥴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스케쥴을 상기 산출모듈(21)로 전달하여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정값으로 적용한다.This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ppli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schedule received from the schedule generation module 22 to generate a corrected correction schedule for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object, and sends the generated correction schedule to the calculation module. It is transmitted to (21) and applied as a correction valu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즉,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은 인터넷을 통해 수집한 환경정보를 스케쥴 생성모듈(22)에서 전달 받은 제어스케쥴에 적용하여 대상물을 실제 적용할 보정스케쥴을 생성하여 대상물이 동작하는 과정에서 에너지의 낭비를 줄임은 물론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는다.In other words,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ppli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to the control schedule received from the schedule generation module 22 to generate a correction schedule to be actually applied to the object, thereby adjusting the energy consumption during the operation of the object. It reduces waste and does not cause user inconvenience.

일 예로 제어스케쥴에서 건물 내 특정 위치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간이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수집한 환경정보 중 외부 조도의 예상값이 낮은 경우 해당 조명의 동작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ime to control lighting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building in the control schedule is low when the expected value of external illumination is low amo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the operating time of the lighting is extended to avoid causing user inconvenience. It may not be possible.

다른 예로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에서 생성된 제어스케쥴에는 당일(當日)에 동작할 냉방 장치의 동작 시간 및 설정 온도에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확인한 외부 온도 및 조도 등을 적용하여 냉방 장치의 동작 시간 및 설정 온도를 보정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schedule created in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applies the external temperature and illuminance confirmed in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to the operating time and set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device to be operated on the same day to determine the air conditioning device. Correct the operating time and set temperature.

이러한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수집한 환경정보는 상술한 날씨정보, 미세먼지정보, 공기정보, 일출시간, 일몰시간 이외에도 풍향 및 풍속 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공기정보는 대기오염정보로서, 대기 중 포함된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이다.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may further include wind direction and speed in addition to the weather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ir information, sunrise time, and sunset time, and the air information is air pollution information, These include ozone,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sulfur dioxide contained in the atmosphere.

한편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생성된 보정스케쥴은 상기 산출모듈(21)로 전달되어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정값으로 적용되는데, 상기 산출모듈(21)은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전달된 보정스케쥴을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환경정보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rrection schedule generated in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module 21 and applied as a correction valu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The calculation module 21 is a schedule correction module. By using the correction schedule delivered in (23) to include environmental information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ower usage by load use of the object, more accurate and detailed power usage by load use can be calculated.

즉, 상기 산출모듈(21)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함께 실시간으로 수집된 환경정보를 보정값으로 적용하여 각 대상물에서 사용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함으로써 환경에 따라 변경되는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고, 제어스케쥴 및 보정스케쥴이 누적될수록 보다 정확한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alculation module 21 applie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in real time along with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s a correction value to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for each load purpose used by each object, thereby calculating the power consumption for each load purpose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The more the control schedule and correction schedule are accumulated, the more accurate the power usage can be calculated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누적될수록 또 스케쥴 생성모듈(22)과 스케쥴 보정모듈(23)이 동작하면서 생성하는 제어스케쥴과 보정스케쥴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보다 정확한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상물을 제어하는 보정스케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s information accumulates in the database and as the number of control schedules and correction schedules generated while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and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operate increases, more accurate power consumption can be calculated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 Through this, the accuracy of the correction schedule that controls the object can be improved.

상기 동작관리부(30)는 상기 사용량 산출부(20)에서 산출된 소비 전력략을 해당 대상물에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생성된 보정스케쥴을 해당 대상물에 적용하는 것이다.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by applying the power consumption strategy calculated by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to the object in real time. More precisely, the correction generated by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The schedule is applied to the relevant object.

이러한 동작관리부(30)는 상술한 상기 사용량 수집부(10)를 통해 연결된 전자접촉기(11)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어하는 명령은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에서 생성된 보정스케쥴에 의해 결정된다.This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connected through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and th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in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It is determined by the established correction schedul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용량 수집부(10), 상기 사용량 산출부(20), 상기 동작관리부(30)의 동작 상태와 상기 상태진단부(14)의 정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중앙제어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5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통신모듈(50)은, Lora(Long Rang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무선통신부(51)와, RS-485를 포함한 시리얼통신(Serial Communication)으로 구성되는 유선통신부(52)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status of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and the information of the status diagnosis unit 14 are transmitted to a pre-stored administrator terminal or central control server. A communication module 50 for transmission is further provided. The communication module 5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consisting of either LoRa (Long Range) or Bluetooth, and serial communication including RS-485. It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unit 52 consisting of (Serial Communication).

여기서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Here, the pre-stored manager terminal may be a portable terminal or smartphone of the manager who manages and supervises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 dedicated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portable terminal or smartphon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Figure 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real-time control type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1)은 사용량 산출부(20)의 스케쥴 보정모듈(23)이 기계학습 모듈(23a)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계학습 모듈(23a)은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저장된 타임라인별로 분류하고 계절별 또는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구분하여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한 전력부하 관련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 및 학습/예측하도록 구비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real-time control type medium- and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of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includes a machine learning module 23a. This machine learning module 23a classifies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40 by the stored timeline, divides it by season, date, or time to calculate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of the object. It is equipped to analyze and learn/predict related data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이러한 기계학습 모듈(23a)의 학습을 위한 전력부하 관련 데이터에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상물의 부하 에너지 관련 정보가 포함되는데, 이러한 부하 에너지 관련 정보 중 하드웨어 정보로는 대상물의 부하 기기별 종류, 용량, 성능, 가격, 생산년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정보로는 세부 정보, 업데이트 버전 및 날짜 등의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Power load-related data for learning of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includes load energy-related information of an object that consumes energy. Among this load energy-related information, hardware information includes the type, capacity, and performance of each load device of the object. , price, production year, etc. may be included, and the software information that controls it may include related information such as detailed information, update version, and date.

아울러 전력부하 관련 데이터에는 환경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날씨정보, 미세먼지정보, 공기정보, 일출시간, 일몰시간 외에 월별 평균 일사량, 최대 일사량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power load-related data may include environment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uch environmenta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monthly average solar radiation, maximum solar radiation, etc. in addition to weather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ir information, sunrise time, and sunset time.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전력부하 관련 데이터를 통해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은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 예측 및 부하패턴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부하패턴 데이터란 해당 대상물의 계절별, 년별, 월별, 요일별, 시간대별 단위의 전력부하를 타임 라인에 따라 나타나는 값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rough the power load-relate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0,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generates power usage prediction and load pattern data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through a machine learning model. This load pattern data refers to the corresponding load pattern data. The power load of an object by season, year, month, day of the week, and time period can be expressed in the form of values that appear along a timeline.

아울러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의 기계학습 모델은 학습시 부하 용도별 전력부하 예측 데이터와 실측 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보정 데이터에서의 보정값이 작아지도록 기계학습 모델 내의 파라미터 및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model of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generates correction data by comparing power load prediction data and actual data for each load purpose during learning, and changes the parameters and structure in the machine learning model so that the correction value in the correction data becomes smaller. You can.

기계학습 모델은 특정 시점의 전력 부하 데이터에 따라 해당 대상물의 전력 사용량의 평균값이 예측될 수 있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특정 시점 이전의 기온 값, 기온의 변화율 등에 대한 정보가 더 추가되면 보다 정확한 예측 전력 사용량 값이 계산될 수 있다. The machine learning model can predict the average value of the power usage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power load data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ut more accurately, if more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value and rate of change of temperature before a certain point is added, the predicted power usage value will be more accurate. This can be calculated.

만약, 수많은 변수들에 대한 정확한 수식을 도출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은 수치 해석에 의한 방법을 통해 예측 전력 사용량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 알고리즘(Neural Network Algorithm)이나 서포트 벡트법(Support Vector) 등이 이러한 수치해석법이다.If it is difficult to derive accurate formulas for numerous variables,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can calculate the predicted power usage value through a method based on numerical analysis.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Support Vector are examples of such numerical analysis methods.

이에 따라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은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전력부하 관련 데이터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특정 대상물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부하 용도별 사용전력량 예측 및 부하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 보정모듈(23)은 이를 기초로 제어스케쥴에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uses the power load-related data of the database 40 as input data through a machine learning model to generate power usage prediction and load pattern data for each load purpose for energy management of a specific object,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can be applied to the control schedule based on this.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모듈(23a)은 해당 대상물의 부하별 전력사용데이터를 통해 해당 대상물의 부하별 연계도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하별 연계도는 부하별로 연계도가 높은 부하끼리 그룹하여 메인 부하가 오프되면 서브 부하도 오프되도록 제어스케줄을 생성하여 에너지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the degree of connection for each load of the object through the power usage data for each load of the object, and the degree of connection for each load is such that the degree of connection for each load is high. Energy savings can be achieved by grouping loads together and creating a control schedule so that when the main load is turned off, the sub-loads are also turned off.

이러한 부하별 연계도는 데이터베이스(40)에 일정 시간 이상으로 데이터 형태로 수집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의 기계학습 모델이 연관 관계 기법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This linkage by load can be calculated through a correlation technique using the machine learning model of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using power usage data by load use collected in the form of data in the database 40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일예로 연계도가 높은 부하는 조명과 컴퓨터, 컴퓨터와 프린터 및 TV와 셋톱박스 등이 해당될 수 있다. For example, highly connected loads may include lighting and computers, computers and printers, and TVs and set-top boxes.

이와 같은 부하별 연계도는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이 기설정된 기간 동안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부하별 사용전력량 데이터에서 타임라인별로 동시 사용 여부를 확인 후 산출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계절별, 요일별, 일별 등 보다 세분화하여 동시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지수 형태로 산출할 수 있다. This linkage by load can be calculated after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checks whether simultaneous use is performed by timeline from the power usage data by load stored in the database 40 for a preset period, and more preferably by season. , by day of the week, by day, etc., it is possible to check simultaneous use and calculate it in the form of an index.

이에 따라 산출된 부하별 연계도를 전력부하 관련 데이터로 추가로 활용하여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이 사용전력량 예측 및 부하패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 보정모듈(23)은 이를 기초로 제어스케쥴에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alculated connection diagram for each load is additionally used as power load-related data, and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generates power usage prediction and load pattern data, and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creates a control schedule based on this. Can be applied to.

한편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대상물 내에 복수의 촬영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생성된 촬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스케쥴 보정모듈(23)이 제어스케줄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devices may be installed in the object, and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control schedule based on photograph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s.

물론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의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시에 상기 촬영 정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학습시켜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상기 촬영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하여 그 출력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스케줄 보정모듈(23)이 제어스케줄을 보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Of course, when creating a machine learning model of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the shooting information is used as learning data to learn the machine learning model, and the shooting information is used as input data through the generated machine learning model to output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can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control schedule by referring to the data.

이와 같은 촬영 정보는 상기 스케줄 보정모듈(23)에 의해 대상물 내 객체의 상태를 분석하여 객체 상태에 따라 제어스케줄을 보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객체 상태 분석은 상기 촬영 정보 내 객체의 행동 특징점을 추출하고, 학습된 기계학습 모델에 따라 객체가 체감하는 체감 정보를 추정한다. Such shooting information analyzes the state of the object in the object by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nd corrects the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object state. This object state analysis extracts behavioral feature points of the object in the shooting information, The sensory information experienced by the object is estimated according to the learned machine learning model.

여기서 체감 정보는 일예로 조명의 밝기 또는 냉난방기의 온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감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객체의 행동 특징점으로는 일예로 냉난방기의 온도를 추정하는 경우, 객체의 얼굴 영역에 추정되는 땀과, 부채 등과 같은 물체로 부채질을 하는 행동 패턴, 추워서 몸을 웅크리고 다리를 떨고 있는 행동 패턴 등이 될 수 있다. Here, the perceived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or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behavioral feature points of the object for estimating such perceived information include, for example, when estima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the sweat estimated on the object's face area. This can be a behavior pattern such as fanning oneself with an object such as a fruit or a fan, or a behavior pattern such as curling up and shaking one's legs because one is cold.

이에 따라 상기 스케줄 보정모듈(23)은 추정된 체감 정보를 토대로 제어스케줄을 보정할 수 있는데, 대상물 내 객체가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특정 행동 패턴이 감지된 경우 등을 기준으로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출력되는 제어스케줄 결과를 기초로 제어스케줄을 보정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can correct the control schedule based on the estimated sensory information, and outputs it through a machine learning model based on the case where the object in the object is below the set standard or when a specific behavior pattern is detected. The control schedule is corrected based on the control schedule results.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계학습 모듈(23a)은 체감 정보를 구성하는 다양한 항목들에 대해 구체적인 기준이 보다 세분화되어 기계학습 모델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예로 냉난방기의 온도에 대한 제어스케줄을 학습하기 위해서 상기 기계학습 모델은 객체 클래스를 보다 세분화하고 결과값 레이블은 물론 가중치 레이블을 부여하여 보다 정확한 객체 검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can be used to learn a machine learning model by further subdividing specific criteria for various items constituting perceived information. For example, learning a control schedule for the temperature of an air conditioner or heater. To this end, the machine learning model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segment object classes and assign weight labels as well as result labels to enable more accurate object detection.

즉, 기계학습 모델이 객체가 착용하고 있는 의복을 기준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할 시에 상기 객체 클래스를 두꺼운 긴 옷, 얇은 긴 옷, 중간 옷 및 짧은 옷으로 정의하여, 기존 단순히 객체의 체감 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냉난방 온도에 대한 제어스케줄을 설정함에 따라 발생되는 객체가 느끼는 온도 환경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machine learning model performs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clothing worn by the object, it defines the object classes as thick long clothes, thin long clothes, medium clothes, and short clothes, and simply calculates the perceived temperature of the object. By setting a control schedule for heating and cooling temperatures uniformly without consideration, it is possible to re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temperature environment felt by the object.

또한 이와 같은 객체 클래스별로 가중치를 두어 학습시킬 수 있는데, 일예로 두꺼운 긴 옷은 1, 얇은 긴 옷은 0.7, 중간 옷은 0.4 및 짧은 옷은 0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trained by assigning weights to each object class. For example, thick long clothes can be set to 1, thin long clothes can be set to 0.7, medium clothes can be set to 0.4, and short clothes can be set to 0.

여기서 상기 중간 옷의 경우 촬영 정보 내 포함되는 비율을 산출하여 해당 비율이 기설정된 비율(일예로 긴 옷의 80%)과 비교하여 가중치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middle clothes, the ratio included in the shooting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and the weight can be set differently by comparing the ratio with a preset ratio (for example, 80% of long clothes).

아울러 객체 클래스를 의복을 기준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것 외에 행동을 기준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객체 클래스를 몸을 움츠리는 행동, 몸 전체 또는 다리를 떨고 있는 행동, 손을 비비거나 손에 입김을 부는 행동, 얼굴 등에 부채질을 하는 행동으로 정의한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clothing, machine learning can be performed based on behavior as the object class. It is defined as the act of blowing on one's hand or fanning one's face.

이와 같은 행동을 기준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할 시에도 객체 클래스별로 가중치를 두어 학습시킬 수 있으며, 일예로 몸 전체를 떨고 있는 행동을 0.5, 손을 비비거나 손에 입김을 부는 행동을 0.5, 다리를 떨고 있는 행동을 0.3, 몸을 움츠리는 행동을 0.3 및 얼굴 등에 부채질을 하는 행동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performing machine learning based on such behavior, it is possible to learn by assigning weights to each object class. For example, the behavior of shaking the whole body is 0.5, the behavior of rubbing hands or blowing on hands is 0.5, and the behavior of shaking the whole body is 0.5, and the behavior of shaking the whole body is 0.5. You can set shaking behavior to 0.3, body cowering behavior to 0.3, and fanning your face to 0.

아울러 상기 기계학습 모델은 행동 외에 얼굴이나 신체의 외부에서 땀으로 추정되는 액체가 감지되는지를 기준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model can perform machine learning based on whether liquid presumed to be sweat is detected on the face or outside of the body in addition to behavior.

또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기계학습 모델은 객체 클래스별 가중치를 기계학습을 수행하는 기준에 따라 달리 부여할 수 있는데, 이는 의복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결과값과 행동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결과값 및 땀의 존재 여부로 판단하는 결과값을 각각 최종 결과값 산출에 있어 비중을 달리하여 객체가 느끼는 온도 환경을 추정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mode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gn different weights to each object clas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performing machine learning, which includes the result value judged based on clothing, the result value judged based on behavior, and sweat. The temperature environment felt by the object is estimated by varying the weight of the result values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in calculating the final result value.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객체 클래스별 기계학습 수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more accurate machine learning for each object class.

이와 같이 스케줄 보정모듈(23)의 기계학습 모듈(23a)은 촬영 정보의 분석을 통해 체감 정보를 추정하고, 추정된 체감 정보를 통해 제어스케줄을 보정함에 따라 대상물이 최적의 동작에 필요한 스케쥴을 생성 및 실행할 수 있어 건물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유도한다. In this way, the machine learning module 23a of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estimates sensory information through analysis of shooting information, and corrects the control schedule through the estimated sensory information to create a schedule necessary for optimal operation of the object. and implementation, which leads to improving the efficiency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provided to facilitat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is descrip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all things that are equivalent or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is patent claim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10 : 사용량 수집부
11 : 전자접촉기 12 : 전류센서
13 : 전압센서 14 : 상태진단부
20 : 사용량 산출부
21 : 산출모듈 22 : 스케쥴 생성모듈
23 : 스케쥴 보정모듈 23a : 기계학습 모듈
30 : 동작관리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통신모듈
51 : 무선통신부 52 : 유선통신부
1: Real-time controlled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10: Usage collection unit
11: electromagnetic contactor 12: current sensor
13: voltage sensor 14: status diagnosis unit
20: usage calculation unit
21: Calculation module 22: Schedule creation module
23: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a: Machine learning module
30: Operation management unit
40: database
50: Communication module
51: wireless communication department 52: wired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5)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실시간 타임라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량 수집부(1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대상물의 소비 전력량을 산출하는 사용량 산출부(20);
상기 사용량 산출부(20)에서 산출된 소비 전력량을 해당 대상물에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관리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량 산출부(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저장된 타임라인별로 분류하여 계절별 또는 날짜별 또는 시간별로 구분하여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산출모듈(21)과,
산출된 해당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통해 대상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스케쥴을 생성하는 스케쥴 생성모듈(22)과,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을 통해 생성된 제어스케쥴을 전달 받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된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 날씨정보, 미세먼지정보, 공기정보, 일출시간, 일몰시간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제어스케쥴에 적용하는 스케쥴 보정모듈(23)을 포함하고,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은,
상기 스케쥴 생성모듈(22)로부터 전달 받은 제어스케쥴에 상기 환경정보를 적용하여 대상물의 동작 제어에 대하여 보정된 보정스케쥴을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스케쥴을 상기 산출모듈(21)로 전달하여 대상물의 부하 용도별 전력사용량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보정값으로 적용하고,
대상물 내에 복수의 촬영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생성된 촬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이 제어스케쥴을 보정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촬영 정보는 상기 스케쥴 보정모듈(23)에 의해 대상물 내 객체의 상태를 분석하여 객체 상태에 따라 제어스케쥴을 보정하되, 객체 상태 분석은 상기 촬영 정보 내 객체의 행동 특징점을 추출하고 학습된 기계학습 모델에 따라 객체가 체감하는 체감 정보를 추정하는,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A usage collection unit 10 that receives in real time the power usage by load purpose of the energy-consuming object and stores the received power usage by load use in a database along with a real-time timeline;
a usage calculation unit 20 that analyzes the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bject;
An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bject by applying the power consumption calculated by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to the object in real time,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A calculation module 21 that classifies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stored in the database by the stored timeline and divides it by season, date, or time to calculate the power consumption by load purpose of the object;
A schedule creation module 22 that generates a control sche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bject through the calculated power consumption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Receives the control schedule created through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and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fine dust information, air information, sunrise time, sunset time, etc. through the Internet connect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fter that, it includes a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pplied to the control schedule,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pply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control schedule received from the schedule creation module 22 to generate a corrected correction schedule for operation control of the object,
The generated correction schedule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module 21 and applied as a correction valu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power usage for each load purpose of the object,
A plurality of photographing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object, and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is configured to correct the control schedule based on the photographing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s,
The shooting information analyzes the state of the object in the object by the schedule correction module 23 and corrects the control schedule according to the object state. The object state analysis extracts the behavioral feature points of the object in the shooting information and uses learned machine learning. Estimating the sensory information experienced by the object according to the model,
Real-time controlled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수집부(10)는,
상기 대상물에 배치된 전자접촉기(11)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대상물과 상기 전자접촉기(11) 사이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12)에서 측정한 전류값과,
상기 전자접촉기(11)와 전원선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센서(13)에서 측정한 전압값을 각각 실시간으로 전달 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전류값과 상기 전압값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이상 상황 발생시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상태진단부(14)가 더 포함된,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Remotely controll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placed on the object,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urrent sensor 12, which measures the current between the object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1,
The voltage values measured by the voltage sensor 13, which measures the voltage between the magnetic contactor 11 and the power line, are received in real time and stored in a databas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current value and the voltage value, a status diagnosis unit 14 is further included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a pre-stored manager terminal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Real-time controlled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진단부(14)는,
전달 받은 전압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며, 동시에 전달 받은 전류값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되,
상기 전압값이 비정상일 때 전원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전압값은 정상, 상기 전류값이 비정상일 때 해당 대상물을 고장 발생으로 판단하여 이를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ndition diagnosis unit 14,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ceived voltage value, and at the same time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received current value.
When the voltage value is abnormal, it is determined that a power supply problem has occurred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eviously stored manager terminal,
When the voltage value is normal and the current value is abnormal, the object is determined to be malfunctioning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previously stored manager terminal.
Real-time controlled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관리자 단말기 또는 중앙제어서버로 상기 사용량 수집부(10)와, 상기 사용량 산출부(20) 및 상기 동작관리부(30)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통신모듈(5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통신모듈(50)은,
Lora(Long Range)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무선통신부(51) 및
RS-485를 포함한 시리얼통신(Serial Communication)으로 구성되는 유선통신부(52)를 포함하는,
실시간 관제제어형 중,장거리 유선 및 무선 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or 3,
A communication module 50 is further provided to transmit the operating status of the usage collection unit 10, the usage calculation unit 20, and the operation management unit 30 to a pre-stored administrator terminal or central control server in real time,
The communication module 50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1 consisting of either LoRa (Long Range) or Bluetooth, and
Including a wired communication unit 52 consisting of serial communication including RS-485,
Real-time controlled mid- to 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20230113434A 2023-08-29 2023-08-29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26347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434A KR102634713B1 (en) 2023-08-29 2023-08-29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434A KR102634713B1 (en) 2023-08-29 2023-08-29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713B1 true KR102634713B1 (en) 2024-02-08

Family

ID=8989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434A KR102634713B1 (en) 2023-08-29 2023-08-29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713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62B1 (en) 2009-04-14 2011-09-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Demand-based real time energ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101133894B1 (en) * 2011-06-23 2012-04-1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Building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managing the comsuming energy of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KR101168153B1 (en) * 2011-12-29 2012-08-07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KR20180056361A (en) * 2016-11-18 2018-05-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home controlling apparatus based intellect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20180073523A (en) * 2018-04-13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motor fault diagnosis
KR20220067379A (en) 2020-11-17 2022-05-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KR20230065400A (en) * 2021-11-04 2023-05-12 주식회사 그랜드 IOT-based distributed energy manag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62B1 (en) 2009-04-14 2011-09-3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Demand-based real time energ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KR101133894B1 (en) * 2011-06-23 2012-04-1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Building management server, the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managing the comsuming energy of the facilities in the building
KR101168153B1 (en) * 2011-12-29 2012-08-07 지에스네오텍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KR20180056361A (en) * 2016-11-18 2018-05-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home controlling apparatus based intellect learning and method thereof
KR20180073523A (en) * 2018-04-13 2018-07-02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and method motor fault diagnosis
KR20220067379A (en) 2020-11-17 2022-05-2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KR20230065400A (en) * 2021-11-04 2023-05-12 주식회사 그랜드 IOT-based distributed energy manage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5133B2 (en) Sensor system
US105455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load and source scheduling in context aware homes
US20230019836A1 (en) Building energy system with energy data simulation for pre-training predictive building models
US20200356087A1 (en) Model predictive maintenance system with event or condition based performance
Seyedolhosseini et al. Daylight adaptive smart indoor lighting control metho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2182684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limate control
Jafarinejad et al. Bi-level energy-efficient occupancy profile optimization integrated with demand-driven control strategy: University building energy saving
CN102859550A (en) Energy demand prediction device and method
KR101633969B1 (e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ntext-Aware and Method for Managing Energy of Building Using The Same
CN108476473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battery life for extending the wireless sensor in building control system
US20170328595A1 (en) Environmental control equipment an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JP2005158020A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managing energy
KR102114895B1 (en) Building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aging time of facilities in buildings based on energy efficiency of facilities in buildings
CN103282841A (en) Building automation system
Jiang et al. Bayesian filtering for building occupancy estimation from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Jazizadeh et al. Personalized Thermal Comfort-Driven Control in HVAC-OperatedOffice Buildings
KR20160034488A (en) Method of integrated real-time predictabl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thermostat
Basu et al. Sensor-based predictive modeling for smart lighting in grid-integrated buildings
Higuera et al. Hybrid smart lighting and climate control system for buildings
Eini et al. A neural network-based model predictive control approach for buildings comfort management
Zhang et al. The impact of personal preference-based thermal control on energy use and thermal comfort: Field implementation
KR102634713B1 (en) Real-time control type mid/long-distance wired and wireless convergence energy management system
KR102051494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evaluating energy savings
KR20220014311A (en) Heating system and the operation method
CN105759629A (en)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