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301B1 - 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301B1
KR102634301B1 KR1020210052495A KR20210052495A KR102634301B1 KR 102634301 B1 KR102634301 B1 KR 102634301B1 KR 1020210052495 A KR1020210052495 A KR 1020210052495A KR 20210052495 A KR20210052495 A KR 20210052495A KR 102634301 B1 KR102634301 B1 KR 102634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cognition
gateway
sensor
recognition device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2079A (en
Inventor
강성권
구자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ublication of KR2022000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0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신뢰성 있는 가설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화, 데이터 통신, IoT 센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게이트웨이의 설치 위치에 기반하여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수행함에 따라, 기존의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위해 수많은 비콘을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을 해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Provides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nd management methods using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build a reliabl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at a construction site and use it to provide services such as calls, data communication, and IoT sensing. In addition, by performing indoor positioning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solves the disadvantage of installing numerous beacons for indoor positioning of the existing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igure R1020210052495
Figure R1020210052495

Description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n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및 토목 시공 기간 중 건설 현장에서의 안정적 통신환경 구축을 위한 가설통신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nd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establishing a stable communication environment at a construction site during th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period, and a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It's about.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은 지리적 요건 상 오지에 있는 경우가 많아 통신이 불가능하며, 도심의 재건축 건설 현장의 경우에서도 기존의 건축물에 비하여 고층 건축물이 많아 기존 통신망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건설현장 지하의 경우 기존의 통신망이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통신망으로 거의 통신이 불가능하다.In general, construction sites are often located in remote areas due to geographical requirements, making communication impossible, and even in the case of reconstruction construction sites in urban areas, there are many high-rise buildings compared to existing buildings, so communication is often impossible through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s. In addition, in the case of underground construction sites, there is no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installed at all, so communication is almost impossible using the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나, 최근 들어 건설현장이 현대화 및 고도화되고 있어 건설현장에서의 안정적인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건설현장에서는 다수의 작업자들과 다양한 장비들이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어서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However, as construction sites have recently become modernized and advanced, establishing a stable communication network at construction sites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addition,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at construction sites because many workers and various equipment are deployed to perform work.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 예방, 그리고 인력, 중장비, 자재 이동 감지를 위한 안정적인 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It is becoming important to establish a stable communication network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detect movement of personnel, heavy equipment, and materials, and to use this to safely manage construction sites.

이와 관련하여, 통신 기술, 위치 추적 기술 및 IoT 기술 등을 이용하여 건설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작업자 또는 건설장비의 위치를 추적하고 이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의 안전을 관제하는 시스템이 다수 개발되어 왔다.In this regard, a number of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hat track the location of workers or construction equipment in real time at a construction site using communication technology,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and IoT technology and use this to control the safety of the construction site.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0-2005188호는 GIS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화재감지 센서, 가스 센서, 조도 센서, 온/습도 센서, 소음 센서, 바이탈 센서로 이루어진 센서 모듈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산업현장을 관리하는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914228호는 AP 송신기, 비콘, 자이로스코프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고, 로라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센싱모듈부의 신호를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제2 통신망 중계기를 이용하여 센싱모듈부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통합안전관제부에서 수집하고, 이들을 종합하여 건설현장을 관리하는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안정관제 시스템을 제시한다.For example, Korea Patent No. 10-2005188 uses GIS technology to track the location of workers in real time, and a sensor consisting of a fire detection sensor, gas sensor, illuminance sensor, temperature/humidity sensor, noise sensor, and vital sensor. It proposes an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s industrial site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data collected from modules, and Korean Patent No. 10-1914228 recognizes location using AP transmitters, beacons, gyroscopes, etc. The integrated safety control department collects data sensed from the sensing module using a second communication network repeater that converts and transmits the signal from the sensing module using the LoRa protocol into an Ethernet signal, and integrates them to manage the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A location tracking and stability control system is presented.

또한, 건설현장 내의 기설정된 위치, 자재 및 건설장비들에 비콘을 설치하여, 비콘들과 트래커의 통신에 의해 트래커의 실내 측위를 수행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왔다. 비콘들의 설치 위치는 저장되어 있고, 각각의 비콘마다 고유의 비콘ID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트래커와 가장 근접한 비콘의 위치에 기반하여 트래커의 실내 측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방법으로 건설 현장에서의 트래커 실내 측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게는 수천, 많게는 수만개의 비콘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In addition, a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that installs beacons at preset locations, materials, and construction equipment within a construction site and performs indoor positioning of the tracker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beacons and the tracker. Since the installation locations of the beacons are stored and each beacon is given a unique beacon ID, indoor positioning of the tracker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beacon closest to the tracker. However, the disadvantage is that in order to perform indoor positioning of a tracker at a construction site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at least thousands or as many as tens of thousands of beacons must be installed.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05188호 (2019.07.23)Korean Patent Document No. 10-2005188 (2019.07.2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914228호 (2018.10.26)Korean Patent Document No. 10-1914228 (2018.10.26)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872768호 (2018.06.25)Korean Patent Document No. 10-1872768 (2018.06.25)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신뢰성 있는 가설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화, 데이터 통신, IoT 센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reliabl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at a construction site and use it to provide services such as calls, data communication, and IoT sensing.

또한, 작업자, 자재 또는 건설장비에 부착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재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좌표를 맵핑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의 작업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provides a service that allows real-time monitoring of the work process at a construction site by receiving data from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ttached to workers, materials, 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apping the current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There is a purpose.

또한, 게이트웨이의 설치 위치에 기반하여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수행함에 따라, 기존의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위해 수많은 비콘을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을 해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s indoor positioning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s performed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rvice that solves the disadvantage of installing numerous beacons for indoor positioning of the existing location recognition device. there is.

또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시 관리 서버 측이나 인접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detecting emergency situations in real time using multiple sensors and enabling the management server or adjacent workers to immediately recognize an emergency situation when it occur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설현장 내의 기 설정된 위치들에 설치되고, 각각에 고유의 게이트웨이ID가 부여되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와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게이트웨이(30),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웨이(3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리피터(40),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리피터(40)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제1 통신 채널과 다른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리피터(40)와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리피터(4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라우터(50) 및 상기 라우터(50)와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3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되는 관리 서버(60)로서, 상기 라우터(5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게이트웨이ID에 매칭되는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좌표 연산 모듈(62)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60)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installed at preset locations within a construction site, each is given a unique gateway ID, and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a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re used. A gateway 30 is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figured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the gateway 30 is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 repeater 40 configured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30,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peater 4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wherein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A router 50 configured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40 by being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peater 40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channe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channel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m, and the router ( 50) and a management server 60 that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and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router 50 and includ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matching the gateway ID,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Provides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including a management server 60, including a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that calculates coordinat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및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의 시간 정보에 조합에 기반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생성된 암호화 키와 함께,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및 게이트웨이ID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상기 리피터(40)에 전송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teway 3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ncryption key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data wa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Along with the encryption key, data includ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gateway ID can be transmitted to the repeater 4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건설현장 내의 건설 대상 건물의 지상층의 각 층과, 지하층의 각 층마다 설치되며,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가, 각각의 게이트웨이ID와 매칭되어 상기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을 통해 등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teway 30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ground floor and each floor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matches each gateway ID. and can be registered through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60)는, 상기 좌표 연산 모듈(62)에 의해 연산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상기 건설현장의 좌표계에 각각 맵핑하는 맵핑 모듈(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60,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calculated by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determines location recognition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It may further include a mapping module 63 that maps the coordinates of the dedicated device 20 to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construction sit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비면허 Sub-1GHz 네트워크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an unlicensed Sub-1 GHz network or Bluetooth Low Energy (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은 Wi-Fi 프로토콜이되, 2,4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리피터(4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고 5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라우터(5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는 Wi-Fi 프로토콜이거나, 5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리피터(4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고 2.4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라우터(5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는 Wi-Fi 프로토콜이며, 상기 제3 통신 프로토콜은 유선 통신망 프로토콜 또는 IEEE 802.11a, 11b, 11g, 11n, 11ad, 11ad 및 11ax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 프로토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is a Wi-Fi protocol, and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2.4 GHz radio frequency and the repeater 40 is connected to a 5 GHz radio frequency. ) is a Wi-Fi protocol that wirelessly connects the router 50 to each other, or connects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to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t a 5 GHz radio frequency and the repeater 40 with a 2.4 GHz radio frequency. and the router 50 ar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third communication protocol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or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elected from IEEE 802.11a, 11b, 11g, 11n, 11ad, 11ad, and 11ax. It could be a protoco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각각에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가 부여된 상태로 개별 작업자, 자재 또는 건설장비에 부착되고, GPS 센서(23a), 자이로 센서(23b), 가속도 센서(23c), 고도 센서(23d) 및 환경 센서(23e)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23), 상기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된 센서 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센서정보로 전환하는 연산 처리 모듈(22) 및 상기 연산 처리 모듈(22)에 의해 전환된 센서정보와,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모듈(25)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ttached to an individual worker, material, or construction equipment with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ssigned to each, and includes a GPS sensor 23a and a gyro sensor 23b. ), a sensor module 23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celeration sensor 23c, an altitude sensor 23d, and an environment sensor 23e, and the sens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is stored in a preset manner. An arithmetic processing module 22 that processes and converts into sensor information and transmits data including the sensor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arithmetic processing module 22 and each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to the gateway 30. It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 모듈(22)은, 상기 자이로 센서(23b) 및 상기 가속도 센서(23c)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정보와, 상기 고도 센서(23d)에서 출력되는 고도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센서정보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상기 움직임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관찰되지 않는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고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 고도에서 상기 제1 고도보다 낮은 제2 고도로 변화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processing module 22 converts the mo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yro sensor 23b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3c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ltitude sensor 23d into a preset method. configured to process and convert to sensor information, and generate a first warning signal when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is not observ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the altitude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warning signal at a first altitude within a preset time. It may further include a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that generates a second warning signal when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the second altitude lower than the first altitud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센서(23e)는 온도 센서, CO2 센서, CO 센서, 조도 센서, 온도/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및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In one embodiment, the environmental sensor 23e include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emperature sensor, a CO2 sensor, a CO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 dust sensor, a smok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 모듈(22)은, 상기 환경 센서(23e)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환경 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센서정보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은,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경 정보가 기설정된 유해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제3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processing module 22 is configured to process each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environmental sensor 23e in a preset manner and convert it into sensor information, and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 may generate a third warning signal whe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meets a preset harmful standar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상기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상기 제1 경고 신호, 상기 제2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3 경고 신호가 생성된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모듈(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generates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the second warning signal, or the third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It may further include a notification module 24 that outpu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상기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상기 제1 경고 신호, 상기 제2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3 경고 신호가 생성된 경우, 즉시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the second warning signal, or the third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mmediately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ata including the location recognition-specific device ID to the gateway 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긴급호출버튼(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긴급호출버튼(26)이 조작된 경우, 상기 작업자에 부착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즉시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call button 26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n operator, and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is operated by the operator, Data includ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ttached to the worker can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내의 전파 음영 지역 및 기설정된 지오-펜싱(geo-fencing) 구역에 설치되고, 각각에 고유의 비콘ID가 구비되어 상기 비콘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비콘(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BLE 방식으로 상기 비콘(10)과 무선 통신 연결되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주기로 상기 비콘(10)에서 송신되는 상기 비콘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수신 모듈(21)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송신 모듈(25)은 상기 비콘ID와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표 연산 모듈(62)은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비콘ID에 매칭되는 비콘(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t is installed in a radio wave shadow area and a preset geo-fencing area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each is equipped with a unique beacon ID,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D. It further includes a beacon 10,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connected to the beacon 10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BLE manner, and the beacon is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 at a preset first time period. It includes a signal receiving module 21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nd the signal transmitting module 25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including the beacon ID and each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to the gateway 30. ,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is a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hat matches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eacon 10 that matches the beacon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can be calcula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을 통해, 상기 비콘ID,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상기 리피터(40)마다 부여된 고유의 리피터ID 및 상기 라우터(50)마다 부여된 고유의 라우터ID가 입력되고, 상기 비콘(10)의 설치위치,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부착된 작업자의 정보 및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부착된 건설장비의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rough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the beacon ID,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the unique repeater ID assigned to each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A unique router ID assigned to each is input,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eacon 10, information on the worker to wh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ttached, and information on construction equipment to which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ttached. can be register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 상기 리피터(40) 및 상기 라우터(50)는 상기 건설현장 내의 분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gateway 30,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may b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ar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distribution board.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써, (a)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와, 상기 센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게이트웨이(30)가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 센서정보와 함께 고유의 게이트웨이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게이트웨이(30)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리피터(40), 상기 라우터(50)를 거쳐 상기 관리 서버(60)에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60)의 좌표 연산 모듈(62)이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게이트웨이ID에 매칭되는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을 이용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comprising the steps of (a)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ransmitting data including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nd the sensor information; (b) The gateway 30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and receives data including a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sens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as well as a unique gateway ID. transmitting, (c)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30 to the management server 60 via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and (d) the management server 60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that matches the gateway ID included in the transmitted data, A management method using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for a construction site is provided, including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건설현장 내의 전파 음영 지역 및 기설정된 지오-펜싱 구역에 설치되고, 각각에 고유의 비콘ID가 구비되어 상기 비콘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비콘(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를 소지한 작업자가 상기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된 경우, 상기 비콘(10)이 비콘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상기 비콘정보에 포함된 비콘ID와,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및 상기 센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좌표 연산 모듈(62)이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비콘ID에 매칭되는 비콘(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is installed in a radio wave shadow area and a preset geo-fencing area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nd each is provided with a unique beacon ID to provide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D. It further includes a beacon 10 configured to transmit, and when a worker hold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located in the radio wave shadow area, the beacon 10 transmits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a beacon ID. It further includes a step, wherein the step (a) transmits data including the beacon ID included in the beacon information, the location recognition-only device ID, and the sensor information. It further includes, in step (d),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performs location recognition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dedicated device ID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eacon 10 matching the beacon ID included in the transmitted data. It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dedicated device 20 and calculating coordinates of the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신뢰성 있는 가설통신망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통화, 데이터 통신, IoT 센싱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build a reliabl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at a construction site and use it to provide services such as calls, data communication, and IoT sensing.

또한, 작업자, 자재 또는 건설장비에 부착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로부터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현재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좌표를 맵핑함으로써 건설현장에서의 작업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real-time monitoring of the work process at a construction site by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ttached to workers, materials, 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apping the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recognition device. possible.

또한, 게이트웨이의 설치 위치에 기반하여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수행함에 따라, 기존의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위해 수많은 비콘을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을 해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performing indoor positioning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solves the disadvantage of installing numerous beacons for indoor positioning of the existing location recognition device.

또한, 게이트웨이와 위치인식 전용장치 간의 무선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전파 음영 지역에서는, 비콘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실내 측위를 수행함에 따라, 건설현장 전반에 걸쳐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areas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s difficult to achieve, indoor positioning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s perform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eacon, so tha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can be used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perform positioning.

또한,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시 관리 서버 측이나 인접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 예방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emergency situations can be detected in real time using multiple sensors, and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the management server or nearby workers can immediately recognize it,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에서, 다수의 센서에서 수신된 센서정보를 위치인식 전용장치가 처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리피터 및 라우터가 건설현장의 지상부에 위치한 각 분전반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리피터, 및 라우터가 건설현장의 지하부에 위치한 각 층의 분전반에 설치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패킷 프레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위치인식 전용장치와 게이트웨이 간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in which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processes sensor information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in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a gateway, repeater, and router of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each distribution board located on the ground level of the construction site.
Figure 4 is an example of a gateway, repeater, and router of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a construction si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ard of each floor located in the basement of the construction site.
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of a data packet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network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nd the gateway in the present invention.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In some cases, in order to avoid ambiguity of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may be omitted or may b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focusing on the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e or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do.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re is. In addition, the terms "a or an", "one", "the", and similar related terms are used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invention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claims below) as used herein. It may be used in both singular and plural terms, unless indicated otherwise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하에서, 용어 "비면허(Unlicensed) 대역"은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이라고도 불리우며, 정해진 용도 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된 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902~908MHz(Sub-1GHz 대역), 2.4~2.4835GHz, 5.725~5.850GHz 등과 같은 대역이 여기에 포함된다.Hereinafter, the term “unlicensed band” is also called the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and refers to a frequency band designated for general use without a designated purpose. For example, bands such as 902~908MHz (Sub-1GHz band), 2.4~2.4835GHz, 5.725~5.850GHz, etc. are included here.

이하에서, 용어 "LoRa(Long Range)망"은 IoT 전용 네트워크 기술로, 저전력 장거리 통신기술(LPWA) 중 하나이며, 비면허 대역인 90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term "LoRa (Long Range) network" is an IoT-specific network technology, one of the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ies (LPWA), and refers to a communication protocol that uses the frequency of 900 MHz, an unlicensed band.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은 비콘(10),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라우터(40), 리피터(50) 및 관리 서버(60)를 포함한다.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includes a beacon (10),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 gateway (30), a router (40), a repeater (50), and a management server (60).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와,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위치된 장소에서의 센서 정보를 게이트웨이(30)에 송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개인단말기이다. 작업자가 손쉽게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로 작업자의 안전모에 부착될 수 있으며, 건설장비, 호이스트 측에 부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견고한 부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가 부여된 상태로 개별 작업자에게 지급되거나 건설장비에 부착된다.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센서 정보와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센서 모듈(23)에서 수집되는 센서 정보를 취합하여, 센서 정보와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데이터구조를 갖는 데이터를 생성하며(도 5 참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된다. 여기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트래커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고 GPS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도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 personal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nd sensor information at the location of each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o the gateway 30. It can be attached to the worker's hard hat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easily worn by the worker, and can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urdy attachment device so that it can be attached and maintained on construction equipment or a hois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issued to individual workers or attached to construction equipment with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generates data including sensor information and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In other words, the senso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module 23 is collected to generate data with a preset data structure including sensor information and a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see FIG. 5),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he data generated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Here,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y be a track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include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with GPS functions.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게이트웨이(30)와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1 통신 프로토콜은 비면허 Sub-1GHz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BLE 또는 로라(LoRa) 프로토콜일 수 있다. 위치인식 전용장치 - 게이트웨이 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 전파 관통력이 우수한 비면허 Sub-1GHz 대역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함에 따라, 비교적 적은 개수의 게이트웨이(30)만을 건설현장에 설치하더라도 각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높은 정확도로 연산할 수 있게 된다.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gateway 30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a communication protocol using the unlicensed Sub-1 GHz band, and in another embodiment, may be a BLE or LoRa protocol. A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location recognition devices and gateways, the unlicensed Sub-1GHz band communication protocol with excellent radio wave penetration is used, so even if only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gateways (30) are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each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oordinates with high accuracy.

전파 음영 지역, 예를 들어 계단실, 지하 계단실, 기계실과 같은 공간에 위치인식 전용장치(20)를 소지한 작업자가 위치할 경우, 위치인식 전용장치 - 게이트웨이 간의 무선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한 작업자의 위치, 그리고 해당 공간의 센서 정보가 실시간으로 파악되지 않을 수 있다.If a worker with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located in a radio wave shadow area, for example, a staircase, basement staircase, or machine room,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nd the gateway may not occur smoothly. The location of workers located in radio wave shadow areas and sensor information in that space may not be known in real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한 전파 음영 지역에는 비콘(10)들이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beacons 10 can be installed in the radio wave shadow area.

비콘(10)은 각각 고유의 비콘ID가 부여된 상태에서, 비콘ID를 포함한 비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비콘(10)은 위치인식 전용장치(20)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비콘(10)은 무지향성으로 비콘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비콘(10)과 근접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 비콘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비콘(10)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정보 신호세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비콘(10)과 위치인식 전용장치(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비콘정보 신호세기는 더 큰 값으로 송신될 수 있다(물론, 장애물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는 있음). 또한, 비콘(10)에서 송신되는 비콘정보는 비콘(10)의 전원량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비콘(10)에 내장된 배터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한편,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비콘(10)의 전원량에 대한 정보와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전원량과 충전여부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비콘(10)의 전원량은 보통 2년 이상 유지되어 건설현장에서 건설 기간 동안 배터리 충전이나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고,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전원량은 대략 48시간 정도 유지되어 지속적인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The beacons 10 are each assigned a unique beacon ID and are configured to transmit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D. The beacon 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relessly using low energy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BLE). In addition, since the beacon 10 transmits beacon information non-directionally, the beac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djacent to the beacon 10. At this time,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an determine the signal strength of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 In general,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beacon 10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he more the beacon. The information signal strength can be transmitted at a larger value (of course,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obstacle). In addition,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ower amount of the beacon 10. This means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the battery built into the beacon 10. Meanwhil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y include both information about the power amount of the beacon 10 and information about the power amount and charging statu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For reference, the power level of the beacon (10) is usually maintained for more than 2 years, so it can be used at a construction site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without battery charging or replacement, and the power level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maintained for approximately 48 hours, providing continuous operation. Battery charging is required.

비콘(10)마다 고유의 비콘ID가 부여되고, 다수의 비콘(10)들의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비콘ID는 미리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에 등록 및 저장되어 관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별도의 비콘ID 부여장비를 통해 일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unique beacon ID is assigned to each beacon 10, and in order to distinguish the locations of multiple beacons 10, the beacon ID needs to be registered and stor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and managed in advance. There is. It is desirable that these processes are performed collectively through separate beacon ID granting equipment.

종래의 기술에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기 위해, 다수의 비콘(10)을 각 세대별, 집합건물 출입부별, 엘리베이터홀의 각 층별, 지하층 별로 설치되는 것이 필요하여, 하나의 집한건물 건설현장에서 적게는 수천 개, 많게는 수만개의 비콘(10) 설치가 필요하였던 것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서는 전파 음영 지역에만 비콘(10)을 설치하더라도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건설현장에서 가설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plurality of beacons 10 for each household, each building entrance, each floor of the elevator hall, and each basement floor. Compared to the need to install as few as thousands or as many as tens of thousands of beacons (10) at a building construction sit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beacons (10) are installed only in the radio wave shadow area, the coordinate calcul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Because this is possibl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uild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at a construction site at a low cost is achieved.

비콘(10)은 또한 건설현장의 기설정된 지오-펜싱(geo-fencing) 구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가상의 지리적 울타리인 지오-펜싱 구역을 설정한 후(여기서, 지오-펜싱 구역은 건설현장 내의 출입 통제 구역 및 출입 제한 구역을 포함함),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지오-펜싱 구역에 진입한 것으로 인식된 경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알림 모듈(24)에서 알림 신호가 출력될 수도 있다.The beacon 10 may also be installed in a pre-established geo-fencing area at a construction site. That is, after setting up a geo-fencing area, which is a virtual geographical fence (here, the geo-fencing area includes an access control area and a restricted access area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set to the geo-fencing area. If it is recognized that it has entered, a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notification module 24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한편,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개념상 크게 3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작업자가 소지하는 작업자용 위치인식 전용장치, 건설장비 자체에 구비되는 장비용 위치인식 전용장치, 건설장비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소지하는 운전자용 위치인식 전용장치 및 기설정된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용 위치인식 전용장치로 구분된다. 여기서, 고정용 위치인식 전용장치는 각 동의 호이스트 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고정용 위치인식 전용장치에 의해 자재가 특정 동입구로 이동된 경우, 자재의 이동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concept. First, a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workers carried by the worker, a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equipment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tself, a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drivers carried by the driver operating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a fixed device installed at a preset location. It is classified as a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Here, the fix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can be located on the hoist side of each building, and when materials are moved to a specific building entrance by the fix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the material's movement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한편,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비콘(10)과는 달리, 전원공급이 별도로 필요할 수 있고, 전원공급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호이스트에 구비되는 고정용 위치인식 전용장치는 호이스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고, 건설장비에 설치되는 장비용 위치인식 전용장치는 건설장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설장비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장비용 위치인식 전용장치가 건설장비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어려울 경우, 장비용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역할을 운전자용 위치인식 전용장치가 대신할 수 있다. 즉, 건설장비의 이동동선을 파악할 때, 1차적으로는 장비용 위치인식 전용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나, 장비용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전원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건설장비의 운전자로 식별된 운전자용 위치인식 전용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적어도 24시간 이상 유지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unlike the beacon 10,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y require a separate power supply, and the power supply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Specifically, the fix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nstalled on the hoist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hoist,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nstalled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struction equipment to receive power from the construction equipment. It is desirable to be I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equipment has difficulty supplying power from construction equipment, the role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equipment can be replaced by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drivers. In other words, when identifying the movement line of construction equipm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equipment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s primarily used. However, if the power of the equipment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s not sufficient,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equipment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s identified as the operator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It can be configured to use data transmitted from a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for drivers.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preferably includes a battery that can be maintained for at least 24 hours.

한편,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충전되고 있을 때에는 충전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전송된 후 데이터의 전송이 중지되며, 충전이 중지된 이후에는 정상적으로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주기로 데이터가 게이트웨이(30)에 전송된다.Meanwhile, whe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being charged, data transmission is stopped after data including charging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and after charging is stopped, data is normal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 30) is transmitted.

도 2를 참조하면,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신호 수신 모듈(21), 연산 처리 모듈(22), GPS 센서(23a), 자이로 센서(23b), 가속도 센서(23c) 및 고도 센서(23d)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23), 알림 모듈(24), 신호 송신 모듈(25) 및 긴급호출버튼(2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ncludes a signal reception module 21, an operation processing module 22, a GPS sensor 23a, a gyro sensor 23b, an acceleration sensor 23c, and an altitude sensor 23d. It includes a sensor module 23, a notification module 24,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and an emergency call button 26,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

신호 수신 모듈(21)은 비콘(10)으로부터 송신되는 비콘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 수신 모듈(21)은 BLE 방식으로 비콘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수신 모듈(21)은 기설정된 제2 시간을 주기로, 비콘(10)으로부터 비콘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일 실시예에서는 20초를 주기로 비콘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The signal reception module 21 performs a function of receiving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 As described above, the signal reception module 21 is configured to receive beacon information using the BLE method. The signal receiving module 21 is configured to receive beacon information from the beacon 10 at a preset second time period, and in one embodiment, is configured to receive beacon information at a period of 20 seconds.

연산 처리 모듈(22)은 센서 모듈(23)로부터 전송된 센서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생성 내지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센서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이 설치되는 건설현장에는 다수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구비되며,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센싱되거나 수신되는 정보를 모두 게이트웨이(30)로 전송할 경우, 시스템 전반적으로 과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는 특정한 데이터구조를 갖도록 가공된 후, 게이트웨이(30)로 송신된다. 이 때, 특정한 데이터구조는 TLV(Time, Length, Value) 형태로 구성되며,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구성되되(바람직하게는 50byte 이하), 구체적인 데이터구조는 건설현장에 최적화된 정보만으로 구성된다. 또한, 데이터를 송신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를 특정하기 위해, 연산 처리 모듈(22)은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구조를 갖도록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or converting data based on sens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23. In other words, data is generated by processing sensor information in a preset manner.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s (20), and all information sensed or received from each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sent to the gateway (30). When transmitting, overload problems may occur throughout the system. Accordingly, the data is processed to have a specific data structure and then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At this time, the specific data structure is composed of TLV (Time, Length, Value) and is composed of less than a preset size (preferably less than 50 bytes), and the specific data structure consists only of information optimized for the construction site. Additionally, in order to specify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hat transmitted the data, 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generates data to have a data structur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신호 송신 모듈(25)은 연산 처리 모듈(22)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를 게이트웨이(3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의미한다. 이 때, 신호 송신 모듈(25)은,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주기로, 게이트웨이(30)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설정되며, 일 예로 2분을 주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refers to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data generated by 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and transmits it to the gateway 30. At this time,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is set to transmit data to the gateway 30 at a preset first time period.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ata at a 2-minute period.

센서 모듈(23)은 GPS 센서(23a), 자이로 센서(23b), 가속도 센서(23c), 고도 센서(23d) 및 환경 센서(23e)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The sensor module 23 includes one or more sensors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GPS sensor 23a, a gyro sensor 23b, an acceleration sensor 23c, an altitude sensor 23d, and an environment sensor 23e.

GPS 센서(23a)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실외 측위를 수행하고, GPS정보를 연산 처리 모듈(22)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기본적으로는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에 기반하여 1차적으로 연산하고, 전파 음영 지역에서는 해당 지역에 설치된 비콘(10)의 설치 위치에 기반하여 2차적으로 연산한다. 따라서, GPS 센서(23a)에 의한 실외 측위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게이트웨이(30) 또는 비콘(10)과의 통신이 모두 수행되지 않았을 때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센서(23a) 대신 GLONASS 방식으로 실외 측위를 수행하는 GLONASS 센서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GPS sensor 23a is configured to perform outdoor positioning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transmit GPS information to 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re calculated primarily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and in the radio wave shadow area, the beacon 10 installed in the area is installed. Calculates secondarily based on loca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outdoor positioning by the GPS sensor 23a is performed whe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has not communicated with the gateway 30 or the beacon 10 at all.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GLONASS sensor that performs outdoor positioning using the GLONASS method instead of the GPS sensor 23a.

자이로 센서(23b)와 가속도 센서(23c)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움직임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움직임정보는 작업자의 스텝정보(걸음걸이를 의미함)를 의미할 수 있으며, 스텝정보가 0이 아니면 현재 작업자가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스텝정보가 0인 경우, 현재 작업자가 움직이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고, 작업자의 안전 이상 상황에 발생된 상황일 가능성도 있다.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는 별도의 통화모듈(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으며, 통화모듈을 통해, 관리자는 상기의 상황에서 작업자와 긴급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정보는 건설장비의 작업정보(일 예로, 타워크레인의 회전각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The gyro sensor 23b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3c are configured to outpu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he motion information may mean the worker's step information (meaning gait), and if the step information is not 0, it means that the worker is currently moving. If the step information is 0, it means that the worker is not currently moving,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situation occurred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worker's safety.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manager can make an emergency call with the worker in the above situation. Additionally, the motion information may refer to work information of construction equipment (for example, the rotation angle of a tower crane).

고도 센서(23d)는 고도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고도정보는 건설현장의 지면으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20) 위치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m 내의 오차를 갖는 고도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The altitude sensor 23d is configured to output altitude information. The altitude information may be the height from the ground of the construction site to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titude sensor with an error within ±3m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모듈(23)은 온도 센서, CO2 센서, CO 센서, 조도 센서, 온도/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환경 센서(23e)를 더 포함하여 각 센서에서 출력되는 환경정보가 연산 처리 모듈(22)에 전송되고, 상기 환경정보가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 서버(60)에 전송됨으로써 각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위치된 장소에서의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2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vironmental sensor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 temperature sensor, CO 2 sensor, CO sensor, illuminance sensor, temperature/humidity sensor, dust sensor, smoke sensor, and infrared sensor). Including 23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put from each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 so that each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monitor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real time at a given location.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은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되는 센서정보(GPS정보, 움직임정보, 고도정보,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센서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한다.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a warning signal based on sensor information (GPS information, movement information, altitud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and the sensor information is set to a preset standard. If it meets,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일 예로,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관찰되지 않는 경우(즉, 스텝정보가 0인 경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부착되거나 휴대하는 작업자에 신변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제1 경고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되는 고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 고도에서 상기 제1 고도보다 낮은 제2 고도로 변화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즉, 위치인식 전용장치가 낙하하는 경우)에 낙하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제2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환경 센서(23e)에서 허용치 이상의 CO2, CO, 연기 농도에 해당하는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제3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vemen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is not observ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i.e., when the step information is 0), a physical abnormality occurs in the worker to whom or carry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hen it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a first warning signal is generated,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change from the first altitude to a second altitude lower than the first altitude within a preset time (i.e., location If the recognition-only device falls), a second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as a risk of falling is considered to have occurred. Meanwhile, a third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even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a concentration of CO 2 , CO, or smoke exceeding the allowable level is output from the environmental sensor 23e.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경고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알림 모듈(24)에 전송되어 LED(24a)가 발광하거나, 버저(24b)에서 소리가 출력되는 등의 알림 신호가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게이트웨이(30), 라우터(40), 리피터(50)를 통해 관리 서버(60)에 경고 신호 생성 이력이 전송되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it is transmitted to the notification module 24 and a notification signal such as the LED 24a emits light or a sound is output from the buzzer 24b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t is output from (20). In addition,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history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 through the gateway 30, router 40, and repeater 50, making it possible to monitor it in real time.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경고 신호가 생성된 경우,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데이터가 게이트웨이(30)로 즉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는 제1 시간을 주기로 게이트웨이(30)에 전송되는 것이 기본 설정이나, 작업자가 안전 내지 건강에 이상을 감지한 경우에는, 데이터가 즉시 전송됨으로써 관리자에게 긴급상황을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는 이를 통해, 경고 신호가 생성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를 판단한 후, 작업자의 구조 및 안전상황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시간을 주기로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즉시 강제로 게이트웨이(30)에 전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the data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configured to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The default setting is that data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at a first time period, but when a worker detects an abnormality in safety or health, the data is transmitted immediately and can be used as a means of notifying the manager of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is,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here the warning signal was generated and then rescue the worker and check the safety situation. In other words, it performs a function of forcibly transmitting data to the gateway 30 at a first time period immediately to the gateway 30.

또한, 본 발명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는 긴급호출버튼(26)이 구비되며, 작업자가 긴급호출버튼을 누른 경우,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데이터가 게이트웨이(30)로 즉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는 제1 시간을 주기로 게이트웨이(30)에 전송되는 것이 기본 설정이나, 작업자가 안전 내지 건강에 이상을 감지한 경우에는, 긴급호출버튼(26)을 조작함으로써, 관리자에게 긴급상황을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관리자는 이를 통해, 긴급호출버튼(26)이 눌려진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를 판단한 후, 작업자의 구조 및 안전상황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시간을 주기로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즉시 강제로 게이트웨이(30)에 전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긴급호출버튼(26)은 2개 이상의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버튼을 동시에 눌렸을때만 데이터가 즉시 게이트웨이(3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긴급호출버튼(26)이 오작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emergency call button 26, and when the worker presses the emergency call button, the data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It is structured as possible. The default setting is that data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at a first time period, but when the worker detects an abnormality in safety or health,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is operated as a means of notifying the manager of the emergency situation. can be used Through this,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here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has been pressed, and then rescue the worker and check the safety situation. In other words, it performs a function of forcibly transmitting data to the gateway 30 at a first time period immediately to the gateway 30.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buttons, and data can b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only when two or more buttons are pressed simultaneousl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from malfunctioning.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Meanwhile, the specification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비면허 Sub-1GHz를 지원하며 5Kbps 내지 550K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하되 20dBm 이상의 송신 출력을 지원하고, BLE 프로토콜은 BLE 5.0을 지원하고, BLE Scanner 기능을 지원하되 0 내지 4dBm의 송신 출력을 지원하고, ISO-15693 RF-Tag를 내장(출입통제 시스템 맵핑용)하고, 전파 간섭 방지 차단처리 기능이 포함되며, CPU는 ARM Cortex-M3 Processor 이상이 장착되고, 메모리는 512KB Flash, 64KB SRAM 이상이 장착되며, Rx 레벨의 감도를 가지고, 전원은 750mAh, Lithium Polymer (재충전가능) 이상 또는 완충 시 24시간 이상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내장 안테나 구조를 포함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Supports unlicensed Sub-1GHz, supports communication speeds of 5Kbps to 550Kbps, supports transmission output of over 20dBm, BLE protocol supports BLE 5.0, supports BLE Scanner function, supports transmission output of 0 to 4dBm, and ISO -15693 RF-Tag is built-in (for access control system mapping), radio interference prevention blocking processing function is included, CPU is equipped with ARM Cortex-M3 Processor or higher, memory is equipped with 512KB Flash, 64KB SRAM or higher, It has Rx level sensitivity, is powered by 750 mAh, Lithium Polymer (rechargeable) or more, or can be used for more than 24 hours when fully charged, includes a built-in antenna structure, and supports the function of encrypting data.

본 발명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하나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 5개 이상의 비콘(10)이 동시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비콘(10)과 10m 이상 이격된 거리에서도 비콘정보를 원활히 전송받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simultaneous connection of five or more beacons 10 to on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provides beacon information even at a distance of 10 m or more from the beacon 10. It is configured to enable smooth transmission.

또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배터리 잔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인 경우, 알림 모듈(24)에서 LED(24a)가 발광하거나 버저(24b)에서 소리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Low 배터리 신호를 알리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configured to notify a low battery signal by emitting an LED 24a in the notification module 24 or emitting a sound from the buzzer 24b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below a preset standard. do.

또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통신 장애 발생으로 게이트웨이(3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단절되었을 때, 내장된 메모리에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되는 센서정보 또는 비콘(10)에서 전송된 비콘정보가 저장되며, 무선 통신 연결이 복구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게이트웨이(30)에 전송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gateway 30 is disconnected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stores sens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or a beac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 in its built-in memory. The information is stored, and wh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store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는 건설현장의 주요지점, 예를 들어, 건설현장 내의 건설 대상 건물의 지상층 및 지하층에 각각 설치된다. 건설현장이 집한건물의 건설현장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게이트웨이(30)는 집한 건물의 각 동마다 지상층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고, 각 동의 지하층에는 층마다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이 지상 25층, 지하 3층으로 이루어진 5개의 동을 건설하는 현장인 경우, 각 동의 지상층에 게이트웨이가 1개씩 설치되어 총 5개의 게이트웨이가 설치되고, 각 동의 지하층의 층마다 게이트웨이가 1개씩 설치되어 총 15개의 게이트웨이가 설치될 수 있다. The gateway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major points of the construction site, for example, on the ground floor and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ssuming that the construction site is a construction site for an integrated building, at least one gateway 30 may be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of each building of the integrated building, and at least one gateway 30 may be installed on the basement floor of each building. For example, if the construction site is to build 5 buildings with 25 floors above ground and 3 floors underground, one gateway i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of each building, for a total of 5 gateways, and a gateway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asement floor of each building. One gateway can be installed, so a total of 15 gateways can be installed.

또한, 게이트웨이(30)는 건설현장의 외곽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3에서는 총 4개의 게이트웨이가 건설현장의 외곽 지점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는 각각의 게이트웨이ID와 매칭되어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을 통해 등록되고,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된다. 여기서,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는 3차원 좌표의 형태로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gateway 30 may be installed at a point outside the construction site. In FIG. 3, a total of four gateways are shown installed at a point outside the construction sit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is matched with each gateway ID, registered through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and stored in the database 65. Her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is preferably stored in the database 65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30)는 건설현장 내의 건설 대상 건물의 지상층 및 지하층에 설치되되, 분전반에 구비될 수 있다. 건설현장에서 분전반은 임시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사 진행 상황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항상 안정적인 전기 공급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분전반에 게이트웨이(30)와, 후술하는 리피터(40) 및 라우터(50)를 설치할 경우, 이들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통신망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Specifically, the gateway 30 i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and basement floor of a building to be constructed within a construction site, and may be provided in a distribution panel. At a construction site, a distribution board is a device for temporarily supplying electricity. It can be moved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and ensures a stable supply of electricity at all times. Therefore, when installing the gateway 30,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istribution board,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ly power to them, making it possible to build a stable communication network centered on the distribution board.

게이트웨이(30)는 복수의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며, 주요지점에 설치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견고한 부착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ateway 30 includes a plurality of omni-directional antennas and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sturdy attachment devi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maintained at key points.

게이트웨이(30)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리피터(4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게이트웨이(30)에도 고유의 게이트웨이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ID는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에 등록 및 저장되어 관리된다.The gateway 30 receives data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transmits it to the repeater 40. The gateway 30 may also be assigned a unique gateway ID, and the gateway ID is registered, stored, and manag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게이트웨이(30)는 기설정된 방식으로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화 키를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와 함께 리피터(40)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teway 30 may generate an encryption key in a preset manner and transmit the generated encryption key to the repeater 40 along with the data receiv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게이트웨이(30)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 그리고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의 시간 정보에 기반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다.The gateway 30 generates an encryption key based o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included i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the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the data wa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You can.

일 예에서, 위치인식 전용장치ID는 4byte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시간 정보는 6byte의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중 첫 2byte와 시간 정보의 마지막 2byte를 조합하여 총 4byte의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다른 예에서는 위치인식 전용장치ID 중 마지막 2byte와 시간 정보의 첫 4byte를 조합하여 총 6byte의 암호화 키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그리고 시간 정보의 조합에 기반하여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것이면 임의의 암호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In one example, the location recognition-specific device ID may consist of 4 bytes of data, and the time information may consist of 6 bytes of data. The first 2 by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specific device ID and the last 2 bytes of the time information are combined to encrypt a total of 4 bytes. A key can be generated, and in another example, an encryption key with a total of 6 bytes can be generated by combining the last 2 by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the first 4 bytes of time information. However,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is, and any encryption algorithm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encryption key is generated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time information.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은 미리 관리 서버(60)에 등록되며, 관리 서버(60)는 미리 등록된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송된 정보의 암호화를 해제하는 것을 통해 해당 정보를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encryption key is registered in advance with the management server 60, and the management server 60 can restore the information by decrypting the transmitted information using the pre-registered encryption algorithm.

게이트웨이(30)에서 생성된 암호화 키가, 리피터(40)에 함께 전송됨으로써, 전송된 정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암호화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화 키가 필요하다. 위치인식 전용장치-게이트웨이 간 로라 프로토콜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진 경우, 로라 프로토콜에서 적용된 첩 스프레드 스펙트럼의 복원을 위한 첩 신호가 요구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1회 이상의 암호화를 통해 보안성이 향상되고, 외부 신호나 간섭에 강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Since the encryption key generated in the gateway 30 is transmitted together to the repeater 40, in order to restore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n encryption key for de-encryption is required. When communication is made using the LoRa protocol between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nd a gatewa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 Chirp signal is required to restore the Chirp spread spectrum applied in the LoRa protocol. Through this, the data trans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ed security through one or more encryptions and robustness to external signals or interference.

하지만, 전술한 암호화 키 생성 없이,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리피터(40)로 송신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에서는 고급 암호화 표준(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에 따라 암호화가 수행될 수도 있다.However, without generating the above-described encryption key,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y be transmitted to the repeater 40, and in another example, encryp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It could be.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게이트웨이(30)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Meanwhile, the specifications of the gateway 30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게이트웨이(30)의 안테나는 Omnidirectional 형태일 수 있으며, 917 내지 923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50Ω의 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다.The antenna of the gateway 30 may be omnidirectional, operates in a frequency band of 917 to 923 MHz, and may have an impedance of 50Ω.

또한, 게이트웨이(30)의 본체에는 ARM Cortex-M3 Processor 이상의 CPU가 장착되고, 메모리는 512KB Flash, 64KB SRAM 이상이 장착되며, Rx 레벨의 감도를 가지고, 20dBm 이상의 송신 출력을 지원하고, 비면허 Sub-1GHz를 지원하고, 2.4GHz 대역의 WiFi를 지원하며, TCP/IP, Modbus-TCP를 지원하고, BLE 프로토콜은 BLE 5.0을 지원하고, BLE Scanner 기능을 지원하되 0 내지 4dBm의 송신 출력을 지원하고, 동작온도는 -20˚C 내지 60˚C이며, 정전시에도 최소 24시간 이상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16GB μ-SD Card를 내장하며,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gateway 30 is equipped with a CPU of ARM Cortex-M3 Processor or higher, and the memory is equipped with 512KB Flash and 64KB SRAM or higher, has Rx level sensitivity, supports transmission output of 20dBm or higher, and supports unlicensed sub- Supports 1GHz, supports 2.4GHz band WiFi, supports TCP/IP, Modbus-TCP, BLE protocol supports BLE 5.0, supports BLE Scanner function, and supports transmission output of 0 to 4dBm,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20˚C to 60˚C, and stable data collection is possible for at least 24 hours even during a power outage. It optionally has a built-in 16GB μ-SD Card and supports the function to encrypt information.

또한, 비면허 Sub-1GHz 프로토콜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와 1:1 무선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이격 거리 200m 기준 200Kbps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복수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 예를 들어 30대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동시 접속되었을 때 적어도 50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유지된다.In addition, when 1:1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with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using the unlicensed Sub-1 GHz protocol, it has a data transmission rate of more than 200 Kbps based on a separation distance of 200 m, and a plurality of location recognition devices 20, e.g. When 30 dedicated location recognition devices 20 are connected simultaneously, a data transmission speed of at least 50 Kbps is maintained.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는 관리 서버(60)와 연동되어, 관리 서버(60)를 통해 원격으로 게이트웨이(30)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와의 전송 속도 설정, 리부팅 설정,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의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gateway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linked with the management server 60 and enable management of the gateway 30 remotely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60, and more specifically, transmission with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t is configured to manage speed settings, reboot settings, and firmware upgrades.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는 통신 장애 발생으로 관리 서버(60)와의 통신 연결이 단절되었을 때 내장된 메모리에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가 저장되고, 통신 연결이 복구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 서버(60)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ateway 3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n the built-in memory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60 is cut off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and when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is restored,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to the management server 60.

또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30)는 게이트웨이의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 사항을 관리 서버(6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무정전 전원 배터리 사용 시 관리 서버(60)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gateway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change to the management server 60 when the status of the gateway changes,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60 when the uninterruptible power battery is used.

본 발명의 리피터(40)는 건설현장의 분전반에 구비되고, 게이트웨이(30)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제2 통신 프로토콜은 게이트웨이(30)와 위치인식 전용장치(20)와 통신 연결에 사용되는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하며, 2.4GHz 또는 5GHz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Wi-Fi 프로토콜일 수 있다.The repeat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distribution panel at a construction sit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gateway 3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used for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gateway 30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may be a Wi-Fi protocol using 2.4 GHz or 5 GHz radio frequency.

리피터(40)는 건설현장의 주요지점에 설치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견고한 부착 장치를 포함하며, 지향성 안테나와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리피터(40)에도 고유의 리피터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리피터ID는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에 등록 및 저장되어 관리된다.The repeater 40 includes a separate sturdy attachment devi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maintained at key points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includes a directional antenna and an omni-directional antenna. The repeater 40 can also be assigned a unique repeater ID, and the repeater ID is registered, stored, and manag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또한, 본 발명의 리피터(40)는 스마트폰, 카메라, 노트북과 같은 외부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통신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epeater 4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camera, or laptop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o and from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리피터(40)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Meanwhile, the specifications of the repeater 40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NETGEAR RAX80(AX6000) 이상의 성능의 사양을 가지고, 802.11ax Dual-Band WiFi를 지원하고, 최대 1.2Gbps를 지원하는 4x4 (Tx/Rx) 1024 QAM 20/40MHz의 2.4GHz AX를 지원하며, 최대 4.8Gbps를 지원하는 4x4 (Tx/Rx) 1024 QAM 20/40/80/160MHz의 5GHz AX를 지원하며, 기존 802.11a/b/g/n/ac WiFi 장치와 호환되며, 10/100/1000Mbps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6개(WAN 1개 및 LAN 5개)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PoE Port를 갖는다.It has performance specifications higher than the NETGEAR RAX80 (AX6000), supports 802.11ax Dual-Band WiFi, supports 4x4 (Tx/Rx) 1024 QAM 20/40MHz at 2.4GHz AX, supporting up to 1.2Gbps, and supports up to 4.8Gbps Supports 4x4 (Tx/Rx) 1024 QAM 5GHz AX at 20/40/80/160MHz, compatible with existing 802.11a/b/g/n/ac WiFi devices, and 10/100/1000Mbps Gigabit Ethernet port It has 6 ports (1 WAN and 5 LANs) and optionally has a PoE Port.

또한, 리피터(40)와 외부 통신 장치 간 2.4GHz Wi-Fi를 통해 1:1 무선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이격 거리 100m 기준 100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리피터(40)와 게이트웨이(30) 간 2.4GHz Wi-Fi를 통해 1:1 무선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이격 거리 100m 기준 100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다. 또한, 라우터-리피터-리피터-리피터 간 무선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이격 거리 100m 기준 홉 카운트(hop count) 5 이상이더라도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a 1:1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repeater 40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via 2.4 GHz Wi-Fi,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over 100 Mbps based on a separation distance of 100 m,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2.4 Mbps or more between the repeater 40 and the gateway 30. When connected through 1:1 wireless communication via GHz Wi-Fi,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over 100Mbps based on a separation distance of 100m. Additionally, 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a router-repeater-repeater-repeater, no data loss occurs even if the hop count is 5 or more based on a separation distance of 100m.

본 발명의 라우터(50)는 건설현장의 분전반에 구비되고, 리피터(40)와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 건설현장의 주요지점에 설치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견고한 부착 장치를 포함하며, 지향성 안테나와 무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라우터(40)에도 고유의 라우터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라우터ID는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에 등록 및 저장되어 관리된다.The rou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istribution panel at a construction sit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It includes a separate sturdy attachment devi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nd maintained at key points on the construction site, and includes directional and non-directional antennas. The router 40 can also be assigned a unique router ID, and the router ID is registered, stored, and manag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리피터(40)와 게이트웨이(30)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제2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되, 라우터-리피터 간 무선 통신 연결에 사용되는 통신 채널은 리피터-게이트웨이 간 무선 통신 연결에 사용되는 통신 채널과 상이할 수 있다.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as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 40 and the gateway 30 is used, but the communication channel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router and the repeater is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gateway.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communication channel used.

즉, 라우터-리피터는 2.4GHz 무선 주파수의 Wi-Fi로 서로 무선 통신 연결되고, 리피터-게이트웨이는 5GHz 무선 주파수의 Wi-Fi로 서로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라우터-리피터는 5GHz 무선 주파수의 Wi-Fi로 서로 무선 통신 연결되고, 리피터-게이트웨이는 2.4GHz 무선 주파수의 Wi-Fi로 서로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router-repeater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Wi-Fi at a 2.4 GHz radio frequency, and the repeater-gateway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Wi-Fi at a 5 GHz radio frequency. Alternatively, the router-repeater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Wi-Fi at a 5 GHz radio frequency. They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Fi, and the repeater-gateway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Fi of the 2.4GHz radio frequency.

라우터(50)는 외부 통신망과 내부 리피터를 연계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며, 리피터(4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등의 정보를 관리 서버(6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router 5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connect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internal repeater, and serves to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data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40 to the management server 60.

또한, 본 발명의 라우터(50)는 스마트폰, 카메라, 노트북과 같은 외부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프로토콜(구체적으로는, 리피터-외부 통신 장치 간 통신 프로토콜과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통신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router 5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camera, or laptop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specifically, the same communication protocol as the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It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s.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라우터(50)의 스펙은 아래와 같다.Meanwhile, the specifications of the router 50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NETGEAR RAX80(AX6000) 이상의 성능의 사양을 가지고, 802.11ax Dual-Band WiFi를 지원하고, 최대 1.2Gbps를 지원하는 4x4 (Tx/Rx) 1024 QAM 20/40MHz의 2.4GHz AX를 지원하며, 최대 4.8Gbps를 지원하는 4x4 (Tx/Rx) 1024 QAM 20/40/80/160MHz의 5GHz AX를 지원하며, 기존 802.11a/b/g/n/ac WiFi 장치와 호환되며, 10/100/1000Mbps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6개(WAN 1개 및 LAN 5개)를 가지며, 선택적으로 PoE Port를 갖는다.It has performance specifications higher than the NETGEAR RAX80 (AX6000), supports 802.11ax Dual-Band WiFi, supports 4x4 (Tx/Rx) 1024 QAM 20/40MHz at 2.4GHz AX, supporting up to 1.2Gbps, and supports up to 4.8Gbps Supports 4x4 (Tx/Rx) 1024 QAM 5GHz AX at 20/40/80/160MHz, compatible with existing 802.11a/b/g/n/ac WiFi devices, and 10/100/1000Mbps Gigabit Ethernet port It has 6 ports (1 WAN and 5 LANs) and optionally has a PoE Port.

또한, 라우터(50)와 리피터(40) 간 5GHz Wi-Fi를 통해 1:1 무선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이격 거리 100m 기준 500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라우터(50)와 외부 통신 장치 간 2.4GHz Wi-Fi를 통해 1:1 무선 통신 연결되었을 때, 이격 거리 100m 기준 100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다.In addition, when a 1:1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is made between the router 50 and the repeater 40 through 5GHz Wi-Fi,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over 500Mbps based on a separation distance of 100m, and the data transmission rate is 2.4GHz between the router 50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When connected to 1:1 wireless communication via Wi-Fi,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over 100Mbps based on a separation distance of 100m.

관리 서버(60)는 라우터(50)와 제3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3 통신 프로토콜은 유선 통신망 프로토콜 또는 IEEE 802.11a, 11b, 11g, 11n, 11ac, 11ad 및 11ax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 프로토콜일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60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router 50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third communication protocol is selected from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or IEEE 802.11a, 11b, 11g, 11n, 11ac, 11ad, and 11ax. It may be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s.

관리 서버(60)는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설현장과 관련된 전반전인 정보의 분석 내지 연산을 수행한다.The management server 60 uses the transmitted data to perform analysis or calculation of overall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ite.

도 1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60)는 통신 모듈(61), 좌표 연산 모듈(62), 맵핑 모듈(63), 등록 모듈(64) 및 데이터베이스(6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anagement server 6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61, a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a mapping module 63, a registration module 64, and a database 65.

통신 모듈(61)을 통해 라우터(5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될 수 있다.Data may be received from the router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61, and the received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65.

좌표 연산 모듈(62)은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의 좌표(구체적으로는, 3차원 좌표)를 연산한다. 좌표 연산 방법으로써,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상대 위치 연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calculates the coordinates (specifically,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included in the data based on the received data. As a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a relative position calculation method with respect to the gateway 30 may be applied.

건설현장에 구비되는 게이트웨이(30)는 게이트웨이(30)마다 고유의 게이트웨이ID가 부여되고,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 또한 미리 등록 모듈(64)을 통해 등록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면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상대 위치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A unique gateway ID is assigned to each gateway 30 installed at a construction site,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is also registered and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registration module 64. Therefore, us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th respect to the gateway 30.

예를 들어, 게이트웨이(30)에 수신된 신호의 강도, 전파 수신 각도, 센서 정보(3축 데이터, 고도 정보 등)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th respect to the gateway 30 using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gateway 30, the radio wave reception angle, and sensor information (3-axis data, altitude information, etc.) It is possible to calculate .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는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한다면, 이미 저장된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현재 위치를 3차원 좌표로 연산하는 것이 가능하다.Sinc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is already stored, i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th respect to the gateway 30 is calculate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calculated from the already store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in 3D coordinates.

다른 예에서, 2개 이상의 게이트웨이(30)에 대한 하나의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각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현재 위치를 보다 정확히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In another example,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on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th respect to two or more gateways 30, the current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an be viewed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gateway 30. It may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ccurately.

맵핑 모듈(63)은 좌표 연산 모듈(62)이 연산한 좌표를 건설현장의 좌표계에 맵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apping module 63 performs the function of mapping the coordinates calculated by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to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construction site.

맵핑 모듈(63)에 의해 맵핑이 이루어지면, 건설현장에 구비된 모든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가 하나의 좌표계 상에 모두 표시되어 관리 서버(6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출력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설현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mapping is performed by the mapping module 63, the positions of all location recognition devices 20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are displayed on one coordinate system and displayed on a display (not shown) provided on the management server 60. It can be printed ou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onstruction site in real time.

등록 모듈(64)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스보다 선행된다. 등록 모듈(64)에서 등록되는 장치는 비콘(10),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리피터(40) 및 라우터(50)를 모두 포함한다. 즉, 등록 모듈(64)에 등록되는 장치는 전술한 '건설장비'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비콘(10),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리피터(40) 및 라우터(50)와 같이,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장치들을 의미한다.The process perform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precedes the process used in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s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include a beacon 10,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 gateway 30, a repeater 40, and a router 50. In other words, the device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is a concept distinct from the above-mentioned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cludes a beacon 10, a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 gateway 30, a repeater 40, and a router 50. ), refers to devic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고유의 비콘ID를 갖는 비콘(10)과,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갖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 대한 정보가 모두 등록 모듈(64)에 입력된다. 입력은 등록 모듈(64)과 연결된 PC 및 노트북 또는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을 이용하여 해당 비콘(10),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리피터(40) 및 라우터(5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beacon 10 with a unique beacon ID and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th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re both input into the registration module 64. Input is through the beacon (10),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gateway (30), repeater (40), and router using a PC, laptop, or mobile device (smart phone, tablet) connected to the registration module (64). You can enter information about (50).

구체적으로, 특정한 비콘ID를 갖는 비콘(10)이 어느 위치(계단실, 지하 계단실, 기계실 등의 전파 음영 지역 및 지오-펜싱 구역)에 설치되는지 입력된다. 또한, 비콘(10)은 설치된 이후에, 모바일기기로 위치 등록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모바일 기기 및 해당 비콘(10)은 BLE 방식으로 무선 통신 연결됨으로써, 비콘(10)에 대한 정보가 모바일기기를 통해 등록 모듈(64)로 전송되어 등록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ation where the beacon 10 with a specific beacon ID is installed (radiation shadow area such as a staircase, basement staircase, machine room, etc. and geo-fencing area) is input. In addition, the beacon 10 may be configured to register its location with a mobile device after it is installed, and the mobile device and the beacon 10 ar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BLE method,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beacon 1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registration module 64 through the device and registered.

또한, 비콘(10)은 작업자가 소지하는 모바일기기와의 연결을 통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전까지는 비콘(10)이 비콘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설정된 상태이나, 작업자에 의한 활성화처리에 의해 이 때부터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됨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beacon 10 may be configured to be activated through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worker. That is, the beacon 10 was previously set not to transmit beacon information, but is configured to transmit beacon information from now on due to activation processing by the operator.

뿐만 아니라, 고유의 게이트웨이ID를 갖는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정보(설치 위치 포함), 고유의 리피터ID를 갖는 리피터(40)에 대한 정보, 그리고 고유의 라우터ID를 갖는 라우터(50)에 대한 정보가 등록 모듈(64)에 입력되어, 등록된다.In addition, information about the gateway 30 with a unique gateway ID (including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repeater 40 with a unique repeater ID, and information about the router 50 with a unique router ID. is input to the registration module 64 and registered.

데이터베이스(65)에는 라우터(5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저장되고, 즉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정보, 상태 정보, SOS 정보(경고 신호), 센서에서 센싱된 센서 정보가 저장된다. 관리자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과거의 정보까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atabase 65 stores data transmitted from the router 50,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status information, SOS information (warning signal), and sensor information sensed from the sensor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he manager can not only monitor information in real time, but also check past information us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65.

또한,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된 데이터는 외부 시스템과 API를 통해 연결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건설현장 외부에서도 데이터베이스(65)에 접속하여 건설현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Additionally, data stored in the database 65 can be provided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system through an API, and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onstruction site by accessing the database 65 from outside the construction site.

관리 서버(60)는 또한, 하나의 라우터(50)에 할당되어 있는 전체 통신 대역폭을, 라우터(50)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리피터(40)의 총 개수로 나눈 대역폭을 각각 리피터(40)에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리피터(40)에서 동일한 대역폭, 즉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장받는 것이 가능하다.The management server 60 also divides the total communication bandwidth allocated to one router 50 by the total number of repeaters 40 connected to the router 50, and allocates the bandwidth to each repeater 40. can do.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same bandwidth, that is, data transmission speed, in all repeaters 40.

본 발명에서는, 리피터(40)가 라우터(50)에 1:1 통신 연결될 수도 있지만, 다른 리피터(40)를 통하여 라우터(50)에 통신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데(즉 네트워크망이 계층적으로 구성됨), 이를 반영한 대역폭 할당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 40 may be connected to the router 50 for 1:1 communicati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 connected to the router 50 through another repeater 40 (i.e., the network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Bandwidth allocation that reflects this is also possible.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데이터 패킷 프레임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변 데이터 패킷 프레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프레임 내에 정의되어 있는 CMD 비트의 크기에 따라 프레임의 데이터의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Figure 5 is an example diagram of a data packet fram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data is transmitted using a variable data packet frame, and the size of the data in the frame can be variably chang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MD bit defined in the frame.

데이터 패킷 프레임은 시작 바이트(Start Byte), 프레임 길이(Length) 필드, 시리얼 넘버(Serial No.) 필드, 트랜잭션 넘버(Transaction No.) 필드, 현재 시간(Current Time) 필드, 명령어(CMD) 필드, 데이터(DATA) 필드, CRC 필드 및 종료 바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The data packet frame consists of Start Byte, Frame Length field, Serial No. field, Transaction No. field, Current Time field, Command (CMD) field, It may consist of a DATA field, a CRC field, and an end byte.

시작 바이트는 송신되는 데이터의 시작을 알리는 정보가 1byte의 크기를 가지며 기재되고, 일 예로 0x02값이 기재될 수 있다.The start byte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rt of transmitted data and is written in a size of 1 byte. For example, the value 0x02 may be written.

프레임 길이 필드는 시리얼 넘버 필드에서부터 종료 바이트까지의 길이에 대한 정보가 2byte의 크기로 기재된다.The frame length field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from the serial number field to the end byte in a size of 2 bytes.

시리얼 넘버 필드는 최초 정보가 송신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고유의ID가 4byte의 크기로 기재되고, 일 예로 2자리 숫자로 기재된 장치구분자/제조년월/제품제조순위 순으로 구성되는 4byte의 크기의 데이터가 기재된다.In the serial number field, the unique ID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from which the first information was transmitted is written in 4 bytes in size, and as an example, it is a 4-byte field consisting of a device identifier written as a 2-digit number / date of manufacture / product manufacturing rank. Size data is described.

트랜잭션 넘버 필드에는 최초 정보가 송신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관리 서버(60)에 전송되기까지 거쳐온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리피터(40) 및 라우터(50) 중 하나 이상의 ID가 각각 기재되거나 각각의 ID가 4byte의 크기로 기재되거나, 최초 정보가 송신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관리 서버(60)에 전송되기까지의 홉(hop) 수가 기재된다.The transaction number field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gateway (30), repeater (40), and router (50)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wa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from which the initial information wa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 One or more IDs are described, each ID is written in a size of 4 bytes, or the number of hops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from which the first information wa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 is written.

현재 시간 필드에는 정보가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 구체적으로 연월일시분초로 이루어진 6byte의 크기의 정보가 기재된다. 일 예로, HEX code의 형태로 19년 7월 17일 10시 56분 21초의 시간 정보가 13 07 11 0A 36 15로 현재 시간 필드에 기재될 수 있다. The current time field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time the information was created, specifically 6 bytes of information consisting of year, month, date, hour, minute and second. For example, time information of 10:56:21 on July 17, 2019 in the form of a HEX code may be written in the current time field as 13 07 11 0A 36 15.

CMD 필드에는 명령어 정보가 기재되고, 구체적으로 "상태정보 요청", "상태정보 응답", "측정값 요청", "측정값 수신", "설정 쓰기", "설정 읽기"등의 명령어가 1byte의 정보로 기재된다.Command information is written in the CMD field, and specifically, commands such as "status information request", "status information response", "measurement value request", "receive measurement value", "write settings", and "read settings" are 1 byte. It is listed as information.

데이터 필드에는 CMD 필드에 기재된 명령어에 따른 수반 정보가 기재되고, 그 크기는 건설현장에 구비된 센서의 종류 및 명령어 필드에 기재된 명령어 정보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절된다.In the data field, accompan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written in the CMD field is written, and its size is flexibly adjusted depending on the type of sensor provid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command information written in the command field.

CRC 필드는 오류 체크를 위한 정보가 기재되며, 시작 바이트로부터 데이터 필드까지에 대한 2byte의 CRC16 코드가 기재된다.The CRC field contains information for error checking, and a 2-byte CRC16 code from the start byte to the data field is written.

종료 바이트는 데이터의 마지막을 알리는 부분으로 0x03의 값을 갖는 1byte의 정보가 기재될 수 있다. 전술한 0x로 시작하는 값(즉, 0x02, 0x03 등)은 16진수 값을 의미한다.The end byte is the part that signals the end of the data and can contain 1 byte of information with a value of 0x03. Values starting with the aforementioned 0x (i.e., 0x02, 0x03, etc.) mean hexadecimal values.

상기의 데이터 패킷 프레임에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 게이트웨이(30)의 게이트웨이ID,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된 센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가 관리 서버(60)로 전송되기까지 거쳐온 리피터(40) 및 라우터(50)의 고유의ID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above data packet frame may include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he gateway ID of the gateway 30, and sens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Additionally, the unique IDs of the repeater 40 and router 50 through which data wa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 may be further included.

관리 서버(60)는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고,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에서의 센서정보, 응급상황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60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area of the data frame, and sensor information,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etc. at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an confirm.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Management method using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이용한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management method using 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건설현장에 설치 또는 작업자, 자재 또는 건설장비에 설치하고자 하는 비콘(10),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리피터(40) 및 라우터(50)의 사전 등록 과정이 필요하다. 각각의 장비에는 고유의 비콘ID, 위치인식 전용장치ID, 게이트웨이ID, 리피터ID, 라우터ID가 부여될 수 있으며, 등록 모듈(64)과 연결된 PC 및 노트북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비콘(10), 위치인식 전용장치(20), 게이트웨이(30), 리피터(40) 및 라우터(5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First, a pre-registration process is required for the beacon (10),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gateway (30), repeater (40), and router (50) that are to be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or installed on workers, materials, or construction equipment. do. Each device can be assigned a unique beacon ID,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gateway ID, repeater ID, and router ID, and the beacon (10) can be registered using a PC, laptop, or mobile device connected to the registration module (64). , Enter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gateway (30), repeater (40), and router (50).

장비 교체/수리 등으로 상기의 장비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장비 등록을 삭제하고, 새로운 장비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If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above equipment due to equipment replacement/repair, etc., it is also possible to delete the existing equipment registration and perform a new equipment registration procedure.

다음,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와,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된 센서 정보에 기반한 데이터를 변환한다. 변환된 데이터는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주기로 게이트웨이(30)에 송신된다.Next,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onverts data based on the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nd the sens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The conver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at a preset first time period.

본 발명에 따르면,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경고 신호가 생성된 경우 또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긴급호출버튼(26)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즉시 그 데이터가 게이트웨이(30)에 전송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or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pressed, the data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It can be.

게이트웨이(30)에 송신된 데이터는 리피터(40), 라우터(50)를 거쳐 관리 서버(60)에 전송되며, 관리 서버(60)에 수신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된다.Data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60 through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and the data received by the management server 60 is stored in the database 65.

관리 서버(60)의 좌표 연산 모듈(62)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상대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대 위치와,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절대 좌표를 연산한다.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of the management server 60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with respect to the gateway 30 based on the data receiv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calculat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nd the gateway 30. Calculate the absolut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us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30).

관리 서버(60)의 맵핑 모듈(63)은 연산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건설현장의 좌표계에 일대일 매칭되도록 맵핑한다. 맵핑 모듈(63)에 의한 맵핑이 완료되면, 관리 서버(6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등록 모듈(64)에 등록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들의 위치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The mapping module 63 of the management server 60 maps the calculated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o match one-to-one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construction site. When mapping by the mapping module 63 is completed, the location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s 20 registered in the registration module 64 are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the display (not shown) of the management server 60.

또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경고 신호가 생성되거나, 긴급호출버튼(26)이 눌려지는 경우, 관리 서버(60)에서 알림이 출력되거나, 좌표계에서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색이 변화(예로, 녹색으로 표시된 위치인식 전용장치의 위치가 적색으로 변경됨)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warning signal is generated i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or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is pressed, a notification is output from the management server 60, or the color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displayed in the coordinate system. This change (for example,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displayed in green changes to red) allows the administrator to recognize it in real time.

또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가, 지오-펜싱 구역 내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마찬가지로 관리 서버(60)에서 알림이 출력되거나, 좌표계에서 해당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색이 변화하는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관리자가 인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determined to be within the geo-fencing area, a notification is similarly output from the management server 60, or the color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hanges in the coordinate system. In this way, the manager can also recognize it in real time.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가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위치인식 전용장치-게이트웨이 간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때에는 비콘(10)에 대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하고, 적어도 3개의 상대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절대 좌표를 연산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If the loc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located in a radio wave shadow area,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and the gateway may not be smooth, so in this case,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s relative position to the beacon 10 may not be smooth. 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sition and calculating the absolut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from at least three relative positions may be applied.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lternativ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lternativ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 비콘
20: 위치인식 전용장치
21: 신호 수신 모듈
22: 연산 처리 모듈
22a: 경고 신호 생성 모듈
23: 센서 모듈
24: 알림 모듈
25: 신호 송신 모듈
30: 게이트웨이
40: 리피터
50: 라우터
60: 관리 서버
61: 통신 모듈
62: 좌표 연산 모듈
63: 맵핑 모듈
64: 등록 모듈
65: 데이터베이스
10: Beacon
20: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1: signal receiving module
22: Operation processing module
22a: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3: sensor module
24: Notification module
25: signal transmission module
30: Gateway
40: repeater
50: router
60: Management server
61: communication module
62: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3: Mapping module
64: Registration module
65: database

Claims (17)

건설현장 내의 기 설정된 위치들에 설치되고, 각각에 고유의 게이트웨이ID가 부여되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와 제1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게이트웨이(30);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웨이(3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리피터(40);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리피터(40)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는 제1 통신 채널과 다른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리피터(40)와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상기 리피터(4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라우터(50); 및
상기 라우터(50)와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3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 연결되는 관리 서버(60)로서, 상기 라우터(5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게이트웨이ID에 매칭되는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좌표 연산 모듈(62)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60);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자이로 센서(23b), 가속도 센서(23c), 고도 센서(23d) 및 환경 센서(23e)로 이루어진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모듈(23); 및
상기 센서 모듈(23)에서 출력된 센서 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센서정보로 전환하는 연산 처리 모듈(22);을 포함하되,
상기 연산 처리 모듈(22)은,
상기 자이로 센서(23b) 및 상기 가속도 센서(23c)에서 출력되는 움직임정보와, 상기 고도 센서(23d)에서 출력되는 고도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센서정보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상기 움직임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관찰되지 않는 경우 제1 경고 신호를 생성하거나, 상기 고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1 고도에서 상기 제1 고도보다 낮은 제2 고도로 변화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을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It is installed at preset locations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each is given a unique gateway ID,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hrough a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 gateway 30 configured to receive data;
a repeater 40 configured to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gateway 30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30;
It is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repeater 4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and is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through a second communication channe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channel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A router (50) connected to the repeater (4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figured to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the repeater (40); and
A management server 60 that is connected to the router 50 through a third communication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and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router 50 and receives the received data.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matching the gateway ID included in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60, including a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that calculates the coordinates of (20),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 sensor module 23 including any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 gyro sensor 23b, an acceleration sensor 23c, an altitude sensor 23d, and an environmental sensor 23e; and
An arithmetic processing module 22 that processes the sens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nsor module 23 in a preset manner and converts it into sensor information,
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Configured to process the motion information output from the gyro sensor 23b and the acceleration sensor 23c and the altitud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altitude sensor 23d in a preset manner and convert them into sensor information,
When the mo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is not observ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a first warning signal is generated, or the altitude information changes from a first altitude to a second altitude lower than the first altitude within a preset time. Comprising a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that generates a second warning signal,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및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된 시점의 시간 정보에 조합에 기반한 암호화 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생성된 암호화 키와 함께,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및 게이트웨이ID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상기 리피터(40)에 전송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teway 30 is,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ncryption key based on a combination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data was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Along with the generated encryption key, data includ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gateway ID are transmitted to the repeater 40,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는,
상기 건설현장 내의 건설 대상 건물의 지상층에 설치되고, 상기 건설 대상 건물의 지하층의 각 층마다 설치되며,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가, 각각의 게이트웨이ID와 매칭되어 상기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을 통해 등록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gateway 30 is,
It is installed on the ground floor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nd is installed on each floor of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is matched with each gateway ID and registered through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60)는,
상기 좌표 연산 모듈(62)에 의해 연산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에 기반하여,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상기 건설현장의 좌표계에 각각 맵핑하는 맵핑 모듈(63)을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management server 60,
Based on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calculated by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re stored i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construction site. Further comprising a mapping module 63 for each mapping,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은 비면허 Sub-1GHz 네트워크 또는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communication protocol is an unlicensed Sub-1 GHz network or Bluetooth Low Energy (BL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프로토콜은 Wi-Fi 프로토콜이되, 2,4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리피터(4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고 5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라우터(5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는 Wi-Fi 프로토콜이거나, 5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게이트웨이(30)와 상기 리피터(4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고 2.4GHz 무선 주파수로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라우터(50)를 서로 무선 통신 연결하는 Wi-Fi 프로토콜이며,
상기 제3 통신 프로토콜은 유선 통신망 프로토콜 또는 IEEE 802.11a, 11b, 11g, 11n, 11ad, 11ad 및 11ax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망 프로토콜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communication protocol is a Wi-Fi protocol, and connects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to each oth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2.4 GHz radio frequency, and connects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with a 5 GHz radio frequency. ) is a Wi-Fi protocol that wirelessly connects the gateway 30 and the repeater 40 with each other using a 5 GHz wireless frequency, and connects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with a 2.4 GHz wireless frequency. It is a Wi-Fi protocol that connects wirelessly to each other,
The third communication protocol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 or one or mor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s selected from IEEE 802.11a, 11b, 11g, 11n, 11ad, 11ad and 11ax,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각각에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가 부여된 상태로 개별 작업자, 자재 또는 건설장비에 부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23)은 GPS 센서(23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상기 연산 처리 모듈(22)에 의해 전환된 센서정보와,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모듈(25)을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ttached to an individual worker, material, or construction equipment with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ssigned to each device,
The sensor module 23 further includes a GPS sensor 23a,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has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that transmits data including sensor information converted by the operation processing module 22 and each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to the gateway 30. Containing mor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센서(23e)는 온도 센서, CO2 센서, CO 센서, 조도 센서, 온도/습도 센서, 먼지 센서, 연기 센서 및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처리 모듈(22)은,
상기 환경 센서(23e)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환경 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센서정보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은,
상기 센서정보에 포함된 상기 환경 정보가 기설정된 유해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제3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In clause 7,
The environmental sensor 23e include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temperature sensor, a CO2 sensor, a CO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a dust sensor, a smoke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The calculation processing module 22,
It is configured to process each environment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environmental sensor 23e in a preset manner and convert it into sensor information,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Generating a third warning signal whe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nsor information meets preset harmful standards,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상기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상기 제1 경고 신호, 상기 제2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3 경고 신호가 생성된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알림 모듈(24)을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Further comprising a notification module 24 that outputs a notification signal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the second warning signal, or the third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상기 경고 신호 생성 모듈(22a)에 의해 상기 제1 경고 신호, 상기 제2 경고 신호 또는 상기 제3 경고 신호가 생성된 경우, 즉시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When the first warning signal, the second warning signal, or the third warning signal is generated by the warning signal generation module 22a, data including each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is immediately sent to the gateway 30. configured to transmit to,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긴급호출버튼(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기 긴급호출버튼(26)이 조작된 경우,
상기 작업자에 부착된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즉시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전송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It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call button (26)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the operator,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26 is operated by the worker,
Data includ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ttached to the worker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gateway 30,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 내의 전파 음영 지역 및 기설정된 지오-펜싱(geo-fencing) 구역에 설치되고, 각각에 고유의 비콘ID가 구비되어 상기 비콘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비콘(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는,
BLE 방식으로 상기 비콘(10)과 무선 통신 연결되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주기로 상기 비콘(10)에서 송신되는 상기 비콘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신호 수신 모듈(21), 및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 모듈(25)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송신 모듈(25)은 상기 비콘ID와 각각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게이트웨이(3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표 연산 모듈(62)은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비콘ID에 매칭되는 비콘(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함으로써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beacon (10) is installed in a radio wave shadow area and a preset geo-fencing area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each of which has a unique beacon ID,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D. Contains,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 signal reception module 21 configured to receive the beac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eacon 10 at a preset first time period, connected to the beacon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LE, and
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that transmits data to the gateway 30,
The signal transmission module 25 is configured to transmit data including the beacon ID and each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to the gateway 30,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is a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hat matches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eacon 10 that matches the beacon ID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that matches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피터(40)와 상기 라우터(50)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관리 서버(60)의 등록 모듈(64)을 통해, 상기 비콘ID,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상기 리피터(40)마다 부여된 고유의 리피터ID 및 상기 라우터(50)마다 부여된 고유의 라우터ID가 입력되고, 상기 비콘(10)의 설치위치,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부착된 작업자의 정보 및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부착된 건설장비의 정보가 등록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Through the registration module 64 of the management server 60, the beacon ID,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the unique repeater ID assigned to each repeater 40, and the unique router assigned to each router 50. The ID is entered,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eacon 10, the information of the worker to which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ttach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o which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attached are registered.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30), 상기 리피터(40) 및 상기 라우터(50)는 상기 건설현장 내의 분전반에 설치되어, 상기 분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ateway 30,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ar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ard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distribution board,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제9항에 따른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써,
(a)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고유의 위치인식 전용장치ID와, 상기 센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게이트웨이(30)가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위치인식 전용장치ID, 센서정보와 함께 고유의 게이트웨이ID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게이트웨이(30)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리피터(40), 상기 라우터(50)를 거쳐 상기 관리 서버(60)에 전송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서버(60)의 좌표 연산 모듈(62)이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게이트웨이ID에 매칭되는 게이트웨이(30)의 설치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을 이용한 관리 방법.
As a method using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according to paragraph 9,
(a)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ransmitting data including a uniqu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the sensor information;
(b) The gateway 30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and receives data including a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and senso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as well as a unique gateway ID. transmitting;
(c) transmitt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gateway 30 to the management server 60 via the repeater 40 and the router 50; and
(d)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gateway 30 matching the gateway ID included in the data transmitted by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of the management server 60, a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match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 20)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and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struction sit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은,
상기 건설현장 내의 전파 음영 지역 및 기설정된 지오-펜싱 구역에 설치되고, 각각에 고유의 비콘ID가 구비되어 상기 비콘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비콘(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를 소지한 작업자가 상기 전파 음영 지역에 위치된 경우,
상기 비콘(10)이 비콘ID를 포함하는 비콘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가 상기 비콘정보에 포함된 비콘ID와,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ID 및 상기 센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좌표 연산 모듈(62)이 전송된 데이터에 포함된 비콘ID에 매칭되는 비콘(10)의 설치 위치로부터, 위치인식 전용장치ID에 매칭되는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상대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상대 위치에 따라 상기 위치인식 전용장치(20)의 좌표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을 이용한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The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for construction sites is,
It is installed in a radio wave shadow area and a preset geo-fencing area within the construction site, and each beacon (10) is provided with a unique beacon ID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acon ID,
When a worker carrying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is located in the radio wave shadow area,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the beacon 10 transmitting beacon information including a beacon ID,
The step (a)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data including a beacon ID included in the beacon information,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ID, and the sensor information,
In step (d), the coordinate calculation module 62 is selected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beacon 10 that matches the beacon ID included in the transmitted data, to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20 that matches the location recognition dedicated device ID.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nd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location recognition device 2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lative posi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emporary communication network for construction sites.
KR1020210052495A 2020-06-30 2021-04-22 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63430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0393 2020-06-30
KR1020200080393 2020-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79A KR20220002079A (en) 2022-01-06
KR102634301B1 true KR102634301B1 (en) 2024-02-07

Family

ID=7934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495A KR102634301B1 (en) 2020-06-30 2021-04-22 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30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85B1 (en) * 2018-10-30 2020-04-24 (주)오픈웍스 Apparatus for Managing Secur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076B1 (en) * 2015-03-18 2016-12-20 문종섭 A secure Dat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IoT smart devices and a Network gateway under Internet of Thing environment
KR101914228B1 (en) * 2017-02-17 2018-11-02 주식회사 영신 IOT Based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Using the RTLS and Video Control Technology
KR101872768B1 (en) 2017-03-27 2018-07-02 주식회사 유타렉스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KR20190055427A (en) * 2017-11-15 2019-05-23 박순구 Position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ing beacon network
KR102005188B1 (en) 2018-04-30 2019-07-29 타이아(주) Industrial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real-time location track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485B1 (en) * 2018-10-30 2020-04-24 (주)오픈웍스 Apparatus for Managing Securit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079A (en)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1567B2 (en) System and interfaces for managing workplace events
US7652571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mergenc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80151037A1 (en) System and interfaces for managing workplace events
TWI376653B (en) Mobile emergency device for emergency personnel
JP5514562B2 (en) Location management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US9257028B2 (en) Dual-network locator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US10769562B2 (en) Sensor based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operation of worksite equipment using a locally stored access control list
CN101681541A (en)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 within a fire safety system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US118100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w-energy wireless applications using networked wearable sensors
US11272500B2 (en) Unified facility communications system with device location
CN101908997A (en) Airport environment monitoring method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US20230280477A1 (en) System for Calculating Highly Accurate GPS Location for Mobile Devices
KR102428896B1 (en) System for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sites
CN111399419A (en) Emergency rescue positioning system based on intelligent emergency evacuation system
KR2014012501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asic service set area
KR101267405B1 (en)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indoor position determination
KR102634301B1 (en) Temporary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Construction Site Manag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00137906A (en) On-site manpower monitoring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KR102406689B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oRa Protocol with Improved Security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136737A (en) System for monitoring forest fire using sensor network
KR10218409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elecom shaded area using bluetooth mesh network
WO2017160812A1 (en) System and interfaces for managing workplace events
KR101512745B1 (en) Plug and play sensor network system using peer-to-peer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system
KR102470494B1 (en) IoT management hub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