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475B1 -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 Google Patents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475B1
KR102632475B1 KR1020220152421A KR20220152421A KR102632475B1 KR 102632475 B1 KR102632475 B1 KR 102632475B1 KR 1020220152421 A KR1020220152421 A KR 1020220152421A KR 20220152421 A KR20220152421 A KR 20220152421A KR 102632475 B1 KR102632475 B1 KR 102632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ser
movement
tempo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2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규동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5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0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easuring acceleration changes by making use of a triple differentiation of a displacement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음원 재생을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명령어들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속도 측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며, 음원 템포 및 움직임 템포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These embodiments include a processor executing instructions for playing sound sources;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n output unit that externally outputs results according to execution of commands, wherein the processor inputs sound source data played by a user into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to measure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and measures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user's sound source data.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measures movement tempo based on movement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movement, and compares the sound source tempo and movement tempo to generat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to assist the user's movement.

Description

운동 속도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Sound playback device and method according to exercise speed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본 발명은 운동 속도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동 속도에 맞게 음원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고 맞추는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speed of movement, and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that adjusts and matches the reproduction speed of the sound source to the speed of movement.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is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최근 걷기나 뛰기 또는 반복동작이 가능한 운동에서 음악은 운동 효과를 높이고, 더 오래 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등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 종류 별 운동 과정에 있어서 음악을 통해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Recently, music has been known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walking, running, or other repetitive movements, such as increasing exercise effectiveness and helping people exercise longer. Accordingly, the exercise effect can be improved through music in the exercise process for each type of user's exercise.

종래에는 운동 시 필요에 의해 음악을 선택하여 운동을 수행했으며, 이때 음악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플레이리스트 또는 미리 설정된 운동 별 플레이리스트에 의해 랜덤으로 재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음악은 사용자 각각의 운동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며 수행하는 운동과 서로 다른 템포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Conventionally, music was selected and exercised as needed. In this case, the music may be played randomly according to a playlist set by the user or a preset playlist for each exercise. However, such music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exercis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and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different tempo from the exercise being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운동 속도를 파악하고, 운동 속도에 맞게 음원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고 맞춰주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The main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lication that uses the acceleration sensor of a smartphone to determine the speed of movement and adjusts and matches the playback speed of the sound source to the speed of movement.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Other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itionally considered within the scop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its effects.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원 재생을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들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속도 측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며, 상기 음원 템포 및 상기 움직임 템포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를 제안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or executing instructions for playing sound sources; a memory storing the instructions; and an output unit that externally outputs a result of executing the commands, wherein the processor inputs sound source data played by a user into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to measure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 A sound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tempo is measured based on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a control signal to assist the user's movement is generated and provided by compa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the movement tempo. Suggest a playback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상기 움직임 값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select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the processor receives the motion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from the user's terminal, and uses the sound source data to determine the sound source data.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in numbers, and using the motion value to generate movement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n numbers.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includes: a first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user's movement by adjusting a movement tempo value of the user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lternatively, a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by adjusting the sound source tempo value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을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 타임 스탬프와 연결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의 타이밍이 취합되는 경우, 상기 취합된 타이밍을 고려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connects the timing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with the playback time stamp of the sound source data, compares the motion information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when a timing greater than a threshold is collected, considers the collected timing. A firs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he first control signal controls the user's movements based on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음원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음원 데이터와 대칭되는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의 상기 음원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receives metadata for the selected sound source data, generates timing according to movement symmetrical to the sound source data, and automatically chang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 second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based on the user's mov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형성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디딤 타이밍을 나타내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발디딤 타이밍은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속도, 진동 및 충격을 기반으로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속도 및 상기 사용자가 지면에 발을 디디는 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generates the mov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r's stepping timing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med in the user's terminal, and the stepping timing is the user's moving direction obtain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 is obtained based on speed, vibration, and impac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user's speed and the moment when the user steps on the ground.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3축의 가속도 시계열 값을 입력으로 하여 발디딤에 따른 타임 스탬프를 나타내는 상기 발디딤 타이밍을 생성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에 따른 상기 발디딤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은 단위 시간 내의 사용자의 발디딤 빈도를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디딤 빈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기반으로 정점 포인트(Peak Point)를 최적의 발디딤에 따른 타임 스탬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generates the stepping timing indicating a time stamp according to stepping by inputting the 3-axis acceleration time series value obtain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sends the step timing to the user based on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 source data. The step timing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correction calculates the user's step frequency within a unit time and determines the peak point as the optimal step time based on a graph showing the step frequency over tim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et with a stamp.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의 발디딤 간 소요시간 값을 상기 사용자의 발디딤 사이 소요시간 값으로 조정하도록 PID 제어기(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변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cessor utilizes a 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to adjust the time elapsed between steps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time elapsed between steps of the user to move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by responding to tempo changes.

바람직하게는, 상기 PID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도록 목표하는 목표 템포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측정된 움직임 템포 값의 차이 값, 상기 차이 값의 적분 값 및 상기 차이 값의 미분 값을 더한 값을 통해 보정 값을 산출하여, 상기 보정 값을 통해 상기 발디딤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값은 차이 값, 상기 차이 값의 적분 값 및 상기 차이 값의 미분 값 각각에 비례 상수 값을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ID controller includes a target tempo value aimed at making the user move and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ovement tempo values measured based on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 integral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A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by adding the derivativ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stepping timing is corrected through the correction value, and the correction value is added to each of the difference value, the integral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derivativ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roportionality constant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도 측정 알고리즘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으로 구현되며, 상기 이산 웨이블릿 변환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가 특정 시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스케일(Scale)과 위치 변수를 가진 웨이블릿(Wavelet)과 유사한 양에 대한 계수를 산출함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peed measurement algorithm is implemented with a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uses a scale and a position variable that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represents the energy of a specific time. It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by calculating a coefficient for a quantity similar to an excitation wavele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음원 재생 장치에 의한 음원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속도 측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템포 및 상기 움직임 템포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방법을 제안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by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wher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a user is input into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to measure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user Measuring the movement tempo based on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nd compa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the movement tempo to generat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to assist the user's movem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상기 움직임 값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measu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measuring the movement tempo includes transmitting the motion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from the user's terminal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select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of the sound source data in numbers using the sound source data, and generating movement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n numbers using the motion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first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user's movement by adjusting the movement tempo value of the user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lternatively, a second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by adjusting the sound source tempo value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걷기 뛰기 등의 리듬 요소를 포함하는 운동과 음악을 매칭하여 운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elping people to immerse themselves in exercise by matching music with exercise that includes rhythm elements such as walking and running that perform repetitive movements. .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Even if the effects are not explicitly mentioned here, the effec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specification and their potential effects expected by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as i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기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장치의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에 의한 음원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를 통한 운동 보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ID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source playbac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illustrating a computing environment of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using a sound source re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exercise assistance through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PID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members.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들 중의 어느 항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ter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ter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운동 속도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sound sources according to movement speed.

본 발명의 운동 속도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운동 속도를 파악하고, 운동 속도에 맞게 음원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고 맞춰주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determines the movement speed by utiliz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user terminal and adjusts and matches the playback speed of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speed, and is necessarily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관리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source playback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음원 재생 관리 시스템(1)은 음원 재생 장치(10), 사용자 디바이스(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 user device 20, and a communication network 30.

사용자 디바이스(20)는 음원 재생 장치(10)가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이다. 사용자 디바이스(20)는 사용자가 몸에 지니고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톱(Laptop)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device 2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transmits data necessary for processing by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nd receives the processed data. The user device 2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carried by the user, such as a smart phone, smart watch, tablet PC, 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There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laptop, etc., but it is not limited to these.

음원 재생 장치(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는 통신망(30)으로 연결되어 있다. 통신망(30)은 음원 재생 장치(10) 및 사용자 디바이스(20) 간의 통신을 가능케 할 목적으로 연결해 놓은 통신설비의 집합을 의미한다. 통신망(40)은 노드(Node), 회선, 간선, 및 위성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연결 및 접속되어 있다.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nd the user device 20 ar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30. The communication network 30 refers to a set of communication facilities connect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nd the user device 20. The communication network 40 includes nodes, lines, trunk lines, and satellites, and these are connec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음원 재생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검색, 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RDBMS),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객체 지향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bject 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분산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등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ncludes a database. A database refers to a form of data storage in which data can be freely searched, extracted, deleted, edited, added, etc. Databases include Oracle, Infomix, Sybase,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RDBMS), Gemston, Orion, and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 Object 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embodiment using a distributed database, cloud, etc.

도 1을 참고하면,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 디바이스(20)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디바이스(20)와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디바이스(20)에 포함되어 사용자 디바이스(2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s a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user device 20 and processes data, and is shown as a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user device 2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a device that processes data. It may be included in the device 20 and implemented to process data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user device 2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기기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장치의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d illustrating a computing environment of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음원 재생 장치(10)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태블릿 PC(Tablet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톱(Laptop)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tablet PC, a portabl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here may be a laptop, etc.,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음원 재생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검색, 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저장형태를 의미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RDBMS),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객체 지향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bject 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분산 데이터베이스, 클라우드 등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ncludes a database. A database refers to a form of data storage in which data can be freely searched, extracted, deleted, edited, added, etc. Databases include Oracle, Infomix, Sybase, 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 (RDBMS), Gemston, Orion, and object-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 Object Oriented Database Management System (OODBMS) can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embodiment using a distributed database, cloud, etc.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st the user's exercise based on sound source data selected and input by the user.

이를 위해, 음원 재생 장치(10)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서 음원 재생을 위한 명령어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memory that stores a program executed by the processor, the processor generates instructions for playing sound sources, and the generated instructions are used to assist the user's exercise.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to do this.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each component may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below.

도시된 컴퓨팅 환경은 음원 재생 장치(1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음원 재생 장치(10)는 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컴퓨팅 기기일 수 있다. The illustrated computing environment include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n one embodiment,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may be any type of computing devic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another terminal.

음원 재생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120) 및 통신 버스(1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10)는 음원 재생 장치(10)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2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음원 재생 장치(10)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0,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20, and a communication bus 160. The processor 110 may cause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to operat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mentioned above. For example, 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one or more program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20. The one or more programs may include one or m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the processor 110, cause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example embodiments. It can be configured.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20)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20)에 저장된 프로그램(130)은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한 가능 저장 매체(120)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기기들, 광학 디스크 저장 기기들, 플래시 메모리 기기들, 그 밖에 학습패턴 분석 장치(10)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20 is configured to store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program code, program data, and/or other suitable form of information. The program 130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20 includes a set of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110. In one embodiment,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20 includes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non-volatile memory,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one or more magnetic disk storage devices, optical disk storage devices, It may be flash memory devices, other types of storag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the learning pattern analysis device 10 and store desired information, or a suitable combination thereof.

통신 버스(160)는 프로세서(11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120)를 포함하여 음원 재생 장치(10)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The communication bus 160 interconnects various other components of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ncluding the processor 110 and th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20.

음원 재생 장치(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미도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및 통신 인터페이스(150)는 통신 버스(1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음원 재생 장치(10)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음원 재생 장치(10)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음원 재생 장치(1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음원 재생 장치(10)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input/output interfaces 140 and one or more communication interfaces 150 that provide interfaces for one or more input/output devices (not shown). The input/output interface 140 and communication interface 150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160. An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of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through the input/output interface 140. Exemplary input/output devices include input devices such as pointing devices (such as a mouse or trackpad), keyboards, touch input devices (such as a touchpad or touch screen), voice or sound input devices, various types of sensor devices, and/or imaging devices; and/or output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printers, speakers, and/or network cards. An exemplary input/output device (not shown) is a component that constitutes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nd may be included inside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or may be a separate device distinct from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and may be used with a computing device. It may be connected.

음원 재생 장치(10)는 음원 재생을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명령어들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ncludes a processor that executes instructions for playing sound sources;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and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results of executing the commands to the outside.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속도 측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며, 음원 템포 및 움직임 템포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measures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by inputting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into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measures the movement tempo based on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measures the sound source data. By comparing the tempo and movement tempo, a control signal to assist the user's movement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음원 재생 장치(10)는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원 데이터의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움직임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When sound source data is select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can receive movement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from the user's terminal.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can use sound source data to generate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of the sound source data in numbers, and can use motion values to generate movement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n numbers.

음원 재생 장치(10)는 (i) 음원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값을 조정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ii)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 값을 조정하여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is configured to provide (i) a first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user's movement by adjusting the user's movement tempo value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or (ii) a sound source of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controls sound source data can be generated by adjusting the tempo value.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을 음원 데이터의 재생 타임 스탬프와 연결하고 움직임 정보를 음원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의 타이밍이 취합되는 경우, 취합된 타이밍을 고려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connects the timing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with the playback time stamp of the sound source data, compares the movement information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when a timing greater than a threshold is collected, sends a first control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collected timing. can be created. Here,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control the user's movements based on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음원 재생 장치(10)는 선택된 음원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전달받아 음원 데이터와 대칭되는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을 생성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음원 데이터의 음원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신호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음원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receives metadata for the selected sound source data, generates timing according to movements that are symmetrical to the sound source data, and provides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automatically chang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an be created. Here, the second control signal can control sound source data based on the user's movement.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형성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디딤 타이밍을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디딤 타이밍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이동 방향, 속도, 진동 및 충격을 기반으로 획득하며, 사용자의 속도 및 상기 사용자가 지면에 발을 디디는 순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may generate mov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timing of the user's footsteps by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med in the user's terminal. Here, the stepping timing is obtained based on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speed, vibration, and shock obtain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and may include the user's speed and the moment when the user steps on the ground.

음원 재생 장치(10)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3축의 가속도 시계열 값을 입력으로 하여 발디딤에 따른 타임 스탬프를 나타내는 발디딤 타이밍을 생성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에 따른 발디딤 타이밍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은 단위 시간 내의 사용자의 발디딤 빈도를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디딤 빈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기반으로 정점 포인트(Peak Point)를 최적의 발디딤에 따른 타임 스탬프로 설정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generates a stepping timing indicating a time stamp according to the stepping by inputting the 3-axis acceleration time series value acquir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and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a plurality of previously stored sound source data. The stepping timing can be corrected accordingly. Here, the correction can be made by calculating the user's stepping frequency within a unit time and setting the peak point as a time stamp according to the optimal stepping based on a graph showing the stepping frequency over time.

음원 재생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의 발디딤 간 소요시간 값을 사용자의 발디딤 사이 소요시간 값으로 조정하도록 PID 제어기(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변경에 대응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10 responds to changes in the user's movement tempo by utilizing a 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to adjust the time elapsed between steps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time elapsed between steps of the user. You can.

PID 제어기는, 사용자가 움직이도록 목표하는 목표 템포 값 및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측정된 움직임 템포 값의 차이 값, 차이 값의 적분 값 및 차이 값의 미분 값을 더한 값을 통해 보정 값을 산출하여, 보정 값을 통해 발디딤 타이밍을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 값은 차이 값, 차이 값의 적분 값 및 차이 값의 미분 값 각각에 비례 상수 값을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The PID controller calculates the difference value of the measured movement tempo value, the integral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derivativ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based on the target tempo value aimed at making the user move and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By calculating the correction value, the stepping timing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correction value. Here, the correction value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each of the difference value, the integral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derivativ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by a proportionality constant value.

속도 측정 알고리즘은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peed measurement algorithm can be implemented with Discrete Wavelet Transform.

이산 웨이블릿 변환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가 특정 시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스케일(Scale)과 위치 변수를 가진 웨이블릿(Wavelet)과 유사한 양에 대한 계수를 산출함에 따라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할 수 있다.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measures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as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calculates a coefficient for a quantity similar to a wavelet with a scale and position variable representing the energy at a specific time. You ca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에 의한 음원 재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음원 재생 방법은 음원 재생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음원 재생 방법은 음원 재생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음원 재생 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using a sound source reprodu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method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The method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is performed by a sound source reproducing device, and descriptions that overlap with detailed descriptions of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ound source reproducing device will be omitted.

걷기나 뛰기 또는 반복동작이 가능한 운동에서 음악은 운동 효과를 높이고, 더 오래 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등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음원 재생 장치는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리듬을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파악한 뒤, 이에 맞추어 음악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Music is known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walking, running, or other repetitive movements, such as increasing exercise effectiveness and helping people exercise longer. Accordingly,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rhythm of the user's exercis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smartphone and then adjust the music playback speed accordingly.

음원 재생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수집하는 단계(S310),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곡에 대한 발디딤 타이밍 값을 연산 및 저장하는 단계(S320), 사용자가 재생 음악을 선택함에 따라 제목, 가수 등 곡 정보가 송신하는 단계(S330), 해당 곡에 대한 발디딤 타이밍값을 수신하는 단계(S340) 및 발디딤 타이밍 값을 사용자의 타이밍과 맞추도록 곡의 빠르기를 조정하는 단계(S350)를 포함한다.The sound source playback method includes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users (S310), calculating and storing a stepping timing value for a specific so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320), and selecting the title and singer as the user selects the music to be played. It includes a step of transmitting song information (S330), a step of receiving a step timing value for the song (S340), and a step of adjusting the speed of the song to match the step timing value to the user's timing (S350).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수집하는 단계(S310)는 복수의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디디는 시간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The step of collecting data from a plurality of users (S310) may collect data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plurality of users, the time the user steps, etc.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곡에 대한 발디딤 타이밍 값을 연산 및 저장하는 단계(S320)는 음원 재생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특정 곡을 듣기 위해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특정 곡에 대한 발디딤 타이밍 값을 연산 및 저장할 수 있다.In the step (S320) of calculating and storing a stepping timing value for a specific so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hen a user using a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selects a specific song to listen to, the step S320 calculates a stepping timing value for the selected specific song. and can be saved.

발디딤의 타이밍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며, 발디딤 이벤트를 인식하는 머신러닝 모델로부터 연산될 수 있다.The timing of foot stepping utilizes the acceleration sensor of the user device and can be calculated from a machine learning model that recognizes foot stepping ev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몸에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 smart watch,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movement of the user's body.

머신러닝 모델의 입력 값(Input)은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x, y, z 축의 가속도 시계열값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출력 값(Output)은 발디딤 이벤트의 타임스탬프(Timestamp)로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value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can be implemented as acceleration time series values on the x, y, and z axes obtained through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output value can be implemented as a timestamp of the stepping even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곡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데이터를 크라우드소싱 방식으로 수집하여, 이를 통해 최적 발디딤의 순간값을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from a plurality of users for a specific song can be collected using a crowdsourcing method, and the instantaneous value of optimal stepping can be corrected through this.

보정은 단위 시간(Time windows) 내 사용자들의 발디딤 빈도를 계산하며, x 축은 시간, y 축은 디딤 빈도수로 그래프를 그려, 그래프 상의 정점 포인트(Peak Point)를 최적 발디딤의 타임스탬프(Timestamp)로 설정할 수 있다.Correction calculates the user's stepping frequency within unit time (Time windows), draws a graph with time on the x-axis and stepping frequency on the y-axis, and sets the peak point on the graph as the timestamp of optimal stepping. there is.

특정 곡의 발디딤 간 소요시간 값을 a 라 하고, 현재 사용자의 발디딤 사이 소요시간 값을 b라고 할 때, a 를 b로 조정하기 위하여 PID 제어기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를 활용하여, 빠른 사용자의 템포 변경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Let the time required between steps of a specific song be a, and the time taken between steps of the current user be b. By using a 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to adjust a to b, a fast user It can respond flexibly to tempo changes.

도 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개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In Figure 3, each process is shown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on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the order shown in Figure 3 and execute i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t may be applied through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such as executing one or more processes in parallel or adding other processe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원 재생 장치를 통한 운동 보조를 나타내는 흐름이다.Figure 4 is a flow showing exercise assistance through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음원 재생 장치는 곡에 맞추어 뛰는 기능과 음악을 뛰는 속도에 맞추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곡에 맞추어 뛰는 기능은 제1 제어 신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악을 뛰는 속도에 맞추는 기능은 제2 제어 신호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can perform both the function of running in time with the music and the function of matching the music to the speed of the music. Here, the function of running in time with the music can be achieved through a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function of matching the music to the running speed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econd control signal.

제1 제어 신호는 곡을 선택하고 재생하는 단계(S410),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발디딤 타이밍을 검출하는 단계(S420) 및 발디딤 타이밍을 음원 재생 타임스탬프와 연결하는 단계(S430) 및 여러 타이밍을 취합하여 발디딤 타이밍을 결정 및 저장하는 단계(S440)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signal includes selecting and playing a song (S410), detecting the stepping timing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S420), connecting the stepping timing with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timestamp (S430), and collecting various timings. It can be generated through the step of determining and storing the stepping timing (S440).

따라서, 제1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곡에 맞추어 뛰도록 사용자에게 발디딤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signal may provide the user with stepping timing so that the user can run in accordance with the song.

제2 제어 신호는 선택한 곡에 대한 메타 정보를 송신하고, 발디딤 타이밍을 수신하는 단계(S450), 요청받은 곡에 대한 발디딤 타이밍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6), 음악을 재생하는 단계(S470) 및 사용자의 뛰는 속도에 따라 음악의 템포가 자동으로 변경되는 단계(S480)를 포함한다.The second control signal transmits meta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ong, receives step timing (S450), generates step timing information for the requested song (S46), plays music (S470), and It includes a step (S480) in which the tempo of the music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running speed.

선택한 곡에 대한 메타 정보를 송신하고, 발디딤 타이밍을 수신하는 단계(S450)는 선택한 곡에 대한 메타 정보를 송신하면 단계 S460을 수행함에 따라 타이밍 정보가 생성되면 발디딤 타이밍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 정보는 선택한 음악에 대한 제목, 가수, BPM 등의 곡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step S450 of transmitting meta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ong and receiving the stepping timing, if the meta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ong is transmitted and timing information is generated by performing step S460, the stepping timing can be received. Here, meta information may include song information such as title, singer, and BPM for the selected musi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ID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PID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PID 제어는 목표 템포값을 나타내는 Setpoint가 입력되면 현재 템포값을 나타내는 Output이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PID control can output an output indicating the current tempo value when a setpoint indicating the target tempo value is input.

목표 템포값과 현재 템포값의 차이값이 에러(Error) 라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통해 보정값(u)을 산출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tempo value and the current tempo value is an error, the correction value (u) can be calculated through Equation 1 below.

상술한 수학식 1에서, Kp, Ki, Kd 각각은 비례상수를 나타내고, e는 목표 템포값과 현재 템포값의 차이값을 나타낸다.In Equation 1 above, Kp, Ki, and Kd each represent a proportionality constant, and e re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tempo value and the current tempo value.

따라서, 보정값(u)은 목표 템포값과 현재 템포값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error 값과, 특정시간 동안의 error 적분값, 미분값을 모두 더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the correction value (u) may represent the sum of the error value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tempo value and the current tempo value, the error integral value, and the differential value for a specific time.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의 발걸음 템포의 변화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Overshooting(템포에 과도하게 민감하게 반응) 또는 Undershooting(너무 느리게 반응하는 경우)를 최소화 할 수 있다.By controlling as described above, overshooting (reacting too sensitively to tempo) or undershooting (reacting too slowly) can be flexibly minimiz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empo of the user's footsteps.

따라서, 음원 재생 장치는 사용자가 재생할 음악을 선택하면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해당 음악에 대한 빠르기(bpm, beats per minute)를 측정하고, 사용자가 걷기나 뛰기 등의 운동을 수행하면,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움직임의 템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며, 사용자의 운동 템포에 맞추어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빠르기를 조정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selects music to play,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measures the speed (bpm, beats per minute) of the music using the Discrete Wavelet Transform algorithm and allows the user to exercise such as walking or running. When performed, the tempo of movement is continuously measured using the device's acceleration sensor, and the speed of the music being played can be adjusted to match the user's movement tempo.

또한, 음원 재생 장치는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을 들으면서, 화면의 특정 버튼을 박자에 맞게 누름으로써 해당 음악의 bpm 정보를 미리 사전에 입력해둘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가속도 센서를 통한 자동 템포 조정 기능을 해제할 수 있고, 본래 음악의 빠르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재생 장치는 음악의 빠르기를 원하는 수준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can input the BPM information of the music in advance by pressing a specific button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the beat while listening to the music the user wants to play, and the user can use the automatic tempo adjustment function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You can turn it off and set it to the original music speed. Additionally, the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can change the speed of the music to a desired level.

이에, 음악은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데, 특히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운동이나 걷기, 뛰기 등은 리듬 요소를 갖고 있으므로, 음원 재생 장치를 통해 이러한 리듬 요소를 음악과 매칭하여 운동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Accordingly, music can enhance exercise effectiveness. In particular, repetitive movements such as exercise, walking, running, etc. have rhythm elements, so you can immerse yourself in exercise by matching these rhythm elements with music through a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can help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uter-readable media refers to any media that participates in providing instructions to a processor for execution.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combinations thereof. For example, there may be magnetic media, optical recording media, memory, etc. A computer progra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is embodiment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10: 음원 재생 장치
110: 프로세서
120: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30: 프로그램
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 통신 인터페이스
160: 통신 버스
10: Sound source playback device
110: processor
120: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130: program
140: input/output interface
150: communication interface
160: communication bus

Claims (13)

음원 재생을 위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명령어들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음원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속도 측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며,
상기 음원 템포 및 상기 움직임 템포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속도 측정 알고리즘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가 특정 시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스케일(Scale)과 위치 변수를 가진 웨이블릿(Wavelet)과 유사한 양에 대한 계수를 산출함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 processor that executes instructions for playing sound sources; a memory storing the instructions; In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including an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results of executing the commands to the outside,
The processor,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is input into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to measure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and the movement tempo is measured based on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Compa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the movement tempo to generat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to assist the user's movement,
The speed measurement algorithm determines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as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calculates a coefficient for a quantity similar to a wavelet with a scale and position variable representing the energy at a specific tim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implemented with a discrete wavelet transform that measure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상기 움직임 값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cessor,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select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s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that uses the sound source data to generate sound source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of the sound source data in numbers, and uses the motion value to generate movement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n numbers.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rocessor,
a first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user's movement by adjusting the user's movement tempo value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or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by adjusting the sound source tempo value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을 상기 음원 데이터의 재생 타임 스탬프와 연결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상기 음원 정보를 비교하여 임계치 이상의 타이밍이 취합되는 경우, 상기 취합된 타이밍을 고려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rocessor,
Connect the timing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with the playback time stamp of the sound source data, compare the movement information with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when a timing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is collected,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in consideration of the collected timing; ,
The first control signal controls the user's movements based on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된 음원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전달받아 상기 음원 데이터와 대칭되는 움직임에 따른 타이밍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의 상기 음원 정보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processor,
Receives metadata for the selected sound source data, generates timing according to movement symmetrical to the sound source data, and generates a second control signal that automatically changes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data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do,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trols the sound source data based on the user's move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형성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디딤 타이밍을 나타내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발디딤 타이밍은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 방향, 속도, 진동 및 충격을 기반으로 획득하며, 상기 사용자의 속도 및 상기 사용자가 지면에 발을 디디는 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rocessor,
Generates the mov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timing of the user's steps using an acceleration sensor formed in the user's terminal,
The stepping timing is obtained based on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speed, vibration, and shock obtain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and includes the user's speed and the moment the user steps on the ground. Playback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3축의 가속도 시계열 값을 입력으로 하여 발디딤에 따른 타임 스탬프를 나타내는 상기 발디딤 타이밍을 생성하며,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에 따른 상기 발디딤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은 단위 시간 내의 사용자의 발디딤 빈도를 계산하여 시간에 따른 디딤 빈도수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기반으로 정점 포인트(Peak Point)를 발디딤에 따른 타임 스탬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processor,
The 3-axis acceleration time series value acquired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is input to generate the stepping timing indicating a time stamp according to the stepping, and the stepping timing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a plurality of pre-stored sound source data. correct the timing,
The correction is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s stepping frequency within a unit time is calculated and the peak point is set as a time stamp according to the stepping based on a graph showing the stepping frequency over ti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의 발디딤 간 소요시간 값을 상기 사용자의 발디딤 사이 소요시간 값으로 조정하도록 PID 제어기(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를 활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변경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In clause 7,
The processor,
Characterized b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user's movement tempo by utilizing a PID controller (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ler) to adjust the time elapsed between steps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to the time elapsed between steps of the user.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PID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움직이도록 목표하는 목표 템포 값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측정된 움직임 템포 값의 차이 값, 상기 차이 값의 적분 값 및 상기 차이 값의 미분 값을 더한 값을 통해 보정 값을 산출하여, 상기 보정 값을 통해 상기 발디딤 타이밍을 보정하고,
상기 보정 값은 차이 값, 상기 차이 값의 적분 값 및 상기 차이 값의 미분 값 각각에 비례 상수 값을 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PID controller,
A value obtained by adding the difference value of the movement tempo value measured based on the target tempo value aimed at causing the user to move and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the integral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derivativ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a correction value through the correction value, correcting the stepping timing through the correction value,
The correction value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each of the difference value, the integral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and the derivative value of the difference value by a proportional constant value.
삭제delete 음원 재생 장치에 의한 음원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를 속도 측정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움직임 값을 기반으로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음원 템포 및 상기 움직임 템포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음원 데이터가 특정 시간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스케일(Scale)과 위치 변수를 가진 웨이블릿(Wavelet)과 유사한 양에 대한 계수를 산출함에 따라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으로 구현되는 속도 측정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In a method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by a sound source reproduction device,
Inputting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into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to measure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and measuring the movement tempo based on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and
Comprising the step of compa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the movement tempo to generat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to assist the user's movement,
The step of measu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measuring the movement tempo includes a coefficient for a quantity similar to a wavelet where the sound source data played by the user has a scale and a position variable representing the energy at a specific time. A sound source reprod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through a speed measurement algorithm implemented with a Discrete Wavelet Transform that measures the sound source tempo of the sound source data by calculating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템포를 측정하고, 상기 움직임 템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측정된 상기 움직임 값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음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의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음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움직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속도를 숫자로 나타내는 움직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According to clause 11,
The steps of measuring the sound source tempo and measuring the movement tempo are:
When the sound source data is selected through the user's terminal, the movement value measured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is received from the user's terminal, and sound sourc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speed of the sound source data in numbers is generated using the sound source data. A sound source reprod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nd using the motion value to generate motion information that represents the speed of the user's movement in number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 또는
상기 움직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 데이터의 음원 템포 값을 조정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재생 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step of generating and providing the control signal is: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user's movement by adjusting the user's movement tempo value based o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or
A sound source reproduction method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second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sound source data by adjusting the sound source tempo value of the sound source data selected by the user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KR1020220152421A 2022-11-15 2022-11-15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KR102632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421A KR102632475B1 (en) 2022-11-15 2022-11-15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2421A KR102632475B1 (en) 2022-11-15 2022-11-15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475B1 true KR102632475B1 (en) 2024-01-31

Family

ID=8971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2421A KR102632475B1 (en) 2022-11-15 2022-11-15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7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43A (en) * 2010-07-09 2012-01-17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Music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music therein
KR20150032169A (en) * 2013-09-17 2015-03-25 소니 주식회사 Presenting audio based on biometric parameters
KR20200137254A (en)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Runnig maxhine and its control method that provide sound that maximizes exercise effect
KR20210137731A (en)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System for providing sound source using binaural beats based on deep learning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43A (en) * 2010-07-09 2012-01-17 주식회사 휘트닷라이프 Music device and method of playing music therein
KR20150032169A (en) * 2013-09-17 2015-03-25 소니 주식회사 Presenting audio based on biometric parameters
KR20200137254A (en) * 2019-05-29 2020-12-0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Runnig maxhine and its control method that provide sound that maximizes exercise effect
KR20210137731A (en)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볼드코퍼레이션 System for providing sound source using binaural beats based on deep learning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7934B1 (en) Enhancements for musical composition applications
US7567847B2 (en) Programmable audio system
CN101371311B (en) Contents reproducer and reproduction method
US998415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usic play system and method
JP4640407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163825B2 (en) Selecting songs with a desired tempo
US200801030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music tempo tracking based on exercise equipment pace
US20140338516A1 (en) State driven media playback rate augmentation and pitch maintenance
US20170054779A1 (en) Media Feature Determination for Internet-based Media Streaming
CN1937462A (en) Content-preference-score determining method, content playback apparatus, and content playback method
KR20110110147A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data for controlling a system for rendering at least one signal
CA2917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dio processing using arbitrary triggers
KR1019424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laylist using sound source content and meta information
WO20200154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ining adaptation level evaluation model, and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adaptation level
KR102495888B1 (en)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soun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10049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udio signal
KR102632475B1 (en) Application and methods of Sound play according to exercise speed
JP73757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861428B2 (en) Technologies for generating a musical fingerprint
JPWO2020241070A5 (en)
US20140111432A1 (en) Interactive music playback system
KR1020312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laylist using sound source content and meta information
Burloiu An online tempo tracker for automatic accompaniment based on audio-to-audio alignment and beat tracking
Nymoen et al. Funky Sole Music: Gait recognition and adaptive mapping
CN113392233A (en) Multimedia data detection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