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438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438B1
KR102630438B1 KR1020230046408A KR20230046408A KR102630438B1 KR 102630438 B1 KR102630438 B1 KR 102630438B1 KR 1020230046408 A KR1020230046408 A KR 1020230046408A KR 20230046408 A KR20230046408 A KR 20230046408A KR 102630438 B1 KR102630438 B1 KR 10263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tent
information
read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6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오균
김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페노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페노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페노노
Priority to KR102023004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4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reading)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includes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ceiving content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the content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ogether with the data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at requested it.

Description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본 개시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reading)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리딩(reading)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ding history of users using content and a system to which the method is applied.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컨텐츠의 썸네일과 함께 표시되는 조회수, 업로드 날짜 등의 정보를 참고하여 컨텐츠를 조회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게시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조회수가 높은 컨텐츠 또는 최근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Users using content can decide whether to view the content by referring to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views and upload date displayed along with the content's thumbnail. At this time, users are generally more likely to select content with a high number of views or recently uploaded content among a plurality of published content.

다만, 컨텐츠의 썸네일과 함께 표시되는 조회수, 업로드 날짜, 채널 등에 대한 정보로는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보았는지 여부, 컨텐츠의 특히 어떤 부분을 읽었는지 여부 및 컨텐츠의 각 부분을 어느 정도의 시간만큼 보았는지에 대한 정보들은 알 수 없다.However, th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iews, upload date, channel, etc. displayed along with the thumbnail of the content includes whether users who used the content viewed the content from beginning to end, whether they read any part of the content in particular, and each part of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how much time it was viewed is unknown.

또한, 컨텐츠의 조회수가 높더라도, 컨텐츠를 업로드한 게시자 또는 특정인에 의하여 컨텐츠를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보지 않고 단순히 조회수를 늘린 컨텐츠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높은 조회수를 갖는 컨텐츠임에도 그에 대응되는 퀄리티를 갖지 못할 수 있고, 이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기대감과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서비스의 이용률이 감소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ntent has a high number of view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ntent has simply increased the number of views by the publisher or a specific person who uploaded the content without viewing the entire content from beginning to end. In this case, the user may not have the corresponding quality even though the content has a high number of views, which may lower the user's expectations and trust in the content sharing service and reduc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service.

이에, 사용자가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보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which parts of content the user has viewed and how much.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21579호 (2022.02.22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21579 (published on February 22, 2022)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읽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that can provide a user using content with information about which parts of the content have been read and how much other users have read.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generate summary content of content using information on users' reading performance for content.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the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content using information on users' reading performance for content.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hat the present disclosure aims to solv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categories of content using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content.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the content It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ogether with the data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at requested 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의 정보, 블록을 리딩 중인 사용자의 정보,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시간 정보 및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ncludes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clud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 read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s viewing time for the block,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May contain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블록의 면적이 상기 제1 블록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es receiving log data for the first block when the area of the first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first block. It may include a receiving step.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블록의 일부 영역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receiving log data for the first block may include receiving log data for a partial area of the first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among the first blocks. there i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제1 기준치 이상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제2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제1 주기마다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may include receiving log data for the second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for a time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every first perio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제1 주기마다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receiving log data for the second block every first cycle includes increasing the first cycl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log data for the second block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may includ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creasing the first cycle may include increasing the first cycle only when the number of tim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대한 활성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receiving the log data for each block may include receiving the log data for each block based on the active stat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이 때, 상기 활성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tive st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와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receiving data of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from a service server, and receiving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and displaying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using the content and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기 송신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by collecting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that has been previous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You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의 정보, 블록을 리딩 중인 사용자의 정보,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시간 정보 및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clud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 read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s viewing time for the block,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별 리딩 정보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ing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generating a first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and displaying the first graphic object.

이 때,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각각의 블록에 대한 사용자 조회수에 상응하는 길이로 돌출된 막대 바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객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raphic object may be an object created by connecting protruding bars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block.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약 컨텐츠 생성 방법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reading each block. It may include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using performanc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회수에 기초하여 추출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Additionally,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may include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using one or more blocks extracted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of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조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블록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ne or more blocks may be blocks in which the number of views by the us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valu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the block It may include determining an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using star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과 인접한 위치를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Additional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position adjacent to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views by the user as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체류 시간이 가장 많은 블록과 인접한 위치를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stay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Additionally,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loca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may include determining a location adjacent to the block where the user spends the most time as the insertion loca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류 방법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ent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ncludes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ading the content for each block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 reading)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history information,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t may include classifying categories of the content using .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리딩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모두에 대하여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1 컨텐츠로 분류하고,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상단에 위치한 일부 블록에 대하여만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2 컨텐츠로 분류하며,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특정 블록에 대하여만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3 컨텐츠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In addition,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includes classifying the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s first content, and some blocks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t may include classifying content for which the user's reading has been completed only as second content, and classifying content for which the user's reading has been completed only for a specific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s third conten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블록은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부분, 이미지 부분 및 영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블록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ecific block may be a blo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text portion, an image portion, and a video portion of the conten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동안 이용하였는지, 특정 연령 또는 성별의 사용자는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도 및 사용자 경험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formation on which parts of the content were used by users for how long, and which parts of the content were used by users of a specific age or gender, and for how long, are provided to the user, thereby Interest and user experienc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또한, 사용자들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별도 편집 작업이 없더라도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가 자동으로 생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제고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최적의 요약 컨텐츠가 생성됨으로써, 컨텐츠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제고될 수 있다.In addition,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without any separate editing work by the use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of content users can be improved by generating optimal summary content that can meet the user's needs and arouse interest.

또한, 사용자들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광고 삽입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컨텐츠에 표시된 광고로 인한 마케팅 효과가 효율적으로 제고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sertion position of advertisements to be displayed in conten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Furthermore, by determining the optimal advertisement insertion position based on the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marketing effect resulting from advertisements displayed in content can be efficiently improved.

또한, 사용자들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자동으로 분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Additionally, content categories are automatically classified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by the user based on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가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1 illustrates an example environment in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in which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s 4 to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detailed processes of some operations shown in Figure 2.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and 9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on which block-by-block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1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detailed processes of some operations shown in FIG. 10.
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3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detailed processes of some operations shown in FIG. 2.
Figure 1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classifying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ntended to comple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used in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r precedents of engineers working in related fields,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disclosure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is disclosure.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복수의 개념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되지 않는 한, 단수의 개념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include plural concep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singularity. Additionally, plural expressions include singular concep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plurality.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는 어떤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us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terms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relevant components are not limi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1 illustrates an example environment in which a system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applied.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a system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service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200.

서비스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장치/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서비스 서버(100)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게시할 수 있고,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간의 상호 인터랙션을 지원하는 장치/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100 may refer to a computing device/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contents through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00 may refer to a device/system that allows users using the service to post various contents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and supports mutual interaction between users regarding the posted contents.

서비스 서버(100)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어느 부분을 얼마나 읽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 각각에 특정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를 리딩한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어느 부분을 얼마나 읽었는지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100)의 동작/기능들에 관하여서는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service server 10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functions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which parts of the content and how much the content users are reading.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100 may request block-by-block log data including block-by-block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specific content from each user terminal 200, and may request specific block-by-block log data based on the block-by-block lo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generated about which parts of the content and how much the users who read the content read. The operations/functions of the service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4.

서비스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00)의 모든 기능이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비스 서버(100)의 제1 기능은 제1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고 제2 기능은 제2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100)의 특정 기능이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all functions of 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in one computing device, and the first function of the service server 100 is implemented in the first computing device and the second function is implemented in the second computing device. It could be. Alternatively, specific functions of 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장치를 모두 포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의 일 예시에 관하여서는 도 15를 참조하도록 한다. 컴퓨팅 장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e.g. 메모리, 프로세서 등)이 상호작용하는 집합체이므로, 경우에 따라 '컴퓨팅 시스템'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이 상호작용하는 집합체를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다.A computing device may encompass any device equipped with a computing function, and for an example of such a device, refer to FIG. 15. Since a computing device is a collection of interacting various components (e.g. memory, processor, etc.), it may be called a 'computing system' in some cases. Additionally, a computing system may refer to a collection of interacting computing devices.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다양한 컨텐츠가 게시된 커뮤니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200a), 데스크탑(200b), 랩탑(200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떠한 장치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의 일 예시에 관하여서도 도 15를 참조하도록 한다.Next, the user terminal 200 may refer to a computing device used by a user to receive a community platform service where various contents are posted. As illustrated in FIG. 1,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types of computing devices such as a smartphone 200a, a desktop 200b, a laptop 200c, etc.,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ny device. Please also refer to FIG. 15 for an example of such a computing device.

사용자 단말(200)도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어느 부분을 얼마나 읽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200)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실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100)에 의해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의 동작/기능들에 관하여서도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terminal 200 can also perform various operations/functions to generate information about which parts of the content and how much the content users are reading.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may receiv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and may receiv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100. Reading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The operations/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4.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rvic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200 can communicate over a network. Here, the network is implemented as all types of wired/wireless networks such as Local Area Network (LAN), Wide Area Network (W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etc. It can be.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을 지원하는 장치들(100, 200)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이하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보다 이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후술될 방법들이 도 1에 예시된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한다.So far, devices 100 and 200 that support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FIG. 2 and below. However, in order to provide easier understanding, the description will be continued assuming that the methods to be described later are performed in the environment illustrated in FIG. 1.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of course,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참고로, 도 2는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동작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들에서, 특정 단계/동작의 주체가 생략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실제 환경에서는, 서비스 서버(100)의 일부 기능/동작들이 사용자 단말(200) 측에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의 일부 기능/동작들이 서비스 서버(100) 측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특정 단계/동작의 수행 주체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For reference, FIG. 2 shows steps/operations of a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performed by the service server 100.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when the subject of a specific step/ac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as being performed in the service server 100. However, in a real environment, some functions/operations of 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side, and some functions/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on the service server 100 side. there is. In other words, the entity performing a specific step/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또는 이들이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의 크기나 개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분량, 컨텐츠의 작성자 등의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gin at step S100 in which the service server acquires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At this time, the content may refer to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etc., or a mixture thereof. Additionally, the size or number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criteria such as the type of content, the amount of content, and the creator of the content.

상기 사용자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스마트폰이고,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은 스마트폰의 화면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user terminal may be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smartphone, tablet, laptop PC, or desktop PC.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assum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a smartphone and the screen on which content is displayed is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의 정보(e.g. 컨텐츠의 종류, 카테고리), 블록을 현재 리딩하고 있거나 리딩을 완료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e.g. 사용자의 연령, 성별, 관심 컨텐츠, 직업),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시간 정보 및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200, the service server may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content data. At this time,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containing the block (e.g. type of content, category), information on the user who is currently reading the block or has completed reading the block (e.g. user's age, gender) , content of interest, occupation), information on the user's viewing time for the block,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일반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에 게시된 문서나 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의 경우, 특정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수(i.e. 조회수)나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언제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서나 영상 등의 컨텐츠의 경우, 사용자가 문서를 단순히 열어보거나 영상을 단순히 재생한 것만으로도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가 증가하고, 컨텐츠를 전부 이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사용자가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전혀 알 수 없었다. 나아가, 문서나 영상 컨텐츠의 경우, 특정 사용자는 본인이 문서를 어디까지 읽었거나 영상을 시청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정보이므로, 다른 사용자들은 상기 특정 사용자가 문서를 어디까지 읽었거나 영상을 시청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는 전혀 알 수 없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documents or videos posted on an online community platform, only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users who used specific content (i.e. number of views) or when users used specific content was availab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tent such as documents or videos, the number of views for the content increases just by the user simply opening the document or simply playing the video,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ntire content has been used, and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used any part of the content. There was no information at all about what was done. Furthermore, in the case of document or video content, a specific user can know information about how far the document has been read or the video has been watched, but since this information is provided only to the specific user, other users cannot There was no information at all about how far the document was read or the video was watched.

반면에,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하므로,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가 컨텐츠의 어떤 특정 부분을 이용하였는지, 얼마나 이용하였는지, 컨텐츠의 처음부터 어느 부분까지 이용하였는지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lock-by-block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s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so that the user who uses the content can read the content. You can obtain various information about which specific part was used, how much was used, and which part of the content was us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한편,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치 이상의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블록이 디스플레이된 경우에 한하여 상기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집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content can be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log data for the block may be collected only when the block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period of time longer than the reference valu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단계 S3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특정 시점(e.g. 사용자 단말에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가 요청된 경우)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상기 컨텐츠를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취합한 결과로 생성되는 통계 데이터일 수 있다. 즉,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특정 컨텐츠를 이용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모두 취합한 정보라는 점에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와는 상이한 정보일 수 있다.In step S300, the service server may collect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and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is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t a specific point in time (e.g. when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requested from a user terminal) to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ing the content. It may be statistical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collection from. That is,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be different from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in that it is information that compiles all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using specific content.

단계 S4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컨텐츠의 데이터와 함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의 데이터와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별 리딩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In step S400, the service server may transmit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along with content data to the user terminal that requested the content. Afterwards, the user terminal can generat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using the data of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display the generated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re i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정리하면,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1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제1 컨텐츠의 데이터와 함께 제1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In summary, the service server can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first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use the first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may collect block-by-block log data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to generat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and generat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data of the first content. 1 Cont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이에, 제1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별로 사용자의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취합하여 제1 컨텐츠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리딩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리딩 실적 정보가 생성됨으로써,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제1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동안 이용하였는지, 특정 연령, 성별 또는 직업군의 사용자는 제1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흥미도 및 사용자 경험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s reading history information is collec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at make up the first content, and this is collected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including reading information of all users who use the first conten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which parts of the first content were used by users who used the first content and for how long, and which parts of the first content were used by users of a specific age, gender, or occupational group, and for how long. User interest and user experience can increase.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예시도이다.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of a screen in which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가 사용자 단말의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i.e. 제1 컨텐츠의 분량이 적은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는 복수의 컨텐츠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i.e. when the amount of the first content is small), a plurality of contents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도 3의 좌측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는 제1 컨텐츠(201a)와 제2 컨텐츠(201b)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텐츠(201a)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컨텐츠(201b)는 복수의 블록(202ba, 202bb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on the left side of FIG. 3, the first content 201a and the second content 201b may b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first content 201a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and the second content 201b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202ba, 202bb, etc.) there is.

부연하면, 상기 제1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은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는 단일 유형의 블록으로만 구성될 수 있고(e.g. 텍스트 블록만으로 구성), 텍스트 블록(202aa, 202ac, 202ae)과 이미지 블록(202ab, 202ad)으로 구성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으며, 제1 컨텐츠는 텍스트 블록(202aa, 202ae), 이미지 블록(202ab) 및 영상 블록(202ac, 202ad)으로 구성되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To elaborate, the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and 202ae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and video. That is, the first content may be composed of only a single type of block (e.g. composed only of text blocks), or may be content composed of text blocks (202aa, 202ac, 202ae) and image blocks (202ab, 202ad). 1 Content may be content consisting of text blocks (202aa, 202ae), image blocks (202ab), and video blocks (202ac, 202ad).

한편,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영역의 크기가 사용자 단말의 영역의 크기보다 큰 경우(i.e. 제1 컨텐츠의 분량이 많은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는 제1 컨텐츠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size of the area wher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area of the user terminal (i.e. when the amount of first content is large), a part of the first conten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there is.

도 3의 우측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는 제1 컨텐츠(201a)의 일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제1 컨텐츠(201a)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202af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블록에 포함될 수 있는 내용의 유형(e.g. 텍스트, 이미지, 영상)에 대한 내용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As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3, part of the first content 201a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first content 201a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202af, etc.). The types of content (e.g. text, image, video) that can be included in each block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will therefore be omitted.

도 3의 우측에 예시된 제1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A 블록(202af)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A 블록(202af)이 사용자가 현재 리딩중이거나 리딩을 완료한 상태로 판단하여, A 블록(202af)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the A block 202af located at the bottom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3, the A block 202af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is the user's current It may be somewhat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o collect block-by-block log data including block-by-block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the A block 202af, judging by whether reading is in progress or reading has been completed.

이에, 이하에서는, 제1 컨텐츠(201a)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일부의 블록(202af)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경우, 블록(202af)에 대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준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hereinafter, when some of the blocks 202af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201a are not all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criteria for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for the block 202af are describ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블록의 영역 점유율 내지 점유 면적에 따라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는 블록의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Figures 4 to 6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detailed processes of some operations shown in Figure 2. More specifically,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according to the area occupancy or occupied area of the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nd FIG. 5 shows a partial area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ceiving block-by-block log data for the partial area of the displayed block, and FIG. 6 shows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is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the process of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when it is displayed entirely on the screen.

컨텐츠의 내용이 많은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상기 컨텐츠의 내용이 전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단말의 화면을 상하로 스크롤함으로써 게시된 컨텐츠의 전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re is a lot of content,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entire content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user can check the entire contents of the posted content by scrolling the screen of the terminal up and down.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201a)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202af, 202ag) 중에서 일부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만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택 입력(4a) 및 스크롤 입력(4b)에 응답하여, 도 4의 좌측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지 않았던 일부 블록(202af, 202ag)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202af, 202ag)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201a, only some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It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4a) and scroll input (4b), some blocks (202af, 202ag) that we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on the left side of FIG. 4 are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can be displayed.

한편, 도 4의 우측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참조하면, 제1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블록의 일부만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디스플레이 되는 B 블록(202ad)과 C 블록(202ag)이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4,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only a portion of the block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the B block 202ad and the C block ( 202ag) may exist.

이 때,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블록의 일부 영역만 볼 수 있는 B 블록(200ad)과 C 블록(202ag)을 리딩(reading)중이거나 리딩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B 블록(200ad) 또는 C 블록(202ag)에 대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집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는 서비스 서버로 송신되므로, 사용자 단말이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준은 서비스 서버가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준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user is reading or has completed reading the B block (200ad) and the C block (202ag), where only a partial area of the block can be seen,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B block ( A standard needs to be set as to whether block-by-block log data for (200ad) or C block (202ag) should be collected. Meanwhile, since the log data for each block collected by the user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the standard for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by the user terminal can be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the standard for the service server to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제1 블록의 면적이 상기 제1 블록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값(e.g. 70%)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rea of the first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first block, log data for the first block may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may be a value previously set by the user (e.g. 70%), and may be set to various values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즉, 다시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참조하면, B 블록(202ad)는 B 블록(202ad)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이상(i.e. 70% 이상)의 면적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 내부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으므로, B 블록(202ad)에 대한 리딩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B 블록(202ad)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C 블록(202ag)는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서, C 블록(202ag)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미만(i.e. 70% 미만)의 면적만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C 블록(202ag)에 대한 리딩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C 블록(202ag)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수신될 수 없다.That is, referring again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4, the B block 202ad has an area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e. 70% or more)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B block 202ad insid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ince it is displayed, log data for the B block 202ad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the B block 202ad can be received. Likewise, the C block (202ag) occupies only an area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i.e. less than 70%)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C block (202ag) on the user's terminal screen where the first content is displayed, so the C block (202ag) Log data for the C block 202ag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cannot be received.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현재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D 블록(202ah, 미도시)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수신될 수 없다. 이는, D 블록(202ah)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리딩 이력 정보가 획득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4, log data for the D block 202ah (not shown), which is not currently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cannot be received. This can be clearly understood considering that the user's reading history information cannot be obtained because the D block 202ah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한편, B 블록(202ad)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되는 과정에 있어서, B 블록(202ad)에 속한 제1 영역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부가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역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디스플레이 된 영역이거나 반대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은 영역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블록의 일부 영역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log data for the B block 202ad, log data for the first area belonging to the B block 202ad may be additionally received. At this time, the first area may be an area displayed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or conversely, it may be an area that is not display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receiving log data for a partial area of a blo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일부 영역이 디스플레이 되는 블록의 상기 일부 영역에 대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시점에서 B 블록(202ad)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수신될 수 있고, C 블록(202ag)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수신될 수 없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of a partial area of a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4, log data for the B block (202ad) can be received at the time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rrent user terminal, and log data for the C block (202ag) can be received. does not exist.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C 블록(202ag)은 제1 영역(202ag-1)과 제2 영역(202ag-2)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202ag-1)의 경우 C 블록(202ag)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미만의 면적을 가지므로, C 블록(202ag)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을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 the C block 202ag may be divided into a first area 202ag-1 and a second area 202ag-2 based on whether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area 202ag-1 has an area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C block 202ag, log data for the C block 202ag may not have been received.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은 C 블록(202ag)에 속한 제1 영역(202ag-1)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에 의해 C 블록(202ag)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C 블록(202ag)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일정 면적 이상 디스플레이 되는 시점에 C 블록(202ag)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서비스 서버에 송신될 것이므로, 제1 영역(202ag-1)과 제2 영역(202ag-2)에 대한 로그 데이터의 수신 시점 간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발생될 수 있는 시간 간극은 C 블록(202ag)에 대한 사용자들의 조회 시점, 체류 시간, 조회수 등의 정보의 정확도 또는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needs to collect log data for the first area 202ag-1 belonging to the C block 202ag. This means that in the future, all of the C blocks (202ag)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s up and down scroll input, and at the time when the C blocks (202ag) are displayed over a certain area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the C blocks (202ag) Since log data for will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a gap may occur between the reception times of log data for the first area 202ag-1 and the second area 202ag-2. The time gap that may occur may reduce the accuracy or reliability of information such as users' inquiry time, residence time, and number of views about the C block 202ag.

마찬가지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B 블록(202ad)은 제3 영역(202ad-1)과 제4 영역(202ad-2)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제3 영역(202ad-1)의 경우 도 5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기 이전의 시점(i.e. 사용자의 상하 스크롤 입력이 있기 이전의 시점)에는 B 블록(202ad)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B 블록(202ad)가 일정 면적 이상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기 이전에는 B 블록(202ad)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B 블록(202ad)에 대한 사용자들의 조회 시점, 체류 시간, 조회수 등의 정보의 정확도 또는 신뢰도가 감소될 수 있다.Likewise, as illustrated in FIG. 5, the B block 202ad can be divided into a third area 202ad-1 and a fourth area 202ad-2 based on whether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third area 202ad-1, log data for the B block 202ad is displayed at a time befor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of FIG. 5 is displayed (i.e. before the user's up and down scroll input). It may not be received. Accordingly, since log data for the B block (202ad) is not received before the B block (202a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over a certain area, users' inquiry time, residence time, The accuracy or reliability of information such as number of views may be reduced.

이에, 연속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의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되, 부가적으로 상기 하나의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고, 블록의 영역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log data for one block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iguous areas is received, and log data for each area included in the one block is additionally received, and log data for each area of the block is used. By generating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reading information for more accurate and reliable content can be provided.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when conten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ocks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하나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전부에 대한 블록별 로그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로는 사용자가 하나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일부 블록만을 보고 있더라도 블록별 로그 데이터가 전부 수신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가 사용자가 실제로는 리딩(reading)하지 않은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됨으로써 정확도 또는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When one content is displayed entirel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block-by-block log data for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one content may be received.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is actually viewing only some blocks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one content, all log data for each block can be received, and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generated using this. In this case, accuracy or reliability may be reduced becaus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generated based on log data for blocks that the user did not actually read.

이에, 하나의 컨텐츠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각각의 블록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영역에 각각의 블록이 포함되는지 여부는 상기 영역에 포함되는 블록의 면적이 블록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Accordingly, when one content is displayed entirely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log data for each block can be received based on whether each block is included in an area preset by the user. At this time, whether each block is included in the area can be determined by whether the area of the block included in the are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value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block. Since this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following Please omit it.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는 제1 컨텐츠(201a)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영역(6a)에 포함되는 블록(202ac, 202ab)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영역(6a)의 크기, 형상 등은 도 6에 예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201a) displayed in full on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an area (6a) preset by the user ) may receive log data for blocks 202ac and 202ab included in . At this time, the size and shape of the area 6a preset by the user are not limited to those illustrated in FIG. 6 and may be set to various sizes and shapes by the user.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e.g. 블록이 화면에 전부 디스플레이 되는지 여부, 블록이 일부만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에는 얼마나 디스플레이 되는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준은 복수의 블록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6 so far,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e.g. whether all block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f only a part of the block is displayed, how much is displayed, etc. ), a method of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was explained. However, the criteria for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may include various criteria as well as the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기준치 이상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값(e.g. 1초)으로,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log data for a block tha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time that is longer than a reference value among a plurality of blocks that constitute content may be received. At this time,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previously set by the user (e.g. 1 second) and can be set to various values by the user.

즉, 사용자가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특정 블록을 제대로 읽지 않고, 빠르게 스크롤하여 넘기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user does not properly read a specific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nd quickly scrolls through it, log data for the specific block may not be received.

한편,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기준치 이상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이 지속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특정 기간(e.g. 5초)마다 수집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이 재생 시간이 긴 영상에 대한 블록이거나, 내용이 긴 텍스트 문서의 블록인 경우, 특정 기간 동안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특정 기간 동안 블록을 지속하여 보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함이다.Meanwhile, in the case of one or more block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time longer than the reference value, if the one or more blocks are continuously displayed, the user terminal records log data for the one or more blocks every specific period (e.g. 5 seconds) It can be collected. This is to check whether the block is continuously viewed for a certain period by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during a certain period when the one or more blocks are blocks for a video with a long playback time or a block of a text document with long content. It is for this purpose.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기준치 이상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되는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가 제1 주기마다 수신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log data for a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for a time longer than a reference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may be received every first cycle.

일 실시예에서,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주기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증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ycle of receiving log data for a block may be increas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log data for the block is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주기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가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ycle can be determined only when the number of times log data for a block is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is less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즉,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블록이 디스플레이 되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음 시점까지의 시간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는 특정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최초 수신한 이후에는 5초 후에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후에는 7초 후에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가중치를 적용하여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되, 기 설정된 횟수만큼만(e.g. 5회)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time for which a block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creases, a time weight until the next time log data for each block is received can be applied. For example, after first receiving log data for a specific block, the service server can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5 seconds later, and then 7 seconds later. In addition, time weighting is applied to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but log data for each block can be received only a preset number of times (e.g. 5 times).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대한 활성 상태에 기초하여,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성 상태는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스크롤 입력 또는 마우스 이동 등을 의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log data for each block may be received based on the active state of the screen of user terminals. At this time, the active stat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dditionally, the user's input may mean the user's touch input, scroll input, or mouse movemen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즉,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거나 마우스를 스크롤 또는 이동한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이 활성 상태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조작이 기 설정된 시간(e.g. 7초)동안 입력되지 않음으로써 비활성 상태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는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screen or scrolls or moves the mouse,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may be determined to be in an active state. If the user's operation is determined to be in an inactive state due to no input for a preset time (e.g. 7 seconds), log data for the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may not be received.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of course,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참고로, 도 7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의 단계/동작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들에서, 특정 단계/동작의 주체가 생략된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or reference, FIG. 7 shows steps/operations of a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when the subject of a specific step/ac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as being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200.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S100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또는 이들이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의 크기나 개수는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의 분량, 컨텐츠의 작성자 등의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a method of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gin at step S1000 in which a user terminal receives content data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from a service server. At this time, the content may refer to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etc., or a mixture thereof. Additionally, the size or number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criteria such as the type of content, the amount of content, and the creator of the content.

단계 S2000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기 송신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는,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의 정보(e.g. 컨텐츠의 종류, 카테고리), 블록을 현재 리딩하고 있거나 리딩을 완료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e.g. 사용자의 연령, 성별, 관심 컨텐츠, 직업),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시간 정보 및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2000, the user terminal may receiv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by collecting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which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the data of the content. You can. In addition,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containing the block (e.g. type of content, category), information on the user who is currently reading the block or has completed reading the block (e.g. the user's age) , gender, content of interest, occupation), information on the user's viewing time for the block,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단계 S3000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컨텐츠와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화된 그래픽 객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step S3000,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using the content and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At this time,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displayed using graphic objects visualized in various way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정리하면,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제1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1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된 제1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1 컨텐츠와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summary, the user terminal can receive data of the first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from the service server, and read each block of the first content generated by collecting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first content by the service server. You can receive performance information.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us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이에, 제1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별로 사용자의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제1 컨텐츠를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리딩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에 대한 리딩 실적 정보가 생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제1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동안 이용하였는지, 특정 연령, 성별 또는 직업군의 사용자는 제1 컨텐츠의 어떤 부분을 얼마나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흥미도 및 사용자 경험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ly,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including the reading information of all users using the first content is generated by collecting the user's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and this is used. By displaying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crea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parts of the first content were used by users and for how long, and which parts of the first content were used by users of a specific age, gender, or occupational group and for how long. Information can be easily checked visually, and user interest and user experience can be increased.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가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된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8 and 9 are exemplary diagrams of screens on which block-by-block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컨텐츠를 이용한 모든 사용자들의 단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로부터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이 컨텐츠의 어떤 블록을 얼마나 보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content can be generated by collecting block-by-block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content from the terminals of all users who used the content. Therefore, information about which blocks of the content were viewed and how much the users who used the content viewed can be derived from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예를 들면,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블록을 조회한 사용자들의 조회수 합계, 특정 블록에 대한 사용자들의 체류 시간 합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 합계, 사용자의 체류 시간 합계 등의 정보는 별도로 수치화된 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블록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그래픽 객체, 블록의 배경색, 블록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오브젝트 등을 이용하여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가 시각화될 수 있고, 상기 시각화된 정보가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content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otal number of views of users who viewed a specific block constituting the content, the total dwell time of users on a specific block, etc. At this time,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number of views of the user for each block and the total time of the user's stay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separate numerical table.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allowing users to easily recognize it at a glanc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visualized using graphic objects placed in areas adjacent to the block, the background color of the block, and objects placed overlapping with the block. , the visualiz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long with the content.

즉,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의 단말 화면에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가 시각화된 정보(e.g. 그래프)를 의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block-specific reading information for the content provided on the user's terminal screen along with the content may mean information (e.g. a graph) in which the block-specific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content is visualized.

도 8의 좌측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는 2차원의 곡선 그래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2차원의 곡선 그래프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측면(장측면)을 x축(블록)으로 하고, 타측면(단측면)을 y축(사용자의 조회수, 사용자의 체류 시간 합계)으로 설정한 결과로 시각화된 그래프일 수 있다.As illustrated on the left side of FIG. 8,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two-dimensional curved graph. At this time, the two-dimensional curve graph uses one side (long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s the x-axis (block), and the other side (short side) as the y-axis (sum of user views and user stay time). It may be a graph visualized as a result of the settings.

이에, 도 8의 좌측에 예시된 그래프(8a)를 참조하면, D 블록(202ac)에 대한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높음을 쉽게 알 수 있고, E 블록(202aa)에 대한 사용자 조화수가 가장 낮음을 쉽게 알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the graph 8a illustrated on the left side of FIG. 8, it can be easily seen tha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the D block 202ac is the highest, and the number of user matches for the E block 202aa is the lowest. You can.

또한,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는, 도 8의 우측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막대 그래프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막대 그래프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측면(장측면)을 x축(블록)으로 하고, 타측면(단측면)을 y축(사용자의 조회수, 사용자의 체류 시간 합계)으로 설정한 결과로 시각화된 그래프일 수 있다.Additionally, block-by-block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bar graph, as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8. At this time, the bar graph is the result of setting one side (long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s the x-axis (block), and the other side (short side) as the y-axis (sum of user views and user residence time) It may be a graph visualized as .

이에, 도 8의 우측에 예시된 그래프(8b)를 참조하면, D 블록(202ac)에 대한 사용자 체류 시간이 가장 많고, E 블록(202aa)에 대한 사용자 체류 시간이 가장 적다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referring to the graph 8b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8, you can see at a glance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stay time for the D block (202ac) is the highest and the user stay time for the E block (202aa) is the least. You can.

다만, 시각화된 그래프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는 블록별 리딩 정보는 도 8에 예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at can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visualized graph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 illustrated in FIG. 8 and can be generated and displayed in various ways.

예를 들면, 블록별 리딩 정보는 히트맵(heat map)의 형태 또는 그라데이션(gradation)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현재 배치된 블록의 위치를 순서에 따라 변경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블록별 리딩 정보는 시간 단위(e.g. 1일, 1시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특정 기간 동안의 연속적인 시간에 대한 그래프 변화 과정이 포함된 애니메이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나아가, 블록별 리딩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등의 카테고리 별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e.g. 20대가 많이 본 블록, 여성이 가장 오래 본 블록).For example,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heat map or a gradation, and may be displayed in a way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placed block in order. In addition,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displayed separately by time unit (e.g. 1 day, 1 hour), and can also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n animation that includes a graph change process for continuous time during a specific period. Furthermor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displayed by category such as the user's age and gender (e.g. blocks viewed most by people in their 20s, blocks viewed the longest by women).

도 9의 좌측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참조하면,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에 대한 리딩 실적 정보(e.g. 사용자 조회수)에 비례하는 크기의 원들을 포함하는, 원형 그래프 형태의 블록별 리딩 정보가 상기 컨텐츠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on the left side of FIG. 9,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in the form of a circular graph including circles with a size proportional to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e.g.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block constituting the content.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content.

즉,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과 인접한 영역에는 가장 큰 원형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낮은 블록과 인접한 영역에는 가장 작은 원형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at is,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that make up the content, the largest circular graphic object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and the smallest circular graphic object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block with the lowest number of user views. .

또한, 도 9의 우측에 예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참조하면, 연속하여 배치되는 막대 바 형태의 그래픽 객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 일측면(장측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래픽 객체를 구성하는 막대 바들은 컨텐츠를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에 대한 리딩 실적 정보(e.g.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기초하여 막대 바의 채도나 명도가 결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9, graphic objects in the form of bars arranged continuously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long sid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t this time, the saturation or brightness of the bars constituting the graphic object may be determined based on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e.g. user's stay time) for each block constituting the content.

즉,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사용자의 체류 시간이 가장 많은 블록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막대 바의 채도가 가장 높고, 사용자의 체류 시간이 가장 적은 블록과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는 막대 바의 채도는 가장 낮을 수 있다.That is,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that make up the content, the bar plac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block where the user spends the most time has the highest saturation, and the bar placed in the area adjacent to the block where the user spends the least time has the highest saturation. Saturation can be the lowest.

한편,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은 도 3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지만, 상기 예시된 배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은 그 외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one column as illustrated in FIGS. 3 to 6, but the arrange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single column. It can be placed in various other forms.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은 복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의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는 3개의 블록이 가로로 배치되고, 5개의 블록이 세로로 배치된 15개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블록들의 크기는 상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content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tab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For example, content may be composed of 15 blocks, with 3 blocks arranged horizontally and 5 blocks arranged vertically. At this time, the size of each block may be different.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일부 블록이 가로로 배치된 형태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가로로 배치된 3개의 블록은 모두 사용자가 리딩한 블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D 블록(202ac)이 3개의 블록(D1, D2, D3)으로 분할되고 가로로 배치된 형태를 가정해볼 수 있다.If some blocks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 a horizontally arranged form, all three blocks arranged horizontally may be determined to be blocks read by the user. For example,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8, it can be assumed that the D block 202ac is divided into three blocks D1, D2, and D3 and arranged horizontally.

이 때, 3개의 블록(D1, D2, D3)이 모두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D1, D2, D3 블록을 모두 리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블록별 리딩 정보는, 3개의 블록(D1, D2, D3)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모두 반영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화된 그래프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블록에 대한 사용자 조회수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복수의 행과 열로 블록이 배치되는 경우, 제1 행에 배치된 블록의 수가 제2 행에 배치된 블록의 수보다 많다면, 블록의 개수 차이에 비례하는 더 큰 면적의 막대 그래프가 상기 제2 행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블록의 면적을 기준으로 면적이 작은 블록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먼저 디스플레이 하고, 면적이 큰 블록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를 가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all three blocks (D1, D2, D3)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read all blocks D1, D2, and D3. Additionally,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visualized graph based on the results of reflecting all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three blocks (D1, D2, and D3). For exampl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block is the same, when blocks are placed in multiple rows and columns, if the number of blocks placed in the first row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blocks placed in the second row, A bar graph with a larger area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blocks may be display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ow. At this time, based on the area of the block, the user terminal may first display the block-specific reading information for blocks with a small area, and then display the block-specific reading information for blocks with a large area by weighting it.

일 실시예에서,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은 내부에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one block among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content may be arranged to include one or more blocks therein.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제2 블록이 제1 블록의 내부에 포함된 형태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경우, 제1 블록과 제1 블록의 내부에 포함된 제2 블록은 모두 사용자가 리딩한 블록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우측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서 D 블록(202ac)의 내부에 F 블록(미도시)이 포함되어 있는 형태를 가정해볼 수 있다.When the second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n a form included inside the first block, both the first block and the second block included inside the first block ar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t can be judged as a block led by . For example, i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8, it can be assumed that an F block (not shown) is included inside the D block 202ac.

이 때, D 블록(202ac)과 F 블록(미도시)이 모두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D 블록(202ac)과 F 블록(미도시)을 모두 리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블록별 리딩 정보는, D 블록(202ac)과 F 블록(미도시)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모두 반영한 결과에 기초하여 시각화된 그래프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블록에 대한 사용자 조회수가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블록 내부에 다른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그래프의 면적이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고 있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는 그래프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은 블록의 면적을 기준으로 면적이 작은 블록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먼저 디스플레이 하고, 면적이 큰 블록에 대한 블록별 리딩 정보를 가중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both the D block (202ac) and the F block (not show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read both the D block (202ac) and the F block (not shown). Additionally,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visualized graph based on the results of reflecting all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D block 202ac and the F block (not shown). That i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block is the same, the area of the graph display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t containing another block within the block is display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art containing one block. It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graph. At this time, based on the area of the block, the user terminal may first display the block-specific reading information for blocks with a small area, and then display the block-specific reading information for blocks with a large area by weighting it.

지금까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고,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별 리딩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So fa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 block-by-block log data including block-by-block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s collected to generat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is generated. A method of generating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was explained.

다만,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블록별 리딩 정보를 생성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에 시각화된 그래프의 형태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1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과정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using log data for each block of users who used the first content may be us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and providing it in the form of a visualized graph to each user terminal.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first content,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category of the first content, etc.

이하에서는,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가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in which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us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of course,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참고로, 도 10, 도 12 및 도 14는 각각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요약 컨텐츠 생성 방법,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 및 컨텐츠 분류 방법의 단계/동작들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들에서, 특정 단계/동작의 주체가 생략된 경우, 서비스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실제 환경에서는, 서비스 서버(100)의 일부 기능/동작들이 사용자 단말(200) 측에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200)의 일부 기능/동작들이 서비스 서버(100) 측에 구현될 수도 있다. 즉, 특정 단계/동작의 수행 주체는 구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For reference, FIGS. 10, 12, and 14 show steps/operations of a summary content creation method, an advertisement insertion loca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a content classific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service server 100, respectively.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when the subject of a specific step/action is omitted, it may be understoo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ice server 100. However, in a real environment, some functions/operations of the service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side, and some functions/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on the service server 100 side. there is. In other words, the performer of a specific step/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약 컨텐츠 생성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단계 S3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0, the summary content cre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gin at step S100 in which the service server acquires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Thereafter, in step S200, the service server may receive block-by-block log data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content data, and in step S300, the service server Can collect block-by-block log data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to generat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content. Since the description of steps S100 to S300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단계 S500에서, 서비스 서버는 단계 S300을 통해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약 컨텐츠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에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In step S500, the service server may generate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through step S300. At this time, the summary content may be content including one or more blocks extracted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from among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부연하면, 상기 요약 컨텐츠는 컨텐츠에 대한 하이라이트 부분을 추출하여 기존 컨텐츠 대비 짧은 분량으로 편집된 컨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summary content can be understood as content edited to a shorter amount compared to existing content by extracting the highlight portion of the cont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cont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블록을 이용하여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FIG. 11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detailed processes of some operations shown in FIG. 10. More specifically,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ethod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using one or more blocks among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content.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201a)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로 구성될 수 있고,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1, the first content 201a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and 202ae, and the service server provides informatio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can be generated using the l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At this tim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iews the user ha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residence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etc. .

도 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제1 컨텐츠(201a)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중에서 사용자의 조회수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블록을 추출하고, 추출된 블록(202aa, 202ac, 202ae)을 이용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사용자의 조회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 조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블록을 기 설정된 개수만큼 추출하거나, 블록별 사용자의 조회수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조회수가 많은 블록의 순서대로 기 설정된 개수만큼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service server extracts one or more block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and 202ae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201a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by the user, and extracts the extracted blocks ( Summary content for the first content can be generated using 202aa, 202ac, and 202ae). In other words, the service server compares the number of views by users for each block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at make up the content, and extracts a preset number of blocks whose number of views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r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the number of views by users for each block. Based on this, a preset number of blocks can be extracted in the order of blocks with the most views.

이 때, 상기 요약 컨텐츠는 기존의 컨텐츠에서 추출된 블록(202aa, 202ac, 202ae)들의 순서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배치됨으로써 생성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약 컨텐츠는 기존의 컨텐츠에서 추출된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재배치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서버는 추출된 블록 중에서 사용자의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을 우선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많이 본 블록을 컨텐츠의 도입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mmary content may be content created by arranging the blocks 202aa, 202ac, and 202ae extracted from the existing content without changing the order. Additionally, the summary content may be generated by rearranging one or more blocks extracted from existing content. For example, the service server can move the blocks most viewed by users to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 by prioritizing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among the extracted blocks.

다만,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블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추출하는 기준, 추출된 블록을 배치하는 기준 등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providing summary content for content using log data for each block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the criteria for extracting one or more blocks from a plurality of blocks, the criteria for placing the extracted blocks, etc. are up to the user.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정리하면,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1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In summary, the service server can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first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use the first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may collect block-wise log data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to generate block-wis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and use the generated block-wis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summarize the first content. You can create content.

이에, 사용자들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별도 편집 작업이 없더라도 제1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가 자동으로 생성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제고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최적의 요약 컨텐츠가 생성됨으로써, 컨텐츠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제고될 수 있다.Accordingly, summary content for the first content is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without any separate editing work by the user,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of content users can be improved by generating optimal summary content that can meet the user's needs and arouse interest.

도 12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ure 12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of course,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단계 S300에서,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gin at step S100 in which the service server acquires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Thereafter, in step S200, the service server may receive block-by-block log data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content data, and in step S300, the service server Can collect block-by-block log data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to generat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content. At this tim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iews the user ha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residence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etc. .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Since the description of steps S100 to S300 overlaps with the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단계 S600에서, 서비스 서버는 단계 S300을 통해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고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step S600, the service server may determine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through step S300. At this time, the advertisement may be various types of content such as text, image, video, etc.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일부 동작의 세부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이다.FIG. 13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detailed processes of some operations shown in FIG. 2. In more detail, this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ethod for determining where to insert an advertisement in content based on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한편,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200a)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3 is the same as the screen 200a of the user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는 제1 컨텐츠(201a)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중에서 사용자의 조회수가 가장 많은 블록(202ac)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블록(202ac)과 인접한 위치(11a, 11b)를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사용자의 조회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 조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블록과 인접한 위치를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하거나, 블록별 사용자의 조회수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조회수가 많은 블록과 인접한 위치를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service server can extract the block (202ac)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202aa, 202ab, 202ac, 202ad, 202ae) constituting the first content (201a), and extract The positions 11a and 11b adjacent to the block 202ac can be determined as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In other words, the service server compares the number of views by users for each block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at make up the content, and determines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block where the number of view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value as the insertion location of the advertisement, or the number of views by users for each block. Based on the priority, the location adjacent to the block with the most views can be determined as the insertion location for the advertisement.

이 때, 도 11에는 블록과 인접한 위치(11a, 11b)가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블록과 인접한 위치가 상기 예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고는 사용자의 조회수가 가장 많은 블록의 영역 내부에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FIG. 11, the positions 11a and 11b adjacent to the block are illustrated as spaces between blocks, but the positions adjacent to the block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illustration. For example, an advertisement may be displayed as an overlay inside the area of the block with the most views by users.

즉,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를 삽입할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블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추출하는 기준, 추출된 블록의 인접한 위치에 광고를 배치하는 방법 등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ethod of determining where to insert advertisements to be displayed in content using block-by-block log data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is based on the criteria for extracting one or more blocks from a plurality of blocks and the adjacent positions of the extracted blocks. Methods for placing advertisements can be set in various ways by the user.

정리하면,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1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summary, the service server can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first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use the first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may collect block-wise log data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to generate block-wis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and use the generated block-wis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content. You can decide where to insert the advertisement.

이에, 사용자들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가 자동으로 결정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e.g. 사용자들이 많이 조회한 블록)에 기초하여 최적의 광고 삽입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컨텐츠에 표시된 광고로 인한 마케팅 효과가 효율적으로 제고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first conten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Furthermore, by determining the optimal advertisement insertion location based on the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e.g. blocks most viewed by users), the marketing effect due to advertisements displayed in content can be efficiently improved.

도 14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분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 이는 본 개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ure 1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classifying con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of course, some step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분류 방법은, 서비스 서버가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S10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후 수행되는 단계 S200 및 단계 S300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4, the content class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gin at step S100 in which the service server acquires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Since the description of steps S200 and S300 performed thereafter overlap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단계 S700에서, 서비스 서버는 단계 S300을 통해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리딩(reading)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700, the service server may classify categories of content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through step S300. At this time,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views of the us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user's residence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r's residence tim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for each block of .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전부에 대하여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1 컨텐츠로 분류하고,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상단에 위치한 일부 블록에 대하여만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2 컨텐츠로 분류하며,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특정 블록에 대하여만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3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classifies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s first content, and only for some blocks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may be classified as second content, and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only for a specific block among a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may be classified as third content.

이 때, 상기 특정 블록은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부분, 이미지 부분 및 영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ecific block may mean a blo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ext part, image part, and video part of the content.

즉, 컨텐츠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을 모두 리딩하였는지 여부, 일부만 리딩하였다면 어느 부분을 리딩하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That is, conten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whether the user read all of the content or, if only part of it, which part was read.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e.g. 사용자 조회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이 컨텐츠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컨텐츠를 제1 컨텐츠로 분류하고, 특정 블록(e.g.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이 컨텐츠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컨텐츠를 제2 컨텐츠로 분류하며,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이 컨텐츠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컨텐츠를 제3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rvice server sends content in which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ontent based on block-specific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e.g.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Classified as content, content in which a specific block (e.g.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is placed at the top of the content is classified as secondary content, and content in which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is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ontent is classified as secondary content. 3 It can be classified into content.

이 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사용자 조회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일 수도 있으며, 상기 특정 블록은 사용자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뿐만 아니라 사용자 체류 시간이 가장 많은 블록, 사용자 조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블록, 사용자 체류 시간이 기준치 이상인 블록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may b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user views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and the specific block may include not only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user views, but also the block with the highest user residence time, and the user view count is the standard value. This may be a block with a user retention time of more than a standard value or a block with a user retention time of more than a standard value.

즉, 컨텐츠는 다수의 사용자가 리딩한 부분이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 위치하여 있는지, 사용자가 컨텐츠의 어느 부분에서 오랫동안 체류하였는지 등의 기준에 따라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In other words, content can b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based on criteria such as which part of the content the part read by the majority of users is located in and which part of the content the user stayed for a long time.

다만,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방법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컨텐츠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기준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classifying content into categories using block-by-block log data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an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multiple contents into categories may be set in various ways by the user.

정리하면, 서비스 서버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제1 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1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제1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할 수 있다.In summary, the service server can receive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first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use the first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Afterwards, the service server can collect block-by-block log data received from user terminals to generate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content, and use the generated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category of the first content. Can be classified.

이에, 사용자들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제1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자동으로 분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가 분류됨으로써, 사용자의 리딩(reading) 습관 또는 선호하는 컨텐츠의 형식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개인별로 맞춤형 컨텐츠가 추천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category of the first content is automatically classified without separate manipulation by the user based on the users'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Furthermore, by classifying content based on the user's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customized content is created for each user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he user's reading habits or preferred content format. It may be recommended.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요약 컨텐츠 제공 방법,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 및 컨텐츠의 카테고리 분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두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다만,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o fa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4, a method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a method for providing summary content,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content, and a method for categorizing cont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explaine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all methods of utilizing block-by-block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content generated using block-by-block log data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However, methods of utiliz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예를 들면,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e.g. 사용자 조회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게시한 사용자는 컨텐츠를 조회한 사용자가 어느 부분을 관심있게 보았는지, 실제로 컨텐츠의 모든 내용을 보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게시된 컨텐츠의 내용이나 내용의 순서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는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게시한 사용자에게 게시된 컨텐츠에 대한 최적의 편집 방향을 추천해줄 수 있다. 나아가, 편집된 컨텐츠에 대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편집 이전의 컨텐츠와 편집된 컨텐츠의 차이점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개선된 양질의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e.g. number of user views), a user who posted content can determine which part the user who viewed the content was interested in and whether they actually viewed all of the content. You can edit the content or order of content posted based on the content. Additionally, the service server can recommend the optimal editing direction for the posted content to the user who posted the content based on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urthermore, by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for the edited cont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before editing and the edited content can b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improved quality content can be generated.

다른 예를 들면,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에 기초하여 게시된 컨텐츠의 관리자는 사용자들이 컨텐츠를 단순히 조회한 것인지, 실제로 컨텐츠를 어느 부분까지 조회하였는지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 개개인에게 사용자 각각의 리딩(reading)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based on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manager of posted content can obtain information such as whether users simply viewed the content and to what extent the content was actually viewed, and can provide information to each user. Customized content corresponding to reading histo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15 is a hardwar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uting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ystem 1000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shown in FIG. 18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100, a system bus 1600, a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and a computer program 1500 performed by the processor 1100. It may include a memory 1400 for loading and a storage 1300 for storing a computer program 1500.

프로세서(1100)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버스(1600)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1000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for content. The processor 1100 may perform operations on at least one application or program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emory 1400 stores various data, commands and/or information. The memory 1400 may load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1500 from the storage 1300 to execute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s 1600 provides a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read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1000 for content.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supports Internet communication of the read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0 for content. Storage 1300 may non-temporarily store one or more computer programs 1500. The computer program 1500 may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implementing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computer program 1500 is loaded into the memory 1400, the processor 1100 can perform methods/operat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executi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시스템(1000)은 가상 머신 등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하여 서버 팜(server farm)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물리 서버(physical server)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프로세서(1100), 메모리(1400) 및 스토리지(1300) 중 적어도 일부는 가상 하드웨어(virtual hardware)일 수 있을 것이며, 통신 인터페이스(1200) 또한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등 가상화된 네트위킹 요소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read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000 for cont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uses one or more physical servers included in a server farm based on cloud technology such as a virtual machine. It can be configured using In this case, at least some of the processor 1100, memory 1400, and storage 1300 amo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5 may be virtual hardware,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200 may also be a virtual switch. It may be composed of virtualized networking elements such as switches.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So fa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have been mention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5 .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지금까지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so far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transmitted to another computing device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install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and thus used on the other computing devic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operations are shown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In certain situ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 can understand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technical ideas defined by this disclosure.

Claims (2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된 블록별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Including transmit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ogether with the data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at requested the content,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I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block-specific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block-specific residence time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ecting the user's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blocks included in the block-by-block log data,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의 정보, 블록을 리딩 중인 사용자의 정보 및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시간 정보 및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It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contain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 read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s viewing time for the block, and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제1 블록의 면적이 상기 제1 블록의 전체 면적 대비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s,
When the area of the first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is greater than a reference value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first block, comprising receiving log data for the first block,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제1 블록의 일부 영역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use 3,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the first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a partial area of the first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among the first blocks,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제1 기준치 이상인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되는 제2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제1 주기마다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the second block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for a time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every first period,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제1 주기마다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2 블록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수신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the second block every first cycle is,
Comprising the step of increasing the first perio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log data for the second block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횟수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1 주기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step of increasing the first cycle is,
Including increasing the first cycle only when the number of time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화면에 대한 활성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활성 상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s,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based on the active state of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s,
The active sta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user's input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와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기 송신된,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블록별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Receiving content dat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blocks from a service server;
Receiving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and
Including the step of displaying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generated using the content and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A block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by collect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ncluding the user's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the block, previously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Containing specific residence time information,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이 포함된 컨텐츠의 정보, 블록을 리딩 중인 사용자의 정보 및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content containing the block, information on the user reading the block,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viewing time for the block,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리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별 리딩 정보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그래픽 객체는,
블록에 대한 사용자 조회수에 상응하는 길이로 돌출된 막대 바를 연결하여 생성되는 객체인,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Generating a first graphic object corresponding to the reading information for each block and displaying the first graphic object,
The first graphic object is,
An object created by connecting protruding bar bars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user views on the block,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된 블록별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약 컨텐츠 생성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Including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I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block-specific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block-specific residence time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ecting the user's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blocks included in the block-by-block log data,
How to create summary content.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블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회수에 기초하여 추출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요약 컨텐츠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2,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e step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is,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summary content for the content using one or more blocks extracted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of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How to create summary content.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블록은,
상기 사용자의 조회수가 기준치 이상인 블록인,
요약 컨텐츠 생성 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one or more blocks are:
A block in which the number of views of the user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How to create summary content.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된 블록별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Including determining an insertion position of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I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block-specific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block-specific residence time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ecting the user's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blocks included in the block-by-block log data,
How to determine where to insert an ad.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조회수가 가장 높은 블록과 인접한 위치를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ntain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user view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is,
Including determining a location adjacent to the block with the highest number of views by the user as an insertion location for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How to determine where to insert an ad.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체류 시간이 가장 많은 블록과 인접한 위치를 상기 컨텐츠에 표시될 광고의 삽입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의 삽입 위치 결정 방법.
According to claim 15,
The step of determining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is,
Including determining a location adjacent to the block where the user spends the most time as an insertion location for an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in the content,
How to determine where to insert an ad.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 이력 정보는,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별 로그 데이터에 포함된 블록에 대한 사용자의 체류 시간 정보를 취합하여 생성된 블록별 체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분류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Includ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ontent into categories us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he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is,
I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user's residence time in the block,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block-specific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block-specific residence time information generated by collecting the user's residence time information for blocks included in the block-by-block log data,
How to classify content.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는,
상기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리딩 완료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모두에 대하여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1 컨텐츠로 분류하고,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상단에 위치한 일부 블록에 대하여만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2 컨텐츠로 분류하며, 상기 컨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 중 특정 블록에 대하여만 사용자의 리딩이 완료된 컨텐츠를 제3 컨텐츠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분류 방법.
According to clause 18,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ntain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The step of classifying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is,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s classified as first content, and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only for some blocks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is classified as first content. Classifying content as 2 content, and classifying content for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reading only for a specific block among the plurality of blocks constituting the content as third content,
How to classify content.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블록은,
상기 컨텐츠의 텍스트 부분, 이미지 부분 및 영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블록인,
컨텐츠 분류 방법.
According to clause 19,
The specific block is,
A block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the text portion, image portion, and video portion of the content,
How to classify content.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된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블록별 리딩(reading)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된 블록별 로그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상기 컨텐츠의 데이터와 함께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블록은 복수의 행과 열로 구성된 테이블의 형태로 배치된 것이고,
상기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행에 배치된 복수의 블록 각각에 대한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모두 반영하여 상기 제1 행에 대응되는 블록별 리딩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리딩 정보 제공 방법.
In a method performed by a computing device,
Obtaining content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Receiving log data for each block including reading history information for each block of the content from user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data of the content;
Collecting log data for each block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s to generat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for the content; and
Including transmit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together with the data of the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at requested the content,
The plurality of blocks are arranged in the form of a tab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ws and columns,
The step of generating th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is,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block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w by reflecting all block-wise rea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in the first row.
How to provide reading information about content.
KR1020230046408A 2023-04-07 2023-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KR1026304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408A KR102630438B1 (en) 2023-04-07 2023-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6408A KR102630438B1 (en) 2023-04-07 2023-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438B1 true KR102630438B1 (en) 2024-01-29

Family

ID=8971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6408A KR102630438B1 (en) 2023-04-07 2023-04-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438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843B2 (en) * 2005-04-27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Video summarization device, terminal device, video summarization system, and video summarization method
KR20170133110A (en) *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Home appliances user guide video contents and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KR20220021579A (en)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안무공장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41617A (en)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카카오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s recommendation
KR20220045121A (en) * 2022-01-24 2022-04-12 주식회사 카페노노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other readers of the current posting and supporting mutual interaction thereof
KR20220045122A (en) * 2022-01-24 2022-04-12 주식회사 카페노노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realtime reading activity of followers and supporting mutual interaction thereof
KR20220111602A (en)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키리콘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KR20220158406A (en) * 2021-05-24 2022-12-01 남민우 Performance analysis method through statistical and exposure effect analysis of video conte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9843B2 (en) * 2005-04-27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Video summarization device, terminal device, video summarization system, and video summarization method
KR20170133110A (en) *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Home appliances user guide video contents and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and system
KR20220021579A (en) 2020-08-14 2022-02-22 주식회사 안무공장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service
KR20220041617A (en) *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카카오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s recommendation
KR20220111602A (en) *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키리콘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o user after classific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KR20220158406A (en) * 2021-05-24 2022-12-01 남민우 Performance analysis method through statistical and exposure effect analysis of video content
KR20220045121A (en) * 2022-01-24 2022-04-12 주식회사 카페노노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other readers of the current posting and supporting mutual interaction thereof
KR20220045122A (en) * 2022-01-24 2022-04-12 주식회사 카페노노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realtime reading activity of followers and supporting mutual interaction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가 AI를 사용하는 방법"(2022.04.25.), 인터넷 <https://brunch.co.kr/@herbeauty/5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3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and providing highlight video of video content
US11232481B2 (en) Extended applications of multimedia content previews in the cloud-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CN112632942B (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US9078036B2 (en) Mechanism to evaluate the geographic popularity of geographically-located user-generated content items
US20130111326A1 (en) Enhanced multimedia content preview rendering in a cloud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20328259A1 (en) Multimedia content preview rendering in a cloud content management system
KR102111720B1 (en) Method for design recommending using cloud literary work analysis
US93257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400575B (en) User identification generation method, user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80095612A1 (en) Intelligent support recommendations for snap-ins
CN114595384A (en) Book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752132A (en) Cartoon picture bullet screen display method an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160371237A1 (en) Media content presentation by categorizing and formatting media types
US201302546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media content
CN112905921B (en) Page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US9384285B1 (en) Methods for identifying related documents
JP5805134B2 (en) Terminal device and device program
KR10263043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ading information of content
KR20190036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ASH-UP SERVICE OF SaaS APPLICATIONS
CN107979779B (en) Combined interaction monitoring of media content groupings on social media services
CN111782740A (en) Seat data processing method, compu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20042930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contents list
CN110515618A (en) Page info typing optimization method,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device
CN105243132A (en) Method for controlling search records and electronic device
WO2013116365A1 (en) Extended applications of multimedia content previews in the cloud-based conten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