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802B1 -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802B1
KR102629802B1 KR1020220122990A KR20220122990A KR102629802B1 KR 102629802 B1 KR102629802 B1 KR 102629802B1 KR 1020220122990 A KR1020220122990 A KR 1020220122990A KR 20220122990 A KR20220122990 A KR 20220122990A KR 102629802 B1 KR102629802 B1 KR 10262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unit
energy storage
signal
storag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12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8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8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38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according to amplitu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 있어서, 입력전원(11)을 공급받아 에너지 저장장치(13)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1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1 코일부(21);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2 코일부(2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직 코일부(23);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평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평 코일부(24);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2);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3);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4);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32,33,34)에서 취득한 정보를 원격으로 검출하는 주 제어부(35); 상기 주 제어부(35)에서는 신호의 검출상태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a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charging device (12) for charg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y receiving input power (11); A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vertical coil unit 23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of the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first coil unit 21;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2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second coil unit 22;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3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4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31, 32, 33, and 34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main control unit 35 that remotely detects; The main control unit 35 proposes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a solar energy-based energy storage device,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inspected based on the detection state of the signal.

Description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SOLAR-BASED ESS (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빠르게 검출할 수 있으며, 이를 관리자의 단말기(또는 스마트 폰)로 전송하여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and a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In particular, the safety of lithium-ion batteries can be quickly detected in real time, and this can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s terminal (or smart phone) to This relates to inspection devices and inspection methods that improve the safety of light-based energy storage devices.

최근 신재생에너지인 태양전지, 풍력발전, 연료전지 등의 출력인 직류(DC) 전류를 저장하고, 전기자동차 및 모빌리티의 배터리는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로 그 안전성에 근본적인 향상과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direct current (DC) current, which is the output of new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cells, wind power generation, and fuel cells, has been stored, and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and mobility have fundamentally improved their safety through energy storage systems (ESS). Variou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event fire and explosion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535호(공고일 2012년 01월 11일,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함)에서는 안전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을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1]에서는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의 내부 저항(ESR)을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변압기; 상기 변압기는 차량 배터리 전압을 넘는 제1 전압값으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변압기가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는 변압기에 의해 마이크로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의 함수로서 펄스 방식으로 제2 전압값으로 충전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압값을 감지하는 첨두값 정류기가 제공되고, 첨두값 정류기를 통과하는 전압이 펄스화된 충전 이후에 제3 전압값로 떨어지고, 내부저항은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의해 제2와 제3 전압값 사이의 전압 차이의 함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안하였다.As a related prior document,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04535 (announcement date January 11, 201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at least one energy storage capacitor in a safety system. . In [Patent Document 1], in order to monitor the energy storage capacitor, a transformer is used to monitor the internal resistance (ESR) of the energy storage capacitor; The transformer charges at least one energy storage capacitor to a first voltage value exceeding the vehicle battery voltage, and the transformer is connected to a microcontroller so that the at least one energy storage capacitor is pulsed as a function of a signal from the microcontroller by the transformer. wherein a peak rectifier detects the second voltage value, the voltage passing through the peak rectifier drops to a third voltage value after pulsed charging, and the internal resistance is proposed a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voltage values is determined by a microcontroller.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98호(공고일 2013년 06월 05일, 이하 [특허문헌2]이라 함)에서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배터리관리시스템(BMS)검사장치를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2]에서는 에너지저장시스템용 배터리관리시스템을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압 멀티미터; 전류 멀티미터; 파워서플라이; 보조 파워서플라이; 가상의 온도 데이터를 인가하는 온도보드;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과 상기 보조 파워서플라이의 접점을 연결하는 입출력보드; 그래픽사용자인터 페이스(GUI); 상기 배터리관리시스템 검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메인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용 배터리관리시스템 검사장치를 제안하였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70798 (announcement date June 5, 201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nspection device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In [Patent Document 2], a device for inspecting a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includes a voltage multimeter; current multimeter; power supply; Auxiliary power supply; A temperature board that applies virtual temperature data; an input/output board connecting contact points of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 battery management system inspection device for an energy storage system was proposed, which is comprised of a main board that controls to perform the battery management system inspec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2800호(공고일 2018년 01월 26일,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함)에서는 에너지 저장소자 검사장치를 공개하였다. 상기 [특허문헌3]에서는 에너지 저장소자의 전원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쌍을 포함하는 전극부; 전원 공급부; 전압 측정부; 상기 에너지 저장소자의 결함을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 제1 기간 동안 상기 에너지 저장소자에 상기 직류 전압을 공급하고, 상기 제1 기간과 상이한 제2 기간 동안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을 중단하는 에너지 저장소자 검사장치를 제안하였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2800 (announcement date January 26, 20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disclosed an energy storage device inspection device. In [Patent Document 3], an electrode unit including a pair of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power terminals of an energy storage element; power supply; voltage measuring unit;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a defect in the energy storage element;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the direct current voltage to the energy storage element during a first period set by the control unit, and stops supplying the direct current voltage during a second period different from the first period. did.

상기 [특허문헌1] 내지 [특허문헌3]에서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를 비접촉 기반으로 실시간 감지하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In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3], there was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detect the statu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n real time on a non-contact basi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535호, 공고일 2012년 01월 11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04535, announced on January 11, 2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98호, 공고일 2013년 06월 05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70798, announced on June 5,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2800호, 공고일 2018년 01월 26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22800, announced on January 26, 2018

본 발명은 제안된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ESS) 안전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에너지 저장장치(ESS)의 가장 큰 문제점은 바로 화재 및 폭발이 위험하다는 것이다. 특히 에너지 저장장치는 그 안전성의 문제로 인하여 최악의 경우는 폭발 및 화재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단점으로 이를 확실하게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안전성 검사를 실시간으로 하기 위하여 제1 코일부, 제2 코일부, 수직 코일부, 수평 코일부 중에서 특정(特定) 코일부를 통하여 신호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特定) 코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코일부에서는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신호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정성을 검사하는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pose a proposed solar-based energy storage system (ESS) safety inspection device and a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biggest problem with existing energy storage systems (ESS) is the risk of fire and explosion. In particular, energy storage devices have the fundamental disadvantage of causing explosions and fires in the worst case due to safety issues. In order to reliably detect this in real time and conduct safety inspection in real time, the first coil part, the second coil part, and the vertical nose In some cases, a signal can be supplied through a specific coil part among the horizontal coil parts, and signals are detected in the remaining coil parts excluding the specific coil part.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pose an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to check the stabil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14)의 출력을 공급받아 에너지 저장장치(13)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1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1 코일부(21);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2 코일부(2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직 코일부(23);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평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평 코일부(24);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2);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3);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4);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32,33,34)에서 취득한 정보를 원격으로 검출하는 주 제어부(35); 상기 주 제어부(35)에서는 신호의 검출상태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a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charging device 12 for charg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olar panel 14; A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vertical coil unit 23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of the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first coil unit 21;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2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second coil unit 22;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3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4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31, 32, 33, and 34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main control unit 35 that remotely detects; The main control unit 35 uses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solar energy-based energy storage devices,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est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state of the signal, a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발명은 첫째,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비접촉 방식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둘째, 에너지 저장장치의 주입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를 기반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의 상태를 점검하는 방식이며, 셋째, 에너지 저장장치에 이상(異常)이 발생하면, 무선(無線)으로 관리자의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알람을 전달할 수 있으며, 넷째, 가변 주파수를 고주파(High Frequency)에서 저주파(Low Frequency) 또는 저주파(Low Frequency)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로 가변시키면서 주입시킴으로 정확하게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상승된 효과를 가지고 있다.First, the invention allow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o be confirmed in real time based on a non-contact method; second, it is a method of checking the statu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impedance according to the injection frequenc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nd third, the energy storage devic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evice, an alarm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to the administrator's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Fourth, the variable frequency can be changed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or low frequency. It has the increased effect of testing the safety of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s by accurately evaluating the stabil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y varying the injection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도 1은 제안된 상용전원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이다.
도 2는 제안된 태양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이다.
도 3은 제안된 에너지 저장장치 신호주입 및 검출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제안된 제1 및 제2 코일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제안된 수직 및 수평 코일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코일부에 주입되는 주파수 파형도이다.
Figure 1 shows a proposed commercial power-based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Figure 2 is a proposed solar cell-based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Figure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posed energy storage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system.
Figure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posed first and second coil units.
Figure 5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posed vertical and horizontal coil parts.
Figure 6 is a frequency waveform diagram injected into the coil unit.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complete explanation.

도 1은 제안된 상용전원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상용전원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입력전원(11)으로부터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서 직류 출력을 발생시키는 충전장치(12), 상기 충전장치(12)의 직류 출력을 공급받아서 전기에너지를 저장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는 최근 안전성의 심각한 위기로 인하여 화재 및 폭발이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실시간적으로 감시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것이 기술적 목표가 되고 있으며,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 장치(10)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1 코일부(21)가 위치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2 코일부(22)가 위치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직 코일부(23)가 배치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평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평 코일부(24)가 배치되는 것을 기본적인 큰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가 있으며,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2)가 있으며,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3)가 있으며,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4)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32,33,34)에서 취득한 정보를 원격으로 검출하는 주 제어부(3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 제어부(35)는 마치 중앙 서버(Serve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그간 취득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 저장장치의 임피던스 분석을 기반으로 현재 안전성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제어부(35)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고 이를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36)으로 전송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이상(異常)이 확인 이를 상기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36)으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1 shows the proposed commercial power-based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The commercial power-base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es a charging device 12 that receives alternating current power from the input power source 11 and generates a direct current output,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receives the direct current output of the charging device 12 and stores electrical energy. It consists of a device (13).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has recently experienced fire and explosion problems due to a serious safety cris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goal is to monitor this in real time and ensure safety,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10 is a first device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The coil unit 21 is located, and the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s located, and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s located. A basic major feature is that a vertical coil unit 23 is disposed to detect a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coil unit 24 is disposed to detect a sig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 There is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of the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first coil unit 21, and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ere is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2 of the second coil unit 22, and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3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at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ere is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4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 addition,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31, 32, 33, and 34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main control unit 35 that remotely detects information is disposed. The main control unit 35 performs the same role as a central server, comprehensively manages the data acquired so far, and comprehensively checks the current safety status based on impedance analysi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he main control unit 35 inspect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a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36, and detects abnormalities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This confirmation is characterized by sending an alarm to the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36).

도 2는 제안된 태양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태양전지(14) 기반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상기 태양전지(14)의 출력을 공급받아서 직류 출력을 발생시키는 충전장치(12), 상기 충전장치(12)의 직류 출력을 공급받아서 전기에너지를 저장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는 최근 안전성의 심각한 위기로 인하여 화재 및 폭발이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실시간적으로 감시하고 안전성을 확보하려는 것이 기술적 목표가 되고 있으며,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 장치(10)는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1 코일부(21)가 위치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2 코일부(22)가 위치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직 코일부(23)가 배치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평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평 코일부(24)가 배치되는 것을 기본적인 큰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가 있으며,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2)가 있으며,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3)가 있으며,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4)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32,33,34)에서 취득한 정보를 원격으로 검출하는 주 제어부(35)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 제어부(35)는 마치 중앙 서버(Server)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그간 취득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에너지 저장장치의 임피던스 분석을 기반으로 현재 안전성 상태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 제어부(35)에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고 이를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36)으로 전송하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이상(異常)이 확인 이를 상기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36)으로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2 shows the proposed solar cell-based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solar cell 14 includes a charging device 12 that receives the output of the solar cell 14 and generates direct current output, and stores electrical energy by receiving the direct current output of the charging device 12. It consists of an energy storage device (13).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has recently experienced fire and explosion problems due to a serious safety cris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goal is to monitor this in real time and ensure safety, and the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10 is a first device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The coil unit 21 is located, and the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s located, and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s located. A basic major feature is that a vertical coil unit 23 is disposed to detect a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coil unit 24 is disposed to detect a sig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 There is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of the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first coil unit 21, and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ere is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2 of the second coil unit 22, and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3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at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ere is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4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supplies and detects the signal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 addition,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31, 32, 33, and 34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main control unit 35 that remotely detects information is disposed. The main control unit 35 performs the same role as a central server, comprehensively manages the data acquired so far, and comprehensively checks the current safety status based on impedance analysi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The main control unit 35 inspect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a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36, and detects abnormalities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This confirmation is characterized by sending an alarm to the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36).

무엇보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는 태양전지, 풍력발전, 연료전지 등의 다각적인 신재생 에너지원을 기반하는 에너지 저장장치(13)에서도 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bove all, the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ased on various renewabl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cells, wind power generation, and fuel cells.

도 3은 제안된 에너지 저장장치 신호주입 및 검출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서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에 가변 주파수의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내지 S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내지 S4)는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가 턴온(Turn-on)이 되면, 제3 스위치(S3) 및 제4 스위치(S4)는 턴오프(Turn-off)가 되며, 상기 제3 스위치(S3) 및 제4 스위치(S4)는 턴온(Turn-on)이 되면,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가 턴오프(Turn-off)가 되는 상보적(相補的) 동작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수십 Hz내지 수백 kHz의 가변 주파수를 상기 특정(特定) 코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주파의 경우 더욱 멀리 전파하며, 고주파의 경우 짧은 거리를 전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서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 양단에 연결된 신호검출 비교기(37)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검출 비교기(37)에 신호를 바탕으로 장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상시적으로 판단하는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38)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38)는 무선(無線)으로 주 제어부(35)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45,46,47)에서 검출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안전성에 대하여 실시간적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에서 이상(異常)이 발생하는지 분석할 수 있는 중앙 서버(Server)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에서 일정(一定) 이하의 상태를 이상(異常) 상태로 정의하고 이를 관리자의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36)으로 이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igure 3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posed energy storage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system. Supplying a signal of variable frequency to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 the safety inspection devic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are disposed for.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are turned on whe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are turned on, the third switch (S3)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turned on. When it turns off, the third switch (S3) and the fourth switch (S4) turn o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turn off. The technical feature is a complementary operation that becomes a turn-off. Through this, a variable frequency of tens of Hz to hundreds of kHz can be supplied to the specific coil unit. In general, low frequencies propagate farther, and high frequencies propagate shorter distances. To detect signals generated from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 the safety inspection devic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 signal detection comparator 37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s disposed, and the signal It features a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 38 that constantly determines the safety of the long-term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detection comparator 37. The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 38 communicates with the main control unit 35 wirelessly. The main control unit operates in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45, 46, and 47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Based on the detected signal,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can be inspected in real time and the central server can analyze whether any abnormalities occur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t performs a function, defines a state below a certain level as an abnormal state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nd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manager's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36. This is its biggest technical feature.

도 4는 제안된 제1 및 제2 코일부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제안된 제1 및 제2 코일부를 펼쳐놓은 것이며, 도 4(b)는 제안된 제1 및 제2 코일부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연결시켜서 코일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 코일부(21,22)는 무엇보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 및 (-)단자에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코일부(21,22)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절연된 코일이 있는 코일 밴드부(43)와 제1 접속부(41) 및 제2 접속부(42)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 접속부(43)에는 접속핀(4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핀(44)은 상기 제1 접속부(41)와 연결(결합)됨을 통하여 코일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igure 4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posed first and second coil units. Figure 4(a) shows the proposed first and second coil parts unfolded, and Figure 4(b) shows the proposed first and second coil parts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form the coil part. It was done. It is essential that the first and second coil parts 21 and 22 be easily placed on the (+) and (-) terminals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asily install the first and second coil parts 21 and 22, an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band part 43 with an insulated coil, a first connection part 4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are us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42). A connecting pin 44 is dispos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and the connecting pin 44 is connected (combined)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to form a coil.

상기 제2 접속부(42)의 접속핀(44)을 상기 제1 접속부(41)와 연결시킴을 통해서 상기 도 4(b)와 같은 원형의 코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접속부(41,42)의 일측(一側)에 신호 공급 및 검출 접속부(45)를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31,32)와 연결시킴을 통해서 매우 용이하게 코일을 에너지 저장장치(13)의 (+) 및 (-) 단자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in 44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2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a circular coil portion as shown in FIG. 4(b) can b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ortions Energy can be stored in the coil very easily by connecting to the first and second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s (31 and 32) through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connector (45) on one side of (41, 4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placed on the (+) and (-) terminals of the device 13.

도 5는 제안된 수직 및 수평 코일부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제안된 수직 및 수평 코일부를 펼쳐놓은 것이며, 도 5(b)는 제안된 수직 및 수평 코일부의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연결시켜서 사각 형상의 코일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수직 및 수평 코일부(23,24)는 무엇보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수직 및 수평 코일부(23,24)를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절연된 코일이 있는 코일 밴드부(43)와 제1 접속부(41) 및 제2 접속부(42)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 접속부(43)에는 접속핀(4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핀(44)은 상기 제1 접속부(41)와 연결(결합)됨을 통하여 코일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igure 5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oposed vertical and horizontal coil parts. Figure 5(a) shows the proposed vertical and horizontal coil parts unfolded, and Figure 5(b) shows a square-shaped coil part formed b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of the proposed vertical and horizontal coil parts. will be. Above all, it is essential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il parts 23 and 24 be easily arrang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n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asily install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il parts 23 and 24, and for this purp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il band part 43 with an insulated coil, a first connection part 4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42 ) is characteristic. A connecting pin 44 is dispos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43, and the connecting pin 44 is connected (combined) wi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41 to form a coil.

상기 제2 접속부(42)의 접속핀(44)을 상기 제1 접속부(41)와 연결시킴을 통해서 상기 도 5(b)와 같은 사각의 코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접속부(41,42)의 일측(一側)에 신호 공급 및 검출 접속부를 통해서 상기 수직 및 수평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33,34)와 연결시킴을 통해서 매우 용이하게 코일을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에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n 44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42 with the first connection part 41, a square coil part as shown in FIG. 5(b) can be formed,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arts By connecting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s (33, 34) through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connection on one side of (41, 42), the coil can be very easily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be placed in an external case.

도 6은 코일부에 주입되는 주파수 파형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정현파(Sine Wave)를 기반으로 고주파(High Frequency)에서 저주파(Low Frequency)로 주파수를 주입하며, 도 6(b)는 정현파(Sine Wave)를 기반으로 저주파(Low Frequency)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로 주파수를 주입하며, 도 6(c)는 구형파(Square Wave)를 기반으로 고주파(High Frequency)에서 저주파(Low Frequency)로 주파수를 주입하며, 도 6(d)는 구형파(Square Wave)를 기반으로 저주파(Low Frequency)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로 주파수를 주입하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주파수는 최저 수십 Hz에서 최고 수백 kHz의 가변 주파수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 6(a),(b)와 같이 정현파(Sine Wave)를 기반으로 하거나, 상기 도 6(c),(d)와 같이 구형파(Square Wave)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가변 주파수를 통해서 특정(特定) 주파수에서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의 값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렇게 가변 주파수를 고주파(High Frequency)에서 저주파(Low Frequency) 또는 저주파(Low Frequency)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로 가변시키면서 주입하는 것을 가장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가변 주파수를 정현파(Sine Wave) 또는 구형파(Square Wave)를 통해서 정확하게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정성을 평가하며, 특히 정현파(Sine Wave)보다 구형파(Square Wave)에서 보다 상기 임피던스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보다 상승된 효과가 있다.Figure 6 shows a frequency waveform diagram injected into the coil unit. Figure 6(a) injects frequency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based on a sine wave, and Figure 6(b) injects frequency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based on a sine wave. Frequency is injected from high frequency to high frequency, and Figure 6(c) injects frequency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based on square wave, and Figure 6(d) shows square wave. It represents the injection of frequency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based on square wave. The frequency is characterized by injecting a variable frequency from the lowest tens of Hz to the highest hundreds of kHz, and is based on a sine wave as shown in Figures 6(a) and (b), or as shown in Figure 6(c), It can be based on a square wave as shown in (d),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measure the values of resistance, inductance, and capacitance at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variable frequency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biggest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variable frequency is injected while changing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or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In this way, the stabil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s accurately evaluated through the variable frequency as a sine wave or square wave, and in particular, the impedance can be calculated more accurately with a square wave than with a sine wave. There is an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은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14)의 출력을 공급받아 에너지 저장장치(13)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1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1 코일부(21);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2 코일부(2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직 코일부(23);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평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평 코일부(24);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2);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3);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4);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32,33,34)에서 취득한 정보를 원격으로 검출하는 주 제어부(35); 상기 주 제어부(35)에서는 신호의 검출상태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a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including a charging device 12 for charg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olar panel 14; A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vertical coil unit 23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of the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first coil unit 21;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2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second coil unit 22;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3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4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31, 32, 33, and 34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main control unit 35 that remotely detects; We would like to propose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solar energy-based energy storage devices,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control unit 35 test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state of the signal.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방법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14)의 출력을 공급받아 에너지 저장장치(13)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12)가 위치하며, 상기 충전장치(12)이 출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제1 코일부(21)에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단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제2 코일부(22)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수직 코일부(23)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수평 코일부(24)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코일부(22), 수직 코일부(23) 및 수평 코일부(24)에서 검출된 신호를 주 제어부(35)로 무선(無線)으로 전달하는 제5 단계; 상기 주 제어부(35)는 상기 신호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제6 단계; 상기 주 제어부(35)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고 이를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전송하는 제7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inspection method for a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wherein a charging device 12 is provided to charge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olar panel 14, and the charging device 12 is provided to charge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first step of receiving the output from (12) and supplying a signal to the first coil unit 21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A second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coil unit 22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third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vertical coil unit 23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fourth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horizontal coil unit 24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fifth step of wirelessly transmitting signals detected from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o the main control unit 35; A sixth step in which the main control unit 35 determines the stabil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ased on the signal; The main control unit 35 intends to propose a safety inspection method for solar energy-based energy storage devices, characterized by a seventh step of inspecting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it to a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do.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에 의하여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용이하게 변형시키는 기술의 범주도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a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 and a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rough various modifica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to do so, and the scope of technology that can be easily modified technically should also be recogniz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is patent.

10 : 에너지 저장장치 안전성 검사장치
11 : 입력전원
12 : 충전장치
13 : 에너지 저장장치(ESS)
14 : 태양광 패널(PV Panel)
21 : 제1 코일부
22 : 제2 코일부
23 : 수직 코일부
24 : 수평 코일부
31 : 제1 코일부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
32 : 제2 코일부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
33 : 수직 코일부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
34 : 수평 코일부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
35 : 주 제어부
36 :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37 : 신호검출 비교기
38 :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
41 : 제1 접속부
42 : 제2 접속부
43 : 코일 밴드부
44 : 접속핀
45 : 신호 공급 및 검출 접속부
S1 : 제1 스위치
S2 : 제2 스위치
S3 : 제3 스위치
S4 : 제4 스위치
Vin : 내부전원
10: Energy storage device safety inspection device
11: input power
12: Charging device
13: Energy storage system (ESS)
14: Solar panel (PV Panel)
21: first coil part
22: second coil unit
23: Vertical coil part
24: horizontal coil part
31: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of the first coil unit
32: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of the second coil unit
33: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of vertical coil unit
34: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of the horizontal coil unit
35: main control unit
36: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37: signal detection comparator
38: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
41: first connection part
42: second connection part
43: coil band part
44: connection pin
45: Signal supply and detection connection part
S1: first switch
S2: second switch
S3: third switch
S4: fourth switch
Vin: Internal power

Claims (6)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14)의 출력을 공급받아 에너지 저장장치(13)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1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1 코일부(21);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단자에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제2 코일부(22);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직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직 코일부(23);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외부 케이스의 수평 방향의 신호를 검출하는 수평 코일부(24);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1 코일부(21)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제2 코일부(22)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2);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직 코일부(23)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3);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를 공급 및 검출하는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4);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신호 공급 및 검출부(31,32,33,34)에서 취득한 정보를 원격으로 검출하는 주 제어부(35);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에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의 양단에 연결된 신호검출 비교기(37);
상기 신호검출 비교기(37)의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상시적으로 판단하는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38)를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부(35)에서는 신호의 검출상태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
In the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s,
A charging device 12 for charg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y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olar panel 14;
A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to the (-) terminal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vertical coil unit 23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detects a sign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xternal cas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1 of the first coil unit 21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first coil unit 21;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2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second coil unit 22;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3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vertical coil unit 23;
A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 34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hat supplies and detects a signal of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ignal supply and detection units 31, 32, 33, and 34 of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main control unit 35 that remotely detects;
The first coil unit 21 to detect signals generated in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signal detection comparator 37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t includes a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 (38) that continuously determine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signal of the signal detection comparator (37),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solar energy-based energy storage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control unit 35 test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state of the signal.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에서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에 가변 주파수의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내지 S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내지 S4)는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가 턴온(Turn-on)이 되면, 제3 스위치(S3) 및 제4 스위치(S4)는 턴오프(Turn-off)가 되며;
상기 제3 스위치(S3) 및 제4 스위치(S4)는 턴온(Turn-on)이 되면, 제1 스위치(S1) 및 제2 스위치(S2)가 턴오프(Turn-off)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
In claim 1
Supplying a signal of variable frequency to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in the safety inspection device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t further includes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for,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are turned on whe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are turned on, the third switch (S3)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turned on. It becomes a turn-off;
When the third switch (S3)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turned on,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are turned off.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s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내지 S4)에 수십 Hz내지 수백 kHz의 가변 주파수를 제어하며, 상기 가변 주파수는 구형파(Square Wave)를 기반으로 고주파(High Frequency)에서 저주파(Low Frequency) 또는 저주파(Low Frequency)에서 고주파(High Frequency)로 가변시키면서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장치
In claim 2
The first to fourth switches (S1 to S4) control a variable frequency of tens of Hz to hundreds of kHz, and the variable frequency changes from high frequency to low frequency or low frequency based on a square wave. A safety inspection device for solar energy-based energy storage devices, characterized by injection while varying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삭제delete 삭제delete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방법에 있어서,
태양광 패널(14)의 출력을 공급받아 에너지 저장장치(13)를 충전시키기 위한 충전장치(12)가 위치하며, 상기 충전장치(12)의 출력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제1 코일부(21)에 신호를 공급하는 제1 단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제2 코일부(22)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제2 단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수직 코일부(23)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제3 단계;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수평 코일부(24)에서 신호를 검출하는 제4 단계;
상기 제2 코일부(22), 수직 코일부(23) 및 수평 코일부(24)에서 검출된 신호를 주 제어부(35)로 무선(無線)으로 전달하는 제5 단계;
상기 주 제어부(35)는 상기 신호를 바탕으로 에너지 저장장치(13)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제6 단계;
신호주입 및 검출 제어기(38)는 상기 제1 코일부(21), 상기 제2 코일부(22), 상기 수직 코일부(23) 및 상기 수평 코일부(24)에 발생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 비교기(37)의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상시적으로 판단하는 제7 단계;
상기 주 제어부(35)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고 이를 개인단말기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전송하는 제8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기반 에너지 저장장치의 안전성 검사방법
In the safety inspection method of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s,
A charging device 12 is located to receive the output of the solar panel 14 and charge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nd an energy storage device ( A first step of supplying a signal to the first coil unit 21 of 13);
A second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coil unit 22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third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vertical coil unit 23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fourth step of detecting a signal from the horizontal coil unit 24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A fifth step of wirelessly transmitting signals detected from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to the main control unit 35;
A sixth step in which the main control unit 35 determines the stabili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13 based on the signal;
The signal injection and detection controller 38 detects signals generated in the first coil unit 21, the second coil unit 22, the vertical coil unit 23, and the horizontal coil unit 24. A seventh step of continuously determining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detection comparator 37;
An eighth step in which the main control unit 35 inspects the safety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in real time and transmits it to a personal terminal or smart phone;
Safety inspection method for solar-based energy storage devices characterized by
KR1020220122990A 2022-09-28 2022-09-28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629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990A KR102629802B1 (en) 2022-09-28 2022-09-28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990A KR102629802B1 (en) 2022-09-28 2022-09-28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802B1 true KR102629802B1 (en) 2024-01-25

Family

ID=8972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990A KR102629802B1 (en) 2022-09-28 2022-09-28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8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35B1 (en) 2003-04-30 2012-01-1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t least one energy reserve capacitor in a restraint system
KR101270798B1 (en) 2012-02-17 2013-06-05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Only energy storage system bms testing equipment
KR101822800B1 (en) 2017-10-31 2018-01-26 이중오 Inspecting device for energy storage element
KR102525791B1 (en) * 2022-09-28 2023-04-26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35B1 (en) 2003-04-30 2012-01-1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t least one energy reserve capacitor in a restraint system
KR101270798B1 (en) 2012-02-17 2013-06-05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Only energy storage system bms testing equipment
KR101822800B1 (en) 2017-10-31 2018-01-26 이중오 Inspecting device for energy storage element
KR102525791B1 (en) * 2022-09-28 2023-04-26 주식회사 온누리이엔지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50061B (en) Insulation resistance measurement circuit having self-est function without generating leakage current
CN101025436B (en) High-voltage safety monitoring device for electric automobile
KR101397887B1 (en)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battery contact point at the charging/discharging system with serial connected batteries
CN102393489B (en) On-line monitoring control method of electric car power cell high voltage loop resistor and apparatus thereof
CN104620117B (en) Power supply apparatus
CN103760492A (en) Method for online testing performance of lead-acid storage cells of transformer substation
CN205565901U (en) Transformer substation storage cell organizes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KR102525791B1 (en)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02539973A (en) Charge and discharge detecting system of electric automobile
CN106299180B (en) The combination of electric tool and battery pack
CN205176141U (en) Electric automobile battery insulation detecting system
KR102629802B1 (en) Solar-based ess(energy storage system) safety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204376537U (en) Cable branch box on-line operation monitoring system
CN208255346U (en) A kind of drawing road does not have a power failure DC earthing detection device
CN103770650A (en) Locomotive traction and auxiliary system integrated grounding protection device
CN209764998U (en) Storage battery pack insulation descending positioning monitoring device
CN102324589B (en) Intelligent sealed valve control lead-acid storage battery with embedded parameter sensor
CN104635119A (en) Power system insulatio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KR1023899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cell
CN110579691A (en) Storage battery pack insulation descending positioning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CN206095299U (en) Humiture and electrostatic test system
CN220040732U (en) Portable electroscope verifying attachment of two voltage grades
CN217332817U (en) Test circuit of storage battery internal resistance tester
CN110687471A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aging monitoring system
CN205120815U (en) High -voltage electroscope char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