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944B1 -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944B1
KR102628944B1 KR1020210099240A KR20210099240A KR102628944B1 KR 102628944 B1 KR102628944 B1 KR 102628944B1 KR 1020210099240 A KR1020210099240 A KR 1020210099240A KR 20210099240 A KR20210099240 A KR 20210099240A KR 102628944 B1 KR102628944 B1 KR 10262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oken
legal
storage modul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17576A (en
Inventor
배지호
Original Assignee
배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호 filed Critical 배지호
Priority to KR102021009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944B1/en
Publication of KR20230017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5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본 발명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는 법률자료 입력모듈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법률자료 입력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는 토큰보관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과 연동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및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정보를 대상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수행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수행모듈은,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가 상기 시점을 포함한 그 이전에 생성된 법률자료임을 인증하는 시점인증부; 및 상기 개인인증모듈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것임을 판단하는 입력자인증부; 를 포함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NFT (Non Fungible Token), which includes a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A legal data input module in which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in which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generated in a preset manner; A hash data operation module that calculat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A token storage module that issues and stores NFT tokens based on the hash data; A blockchain storage module in which data about the NFT token is stored; A distributed storage module linked to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an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on information about the legal data; It includes a time point authentication module, wherein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uses an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to authenticate that the legal data is legal data created before and including the time point; and an input user authent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input is from an authenticated user using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Provides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that includes.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리걸 아카이브의 진정성립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2009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반을 둔 비트코인(bitcoin)이 공개된 이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전자화폐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마트 계약을 위한 플랫폼 제공 서비스,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블록체인 컴퓨팅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Since the release of Bitcoin, which is based on blockchain, in 2009, blockchain has been used not only in electronic money systems such as Bitcoin, but also in platform services for smart contracts, cloud storage services, and blockchain computing services. It is applied in various fields.

이러한 블록체인의 주요구성인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블록체인을 탈중앙화된 시스템으로 만들어 주는 핵심기술로서, 거래기록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중앙화된 서버가 소유하는 것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원장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Distributed Ledger, a key component of blockchain, is a core technology that makes blockchain a decentralized system, and the database that stores data such as transaction records is not owned by a centralized server, but is a blockchain network. This means that all participating nodes own and manage the same ledger.

2015년에는 리눅스재단에서 기업용 블록체인 개발을 위해 하이퍼 레저(Hyper ledger)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오픈소스 형태의 프로젝트로서 전 세계 기업과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비즈니스 목적에 알맞은 형태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금융, 물류, 부동산, 특허 및 의료 등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데이터를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고, 비즈니스 시스템에 적합한 블록 생성 알고리즘이나 트랜잭션 보증 정책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2015, the Linux Foundation created the Hyper Ledger project to develop enterprise blockchain. As an open source project, companies and developers around the world voluntarily participate to build various blockchain platforms suitable for business purposes. I'm doing it.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business data such as finance, logistics, real estate, patents, and medical can be recorded in a distributed ledger, and block generation algorithms or transaction guarantee policies suitable for the business system can be selectively set.

다만, 이러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는 다수의 노드가 분산원장을 이용하여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소수의 노드가 참여하는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무결성을 유지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존재한다. However, while this blockchain platfor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intain integrity in a decentralized network environment where multiple nodes use a distributed ledger, it is not suitable for maintaining integrity in a network in which a small number of nodes participate. Problems exist.

최근에는 인증서, 성적표, 증명서, 계약서 등의 문서(전자문서, 출력문서를 포함)와 수표 등의 유가증권뿐만 아니라, 이미지파일, 미디어파일 등의 경우에도 그 내용을 위조 또는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출력된 문서의 내용을 수정하여 행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피해 당사자 개인 재산의 손실을 초래하며 및 시장 경제 시스템의 신뢰가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Recently, not only documents such as certificates, transcripts, certificates, and contracts (including electronic documents and printed documents) and securities such as checks, but also image files, media files, etc., have been printed or printed with forged or altered contents. It is often exercised by modifying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This causes loss of the victim's personal property and causes a decrease in trust in the market economic system.

사문서의 경우 그 진정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서명을 하거나 도장을 날인하지만, 서명을 모방하거나 도장을 위조하여 날인함으로써 문서 감정을 통하여 사후에 그 진정성을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문서의 경우에도 암호화된 2차원 바코드(Ex. QR코드 등)을 사용하여 진위확인 장치 등 위변조 장치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나, 이들 역시 변조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In the case of private documents, signatures or seals are used to prove their authenticity, but the authenticity is confirmed after the fact through document appraisal by imitating signatures or forging seals. Even in the case of official documents, there are cases where forgery and falsification devices such as authenticity verification devices are provided using encrypted two-dimensional barcodes (e.g. QR codes), but the possibility of falsification cannot be ruled out in these as well.

또한, 작성자의 진정성과 작성시점의 진정성, 즉 진정성립에 관한 입증이 매우 어려워, 실무상 증거능력을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처럼 상기 문서나 파일 등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법률적 분쟁 과정에서 증거로 활용되는데 많은 제약이 뒤따른다(참고문헌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2015),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판단에 관한 연구, 서울: 사법정책연구원,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2016), 전자정보의 증거조사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기초 연구, 서울: 사법정책연구원).In addition, it is very difficult to prove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and the authenticity at the time of writing, so in most cases, the evidence is not recognized in practice. Despite their usefulness, the above documents and files are subject to many limitations when used as evidence in legal disputes (Reference: Supreme Court Judicial Policy Institute (2015), Study on the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Seoul: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Supreme Court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2016), Basic research on the status of evidence investig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Seoul: Judicial Policy Research Institute).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934444호인 '문서 및 유가증권의 무결성 데이터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2차원 바코드내에 은닉한 문서의 주요 정보 및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해쉬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해쉬값을 2차원 바코드 하단부의 해쉬값과 비교하거나, 블록체인내에 존재하는 해쉬값을 비교하여 문서의 무결성을 입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문서의 주요 정보를 암호화하는 키를 2차원 바코드 내에 은닉함으로서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고, 은닉된 암호화 키는 사본화 과정에서 복사본에 전달되지 않거나 일부 손실되므로 위변조의 가능성이 낮고, 원본이 아님을 증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문서 및 유가증권의 무결성 데이터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As a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934444, 'Method for managing integrity data of documents and securities', is disclosed. The prior art extracts a hash value using the key information and encryption key of the document hidden in the two-dimensional barcode, compares the extracted hash value with the hash value at the bottom of the two-dimensional barcode, or extracts the hash value existing in the blockchain. This allows the integrity of the document to be proven by comparison. The key that encrypts the key information of the document is hidden within a two-dimensional barcode,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with the naked eye, and the hidden encryption key is not delivered to the copy or is partially lost during the copying process. Therefore, we disclose a method for managing integrity data of documents and securities that has a low possibility of forgery and alteration and can be used to prove that they are not originals.

다만, 상기 종래기술은 2차원 바코드를 은닉함으로써, 문서나 파일 등의 내용자체에 대한 위변조 여부만을 확인 가능할 뿐, 이러한 문서나 파일 등을 보관하는 사용자 편의성은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법률적 분쟁에서 작성자의 진정성 및 작성시점의 진정성을 인증하는 내용은 전혀 개시하지 않는다. However, by hiding the two-dimensional barcode, the prior art can only check whether the content of the document or file itself has been forged or altered, and the user convenience of storing such documents or files is very low. Additionally, in legal disputes, no information is disclosed at all to certify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or the authenticity at the time of writing.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 10-1934444호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93444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법률적 분쟁에서 법률자료 작성자의 진정성 및 작성시점의 진정성을 인증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를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seeks to propose a technical basis for cert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of legal materials and the authenticity at the time of creation in legal disputes.

또한, 본 발명은 NFT토큰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법률자료의 보안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다른 당사자에게 법률자료의 전송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보안성 및 편의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pose a technology that can satisfy both security and convenience by strengthening the security of legal data and facilitating the transmission of legal data to other parties by being based on NFT tokens. .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는 법률자료 입력모듈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법률자료 입력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는 토큰보관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과 연동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및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정보를 대상으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수행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수행모듈은,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가 상기 시점을 포함한 그 이전에 생성된 법률자료임을 인증하는 시점인증부; 및 상기 개인인증모듈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것임을 판단하는 입력자인증부; 를 포함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NFT (Non Fungible Token), which includes a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A legal data input module in which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in which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generated in a preset manner; A hash data operation module that calculat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A token storage module that issues and stores NFT tokens based on the hash data; A blockchain storage module in which data about the NFT token is stored; A distributed storage module linked to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an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on information about the legal data; It includes a time point authentication module, wherein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uses an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to authenticate that the legal data is legal data created before and including the time point; and an input user authent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input is from an authenticated user using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Provides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that includes.

또한, 상기 토큰보관모듈은,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은, 블록체인 저장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시키며, 상기 인증수행모듈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공유된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원본확인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본확인부를 통한 사용자의 복호화가 필요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ken storage module includes an encryption unit that encrypts the original data assembly using a preset encryption key; It includes, where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shares the original data assembly in an encrypted state using a smart contract based on a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uses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o an original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check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in the storage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and may be set to require decryption by the user through the original confirmation unit in order to confirm the original data assembly.

또한, 상기 토큰보관모듈은, 상기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 간에 기발행된 상기 NFT토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NFT토큰을 전송할 경우, 상기 NFT토큰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된 토큰보관모듈로 전송되면서, 상기 NFT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ken storage module is configured to enable transfer of the previously issued NFT token between the user and other users, and when a user transmits the NFT token to another user, the NFT token is granted to the other user. As it is transmitted to the token storage module, transaction hash data for the NFT token can be newly created.

또한,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기 해쉬데이터를 사용자단말에 저장하면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상기 해쉬데이터에 대응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저장하며,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비공유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법률자료의 시점 확인은 가능하고, 내용 확인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processed in a preset manner, and the preset method stores the hash data in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n NFT token corresponding to the hash data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It is published and stored, and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et to be non-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so that the timing of the legal data can be confirmed, but the content cannot be confirmed.

또한, 상기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은, 상기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NFT토큰 상태확인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NFT토큰 상태확인모듈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의 공유 여부를 사용자 및 제3자에게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includes an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that checks whether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is stored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can provide users and third parties with information on whether to share the original data assembly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n a preset manner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또한, 상기 NFT토큰 상태확인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해쉬데이터만을 저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인증수행모듈의 시점인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해쉬데이터 및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의 해쉬데이터의 비교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by the NFT token status confirmation module that the user has stored only hash data for the legal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e point-in-time authentication unit of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stores the hash data of the user terminal. And by processing comparison of hash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n a preset manner, the point in time for the legal data can be specified.

또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의 기반이 되는 법률행위의 당사자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당사자 사이에서 상기 법률자료의 진정성립을 인정하도록 구성된, 인공지능 인증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큰보관모듈은, 상기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들에게 각각 부여되고, 상기 인공지능 인증모듈은, 미리 준비된 법률자료 중 텍스트파일 및 이미지파일을 입력정보로 하고, 상기 법률자료의 기반이 되는 법률행위의 당사자를 출력정보로 학습하여 인공지능모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모델 학습부;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상기 법률자료 입력모듈에 입력된 법률자료에 대한 당사자를 식별하는 당사자식별부로서, 상기 당사자 중에서 상기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인증된 인증당사자를 선별하는 당사자 식별부; 상기 인증당사자 각각의 토큰보관모듈에 대해,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동일하게 발행하도록 구성된, 토큰발행부; 및 상기 인증당사자는 상기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을 확인하여, 상기 토큰보관모듈 내에 상기 NFT토큰의 보관여부를 입력하는 토큰보관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보관결정부를 통해, 상기 NFT토큰의 보관을 결정한 상기 인증당사자는, 상기 법률자료의 진정성립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party to the legal act on which the legal data is bas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ed in a preset manner, and to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the legal data between the parties. ; It further includes, wherein the token storage module is granted to each user who has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uses a text file and an image file among pre-prepared legal materials as input information. ,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ing unit that gene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y learning the parties to the legal act on which the legal data is based using output information; A party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parties to the legal data input into the legal data input module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selects authenticated parties authenticated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from among the parties; A token issuance unit configured to equally issue NFT tokens based o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for each token storage module of the authentication party; And a token storage decision unit where the authentication party checks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and inputs whether to store the NFT token in the token storage modul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party that has decided to store the NFT token through the token storage decision unit may be considered to acknowledge the authenticity of the legal data.

또한, 상기 토큰발행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증당사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oken issu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user to select at least some of the authentication parties.

한편, 본 발명은 NFT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방법으로서, (a) 개인인증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법률자료 입력모듈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 (c) 해쉬데이터 연산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d) 토큰보관모듈에서,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분산형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단계; 및 (e) 인증수행모듈에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 및 입력자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uthenticating legal data based on NFT, comprising: (a)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in a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b) in the legal data input module,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generated in a preset manner; (c) calculating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in a hash data calculation module; (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an NFT token based on the hash data is issued and stored, and the data for the NFT token is stored in a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tored in a distributed storage module. step; And (e) in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using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determining the time point and input person for the legal data; Provides a method including.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암호화부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원본확인부에서, 사용자의 복호화를 통해,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공유된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확인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tep (d) is a step of encrypt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using a preset encryption key in the (d1) encryption unit, and shar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in an encrypted state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stage of becoming; Step (e) includes: (e1) confirming, in the original confirmation unit,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rough decryption by the user; may include.

또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해쉬데이터는 사용자단말에 저장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NFT토큰와 매칭되는 분산형 저장모듈의 주소는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비공유시킴으로써, 상기 법률자료의 시점 확인은 가능하고, 내용 확인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step (c), the hash data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in step (d), the address of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matching the NFT token is generated based on the hash data, but the original data By not sharing the assembly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t can be configured to make it possible to check the timing of the legal data, but not to check the content.

또한, 상기 (d) 단계 이후에, (d2) NFT토큰 상태확인모듈에서, 상기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저장 여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d3)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의 저장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사용자 및 제3자에게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step (d), (d2) in the NFT token status confirmation module, checking the status of whether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is stored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and (d3)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legal data is stored in a preset manner to users and third parties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It may further include.

한편, 본 발명은 NFT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법률자료 인증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하며,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고,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분산형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 및 입력자를 판단하는, 법률자료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based on NFT, a communication module; Memory where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ervice provision program is stored; It includes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program, wherein the processor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according to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legal data is input by the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in a preset manner. Creates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calculat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issues and stores an NFT token based on the hash data, and stores the NFT token based on the hash data. Data about the NFT token is stored in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but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to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and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is used to determine the time point and input person for the legal data. Provides a server that provides legal data authentication services.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법률적 분쟁에서 법률자료 작성자의 진정성 및 작성시점의 진정성을 인증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법률적 분쟁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아 증거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certify the authenticity of the author of legal materials and the authenticity at the time of creation in legal disputes, thereby providing a technical basis for being recognized as evidence in legal disputes and widely used as evidence. There is a possibl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NFT토큰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법률자료의 보안성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다른 당사자에게 법률자료의 전송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보안성 및 편의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으며, 법률자료의 대상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파일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적용 확장성이 있다. In addition, by being based on NFT tokens,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both security and convenience by strengthening the security of legal data and facilitating the transmission of legal data to other parties, and is the subject of legal data. It has application scalability in that it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files regardle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증수행모듈을 통한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의 복호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의 해쉬데이터가 사용자단말에 저장될 때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인공지능 인증모듈을 통한 법률자료 진정성립의 처리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을 이용하여, NFT토큰의 상태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논리식의 일 예이다.
도 8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이 스마트폰에 구현된 상태를 나타내는 UI의 일 예시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ecryption process of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ing process when hash data of the original data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ing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uthenticity of legal data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using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of a logic equation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status of an NFT token using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to 13 are examples of UI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on a smartphon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원을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원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As used herein, the terms “step of” or “step of” do not mean “step for.” In this appl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또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를 의미하나, 상기 기능으로만 모듈이 제한되지는 않고, 모듈이 특정된 그 기능 이외에, 상기 기능 수행을 위한 보조적 기능 및 추가적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In addition, the term 'module' refers to a unit that performs a certain function, but the module is not limited to only the above function, and in addition to the function for which the module is specified, auxiliary functions and additional functions for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 are used. It is specified in advance that additional functions may be included and may be recorded in one physical memory, or may be distributed and recorded between two or more memories and recording media.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as appropriat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Module', 'Server', and 'System' also refer to computer-related entities, i.e. It can be treated as equivalent to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oftware, or software at execution time.

본원에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herein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In this appl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are interpreted to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identifying data of the terminal. It can be.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든 무선통신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의 분산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ersonal Handyphone System (PH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MT)-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computing devices such as stationary PCs and laptops can be used, and the above distributed applications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 programs and recorded on readable and writable recording media. and can be mounted on a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바,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dditionally,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network, and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odes such as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Internet, Local Area Network (LAN), and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WiFi, etc. It is not limited.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랫폼 시스템과의 연동을 전제로 하는 바, 다수의 사용자들이 본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ures 1 and 2,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mised on interoperability with a platform system,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multiple users to access the system.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은 개인인증모듈(110), 법률자료 입력모듈(120),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 블록체인 저장모듈(150), 분산형 저장모듈(160) 및 인증수행모듈(170)을 포함한다.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includes a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legal data input module (120), hash data operation module (130), blockchain storage module (150),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and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170). Includes.

개인인증모듈(110)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증하여 로그인을 허용한다. 채권은 그 특성상 본인인증의 절차가 필수적이다. 여기서, 로그인의 방식은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인증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개인인증을 위해, 본 발명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은 회원가입이 완료된 사용자들에게만 사용을 허여할 수 있다. 개인인증모듈(110)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 등을 통해 인증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authenticates the user in a preset manner and allows login. Due to the nature of bonds, an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is essential. Here, the login method can be any of the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For personal authentication,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nly be used by users who have completed membership registration.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can configure and provide an interface to enable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s smart device, etc.

법률자료 입력모듈(120)은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는 구성이다.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한다.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법률자료와 관련된 모든 정보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법률자료의 원본파일, 법률자료의 작성자, 법률자료의 입력자, 법률자료의 입력시점, 법률자료의 생성시점 등 법률자료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구조 측면에서 보면,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미리 설정된 구분된 포메이션으로 구성되며, 구분된 포메이션 각각에는 매칭되는 법률자료들이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egal data input module 120 is configured to input legal data by a user who has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legal data is created. Original data assembly refers to the collection of all information related to legal materials. For example, it is structured to include all information related to legal data, such as the original file of the legal data, the author of the legal data, the person entering the legal data, the time of input of the legal data, and the time of creation of the legal data. In terms of data structure,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composed of preset divided formations, and matching legal materials can be arranged in each divided formation.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은,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모듈이다. 설계자는 본 발명에 최적화된 해쉬함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지된 해쉬함수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에 의해, 대화창에 매칭되는 고유의 해쉬데이터가 도출된다. 본 발명에서 해쉬데이터 생성은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SHA(Secure Hash Algorithm) 등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ash data operation module 130 is a module that calculat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Designers can select a hash function optimiz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customize and apply known hash functions. By the hash data operation module 130, unique hash data matching the chat window is deriv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h data gener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various encryption algorithms such as MD5 (MessageDigest algorithm 5) and SHA (Secure Hash Algorithm).

토큰보관모듈(140)은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응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token)을 발행하며, 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데이터(TxHash)가 기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토큰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 저장모듈(150)에 저장되면서 블록형태로 온체인(on-chain)된다. 토큰모듈(140)에서 발행되는 토큰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더리움(ERC-20, ERC-721) 기반의 스마트컨트랙트 기술(Solidity), 탈중앙화 웹(Web 3.0)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파일 저장소 기술인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IPDB(InterPlanetary DataBase)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issues a blockchain-based toke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data assembly, and is configured to record transaction hash data (TxHash) for the token. Information about these tokens is stored in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150 and is on-chain in block form. Tokens issued from the token module 140 may be composed of NFT tokens based on NFT (Non Fungible Token), smart contract technology (Solidity) based on Ethereum (ERC-20, ERC-721), and decentralization.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and IPDB (InterPlanetary DataBase) technologies, which are distributed file storage technologies to implement the web (Web 3.0), can be applied.

분산형 저장모듈(140)은 채팅데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 계정모듈과는 달리, 사용자 또는 제3에 의해 조회 내지는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분산형 저장모듈은 사용자 계정모듈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분산형 저장모듈의 조회이력은 별도로 기록되어 관리될 수 있다. 분산형 저장모듈(140) 상에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된 경우, 이를 복호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암호키를 알고 있는 사용자는 접근이 가능하나, 제3자는 접근(공개)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 역시, 2차적인 위변조를 방어하기 위함이다.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40 is configured to share data about the NFT token, including chat data assembly, in an encrypted or non-encrypted state. Unlike the user account module, this can be viewed or confirmed by the user or a third party. To this end,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ser account module, and the inquiry history of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can be separately recorded and managed. If data about the NFT token is shared in an encrypted state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40, a process of decrypting it is required. In other words, users who know the encryption key can access it, but third parties are not allowed access (disclosure). This is also to prevent secondary forgery and alteration.

분산형 저장모듈(160)은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로 이해할 수 있다. 체적으로, IPFS는 중앙화된 서버 없이 노드들의 P2P 통신으로 실현한 더 빠르고 안전하고 열린 네트워크이다. 대형 서버의 연결이 차단되면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 종래의 HTTP Web 과는 달리, IPFS에서는 몇몇 노드들이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고용량의 파일을 빠르고 효율적이게 전달할 수 있으며(BitSwap), 파일들의 중복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저장소로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파일의 버전관리(Git)가 가능하다. 주류 인터넷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없는 상황이더라도 IPFS의 생태계는 유지된다. IPFS에서는 각각의 파일은 여러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블록은 해쉬데이터로 표현된 고유의 이름이 있다. IPFS는 모든 파일의 이름을 데이터베이스 속에 저장하며 동일 파일의 중복을 배제하며 각 파일의 정보를 트래킹한다. 각 노드는 본인이 관심있는 파일만 저장소에 보관하며 인덱싱 정보를 통해 누가 어떤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네트워크에 참여한 노드들이 해쉬 테이블을 각자 관리함으로써 중앙화된 서버 없이 고도의 P2P 네트워크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분산 해쉬 테이블(Distributed hash table, DHT) 기술이라 한다. 어떤 파일을 찾아갈 때 해쉬 테이블을 이용하는데, 중앙 시스템이 아닌 각 노드들이 이름을 값으로 매핑하는 기능을 하는 방식이다. IPFS에서는 컨텐츠 자체를 찾는다. 컨텐츠 자체가 주소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를 'content-addressed' 라고 말한다. 따라서 해쉬테이블 상에서 컨텐츠 이름을 찾으면, 해당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노드를 알 수 있다.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can be understood as 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 In general, IPFS is a faster, more secure and open network realized through peer-to-peer communication of nodes without a centralized server. Unlike the conventional HTTP Web, which has fatal consequences when a large server is disconnected, in IPFS the ecosystem remains stable even if several nodes are disconnected. It can deliver high-capacity files quickly and efficiently (BitSwap), and it can also be used efficiently as storage because it can detect duplicates of files. Additionally, file version management (Git) is possible. Even in situations where smooth access to the mainstream Internet is not possible, the IPFS ecosystem is maintained. In IPFS, each file can consist of multiple blocks, and each block has a unique name expressed as hash data. IPFS stores the names of all files in the database, excludes duplicates of the same file, and tracks the information of each file. Each node stores only the files it is interested in, and through index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know who is storing which files. A high-level P2P network can be realized without a centralized server by each node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managing its own hash table, and this is called distributed hash table (DHT) technology. When searching for a file, a hash table is used, and each node, not the central system, functions to map names to values. In IPFS, the content itself is searched. The content itself acts as an address, and is called ‘content-addressed’. Therefore, if you find the content name in the hash table, you can find out the node that holds the content.

한편, 토큰보관모듈(140)은 암호화부(142)를 더 포함한다. Meanwhile,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further includes an encryption unit 142.

암호화부(142)는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것이다. 이 때, 분산형 저장모듈(160)은, 블록체인 저장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하도록 설계된다. NFT토큰의 uri주소를 통해, 누구나 분산형 저장모듈(160)에 공유된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로 액세스 할 수 있는 바, 법률자료와 관련된 당사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 때,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의 키값은 법률자료 입력자에게만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ncryption unit 142 encrypts the original data assembly using a preset encryption key. At this time,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is designed to share the original data assembly in an encrypted state using a smart contract based on a blockchain storage module. Through the uri address of the NFT token, anyone can access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in order to protec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parties related to legal data.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key value of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given only to the person entering the legal data.

또한, 토큰보관모듈(140)은,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 간에 기발행된 상기 NFT토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NFT토큰을 전송할 경우, NFT토큰은,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된 토큰보관모듈(140)로 전송되면서, 상기 NFT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is configured to enable transmission of the previously issued NFT token between the user and other users, and when the user transmits the NFT token to another user, the NFT token is granted to the other user. As it is transmitted to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transaction hash data for the NFT token is newly created.

즉, 법률자료와 관련된 데이터의 열람권한을 다른 사람에게 부여할 때, 키값을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NFT토큰의 전송을 통해 열람권한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화된다. 키값은 유출되거나, 해킹당할 위험이 매우 크므로, 법률자료의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NFT토큰을 기반으로 열람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In other words, it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technology in that when granting permission to view data related to legal documents to another person, permission is granted through transmission of an NFT token rather than sharing the key value.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key values being leaked or hacked, so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legal materials, viewing rights are granted based on NFT tokens.

인증모듈(170)은 NFT토큰에 매칭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모듈(170)은 NFT토큰을 발행한 이후, 사용자에 의한 인증요청이 발생된 경우에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과금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과금부는 오픈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금융기관의 사용자의 계좌와 연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결제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의 계좌는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암호화폐계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암호화폐를 통해 과금 및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module 170 performs the function of authenticat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matching the NFT token in a preset manner. The authentication module 170 may be configured to be activated when an authentication request is made by a user after issuing an NFT token. In this process, billing may be performed to the user through a billing department (not shown). The billing department is configured to link with the user's account at a pre-set financial institution based on an open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payment convenience. The user's account may include not only a financial institution, but also the user's cryptocurrency account, and billing and payment may be made using a predetermined cryptocurrency.

이 때,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암호화폐계좌 자체적으로 소정의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좌는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화폐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폐가 향후에 적용되는 경우, 국제적으로도 채권거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현재보다는 훨씬 더 진보된 형태로 간이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smart contract function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used, so a certain algorithm can be implemented in the cryptocurrency account itself. Additionally, digital currency based on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may be applied to the account. If this digital currency is applied in the future, it will be able to facilitate international bond transactions and make payments simpler than in a much more advanced form than currently.

도 3을 참조하면, 인증수행모듈(170)은 시점인증부(174) 및 입력자인증부(17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authentication module 170 includes a point-in-time authentication unit 174 and an input user authentication unit 176.

시점인증부(174)는 토큰보관모듈(140)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법률자료가 상기 시점을 포함한 그 이전에 생성된 법률자료임을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해당 법률자료가 2021.07.08 17:37에 본 발명인 시스템에 입력되어 블록체인 저장모듈(150) 상에 온체인된 경우, 상기 법률자료의 작성시점은 적어도 2021.07.08 17:37 이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법적 분쟁에서, 상기 법률자료에 관한 작성시점이 쟁점이 될 경우, NFT토큰, 블록체인 저장모듈(150) 및 분산형 저장모듈(160)을 근거로, 상기 법률자료의 작성시점은 적어도 2021.07.08 17:37 이전임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적 근거가 마련된다. The point-in-time authentication unit 174 uses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to perform the function of authenticating that the legal data was created before and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time point. For example, if the relevant legal data is entered into the present inventor's system at 2021.07.08 17:37 and on-chained on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150, the time of creation of the legal data is at least before 2021.07.08 17:37. You can see that it is. Accordingly, in a legal dispute, if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legal materials becomes an issue, based on the NFT token, blockchain storage module 150, and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legal materials is at least 2021.07.08 17:37 A technical basis is established to recognize that it was before.

입력자인증부(176)는 개인인증모듈(110)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것임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개인인증모듈(110)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가 해당 법률자료를 입력하였음을 인증하는 것이다.The input user authentication unit 176 uses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to determine that the input is from an authenticated user. In other words, it certifies that the user authenticated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has entered the relevant legal data.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시점인증부(174) 및 입력자인증부(176)를 통해, 당해 법률자료의 작성시점 및 입력자(또는 작성자)의 진정성립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적 근거를 제공한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basis for recognizing the time of creation of the legal data and the authenticity of the inputter (or author) through the time authentication unit 174 and the inputter authentication unit 176.

인증수행모듈(170)은 분산형 저장모듈(160)에 공유된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원본확인부(172)를 더 포함한다. 원본확인부(172)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암호화된 상태로 분산형 저장모듈(160)에 공유되는 바, 이를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법률자료의 입력자(사용자)는 부여받은 키값을 통해 복호화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170 further includes an original verification unit 172 configured to verify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The original confirmation unit 172 is a component necessary to check the original data assembly. As described above,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ha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in an encrypted state,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ecrypting it. . At this time, the person entering the legal data (user) can decrypt it using the given key valu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증수행모듈(170) 및 분산형 저장모듈(160)을 특정한 방식으로 이용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that uses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170 and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in a specific manner.

구체적으로,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사용자단말(예로, 스마트기기, 랩탑, 데스크탑 등)로 전송하여 저장하며, 토큰보관모듈(140)을 통해 해쉬데이터에 대응되는 NFT토큰을 발행하되,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분산형 저장모듈(160)에 비공유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법률자료의 시점 확인은 가능하고, 내용 확인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Specifically,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transmitted to a user terminal (e.g., smart device, laptop, desktop, etc.) and stored, and an NFT token corresponding to the hash data is issued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Data assembly is set to be non-sha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meaning that the timing of legal data can be confirmed, but the content cannot be confirmed.

즉, 법률자료의 내용은 공개는 하지 않으면서 해시데이터(CID)만을 IPFS에 특정함으로써, 연결된 NFT토큰의 타임스탬프(NFT토큰의 발행시점에 TxHash에 기록됨) 데이터를 통해 '해당 시점에 그 파일이 존재했다'는 내용을 인증받을 수 있는 바, 시점을 확정할 수 있다. 도 7에는 법률자료는 비공개하고, 시점만을 특정하는 구성에 대한 논리식의 일 예가 표현된다. In other words, by specifying only the hash data (CID) in IPFS without disclosing the contents of the legal data, the timestamp of the connected NFT token (recorded in TxHash at the time of issuance of the NFT token) data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le was available at that time. Since the fact that something “existed” can be certified, the point in time can be confirmed. In Figure 7, an example of a logical expression for a configuration that keeps legal data private and specifies only the viewpoint is expressed.

본 발명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은 NFT토큰 상태확인모듈(180)을 더 포함한다.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NFT token status confirmation module 180.

NFT토큰 상태확인모듈(180)은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다.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의 공유 여부를 사용자 및 제3자에게 토큰보관모듈(140)을 통해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The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180 is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is stored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t is configured to provide users and third parties with information about whether to share the original data assembly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n a preset manner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와 매칭되는 분산형 저장모듈(160)의 주소를 대상으로, 데이터업로드 여부를 감지하도록 설계된다.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주소에 액세스(access)를 시도하도록 구성되며, 액세스에 대한 피드백(response)를 기반으로 소정의 함수를 통해 업로드 여부를 감지한다. It is designed to detect whether data is uploaded by targeting the address of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that matches the original data assembly. It is configured to attempt to access the address at a preset period, and detects whether or not it is uploaded through a predetermined function based on the response to the access.

이 때, NFT토큰 상태확인모듈(180)에 의해, 사용자가 분산형 저장모듈(160) 상에 법률자료에 대한 해쉬데이터만을 저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인증수행모듈의 시점인증부(174)는, 사용자단말의 해쉬데이터 및 분산형 저장모듈(160) 상의 해쉬데이터의 비교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을 특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it is confirmed by the NFT token status confirmation module 180 that the user has stored only hash data for legal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the point-in-time authentication unit 174 of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 Comparison of the hash data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hash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can be processed in a preset manner to specify the point in time for the legal data.

즉, 사용자단말의 해쉬데이터 및 분산형 저장모듈(160) 상의 해쉬데이터를 상호 비교하면서, 매칭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단말의 해쉬데이터에 있는 법률자료의 내용으로 인증할 수 있고, 해쉬데이터에 포함된 입력시간정보를 통해, 법률자료와 관련된 시점까지 인증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를 제공한다. 사용자단말에 있는 해쉬데이터 및 분산형 저장모듈(160) 상의 해쉬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while comparing the hash data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hash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if they match, it can be authenticated with the contents of the legal data in the hash data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hash data included in the hash data Through input time information, it provides a technical basis for authentication up to the point relevant to legal data. This is because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hash data in the user terminal and the hash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to match.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공지능 인증모듈(190)을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190.

인공지능 인증모듈(190)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법률자료의 기반이 되는 법률행위의 당사자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당사자 사이에서 법률자료의 진정성립을 인정하도록 구성된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190 us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ed in a preset manner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parties to the legal act on which the legal data are based, and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the legal data between the parties. .

이 때, 토큰보관모듈(140)은, 개인인증모듈(110)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들에게 각각 부여된다. At this time,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is granted to each user for whom user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인공지능 인증모듈(190)은 세부적으로, 인공지능모델 학습부(192), 당사자 식별부(194), 토큰발행부(196) 및 토큰보관결정부(198)를 포함한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190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ing unit 192, a party identification unit 194, a token issuance unit 196, and a token storage decision unit 198.

인공지능모델 학습부(192)는 미리 준비된 법률자료 중 텍스트파일 및 이미지파일을 입력정보로 하고, 법률자료의 기반이 되는 법률행위의 당사자를 출력정보로 학습하여 인공지능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신경망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ing unit 192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y using text files and image files among pre-prepared legal materials as input information and learning the parties to the legal act on which the legal materials are based as output information. In this process,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technologie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can be applied.

당사자 식별부(194)는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법률자료 입력모듈(120)에 입력된 법률자료에 대한 당사자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즉, 입력된 법률자료의 원본으로부터 당사자로 판단될 수 있는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를 '예비당사자'라 한다. 이러한 예비당사자 중에서 개인인증모듈(110)에 의해 인증된 인증당사자를 선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NFT토큰의 이동을 통해, 법률자료의 열람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인 바, NFT토큰과의 결합을 위해, 이러한 과정일 필요하다. 즉, 사용자가 직접 당사자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예비당사자를 판단하고, 예비당사자들로부터 사용자가 인증당사자를 2차적으로 선별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party identification unit 194 is configured to identify the parties to the legal data input into the legal data input module 120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other words, text that can be judged as a party is extracted from the original input legal data. This is called a ‘preliminary party’. It performs the function of selecting authenticated parties authenticated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from among these prospective partie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that grants viewing rights to legal data through the movement of NFT tokens, so this process is necessary for combination with NFT tokens.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rather than the user entering the parties directly, the preliminary parties are judged through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the user secondarily selects the authenticated parties from the preliminary parties.

토큰보관결정부(198)는 인증당사자에게 결정권한을 부여하는 구성이다. 인증당사자는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을 확인하여, 토큰보관모듈(140) 내에 상기 NFT토큰의 보관여부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인증당사자는 NFT토큰을 보관할 수도 있으며, 이를 거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인증당사자가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열람하는 행위들은 모두 블록체인 저장모듈(150)에 기록될 수 있다. The token storage decision unit 198 is a configuration that grants decision authority to the authenticating party. The authenticating party is configured to check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and input whether the NFT token is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The authenticating party may store NFT tokens and may be configured to reject them. Of course, all actions by the authenticating party to view the original data assembly can be recorded in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150.

이 때, 토큰보관결정부(198)를 통해, 상기의 NFT토큰의 보관을 결정한 상기 인증당사자는, 법률자료의 진정성립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미리 특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약내용은 개인인증모듈(110)에 포함되어 개인인증과 동시에, 특약이 체결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5에는 당사자B에 대한 NFT토큰 B만 승낙 또는 유효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거절한 당사자들에 대한 NFT토큰은 모두 폐기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rough the token storage decision unit 198, a special agreement may be made in advance so that the authentication party that has decided to store the NFT token is deemed to acknowledge the authenticity of the legal data. These special contract details can be included in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so that the special contract can be concluded at the same time as personal authentication. Figure 5 means that only NFT token B for party B is considered accepted or valid.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design so that all NFT tokens for parties who refuse are discarded.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NFT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5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the present inventor's NFT includes steps (S110) to (S150).

단계(S110)은 개인인증모듈(110)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Step S110 is a step in which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10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using a preset method.

단계(S120)은 법률자료 입력모듈(120)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Step S120 is a step in which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in the legal data input module 120, and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created in a preset manner.

단계(S130)은 해쉬데이터 연산모듈(130)에서,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이다. Step S130 is a step in which the hash data calculation module 130 calculat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using a preset hash function.

단계(S140)은 토큰보관모듈(140)에서,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분산형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In step S140, an NFT token based on the hash data is issued and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140, and the data for the NFT token is stored in a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distributed. This is the stage where it is saved in the storage module.

단계(S140)은 단계(S141)을 더 포함한다. 암호화부(142)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160)에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는 단계이다. Step S140 further includes step S141. This is a step of encrypt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using a preset encryption key in the encryption unit 142, and is a step of shar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in an encrypted state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단계(S150)은 인증수행모듈(170)에서,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 및 입력자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Step (S150) is a step in which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170 determines the time point and input person for the legal data using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단계(S150)은 단계(S151)을 더 포함한다. 단계(S151)은 원본확인부(172)에서, 사용자의 복호화를 통해, 분산형 저장모듈(160)에 공유된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확인되는 단계이다. Step S150 further includes step S151. Step S151 is a step in which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160 is confirmed through user decryption in the original confirmation unit 172.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embodiment i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ything that has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nd achieves the same effect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개인인증모듈
120: 법률자료 입력모듈
130: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140: 토큰보관모듈
150: 블록체인 저장모듈
160: 분산형 저장모듈
170: 인증수행모듈
180: NFT토큰 상태확인모듈
110: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120: Legal data input module
130: Hash data operation module
140: Token storage module
150: Blockchain storage module
160: Distributed storage module
170: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180: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Claims (13)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으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인증모듈;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는 법률자료 입력모듈로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법률자료 입력모듈;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해쉬데이터 연산모듈;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는 토큰보관모듈;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블록체인 저장모듈;
상기 블록체인 저장모듈과 연동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및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정보를 대상으로 인증을 수행하되, 상기 정보는 상기 법률자료의 입력시점을 포함하는, 인증수행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수행모듈은,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가 상기 입력시점을 포함한 그 이전에 생성된 법률자료임을 인증함으로써,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을 인정하는, 시점인증부; 및
상기 개인인증모듈을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입력한 것임을 판단하는 입력자인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기 해쉬데이터를 사용자단말에 저장하면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상기 해쉬데이터에 대응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저장하며,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비공유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법률자료의 시점 확인은 가능하고, 내용 확인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As a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NFT (Non Fungible Token),
A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that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A legal data input module in which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in which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generated in a preset manner;
A hash data operation module that calculat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A token storage module that issues and stores NFT tokens based on the hash data;
A blockchain storage module in which data about the NFT token is stored;
A distributed storage module linked to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An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on information about the legal data, wherein the information includes an input point of the legal data; Includes,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is,
A time point authentication unit that recognizes the time point of the legal material by using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to certify that the legal material is legal material created before and including the input time; and
an input user authentic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input is from an authenticated user using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Includes,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processed in a preset manner,
The preset method is,
While storing the hash data in the user terminal, an NFT token corresponding to the hash data is issued and stored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By sett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to be non-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e timing of the legal data can be confirmed, but the content cannot be confirmed,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은,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은,
블록체인 저장모듈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시키며,
상기 인증수행모듈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공유된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원본확인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본확인부를 통한 사용자의 복호화가 필요하도록 설정된,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In claim 1,
The token storage module is,
an encryption unit that encrypts the original data assembly using a preset encryption key; Includes,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s,
Using a smart contract based on a blockchain storage module,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hared in an encrypted state,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is,
an original confirmation unit configured to check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Further comprising, in order to confirm the original data assembly, decryption by the user through the original confirmation unit is required,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은,
상기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 간에 기발행된 상기 NFT토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상기 NFT토큰을 전송할 경우,
상기 NFT토큰은,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된 토큰보관모듈로 전송되면서, 상기 NFT토큰에 대한 트랜잭션 해쉬데이터가 새롭게 생성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In claim 2,
The token storage module is,
It is configured to enable transfer of the previously issued NFT token between the user and other users,
When a user transmits the NFT token to another user,
The NFT token is transmitted to the token storage module granted to the other user, and transaction hash data for the NFT token is newly generated,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은,
상기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저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NFT토큰 상태확인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NFT토큰 상태확인모듈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의 공유 여부를 사용자 및 제3자에게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In claim 1,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is,
An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that checks whether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is stored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t further includes,
The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is,
Providing to users and third parties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whether to share the original data assembly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n a preset manner,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NFT토큰 상태확인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해쉬데이터만을 저장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인증수행모듈의 시점인증부는,
상기 사용자단말의 해쉬데이터 및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의 해쉬데이터의 비교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을 특정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In claim 5,
If it is confirmed by the NFT token status confirmation module that the user has stored only hash data for the legal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e point-in-time authentication unit of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Processing a comparison of the hash data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hash data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n a preset manner to specify the point of view for the legal data,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학습된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의 기반이 되는 법률행위의 당사자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당사자 사이에서 상기 법률자료의 진정성립을 인정하도록 구성된, 인공지능 인증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큰보관모듈은,
상기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들에게 각각 부여되고,
상기 인공지능 인증모듈은,
미리 준비된 법률자료 중 텍스트파일 및 이미지파일을 입력정보로 하고, 상기 법률자료의 기반이 되는 법률행위의 당사자를 출력정보로 학습하여 인공지능모델을 생성하는 인공지능모델 학습부;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통해, 상기 법률자료 입력모듈에 입력된 법률자료에 대한 당사자를 식별하는 당사자식별부로서, 상기 당사자 중에서 상기 개인인증모듈에 의해 인증된 인증당사자를 선별하는 당사자 식별부;
상기 인증당사자 각각의 토큰보관모듈에 대해,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동일하게 발행하도록 구성된, 토큰발행부; 및
상기 인증당사자는 상기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을 확인하여, 상기 토큰보관모듈 내에 상기 NFT토큰의 보관여부를 입력하는 토큰보관결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토큰보관결정부를 통해, 상기 NFT토큰의 보관을 결정한 상기 인증당사자는, 상기 법률자료의 진정성립을 인정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In claim 1,
An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parties to the legal act on which the legal data are bas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ed in a preset manner, and to recognize the authenticity of the legal data between the parties; It further includes,
The token storage module is,
Granted to each user who has completed user authentication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uthentication module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learning unit that generat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y using text files and image files among the legal materials prepared in advance as input information and learning the parties to the legal act on which the legal materials are based as output information;
A party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parties to the legal data input into the legal data input module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selects authenticated parties authenticated by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from among the parties;
A token issuance unit configured to equally issue NFT tokens based o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for each token storage module of the authentication party; and
The authenticating party checks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and inputs whether to store the NFT token in the token storage module; Includes,
Through the token storage decision unit, the authentication party that has decided to store the NFT token is deemed to acknowledge the authenticity of the legal data.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큰발행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증당사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된,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
In claim 7,
The token issuing department,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 at least some of the authentication parties,
Legal data certification system.
청구항 1 내지 3 및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법률자료 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법률자료 인증 방법으로서,
(a) 개인인증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b) 법률자료 입력모듈에서,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
(c) 해쉬데이터 연산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d) 토큰보관모듈에서,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분산형 저장모듈에 저장되는 단계; 및
(e) 인증수행모듈에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 및 입력자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authenticating legal data using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claims 5 to 8,
(a) in the personal authentication modul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b) in the legal data input module,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generated in a preset manner;
(c) calculating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in a hash data calculation module;
(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an NFT token based on the hash data is issued and stored, and the data for the NFT token is stored in a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tored in a distributed storage module. step; and
(e) in the authentication performance module, using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determining the time point and input person for the legal data; Including,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암호화부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단계로서,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원본확인부에서, 사용자의 복호화를 통해,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공유된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확인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9,
In step (d),
(d1) encrypt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in an encryption unit using a preset encryption key, wherein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hared in an encrypted state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Includes,
In step (e),
(e1) confirming, in the original confirmation unit, the original data assembly 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rough decryption by the user; Including,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해쉬데이터는 사용자단말에 저장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NFT토큰와 매칭되는 분산형 저장모듈의 주소는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비공유시킴으로써, 상기 법률자료의 시점 확인은 가능하고, 내용 확인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방법.
In claim 9,
In step (c) above,
The hash data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n step (d) above,
The address of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matching the NFT token is generated based on the hash data, but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not 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so that the timing of the legal data can be confirmed, but the content cannot be confirmed. composed,
metho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에,
(d2) NFT토큰 상태확인모듈에서, 상기 NFT토큰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가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 상에 저장 여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d3)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의 저장 여부에 대한 상태정보를 사용자 및 제3자에게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11,
After step (d) above,
(d2) in the NFT token status check module, checking the status of whether the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NFT token is stored o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and
(d3)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n whether the legal data is stored in a preset manner to users and third parties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Containing more,
method.
NFT를 기반으로 하는 법률자료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법률자료 인증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 의해, 법률자료가 입력되며,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법률자료에 대응되는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를 생성하며,
미리 설정된 해쉬함수를 통해,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를 연산하고,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상기 해쉬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하며, 상기 NFT토큰에 대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저장모듈에 저장하되,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분산형 저장모듈에 저장하며,
상기 토큰보관모듈에 보관된 NFT토큰을 이용하여, 상기 법률자료에 대한 시점 및 입력자를 판단하고,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에 대한 해쉬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되되,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은,
상기 해쉬데이터를 사용자단말에 저장하면서, 상기 토큰보관모듈을 통해, 상기 해쉬데이터에 대응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저장하며,
상기 원본데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에 비공유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법률자료의 시점 확인은 가능하고, 내용 확인은 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법률자료 인증 서비스 제공 서버.
In the server providing legal data authentication service based on NFT,
communication module;
Memory where the legal data authentication service provision program is stored;
Includes a processor that executes the program,
Depending on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processor
Perform user authentication in a preset manner,
Legal data is input by a user whose authentication has been completed, and an original data assembly corresponding to the legal data is created in a preset manner,
Compute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through a preset hash function,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NFT tokens based on the hash data are issued and stored, the data for the NFT tokens is stored in the blockchain storage module, and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stored in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Using the NFT token stored in the token storage module, determine the time point and input person for the legal data,
Hash data for the original data assembly is processed in a preset manner,
The preset method is,
While storing the hash data in the user terminal, an NFT token corresponding to the hash data is issued and stored through the token storage module,
By setting the original data assembly to be non-shared with the distributed storage module, the timing of the legal data can be confirmed, but the content cannot be confirmed,
Server providing legal data authentication service.
KR1020210099240A 2021-07-28 2021-07-28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628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40A KR102628944B1 (en) 2021-07-28 2021-07-28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240A KR102628944B1 (en) 2021-07-28 2021-07-28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576A KR20230017576A (en) 2023-02-06
KR102628944B1 true KR102628944B1 (en) 2024-01-25

Family

ID=8522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240A KR102628944B1 (en) 2021-07-28 2021-07-28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94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7B1 (en)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Blockchain based art transaction data sharing service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060B1 (en) * 2010-10-27 2014-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analysis and validation of online data for digital forensics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200094956A (en)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Electronic document service platform using block ch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567B1 (en) *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Blockchain based art transaction data sharing service provi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576A (en)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1782B2 (en) Identity and electronic signature verification in blockchain
US10942994B2 (en) Multicomputer processing for data authentication using a blockchain approach
US11159537B2 (en) Multicomputer processing for data authentication and event execution using a blockchain approach
AU2022226929B2 (en) Advanced non-fungible token blockchain architecture
US11170092B1 (en) Document authentication certification with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iques
Liu et al. Enabling secure and privacy preserving identity management via smart contract
Lokre et al. Gun tracking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Sarode et al. Blockchain for committing peer-to-peer transactions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US20220405765A1 (en) Know your customer (kyc) and anti-money laundering (aml) verification in a multi-decentralized private blockchains network
Ayed et al. The blockchai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threats
JP2022055352A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compliance mechanisms in blockchain networks)
Garg Distributed ecosystem for identity management
KR20230005353A (en) Sanctioned Events in a Decentralized Database
Akter et al. Securing Smart Card Management Using Hyperledger Based Private Blockchain
Manu et al. Blockchain components and concept
KR102628944B1 (en) Blockchain-based Legal Archive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150237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nd verifying recorded state transitions
Sharma et al.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system
Patel Blockchain and digital signatures for digital self-sovereignty
Amujo et al. Development of a National Identity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Ravale et al. Optimizing the KYC Verification System using Ethereum Blockchain
Kjørberg An Overview of Blockchain-Based Identity Management Systems.
KR20230017575A (en) System for Making Contract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230412393A1 (en) Multisignature Custody of Digital Assets
KR20230017577A (en) Chat content authentication system for chat program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