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540B1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540B1
KR102628540B1 KR1020230060815A KR20230060815A KR102628540B1 KR 102628540 B1 KR102628540 B1 KR 102628540B1 KR 1020230060815 A KR1020230060815 A KR 1020230060815A KR 20230060815 A KR20230060815 A KR 20230060815A KR 102628540 B1 KR102628540 B1 KR 102628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disaster
user terminal
shelter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0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표경수
정지혜
황우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6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5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과거 이동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대상을 결정함으로써, 이미 지낸 지역을 벗어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긴급재난문자의 무분별한 전송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The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analyzes the past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es the destination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doing so,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are not transmitted to user terminals outside of the existing area, thereby reducing users' fatigue caused by the indiscriminate transmission of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Description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and send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It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지진, 산사태, 폭우 등과 같은 자연 재해가 발생하거나, 화재, 폭발, 전염병과 같은 재난이 발생한 경우, 행정안전부 또는 각 지방자치단는 발생한 재난 정보를 긴급재난문자를 통하여 주변 사용자들의 무선통신장치 즉, 스마트 폰으로 제공한다.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landslide, or heavy rain occurs, or a disaster such as a fire, explosion, or infectious disease occur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or each local government sends disaster information to nearby user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or smart devices, through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Provided by phone.

특히, 최근 코로나 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코로나 19에 감염된 사람들이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다. 코로나 19의 대규모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부와 지자체는 실시간 전국 코로나 발생 현황 및 지역 별 코로나 감염자 현황을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였다. In particular, as COVID-19 has recently spread globally,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infected with COVID-19 in Korea. In order to prevent the large-scale spread of COVID-19,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sent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to user terminals containing real-time national COVID-19 outbreak status and regional COVID-19 infection status.

점염병 뿐만 아니라 실종인구, 황사, 미세먼지 경고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긴급재난문자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있는 실정이다. Emergency text messages are being sent to a large number of user terminals not only for infectious diseases but also for various situations such as missing people, yellow dust, and fine dust warnings.

이처럼 과도한 긴급재난문자의 발송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의 알람이 너무 자주 울려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Due to the excessive sending of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smartphone alarms rang too frequently, interfering with daily life.

특히,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와 전혀 연관이 없는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이미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긴급재난, 돌발상황에 대한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cases of receiv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that are completely unrelated to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users frequently received emergency text messages about emergency disasters or unexpected situations that occurred in a specific area even though they had already left the specific area.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송하는 긴급재난문자와 연관성이 높은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n emerging need for a method of sen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only to user terminal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being sen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7067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0677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은 재난통지서버로부터 재난이 발생하였음 나타내는 재난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발생신호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포함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각 사용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정보 및 현재위치 이전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 disaster signal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from a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 the disaster signal indicates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and the occurrence of the disaster. Contains location—; Transmitting a loc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location of each user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quest signal, receiving a location signal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a time-series location change prior to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determining a user terminal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상기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신호에 포함된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이동패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동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및 재난알림영역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includes generating a movement pattern image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position change included in the location signal; Based on the generated movement pattern image, determining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a user terminal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and disaster notification area of each user terminal.

상기 재난알람영역은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크기가 가변된다. The size of the disaster alarm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된 이동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출력하도록,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 및 학습용 예상 위치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 세트에 의하여 사전에 트레이닝된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에 의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xpected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is to output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movement pattern image, a position trained in advance by a learning data set including a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and an expected location for learning. The estima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is determined by an estimated artificial neural net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은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인 대피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재난의 종류, 재난 발생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t least one located within an evacuation area with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ing one candidate shelter; determining an optimal shelter among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genera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상기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의 위치 및 상기 재난발생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하나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optimal shelter, on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is determined as the optimal shelter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의 위치 및 상기 재난발생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하나를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재난발생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직선을 기준으로 재난발생위치가 속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로부터 후보대피소까지의 이동거리가 가장 짧은 후보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The step of determining on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s as an optimal shelter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may determine the disaster occurre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mong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in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based o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locations,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travel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andidate shelter is selected as the optimal shelter. dec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를 제공하는 재난알림서버는, 재난통지서버로부터 재난이 발생하였음 나타내는 재난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각 사용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위치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정보 및 현재위치 이전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재난발생신호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포함함―; 및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전송대상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한다. A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that provides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disaster occurrence signal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from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and sends a disaster signal to each user through at least one user terminal. Transmits a loc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location of the device, an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quest signal, includ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s prior to the current location.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location signal - the disaster occurrence signal includes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it includes a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the emergency disaster text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 program that performs an emergency disaster text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위치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범위를 고려하여 긴급재난문자 발송 대상을 결정함으로써, 재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까지 불필요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급재난문자의 무분별한 전송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긴급재난문자 알람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expected loca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the target for sending emergency disaster tex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and the type and scope of the disaster that occurred, thereby determining the vicinity of the disaster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emergency text messages from being transmitted to user terminals that are not located in the system. Accordingly, users' fatigue caused by indiscriminate transmission of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an be minimized, and user inconvenience caused by unnecessary emergency disaster text alarms can be resol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재난의 종류, 재난 발생 위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모두 고려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대상을 결정함으로써, 실제로 긴급재난문자 발송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긴급재난문자의 전송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대피나 주의가 필요한 재난을 사용자들에게 알림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target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by consider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emergency text is actually sent.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an be sent only to the necessary user termina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human casualties due to disasters by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unnecessary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and at the same time notifying users of disasters that require user evacuation or attention.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때,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빠르게 안전한 대피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재난 발생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mergency disaster tex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to the user terminal when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evacuate to a safe shelter. Accordingly, human damage can be minimiz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위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재난이 발생한 지역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대피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대피장소를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user's expected location by consider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considers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determines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By conveying the location of a shelter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ser, the user can be guided to a safer shel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난알림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패턴 및 예상위치가 표시된 지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 및 학습용 예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flowchart of an emergency tex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performed in the emergency text message provision system shown in FIG. 1.
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tep of determining a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shown in FIG. 3.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p displaying movement patterns and expected lo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and an expected location for learning.
Figure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al she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al she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al shel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ntended to comple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o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또한, 본 개시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that include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Does not exclude presence or addition.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된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대피소”는 위험 요소로부터 피하여 임시로 대기하기 위한 장소로서, 재난을 피하기 위한 모든 시설 및 공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대피소는 방공호와 같은 지하대피소, 등산로 조난 대피소, 주민센터, 학교, 강당 등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have the following meanings. “Shelter” is a place to temporarily wait to avoid hazards and includes all facilities and spaces to avoid disaster. For example, shelters include underground shelters such as bomb shelters, disaster shelters on hiking trails, community centers, schools, auditoriums, etc.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may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or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You can.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sever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1)은 재난알림서버(10), 복수 개의 사용자단말(11)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통지서버(12)를 포함한다.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emergency disaster text providing system 1 includes a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 and at least on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2.

재난알림서버(10)는 사용자단말(11)의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이동패턴을 결정하고,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재난알림서버(10)는 결정된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재난발생위치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재난알림서버(10)는 전송대상으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11)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한다.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which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will be transmitted based on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ransmits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1 determined as the transmission target.

사용자단말(11)은 사용자 단말(11)의 현재위치를 측정하고, 현재위치 및 과거 시계열적인 위치를 포함하는 현재위치정보를 재난알림서버(10)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11)은 재난알림서버(10)로부터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하고, 수신된 긴급재난문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1)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랩톱(labtop), PDA 등을 들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 measur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transm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and past time-series locations to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he user terminal 11 receives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from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and provides the received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o the user. The user terminal 11 is a device that can access the Internet wirelessly or wired, and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a smart phone, tablet PC, laptop, and PDA.

재난통지서버(12)는 재난알림서버(10) 이외의 서버로서 재난의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재난이 발생한 경우,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재난발생신호를 재난알림서버(10)로 전송한다. 재난발생신호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위치를 더 포함한다.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2 is a server other than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and detects whether a disaster has occurred, and when a disaster occurs, it transmits a disaster occurrence signal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to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he disaster occurrence signal further includes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disaster that occurred.

재난알림서버(1)의에 포함된 상세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난알림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재난알림서버(10)는 프로세서(1001), 통신모듈(1002), 스토리지(1003), 전송대상결정모듈(1004), 대피소결정모듈(1005) 및 문자생성모듈(1006)을 포함한다.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shown in Figure 1. Referring to FIG. 2,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includes a processor 1001, a communication module 1002, a storage 1003, a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a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and a text generation module 1006. Includes.

재난알림서버(10)의 프로세서(1001)는 재난알림서버(10)에서 실행되는 일반적인 태스크(task)를 처리한다. The processor 1001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processes general tasks executed in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중계기 등에 접속하여 인터넷 등과 같은 광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1) 및 외부의 재난통지서버(12)와 데이터 및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can connect to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or Wi-Fi repeat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messages with the user terminal 11 and the external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2 through a wide are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You can.

재난알림서버(10)의 스토리지(1003)는 사용자 주변 대피소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1003)는 도로 및 건물을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 대피소의 위치 정보, 긴급대피가 필요한 재난 종류 리스트 등을 포함한다. The storage 1003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stores data necessary to execute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including information on shelters around the user. Storage 1003 includes map data including roads and buildings, location information of shelters, and a list of disaster types requiring emergency evacuation.

재난알림서버(10)의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발생한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재난알림영역을 결정하고,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위치, 재난 발생 위치 및 재난 종류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이동패턴을 생성하고, 이동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에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긴급재난문자 전송 대상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based on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and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s of the user terminal 11, and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disaster type. Based on this, the user terminal 11 that will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is determined.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generates a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ime-series position changes of the user terminal 11, and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whether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to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The specific method of determining the target of emergency disaster text transmiss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재난알림서버(10)의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 주변의 대피소를 검색하고,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대피할 수 있는 최적 대피소를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대피소를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결정된 후보 대피소 중 가장 가까운 후보 대피소,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로부터 이동거리가 가장 짧은 후보 대피소, 또는 재난이 발생한 위치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로부터 가장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후보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결정된 최적 대피소를 문자생성모듈(1006)로 입력한다.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searches for shelters around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allows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 to evacuate in the safest and fastest manner. Determine the best possible shelter.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determines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is the closest candidate shelter among the determined candidate shelters,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travel distance from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or a candidate shelter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travel distance from is determined as the optimal shelter.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inputs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into the character generation module 1006.

재난알림서버(10)의 문자생성모듈(1006)은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할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한다. 문자생성모듈(1006)은 발생한 재난의 종류, 재난의 위치 및 결정된 최적 대피소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한다. 문자생성모듈(1006)은 생성된 긴급재난문자를 통신모듈(1002)로 입력한다.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generates an emergency disaster text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generates an emergency disaster text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inputs the generated emergency disaster text in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재난알림서버(10)는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알림서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재난알림서버(10)는 각 구성요소들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may further include a b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as shown in FIG. 2. In addition,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 상에서 구현된다. FIG. 3 is a flowchart of an emergency tex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performed in the emergency text message provision system shown in FIG. 1. The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text messages shown in FIG. 3 is implemented on the emergency text message providing system shown in FIG. 1.

도 3을 참고하면, 301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재난통지서버(12)로부터 재난이 발생하였음 나타내는 재난발생신호를 수신한다.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외부의 재난통지서버(12)로부터 재난발생신호를 수신한다. 재난통지서버(12)는 재난을 감지한 경우, 감지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포함하는 재난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난발생신호를 재난알림서버(1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1002)은 수신한 재난발생신호를 전송대상결정모듈(1004)로 입력한다.Referring to FIG. 3, in step 301,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receives a disaster occurrence signal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from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2.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receives a disaster occurrence signal from the external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2. When a disaster is detected,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2 generates a disaster signal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detected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isaster signal to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inputs the received disaster occurrence signal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302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재난발생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로 각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재난이 발생한 재난의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인 재난알람영역 내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 접속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로 위치요청신호를 전송한다. In step 302,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ransmits a loc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11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disaster occurrence signal.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 connected to an access point (AP) located within a disaster alarm area with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where the disaster occurred. ) transmits the location request signal.

여기에서, 재난알림영역은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영역으로서, 재난의 종류에 따라서 크기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재난알림서버(10)의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재난의 피해 범위가 넓은 지진, 해일, 홍수, 산불, 산사태, 화산폭발와 같은 광범위한 재난의 경우에는 재난알림영역을 넓은 범위로 결정하고, 상대적으로 피해가 범위가 좁은 화재, 낙뢰, 폭발, 붕괴와 같은 소범위 재난의 경우에는 재난알림영역을 좁은 범위로 결정한다. 위치요청신호를 수신한 각 사용자단말(11)은 위치요청신호에 대응하여 각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재난알림서버(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1)의 위치신호는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 이전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시계열적 위치 변화는 일정 시간 간격에 따른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계열적 위치 변화는 1초 간격으로 측정된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를 포함한다. Here,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is an area that notifies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its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ide-scale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tsunami, flood, forest fire, landslide, or volcanic eruption with a wide range of disaster damage,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sets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to a wide range. In the case of small-scale disasters such as fire, lightning, explosion, or collapse with relatively narrow damage,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is determined to be narrow. Each user terminal 11 that receives the location request signal transmits a location signal indicating the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11 to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quest signal. The loca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11 includ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a time-series change in location before the current location. Here, the time-series location change includes the locations of the user terminal 11 at regular time intervals. For example, the time-series location change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measured at 1-second intervals.

303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위치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위치 이전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한다. 통신모듈(1002)은 수신한 위치신호를 전송대상결정모듈(1004)로 입력한다. In step 303,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receives a location signal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a time-series change in location before the current location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quest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receives a location signal includ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11 from the user terminal 11.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inputs the received location signal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304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재난알림서버(1)의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위치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이동 방향, 이동 거리 및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결정된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step 304,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which the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will be transmitted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which the emergency disaster text will be transmitted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11 included in the location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expected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time-series posi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11, and determines the expected movement direction, movement distance, and current Based on the locati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is determined.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which the emergency disaster text will be transmitted based on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specific process of determining which user terminal 11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의 상세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3041 단계에서,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전송된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지도 상에서 사용자 단말(11)의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이동패턴 이미지를 생성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위치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시계열적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이동패턴을 지도 상에 표시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지도 상에서 사용자 단말(11)의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이동패턴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패턴 및 예상위치가 표시된 지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이동패턴은 사용자 단말(11)이 현재 위치 이전까지 이동하였던 경로를 나타내고, 이동패턴은 사용자 단말(11)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정보를 포함한다. FIG. 4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step of determining a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4, in step 3041,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generates a movement pattern image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1 on the map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displays a movement pattern representing the time-series movement path of the user terminal 11 on the map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position change of the user terminal 11 included in the location signal.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generates a movement pattern image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1 on the map.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p displaying movement patterns and expected loc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movement pattern represents the path along which the user terminal 11 moved before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ovement patter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speed of the user terminal 11.

3042 단계에서,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생성된 이동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이동 방향 및 예상 이동 거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이동 방향 및 예상 이동 거리에 따라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이동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과거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이동 방향 및 예상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 이전의 시계열적인 위치 변화, 즉 사용자 단말(11)이 이동해왔던 방향 및 각 위치들 사이의 거리 변화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이동 방향 및 예상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산출된 예상 이동 방향 및 예상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결정한다. In step 3042,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generated movement patter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expected movement direction and expected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11, and determines the expected movement direction and expected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11. Determine the expected location.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calculates the expected movement direction and expected movement distance of the user terminal 11 by analyzing the past movement direction and movement speed included in the movement pattern image.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considers the time-series location change befor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terminal 11 has moved and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each location. Calculate the expected movement direction and expected movement distance.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calculated expected movement direction and expected movement distan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출력하도록 사전에 트레이닝된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을 포함한다.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은 사용자 단말(11)의 이동패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출력하도록 사전에 트레이닝된 인공신경망이다.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은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 및 학습용 예상 위치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 세트에 의하여 사전에 트레이닝된 인공신경망이다. 여기에서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이 과거에 동일 지역에서 이동하였던 경로를 포함하는 이미지이다.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은 입력된 사용자 단말(11)의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이동패턴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용 데이터 세트에 포함된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는 각 사용자 단말(11)에 대한 과거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고, 학습용 예상 위치는 각 사용자 단말(11)이 실제 이동하였던 위치이다. 예를 들어, 도 6은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 및 학습용 예상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1)이 A, B, C, D, E, F 순으로 과거에 이동하였음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의 일 예로는 A, B, C, D로 이동하는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학습용 예상 위치는 E가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학습용 이동패턴이미지가 A, B, C, D, E로 이동하는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학습용 예상 위치는 F이다.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esti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is pre-trained to output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location esti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has been trained in advance to output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from the movement pattern image of the user terminal 11. The location esti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is pre-trained by a learning data set that includes learning movement pattern images and expected locations for learning. Here, the learning movement pattern image is an image containing the path that the user terminal traveled in the same area in the past. The position esti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output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from the input movement pattern image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11. More specifically, the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included in the learning data set is an image representing the past movement path for each user terminal 11, and the expected location for learning is the location where each user terminal 11 actually moved. For example,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and an expected location for learning. Referring to FIG. 6, it shows that the user terminal 11 moved in the past in the order A, B, C, D, E, and F. Here, as an example of a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if it represents a movement pattern moving to A, B, C, and D, the expected location for learning is E.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represents a movement pattern moving to A, B, C, D, and E, the expected position for learning is F.

여기서,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은 인공신경망 전체가 합성곱 연산으로 이루어진 FCN(fully convolution network), 여러 개의 퍼셉트론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 퍼셉트론(multi layer perceptron), 다수의 컨볼루션 레이어(convolution layer)를 포함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순환구조를 갖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position esti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an FCN (fully convolution network) in which the entire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ists of convolution operations, a multi-layer perceptron including several perceptrons, and a multiple convolution layer.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with a recurrent structure, etc.

3043 단계에서,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출력된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와 재난알림영역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가 재난알림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로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가 재난알림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11)로 결정한다. In step 3043,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which the emergency disaster text will be transmitted based on the output predi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determines the user terminal 11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whe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is located within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and determines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If is not located within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terminal 11 does not transmit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여기에서, 재난알림영역은 재난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영역으로서, 재난의 종류에 따라서 크기가 가변된다. 예를 들어, 재난알림서버(10)의 프로세서(1001)는 재난의 피해 범위가 넓은 지진, 해일, 홍수, 산불, 산사태, 화산폭발와 같은 광범위한 재난의 경우에는 보다 넓은 범위로 결정하고, 상대적으로 피해가 범위가 좁은 화재, 낙뢰, 폭발, 붕괴와 같은 소범위 재난의 경우에는 좁은 범위로 결정한다. Here,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is an area that notifies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and its siz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ide-scale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tsunami, flood, forest fire, landslide, or volcanic eruption, the processor 1001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a wider range and determines the relative damage. In the case of small-scale disasters such as fire, lightning, explosion, or collapse, the scope is determined to be narrow.

전송대상결정모듈(1004)은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11)을 통신모듈(1002)로 입력한다.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1004 inputs the user terminal 11 determined as the user terminal 11 to which the emergency disaster text will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305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를 결정한다. 재난알림서버(10)의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 주변의 후보대피소를 결정한다. In step 305,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round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a candidate shelter around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보다 구체적으로,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각 사용자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인 대피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소를 검색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스토리지(1003)에 저장된 복수 개의 대피소들의 위치와 각 사용자단말(11)의 예상 위치를 비교하고, 각 사용자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인 대피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피소를 후보대피소를 결정한다. More specifically,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searches for at least one shelter located within an evacuation area with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11.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compares th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shelters stored in the storage 1003 with the expected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11, and sets an evacuation area with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expected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11. At least one shelter located within the shelter is determined as a candidate shelter.

여기에서, 대피영역은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를 기준으로 빠르게 대피가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대피영역을 사용자 단말(11)의 위치 기준으로 반경 100미터, 500미터, 1 킬로미터 중 하나의 반경을 갖는 원형태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영역의 크기를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의 연령에 반비례한다. 대피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에게 장애 유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장애가 있는 경우 대피영역의 크기를 좁게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대피영역의 크기를 넓게 결정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에 대한 이름, 연령, 성별, 장애유무, 장애종류, 장애등급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303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로 전송된 위치신호와 함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재난알림서버(10)로 전송된다. 위치신호는 상술한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한다. Here, the evacuation area refers to an area where quick evacuation is possibl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may preset the evacuation area as a circular shape with a radius of one of 100 meters, 500 meters, and 1 kilometer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dditionally,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may determine the size of the shelter area differently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For example,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ge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ability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 If the user has a disability,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is determined to be narrow, and if the user has no obstacle,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is determined to be wide. . Here,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age, gender,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y, type of disability, disability level, etc.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 to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along with the loc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in step 303. The location signal further includes the user informa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 단말(11)의 사용자의 장애 유무 및 장애 등급에 기초하여 대피영역의 크기를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가 장애가 있는 경우 장애등급에 반비례하도록 대피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사용자에게 장애가 없는 경우 대피영역을 넓게 결정한다. 예를 들어,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1등급 장애등급을 가진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는 대피영역의 크기를 반경 100미터로 결정하고, 3등급 장애를 가진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는 대피영역의 크기를 반경 300미터로 결정하고, 장애가 없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는 대피영역의 크기를 반경 600미터로 결정한다.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ize of the shelter area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ability and the disability level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determines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ability level when the user has a disability, and determines the evacuation area to be wide when the user does not have a disability. For example,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determines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to be a radius of 100 meters for the user terminal of a user with a level 1 disability, and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for the user terminal of a user with a level 3 disability. is determined to be a radius of 300 meters, and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for user terminals of users without obstacles is determined to be a radius of 600 meters.

306 단계에서,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단말(11)에 대하여 최적 대피소를 결정한다.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방식에 대하여는 도 5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In step 306,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determines an optimal shelter for each user terminal 11 based on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optimal shelt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mal she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사용자단말(1)로부터 직선거리가 가장 가까운 후보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도 7(a)를 참고하면, 도 7(a)는 사용자단말(11)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closest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user terminal 1 among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s the optimal shelter. Referring to FIG. 7(a),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nearest shelter as the optimal shelter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소결정모듈(1005)는 소정의 반경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사용자단말(11)로부터 대피 경로가 가장 짧은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는 사용자단말(11)의 현재위치로부터 각 후보 대피소로의 이동경로를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는 결정된 이동경로 중 가장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후보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도 7(b)는 사용자단말(11)과 각 후보 대피소 사이의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를 참고하면, 사용자단말(11)의 위치로부터 직선거리가 가장 가까운 대피소는 강을 건너야 하기 때문에 실제 이동 거리는 상당히 멀다. 따라서,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이동경로를 고려하여 가장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후보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helter with the shortest evacuation path from the user terminal 11 among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as the optimal shelter.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determines a movement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o each candidate shelter.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determines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travel distance among the determined travel routes as the optimal shelter. Figure 7(b)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timal shelter by considering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user terminal 11 and each candidate shelter. Referring to FIG. 7(b), the shelter with the closest direct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must cross the river, so the actual travel distance is quite far. Therefore,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considers the movement path and determines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movement distance as the optimal she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및 재난 발생 위치에 기초하여, 최적 대피소를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의 예상 위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최적 대피소를 결정한다. 도 7(c)를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와 재난발생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직선을 기준으로 재난발생위치가 속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후보대피소 중 가장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후보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timal shelter based on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determines the optimal shelter by considering the user's expected location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Referring to FIG. 7(c), the shortest travel distance among candidate shelters located in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isaster loca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The candidate shelter is determined as the optimal shelt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재난 발생 위치 및 재난 종류에 기초하여, 최적 대피소를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적절한 대피소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재난의 종류가 홍수, 호우, 해일 및 산사태인 경우,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지하에 설치된 대피소를 제외하고, 지상에 위치하는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사용자 단말(11)의 예상 위치와 재난발생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을 법선으로 하는 직선을 기준으로 재난발생위치가 속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하는 후보대피소 중 지상에 위치하고 가장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후보 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한다. The shelter determination module 100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optimal shelter based on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the disaster type.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determines an appropriate shelter based on the type of disaster.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disaster is a flood, heavy rain, tsunami, or landslide,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determines a shelter located on the ground as the optimal shelter, excluding shelters installed underground.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is located on the ground and moves the shortest distance among candidate shelters located in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isaster location, bas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s the normal line.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distance is determined as the optimal shelter.

대피소결정모듈(1005)은 결정된 최적 대피소를 문자생성모듈(1006)로 입력한다. The shelter decision module 1005 inputs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into the character generation module 1006.

307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결정된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한다. 재난알림서버(10)의 문자생성모듈(1006)은 재난발생신호에 포함된 재난의 종류, 재난발생위치 및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한다. 문자생성모듈(1006)은 생성된 긴급재난문자를 통신모듈(1002)로 입력한다. In step 307,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generates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generates an emergency disaster text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included in the disaster signal,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inputs the generated emergency disaster text into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308 단계에서, 재난알림서버(10)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11)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11)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한다.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재난의 종류, 재난발생위치 및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304 단계에서 전송대상으로 결정된 사용자 단말(11)로 전송한다. In step 308,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ransmits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11 determined to be the user terminal 11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ransmits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to the user terminal 11 determined as the transmission target in step 304.

긴급재난문자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1)은 재난의 종류, 재난발생위치 및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사용자단말(11)의 출력모듈을 통하여 출력한다.The user terminal 11 that receives the emergency disaster text outputs the emergency disaster text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through the output module of the user terminal 11.

사용자 주변 대피소 정보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은 재난알림서버(10)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사용자 단말(11)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최적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사용자 단말(11)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신한다. In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ontaining information on shelters around the user,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periodically receives a location signal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from the user terminal 11 that transmitted the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receives a location signal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at regular time intervals from the user terminal 11 that transmitted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containing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

재난알림서버(10)의 프로세서(1001)는 사용자 단말(11)로부터 수신한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이 최적 대피소를 향하여 이동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001)는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가 최적 대피소와 가까워지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1)이 최적 대피소로 이동 중인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001)는 사용자 단말(11)의 위치가 최적 대피소와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1)이 최적 대피소로 이동 중이라고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1)이 최적 대피소로 이동 중이지 않다고 결정한다. The processor 1001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1 is moving toward the optimal shelter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 The processor 1001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1 is moving to the optimal shelter based on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is close to the optimal shelter. If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is close to the optimal shelter, the processor 1001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1 is moving to the optimal shelter. Otherwise, the user terminal 11 is not moving to the optimal shelter. Decide no.

재난알림서버(10)의 문자생성모듈(1006)은 최적 대피소로 이동 중이지 않다고 결정된 사용자 단말(11)로 사용자가 잘못된 경로로 이동 중임을 표시하는 경고문자를 생성한다. 경고문자는 최적 대피소의 위치 및 사용자 단말(11)의 현재 위치로부터 최적 대피소로의 이동 경로를 포함한다.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generates a warning text indicating that the user is moving on the wrong path to the user terminal 11 that has been determined not to be moving to the optimal shelter. The warning text includes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and the movement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 to the optimal shelter.

재난알림서버(10)의 통신모듈(1002)은 문자생성모듈(1006)에서 생성된 경고문자를 사용자 단말(11)로 다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002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0 transmits the warning text generated by the text generation module 1006 back to the user terminal 11.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 위치와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범위를 고려하여 긴급재난문자 발송 대상을 결정함으로써, 재난 지역의 근방에 위치하지 않는 사용자 단말까지 불필요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긴급재난문자의 무분별한 전송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긴급재난문자 알람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expected location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the target for sending emergency disaster tex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and the type and scope of the disaster that occurred, thereby determining the disaster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emergency text messages from being transmitted to user terminals that are not located nearby. Accordingly, users' fatigue caused by indiscriminate transmission of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an be minimized, and user inconvenience caused by unnecessary emergency disaster text alarms can be resol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재난의 종류, 재난 발생 위치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모두 고려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대상을 결정함으로써, 실제로 긴급재난문자 발송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에 한하여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긴급재난문자의 전송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대피나 주의가 필요한 재난을 사용자들에게 알림으로써, 재난으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target to transmit the emergency disaster text by consider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emergency text is actually sent.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an be sent only to the necessary user termina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human casualties due to disasters by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unnecessary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and at the same time notifying users of disasters that require user evacuation or attention.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는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때,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함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빠르게 안전한 대피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재난 발생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mergency disaster tex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location of the optimal shelter to the user terminal when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evacuate to a safe shelter. Accordingly, human damage can be minimized in the event of a disaster.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예상위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고려하여, 재난이 발생한 지역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대피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전한 대피장소를 안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disaster text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user's expected location by considering the user's movement pattern, and takes into account the determined expected location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and determines the area where the disaster occurred and By conveying the location of a shelter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ser, the user can be guided to a safer shelter.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전송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dditionally, the data structure us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s storage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able media (eg, CD-ROM, DVD, etc.). A program for perform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looked at with a focus on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긴급재난문자 제공 시스템
10: 재난알림서버
11: 사용자단말
1001: 프로세서 1002: 통신모듈
1003: 스토리지 1004: 전송대상결정모듈
1005: 대피소결정모듈 1006: 문자생성모듈
12: 재난통지서버
1: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system
10: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11: User terminal
1001: Processor 1002: Communication module
1003: Storage 1004: Transmission destination determination module
1005: Shelter decision module 1006: Character generation module
12: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Claims (9)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재난통지서버로부터 재난이 발생하였음 나타내는 재난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난발생신호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포함함―;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각 사용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정보 및 현재위치 이전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신호에 포함된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이동패턴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동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및 재난알림영역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은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인 대피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재난의 종류, 재난 발생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의 위치 및 상기 재난발생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하나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의 위치 및 상기 재난발생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하나를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재난발생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직선을 기준으로 재난발생위치가 속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로부터 후보대피소까지의 이동거리가 가장 짧은 후보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하고,
상기 대피영역의 크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연령, 성별, 장애유무, 장애종류 및 장애 등급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재난알림영역의 크기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
In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a disaster signal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from a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 the disaster signal includes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Transmitting a loc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location of each user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quest signal, receiving a location signal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a time-series location change prior to the current location from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determining a user terminal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and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The step of determining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is
generating a movement pattern image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s included in the location signal;
Based on the generated movement pattern image, determining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It includes the step of determining a user terminal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and disaster notification area of each user terminal,
The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i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ing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within an evacuation area with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ing an optimal shelter among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n emergency disaster text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The step of determining the optimal shelter i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determine on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s an optimal shelter,
The step of determining one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s an optimal shelter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Movement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a candidate shelter among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in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based o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distance is determined as the optimal shelter,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is determined based on the age, gender,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y,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level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알림영역은 상기 발생한 재난의 종류에 기초하여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wherein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has a variable size based on the type of disaster that has occur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입력된 이동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출력하도록, 학습용 이동패턴 이미지 및 학습용 예상 위치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 세트에 의하여 사전에 트레이닝된 위치추정 인공신경망에 의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재난문자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is
In order to output the expected posi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input movement pattern image, the expected position of each user terminal is calculated by a position estim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pre-trained by a learning data set containing the movement pattern image for learning and the expected position for learning. A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에 기초한 긴급재난문자를 제공하는 재난알림서버에 있어서,
재난통지서버로부터 재난이 발생하였음 나타내는 재난발생신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 각 사용자의 위치를 요청하는 위치요청신호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위치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현재위치정보 및 현재위치 이전의 시계열적 위치 변화를 포함하는 위치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상기 재난발생신호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 및 재난 발생 위치를 포함함―; 및
상기 위치신호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는 전송대상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대상결정모듈은
상기 위치 신호에 포함된 현재 위치 및 시계열적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패턴을 나타내는 이동패턴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동패턴 이미지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결정하고; 그리고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및 재난알림영역에 기초하여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할 사용자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재난알림서버는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인 대피영역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 대피소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최적 대피소를 결정하는 대피소결정모듈;
재난의 종류, 재난 발생 위치 및 상기 결정된 최적 대피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재난문자를 생성하는 문자생성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피소결정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예상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의 위치 및 상기 재난발생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재난발생위치를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직선을 기준으로 재난발생위치가 속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보대피소 중 상기 사용자 단말의 현재위치로부터 후보대피소까지의 이동거리가 가장 짧은 후보대피소를 최적 대피소로 결정하고,
상기 대피영역의 크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연령, 성별, 장애유무, 장애종류 및 장애 등급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재난알림영역의 크기는 발생한 재난의 종류에 따라 가변되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결정된 사용자 단말로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알림서버.
In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that provides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s based on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 a disaster occurrence signal indicating that a disaster has occurred from a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transmit a loc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the location of each user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request signal, the at least one user A communication module that receives a location signal from a terminal includ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current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s prior to the current location. The disaster occurrence signal includes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and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 and
Based on the location signal, it includes a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 user terminal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The transmission target determination module i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time-series location changes included in the location signal, generate a movement pattern image representing the movement patter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the generated movement pattern image, determine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Determine which user terminal to transmit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and disaster notification area of each user terminal,
The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i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determin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within an evacuation area with a predetermined radiu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each user terminal, and determine the optimal shelter among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Shelter decision module;
It further includes a text generation module that generates an emergency disaster text including the type of disaster, the location of the disaster, and the location of the determined optimal shelter,
The shelter decision module is
Based on the expect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and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is based on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disaster occurrence loc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mong at least one candidate shelter located in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he candidate shelter with the shortest travel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the candidate shelter is determined as the optimal shelter,
The size of the evacuation area is determined based on the age, gender, presence or absence of disability, type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level of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The size of the disaster notification area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that occurred,
A disaster notification server, wherein th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 emergency disaster text message to the determined user terminal.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is recorded.
KR1020230060815A 2023-05-11 2023-05-1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KR1026285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815A KR102628540B1 (en) 2023-05-11 2023-05-1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0815A KR102628540B1 (en) 2023-05-11 2023-05-1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540B1 true KR102628540B1 (en) 2024-01-24

Family

ID=8971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0815A KR102628540B1 (en) 2023-05-11 2023-05-11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540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677A (en)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tracking disaster area subscriber pos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KR20140093840A (en) * 2013-01-18 2014-07-29 (주)서울엠에스 Evecuation leading system for calamity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80020437A (en)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케이티 Disaster information notifing system and method
KR20210012872A (en) * 2019-07-24 2021-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disaster information
KR20210064579A (en)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70210A (en) * 2019-12-04 2021-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isk level based on moving pathe
KR20210088057A (en) * 2020-01-04 2021-07-14 이원찬 The disaster response rescuer location prediction system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04813B1 (en) * 2020-12-24 2022-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broadcasting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ystem
KR20220105482A (en) * 2021-01-20 2022-07-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structing evacuation routes by each transportation modes in disaster
KR20230049248A (en) * 2021-10-06 2023-04-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disater information,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30053434A (en) * 2021-10-14 2023-04-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text message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0677A (en) 2005-12-29 2007-07-04 주식회사 팬택 Method for tracking disaster area subscriber pos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KR20140093840A (en) * 2013-01-18 2014-07-29 (주)서울엠에스 Evecuation leading system for calamity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180020437A (en)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케이티 Disaster information notifing system and method
KR20210012872A (en) * 2019-07-24 2021-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disaster information
KR20210064579A (en) * 2019-11-26 2021-06-03 주식회사 이엔지소프트 The Intelligent Disaster Response Integrated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70210A (en) * 2019-12-04 2021-06-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risk level based on moving pathe
KR20210088057A (en) * 2020-01-04 2021-07-14 이원찬 The disaster response rescuer location prediction system us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404813B1 (en) * 2020-12-24 2022-05-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disaster broadcasting and computing device for executing the system
KR20220105482A (en) * 2021-01-20 2022-07-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structing evacuation routes by each transportation modes in disaster
KR20230049248A (en) * 2021-10-06 2023-04-1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disater information,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30053434A (en) * 2021-10-14 2023-04-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isaster text message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1458B2 (en) Distributed sensor network
Chowdhury Priority based and secured traffic management system for emergency vehicle using IoT
Pine Technology and emergency management
Costa et al. A survey of emergencies management systems in smart cities
Fujihara et al. Disaster evacuation guidance using opportunistic communication: The potential for opportunity-based service
US9726503B2 (en) User-wor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a user in an emergency
Depari et al. Indoor localization for evacuation management in emergency scenarios
CN102917329A (en) Disaster response system
KR20090122235A (en) Method for equitable placement of a limited number of sensors for wide area surveillance
Greco et al. IoT and semantic web technologies for event detection in natural disasters
Li et al. Efficient Emergency Rescue Navigation with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200119114A (en)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3D BIM object model and disaster management Method
Kim et al. Smart disaster response in vehicular tunnels: Technologies for search and rescue applications
KR201800575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processing of event
Shaharuddin et al. The role of IoT sensor in smart building context for indoor fire hazard scenario: A systematic review of interdisciplinary articles
JP2016224755A (en) Evacuation guidance program, evacuation guidance method, mobile terminal device, and evacuation support program
KR10262854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based on movement pattern of user terminal
KR1022859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cuation route guidance
Grassi et al. Emergency management through information crowdsourcing
Eshghi et al. An approach for safer navigation under severe hurricane damage
KR1025846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ergency disaster message including user surrounding shelter information
Karasi et al. Finding safe path and locations in disaster affected area using Swarm Intelligence
KR102384884B1 (en) Active emergency exit device
Acharjya et al. A smart emergency exit system based on IoT for fire perils
JP6603546B2 (en) Disaster prevention suppo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