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245B1 -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245B1
KR102621245B1 KR1020180159619A KR20180159619A KR102621245B1 KR 102621245 B1 KR102621245 B1 KR 102621245B1 KR 1020180159619 A KR1020180159619 A KR 1020180159619A KR 20180159619 A KR20180159619 A KR 20180159619A KR 102621245 B1 KR102621245 B1 KR 10262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situation
determined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71968A (en
Inventor
윤석영
한지민
이지아
김계윤
우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2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71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9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fron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발생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형상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차량의 상태,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vehicle that displays an icon shape or message corresponding to an occurring situation using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capture unit that captures surrounding images;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vehicle,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determin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ing situation.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Figure 112018124461236-pat00003
Figure 112018124461236-pat00003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개시된 발명은 차량의 외부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display outside the vehicl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현재 개발중인 자율 주행 제어는, 자동 브레이크 및 자동 속도 조절 등과 같은 특정 기능에 대한 자동화를 나타내는 1단계에서부터 모든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4 단계까지 크게 네 단계로 구분되어 정의된다.Autonomous driving control currently under development is broadly divided into four levels, from level 1, which indicates automation for specific functions such as automatic braking and automatic speed control, to level 4, which does not require user intervention under all circumstances.

이러한 자율 주행 제어 환경에서는, 차량의 진행 방향 등의 차량 상태에 대한 명확한 인지 및 예측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외부의 객체(예: 보행자, 주변 차량의 운전자)가 두려움을 느낄 수 있다.In such an autonomous driving control environment, it may be difficult to clearly recognize and predict the vehicle state, such as the vehicle's direction of travel, and as a result, objects outside the vehicle (e.g., pedestrians, drivers of surrounding vehicles) may feel fear.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 외부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차량 외부의 객체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차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 on vehicles that communicate with objects outside the vehicle through displays outside the vehicl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발생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형상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vehicle that displays an icon shape or message corresponding to an occurring situation using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차량의 상태,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capture unit that captures surrounding images;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vehicle,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determin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ing situation. ,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헤드 램프, 리어 램프, 상기 차량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isplay may include a headlamp, a rear lamp, a first displa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display provid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리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head lamp and the rear lamp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and controls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You can control at least 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어 램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rear lamp and the second display to provide the rear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front objec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headlamp and the first display to provide the front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사이드 미러에 마련되는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isplay may include a third display provided on the side mirr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3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control the third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좌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및 우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ny one of the third display of the left side mirror and the third display of the right side mirror to display the direction of movement lea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ar object based o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control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the determined mess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c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nearby vehicle from the surrounding im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situation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shape and message, and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차량의 상태,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a vehicle including an image capture unit that captures surrounding images,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vehicle,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The control method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and an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determine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헤드 램프, 리어 램프, 상기 차량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isplay may include a headlamp, a rear lamp, a first displa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display provid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리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may include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head lamp and the rear lamp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It may include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어 램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includes controlling the rear lamp and the second display to provide the rear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May include ;.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includes controlling the headlamp and the first display to provide the front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front object. May include ;.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사이드 미러에 마련되는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isplay may include a third display provided on the side mirror.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3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controlling the third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발생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좌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및 우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includes controlling any one of a third display of the left side mirror and a third display of the right side mirror to display a moving direction that induces movement of a rear object based o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More may be included.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occurring situation; It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the determined message.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surrounding vehicle from the surrounding image.

상기 차량의 제어방법은, 상기 검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method includes: determining a situation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shape and message; It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발생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형상 또는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객체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의 외부에 위치하는 객체가 차량의 상태를 인지 및 예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aspect,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an object located outside the vehicle by displaying the shape of an icon or a message corresponding to an occurring situation using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Through this, object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can recognize and predict the status of the vehic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핸드 제스처(Hand Gesture) 및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아이콘의 형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아이콘의 형상 및 핸드 제스처를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외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전방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변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from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from the rea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icons, hand gestures, and messages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situations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vehicle displays the shape of an icon through an external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vehicle displays the shape of an icon and a hand gesture through an external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vehicle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ahead through an external disp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flowchart of controlling an external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in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flowchart for a case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in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makes an exception.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unit", "~unit", "~block", "~member", and "~module" may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the terms may refer to at least one hardware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t least one software stored in memory, or at least one process processed by a processor. there is.

각 단계들에 붙여지는 부호는 각 단계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부호는 각 단계들 상호 간의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The codes attached to each step are used to identify each step, and these codes do not indicate the order of each step. Each step is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It can b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one asp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from the fro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exterior of a vehicle from the r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체의 전방을 보호하는 전방 범퍼(101), 엔진룸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는 그릴(102), 운전자에게 측면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03) 및 운전자에게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룸미러(104)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ront bumper 101 that protects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a grill 102 that passes external air into the engine room, and a rear side view to the driver. A side mirror 103 and a room mirror 104 that provide a rear view to the driver may be provided.

이 때, 사이드 미러(103)는 좌측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좌측 사이드 미러(103L)와 우측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우측 사이드 미러(103R)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de mirror 103 may include a left side mirror 103L that provides a left rear view and a right side mirror 103R that provides a right rear view.

룸미러(104)의 주변에는 차량(10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111)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111)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A front camera 111 that captures a front image of the vehicle 100 may be provided around the room mirror 104. The front camera 111 can capture video or periodically capture still images.

도 1의 예시에서는 전방 카메라(111)가 룸미러(104) 측면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차량(1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예시와 달리 차량(10)의 외부에 전방 카메라(111)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차량(10) 전면의 그릴(102) 주위에 장착되거나 전방 범퍼(101)에 장착될 수 있다. 전방 영상, 특히 차량(10)에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예: 보행자, 주변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이면 전방 카메라(111)가 장착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1, the front camera 111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rearview mirror 104 as an example, but 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10 is not limited to this. Unlike the example of FIG. 1,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ront camera 111 to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10, for example, around the grill 102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0 or on the front bumper 101. It can be. The front camera 111 may be mounted at a location that can capture front images, especially objects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e.g.,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또한, 전방 카메라(111)가 하나만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더 넓은 뷰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전방 카메라(111)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전방 카메라(111)가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현되어 전방 영상을 3차원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only one front camera 111, and it is possible for multiple front cameras 111 to be installed to provide a wider view. Alternatively, the front camera 111 may be implemented as a stereo camera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front image.

또한, 차량(10)의 전면에는 헤드 램프(151)가 마련될 수 있고, 헤드 램프(151)는 차량(10)의 좌측 전면에 마련되는 좌측 헤드 램프(151L)와 우측 전면에 마련되는 우측 헤드 램프(151R)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 headlamp 15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0, and the headlamp 151 includes a left headlamp 151L provided on the left front of the vehicle 10 and a right headlamp provided on the right front. It may include a lamp 151R.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151)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램프는 행과 열을 형성하는 배열을 이룰 수 있다. 헤드 램프(151)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램프를 제어하여 사람의 눈을 형상화한 눈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램프 각각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로 마련될 수 있으나, 빛을 발광하는 소자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헤드 램프(151)에 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headlamp 15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and the plurality of lamps may be arranged to form rows and columns. The head lamp 151 can display an eye shape that resembles a human eye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lam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lamps may be provided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but any device that emits ligh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The head lamp 15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한, 차량(10)은 차량(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1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153)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사람의 입을 형상화한 입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first display 153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0. The first display 15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play a mouth shape that resembles a human mou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또한, 도 1은 제1 디스플레이(153)가 전방 범퍼(101)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디스플레이(153)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량(10)의 전방에서 차량(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객체(예: 보행자, 전방 차량)에게 전달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위치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53)에 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Figure 1 shows that the first display 153 is provided on the front bumper 101, but the position of the first display 153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10. Any location that can display images to be transmitted to objects located outside (e.g., pedestrians, vehicles ahead) can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The first display 15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0)의 후면에는 차체의 후방을 보호하기 위한 후방 범퍼(105) 및 수납 공간이 마련된 트렁크 리드(106)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rear bumper 105 to protect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and a trunk lid 106 with a storage space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또한, 차량(10)의 후면에는 차량(10)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112)가 마련될 수 있다. 후방 카메라(112)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a rear camera 11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to capture a rear image of the vehicle 10. The rear camera 112 can capture video or periodically capture still images.

도 2의 예시에서는 후방 카메라(112)가 트렁크 리드(106) 상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차량(1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의 예시와 달리 차량(10)의 내부에 후방 카메라(112)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후방 영상, 특히 차량(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객체(예: 보행자, 후방 차량)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이면 후방 카메라(112)가 장착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FIG. 2 , the rear camera 112 is provided on the trunk lid 106 as an example, but 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10 is not limited thereto. Unlike the example of FIG. 2, it is possible for the rear camera 112 to be mounted inside the vehicle 10, and it is possible to capture rear images, especially objects located outside the vehicle 10 (e.g., pedestrians, rear vehicles). In any location, the rear camera 112 can be installed.

또한, 후방 카메라(112)가 하나만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더 넓은 뷰를 제공하기 위해 복수의 후방 카메라(112)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후방 카메라(112)가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현되어 후방 영상을 3차원적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only one rear camera 112, and it is possible for multiple rear cameras 112 to be mounted to provide a wider view. Alternatively, the rear camera 112 may be implemented as a stereo camera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rear image.

또한, 차량(10)의 후면에는 리어 램프(152)가 마련될 수 있고, 리어 램프(152)는 차량(10)의 좌측 후면에 마련되는 좌측 리어 램프(152L)와 우측 후면에 마련되는 우측 리어 램프(152R)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lamp 152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and the rear lamp 152 includes a left rear lamp 152L provided at the left rear of the vehicle 10 and a right rear lamp 152L provided at the right rear. It may include a lamp 152R.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램프(152)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램프는 행과 열을 형성하는 배열을 이룰 수 있다. 리어 램프(152)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램프를 제어하여 사람의 눈을 형상화한 눈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 리어 램프(152)에 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rear lamp 15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amps, and the plurality of lamps may be arranged to form rows and columns. The rear lamp 152 may display an eye shape that resembles a human eye by controlling a plurality of lam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rear lamp 15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한, 차량(10)은 차량(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154)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사람의 입을 형상화한 입 형상을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154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The second display 154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isplay a mouth shape that resembles a human mou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또한, 도 2는 제2 디스플레이(154)가 후방 범퍼(105)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디스플레이(154)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차량(10)의 후방에서 차량(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객체(예: 보행자, 후방 차량)에게 전달하기 위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위치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154)에 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Figure 2 shows that the second display 154 is provided on the rear bumper 105, but the location of the second display 154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0. Any location that can display images to be transmitted to objects located outside (e.g. pedestrians, rear vehicles) can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The second display 15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또한, 차량(10)은 사이드 미러(103)에 마련되는 제3 디스플레이(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155)는 좌측 사이드 미러(103L)에 마련되는 좌측 제3 디스플레이(155L) 및 우측 사이드 미러(103R)에 마련되는 우측 제3 디스플레이(155R)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third display 155 provided on the side mirror 103. The third display 155 may include a left third display 155L provided on the left side mirror 103L and a right third display 155R provided on the right side mirror 103R.

제3 디스플레이(155)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라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155)에 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third display 155 may display a hand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later. The third display 15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전술한 차량(10)의 구성과 도 3의 제어 블록도를 함께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Figure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10 described above and the control block diagram of FIG. 3.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100)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10), 차량(10)의 상태, 차량(10)의 내부 상황 및 차량(10)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120),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 및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 등 차량(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주변 영상, 차량(10)의 상태, 차량(10)의 내부 상황 및 차량(100)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140) 및 발생된 상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The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capture unit 110 that captures images surrounding the vehicle 100, the state of the vehicle 10,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0. A storage unit ( 130), a control unit 140 that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urrounding image, the state of the vehicle 10,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00, and the generated It includes an external display 150 tha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정보의 제공원인 동시에 정보의 수신원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차량(10)은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내부 디스플레이(160) 및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170)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both a source of information and a receiver of information. To this end, the vehicle 10 may include an internal display 160 that visually outputs information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and a speaker 170 that audibly outputs information provided by surrounding vehicle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10)은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모듈(미도시) 및 차량(1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ehicle 10 includes a brake module (not shown) that brakes the vehicle 10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and a steering module (not shown) that adjust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0. ) may further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부(110)는 차량(1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는 전방 카메라(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후방 영상을 촬영하는 후방 카메라(112)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변 영상은 전방 영상과 후방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예: 보행자, 다른 차량)이 있으면(이하, 주변 객체라 함), 주변 영상에 주변 객체가 나타날 수 있다.The image capture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ront camera 111 that captures an image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rear camera 112 that captures a rear image of the vehicle 10. The surrounding image may include a front image and a rear image, and if there is an object (e.g., a pedestrian, another vehicle) located around the vehicl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urrounding object), the surrounding object will appear in the surrounding image. You can.

주변 객체는 주변 보행자 및 주변 차량을 포함하며, 전방 영상에는 전방 보행자 및 전방 차량이 나타나고, 후방 영상에는 후방 보행자 및 후방 차량이 나타날 수 있다.Surrounding objects include nearby pedestrians and surrounding vehicles, and front pedestrians and front vehicles may appear in the front image, and rear pedestrians and rear vehicles may appear in the rear image.

또한, 영상 촬영부(110)가 촬영하는 주변 영상에는 차량(10)이 주행 중인 도로의 차선도 나타날 수 있고, 차량(10)의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도 나타날 수 있으며, 차량(10)의 주변에서 발생한 돌발 상황이나, 긴급 상황과 같은 주변 상황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의 주변 상황은 센서 모듈(120)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부(110)에 의해서도 감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by the video capture unit 110 may include lanes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10 is traveling, obstacles existing around the vehicle 10 may also appear, and obstacles present around the vehicle 10 may appear. Surrounding situations such as unexpected situations or emergencies may also appear. Accordingly,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0 can be sensed not only by the sensor module 120 but also by the image capture unit 110.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은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각도를 감지하는 조향 휠 센서, 차량(10)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차량(10)의 각속도를 감지하는 각속도 센서, 가속 페달의 위치를 감지하는 가속페달 센서 및 제동 페달(브레이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동페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1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speed sensor that detects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10, a steering wheel sensor that detects the angle of the steering wheel (not shown), and an acceler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10. , an angular velocity sensor for detecting the angular velocity of the vehicle 10, an accelerator pedal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rake pedal (brake)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vehicle 10. It can be detect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은 차량(10)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생체신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센서는, 시트, 스티어링휠, 안전벨트 및 도어의 손잡이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심장 박동(Heart Rate, HR) 센서, 탑승자의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피부 온도(skin temperature) 센서, 땀분비량에 따라 달라지는 탑승자의 피부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피부 반응(Galvanic Skin Response, GSR) 센서, 탑승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nsor module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bio-signal sensor for measuring bio-signals of a passenger inside the vehicle 10. For example, biosignal sensors may be installed on seats, steering wheels, seat belts, and door handles, and may include a heart rate (HR) sensor that measures the occupant's heart rate, and a heart rate (HR) sensor that measures the occupant's skin temperatur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kin temperature sensor, a galvanic skin response (GSR) sensor that measures the passenger's skin electrical conductivity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sweat secretion, and a blood pressure measurement sensor that measures the passenger's blood pressure. .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은 차량(10)의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차량(10)의 주변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RADAR) 센서 및 라이다(LIDAR)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차량(10)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바, 전술한 예시 외에도 차량(10)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근접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module 1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10 to detect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0. The proximity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RADAR sensor, and a LIDAR sensor.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vehicle 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y object that can detect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10 can be used as a proximity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30)는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 및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n ic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and information about a messa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이 때, 미리 정해진 상황은, 주변 차량이나 주변 보행자에 그 발생 여부를 알리기로 정의된 상황을 의미하며, 후술하는 일반 주행 상황, 돌발 상황, 보행자 횡단 상황, 위반 상황, 차량의 특정 상태 및 환자 발생 상황 등이 미리 정의된 상황에 포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차량의 특정 상태도 돌발 상황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미리 설정된 상황이,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의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설계 단계에서 정해지거나, 차량(10)의 사용자에 의하여 정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situation refers to a situation defined to notify surrounding vehicles or nearby pedestrians of its occurrence, and includes general driving situations, unexpected situations,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s, violation situations, specific vehicle conditions, and patient occurrence, which are described later. Situations, etc. may be included in predefined situations. Of course, in some cases, specific conditions of the vehicle may also be included in the emergency situation. However, the preset situ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 and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situation that may occur while driving the vehicle 10, and may be determined at the design stage of the vehicle 10 or by the user of the vehicle 10. It can be determined by .

저장부(130)는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and the control unit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generates a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

저장부(130)에 저장된 아이콘 및 메시지는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및 기타 인프라와 미리 약속한 규약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기타 인프라는 도로 곳곳에 설치된 카메라 및 도로 등의 시설물이나 교통을 관리하는 서버(이하, 교통 관리 서버라 함)를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는 교통 관리 서버에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Icons and messag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may correspond to pre-arranged protocols with surrounding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and other infrastructure. Here, other infrastructure may include cameras installed throughout the road and servers that manage facilities such as roads or traff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ffic management servers), and the cameras can transmit captured images to the traffic management server.

따라서, 차량(100)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차량(10)의 상태, 차량(10)의 내부 상황 및 차량(10)의 주변 상황 등에 관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면,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가 이를 촬영하고 교통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vehicle 100 displays an icon or message regarding the status of the vehicle 10,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10,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10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the camera installed on the road This can be filmed and transmitted to the traffic management server.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영상 촬영부(110)를 통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센서 모듈(120)의 출력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pture unit 110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영상 촬영부(110)를 통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센서 모듈(120)의 출력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140 may monitor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pture unit 110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영상 처리 기법을 적용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에 나타난 상황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정상적인 주행 상황에서 나타나는 영상과 촬영된 주변 영상을 비교하거나, 사고나 공사와 같은 돌발 상황 시에 나타나는 영상의 특징을 검출하거나, 전방에 위치하는 보행자, 차선, 횡단 보도 및 신호등을 검출하거나,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적용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10)의 주변에서 발생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apply an image processing technique to detect a situation shown in a captured surrounding image. 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images that appear in normal driving situations with captured surrounding images, detects features of images that appear in unexpected situations such as accidents or construction, or monitors pedestrians, lanes, crosswalks, and traffic lights located in front. The situation occurring around the vehicle 10 can be determined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detection or applying machine learning.

또한, 제어부(140)는 센서 모듈(12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를 식별할 수 있으며, 객체와의 상대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계산하여 차량(10)에 대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an identify objects located around the vehicle 10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calculate the relative distance and relative speed with the object, and You can judge the situation.

예를 들어, 차량(10)은 주변 영상 및 센서 모듈(12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일반 주행 상황인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돌발 상황인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횡단 보도 상에서 보행자가 횡단하는 보행자 횡단 상황인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차선 위반, 신호 위반 등의 위반 상황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ehicle 1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normal driving situation based on the surrounding imag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and the vehicle 10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n unexpected situation with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where a pedestrian is crossing on a crosswalk,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is a violation situation such as a lane violation or a signal violation.

또한, 제어부(140)는 센서 모듈(120)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차량(10)의 급정거 여부, 차량(10)의 이상 여부 등의 차량(10)의 특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a specific state of the vehicle 10, such as whether the vehicle 10 suddenly stops or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vehicle 10,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또한, 제어부(140)는 센서 모듈(120) 구체적으로, 생체신호 센서의 출력 값에 기초하여, 차량(10)의 탑승자 중 환자가 발생한 환자 발생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환자 발생 상황은 차량(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카메라(미도시)를 통하여도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status of a patient among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specifically the bio-signal sensor. At this time, the patient occurrence situation can also be determined through a camera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영상 촬영부(110)를 통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센서 모듈(120)로부터 측정된 차량의 상태,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차량의 주변 상황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주행 중 발생한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상황이 미리 정해진 상황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tatus of the vehicle 10 based on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the state of the vehicle measured from the sensor module 120,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situation that occurred while driving and whether the situation corresponds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 및 상기 결정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at least on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and the determined message.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

이 때,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 및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information abou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ituat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situ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o use at least one of the icons and messages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situation. You can decide on one.

이 때, 외부 디스플레이(150)는 헤드 램프(151), 리어 램프(152), 차량(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153), 차량(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154)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ternal display 150 includes a head lamp 151, a rear lamp 152, a first display 153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0, and a second display provid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10 ( 154) may be included.

또한, 외부 디스플레이(150)는 사이드 미러(103)에 마련되는 제3 디스플레이(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rnal display 15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splay 155 provided on the side mirror 103.

외부 디스플레이(150)에 포함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151, 152, 153, 154, 155)는 복수의 램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램프는 행과 열로 구성된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즉, 외부 디스플레이(150)의 각각의 디스플레이(151, 152, 153, 154, 155)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하는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Each of the displays 151, 152, 153, 154, and 155 included in the external display 15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mps, and the plurality of lamps may b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That is, each display 151, 152, 153, 154, and 155 of the external display 150 may be composed of a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lamps, and the panel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panel. It can be any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panel.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헤드 램프(151) 및 리어 램프(15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ead lamp 151 and the rear lamp 152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an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ccurring situation.

이 때, 눈 형상은 사람의 눈을 형상화한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웃는 표정의 눈을 형상화한 눈 형상으로는 "^^"와 같은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안한 표정의 눈을 형상화한 눈 형상으로는 "ㅠㅠ"와 같은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콘에 따른 눈을 형상화하는 형상이면 눈 형상으로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ye shape may correspond to a shape symbolizing human eyes. For example, an emoticon such as "^^" may be used as an eye shape symbolizing eyes with a smiling expression, and an emoticon such as "ㅠㅠ" may be used as an eye shape symbolizing eyes with an apologetic express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shape that represents the eye according to the ic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an eye shape.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53) 및 제2 디스플레이(15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153 and the second display 154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an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ccurring situation.

이 때, 입 형상은 사람의 입을 형상화한 형상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웃는 표정의 입을 형상화한 눈 형상으로는 입꼬리가 올라간 입 모양을 형상화한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으며, 미안한 표정의 입을 형상화한 입 형상으로는 입꼬리가 내려간 입 모양을 형상화한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콘에 따른 입을 형상화하는 형상이면 입 형상으로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th shape may correspond to a shape symbolizing a human mouth. For example, an emoticon symbolizing a mouth with the corners of the mouth raised may be used as an eye shape symbolizing a mouth with a smiling expression, and an emoticon symbolizing a mouth shape with the corners of the mouth lowered may be used as a mouth shape symbolizing a mouth with an apologetic expression. there i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shape that resembles a mouth according to the icon can be used as a mouth shape without limit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리어 램프(152) 및 차량(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rear lamp 152 and the vehicle to provide the rear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he second display 154 provided on the rear of (10) can be controlled.

이 때, 후방 객체에 영항을 주는 상황은,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일반 주행 상황,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돌발 상황, 횡단 보도 상에서 보행자가 횡단하는 보행자 횡단 상황, 차선 위반, 신호 위반 등의 위반 상황, 차량(10)의 급정거 여부, 차량(10)의 이상 여부 등의 차량(10)의 특정 상태 및 차량(10)의 탑승자 중 환자가 발생한 환자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의 상황에 따라 후방 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tuation affecting the rear object is a general driving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10 is driving, an unexpected situation with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and a pedestrian crossing on a crosswalk. Violation situations such as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s, lane violations, and signal violations, specific conditions of the vehicle 10 such as whether the vehicle 10 suddenly stop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vehicle 10, and patients who become sick among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10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occurrence situ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ituation that may affect the rear objec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또한,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헤드 램프(151) 및 제1 디스플레이(153)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front object,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head lamp 151 and the first The display 153 can be controlled.

이 때, 전방 객체에 영항을 주는 상황은,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일반 주행 상황,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돌발 상황, 횡단 보도 상에서 보행자가 횡단하는 보행자 횡단 상황, 차선 위반, 신호 위반 등의 위반 상황, 차량(10)의 급정거 여부, 차량(10)의 이상 여부 등의 차량(10)의 특정 상태 및 차량(10)의 탑승자 중 환자가 발생한 환자 발생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10)의 상황에 따라 전방 객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tuation affecting the front object is a general driving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10 is driving, an unexpected situation with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and a pedestrian crossing on a crosswalk. Violation situations such as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s, lane violations, and signal violations, specific conditions of the vehicle 10 such as whether the vehicle 10 suddenly stop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vehicle 10, and patients who become sick among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10 It may be at least one of the occurrence situatio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ituation that may affect the front objec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10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control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좌측 사이드 미러(103L)에 마련되는 좌측 제3 디스플레이(155L) 및 우측 사이드 미러(103R)에 마련되는 우측 제3 디스플레이(155R)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use the left third display 155L and the right side display provided on the left side mirror 103L to display the direction of movement that induces movement of the rear object based o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y one of the right third displays 155R provided on the mirror 103R can be controll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로 결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external display 150 to display a message determined to be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한편, 제어부(140)가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는 전술한 주변 영상이나 센서 모듈(120)의 감지 결과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10)은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주변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us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urrounding images or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sensor module 120. For example, the vehicle 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d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situation by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구체적으로, 차량(10)은 통신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주변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선행 차량에 가려져 있거나 주행 중인 도로의 굴곡에 의해 가려진 돌발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를 주변 객체에 알리기 위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vehicle 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surrounding road conditions from an external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40 can obtain information about an unexpected situation that is obscured by a preceding vehicle or a curve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control the external display 150 to notify surrounding objects of this.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10)이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상황 중 복수의 상황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when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the vehicle 10 determines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Whe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tuations occur,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cons and messages can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t.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차량(10)이 횡단 보도를 침범한 상황, 보행자 보행을 위한 신호에 해당하는 상황 및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상황 모두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상황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10 invades the crosswalk,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 signal for pedestrian walking, and a situation in which a pedestrian walking on the crosswalk exists. , if all of the plurality of situations are satisfied,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cons and messages can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t.

이를 위해, 저장부(130)에는, 복수의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o this end, icons and mess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ituation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주변 차량으로부터 주변 차량에 발생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situations occurring in surrounding vehicles from surrounding vehicles.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영상 촬영부(110)를 통하여 촬영된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ct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essage displayed on the external display of a nearby vehicle from the surrounding image captured through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제어부(140)는, 검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situation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shape and message, and control the vehicle 10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상황을 차량(10)의 탑승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차량(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디스플레이(160) 및 스피커(1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내부 디스플레이(160)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스피커(170)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surrounding vehicle, and transmit the determined situation to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10. At least one of the internal display 160 and the speaker 170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internal display 160 can visually output the situation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and the speaker 170 can audibly output the 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can do.

이 때, 내부 디스플레이(160)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rnal display 160 may include a panel. The panels include a cathode ray tube (CRT) panel,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and a plasma display. It may be either a plasma display panel (PDP) or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panel.

또한, 차량(100)에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기능이 장착된 경우, 제어부(140)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브레이크 모듈(미도시), 조향 모듈(미도시), 에어백 모듈(미도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100 is equipped with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function, the control unit 140 automatically controls the brake module (not shown), steering module (not shown), and airbag module as needed. (not shown)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판단된 상황이 전방에 발생한 돌발 상황 또는 차량의 특정 상태(예: 주변 차량의 급정거 또는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급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모듈(미도시)을 제어하거나 방향 전환을 위해 조향 모듈(미도시)을 제어할 수도 있고, 충돌을 회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어백 모듈(미도시)을 제어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determined situation indicates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ring ahead or a specific state of the vehicle (e.g., sudden stop or abnormality of a surrounding vehicl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brake module (not shown) for sudden braking or directs the vehicle. The steering module (not shown) may be controlled for transi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avoid a collision, the airbag module (not shown) may be controlled to deploy the airbag.

또한,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 아이콘 또는 메시지)를 다시 다른 주변 차량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110)가 선행 차량이나 후행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촬영하고, 제어부(140)는 촬영된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검출된 정보는 차량(10)의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표시되어 다른 주변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is also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eg, icons or messages) provided from nearby vehicles to other nearby vehicl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mage capture unit 110 may capture an external display of a preceding or following vehicle,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captured external display. If necessary, the detec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of the vehicle 10 and provided to other surrounding vehicles.

제어부(14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와 프로세서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memory storing a program tha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the operation described later, and at least one processor executing the stored program. In the case where there are multiple memories and processors, it is possible for them to be integrated into one chip, or they can be provided in physically separate locations.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에서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핸드 제스처(Hand Gesture) 및 메시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icons, hand gestures, and messages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situations in the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 및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based on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n ic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and information about a messa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cons or messages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situations.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차량(10)이 주행하고 있는 일반 주행 상황에서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일반 주행 상황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무표정한 얼굴 표정을 형상화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예: Neutral)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또는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이 일반 주행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normal driving situation where the vehicle 10 is driving,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e normal driving situ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e.g., an icon symbolizing an expressionless facial expression) or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 message (eg, Neutral). Through this, nearby pedestrians, nearby vehicles, or other infrastructure that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normal driving situation.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객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는 돌발 상황에서는 돌발 상황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놀란 표정을 형상화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예: Warning 또는 Stop)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또는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이 돌발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주변 차량 중 후방 차량은 돌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전방에 발생한 돌발 상황에 대응하여 조향하거나 제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n unexpected situation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n object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e unexpected situation (e.g., an icon embodying a surprised expression) or a message (e.g., Warning or Stop). )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external display 150. Through this, surrounding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or other infrastructure that have checke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n unexpected situation, and the rear vehicle among the surrounding vehicles is based on the icon o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unexpected situation. This allows you to steer or brake in response to unexpected situations that occur ahead.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의 전방에 위치하는 횡단 보도 상에서 보행자가 횡단하는 보행자 횡단 상황에서는 보행자 횡단 상황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웃는 표정을 형상화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예: Welcome)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는, 차량(10)이 자신을 인지하고 횡단하는 동안 멈춰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where a pedestrian crosses on a crosswalk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10,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an icon (e.g., an icon embodying a smiling expression) or a message (e.g., Welcome) indicating the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 Through this, nearby pedestrians who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safely cross the street by determining that the vehicle 10 will recognize them and stop while crossing.

또한, 제어부(140)는 보행자 횡단 상황임을 나타내는 핸드 제스처(예: 펼쳐진 손을 형상화한 아이콘)를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디스플레이(155)를 확인한 후방 차량은 차량(10)이 보행자 횡단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ler 140 may further control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hand gesture (eg, an icon symbolizing an open hand) indicating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Through this, the rear vehicle that checks the third display 155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이 차선이나 신호를 위반한 위반 상황에서는 위반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미안한 표정을 형상화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예: Sorry)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또는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의 위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violation situation where the vehicle 10 violates a lane or signal, the control unit 140 configures the external display 150 to display an icon (e.g., an icon embodying a sorry expression) or a message (e.g., Sorry) indicating the violation situation. ) can be controlled. Through this, nearby pedestrians, nearby vehicles, or other infrastructure that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e violation situation of the vehicle 10.

또한, 제어부(140)는 위반 상황임을 나타내는 핸드 제스처(예: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손을 형상화한 아이콘)를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더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디스플레이(155)를 확인한 후방 차량은 차량(10)이 위반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손을 확인하고,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조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ler 140 may further control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hand gesture (e.g., an icon symbolizing a hand pointing in a specific direction) indicating a violation situation. Through this, the rear vehicle that checks the third display 155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violation situation, check the hand pointing in a specific direction, and steer to face the specific direction.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이 차량의 특정 상태(예: 주변 차량의 급정거 또는 이상)에서는 차량의 특정 상태를 나타내는 아이콘(예: 당황한 표정을 형상화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예: Stop)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또는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의 특정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display an icon (e.g., an icon embodying a puzzled expression) or a message (e.g., Stop) indicating the specific state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10 is in a specific state (e.g., sudden stop or abnormality of surrounding vehicles). )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external display 150. Through this, nearby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or other infrastructure that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e specific state of the vehicle 10.

이 때, 차량(10)이 급정거 하거나 이상이 있는 상태의 경우, 제어부(140)는 차량의 특정 상태를 나타내는 핸드 제스처(예: 멈춤을 유도하는 핸드 제스처)를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10 suddenly stops or there is an abnormality, the control unit 140 sets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hand gesture (e.g., a hand gesture inducing a stop) indicating a specific state of the vehicle. You can control it.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의 탑승자 중 환자가 발생한 환자 발생 상황에서는 환자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예: 놀란 표정을 형상화한 아이콘) 또는 메시지(예: Help)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또는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이 환자 발생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patient occurrence situation where a patient occurs among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10, the control unit 140 is configured to display an icon (e.g., an icon embodying a surprised expression) or a message (e.g., Help) indicating the patient occurrence situation (external display (e.g., Help). 15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is, nearby pedestrians, nearby vehicles, or other infrastructure that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patient situation.

이 때, 환자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하고 감소함을 반복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의 크기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ey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on representing the patient occurrence situation may repeatedly increase and decrease in size over time.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djust the size of the icon o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occurring situation over time.

상기한 각각의 상황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의 설정 또는 차량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정에 따라 차량(10)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Each of the above-mentioned situations is only an example, and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the vehicle 10 may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or settings at the vehicle design stage.

또한, 각각의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는 대응하는 상황에서 주변 객체(예: 주변 보행자 또는 주변 차량) 또는 기타 인프라에 상황에 따른 차량(10)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해당 상황의 맥락에 맞는 표정의 아이콘 또는 메시지이면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방에서의 충돌 가능성에 따른 돌발 상황에서 제어부(140)는 멈춤을 유도하는 핸드 제스처를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con or message corresponding to each situation is intended to indicate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 surrounding objects (e.g., surrounding pedestrians or surrounding vehicles) or other infrastructure i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the situation. Any icon or message with an appropriate facial expression can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in an unexpected situation due to the possibility of a collision ahead,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hand gesture to induce a stop.

이처럼,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a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it can control the external display 150 to display an icon o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10)이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상황 중 복수의 상황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when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the vehicle 10 determines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Whe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tuations occur,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cons and messages can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t.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차량(10)이 횡단 보도를 침범한 상황, 보행자 보행을 위한 신호에 해당하는 상황 및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상황 모두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상황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10 invades the crosswalk,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 signal for pedestrian walking, and a situation in which a pedestrian walking on the crosswalk exists. , if all of the plurality of situations are satisfied,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cons and messages can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t.

이를 위해, 저장부(130)에는, 복수의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o this end, icons and mess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ituation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이하에서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가 외부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것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Below, displaying icons or messages on the external display 1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아이콘의 형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아이콘의 형상 및 핸드 제스처를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전방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vehicle 10 displays the shape of an icon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plays the shape of an icon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This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shape of an icon and a hand gesture are displayed through,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vehicle 10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ahead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m.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메시지를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헤드 램프(151) 및 제1 디스플레이(153)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object in front,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configured to provide a headlamp ( 151) and the first display 153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헤드 램프(151)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53)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headlamp 151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an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he first display 153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및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이 아이콘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surrounding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and other infrastructure that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n icon or message.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웃는 표정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 보행자는 차량(10)이 자신을 인지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행자는 차량(10)이 보행자 횡단 상황에 있음을 인지하여,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con with a smiling face is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the pedestrian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has recognized him or her, and through this, the pedestrian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By recognizing that it is there, you can cross safely.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메시지를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리어 램프(152) 및 제2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If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use a rear lamp ( 152) and the second display 154 can be controlled.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리어 램프(152)를 제어할 수 있으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rear lamp 152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an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he second display 154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

이를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확인한 주변 보행자, 주변 차량 및 기타 인프라는, 차량(10)이 아이콘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surrounding pedestrians, surrounding vehicles, and other infrastructure that check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n icon or message.

예를 들어,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하여 놀란 표정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 후방 차량은 차량(10)이 전방 객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돌발 상황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으며, 후방 차량 자신도 돌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icon with a surprised expression is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the rear vehicle can recognize that the vehicle 10 is in an unexpected situation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front object, and the rear vehicle itself can also Able to respond to unexpected situation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uses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좌측 사이드 미러(103L)에 마련되는 좌측 제3 디스플레이(155L) 및 우측 사이드 미러(103R)에 마련되는 우측 제3 디스플레이(155R)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left third display 155L provided on the left side mirror 103L to display the direction of movement that induces movement of the rear object based on the occurring situation, and Any one of the right third displays 155R provided on the right side mirror 103R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차량(10)이 전방 객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있는 돌발 상황에 있는 경우, 돌발 상황을 피하도록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유도하는 이동의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이동 방향에 대응하는 제3 디스플레이(155) 즉, 좌측 제3 디스플레이(155L) 및 우측 제3 디스플레이(155R)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vehicle 10 is in an unexpected situation where there is a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a front object, movement of the rear object can be induced to avoid the unexpected situation, and the control unit 140 display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induced movement. One of the third display 155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that is, the left third display 155L and the right third display 155R, can be controll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전방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 미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전방 상황을 나타내는 아이콘에 해당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second display 154 to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ahead. That i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determined by the mirror may correspond to the icon representing the situation ahead.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전방의 상황이 보행자 횡단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전방에서 보행자가 횡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2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situation ahead corresponds to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154 to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at a pedestrian is crossing ahead. can do.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는 아이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보행자 횡단 상황에서는 보행자가 횡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행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의 화살표를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53)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디스플레이(153)에 표시되는 화살표는 실시예에 따란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가는 동영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n ic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may correspond to an icon that can induce movement of the front object. For example, in a pedestrian crossing situation,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first display 153 to display an arrow in the direction intended by the pedestrian so that the pedestrian can cross. At this time, the arrow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153 may be provided as a video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또는 메시지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external display 150 so that an icon or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occurring situation is displayed as a video moving over time.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차량(10)의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10)의 제어 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차량(10)의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aspect will be described. The vehicle 1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used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10. Accordingly, the content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10.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of controlling an external display to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situation in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부(140)는 주변 영상 및 센서 값을 수신할 수 있다(81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영상 촬영부(110)로부터 주변 영상을 수신하고, 센서 모듈(120)로부터 센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센서 값은 센서 모듈(120)의 출력 값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receive surrounding images and sensor values (81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receive surrounding images from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and sensor values from the sensor module 120. At this time, the sensor value means the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120.

또한, 차량(100)에 외부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부(미도시)가 마련된 경우에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주변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if the vehicle 100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situ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부(140)는 주변 영상 및 센서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20).The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urrounding image and sensor values (820).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한 경우(830의 예),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840),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 및 결정된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850).When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example of 830), the control unit 140 of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840), and the determined icon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and the determined message (850).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헤드 램프(151) 및 리어 램프(15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head lamp 151 and the rear lamp 152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an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ccurring situa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1 디스플레이(153) 및 제2 디스플레이(154)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153 and the second display 154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an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occurring situation.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리어 램프(152) 및 차량(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154)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rear lamp 152 and the vehicle to provide the rear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con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The second display 154 provided on the rear of (10) can be controlled.

또한,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헤드 램프(151) 및 제1 디스플레이(153)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front object, the control unit 140 uses the head lamp 151 and the first The display 153 can be controll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제3 디스플레이(155)를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a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control the third display 155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there i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로 결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external display 150 to display a message determined to be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량(10)이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미리 정해진 상황 중 복수의 상황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when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the vehicle 10 determines at least one of an icon and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However,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40, Whe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tuations occur,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cons and messages can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t.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차량(10)이 횡단 보도를 침범한 상황, 보행자 보행을 위한 신호에 해당하는 상황 및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는 상황 모두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상황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표시하도록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whether all of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satisfied: a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10 invades the crosswalk,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 signal for pedestrian walking, and a situation in which a pedestrian walking on the crosswalk exists. , if all of the plurality of situations are satisfied, at least one of the corresponding icons and messages can be determined, and the external display 15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it.

이를 위해, 저장부(130)에는, 복수의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 및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To this end, icons and mess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ituation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주변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에 관한 순서도이다.FIG. 9 is a flowchart of a case in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in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910). 구체적으로, 차량(10)의 영상 촬영부(110)는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vehicl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capture surrounding images (910). Specifically, the image capture unit 110 of the vehicle 10 can capture surrounding images.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촬영된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920). 즉, 제어부(140)는 주변 영상으로부터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 핸드 제스처 또는 메시지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ct an im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nearby vehicle from a captured surrounding image (920). That is, the control unit 140 can detect an icon, hand gesture, or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from surrounding images.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검출된 영상에 기초하여 주변 차량이 제공하는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93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검출된 아이콘 또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상황을 판단하여 주변 차량이 어떤 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information provided by surrounding vehicles based on the detected image (93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corresponding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ed icon or message to determine what situation the surrounding vehicles are i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판단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940).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vehicle 10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940).

즉, 제어부(140)는, 검출된 아이콘, 핸드 제스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상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황에 기초하여 차량(10)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the situation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icon, hand gesture, and message, and control the vehicle 10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 핸드 제스처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된 상황을 차량(10)의 탑승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차량(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부 디스플레이(160) 및 스피커(17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내부 디스플레이(160)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을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스피커(170)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상황을 청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 situ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n icon, a hand gesture, and a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surrounding vehicle, and may transmit the determined situation to the occupants of the vehicle 10. In order to transmit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internal display 160 and the speaker 170 provided inside the vehicle 10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internal display 160 can visually output the situation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and the speaker 170 can audibly output the determined situation based on information provided from surrounding vehicles. can do.

또한, 차량(100)에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기능이 장착된 경우, 제어부(140)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브레이크 모듈(미도시), 조향 모듈(미도시), 에어백 모듈(미도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vehicle 100 is equipped with a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function, the control unit 140 automatically operates the brake module (not shown), steering module (not shown), and airbag module as needed. (not shown) can be controlled.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판단된 상황이 전방에 발생한 돌발 상황 또는 차량의 특정 상태(예: 주변 차량의 급정거 또는 이상)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급제동을 위해 브레이크 모듈(미도시)을 제어하거나 방향 전환을 위해 조향 모듈(미도시)을 제어할 수도 있고, 충돌을 회피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에어백 모듈(미도시)을 제어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determined situation indicates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ring ahead or a specific state of the vehicle (e.g., sudden stop or abnormality of a surrounding vehicl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brake module (not shown) for sudden braking or directs the vehicle. The steering module (not shown) may be controlled for transi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to avoid a collision, the airbag module (not shown) may be controlled to deploy the airbag.

또한, 제어부(140)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 아이콘 또는 메시지)를 다시 다른 주변 차량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영상 촬영부(110)가 전방 차량이나 후방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를 촬영하고, 제어부(140)는 촬영된 외부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검출된 정보는 차량(10)의 외부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표시되어 다른 주변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40 is also capab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eg, icons or messages) provided from nearby vehicles to other nearby vehicle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mage capturing unit 110 may capture an external display of a vehicle in front or behind,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c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captured external display. If necessary, the detec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display 150 of the vehicle 10 and provided to other surrounding vehicles.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storing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in forms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 차량
110: 영상 촬영부
120: 센서 모듈
130: 저장부
140: 제어부
150: 외부 디스플레이
151: 헤드 램프
152: 리어 램프
153: 제1 디스플레이
154: 제2 디스플레이
155: 제3 디스플레이
160: 내부 디스플레이
170: 스피커
10: vehicle
110: Video recording unit
120: sensor module
130: storage unit
140: control unit
150: external display
151: head lamp
152: Rear lamp
153: first display
154: second display
155: third display
160: Internal display
170: speaker

Claims (22)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차량의 상태,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An image capture unit that captures surrounding images;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vehicle,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and
Determining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and an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determin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occurring situation,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receives information about situations displayed on external displays of surrounding vehicles from the surrounding im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헤드 램프, 리어 램프, 상기 차량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ternal display is,
A vehicle including a headlamp, a rear lamp, a first displa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display provid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리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head lamp and the rear lamp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and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A vehicle that do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어 램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controls the rear lamp and the second display to provide the rear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when the generated situation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use 3,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controls the headlamp and the first display to provide the front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when the generated situation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front obj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사이드 미러에 마련되는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ternal display is,
A vehicle including a third display provided on a side mirr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3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determines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rols the third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좌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및 우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차량.
In clause 7,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controls any one of the third display of the left side mirror and the third display of the right side mirror to display the direction of movement lea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ar object based on the generated sit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determines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and controls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the determined messa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차량.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surrounding vehicle from the surrounding imag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According to clause 10,
The control unit,
A vehicle that determines a situation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shape and message and controls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차량의 상태, 상기 차량의 내부 상황 및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외부에 마련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주변 영상 및 상기 센서 모듈의 출력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 vehicle control method including an image capture unit that captures surrounding images, a sensor module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the state of the vehicle, an in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vehicle, and an external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vehicle. Because,
determine whether a predetermined situation occur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captured surrounding image and an output value of the sensor modu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determined situation has occurred, determining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has occurred;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surrounding vehicle from the surrounding ima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헤드 램프, 리어 램프, 상기 차량의 전면에 마련되는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차량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external display is,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including a headlamp, a rear lamp, a first display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display provid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눈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리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고;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입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includes: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head lamp and the rear lamp to display an eye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to display a mouth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발생된 상황이 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어 램프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includes:
If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rear object, controlling the rear lamp and the second display to provide the rear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발생된 상황이 전방 객체에 영향을 주는 상황인 경우, 상기 결정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형상을 상기 전방 객체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헤드 램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includes:
Whe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is a situation that affects the front object, controlling the headlamp and the first display to provide the front obje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icon.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사이드 미러에 마련되는 제3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external display is,
A vehicle control method including a third display provided on a side mirro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핸드 제스처(Hand Gesture)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핸드 제스처에 대응하는 형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제3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Determining a hand gestur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nd controlling the third display to display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hand gestur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상황에 기초하여 후방 객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 방향을 표시하도록 좌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및 우측 사이드 미러의 제3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7,
Controlling any one of the third display of the left side mirror and the third display of the right side mirror to display the direction of movement lea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ar object based on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상황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determine a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situation that has occurred;
Controlling the external display to display the determined messag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영상으로부터 주변 차량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Detecting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message displayed on an external display of a surrounding vehicle from the surrounding image.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형상 및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가 나타내는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21,
determine a situation indicated b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shape and message;
Controlling the vehicle based on the determined situation.
KR1020180159619A 2018-12-12 2018-12-12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621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19A KR102621245B1 (en) 2018-12-12 2018-12-12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619A KR102621245B1 (en) 2018-12-12 2018-12-12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68A KR20200071968A (en) 2020-06-22
KR102621245B1 true KR102621245B1 (en) 2024-01-08

Family

ID=7114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619A KR102621245B1 (en) 2018-12-12 2018-12-12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2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9116A (en) * 2020-08-27 2022-03-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for automatic driving vehicle
FR3130708B1 (en) * 2021-12-21 2024-03-22 Renault Sas Arrangement comprising a cash register and a displa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614A (en) * 2016-08-30 2018-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utomobile state notification device and automobile
US20180173237A1 (en) * 2016-12-19 2018-06-21 drive.ai Inc. Methods for communicating state, intent, and context of an autonomous vehicle
JP2018177043A (en) * 2017-04-14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mobile objec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16155A1 (en) * 2006-10-23 2008-04-30 MEKRA Lang GmbH & Co. KG Multifunction display for a vehicle rearview mirr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34614A (en) * 2016-08-30 2018-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Automobile state notification device and automobile
US20180173237A1 (en) * 2016-12-19 2018-06-21 drive.ai Inc. Methods for communicating state, intent, and context of an autonomous vehicle
JP2018177043A (en) * 2017-04-14 2018-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mobile object,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968A (en)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7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condition of driver
EP3735365B1 (en) Primary preview region and gaze based driver distraction detection
EP2523839B1 (en) Combining driver and environment sensing for vehicular safety systems
US9007198B2 (en) Adaptive Actuator interface for active driver warning
EP35769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lerting a truck driver
US202003794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control handback
US117603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ision avoidance
JP738232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obile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621245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658769B1 (en) Driver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811743B2 (en) Safe driving support device
KR20240035960A (en) Autonomous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US1107232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172803A (en) Traffic obstacle avoidance method and system
KR20230116122A (en) Vehicle, Vehicle Collision-Avoidance system and Collision-Avoidance Method thereof
KR20180024479A (en) Distanc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the forward vehicle
EP4375963A1 (en) Notification method for vehicle driver, notification system and vehicle
US20240174172A1 (en) Notification method, notification system, and vehicle
EP4102323B1 (en) Vehicle remote control device,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vehicle remote control method, and vehicle remote control program
US20230141584A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t least one virtual lane line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23008711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parking tower
KR202400316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lind spot alarm
KR20210101672A (en) Personal mobility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300876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object collision
KR20230130409A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occupant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