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774B1 -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 Google Patents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774B1
KR102620774B1 KR1020230072737A KR20230072737A KR102620774B1 KR 102620774 B1 KR102620774 B1 KR 102620774B1 KR 1020230072737 A KR1020230072737 A KR 1020230072737A KR 20230072737 A KR20230072737 A KR 20230072737A KR 102620774 B1 KR102620774 B1 KR 10262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material
interior
modular building
building interi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윤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이엔지(주) filed Critical 제이에스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23007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끼리 결합되어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이 개시된다.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프레임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부착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다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이 상기 클립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결합된 가스켓이 밀착 접촉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Modular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 unit}
본 발명은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 벽체에 부착 시공되는 경우 작업현장에서 실란트 작업을 할 필요없이 가스켓끼리 서로 밀착 결합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에서 외부 또는 내부 벽체에 외장재를 부착 시공하는 마감처리 공법은,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여기서 습식공법은 시멘트 몰타르를 접착용 재료로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외장재를 부착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몰타르의 양생 시간이 길고, 시공상의 문제점으로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건식공법(dry wall fixing)은 건축물의 벽체에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외장재를 부착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작업 시간이 비교적 짧고, 작업성과 시공상의 장점이 많아 최근 널리 적용되고 있다.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할 수 있는 건축 내·외장재 유닛으로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411340호 등이 있다.이러한 선행기술은 벽면에 철골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내진 성능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등록 특허 제10-2411340호 등의 건축 내·외장재 유닛을 건물의 외벽 또는 내벽에 설치하는 경우 내·외장재를 설치하고 실란트 작업을 하여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이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기존 방식으로 내·외장재를 설치하는 경우 패널들 사이에는 간격이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간격을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막아주지 않으면 비나 눈 등이 오는 경우 벽에 철재 하지틀을 설치하여 패널을 설치할 경우 패널 사이의 간격으로 실런트 불량과 노후로 수분이 침투하여 건물의 누수의 원인이 되며 철재 구조물이 뒤틀리거나 부식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패널들 사이에 기밀이 되지 않는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물의 변형 또는 부식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내·외장재 패널을 설치한 이후 패널들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과 백업제 등을 주입하는 등의 실란트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란트 작업을 하는 경우 설치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추가적인 재료비용, 고가의 인건비 등이 발생하고 시공의 어려움이 증가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실란트 부분의 노후로 인한 기름때 오염과 누수 하자가 발생 되며 지저분해지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 벽체에 부착 시공되는 경우 작업현장에서 실란트 작업을 할 필요없이 가스켓 끼리 서로 밀착 결합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열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끼리 결합되어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프레임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부착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다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이 상기 클립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결합된 가스켓이 밀착 접촉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기둥형상을 가지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탄성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의 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가스켓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의 외측면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가스켓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의 내측면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의 안착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은 내부 공간의 폭보다 입구가 좁도록 상기 안착프레임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홈의 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입구 주변의 걸림턱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은,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단열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패널의 표면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외측 및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 중 절곡된 부분을 둘러싸면서 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단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단열부는 일측에 충진단열 조인트가 주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를 통해 내부에 충진단열 조인트가 충진된 후 경화되면 절단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단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해 열기와 냉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부와 상기 절단부가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을 설치하는 경우 양 측면에 설치된 가스켓 끼리 서로 밀착 지지될 뿐 아니라 가스켓 중 판 형상의 차단부가 전면과 후면을 막아 3중으로 차단을 하므로 비 또는 눈 등이 와도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할 뿐 아니라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가스켓 끼리 밀착되어 탄성부가 서로 밀착 지지되는 경우에도 기밀성 및 수밀성을 기대할 수도 있으나, 단순히 탄성부 끼리 밀착 지지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인 온도 변화를 겪거나 눈, 비, 바람 등을 지속적으로 접하는 경우 변형이 발생하여 수밀성 및 기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가스켓 끼리 밀착되는 경우 탄성부 끼리 밀착 지지될 뿐 아니라 전면부와 후면부에 판형상의 차단부가 패널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어 3중 으로 차단함으로써 수밀성과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가스켓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프레임에 결합 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의 안착홈에 가스켓의 결합부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수밀성 및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스켓을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경우 접착제를 아무리 균일하게 바른다고 하더라도 접착 부분에 공간이 생기거나 습기나 이물질들이 들어가게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떨어지면서 접착 부분이 벌어져 기밀성과 수밀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안착홈에 가스켓의 결합부를 끼워 고정시키고 탄성부끼리 밀착을 하면서 탄성부와 프레임 사이에도 밀착이 발생하게 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수직프레임 사이에 단열재를 배치하고 벽면에 단열재를 설치하지 않고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을 결합함으로써 간단하게 단열재의 설치가 가능할 뿐 아니라 단열재와 패널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단열재와 패널 사이에 밀폐공간을 추가로 형성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내부에 단열재가 충진되고 프레임 사이를 절단하여 열이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프레임 단열부를 프레임 상에 형성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에 결합되는 가스켓(4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된 상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40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에 결합되는 가스켓(4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된 상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스켓(400)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과 결합되어 건축물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은 건축물의 벽체에 결합되고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과 결합되어 건축물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이 건축물에 결합되는 일 실시예로,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의 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 브라켓(161)이 고정 설치되고, 브라켓(161)이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볼트(160)와 결합 고정됨으로써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은 다른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도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이 반드시 브라켓(161)과 앵커볼트(160)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 230), 적어도 하나의 클립(140) 및 복수의 가스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은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고 측면에 안착프레임(710, 730)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프레임(710, 730)의 내부에는 안착홈(H1, H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130, 230)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클립(140)은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다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끼리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립(140)이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의 수직프레임(120)의 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200)의 수직프레임(210)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100과 200)이 결합될 수 있다.
가스켓(400)은 탄성재질을 가지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 각각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안착홈(H1, H2)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의 경우 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가스켓(400)이 결합되고 수직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가스켓(400)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200)의 경우에도 수직프레임(210)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가스켓(400)이 결합되고 수직프레임(220)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가스켓(40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클립(140)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결합된 가스켓(400)이 밀착 접촉하면서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사이(100, 200)의 공간을 밀폐시켜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에 결합된 클립(140)이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200)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경우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의 측면에 결합된 가스켓(400)과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200)의 측면에 결합된 가스켓(400)이 서로 밀착 접촉하면서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과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200)의 사이의 측면 공간 노출을 차단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실란트 작업을 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스켓(40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기둥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스켓(400)은 탄성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가스켓(400)이 반드시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탄성력을 가지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탄성력을 가지고 서로 밀착 접촉하면서 결합되어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스켓(400)은 결합부(410), 탄성부(420) 및 차단부(4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탄성부(420)는 결합부(410) 및 차단부(420)와 연장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400)이 안착홈(H1, H2)에 삽입되는 경우 탄성부(420)는 안착홈(H1, H2)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웃하는 가스켓(400)끼리 밀착 접촉을 하는 경우 이웃하는 가스켓(400)의 탄성부(420)의 측면이 면접촉을 하면서 탄성 변형되어 서로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즉,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부(420)끼리 서로 면접촉을 하는 경우 변형이 일어나면서 탄성부(420) 사이의 공간이 완전히 밀착되게 된다. 탄성부(42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단면 형상이 타원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가스켓(400)끼리 접촉하는 경우 탄성부(420)의 측면이 면접촉되면서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면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결합부(410)는 탄성부(420)에 연장되어 탄성부(420)의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안착홈(H1, H2)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홈(H1, H2)은 내부 공간의 폭보다 입구가 좁도록 안착프레임(710, 7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켓(400)의 결합부(410)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홈(H1, H2)의 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입구 주변의 걸림턱(720, 740)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결합부(410)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안착홈(H1, H2)도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410)가 안착홈(H1, H2)에 삽입되어 결합된 후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면 결합부(410) 및 안착홈(H1, H2)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차단부(430)는 탄성부(42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판 형상을 가지고 탄성부(420)의 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420)를 기준으로 결합부(410)가 돌출되는 방향과 차단부(430)가 돌출되는 방향을 반대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420)의 전면(도 7에서 탄성부의 아래쪽 면) 또는 후면(도 7에서 탄성부의 위쪽 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면과 후면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한 면으로 이웃하는 가스켓(400)끼리 밀접 접촉하는 경우 다른 가스켓(400)의 탄성부(430)의 전면 또는 후면을 가리면서 덮을 수 있는 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안착홈(H1)에 삽입된 가스켓의 차단부(430)는 탄성부(420)의 전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이웃하는 가스켓끼리 밀접 접촉하는 경우 이웃하는 가스켓의 탄성부(420')를 덮으면서 안착프레임(240)에 접촉하여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100, 200) 사이의 공간의 외측면을 차단하여 수밀 및 기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안착홈(H2)에 삽입된 가스켓의 차단부(430')는 탄성부(420')의 후면에 연장되어 형성되어 이웃하는 가스켓끼리 밀접 접촉하는 경우 이웃하는 가스켓의 탄성부(420)를 덮으면서 안착프레임(140)에 접촉하여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100, 200) 사이의 공간의 내측면을 차단하여 수밀 및 기밀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중 하나의 수직프레임(120)에 결합된 가스켓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의 외측면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차단부(430)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중 나머지 하나의 수직프레임(110)에 결합된 가스켓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의 내측면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차단부(430)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상기 가스켓들끼리 밀착하여 접촉되어 결합된 경우, 차단부(430)에 의한 1차적 수밀과 기밀, 탄성부들(420, 420') 사이의 밀접 접촉에 따른 2차적 수밀과 기밀, 차단부(430')에 의한 3차적 수밀과 기밀을 통해 수밀성과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오랜 시간동안 수밀성과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차단부(430)의 끝단이 안착프레임(240)의 측면 벽에 접촉하고 차단부(430')의 끝단이 안착프레임(140)의 측면 벽에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차단부(430, 430')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면 상기 안착프레임의 다른 위치에 접하거나 수직프레임 중 다른 부분에 접촉하는 등 다양한 위치에 접촉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 사이에 단열재(150, 2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단열재(150, 250)와 패널(130, 230)의 표면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단열재(150, 250)와 패널(130, 230)의 표면이 이격되어 형성됨으로써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재(150, 250)는 판 형상의 단열재 또는 우레탄 폼 등의 폼 형태가 굳어 형성된 단열재 일 수 있다. 단열재(150, 250)의 외측 및 내측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평판 형상을 가지는 결합판(310)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결합판(310)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의 외측 및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판(310)은 아연도금 철판일 수 있다. 결합판(310)은 단열재(150, 250)와 외부를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결합판(310)이 결합되어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이 결합되는 공간에도 단열재를 결합시킨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을 결합하고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100, 200)의 측면 사이의 공간에도 단열재를 결합시킴으로써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은 상기 수직프레임 중 절곡된 부분을 둘러싸면서 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단열부(500, 5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 단열부(500, 550)는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과 일 면을 공유할 수도 있다. 프레임 단열부(500, 550)는 주입부(510, 560) 및 절단부(520, 570)를 구비할 수 있다. 주입부(510, 560)는 일측에 충진단열 조인트(AZON)(530, 580)가 주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는 부분이고, 절단부(520, 570)는 주입부(510, 560)를 통해 내부에 충진단열 조인트(AZON)(530, 580)가 충진된 후 경화되면 절단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주입부(510, 560)를 통해 충진단열 조인트(AZON)(530, 580)를 주입하고, 충진된 충진단열 조인트(AZON)(530, 580)가 경화되면 절단부(520, 570)를 절단함으로써 절단부(520, 570)도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을 통해 전달되는 열기와 냉기가 주입부(510, 560)와 절단부(520, 570)를 통해 차단되어 더 이상 열기와 냉기가 전달되지 않으므로 단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 단열부(500, 550)는 수직프레임(110, 120, 210. 220)을 통해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주입부(510, 560)와 절단부(520, 570)가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끼리 결합되어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배치되고, 내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프레임이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외측에 부착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웃하는 다른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의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각각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이 상기 클립에 의하여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에 결합된 가스켓이 밀착 접촉하면서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가스켓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기둥형상을 가지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 및
    상기 탄성부의 전면 또는 후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의 타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가스켓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의 외측면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가스켓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들 사이의 공간의 내측면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이웃하는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차단부가 이웃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의 안착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상기 탄성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내부 공간의 폭보다 입구가 좁도록 상기 안착프레임 상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안착홈의 입구를 통해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입구 주변의 걸림턱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앵커볼트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단열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단열재와 상기 패널의 표면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외측 및 내측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평판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수직프레임 중 절곡된 부분을 둘러싸면서 관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단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단열부는,
    일측에 충진단열 조인트가 주입되도록 개방되어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를 통해 내부에 충진단열 조인트가 충진된 후 경화되면 절단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단열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해 열기와 냉기가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주입부와 상기 절단부가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KR1020230072737A 2023-06-07 2023-06-07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KR102620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737A KR102620774B1 (ko) 2023-06-07 2023-06-07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737A KR102620774B1 (ko) 2023-06-07 2023-06-07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774B1 true KR102620774B1 (ko) 2024-01-05

Family

ID=8954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737A KR102620774B1 (ko) 2023-06-07 2023-06-07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7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0265A (ko) * 2011-10-12 2011-11-03 이봉재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20120074124A (ko) * 2010-12-27 2012-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102411340B1 (ko) * 2021-11-15 2022-06-22 제이에스이엔지(주) 내진형 건축 내ㆍ외장재 유닛 시스템
KR102474850B1 (ko) * 2021-09-07 2022-12-05 김성범 내진 열교차단 건축물 마감 패널의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124A (ko) * 2010-12-27 2012-07-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유닛 타입 스틸 커튼월의 수직부재 및 수평부재 장착구조
KR20110120265A (ko) * 2011-10-12 2011-11-03 이봉재 건물의 외벽면 마감 유니트
KR102474850B1 (ko) * 2021-09-07 2022-12-05 김성범 내진 열교차단 건축물 마감 패널의 시공구조
KR102411340B1 (ko) * 2021-11-15 2022-06-22 제이에스이엔지(주) 내진형 건축 내ㆍ외장재 유닛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15B1 (ko) 건축물에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가 가능한 외장패널용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조립 시스템
US3052330A (en) Curtain wall assembly
KR20100116924A (ko) 커튼월용 외벽 단열 유니트 패널 및 그 설치구조
KR100652129B1 (ko) 가스켓을 사용한 단열 구조를 가진 은폐식 커튼월 시스템
KR102021454B1 (ko) 오버드레인 배수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KR101047308B1 (ko) 오픈조인트 공법을 이용한 건물외벽의 외장구조
KR102406903B1 (ko) 화재확산방지 및 내진성능을 갖는 오픈조인트패널조립체
KR102620774B1 (ko) 모듈형 건축 내·외장재 유닛
KR102021445B1 (ko) 장식 루버 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오픈조인트 내진 패널조립체
CN211523557U (zh) 一种石材幕墙的顶板防水密封结构
KR10080584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이음장치 및 설치방법
KR102381921B1 (ko) 방음터널의 태양광패널 결합구조물
KR102173878B1 (ko) 이중 누수방지 기능을 갖는 외장패널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CN214168804U (zh) 涵洞及其涵身结构
CN212898112U (zh) 一种窗框安装结构
KR102277966B1 (ko) 가스켓이 생략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KR102069762B1 (ko) 오픈조인트 패널용 하지틀 방수조립체
KR200224314Y1 (ko) 무코킹 건축용 외장패널
KR102567941B1 (ko) 수밀성의 누음 방지 구조를 갖는 방음판
KR200296668Y1 (ko) 조립식 패널의 설치구조
KR100333118B1 (ko) 단열 및 방수효과가 우수한 슬라브 지붕 보수를 위한 시공방법
JPH084220A (ja) 断熱屋根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JPH0776888A (ja) 外壁板接合部の雨仕舞い構造
JPH09228562A (ja) 断熱パネルとその接続構造
KR102277972B1 (ko) 통기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오픈조인트 패널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