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674B1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 Google Patent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674B1
KR102620674B1 KR1020210005213A KR20210005213A KR102620674B1 KR 102620674 B1 KR102620674 B1 KR 102620674B1 KR 1020210005213 A KR1020210005213 A KR 1020210005213A KR 20210005213 A KR20210005213 A KR 20210005213A KR 102620674 B1 KR102620674 B1 KR 10262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erminal
area
buy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2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2823A (en
Inventor
심현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5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74B1/en
Priority to PCT/KR2022/000781 priority patent/WO2022154604A1/en
Publication of KR2022010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부(18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부(220)와 통신부(28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구매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하여 구매자의 연령대 및 성별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는 서로 연동하는데,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을 위해 지불할 경우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120,220)에는 지불해야할 금액을 실물 화폐에 대응되는 가상 화폐의 이지지를 통해 제공하고 결제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kiosk terminal 100 including a display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10, a display unit 220, and a communication unit 280. ) and a purchaser terminal 200 including a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iosk terminal 100 can provide the display unit 120 with a UI (User Interface) screen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r's age and gend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ere,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200 are interconnected, and when the buyer pays for the selected product, the amount to be paid is displayed in real currency on the display units 120 and 2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200. You can provide and make payment through Ejiji of the corresponding virtual currency.

Figure R1020210005213
Figure R1020210005213

Description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여 유저에 따라 다르게 UI를 제공하고 결제를 안내하도록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that provides a different UI and guides payment depending on the use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일반적으로 키오스크(KIOSK)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대중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나 상점 등에 설치한 무인 단말기를 말한다. 보통 각종 공공시설, 대형서점, 백화점, 전시장 또는 공항이나 철도역 등에 설치하여 각종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및 결제, 시설물의 이용 방법 등을 제공한다. In general, KIOSK refers to an unmanned terminal installed in public places or store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se it for unmanned automation of information services and work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ield. It is usually installed in various public facilities, large bookstores, department stores, exhibition halls, airports or railway stations to provide various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t information and payments, and methods of using facilities.

대부분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손을 화면에 갖다 대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채택하여 단계적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고,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장점 외에도, 정보 제공자 쪽에서 보면 직접 안내하는 사람을 두지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력절감 효과가 크므로, 시간이 갈수록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동네 골목상점까지 키오스크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most cases, touch screens, which allow users to place their hands on the screen rather than using a keyboard, can be used to easily search step by step. In addition to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information providers do not need to have a direct guide. Because of the significant manpower saving effect, the market is growing over time, and recently, kiosks are being installed even in neighborhood stores.

키오스크를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하는 방법은 보통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와 같은 카드를 이용하는 방법과 현금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실제로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는 비율이 높아지고 디지털 결제방식을 선호하며 또한 키오스크 내 현금제어기의 미설치에 따른 비용 절감 차원에서 현금으로 결제를 하지 않는 키오스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The methods of purchasing and paying for products through kiosks are usually using cards such as credit cards or check cards, or using cash. Recently, the proportion of people who do not actually carry cash has increased, and digital payment methods are preferred. The number of kiosks that do not accept payment in cash is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costs due to non-installation of cash controllers in kiosks.

그러나 노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현금으로 결제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청년이나 중장년층도 현금 결제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However, the elderly and children often pay with cash rather than using a card, and many young people and middle-aged people also prefer cash payments.

한편,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의 경우 키오스크가 제공하는 메뉴 제공이나 선택 등의 안내 화면이 복잡해서 이용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노인의 경우 시력이 안좋으므로 화면의 활자나 이미지가 작아서 이용에 불편을 느낄 수 있고, 어린이나 장애인(예를 들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나 환자)의 경우 신장이 일반인에 비해 작으므로 안내 화면의 눈높이가 맞지 않으며 터치 입력에 따른 선택의 어려움이 있다.Meanwhile, the elderly, children, or the disabled may have difficulty using the kiosk because the guidance screens for menu provision or selection are complicated. In addition, the elderly may have poor eyesight, so they may experience inconvenience in using the screen because the type or images on the screen are small. In the case of children and disabled people (for example, disabled people or patients in wheelchairs), their height is shorter than that of the general public, so the information screen may be difficult to use. The eye level is not right and there is difficulty in making selections based on touch inpu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9258호(2019.02.12.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49258 (registered on February 12, 20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객의 성별과 연령대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노인이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의 경우 그에 맞는 UI를 다르게 제공하도록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rmine the gender and age of customers using the kiosk, and to provide different UI appropriate for the elderly, children, or disabled peop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또한, 노인이나 어린이와 같이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금전거래에 취약한 사람들에게 지불해야 할 금액을 화폐 이미지로 제공함으로써 거래 및 결제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e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that facilitates transactions and payments by providing a currency image of the amount to be paid to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financial transactions without using cards, such as the elderly or children. There is another purpos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부(18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부(220)와 통신부(28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구매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kiosk terminal 100 including a display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10; And, a purchaser terminal 200 including a display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80, and a control unit 210.

여기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구매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를 촬영하여 이를 제어부(110)에 전송하는 카메라(150);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받아 사용자의 얼굴과 신장 및 복장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분석하여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를 파악하는 고객 판단부(140); 및,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서로 다른 UI(User Interface)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고객 판단부(140)에 의해 파악된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Here, the kiosk terminal 100 includes a camera 150 that photographs the buyer's body including the fa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10; Customer judgment is made by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analyz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face, height, and cloth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o determine the buyer's gender and age group. Wealth (140); And, a storage unit 130 in which different UI (User Interface) provision programs are stored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purchaser. Depending on gender and age, a corresponding UI (User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판단하는 구매자의 연령대는, 일반인, 청소년, 노인, 어린이, 장애인으로 구분한다.The age group of the buyer determined by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is divided into the general public, teenagers,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disabled.

이에 따라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노인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일반인 및 청소년에 제공되는 UI 화면보다 활자 및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메뉴에 대한 설명 및 노인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활자 및 이미지에 애니메이션 또는 웹툰 화면이 같이 제공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어린이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is elderly,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UI screen with relatively larger fonts and images than the UI screen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youth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and can also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the elderly. In addition, when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group is a child,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UI screen in which an animation or webtoon screen is provided along with the type an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Additionally, a description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children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 또는 장애인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의 하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group is a child or a disabled person, 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the UI screen on the lower part of the display unit 120.

또한 상기 고객 판단부(140)는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로 판단되는 경우,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으로 획득한 구매자의 얼굴에 구매자가 선호하는 캐릭터를 합성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어린이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 제공시 같이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buyer's age group is a child,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generates a video or image combining the buyer's preferred character with the buyer's face obtained from a camera image using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echnology. , it can be provided along with an explanation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children.

한편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구매자의 상품구매 입력에 따라, 결제금액 및 현금 구매 또는 카드 구매 안내 화면을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구매자의 현금 구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폐 종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제1 영역(122)에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상기 구매자의 현금 구매 입력을 키오스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동일한 복수의 화폐 종류의 이미지를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displays the payment amount and a cash purchase or card purchase inform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buyer's product purchase input, and displays the purchaser's cash purchas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When a purchase input is received, images of a plurality of currency typ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yment amount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controls the purchaser's When receiving a cash purchase input from the kiosk terminal 100, images of the same plurality of currency typ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t can be displayed in area 222.

또한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화폐 중 어느 하나의 화폐가 구매자로부터 스크롤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 영역(224)으로 옮겨지면,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서 상기 스크롤된 해당 화폐의 이미지를 삭제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제2 영역(224)에 상기 해당 화폐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구매자의 스크롤 입력을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 및 제2 영역(224)에 표시된 동일한 화폐 이미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의 제1 영역(122) 및 제2 영역(124)에 표시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있는 모든 화폐가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 영역(224)으로 구매자의 스크롤 입력에 의해 이동된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결제 완료 확인을 표시하고, 구매자로부터 결제 완료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결제를 종료한다.In addition,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cie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changed to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by a scroll input from the purchaser. ),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deletes the scroll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currency from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and displays the scrolled image of the currency in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00. ) displays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currency, and whe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receives the purchaser's scroll inpu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200,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 The same currency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222 and the second area 224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 and the second area 124 of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there is. When all the currency i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moved to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by the purchaser's scroll input, the purchaser terminal 200 )'s control unit 210 displays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on the display unit 220, and terminates payment when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is input from the buyer.

또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상기 제1 영역(122)의 일측부에 '지불해야 할 금액' 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124)의 일측부에 '지불된 금액'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60)를 통해 상기 제1 영역(122)에 표시된 화폐 종류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할 금액'으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124)에 표시된 화폐 종류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할 금액'으로 음성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displays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mount to be paid' on one side of the first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and displays characters corresponding to 'amount to be paid' on one side of the first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amount paid' are displayed on one side of 124, or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rrenc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 is displayed as 'amount to be paid' through the speaker 160. A voice can be output, and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rrenc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4 can be output as a 'amount to be paid'.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구매자의 연령대와 성별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변화된 UI를 제공함으로써, 키오스크 이용 취약계층인 노인과 어린이 및 장애자가 좀더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determine the age and gender of the purchaser and providing a changed UI accordingly,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to using kiosks, can use them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불해야할 금액을 실물 화폐에 대응되는 가상 화폐의 이지지를 통해 제공하고 결제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이나 금전거래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인이나 어린이가 직관적인 방식으로 손쉽게 결제할 수 있고 좀 더 실감나는 결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d paying the amount to be paid through the ease of virtual currency corresponding to real currency, the elderly or children who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digital or monetary transactions can easily make payments in an intuitive manner.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ore realistic payment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키오스크 단말기와 구매자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kiosk terminal and buyer terminal of Figure 1;
3 to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1000)은 키오스크 단말기(100), 구매자 단말기(200), 관리서버(400) 및 금융기관 서버(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iosk terminal 100, a purchaser terminal 200, a management server 400, and a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300. Includes.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상점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는 무인 정보 단말기로서, 상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의 결제 요청에 의해 결제 화면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The kiosk terminal 100 is an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 installed in a specific location, such as a store,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products sold in the store and provides payment screen information upon a purchaser's payment request.

관리서버(400)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연계되어 키오스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현금 또는 카드 결제 처리 요청에 따라 결제 서비스를 담당하거나 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서버(이하 '금융기관 서버')와 결제 요청 신호, 결제 수락 신호,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결제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통신망을 통해 키오스크 단말기(100) 및 구매자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400 is linked to the kiosk terminal 100 and is a server of an institution that is in charge of payment services or provides payment agency services according to requests for cash or card payment processing received from the kiosk terminal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 and payment request signals, payment acceptance signals, and signals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dditionally, applications required for payment can be provided to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망(10)은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관리서버(400), 구매자 단말기(200)와 관리서버(400), 관리서버(400)와 금융기관서버(300)와 정보를 주고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망(10)은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관리서버(400)간 또는 구매자 단말기(200)와 관리서버(400)간, 관리서버(400)와 금융기관서버(300)간의 결제 및 콘텐츠 서비스에 필요한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각종 유무선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0 performs the ro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300. You can. In other words,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provides payment and content services between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between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between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3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the necessary signals.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include various wired and wireless networks.

한편,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는 서로 RFID, NFC, 블루투스, 비콘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또한 UI 화면 및 결제 관련 서비스의 동기화가 가능한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200 can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RFID, NFC, Bluetooth, and beacons, and synchronization of UI screens and payment-related services is possibl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저장부(130), 고객 판단부(140), 카메라(150), 스피커(160), 카드 리더부(170) 및 통신부(18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2, the kiosk terminal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 customer judgment unit 140, a camera 150, a speaker 160, and a card reader unit 170. ) and a communication unit 180.

제어부(110)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4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및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의 결제 및 콘텐츠 정보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kiosk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and the purchaser's payment and content information requests can be processed.

디스플레이부(120)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트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부(120)는 입력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화면 전체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단측 일부만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제어부(1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can visually output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kiosk terminal 100. The display unit 120 may be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When the display unit 120 forms a layered structure with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20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unit. The display unit 120 is a touch screen, and the entire screen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or only a portion of the lower par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display unit 120,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0.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고객의 연령층 및 성별에 따라 UI를 다르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programs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110 and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pay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a program that provides a different UI depending on the customer's age group and gender.

카메라(150)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 상부에 설치되어 키오스크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고객)의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를 촬영하여 이를 제어부(110)에 전송한다.The camera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captures the body including the face of the user (customer) using the kiosk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is to the control unit 110.

스피커(160)는 제어부(110)의 명령에 따라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peaker 160 can output audio according to commands from the control unit 110.

고객 판단부(140)는 제어부(110)로부터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받아 사용자의 얼굴, 신장. 복장 등을 분석하여 고객(사용자)의 연령대 및 성별을 파악할 수 있다. 고객 판단부(140)는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의 연령대 및 성별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딥러닝(머신러닝) 엔진이나 딥러닝(머신러닝)을 위해 기초로 필요한 데이터셋(DATA SET)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에 탑재될 수 있거나 또는 관리서버(400)에 탑재될 수 있다.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receives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determines the user's face and height. By analyzing clothing, etc., the age and gender of the customer (user) can be determined.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can determine the age and gender of the custom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For this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engine or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The database in which the required data set (DATA SET) is stored can be mounted on the kiosk terminal 100 or the management server 400.

고객 판단부에서 채용하는 딥러닝(머신러닝) 엔진은 공지의 알려인 다양한 오픈소스 엔진을 이용할 수 있는데, 카메라의 영상으로부터 얼굴, 피부색이나 검버섯, 피부상태 등, 신장, 성별, 골격을 감지 및 분석하여 고객의 연령대 및 성별을 판단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객 판단부(140)는 구매자의 연령대를 일반인, 청소년, 노인, 어린이, 장애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engine employed by the customer judgment department can use various well-known open source engines. It detects and analyzes the face, skin color, age spots, skin condition, etc., height, gender, and skeleton from the camera image. to determine the customer's age and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can classify the purchaser's age into the general public, teenagers, elderly people, children, and the disabled.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30)에는 고객의 연령층 및 성별에 따른 각기 다른 UI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되는데, 고객 판단부(140)가 구매자의 연령대를 일반인, 청소년, 노인, 어린이, 장애인으로 구분하는 경우, 그에 따른 각기 다른 UI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different UI provision program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30 according to the customer's age group and gender. When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divides the purchaser's age group into the general public, teenagers, elderly people, children, and the disabled. , different UI provision programs may be stored accordingly.

제어부(110)는 고객 판단부(140)에 의해 파악된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may display a corresponding UI (User Interfac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group of the buyer identified by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일반적으로 키오스키의 경우 성인 일반인의 평균 신장에 맞춰 설치 및 화면이 안내되는데, 예를 들어 도 3의 경우 일반인 및 청소년에 제공되는 UI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노인으로 판단하는 경우 노인의 경우 시력이 않좋은 경우가 많으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 도 3의 경우보다 활자나 이미자가 상대적으로 큰 UI 화면을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뉴에 대한 설명 및 노인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를 영상 또는 이미지 등이나 쉬운 용어로 표현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in the case of kiosks, installation and screen information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average height of adults. For example, Figure 3 shows a UI screen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teenagers. Here, when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buyer's age is elderly, elderly people often have poor eyesight, so as shown in FIG. 4, the type or image is relatively larger than in the case of FIG. 3. The UI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10 may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the elderly to the display unit 120 by expressing them in videos, images, etc., or in easy terms.

한편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활자 및 이미지에 애니메이션 또는 웹툰 화면이 같이 제공되는 UI 화면을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어린이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group is a child,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UI screen in which an animation or webtoon screen is provided along with the typeface and image to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 and also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children.

또한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 또는 장애인으로 판단되는 경우, 어린이와 장애인은 상대적으로 키가 작으므로 상기 제어부(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인 및 청소년에 제공되는 UI 화면보다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의 더 아래쪽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group is a child or a disabled person, since children and disabled people are relatively short, the control unit 110 provides a product to the general public and teenagers as shown in FIG. It can be displayed lower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than the UI screen.

또한 상기 고객 판단부(140)는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딥러닝(머신러닝) 중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으로 획득한 구매자의 얼굴에 구매자가 선호하는 캐릭터를 합성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추천 메뉴 제공시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는 서로 통신으로 연동할 수 있는데, 고객 판단부(140)는 구매자인 어린이가 평소에 사용하는 유튜브, 게임, 컨텐츠 등을 고객 단말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선호 캐릭터 또는 인기 캐릭터를 추출하여 해당 캐릭터에 고객 얼굴의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buyer's age group is a child, for example, the buyer's face obtained from a camera image using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echnology during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used to identify the buyer. A composite video or image of a preferred character can be provided together with the recommended menu. As described above,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purchaser terminal 200 can be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about YouTube, games, content, etc. that the purchaser child usually uses. can be received and identified, preferred characters or popular characters can be extracted accordingly, and an image of the customer's face can be combined with the corresponding character and provided.

카드리더부(170)는 구매자가 카드 결제시 제공한 카드의 카드 정보를 읽어들인다. 즉 키오스크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경우 구매자는 현금 또는 카드로 결제할 수 있는데,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카드리더기(130)는 읽어낸 카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카드리더기(170)가 읽을 수 있는 카드의 종류에는 현금카드,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을 포함된다. The card reader unit 170 reads card information of the card provided by the buyer when making a card payment. That is, when paying using the kiosk terminal 100, the buyer can pay with cash or a card. When paying with a card, the card reader 130 transmits the read car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110. Types of cards that the card reader 170 can read include cash cards, credit cards, check cards, etc.

통신부(180)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관리서버(400) 및 금융기관 서버(300)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신망(10)에서 서버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 및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80)는 고객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예를 들어, RFID. NFC, 블루투스, 비콘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kiosk terminal 100,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3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exchanges wireless signals with the server. 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180 is a module f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ustomer terminal 200, for example, RFID. It can be equipped with NFC, Bluetooth, beacons, etc.

본 발명의 구매자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워치 등 이동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다양한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The buy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variety of smart devices that are movable and include a display unit, such as a mobile phone, smartphone, smart pad, or smart watch.

도 2를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기(200)는 제어부(210), 디스플레이부(220), 저장부(230) 및 통신부(280)를 포함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구매자 단말기(200)는 이 외에 공지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urchaser terminal 200 includes a control unit 210, a display unit 220, a storage unit 230, and a communication unit 280. Although not shown, the purchaser terminal 200 includes various known devices. May contain components.

제어부(21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관리서버(4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및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2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자의 결제 및 콘텐츠 정보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applic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400, the relat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unit 220, and the purchaser's payment and content information requests can be processed.

디스플레이부(220)는 구매자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트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D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가 터치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부(220)는 입력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터치스크린으로서 화면 전체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단측 일부만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제어부(21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20 may visually output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urchaser terminal 200. The display unit 220 may be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When the display unit 220 forms a layer structure with a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220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unit. The display unit 220 is a touch screen, and the entire screen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or only a portion of the lower par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When there is a touch input on the display unit 220,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10.

저장부(230)는 제어부(2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결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230 may store a program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210 and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pay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부(280)는 구매자 단말기(200)와 관리서버(400) 및 금융기관 서버(300)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신망(10)에서 서버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모듈 및 무선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280)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모듈 예를 들어, RFID. NFC, 블루투스, 비콘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8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purchaser terminal 200, the management server 400, and the financial institution server 3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exchanges wireless signals with the server. 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280 is a module f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kiosk terminal 100, for example, RFID. It can be equipped with NFC, Bluetooth, beacons, etc.

한편, 구매자 단말기(200)가 상술한 스마트기기로 구형되는 경우, 스마트 기깅 내장된 GPS 측위 모듈, Wi-Fi 측위 모듈, 지자기 센서 모듈, 비콘(beacon) 측위 모듈을 통해 구매다 단밀기(200)의 위치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smart device, the purchaser device 200 is purchased through a GPS positioning module, a Wi-Fi positioning module, a geomagnetic sensor module, and a beacon positioning module with a built-in smart device. Location information, etc.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구매자 단말기(200)가 키오스크 단말기(100)에 근접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기(200)가 키오스크 단말기(100)에 근접하는 것을 인식하고 서로 연동하는 기술은 전술한 바와 GPS, Wi-fi, 지자기 센서 또는 블루투스 비컨 등의 방식을 하나 또는 두개 이상 복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First, when the purchaser terminal 200 approaches the kiosk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may run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for recognizing that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close to the kiosk terminal 100 and interoperating with each other is possible by using one or more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such as GPS, Wi-fi, geomagnetic sensors, or Bluetooth beacons, in combination. .

다음으로, 구매자 단말기(200)를 소지한 구매자가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점에서 어떠한 물건을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고객 판단부(140)는 구매자의 연령층 및 성별을 판단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Next, when a buyer holding the buyer terminal 200 wants to purchase something at a store using, for example, the kiosk terminal 100,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buyer's age group and gender as described above. can be determined, and as shown in FIGS. 3 to 5, the control unit 110 provides a UI screen corresponding thereto.

그 후 구매자는 결제를 하게 되는데,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Afterwards, the buyer makes a payment. Hereinafter, the payment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는 서로 연동하여 애플리케이션이 같이 구동되며, 구매자가 선택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하 결제를 화면을 통해 또는 음성으로 입력하게 되면,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도 6과 같은 결제를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구매자의 상품구매에 따른 결제 입력에 따라, 해당 상품의 결제금액(21,500)과 현금 구매 또는 카드 구매 안내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buyer terminal 200 are linked to each other and the application runs together, and when the buyer inputs payment through the screen or by voice to purchase the selected product,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 may provide a screen for payment as shown in FIG. 6 to the display unit 120.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can display the payment amount (21,500) for the product and a cash purchase or card purchase inform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purchaser's payment input for product purchase. there is.

구매자가 결재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스피커(160)를 통해 해당 메뉴가 맞는지 시각적으로 또는 음성으로 알려줄 수 있다, When the buyer enters a payment, the control unit 110 can inform visually or vocally whether the menu is correct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or the speaker 160.

구매자가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현금 구매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수신한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도 7와 같이 해당 결제금액(21,500원)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폐 종류의 이미지, 즉 1만원권 화폐 이미지 2개, 1천원권 화폐 이미지 1개, 500원권 화폐이미지 1개 총 5개의 화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제1 영역(122)에 표시할 수 있다. When a buyer enters a cash purchase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that receives this receives the payment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amount (21,500 won), as shown in FIG. 7. A total of five currency images, including two 10,000 won note images, one 1,000 won note image, and one 500 won note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there is.

한편,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은 통신부를 통해 구매자의 현금 구매 입력 신호를 키오스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도 7의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동일한 화면을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와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는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control unit 210 of the buyer terminal 200 receives the buyer's cash purchase input signal from the kiosk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in FIG. The same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That is, the sam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서의 터치 입력에 따라 도 7의 화면에 나타난 제1영역(222)에 있는 복수의 화폐 중 어느 하나의 화폐를 도 7와 같이 아래의 제2영역(224)로 스크롤하면,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서 해당 스크롤된 해당 화폐의 이미지를 삭제하고,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 영역(224)에 상기 해당 화폐의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 구매자가 1만원권 화폐 1개를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서 제2 영역(224)로 스크롤하게 되면, 제1 영역(222)에는 1만권 화폐 이미지가 없어지고 15,000원에 대응하는 화폐 종류의 이미지가 남게되고, 제2 영역(224)에는 스크롤되어 이동된 1만원권 화폐 이미지가 표시된다. The purchas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cies in the first area 222 shown on the screen of FIG. 7 according to a touch input on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and selects the second currency below as shown in FIG. 7. When scrolling to the area 224, the control unit 210 of the buyer terminal 200 deletes the scroll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currency from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buyer terminal 200, and The image of the corresponding currency can be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That is, in FIG. 8, when the buyer scrolls one 10,000 won note from the first area 222 to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there is no 10,000 won note image in the first area 222. An image of the type of currency corresponding to 15,000 won remains, and the scrolled image of the 10,000 won note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24.

따라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 및 구매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20,220)의 제1 영역(122,222)에 있는 화폐들은 결제 완료를 위해 지불해야할 나머지 금액에 대응하는 화폐의 종류가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120,220)의 제2 영역(124,224)에 있는 화폐들은 결제를 위해 지불한 금액에 대응하는 화폐의 종류가 표시된다.Accordingly, the currency in the first area 122,222 of the display unit 120,220 of the kiosk terminal and the purchaser terminal displays the type of currency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amount to be paid to complete the payment, and the first area 122,222 of the display unit 120,220 Currencies in area 2 (124,224) display the type of currency corresponding to the amount paid for payment.

전술한 바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200)는 통신에 의해 서로 연동되므로,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동일한 화면을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kiosk terminal 100 and the purchaser terminal 200 are linked to each other through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displays the sam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20 of the kiosk terminal 100.

본 발명의 주 사용자(구매자)가 노인과 어린이인 점을 감안하여 좀 더 상세한 안내를 위해,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20,220)의 상기 제1 영역(122,222)의 일측부에는 '지불해야 할 금액' 같은 문자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124,224)의 일측부에는 '지불된 금액'과 같은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스피커(160)를 통해 상기 제1 영역(122,222)에 표시된 화폐 종류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할 금액'으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124,224)에 표시된 화폐 종류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할 금액'으로 음성 출력할 수 있다.Considering that the main users (bu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elderly and children, for more detailed guidance, although not shown, 'amount to be paid'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irst area (122,222) of the display unit (120,220). The same text may be displayed, and text such as 'amount paid' may b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reas 124 and 224. Alternatively,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rrenc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222 is output as a voice through the speaker 160 as the 'amount to be paid', and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rrenc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4,224 is output as a voice through the speaker 160. ‘Amount to be paid’ can be output as a voice.

구매자의 스크롤 입력에 의해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있는 모든 화폐가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 영역(224)으로 이동된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결제 완료 확인을 표시하고, 구매자로부터 결제 완료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결제를 종료하게 된다. When all the currency i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moved to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by the purchaser's scroll input, the purchaser terminal 200 )'s control unit 210 displays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on the display unit 220, and ends payment when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is input from the buyer.

여기서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도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므로 구매자는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보면서 결제가 제대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ere, the sam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so the buyer can confirm that the payment has been made properly by looking at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한편,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완료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구매 상품의 결제 완료에 따른 후속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Meanwhile, when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is received from the purchaser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performs a follow-up operation according to completion of payment for the purchased product.

본 발명에서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200)를 이용해 결제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키오스크 단말기(100)를 이용해 결제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키오스크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는 경우 제3자가 키오스크 단말기(100)를 조작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기 때문에 구매자 단말기(200)를 이용해 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마지막 단계인 결제 완료 확인 입력은 구매자 단말기(200)를 통하는 것이 좋다. 한편, 설명되지 않았으나 본인 인증을 위한 추가적인 확인 방법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xemplified that the buyer makes a payment using the buyer terminal 200, but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payment using the kiosk terminal 100. However, when making a payment using the kiosk terminal 100, it is relatively easy for a third party to manipulate the kiosk terminal 100, so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payment using the buyer terminal 200. However, it is best to input the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which is the final step, through the buyer terminal 200. Meanwhile, although not explained, additional verification methods for identity authentication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구매자의 연령대와 성별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변화된 UI를 제공함으로써, 키오스크 이용 취약계층인 노인과 어린이 및 장애자가 좀더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identify the age and gender of the purchaser and providing a changed UI accordingly,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to using kiosks, can use them more conveniently and easily.

또한, 지불해야할 금액을 실물 화폐에 대응되는 가상 화폐의 이지지를 통해 제공하고 결제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방식이나 금전거래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인이나 어린이가 직관적인 방식으로 손쉽게 결제할 수 있고 좀 더 실감나는 결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nd paying the amount to be paid through Easyji of virtual currency that corresponds to real currency, the elderly or children who are relatively vulnerable to digital or financial transactions can easily make payments in an intuitive way and make payments more realistic.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an environment.

한편, 본 발명은 키오스크 단말기가 상점에 설치되어 구매자가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에 설치되어 부의금 전달(결제)을 위한 경우, 돌잔치나 환갑이나 칠순과 같은 행사가 열리는 장소에 설치되어 축하금 전달(결제)를 위한 경우, 일정 장소에 설치되어 기부금 납부(결제)를 위한 경우 등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n example where a kiosk terminal is installed in a store and a buyer purchases good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For example, when installed at a wedding hall or funeral hall to deliver (payment) donations, when installed at a place where an event such as a first birthday party, 60th birthday, or 70th birthday is held to deliver (payment) congratulatory money, and when installed at a certain location to pay donations ( It can be applied in cases such as pay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키오스크 단말기 110. 제어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저장부
140. 고객 판단부 150. 카메라
200. 구매자 단말기 210. 제어부
220. 디스플레이부 230. 저장부
100. Kiosk terminal 110. Control unit
120. Display unit 130. Storage unit
140. Customer judgment department 150. Camera
200. Purchaser terminal 210. Control unit
220. Display unit 230. Storage unit

Claims (6)

디스플레이부(120)와 통신부(18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단말기(100); 및,
디스플레이부(220)와 통신부(280) 및 제어부(210)를 포함하는 구매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는,
구매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신체를 촬영하여 이를 제어부(110)에 전송하는 카메라(150);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카메라의 영상 정보를 받아 사용자의 얼굴과 신장 및 복장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를 인공지능 기반의 딥러닝(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해 분석하여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를 파악하는 고객 판단부(140); 및,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서로 다른 UI(User Interface)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10)는 고객 판단부(140)에 의해 파악된 구매자의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구매자의 상품구매 입력에 따라, 결제금액 및 현금 구매 또는 카드 구매 안내 화면을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고, 구매자의 현금 구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결제금액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폐 종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20)의 제1 영역(122)에 표시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상기 구매자의 현금 구매 입력을 키오스크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 동일한 복수의 화폐 종류의 이미지를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표시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의 화폐 중 어느 하나의 화폐가 구매자로부터 스크롤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 영역(224)으로 옮겨지면,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서 상기 스크롤된 해당 화폐의 이미지를 삭제하고 디스플레이부(200)의 제2 영역(224)에 상기 해당 화폐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구매자의 스크롤 입력을 구매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 및 제2 영역(224)에 표시된 동일한 화폐 이미지를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20)의 제1 영역(122) 및 제2 영역(124)에 표시하며,
구매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20)의 제1 영역(222)에 있는 모든 화폐가 디스플레이부(220)의 제2 영역(224)으로 구매자의 스크롤 입력에 의해 이동된 경우, 구매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220)에 결제 완료 확인을 표시하고, 구매자로부터 결제 완료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결제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Kiosk terminal 100 including a display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80, and a control unit 110; and,
It includes a purchaser terminal 200 including a display unit 220, a communication unit 280, and a control unit 210,
The kiosk terminal 100,
A camera 150 that photographs the buyer's body including the fac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10;
Customer judgment is made by receiving imag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from the control unit 110 and analyzing the user's body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s face, height, and clothin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eep learn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to determine the buyer's gender and age group. Wealth (140); and,
It further includes a storage unit 130 in which different UI (User Interface) provision programs are stored depending on the gender and age of the purchaser,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corresponding UI (User Interfac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of the buyer identified by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displays the payment amount and a cash purchase or card purchase inform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buyer's product purchase input, and displays the payment amount and a cash purchase or card purchase inform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When receiving an input, images of a plurality of currency typ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yment amount are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When the control unit 210 of the buyer terminal 200 receives the buyer's cash purchase input from the kiosk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210 displays images of the same plurality of currency typ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One of the plurality of currencies displayed i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by a scroll input from the purchaser. When moved to , the control unit 21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deletes the scroll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currency from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and displays it in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00. Displaying an image of the corresponding currency,
Whe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receives the purchaser's scroll inpu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200, the first area 222 and the second area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Displaying the same currency image displayed in the area 224 on the first area 122 and the second area 124 of the display unit 120 of the kiosk terminal 100,
When all the currency in the first area 222 of the display unit 220 of the purchaser terminal 200 is moved to the second area 224 of the display unit 220 by the purchaser's scroll input, the purchaser terminal 200 )'s control unit 210 displays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on the display unit 220, and terminates payment when payment completion confirmation is input from the buyer.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판단하는 구매자의 연령대는, 일반인, 청소년, 노인, 어린이, 장애인으로 구분하며,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노인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일반인 및 청소년에 제공되는 UI 화면보다 활자 및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메뉴에 대한 설명 및 노인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활자 및 이미지에 애니메이션 또는 웹툰 화면이 같이 제공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하고, 또한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어린이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ge group of the buyer determined by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is divided into the general public, teenagers, the elderly, children, and the disabled,
When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is elderly,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UI screen with relatively larger fonts and images on the display unit 120 than the UI screen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and teenagers. In addition, provide explanations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the elderly.
If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purchaser's age group is a child,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a UI screen in which an animation or webtoon screen is provided along with the type and image on the display unit 120, and also displays a UI screen on the display unit 120.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that provides menu descriptions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childre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판단부(140)에서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 또는 장애인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0)의 하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If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buyer's age group is a child or a disabled person, the control unit 110 displays the UI screen 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120.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e type kiosk payment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판단부(140)는 구매자의 연령대가 어린이로 판단되는 경우,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술을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으로 획득한 구매자의 얼굴에 구매자가 선호하는 캐릭터를 합성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상기 메뉴에 대한 설명 및 어린이층에서 선호하는 추천 메뉴 제공시 같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If the customer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buyer's age group is a child, the customer judgment unit 140 generates a video or image that combines the buyer's preferred character with the buyer's face obtained from a camera image using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technology,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explanation of the menu and recommended menus preferred by childre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오스크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의 상기 제1 영역(122)의 일측부에 '지불해야 할 금액' 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124)의 일측부에 '지불된 금액'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60)를 통해 상기 제1 영역(122)에 표시된 화폐 종류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할 금액'으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제2 영역(124)에 표시된 화폐 종류에 대응되는 금액을 '지불해야 할 금액'으로 음성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기반 유저 반응형 키오스크 결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kiosk terminal 100,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to be paid'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first area 122 of the display unit 120, and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amount paid' is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second area 124. Displays characters that are
Through the speaker 160,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rrency displayed in the first area 122 is output as a voice as 'amount to be paid', and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currency displayed in the second area 124 is output as '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that features voice output of the ‘amount to be paid’.
KR1020210005213A 2021-01-14 2021-01-14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KR1026206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13A KR102620674B1 (en) 2021-01-14 2021-01-14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PCT/KR2022/000781 WO2022154604A1 (en) 2021-01-14 2022-01-14 Artificial-intelligence-based user-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213A KR102620674B1 (en) 2021-01-14 2021-01-14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23A KR20220102823A (en) 2022-07-21
KR102620674B1 true KR102620674B1 (en) 2024-01-04

Family

ID=8244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213A KR102620674B1 (en) 2021-01-14 2021-01-14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0674B1 (en)
WO (1) WO202215460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067B1 (en) * 2023-04-27 2023-08-04 주식회사 엠앤엠네트웍스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effective information for each user by providing flexible customized userinterface for each user based digital, method and program
KR102596160B1 (en) 2023-08-28 2023-11-01 (주)퍼스트솔루션즈 Kiosk device capable of image storage for claim preven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6232A (en) * 2016-12-22 2018-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Cash calcul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0571B2 (en) * 2013-07-19 2019-07-23 Alpha Modus, Corp. Method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behavior and uses thereof
KR20170015655A (en) * 2015-07-30 2017-02-09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Bitcoin currency terminal by international monetary and method thereof
KR101854431B1 (en) * 2016-11-15 2018-05-03 주식회사 로보러스 Concierge robot
KR101949258B1 (en) 2017-11-03 2019-02-18 주식회사 브이알미디어 Payment System based on KIOSK
KR20190141410A (en) * 2018-06-14 2019-12-24 (주)이지위드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kiosk
KR102352794B1 (en) * 2019-06-24 2022-01-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ersonalized customizable kiosk and its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6232A (en) * 2016-12-22 2018-07-05 シャープ株式会社 Cash calc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823A (en) 2022-07-21
WO2022154604A1 (en)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5379B2 (en) Wearable intelligent vision device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11587160B1 (en) ATM customer messaging systems and methods
US9916736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remote user assistance
US10176466B2 (en) Check cash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CN107633397B (en) User interface for payment
US8955743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with remote user assistance
US8640946B1 (en) ATM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desired transaction by touch dragging a displayed icon that represents the desired transaction
US20180308100A1 (en) System and method of client recognition for service provider transactions
US8651373B1 (en) ATM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desired transaction by touch dragging a displayed icon that represents the desired transaction
US9098961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that employs a virtual person for assisting customers
US20160162882A1 (en) Digital money choice and eWallet selection
US11657442B1 (e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functionality of a fulfillment service provider into third-party application
CA28762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alance notifications to connected devices
US9471909B2 (en) ATM customer defined user interface for security purposes
US20200286161A1 (en) Service provider system and method
KR102620674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User Responsive Kiosk Payment System
US201400061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offers during a shopping experience
WO2018002635A1 (en) Currency exchange machine
US1196721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monstrating a personalized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presentation
KR102245608B1 (en) Purchase system of good in vending machine using smart application
US20220245614A1 (en) Augmented Reality Peer to Peer Payment System
WO2014007567A1 (en) Server providing on/offline trading service, terminal for product trading, and method for providing trading service thereby
Boucher et al. Challenges Faced by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Self-Service Technologies
JP7315760B1 (en) Trading Systems, Trading Devices and Programs
WO2024107901A1 (en) Extended reality storefro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