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302B1 -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302B1
KR102619302B1 KR1020230019863A KR20230019863A KR102619302B1 KR 102619302 B1 KR102619302 B1 KR 102619302B1 KR 1020230019863 A KR1020230019863 A KR 1020230019863A KR 20230019863 A KR20230019863 A KR 20230019863A KR 102619302 B1 KR102619302 B1 KR 102619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erminal
portable terminal
front imag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8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5845A (en
Inventor
김켄
정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아이
Priority to KR102023001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302B1/en
Publication of KR2023002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3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는,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방 방향에 대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중앙부 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구동 속도를 설정 할 수 있다.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it,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to change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It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that rotates the rotating portion. Here,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 subject in the front image captur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follows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subject, The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rotating part can be set by refl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and a preset central part in the front imag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holder that provides a tracking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성능 및 기능 또한 발전되고 있으며, 예컨대, 휴대 단말기는 원거리 내지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외에도 카메라 기능, 저장 기능 등이 발전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기존의 카메라나 캠코더의 기능을, 하나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With the advancement of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erformance and functions of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eveloping.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have developed camera functions, storage functions, etc. in addition to long-distance and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ccordingly, it has become possible to utilize the functions of existing cameras or camcorders using a single portable terminal.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 등을 촬영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찍거나, 삼발이 등의 고정장치에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여 촬영한다. When capturing video using such a portable terminal, a person directly manipulates the portable terminal to capture the image or fixes the portable terminal to a fixation device such as a tripod.

그러나, 사람이 직접 찍는 경우, 카메라의 촬상 방향을 이동하는 등 자유롭게 촬영이 가능하나, 사람이 고정함에 따라 흔들림 등이 유발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삼발이 등의 고정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앵글에서의 촬영 만 가능한 점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when a person takes pictures directly, it is possible to take pictures freely, such as by moving the imaging direction of the camera,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shaking is caused as the person fixes the camera.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a fixing device such as a tripo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only shooting is possible from a specific angl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4200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42002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여 피사체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to capture images even when the subject is moving. .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를 제안한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방 방향에 대하여 촬영된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 내에서 미리 설정된 중앙부 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회전부의 회전 구동 속도를 설정 할 수 있다.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rminal holder that provides a tracking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The terminal holder,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has a rotating part that rotates to change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rotates the rotating part based on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mobile terminal. It may include a main body. Here, the mobile terminal detects a subject in the front image captured in the front direction, and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follows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detected movement of the subject, The rotational drive speed of the rotating part can be set by reflec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and a preset central part in the front image.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not enumerate all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by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거치대의 구동을 제어하여, 피사체가 이동하는 상황에서도 휴대 단말기가 이동하는 피사체를 추적하여 지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간섭 없이도 이동하는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 mobile terminal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so that the mobile terminal tracks and aims the moving subject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subject is moving, so that it can detect the moving subject without user intervention. Shooting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피사체의 위치 감지 및 추적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re is an effect of efficiently and quickly detecting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subjec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holder and a portable terminal interoperat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FIGS. 5 to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older shown in FIG. 4.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FIGS. 9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older shown in FIG. 8.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FIG.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holder shown in FIG. 1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dditional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를 들어,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를 들어,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를 들어,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커넥티드" 또는 "연결된" 이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or replacement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above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ny possible combination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refer to those elements in other respects (e.g.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One (e.g., first) component is “coupl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n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it means that any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module” used in this document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A module may be an integrated part or a minimum unit of the parts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2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0))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를 들어,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240) that can be read by a machine (e.g., portable terminal 200). It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that does the following. For example, a processor (e.g., processor 260) of a device (e.g., mobile terminal 200) may call at least one instruction amo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ere is. This allow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all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n interpreter. Device-readable storage medi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non-transitory storage media. Here, 'non-transitory' on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is term refers to data being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emporary storage and temporary storage.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를 들어,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를 들어,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를 들어,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provided and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commodities and can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on two user devices.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between devices (e.g., smartphones) or online.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the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n application store's server, or a relay server.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module or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entity or a plurality of entiti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r operation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multiple components (eg, modules or program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this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plurality of components prior to the integration. .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iterative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Various flowcharts are disclosed to expl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each step, and each step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flowchart. That is, each step in the flowchar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an order according to the flowchart, or in an order opposite to the order in the flowchart.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 및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holder and a portable terminal interoperat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거치대(100) 및 단말기 거치대와 연동하는 휴대 단말기(200)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ure 1, a terminal holder 100 and a portable terminal 200 interoperat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re shown.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200)가 거치되는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예컨대,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촬영 방향(이하, '전방'이라 함)을 변경할 수 있다. The terminal holder 100 is a device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and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0,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to control the shooting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ont') can be changed.

이하에서는, 단말기 거치대(10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촬영 방향, 즉, 전방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단말기 거치대(100)는 거치된 휴대 단말기(200)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 하거나, 수평 회전(패닝)과 수직 회전(틸팅)을 함께 할 수도 있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terminal holder 100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ro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at is, the front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terminal holder 100 may tilt the mounted mobile terminal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may perform both horizontal rotation (panning) and vertical rotation (tilting).

휴대 단말기(20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피사체의 이동에도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계속 피사체를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mobile terminal 200 detects a subject in the front imag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to keep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facing the subject even when the subject moves.

즉, 휴대 단말기(200)는 촬영 중인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고,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That is, the mobile terminal 200 detects a subject in the front image being captured,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o that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llows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휴대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괄한다. 휴대 단말기(20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The mobile terminal 20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 for exampl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o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navigation, slate PC, tablet PC, ultrabook, wearable device (e.g., smartwatch,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The portable terminal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4 .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거치대(100)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an embodiment of a terminal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말기 거치대(100)는 회전부(11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holder 100 may include a rotating part 110 and a main body 120.

회전부(110)에는 휴대 단말기(200)가 거치되고, 모터부(121)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1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는 모터부(121)의 구동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rotating unit 110 and can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21.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change as the rotary unit 110 rotates. Additionally,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1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ive control of the motor unit 121.

일 예로, 회전부(110)는 고정대, 조이개 및 회전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 및 조이개는 회전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대와 조이개는 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대와 조이개 사이에 휴대 단말기(200)를 위치시킨 뒤, 조이개를 조이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대는 모터부(12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회전대는 모터부(121)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rotating unit 110 may include a fixture, a clamp, and a rotating table. The fixture and fastener may be placed on the rotating table. The fixture and clamp can secure the mobile terminal 200. The user can pos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between the fixture and the clamp and tighten the clamp to ensure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fixed without shaking. The rotary table can rot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121, and for this purpose, the rotary table can be driven and connected to the motor unit 121.

본체부(120)는 모터부(121), 제어부(122) 및 통신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본체부(120)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ain body 120 may include a motor unit 121, a control unit 122, and a communication unit 123. The control unit 122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by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main body 120.

통신부(123)는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 거치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12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와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23 may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terminal holder 100 from the portable terminal 200.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23 may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200 using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wired communication.

제어부(122)는 통신부(123)를 통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부(121)를 구동하여, 회전부(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2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tary unit 110 by driving the motor unit 121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23.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200)에서 단말기 거치대(100)로 보내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 -일 예로, 수평 방향의 회전 동작- 에 관한 제어 신호로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에서 단말기 거치대(100)로 보내는 제어 신호는,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부(110)의 회전 구동에 대한 제어 외에도, 단말기 거치대(100)의 전원 온/오프, 무선 링크 형성 요청, 인증, 배터리 잔량 표시 등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holder 100 will be described as a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terminal holder 100 - for example, a horizontal rotation motion -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for this purpose and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terminal holder 100 not only controls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otating part 110 of the terminal holder 100, but also controls the power 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It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for /off, wireless link formation request, authentication, remaining battery level display, etc.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카메라부(220), 출력부(230), 메모리(240), 전원 공급부(25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휴대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camera unit 220, an output unit 230, a memory 240, a power supply unit 250, and a processor 260.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a portable terminal, so 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통신부(210)는, 휴대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휴대 단말기(200)와 다른 휴대 단말기(200) 사이, 또는 휴대 단말기(200)와 단말기 거치대(1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이동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2) 및 근거리 통신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모듈(213)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단말기 거치대(100)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모듈(213)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또는 RS232와 같은 유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another portable terminal 200, or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terminal holder 100. It may contain one or more modules. Thi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1,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2, and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13.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13 can perform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holder 100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3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RS232.

카메라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Camera unit 22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카메라부(220)는 제1 카메라(221) 내지 제2 카메라(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21) 또는 제2 카메라(222)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camera unit 220 may include a first camera 221 to a second camera 222. The first camera 221 or the second camera 222 may capture a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출력부(2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31) 및 음향 출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휴대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30 is intended to generate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es,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231 and an audio output unit 152. The display unit 231 can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or being integrated with the touch sensor. This touch screen can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can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200 and the user.

전원공급부(250)는 프로세서(26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휴대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5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6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200. This power supply unit 19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프로세서(2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6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60)는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현 가능하다.In addition to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processor 26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processor 260 can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iscussed above,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40. The processor 260 can be implemented as one processor or multiple processors.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즉,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26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examined with FIG. 3 in order to run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40, that is, an application. Furthermore, the processor 260 may operate at least two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run the application program.

프로세서(260)는 메모리(2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260)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제어, 지시 또는 기능의 주체로서 표현하나, 이는, 프로세서(260)가 메모리(24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processor 260 may run an application by execut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240. Hereinafter, the processor 260 is expressed as the subject of control, instruction, or function by driving an application. However, this means that the processor 260 operates by driving instructions or applications stored in the memory 240.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 상에서 구현 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operation, control, or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dditionally,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by runn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이하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60)의 다양한 제어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controls of the processor 2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4.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d FIGS. 5 to 7 are examples of the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shown in FIG. 4. These are drawings to explain examples.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근거리 통신모듈(213)을 제어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와의 통신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S401). Referring to FIG. 4, the processor 260 can control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213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holder 100 (S401).

프로세서(260)는 카메라부(220)를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S401). 도 5는 프로세서(26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이 획득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거치대(100)는 휴대 단말기(200)를 거치한 채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이, 전방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 수평 회전 동작이 가능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한다.The processor 260 can control the camera unit 220 to obtain a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S401).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mounted on the terminal holder 100 is acquir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60. Here, the terminal holder 100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horizontal rotation operation is possible so that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faces to the right or left relative to the front while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200. do.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60)는 사람 몸체나 사람 얼굴 등을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전방 영상에서 사람 몸체나 사람 얼굴이 존재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 대상이 되는 피사체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 개와 같은 동물일 수도 있고, 자전거 등과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subject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front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can set a human body or a human face as a subject to be detected, and can detect whether a human body or a human face exists in the front image. Meanwhile, the subject to be detected can be set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may be an animal such as a horse or dog, or a device such as a bicycle.

일 예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피사체에 대한 사전 학습된 학습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60)는, 사람의 몸체에 해당되는 다양한 이미지에 대하여 학습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사람 몸체에 대응되는 객체를 판별하는 학습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모델은 프로세서(260)에 의하여 직접 학습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에 의하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제공받아 프로세서(260)가 사용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use a pre-trained learning model for the subject to detect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use a learning model that is formed based on learning about various images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and determines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human body. This learning model can be learned directly by the processor 260, or the processor 260 can use a learning model learned by a separate server.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종이란 휴대 단말기(200)의 촬영 방향, 즉, 전방이, 피사체의 이동을 따라 가는 것(tracking)을 의미하며,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260)는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 연결을 통하여 단말기 거치대(100)로 제공한다.When the detected subject moves,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o that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follows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Here, tracking means that the shooting direction, that is,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llows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racking), and for this purpose, the processor 260 uses the terminal holder 10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 means controll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processor 260 provide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hold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ion.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피사체가 전방에 대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촬영되면,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을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에 있으므로, 단말기 거치대(10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moving to the right relative to the front, the processor 260 detects that the location of the subject is to the right relative to the front, so the terminal holder 100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to rotate in the right direction.

단말기 거치대(1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부를 구동할 수 있다(S405). 도 7은 단말기 거치대(100)가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부를 구동한 결과, 이동한 피사체가 다시 전방 영상의 중앙부 부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The terminal holder 100 can drive the rotating par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S405). Figure 7 shows that as a result of the terminal holder 100 driving the rotating par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moved subject is again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front image.

프로세서(260)는 회전부의 구동에 따라 전방 영상이 변경되면, 변경된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그에 대한 피사체 객체를 감지하여 트래킹 하는 상술한 단계 S402 내지 S404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front image chang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tating unit, the processor 260 may repeated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steps S402 to S404 of obtaining the changed front image and detecting and tracking the subject obje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로서,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60)의 피사체에 대한 추종, 즉, 트래킹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s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 embodiment of tracking, that is, following a subject by the processor 2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2.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d FIGS. 9 to 12 are another example of the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shown in FIG. 8. These are drawings to explain examples.

도 8 내지 도 12는 피사체에 대한 트래킹을 위하여,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8 to 12 relate to an embodiment of locating the subject in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for tracking the subject.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S801). 이에 대해서는 기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subject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front image (S801).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information already explained.

프로세서(260)는 감지된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할 수 있다. When the detected subject moves,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o that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follows the subjec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위치가 현재 전방 영상의 중앙부에 오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rotation so that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o that the subject's location is in the center of the current front image.

도 9는 표시된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하여 가상의 중앙부(CP)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중앙부는 전방 영상의 중앙점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에 속하는 영역으로서, 중앙부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등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ed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In the example of FIG. 9, the processor 260 may set a virtual center (CP) for the front image. As an example, this central portion is an area belonging to a certain range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front image, and the central portion can be set in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oval, square, or square with rounded corners.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CP) 내에 위치하면,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지 않는다. The processor 260 does no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when the location of the subject detected in the front image is within the central part (CP).

도 9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피사체는 중앙부(CP)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지 않는다(S802).In the example of FIG. 9 ,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subject in the front image, and the subject is located within the central portion (CP). Therefore, in this case, the processor 260 does no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802).

도 10에서는 피사체가 전방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피사체가 여전히 중앙부(CP) 내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지 않는다(S802).Figure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ubject moved from the front direction to the right. In the example of FIG. 10, the processor 260 can detect the subject, and since the detected subject is still located within the central part (CP), the processor 260 does no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802 ).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CP)가 아닌 경우,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CP)에 이르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f the location of the subject detected in the front image is not the center (CP), the processor 260 sends a control signal for the rot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o that the location of the subject reaches the center (CP) of the front image. can be created.

도 11에서 피사체가 전방 방향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더 이동한 예를 도시한다. 도 11의 예에서, 프로세서(260)는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된 피사체가 여전히 중앙부(CP)의 우측에 위치하므로,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가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Figure 1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ubject moves further from the front direction to the right. In the example of FIG. 11, the processor 260 can detect the subject, and since the detected subject is still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CP, the processor 260 drives the terminal holder 100 to rotate to the right. can be controlled.

즉,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CP)가 아니고, 중앙부(CP)에 대하여 우측부 또는 좌측부에 있으면, 피사체가 중앙부(CP)에 위치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방향을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S803).That is, the processor 260 detects the location of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and if the detected location of the subject is not the center (CP) of the front image but is on the right or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CP),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center (CP).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can be set to the right or left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CP (S803).

도 12는 프로세서(260)가 회전 방향을 우측으로 설정한 구동 제어 신호를 단말기 거치대(100)에 제공함에 따라(S804), 단말기 거치대(100)가 회전하여 피사체가 중앙부(CP) 내로 재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12 shows that as the processor 260 provides a driving control signal with the rotation direction set to the right to the terminal holder 100 (S804), the terminal holder 100 rotates and the subject is repositioned within the central portion (CP). It shows tha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로서, 이하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프로세서(260)에서 산정되는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의 설정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s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 embodiment of set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terminal holder 100 calculated by the processor 26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단말기 거치대의 제어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perform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d FIG. 14 is another example of the terminal holder control method shown in FIG. 13.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피사체를 감지할 수 있다(S1301). 이에 대해서는 기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쉽게 이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13,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subject by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front image (S1301).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information already explained.

프로세서(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의 위치가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60)는 피사체를 감지하고, 피사체의 위치가 현재 전방 영상의 중앙부가 아니라 어느 일 측면에 있다면(S1302, 아니오), 피사체가 중앙부로 오도록 하기 위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S1303).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 rotation operation so that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That is, the processor 260 detects the subject, and if the location of the subject is not in the center of the current front image but on one side (S1302, No), the processor 260 adjust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to bring the subject to the center. Can be judged (S1303).

여기에서, 프로세서(260)는 전방 영상에서의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를 기초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S1304).Here,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rotation speed of the terminal holder 100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and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S1304).

도 14의 예에서, 프로세서(260)가 중앙부의 중심점에서 피사체의 일 끝까지의 거리(d)를 기초로,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를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중앙부의 일측 끝에서 피사체의 일 끝까지를 거리로 설정하거나, 또는 중앙부의 중심점에서 피사체의 중심점 까지를 거리로 설정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In the example of FIG. 14 , the processor 260 sets the distance between the location of the subject and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based on the distance (d)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to one end of the subject.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setting the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center to one end of the subject, or setting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to the center point of the subject.

도시된 예와 같이 선정된 거리 d의 길이에 따라,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거리 d의 길이가 길수록 피사체가 중앙부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회전 속도는 커지는 경향을 가진다.As shown in the example, the rotation speed of the terminal holder 100 can be se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elected distance d. The longer the distance d is, the farther the subject is from the center, so the rotation speed tends to increase.

일 예로,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 d의 범위에 따라 기 설정된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속도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 등)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60)는 기 설정된 기준 거리와, 피사체의 위치와 전방 영상의 중앙부 간의 거리 d를 비교하고, 기준 거리에 대하여 기준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준 거리 대비 거리 d의 비율을 기준 속도에 반영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거리 d에 따른 회전 속도의 설정이 가능하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is provided with data (e.g., a look-up table, etc.) about the rotation speed of the terminal holder 100 that is preset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You can set the rotation speed using .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compare a preset reference distance with the distance d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center of the front image, and set a reference speed for the reference distance. Accordingly, the ratio of the distance d to the reference distance may be set. The rotation speed can be set by reflecting the standard speed.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set the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distance d in various ways.

프로세서(260)는 회전 방향 및 설정된 회전 속도를 반영하여, 단말기 거치대(100)의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S1305).The processor 260 may reflect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set rotation speed to generate and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terminal holder 100 (S1305).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예로서, 전방 영상에서 피사체가 이탈한 경우에 대한 프로세서(260)의 처리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As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an embodiment of processing by the processor 260 when a subject leaves the front image will be described.

프로세서(260)는 피사체가 제1 방향으로 전방 영상의 화면 밖으로 이탈한 경우, 최대 회전속도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 동작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subject leaves the screen of the front image in the first direction,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 rotation motion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t a maximum rotation speed.

프로세서(260)의 피사체 감지는 일정한 주기로 수행되거나, 또는 피사체의 감지 처리의 프로세싱이 완료된 이후 재 감지가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전에 감지된 피사체의 위치로부터 프로세서(260)는 피사체의 이탈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 및 도 11의 예로서 피사체가 인식된 이후, 재 감지시 피사체가 전방 영상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260)는 피사체가 우측 방향으로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Detection of the subject by the processor 260 may be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or detection may be performed again after processing of the detection process of the subject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processor 260 can set the departure direction of the subject from the previously detected position of the subject. For example, in the example of FIGS. 10 and 11 , if the subject is not detected in the front image upon re-detection after the subject is recognized,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at the subject has deviated to the right.

그러한 경우, 프로세서(260)는 최대 회전속도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단말기 거치대(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such case,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terminal holder 100 to rotate to the right at the maximum rotation speed.

최대 회전속도로 우측으로 구동 중에, 전방 영상에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 프로세서(260)는 동일한 회전 방향을 유지하되 최대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본 회전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최대 회전속도로 우측으로 구동 중에, 전방 영상에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피사체가 전방 영상의 우측 영역에 여전히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유지하되 최대 회전속도를 기본 회전 속도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만약, 전방 영상에 피사체가 재 감지되고 재 감지된 피사체가 전방 영상의 중앙부(CP)에 존재한다면, 프로세서(260)는 단말기 거치대(100)가 회전을 멈추고 현재 방향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a subject is re-detected in the front image while driving to the right at the maximum rotation speed, the processor 260 may maintain the same rotation direction but change the maximum rotation speed to a preset basic rotation speed. This means that if a subject is re-detected in the front image while driving to the right at the maximum rotation spe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ubject is still in the right area of the front image as shown in FIG. 11, so rotation is maintained in the same direction but the maximum rotation speed is maintained. is changed to the basic rotation speed. If a subject is re-detected in the front image and the re-detected subject is present in the center (CP) of the front image,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terminal holder 100 to stop rotating and maintain the current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see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 단말기 거치대
110 : 회전부 120 : 몸체부
121 : 모터부 122 : 제어부
123 : 통신부
200 : 휴대 단말기
210 : 통신부 220 : 카메라부
230 : 출력부 240 : 메모리
250 : 전원 공급부 260 : 프로세서
211 : 이통통신 모듈 212 : 무선 인터넷 모듈
213 : 근거리 통신모듈
221 : 제1 카메라 222 : 제2 카메라
231 : 디스플레이부 232 : 음향 출력부
100: Terminal stand
110: rotating part 120: body part
121: motor unit 122: control unit
123: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00: mobile terminal
210: Communication unit 220: Camera unit
230: output unit 240: memory
250: power supply unit 260: processor
211: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21: first camera 222: second camera
231: display unit 232: sound output unit

Claims (9)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 트래킹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거치대로서, 상기 단말기 거치대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 구동하는 회전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이 상기 피사체를 추종하도록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속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전방 영상 내에서의 피사체의 위치와 상기 전방 영상 내에 기 설정된 중앙부 간의 거리를 반영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거치대.
A terminal holder that links with a mobile terminal and provides a tracking function to the mobile terminal, the terminal holder comprising:
a rotating part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which rotates to change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main body unit connected to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nd rotating the rotating unit based on a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rotating part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fron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to follow the subject,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part is set to reflect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reset central portion in the front image.
Terminal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고정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조임 동작하여, 상기 고정대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조이개; 및
상면에 상기 고정대 및 상기 조이개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포함된 모터부와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회전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unit,
fixture;
A tightening device that performs a tightening operation through user manipulation to secure the portable terminal together with the fixture; and
The fixture and the clamp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are connected to a motor unit included in the main body, comprising a rotating table that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erminal stand.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대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대를 회전 구동 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모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ain body,
A motor unit connected to the rotating table and driving the rotating table to rotate; and
Compris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otor unit based on 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erminal sta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을 형성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forms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sta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방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위치가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ubject in the front image is located in the center,
Terminal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피사체가 제1 방향으로 상기 전방 영상의 화면 밖으로 이탈한 경우, 최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ubject leaves the screen of the front image in a first direction,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t a maximum rotation speed,
Terminal sta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최대 회전속도로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동 중에, 상기 전방 영상에 상기 피사체가 재 감지되는 경우, 동일한 회전 방향을 유지하되 상기 최대 회전속도를 기 설정된 기본 회전속도로 변경하도록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말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While driving in the first direction at the maximum rotation speed, when the subject is re-detected in the front image,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maintain the same rotation direction but change the maximum rotation speed to a preset basic rotation speed. ,
Terminal stand.
KR1020230019863A 2021-05-18 2023-02-15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KR1026193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en) 2021-05-18 2023-02-15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en) 2021-05-18 2021-05-18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en) 2021-05-18 2023-02-15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38A Division KR102502376B1 (en) 2021-05-18 2021-05-18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845A KR20230025845A (en) 2023-02-23
KR102619302B1 true KR102619302B1 (en) 2023-12-29

Family

ID=842371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en) 2021-05-18 2021-05-18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KR1020230019863A KR102619302B1 (en) 2021-05-18 2023-02-15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238A KR102502376B1 (en) 2021-05-18 2021-05-18 A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with the terminal hold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hold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0237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049A (en) * 2002-10-04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camera system
KR101184690B1 (en) 2012-01-27 2012-09-26 (주)나누미넷 An apparatus for producing education contents using mobile terminal imbedded motion tracking program and tracking cradle interconnected to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7582A (en) * 2003-12-29 2005-07-0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pursuing location as to shift of subject in mobile phone
KR101850535B1 (en) * 2016-01-18 2018-05-31 전도헌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 taking based on UWB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50534B1 (en) * 2016-01-18 2018-04-19 전도헌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 taking using IR camera and maker and application therefor
KR20170093440A (en) * 2016-02-05 2017-08-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device track subject with rotating device
KR20170142460A (en) * 2016-06-17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asing device
KR20180040409A (en) * 2016-10-12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73960B1 (en) * 2017-12-11 2020-11-04 백창현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object using object sensor
KR102310230B1 (en) 2019-10-08 2021-10-06 정희정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9049A (en) * 2002-10-04 200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camera system
KR101184690B1 (en) 2012-01-27 2012-09-26 (주)나누미넷 An apparatus for producing education contents using mobile terminal imbedded motion tracking program and tracking cradle interconnected to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76B1 (en) 2023-02-23
KR20230025845A (en) 2023-02-23
KR20220156338A (en)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253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ith adjustments related to an image display according to bending motion of the display device
CN111917997B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hotographin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CN102681958B (en) Use physical gesture transmission data
JP2017518664A (en) Mount for easy placement and localiz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9774780B1 (en) Cues for capturing images
US11625066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photographing method using multiple cameras i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20230319396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ommending composi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TW201404133A (en) Automatic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WO2020051831A1 (en) Control method of handheld gimbal, handheld gimbal, and handheld device
EP3621292B1 (e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images by controlling frame rate for external moving object through point of interes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18066705A1 (en) Smartphone
CN109121031B (en) Directional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audio equipment and audio equipment
KR102619302B1 (en) Mobile terminal cradle providing tracking function in conjuction with mobile terminal
KR102617252B1 (en) Electronic Device and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o Panorama Capture Mode thereof
EP388640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408026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device cradle
KR102514852B1 (en) Mobile terminal interlocking with terminal cradle and image synthesis method using same
KR102668233B1 (en) Electronic device for obtaining images by controlling frame rate for external object moving through point ofinteres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90141866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photographing intention of user
KR20160149945A (en) Mobile terminal
KR20210115786A (en) Method for self-image captur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40054111A (en)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image editing system
CN113596338A (en) Track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6018448A (en) Input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and inpu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