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045B1 -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045B1
KR102617045B1 KR1020210145570A KR20210145570A KR102617045B1 KR 102617045 B1 KR102617045 B1 KR 102617045B1 KR 1020210145570 A KR1020210145570 A KR 1020210145570A KR 20210145570 A KR20210145570 A KR 20210145570A KR 102617045 B1 KR102617045 B1 KR 102617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vil
civil complaint
map
water supply
compl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883A (ko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주)한국융합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융합아이티 filed Critical (주)한국융합아이티
Priority to KR102021014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04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이 제공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관리 지역을 행정구역 단위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다수의 행정구역도들과, 관리 지역에서 발생한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기가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 상황을 생성하고, 생성된 민원 발생 상황과, 민원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보여주는 민원 분석 화면을 생성하고,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상기 관리 지역의 포털 지도와 다수의 행정구역도들 중 하나를 중첩하고, 중첩된 지도에 민원 발생 지점을 추가하여 보여주는 민원 지도 화면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Sever and method for providing a civil service related to the water supply based GIS}
본 발명은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도 관련 민원 정보를 GIS 기반 급수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 발생은 상수도관의 노후화,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민원의 유형과 발생일, 민원 발생 시 외부 환경 등을 취합하여 민원데이터를 분석하고, 민원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민원과 관련된 급수정보, 민원 발생 지역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관리자는 민원과 민원 발생 위치, 그 때의 급수 정보 등을 한 눈에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582268호 (2015.12.2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 발생 정보를 GIS 기반의 지도와 포털 지도가 중첩된 지도에 표시하여 민원과 관련된 급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는, 관리 지역을 행정구역 단위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다수의 행정구역도들과, 상기 관리 지역에서 발생한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데이터(이하, '상수도 민원데이터'라 한다)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가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 상황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민원 발생 상황과, 민원 유형 별로 민원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보여주는 민원 분석 화면을 생성하고,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상기 관리 지역의 지도(이하, '포털 지도'라 한다)와 상기 다수의 행정구역도들 중 하나를 중첩하고, 중첩된 지도에 민원 발생 지점을 추가하여 보여주는 민원 지도 화면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된 민원데이터 중 설정된 조회 기간 내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한 후 민원 유형 별로 분석한 민원 발생 추이와, 상기 민원 발생 추이 중 특정 시기에 발생한 민원의 세부 상황을 제공하는 민원 발생 분석 모듈; 및 다수의 민원 유형들 중 원인 파악이 필요한 민원 유형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민원 유형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에 연동하도록 설정된 데이터(이하, '연동데이터'라 한다)를 상기 선택된 민원 유형의 민원 발생 추이와 함께 제공하는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 지역의 행정구역도와, 조회 기간과, 민원 유형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행정구역도와 포털 지도를 중첩한 중첩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조회 기간에 발생한 민원데이터 중 상기 선택된 민원 유형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민원데이터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중첩 지도 상에 민원 발생 지점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공간 분석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간 분석 모듈은, 상기 중첩 지도 상에 표시된 다수의 민원 발생 지점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서 발생한 민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공간 분석 모듈은, 상기 표시된 중첩 지도에서 어느 한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행정구역에서 발생한 전체 민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행정구역은 상기 다수의 행정구역도들 중 현재 중첩되도록 선택된 행정구역도에서 정의된 경계에 의해 구분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관리 지역의 급수구역 정보를 보여주는 급수구역도와 관망도가 더 저장되고, 상기 공간 분석 모듈은, 상기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 해당하는 급수구역 정보 또는 관망도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급수구역도 또는 관망도가 상기 포털 지도에 중첩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의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 상황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민원 발생 상황과, 민원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보여주는 민원 분석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생성된 민원 분석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지도 표시 요청이 수신되면,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상기 관리 지역의 지도(이하, '포털 지도'라 한다)와 상기 다수의 행정구역도들 중 하나를 중첩하고, 중첩된 지도에 민원 발생 지점을 추가하여 보여주는 민원 지도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생성된 민원 지도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하고자 하는 행정구역의 GIS 데이터와 상수도 관련 민원 발생 지점을 포털 지도에 투영함으로써 구역에 따른 민원 분포도를 직관적으로 확인 및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역의 민원데이터를 월별, 계절별, 민원 유형 별로 분석하여 그래프로 제공하고, 지도상에 민원 발생 지점을 표기함으로써 사용자가 민원과 관련된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민원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는데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구역 지리정보를 포털 지도에 투영하여 급수구역 내 물사용량, 공사 현황, 공사 일정 등의 정보를 민원 정보와 함께 제공함으로써 민원 발생 원인 조사 또는 민원 해결에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GIS 기반의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프로세서(150)를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성과지표 분석 화면(200)의 예시도,
도 3은 민원 분석 화면(300)의 예시도,
도 4는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화면(400)의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민원 지도 화면(500, 600)의 예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정보 통합 매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서버', '시스템',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거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 또는 그래픽 카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들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DB라 함은, 각각의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DB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DB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트리(Tree), 관계형 DB의 형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DB에 대응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저장매체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각각의 구성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반드시 각각의 구성이 별도의 물리적 장치로 구분되거나 별도의 코드로 작성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GIS 기반의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b는 프로세서(150)를 기능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을 이용한 GIS 기반의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급수구역 내 급수 관련 정보와,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데이터를 위치기반으로 지도에 투영하여 표시함으로써 급수 관리와 민원에 대한 정보 관리 및 이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민원의 발생 분포도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의 원인을 조사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웹을 이용한 GIS 기반의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로서,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또는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민원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고, 해당하는 정보를 웹 GUI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와 서비스 관리자가 같은 권한을 갖는 경우, 사용자는 상수도 민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를 직접 조작하여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GIS 기반의 급수정보 제공 서비스와 민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데이터베이스(130), 메모리(140) 및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서비스 관리자와 통합 매핑 서버(100) 간의 인터페이싱 경로를 제공하며, 키보드, 터치패널, 표시패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에서 웹브라우저를 통해 원격 접속하여 실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단말기(10)와의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통신 회로는 셀룰러 통신 회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회로,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회로, 또는 전력선 통신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회로는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민원과 관련된 성과지표 데이터가 저장된다. 성과지표 데이터는 민원과 관련된 성과지표의 목표, 누적현황, 금월현황, 전년대비 변화량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민원 세부 종류 별 처리시간, 현재까지 발생한 민원수 등이 포함되며, 이는 개선이 필요한 항목을 파악하거나, 목표 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누적현황은 금년도 1월부터 조회시점까지의 성과지표 현황이고, 금월현황은 조회시점월의 성과지표 현황이고, 전년대비는 전년도 동일 월의 현황과의 비교로서 증감을 구분하여 표출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상수도의 급수와 민원을 관리하고 민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 지역의 행정구역도들, 급수구역도, 관망도 등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파일로 저장될 수 있다.
행정구역도는 관리 지역 내 경계를 행정구역 단위에 따라 다르게 구분한 지도로서, 소구역경계 행정구역도, 중구역경계 행정구역도 및 대구역경계 행정구역도로 구분될 수 있다. 행정구역 단위는 도, 시, 광역시, 구, 동과 같은 단위로서, 행정구역도에서 지역 경계가 다르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소구역경계 행정구역도에는 도로번호를 기준으로 경계가 표시되고, 중구역경계 행정구역도에는 동에 해당하는 경계가 표시될 수 있다.
급수구역도는 관리 지역의 급수구역 정보를 보여주는 GIS 기반의 지도이다. 급수구역 정보는 관리 지역 내 급수관에 의하여 물을 공급하는 구역에 대한 정보로서, 물사용량, 급수시설 현황, 급수구역에 대한 현황, 상수도 공사 현황, 공사 일정 등 상수도 급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관망도는 관리 지역의 송수관이나 부속된 밸브 등의 수도 시설을 표시한 GIS 기반의 지도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관리 지역에서 발생한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데이터(이하, '상수도 민원데이터'라 한다)가 속성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민원데이터의 속성정보는 민원 발생일, 민원 유형, 민원 발생 지역(위치 정보)을 포함한다.
민원 유형은 수질민원, 누수 및 기타 신고 등의 상위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수질민원은 다시 흐린물 출수, 이물질 출수, 수돗물 냄새, 녹물, 수돗물 여부, 백수현상, 침전물, 실코트 유출 및 기타 등의 하위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누수는 도로 누수, 인입선 누수, 옥내누수탐사, 계량기실 누수, 지하누수(자체), 지하누수(용역), 계량기 커버 누수, 관망 누수, 가정내 누수 등의 하위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기타 신고는 하위 카테고리로서 동결, 동파, 출수관련, 기타 고장 등의 하위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계측수위 및 계측일 정보가 저장된다. 계측수위는 예를 들어 맨홀 내에 구비된 수위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관 내 수위이거나 관 외부의 수위일 수 있다. 계측수위는 누수와 관련된 민원이 발생될 경우, 누수 원인 후보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0)에는 민원이 발생한 날의 평균기온, 최저기온, 최고기온, 강수량, 강우량, 강설량 등을 포함하는 기상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또는 기상정보는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와 연동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메모리(14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예를 들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동작, 기능 등을 구현 및/또는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110~15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및/또는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오픈 소스 지리정보시스템 중 하나인 GIS 기반의 지도에 오버랩하여 표시하고, 웹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민원 서비스 프로그램과 웹 GUI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웹 GUI 프로그램은 GIS 기반의 지도(예를 들어, SHP 지도 파일)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웹 GUI(예를 들어, 웹페이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웹 GUI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된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기(10)가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하면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 상황을 생성하고, 생성된 민원 발생 상황과, 민원 유형 별로 민원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보여주는 민원 분석 화면(300)을 웹페이지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관리 지역의 지도(이하, '포털 지도'라 한다)와 관리 지역에 대한 다수의 행정구역도들 중 하나를 중첩하고, 중첩된 지도에 민원 발생 지점을 추가하여 보여주는 민원 지도 화면(500, 600)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서(150)는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성과지표 분석 모듈(151), 민원 발생 분석 모듈(153),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155) 및 공간 분석 모듈(157)을 포함할 수 있다.
성과지표 분석 모듈(151)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민원과 관련된 성과지표를 분석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성과지표 분석 모듈(151)은 성과지표와 관련된 데이터 간의 링크를 통해 지표 달성 현황을 가시화하고, 이를 통해 성과지표 목표 달성을 위한 업무 및 진행 방향 설정을 위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웹페이지에 표시된 다수의 메뉴들 중 성과지표 도구를 선택하면, 성과지표 분석 모듈(151)은 도 2와 같은 성과지표 분석 화면(200)을 생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성과지표 분석 화면(200)은 핵심성과지표로서 1개의 지표를 가지고, 관리 성과지표로서 5개의 지표를 가지며, 성과지표 분석 모듈(151)은 각 지표의 성과 목표, 누적현황, 금월현황, 전년대비 증가여부 등을 분석하여 성과지표 분석 화면(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성과지표 분석 모듈(151)은 성과지표에 대한 작년도 월별 성과지표 현황과 올해 월별 성과지표 현황을 산출하여 비교가능하도록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누적현황은 금년도 1월부터 조회시점까지의 성과지표 현황이고, 금월현황은 조회시점(월)의 성과지표 현황이며, 전년대비 현황은 전년도 동일 월의 현황과의 비교 (증가, 감소로 구분하여 표출)를 의미한다.
민원 발생 분석 모듈(153)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민원데이터 중 설정된 조회 기간 내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한 후 민원 유형 별로 분석한 민원 발생 추이와, 민원 발생 추이 중 특정 시기에 발생한 민원의 세부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다수의 메뉴들 중 민원 분석 도구와 민원 발생을 분석할 지역을 선택하면, 민원 발생 분석 모듈(153)은 민원 분석 화면(300)을 도 3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민원 분석 화면(300)은 조회기간 설정 메뉴(310)와 민원 유형 메뉴(320)와 민원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영역(330)을 포함한다. 민원 발생 분석 모듈(153)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민원의 조회 기간과 민원 유형이 선택되면, 선택된 조회 기간과 민원 유형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 및 분석하여 민원 발생 현황(331)과, 특정 시기에 발생한 민원의 세부 현황(332)과, 특정 민원 발생 현황(333)을 가시화한 그래프가 민원 분석 화면(300)에 표시되도록 한다.
민원 발생 현황(331)은 민원 발생이 집중되는 시기, 월별, 또는 계절별 등의 시간 범위에 따른 민원 유형을 표시한다. 이로써 관리자는 민원이 어느 시기에 집중되었는지 쉽게 확인하고, 관련 조치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특정 시기에 발생한 민원의 세부 현황(332)은 예를 들어 민원 발생이 증가한 시기에 세부적으로 어떤 민원의 발생이 많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을 통한 민원 발생 원인 파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정 민원 발생 현황(333)은 민원 유형 메뉴(320)에서 선택된 민원 유형에 대해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민원 추이 분석을 통해 일 예로 겨울철 옥내 누수 민원증가를 확인하면, 민원 발생 감소를 위해 옥내 급수관 개량 및 교체지원, 수도계량기 점검 주기 감소 등의 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의사결정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155)은 다수의 민원 유형들 중 원인 파악이 필요한 민원 유형이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선택되면, 선택된 민원 유형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에 연동하도록 설정된 상수도 빅데이터(이하, '연동데이터'라 한다)를 선택된 민원 유형의 민원 발생 추이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다수의 메뉴들 중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도구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민원 유형을 선택하면,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155)은 선택된 민원 유형에 매핑된 민원 발생 원인 항목을 데이터베이스(130)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민원 발생 원인 항목에 해당하는 연동데이터를 그래프로 생성하여 도 4와 같은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화면(4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화면(400)에서 민원 유형으로서 동결/동파를 선택하면,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155)은 동결/동파에 매핑된 민원 발생 원인 항목으로서 기온을 확인하고, 민원 발생 분석 모듈(153)의 민원 분석 결과와 동결/동파 민원이 발생한 시점의 기온 자료(즉, 연동데이터, 410)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동데이터에 추가 또는 삭제할 데이터를 연동데이터 설정 메뉴(420)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155)은 이물질 출수 민원 발생량과 물 사용량 데이터를 연계하여 민원 발생 감소를 위한 정책 집중 시기 설정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급수구역, 급수계통별 물 사용량, 관망도 등과 연계하여 관 세척 사업 및 노후관 교체 우선순위 설정의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수도 빅데이터 연동 모듈(155)은 누수와 관련된 민원에 대해서는 맨홀에서 측정된 계측수위와 계측일, 기상정보를 연계하여 사용자 단말기(10)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공간 분석 모듈(157)은 관리 지역의 행정구역도와, 조회 기간과, 민원 유형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행정구역도와 포털 지도를 중첩한 중첩 지도를 생성하고, 선택된 조회 기간에 발생한 민원데이터 중 선택된 민원 유형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민원데이터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여 중첩 지도 상에 민원 발생 지점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표시된 다수의 메뉴들 중 공간 분석 도구와 관리 지역을 선택하면, 공간 분석 모듈(157)은 관리 지역의 행정구역도 메뉴(510)와, 조회 기간 설정 메뉴(520)와 민원 유형 선택 메뉴(530)와 포털 지도 표시 영역(540)을 포함하는 민원 지도 화면(500)을 도 5와 같이 생성한다. 행정구역도 메뉴(510)는 관리 지역을 서로 다른 경계로 구분한 소구역경계 행정구역도, 중구역경계 행정구역도 및 대구역경계 행정구역도를 포함한다. 포털 지도 표시 영역(540)에는 선택된 관리 지역의 일반적인 지도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민원 지도 화면(500)에서 행정구역도의 종류와, 조회 기간과 민원 유형을 선택하면, 공간 분석 모듈(157)은 선택된 행정구역도에 해당하는 GIS 행정구역도를 포털 지도에 중첩시키고, 선택된 민원 유형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 중 조회 기간에 발생한 민원데이터를 추출한다. 공간 분석 모듈(157)은 추출된 민원데이터의 발생 위치를 확인하고, 중첩된 지도에 민원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하는 민원 지도 화면(600)을 도 6과 같이 생성한다. 이로써, 공간 분석 모듈(157)은 민원 분석 결과와 GIS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민원 발생의 공간 패턴 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민원 지도 화면(600)의 중첩 지도 상에 표시된 다수의 민원 발생 지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공간 분석 모듈(157)은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서 발생한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확인하여 민원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분석 모듈(157)은, 표시된 중첩 지도에서 어느 한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행정구역에서 발생한 전체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확인하여 민원 발생일, 민원 유형 등을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행정구역의 경계는 현재 중첩되도록 선택된 행정구역도에 정의된 경계에 의해 구분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행정구역도가 읍, 면, 동 중 동 단위로 구분되면, 공간 분석 모듈(157)은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동 전체에서 발생한 민원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 해당하는 급수구역 정보 또는 관망도의 표시를 요청하면, 공간 분석 모듈(157)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급수구역도 또는 관망도를 포털 지도에 중첩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정보 통합 매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의해 동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 상황을 생성하고, 생성된 민원 발생 상황과, 민원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보여주는 민원 분석 화면(300, 400)을 생성한다(S710).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S710단계에서 생성된 민원 분석 화면(300, 400)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720).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민원의 지도 표시 요청이 수신되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관리 지역의 포털 지도와 다수의 GIS 기반의 행정구역도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행정구역도를 중첩하고, 중첩된 지도에 민원 발생 지점을 추가하여 보여주는 민원 지도 화면(500, 600)을 생성한다(S730).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S730단계에서 생성된 민원 지도 화면(500, 600)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740).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민원 지도 화면(600)에 표시된 중첩 지도 중 한 민원 발생 지점이 선택되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서 발생한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에서 확인하여 민원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민원 발생 상세 화면(미도시)을 생성한다(S750). S750단계에서 생성된 민원 발생 상세 화면은 선택된 지점에 발생한 민원의 유형, 발생일, 발생일의 기상정보, 급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S750단계에서 생성된 민원 발생 상세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76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급수구역 지리정보를 통하여 급수시설에 대한 현황과 급수구역에 대한 현황을 행정구역 데이터 또는 관망도 등과 같은 다른 GIS 데이터를 포털지도에 중첩 투영함으로써 민원과 관련된 지도 정보와 민원정보를 지역 별로 확인하도록 하고, 행정구역별 급수구역 정보를 쉽게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민원 서비스 제공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기
100: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Claims (7)

  1. 관리 지역을 행정구역 단위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다수의 행정구역도들과, 상기 관리 지역에서 발생한 상수도와 관련된 민원데이터(이하, '상수도 민원데이터'라 한다)와 날짜별 강수량, 강우량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가 웹페이지를 통해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민원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발생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지역의 행정구역도(이하, '포털 지도'라 한다)와, 조회 기간과, 민원 유형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행정구역도의 포털 지도를 중첩한 중첩 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민원 발생 데이터 중에서 상기 선택된 민원 유형에 해당하는 민원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민원데이터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중첩 지도 상에 민원 발생 지점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공간 분석 모듈;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민원이 발생한 날의 강수량, 강우량과 맨홀내에 구비된 수위센서 값을 분석하여 정해진 임계값이상 일 경우 누수로 예측하여 표시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석 모듈은,
    상기 중첩 지도 상에 표시된 다수의 민원 발생 지점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서 발생한 민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분석 모듈은,
    상기 표시된 중첩 지도에서 어느 한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행정구역에서 발생한 전체 민원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선택된 지점이 소속된 행정구역은 상기 다수의 행정구역도들 중 현재 중첩되도록 선택된 행정구역도에서 정의된 경계에 의해 구분되는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관리 지역의 급수구역 정보를 보여주는 급수구역도와 관망도가 더 저장되고,
    상기 공간 분석 모듈은,
    상기 선택된 민원 발생 지점에 해당하는 급수구역 정보 또는 관망도의 표시가 요청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급수구역도 또는 관망도가 상기 포털 지도에 중첩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7. 삭제
KR1020210145570A 2021-10-28 2021-10-28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617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70A KR102617045B1 (ko) 2021-10-28 2021-10-28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570A KR102617045B1 (ko) 2021-10-28 2021-10-28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83A KR20230060883A (ko) 2023-05-08
KR102617045B1 true KR102617045B1 (ko) 2023-12-27

Family

ID=8638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570A KR102617045B1 (ko) 2021-10-28 2021-10-28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0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03B1 (ko) * 2012-04-04 2012-11-2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KR101283828B1 (ko)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KR101741624B1 (ko) * 2016-03-29 2017-05-30 환경관리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2249524B1 (ko) * 2019-12-26 2021-05-11 한국국토정보공사 데이터 기반 공간분석을 이용한 민원 발생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20B1 (ko) * 2006-09-01 2008-05-07 한국수자원공사 Usn 기반 지능형 수자원 통합 관리방법
KR20120101201A (ko) * 2011-02-10 2012-09-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모듈, 그리고, 지도 서비스 제공 및 신청 방법
KR101582268B1 (ko) 2014-07-11 2016-01-0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로케이션 그리드를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94319B1 (ko) * 2019-05-10 2020-12-22 네이버 주식회사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지도 환경에서 장소 기반의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1602A (ko) * 2019-07-23 2021-02-02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Bim 기반 민원 처리 시스템
KR20210097468A (ko) * 2020-01-30 2021-08-09 박성훈 민원정보 특성에 따른 민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03B1 (ko) * 2012-04-04 2012-11-26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
KR101283828B1 (ko)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KR101741624B1 (ko) * 2016-03-29 2017-05-30 환경관리 주식회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KR102249524B1 (ko) * 2019-12-26 2021-05-11 한국국토정보공사 데이터 기반 공간분석을 이용한 민원 발생 예측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83A (ko)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8076B2 (en) System to manage maintenance of a pipeline structure, program product, and related methods
CA2692916C (en) System,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drilling rig activity accounting and visualization
US20160275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aring and visualizing data entities and data entity series
JP2013521558A (ja) 水道施設網内のリソース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933637B (zh) 一种洪水风险动态展示及分析系统
KR101740558B1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망 시설물의 자산 및 유지관리 시스템
KR100893424B1 (ko)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US2023041943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perty defect management
Akofio-Sowah et al. Managing ancillary transportation assets: The state of the practice
Woldesenbet et al. Daily work reports–based production rate estimation for highway projects
CN113657780A (zh) 一种多维指标综合漏损指数统一评定警示系统和方法
Cominola et al.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water consumption: A review and assessment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JP3958026B2 (ja) 防災情報システム及び防災情報提供プログラム
Fenner et al. A new approach for directing proactive sewer maintenance
KR102617045B1 (ko) 상수도 민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US20140350992A1 (en) Integrated maintenance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Dziedzic et al. A framework for asset management planning in sustainable and resilient cities
KR102147586B1 (ko) 수도관 갱신 관리 시스템
US6839641B1 (en) Automated system for rating pipe segments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KR102603261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상수도 운영관리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JP2020042531A (ja) 固定資産管理システム
KR20220096880A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하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US11836332B1 (en) Representation of remote assets system and method
Meehan et al. GIS in Energy and Utilities
KR20220096881A (ko)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상수관로 안전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