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932B1 -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6932B1
KR102616932B1 KR1020210123496A KR20210123496A KR102616932B1 KR 102616932 B1 KR102616932 B1 KR 102616932B1 KR 1020210123496 A KR1020210123496 A KR 1020210123496A KR 20210123496 A KR20210123496 A KR 20210123496A KR 102616932 B1 KR102616932 B1 KR 10261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wired
connector
c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0440A (en
Inventor
정봉현
강승표
박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Priority to KR102021012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932B1/en
Publication of KR20230040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9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2Tethered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10Air cr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 상기 케이블 일단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드론의 배터리팩에 배치된 배터리팩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커넥팅 장치; 및 상기 드론과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의 탈착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모드를 전환하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에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모드 전환부와, 상기 모드 전환부에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자기력을 제거하도록 조절하는 자기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발생되거나 제거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드론은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거나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cludes: a drone; base station; a cable disposed between the drone and the base station to supply power to the drone;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cable connector disposed on one end of the cable and a battery pack connector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and a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that switches the flight mode of the drone by controll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rone and the cable connector.
In addition,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disposed in the battery pac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and a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It includes a magnetic force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drone to do so or remove the magnetic force, and the drone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or a wireless flight mode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or remov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Description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최근 들어, 무인비행체 즉, 드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드론은 카메라 및 각종 센서를 장착하여 무인으로 비행가능하며, 각종 필요한 업무에 투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환경감시, 산불감시, 방송중계, 스포츠중계, 농약살포, 도로감시, 보안, 군사, 레저, 스포츠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된다.Recently, unmanned aerial vehicles, or dron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Drones are equipped with cameras and various sensors and can fly unmanned, and are used for various necessary tasks. For example, drones are used for a wide range of purposes, including environmental monitoring, forest fire monitoring, broadcasting, sports broadcasting, pesticide spraying, road surveillance, security, military, leisure, and sports.

한편, 종래 드론은, 내부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비행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짧은 배터리 운용시간으로 인한 연속적 성격의 작업에선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지상통제장비와 드론 사이를 케이블(cable)로 연결하여 운용할 수 있는 테더 드론(Tethered-drone)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테더 드론은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유선 비행모드 형태로 동작한다.Meanwhile, conventional drones have the problem of being inefficient in continuous work due to short battery operation time because they perform flight missions using power from an internal battery. To improve this problem, a tethered-drone, which can be operated by connecting a cable between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the drone, was proposed. In general, tethered drones operate in wired flight mode because they perform their mission while receiving power through a cable.

따라서, 테더 드론은 종래 장착된 배터리로만 비행하는 드론보다 훨씬 긴 시간 임무에 운용될 수 있다. 하지만, 테더 드론은 작업 중 지상 구조물(예컨대, 건물, 전봇대, 나무 등)과 케이블이 엉키거나, 바람 등에 의해 드론과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엉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드론을 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tethered drones can be operated for a much longer mission than drones that fly only with conventionally installed batteries. However, tethered drones have a problem where the user cannot control the drone if the cable becomes tangled with ground structures (e.g. buildings, electric poles, trees, etc.) during work, or if the cable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one becomes tangled due to wind, etc. do.

즉, 테더 드론은 케이블과 연결된 유선 비행모드로 운용되기 때문에 비상상황(예컨대, 조류와의 충돌, 급변하는 날씨, 지상 구조물과의 충돌, 케이블 손상 등)이 발생하면 무선 비행모드로 운용되는 드론에 비해 드론, 케이블 및 연결 장비 전체에 큰 피해가 발생된다.In other words, since tethered drones are operated in a wired flight mode connected to a cable, if an emergency situation (e.g., collision with a bird, rapidly changing weather, collision with a ground structure, cable damage, etc.) occurs, the drone operated in wireless flight mode Compared to this, significant damage occurs to the drone, cables, and entire connecting equipment.

따라서, 위와 같은 비상상황 시 드론과 케이블의 신속한 분리 및 드론의 무선 비행모드 전환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 전환할 때,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Therefore,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the above, technology is required to quickly separate the drone and cable and switch the drone's wireless flight mode. Additionally, when a drone switches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technology is required to protect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10-2231048 B10-2231048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론 이용 시 지상통제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상 구조물 및 드론과 접하여 엉킨 경우에도 비행 중단 없이도 사용자가 계속 드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a drone,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drone without interrupting the flight even when the cable connected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s in contact with ground structures and the drone and becomes tangl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임무 수행 중인 드론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드론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that can quickly switch the drone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and cables even 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drone performing its miss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switching method using this.

또한, 본 발명은 드론 또는 지상 구조물에 의해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과 드론이 신속히 분리되도록 하여 드론, 케이블 및 연결 장비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to prevent damage to the drone, cables, and connecting equipment by quickly separating the cable and drone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by the drone or ground structur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switching method using this.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시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가 추락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to prevent damage to the cable and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from falling when the drone switches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and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ransi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의 배터리팩에 방열수단과 히팅수단을 배치하여 주위 온도 변화에도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드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by arranging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a heating means i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so that the battery can stably supply power to the drone despite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and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switch us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또한, 본 발명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는 케이블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성부와 히팅수단을 동작하도록 하고, 드론이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드론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mponents and heating means to be operated by pow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cable when the drone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and when the drone operates in a wireless flight mod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that enables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required for drone operation,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전원 라인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라인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종래 테더 드론이 가진 통신 체계의 미비 및 데이터 보안의 취약성의 문제를 개선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that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lack of communication system and vulnerability of data security of conventional tethered drones by independently arranging a power line and a data lin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ystem.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 상기 케이블 일단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와 상기 드론의 배터리팩에 배치된 배터리팩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커넥팅 장치; 및 상기 드론과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의 탈착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모드를 전환하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한다.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includes: a drone; base station; a cable disposed between the drone and the base station to supply power to the drone; A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cable connector disposed on one end of the cable and a battery pack connector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and a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that switches the flight mode of the drone by controll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rone and the cabl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배터리팩에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모드 전환부와, 상기 모드 전환부에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자기력을 제거하도록 조절하는 자기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발생되거나 제거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드론은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거나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한다.In addition,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disposed in the battery pack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and a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It includes a magnetic force control unit that adjusts the drone to do so or remove the magnetic force, and the drone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or a wireless flight mode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or removed by the mode switch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1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과 체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 링키지와, 상기 제1 링키지 내측에 배치된 제1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제2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2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홈과 체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2 링키지와, 상기 제2 링키지 내측에 배치된 제2 플러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connector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portion and a first linkage engaged with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portion and having one side open. and a first plug disposed inside the first linkage, wherein the cable connector is engaged with a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has one side open. and a second plug disposed inside the second linkage.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커넥팅 장치는, 상기 제2 링키지와 제2 플러그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와, 상기 제2 홈 영역의 상기 제2 링키지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하는 서보모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age and the second plug, and an elastic portion disposed inside the second linkage in the second groove area. It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means and a servo motor that controls fixation or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여기서, 상기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링키지에 형성된 고정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링키지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연장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배치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2 링키지에 형성된 오픈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링키지가 삽입된 홈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링키지에 형성된 고정홈과 체결된다.Here, the fixing means of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that is fastened 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linkage to fix the first linkage,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fixing protrusion, and a rotating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An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ans protrudes into the groove area where the first linkag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area formed in the second linkage and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linkage.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배터리팩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1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측에 배치된 제1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제2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2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홈과, 제2 홈 내측에 배치된 제2 플러그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connector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groove. Includes a first plug, and the c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body, a sec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plug disposed inside the second groove.

여기서, 상기 커넥팅 장치는, 상기 제2 홈 영역의 상기 제2 커넥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하는 서보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은 상기 제2 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플러그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연장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배치된 회전부를 포함한다.Here,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mean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area and a servomotor that controls fixation or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and the connecting device The fixing means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first plug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fixing protrusion, and a rotating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1 플러그가 상기 제2 홈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2 홈 영역에서 삽입된 제1 플러그 상의 고정홈과 체결되고,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2 홈 영역의 제2 커넥터 몸체부에 형성된 오픈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 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 플러그의 고정홈과 체결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ans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groove on the first plug inserted in the second groove area when the first plu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It is fastened, an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ans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roove through an open area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body part of the second groove area and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of the first plug.

또한,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넥터 보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보호장치는, 상기 케이블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수납하는 커넥터 홀더와, 상기 커넥터 홀더가 상기 케이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홀더에 배치된 홀더 이동부와, 상기 커넥터 홀더의 하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완충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nector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the cabl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includes a connector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cable connector disposed on the cable; , a holder moving part disposed on the connector holder so that the connector holder can move along the cable, and at least one shock absorber disposed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여기서, 상기 커넥터 보호장치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 수납부와 상기 에어백 수납부에 수납된 에어백과,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배치된 제1 접촉센서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홀더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접촉센서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접촉센서를 더 포함한다.Here,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airbag accommodat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le connector, an airbag accommodated in the airbag accommodating portion, a first contact sensor disposed in the cable connector, and the cabl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tact sensor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ntact sensor when stored in the hol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론 이용 시 지상통제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상 구조물 및 드론과 접하여 엉킨 경우에도 비행 중단 없이도 사용자가 계속 드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were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using a drone, the cable connected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s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continue using the drone without stopping flight even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ground structures and dron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임무 수행 중인 드론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드론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can quickly switch the drone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so that the drone performing its mission can be op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this occu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and c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 또는 지상 구조물에 의해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과 드론이 신속히 분리되도록 하여 드론, 케이블 및 연결 장비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llow the cable and drone to be quickly separ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by the drone or ground structur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cables, and connecting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시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가 추락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re, when the drone switches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the cable and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are damaged due to a fal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의 배터리팩에 방열수단과 히팅수단을 배치하여 주위 온도 변화에도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드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clude arranging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a heating means i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so that the battery is stable in the drone despite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power to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는 케이블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성부와 히팅수단을 동작하도록 하고, 드론이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드론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have components and heating means operated by pow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cable when the drone operates in wired flight mode.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required for drone operation by enabling the drone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pack when operating in wireless flight mo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전원 라인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라인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종래 테더 드론이 가진 통신 체계의 미비 및 데이터 보안의 취약성의 문제를 개선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dependently arrange a power line and a data lin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a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so that the conventional tethered dron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communication systems and vulnerabilities in data security.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의 배터리팩 일부 및 케이블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케이블 커넥터 및 배터리팩 커넥터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 커넥터의 제1 플러그와 케이블 커넥터의 제2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체결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가 체결 및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 커넥터의 제1 플러그와 케이블 커넥터의 제2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에 배치되는 방열패널과 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에 배치되는 히팅패널과 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의 유선 비행모드 및 무선 비행모드에서 배터리팩을 히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터리팩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과 연결되는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케이블 커넥터에 배치되는 커넥터 보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 후 커넥터 보호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switching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able connector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battery pack and cable of the dron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cable connector and a battery pack connector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lug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and the second plug of the cable connector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xing means of a fastening device disposed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the first plug and the second plug being connected and separat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lug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and the second plug of the cable connector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a and 11b are diagrams showing a heat dissipation panel disposed on a battery pack and its structur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a and 12b are diagrams showing a heating panel disposed on a battery pack and its structur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a and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attery pack to expla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battery pack in the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dron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ble connected to a dron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protection device disposed on a cable connector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a and 16b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fter switching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block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switching process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dditionally,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dditionally,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이동가능한 박스(box) 형태로 구현되어 지면 등에 배치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 Base station) 및 베이스 스테이션(100: Base Station)과 케이블(330: Cable)을 통해 연결되는 드론(200: Drone)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clude a base station (100: Base station) and a drone (200)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0: Base Station) and a cable (330: Cable).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을 조종하는 조종사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process)에 따라서 드론(200)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베이스 스테이션(100)의 제어에 따라 드론(200)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00 can control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input of a pilot operating the drone 200 or a preset drone control process. In particular,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he drone 200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base station 100.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케이블(33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케이블(330)을 통한 유선 통신 방식으로 드론(200)의 비행 및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rone 200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the base station 100 supplies power through the cable 330 and controls the flight and filming of the drone 200 through wired communication through the cable 330. You can.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드론(200)의 위치에 따라 케이블(330)의 길이를 단축하거나 연장하여 드론(200)이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one 200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the base station 100 shortens or extends the length of the cable 330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drone 200 to enable the drone 200 to fly stably. We can support you.

또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드론(200)에 비행모드 전환장치와, 케이블(330)과 드론(200)을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커넥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eparate or connect a flight mode switch device to the drone 200, a cable 330, and the drone 200 so that the drone 200 can be switched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It may include a connect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할 때, 분리된 케이블(330)과 케이블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넥터 보호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protection device to protect the separated cable 330 and cable connector when the drone 200 switches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또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이 비행중 온도 변화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 또는 불안정한 전원 공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열수단과 히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a heating means to prevent battery discharge or unstable power supply phenomenon due to temperature changes while the drone 200 is in flight.

전술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을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과 드론(200)에 대해서는 아래 도 17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base station 100 and drone 200, which constitute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17 below.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론 이용 시 지상통제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상 구조물 및 드론과 접하여 엉킨 경우에도 비행 중단 없이도 사용자가 계속 드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such,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were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using a drone,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continue using the drone without interrupting the flight even when the connected cable is tangled in contact with ground structures and the dr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임무 수행 중인 드론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드론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can quickly switch the drone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so that the drone performing its mission can be op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this occu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and c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 또는 지상 구조물에 의해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과 드론이 신속히 분리되도록 하여 드론, 케이블 및 연결 장비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llow the cable and drone to be quickly separ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by the drone or ground structur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cables, and connecting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시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가 추락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re, when the drone switches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the cable and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are damaged due to a fal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의 배터리팩에 방열수단과 히팅수단을 배치하여 주위 온도 변화에도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드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clude arranging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a heating means i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so that the battery is stable in the drone despite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power to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는 케이블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성부와 히팅수단을 동작하도록 하고, 드론이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드론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have components and heating means operated by pow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cable when the drone operates in wired flight mode.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required for drone operation by enabling the drone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pack when operating in wireless flight mo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전원 라인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라인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종래 테더 드론이 가진 통신 체계의 미비 및 데이터 보안의 취약성의 문제를 개선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dependently arrange a power line and a data lin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a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so that the conventional tethered dron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communication systems and vulnerabilities in data security.

-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 구조 및 방법 - Structure and method of switching a drone from wired flight mode to wireless flight mode in a drone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의 배터리팩 일부 및 케이블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케이블 커넥터 및 배터리팩 커넥터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drone switching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able connector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battery pack and cable of the dron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of connecting a cable connector and a battery pack connector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함께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에 배치되는 배터리팩(221: Battery Pack), 배터리팩 커넥터(320) 및 비행모드 변환장치를 포함한다. 배터리팩(221)이란, 드론(200)의 구동을 위한 배터리를 탑재함으로써 드론(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드론(200) 측에서 포함할 수 있는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할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B along with Figure 1,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pack (221) disposed on the drone (200) and a battery pack connector (320). ) and a flight mode converter. The battery pack 221 is a device that supplies power to the drone 200 by mounting a battery for driving the drone 200, and is a devic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drone 200 to perform a wired or wireless flight mode conversion service. It can be equipped with various components.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이 케이블(330)에 연결된 상태에서 비행하는 유선 비행모드와 케이블(330)과 드론(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비행하는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드론(200)은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는 케이블(330)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다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케이블(330)과 드론(200)이 분리된다.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 wired flight mode in which the drone 200 flies while connected to the cable 330 and a wireless flight mode in which the cable 330 and the drone 200 fly in a separated state. When operating in a wired flight mode, the drone 200 remains connected to the cable 330, and when operating in a wireless flight mode, the cable 330 and the drone 200 are separ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과 케이블(330)이 분리되거나 체결되기 위한 커넥팅 장치와 비행모드 전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팅 장치와 관련해서는 도 5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여기서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를 중심으로 드론(200)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에 대해 설명한다.Accordingly,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device for separating or connecting the drone 200 and the cable 330 and a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The connecting devic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5 and below, and herein,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drone 200 is explained focusing on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배터리팩(221)에 배터리팩 커넥터(3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모드 전환부(500)와, 모드 전환부(500)에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자기력을 제거하도록 조절하는 자기력 조절부(509)와 모드 전환부(500)의 이동을 위해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부(510)를 포함한다.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500 disposed in the battery pack 22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adjusts the mode switching unit 500 to generate magnetic force or remove the magnetic force. It includes a motor unit 510 that supplies power for movement of the magnetic force control unit 509 and the mode switching unit 500.

모드 전환부(500)는, 저면인 제1 표면(sf1)과 가까운 내부에 전류를 흘리면 전자석이 되는 코일(예컨대, 솔레노이드(Solenoid)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coil (eg, solenoid, etc.) that becomes an electromagnet when a current flows inside close to the bottom first surface sf1.

이때, 자기력 조절부(509)는, 모드 전환부(500) 내부의 코일과 연결되어 자기력 생성을 위한 전류 공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모드 전환부(500)의 자기력 발생 및 제거를 제어한다.At this time, the magnetic force control unit 509 is connected to the coil inside the mode switch unit 500 and controls the generation and removal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ode switch unit 500 by adjusting the current supply for generating magnetic force.

즉, 자기력 조절부(509)는 모드 전환부(500)의 자기력 발생 또는 자기력 제거를 제어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340)와 모드 전환부(500)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한다. 드론(200)은 케이블 커넥터(340)와 모드 전환부(500)의 체결(고정) 또는 분리에 의해 유선 비행모드 또는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된다.That is, the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509 controls the fixation or separation of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mode switching unit 500 by controlling the generation or removal of magnetic force of the mode switching unit 500. The drone 200 is converted to a wired flight mode or a wireless flight mode by connecting (fixing) or disconnecting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mode switching unit 500.

또한, 케이블 커넥터(340)는, 자기력 조절부(509)에 의해 모드 전환부(500)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부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자력을 띠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2 표면(sf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connector 340 has a second surface sf2 containing a magnetic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or separated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500 by the magnetic force adjusting unit 509. It can be included.

이와 같이,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할 때, 케이블 커넥터(340)와 드론(200)을 최종적으로 분리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와 전기적 체결을 할 때, 정확한 얼라인 작업에 적용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not only has the function of finally separating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drone 200 when the drone 200 switches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but also functions to separate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When making electrical connections with the pack connector 320, it can be applied to accurate alignment work.

케이블 커넥터(340)는 제2 플러그(341)와 제2 플러그(341) 또는 제2 플러그(341)를 감싸는 링키지의 전후 이동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서보모터(344)를 포함한다. 배터리팩 커넥터(320)는 제2 플러그(341)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플러그(321) 및 제1 플러그(321)의 전후 이동을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서보모터(322)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321)는, 배터리팩 커넥터(320)에 포함되어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드론(2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중개하는 부분으로, 케이블(330)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드론(200) 측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ble connector 340 includes a second plug 341 and a second servomotor 344 that provides power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plug 341 or a linkage surrounding the second plug 341.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includes a first plug 321 disposed to face the second plug 341 and a first servomotor 322 that provides power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plug 321. . The first plug 321 i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is a part that mediate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drone 200, and connect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cable 330 to the drone 200. ) can perform the role of conveying to the side.

또한, 제1 서보모터(322)는,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플러그(321)와 연결되어, 제1 플러그(321)를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ervomotor 322 is connected to the first plug 321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can move the first plug 321 a predetermined distance.

드론(200)은 유선 비행모드에서는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전기적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케이블(33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는 전기적으로 체결된 후, 본 발명의 커넥팅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In the wired flight mode, the drone 200 receives power through the cable 330 with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electrically connected.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n fixed by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케이블 커넥터(340)가 배터리팩 커넥터(320)에 체결되기 위해서는, 먼저 비행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부(500)가 배터리팩(221)의 저면부(BS)로부터 하강하여 케이블 커넥터(340)를 고정한다. 모드 전환부(500)는 비행모드 전환장치의 자기력 조절부(509)에서 공급되는 자기력에 의해 케이블 커넥터(340)를 고정한다.In order for the cable connector 340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first, the mode switching unit 500 of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descends from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battery pack 221 and connects the cable connector 340. Fix it. The mode switching unit 500 fixes the cable connector 340 by magnetic force supplied from the magnetic force control unit 509 of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이때, 배터리팩 커넥터(320) 역시 배터리팩(221)의 저면으로부터 하강하여 마주하는 케이블 커넥터(340)와 얼라인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may also descend from the bottom of the battery pack 221 and be aligned with the facing cable connector 3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자기력 조절부(509)를 이용하여 케이블 커넥터(340)를 드론(200)과 최종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드론(200)을 유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As such,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finally separate the cable connector 340 from the drone 200 using the magnetic force control unit 509, thereby It can be used to switch to wired or wireless flight mode.

또한,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모터부(510) 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부(5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플러그(321) 와 케이블 커넥터(340)의 제2 플러그(341)가 체결될 때 얼라인(align)을 위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de switching unit 500 using the motor unit 510, so that the first plug 321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the first plug 321 of the cable connector 340 2 When the plug 341 is fastened, it can also serve as an alignment function.

도 4a 및 도 4b를 통해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체결될 때, 비행모드 전환장치에 의해 얼라인하는 과정을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4A and 4B,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connected, the alignment process using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팩(221)에 배터리팩 커넥터(320)와 비행모드 전환장치가 배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a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22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부(500)는 배터리팩 저면부(BS)에서 모터부(510)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하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터리팩 커넥터(320) 역시 배터리팩(221) 저면부(BS)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하강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ode switching unit 500 of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can desce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part (BS) of the battery pack by the motor unit 510. Likewise,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may also desce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ttom portion (BS) of the battery pack 221.

자세히, 도 4b를 참조하면, 모드 전환부(500)는, 모터부(5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드 전환부(500)에 고정된 케이블 커넥터(340)의 위치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detail, referring to FIG. 4B, since the mode switching unit 500 can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motor unit 510, the position of the cable connector 340 fixed to the mode switching unit 500 can als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ou can move.

따라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플러그(321)와 케이블 커넥터(340)의 제2 플러그(341)가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모드 전환부(500)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드 전환부(50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를 함께 상하 이동시켜 제1 및 제2 플러그(321, 341)가 서로 마주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ositions the mode switching unit 500 so that the first plug 321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the second plug 341 of the cable connector 340 are located in a straight line. You can move or move the position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In some cases, the mode switching unit 50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may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plugs 321 and 341 face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도 플러그간 안정적인 체결 유지를 위해 모드 전환부(500)의 저면인 제1 표면(sf1)과 케이블 커넥터(340)의 상면인 제2 표면(sf2)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first surface sf1, which is the bottom of the mode switching unit 500, and the cable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plugs even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cond surface sf2,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340, may remain in contact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유선 비행모드 상태에서도 비행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부(500)에 자기력을 공급하여 케이블 커넥터(340)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cable connector 340 by supplying magnetic force to the mode switching unit 500 of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even in the wired flight mode.

한편,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 상태일 때는 케이블(33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무선 비행모드 전환을 위해 분리도 용이할 수 있도록 커넥팅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ower through the cable 330 when the drone 200 is in a wired flight mode, so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firmly coupled to operate in wireless flight mode. Connecting devices can be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for conversion.

- 커넥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팩 커넥터와 케이블 커넥터의 체결 및 분리 방법 -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battery pack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using the same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플러그(321)와 케이블 커넥터(340)의 제2 플러그(341)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체결장치의 고정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제1 플러그와 제2 플러그가 체결 및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show the structure of the first plug 321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the second plug 341 of the cable connector 340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fixing means of a fastening device disposed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the first plug and the second plug being connected and separated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넥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to 8B,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device that facilitates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

배터리팩 커넥터(320)는 제1 커넥터 몸체부(320a)와, 제1 커넥터 몸체부(320a)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320b)과 체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 링키지(Lk-1)와, 제1 홈(320b) 내측에 배치된 제1 플러그(321)를 포함한다. 자세히, 제1 링키지(Lk-1)는, 제1 플러그(321)를 감싸며 길이 방향으로 배터리팩 커넥터(32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뻗어나가며, 일측이 개방되어 있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소정의 공간에 제1 플러그(321)가 배치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320a and a first linkage Lk-1 that is engaged with a first groove 320b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320a and has one side open. and a first plug 321 disposed inside the first groove 320b. In detail, the first linkage (Lk-1) surrounds the first plug 321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ne side open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It can be. At this time, the first plug 321 may be placed in a predetermined space.

또한, 제1 링키지(Lk-1)는, 제1 플러그(321)가 제1 서보모터(322)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제1 플러그(3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둘레면을 따라 소정의 고정홈(327)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age (Lk-1)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plug 321 in case the first plug 321 is moved by the first servomotor 322, A predetermined fixing groove 327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케이블 커넥터(340)는 제2 커넥터 몸체부(340a)와, 제1 커넥터 몸체부(340a)와 체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2 홈(340b)이 형성된 제2 링키지(Lk-2)와, 제2 홈(340b) 내측에 배치된 제2 플러그(341)를 포함한다.The cable connector 340 includes a second connector body 340a, a second linkage Lk-2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or body 340a and has a second groove 340b open on one side, and a second linkage Lk-2. 2 It includes a second plug 341 disposed inside the groove 340b.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커넥터(340)는, 케이블(330)을 기초로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드론(200)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커넥팅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케이블(330) 측에서 포함할 수 있는 구성 전반이 배치된 부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connector 340 is a device including a connecting device that can connect and separate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drone 200 based on the cable 330, and provides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switching service. The overall configuration that can be included on the cable 330 side may be an arranged part to perform.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에 배치되는 커넥팅 장치는, 제2 링키지(Lk-2)와 제2 플러그(341)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343)와, 제2 홈(340b) 영역의 제2 링키지(Lk-2)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342)과, 고정수단(342)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하는 제2 서보모터(344)를 포함한다. 탄성부(343)는 삽입되는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링키지(Lk-1)와 접촉하는 패드(343a)와 패드(343a)를 통해 제1 링키지(Lk-1)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4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portion 343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age (Lk-2) and the second plug 341, and a second linkage ( Lk-2)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means 342 disposed inside, and a second servomotor 344 that controls fixation or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342. The elastic portion 343 applies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first linkage (Lk-1) through the pad (343a) and the pad (343a) in contact with the first linkage (Lk-1) of the inserted battery pack connector 320. It may include a spring 343b provided.

도면에서는 고정수단(342)이 제1 및 제2 오픈영역(OP1, OP2)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오픈영역(OP1, OP2)은 제2 링키지(Lk-2)의 원주면을 따라 하나의 오픈 영역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링키지(Lk-2)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의 오픈 영역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정수단(342)은 제2 링키지(Lk-2)의 원주면을 따라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오픈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fixing means 342 is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open areas (OP1, OP2), but the first and second open areas (OP1, OP2) are loca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inkage (Lk-2). Depending on the area, it may be an open area. Additionally,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open area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inkage Lk-2. Likewise, the fixing means 342 may b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inkage (Lk-2) or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open areas.

예를 들어, 도 7의 고정수단(342)은 제2 링키지(Lk-2)의 원주면을 따라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경우, 고정수단(342)도 중앙 영역이 오픈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다.For example, when the fixing means 342 in FIG. 7 is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linkage (Lk-2), the fixing means 342 is also formed 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an open central area. .

또한,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342)은 제1 링키지(Lk-1)에 형성된 고정홈(327)에 체결되어 제1 링키지(Lk-1)를 고정하는 고정돌기(342c)와, 고정돌기(342c)로부터 연장된 지지바(342b)와, 지지바(342b)의 일단에 배치된 회전부(342a)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42 of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342c that is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327 formed in the first linkage (Lk-1) and fixes the first linkage (Lk-1), and a fixing protrusion ( It includes a support bar (342b) extending from 342c) and a rotating part (342a)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342b).

따라서,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342)은 고정돌기(342c)가 제1 링키지(Lk-1)의 고정홈(327)과 체결되어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를 견고히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체결될 때, 제1 링키지(Lk-1)가 제2 링키지(Lk-2)에 삽입되면서 제1 플러그(321)와 제2 플러그(34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고정돌기(342c)는 제1 링키지(Lk-1)의 고정홈(327)과 체결된다. 배터리팩 커넥터(320)는 제1 링키지(Lk-1)를 제2 링키지(Lk-2)에 삽입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서보모터(32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means 342 of the connecting device securely fixes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by engaging the fixing protrusion 342c with the fixing groove 327 of the first linkage (Lk-1). It plays a role. Specifically,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connected, the first linkage (Lk-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inkage (Lk-2) and the first plug 321 and the second plug ( 341) are electrically connected. At this time, the fixing protrusion 342c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327 of the first linkage (Lk-1).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may include a first servomotor 322 that provides power to move back and forth in order to insert the first linkage (Lk-1) into the second linkage (Lk-2). .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체결되면,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플러그(321)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단자들(321-a1, 321-a2, 321-a3)은 케이블 커넥터(340)의 제2 플러그(341)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단자홈들(341-a1, 341-a2, 341-a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coupled,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disposed on the first plug 321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disposed inside (321-a1, 321-a2, 321-a3) are first to third terminal grooves (341-a1, 341-a2, 341-a3) disposed in the second plug 341 of the cable connector 3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따라서, 제1 링키지(Lk-1)는, 제1 플러그(321) 및 단자들(321-a1, 321-a2, 321-a3)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1 플러그(321)가 돌출된 정도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linkage (Lk-1) has a predetermined angle greater than the protruding degree of the first plug 321 in order to protect the first plug 321 and the terminals 321-a1, 321-a2, and 321-a3. It can protrude further by the length of .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에 배치된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342)에 의해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결속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by the fixing means 342 of the connect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의 커넥팅 장치는 고정수단(342)의 고정돌기(342c)는 케이블 커넥터(340)에 배치되고, 제2 링키지(Lk-2) 영역으로 삽입되는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제1 링키지(Lk-1)를 고정한다. 즉, 제1 링키지(Lk-1)가 제2 링키지(Lk-2)에 삽입되면, 제2 홈(340b) 영역의 제2 링키지(Lk-2)에 형성된 오픈영역(op1, op2)을 통해 제2 홈(340b)의 내부 공간으로 고정돌기(342c)가 돌출되면서 삽입된 제1 링키지(Lk-1)의 고정홈(327)과 체결되면서 고정된다.In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rotrusion 342c of the fixing means 342 is disposed o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second linkage (Lk-2) area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1 Fix the linkage (Lk-1). That is, when the first linkage (Lk-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inkage (Lk-2), through the open areas (op1, op2) formed in the second linkage (Lk-2) in the second groove (340b) area. The fixing protrusion 342c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roove 340b and is secured by engaging with the fixing groove 327 of the inserted first linkage Lk-1.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를 체결하기 위해 제1 링키지(Lk-1)가 제2 링키지(Lk-2)로 삽입되면 제1 링키지(Lk-1)의 전단은 제2 플러그(341)와 제2 링키지(Lk-2)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343)와 접촉한다. 즉, 탄성부(343)의 탄성력은 삽입되는 제1 링키지(Lk-1)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제1 링키지(Lk-1)를 밀어내는 형태로 작용한다. 이는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체결된 후, 분리될 때 쉽게 분리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when the first linkage (Lk-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inkage (Lk-2) to connect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the first linkage (Lk-2) The front end of -1) contacts the elastic portion 343 disposed between the second plug 341 and the second linkage (Lk-2).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343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ed first linkage (Lk-1) and acts to push the first linkage (Lk-1). This serves to easily separate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fter they are connected.

탄성부(343)의 탄성력은 삽입되는 제1 링키지(Lk-1)의 반 가해지지만 고정돌기(342c)가 제1 링키지(Lk-1)의 표면에 형성된 고정홈(327)과 체결되면서 제1 링키지(Lk-1)는 제2 링키지(Lk-2)와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플러그(321)와 제2 플러그(341)의 전기적 접속력은 고정수단(342)에 의해 견고하게 유지되어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 케이블(330)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343 is applied to half that of the inserted first linkage (Lk-1), but as the fixing protrusion 342c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327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linkage (Lk-1), the first linkage (Lk-1) is applied. The linkage (Lk-1) is not separated from the second linkage (Lk-2). Therefore, the electrical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first plug 321 and the second plug 341 is firmly maintained by the fixing means 342, so that when the drone 200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plug 321 and the second plug 341 through the cable 330. Power can be supplied stably.

또한,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에 배치된 커넥팅 장치는, 드론(200)이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 커넥팅 장치의 탄성부(343)의 탄성력에 의해 신속하게 제1 및 제2 플러그(321, 341)가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device disposed i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one 200 operates in a wireless flight mode, quickly moves the first and second plugs 321, 341) can be separated.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커넥팅 장치의 고정돌기(342c)는 제2 서보모터(344)에 의해 오픈영역(op1, op2) 내측의 제2 링키지(Lk-2) 내부 공간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돌기(342c)와 고정홈(327)은 분리된다. 이때, 탄성부(343)의 탄성력은 삽입된 제1 링키지(Lk-1)에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고정돌기(342c)와 고정홈(327)이 분리되면 제1 링키지(Lk-1)는 탄성력에 의해 제2 링키지(Lk-2)의 외측으로 분리된다.In more detail, the fixing protrusion 342c of the connecting device is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linkage (Lk-2) inside the open area (op1, op2) by the second servomotor 344. and the fixing groove 327 are separated.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343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inserted first linkage (Lk-1), when the fixing protrusion 342c and the fixing groove 327 are separated, the first linkage (Lk-1) -1) is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linkage (Lk-2) by elastic force.

이후,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비행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부(500)에 자기력을 제거하면 케이블 커넥터(340)는 드론(200)과 완전히 분리되어 드론(200)이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된다.Thereafter, i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gnetic force is removed from the mode switching unit 500 of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the cable connector 34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switches to the wireless flight mod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 커넥터의 제1 플러그와 케이블 커넥터의 제2 플러그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s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lug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and the second plug of the cable connector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커넥팅 장치는 배터리팩 커넥터(320)에 배치된 제1 링키지(Lk-1)와 케이블 커넥터(340)에 배치된 제2 링키지(Lk-2)를 제거한 것이다. 또한, 고정수단(342)과 고정되는 고정홈(327)은 제1 플러그(321)의 표면에 형성하였다. 따라서,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342)은 제1 실시예와 달리 고정돌기(342c)가 제1 플러그(321) 둘레에 형성된 고정홈(327)과 체결된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connecting device of the dron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inkage (Lk-1)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a second linkage disposed on the cable connector 340. (Lk-2) has been removed. 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42 and the fixing groove 327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lug 321. Accordingly,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fixing means 342 of the connecting device has a fixing protrusion 342c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327 formed around the first plug 321.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팩 커넥터(320)는 제1 커넥터 몸체부(320a)와, 제1 커넥터 몸체부(320a)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320b)과, 제1 홈(320b) 내측에 배치되는 1 플러그(32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320a, a first groove 320b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320a, and an inside of the first groove 320b. Includes 1 plug 321.

케이블 커넥터(340)는 제2 커넥터 몸체부(340a)와, 제2 커넥터 몸체부(340a)의 일측에 형성된 제2 홈(340b)과, 제2 홈(340b) 내측에 제2 플러그(341)를 포함한다.The cable connector 340 includes a second connector body 340a, a second groove 340b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340a, and a second plug 341 inside the second groove 340b. Includes.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커넥팅 장치는, 제2 홈(340b) 영역의 제2 커넥터 몸체부(340a)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342)과, 고정수단(342)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하는 제2 서보모터(344)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device of the drone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means 342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340a in the second groove 340b area, and a fixing means 342 ) includes a second servomotor 344 that controls fixation or separation.

또한,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342)은 제1 플러그(321)에 형성된 고정홈(327)에 체결되어 제1 플러그(321)를 고정하는 고정돌기(342c)와, 고정돌기(342c)로부터 연장된 지지바(342b)와, 지지바(342b)의 일단에 배치된 회전부(342a)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342 of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342c that is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327 formed in the first plug 321 and fixes the first plug 321, and a fixing protrusion 342c extending from the fixing protrusion 342c. It includes a support bar 342b and a rotating part 342a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342b.

고정수단(342)의 고정돌기(342c)는 배터리팩 커넥터(320)에 배치된 제1 플러그(321)가 케이블 커넥터(340)의 제2 홈(340b)에 삽입되면 제1 플러그(321)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제1 및 제2 플러그(321, 341)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돌기(342c)는 제1 플러그(321) 상에 형성된 고정홈(327)과 체결된다.The fixing protrusion 342c of the fixing means 342 causes the first plug 321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40b of the cable connector 340. It has the function of fixing it so that it does not come apart. When the first and second plugs 321 and 34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xing protrusion 342c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327 formed on the first plug 321 to prevent sepa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수단(342)의 고정돌기(342c)는 제2 홈(340b) 영역의 제2 커넥터 몸체부(340a)에 형성된 오픈영역(op1, op2)을 통해 제2 홈(340b) 내측으로 돌출된다. 제2 홈(340b)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42c)는 제2 홈(340b)으로 삽입된 제1 플러그(321)의 고정홈(327)과 체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xing protrusion 342c of the fixing means 342 is inside the second groove 340b through the open areas (op1, op2)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body portion 340a in the area of the second groove 340b. protrudes into The fixing protrusion 342c protruding inside the second groove 340b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327 of the first plug 321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340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론 이용 시 지상통제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상 구조물 및 드론과 접하여 엉킨 경우에도 비행 중단 없이도 사용자가 계속 드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such,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were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using a drone,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continue using the drone without interrupting the flight even when the connected cable is tangled in contact with ground structures and the dr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임무 수행 중인 드론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드론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can quickly switch the drone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so that the drone performing its mission can be op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this occu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and c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 또는 지상 구조물에 의해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과 드론이 신속히 분리되도록 하여 드론, 케이블 및 연결 장비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llow the cable and drone to be quickly separ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by the drone or ground structur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cables, and connecting equipment.

- 배터리팩 온도제어 시스템 - Battery pack temperature control system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에 배치되는 방열패널과 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에 배치되는 히팅패널과 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의 유선 비행모드 및 무선 비행모드에서 배터리팩을 히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터리팩의 단면도이다.Figures 11a and 11b are diagrams showing a heat dissipation panel disposed on a battery pack and its structur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a and 12b are diagrams showing a heating panel disposed on a battery pack and its structur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a and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attery pack to expla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battery pack in the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dron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내지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은 배터리팩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배터리팩이 최적의 효율로 드론(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온도제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A to 13B, the dro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 system that detects the temperature around the battery pack and allows the battery pack to supply power to the drone 200 with optimal efficiency. can do.

한편, 배터리팩(221)은, 배터리 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라 드론(200)의 구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배터리 온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배터리팩(221)의 온도를 상승 및 하강제어 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battery pack 221 ma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drone 200 depending on the rise or fall of the battery temperature, i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temperature sensor, and the battery pack 221 may be detected by the battery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of (221) can be controlled to rise and fa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의 배터리팩(221)은 외측의 일면에 방열패널(410)과 타면에 히팅패널(420)이 배치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221 of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eat dissipation panel 410 on one outer surface and a heating panel 420 on the other surface.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드론(200)의 본체에는 드론(200)의 동작과 관련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221)이 배치된다. 배터리팩(221)은 일반적으로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전류가 이동하는 도선들의 저항이 높아져 전체적으로 배터리 효율이 떨어지고 온도가 낮으면 배터리팩(221) 내의 이온(전자, 정공)의 이동이 느려져 출력 전압이 떨어지는 등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드론(200)을 동작할 때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팩(22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드론(200)이 안정적으로 임무 수행을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a battery pack 221 that supplies power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drone 200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of the drone 200. Generally,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rises, the resistance of the conductors through which current moves increases, which reduces overall battery efficiency, and when the temperature is low, the movement of ions (electrons, holes) within the battery pack 221 slows down, causing the output voltage to decrease. Efficiency decreases. Therefore, when operating the drone 200,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that supplies power must be maintained constant so that the drone 200 can perform its mission stably.

자세히, 배터리팩(221)은 전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띠는 구조를 갖는데, 저면부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적어도 마주하는 두 측면이 다른면들보다 넓다. 따라서, 배터리팩(221)에 대한 효과적인 온도제어를 위해서 배터리팩(221)의 가장 넓은 면적 중 적어도 하나의 면적에 방열패널(410)을 배치할 수 있다.In detail, the battery pack 221 has an overall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and generally at least two opposing sides, excluding the bottom portion, are wider than the other side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the heat dissipation panel 410 can be placed on at least one of the largest areas of the battery pack 221.

방열패널(410)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플레이트(411) 및 방열 패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nel 410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plate 411 and a heat dissipation pattern portion 412, as shown in FIG. 11B.

이때, 방열 플레이트(411) 및 방열 패턴부(412)는, 배터리팩(221)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열되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도가 큰 재질과 방열 면적을 크게 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t dissipation plate 411 and the heat dissipation pattern portion 41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heat dissipation area in order to effectively dissipate heat generated in the battery pack 221 to the outside. .

자세히, 방열 플레이트(411)는, 외부 공기 접촉 면을 넓히기 위하여 평평한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방열 플레이트(411)의 외부 공기 접촉 면에는 다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방열 패턴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heat dissipation plate 411 may have the shape of a flat plate to expand the external air contact surface, and the external air contact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411 is provided with a heat dissipation pattern portion 412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It can be.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배터리팩(221)에 배치되는 히팅패널(420)과 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S. 12A and 12B are diagrams showing the heating panel 420 and its structure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221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를 참조하면, 드론(200)이 작업하는 환경이 저온 환경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팩(221)의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등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배터리팩(221)이 저온의 주위 환경에서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배터리팩(221)의 일측에 히팅패널(42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2A, whe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drone 200 works is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voltage of the battery pack 221 is lowered and efficiency is reduced. Accordingly, the heating panel 4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221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even in a low-temperature surrounding environment.

자세히, 배터리팩(221)의 주위 환경 온도가 낮은 경우 배터리팩(22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방열패널(410)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넓은 면적에 대해 히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attery pack 221 is low, in order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constant, it is desirable to apply heating to as large an area as possible, similar to the heat dissipation panel 410.

히팅패널(420)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팅 플레이트(421), 온도 감지센서(445) 및 히팅 패턴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센서(445)는 드론(200)의 작업 환경에서 배터리팩(221)이 위치하는 주위의 온도를 정보를 획득하여 히팅패널(420)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2B, the heating panel 420 may include a heating plate 421, a temperature sensor 445, and a heating pattern portion 422. The temperature sensor 445 serv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panel 420 by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around the battery pack 221 in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이때, 히팅 플레이트(421) 및 히팅 패턴부(422)는, 배터리팩(221)에 최대한 열을 많이 공급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크고 열전도 면적이 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히팅패널(420)에서 공급되는 열은 배터리팩(221)의 온도 유지뿐만 아니라 드론(200) 영역에도 일정한 열을 전도할 수 있기 때문에 드론(200)의 구성부들이 저온에서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ating plate 421 and the heating pattern portion 42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a large heat conduction area to supply as much heat as possible to the battery pack 221. The heat supplied from the heating panel 420 not only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but also conducts a certain amount of heat to the area of the drone 200, thereby preventing the components of the drone 200 from malfunctioning at low temperatures. there is.

자세히, 히팅 플레이트(421)는, 신속한 열의 전도를 위해 넓고 평평한 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히팅 플레이트(421)의 단면에는 다수의 엠보싱을 포함하는 히팅 패턴부(422)가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히팅 패턴부(422)의 구조는 삼각뿔, 사각뿔, 타원형 단면, 반구형, 요철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detail, the heating plate 421 may have the shape of a wide and flat plate for rapid heat conduction, and a heating pattern portion 422 including a plurality of embossings may be provid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heating plate 421. However, since this is not fixed, the structure of the heating pattern portion 422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pyramid, square pyramid, elliptical cross section, hemispherical shape, and concave-convex shape.

또한, 배터리팩(221)은, 내부에 서브히팅 배터리(430) 및 배터리 온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attery pack 221 may further include a subheating battery 430 and a battery temperature sensor therein.

여기서, 서브히팅 배터리(430)는, 드론(200)을 무선 비행모드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배터리팩(221) 내부의 히팅패널(420)에 열을 공급하여 배터리팩(22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sub-heating battery 430 maintains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constant by supplying heat to the heating panel 420 inside the battery pack 221 even when the drone 200 is used in wireless flight mode. can perform its role.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의 유선 비행모드 및 무선 비행모드에서 배터리팩을 히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터리팩의 단면도이다.Figures 13a and 1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battery pack to explain the process of heating the battery pack in the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of the dron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배터리팩(221)은, 배터리팩 커넥터(320), 히팅패널(420) 및 서브히팅 배터리(430)를 연결하는 소정의 연결선(실시예에서, 제1 연결선(440-1), 제2 연결선(440-2) 및 제3 연결선(44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A and 13B, the battery pack 221 has a predetermined connection line (in the embodiment, a first connection line ( 440-1), a second connection line 440-2, and a third connection line 440-3) may be further included.

자세히, 소정의 연결선 중 제1 연결선(440-1)은, 배터리팩 커넥터(340) 과 히팅패널(420)이 직접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2 연결선(440-2)은, 배터리팩 커넥터(340) 과 서브히팅 배터리(430)가 직접 연결되도록 배치되며, 제3 연결선(440-3)은, 히팅패널(420) 과 서브히팅 배터리(430)가 직접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detail, among the predetermined connection lines, the first connection line 440-1 is arranged to directly connect the battery pack connector 340 and the heating panel 420,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440-2 is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connector 340. ) and the sub-heating battery 430 are arranged to be directly connected, and the third connection line 440-3 may be arranged to directly connect the heating panel 420 and the sub-heating battery 430.

이때, 연결선(440)은, 케이블(330)에 포함된 열선(hw)에 의해 공급받은 전원을 배터리팩 커넥터(320), 히팅패널(420) 및 서브히팅 배터리(4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line 440 serves to transmit the power supplied by the heating wire (hw) included in the cable 330 to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the heating panel 420, and the sub-heating battery 430. can do.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케이블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able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케이블(330)은, 내부에 전원공급선(330-1), 데이터 통신선(330-2) 및 열선(hw)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cable 330 may include a power supply line 330-1, a data communication line 330-2, and a heating wire (hw) therein.

여기서, 케이블(330) 일단에 위치한 케이블 커넥터(340)를 통해, 배터리팩 커넥터(32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드론의 배터리팩(221)의 구성 전반을 구동시킬 수 있다.Her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pack 221 of the drone can be driven by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through the cable connector 340 located at one end of the cable 330.

다시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케이블 커넥터(340) 및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케이블(33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드론의 배터리팩(221)은 케이블(330)에 포함된 열선(hw)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3A and 13B, as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connected by the cable 330, the battery pack 221 of the drone is connected to the hot wire ( power can be supplied from hw).

자세히, 제1 연결선(440-1)은 유선 비행모드 상태에서 히팅패널(420)에 직접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연결선(440-2)은 서브히팅 배터리(430)의 충전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In detail, the first connection line 440-1 allows power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heating panel 420 in a wired flight mode,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440-2 is for charging the subheating battery 430. Ensure that power is supplied.

여기서, 배터리팩 커넥터(3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서브히팅 배터리(430)는, 추후 드론(200)이 무선 비행모드 상태에서 제3 연결선(440-3)을 통해 히팅패널(420)에 전원을 공급한다.Here, the sub-heating battery 430,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later supplies power to the heating panel 420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line 440-3 when the drone 200 is in wireless flight mode. supply.

즉, 드론(200)이 케이블(330)과 분리된 무선 비행모드 상태가 되더라도 제3 연결선(440-3)을 통해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히팅패널(4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서브히팅 배터리(430)를 배치함으로써, 히팅패널(420)은, 유선 비행모드 뿐만 아니라 무선 비행모드에서도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drone 200 is in a wireless flight mode separated from the cable 330,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ing panel 420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line 440-3. In this way, by disposing the sub-heating battery 430 in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ing panel 420 can operate by receiving power not only in the wired flight mode but also in the wireless flight mode.

한편, 배터리팩(221)에서 온도제어 시스템과 관련된 상술한 구성들은, 도 11a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미존재하거나 그 형태 및 개수가 상이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the battery pack 22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1A to 14 and may exist in various embodiments such as not existing or having different shapes and number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의 배터리팩에 방열수단과 히팅수단을 배치하여 주위 온도 변화에도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드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such,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provide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a heating means i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so that the battery can stably operate the drone despite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power to be supplied to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는 케이블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성부와 히팅수단을 동작하도록 하고, 드론이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드론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have components and heating means operated by pow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cable when the drone operates in wired flight mode.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required for drone operation by enabling the drone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pack when operating in wireless flight mode.

- 케이블 커넥터 보호장치 - Cabl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론(200)의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시 분리된 케이블 커넥터(340)의 낙하에 따른 충돌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커넥터(340)는, 케이블(330) 및 케이블 커넥터(340)의 일측에 보호장치(이하, 커넥터 보호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collision due to the falling of the separated cable connector 340 when the drone 200 switches to a wired or wireless flight mode, the cable connector 340 is connected to the cable 330 and the cable. A protection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or protection device) may be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340.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케이블 커넥터에 배치되는 커넥터 보호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 후 커넥터 보호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protection device disposed on a cable connector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a and 16b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fter switching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내지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의 커넥터 보호장치는, 커넥터 홀더(520), 홀더 이동부(530), 완충장치(540) 및 에어백을 수납하는 보호수납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장치(540)는 커넥터 홀더(520)의 배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제1 내지 제4 완충장치: 540-1, 540-2, 540-3, 540-4).15 to 16B,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holder 520, a holder moving part 530, a shock absorber 540, and a protection storage part 550 for storing an airbag. It can be included.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540 may be disposed on the back of the connector holder 520 (first to fourth shock absorbers: 540-1, 540-2, 540-3, 540-4).

먼저, 커넥터 홀더(520)는, 케이블(330)의 일단에 배치된 케이블 커넥터(340)를 수납할 수 있다.First, the connector holder 520 can accommodate the cable connector 340 disposed at one end of the cable 330.

이때, 커넥터 홀더(520)는, 케이블 커넥터(340)를 수납하기 위해 케이블 커넥터(340)와 동일한 형상을 띨 수 있고, 케이블 커넥터(340)의 상면을 제외한 둘레면에 밀착하기 위하여 그 크기가 케이블 커넥터(340)보다 클 수 있다. 즉, 커넥터 홀더(520)의 수납 면적은 케이블 커넥터(340)의 평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or holder 52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cable connector 340 to accommodate the cable connector 340, and may be sized to fit the cable connector 340 in close contact with the peripheral surface excluding the top surface. It may be larger than the connector 340. That is, the storage area of the connector holder 520 may be larger than the planar area of the cable connector 340.

또한, 커넥터 홀더(520)는, 케이블 커넥터(340)의 수납 및 밀착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자력을 띠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이에 따라 커넥터 홀더(520)의 내부 면 전체 또는 일부(케이블 커넥터(340)의 가장자리 둘레와 대응되는 영역)에 자성을 갖는 필름 또는 구성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홀더(52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케이블 커넥터(340)의 둘레면에 자력을 띠는 필름 또는 구성을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or holder 520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to more effectively maintain the storage and close contact of the cable connector 340. Accordingly, all or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520 ( A magnetic film or structure may be plac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cable connector 340. Accordingly, a magnetic film or structure can be plac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cable connector 340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nnector holder 520.

한편, 케이블 커넥터(340)가 배터리팩 커넥터(320)로부터 분리되기 전까지(무선 비행모드 전)는 케이블(330) 원활한 이동 및 움직임을 위해 커넥터 홀더(520)의 위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과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커넥터(340)가 배터리팩 커넥터(320)로부터 분리되면 홀더 이동부(530)는 케이블(330)을 따라 신속하게 상승하여 하강하는 케이블 커넥터(340)가 커넥터 홀더(520)에 수납되도록 한다.Meanwhile, until the cable connector 340 is separated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before wireless flight mode),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holder 520 is close to the base station 100 for smooth movement and movement of the cable 330. It is desirable to be located.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is separated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the holder moving unit 530 quickly rises along the cable 330 to accommodate the descending cable connector 340 in the connector holder 520.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홀더 이동부(530)는, 케이블 커넥터(340) 및 커넥터 홀더(520)의 신속한 결합을 위해 릴(reel) 회전 방식의 이동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홀더 이동부(530)는 낙하하는 케이블 커넥터(340) 수납을 위해 홀더 이동부(530)를 이동시키거나 케이블 커넥터(340)가 수납된 홀더 이동부(530)를 베이스 스테이션(100)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Referring to FIGS. 16A and 16B, the holder moving unit 530 may be implemented as a reel-rotating moving means for quick coupling of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connector holder 520. The holder moving unit 530 moves the holder moving unit 530 to accommodate the falling cable connector 340 or moves the holder moving unit 530 containing the cable connector 340 to the base station 100 area. It performs the function it commands.

자세히, 홀더 이동부(530)에 포함된 릴(reel)을 이용하여, 케이블 커넥터(340) 및 커넥터 홀더(520)를 연결하고 있는 케이블(330)을 빠르게 권취할 수 있고,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340)가 커넥터 홀더(520) 내부로 삽입되어 케이블 커넥터(340) 및 커넥터 홀더(520)가 결합할 수 있다.In detail, using the reel included in the holder moving part 530, the cable 330 connecting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connector holder 520 can be quickly wound, as shown in Figure 16b. As shown, the cable connector 34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holder 520, so that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connector holder 520 can be coupled.

또한, 케이블 커넥터(340)를 결합한 커넥터 홀더(520)는, 홀더 이동부(530)를 이용하여 케이블(330)을 따라 베이스 스테이션(1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or holder 520 to which the cable connector 340 is coupled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station 100 along the cable 330 using the holder moving unit 530.

한편, 홀더 이동부(530)에 포함된 릴의 구동으로 커넥터 홀더(520)에 케이블 커넥터(340)가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다고 할 지라도, 높은 위치에서 낙하 시의 강력한 충돌로 인해 커넥터 홀더(520)마저 손상될 위험이 있다.Meanwhile, even if the cable connector 340 is normally seated in the connector holder 520 by driving the reel included in the holder moving part 530, even the connector holder 520 is damaged due to a strong collision when falling from a high position. There is a risk of becoming

이에 따라, 커넥터 보호장치는, 케이블 커넥터의 충격 완화 및 낙하 속도 감소를 위한 완충장치(540) 및 에어백이 수납된 보호수납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may include a shock absorber 540 for alleviating the impact of the cable connector and reducing the falling speed, and a protective compartment 550 in which the airbag is stored.

이때, 완충장치(540)는, 커넥터 홀더(520)와 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일단에 소정의 곡면을 가진 패드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완충장치(실시예로, 제1 완충장치(540-1), 제2 완충장치(540-2), 제3 완충장치(540-3) 및 제4 완충장치(540-4))로 존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ock absorber 5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holder 520 by a spring and may include a pad with a predetermined curved surface at one end, and as shown in FIG. 15, a plurality of shock absorbers (in the embodiment, the first It may exist as a shock absorber 540-1, a second shock absorber 540-2, a third shock absorber 540-3, and a fourth shock absorber 540-4.

또한, 보호수납부(550)는, 내부에 소정의 에어백(551)을 보관하고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340) 및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분리 시 동작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ective storage unit 550 stores a predetermined airbag 551 therein and can operate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separated.

즉, 완충장치(540) 및 보호수납부(550)에 의해, 커넥터 홀더(520)가 지면 등으로 낙하 시 완충장치(540) 또는 에어백(551)이 일차적으로 지면 등에 닿게 되어 케이블 커넥터(340)를 포함하는 커넥터 홀더(520)를 보호하고, 낙하에 따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due to the shock absorber 540 and the protective storage unit 550, when the connector holder 520 falls to the ground, etc., the shock absorber 540 or airbag 551 primarily touches the ground, etc., causing the cable connector 340 It has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connector holder 520 including and alleviating the impact caused by falling.

한편,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케이블 커넥터(340) 및 배터리팩 커넥터(320)의 분리 시 케이블 커넥터(340)의 제2 표면(sf2)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접촉 센서를 통해 제1 표면(sf1) 및 제2 표면(sf2)이 비접촉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340)에 포함된 홀더 이동부(530) 및 소정의 에어백(551)이 작동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4B,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separated, the first surface (sf1) is detected through a contact sensor that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econd surface (sf2) of the cable connector 340. ) and the second surface sf2 can be recognized as being in a non-contact state, and accordingly, the holder moving unit 530 and a predetermined airbag 551 included in the cable connector 340 can operate.

자세히, 케이블 커넥터(340) 분리 즉시 홀더 이동부(530)에 포함된 릴을 작동시켜 케이블 커넥터(340) 및 커넥터 홀더(520)를 신속히 결합시킬 수 있다.In detail,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connector holder 520 can be quickly coupled by operating the reel included in the holder moving part 530 immediately after disconnecting the cable connector 340.

또한, 케이블 커넥터(340) 분리 즉시 에어백 보관부(550)를 작동시켜 에어백 보관부(550)에 보관되어 있던 소정의 에어백(551)을 작동시켜 케이블 커넥터(340)를 보호하며 낙하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oon as the cable connector 340 is disconnected, the airbag storage unit 550 is activated to operate a predetermined airbag 551 stored in the airbag storage unit 550 to protect the cable connector 340 and reduce the falling speed. You can.

한편, 커넥터 보호장치 및 그에 포함되는 구성 전반은,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미존재하거나 그 형태 및 개수가 상이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nd the overall structure included therein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S. 15 and 16 and may exist in various embodiments such as non-existence or different shapes and number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시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가 추락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such,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when the drone switches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the cable and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fal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7 is a block diagram of a dro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a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 switching process in a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10과 함께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론(200),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드론(200)과 베이스 스테이션을 연결하는 케이블(3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7 and 18 along with FIGS. 1 to 10,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one 200, a base station 100, and a drone ( 200) and a cable 330 connecting the base station.

- 베이스 스테이션(100: Base station) - Base station (100: Base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조종사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베이스 스테이션(100)과 케이블(330)로 연결되어 있는 드론(200)의 비행, 촬영 및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 등을 컨트롤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station 100 performs flight, filming, and wired flight of the drone 200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0 and a cable 330 based on the pilot's input or a preset drone control process. You can control switching from mode to wireless flight mode.

이때, 케이블(330)은, 일단이 드론(200)의 배터리팩(221)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 스테이션(100)의 유선 통신부(131)에 연결되어, 유선 비행모드로 작동하는 드론(200)에 베이스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330)은, 제어부(16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면서 길이가 단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ble 33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battery pack 221 of the drone 2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31 of the base station 100, allowing the drone 200 to operate in a wired flight mode. Power output from the base station 100 can be supplied. 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cable 330 may be shortened or extended as it is wound or unwound by the control unit 160.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에 연결된 케이블(33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드론(200)의 무제한 비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에 연결된 케이블(330)을 통해 유선 통신하여, 조종관련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드론(200)에서 센싱된 정보 및 촬영된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ase station 100 can support unlimited flight of the drone 200 by supplying power through the cable 330 connected to the drone 200.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100 can perform wired communication through the cable 330 connected to the drone 200,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related signals, or receiving information sensed and captured images from the drone 200. .

한편, 베이스 스테이션(100)은, 전원공급부(110), 유선 통신부(151), 무선 통신부(152), 지상 통신부(150), 케이블 가이드(130), 모니터링부(140), 장력 제어부(120), 비행모드 제어부(160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station 1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a wired communication unit 15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2, a ground communication unit 150, a cable guide 130, a monitoring unit 140, and a tension control unit 120. , may include a flight mode control unit 1600 and a control unit 160.

먼저, 전원공급부(110)는, 제어부(160)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First, the power supply unit 110 can receive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and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to each component.

또한, 전원공급부(110)의 전원부는, AC-DC 컨버터 및 전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wer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n AC-DC converter and a power module.

여기서, AC-DC 컨버터는, 전원유닛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교류(AC) 전력인 경우, 교류(AC) 전력을 직류(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케이블(330)을 통해 드론(200)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교류(AC) 전력보다 고전압인 직류(DC) 전력으로 전원을 송신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Here,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unit or externally is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the AC-DC converter converts the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into direct current (DC) power and converts it to the drone 200 through the cable 330. It can be configured to supply. This is because it is more efficient to transmit power with high-voltage direct current (DC) power than with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이때, 변환된 직류(DC) 전력을 획득한 드론(200)의 전원유닛은, 수급된 직류(DC)를 동체에 탑재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압 수준으로 변환하도록 DC/DC 컨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that has acquired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DC) power may further include a DC/DC converter to convert the supplied direct current (DC) to a voltage level that can be used by payloads on the fuselage.

또한, 전력모듈은, 전압계나 전류계 등의 전력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전력계에서 측정되는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ower module may include a power meter such as a voltmeter or ammeter, and the control unit 160 of the base station 100 including such a power module receives the voltage, current, or power measured by the power meter at regular intervals. You can receive it.

여기서, 베이스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60) 상에는 전원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된 제어부(160)는, 상기 DC/DC 컨버터를 거친 이후에 측정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케이블(330)을 통한 전원공급부(110)로부터의 전원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reference data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may be preset on the control unit 160 of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control unit 160 wit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data preset may be used after passing through the DC/DC converter.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cable 330 can be adjusted based on the voltage measured.

모니터링부(140)는,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4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드론(200)을 지원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unit may outpu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se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service including the base station 100 as a graphic image.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는, 드론(200)이 촬영한 영상 화면, 케이블(330) 제어영상 화면,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일때의 촬영 영상, 드론(200)이 무선 비행모드일때의 촬영 영상 등을 출력해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ncludes an image screen captured by the drone 200, a control image screen of the cable 330, an image captured when the drone 200 is in a wired flight mode, and an image captured when the drone 200 is in a wireless flight mode. etc. can be printed and provided.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se display unit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flexible display. ,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또한, 컨트롤러는, 드론(200)을 지원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ler may detect a user's input related to the base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service including it.

실시예로, 컨트롤러는, 드론(200)의 비행 방향 및 속도를 조종하는 입력, 드론(200)의 촬영을 제어하는 입력, 드론(200)과 연결된 케이블(3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입력 및 케이블(330)을 드론(200)으로부터 분리하여 무선 비행을 실시하도록 하는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include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flight direction and speed of the drone 200, an input for controlling filming of the drone 200,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tension of the cable 330 connected to the drone 200, and a cable By separating the drone 330 from the drone 200, an input for wireless flight can be detected.

유선 통신부(151)와 무선 통신부(152)는, 드론(200)을 지원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5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2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for providing the base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service including the base station 100.

자세히, 지상 통신부(150)는, 유선 통신부(151) 및 무선 통신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선 통신부(151)는, 드론(200)과 베이스 스테이션(100)을 연결하는 케이블(330)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기반한 데이터, 정보 및 전원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detail, the terrestrial communication unit 15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unit 15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2. At this time,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51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able 330 connecting the drone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nformation, and power based on the cable. .

무선 통신부(132)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드론(200),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2 us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HSUPA ( At least one of the drone 200,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rbitrary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It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실시예로, 무선 통신부(152)는, 드론(200) 인터페이스부의 무선 통신유닛(212)과 통신하여 드론(200)의 비행을 컨트롤하는 비행제어 신호, 드론(200)의 촬영을 컨트롤하는 촬영제어 신호 및 케이블(330)을 드론(200)으로부터 분리하는 무선 비행 실시 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2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of the interface unit of the drone 200 to provide a flight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flight of the drone 200 and a shooting control to control shooting of the drone 200.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wireless flight execution signal that separates the signal and cable 330 from the drone 200.

장력 제어부(120)는 드론(200)과 연결된 케이블(330)의 장력을 감지하여 케이블(330)을 풀어주거나 당겨주는 조절을 할 수 있다.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 상태에서 케이블(330)에 가해지는 장력이 일정 기준 이상이면 풀어주고 일정 기준 이하이면 당겨주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tension control unit 120 can detect the tension of the cable 330 connected to the drone 200 and adjust the cable 330 to be released or pulled. When the drone 200 is in a wired flight mode,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330 can be controlled to release it if it is above a certain standard or to pull it if it is below a certain standar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장력의 급격한 변동 또는 일정 시간 이상 기준 장력 이상일 경우에는 모선 비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 제어부(120)에서 제공되는 장력 정보에 기초하여 비행모드 제어부(1600)는 드론(200)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witch to the mother ship flight mode when there is a sudden change in tension or when the tension is above the standard tens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fore, based on the tens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ension control unit 120, the flight mode control unit 1600 can control the drone 200 to switch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비행모드 제어부(1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론(200)에 케이블(330)이 연결된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을 제어한다. 또한, 비행모드 전환은 케이블(330)의 장력 정보뿐만 아니라, 촬영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바람 정보, 지형 정보 등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ight mode control unit 1600 controls the switch from the wired flight mode connected to the drone 200 with the cable 330 to the wireless flight mode. Additionally, flight mode switch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not only tension information of the cable 330, but also captured imag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wind information, and terrain information.

제어부(160)는, 드론(200)을 지원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related to the base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 and the drone 200 including it.

이러한 제어부(16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is control unit 16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 드론(200: Drone) - Drone (200: Dron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드론(200)은, 베이스 스테이션(100)으로부터 권출된 케이블(330)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베이스 스테이션(100)으로부터 획득되는 드론 조종사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컨트롤되어 비행 및/또는 촬영 등을 수행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200 is connected to the cable 330 unwound from the base station 100 and receives power, and is connected to the drone pilot's input obtained from the base station 100 or a preset drone. It can be controlled by a control process to perform flight and/or filming, etc.

자세히, 이러한 드론(200)은, 유선 통신유닛(211), 무선 통신유닛(212), 인터페이스부(210), 센서부(240), 카메라(250), 커넥팅 장치(1510), 히팅장치(1520), 케이블 커넥터 보호장치(1530), 전원유닛(220), 구동부(230) 및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is drone 200 includes a wired communication unit 211,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an interface unit 210, a sensor unit 240, a camera 250, a connecting device 1510, and a heating device 1520. ), a cabl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1530, a power unit 220, a driver 230, and a processor 260.

먼저, 인터페이스부(210)는, 드론(200)의 프로세서(260)와 드론(200)을 지원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주변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interface unit 210 can connect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the base station 100 that supports the drone 200, and peripheral devices including the base station 100 to implement the drone 200 service.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10 includes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d an audio I/O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유선 통신유닛(211)은, 드론(200)과 베이스 스테이션(100)을 연결하는 케이블(330)을 기반으로 전원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11 transmits and receives power and data based on the cable 330 connecting the drone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유선 통신유닛(211)은, 케이블(33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팩(221)과 서브히팅 배터리(43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11 supplies power through the cable 330, and as described above, can supply power to charge the battery pack 221 and the subheating battery 430.

또한, 무선 통신유닛(2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베이스 스테이션(100),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유닛(212)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uses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ilt according to the base station 100,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rbitrary It can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with at least one of the servers. Addition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may includ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Wi-Fi.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되면 드론(200)과 베이스 스테이션(100) 사이의 통신은 유선 통신에서 무선 통신으로 전환된다.In particular, i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one 200 switches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communication between the drone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is performed in wired communication. Switches to wireless communication.

센서부(240)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거리센서(예컨대,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등), 위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온도센서 및 접촉(터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The sensor unit 240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tance sensor (e.g., proximity sensor, infrared sensor, laser sensor, etc.), a position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act (touch) sensor that det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do.

센서부(240)는,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팩(221)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접촉센서를 이용하여 드론(200)의 유선 비행모드상태 및 무선 비행모드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can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pack 221 using a temperature sensor, and can detect the wired flight mode state and wireless flight mode state of the drone 200 using a contact sensor.

또한, 센서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기반으로 드론(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각종 데이터(예컨대, 드론(200)과 지상 구조물 간의 거리 데이터, 드론(200)의 위치 데이터, 드론(200)의 속도 데이터 등)를 센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240 provides various data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based on at least one sensor (e.g., distance data between the drone 200 and a ground structure, location data of the drone 200, drone (200) speed data, etc.) can be sensed.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240)는 드론(200)이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하면 케이블 커넥터(340)를 보호하기 위해 케이블 커넥터 보호장치(1530)가 동작한다. 특히, 접촉센서는 케이블 커넥터(340)와 커넥터 홀더(520)에 배치되어 케이블 커넥터(340)가 추락할 때, 케이블 커넥터(340)가 케이블 홀더(520)에 안전하게 수납되는지를 감지하여 케이블 커넥터 보호장치(1530)가 작동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240 operates the cabl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1530 to protect the cable connector 340 when the drone 200 switches to the wireless flight mode. In particular, the contact sensor is placed o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connector holder 520 to protect the cable connector by detecting whether the cable connector 340 is safely stored in the cable holder 520 when the cable connector 340 falls. Allow device 1530 to oper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은 배터리팩(221)에 히팅패널(420)을 배치하여 주변 온도 변화에도 배터리팩(221)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a heating panel 420 on the battery pack 221 to maintain the battery pack 221 even whe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changes.

마지막으로, 프로세서(260)는, 전술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구동할 수 있다. Finally, the processor 260 can control and drive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described above.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함으로써 드론(200)과 베이스 스테이션(100)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원활한 드론(200) 서비스가 제공되게 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controls and drive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to enable interworking between the drone 200 and the base station 100, thereby providing a smooth drone 200 service. can do.

이러한 프로세서(26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se processors 260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functions.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스템에서 드론(200)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드론(200)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케이블(330)과 드론(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작업을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 시스템은 배터리팩(221)의 배터리 커넥터(320)와 케이블 커넥터(340)를 커넥팅 장치(151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1801).Referring to FIG. 18,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drone 200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in the dro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Operating the drone 200 in the wired flight mode To do this, the work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ble 330 and the drone 200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dron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ally connects the battery connector 320 of the battery pack 221 and the cable connector 340 using the connecting device 1510 (S1801).

드론(200)과 케이블(3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케이블(330)의 길이 범위 내에서 드론(200)은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한다. 드론(200)에 공급되는 전원과 데이터 송수신은 케이블(330)을 통해 이루어진다(S1802).When the drone 200 and the cable 3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drone 200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cable 330. Power supplied to the drone 200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through the cable 330 (S1802).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는 드론(200)과, 드론(200)과 연결된 케이블(330)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커넥팅 장치(1510)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팩(221)의 배터리팩 커넥터(320)와 케이블 커넥터(340)가 분리된다(S1803).If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drone 200 operating in a wired flight mode and the cable 330 connected to the drone 200,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of the battery pack 221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1510. and the cable connector 340 are separated (S1803).

케이블 커넥터(340)와 배터리팩 커넥터(320)가 분리되면, 배터리팩 커넥터(320)에 배치된 제1 플러그(321)와 케이블 커넥터(340)에 배치된 제2 플러그(341)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때, 케이블 커넥터(340)는 비행모드 전환장치의 모드 전환부(5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 모드 전환부(500)의 자기력이 제거되면 드론(200)과 케이블 커넥터(340)가 완전히 분리된다(S1804).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re separated, the first plug 321 placed on the battery pack connector 320 and the second plug 341 placed on the cable connector 340 are electrically separated. do. At this time, the cable connector 340 remains fixed to the mode switching unit 500 of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and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mode switching unit 500 is removed, the drone 200 and the cable connector 340 are completely separated. becomes (S1804).

케이블 커넥터(340)와 드론(200)이 분리되면 드론(200)은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하고, 베이스 스테이션(100)과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론(200)이 무선 비행모드 상태에서는 배터리팩(221)에 배치된 배터리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S1805).When the cable connector 340 and the drone 200 are separated, the drone 200 operates in a wireless flight mode and exchanges data with the base station 1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one 200 is in the wireless flight mode,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placed in the battery pack 221 (S180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드론 이용 시 지상통제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상 구조물 및 드론과 접하여 엉킨 경우에도 비행 중단 없이도 사용자가 계속 드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such,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were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when using a drone, ground control equipment and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users to continue using the drone without interrupting the flight even when the connected cable is tangled in contact with ground structures and the dr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을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임무 수행 중인 드론에 비상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드론 및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can quickly switch the drone from the wired flight mode to the wireless flight mode, so that the drone performing its mission can be op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Even if this occu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and cab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 또는 지상 구조물에 의해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과 드론이 신속히 분리되도록 하여 드론, 케이블 및 연결 장비들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llow the cable and drone to be quickly separated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by the drone or ground structure. This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drone, cables, and connecting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에서 무선 비행모드로 전환시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가 추락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re, when the drone switches from a wired flight mode to a wireless flight mode, the cable and cab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one are damaged due to a fall.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의 배터리팩에 방열수단과 히팅수단을 배치하여 주위 온도 변화에도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드론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clude arranging a heat dissipation means and a heating means i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so that the battery is stable in the drone despite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power to be suppl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는 케이블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성부와 히팅수단을 동작하도록 하고, 드론이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할 때에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드론 동작에 필요한 전원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have components and heating means operated by pow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cable when the drone operates in wired flight mode.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required for drone operation by enabling the drone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pack when operating in wireless flight mo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과 연결된 케이블에 전원 라인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라인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종래 테더 드론이 가진 통신 체계의 미비 및 데이터 보안의 취약성의 문제를 개선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independently arrange a power line and a data lin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on a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so that the conventional tethered dron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communication systems and vulnerabilities in data securit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드론 이용 시 지상통제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지상 구조물 및 드론과 접하여 엉킨 경우에도 비행 중단 없이도 사용자가 계속 드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비를 재정비하는 시간을 절약하여 드론을 이용한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bove,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llow the user to use the drone without stopping the flight even when the cable connected to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is in contact with ground structures and the drone and becomes entangled. By allowing drones to continue to be used, it has the effect of saving time to reorganize equipment and thus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ork using dron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비상상황시 드론에 직면한 위험이 드론 뿐만 아니라 드론과 케이블로 연결된 장비 전반에까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고가의 드론 장비에 대한 재정적 위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prevents the risks faced by drones in emergency situations from expanding not only to drones but also to all equipment connected to drones and cables. By preventing thi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financial risk burden of expensive dron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소정의 무게를 갖는 케이블이 지상 등으로 추락하면서 충격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드론이 유선 비행에서 무선 비행으로의 변환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케이블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prevents a cable with a predetermined weight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when falling to the ground, etc., thereby preventing the drone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It has the effect of stably converting from wired flight to wireless flight and preventing cable da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계절 및 날씨 등에 따라 배터리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팩 쿨링 및 히팅 기술을 이용하여 배터리 적정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주변 온도에 의한 드론 운용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use battery pack cooling and heating technology to prevent battery stability from being deteriorated depending on the season and weather. By controlling the appropriate temperature of the battery,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drone operation variability due to ambient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전원 공급 체계의 미비로 드론에 추가적인 장치를 장착하기 어렵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치에도 전원을 다양하게 분배하여 드론의 확장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provide power through a wire to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mounting additional devices on the drone due to a lack of a power supply system. By supplying ,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xpandability of the drone by distributing power to additional devices in various way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 방법은, 기존 드론이 가진 통신 체계의 미비 및 데이터 보안의 취약성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별도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용 특수 케이블로 유선 통신을 통해 강화된 보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드론의 실질적인 활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provide separate data communication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communication systems and vulnerabilities in data security of existing drones.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actical usability of drones by providing enhanced security services through wired communication with a dedicated special cable.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etc.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at cre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can be convert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the sake of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s or connection members of lines between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exemplify functional connections and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ctual device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may be represented as circuit connections. Additionally,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important,”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100: 베이스 스테이션
200: 드론
221: 배터리팩
320: 배터리팩 커넥터
340: 케이블 커넥터
330: 케이블
500: 모드 전환부
321: 제1 플러그
322: 제1 서보모터
320a: 제1 커넥터 몸체부
320b: 제1 홈
340a: 제2 커넥터 몸체부
340b: 제2 홈
344: 제2 서보모터
410: 방열패널
420: 히팅패널
Lk-1: 제1 링키지
Lk-2: 제2 링키지
100: base station
200: Drone
221: Battery pack
320: Battery pack connector
340: cable connector
330: cable
500: Mode switching unit
321: first plug
322: 1st servo motor
320a: first connector body portion
320b: first groove
340a: second connector body portion
340b: second groove
344: 2nd servo motor
410: Heat dissipation panel
420: Heating panel
Lk-1: first linkage
Lk-2: 2nd linkage

Claims (12)

드론;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드론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된 케이블;
상기 드론의 배터리팩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제1 플러그를 포함하는 제1 링키지가 구비된 배터리팩 커넥터와,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배치되고, 내측에 제2 플러그를 포함하는 제2 링키지가 구비된 케이블 커넥터를 체결 또는 분리하는 커넥팅 장치; 및
상기 드론과 상기 케이블 커넥터와의 탈착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의 비행모드를 전환하는 비행모드 전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행모드 전환장치는,
상기 드론의 배터리팩에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 모드 전환부와,
상기 모드 전환부에 자기력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자기력을 제거하도록 조절하는 자기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발생되거나 제거되는 자기력에 의해 접하고 있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드론이 유선 비행모드로 동작하거나 무선 비행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드론의 저면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모드 전환부의 저면인 제1 표면이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면인 제2 표면과 접하고,
상하 이동함으로써 상기 모드 전환부에 접하고 있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제2 링키지가,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의 상기 제1 링키지와 얼라인(align) 매칭되도록 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drone;
base station;
a cable disposed between the drone and the base station to supply power to the drone;
a battery pack connec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and having a first linkage including a first plug on the inside;
a connecting device disposed at one end of the cable and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cable connector having a second linkage including a second plug therein; and
It includes a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that switches the flight mode of the drone by controll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drone and the cable connector,
The flight mode switching device,
a mode switching unit disposed on the battery pack of the drone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battery pack connector;
It includes a magnetic forc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ode switching unit to generate magnetic force or remove the magnetic force,
The drone operates in a wired flight mode or a wireless flight mode by separating the cable connector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or removed from the mode switching unit,
The mode switching unit,
A predetermined length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drone so that the first surface, which is the bottom of the mode switching unit, contacts the second surface, which is the top of the cable connector,
By moving up and down, the second linkage of the cable connector in contact with the mode switching unit is aligned with the first linkage of the battery pack connector.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1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과 체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1 링키지와, 상기 제1 링키지 내측에 배치된 제1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제2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2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홈과 체결되고 일측이 개방된 제2 링키지와, 상기 제2 링키지 내측에 배치된 제2 플러그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pack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portion, a first linkage engaged with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portion and having one side open, and a first plug disposed inside the first linkage; ,
The c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body portion, a second linkage engaged with a sec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portion and one side of which is open, and a second plug disposed inside the second linkage.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장치는,
상기 제2 링키지와 제2 플러그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와,
상기 제2 홈 영역의 상기 제2 링키지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하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2,
The connecting device is,
an elastic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econd linkage and the second plug,
At least one fixing means disposed inside the second linkage in the second groove area,
Comprising a servo motor that controls fixation or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링키지에 형성된 고정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링키지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연장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배치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xing means of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that is fastened to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linkage to fix the first linkage,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fixing protrusion, and a rotating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2 링키지에 형성된 오픈영역을 통해 상기 제1 링키지가 삽입된 홈 영역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링키지에 형성된 고정홈과 체결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ans protrudes into the groove area where the first linkag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area formed in the second linkage and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linkage.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1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홈 내측에 배치된 제1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제2 커넥터 몸체부와, 상기 제2 커넥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2 홈과, 제2 홈 내측에 배치된 제2 플러그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ttery pack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or body, a first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and a first plug disposed inside the first groove,
The cab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connector body, a second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or body, and a second plug disposed inside the second groove.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장치는,
상기 제2 홈 영역의 상기 제2 커넥터 몸체부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 또는 분리를 제어하는 서보모터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necting device is,
At least one fixing mean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or body in the second groove area,
Comprising a servo motor that controls fixation or separation of the fixing means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장치의 고정수단은 상기 제2 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플러그를 고정하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연장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배치된 회전부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In clause 7,
The fixing means of the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first plug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a support bar extending from the fixing protrusion, and a rotating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1 플러그가 상기 제2 홈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2 홈 영역에서 삽입된 제1 플러그 상의 고정홈과 체결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8,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ans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on the first plug inserted in the second groove area when the first plu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돌기는 상기 제2 홈 영역의 제2 커넥터 몸체부에 형성된 오픈영역을 통하여 상기 제2 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 플러그의 고정홈과 체결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fixing means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groove through an open area formed in the second connector body portion of the second groove area and is engaged with the fixing groove of the first plug.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커넥터 보호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보호장치는,
상기 케이블에 배치된 상기 케이블 커넥터를 수납하는 커넥터 홀더와,
상기 커넥터 홀더가 상기 케이블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 홀더에 배치된 홀더 이동부와,
상기 커넥터 홀더의 하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protection device to protect the cable connector,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a connector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cable connector disposed on the cable;
a holder moving part disposed on the connector holder so that the connector holder can move along the cable;
Comprising at least one shock absorber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or holder.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보호장치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백 수납부와 상기 에어백 수납부에 수납된 에어백과,
상기 케이블 커넥터에 배치된 제1 접촉센서와,
상기 케이블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홀더에 수납될 때, 상기 제1 접촉센서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제2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는
유무선 비행모드 전환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The connector protec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airbag storage unit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ble connector and an airbag stored in the airbag storage unit,
A first contact sensor disposed on the cable connector,
When the cable connector is stored in the connector holder,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tact sensor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ntact sensor.
A drone system that can switch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KR1020210123496A 2021-09-15 2021-09-15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KR102616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96A KR102616932B1 (en) 2021-09-15 2021-09-15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96A KR102616932B1 (en) 2021-09-15 2021-09-15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40A KR20230040440A (en) 2023-03-23
KR102616932B1 true KR102616932B1 (en) 2023-12-27

Family

ID=8579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496A KR102616932B1 (en) 2021-09-15 2021-09-15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9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74728B (en) * 2024-02-27 2024-05-14 科大智能(合肥)科技有限公司 Charging gu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charging pi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9435A (en) 2014-03-28 2015-11-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Unmanned machine mounting part and modular armoring
KR101788261B1 (en) 2017-03-30 2017-10-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ower supply and cable connection drone including power supply using rail system
JP2018122765A (en) * 2017-02-02 2018-08-09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Unmanned flight system, unmanned flight device, landing side device, and landing method
WO2018220607A1 (en) * 2017-05-31 2018-12-06 Elistair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a detachable wired drone and the wire thereof
KR102150856B1 (en) 2020-07-23 2020-09-03 김준연 System using wired drone
US20210354821A1 (en) 2018-09-24 2021-11-18 Leonardo Mw Ltd Fly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527B1 (en) * 2016-02-24 2017-12-07 손진락 A connecting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in-flight, a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the same, and a charging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90070159A (en) * 2017-12-12 2019-06-20 조우진 Drone education kit
KR102231048B1 (en) 2019-08-20 2021-03-23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Tethered Drone System Using tether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89435A (en) 2014-03-28 2015-11-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Unmanned machine mounting part and modular armoring
JP2018122765A (en) * 2017-02-02 2018-08-09 株式会社Ihiエアロスペース Unmanned flight system, unmanned flight device, landing side device, and landing method
KR101788261B1 (en) 2017-03-30 2017-10-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ower supply and cable connection drone including power supply using rail system
WO2018220607A1 (en) * 2017-05-31 2018-12-06 Elistair Device for protecting the connection between a detachable wired drone and the wire thereof
US20210354821A1 (en) 2018-09-24 2021-11-18 Leonardo Mw Ltd Flying Apparatus
KR102150856B1 (en) 2020-07-23 2020-09-03 김준연 System using wired d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440A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648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for extended flight and heat dissipation
KR102616932B1 (en) Drone System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wired and wireless flight modes using the same
KR102273881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temperature control performance
KR102117111B1 (en) Terrestrial station that supporting the tethered-drone and tethered-drone system that containing it
US20200277056A1 (en) Method, apparatus, and kit for assembling a mobile platform
CN107207087B (e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2696130B (en) Battery having temperature regulation
WO2013080385A1 (en) Battery system
US20160144958A1 (en) Tethered aerial systems for data gathering
KR101602697B1 (en) Mobile energy storage system
US112253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power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231048B1 (en) Tethered Drone System Using tether Power Supply
JPWO2019030832A1 (en) Unmanned air vehicle and power receiving coil unit
US20150311568A1 (en) Battery pack
JP2021523056A (en) Devices and systems for docking aircraft
KR20170139305A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KR102348315B1 (en) Dron battery smart charge management apparatus
KR102267164B1 (en) Drone Continuous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EP3297060B1 (en) Battery pack device with individual casings for multiple cells
CN105979130B (en) Cloud platform structure and module of making a video recording
WO2019127356A1 (en) Centre plate unit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50380955A1 (en) Portable electronic power source for aircraft
KR102501368B1 (en) Drone Charging connection device
KR102447137B1 (en) Multi-compatible battery with wired power supply
JP2014158320A (en) Charging cra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