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501B1 -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501B1
KR102615501B1 KR1020230050891A KR20230050891A KR102615501B1 KR 102615501 B1 KR102615501 B1 KR 102615501B1 KR 1020230050891 A KR1020230050891 A KR 1020230050891A KR 20230050891 A KR20230050891 A KR 20230050891A KR 102615501 B1 KR102615501 B1 KR 10261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robots
code
heterogeneous
integrated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8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주)인티그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티그리트 filed Critical (주)인티그리트
Priority to KR1020230050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5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는, 임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기종의 로봇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이기종의 로봇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F-Code)를 이기종의 로봇 각각에 설치하며, 관리자 코드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이기종의 로봇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로봇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a hyperrobot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a hyper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heterogeneous robots installed in an arbitrary space.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an administrator code (F-Cod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heterogeneous robots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heterogeneous robots, and the heterogeneous robots are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code, and the data of the successfully authenticated robot is collecte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llects and analyzes.

Description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realizing hyperrobot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이기종 멀티 로봇과 모빌리티를 통합제어하며 원격 관제를 위한 통합 인증 체계를 구비하는,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for implementing a hyperrobot, and more specifically, to implement a hyperrobot that integrates control of heterogeneous multi-robots and mobility and has an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for remote control. It relates to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스마트 기기의 주변 장치에는 저장 장치(예: 메모리, 디스크 등), 입력 장치(예: 키보드, 마우스 등) 및 출력 장치(예: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등) 등이 있다. 스마트 기기와 주변 장치는 유선(예: USB) 또는 무선(예 : 블루투스) 접속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한다. 한편, 가정용 또는 산업용 등의 다양한 목적을 갖는 로봇들의 구동 방식을 보면, 자체의 중앙 연산 장치를 활용하여 복잡한 판단을 내리고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대중이 휴대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복잡한 컴퓨팅 기반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Commonly used peripheral devices of smart devices include storage devices (e.g., memory, disk, etc.), input devices (e.g., keyboard, mouse, etc.), and output devices (e.g., monitor, speaker, printer, etc.). Smart devices and peripheral devices communicate data using wired (e.g. USB) or wireless (e.g. Bluetooth) connections. Meanwhile, looking at the driving methods of robot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home or industrial use, it was common to make complex decisions and perform control using their own central computing unit. However, recently, it has become common for the public to use complex computing-based services using smart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로봇의 연산 장치도 비싼 하드웨어를 로봇 내부에 갖추는 것보다, 외부의 스마트 기기의 연산 능력을 활용하는 방법이 하나의 대안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로봇이 스마트 기기의 주변 장치로서 등록되어 USB나 블루투스 등의 접속 방식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에 기반하여 스마트 기기로부터 명령을 내려받고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스마트 기기의 제어하에서 주변 장치로서 로봇이 동작하는 제어 환경에서는 스마트 기기에 로봇의 제조사에서 제작된 제어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로봇을 제어해야만 한다.Rather than equipping the robot with expensive hardware inside the robot, utilizing the computing power of an external smart device is being explored as an alternative. In order to realize this method, the robot must be registered as a peripheral device of the smart device and be able to receive and execute commands from the smart device based on data communication using a connection method such as USB or Bluetooth. In a control environment where a robot operates as a peripher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a smart device, control software produced by the robot manufacturer must be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to control the robot.

그런데, 산업 현장에서나 일반 소비자들은 가격이나 로봇의 성능, 또 로봇의 구매시기 등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이기종의 로봇을 구매하여 활용하는 일들이 많으며, 이에 따라 이기종의 로봇을 관리하는 데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industrial settings and general consumers, there are many cases where different types of robots are purchased and used depending on the price, robot performance, and timing of robot purchase. As a result, there is a lot of hassle in managing the heterogeneous robots. There is.

예를 들어 점점 로봇의 개수는 증가하고 그에 따른 로봇도 증가하고 있어서, 인간을 대신하는 측면에서 업무의 생산성은 증가하지만, 그에 따른 관리의 업무 복잡도 및 시간이 증가하는 것도 문제점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기종의 로봇을 관리하는 업무를 통합 관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For example, the number of robot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robots is also increasing, which increases work productivity in terms of replacing humans, but the resulting increase in work complexity and time for management is also a problem.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can integrate and control the tasks of managing various heterogeneous robot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3561호(2013.04.0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53561 (2013.04.0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1852호(2013.11.1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31852 (2013.11.1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67770호(2020.01.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67770 (2020.01.1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4375호(2015.07.0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74375 (2015.07.0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9713호(2015.06.0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59713 (2015.06.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이기종 멀티 로봇과 모빌리티를 통합제어하며 원격 관제를 위한 통합 인증 체계를 구비하는,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a hyperrobot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which integrates control of heterogeneous multi-robots and mobility and includes an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for remote contr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는, 임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기종의 로봇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F-Code)를 상기 이기종의 로봇 각각에 설치하며, 상기 관리자 코드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로봇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hyperrob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heterogeneous robots provided in an arbitrary space, and an administrator code (F-Cod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heterogeneous robots. is installed on each of the heterogeneous robot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authenticates the heterogeneous robots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code and collects and analyzes data from robots that have successfully been authenticated.

상기 제어부는, 동일 공간에 있는 상기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그룹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한 그룹을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signate a group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in the same space and provide a service based on the designated group.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이 지정되는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상기 관리자 코드의 업데이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imultaneously perform an update operation of the manager code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for which the group is design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제조하는 제조사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이기종의 로봇과 관련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rovide analysis results of big data related to the heterogeneous robot when requested by a manufacturer manufacturing the heterogeneous robot.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코드의 데이터 포맷 내에 포함되는 제조사정보, 모델정보, 각 로봇 모델 사양 및 기능의 특이점을 구분하는 기능코드정보, 로봇의 버전 및 등록년월일을 나타내는 등록구분정보 및 로봇의 서비스 및 스케줄을 위한 할당 코드 및 시퀀스넘버를 나타내는 구분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manufacturer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function code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the peculiarities of each robot model specification and function, registr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version and registration date of the robot, robot service,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allocation code and sequence number for the schedule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기종의 로봇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F-Code)를 상기 이기종의 로봇 각각에 설치하며, 상기 관리자 코드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로봇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driving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a hyper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mmunicating with heterogeneous robots provided in an arbitrary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heterogeneous robots. Installing an administrator code (F-Code) on each of the heterogeneous robots, authenticating the heterogeneous robots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code, and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from robots that ha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동일 공간에 있는 상기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그룹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한 그룹을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designating a group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in the same space and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the designated group.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이 지정되는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상기 관리자 코드의 업데이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the service may simultaneously perform an update operation of the manager code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for which the group is designated.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제조하는 제조사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이기종의 로봇과 관련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n analysis result of big data related to the heterogeneous robot when the control unit requests a manufacturer manufacturing the heterogeneous robot.

상기 수집 및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코드의 데이터 포맷 내에 포함되는 제조사정보, 모델정보, 각 로봇 모델 사양 및 기능의 특이점을 구분하는 기능코드정보, 로봇의 버전 및 등록년월일을 나타내는 등록구분정보 및 로봇의 서비스 및 스케줄을 위한 할당 코드 및 시퀀스넘버를 나타내는 구분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The collecting and analyzing step includes manufactur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format of the manager code, model information, function code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the unique features of each robot model specification and function, registr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version and registration date of the robot,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llocation codes and sequence numbers for robot services and schedules can be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이동 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검증된 MINE 체계와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등의 체계를 호출하되, 로봇 시스템의 통합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식별 인증 체계를 구현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 로봇 현장에서 기기의 운영과 서비스에 최적화된 인증과 등록 체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s such as the MINE system and MAC Address, which have been verified in existing mobile devices and network systems, are called, and a separate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for integrated services of the robot system is implemented based on this. While improving security,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an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optimized for device operation and service in the robot fiel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술지원 사이트를 통해 개발자, 로봇기업에게 신속한 로봇 상품화 환경을 제공하며, 동시에 개발 보드 단계에서 서비스 등록을 통해 로봇 데이터셋의 검증과 상품화를 위한 전단계를 지원하여 개발단계부터 출시이후 멀티 로봇의 운영과 관리, 업데이트까지 로봇 사업화 전주기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pid robot commercialization environment to developers and robot companies through a technical support site,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the ver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robot datasets through service registration at the development board stage, starting from the development stage. After launch, it will be able to support the entire robot commercialization cycle, including operation, management, and updates of multi-robo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통합관리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7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system of Figure 1;
3 to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and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integrated robot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통합관리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증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tegrated robo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system of Figure 1, and Figures 3 to 5 are diagr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security authenticatio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통합관리시스템(90)은 이기종의 로봇장치(100), 통신망(110), 로봇통합관리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eterogeneous robot devices 100, a communication network 110,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and a third-party device 130. Includes part or all of.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로봇통합관리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로봇통합관리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part or all” means that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90 is configured by omitting some components such as the third-party device 130, or that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90 is comprised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It means that some or all of it can be integrated into a network device (e.g.,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is explained as being entirely included to facilitat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장치(100)는 이기종의 로봇을 포함한다. 로봇은 여러 제조사에서 각각 제조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로봇으로서 여러가지 기종과 사양이 있으며, 또 저가가 있고 아주 고가의 첨단 로봇도 있다. 저가의 로봇은 하드웨어(H/W)나 소프트웨어(S/W) 등이 저사양에 해당할 수 있으며, 고가의 경우에는 고사양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사양이나 고사양은 로봇의 성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종이나 사양 등에 있어서 종류가 서로 다른 로봇을 이기종의 로봇이라 지칭할 수 있다.The robotic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eterogeneous robots. Robots are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and distributed on the market. There are various models and specifications, and there are low-cost and very expensive high-tech robots. Low-priced robots may have low-specification hardware (H/W) or software (S/W), while high-priced robots may include high-specification hardware and software. Low specifications and high specifications can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In this way, robots of different types in terms of model or specifications can be referred to as heterogeneous robo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즉 로봇장치(100)는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맥 어드레스,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사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로봇뿐 아니라 해당 IMEI, 맥 어드레스, SIM이 없는 로봇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이 불가능한 로봇의 경우에는 가령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의 서비스 접속에 의해 보급되는 관리자 코드 즉 F-Code로 명명되는 코드를 설치한 후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IMEI, 맥 어드레스, SIM을 보유하는 로봇의 경우에는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서의 통합 관리를 위해 로봇의 인증이나 등록 등을 위한 별도로 F-Code를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로봇의 인증과 등록을 위한 인증 체계와 관련하여 IMEI, 맥 어드레스, SIM 및 F-Code에 대하여 비교해 보면 <표 1>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robot device 100, includes various types of robots that use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AC address, and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IMEI and MAC. It can also include robots without an address or SIM. In the case of robots for which mobil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communication may be possible after installing an administrator code, that is, a code called F-Code, which is distributed through service connection of the integrated robot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Of course, in the case of a robot that has an IMEI, MAC address, and SIM,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separate F-Code for authentication or registration of the robot for integrated management in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ure 1.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to any one form. Regarding the authentication system for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of robots, the IMEI, MAC address, SIM, and F-Code can be compared as shown in <Table 1>.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장치(100)는 가령 맥 어드레스를 통해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 접속하지만 물론 이의 과정에서 로봇장치(100)의 동작이나 주변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F-Code 체계를 통해 이기종의 타 로봇과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기종의 로봇이 동일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원활한 작업을 위하여 서로 식별정보를 등록한 후 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robo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through a MAC address, but of course, in the process, the robot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or surrounding situation. Data can be collected and transmitted, and linkage with other types of robots is possible through the F-Code system. For example, when heterogeneous robots work in the same space, communication may be achieved after registe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o ensure smooth work.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lin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Internet networks such as cable networks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PC (Evolved Packet Core), LTE (Long Term Evolution), and Wibro networks. It means including.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for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etc.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connect to the telephone company's exchange office, etc., but if i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connect to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receive data. Data can be processed by connecting to various repeaters such as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이기종의 로봇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이기종의 로봇장치(10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로봇통합관리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Access points include small base stations such as femto or pico base stations that are often installed in buildings. Here,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heterogeneous robot devices 100, etc., which can be connected in the classification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heterogeneous robot devices 100. Access points can use TCP/IP or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in addition to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IrDA), RF (Radio Frequency) such as UHF (Ultra High Frequency) and VHF (Very High Frequency),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You can.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can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forward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such as the integrated robot management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Access points can share multiple lines in a typic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 for example, routers, repeaters, and repeaters.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이기종 멀티 로봇과 모빌리티를 통합 제어하며, 원격 관제를 위한 통합 인증 체계를 보유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이기종 로봇이 데이터를 서로 교환 및 연동한 후에 규격, 기능, 사양이 다른 이기종 로봇이 단일 서비스로 서로 묶여서 상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기본적인 로봇의 인증을 통해서 그 로봇이 진짜 가용한 로봇인지 그리고 그 로봇이 어떤 기종에 있어서 내가 데이터를 주면 그 로봇이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를 알아야 그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식별정보 등을 통해) 신원을 파악하는 것이 바로 인증이고 등록이며, 이를 위하여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관련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provides integrated control of heterogeneous multi-robots and mobility, and has an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for remote control. For example,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heterogeneous robots with different standards,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to be bundled into a single service and provide mutual services after heterogeneous robots exchange and interconnect data with each other. It can be seen as having a system.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must know through basic robot authentication whether the robot is truly an available robot and what type of robot it is, so that it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if I give it to the robot. Therefore, determining the identity of the robot (through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is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and for this purpose,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can be considered to perform related operations.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할 수 있지만, 로봇은 여러 가지 기종이 있고 사양이 있어서 저가도 있고 아주 첨단 로봇도 있기 때문에 저가 로봇도 등록 인증을 할 수 있어야 하고, 고가 로봇도 인증을 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이동통신에서 사용하고 있는 IMEI, MAC ADDRESS, SIM을 사용하면서 거기에 기존의 로봇과 다른 로봇들은 그 IMEI, MAC ADDRESS, SIM이 없는 로봇을 위해서 별도로 F-Code라고 하는 관리자 코드를 만들어서 즉 생성해 주어 이 코드를 통해서 로봇을 등록하고 기종을 관리하고 기능과 사양을 분리함으로써 어떠한 로봇도 통합된 인증 시스템을 활용해서 로봇을 쓸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may use various methods, but since there are various types of robots and specifications, and there are low-priced robots and very high-tech robots, even low-cost robots must be able to register and authenticate. Since even expensive robots must be able to authentic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EI, MAC ADDRESS, and SIM used in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s are used, and existing robots and other robots use the IMEI, MAC ADDRESS, and SIM. For robots that do not have this, a separate administrator code called F-Code is created, and through this code, the robot is registered, the model is managed, and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are separated. Any robot can use the integrated authentication system to use the robot. We will have a system in place to enable thi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의 구동 과정을 도식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서의 기술지원을 통하여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의 범주에 포함되는 개발자, 로봇기업에게 신속한 로봇 상품화 환경을 제공하며, 동시에 개발보드 단계에서 (플라잉렛의) 서비스 등록을 통하여 로봇 데이터셋의 검증과 상품화를 위한 전단계를 지원하여, 개발단계부터 출시이후 멀티로봇의 운영과 관리, 업데이트까지 로봇 사업화 전주기를 지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다기종의 로봇을 통합하여 운영 및 관리하는 경우 다기종의 로봇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통해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개발자나 로봇기업에서 필요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제공해 줌으로써 개발단계에서부터 로봇의 출시 이후에도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driving process of the system of Figure 1. Through technical support from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a rapid robot commercialization environment is provided to developers and robot companie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he third-party device 130 of FIG. 1, and at the same time, at the development board stage (flying By supporting all stages of ver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robot data sets through registration of Let's service,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ntire robot commercialization cycle from the development stage to the operation, management, and update of multi-robots after launch. In other words, when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integrates, operates and manages multiple types of robots, it can generate big data through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types of robots, and the developer can analyze the big data. I will be able to derive various analysis results needed by robot companies. By providing these analysis results, it becomes possible to manage the robot from the development stage even after its rele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로봇통합관리시스템(90) 또는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로봇현장의 네트워크 블랙아웃과 상이한 네트워크환경을 대비하고, 사용자 관점에서 로봇 등의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를 이식해야 한다는 점, 다양한 로봇제조사의 요구기능과 사양이 상이한 로봇의 단일체계를 구현하여 통합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이동통신기기의 인증체계로는 대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로보틱스 플랫폼 즉 서비스는 기존의 이동기기 및 네트워크시스템에서 검증된 MINE 체계와 맥 어드레스 등의 체계를 호출하되, 로봇 시스템의 통합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식별 인증 체계를 구현하게 되며, 이를 토대로 보안성을 향상시키면서 로봇현장에서 기기의 운영과 서비스에 최적화된 인증과 등록체계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90 or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s for network blackouts at robot sites and different network environments, controls devices such as robots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In order to implement integrated services by implementing a single system of robots with different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required by various robot manufacturers, the service must be ported, and the authentication system of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annot respond. Therefore, the robotics platform, or service, provided by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in FIG. 1 calls the MINE system and MAC address systems verified in existing mobile devices and network systems, but requires a separate service for the integrated service of the robot system. An identification authentication system will be implemented, and based on this, security will be improved and an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system optimized for device operation and service at the robot site will be secured.

도 3은 가령 플라잉렛이라는 보안 에이전트 즉 SW 모듈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로보틱스 플랫폼으로서 동작하는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 내장된 FlyingLet®SecureAgent는 플랫폼에 내장된 IMEI, MAC, SIM, MIN 정보를 호출하고 특화된 F-Code체계를 결합하여 더 향상된 인증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또한, 특정기능과 사양에 따라 인증체계를 보유하지 않은 대다수의 로봇 시스템에서도, 인증체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된 FlyingLet®SecureAgent는 이를 탑재한 일반 로봇 시스템에서도 로봇상호간 및 로봇 서비스의 연동과 호환을 위하여 최소화된 인증요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Figure 3 is a diagram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 security agent, or SW module, called Flying Let. FlyingLet®SecureAgent, built in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ure 1, which operates as a robotics platform, calls the IMEI, MAC, SIM, and MIN information built into the platform and combines the specialized F-Code system to create an improved authentication system. will be built. In addition, FlyingLet®SecureAgent, which is equipped to secure an authentication system even in the majority of robot systems that do not have an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specific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provides interconnection and compatibility between robots and robot services even in general robot systems equipped with it. For this purpose, it is possible to provide minimized certification requirements.

도 4는 로봇의 통합 서비스를 위한 F-Code의 인증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중 로봇의 통합서비스를 위한 제어와 제어관제클라우드 FlyingLet®에서 로봇의 기기와 데이터셋을 통합관리하고,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인 인증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별도의 F-Code를 생성할 수 있다. FlyingLet®에 인증된 권한의 로봇관리자가, 물론 로봇관리자의 인증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의 서비스에 회원 가입시 이루어진 인증정보를 근거로 할 수도 있으며, 로봇관리자가 로봇기기의 제조사, 모델, 기능과 서비스 등을 설정하고 등록하면 시스템에서 F-Code가 생성되어 활성화되며, 로봇기기에 탑재된 Flyinglet® Secure Agent로 전송되어로봇의 펌웨어 파일시스템에 저장되며, 인증된 권한의 관리자가 재설정하기 전까지기기의 인증과 서비스 운영을 위한 최소 체계로 활용된다고 볼 수 있다. 도 4에서 볼 때 F-Code는 로봇기기와 사양, 서비스를 정의 구분하는 체계로, Flyinglet®SecureAgent의 암호화를 위한 인코딩, 인증을 위한 암호키 체계를 통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별도의 데이터 완결성, 데이터 보안을 보장하지는않을 수 있다.Figure 4 is a diagram to explain the F-Code authentication system for robot integrated services. In FlyingLet®, a control and control management cloud for integrated services of multiple robots, a separate F-Code can be created to manage robot devices and data sets and establish an effective authentication system to control services. The robot manager with the authority certified by FlyingLet® may, of course, b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ovided when signing up for the service of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and the robot manager may be the manufacturer of the robot device, When you set and register the model, function, and service, an F-Code is created and activated in the system. It is sent to the Flyinglet ® Secure Agent mounted on the robot device and stored in the robot's firmware file system, and can be reset by an administrator with authorized authority. Until then, it can be seen as being used as a minimum system for device authentication and service operation. As seen in Figure 4, F-Code is a system that defines and distinguishes robot devices, specifications, and services, and securit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encoding for encryption of Flyinglet ® SecureAgent and the encryption key system for authentication. However, separate data integrity and data security may not be guaranteed.

도 5는 로봇 사양에 따른 인증체계의 대응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령 AirPath® 로보틱스 플랫폼에 내장된 FlyingLet® Secure Agent는 로봇에 내장된 IMEI, MAC, SIM, MIN 정보를 호출하고 특화된 F-Code 체계를 결합하여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의 로봇장치(100)의 경우 인증 요청시 F-Code의 정보를 추출하여 인증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증에 대한 인증 동작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로봇통합관리장치(120)의 내부에 탑재된 인증모듈 가령 플라잉렛에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특정 기능과 사양에 따라 인증체계를 보유하지 않은 로봇 시스템에서도, FlyingLet®Secure Agent를 탑재할 경우 로봇 및 로봇 서비스의 연동과 호환을 하여 최소화된 인증요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Figure 5 is a diagram to explain the response plan of the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robot specifications. For example, the FlyingLet® Secure Agent built into the AirPath® robotics platform can provide authentication by calling the IMEI, MAC, SIM, and MIN information built into the robot and combining it with a specialized F-Code system.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robot device 100 of FIG. 1, when requesting authentication, F-Cod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and authentication can be requested. And the authentication operation for this authentication can be provided by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Alternatively,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an authentication module mounted inside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such as a flying let.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in FIG. 1 is compatible with the interconnection of robots and robot services when equipped with FlyingLet®Secure Agent, even in robot systems that do not have an authentication system according to specific functions and specifications, minimizing authentication requirements. It will be provided.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기종의 로봇장치(100)를 제조하고 또 개발하고 연구하는 제조사, 학교/연구소, 개발자, 그리고 로봇을 운영하거나 로봇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는 운영자 등이 보유하는 컴퓨터나 서버 등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해 데스크탑컴퓨터나 랩탑컴퓨터 등 PC 기반의 단말장치뿐 아니라, 태블릿PC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스마트 TV나 서버 등도 포함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30)는 서버의 경우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the third-party device 130 in FIG. 1 is used by manufacturers, schools/research centers, developers who manufacture, develop, and research heterogeneous robot devices 100, and who operate robots or collect robot-related data. I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computers or servers owned by operators who share it. To be more precise, it can include not only PC-based terminal devices such as desktop computers and laptop computers, but also mobile-based terminal devices such as tablet PCs and smartphones. Of course, it can also include smart TVs and servers. In the case of a server, the third-party device 130 may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integrated robot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through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드파티장치(130)를 이용하는 제조사의 관계자나 개발자들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가입 및 사용자 인증은 로봇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가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수히 많은 이기종의 로봇과 관련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봇 개발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장치(100) 내에 탑재되는 보드의 개발이 있는 경우에는 개발보드를 등록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며, 또 로봇 상품을 등록하고 인증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로봇 원격제어와 관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로봇 데이터 쉐어링이나 인공지능(AI) 데이터 커머스에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Manufacturer officials or developers using the third-party device 130 can perform user authentication after signing up for the service of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Of course, such registration and user authentication may be possible from the robot development stage, and through this,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robot development using data related to countless different types of robots. For example, when there is development of a board to be mounted within the robot device 100, it may be possible to register a development board, and various operations such as registering a robot product and performing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is process, robot remote control and control services will be available. It may also be possible to use it for robot data shar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AI) data commerce.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로봇장치(100), 로봇통합관리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robot device 100,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and third-party device 130 of FIG. 1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may be discussed later. I would like to replace it with .

도 6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integrated robot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로봇통합관리부(620) 및 저장부(6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 or part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the control unit 610,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and the storage unit 630. includes everything.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6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로봇통합관리장치(120)가 구성되거나, 로봇통합관리부(6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6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part or all” means that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is configured by omitting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630, or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are configured by the control unit ( 610), it means that it can be integrated and configur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도 1의 로봇장치(100)와 통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보안 에이전트의 SW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보안 에이전트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F-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안 에이전트 프로그램이나 F-Code 등의 소스코드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로봇장치(100)를 제조하는 제조사나 해당 로봇장치(100)를 구매하여 운영하는 운영자는 로봇통합관리장치(120)에 접속하여 관리자 인증을 수행한 후 로봇장치(100)의 기종이나 사양과 관련한 정보를 등록한 후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하는 로봇장치(100)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원격으로 프로그램이나 소스코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관리자가 자신이 소지하는 USB 등의 저장매체나 컴퓨터에 관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저장한 후 로봇장치(100)에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등의 카드를 삽입할 수 있으며, 또 컴퓨터를 연결하여 이이피롬(EEPROM)의 형태로 설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may communicate with the robot device 100 of FIG. 1 to perform an operation to install a SW module of a security agent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security agent may include the F-Code described previously. For example,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various forms to install source code such as a security agent program or F-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er of the robot device 100 in FIG. 1 or the operator who purchases and operates the robot device 100 connects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performs administrator authentication, and then selects the model or type of the robot device 100. After registering information related to specifications, you can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For example, if the robot device 100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programs or source code can be installed remotely. On the other hand, in cases where communication is not possible, it may be possible for the administrator to download and store the relevant program on a storage medium such as a USB or computer, and then install it on the robot device 100. For example, a card such as a USB can be inserted, and it may also be possible to connect a computer and install it in the form of an EEP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may be involved in these operations.

이러한 설치 과정이 완료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다양한 이기종의 로봇들에 대한 즉 로봇장치(100)에 대한 인증 및 등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로봇인증은 로봇장치(100)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전원이 온/오프되는 시점에만 인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로봇장치(100)가 작업을 종료한 후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전원이 온될 때 인증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인증 과정에서 암/복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이러한 암/복호화 동작에도 관여할 수 있을 것이다.Once this install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an perform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operations for various heterogeneous robots, that is, for the robot device 100. Of course, such robot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whenev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robot device 100, or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only when the power is turned on/off. For example,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n authentication opera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while the robot device 100 is turned off after completing a task. Since this authentic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ervice policy of the service provider provid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type. Of course, encryption/decryption may occur during this authentication process,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may also participate in such encryption/decryption operations.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로봇장치(100)로부터 주기적으로 로봇의 운행과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어부(6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수집된 데이터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20a)로 전송되어 로봇장치(100)의 식별정보 등을 근거로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may periodically collect data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obot from the robot device 100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610, or the collected data may be collected as shown in FIG.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DB 120a and systematically classified and stored based 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obot device 100.

제어부(610)는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로봇통합관리부(620) 및 저장부(6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10)는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로부터 로봇장치(1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Code를 설치하기 위한 요청이 있을 때 로봇통합관리부(620)를 제어하여 이에 관련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0)는 로봇장치(100)에 보안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로봇장치(10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거나 관제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 로봇장치(100)에서 인증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인증데이터를 저장부(6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로봇통합관리부(620)에 제공하여 인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인증 결과는 로봇장치(100)로 제공하여 그 후 로봇장치(10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도 1의 DB(120a)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로봇장치(100)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어부(610)는 데이터 가공을 위하여 로봇통합관리부(620)로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unit 610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610 operates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when there is a request to install an F-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bot device 100 from the third party device 130 of FIG. 1. You can control and perform operations related to thi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10 can contr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to remotely control or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device 100 when the installation of the security agent program on the robot device 100 is completed, and the robot device ( If there is an authentication request in 100), the authentication data can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630 and then retrieved and provided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course, the authentication result can be provided to the robot device 100, and the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obot device 100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B 120a of FIG. 1. Of course, the data collected by the robot device 100 may be of various types, and the control unit 610 may be able to provide the data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for data processing.

로봇통합관리부(620)는 다수의 이기종의 로봇장치(100)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로봇통합관리부(620)는 로봇장치(100)로 통합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이기종의 로봇장치(10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기종의 로봇장치(100)간에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당이나 공장과 같은 임의의 공간에서 서로 다른 이기종의 로봇이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관리자는 그 이기종의 로봇을 관리하는 것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이기종의 로봇들을 단일 서비스로 묶어서 동작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단일 서비스는 그룹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임의 공간의 영역이나 식별정보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기종의 로봇들이 단일 서비스로 묶이는 경우 가령 프로그램 등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동시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등의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임의 공간에 특화되는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로봇들간에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고 연동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단일 서비스에 묶이는 경우 또는 그룹으로 설정되는 경우 하나의 로봇은 다른 이기종의 로봇들에 대한 정보를 기등록할 수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통신이나 데이터의 전송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게 된다.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can perform operations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robot devices 100. To this end,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can pre-install a program for integrated management with the robot device 100, and based on this, it analyz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heterogeneous robot device 100 to manage the heterogeneous robot device 100. It can operate so that interconnection between devices is possible. For example, let's assume that different types of robots are used in a random space, such as a restaurant or factory. In this case, managers may have a lot of hassle managing the heterogeneous robots.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combine and operate these heterogeneous robots into a single service. Of course, a single service here can be a group, or an area of arbitrary space 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when heterogeneous robots are bundled into a single service, operations such as simultaneous updates when an update of a program, etc. is required, may be possible. Alternatively, updates can be made to have performance specialized for arbitrary spaces. Furthermore, it becomes possible to exchange data and interoperate between robots. For example, when tied to a single service or set as a group, one robot can pre-register information about other heterogeneous robots, so communication or data transmission can be possible based on this.

예를 들어, 임의 공간에 있는 특정 로봇이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의 경우 해당 로봇에서 수집하는 데이터는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120)로 제공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의 경우 동일 공간에 있으면서 현재 유휴 상태에 있는 로봇장치(100) 즉 로봇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로봇통합관리장치(120)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로봇통합관리부(620)는 단일 서비스 그룹 등을 설정되어 있는 로봇장치(100)들을 통합하여 데이터 분석 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임의 공간의 관리자는 이기종의 로봇들을 활용한 다양한 분석 결과들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봇장치(100)들의 효율적인 운영이나 식당이나 공장의 경우에는 식당이나 공장의 운영 및 관리와 관련한 결과를 제공받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let's assume that a specific robot in a random space is not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data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In this case, it may be impossible to provide data collected from the robot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In this cas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robot device 100, that is, a robot currently in an idle state in the same space, and a request may be made to transmit the data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Accordingly,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may be able to perform data analysis operations by integrating the robot devices 100 set to a single service group, etc. Accordingly, the manager of any space can receive various analysis results using heterogeneous robots, and through this, results related to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robot devices 100 or, in the case of a restaurant or factory,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restaurant or factory. It may be possible to receive it as much as possible.

저장부(630)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다수의 이기종의 로봇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내어 로봇통합관리부(6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630)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도 1의 DB(120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분석을 위하여 해당 데이터를 로봇통합관리부(62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630 can temporarily store various types of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630 can temporarily store data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robot devices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and retrieve the temporarily stored data and provide it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can do.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630 can temporarily store data stored in the DB 120a of FIG.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10, and provide the data to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for data analysis. There will be.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로봇통합관리부(620) 및 저장부(6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ntrol unit 610,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explained previously. I want to replace it with field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로봇통합관리부(620) 및 저장부(6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00, control unit 610,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and storage unit 630 of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hardware modules that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each module has an internal It will be possible to store software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and execute it. However, the software is a set of software modules, and each module can be formed of hardware, so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nfiguration of software or hardwar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630 may be hardware, such as storage or memory.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through software (repository), the above conten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로봇통합관리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로봇통합관리부(6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610 may include a CPU and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n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RAM.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control operations, the operation unit performs operations on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command interpretation unit includes an interpreter or compiler, which can convert high-level language into machine language and machine language into high-level language.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is increased by copying the program stored in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20, loading it into memory, that is, RAM, and then executing it. It can be increased quickly. In the case of deep learning models, they can be loaded into GPU memory rather than RAM and executed by accelerating the execution speed using GPU.

도 7은 도 1의 로봇통합관리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integrated robot management device of Figure 1.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임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기종의 로봇과 통신한다(S700). 여기서, 통신은 원격 제어에 의한 통신을 의미할 수 있지만, 로봇과 커넥터 등에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다이렉트 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는 통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7 together with FIG. 1,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heterogeneous robots provided in a random space (S700). Here, communication may mean communication by remote control, but may also include communication made through a wired cable connected to a robot and a connector, or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또한, 로봇통합관리장치(120)는 이기종의 로봇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F-Code)를 이기종의 로봇 각각에 설치하며, 관리자 코드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이기종의 로봇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로봇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다(S710). 예를 들어, 이기종의 로봇과 관련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 딥러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해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로봇을 개발하는 제조사나 연구소 등에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기개발된 로봇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개선할 수 있으며, 또 로봇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개발보드에 분석 결과를 적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공간에서 사용되는 이기종의 로봇을 분석한 결과 로봇의 디자인이나 또 기능이나 성능과 관련한 문제가 발견될 때 이를 고려하여 로봇을 개발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installs an administrator code (F-Cod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heterogeneous robots on each heterogeneous robot, and authenticates the heterogeneous robots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code to enable authentication. Data from successful robots can be collected and analyzed (S710). For example, big data related to heterogeneous robots can be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ep learning programs an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provided to manufacturers or research institutes that develop robot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ardware or software of already developed robots, and it may also be possible to apply analysis results to the development board from the robot development stage. For example, as a result of analyzing heterogeneous robots used in a specific space, when problems related to the design, function, or performance of the robot are discovered, the robot can be developed or improved by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로봇장치(100) 및 로봇통합관리장치(120) 등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robot device 100 and the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20 of FIG. 1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explained previously, so these will be replac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omputer programs can be stored i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stored and provided on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et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로봇장치(혹은 로봇) 110: 통신망
120: 로봇통합관리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로봇통합관리부 630: 저장부
100: Robotic device (or robot)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30: Third party device
6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610: Control unit
620: Robot integrated management unit 630: Storage unit

Claims (10)

임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기종의 로봇과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F-Code)를 상기 이기종의 로봇 각각에 설치하며, 상기 관리자 코드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로봇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일 공간에 있는 상기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그룹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한 그룹을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룹이 지정되는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상기 관리자 코드의 업데이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제조하는 제조사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이기종의 로봇과 관련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리자 코드의 데이터 포맷 내에 포함되는 제조사정보, 모델정보, 각 로봇 모델 사양 및 기능의 특이점을 구분하는 기능코드정보, 로봇의 버전 및 등록년월일을 나타내는 등록구분정보, 그리고 로봇의 서비스 및 스케줄을 위한 할당 코드 및 시퀀스넘버를 나타내는 구분정보를 이용하는,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hat communicates with heterogeneous robots provided in a random space; and
An administrator code (F-Cod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heterogeneous robots is installed on each of the heterogeneous robots, and the heterogeneous robots are authenticated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code to collect data on robots that have successfully been authenticated. And a control unit to analyze;
The control unit designates groups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in the same space and provides services based on the designated groups,
The control unit simultaneously performs an update operation of the manager code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for which the group is designated,
The control unit provides analysis results of big data related to the heterogeneous robot when requested by a manufacturer manufacturing the heterogeneous robot,
The control unit includes manufacturer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function code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the specifications and features of each robot model, registr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at indicates the version and registration date of the robot, and robot service included in the data format of the manager code. and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hyperrobots, us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allocation codes and sequence numbers for schedu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임의 공간에 구비되는 이기종의 로봇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관리자 코드(F-Code)를 상기 이기종의 로봇 각각에 설치하며, 상기 관리자 코드의 코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인증하여 인증에 성공한 로봇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동일 공간에 있는 상기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그룹을 지정하여 상기 지정한 그룹을 근거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그룹이 지정되는 이기종의 로봇에 대하여 상기 관리자 코드의 업데이트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이기종의 로봇을 제조하는 제조사의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이기종의 로봇과 관련한 빅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 및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코드의 데이터 포맷 내에 포함되는 제조사정보, 모델정보, 각 로봇 모델 사양 및 기능의 특이점을 구분하는 기능코드정보, 로봇의 버전 및 등록년월일을 나타내는 등록구분정보 및 로봇의 서비스 및 스케줄을 위한 할당 코드 및 시퀀스넘버를 나타내는 구분정보를 이용하는, 하이퍼로봇 구현을 위한 로봇통합관리장치의 구동방법.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mmunicating with heterogeneous robots provided in a random space; and
The control unit installs an administrator code (F-Code)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heterogeneous robots on each of the heterogeneous robots, authenticates the heterogeneous robots based on the code information of the administrator code, and identifies the robot that has successfully been authenticated. Including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the control unit designating a group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in the same space and providing a service based on the designated group,
The steps for providing the above service are:
Simultaneously perform an update operation of the manager code for the heterogeneous robots for which the group is designated,
It further includes providing, by the control unit, an analysis result of big data related to the heterogeneous robot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a manufacturer manufacturing the heterogeneous robot,
The collection and analysis steps include:
Included in the data format of the manager code are manufacturer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function code information that distinguishes the specifications and features of each robot model, registra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at indicates the version and registration date of the robot, and allocation for robot services and schedules. A method of driving a robot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or implementing a hyperrobot using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code and sequence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050891A 2023-04-18 2023-04-18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6155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891A KR102615501B1 (en) 2023-04-18 2023-04-18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891A KR102615501B1 (en) 2023-04-18 2023-04-18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501B1 true KR102615501B1 (en) 2023-12-19

Family

ID=8938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891A KR102615501B1 (en) 2023-04-18 2023-04-18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50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042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유진로봇 Robot Manufacturing Standard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1253561B1 (en) 2008-12-29 2013-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agnosis and management server for multi-kinds robot
KR101331852B1 (en) 2009-12-18 2013-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Component integration architecture for collaboration of the heterogeneous robot platforms and method thereby
KR20150059713A (en) 2013-11-22 2015-06-02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Remote controllable smart take-out robot central control system through network
KR20150074375A (en)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Smart device for controlling robot of various type in robot platform configur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782942B1 (en) * 2017-02-27 2017-09-29 주식회사 부-스타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aging industrial boiler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
KR102067770B1 (en) 2018-11-23 2020-01-17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gratedly controlling multiple heterogeneous robots
KR102423415B1 (en) * 2020-11-23 2022-07-20 박주영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of control robo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561B1 (en) 2008-12-29 2013-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agnosis and management server for multi-kinds robot
KR20100078042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유진로봇 Robot Manufacturing Standardization System and Method
KR101331852B1 (en) 2009-12-18 2013-1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 Component integration architecture for collaboration of the heterogeneous robot platforms and method thereby
KR20150059713A (en) 2013-11-22 2015-06-02 한양로보틱스 주식회사 Remote controllable smart take-out robot central control system through network
KR20150074375A (en)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케이티 Smart device for controlling robot of various type in robot platform configur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782942B1 (en) * 2017-02-27 2017-09-29 주식회사 부-스타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aging industrial boiler system using internet of thing
KR102067770B1 (en) 2018-11-23 2020-01-17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gratedly controlling multiple heterogeneous robots
KR102423415B1 (en) * 2020-11-23 2022-07-20 박주영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of control robo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4977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configure embedded devices
CN105282731A (en) Method of processing provisioning profil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CN10482064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smart machine
WO201920620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figuration file, rela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0038754B2 (en) Method of establishing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ctive connection of mobile terminal to relay server
CN103902339A (en) Application installation method, terminal and server
CN112152853A (en) Equipment network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137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undles of smart secure platform
US11695635B2 (en) Rapid install of IoT devices
US20210359985A1 (en) Technical Layer for Portable Electronic Assistant
KR102292007B1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2016013361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ings run on the Virtual Thing Server
CN108702365A (en) Adapter and its control method
CN106453349A (en) An account number login method and apparatus
US9877213B1 (en) Integrated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and ticket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7758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based internet of things
KR102615501B1 (en)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Managing Robots for Realization of Hyperrobo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20280866A1 (en) Initial setting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106454299A (en) Screen projection method and device between terminals, and terminal
CN102333070A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information
US11785569B2 (en) Device and method for enrolling a wireless access point into a map wireless network
CN111193699B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ecurity vulnerability of ZigBee device
KR100542437B1 (en) Remote command requiring terminal and requiring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mmand processing
CN104683571A (en) Universal control method for intelligent mobile equipment
KR1026439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mponent registration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