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504B1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504B1
KR102614504B1 KR1020230006528A KR20230006528A KR102614504B1 KR 102614504 B1 KR102614504 B1 KR 102614504B1 KR 1020230006528 A KR1020230006528 A KR 1020230006528A KR 20230006528 A KR20230006528 A KR 20230006528A KR 102614504 B1 KR102614504 B1 KR 102614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harging
stopper
payment
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옥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주식회사 두루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주식회사 두루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루스코이브이
Priority to KR102023000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5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NFC의 태그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 및 NFC의 태그가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관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arking lot floor and performs a stopper function for the vehicle, and uses NFC and a user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that perform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including a tag for charging, a kiosk terminal device that displays the charging status of the charger used when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is used by tagging the user terminal device with an NFC tag, and NFC When the tag is tagg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payment is processed,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is initiate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charg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a charging control device is installed to control the charging status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It can be included.

Description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스마트 카스토퍼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기의 소프트웨어(S/W), 어플리케이션(App.), 하드웨어 간의 통신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저장하여 관리자, 지점 관리자, A/S 유지 담당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점을 상호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ar stopper charger and control data us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software (S/W), application (App.), and hardwar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t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at collects, analyzes, and stores real-time information to managers, branch managers, and A/S maintenance personnel so that they can mutually recognize problems.

전기차는 엔진이 전기 모터로 대체되어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 충전소나 충전 스테이션 등의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시설 이외에도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전기 콘센트를 통해 자동차의 구동 에너지원을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 전기차는 전기 공급이 가능한 콘센트를 통해 장소와 시간의 제한 없이 전기차의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주차장 등에 설치된 콘센트를 통한 전기 충전은 RFID 태그 등의 인증을 통해서 충전하거나 인증 태그가 설치되지 않는 곳에서는 무단 충전이 되는 경우가 많다. 무단 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RFID 태그를 건물 주차장 등의 전원 콘센트에 설치하고 있으나, 건물 주차장의 모든 콘센트에 태그 설비를 일일이 설치하는 것은 충전 사업자와 건물 소유자에게 번거로운 일이 된다.In electric vehicles, the engine is replaced by an electric motor, so unlike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the driving energy source for the vehicle can be easily supplied through electrical outlets installed in homes or parking lots, in addition to facilitie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or charging stations. . With this feature, electric vehicles have the great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arge their batteries without restrictions on location and time through an outlet that can supply electricity. However, electric charging through outlets installed at home or in parking lots often occurs through authentication such as RFID tags, or unauthorized charging occurs in places where authentication tags are not installed. To prevent unauthorized charging, RFID tags are installed in power outlets in building parking lots, etc., but installing tag facilities one by one in every outlet in a building parking lot is cumbersome for charging operators and building owners.

따라서, 충전 사업자와 건물 소유자에게 충전 전기차를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건물 주차장 등에서 손쉽게 차량 인증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Therefore, a system is needed that allows charging operators and building owners to collectively manage charging electric vehicles and easily authenticate vehicles in building parking lot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6259호(2015.03.11)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6259 (2015.03.1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23727호(2019.03.08)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23727 (2019.03.0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18523호(2020.10.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18523 (2020.10.1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34809호(2022.10.06)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134809 (2022.10.0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26584호(2020.06.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26584 (2020.06.1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41372호(2022.09.02)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441372 (2022.09.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 카스토퍼 충전기 및 전기차 충전기의 소프트웨어(S/W), 어플리케이션(App.), 하드웨어 간의 통신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저장하여 관리자, 지점 관리자, A/S 유지 담당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문제점을 상호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alyzes, and stores control data using communication between software (S/W), application (App.), and hardware of a smart car stopper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managers, branch manager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at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to A/S maintenance personnel so that they can mutually recogniz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관제 시스템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 및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관제장치를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arking lot floor and performs a vehicle stopper function, and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tag f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that perform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a kiosk terminal device in which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to display a charging status of the charger used whe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is used, and the NFC tag A charging device that proceeds with payment when tagg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initiates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charg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s the charging state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Includes control device.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outside a designated distance, the tag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perform an NFC operation.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device may notify the user terminal devic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kiosk terminal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결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장치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further includes a payment device that processes pay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payment for the charging, and the payment device includes immediate member payment using cash or a credit card, and member immediate payment using a credit card. You can proceed with deferred payment or non-member payment.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device may transmit My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s a favorite by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a search for a charging st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키오스크 단말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사용되는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that is installed on the parking lot floor and performs a stopper function for the vehicle, a user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tag for NFC. A step of perform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a kiosk terminal device,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 step of displaying a charging state of the charger used when the stopper type electric charger is used, and a charging control device. , proceeds with payment when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itiates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charg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is charging the kiosk terminal device. It includes steps for controlling the state.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outside a designated distance, the tag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perform an NFC operation.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he charging control device notifying the user terminal devic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kiosk terminal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You can.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결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킬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allowing the payment device to process pay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payment for the charging, and the step of advancing the payment includes: immediate member payment using cash or credit card; You can make deferred payment for members or non-member payments using a credit card.

상기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은,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he charging control device transmitting my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s a favorite by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a search for a charging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MOB-100S 게이트웨이의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 통신 및 제어 구성은 충전 시스템의 운용 및 관제를 위하여 키오스크 없는 운영도 가능해 구축비용을 대폭 절감하여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가격 경쟁력과 시스템 확장성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configurat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f the IMOB-100S gateway enables kiosk-free operation for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charging system,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providing price competitiveness for operating the system. and system expandability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서비스 앱/웹을 통하여 고객의 이용편의를 지원하고 결제, 인증 등 외부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으며, 충전기 관제는 충전기/키오스크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분석/저장하여 관리자, 지점관리자 AS 유지보수 담당자에게 실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customer convenience throug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app/web and interface with external sources such as payment and authentication, and charger control is performed using the charger/kiosk and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y collecting/analyzing/saving control data, real-ti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managers, branch managers, and AS maintenance personne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b는 키오스크 운영 형태 및 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서비스 시스템 메뉴 구조 및 사용자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관제 시스템 메뉴 구조 및 유지보수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의 예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system of Figure 1;
4 to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kiosk operation form and specifications;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enu structure of the charging service system and the service screen of the user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nu structure of the charging control system and the service screen of the maintenanc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a service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flowchar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system of Figure 1 schematically.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90)은 전기차 충전장치(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충전관제장치(130) 및 서드파티장치(14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1 to 3,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a user terminal device 110, a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a charging control device 130. ) and some or all of the third-party device 140.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4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충전관제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part or all” means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90 is configured by omitting some components such as the third-party device 140, or som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r, it means that the entire device can be integrated and configured into a network device (e.g.,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nd is explained as including everything to facilitat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 분전함(혹은 전력 분배기)(102), 무선통신장치(103),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무선통신장치(103)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분전함(102)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한다.As can be seen in FIGS. 2 and 3,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 distribution box (or power distributor) 102,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Includes part or all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where "including part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are installed in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or the distribution box 102. It means something that can be integrated and composed.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가령 전기자동차 충전기로서, 공동주택이나 아파트의 주차장과 같은 곳의 스토퍼에 설치된다. 스토퍼는 차량의 후진시에 움직임을 제동하여 주차영역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기존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스토퍼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스토퍼 자체를 하나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로 형성 혹은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is, for exampl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is installed in a stopper in a place such as a parking lot of an apartment complex or apartment. A stopper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a vehicle from leaving the parking area by braking its movement when reversing. Of course,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side a stopper made of an existing material such as rubber, but the stopper itself is formed or configured as a singl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Since any number of configurations are possib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무엇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서로 다른 유형의 커넥터 혹은 콘센트가 내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자동차는 제조사에 따른 서로 다른 규격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아직 표준화가 진행되지 않은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대표적으로, B 타입과 C 타입이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B나 C 타입, 나아가 다른 유형의 케이블도 연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복수 유형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모든 유형의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AC 220V, 60㎐ 단상 2선식으로 커넥터가 구성될 수 있다.Above all,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different types of connectors or outlets built-in. In other words,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s can be configured to different specification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is may also be the reason why standardization has not yet progressed. Representatively, it appears that Type B and Type C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on the market, and therefore,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may include multiple types of connectors so that Type B or C, as well as other types of cables, can be connected. You can. This makes it possible to charge all types of electric vehicles.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n AC 220V, 60Hz single-phase, two-wire connector.

물론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커넥터, 또는 콘센트 형태의 외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본체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본체부의 내부에는 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회로부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는 PCB 기판상에 CPU 등을 구성하여 커넥터를 통해 전기자동차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전압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동장치라 볼 수 있다. 해당 구동장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can form a main body that constitutes a connector or an external frame in the form of an outlet, and a circuit part can be formed inside the main body or through a separate device. Here, the circuit unit can be viewed as a driving device for selectively controlling power or voltage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through a connector by configuring a CPU, etc. on a PCB board. The corresponding driving device can communicate with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etc.

또한,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전기차의 충전수에 따른 스마트 전력분배가 가능하며 유선 방식과 1:N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선 방식의 경우에는 분전함(102) 즉 전력분배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전력분배기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토퍼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가 전압공급원을 기준으로 서로 병렬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각각의 스토퍼는 분배기 등을 통해 스위칭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1번 차량의 충전 요청이 있으면 1번 선로로 전력을 공급하고, 이의 과정에서 2번 차량의 충전 요청도 있으면 2번 차량의 선로로도 전력 공급 회로를 가동시킨다. 분배기 등에 의해 병렬 구동될 수 있다. 최대 동시 충전시 계약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스마트 충전이 가능한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로 과전압, 과전류시 차단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전압이나 전류 센싱을 통해 센싱값을 측정하여 판별할 수 있다. 3~ 50KW의 과금형 충전기 전용 콘센트가 내장될 수 있다. 중앙 키오스크 제어 방식으로 RF 리더기, 신용카드, QR 결제, 주차위치 파악이 가능한 스크린을 활용한 전기자동차 충전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is capable of smart pow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ic vehicles charged, and can enable wired and 1:N wireless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a wired method, a distribution box 102, that is, a power distributor, can be provided, and the power distributor can be controlled by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For exampl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s 101 each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ppers may operate in parallel connection with each other based on a voltage supply source. Each stopper can be controlled by switching through a distributor or the like. Therefore, if there is a request for charging from vehicle 1, power is supplied to line 1, and in the process, if there is a request for charging from vehicle 2, the power supply circuit is also operated through the line of vehicle 2. It can be driven in parallel by a distributor, etc. This is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capable of smart charging that does not exceed the contracted power when simultaneously charging at maximum, and can be blocked in the event of overvoltage or overcurrent. It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ensed value through voltage or current sensing. A dedicated outlet for charging chargers of 3 to 50 KW can be built in. With a central kiosk control method, it can operate a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using an RF reader, credit card, QR payment, and a screen that can determine parking loc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근거리 무선통신 가령 NFC를 위한 NFC 태그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NFC 태그로 설명하지만,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통신을 위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만, 전력소비나 설치비용 등을 고려할 때 NFC 태그를 이용한 방식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가령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멀거나 접근하기 불편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이용하여 NFC 태깅에 의해 간편하게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NFC 태깅은 앱을 실행할 때 NFC 태깅이 이루어지기보다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에 한하여 NFC 태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앱이 실행될 때 해당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지정 거리 내에 있다고 판단되면 앱의 푸시 메시지 등을 통해서는 주변의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사용하도록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통지는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부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거리뿐 아니라,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다양한 상황(예: 대기 줄이 긴 경우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사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user's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n NFC tag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NFC.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NFC tag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For example, a device for beacon communication may be used. However, considering power consumption and installation costs, a method using an NFC tag may be preferabl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use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is outside a designated distance from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for example, from the user's location. If the vehicle is far away or inconvenient to access, you can easily charge the electric vehicle using NFC tagging using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pp). Based on this, NFC tagging can be performed only o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that is outside the designated distance from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rather than NFC tagging when executing the app. For example, when the app is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ar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the surrounding kiosk terminal device is sent through a push message from the app. Notification may be made to use (104). Of course, this notific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Of cour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but also the user terminal device ( 110) may be allowed to be used for charging.

분전함(102)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차단기, 제어보드, 채널 차단기, 마그네틱 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전함(102)은 외부의 상용전원 등을 복수의 전압으로 분배할 수 있다. 메인 차단기는 복수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차단기는 각각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전함(102)에서 제1 내지 제6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충전을 관할하고, 이때 제1 전기 충전기(101)에서 이상이 감지될 때 해당 채널의 차단기만 차단하여 나머지 제2 내지 제6 전기 충전기(101)는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어보드는 CPU나 MPU 등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메인 PCB 등의 회로기판을 의미하며, 제어보드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통신에 의해 스위칭소자로서 동작하는 마그네틱 릴레이를 제어하여 특정 충전보드 즉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자의 전기 자동차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보드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로부터 사용자가 충전하려는 충전보드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근거로 해당 충전보드에 연결되는 릴레이를 제어하여 충전이 진행되도록 한다.As can be seen in FIG. 3, the distribution box 102 may include a main breaker, a control board, a channel breaker, a magnetic relay, etc. The distribution box 102 can distribute external commercial power, etc. into multiple voltages. The main circuit breaker may block power supply to a plurality of stopper-type electric chargers 101. Additionally, the channel breaker may block the power supply to each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In other words, the distribution box 102 is in charge of charging the first to sixth stopper-type electric chargers 101, and at this time, when an abnormality is detected in the first electric charger 101, only the breaker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blocked to charge the remaining second electric chargers 101. The to sixth electric chargers 101 are designed to be used. The control board refers to a circuit board such as a main PCB that includes a processor such as a CPU or MPU. The control board controls a magnetic relay that operates as a switching element through communication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to connect a specific charging board, or stopper.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type electric charger 101 to charge the user's electric vehicle. For example, the control boar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arging board that the user wants to charge from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and controls the relay connected to the charging board based on this information to allow charging to proceed.

무선통신장치(103)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 분점함(102),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통신을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파트 등의 주차장에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사용자가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해당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분전함(102)의 제어 보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금액이나 충전시간,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식별정보 등의 전송될 수 있다. 물론 무선통신장치(103)는 해당 정보를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도 전송하여 충전 관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치(103)는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통해 결제가 진행되는 경우 결제 정보를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로 전송하여 결제 처리를 요청하거나, 또는 충전관제장치(130)를 통해 결제를 진행한 후 결제 인증 정보를 키오스크(104)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통신장치(103)는 게이트웨이로서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may serve as an intermediary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the branch box 102,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For example, when a user of an electric vehicle wants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through a kiosk terminal device 104 installed in a parking lot of an apartment, etc., the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is distributed in the corresponding kiosk terminal device 104 ( 102)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board. Accordingly, the charging amount, charging 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etc. can be transmitted. Of cour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can also transmit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to enable charging control. In addition, when payment is made through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transmits payment information to the third-party device 140 of FIG. 1 to request payment processing, or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After payment is made, paym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kiosk 104.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may participate in this operation as a gateway.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90)의 구축에 많은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절약을 위하여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가령 주차장과 같은 임의 공간 내에서 가령 한 대를 설치하지만,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거리가 너무 먼 곳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수행하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이용해 NFC 태깅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직접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조작을 수행하지는 않지만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기차 충전 동작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아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사용 상태를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다른 사용자가 해당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를 중복사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may incur a large cost in construc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9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save costs, one kiosk terminal device 104 is installed in an arbitrary space, such as a parking lot, but a user who charges an electric vehicle is too far away from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For this purpose, charging can be performed by NFC tagging us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carried by the user. Therefore, users do not directly perform operations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on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but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s performed through the app on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use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By displaying the status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control other users from repeatedly using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자신이 소유하는 전기차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뿐 아니라, 특정 시간에 충전을 위한 예약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PC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PC 기반의 단말장치는 데스크탑컴퓨터나 랩탑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이외에도 사용자들이 손목 등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전기차의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자 할 때,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 앱을 실행하여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태그를 태깅해 충전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태깅 가능한 범위를 다양하게 지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110 includes a user's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a charg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owned by the user. Of course,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include not only a mobile-based terminal device such as a smartphone, but also a PC-based terminal device that can perform operations such as reserving charging at a specific time. PC-based terminal devices may include desktop computers or laptop computers. Mobile-based terminal devices may include wearable devices that users wear on their wrists, etc., in addition to smartphones. When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wants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for an electric vehicle and is outside the designated distance from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runs the app and tags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You can proceed with the charging process by tagging.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ossible to specify various tagging ranges f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 회원가입 프로세스는 회원카드 없이 스마트폰 앱으로 회원 가입 후 즉시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예: 아이폰, 안드로이드)으로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진행하며, 이의 과정에서 결제카드를 등록할 수 있으며 카드없이 고객의 서비스 접근성, 편의성 극대화로 고객 확산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충전 프로세스의 과정에서 주차, 충전기 선택, 스마트폰 또는 회원카드 인증, 충전/결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원카드가 불필요할 수 있으며, 환경부/제휴카드도 지원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may be available immediately after registration through a smartphone app without a membership card. User authentication and payment are performed using a smartphone app (e.g. iPhone, Android), and payment cards can be registered in the process. Customer expansion and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maximizing servic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or customers without a card. Additionall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parking, selecting a charger, authenticating a smartphone or membership card, and charging/paying during the charging process. Accordingly, a membership card may not be necessary, and Ministry of Environment/affiliate cards can also be supported.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많은 사람들이 줄 서있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태깅 동작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거리가 지정 범위 내에 있으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를 사용하도록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에도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대기 줄이 긴 것이 판단되면, 지정 범위 내에 있더라도 NFC 태깅이 일시적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카메라 등을 통해 주변 상황이 감지되면 이를 근거로 충전관제장치(130) 등에서 일시적으로 NFC 태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 typical case is that many people are standing in line at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In this way, the tagging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may be selectively opera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is within a specified range, a notification to use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may be made. Of course, even in this ca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long waiting line at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NFC tagging may be temporarily possible even if it is within the designated range. In this operation, when the surrounding situ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camera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etc.,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can be controlled to temporarily perform an NFC tagging operation in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etc. based on this.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lin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Internet networks such as cable networks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PC (Evolved Packet Core), LTE (Long Term Evolution), and Wibro networks. It means including.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for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etc.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within the communication network can connect to the telephone company's exchange office,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is processed by connecting to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or Data can be processed by connecting to various repeaters such as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전기차 충전 단말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전기차 충전 단말장치(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충전관제장치(130)나 서드파티장치(14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also include an access point. Access points include small base stations such as femto or pico base stations that are often installed in buildings. Here,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terminal devices 100 or user terminal devices 110 that can be connected in the classification of small base stations.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terminal device 100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Access points can use TCP/IP or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in addition to Wi-Fi, short-rang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IrDA), RF (Radio Frequency) such as UHF (Ultra High Frequency) and VHF (Very High Frequency),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You can.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extracts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specifies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forwards the data packet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o the next device, such as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r a third-party device 140. It can be passed on. Access points can share multiple lines in a typic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 for example, routers, repeaters, and repeaters.

충전관제장치(130)는 전기차 충전 서비스 앱이나 웹(web)을 통하여 고객의 이용편의를 지원하고 결제, 인증 등 외부 가령 결제 서버 등과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충전관제장치(130)는 충전기, 키오스크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관제 데이터를 수집, 분석, 저장하여 관리자나 지점관리자, AS유지보수 담당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제장치(130)는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수집을 위한 수집 서버(131),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서버(132) 및 관제를 위한 관제 서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서버는 통합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supports customer convenience through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ervice app or web and interfaces with external sources such as payment and authentication, such as payment servers.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can collect, analyze, and store control data using a charger, kiosk, and wired/wireless communication to provide information in real time to managers, branch managers, and AS maintenance personnel. As can be seen in Figures 2 and 3,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server 131 for data collection, an interface server 132 for interface, and a control server for control. It may include (133). Of course, these servers may be integrated, s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충전관제장치(130)는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와 연동하여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요청하는 결제 등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결제 요청이 있을 때 PG사 서버나 VAN사 서버 등과 연계하여 결제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관제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서비스 요청시 고객 충전서비스 이용을 지원하고, 또 본인인증, 충전비용 결제, 충전기별 완충 예상시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충전기 상태 정보, 충전 가능시간 정보, 충전기 가동 보고서, 고장/수리 내역관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를 유지보수하는 관리자의 단말장치로 전송될 수도 있다.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can process operations such as payment requested by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in conjunction with the third-party device 140 of FIG. 1. For example, when a payment request is made from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payment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n connection with a PG company server or a VAN company server. In addition,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supports the use of customer charging services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requests service, and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identity verification, payment of charging costs, and expected charging time for each charger. In addition, operations such as real-time charger status information, charging time information, charger operation report, and failure/repair histor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his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of the manager who maintains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충전관제장치(130)는 모든 센서 및 게이트웨이(G/W)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및 저장 프로세스 동작을 수행하며 Daily Batch Process와 같은 후처리 동작,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변환 동작,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 동작, 충전기 상태(예: 충전중, 대기중 등), 기타 다양한 IoT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관제장치(130)는 아파트 충전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기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차량, 충전결과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제장치(130)는 전국의 아파트에 설치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통합 플랫폼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collects all sensor and gateway (G/W) data and performs analysis and storage process operations, post-processing operations such as Daily Batch Process, interface protocol conversion operations, real-time data monitoring operations, and charger status. (e.g. charging, waiting, etc.), and various other IoT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can configure an apartment charger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heck charger information and store and manage users, vehicles, and charging results. For exampl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s an integrated platform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stopper-type electric chargers 101 installed in apartments across the country.

충전관제장치(130)를 구성하는 수집 서버(131)의 경우, 충전셋 정보 발송 처리, 충전셋 정보 수신 처리, 통신 로그(log) 처리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셋 정보 발송 처리를 위하여 충전요금 및 결제정보 전송, Alive Check, 암호화 키 다운로드, 실패내역 재전송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충전셋 정보 수신 처리를 위하여 키오스크 사용자 인증 요청, 키오스크 상태정보 수신, 충전 결제정보 수신, 충전기 상태 전송, 차량상태 정보수신(예: 차량, 차종, SOC, SOH, 기타 OBC 정보 수신), 충전시작 전송, 충전진행 상태 전송(3초 데이터), 충전완료 및 결제정보 전송, 실패내역 재전송, 전원 컨트롤보드 릴레이, 차단기 정보 수신, 컨트롤 보드 상태정보 수신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로그 처리와 관련해서는 송, 수신 패킷 정보 및 통신 모듈 각 상태값 로그 파일 저장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llection server 131 that constitutes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perations such as charging set information transmission processing, charging set information recep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log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process charging set information transmission, operations such as sending charging fee and payment information, Alive Check, downloading encryption key, and resending failure details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process charging set information reception, kiosk user authentication request, receiving kiosk status information, and charging payment can be performed.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ing charger status, receiving vehicle status information (e.g. receiving vehicle, model, SOC, SOH, other OBC information), transmitting charging start, transmitting charging progress status (3 seconds data), transmitting charging completion and payment information, failure Operations such as retransmitting history, power control board relay, receiving breaker information, and receiving control board status information can be performed. Regarding communication log process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cket information and status values of each communication module may be stored in log files.

서드파티장치(140)는 PG사나 VAN사에서 운영하는 결제 서버, 또 충전기제조자사 AS/점검 요원이 소지하는 단말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드파티장치(140)는 충전관제장치(130)에서 결제 처리 요청시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신용카드 정보 제공시 해당 신용카드 정보를 근거로 결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드파티장치(140)는 AS/점검 요원의 단말장치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관제장치(130)로부터 유지보수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근거로 도 1의 전기차 충전단말장치(100)의 유지보수를 진행할 수 있다.The third-party device 140 may include a payment server operated by a PG company or a VAN company, or a terminal device owned by an AS/inspection agent of a charger manufacturer. The third-party device 140 can perform a payment operation based on the credit card information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or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provides credit card information when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requests payment processing. there is. In addition, the third-party device 140 may include a smartphone or tablet PC as a terminal device for AS/inspection personnel, and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maintenance from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and based on this, the device in FIG. 1 Maintenan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terminal device 100 can be performed.

도 4 내지 도 5b는 키오스크 운영 형태 및 사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s 4 to 5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kiosk operation form and specifications.

도 4 내지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도 1의 무선통신장치(103)를 경유하여 도 1의 분전함(102) 즉 전력 분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분전함(102)의 경우에도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RS422나 485를 사용하거나, RS232C, USB 컨버터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분전함(102)의 경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는 RS422/485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는 RS232C to RS 422/485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b는 USB to RS 422/485 컨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s can be seen in FIGS. 4 to 5B,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distribution box 102 of FIG. 1, that is, the power distributor,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of FIG. 1. can do. Of course, the distribution box 102 can also include a controller,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can communicate using RS422 or 485, or through an RS232C or USB convert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istribution box 102, RS422/485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stopper type electric charger 101. Figure 5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S232C to RS 422/485 converter, and Figure 5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USB to RS 422/485 conver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경우, 입출력(I/O) 포트는 1×VGA 포트, 1×LAN(10/100) RJ45 포트, 1×PS/2 키보드/마우스 커넥터, 2×USB 2.0 포트(Front side)/ 2×USB 3.0 포트, 2×COM(RS232) 포트/ 1×오디오 3.5pi 잭(Line-ou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코드의 경우 1D/2D(QR)을 지원하며, B 부저 및 LED 인터페이스(예: RS-232)를 지원할 수 있다. RS-232는 PC의 주변 장치 및 모뎀을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이다.In the case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output (I/O) port is 1×VGA port, 1×LAN (10/100) RJ45 port, 1×PS/2 keyboard/mouse connector, It may include 2×USB 2.0 ports (Front side)/ 2×USB 3.0 ports, 2×COM (RS232) ports/ 1×Audio 3.5pi jack (Line-out), etc. Additionally, 1D/2D (QR) is supported for barcodes, and B buzzer and LED interfaces (e.g. RS-232) can be supported. RS-232 is a method of serially connecting a PC's peripheral devices and modem.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서비스 시스템의 메뉴 구조 및 사용자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이다.Figure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nu structure of the charging service system and the service screen of the user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메뉴 구조 및 사용자 앱은 로그인/회원가입, 충전소 검색, 마이 충전소, 충전설정, 결제, 마이페이지 등의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ure 6, the system menu structure and user ap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menus such as login/signup, charging station search, my charging station, charging settings, payment, and my page.

충전서비스 웹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PC용 시스템으로 서비스 도메인을 이용한 단독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서비스가 가능하다. 회사 홈페이지에서 링크로 연결, 회사소개부분을 서비스 페이지에서 회사홈페이지로 링크해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harging service web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service as a stand-alone service system using a service domain as a system for the user's PC. You can link from the company homepage, and the company introduction section can be configured by linking from the service page to the company homepage.

충전소 검색(대메뉴)의 경우, 위치기반 충전소 검색, 최근이용 충전소 현황의 중메뉴로 구분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통해서는 지도기반 충전기 현황과 상태별 정보, 지도 기반 충전기 세부 설치 위치와 상태별 정보, 지역별 충전기 검색 현황과 상태별 정보, 지역별 충전기 세부 설치 위치와 상태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즐겨찾기 충전소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하며, 또 즐겨찾기 장소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harging station search (main menu), the middle menu can be divided into location-based charging station search and recently used charging station status. Through this function, you can check the map-based charger status and status information, map-based charger detailed installation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regional charger search status and status information, and regional charger detailed installation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gister and delete favorite charging stations, and it may also be possible to register and delete favorite charging stations.

마이충전소의 경우 즐겨찾기 충전소의 중메뉴로 구분될 수 있다. 해당 기능을 통해서는 즐겨찾기 충전소 관리, 즐겨찾기 장소 관리, 마이충전소 지도기반 충전기 현황과 상태별 정보, 마이충전소 지도기반 충전기 세부 설치 위치와 상태별 정보의 처리가 이루어지며, 즐겨찾기 충전소 등록 삭제, 충전소 내 충전기 현황, 즐겨찾기 장소 등록 및 삭제가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y Charging Station, it can be divided into the middle menu of Favorite Charging Station. Through this function, favorite charging station management, favorite location management, My Charging Station map-based charger status and status information, My Charging Station map-based charger detailed installation loc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re processed, and favorite charging station registration deletion, It may be possible to check the status of chargers within the charging station and register or delete favorite locations.

마이페이지에서는 개인정보관리, 충전이력, 결제정보관리, 캐쉬 적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이력은 기간별 충전 내역 조회나 명세서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결제정보 관리에서는 결제 신용카드 등록 현황이나 캐쉬 적립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캐쉬 적립은 캐쉬 적립, 캐쉬 내역, 환불요청 및 현황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On My Pag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charging history, payment information management, and cash accumulation can be performed. Charging history can be viewed by checking charging details or statements by period. In payment information management, it may be possible to check payment credit card registration status or cash accumulation. Cash accumulation may allow you to accumulate cash, cash details, request a refund, and check the status.

가령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는 안드로이드나 iOS 모바일의 디바이스를 위한 하이브리드 앱을 지원할 수 있다. PC의 웹 서비스와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지만, 충전소 검색의 경우 최근이용 충전소 현황이나 충전소 찾아 가기(예: 카카오, 티맵 API 연동) 등의 서비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이충전소 메뉴의 경우 충전소 찾아 가기(예: 카카오, 티맵 API 연동) 등의 서비스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충전설정의 경우 충전량, 속도설정(예: 예상시간), 충전완료시 푸시 메시지 방식으로 충전완료 알림의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can support a hybrid app for Android or iOS mobile devices.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compared to the PC web service, but in the case of charging station search, additional services such as status of recently used charging stations or finding charging stations (e.g. Kakao, T Map API linkage) can be provided.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My Charging Station menu, additional services such as finding a charging station (e.g., Kakao, T Map API linkage) may be provided. In the case of charging settings, charging amount, speed settings (e.g., expected time), and charging completion notification can be made through a push message when charging is completed.

또한 앱의 경우 마이페이지에서 앱카드로 회원카드 발급 대체가 가능하며, 회원카드 관리 업무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회원카드는 환경부카드로 대체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pps, membership card issuance can be replaced with an app card from My Page, and member card management work can be reduced. Additionally, the membership card may be replaced with a Ministry of Environment card.

앱을 사용한 결제의 경우 QR 스캔이나 충전기 번호 입력,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비회원 결제 등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payment using the app, QR scanning or charger number input, member immediate payment using cash or credit card, member postpayment using credit card, and non-member payment using credit card may be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관제 시스템의 메뉴 구조 및 유지보수 앱의 서비스 화면의 구성도이다.Figure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nu structure of the charging control system and the service screen of the maintenanc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서드파티장치(140) 즉 AS/점검 요원이 소지하는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는 유지보수 앱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앱에 연계되는 시스템의 서비스 메뉴는 도 7에서와 같이 대메뉴의 경우 로그인화면, 대시보드, 보고서, 서비스 관리, 충전기관리, 충전관리, 시스템 관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party device 140 of FIG. 1, that is, a mobile-based terminal device owned by an AS/inspection agent, may have a maintenance app installed. As shown in FIG. 7, the service menu of the system linked to the app may consist of a login screen, dashboard, report, service management, charger management, charging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etc. in the case of the main menu.

대시보드의 경우 충전소/충전기 현황, 실시간 에러 현황, 사용자 가입/사용 현황, 실시간 에러 현황을 볼 수 있는 중메뉴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보고서의 경우 충전기 현황보고서, 점검현황보고서, 장애 이력 보고서, 충전/결제 보고서, 입금정산 보고서, 로밍정산 보고서로 구분되며, 서비스관리의 경우 충전기 상태정보, 충전소 상태정보, 웹운영, 앱운영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충전기 관리의 경우 충전기 등록, 충전기 이상 현황, 충전기 이상 이력 관리, 정비 관리, 협력업체 관리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관리에서는 충전내역 관리, 정산관리, 세금계산서 관리, 가맹점 관리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스템 관리에서는 회원정보 관리, 가맹점 등록, 충전기 모델 관리, 협력 업체 등록, 충전소 등록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shboard can be divided into a middle menu where you can view charging station/charger status, real-time error status, user registration/use status, and real-time error status. In the case of reports, charger status report, inspection status report, failure history report, and charging /It is divided into payment report, deposit settlement report, and roaming settlement report. In the case of service management, it can be divided into charger status information,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web operation, app operation, etc. Additionally, in the case of charger management, operations such as charger registration, charger abnormality status, charger abnormality history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and partner company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n charging management, operations such as charging history management, settlement management, tax invoice management, and affiliated stor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In system management, operations such as member information management, affiliated store registration, charger model management, partner company registration, and charging station registration can be performed.

좀더 구체적으로 대시보드의 경우, 충전소/충전기 현황과 관련하여 네이*나 다* 맵 즉 포털의 맵에 충전기 상태정보 POI(Point of Interest)로 표시, 충전기 타입, 충전기 상태, 일련번호, 메모 등으로 필터링 검색, 주소기준 충전기 검색, POI 선택시 충전기 상세정보 내역 표시, 상태관리 링크, 충전소별, 충전기 별 사용 현황/일별, 주간, 월간, 분기별, 연간 통계/그래프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에러 현황과 관련하여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에러정보 조회, 출동, 고장, 수리 현황, 서비스 레벨 목표 달성율 정보가 처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 가입/사용 현황에서는 사용자 가입현황, 가입자, 로밍 이용 현황이 처리될 수 있다. 실시간 에러 현황과 관련해서는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에러정보가 조회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dashboard, in relation to the charging station/charger status, the charger st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POI (Point of Interest) on the map of the portal, and the charger type, charger status, serial number, memo, etc. Filtered search, address-based charger search, display of detailed charger information when POI is selected, status management link, usage status/daily, weekly, monthly, quarterly, and annual statistics/graphs by charging station and charger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n relation to real-time error status, real-time error information inquiry, dispatch, breakdown, repair status, and service level goal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for each charger set and terminal can be processed. In the user subscription/usage status, user subscription status, subscriber, and roaming usage status can be processed. This can be handled. Regarding real-time error status, real-time error information for each charger set and terminal can be viewed.

보고서의 경우, 충전기 현황보고서는 충전소/충전기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보여질 수 있다. 점검 현황보고서는 충전소/충전기 점검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보여질 수 있다. 장애이력 보고서는 충전소/충전기 장애발생 이력 및 원인정보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제공될 수 있다. 충전/결제 보고서는 사용자별 충전/결제 기간별 현황 및 통계가 제공될 수 있다. 입금정산 보고서는 입금보고서, 입금보류/해제/별도가감내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로밍 정산 보고서는 사업자별 로밍정산 내역 및 현황 보고서가 제공될 수 있다.In the case of reports, the charger status report can show the status and statistics of the charging station/charger by period. The inspection status report can show the status and statistics for each charging station/charger inspection period. The failure history report can provide status and statistics by period of charging station/charger failure history and cause information. The charging/payment report can provide status and statistics by user and charging/payment period. The deposit settlement report can provide information on deposit reports and deposit hold/release/separate addition/subtraction details. The roaming settlement report can provide roaming settlement details and status reports for each operator.

서비스 관리에서 충전기 상태 정보는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운영 현황정보 조회, 상태정보 등록/수정 이상등록이 가능할 수 있으며, 충전소 상태 정보에서는 충전소 위치, 충전현황 등 실시간 운영 현황정보 조회, 상태정보 등록/수정 이상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In service management, charger status information can be used to search real-tim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for each charger set and terminal, register/modify status information, and register abnormalities. In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view real-time operation status information such as charging station location and charging status, and register/modify status information. Modification or abnormal registration may be possible.

충전기 관리에서, 충전기 등록은 단말, 세트 등록/수정/삭제, 설치 충전소 등록, 설치세트 구성등록, 설치업체, 설치자, 온라인 검수, 검수자, 설치 사진등록 등이 가능하다. 충전기 이상 현황은 이상 충전기 등록/ 조회/점검배정이 가능하다. 충전기 이상 이력관리는 충전기별, 모델별, 충전소별 이상 이력 조회가 가능하다. 정비 관리는 충전기별, 모델별, 충전소별 장비 고장 내역, 정비 결과 등록이 가능하다. 협력업체 관리는 업체 사용자 정보등록/상세정보 조회, ID, PW 리셋 등이 가능하다.In charger management, charger registration is possible through terminal, set registration/edit/delete, installation charging station registration, installation set configuration registration, installation company, installer, online inspection, inspector, installation photo registration, etc. The status of charger abnormalities can be assigned to registration/inquiry/inspection of abnormal chargers. Charger abnormality history management allows you to check the abnormality history by charger, model, and charging station. Maintenance management can register equipment failure details and maintenance results by charger, model, and charging station. Partner company management allows company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detailed information inquiry, ID, PW reset, etc.

충전관리에서 충전내역 관리는 충전 이력 및 지불수단별 결제 현황, 지불수단별 거래 및 입금예상 금액 현황, 카드결제 명세서, PG 결제 취소 등의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정산 관리에서는 충전소 충전 내역 현황, 충전소 정산 계산 및 현황, 본인인증 성공 및 실패 내역, 보류/해제/별도 가감, 지급데이터 검증 및 지급보고서 작성, 송금보고서 확정, 미지급금 관리, 로밍 정산 관리, 가맹정 정산관리 등이 가능하다. 세금계산서 관리는 발행 데이터 검증, 충전소 세금계산서 발행 및 현황, 세금계산서 국세청 전송용 다운로드 등이 가능하다. 가맹점 관리는 권한 관리, 사용자 ID 발급, 권한, 메뉴별 역할 관리, 비밀번호 생성/변경/리셋 등이 가능하다.In charging management, charging history management allows operations such as charging history, payment status by payment method, transaction and expected deposit amount status by payment method, card payment statement, and PG payment cancellation. In addition, settlement management includes charging station charging history status, charging station settlement calculation and status, identity authentication success and failure details, hold/release/separate addition/subtraction, payment data verification and payment report preparation, remittance report confirmation, payables management, roaming settlement management, and affiliation. Settlement management, etc. is possible. Tax invoice management includes verification of issuance data, issuance and status of charging station tax invoices, and downloading of tax invoices for transmission to the National Tax Service. Merchant management includes authority management, user ID issuance, authority, role management for each menu, and password creation/change/reset.

시스템 관리에서 회원정보 관리는 회원카드 신청내역 확인 및 발급 관리, 회원카드 상태별 현황 및 카드 상세 내역, 결제카드 정보 등록 현황, 회원 현황이 가능하다. 가맹점 등록은 사업자, 기본코드, 충전소 관리, 카드사 및 PG사 수수료 관리, 충전소 판매 수수료 관리, 사용자 ID 발급, 권한, 메뉴별 역할 관리 등이 가능하다. 충전기 모델 관리는 단말 모델 등록/수정/삭제, 셋트 모델 등록/수정/삭제, 셋트 모델 적용 SW 버전(ver) 등록/수정/삭제, 단말/모델별 SW정보 등록/수정, 삭제, 셋트 모델별 SW정보 등록/수정, 삭제, 단말 SW Ver 상세 정보 등이 가능하다. 협력업체 등록은 업체 상세정보 조회, 업체 사용자 정보등록/상세정보 조회, ID, PW 등의 처리가 가능하다. 충전소 등록은 설치장소 등록(예: 거점 ID, 주소, 설치위치 ID, 상세위치, 상세도면, 주변사진), 설치정보 그룹핑 수동 조정 등이 가능하다.In system management, member information management includes confirmation of membership card application details and management of issuance, status of membership card status and card details, payment card information registration status, and member status. Merchant registration includes business, basic code, charging station management, card company and PG company fee management, charging station sales fee management, user ID issuance, authority, and role management for each menu. Charger model management involves registering/editing/deleting terminal model, registering/editing/deleting set model, registering/editing/deleting SW version (ver) applied to set model, registering/editing/deleting SW information by terminal/model, and SW by set model. Information registration/editing, deletion, terminal SW Ver details, etc. are possible. Partner company registration can be processed through company detailed information inquiry, company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detailed information inquiry, ID, PW, etc. Charging station registration allows for installation location registration (e.g. base ID, address, installation location ID, detailed location, detailed drawing, surrounding photos) and manual adjustment of installation information grouping.

예를 들어, 충전 관제 시스템의 기능 중 실시간 에러 현황의 경우 가맹점은 사용이 불가능하며, 또 사용자 가입/사용 현황은 유지보수 요원의 사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가맹점의 경우 보고서는 충전기 현황보고서, 충전/결제 보고서, 입금정산 보고서의 경우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반면 유지보수 요원의 경우 점검현황보고서와 장애이력보고서의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의 경우 가맹점은 충전기 상태 정보, 충전소 상태 정보의 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유지보수 요원이 해당 정보의 확인이 불필요할 수 있다. 가맹점, 유지보수 요원 및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접속권한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모든 권한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real-time error status among the functions of the charging control system, affiliated stores may not be able to use it, and user registration/usage status may not be available to maintenance personnel. In the case of affiliated stores, reports may be available for charger status reports, charging/payment reports, and deposit settlement reports. On the other hand, maintenance personnel may be able to check inspection status reports and failure history reports. In the case of service management, affiliated stores may be able to use charger status information and charging station status information. It may be unnecessary for maintenance personnel to verify this information. For franchisees, maintenance personnel, and system administrators, access rights can be set in various ways, and for system administrators, it is desirable to have all privileges.

유지보수 앱의 경우 로그인 화면, 점검요청목록, 충전기 정보확인, 점검내역등록, 추가정비요청 및 설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충전기 정보확인의 경우 충전기 에러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충전기 세트별 단말별 실시간 에러정보 조회가 가능할 수 있다. 점검내역등록은 점검내역등록과 점검항목 사진등록이 가능하며, 원인정보등록, 점검/설치완료 사진 등록이 가능할 수 있다. 추가정비요청의 경우 점검 미완, 완료시 추가 정비, 교체 사항 요청 등록 등이 가능할 수 있다.The maintenance app can be divided into a login screen, inspection request list, charger information check, inspection history registration, additional maintenance request, and settings. When checking charger information, you can check the charger error status. It may be possible to check real-time error information for each charger set and terminal. Inspection history registration can be done by registering inspection details and photos of inspection items, registering cause information, and registering photos of inspection/installation completion. In the case of requests for additional maintenance, it may be possible to register a request for incomplete inspection, additional maintenance upon completion, or replacement.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의 예시도이다.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of a service scenari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실행하여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에 NFC 태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충전기 선택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8 together with FIG. 1,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of FIG. 1 executes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to perform an NFC tagging operation o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You can. This may correspond to a charger selection operation.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화면상에서 충전 요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 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나 비회원 결제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결제 정보 입력 과정에 해당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can perform a charging request oper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In this process, immediate member payment using cash or credit card, member deferred payment using credit card, or non-member payment may be made. This may correspond to the payment information input process.

이어 충전정보 검증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정보 검증을 위해 충전기 정보 확인, 사용자 정보 추출 및 충전처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Subsequently, a charging information verification operation may be performed. This can be accomplished in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To verify charging information, charger information can be checked, user information extracted, and charging process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검증이 완료되면 충전관제장치(130)는 도 1의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로 해당 충전기(101)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Once verification is completed,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of FIG. 1, and also controls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to display the charging status of the charger 101. can do.

충전이 완료되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는 충전 결과를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충전기 정보 확인, 사용자 정보 추출 및 충전결과 처리 등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금액 미만 충전시 충전 금액 결제 후 원결제건은 취소시킬 수 있다.When charging is complete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can provide the charging result to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and in this process, operations such as checking charger information, extracting user information, and processing charging results can be performed. there is. If you recharge less than the recharged amount, the original payment can be canceled after paying the recharged amount.

그리고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는 충전 결과를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통지할 수 있으며, 이후 충전 결과를 처리하여 도 1의 DB(130a)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충전기 번호, 사용자, 충전결과금액 등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nd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can notify the charging result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of FIG. 1, and can then process the charging result and store and manage it in the DB 130a of FIG. 1. You can store and manage data such as charger number, user, and charging result amount.

상기의 NFC를 이용한 앱 기반 충전 서비스는, 충전을 위하여 충전기(101)에 NFC 태그를 부착하고 앱을 이용하여 충전결제 및 해당 충전기(101)의 충전이 가능할 수 있다. 키오스크가 멀거나 접근하기 불편할 경우 앱을 이용하여 충전 시 키오스크에 해당 충전기(101)의 상태를 표시하며, 적용 장소(예: 회사건물 등)에 따라 키오스크 없이 NFC와 앱을 이용한 충전기 컨트롤 및 결제시스템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In the app-based charging service using NFC, an NFC tag can be attached to the charger 101 for charging, and charging payment and charging of the charger 101 may be possible using the app. If the kiosk is far or inconvenient to access, the status of the charger (101) is displayed on the kiosk when charging using the app.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location (e.g. company building, etc.), charger control and payment system using NFC and app without a kiosk Operation may be possibl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의 흐름도이다.Figure 9 is a flowchar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9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가,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S900).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9 together with FIG. 1,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which is installed on the parking lot floor and performs a stopper function for the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NFC tags to perform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S900).

물론 NFC 태깅 동작은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와 키오스크 단말장치(104)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거나,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전기차 충전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대기하고 있거나,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에 고장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선택적으로 NFC 태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람의 대기 상태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으며, 고장을 포함하는 비정상 동작의 경우 동작 데이터를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로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얼마든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의 충전관제장치(13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의 분석을 통해 사람의 대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Of course, the NFC tagging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and the kiosk terminal 104 are outside the designated distance, when users are waiting to request electric vehicle charging from the kiosk terminal 104, or when the kiosk terminal 104 ) NFC tagging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when a malfunction occurs. Of course,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includes a camera, so it can determine the person's waiting state, and in case of abnormal operation including a failure, operation data is provided to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for data analysis. You can make any judgment through it.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in FIG. 1 can determine a person's standby state through analysis of a captured video captured by a camera.

키오스크 단말장치(104)는 NFC 태그가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태깅되어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101)가 사용될 때 해당 전기 충전기(101)의 충전 중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S910).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is tagged with an NFC tag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101 is used,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displays (on the screen) the charging state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charger 101 (S910).

나아가, 충전관제장치(130)는 NFC 태그에 사용자 단말장치(110)가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키오스크 단말장치(104)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한다(S920).Furthermor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130 proceeds with pay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is tagged with the NFC tag and starts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charg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the charging state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104 is controlled (S92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스토퍼형 전기차 충전기(101), 분전함(102), 무선통신장치(103), 키오스크 단말장치(104), 사용자 단말장치(110), 충전관제장치(130) 등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stopper-type electric vehicle charger 101, distribution box 102,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3, kiosk terminal device 104, user terminal device 110, and charging control device 130 of FIG. 1 are used in various ways.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explained previously, so we will replace them with those detail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computer programs can be stored i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 register, cache, or memory. . 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programs may be stored and provided on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a such as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etc.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기차 충전 단말장치 101: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102: 분전함(혹은 전력 분배기) 103: 무선통신장치
104: 키오스크 단말장치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충전관제장치
140: 서드파티장치
100: Electric vehicle charging terminal device 101: Stopper type electric charger
102: Distribution box (or power distributor) 103: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4: Kiosk terminal device 110: User terminal device
120: Communication network 130: Charging control device
140: Third party device

Claims (10)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고,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상기 태깅에 의해 사용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키오스크 단말장치; 및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충전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에 한하여 상기 NFC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며,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대기 줄을 판단하여 지정 거리 내에 있더라도 상기 NFC 동작을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that is installed on the parking lot floor and performs a vehicle stopper function and performs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s including a user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tag for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 kiosk terminal device that displays a charging status of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used by the tagging when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is used; and
When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payment is made,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is initiate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of the charg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kiosk terminal device is in a charging state. Including a charging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outside a designated distance, the tag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perform an NFC operation, and the NFC is performed only for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that is outside the designated distance from the kiosk terminal device. The action takes plac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notifies the user terminal devic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kiosk terminal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The charging control device determines the waiting line through the camera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and temporarily enables the NFC operation even within the specified distanc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결제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 장치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키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payment device that processes pay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payment for the recharge,
The payment device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that processes member immediate payment using cash or credit card, member deferred payment using credit card, or non-member pay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제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harging control device is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system that transmits my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s a favorite by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a search for a charging station.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차량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전기차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장치와 NFC를 위한 태그를 포함하여 전기차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키오스크 단말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되어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사용될 때 상기 태깅에 의해 사용되는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의 충전 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NFC의 태그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 태깅될 때 결제를 진행시키고,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입력되는 충전 정보에 대한 검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기차 충전 동작을 개시하며,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충전 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을 때 상기 태그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가 NFC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지정 거리를 벗어나 있는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에 한하여 상기 NFC 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를 사용해 전기차를 충전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통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와 상기 스토퍼형 전기 충전기가 지정 거리 내에 있을 때 상기 키오스크 단말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대기 줄을 판단하여 지정 거리 내에 있더라도 상기 NFC 동작을 일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installed on the floor of a parking lot and performing a stopper function for a vehicle, including a user terminal device carried by the use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tag for NFC to perform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A step of displaying, by a kiosk terminal device, a charging state of a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used by the tagging when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is used; and
A charging control device proceeds with payment when the NFC tag is tagg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initiates a charging opera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based on a verification result of charg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and the kiosk terminal Including: controll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outside a designated distance, the tag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perform an NFC operation, and the NFC is performed only for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that is outside the designated distance from the kiosk terminal device. The action takes place,
Notifying, by the charging control device, the user terminal device to charge the electric vehicle using the kiosk terminal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specified distance; and
The charging control device determines a waiting line through the camera of the kiosk terminal device when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designated distance, and temporarily enabling the NFC operation even if the kiosk terminal device and the stopper-type electric charger are within a designated distance; cast
Further includ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결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충전을 위한 결제 요청시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는,
캐쉬나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즉시결제, 신용카드를 이용한 회원 후불결제 또는 비회원 결제를 진행시키는,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It further includes a step of, by a payment device, processing payment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payment for the recharge,
The steps to proceed with the payment are: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that allows immediate payment by members using cash or credit cards, deferred payment by members using credit cards, or payment by non-memb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관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충전소 검색 요청시 사용자가 즐겨찾기로 등록한 마이충전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 관제 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by the charging control device, my charging station information registered as a favorite by the user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requests a search for a charging station.
KR1020230006528A 2023-01-17 2023-01-17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KR102614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528A KR102614504B1 (en) 2023-01-17 2023-01-17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6528A KR102614504B1 (en) 2023-01-17 2023-01-17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504B1 true KR102614504B1 (en) 2023-12-18

Family

ID=8930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6528A KR102614504B1 (en) 2023-01-17 2023-01-17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504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259A (en) 2013-09-02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KR20180005106A (en) * 2016-07-05 201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a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billing system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23727A (en)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ca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2126584B1 (en) 2018-01-29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원 Charging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charging apparatus, charging station control server
KR20200118523A (en)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에버온 Electric Vehicle Charge Computing and Controlling System
KR20210046554A (en)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만도 High Care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KR102332854B1 (en) * 2021-05-13 2021-12-01 박종수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f Stopper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41372B1 (en) 2022-02-24 2022-09-07 주식회사 새눈 Smar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KR20220134809A (en) 2021-03-25 2022-10-0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A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6259A (en) 2013-09-02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KR20180005106A (en) * 2016-07-05 2018-0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a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billing system using the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23727A (en) 2017-08-30 2019-03-08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car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KR102126584B1 (en) 2018-01-29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원 Charging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charging apparatus, charging station control server
KR20200118523A (en)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에버온 Electric Vehicle Charge Computing and Controlling System
KR20210046554A (en)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만도 High Care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KR20220134809A (en) 2021-03-25 2022-10-06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A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 vehicle
KR102332854B1 (en) * 2021-05-13 2021-12-01 박종수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f Stopper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441372B1 (en) 2022-02-24 2022-09-07 주식회사 새눈 Smar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762B1 (en) Wireless charging system,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ireless charge
KR101556947B1 (en)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parking lot managing server and parking lot managing system
AU2012241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station
KR101233792B1 (en) Unmanned selling system of power for charge of electric car and method thereof
US20190386505A1 (en) Electricity management system of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thereof
CN105574998A (en) Charging pile expense settlement method based on cloud platform
US20140152254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system, and methods
KR102182321B1 (en) Charging Apparatus Based on Vehicle-to-Grid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8172019A (en)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65924A (en) Method for providing regular payment service
KR102332854B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f Stopper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210142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user interface therefor
KR20150087878A (en) Device for renting the vehicle using bidding algorithm and method thereof
CN106570795A (en) Hotel room chang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in client stay period
KR102108001B1 (en) Recording Medium,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Parking Fee by Using Message
US11657656B2 (en) Smart vehicle travel prepar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ing features for mobile device tools and methods of use
CN104200410A (e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hotel room card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20200021487A (en) Washing machine shared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device
KR10261450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ctric Vehicles Charging
JP2020022110A (en) Charge control system, application program and control method in charge control system
CN104363284A (en) Reservation providing method of mobile application and service base station thereof
TW202025028A (en)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of offline payment machine tool
KR20220165671A (en) System for providing electric vehicle charing service for co-operative housing
KR1015046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omestic transit card service subscriber with overseas transit card service
JP2008097329A (en)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and communication relay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