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888B1 -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888B1
KR102612888B1 KR1020230071490A KR20230071490A KR102612888B1 KR 102612888 B1 KR102612888 B1 KR 102612888B1 KR 1020230071490 A KR1020230071490 A KR 1020230071490A KR 20230071490 A KR20230071490 A KR 20230071490A KR 102612888 B1 KR102612888 B1 KR 10261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frame
light source
cover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진
Original Assignee
이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혁진 filed Critical 이혁진
Priority to KR102023007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is supporting also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제공하고,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의 개구부에 착탈홈부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탈홈부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고,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 배면 또는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1광원부 또는 상기 제2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이 설치되는 공간에 호환되는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Multi-purpose lighting system with multi-sided lighting}
본 발명은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고물이나 전시내용을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관람자가 쉽게 인지할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전등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의 복수 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광원이 설치되어 복수의 면에 다양한 내용의 광고물이나 전시내용을 설치하고 조명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연출을 이룰 수 있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조명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발광소자로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 LED)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엘이디의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가격이 저렴하며, 전력소비가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엘이디(LED ; light-emitting diode)란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칭하는 것으로, LED 반도체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실내조명 시 조명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명을 위하여 다운 라이트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다운 라이트는 천장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 방식으로, 전반조명용 외에 기능과 용도에 따라 월 워셔(Wall washer) 다운 라이트, 다운 스폿(Down spot) 등으로 구분되는데, 조명기구의 노출이 거의 없어 천장면이 잘 정돈되어 보이는 것이 이점이다.
다운 라이트는 천장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실내 전체에 빛을 조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넓은 발광면을 구비하는 조명장치가 개발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6643호(2012년 08월 03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발광면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조명장치를 광고판이나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없어 조명장치의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조명장치는, 본체프레임의 일면에만 발광면이 구비되므로 다양한 방향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광고판 또는 전시판, 인테리어 조명장치로 응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광고물이나 전시내용을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관람자가 쉽게 인지할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전등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의 복수 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광원이 설치되어 복수의 면에 다양한 내용의 광고물이나 전시내용을 설치하고 조명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연출을 이룰 수 있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제공하고,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의 개구부에 착탈홈부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탈홈부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고,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 배면 또는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1광원부 또는 상기 제2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이 설치되는 공간에 호환되는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구부를 덮고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착탈홈부에 압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프레임은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장에 거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설치방향에 따라 상기 제1커버부 내지 상기 제3커버부에는 서로 다른 광고내용, 전시내용 또는 인테리어용 이미지가 프린트될 수 있고, 상기 제1커버부 내지 상기 제3커버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는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커버부에 프린트되는 내용을 부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프레임은, 복수개의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다각형의 내부공간을 이루고,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설치홈부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본체프레임의 단부가 외측으로 굴곡되어 외부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프레임은, 알루미늄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PV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는, 섬유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는, 발광면을 이루는 커버부재를 끼움결합 방식으로 본체프레임에 설치하므로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디자인이 인쇄된 커버부를 설치할 수 있어 조명장치를 광고판, 전시판, 인테리어 조명 또는 전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는,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의 내측면을 따라 복수 개의 제1광원부가 설치되고, 본체프레임의 전면 및 배면이 개구되어 각각 커버부가 설치되므로 본체프레임의 정면 및 배면에 서로 다른 내용의 커버부를 설치하여 본체프레임의 양면을 서로 다른 색상, 디자인, 광고내용 또는 전시내용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는, 커버부를 이루는 시트부재가 섬유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부재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삽입부재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삽입부재를 본체프레임의 착탈홈부에 끼움결합하여 시트부재를 본체프레임의 개구부를 마감하도록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는, 본체프레임의 외벽에 제2광원부가 설치되는 외부공간이 구비되므로 본체프레임의 정면, 배면 및 측면에도 조명을 제공할 수 있어 광고판, 전시판 또는 인테리어 용품으로 다양한 연출을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의 본체프레임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는,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제공하고,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의 개구부에 착탈홈부(12)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착탈홈부(12)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30)와,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고 커버부(30)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에 광원부를 설치한 후에 커버부(30)를 본체프레임(10)의 개구부에 설치하고, 광원부에 전원을 인가하면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커버부(30)를 통과하면서 커버부(30)에 프린트된 광고내용, 전시내용 또는 인테리어용 이미지를 빛과 함께 부각시키게 된다.
복수 개의 본체프레임(10)이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므로 사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본체프레임(10)의 전면과 배면이 개구되므로 본체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에 커버부(30)가 설치되어 밀폐공간을 이루게 된다.
커버부(30)는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섬유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커버부(30)를 통과하여 조사되면서 커버부(30)에 프린트된 색상의 조명이 이루어지거나 커버부(30)에 인쇄된 광고내용 또는 전시내용이 발광되면서 광고판, 전시판 또는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술작품 또는 사진작품이 커버부(30)에 프린트되어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미술작품 또는 사진작품의 전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커버부(30)재가 본체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커버부(30)를 교체하면서 다양한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광고물 또는 전시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커버부(30)를 교체하여 다양한 광고 또는 전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는, 본체프레임(10) 내부공간의 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제1광원부(80)와, 본체프레임(10)의 외부공간에 설치되어 커버부(30)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9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광원부(80) 및 제2광원부(90)에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전면 및 배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면서 커버부(30)에 프린트된 내용이 빛과 함께 부각되고, 본체프레임(10) 측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빛과 함께 커버부(30)에 프린트된 내용이 부각되어 다양한 연출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제1광원부(80)는, 본체프레임(10)의 내부공간 측면을 따라 길게 복수 개의 제1엘이디칩(84)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므로 본체프레임(10) 내부공간의 테두리로부터 중앙부 측으로 조사되는 빛이 본체프레임(10) 내부공간 전체에 고르게 조사되면서 본체프레임(10)의 전면 및 배면으로 빛이 고르게 조사된다.
따라서 본체프레임(10) 전면 및 배면에 설치되는 커버부(30)에는 암영이 생기지 않고 커버부(30) 전체가 고르게 밝게 조명될 수 있게 된다.
제1광원부(80)는, 본체프레임(10)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82)과, 제1인쇄회로기판(82)에 설치되는 제1엘이디칩(84)을 포함한다.
제1인쇄회로기판(82)은 좌우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프레임(18)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제1인쇄회로기판(8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각각의 제1인쇄회로기판(82)에는 다수 개의 제1엘이디칩(84)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된다.
따라서 다수 개의 제1엘이디칩(84)은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격자 모양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지지부(16)는, 본체프레임(10)의 단면 형상이 굴곡되어 복수 개의 설치홈부(16b)가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본체프레임(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리브를 제공하게 되며, 설치홈부(16b)에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인쇄회로기판(82)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배출시키는 방열홈부의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본체프레임(1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각각 복수 개의 착탈홈부(12)가 형성되므로 각각의 착탈홈부(12)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커버부(30)가 설치될 수 있어, 본체프레임(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커버부(30)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프레임(10)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는 착탈홈부(12)의 외측 단부는 본체프레임(10)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제2광원부(90)가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착탈홈부(12)로부터 본체프레임(10)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프레임의 단부에는 별도의 착탈홈부(12)가 형성되어 제2광원부(90)를 커버하는 제3커버부(30c)가 별도의 착탈홈부(12)에 삽입결합된다.
커버부(30)는, 본체프레임(10)의 개구부를 덮고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재(32)와, 시트부재(32)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착탈홈부(12)에 압입되는 삽입부재(34)를 포함한다.
시트부재(32)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섬유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다양한 색상 또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인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 또는 의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이 인쇄될 수 있다.
삽입부재(34)는, 실리콘, 플라스틱(PVC) 등과 같이 탄성을 구비하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부재(32)의 단부는 삽입부재(34)와 동시에 제봉되어 제봉선이 형성되면서 연결되므로 시트부재(32)의 단부를 이루는 테두리에는 삽입부재(34)가 설치되고, 삽입부재(34)는 4개의 부재가 시트부재(32)의 테두리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삽입부재(34)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도록 시트부재(32)에 설치하므로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10)의 착탈홈부(12)에 한 쌍의 삽입부재(34)를 삽입할 때에 한 쌍의 삽입부재(34)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사각형을 이루며 착탈홈부(12)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커버부(30)는, 본체프레임(10)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30a)와, 본체프레임(10)의 배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30b)와, 본체프레임(10)의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본체프레임(10)의 측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3커버부(30c)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프레임(10)은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장에 거치될 수 있고, 본체프레임(10)의 설치방향에 따라 제1커버부(30a) 내지 제3커버부(30c)에는 서로 다른 광고내용, 전시내용 또는 인테리어용 이미지가 프린트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커버부(30a) 내지 제3커버부(30c)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커버부에 대향되는 제1광원부(80) 또는 제2광원부(90)에 전원을 공급하여 커버부(30)에 프린트되는 내용을 부각시킬 수 있어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거나 천장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다양한 면에 조명을 제공하면서 광고판, 전시판 또는 인테리어 패널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광고물이나 전시내용을 설치하여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도 보행자 또는 관람자가 쉽게 인지할 있도록 할 수 있고,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전등 또는 인테리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본체프레임의 복수 면에 각각 개별적으로 광원이 설치되어 복수의 면에 다양한 내용의 광고물이나 전시내용을 설치하고 조명을 제공하면서 다양한 연출을 이룰 수 있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조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프레임 12 : 착탈홈부
16 : 지지부 16b : 설치홈부
30 : 커버부 32 : 시트부재
34 : 삽입부재 80 : 제1광원부
82 : 제1인쇄회로기판 84 : 제1엘이디칩
90 : 제2광원부 92 : 제2인쇄회로기판
94 : 제2엘이디칩

Claims (6)

  1.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제공하고,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의 개구부에 착탈홈부를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착탈홈부에 끼움결합되고, 빛이 투과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 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본체프레임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 내벽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부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를 포함하고,
    다면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면, 배면 또는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도록 상기 제1광원부 또는 상기 제2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이 설치되는 공간에 호환되는 조명을 제공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일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1커버부;
    상기 본체프레임의 타측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부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측면 개구부에 설치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프레임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착탈홈부의 일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2광원부가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착탈홈부로부터 상기 본체프레임 외측 방향으로 굴곡된 프레임의 단부에는 별도의 상기 착탈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광원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3커버부가 별도의 상기 착탈홈부에 삽입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개구부를 덮고 반투명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착탈홈부에 압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천장에 거치될 수 있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설치방향에 따라 상기 제1커버부 내지 상기 제3커버부에는 서로 다른 광고내용, 전시내용 또는 인테리어용 이미지가 프린트될 수 있고,
    상기 제1커버부 내지 상기 제3커버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커버부에 대향되는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커버부에 프린트되는 내용을 부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복수개의 프레임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다각형의 내부공간을 이루고, 본체프레임의 내측면에 복수 개의 설치홈부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본체프레임의 단부가 외측으로 굴곡되어 외부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은, 알루미늄재질 또는 플라스틱재질(PV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는, 섬유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KR1020230071490A 2023-06-02 2023-06-02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KR10261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490A KR102612888B1 (ko) 2023-06-02 2023-06-02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1490A KR102612888B1 (ko) 2023-06-02 2023-06-02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888B1 true KR102612888B1 (ko) 2023-12-11

Family

ID=8916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1490A KR102612888B1 (ko) 2023-06-02 2023-06-02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8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009A (ko) * 2016-04-29 2017-11-09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다용도 조명장치
KR20220057868A (ko) * 2020-10-30 2022-05-09 비치나 주식회사 조명 프레임용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조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009A (ko) * 2016-04-29 2017-11-09 에이치에스아이앤디 주식회사 다용도 조명장치
KR20220057868A (ko) * 2020-10-30 2022-05-09 비치나 주식회사 조명 프레임용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조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481324U (zh) Led裝飾燈具
KR101694150B1 (ko) 도광판에 면발광패턴층과 이미지패턴층이 형성되고 부품 교체가 용이한 led조명기구
EP2565520A1 (en) Two-sided lamp
KR101287025B1 (ko) 액자형 광고보드
KR101747388B1 (ko) Led 조명장치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JP2009021030A (ja) 照明装置の取付構造
KR102612888B1 (ko) 복수면 조명이 가능한 다용도 조명장치
KR101809668B1 (ko) 다용도 조명장치
KR101776004B1 (ko) 직접조명부와 간접조명부로 분할된 도광판 조명장치
KR20070051079A (ko) 스크래치보드 광고판
JP2007179796A (ja) 照明装置
JP2007179795A (ja) 照明装置
KR101221363B1 (ko)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KR20140002548U (ko) 외부장식조명을 가진 광고장치
KR20120007312U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색 실내등
KR101590376B1 (ko) 매립등
KR200288980Y1 (ko) 색상 가변 광고간판
CN206555752U (zh) 一种高效散热的多面发光led灯
CN208041699U (zh) 管形状的led照明装置
KR101822177B1 (ko)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방습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KR20130002726U (ko) 십자가 장식물의 전면발광구조
CN220135341U (zh) 一种多功能门头灯
KR102171917B1 (ko) Led 엣지평판형 천장등
KR20110009436U (ko) 전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