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774B1 -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774B1
KR102604774B1 KR1020230007561A KR20230007561A KR102604774B1 KR 102604774 B1 KR102604774 B1 KR 102604774B1 KR 1020230007561 A KR1020230007561 A KR 1020230007561A KR 20230007561 A KR20230007561 A KR 20230007561A KR 102604774 B1 KR102604774 B1 KR 10260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te
food
beverage
use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빗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빗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빗
Priority to KR10202300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7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7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의 맛 분석을 수행하는 중앙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매칭하고,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맛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식음료별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공통된 맛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그룹화하여 식음료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A central server that performs taste analysis of food and drinks preferred by each us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command, and a processor, wherein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 Matching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extract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for the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measured from a taste recognition device based on a taste analysis model using a deep neural network, Based on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a process of creating a food and beverage group is performed by grouping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Description

딥러닝에 기반한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Taste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food and beverages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본 발명은 딥러닝에 기반한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딥러닝에 기반한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하여 그래프로 표현되는 맛 간 상호작용을 학습한 맛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맛별 식음료를 매칭시키는 딥러닝에 기반한 생체모방기술을 활용한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taste of food and beverages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he taste of food and beverages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This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taste analysis of food and beverages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that matches food and beverages according to user tastes based on a taste analysis model.

맛있는 음식에 대한 대중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맛집, 맛있는 음식, 레시피 추천 등 다양한 형태로 식음료에 대한 추천이 이루어지고 있다. As public interest in delicious food increases, recommendations for food and beverages are made in various forms, such as restaurant recommendations, delicious food, and recipe recommendations.

그러나, 사용자들 개개인의 입맛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식음료를 추천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식음료를 추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However, because each user's tastes are different, if food and beverages are recommended to the user without taking this into accoun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ood and beverages that suit the user's tastes will not be recommended.

이에 최근에는, 사용자 입맛을 고려하여 식음료를 추천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추천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 또는 레시피에 기초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음식을 추천하거나, 사용자의 과거 주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천을 하는 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various services that recommend food and beverages taking into account user tastes have been developed. This recommendation is made by recommending the same or similar food based on the user's preferred food or recipe, or by recommending based on the user's past order data.

그러나, 동일한 음식이라도 레시피가 달리 적용됨에 따라 다양한 맛을 가질 수 있으며, 음식이 종류, 재료가 달라지는 경우에는, 레시피가 동일 내지 유사한 경우에도 음식이 서로 다른 맛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even the same food may have different tastes as the recipe is applied differently, and when the type and ingredients of the food are different, the food may have different tastes even if the recipe is the same or similar.

더욱이, 이러한 추천 방식은 모든 사람이 동일한 맛 인지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나, 실제로, 사람에 따라 맛 영역별 인지 능력은 서로 다르며, 특정의 맛 영역에 민감하거나, 둔감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에 동일한 기준으로 식음료를 추천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Moreover, this recommendation method assumes that all people have the same taste perception ability, but in reality, the perception ability for each taste area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son, and there are cases where people are sensitive or insensitive to specific taste areas. ,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are limits to recommending food and beverages to everyone based on the same standards.

즉, 맛 인지 자체가 사람에 따라 주관적이며, 사람별 선호하는 맛의 기준이 단순히 특정 맛의 유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소가 복합된 결과물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맛과 향 식감 등의 요소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뇌를 자극하여 맛을 판단하는 생체모방기술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입맛별 식음료를 매칭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In other word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aste perception itself is subjective depending on the person, and that each person's preferred taste standard is not simply determin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ecific taste, but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several factor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o match food and beverag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focusing on biomimetic technology, which determines taste by stimulating the brain by interacting with elements such as taste, aroma, and tex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2975호, 2020년 07월 06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32975, July 6, 202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맛 인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그룹화하고, 식음료별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측정된 객관적인 맛 측정 데이터를 기준으로, 동일 유사한 식음료를 그룹화하여, 입맛을 기준으로 한 사용자 그룹과 식음료 그룹을 매칭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식음료를 그룹화함에 있어서, 딥러닝 기반의 GNN 기술을 적용하여 식음료의 유사여부를 판단하는 것 또는 이러한 과제에 포함될 수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roup users based on taste perception data for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and based on objective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using at least one device for each food or beverage, The purpose is to group similar food and beverages into groups and match user groups with food and beverage groups based on taste. In addition, when grouping food and beverages, deep learning-based GNN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food and beverages are similar, or this task can be included.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의 맛 분석을 수행하는 중앙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매칭하고,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맛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식음료별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공통된 맛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그룹화하여 식음료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A central server that performs taste analysis of food and drinks preferred by each us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command, and a processor, wherein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 Matching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extract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for the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measured from a taste recognition device based on a taste analysis model using a deep neural network, Based on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a process of creating a food and beverage group is performed by grouping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딥 네트워크는, 항목별 그래프화한 맛 측정 데이터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GNN(Graph Neural Network)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ep network may be a GNN (Graph Neural Networ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te measurement data graphed for each i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맛 인식 장치는 전자혀, 칠리 센서, 전자코 및 식감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te recognition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tongue, a chili sensor, an electronic nose, and a textur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는, 식음료별 사용자가 등록한 맛 영역별 인지한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may be determined based on taste recognition data for each taste area registered by the user for each food or bever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맛 영역은, 신맛, 짠맛, 쓴맛, 단맛, 및 감칠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맛 인지 데이터는 각 영역별 수치화된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aste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sour taste, salty taste, bitter taste, sweet taste, and umami taste, and the taste recognition data may include a numerical score for each are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식음료에 대한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a process of creating a user group by grouping users based on user-specific taste perception data for food and beverages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상기 사용자 그룹과 상기 식음료 그룹 간에 매칭이 수행되고,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matching is performed between the user group and the food and beverage group, and an upd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식음료별 맛 특성을 추출하도록 딥러닝에 기반하여 기 학습된 맛 분석 모델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식음료별 맛 인식 장치에 의한 맛 측정 데이터가 획득되며, 상기 식음료별 맛 특성은, 상기 맛 분석 모델이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추출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ste analysis model previously learned based on deep learning is stored in the memory to extract taste characteristics for each food and beverage, and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Taste measurement data is acquired by a taste recognition device, and the taste characteristics of each food or beverage can be extracted by the taste analysis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앙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으로,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매칭하는 단계,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맛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식음료별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된 맛 특성에 기초하여, 식음료를 그룹화하여 복수의 식음료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analyzing the taste of food and beverages preferred by each user performed on a central serv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matching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and recognizing taste based on a taste analysis model using a deep neural network. Extract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for the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measured from a device, and grouping the food and beverages based on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to create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 group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제 9 항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맛과 향 식감 등의 복합적인 요소들의 상호 작용에 의해 맛을 판단하는 생체모방기술에 착안하여 사용자의 입맛별 식음료를 매칭하기 위한 딥러닝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atches food and beverag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by focusing on biomimetic technology that determines taste by the interaction of complex factors such as taste, aroma, and texture. You can create a deep learning model for

또한, 주관적인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사용자 그룹에 객관적인 맛 측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룹핑된 식음료 그룹을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그룹별 선호하는 식음료 추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식음료별로 선호가 예상되는 사용자 그룹을 타겟팅한 마케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matching food and beverage groups grouped based on objective taste measurement data to user groups grouped based on subjective user-specific taste perception data, preferred food and beverage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or each user group, and preferences for each food and beverage can be predicted. Marketing can be targeted to user group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 및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이 모듈 내지 모델 별로 개념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맛 분석 모델에 대한 구성도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맛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의 예시도들이다.
도 7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맛 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collecting taste recognition data and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user.
In Figure 4, functions executable on the central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conceptualized for each module or model.
Figure 5 conceptu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aste analysis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shows examples of learning data for a taste analysis model.
Figure 7 exemplarily shows a flow chart for a taste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In this specification, 'par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Additionally,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pieces of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piece of hardware.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may instead be performed o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in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across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맛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중앙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taste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entral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맛 분석 시스템(10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중앙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맛 분석 시스템(1000)은, 상기 중앙서버(300)에서의 데이터 분석 및 처리를 위해 외부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는 외부 서비스의 활용을 위해 상기 중앙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맛 분석 시스템(10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taste analysis system 1000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 central server 300. In addition, the taste analysis system 1000 is an external server that transmits external data for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in the central server 300, or receives data from the central server 300 for use of external services. may further include. However, since the taste analysis system 1000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nterpretation of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1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중앙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서버(300)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는, 상기 중앙서버(300)와 직접 또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And,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network 10. Additionally, at least one external server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directly or through the network 1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that allow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RF,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nd Long Term (LTE) network. Evolution) network,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is self-evident that it exists. In addition, whether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singular or plural form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맛 분석 시스템(1000)을 통해 선호하는 식음료를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하여 맛 인지 데이터를 등록하는 자(이하, '사용자'라 칭함.)가 소유하고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서, 사용자가 웹(Web), 앱(Application) 또는 웹앱의 형태로 상기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중앙서버(300)에 통신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수행한 후, 중앙서버(300)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정보를 기초하여 식음료의 추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The user terminal 100 is owned by a pers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user') who registers preferred food and beverages through the taste analysis system 1000 and registers taste recognition data for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after the user performs membership registra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10 in the form of a web, application, or web app, the central server 300 )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input of the information required by and the recommendation of food and beverages based on the information.

한편,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테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스마트폰(smart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이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desktop, laptop, tablet PC,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for example, portability and I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mobility, including smartphone,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and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etc., all types of handheld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중앙서버(300) 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크(1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twork 10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central server 300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lue added network; All types of networks such as VAN, Personal Area Network (PAN),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implemented as a wired/wireless network.

상기 중앙서버(300)는, 맛 분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된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맛 분석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등 내에서 클릭, 필터링 정보(우선순위 포함), 체류 시간 등의 사용자 로그 정보로부터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음료 정보 등의 사용자의 선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a server connected to a taste analysis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receives information from user log information such as clicks, filtering information (including priority), and residence time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within a taste analysis service web page, app page, etc. User preference data, such as preferre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또한, 중앙서버(300)는,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별 맛 인지 특성을 분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서버(300)는,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한 주관적 수치를 갖는 맛 인지 데이터 및 해당 식음료의 객관적으로 측정된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taste perception data for each user and analyzes taste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r each user.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ollects taste recognition data having a subjective value perceived by the user for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and objectively measured taste measurement data of the corresponding food or beverage.

또한, 상기 중앙서버(300)는 식음료별 객관적으로 측정된 맛 측정 데이터 정보를 수집하여, 딥러닝에 기반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 그룹별로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는 맛 분석 모델을 생성하는 학습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300)는 상기 맛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를 입력하면, 추출된 맛 특성을 기초로 식음료 그룹에 매칭시키는 매칭 서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collects objectively measured taste measurement data information for each food and beverage, and based on deep learning, a taste analysis model that extracts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or user group. It may be a learning server that generates .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a matching server that matches taste measurement data for a specific food or beverage to a food or beverage group based on the extracted taste characteristics when taste measurement data for a specific food or beverage is input using the taste analysis model.

여기서, 중앙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connect to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etc.

도 2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중앙 서버(30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이 도 2에 도시된 구성도에 의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중앙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Figure 2 shows an exampl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entral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2, the central serve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memory 320, and a processor 330. However,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For example, the central server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 2 or may not include at least on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 맛 분석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맛 분석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When the central server 300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taste analysis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install or open a taste analysis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Additionally, a service program may be run 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a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the use of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s and refers to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written in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Includes Explorer, Chrome, etc. Additionally, an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상기 중앙서버(300)는 사용자가 등록한 맛 인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선호하는 식음료 정보를 수집한다. 이에, 상기 중앙서버(300)는 수집된 사용자별 식음료 정보를 기초로 선호하는 공통된 식음료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입맛 특성이 추출되며,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그룹화할 수 있다. 사용자가 그룹화되면, 사용자 그룹별로 적어도 2인 이상이 선호하는 식음료들에 대한 공통의 맛 특성을 추출한다. The central server 300 collects preferre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based on taste recognition data register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0 extracts the user's tast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mmon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preferred based on the collecte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groups the users based on this. When users are grouped,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of food and beverages preferred by at least two people in each user group are extracted.

이 때, 맛 특성의 추출은 딥러닝에 기반하여 학습된 맛 분석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식음료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에 의해 맛 측정 데이터가 수집되며, 상기 맛 분석 모델은 상기 맛 측정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맛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맛 측정 데이터는 식음료별 맛, 향, 식감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학습 데이터는 항목별 연속되는 일련의 데이터, 또는 각 항목별로 그래프화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딥러닝에 사용되는 인공신경망의 네트워크는 GNN(Graph Neural Network)가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taste analysis model learned based on deep learning may be used to extract taste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aste measurement data is collected by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or beverage, and the taste analysis model can extract the same or similar taste characteristics using the taste measurement data as learning data. For example, taste measurement data may include data on taste, aroma, texture, etc. for each food or beverage, and learning data may be a series of continuous data for each item or image data graphed for each item. In the latter cas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used in deep learning may be a GNN (Graph Neural Network).

즉, 사용자 그룹별로 선호하는 식음료에 대한 공통적인 맛 특성이 추출되며, 맛 특성을 기준으로, 선호하는 식음료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사용자 그룹에 대해 복수의 식음료 그룹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선호하는 식음료인 경우, 해당 식음료에 대해서도 식음료 그룹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 식음료 그룹은 복수의 사용자 그룹에 매칭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식음료 그룹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 그룹이 매칭될 수 있다. That is,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food and beverages are extracted for each user group, and based on the taste characteristics, preferred food and beverages may be grouped into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group. That is, multiple food and beverage groups may be matched to one user group. Additionally, if the food or beverage is generally preferred by the user, a food or beverage group may be set for the food or beverage. In this case, the food or beverage group may be matched to a plurality of user groups. That is, multiple user groups may be matched to one food and beverage group.

이에 따라, 상기 중앙서버(300)는, 매칭된 사용자 그룹과 식음료 그룹에서, 사용자 그룹에 대하여, 새로운 사용자의 유입 또는 사용자의 입맛 변화에 따라 사용자 그룹 간에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식음료 그룹에 대하여, 기존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의 획득 및 신규의 식음료의 출시에 따라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그룹과 복수의 식음료 그룹 간에 매칭을 최신으로 업데이트 유지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그룹과 식음료 그룹 간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에게는 매칭되는 그룹 내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식음료 카테고리에 따라 추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식음료 제조사 또는 마케팅 대행사로서는 신규의 식음료를 출시함에 있어서, 해당 신규의 식음료가 속한 그룹과 매칭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entral server 300 performs updates between user groups in the matched user group and food and beverage group according to the influx of new users or changes in user taste, and for the food and beverage group, existing Updates are made according to the acquisition of taste measurement data for food and beverages and the release of new food and beverages. Accordingly, the ma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user groups and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 groups can be maintained up-to-date. Accordingly, through matching between the user group and the food and beverage group, 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belonging to the matched group into the food and beverage category. In addition, when launching a new food or beverage, a food and beverage manufacturer or marketing agency can establish an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y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r group that matches the group to which the new food or beverage belongs. We can support you.

이하, 맛 분석을 위하여, 상기 중앙서버(300)에서 수집되는 맛 데이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for taste analysis, taste data collecte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 및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collecting taste recognition data and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user.

도 3을 참조하면, 식음료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식음료별 수집되는 주관적인 맛 인지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에 의해 측정된 객관적인 맛 측정 데이터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 3 , with respect to food and beverages, subjective taste recognition data collected for each food and beverage through the user terminal 100 and objective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are shown.

예를 들어, 상기 중앙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선호하는 식음료 정보 및 식음료별 사용자가 인지하는 맛 영역별 맛 인지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식음료는 상품으로 유통되는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음식 및 음료를 포함하며, 상품별 맛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일정한 레시피에 의해 동일하게 제조 내지 제작되는 것을 전제로, 요리도 포함될 수 있으며,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central server 300 is configured to collect the user's preferre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and taste recognition data for each taste area perceived by the user for each food and beverage from the user terminal 100. Here, food and beverages include all types of food and beverages distributed as products that can be consumed by people, assuming that the taste of each product remains constant. In addition, cooking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provided that it is manufactured or produced identically according to a certain recipe.

상기 맛 인지 데이터는 사용자가 식음료에 대하여 맛 영역별로 점수를 매긴 데이터로, 맛 영역은 신맛, 짠맛, 쓴맛, 단맛, 감칠맛 등을 포함하며, 일 예로, 사용자는 각 영역에 대해 1점부터 5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점수는 맛의 정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만족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매우 부족, 부족, 만족, 과함, 매우 과함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즉,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가 수집된다. 한편, 식음료에 대한 맛 인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일차적인 맛 데이터가 수집된다. 한편, 사용자가 선호하는 식음료는 맛 영역별로 3점을 받은 식음료는 선호하는 음식으로 취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진 않는다.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식으로 직접 등록할 수도 있다.The taste recognition data is data in which the user scores food and beverages by taste area. The taste area includes sourness, saltiness, bitterness, sweetness, umami, etc. As an example, the user scores from 1 to 5 for each area. It can be configured to give scores up to. The score may indicate the degree of taste or include satisfaction. For example, it may sequentially indicate very insufficient, insufficient, satisfactory, excessive, and very excessive, but is not limited to this. In other words, taste perception data for each user is collected. Meanwhile, the user's primary taste data is collected based on taste perception data for food and beverages. Meanwhile, the user's preferred food and beverages that receive 3 points in each taste area can be treated as preferred food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Users can also directly register their preferred food.

또한, 상기 중앙서버(300)는 식음료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에서 측정되는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Additionally, the central server 300 is configured to collect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or beverage.

또한, 상기 맛 인식 장치는 전자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혀는 혀로 느끼는 9종류의 맛을 인식하여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로, 9종류의 맛은 신맛(sourness), 쓴맛(bitterness), 떫은 맛(astringency), 뒷맛 B(aftertaste-B), 뒷맛 A(aftertaste-A), 감칠맛(umami), 풍부한 맛(richness), 짠맛(saltiness), 단맛(sweetnes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혀는 insent사의 TS-5000z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Additionally, the taste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n electronic tongue. The electronic tongue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9 types of taste felt with the tongue and converts them into numerical values. The 9 types of taste are sourness, bitterness, astringency, and aftertaste B. , aftertaste-A, umami, richness, saltiness, and sweetness. For example, the electronic tongue can be Insent's TS-5000z.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맛 인식 장치는, 추가로 전자코(smell indicator), 식감 측정기, 칠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코는 코로 느끼는 향을 4개의 센서로 인식하여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이며, 식감 측정기는, 모호한 구강 느낌을 추치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금니, 송곳니, 앞니 등에서 인지되는 단단함, 들러붙는 정도, 질끈한 정도, 부서지는 정도, 등의 식감을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이며, 칠리 센서는 매운 정도를 수치(스코빌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이다. 여기서 전자코는 smartnanotubes 사의 전자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식감 측정기는 JISC 사의 식감 측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식음료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The taste recogni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nose (smell indicator), a texture measuring device, and a chili sensor. The electronic nose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the scent felt by the nose with four sensors and converts it into a numerical value, and the texture measuring device is used to convert ambiguous oral feelings into a value. Specifically, it measures the hardness perceived in molars, canines, front teeth, etc. It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converts textures such as stickiness, stickiness, and crumbliness into numerical values, and the chili sensor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converts the level of spiciness into numerical values (Scoville number). Here, the electronic nose from smartnanotubes can be used, and the texture measuring device from JISC can be u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it is configured to collect one or more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or beverage.

상기 맛 측정 데이터는 각 맛 인식 장치에서 측정된 수치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맛 측정 데이터는 각 맛 인식 장치의 식별 번호와 매칭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서버(300)는, 필요한 경우, 외부 서버로부터 공공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aste measurement data includes a combination of values measured by each taste recognition device, and the taste measurement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taste recognition device. 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public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if necessary.

이하, 도 2 및 4를 참조하여, 중앙서버(3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the central server 300 will be examined in detail.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앙서버(30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이 도 2에 도시된 구성도에 의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중앙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and 4, the central server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 memory 320, and a processor 330. However,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in FIG. 2. For example, the central server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figuration not shown in FIG. 2 or may not include at least on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 .

통신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중앙서버(300)는 이러한 통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 및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can be implemented us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e central server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Memory 320 may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that can be executed by processor 330.

또한,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30)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일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320)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코드, 코드의 실행 대상이 되는 데이터, 코드의 실행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매체들을 의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mory 320 may be a storage medium o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computer software that allows the processor 330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case, the memory 320 may refer to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toring software codes required to perform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ata to be executed by the codes, and execution results of the codes.

여기서, 메모리(320)에 저장 가능한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으로 구현되어서 동작하는, 기 학습된 모델일 수 있다. 예컨대, 머신러닝 방식 또는 딥러닝에 의해 구현 내지 학습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모델이, 이러한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물론, 인공지능으로 구현되지 않고 일반적인 방식, 예컨대 rule-기반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된 소프트웨어 모듈 역시 이러한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도 있다.Here, such software tha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320 may be a previously learned model that is implemented and operate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example, a model implemented or learned to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by being implemented or learned using a machine learning method or deep learning may be stored in the memory 320. Of course, software modules that are not implement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but are implemented to operate in a general manner, for example, rule-based, may also be stored in the memory 320.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20)는 임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memory 320 may refer to any type of storage medium. For example, memory 320 may be a flash memory type, hard disk type, or multimedia card. Micro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and optical disk.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20)에는 사용자와 식음료를 매칭하기 위한 맛 분석 모델 또는 맛 분석 모듈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맛 분석 모델 또는 맛 분석 모듈은 머신 러닝 또는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된 것일 수 있다. 학습에서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방식이 이용된다. 여기서, 맛 분석 모델은 입력되는 복수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모델로서, 신규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를 입력하면, 식음료를 그룹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특성을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맛 분석 모델은 수집되는 맛 측정 데이터를 학습을 위한 데이터로 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특성을 추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memory 320 may store a taste analysis model or a taste analysis module for matching a user with food and beverages. This taste analysis model or taste analysis module may be learned using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methods. In learning, a supervised learning method is used. Here, the taste analysis model is a model for extract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a plurality of input food and beverages. When taste measurement data for a new food and beverage is input, at least one taste characteristic is extracted to group the food and beverages. It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taste analysis model uses the collected taste measurement data as data for learning and extracts at least one taste characteristic.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식음료별 맛 특성을 추출하도록 딥러닝에 기반하여 기 학습된 맛 분석 모델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식음료별 맛 인식 장치에 의한 맛 측정 데이터가 획득되며, 상기 식음료별 맛 특성은, 상기 맛 분석 모델이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추출한다.The memory stores a taste analysis model previously learned based on deep learning to extract taste characteristics for each food and beverage, and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thereby producing taste measurement data by a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and beverage. is obtained, and the taste characteristics of each food and beverage are extracted by the taste analysis model using the obtained data.

이하, 각 모델의 기본이 되는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which is the basis of each model,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한편, 이러한 메모리(320)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320)에는 사용자 및 식음료 각각에 대한 정보가 리스트화되어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에는 사용자의 나이, 주소, 활동 범위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되는 정보와, 성향, 취향, 성격, 선호 등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식음료에 대한 종류, 비용, 위치, 브랜드, 트랜드에 대한 정보와 식음료에 대한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와 각각의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된 맛 측정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memory 320. For example, in the memory 320, information about each user and food and beverage may be listed and stored. This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input directly from the user, such as the user's age, address, activity range, etc., and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such as inclination, taste, personality, and preference, as well as type, cost, location, and brand of food and beverages. , information on trends, user-specific taste recognition data for food and beverages, and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each taste recognition device may be stored.

또한, 메모리(320)에는 다양한 종류의 모듈 내지 모델이 구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이나 모델은 후술할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되면, 목적하는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Additionally, various types of modules or models may be implemented in the memory 320. When these modules or models are executed by the processor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sired function is performed.

이하, 프로세서(330)에 의해 메모리(3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실행됨으로써, 중앙 서버(300)가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 내지 기능 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각각의 모듈 내지 모델에 대해 도 4를 참조해서 살펴보자.Hereinafter, let's look at various operations or functions that the central server 300 can perform by executing at least one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320 by the processor 330. Let's take a look at each module or model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이 모듈 내지 모델 별로 개념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4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이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In Figure 4, functions executable on the central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conceptualized for each module or model. However, Figure 4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n Figure 4.

도 4를 참조하면, 매칭부(321), 맛 분석 모델(322), 그룹화부(323)이 메모리(320)에 구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a matching unit 321, a taste analysis model 322, and a grouping unit 323 are implemented in the memory 320.

이 중 매칭부(321)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 매칭부(321)는 사용자가 식음료별 등록한 맛 인지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를 매칭시켜주도록 구현된다. 또한, 식음료를 기준으로는, 해당 식음료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매칭시킨다. 선호하는 식음료 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호하는 식음료 정보가 직접 등록된 경우 또는, 사용자가 등록한 식음료별 맛 인지 데이터를 기초로 맛 영역별 점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Among these, let's look at the matching unit 321 first. The matching unit 321 is implemented to match the preferred food and beverage for each user based on the taste recognition data registered by the user for each food and beverage. Additionally, based on food and beverage, users who prefer the food and beverage are matched. As described above, whether the food or beverage is preferred may be determined by the score for each taste area when preferre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is directly registered by the user or based on taste recognition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registered by the user.

다음으로, 맛 분석 모델(322)에 대해 살펴보자. 이러한 맛 분석 모델(322)은 사용자별 매칭된 선호하는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맛 특성을 추출하도록 구현된다. 추출 방식은 다양하며, 실시예에 따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인공신경망 그 자체는 후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맛 분석 모델(322)의 동작 방식 그 자체에 대해서만 살펴보자.Next, let's look at the taste analysis model 322. This taste analysis model 322 is implemented to extract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preferred food and beverages matched for each user. Extraction methods vary,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etho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use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itself will be described later, and hereinafter, we will only look at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aste analysis model 322 itself.

도 5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맛 분석 모델에 대한 구성도가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맛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의 예시도들이다. Figure 5 conceptually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aste analysis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shows examples of learning data for a taste analysis model.

도 5를 참조하면, 맛 분석 모델(322)에는 입력으로서 매칭되는 식음료의 맛 측정 데이터(321)가 입력된다. 입력되는 형태로는, 맛 측정 데이터가 일련의 데이터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며, 그래프화되어, 이미지로서 입력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머신러닝 또는 딥러닝 모델의 경우, 이러한 모델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입력받아야만 추론이 가능한데, 일 실시예에서 맛 측정 데이터(321)는 그 feature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어서 이러한 맛 분석 모델(322)에 입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맛 측정 데이터는 도 6에 도시된 그래프 형태로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맛 분석 모델(322)는 각 맛 영역별 수치를 노드화하고, 각 맛 영역의 수치인 노드를 연결한 링크를 통해 각 노드의 거리, 기울기 등에 기초한 그래프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aste measurement data 321 of matching food and beverages is input to the taste analysis model 322 as input. In the input form, taste measurement data can be input in the form of a series of data, graphed, and input as an imag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the case of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models, inference is possible only when data is input in a form that these models can understand. In one embodiment, the taste measurement data 321 is expressed in various ways that can represent the feature, so that such taste analysis is performed. May be input into model 322. As an example, the taste measurement data can be input in the form of a graph shown in Figure 6, and the taste analysis model 322 nodes the values for each taste area and links connecting the nodes that are the values for each taste area. Learning can be performed using a graph neural network based on the distance and slope of each node.

아울러, 맛 분석 모델(322)에서 추론된 출력으로는, 각 식음료별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맛 특성이 추출되고, 해당 맛 특성에 기초하여, 기 그룹화된 식음료의 그룹(323)이 추론되어서 출력된다. 예를 들어, 맛 특성별로 식음료가 그룹화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특정 식음료의 추출된 맛 특성이 복수 개인 경우, 하나의 식음료라도, 복수의 그룹으로 매칭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s an output inferred from the taste analysis model 322, taste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and based on the taste characteristics, a group 323 of previously grouped food and beverages is inferred and output. For example, assuming that food and beverages are grouped according to taste characteristics, if there are multiple extracted taste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food or beverage, even one food or beverage may be matched into multiple groups.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즉, 사용자의 입맛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맛, 향, 식감 등에 대한 객관적인 수치를 갖는 맛 측정 데이터를 노드로 하여, 단순한 수치별 비교에 의한 맛 특성의 추출이 아닌, 데이터간 거리를 학습하여, 맛 영역별 밸런스와 다양한 맛의 형태를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콜릿의 경우, 단맛이 비약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만족도 하락에 상대적으로 미미한 영향을 주지만, 신맛이 상승할 시 만족도는 크게 하락할 수 밖에 없다. 이와 달리, 단맛과 쓴맛이 같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 기존의 만족도에 강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식음료별 맛간의 상호작용 내지 맛 영역별 밸런스가 학습된다. In other words, by using taste measurement data with objective values for taste, aroma, texture, etc., which are elements that affect the user's taste buds, as nodes, the distance between data is learned, rather than extracting taste characteristics through simple comparison by numerical value. You can learn the balance of each taste area and the forms of various flavors. For example, in the case of chocolate, when the sweetness increases dramatically, it has a relatively small effect on the decrease in satisfaction, but when the sourness increases, satisfaction is bound to decrease significantly. In contrast, when sweetness and bitterness rise together, it does not have a strong effect on existing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lavors of each food and beverage or the balance of each taste area is learned.

도 6에는, 맛 분석 모델의 학습 데이터의 예시도들이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a)의 식음료와 (b)의 식음료의 경우, 구체적인 맛 영역별 수치인 맛 측정 데이터에는 차이가 있으나, 풍부한 맛(richness), 신맛(sourness), 쓴맛(bitterness) 간의 수치의 변화에 유사성이 있어, 공통의 맛 특성이 추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후술하는 그룹화부(323)에 의해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Figure 6 shows examples of learning data for a taste analysis model. Referring to Figure 6, in the case of the food and beverage in (a) and the food and beverage in (b),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aste measurement data, which is the value for each specific taste area,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richness, sourness, and bitterness. There is similarity in the change in value, so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can be extracted, and in this case, they can be grouped into the same group by the grouping unit 3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그룹화부(323)에서는 추출된 맛 특성을 기준으로 식음료가 그룹화된다. 즉, 맛 특성에 따라 복수의 식음료 그룹이 생성되며,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맛 인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그룹화하고, 사용자 그룹과 식음료 그룹간에 매칭을 시킬 수 있다. 즉, 식음료에 대한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그룹과 복수의 식음료 그룹간에 매칭이 이루어진다. In the grouping unit 323, food and beverages are grouped based on extracted taste characteristics. That is,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 groups are created according to taste characteristics, users are grouped based on taste recognition data for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and matching is performed between user groups and food and beverage groups. That is, a user group can be created by grouping users based on user-specific taste perception data for food and beverage, and matching is per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user groups and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 groups.

또한, 추출된 맛 특성을 기초로 식음료를 그룹함에 있어서, 공통된 맛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자료가 없는 기존의 식음료 또는 신규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음료별, 사용자별 그룹화 및 업데이트가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grouping food and beverages based on extracted taste characteristics,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are used to classify each food and beverage, user Star grouping and updating can be done.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실행시킴으로써, 후술될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술적 특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중앙 서버(300)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및/또는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technical featur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320.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330 may consist of at least one core,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GPGPU) of the central server 300. , may include a processor for data analysis and/or processing, such as a tensor processing unit (TPU).

이러한 프로세서(330)는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방식으로 설계된 신경망 내지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다. 전술한 맛 분석 모델은 이러한 프로세서(330)에 의해 학습된 것일 수 있다This processor 330 can learn a neural network or model designed using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The above-described taste analysis model may be learned by this processor 330.

이를 위해, 프로세서(330)는 학습을 위한 입력 데이터의 처리, 입력 데이터에서의 피처 추출, 오차 계산, 역전파(backpropagation)를 이용한 신경망의 가중치 업데이트 등의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와 GPGPU가 함께 네트워크 함수의 학습, 네트워크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분류를 처리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calculations for learning the neural network, such as processing input data for learning, extracting features from the input data, calculating errors, and updating the weights of the neural network using backpropagation. . At least one of the CPU, GPGPU, and TPU of the processor 330 may process learning of the network function. For example, CPU and GPGPU can work together to process learning of network functions and data classification using network functions.

또한, 프로세서(330)는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방식으로 이미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 내지 모델을 이용해서, 소정의 목적 하에 추론(inference)을 수행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330 may perform inference for a predetermined purpose using a neural network or model that has already been trained using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여기서, 머신러닝이나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이 완료된 모델 내지 신경망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다. 이하, 신경망에 대해 구체적을 살펴보자.Here, the model or neural network that has been trained using machine learning or deep learning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Below, let’s look at neural networks in detail.

먼저, 본 명세서에서 신경망은 모델, 네트워크 함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등과 상호 교환 가능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경망들을 구성하는 노드(또는 뉴런)들은 하나 이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First, in this specification, neural network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model, network function, neural network, etc. A neural network can generally consist of a set of interconnected computational unit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nodes. These nodes may also be referred to as neurons. A neural network consists of at least one node. Nodes (or neurons) that make up neural networks may be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links.

신경망 내에서, 링크를 통해 연결된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상대적으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의 개념은 상대적인 것으로서, 하나의 노드에 대하여 출력 노드 관계에 있는 임의의 노드는 다른 노드와의 관계에서 입력 노드 관계에 있을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노드 대 출력 노드 관계는 링크를 중심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입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출력 노드가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할 수 있다.Within a neural network, one or more nodes connected through a link may form a relative input node and output node relationship. The concepts of input node and output node are relative, and any node in an output node relationship with one node may be in an input node relationship with another node, and vice versa. As described above, input node to output node relationships can be created around links. One or more output nodes can be connected to one input node through a link, and vice versa.

하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관계에서, 출력 노드의 데이터는 입력 노드에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값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노드와 출력 노드를 상호 연결하는 링크는 가중치(weight)를 가질 수 있다. 가중치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신경망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또는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출력 노드에 하나 이상의 입력 노드가 각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된 경우, 출력 노드는 상기 출력 노드와 연결된 입력 노드들에 입력된 값들 및 각각의 입력 노드들에 대응하는 링크에 설정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출력 노드 값을 결정할 수 있다.In a relationship between an input node and an output node connected through one link, the value of the data of the output node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data input to the input node. Here, the link connecting the input node and the output node may have a weight. Weights may be variable and may be varied by the user or algorithm in order for the neural network to perform the desired function. For example, when one or more input nodes are connected to one output node by respective links, the output node is set to the values input to the input node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and the links corresponding to each input node. The output node valu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weight.

상술한 바와 같이, 신경망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이 하나 이상의 링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신경망 내에서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관계를 형성한다. 신경망 내에서 노드들과 링크들의 개수 및 노드들과 링크들 사이의 연관관계, 링크들 각각에 부여된 가중치의 값에 따라, 신경망의 특성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개수의 노드 및 링크들이 존재하고, 링크들의 가중치 값이 상이한 두 신경망이 존재하는 경우, 두 개의 신경망들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neural network, one or more nodes are interconnected through one or more links to form an input node and output node relationship within the neural network.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ral network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nodes and links within the neural networ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des and links, and the value of the weight assigned to each link. For example, if the same number of nodes and links exist and two neural networks with different weight values of the links exist, the two neural networks may be recognized as different from each other.

신경망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의 부분 집합은 레이어(layer)를 구성할 수 있다.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 중 일부는,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의 거리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레이어(layer)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거리가 n인 노드들의 집합은, n 레이어를 구성할 수 있다.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거리는, 최초 입력 노드로부터 해당 노드까지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링크들의 최소 개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레이어의 정의는 설명을 위한 임의적인 것으로서, 신경망 내에서 레이어의 차수는 상술한 것과 상이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들의 레이어는 최종 출력 노드로부터 거리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A neural network may consist of a set of one or more nodes. A subset of nodes that make up a neural network can form a layer. Some of the nodes constituting the neural network may form one layer based on the distances from the first input node. For example, a set of nodes with a distance n from the initial input node may constitute n layers.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input node can be defined by the minimum number of links that must be passed to reach the node from the initial input node. However, this definition of a layer is arbitrary for explanation purposes, and the order of a layer within a neural network may be defined in a different way than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layer of nodes may be defined by distance from the final output node.

최초 입력 노드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 중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에서 링크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가 직접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신경망 네트워크 내에서, 링크를 기준으로 한 노드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링크로 연결된 다른 입력 노드들을 가지지 않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최종 출력 노드는 신경망 내의 노드들 중 다른 노드들과의 관계에서, 출력 노드를 가지지 않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히든 노드는 최초 입력 노드 및 최후 출력 노드가 아닌 신경망을 구성하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The initial input node may refer to one or more nodes in the neural network through which data is directly input without going through links in relationships with other nodes. Alternatively, in a neural network net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odes based on links, it may mean nodes that do not have other input nodes connected by links. Similarly, the final output node may refer to one or more nodes that do not have an output node i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 nodes among the nodes in the neural network. Additionally, hidden nodes may refer to nodes constituting a neural network other than the first input node and the last output node.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 보다 적을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감소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입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가 출력 레이어의 노드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으며, 입력 레이어에서 히든 레이어로 진행됨에 따라 노드의 수가 증가하는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신경망은 상술한 신경망들의 조합된 형태의 신경망일 수 있다.The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neural network in which the number of nodes in the input layer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nodes in the output layer, and the number of nodes decreases and then increases again as it progresses from the input layer to the hidden layer. You can. In addition, the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neural network in which the number of nodes in the input layer may be less than the number of nodes in the output layer, and the number of nodes decreases as it progresses from the input layer to the hidden layer. there is. In addition, the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neural network in which the number of nodes in the input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nodes in the output layer, and the number of nodes increases as it progresses from the input layer to the hidden layer. You can. A neural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neural network that is a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neural networks.

딥 뉴럴 네트워크(DNN: deep neural network, 심층신경망)는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외에 복수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는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데이터의 잠재적인 구조(latent structures)를 파악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는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리커런트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네트워크(DBN: deep belief network), Q 네트워크, U 네트워크, 샴 네트워크, 적대적 생성 네트워크(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트랜스포머(transfor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딥 뉴럴 네트워크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deep neural network (DNN) may refer to a neural network that includes multiple hidden layers in addition to the input layer and output layer. Deep neural networks allow you to identify latent structures in data. Deep neural networks includ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 auto encoder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 and restricted Boltzmann machines (RBM). machine), deep belief network (DBN), Q network, U network, Siamese network,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transformer, etc. The description of the deep neural network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딥 뉴럴 네트워크는 맛 항목별로 그래프화된 맛 측정 데이터를 이미지 데이터로서 학습하는 GNN(Graph Neural Network)이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eep neural networ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a GNN (Graph Neural Network) that learns taste measurement data graphed for each taste item as image data.

뉴럴 네트워크는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학습(semi supervised learning), 자가학습(self-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학습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은 뉴럴 네트워크가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지식을 뉴럴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과정일 수 있다.A neural network can be learned in at least one of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self-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You can. Learning of a neural network may be a process of applying knowledge for the neural network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o the neural network.

뉴럴 네트워크는 출력의 오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학습될 수 있다.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에서 반복적으로 학습 데이터를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시키고 학습 데이터에 대한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과 타겟의 에러를 계산하고, 에러를 줄이기 위한 방향으로 뉴럴 네트워크의 에러를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 레이어에서부터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backpropagation)하여 뉴럴 네트워크의 각 노드의 가중치를 업데이트 하는 과정이다. 지도학습의 경우 각각의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 되어있는 데이터(labelled data)를 사용하며(즉,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 비지도학습의 경우는 각각의 학습 데이터에 정답이 라벨링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unlabeled data)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데이터 분류에 관한 지도학습의 경우의 학습 데이터는 학습 데이터 각각에 정답에 대응되는 카테고리가 라벨링된 데이터일 수 있다. 라벨링된 학습 데이터가 뉴럴 네트워크에 입력되고,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카테고리)과 학습 데이터의 라벨을 비교함으로써 오류(error)가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데이터 분류에 관한 비지도학습, 준지도학습 또는 자가학습의 경우 입력인 학습 데이터가 뉴럴 네트워크 출력과 비교됨으로써 오류가 계산될 수 있다. 계산된 오류는 뉴럴 네트워크에서 역방향(즉, 출력 레이어에서 입력 레이어 방향)으로 역전파 되며, 역전파에 따라 뉴럴 네트워크의 각 레이어의 각 노드들의 연결 가중치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업데이트 되는 각 노드의 연결 가중치는 학습률(learning rate)에 따라 변화량이 결정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에 대한 뉴럴 네트워크의 계산과 에러의 역전파는 학습 사이클(epoch)을 구성할 수 있다. 학습률은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사이클의 반복 횟수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초기에는 높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뉴럴 네트워크가 빠르게 일정 수준의 성능을 확보하도록 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 후기에는 낮은 학습률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Neural networks can be trained to minimize output errors. In neural network learning, learning data is repeatedly input into the neural network, the output of the neural network and the error of the target for the learning data are calculated, and the error of the neural network is transferred from the output layer of the neural network to the input layer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the error. This is the process of updating the weight of each node in the neural network through backpropagation. In the case of supervised learning, data in which the correct answer is labeled (i.e., labeled learning data) is used in each learning data (i.e., labeled learning data), and in the case of unsupervised learning, data in which the correct answer is not labeled in each learning data (i.e., labeled learning data) is used. unlabeled data) can be used. That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supervised learning on data classification, the learning data may be data in which each training data is labeled with a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correct answer. Labeled training data is input to the neural network, and the error can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output (category) of the neural network with the label of the training data.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self-learning regarding data classification, the error may be calculated by comparing the input learning data with the neural network output. The calculated error is backpropag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e., from the output layer to the input layer) in the neural network, and the connection weight of each node in each layer of the neural network can be updated according to backpropagati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onnection weight of each updated nod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arning rate. The neural network's calculation of input data and backpropagation of errors can constitute a learning cycle (epoch). The learning rate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repetitions of the learning cycle of the neural network. For example, in the early stages of neural network training, a high learning rate can be used to increase efficiency by allowing the neural network to quickly achieve a certain level of performance, and in the later stages of training, a low learning rate can be used to increase accuracy.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에서 일반적으로 학습 데이터는 실제 데이터(즉,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부분집합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습 데이터에 대한 오류는 감소하나 실제 데이터에 대해서는 오류가 증가하는 학습 사이클이 존재할 수 있다. 과적합(overfitting)은 이와 같이 학습 데이터에 과하게 학습하여 실제 데이터에 대한 오류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과적합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오류를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적합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최적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과적합을 막기 위해서는 학습 데이터를 증가시키거나, 레귤러화(regularization)하거나, 학습의 과정에서 네트워크의 노드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드롭아웃(dropout), 배치 정규화 레이어(batch normalization layer)의 활용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learning of neural networks, the training data can generally be a subset of real data (i.e., the data to be processed using the learned neural network), and thus the error for the training data is reduced, but the error for the real data is reduced. There may be an incremental learning cycle. Overfitting is a phenomenon in which errors in actual data increase due to excessive learning on training data. Overfitting can cause errors i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increase. To prevent such overfitting, various optimization methods can be used. To prevent overfitting, methods such as increasing the learning data, regularizing it, using dropout to disable some of the network node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using a batch normalization layer are used. It can be applied.

이하, 도 7를 도 2 내지 도 6를 함께 참조하면서, 맛 분석 방법에 대한 순서도에 대해 살펴보자.Hereinafter, let's look at the flow chart for the taste analysis method, referring to Figure 7 together with Figures 2 to 6.

도 7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순서도로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7에 도시된 방법 또는 이러한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중앙 서버(300), 구체적으로는 메모리(3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프로세서(33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수행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이러한 순서도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바, 본 발명의 사상이 도 7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순서로 각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Figure 7, a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for analyzing the taste of food and bever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llustratively shown as a flowchart. The method shown in FIG. 7 or each step included in this method is performed by the central server 300 shown in FIGS. 2 to 6, specifically,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320 by the processor 330. It can be done by running it. In addition, this flow chart shown in FIG. 7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is shown in FIG. 7.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at shown in FIG. 7, or at least one step not shown in FIG. 7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or at least one of the steps shown in FIG. 7 may be performed. It may not work.

도 7를 참조하면,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 정보가 수집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해당 단계에서는 사용자별 공통된 선호하는 식음료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그룹화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step (S100) of collecting preferred food and beverage information for each user is performed. At this stage, users can be grouped based on common food and beverage preferences for each user.

또한, 상기 중앙 서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식음료별 객관적인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In addition, the central server collects objective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using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S200).

해당 단계에서는, 식음료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에서 측정되는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In this step, it is configured to collect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or beverage.

또한, 상기 맛 인식 장치는 전자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혀는 혀로 느끼는 9종류의 맛을 인식하여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로, 9종류의 맛은 신맛(sourness), 쓴맛(bitterness), 떫은 맛(astringency), 뒷맛 B(aftertaste-B), 뒷맛 A(aftertaste-A), 감칠맛(umami), 풍부한 맛(richness), 짠맛(saltiness), 단맛(sweetness)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자혀는 insent사의 TS-5000z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진 않는다. Additionally, the taste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n electronic tongue. The electronic tongue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9 types of taste felt with the tongue and converts them into numerical values. The 9 types of taste are sourness, bitterness, astringency, and aftertaste B. , aftertaste-A, umami, richness, saltiness, and sweetness. For example, the electronic tongue can be Insent's TS-5000z.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맛 인식 장치는, 추가로 전자코(smell indicator), 식감 측정기, 칠리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코는 코로 느끼는 향을 4개의 센서로 인식하여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이며, 식감 측정기는, 모호한 구강 느낌을 추치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어금니, 송곳니, 앞니 등에서 인지되는 단단함, 들러붙는 정도, 질끈한 정도, 부서지는 정도, 등의 식감을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이며, 칠리 센서는 매운 정도를 수치(스코빌 수치)로 변환하는 맛 인식 장치이다. 여기서 전자코는 smartnanotubes 사의 전자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식감 측정기는 JISC 사의 식감 측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식음료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되는 하나 이상의 맛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The taste recogni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nose (smell indicator), a texture measuring device, and a chili sensor. The electronic nose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recognizes the scent felt by the nose with four sensors and converts it into a numerical value, and the texture measuring device is used to convert ambiguous oral feelings into a value. Specifically, it measures the hardness perceived in molars, canines, front teeth, etc. It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converts textures such as stickiness, stickiness, and crumbliness into numerical values, and the chili sensor is a taste recognition device that converts the level of spiciness into numerical values (Scoville number). Here, the electronic nose from smartnanotubes can be used, and the texture measuring device from JISC can be u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it is configured to collect one or more taste measurement data measured from at least one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or beverage.

상기 맛 측정 데이터는 각 맛 인식 장치에서 측정된 수치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맛 측정 데이터는 각 맛 인식 장치의 식별 번호와 매칭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The taste measurement data includes a combination of values measured by each taste recognition device, and the taste measurement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by match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each taste recognition device.

또한, 딥러닝에 기반하여 선호하는 식음료에 대한 맛 특성 추출하는 단계(S300)에서는, 딥러닝에 기반하여, 사용자별 선호하는 복수의 식음료의 맛 측정 데이터, 또는 동일한 선호하는 식음료를 공유하는 사용자들로 구성된 사용자 그룹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복수의 사용자가 선호하는 공통적인 식음료들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식음료의 공통적인 맛 특성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맛 특성은 맛 영역별 그래프로부터 유사한 특성을 추출하는 GNN(Graph Neural Network)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ep (S300) of extracting taste characteristics for preferred food and beverages based on deep learning, taste measurement data of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s preferred by each user, or users sharing the same preferred food and beverage, are based on deep learn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of food and beverages can be extracted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common foods and beverages preferred by at least two or more users in a user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the taste characteristics may be extracted based on a GNN (Graph Neural Network)-ba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at extracts similar characteristics from a graph for each taste region.

또한, 추출된 맛 특성을 기초로 식음료를 그룹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통된 맛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자료가 없는 기존의 식음료 또는 신규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음료별 그룹화를 진행할 수 있다. Additionally, it may include grouping food and beverages based on the extracted taste characteristics (S400). That is, us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grouping by food and beverage can be performed using taste measurement data for existing food and beverages or new food and beverages for which there is no data on user preferences.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중앙 서버(3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므로, 중앙 서버(300)에 대해 이미 설명된 부분을 원용하기로 한다.Hereinafter, since the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performed by the central server 300 shown in FIG. 3, the parts already described regarding the central server 300 will be us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음료의 맛 분석 과정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동일 유사한 식음료의 그룹화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맛에 따라 그룹화된 사용자 그룹에 식음료 그룹을 매칭 가능하게 된다. As discuss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the taste analysis process of food and beverage, similar food and beverages can be grouped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various types of food and beverage, and food and beverage groups are divided into user groups group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Matching becomes possible.

뿐만 아니라, 이렇게 매칭된 사용자 그룹과 식음료 그룹에서, 사용자 그룹은 새로운 사용자의 유입 또는 사용자의 입맛 변화에 따라 사용자 그룹 간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되며, 식음료 그룹은, 기존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의 획득 및 신규의 식음료의 출시에 따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그룹과 복수의 식음료 그룹 간에 매칭을 최신으로 업데이트 유지가 유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se matched user groups and food and beverage groups, user groups are updated among user groups according to the influx of new users or changes in users' tastes, and the food and beverage group acquires taste measurement data for existing food and beverages. And updates are made according to the release of new food and beverages. Accordingly, matching between a plurality of user groups and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 groups can be maintained up-to-date.

뿐만 아니라, 이렇게 사용자 그룹과 식음료 그룹 간의 매칭을 통해, 사용자에게는 매칭되는 그룹 내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식음료 카테고리에 따라 추천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식음료 제조사 또는 마케팅 대행사로서는 신규의 식음료를 출시함에 있어서, 해당 신규의 식음료가 속한 그룹과 매칭되는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matching between user groups and food and beverage groups,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belonging to the matched group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food and beverage category, and food and beverage manufacturers or marketing agencies can recommend new food and beverage product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n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y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r group that matches the group to which the new food and beverage belongs.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도록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 때,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implemented to include computer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At this time,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이러한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를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computer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본 발명에 첨부된 각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Combinations of each step in each flowchart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the processor of a general-purpose computer, special-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performed through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It creates the means to carry out these task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o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recording medium can also produce manufactured items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o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generating a process that is executed by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nstructions that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may als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each step of the flowchart.

또한,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step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containing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mbodiments it is possible for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step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step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steps may sometimes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
300: 중앙 서버
310: 통신부
320: 메모리
330: 프로세서
100: user terminal
300: central server
31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320: memory
330: processor

Claims (10)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의 맛 분석을 수행하는 중앙 서버로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고,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맛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식음료별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고,
상기 공통된 맛 특성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를 그룹화하여 식음료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식음료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 간 매칭을 수행하되, 하나의 식음료 그룹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매칭하고,
상기 맛 분석 모델은,
각 맛 영역별 수치를 노드화하고, 상기 각 맛 영역의 수치를 갖는 상기 맛 측정 데이터를 노드로 하여 상기 노드를 연결한 링크를 통해 각 노드의 거리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그래프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이 수행된 것인 중앙 서버.
As a central server that performs taste analysis of each user's preferred food and beverage,
a memory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Contains a processor,
As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Collect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food or drink preferred by each user,
Creating a user group by grouping users based on user-specific taste perception data for the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Extract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for the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measured from a taste recognition device based on a taste analysis model using a deep neural network,
Based on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grouping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to create a food and beverage group,
Perform matching between the food and beverage groups and the user groups, matching at least one user group to one food and beverage group,
The taste analysis model is,
Numerical values for each taste area are noded, the taste measurement data with the numerical value of each taste area is used as a node, and a graph neural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slope of each node is used through a link connecting the nodes. A central server on which learning is per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딥 뉴럴 네트워크는, 항목별 그래프화한 맛 측정 데이터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GNN(Graph Neural Networ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deep neural network is a central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GNN (Graph Neural Networ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te measurement data graphed for each item.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맛 인식 장치는 전자혀, 칠리 센서, 전자코 및 식감 측정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ral server, wherein the taste recognition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tongue, a chili sensor, an electronic nose, and a texture measur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는, 식음료별 사용자가 등록한 맛 영역별 인지한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 central server, wherein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preferred by each user is determined based on taste recognition data for each taste area registered by the user for each food or beverag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맛 영역은, 신맛, 짠맛, 쓴맛, 단맛, 및 감칠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맛 인지 데이터는 각 영역별 수치화된 점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According to claim 4,
The taste area includes at least one of sour, salty, bitter, sweet, and umami, and the taste recognition data includes a numerical score for each area.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을 수행한 이후, 상기 식음료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되,
상기 사용자의 입맛 변화 또는 새로운 사용자의 유입이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그룹 간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음료에 대한 맛 측정 데이터의 획득 및 신규의 식음료의 출시가 발생하면, 상기 식음료 그룹 간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서버.
According to claim 1,
After performing the matching, an update is per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ood and beverage group and the user group,
When a change in the user's taste or an influx of new users occurs, an update is performed between the user groups, and when taste measurement data for the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is acquired and a new food and beverage is released, an update is performed between the food and beverage groups. A central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도록 딥러닝에 기반하여 기 학습된 맛 분석 모델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식음료별 맛 인식 장치에 의한 맛 측정 데이터가 획득되며,
상기 공통된 맛 특성은, 상기 맛 분석 모델이 상기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추출한 것인, 중앙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memory stores a taste analysis model previously learned based on deep learning to extract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When the at least one command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taste measurement data is obtained by a taste recognition device for each food and beverage,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are extracted by the taste analysis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중앙 서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별 선호하는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으로,
사용자별 선호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사용자별 맛 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그룹화하여 사용자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맛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맛 인식 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음료에 대한 식음료별 맛 측정 데이터로부터 공통된 맛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공통된 맛 특성에 기초하여, 식음료를 그룹화하여 복수의 식음료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식음료 그룹 및 상기 사용자 그룹 간 매칭을 수행하되, 하나의 식음료 그룹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그룹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맛 분석 모델은,
각 맛 영역별 수치를 노드화하고, 상기 각 맛 영역의 수치를 갖는 상기 맛 측정 데이터를 노드로 하여 상기 노드를 연결한 링크를 통해 각 노드의 거리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그래프 신경망을 이용하여 학습이 수행된 것인를 포함하는 식음료의 맛 분석 방법.
A method of analyzing the taste of each user's preferred food and beverage performed on a central server.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food or drink preferred by each user;
Creating a user group by grouping users based on user-specific taste perception data for the at least one food or beverage;
Extracting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from taste measurement data for each food and beverage for the at least one food and beverage measured from a taste recognition device based on a taste analysis model using a deep neural network;
Grouping food and beverages based on the common taste characteristics to create a plurality of food and beverage groups; and
Performing matching between the food and beverage groups and the user groups, comprising matching at least one user group to one food and beverage group,
The taste analysis model is,
Numerical values for each taste area are noded, the taste measurement data with the numerical value of each taste area is used as a node, and a graph neural networ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and slope of each node is used through a link connecting the nodes. A method for analyzing the taste of food and beverages, including where learning is performed.
제 9 항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each step included in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KR1020230007561A 2023-01-18 2023-01-18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KR1026047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561A KR102604774B1 (en) 2023-01-18 2023-01-18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561A KR102604774B1 (en) 2023-01-18 2023-01-18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774B1 true KR102604774B1 (en) 2023-11-21

Family

ID=8898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561A KR102604774B1 (en) 2023-01-18 2023-01-18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77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374B2 (en) * 1989-11-22 1997-02-05 アンリツ株式会社 Taste detection system
KR20030045367A (en) * 2001-12-03 2003-06-11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Determination of taste and aroma using multiple array sensors
KR102132975B1 (en) 2018-11-02 2020-07-13 홍수연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restaurant based on preffered menu
KR20210032759A (en) * 2019-09-17 2021-03-25 손서영 Food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ndividual taste subjectivity analysis
KR20210075337A (en) * 2019-12-13 2021-06-23 임계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taste similarity of us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8374B2 (en) * 1989-11-22 1997-02-05 アンリツ株式会社 Taste detection system
KR20030045367A (en) * 2001-12-03 2003-06-11 주식회사 맥사이언스 Determination of taste and aroma using multiple array sensors
KR102132975B1 (en) 2018-11-02 2020-07-13 홍수연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restaurant based on preffered menu
KR20210032759A (en) * 2019-09-17 2021-03-25 손서영 Food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ndividual taste subjectivity analysis
KR20210075337A (en) * 2019-12-13 2021-06-23 임계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taste similarity of us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6459B1 (en) Recommendation system using improved neural network
US11809985B2 (en) Algorithmic apparel recommendation
TW2019353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multi-tag user portrait
KR1026120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rketing information
US10610109B2 (en) Emotion representative image to derive health rating
JP6719399B2 (en) Analysis device, analysis method, and program
JP7393060B2 (en) Personalized search method and search system combining attention mechanism
Alshmrany Adaptive learning style predic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using levy flight distribution based CNN model
CN112288554B (en) Commodity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11538907A (en) Object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CN108334861A (en) A kind of video content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achine learning
Dash et al. Building a novel classifier based on teaching learning based optimization and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s for non-imputed database with irrelevant features
Tabatabaei et al. Narrowing reinforcement learning: Overcoming the cold start problem for personalized health interventions
Xiao et al. MGNN: Mutualistic graph neural network for joint friend and item recommendation
CN113536105A (en) Recommendation model training method and device
Kaliba et al. A typology of adopters and nonadopters of improved sorghum seeds in Tanzania: A deep learning neural network approach
CN113449260A (en) Advertisement click rate prediction method, training method and device of model and storage medium
KR1026047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taste of food and beverage using biomimetic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KR102592129B1 (en) system for recommending cloth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ollier et al. Estimating propensity scores using neural networks and traditional methods: a comparative simulation study
US11481830B2 (en) Method, system and medium for user specific apparel attribute recommendation
CN116362836A (en) Agricultural product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user behavior sequence
Nilsson et al. Predictions of train delays using machine learning
KR102302411B1 (en)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trading financial instrum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tilizing biofeedback data and other types of data
Mootha et al. A Stacking Ensemble of Multi Layer Perceptrons to Predict Online Shoppers' Purchasing Int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