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209B1 -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 Google Patents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209B1
KR102601209B1 KR1020210075404A KR20210075404A KR102601209B1 KR 102601209 B1 KR102601209 B1 KR 102601209B1 KR 1020210075404 A KR1020210075404 A KR 1020210075404A KR 20210075404 A KR20210075404 A KR 20210075404A KR 102601209 B1 KR102601209 B1 KR 102601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emand
demand management
energy suppl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9549A (en
Inventor
이석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476,04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94162A1/en
Publication of KR20220039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5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에너지 소비 부하 관리 프로그램에 소비자의 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수요 관리 제어 방법 및 수요 관리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은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가 설치된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누적 형태의 소비 특성을 갖는 부하’ 대상으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전력의 동적 주문을 통한 소비자의 능동적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프로모션 방법으로, 참여 프로모션을 통해 소비자의 에너지 공급 목표 이내로 수요를 분산 관리한다. 또한,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은 에너지 수요 공급 상태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통한 인센티브를 활용하여, 변화된 비용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 및 소비자의 동적 참여를 장려 또는 홍보한다.Disclosed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an energy consumption load management program.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is a promotional method to exp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through dynamic ordering of charging power of charging load devices targeting 'loads with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energy accumulation'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wher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s are installed. , distribute and manage demand within the consumer's energy supply target through participation promotions. In addition,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utilizes incentives through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s according to energy demand and supply status to provide changed cost information to consumers and encourage or promote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Description

에너지 소비 부하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소비자의 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수요 관리 제어 방법 및 수요 관리 제어 장치{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 management program

본 발명은 에너지 소비 부하 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소비자의 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수요 관리 제어 방법 및 수요 관리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전력 용량에 부담을 주는 피크 수요의 분산 관리를 위하여 배전 관리 구역 내 복수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동적 참여를 유도하며, 이를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an energy consumption load management program, and more specifically, to distributed management of peak demand that places a burden on the power capacity of the energy supply system. For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method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a plurality of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s"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and remotely controlling them in real time.

일반적으로, 전력 시스템은 전력 공급과 수요 사이에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는 제한된 전기 에너지를 보다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전기 에너지는 공급과 수요의 균형이 매순간 민감해서 많은 공급측 투자가 요구된다. 시간대별 전력 수요량에 따른 피크 부하가 발생함에 따라, 피크 부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력 계통의 신뢰도를 확보해야 한다. 이는 공급자 측면에서 모든 부담을 해소할 것이 아니라, 수요자 측면에서 병행 관리할 경우 비용 효율이 크게 높아질 것이다.In general, power systems must balance power supply and demand to make more rational use of limited electrical energy. Electrical energy requires a lot of investment on the supply side because the balance between supply and demand is sensitive at every moment. As peak loads occur according to power demand by time, the reliability of the power system must be secured to respond to peak loads. This will not relieve all the burden on the supplier side, but if managed in parallel on the consumer side, cost efficiency will greatly increase.

이에, 전력 시스템은 피크 연계된 공급설비 투자 수요에 대한 저감효과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필요하다. 전력 시스템은 공급자 측면에서의 안정화 운영 수단에 병행하여 소비자 측면에서의 수요 관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요 관리(DM: Demand Management)는 공급자 측면이 수요자 측면의 에너지 사용 형태를 합리적으로 통제, 조정하는 계획이나 활동을 의미하며, 계통 상황에 따라 사용량을 조정함으로써 신뢰성 문제 해소의 해결이 가능하다. Accordingly, the power system requires various technologies to reduce peak-related supply facility investment demand. The power system performs demand management on the consumer side in parallel with stabilization operations measures on the supplier side. Here, Demand Management (DM) refers to a plan or activity in which the supplier side reasonably controls and adjusts the energy use pattern on the consumer side, and it is possible to solve reliability problems by adjusting the amount of usage according to the grid situation. .

수요 반응(DR: Demand Response)은 공급측의 관리 활동에 대한 수요측의 반응을 의미하며, 수요 반응 제도는 요금제 기반의 프로그램과 인센티브 기반의 프로그램으로 구분될 수 있다. Demand Response (DR) refers to the demand side's response to the supply side's management activities, and demand response systems can be divided into rate-based programs and incentive-based programs.

요금제 기반의 수요 반응 프로그램은, 시간대별 도매시장가격에 따라 요금제 적용 시간을 소비 현장에 세밀하게 적용하려면 올바른 가격 신호(price signals)와 스마트 가전기기를 확보 등, 여러 제약이 따른다. Rate-based demand response programs are subject to several limitations, such as securing the correct price signals and smart home appliances in order to apply the rate plan application time to the consumption site in detail according to the wholesale market price by time zone.

또한, 인센티브 기반의 수요 반응(Demand Response) 프로그램은 수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전에 수요감축(DR) 계약에 참여한 소비자에게 이벤트 발생시 수요감축 실적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시간의 소비를 억제, 즉 부하 감축을 실행함에 있어서 소비자의 불편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소비를 마냥 억제해서는 안된다. 그래서, 수요 관리 제도에는 년간 누적 시간 제한, 발령의 지속시간 제한 등의 운용 규칙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incentive-based Demand Response program is a method of providing incentives for demand reduction performance when an event occurs to consumers who have previously participated in a demand reduction (DR) contract in order to maintain supply and demand balance. However, when suppressing consumption at such specific times, that is, reducing the load, the consumer's inconvenienc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dditionally, consumption should not be simply suppressed to protect consumer rights and interests. Therefore, the demand management system has operating rules such as limits on cumulative time per year and limits on the duration of orders.

수요 반응을 통한 동적 제어 운용 영향력을 확대하려면, 부하감축 관리 가능한 수요 반응 자원 용량을 확대하는 수단이 필요한다. 또한, 부하감축 운영 제한조건을 개선하여 경직성을 줄인 수요 반응 자원 운영의 유연성 증대 수단도 필요하다. 여기서, 경직성이란 “부하감축 발령부터 자원의 응동 개시 시간” 및 “부하감축 적용 누적 시간” 제한을 의미한다. 만일, 수요반응 제도에 소비부하 특성을 반영할 기회가 있다면 시스템 운영에 유연한 수요 반응 자원 용량을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다.To expand the influence of dynamic control operations through demand response, a means of expanding demand response resource capacity that can manage load reduction is needed. In addition, a means of increasing the flexibility of demand response resource operation that reduces rigidity by improving load reduction operation constraints is also needed. Here, rigidity means restrictions on “resource response start time from load reduction announcement” and “load reduction application cumulative time.” If there is an opportunity to reflect consumption load characteristics in the demand response system, more flexible demand response resource capacity can be secured for system operation.

본 발명은 배전 관리 구역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 누적 형태의 소비 특성을 갖는 부하, 즉 충전에 대한 수요 관리 프로그램에 소비자의 동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rticipation promotions to induce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a demand management program for charging, that is, loads with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energy accumulation existing with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본 발명은 전력 운용 상황 기반의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개인별 상황 기반의 소비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는 수요 관리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과 경제성 향상에 기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device that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s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energy supply by proposing a demand management method that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based on individual situations by operating an incentive system that is variably determined based on the power operation situation. to provide.

본 발명은 누적 특성의 부하를 대상으로, 소비자의 참여 주문 기반의 간헐적 충전 실시간 원격 제어 사업의 확대 프로모션을 통한 유연한 수요반응 자원의 용량을 증대하는 모델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odel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flexible demand response resources through expansion and promotion of intermittent charging real-time remote control business based on consumer participation orders, targeting loads of cumulativ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plugging)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주문서를 기반으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charging order form from a user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determining a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ased on the charging order form; provid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reflec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for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controlling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controlling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는,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기 전까지 허용 가능한 전력 용량을 파악하기 위해 배전 관리 구역 내의 소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시작 시점에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charging o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onitoring the consumption status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determine the allowable power capacity until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And when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receiving a charging order at the start of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참여 프로모션을 적용하여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apply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that takes into account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time,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The period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여유 기간은, 충전 가능 기간과 요구 용량에 따른 충전 필요 기간에 따른 시간적으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을 유보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The charging spare peri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present a period during which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can be withheld according to the charging possible period and the charging required period according to the required capac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the energy supply rat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can be determined using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여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배전 관리 구역 내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managing power distribution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by reducing or suspending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occurring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The peak demand of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s within the zone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은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oviding incentives for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spare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은 배전 관리 구역에 설치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 참여 프로모션에 따른 충전 주문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동적 제어를 위한 충전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a charging load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provid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including an incentive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determining a charging schedule for dynamic control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charging orders according to participation promotions; and controlling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by reducing or suspending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step; and determining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ging spar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배전 관리 구역 내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the energy rat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using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can be dec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가변적으로 설정된 인센티브를 통해 소비자의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rovid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variably setting incentives related to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margin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and providing participation promotions to encourage consumers to recharge through variably set incentives. may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여 불연속적 충전으로 배전 관리 구역 내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rolling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or postpone charging at the peak time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to discontinuously charge the power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Peak demand within the system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전 관리 구역 내에서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주문서를 기반으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고,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receives a charging order form from a user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with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Receiving and determining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ased on the charging order, and the deman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 participation promotion reflecting the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is provided, and 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the participation promo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charging at peak times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참여 프로모션을 적용하여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remaining charging period by apply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that takes into account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배전 관리 구역 내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rat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using the charging limit and peak load distribution value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her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peak demand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by reducing or suspending charging at peak times when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배전 관리 구역에 설치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고,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참여 프로모션에 따른 충전 주문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동적 제어를 위한 충전 스케줄을 결정하고,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여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and determines the energy supply charging Provide participation promotions with incentives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to charging load devices plugged into the device, and determine a charging schedule for dynamic control of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s, taking into account charging orders according to participation promotions; , peak demand can be controlled by reducing or suspending charging during peak ho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 프로세서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고,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and determines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Considering the charging margin period,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가변적으로 설정된 인센티브를 통해 소비자의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ably sets incentives related to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margin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and provides consumer satisfaction through the variably set incentives. Participation promotions can be provided to encourage charg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peak demand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by reducing or suspending charging at peak times when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전 관리 구역 내에 있는 에너지 누적 형태의 소비 특성을 갖는 부하 대상으로 즉, 피크 부하를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하는 전력 수요 관리 사업에, 참여자 확대를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ipation promotions are provided to expand participants in a power demand management business that remotely controls peak loads in real time for loads with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the form of energy accumulation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전망의 전력 용량에 부담을 주는 피크 부하의 분산 관리가 필요할 때, 경제적 관점에서의 수요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tributed management of peak loads that burden the power capacity of the distribution network is required, demand response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can be activa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에너지 누적 특성을 갖는 부하에 대해 수요 관리에 적합한 에너지 수요 상황에 맞게 동적으로 주문 가능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자발적인 참여 주문을 확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oluntary participation orders from consumers can be expanded by providing participation promotions that can be dynamically ordered according to energy demand situations suitable for demand management for loads with energy accumula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배터리 충전과 같은 새로운 부하 특성을 활용하여, 피크 부하 때 수요관리를 위한 유연한 수요 반응 자원의 전력 용량을 확대함으로써, 배전 관리 구역 내의 피크 전력에 대한 신뢰도를 유지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iability of peak power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is maintained by utilizing new load characteristics such as battery charging to expand the power capacity of flexible demand response resources for demand management during peak loads.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소비자 참여 수단 확대를 통한 능동적 소비자 참여 주문 기반의 실시간 원격 제어는 수요반응자원의 용량을 확대하고 운영을 유연하게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던 전력DR 제도(피크감축 DR, 요금절감 DR, 국민 DR 등)에 더해지는 새로운 제도의 하나로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l-time remote control based on active consumer participation orders through expansion of consumer participation means expands the capacity of demand response resources and allows flexible adjustment of operation,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that was previously operated in Korea. It can be added as one of the new systems added to the DR system (peak reduction DR, rate reduction DR, national DR, etc.).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크 부하의 분산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기(EV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세부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제적 수요 반응에 따른 피크 부하를 분산 관리하는 효과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형태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기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의 실행 효과 및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의 조정에 의한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EV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to explain the overall operation of a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for distributed management of peak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effect of distributing and managing peak load according to economic demand respo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ger connection relationship that controls charging of a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 charg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plementation effect and response of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 of applying incentives by adjus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크 부하의 분산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전기차 충전기(EV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EV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to explain the overall operation of a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for distributed management of peak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Demand Management Controller, 또는,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는 충전 부하 장치(102)(Loads)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106)를 수신하면, 충전 주문서(106)를 기반으로 배전 관리 구역(103) 내의 에너지 공급 충전장치(104)(Charging Supply Equipment, 또는 Charger)에서 발생되는 피크 부하를 분산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107)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참여 프로모션(107)에 따른 소비자의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를 통하여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Demand Management Controller, or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receives a charging order 106 for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Loads), Based on the charging order form 106, a participation promotion 107 to distribute the peak load generated from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Charging Supply Equipment, or Charger)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103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there is. When a consumer's participation ord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romotion 107 is receive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ontrols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and supplies energy through the charging device 104. Peak demand can be controlled.

보다 구체적으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시에 소비자가 사용자 단말(105)을 통해 충전 주문서(106)를 입력되면, 충전 부하 장치(102)의 전력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충전 부하를 원격으로 제어를 위한 참여 프로모션(107)을 제공할 수 있다. 참여 프로모션(107)은 배전 관리 구역(103) 내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에서의 피크 수요를 분산하기 위한 부하 관리가 필요할 때, 동적으로 소비자의 참여 주문을 유도하기 위한 홍보 또는, 장려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sumer inputs the charging order form 106 through the user terminal 105 during charg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lculates the charging load that appears i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Participation promotions 107 for remote control may be provided. Participation promotion 107 is used to promote or encourage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when load management is needed to distribute peak demand at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103. It could be information.

또한, 참여 프로모션(107)은 소비자의 에너지 공급 목표 이내로, 배전 관리 구역의 수요를 분산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동기 부여를 위한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누적 형태 특성을 가진 부하 대상으로, 배전 관리 구역 별로 온라인을 통한 실시간 관리 제어 프로그램에 참여 프로모션(107)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articipation promotion 107 may include conditions for motivating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manage demand within the consumer's energy supply target.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107 in an online real-time management control program for each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loads with energy accumulation type characteristics.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5)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102)가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와 충전을 위해 연결된 기간 동안의 충전 부하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를 통하여 수요 관리에 참여한 소비자에게 수요 관리 기여에 관한 실적으로써, 별도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인센티브를 통해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을 유보할 수 있는 가용 기간이 길어지도록 참여 주문에 관한 충전 프로모션을 사용자 단말(105)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5,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lculates the charging load during the period when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is connected for charging with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It can be controlled in real time. At this tim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provide a separate incentive to consumers who participate in demand management through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104 as performance related to demand management.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provide a charging promotion regarding participating orders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05 so that the available period for withholding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is extended through incentives.

여기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을 유보할 수 있는 가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인센티브를 높게 측정하고, 이에, 변화된 비용 정보를 참여 프로모션에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자발적으로 수요 관리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자 측면에서 충전기 즉,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를 실시간 제어하는 구조이며,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공급자 측면의 운영에 유리하게 소비 시점 제어를 통해 불연속 충전을 시행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부하 장치(102)에 대한 불연속 충전을 시행함으로써, 배전 관리 구역 내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easures the incentive presented to the user as higher as the available period for withholding charging increases, and provides changed cost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participation promotions, allowing the user to enjoy more They can be encourag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demand managem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ontrols the charger, that is,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in real time from the supplier side, an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perform discontinuous charging through consumption point control, which is advantageous for operation on the supplier side. You can.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control peak demand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by implementing discontinuous charging for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결국,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주문서의 세부 내용, 전력 수요 및 공급 상황, 공급 정책에 대한 참여 프로모션을 반영하여 충전 에너지 공급자(104 운영자)와 충전 부하 장치(102) 간에 충전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전 거래는 공급자 측면에서의 충전 프로모션 제안과 소비자 측면에서의 충전 주문이 소비 스케쥴 관리로 협상됨에 따라 성립될 수 있으며,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이에 따른 반응 시간이 단축된 탄력적 수요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Ultimatel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reflects the details of the charging order, the power demand and supply situation, and the participation promotion for the supply policy, so that a charging transaction can be made between the charging energy provider (104 operator) and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there is. At this time, the charging transaction can be established as the charging promotion proposal on the supplier side and the charging order on the consumer side are negotiated through consumption schedule management, an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provides a flexible demand load with a shortened response time accordingly. can be controll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세부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etailed operation of each device constitu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은 크게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 및 사용자 단말(105)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기술 적용으로 충전 부하를 분산 관리함으로써, 피크 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참여를 확대 및 유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can be largely composed of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and a user terminal 105, and the charging load can be reduced by applying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distributed management, participation to control peak loads can be expanded and encouraged.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은 소비자의 참여 주문에 따라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의 충전 부하를 실시간으로 동적 제어함으로써, 피크 부하가 몰리는 시간의 수요를 보류 및 분산시켜서 전력 공급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수요 관리 제어 시스템은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의 신뢰도를 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에 따른 세부적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dynamically controls the charging loa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order of the consumer, thereby securing flexibility in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system by suspending and distributing the demand during peak load times. can do. Additionall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can be used as a means to economically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104. Below, detailed operations fo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① 수요 관리 제어 장치①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S1(201)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배전 관리 구역(103)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 각각의 에너지 공급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공급 목표는 각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서 시간 대비 공급 가능한 전체 전력 용량에 대비하여 충전 부하 장치(102)로의 공급 가능한 충전 전력 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각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에 설정된 에너지 공급 목표를 기반으로 수요 관리에 참여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기계 학습을 통한 최적의 운영 값이 결정되면, 공급 설비 운영자에 의해 최종적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In S1 (201),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set an energy supply target for each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s 104 existing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103. Here, the energy supply target may mean the charging power capacity that can be supplied to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compared to the total power capacity that can be supplied per time from each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participating in demand management based on the energy supply target set for each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At this time, once the optimal operating valu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is determined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final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may be determined by the supply facility operator.

S2(202)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105)로부터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기 전까지 허용 가능한 전력 용량을 파악하기 위해 배전 관리 구역의 소비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지난 경험 데이터로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의 소비 상태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시작 시점에 충전 주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In S2 (202),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receive a charging order form from the user terminal 105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At this tim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monitor the consumption status of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determine the allowable power capacity before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or may predict demand using past experience data. When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receive a charging order at the start of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state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S3(203)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주문서에 기반한 에너지 비용에 대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수요 공급 상태에 따른 인센티브에 적용되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운영 및 변화된 비용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요 관리 프로그램의 참여를 장려 또는 홍보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in S3 203 may provide participation promotions for energy costs based on the charging order.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determines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You can judg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according to the charging spar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encourage or promote participation in a demand management program by operating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pplied to incentives according to energy demand and supply status and providing changed cost information to consumers.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인센티브 및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determine incentives for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spare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reflecting incentives and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s to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소비자가 주문하고 주문 기간 동안 공급자가 소비측 부하를 원격 제어하는 에너지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수요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효 제어 기간이 길어지도록 유도하는 상황 기반의 가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동적 주문 방식의 충전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use an energy demand management program in which a consumer places an order and the supplier remotely controls the consumption load during the order perio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use an energy demand management program to provide charging promotion in a dynamic ordering manner that provides situation-based variable incentives that induce a longer effective control period.

S4(204)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수요 공급에 관한 빅데이터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기계 학습한 최적의 인센티브를 제공으로, 수요 관리를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통해 에너지 공급 목표 이내로 수요를 분산 관리할 수 있다.In S4 (204), 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ontrols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manages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You can control it.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provides optimal incentives by machine learn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using big data on energy demand and supply, and can distribute and manage demand within the energy supply target through participation promotion for demand management. .

② 사용자 단말② User terminal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105)"은 충전 주문을 위한 정보 입출력 수단이며, "충전 부하 장치" 사용자의 모바일 폰 사용 방법과 충전기에 내장된 유저 인터페이스(MMI, Man Machine Interface) 사용 방법 등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user terminal 105” is an information input/output means for charging orders, and “charging load device” refers to how the user uses the mobile phone and how to use the user interface (MMI, Man Machine Interface) built into the charger. do.

S1(205)에서 사용자 단말(105)은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에 전달할 수 있다. 충전 주문서는 충전가능 시작점, 충전가능 기간, 전류 크기, 요구 용량, 소비자 ID, 배전 관리구역 ID 및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In S1 (205), the user terminal 105 may transmit a charging order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The charging order may include a chargeable starting point, a chargeable period, current magnitude, required capacity, consumer ID,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ID, and I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S2(206)에서 사용자 단말(105)은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로부터 충전 주문서에 관한 참여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5)은 참여 프로모션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충전 부하 장치를 충전하는데 소비되는 시간 및 예상 비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5)은 참여 프로모션에 동의를 나타내는 참여 주문을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에 전달할 수 있다.In S2 (206), the user terminal 105 may receive participation promo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rging order form from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The user terminal 105 can check the time and expected cost required to charge the charging load device through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articipation promotion. The user terminal 105 may transmit a participation order indicating consent to the participation promotion to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S3(207)에서 사용자 단말(105)은 충전 부하 장치를 충전하는 과정에서의 에너지 사용에 관한 실적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In S3 (207), the user terminal 105 can inquire performance information regarding energy use in the process of charging the charging load device.

③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③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S1(208)에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는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부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충전 부하 장치로 에너지를 충전시킬 수 있다.In S1 (208),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can charge energy to the charging load device by supplying power to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S2(209)에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104)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로부터 전달된 동적 소비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을 불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In S2 (209),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104 may discontinuously control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n response to the dynamic consump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S3(210)에서 에너지 공급 충전장치(104)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에 의한 참여 주문에 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In S3 (210), information regarding participation orders b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be input to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104.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제적 수요 반응에 따른 피크 부하를 분산 관리하는 효과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effect of distributing and managing peak load according to economic demand respon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비 전력은 시간에 따라 변동되며, 에너지 설비는 소비자가 이용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일례로, 보통의 주택 배전 설비는 3kW 기준을 참조하여 시공되며, 공장, 빌딩, 아파트의 에너지 설비는 기 예상된 수요 용량을 참조하여 시공된다. 또한, 에너지 발전 설비는 매 시점에 필요한 용량으로 운영되며, 에너지 급전 설비는 허용 피크 값을 넘을 경우에 과부하로 판단하여 급전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에너지 설비 여유 확보에 많은 투자가 요구된다. 이에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허용 가능한 피크 용량은 미리 산정된 전력 사용량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Power consumption fluctuates over time, and energy facilities must be able to supply the power consumed by consumers. For example, ordinary residential distribution facilities are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3kW standard, and energy facilities for factories, buildings, and apartments are 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the expected demand capacity. In addition, energy generation facilities are operated at the required capacity at each point in time, and energy supply facilities are configured to cut off power supply by judging it as overload when the allowable peak value is exceeded. A lot of investment is required to secure energy facilities. Accordingly, the allowable peak capacity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e-calculated power usage.

이에, 본 발명은 도 3의 그래프를 통한 연속 소비 방식과 불연속 소비 방식을 비교하여 피크 부하를 분산 관리하기에 효율적인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w an efficient method for distributing and managing the peak load by comparing the 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and the dis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through the graph of FIG. 3.

도 3의 (a)의 그래프는 연속 소비 방식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허용 가능한 피크 용량에 대비하여 전력 소비 시간을 나타낸 도표이다. 연속 소비 방식은 특정 시간대에 복수의 충전 부하 장치로부터 충전 요청이 편중된 경우로써,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들의 충전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속 소비 방식은 충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 부하 이외에도 충전 부하의 용량이 일시적으로 집중됨에 따른 새로운 설비 허용 크기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설비 허용 크기는 충전 부하와 일반 부하가 누적된 형태로 부하 중첩으로 인해 증가된 피크 부하를 나타낼 수 있다.The graph in (a) of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power consumption time compared to the allowable peak capacity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The 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is a case in which charging requests from a plurality of charging load devices are concentrated in a specific time perio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arging load of the charging load devices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s generated.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 the 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in addition to the general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a new facility allowable size is created as the capacity of the charging load is temporarily concentrated. Here, the new facility allowable size may represent an increased peak load due to load overlap in the form of an accumulation of charging load and general load.

또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소비 시간을 살펴보면, 연속 소비 방식은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충전 부하 장치가 플러깅 되면, 플러깅 된 즉시 연속적인 소비 피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연속 소비 방식은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이 완료된 이후에도 충전 부하 장치가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연결된 상태임에 따라 이로 인한 접속 부하 또는, 대기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Additionally, looking at the consumption time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n the 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when a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 continuous consumption peak occurs as soon as it is plugged. In addition, in the 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the charging load device is connected 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even after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completed, resulting in a connection load or standby load.

반면, 도 3의 (b)의 그래프는 불연속 소비 방식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허용 가능한 피크 용량에 대비하여 전력 소비 시간을 나타낸 도표이다. 불연속 소비 방식은 특정 시간대를 회피하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연결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기반으로 고르게 분산된 경우로써,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들의 충전 부하가 발생하더라도 피크 부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불연속 소비 방식은 일반 부하를 참조하여 최대 피크 값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의 충전 부하가 발생함에 따라, 소비자의 에너지 공급 목표 이내로 수요를 분산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raph in (b) of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power consumption time compared to the allowable peak capacity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dis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The dis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avoids specific time periods and is evenly distributed based on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s connected 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Even if the charging load of the charging load devices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occurs, the peak load It can be confirmed that does not exceed the preset threshold. In addition, the dis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generates a charging load that does not exceed the maximum peak value by referring to the general load, so that demand can be distributed and managed within the consumer's energy supply target.

본 발명은 불연속 충전 방식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능동적 참여 주문 기반의 충전 부하에 대한 수요 관리를 제어함으로써, 에너지 공급측에서 원격지 부하의 소비 시점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크 수요를 완화함으로써, 배전 관리 구역 단위의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demand management for charging loads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orders from consumers based on a discontinuous charging method, allowing the energy supply side to directly control the consumption timing of remote load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t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level by alleviating peak deman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형태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을 제어하는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 charging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충전 주문서(106)에 기반한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주문서(106)는 충전 가능 시작점, 충전가능 기간, 전류 크기, 요구 용량(총 면적) 및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ID(socket outlet 식별ID, in-cable box 501 식별ID)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based on the charging order form 106 is receive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ontrols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and energy The peak demand of supply and charging devices can be controlled. Here, the charging order form 106 may include a chargeable starting point, a chargeable period, current size, required capacity (total area), and an ID (socket outlet identification ID, in-cable box 501 identification I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ere is.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소비자의 참여 주문 기반의 간헐적인 자동 수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불연속 소비 방식을 기반으로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102)의 속성을 고려하여 충전 스케줄을 조정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perform intermittent automatic demand management based on consumer participation orders. In other words,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control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based on the discontinuous consumption metho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adjust the charging schedule by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plugged charging load device 102.

일례로, 충전 부하 장치(102)의 종류는 AC 완속 충전 전기차이며,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 인프라는 level 1,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 모드는 ‘IEC Mode 2’,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기 연결 방법은 ‘case B’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에너지 공급 충전장치의 종류를 “전기차 이동형 충전기” 또는 “과금형 휴대용 충전기” 또는 "과금형 콘센트 충전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후,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지시를 내려, AC완속 충전 전기차를 주요대상으로 충전 모드 ‘IEC Mode 2’에 따라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ype of charging load device 102 is an AC slow charging electric vehicle, the charging infrastructur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is level 1, and the charging mod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is 'IEC Mode 2'. The charger connection method in (102) may be 'case B'.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ype of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can be divided into “electric vehicle mobile charger”, “charging type portable charger”, or “charging type outlet charger”. Afterwards,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issue instructions 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nd control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according to the charging mode ‘IEC Mode 2’, mainly targeting AC slow charging electric vehicles.

이때, "에너지 공급을 위한 충전 장치"는 케이블 박스(501, in-cable-bo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박스(501)는 충전 부하 장치(102)의 충전 여부에 대한 원격 충전 제어 및 감시하며, 누전 차단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rging device for energy supply” may include a cable box 501 (in-cable-box). Here, the cable box 501 remotely controls and monitors whether the charging load device 102 is being charged, and may function as an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의 실행 효과 및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mplementation effect and response of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a), (b)를 참고하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수요 관리에 관한 소비자의 참여 주문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 내 여유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인센티브 가중치 반응을 통한 소비측 변화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여유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에너지 비용에 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운영함으로써, 수요 관리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5 (a) and (b),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secure spare capacity in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onsumer's order for participation in demand management. In other words,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secure spare capacity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by changing the consumption side through incentive weight respons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increase the demand management effect by opera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to the energy cost.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수요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소비자에게 관리 기여 실적에 대한 인센티브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의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여유 기간’이 길수록 소비 분산 운용에 유리함에 따라, 충전 여유 기간에 비례하여 인센티브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소비자의 참여 주문이 많아지도록 별도의 인센티브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여유 기간 및 인센티브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to consumers who participate in the demand management program as an incentive for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er the ‘charging margin period’ included in the consumer’s charging order,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distribute consumption, and thus the incentive can be measured in proportion to the charging margin period. Accordingl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present a separate incentive to increase consumers' participating orders. Here, the charging margin period and incentive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1 below.

위와 같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공급측의 ‘수요관리 기여 가중치’ 제시를 통한 가변 인센티브로 참여자 확대를 유도하는 방안과 아울러, 소비자들에게 인센티브 및 에너지 비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홍보를 통한 수요관리 프로그램 참여자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As abov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induces the expansion of participants with variable incentives by presenting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n the supply side, and provides incentives and energy cost information to consumers to increase demand through promotion. It can lead to the expansion of management program participants.

도 5의 (c)를 참고하면,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는 공급설비 한계와 피크 부하 분산 가치를 ‘수요관리 기여 가중치’로 산정하는 방법과,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 기록 빅 데이터로 수요 예측 값에 따른 ‘공급설비 여유 용량’ 과 ‘수요관리 기여 가중치’의 관계 학습으로 산정하는 방법으로 나뉠 수 있다.Referring to (c) of FIG. 5,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may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to more efficiently operate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s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i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supply facility limit and peak load distribution value a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nd the 'supply facility spare capacity' according to the demand forecast value using big data on the operation records of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s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It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of calculating by lea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 and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일례로,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실시 예로, 본 발명은 빌딩, 아파트, 타운 등의 전기관리실에서의 공급설비 피크 부담 완화를 위한 전기차(EV) 충전 시점 관리 운영 시스템 등을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n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point management operation system to alleviate the peak load on supply facilities in electricity management rooms of buildings, apartments, towns, etc. Available.

도 5의 (c)의 그래프를 보면, 소비(x)가 증가함에 따라 “공급설비 여유 용량(y0)”은 감소되며, 수요관리 기여 가중치(D)를 운영함에 따른 “추가된 여유 용량(y2)”이 발생하여, 실용 가능한 공급설비 여유 용량 (yT)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Looking at the graph in (c) of Figure 5, as consumption (x) increases, “supply facility spare capacity (y 0 )” decreases, and “added spare capacity (y 0)” is reduced by opera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D). y 2 )” occur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sable supply facility spare capacity (y T ) increases. This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수요관리 기여 가중치의 운용에 따라서 발생되는 여유 용량(y2)에 의한 공급설비 관리 비용 가치와, 기여 가중치 확대 시행으로 지출되는 인센티브 비용을 비교하여, 수요관리 기여 가중치를 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실시간 요금 운용 및 수요관리를 위한 시스템에서 기여 가중치를 산정하고 공급설비 운영자가 실행을 결정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ompares the supply facility management cost value due to the spare capacity (y 2 )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nd the incentive cost incurred by expanding the contribution weight, and determine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calculate the contribution weight in a system for real-time rat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and provide information to the supply facility operator to determine execution.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기 확보된 에너지 수요공급 데이터로 ‘인센티브 가중치’ 운영 결과를 기계학습하여 최적의 운영 값을 구하고, 공급설비 운영자가 실행을 결정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요 관리 제어 장치(101)는 그 반응 결과를 활용하여 소비자와 공급자의 최적 협상 안을 찾도록 개선할 수 있다.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machine learn the ‘incentive weight’ operation results using previously secured energy demand and supply data to obtain the optimal operation value and provide it to the supply facility operator to determine execution. Additionall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101 can utilize the response results to find an optimal negotiation pla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supplier.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의 조정에 의한 인센티브를 적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 of applying incentives by adjus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601)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기존에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서 측정된 운영 값을 이용하여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In step 601,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set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set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using operating values previously measured from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단계(602)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에너지 비용을 홍보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주문서를 기반으로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서 공급 가능한 전력 운용을 위한 수요반응 자원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At step 602,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promote energy prices that include incentives.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receive a charging order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can secure demand response resource capacity for power operation that can be supplied from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s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charging order.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that reflect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단계(603)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소비자의 참여 주문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 내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603,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charging is possible within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consumer's participation order.

충전 여유 기간 내 충전이 가능한 경우(Yes), 단계(604)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인센티브를 적용한 에너지를 충전 부하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If charging is possible within the charging margin period (Yes), in step 604,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supply energy to which incentives are applied to the charging load device.

충전 여유 기간 내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No), 단계(605)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소비자의 참여 주문에 의한 수요 반응 자원의 용량 목표를 재 수립할 수 있다.If charging is not possible within the charging margin period (No), in step 605,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re-establish the capacity target of the demand response resource by the consumer's participation order.

단계(606)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수요 반응 자원의 용량 목표와 공급 여부 용량이 확보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606,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capacity target of the demand response resource and whether supply capacity has been secured.

용량이 확보된 경우, 단계(608)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조정하여 인센티브를 감소 작용한 에너지를 충전 부하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If capacity is secured, in step 608,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adjust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to supply energy with reduced incentives to the charging load device.

용량이 확보되지 않은 경우, 단계(607)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조정하여 인센티브를 증가 작용한 에너지를 충전 부하 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If capacity is not secured, in step 607,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adjust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to supply energy that increases the incentive to the charging load device.

본 발명은 이외에도 마이크로 그리드 망의 자립성 측면에서도 본 기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자세하게, 기존의 전력 공급 방식은, 대규모 중앙 발전소에서 생산하고 고압 전송하는 형태였고, 최근에 소비자 인근지역 소규모 독립적 분산발전원으로 자급 방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럴 경우에는 독립적으로 전력의 생산 및 저장으로 안정적 수급이 가능해야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erms of independence of microgrid networks. In detail, the existing power supply method was produced by a large-scale central power plant and transmitted at high voltage, but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self-sufficiency through small-scale independent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ources near consumers. In this case, stable supply and demand must be possible through independent production and storage of electricity.

이에, 에너지 클라우드의 자립 강화 측면에서 에너지 수요공급 균형화 수단이 여러가지 병렬적으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클라우드는 내부에 에너지 생산설비와 소비 부하를 포함하고 있는 형태이며, 소비 측면에서의 접근 방법을 통한 경제적인 운용 비용 절감 수단의 하나로, 본 누적 형태의 에너지 소비 부하에 대한 실시간 원격 제어 수요 관리를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 self-reliance of the energy clou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parallel to various energy supply and demand balancing means. This energy cloud contains internal energy production facilities and consumption loads, and is one of the means of reducing economic operating costs through a consumption-side approach. It is a real-time remote control demand management for the accumulated energy consumption load. You can use .

여기서, 에너지 클라우드의 운영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 에너지 설비 효율 개선 / ① 에너지원 확보 / ② ESS 충전방전 / ③ 수요반응에 의한 부하 감축(DR)의 영향력을 키워야 한다. 이때, ⓞ, ①, ② 관련 설비를 증설하려면 설비 증설 투자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지만, ③은 공급설비를 증설하지 않고도 피크부하 분산을 통한 경제적인 운영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제어 용량 확대를 통해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자립에 활용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tional independence of the energy cloud, the influence of ⓞ improving energy facility efficiency / ① securing energy sources / ② ESS charging and discharging / ③ load reduction (DR) through demand response must be increased. At this time, expanding the related facilities ⓞ, ①, and ② requires a large investment in facility expansion, but ③ can be an economical means of operation through peak load distribution without expanding supply facilities. Accordingly, the control capacity expans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self-reliance in microgrid operation.

또한, 이외에도 본 발명은 신재생 에너지 및 분산형 전원을 포함하는 전력시스템의 출력 안정화 수단에 활용할 수 있다. 자세하게, 화석연료 사용 저감화 측면에서 공급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대표적 신재생에너지인 풍력 발전이나 태양광 발전은 출력 공급 특성이 자연 환경에 따라 들쑥날쑥하다. 공급출력의 간헐성 때문에 신뢰성 확보가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매번 일정한 양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발전하는게 아니라, 자연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출력이 불균일하기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 및 분산형 전원 연계 증가에 따라 전력시스템이 상당한 변화에 노출되어 신뢰성 확보를 위한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eans of stabilizing the output of a power system including renewable energy and distributed power sources. In detail, the output supply characteristics of wind pow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new renewable energies whose supply role is increasing in terms of reducing fossil fuel use, vary depending on the natural environment. Securing reliability can be said to be a challenge due to the intermittency of supply output. This is because it does not stably generate a certain amount of electricity every time, but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resulting in uneven output. As renewable energy and distributed power sources increase, the power system is exposed to significant changes, requiring investment to ensure reliability.

이에, 출력의 간헐성(intermittent)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그 생산 용량에 따른 충분한 충전방전시스템(ESS) 등과 같은 안정화 보완 설비를 확보하고 운영해야 한다. 공급 위주 투자에만 의지하기보다는 수요측면의 안정화 수단을 병행하는 방안도 있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해 발생하는 신뢰도 확보 문제를 공급자 측면이 아닌 수요자 측면에서 해소하자는 경제적 요구도 커지고 있다.Accordingl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termittent output, it is necessary to secure and operate stabilizing and complementary facilities such as sufficient charging and discharging systems (ES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capacity.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supply-oriented investment, there is also a plan to combine demand-side stabilization measures. There is also a growing economic demand to solve the reliability problem arising from the expans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from the consumer side rather than the supplier side.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에너지 공급의 변동 상태를 유연하게 연계하고 반영할 수 있는 수요관리 기술이 적용된다면, 그에 비례하여 공급측의 투자비용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if the demand management technology that can flexibly link and reflect the fluctuating state of energy supply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investment cost on the supply side can be reduced proportionally.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701)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기 전까지 허용 가능한 전력 용량을 파악하기 위해 배전 관리 구역의 소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면, 소비 상태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시작 시점에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 주문서를 수신할 수 있다.In step 701,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receive a charging order for supplying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with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from the user terminal.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can monitor the consumption status of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determine the allowable power capacity before charging load devices are plugged. When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receive a charging order form from the user terminal at the start of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state.

단계(702)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주문서를 기반으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참여 프로모션을 적용하여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여유 기간은 충전 가능 기간과 요구 용량에 따른 충전 필요 기간에 따른 시간적으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을 유보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낼 수 있다.In step 702,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ased on the charging order.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charging spare period by apply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that takes into account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Here, the charging spare period may represent a period during which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can be withheld according to the charging possible period and the charging required period according to the required capacity.

단계(703)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에 따른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결정된 인센티브가 포함된 참여 프로모션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In step 703,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that reflect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spar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use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to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charg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incentives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according to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including a determined incentive to the user terminal.

단계(704)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중단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In step 704, 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controls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can control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ere is.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stops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an control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요 관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Figur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801)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배전 관리 구역에 설치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In step 801,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y considering the charging spar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t this tim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use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to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charg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단계(802)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가변적으로 설정된 인센티브를 통해 소비자의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In step 802,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provide a participation promotion including an incentive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 to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variably set incentives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margin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provide participation promotions to induce charging of consumers through variably set incentives.

단계(803)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참여 프로모션에 따른 충전 주문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동적 제어를 위한 충전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In step 803,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a charging schedule for dynamic control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y considering the charging ord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romotion.

단계(804)에서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참여 프로모션에 따른 충전 주문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동적 제어를 위한 충전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수요 관리 제어 장치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중단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In step 804,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may determine a charging schedule for dynamic control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y considering the charging ord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romotion. The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stops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an control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magnetic storage media, optical read media, and digital storage media.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digital electronic circuitry, or in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combinations thereof. Implementations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product, i.e., an information carrier, e.g., machine-readable storage, for processing by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data processing device, e.g., a programmable processor, a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tangibly embodied in a device (computer-readable medium) or a radio signal. Computer programs, such as the computer program(s) described above, may be written in any form of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compiled or interpreted languages, and may be written as a stand-alone program or as a module, component, subroutine, or part of a computing environment. It can be deployed in any form, including as other units suitable for us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deployed for processing on one computer or multiple computers at one site or distributed across multiple sites and interconnected by a communications network.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Processors suitable for processing computer programs include, by way of example, both general-purpose and special-purpose microprocessors, and any one or more processors of any type of digital computer. Typically, a processor will receive instructions and data from read-only memory or random access memory, or both. Elements of a computer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hat executes instructions and one or more memory devices that store instructions and data. Generally, a computer may include one or more mass storage devices that store data, such as magnetic, magneto-optical disks, or optical disks, receive data from, transmit data to, or both. It can also be combined to make . Information carriers suitable for embody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 for examp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and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 optical media such as DVD (Digital Video Disk),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 ROM (Read Only Memory), RAM ,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The processor and memory may be supplemented by or included in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ry.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can include both computer storage media and transmission media.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contains details of numerous specific implementation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ations on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what may be claimed, but rather as descriptions of features that may be unique to particular embodiments of particular inventions. It must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individual embodiments may also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may be described as operating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initially claimed as such,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at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may be a sub-combination. It can be changed to a variant of a sub-combination.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particular order, thi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that those operations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of the depic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to obtain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Additionally, the separation of various device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devices may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must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1: 수요 관리 제어 장치(Energy Demand Management Controller, Energy Demand Management System)
102: 충전 부하 장치(ex,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103: 배전 관리 구역(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Area)
104: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ex. 전기차 충전기(Charging Supply Equipment, EV Charging Supply Equipment, EV Charger))
105: 사용자 단말(ex. 충전 주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Mobile Phone or EV Charging Supply Equipment User Interface)
106: 충전 주문서
107: 참여 프로모션
101: Energy Demand Management Controller (Energy Demand Management System)
102: Charging load device (ex, electric vehicle (EV, Electric Vehicle))
103: Distribution Network Management Area
104: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ex. Charging Supply Equipment, EV Charging Supply Equipment, EV Charger)
105: User terminal (ex. Mobile Phone or EV Charging Supply Equipment User Interface where charging order information can be entered)
106: Charging order form
107: Participation Promotion

Claims (20)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로부터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주문서를 기반으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중단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In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Receiving, by the processor, a charging order form from a user to supply power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charging margin period of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based on the charging order form;
providing, by the processor, a participation promotion reflect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When the processor receives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from the user, controlling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controlling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stops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ontrols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기 전까지 허용 가능한 전력 용량을 파악하기 위해 배전 관리 구역의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또는, 예측하는 단계; 및
충전 부하 장치의 전원이 플러깅 되면, 상기 프로세서가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시작 시점에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receiving the charging order is,
Monitoring or predicting, by the processor, the load status of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to determine the allowable power capacity until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and
When the power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plugged, the processor receiving a charging order at the start of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determines a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a charging availability point, a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a current size, and a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여유 기간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가능 기간과 요구 용량에 따른 충전 필요 기간에 따른 시간적으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을 유보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내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harging reserve period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that indicates a period during which the processor can reserve charging of the charging load device temporally according to the charging available period and the charging required period according to the required capac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providing the participation promotion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uses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to determine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charg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결정된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참여 프로모션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providing the participation promotion is,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n incentive for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by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margin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and
providing, by the process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incentive to a user terminal;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배전 관리 구역에 설치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참여 프로모션에 따른 충전 주문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동적 제어를 위한 충전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중단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In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performed by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a charging load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a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providing, by the process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ncluding incentives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to a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charging schedule for dynamic control of an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a charging ord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romotion; and
The processor controlling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by controlling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Includ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stops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ontrols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is,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harging availability point, a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a current size, and a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and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compri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is,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uses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to determine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charg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가변적으로 설정된 인센티브를 통해 소비자의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요 관리 제어 방법.
According to clause 8,
The step of providing the participation promotion is,
the processor variably setting incentives related to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margin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and
providing, by the processor, a participation promotion to induce charging of consumers through the variably set incentive;
A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comprising: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로부터 배전 관리 구역 내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주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충전 주문서를 기반으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고,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가 반영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참여 프로모션에 대한 참여 주문이 수신되면,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중단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
Receive a charging order form from the user terminal to supply power to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Based on the charging order form, determine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Provid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that reflects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When a participation order for a participation promo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processor controls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a charging schedule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nd controls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e processor,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stops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ontrols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한 참여 프로모션을 적용하여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processor,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the remaining charging period by applying a participation promotion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충전 한계와 피크 부하의 분산 가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요금 운용 및 수요 관리를 위한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processor,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for charge operation and demand managemen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using the charging limit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and the distribution value of the peak load.
삭제delete 배전 관리 구역에 설치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고,
상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에 플러깅 된 충전 부하 장치에 에너지 비용에 따른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포함하는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고,
상기 참여 프로모션에 따른 충전 주문을 고려하여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동적 제어를 위한 충전 스케줄을 결정하고,
상기 충전 스케줄에 따라 피크 시간의 충전을 감축 또는 유보하며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스케줄에 따라 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전 부하가 발생되는 피크 시간의 충전을 중단하며 불연속적 충전을 통한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피크 수요를 제어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
Determine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management area,
Providing participation promotions including incentives regarding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nergy costs to charging load devices plugged into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Determine a charging schedule for dynamic control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ging ord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promotion,
A processor that reduces or suspends charging at peak time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ontrols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and charging device.
Including,
The processor,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stops charging at peak times when the charging load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process occurs according to the charging schedule and controls the peak demand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through discontinuous charging.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충전 주문서에 포함된 충전 가능 시점, 충전 가능 기간, 전류 크기 및 요구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을 판단하고,
상기 충전 부하 장치의 충전 여유 기간에 따른 에너지 공급 충전 장치의 운용에 관한 충전 부하 장치의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processor,
Determine the charging margin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availability point, charging availability period, current size, and required capacity included in the charging order,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determines a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of the charging load device for operation of the energy suppl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charging reserve period of the charging load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 관리 기여 가중치, 충전 여유 기간 및 충전 주문 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관리 기여 실적에 관한 인센티브를 가변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가변적으로 설정된 인센티브를 통해 소비자의 충전을 유도하기 위한 참여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수요 관리 제어 장치.
According to clause 17,
The processor,
variably set incentives related to management contribution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the demand management contribution weight, charging margin period, and charging order capacity;
A demand management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participation promotions to induce charging of consumers through the variably set incentives.
삭제delete
KR1020210075404A 2020-09-21 2021-06-10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KR1026012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76,046 US20220094162A1 (en) 2020-09-21 2021-09-15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21363 2020-09-21
KR1020200121363 202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549A KR20220039549A (en) 2022-03-29
KR102601209B1 true KR102601209B1 (en) 2023-11-13

Family

ID=8099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404A KR102601209B1 (en) 2020-09-21 2021-06-10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5646A1 (en) * 2011-03-15 2012-09-20 Siemens Industry, Inc. Network as Automation Platform for Collaborative E-Car Charging at the Residential Premises
JP5661195B2 (en) * 2011-10-20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ar charge control device and car charge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038A (en) * 2013-01-02 2014-07-14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system of power demand management in 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vehicle
KR20150048262A (en) * 2013-10-24 2015-05-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harging scheduling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 for apartment hou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35646A1 (en) * 2011-03-15 2012-09-20 Siemens Industry, Inc. Network as Automation Platform for Collaborative E-Car Charging at the Residential Premises
JP5661195B2 (en) * 2011-10-20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Car charge control device and car charge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549A (en)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id et al. Managing electric flexibility from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 review of incentives for market design
Adika et al. Autonomous appliance scheduling for household energy management
Sechilariu et al. Supervision control for optimal energy cost management in DC microgrid: Design and simulation
US9893526B2 (en) Networked power management and demand response
CN109937431B (en) Schedul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managing power supply/demand
US20210021126A1 (en) Data center energy management system
US20150295423A1 (en) Battery controller, management system, battery control method, battery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CN112529271B (en) Optimized scheduling method for providing standby auxiliary service of power grid by controllable load cluster
KR20210100699A (en) hybrid power plant
CN113557647A (en) Grid edge controller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Zalzar et al. A smart charging algorithm for integration of EVs in providing primary reserve as manageable demand‐side resources
US20220094162A1 (en)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KR102601209B1 (en) Demand manageme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ing dynamic participation of consumers in energy consumption loads management program
JP6922570B2 (en) Processing equipment, processing methods and programs
US20230259086A1 (en) Adaptive Knowledge-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s Santos et al. Prediction-based economic dispatch and online optimization for grid-connected DC microgrid
JP7092558B2 (en) Power demand adjustment device, power demand adjustment system, power demand adjustment method and power demand adjustment program
Chavez et al. A Review of Unpredictable Renewable Energy Sources Through Electric Vehicles on Islands
De Oliveira et al. Dynamic Pricing for Electric Fleet Vehicle Recharge at Semi-Fast Charging Stations
Rajapandiyan et al. Energy management in distribution system due to the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powered EV charging infrastructures
KR102517454B1 (en) Dynamic charging demand response method, dynamic charging demand control method based on consumer order and, demand management control system
JP7048568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CN117674300B (en) Virtual power plant resource scheduling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WO2021132583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WO2021132584A1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