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27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273B1
KR102599273B1 KR1020230108515A KR20230108515A KR102599273B1 KR 102599273 B1 KR102599273 B1 KR 102599273B1 KR 1020230108515 A KR1020230108515 A KR 1020230108515A KR 20230108515 A KR20230108515 A KR 20230108515A KR 102599273 B1 KR102599273 B1 KR 10259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priority
road
main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8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7946A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273B1/en
Publication of KR2023012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3Systems involving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passive traffic signs by mean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9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nother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도로의 합류 지점에서,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우선순위 정보와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되, 상기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로서,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하여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 및 주행속도를 바탕으로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추가 설정하여,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ies of vehicles at a road merging point, and includes a server that sets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ry from a feeder road to a main road, wherein the serv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priorities of vehicles on the road. At the merging point, driving priorities are set for each vehicle to enter the main road, including entry priority information and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and as th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branch road is set. By comparing the arrival times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is set as the first priority, and the vehicle with the faster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is set as the 2nd priority based on the entry angle and driving speed to the main road. A fourth priority is additionally set and provided to vehicle terminals and traffic control systems.

Figure R1020230108515
Figure R1020230108515

Description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joining poi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본 발명은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선 도로가 본선 도로에 합류되는 지점의 일정 구간에서 미리 지정된 조건에 따라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정체 현상을 해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ing poin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point where a feeder road merges with a main road. It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a road merge point, which allows resolving or alleviating vehicle congestion by controlling the priority of entering vehicles.

일반적으로 도로는 두 지점 간에 사람과 물자를 경제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만든 시설로서, 사람이나 차량이 다닐 수 있게 만든 길을 의미하지만, 최근에는 인도와 차도로 구분하여, 차량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만든 길을 주로 의미한다.In general, a road is a facility created to economically move people and goods between two points. It refers to a road made for people or vehicles to travel, but recently it has been divided into sidewalks and roads, allowing vehicles to drive comfortably and safely. It mainly refers to the road that was created.

이러한 도로는 형태, 규모,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도로(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선 도로)에서 복수의 도로(즉, 본 실시예에서는 지선 도로)로 분기되거나, 복수의 도로(즉, 지선 도로)가 하나의 도로(즉, 본선 도로)로 합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road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ir shape, size, and function. Basically, they branch from one road (i.e., main road in this embodiment) into multiple roads (i.e., feeder roads in this embodiment). Alternatively, it is common for multiple roads (i.e., feeder roads) to merge into one road (i.e., main road).

그런데 상기 분기 지점에서는 차량의 정체 현상이 발생하지 않지만, 지선 도로와 본선 도로가 합류되는 합류 지점의 일정 구간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However, vehicle congestion does not occur at the branch point, but vehicle congestion often occurs at a certain section of the convergence point where the feeder road and the main road merge, as shown in FIG. 1.

이때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각 지선 도로의 차량이 규칙에 따라 순차로 번갈아가며 본선 도로에 진입할 경우에는 정체 현상이 개선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 앞으로 다른 차량이 끼어들도록 양보하지 않거나, 자신의 차량을 다른 차량 앞으로 무조건 끼어들기를 하는 등,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특정 지선 도로의 차량만 일방적으로 본선 도로에 진입하거나, 운전에 자신이 없는 운전자가 눈치 보기를 하다가 본선 도로의 진입이 늦어져 정체 현상이 더 증가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congestion may be improved if vehicles from each feeder road entering the main road take turns entering the main road according to rules, but drivers usually do not give way to allow other vehicles to cut in front of their vehicle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river's inclination, such as putting their vehicle in front of another vehicle, but only vehicles on a specific feeder road unilaterally enter the main road, or drivers who are not confident in driving are cautious and end up on the main road. There is a problem that congestion may further increase due to delayed entry.

더구나 자율 주행 차량의 경우에는 합류 지점에서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해 주지 않을 경우 정체 현상이 더 심해지거나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self-driving vehicles, if priority is not set for entering the main road at the merging point, congestion may worsen or a collision accident may occur while entering the main road.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025235호(2004.03.24. 공개, 차량자동감지 교통신호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25235 (published on March 24, 2004, traffic signal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vehicle detec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지선 도로가 본선 도로에 합류되는 지점의 일정 구간에서 미리 지정된 조건에 따라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정체 현상을 해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vehicle enters the main road from the feeder roa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in a certain section at the point where the feeder road joins the main roa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a road merge point, which allows eliminating or alleviating vehicle congestion by controlling the prior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는,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도로의 합류 지점에서,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우선순위 정보와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되, 상기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로서,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하여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 및 주행속도를 바탕으로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추가 설정하여,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ies of vehicles at a road merging poi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that sets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ry from a feeder road to a main road, wherein the server includes: At the confluence point of the roads,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are set for entering the main road, including entry priority information and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and as th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branch road is set. By comparing the arrival times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is set as the first priority, and the priority is set based on the entry angle and driving speed to the main road. The second to fourth priorities are additionally set and provided to the vehicle terminal and traffic control syste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요청받거나, 상기 차량단말에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단말의 정보 출력부를 통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mmunicates with a vehicle terminal, receives a request for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vehicle terminal, or transmits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o the vehicl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크로스 체크를 수행하여,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performs a cross check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to set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를 비교하여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더 작은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주행속도가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주행속도가 더 느린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compares the angle of entry in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when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us,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smaller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is set as the second priority, and if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the specified range, each feeder road is By comparing the driving speeds of each vehicle,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a faster driving speed is set as the third priority, and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a slower driving speed is set as the fourth priorit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은,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서버가, 상기 도로의 합류 지점에서,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우선순위 정보와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로서,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하여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 및 주행속도를 바탕으로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추가 설정하여,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ing poi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that sets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ry from a feeder road to a main road, at the merging point of the road, Setting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ncluding entry priority information and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main road; As th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the server compares the arrival times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and gives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as first priority. Setting by ranking; and the step of the server additionally setting second to fourth priorities based on the entry angle and driving speed to the main road and providing the second to fourth priorities to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traffic control syste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로부터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요청받거나, 상기 차량단말에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단말의 정보 출력부를 통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receives a request for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vehicle terminal, or transmits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o the vehicle terminal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vehicl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를 비교하여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더 작은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주행속도가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주행속도가 더 느린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t the second to fourth priorities, the server operates on each feed road when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confluence point for each vehicle traveling on each feed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Compare the entry angles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the main road and set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smaller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as the second priority, and enter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branch road. If the angle is the same within the specified range, the driving speed of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branch road is compared, and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driving speed is set as the third priority, and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slower driving speed is set as the third priority.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it as the fourth priorit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도로 합류 지점에 설치된 교통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도로 합류 지점에 진입하는 각 지선 도로별 차량 정보 및 합류 지점에서의 차량 정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교통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별 합류지점의 진입 정보의 비교를 통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the road merge point, the server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for each branch road entering the road merge point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installed at the road merge point and the merge point. collecting information on vehicle congestion sec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setting a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by comparing entry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And when th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set, the server transmits and outputs th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o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traffic control system.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별 합류지점의 진입 정보의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차량별 합류지점까지의 도착시간, 차량별 본선 도로의 진입 각도, 및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mparing the entry information of the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includes the server comparing the arrival time to the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the entry angle of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and the driving speed for each vehicl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크로스 체크를 수행하여,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performs a cross check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to set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선 도로가 본선 도로에 합류되는 지점의 일정 구간에서 미리 지정된 조건에 따라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어함으로써, 차량 정체 현상을 해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ieves vehicle congestion by controlling the priority of vehicles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feeder roa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in a certain section at the point where the feeder road merges with the main road. or to alleviate it.

도 1은 일반적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서버가 교통관제 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별 본선 도로의 진입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가 차량별 본선 도로의 진입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교통관제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보인 예시도.
Figure 1 is an example diagram shown to explain the problem of congestion occurring at a general road junc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method in FIG. 3 where the server determines and outputs the priority of entering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ystem.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server determines the priority of entering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in FIG. 4. FIG.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provid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ystem in Figure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는, 차량단말(100), 서버(210), 및 교통관제 시스템(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terminal 100, a server 210, and a traffic control system 300.

상기 차량단말(100)은 차량에 부착되어 상기 서버(210)와 통신하며, 상기 서버(210)에 정보(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요청하거나 상기 서버(210)로부터 정보(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를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The vehicle terminal 100 is attached to the vehicle and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210, and requests information (i.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server 210 or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server 210. (i.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received, and the received information is output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예컨대 상기 정보 출력부(140)는 안내장치(예 : AVN 장치, 미도시)나 자율주행장치(예 : 자율주행을 위한 ECU,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may include a guidance device (eg, AVN device, not shown) or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eg, ECU for autonomous driving, not shown).

상기 차량단말(100)은 정보 수집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정보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집부(110)는 위치 검출부(111), 차량정보 검출부(112), 및 교통정보 검출부(113)를 포함한다.The vehicle terminal 100 includes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130, and an information output unit 140.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includes a location detection unit 111, a vehicle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2, and a traffic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3.

상기 차량단말(100)은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단말(100)은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다. The vehicle terminal 100 collects the vehicle itself and traff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For this purpose, the vehicle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vehicle's electronic control unit (ECU: Electronic Control Unit (not shown)).

또한 상기 차량단말(100)은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AVN 장치에 포함되어 일부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내비게이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be an Audio Video Navigation (AVN) device, a device included in the AVN device that performs some functions, or a smartphone with a navigation app installed.

상기 위치 검출부(111)는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모듈을 이용해 차량단말(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한다.The location detection unit 111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상기 차량정보 검출부(112)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와 통신하여 차량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예 : 차속센서, 영상센서, 라이다센서, 레이저센서 등)를 통해 검출된 차량정보를 수신한다.The vehicle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2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s electronic control unit (ECU, not shown) to detect information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e.g., vehicle speed sensor, image sensor, lidar sensor, laser sensor, etc.) mounted on the vehicle. Receive vehicle information.

상기 교통정보 검출부(113)는 실시간 교통정보수신모듈(미도시)이나 V2X(예 : V2V, V2I, V2P 등)통신모듈(미도시)을 이용해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 차량통행량정보, 및 도로별 차선정보 등을 수신한다.The traffic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3 uses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reception module (not shown) or a V2X (e.g. V2V, V2I, V2P, etc.)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o obtain traff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vehicle traffic information, and road-specific information. Receive lane information, etc.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부 저장부(미도시)에는 디지털 지도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지도데이터는 상기 지리 좌표 이외에도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좌표, UPS(Universal Polar System) 좌표, TM(Transverse Mercator) 좌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digital map data is stored in an internal storage unit (not shown). In addition to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the map data may also use UT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 UPS (Universal Polar System) coordinates, TM (Transverse Mercator) coordinates, etc.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검출되거나 수신된 정보(즉,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상기 지도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여, 경로 탐색과 경로 안내를 수행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가 도로 합류 지점의 지정된 구간(예 : 도로 합류 지점으로부터 차량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구간)에 있는지 체크한다.The control unit 120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or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i.e., the vehicle itself and traff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nd the map information, and performs route search and Route guidance is performed and the vehicle's current location is checked to see if it is in a designated section of the road junction (e.g., a section where vehicle congestion occurs from the road junction).

상기 제어부(12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도로 합류 지점의 지정된 구간(예 : 도로 합류 지점으로부터 차량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구간)에 있을 경우, 상기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수집된 정보(즉,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부(130)를 통해 상기 서버(210)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210)로부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요청한다.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 a designated section of the road merge point (e.g., a section where vehicle congestion occurs from the road merge point), the control unit 120 uses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0 (i.e. , the vehicle itself and traff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server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0, and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requested from the server 210.

여기서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서버(210)와 통신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예 : WiFi, 블루투스 등) 및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예 : 3G, 4G, LT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communication unit 130 communicates with the server 210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g., WiFi, Bluetooth, etc.) and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g., 3G, 4G, LTE, etc.).

상기 서버(210)는 상기 차량에서 전송하는 정보(즉,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 이외에도 도로의 합류 지점에 설치된 교통관제 시스템(300)의 차량정보 수집부(310)(예 : 카메라, 도로 구간에 설치된 센서 등)를 통해 수집된 정보(예 : 합류지점에 진입하는 차량정보, 합류지점의 교통정보, 합류지점의 차량 정체 구간, 대기열에 대한 교통정보, 위치 정보, 긴급차량 정보, 및 뒷차가 밀린정도에 대한 정보 등)를 추가로 수신한다.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ehicle (i.e., the vehicle itself and traff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server 210 includes the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0 of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e.g. :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cameras, sensors installed on road sections, etc. (e.g.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vehicle congestion section at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bout the queue,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vehicle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the vehicle behind is pushed, etc.) is additionally received.

왜냐하면 차량 자체적으로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의 설정에 필요한 정보(즉,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차량도 있으며, 또한 좀 더 정확한 판단(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 판단)을 위해 크로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some vehicles cannot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set driving priorities for entering the main road on their own (i.e., traff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ehicle itself and around the vehicle), and also make more accurate decisions (i.e. This is because a cross check can be performed to determin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to enter the road.

이에 따라 상기 서버(210)는 차량단말(100) 및(또는) 교통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 합류지점에 진입하는 차량정보, 합류지점의 교통정보, 합류지점의 차량 정체 구간, 대기열에 대한 교통정보, 위치 정보, 긴급차량 정보, 및 뒷차가 밀린정도에 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판단(또는 설정)한다.Accordingly, the server 21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and/or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e.g., traff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ehicle itself and around the vehicle,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merging point,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to enter the main road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vehicle congestion section at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bout the queue,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vehicl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cars behind are behind, etc. Determine (or set) .

상기와 같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가 판단(또는 설정)되면, 상기 서버(210)는 상기 판단된 정보(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차량단말(100)의 정보 출력부(140) 및 교통관제 시스템(300)의 우선순위 정보 출력부(320)를 통해 제공한다(도 6 참조).When th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determined (or set) as described above, the server 210 sends the determined information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to the vehicle terminal 100. It is provid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output unit 320 of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see FIG. 6).

예컨대 도 6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교통관제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선 도로의 합류 지점에서 합류되는 복수의 지선 도로(예 : 제1 지선, 제2 지선)에 각기 교통관제 시스템(300)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전광판을 통해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정보(예 : 차량 번호)와 해당 차량의 진입 우선순위를 순차로 표시하면서, 신호등을 이용해 본선 도로에의 진입과 대기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광판에 표시된 순서로 각 차량이 본선 도로에 진입할 경우 차량 정체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For example,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provid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ystem in Figure 2, and as shown, a plurality of vehicles merging at the confluence point of the main road. Assume that a traffic control system 300 is installed on each feeder road (e.g., first feeder, second feeder). At this time, information on vehicles driving on each feeder road (e.g., vehicle number) and the entry priority of the vehicle are sequentially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display board, while traffic lights can be used to additionally indicate entry and waiting on the main road. Accordingly, vehicle congestion can be improved when each vehicle enters the main road in the order displayed on the electronic signboard.

다만 차량단말(100)의 정보 출력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형태는 상기 교통관제 시스템(300)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형태와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차량 자신의 진입 우선순위 정보, 및 진입 또는 대기 정보를 포함한다. However, the form of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140 of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be different from the form of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but is basically the vehicle's own entry priority information. , and entry or waiting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차량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차량이 도로 합류 지점의 지정된 구간에 도착하였는지 체크한다(S101).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20 of the vehicl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vehicle has arrived at the designated section of the road merge point (S101).

예컨대 상기 차량단말(100)의 제어부(12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도로 합류 지점의 지정된 구간(예 : 도로 합류 지점으로부터 차량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구간)에 있는지 체크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of the vehicle terminal 100 check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is in a designated section of the road merge point (e.g., a section where vehicle congestion occurs from the road merge point).

이에 따라 차량이 도로 합류 지점의 지정된 구간에 도착하였을 경우(S101의 예), 상기 제어부(120)는 서버(210)에 본선 도로에의 진입을 위한 진입 우선순위 지정(설정)을 요청한다(S102).Accordingly, when the vehicle arrives at the designated section of the road junction (example in S101), the control unit 120 requests the server 210 to designate (set) an entry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S102) ).

또한 상기 진입 우선순위 지정(설정)을 요청할 때, 상기 제어부(120)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의 설정에 필요한 정보(즉,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210)에 전달한다(S103). In addition, when requesting the entry priority designation (setting), the control unit 120 collects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set the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i.e., traff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ehicle itself and around the vehicle) It is delivered to the server 210 (S103).

이에 따라 상기 서버(210)는 상기 차량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판단(또는 설정)한다(도 4 및 도 5 참조).Accordingly, the server 210 determines the driving priority of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e.g., traff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ehicle itself and around the vehicle, etc.) (or set) (see Figures 4 and 5).

상기와 같이 서버(210)로부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가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서버(210)로부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수신한다(S104).When the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determined from the server 21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server 210 (S104).

이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제어부(120)는 안내장치(미도시)를 통해 단지 상기 수신한 정보(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표시하여 운전자에게 도움을 주거나, 자율주행장치(미도시)를 통해 상기 수신한 정보(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에 따라 차량을 구동하여 본선 도로에 진입하게 한다(S105).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20 of the vehicle provides assistance to the driver by simply displaying the received information (i.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hrough a guidance device (not shown), or provides assistance to the driver through an autonomous driving device (not shown). The vehicle is driven to enter the main roa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ceived (i.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S105).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서버가 교통관제 시스템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별 본선 도로의 진입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method in FIG. 3 where the server determines and outputs the priority of entering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raffic control syste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10)는 도로 합류 지점에 설치된 교통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상기 도로 합류 지점에 진입하는 각 지선 도로별 차량 정보 및 합류 지점에서의 차량 정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S201).As shown in FIG. 4, the server 210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for each branch road entering the road junction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congestion section at the road junction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installed at the road junction. Collect (S201).

또한 상기 서버(210)는 상기 교통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예 : 합류지점에 진입하는 차량정보, 합류지점의 교통정보, 합류지점의 차량 정체 구간, 대기열에 대한 교통정보, 위치 정보, 긴급차량 정보, 및 뒷차가 밀린정도에 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차량별 합류지점의 진입 정보(예 : 합류지점까지의 도착시간, 본선 도로의 진입 각도, 차량 주행속도)의 비교를 통해, 진입 우선순위(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를 판단(또는 설정)한다(S202).In addition, the server 210 collects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e.g.,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vehicle congestion section at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bout the queue, location information , emergency vehicl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the vehicle behind is pushed behind, etc.), through comparison of entry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e.g., arrival time to the merging point, entry angle of the main road, vehicle driving speed) , the entry priority (i.e., the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determined (or set) (S202).

상기와 같이 차량단말(100)이 전송한 정보(예 : 차량 자신 및 차량 주변의 교통정보와 위치 정보 등) 및 상기 교통관제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예 : 합류지점에 진입하는 차량정보, 합류지점의 교통정보, 합류지점의 차량 정체 구간, 대기열에 대한 교통정보, 위치 정보, 긴급차량 정보, 및 뒷차가 밀린정도에 대한 정보 등)를 바탕으로 진입 우선순위(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가 판단(또는 설정)되면, 상기 서버(210)는 상기 판단(또는 설정)한 진입 우선순위(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차량단말(100)에 전송하고, 또한 교통관제 시스템(300)의 우선순위 정보 출력부(320)(예 : 각 지선의 차량별 본선 진입이나 대기를 표시하기 위한 전광판이나 신호등)에 출력한다(S203).A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vehicle terminal 100 (e.g., traffic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n the vehicle itself and around the vehicle, etc.) an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e.g.,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merging point) , entry priority (i.e., entry priority on the main road) based on traffic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vehicle congestion section at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bout the queue,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vehicl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to which cars behind are behind. When the information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determined (or set), the server 210 sends the determined (or set) entry priority (i.e.,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information to the vehicle terminal 100. It is transmitted and output to the priority information output unit 320 of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e.g., an electronic sign or traffic light to indicate entry or waiting for each vehicle on the main line of each branch line) (S203).

도 5는 상기 도 4에 있어서, 서버가 차량별 본선 도로의 진입 우선순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in which the server determines the priority of entering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in FIG.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210)는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한다(S301).As shown in Figure 5, the server 210 compares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traveling on each branch road (S301).

상기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한 결과, 일측 지선 도로의 차량이 타측 지선 도로의 차량보다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경우, 상기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예 : 우선순위1)로 설정한다(S302).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rrival times to the main road merge point, if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e point is faster for vehicles on one side of the feeder road than the vehicle on the other side feeder road,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e point is faster. The priority of the fast vehicle is set to first priority (e.g., priority 1) (S302).

또한 상기 서버(210)는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를 비교한다(S303).Additionally, if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server 210 compares the entry angles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S303 ).

상기 본선 도로에 진입 각도를 비교한 결과, 일측 지선 도로의 차량이 타측 지선 도로의 차량보다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더 작은 경우, 상기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더 작은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예 : 우선순위2)로 설정한다(S303).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ntry angles to the main road, if the vehicle on one side of the feeder road has a smaller entry angle into the main road than the vehicle on the other side of the feeder road, the vehicle with the smaller entry angle into the main road is given priority. Set to priority 2 (e.g. priority 2) (S303).

또한 상기 서버(210)는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한다(S305).Additionally, if the entry angles of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branch road onto the main road are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server 210 compares the driving speeds of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branch road (S305).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한 결과, 일측 지선 도로의 차량이 타측 지선 도로의 차량보다 주행속도가 더 빠른 경우, 상기 주행속도가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예 : 우선순위3)로 설정하고(S306), 상대적으로 주행속도가 더 느린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예 : 우선순위4)로 설정한다(S307).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riving speeds of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on one feeder road is faster than the vehicle on the other feeder road,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driving speed is given as the third priority. (e.g., priority 3) is set (S306), and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a relatively slower driving speed is set to the fourth priority (e.g., priority 4) (S307).

예컨대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즉,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도로에 적용한다고 가정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도로에 4대의 차량(예 : A, B, C, D 차량)이 주행하고, 합류지점에서 정체 구간이 발생한다고 가정한다.For example, assume that the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escribed above (i.e.,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a road merging point) is applied to a road of the type shown in FIG. 1. That is, assume that four vehicles (e.g., vehicles A, B, C, and D) drive on a road of the type shown in FIG. 1, and a congestion section occurs at the merging point.

이에 따라 상기 합류지점에 설치된 교통관제 시스템(300)이, 상기 합류지점의 정체 구간을 인지하고, 합류지점에 대한 정보(예 : 합류지점에 진입하는 차량정보, 합류지점의 교통정보, 합류지점의 차량 정체 구간, 대기열에 대한 교통정보, 위치 정보, 긴급차량 정보, 및 뒷차가 밀린정도에 대한 정보 등)를 수집하여 상기 서버(210)에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traffic control system 300 installed at the merging point recognizes the congestion section of the merging point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merging point (e.g., vehicle information entering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Traffic information on vehicle congestion sections, queues, location information, emergency vehicl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degree to which cars behind are behind are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210.

도 1을 참조하면, A, B 차량이 제1 지선 도로에 합류되고 C, D 차량이 제2 지선 도로에 합류되며, 상기 제1 지선 도로의 A, B 차량과 상기 제2 지선 도로의 C, D 차량이 만나 본선 도로에서 합류하게 되며, 본선 도로에서 상기 A, B, C, D 차량이 만나 합류될 때, 상기 서버(210)가 차량별 진입 우선순위(즉,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한다.Referring to FIG. 1, vehicles A and B merge on a first feeder road, vehicles C and D merge on a second feeder road, and vehicles A and B on the first feeder road and vehicles C on the second feeder road, D vehicle meets and merges on the main road, and when the A, B, C, and D vehicles meet and merge on the main road, the server 210 sets the entry priority for each vehicle (i.e.,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ranking).

가령, A, B 차량이 동일한 주행속도로 동시에 출발할 경우 B 차량이 합류 지점에 먼저 도착할 것이므로, B 차량이 제1 우선순위(우선순위1)가 되고 A 차량이 제2 우선순위(우선순위2)가 된다. 그러나 A 차량의 주행속도가 빨라서 동시에 합류 지점을 통과한다고 가정할 경우 A 차량이 B 차량보다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0도에 수렴하기 때문에(더 작기 때문에) A 차량이 제1 우선순위가 되고 B 차량이 제2 우선순위가 된다. For example, if vehicles A and B depart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driving speed, vehicle B will arrive at the merging point first, so vehicle B will have first priority (priority 1) and vehicle A will have second priority (priority 2). ) becomes. However, assuming that vehicle A travels faster and passes the merging point at the same time, vehicle A has first priority because its entry angle onto the main road converges to 0 degrees (is smaller) than vehicle B. Vehicle B becomes second priority.

한편, C, D 차량이 동일한 주행속도로 동시에 출발할 경우 D 차량이 합류 지점에서 먼저 도착할 것이므로, D 차량이 제1 우선순위(우선순위1)가 되고 C 차량이 제2 우선순위(우선순위2)가 된다. 그러나 C 차량의 주행속도가 빨라서 동시에 합류 지점을 통과하고, 또한 C 차량과 D 차량의 진입 각도가 지정된 오차 범위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합류 지점까지 이동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더 빠르다면 그 차량에 더 높은 우선순위를 줄 수 있는데, 만약 C 차량의 차속이 D 차량보다 빠르다면 C 차량이 제1 우선순위가 되고 D 차량이 제2 우선순위가 되는 것이다.Meanwhile, if vehicles C and D depart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driving speed, vehicle D will arrive at the merging point first, so vehicle D will have first priority (priority 1) and vehicle C will have second priority (priority 2). ) becomes. However, assuming that vehicle C's driving speed is fast and passes the merging point at the same time, and that the entry angles of vehicle C and D are the same within the specified error range, i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moving to the merging point is faster, then that vehicle A higher priority can be given to vehicle C, and if vehicle C's speed is faster than vehicle D, vehicle C becomes the first priority and vehicle D becomes the second priority.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지선 도로가 본선 도로에 합류되는 합류 지점의 일정 구간(예 : 도로 합류 지점으로부터 차량 정체 현상이 발생하는 구간)에서 미리 지정된 조건(예 : 합류지점까지의 도착시간 비교,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 비교, 차량 주행속도 비교 등)에 따라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어(또는 설정)함으로써, 도로 합류 지점에서의 차량 정체 현상을 해소하거나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uses pre-specified conditions (e.g., comparison of arrival time to the merge point, By controlling (or setting) the priority of vehicles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feeder road according to the angle of entry to the main road, comparison of vehicle driving speed, etc.), vehicle congestion at road merging points can be resolved or alleviated.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happen.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e point. Therefore, th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0 : 차량단말 110 : 정보 수집부
111 : 위치 검출부 112 : 차량정보 검출부
113 : 교통정보 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 정보 출력부
210 : 서버 300 : 교통관제 시스템
310 : 차량 정보 수집부 320 : 우선순위 정보 출력부
100: vehicle terminal 110: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1: location detection unit 112: vehicle information detection unit
113: Traffic information detection unit 120: Control unit
130: communication unit 140: information output unit
210: Server 300: Traffic control system
310: vehicl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20: priority information output unit

Claims (10)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도로의 합류 지점에서,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우선순위 정보와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되,
상기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로서,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하여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 및 주행속도를 바탕으로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추가 설정하여,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제공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It includes a server that sets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feeder road,
The server is,
At the convergence point of the roads, set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ncluding entry priority information and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As th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compared, and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is set as the first priority, , A device that controls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by additionally setting the second to fourth priorities based on the entry angle and driving speed to the main road and providing them to the vehicle terminal and traffic control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과 통신하며,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요청받거나, 상기 차량단말에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단말의 정보 출력부를 통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Communicates with a vehicle terminal and receives a request for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from the vehicle terminal, or transmits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o the vehicle terminal and enters the main roa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vehicle terminal.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크로스 체크를 수행하여,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A cross check is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and the driving priority of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set. A device that controls driving prioriti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를 비교하여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더 작은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주행속도가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주행속도가 더 느린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If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compared, and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is greater. Set the priority of small vehicles as second priority,
If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driving speeds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are compared, and the vehicle with the faster driving speed is given priority as the third priority.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a road merge poi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a slower driving speed is set as the fourth priority.
지선 도로에서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서버가,
상기 도로의 합류 지점에서,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우선순위 정보와 대기 정보를 포함하는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로서,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을 비교하여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1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 및 주행속도를 바탕으로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추가 설정하여,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
A server that sets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to enter the main road from the feeder road,
At the confluence point of the roads, setting driving priorities for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ncluding entry priority information and waiting information for each vehicle on the main road;
As the driving priority for each vehicle, the server compares the arrival times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and gives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the faster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as first priority. Setting by ranking; and
At a road merge point, wherein the server additionally sets second to fourth priorities based on the entry angle and driving speed to the main road and provides them to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traffic control system. How to control your vehicle's driving priorities.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로부터 본선 도로로의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요청받거나, 상기 차량단말에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단말의 정보 출력부를 통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출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rver: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reques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or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terminal, and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provided through the information output unit of the vehicle terminal.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characterized by outputting.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4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 합류 지점까지의 도착시간이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를 비교하여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더 작은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2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본선 도로에의 진입 각도가 지정된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각 지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하여 주행속도가 더 빠른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3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주행속도가 더 느린 차량의 우선순위를 제4 우선순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o set the second to fourth priorities,
The server is,
If the arrival time to the main road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compared, and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is greater. Set the priority of small vehicles as second priority,
If the entry angle to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is the same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driving speeds for each vehicle driving on each feeder road are compared, and the vehicle with the faster driving speed is given priority as the third priority.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a vehicle at a road merge point, characterized by setting the priority of the vehicle with a slower driving speed as the fourth priority.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도로 합류 지점에 설치된 교통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도로 합류 지점에 진입하는 각 지선 도로별 차량 정보 및 합류 지점에서의 차량 정체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교통관제 시스템으로부터 수집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별 합류지점의 진입 정보의 비교를 통해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가 설정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주행 우선순위 정보를 차량단말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 전달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o control the driving priority of the vehicle at the road merge point,
The server is,
Collecting vehicle information for each branch road entering the road junction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congestion section at the road junction from a traffic control system installed at the road junc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setting a driving priority for entering the main road by comparing entry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and
When th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set, the server transmits and outputs the driving priority information for entering the main road to a vehicle terminal and a traffic control system. How to control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a merging poin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별 합류지점의 진입 정보의 비교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차량별 합류지점까지의 도착시간, 차량별 본선 도로의 진입 각도, 및 차량별 주행속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tep of comparing entry information at the merging point for each vehicle comprises:
The serv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priority of vehicles at a road merge point, characterized by comparing the arrival time to the merge point for each vehicle, the entry angle of the main road for each vehicle, and the driving speed for each vehicl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차량단말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 및 교통관제 시스템에서 수집하여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크로스 체크를 수행하여, 본선 도로 진입을 위한 차량별 주행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합류 지점에서 차량의 주행 우선순위를 제어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rver:
A cross check is perform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and transmitted from the traffic control system, and the driving priority of each vehicle for entering the main road is set. How to control driving priorities.
KR1020230108515A 2018-08-31 2023-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KR102599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8515A KR102599273B1 (en) 2018-08-31 2023-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481A KR102570066B1 (en) 2018-08-31 2018-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KR1020230108515A KR102599273B1 (en) 2018-08-31 2023-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81A Division KR102570066B1 (en) 2018-08-31 2018-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946A KR20230127946A (en) 2023-09-01
KR102599273B1 true KR102599273B1 (en) 2023-11-06

Family

ID=698011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81A KR102570066B1 (en) 2018-08-31 2018-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KR1020230108515A KR102599273B1 (en) 2018-08-31 2023-08-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481A KR102570066B1 (en) 2018-08-31 2018-08-3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700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9866B2 (en) * 2018-07-20 2021-02-02 Cybernet Systems Corp. Autonomous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s
JP7409258B2 (en) * 2020-08-07 2024-0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Server, vehicle, traffic control method, and traffic control system
US11965749B2 (en) 2021-03-31 2024-04-23 Argo AI, LL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ane conflict estimation in autonomous vehicle driving and map generation
CN115206118A (en) * 2021-04-14 2022-10-18 大唐高鸿智联科技(重庆)有限公司 Vehicle pass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road side equipment and vehicle-mounted equipment
KR102597260B1 (en) * 2023-01-17 2023-11-03 이앤에프 주식회사 Safety signal control system using LED modu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374A (en) 2008-06-27 2010-01-14 Masahiro Watanabe Intersection nonstop travel control system
JP2012014565A (en) 2010-07-02 2012-01-19 Denso Corp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signal control device and vehicl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0691A (en) * 1997-05-15 1998-12-04 Honda Motor Co Ltd Automatic traveling vehicle
KR101518506B1 (en) * 2008-05-26 2015-05-07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and System for Merge control in an automated vehicl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9374A (en) 2008-06-27 2010-01-14 Masahiro Watanabe Intersection nonstop travel control system
JP2012014565A (en) 2010-07-02 2012-01-19 Denso Corp Road-vehicle communication system, signal control device and vehicle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946A (en) 2023-09-01
KR20200025704A (en) 2020-03-10
KR102570066B1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927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priority of vehicle at a point where roads are joined
JP6597782B2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CA2993635C (en) Route guidance device and route guidance method
US20180128635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WO2018138768A1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KR20200134137A (en) Path providing device and path providing method tehreof
JP6676196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program
JP2020035267A (en) Automatic driving support device
JP2018077652A (en)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and collective housing
JP2018521392A (en) Intersection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JPWO2018189843A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device
US1156874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JP7325412B2 (en)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device
CN110968092A (en) Automatic driving assistance device
JP6460420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display program
JP6652024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US11970159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2020196292A (en) Automatic drive assistance device
JP6221805B2 (en) Driving support device, driving support method and program
US11091170B2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JP6800340B2 (en) Vehicle control systems, vehicle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JP7123645B2 (en) Driving support method and driving support device
JP4893505B2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wireless USB
US20230166754A1 (en) Vehicle conges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