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271B1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271B1
KR102599271B1 KR1020230116977A KR20230116977A KR102599271B1 KR 102599271 B1 KR102599271 B1 KR 102599271B1 KR 1020230116977 A KR1020230116977 A KR 1020230116977A KR 20230116977 A KR20230116977 A KR 20230116977A KR 102599271 B1 KR102599271 B1 KR 10259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miliarity
unit
regional
rou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6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31460A (en
Inventor
신성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6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271B1/en
Publication of KR20230131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14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84Personalized, e.g. from learned user behaviour or user-defined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1Personalized guidance, e.g. limited guidance on previously travell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63Structures of map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데이터 저장부,및 기 지도데이터 저장부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search de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which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destination from a user, a map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map data, and an entire area on the map data of the existing map data storage unit. Divide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calculate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ccumulated to date, and differentiate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searches for a route to the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by searching, wherein the area familiarity is a unit area travel rat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bile unit has driven each unit area. .

Figure R1020230116977
Figure R1020230116977

Description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Route search de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본 발명은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search de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search de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that searches and guides a route to a destination.

일반적으로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다니거나 차량 등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정확한 거리 및 소요시간을 알려주고,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로 탐색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 및 진행 방향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낯선 지역을 방문할 경우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진행해야 할 도로와 예상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하는 주행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In general, a route finding device is carried by the user or installed in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vehicle, and functions to inform the exact distance and time required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and gui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 navigation device,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route finding device, use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to display the current location and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on the screen, and when visiting an unfamiliar area, When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are entered,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to be taken and the estimated time required is displayed and provided to the user.

내비게이션과 같은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내부에 저장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 거리 또는 도로 종별에 따른 도로 우선 순위를 지정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주행기록을 이용하여 자주 이용한 도로를 더 이용할 수 있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Route search devices such as navigation provide the function of searching a route to a destination by specifying road priorities accor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or road type us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and internally stored map information. It also provides a route search function using driving records so that you can use more frequently used roads.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주행기록을 이용하는 경로 탐색 기능은, 주행 횟수가 높은 도로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경유로에 더 많이 포함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에 국한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한 우회 경로가 탐색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고, 사용자가 지역 단위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는 기능이 부재하였다. 그리고 일률적으로 경로가 안내됨에 따라 운전자의 주행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route search function that uses the user's driving record is limited to the function of giving priority to roads with a high number of trips and searching the route to include more transit routes, so there is a problem of unnecessary detour routes being searched. There was no function to differentially search routes depending on the user's level of understanding of local road conditions.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driver's driving satisfaction decreased as the route was guided uniforml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우회 경로가 탐색되는 문제를 제거하여 사용자의 주행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사용자가 파악하는 지역별 도로 상황을 고려하여 경로를 탐색 및 안내함으로써 경로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urpose of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er's driving satisfaction 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unnecessary detour routes being search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It provides a route search de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oute provision by exploring and guiding route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road conditions as identified by user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 destination from a user, a map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map data, and an entire area on the map data of the map data storage unit into a plurality of units. Divide into regions, calculat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region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ccumulated to date, and differentially search for routes in each unit region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search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herein the area familiarity is a unit area travel rat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bile unit has driven each unit area.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 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 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number of roads, and divides areas with a larger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to correspond to a preset range for each unit area. It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it so that the number of roads is includ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tches each of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unit area, and based on the road-specific weight assigned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regions is calculat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ssigns a regional weight to the unit area based on the road utilization rate for each region, which is determined as a ratio of the number of roads weighted for each road to the total number of roads existing in the unit area, Characterized in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road-specific weight assigned to each road and the region-specific weight. .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searches a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route search conditions includ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the higher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the longer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It is characterized by searching a route so that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is shortened, with time as the priority condi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te search condition further includes driving ease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As is lower, the ease of driving is prioritized, and the route is searched to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reducing the number of turns, increasing road width,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ops on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경로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oute guide unit that guid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route guide unit to differentially guide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안내부는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te guide unit guides the route by displaying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n enlarged or normal size on the map data or outputting the route through voice, and the control unit, The higher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the more the route inform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and the route information unit is controlled to guide the route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it is output by voic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은 제어부가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destination, the control unit dividing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nd the control unit dividing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Calculating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differentially searches for a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to determin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A search step is included, wherein the area familiarity is a unit area travel rat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bile unit has driven each unit area.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step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데이터 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number of roads, and divides areas with a larger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unit area is divided to include the number of roads corresponding to a preset range.

본 발명은 상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the control unit matches each of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unit area, and a road-specific weight is assigned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corresponding unit area based on .

본 발명은 상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road usage rate for each region, which is determined as a ratio of the number of roads weighted for each road to the total number of roads existing in the unit area. By assigning a regional weight to the unit area and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based on the road-specific weight assigned to each road and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regional weight, the reg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degree of familiarity.

본 발명은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search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control unit search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route search conditions includ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the unit area that is the target of the route search. The higher the local familiarity, the more the route is searched so that the time required to reach is shorten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te search condition further includes driving ease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information, and accident-prone road information, and in the step of search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control unit , the lower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the easier it is to drive as a priority condition, and the route is searched to mee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reducing the number of turns, increasing road width,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ops on accident-prone road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를 제어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guiding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a route guidance unit to differentially guide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iarity with the area.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안내부는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경로안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te guide unit displays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n enlarged or normal size on the map data or outputs it in voice to guide the route, and guid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In the route guidance step, the higher the region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the more the control unit reduces the number of times the route inform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or the number of times it is output in voice. The route guidance unit is controlled to guide the rou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단말,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내비게이션 서버, 및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과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의 통신 매체가 되는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되,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oute search system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avigation terminal that receives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pre-stored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nd , Calculat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generated by accum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and determine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It includes a navigation server that searches for a route to a destin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by differentially searching,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serves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the navigation terminal and the navigation server, wherein the local familiarity is determined by the moving object in each unit. It is characterized as a unit area driving rat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area has been drive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server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server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number of roads, and divides areas with a larger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to divide the area into a preset range for each unit area. It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to include the corresponding number of road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상기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켜 상기 매칭된 횟수에 따라 상기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상기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상기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server matches each of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unit area, assigns a road-specific weight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and A regional weight is assigned to the unit area based on the road usage rate by region, which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roads weighted for each road to the total number of roads, and the road-specific weight assigned to each road and the regional weight are calculated. It is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corresponding unit area based on the result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server search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route search conditions includ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the higher the region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the more the route is reached. The route is searched so that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is shortened, with the time required as a priority condi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경로 탐색 조건은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상기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ute search condition includes driving ease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and the navigation server determines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As is lower, the ease of driving is prioritized, and the route is searched to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reducing the number of turns, increasing road width,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ops on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은 주행중인 도로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버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terminal guides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y displaying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being driven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n enlarged or normal size on the map data, or outputting it in voice, The navigation server is designed to guide the route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he route inform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or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it is output by voice as the region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is high.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the navig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지역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여, 익숙한 지역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빠른 길 위주로 탐색·안내하고, 낯선 지역에서는 편하고 안전한 길 위주로 탐색·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주행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ially searches and guides rout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road conditions in a specific area, so that familiar areas can be quickly route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The user's driving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by focusing on navigation and guidance, and by providing navigation and guidance on comfortable and safe routes in unfamiliar are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에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loc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chart specifically explaining the step of calculating regional familiarity in the regional familiarity-based route search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search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route search device, method, and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loc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는 입력부(10), 지도데이터 저장부(20), 위치정보 수신부(30), 주행정보 저장부(40), 제어부(50), 및 경로안내부(6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50)는 단위지역 분할부(51), 지역친숙도 산출부(53), 경로탐색부(55), 및 경로안내 제어부(57)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0, a map data storage unit 20,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30, and a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0. , a control unit 50, and a route information unit 60, and the control unit 50 includes a unit area division unit 51, a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a route search unit 55, and a route. It may include a guidance control unit 57.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목적지와 함께 경유지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입력부(10)는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방식의 입력부(10)의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0 can receive a destination input from the user.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waypoint may be input along with the destination. The input unit 10 can receive a destination from a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touch screen, or microphone. However, the input unit 10 is not limited to this method, and the input unit 10 may take various forms.

지도데이터 저장부(20)는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지도데이터 저장부(20)는 도로의 링크, 각 링크의 속성, 각 링크별 교차로의 노드 리스트, 각 노드의 좌표 등을 지도데이터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50)는 이러한 지도데이터를 이용하여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지도데이터 저장부(20)는 지도데이터 저장을 위해 플래시(Flash) 메모리,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p data storage unit 20 stores map data for searching a driving route and guiding the discovered driving route. The map data storage unit 20 may store links of roads, properties of each link, a node list of intersections for each link, coordinates of each node, etc. as map data, and the control uni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tores these map data. You can perform route search using . The map data storage unit 20 may include various storage media capable of storing information such as flash memory, hard disk drive, and solid state drive to store map data. .

위치정보 수신부(30)는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 수신부(30)는 GPS 등의 위성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에 대한 GPS 좌표, 즉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동체는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탐색 장치가 탑재된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뿐만 아니라 경로 탐색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3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30 uses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uch as GPS to receive GPS coordinates, that i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allowing it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Additionally, the moving object may include a user carrying a route finding device as well as a moving means such as a vehicle equipped with the route find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주행정보 저장부(40)는 위치정보 수신부(30)가 수신한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전달받아 축적하여 주행 궤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행 궤적 정보는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이 주행한 궤적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경로 탐색 장치를 소지한 사용자가 이동한 궤적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0 may receive and accumul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receiv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30 to generate driving trace information and store the generated driving trace information.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driving trajectory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such as a vehicle, but also the moving trajectory of a user holding the route search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 주행정보 저장부(40) 및 제어부(50)를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 및 주행정보 저장부(40)는 제어부(50)에 포함된 통합된 구성일 수도 있다. 즉, 제어부(50)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위치정보 수신부(3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된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ap data storage unit 20, the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50 are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ap data storage unit 20 and the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 40) may be an integrated component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50. That is, the control unit 50 may be storing map data and may be storing driving trace information generated by accumulat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30.

경로안내부(60)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경로안내부(6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The route information unit 60 can gui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The route guide unit 60 can guide the route by displaying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being driven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by enlarging or displaying it in normal size on map data or outputting it in vo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0. there is.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50)의 동작 과정을 제어부(50)의 하위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50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of the map data storage unit 20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nd calculates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ccumulated to dat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entered through the input unit 10 can be searched by differentially searching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level of regional familiarity.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control unit 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 sub-component of the control unit 50.

단위지역 분할부(51)는 지도데이터 저장부(20)의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는 분할된 단위지역마다 후술할 지역친숙도에 따른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The unit area division unit 51 can divide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of the map data storage unit 20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This is to find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y performing a differentiated route search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divided unit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단위지역 분할부(51)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행정구역은 도, 시군구, 읍면동과 같은 단위를 의미한다.(예: 경기도/충청도/전라도, 서울시/인천시/수원시, 강남구/서초구/동작구) 행정구역 단위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제어부(50)에 설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unit area division unit 51 may divide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fers to units such as provinces, cities, counties, and districts (e.g., Gyeonggi-do/Chungcheong-do/Jeolla-do, Seoul/Incheon-si/Suwon-si, Gangnam-gu/Seocho-gu/Dongjak-gu).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it and set it in the control unit 50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또한 단위지역 분할부(51)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이는 각 단위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의 개수가 유사하도록 단위지역을 분할하여 후술할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에 있어 정확성 및 객관성을 보장하고 경로 탐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단위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의 개수가 19개 ~ 21(20±1), 29 ~ 31(30±1), 39 ~ 41(40±1) 등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도록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에는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분할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nit area division unit 51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number of roads, and divides areas with a larger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to fit into a preset range for each unit area. It can be divided to include the corresponding number of roads. This is to ensure accuracy and objectivity in calculating regional familiarit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dividing the unit area so that the number of roads included in each unit area is similar,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oute search. For example, the number of roads included in each unit area is within a preset range, such as 19 to 21 (20 ± 1), 29 to 31 (30 ± 1), and 39 to 41 (40 ± 1). It can be divided into unit areas.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50 may be set up with a division algorithm that divides regions with a large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so that each unit region includes the number of roads corresponding to a preset range.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주행정보 저장부(40)로부터 전달받은(또는 제어부(50)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는 이동체가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로 정의되며, 후술할 경로탐색부(55)는 지역친숙도의 고저에 따라 사용자가 각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는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calculates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received from the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40 (or stored in the control unit 50). can do. Regional familiarity is defined as the unit area driving rat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vehicle has driven each unit area, and the route search unit 5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llows the user to determine the road conditions in each unit area depending on the level of regional familiarity. You can judge the level of understanding.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지역친숙도를 산출하기 위해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현재까지 축적된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 매칭된 횟수에 따라 각 도로에 부여되는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order to calculate the regional familiarity,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matches each of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accumulated to date with each road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unit area, and a road-specific weight is assigned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corresponding unit area based on ,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can be calculated.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현재까지 축적된 주행 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체의 위치정보, 즉 GPS 좌표 각각을 매칭시킨다. 그리고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별로 매칭된 GPS 좌표의 수에 따라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한다. 각 도로 및 주행 궤적 정보의 매칭 횟수에 따른 도로별 가중치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기 표 1은 도로 및 주행 궤적 정보의 매칭 횟수에 따른 도로별 가중치를 표시한 일 예시이다. 다만,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mat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hat is, GPS coordinates, included i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accumulated to date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unit area. In addition, road-specific weights are assigned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GPS coordinates matched to each road that exists in the unit area. The weight for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ing times of each road and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and Table 1 below is an example showing the weighting for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ing times for road and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 However, Table 1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stated values.

도로-주행 궤적 정보 매칭 횟수Number of road-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matching times 도로별 가중치Road weight 20회 이상20 or more times 22 10회 이상 20회 미만More than 10 times but less than 20 times 1.51.5 3회 이상 10회 미만3 or more times but less than 10 times 1One 2회 이하2 times or less 가중치 부여하지 않음Not weighted

이에 따라,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 또는 평균으로서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 표 2 및 표 3은 단위지역 A 및 B에 대하여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으로 지역친숙도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일 예시이다.Accordingly,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can determine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based on the weight for each road assigned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unit area. For example,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can be determined as the sum or average of the weights for each road assigned to each road. Tables 2 and 3 below are examples showing the results of calculating regional familiarity by averaging the weights for each road for unit areas A and B.

단위지역 AUnit area A 도로 번호road number 매칭 횟수Number of matches 도로별 가중치Road weight 지역친숙도Local familiarity
(가중치 평균)(weighted average)
1번 국도Route 1 2222 22



1.25






1.25


2번 국도National Route 2 1717 1.51.5 10번 국도Route 10 2626 22 15번 국도Route 15 33 1One 20번 국도Route 20 22 XX 21번 국도Route 21 22 XX 30번 국도Route 30 1212 1.51.5 40번 국도Route 40 2525 22 43번 국도Route 43 1010 1.51.5 50번 국도Route 50 66 1One

단위지역 BUnit area B 도로 번호road number 매칭 횟수Number of matches 도로별 가중치Road weight 지역친숙도Local familiarity
(가중치 평균)(weighted average)
10번 국도Route 10 22 XX


1





One


11번 국도Route 11 1717 1.51.5 23번 국도Route 23 3636 22 30번 국도Route 30 2525 22 32번 국도Route 32 1111 1.51.5 36번 국도Route 36 1One XX 39번 국도Route 39 99 1One 48번 국도Route 48 22 XX

한편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이동체의 단위지역 주행율을 지역친숙도에 더 정확히 반영시키기 위해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assigns a regional weight to the unit area in order to more accurately reflect the unit area driving rate of the mobile unit in the regional familiarity, and calculates the regional familiarity based on the road-specific weight and the regional familiarity. It can also be calculated.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위지역 A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가 100개이고,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의 개수가 50개인 경우, 단위지역 A의 지역별 도로 이용율은 50%로 결정되고, 50%의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대응되는 지역별 가중치를 해당 단위지역에 부여할 수 있다.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하기 표 4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를 표시한 일 예시이다. 다만 표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More specifically,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assigns regional weights to the unit area based on the regional road use rat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roads with each weighted road to the total number of roads existing in the unit area. can do. For example, if the total number of roads existing in unit area A is 100 and the number of roads with weights assigned to each road is 50, the regional road utilization rate of unit area A is determined to be 50%, and 50% of regional roads A regional weight corresponding to the utilization rate can be assigned to the unit region. Regional weights according to regional road usage rates can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and Table 4 below is an example showing regional weights according to regional road usage rates. However, Table 4 is only an example to aid understanding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stated values.

지역별 도로 Roads by region 이용율utilization rate 지역별 가중치Weight by region 50%50% 100100 30%30% 5050 10%10% 2020 1%One% 1One

지역별 가중치를 결정한 후,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단위지역에 대하여,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도 있고,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하기 표 5 및 표 6은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하여 단위지역 A 및 B에 대하여 지역친숙도를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일 예시이다.After determining the weight for each region,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may calculate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corresponding unit area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weight for each road and the weight for each region assigned to each road. For example, for the unit area,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um of the road-specific weights assigned to each road by the regional weight,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road-specific weights and the regional weight. By multiplying, you can calculate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Tables 5 and 6 below are examples showing the results of calculating regional familiarity for unit areas A and B by multiplying the average value of the weights for each road and the weight for each region.

단위지역 AUnit area A 도로 번호road number 매칭 횟수Number of matches 도로별 By road
가중치weight
가중치 weight
평균average
지역별 도로 이용율Road usage rate by region 지역별 By region
가중치weight
지역친숙도Local familiarity
1번 국도Route 1 2222 22



1.25







1.25







8/10 X 100
= 80%






8/10
= 80%






100






100






1.25 X 100 = 125






1.25


2번 국도National Route 2 1717 1.51.5 10번 국도Route 10 2626 22 15번 국도Route 15 33 1One 20번 국도Route 20 22 XX 21번 국도Route 21 22 XX 30번 국도Route 30 1212 1.51.5 40번 국도Route 40 2525 22 43번 국도Route 43 1010 1.51.5 50번 국도Route 50 66 1One

단위지역 BUnit area B 도로 번호road number 매칭 횟수Number of matches 도로별By road
가중치weight
가중치weight
평균average
지역별 도로 Roads by region 이용율utilization rate 지역별By region
가중치weight
지역친숙도Local familiarity
10번 국도Route 10 22 XX


1





One





5/8 X 100
= 62.5%




5/8
= 62.5%




100





100





1 X 100
= 100




1
= 100

11번 국도Route 11 1717 1.51.5 23번 국도Route 23 3636 22 30번 국도Route 30 2525 22 32번 국도Route 32 1111 1.51.5 36번 국도Route 36 1One XX 39번 국도Route 39 99 1One 48번 국도Route 48 22 XX

상기와 같은 지역친숙도 산출 방식을 각 단위지역에 적용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By applying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method as above to each unit area,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unit areas.

경로탐색부(55)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The route search unit 55 can search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 by differentially searching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탐색부(55)는 미리 설정된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 조건은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ute search unit 55 may search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preset route search conditions. The route search condition may include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may also include driving ease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information, and accident-prone road information.

이때, 경로탐색부(55)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상기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탐색부(55)는 다른 경로 탐색 조건보다 도달 소요 시간 단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선회 횟수가 많거나 도로 너비가 좁더라도 도달 소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ute search unit 55 may search the route so that the time required to arrive is shortened by prioritizing the time required to arrive among the route search conditions as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the route search is high.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regional familiarity,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user has a good understanding of the road conditions in the unit area. Therefore, the route search unit 55 prioritizes shorten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over other route search conditions and makes a turn. Even if the number of trips is large or the road width is narrow, a route that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reach it can be searched first.

또한, 경로탐색부(55)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탐색부(55)는 다른 경로 탐색 조건보다 주행 용이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도달 소요 시간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선회 횟수가 적고 도로 너비가 크며 사고 발생율이 적어서 주행이 용이한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ute search unit 55 prioritizes ease of driving among route search conditions as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is low, reducing the number of turns, increasing road width,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sses through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A path can be searched to satisfy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ocal familiarity, the less likely it is that the user is aware of the road conditions in the unit area. Therefore, the route search unit 55 prioritizes driving ease over other route search conditions and takes the required time to reach the area. Even if the time increases slightly, routes that are easier to drive with fewer turns, larger road widths, and lower accident rates can be prioritized.

한편, 경로 탐색 조건은 진입과 진출이 곤란한 도로에 대한 회피 조건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진입과 진출이 곤란한 도로를 회피하도록 경로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진입 및 진출의 용이성을 판단하기 위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교통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교통정보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교통정보로부터 교통상황의 원활, 지체 및 정체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진입 및 진출의 용이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oute search conditions may also include conditions for avoiding roads that are difficult to enter and exit, and the lower the local familiarity,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 route can be searched preferentially to avoid roads that are difficult to enter and exit. In this case, a traffic information receiver (not shown) may be included to receive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center to determine the ease of entry and exit, and whether the traffic situation is smooth, delayed, or congested can be determined from the received traffic information. You can also judge the ease of entry and exit by making judgments.

이상에서는 경로 탐색 조건을 도달 소요 시간과 주행 용이성(선회 횟수, 도로 너비, 사고다발 구간, 진입 및 진출의 곤란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로 종별, 차선 수, 차선 감소 및 차선 증가 지점, 사고 지점 및 공사 지점 정보, 상습 정체 구간, 지하차도 및 터널 경유 횟수 등, 사용자의 지역친숙도에 따라 그 우선 순위를 달리하여 경로를 탐색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route search conditions were explained as includ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ease of driving (number of turns, road width, accident-prone sections, difficulty in entering and exiting), but are not limited to this, road type, number of lanes, number of lanes, and lane reduction. It can include al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navigate the route with different priorities depending on the user's familiarity with the area, such as information on increase points, accident points, and construction points, habitually congested sections, and the number of passes through underpasses and tunnels.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이 경로 탐색 과정에서 고려되는 비율은 지역친숙도에 따라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기 표 7은 지역친숙도에 따른 도달 소요 시간과 주행 용이성 고려 비율을 표시한 일 예시이다.The rate at which time required to reach and ease of driving are considered in the route search process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depending on familiarity with the area, and Table 7 below shows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rate at which ease of driving is considered according to area familiarity. This is an example shown.

지역친숙도Local familiarity 도달 소요 시간 고려율(Time taken to reach consideration rate ( %% )) 주행 용이성 고려율(Ease of driving consideration factor ( %% )) 200 이상200 or more 8585 1515 180 이상 200 미만180 or more but less than 200 8080 2020 160 이상 180 미만Above 160 but below 180 7575 2525 140 이상 160 미만Above 140 but below 160 7070 3030 120 이상 140 미만Above 120 but below 140 6060 4040 100 이상 120 미만100 or more but less than 120 5050 5050 80 이상 100 미만More than 80 but less than 100 4040 6060 60 이상 80 미만More than 60 but less than 80 3030 7070 40 이상 60 미만More than 40 but less than 60 2525 7575 20 이상 40 미만More than 20 but less than 40 2020 8080 20 미만less than 20 1515 8585

이에 따라 경로탐색부(55)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탐색부(55)에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를 고려하지 않는 통상적인 경로 탐색시의 도달 소요 시간 대비, 도달 소요 시간 고려율에 대응되는 도달 소요 시간의 단축율이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지역친숙도를 고려하지 않는 통상적인 경로 탐색시의 선회 횟수, 도로 너비, 사고다발 구간 경유 횟수 대비,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대응되는 선회 횟수의 증감율, 도로 너비의 증감율 및 사고다발 구간 경유 횟수의 증감율이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경로탐색부(55)는 이러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ute search unit 55 can perform differentiated route search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ease of driving consideration. In this case, the route search unit 55 may be set up with a route search algorithm to perform differentiated route search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ease of driving consideration. 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time required for arrival during a normal route search that does not consider regional familiarity, the reduction rate of time required to arrive corresponding to the consideration rate of time required for arrival may be preset in the route search algorithm. In additi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and number of passes through accident-prone sections when searching a normal route that does not consider regional familiarity,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the number of turns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ease consideration rate,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road width, and the number of transits through accident-prone sections. The increase/decrease rate may be preset in the path search algorithm. The route search unit 55 can perform differentiated route search according to this route search algorithm.

표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일 뿐 기재된 수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역친숙도에 따라 경로 탐색 조건의 우선 순위를 달리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Table 7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numbers described, and may include all configurations for searching a route by varying the priority of route search conditions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경로안내 제어부(57)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may control the route guidance unit 60 to differentially guide routes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구체적으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교차로, 고가차도 및 지하차도와 같은 도로 시설을 확대 표시하지 않거나 확대 표시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고, 음성 출력 회수를 감소시켜(예: 장거리, 단거리, 직진에 따른 3회 안내를 장거리, 단거리에 따른 2회 안내로 감소 / NRG(Narration Route Guidance) 축소 적용)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reduces the number of times the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as the region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is higher. The route guidance unit 60 can be controlled to guide the route 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it is output as a voi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ocal familiarity, the better the user can be judged to understand the road conditions in the unit area. Therefore,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does not enlarge or display road facilities such as intersections, overpasses, and underpasses. Route guidance is provided by reducing the number of enlarged displays, and the number of voice outputs is reduced (e.g., 3 guidances for long distances, short distances, and going straight are reduced to 2 guidances for long distances and short distances / NRG (Narration Route Guidance) is reduced) Application) The route guidance unit 60 can be controlled to guide the route.

반대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사용자가 해당 단위지역의 도로 상황을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경로안내 제어부(57)는 교차로, 고가차도 및 지하차도와 같은 도로 시설을 확대 표시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경로를 안내하고, 음성 출력 회수를 증가시켜(예: 장거리, 단거리, 직진에 따른 3회 안내를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 직진에 따른 4회 안내로 증가 / 사고다발 구간, 급커브 구간 등 상세안내 / NRG(Narration Route Guidance) 확대 적용)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increases the number of times the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as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is low, or the number of times it is displayed is increased. The route guidance unit 60 can be controlled to guide the rout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output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ocal familiarity, the less likely it is that the user is aware of the road conditions in the unit area. Therefore,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enlarges and displays road facilities such as intersections, overpasses, and underpasses.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to guide the route and increase the number of voice outputs (e.g., increase from 3 guidance for long distance, short distance, and straight ahead to 4 guidance for long distance, medium distance, short distance, and straight ahead / accident-prone sections, sharp curves) The route information unit 60 can be controlled to guide the rout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sections / expanded application of NRG (Narration Route Guidance)).

한편, 지역친숙도를 고려하지 않는 통상적인 경로 안내시에 대비하여, 지역친숙도에 따라 경로정보가 확대 표시되는 횟수의 증감율 및 음성 출력 횟수의 증감율은 경로안내 제어부(57)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로안내부(60)는 지역친숙도에 따른 차별적인 경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preparation for normal route guidance that does not consider regional familiarity,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the number of times route inform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number of voice outputs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may be preset in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Accordingly, the route guidance unit 60 can provide differentiated route guidance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지역 분할부(51), 지역친숙도 산출부(53), 경로탐색부(55), 및 경로안내 제어부(57)를 제어부 내에서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부(50) 내에서 통합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단위지역 분할부(51), 지역친숙도 산출부(53), 경로탐색부(55), 및 경로안내 제어부(57) 각각에서 수행되는 과정은 제어부(50)에서 통합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nit area division unit 51,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the route search unit 55, and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are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within the control unit, bu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ted configuration within the control unit 50. In other words, the processes performed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unit area division unit 51,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route search unit 55, and route guidance control unit 57 will be integratedly performed in the control unit 50. It may be possib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에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flowchart showing regional familiarity in the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flowchart to specifically explain the calculation steps.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목적지를 입력받는다(S10).When explaining the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rst, the control unit 50 receives the destin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0 (S10).

이어서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한다(S20).Next, the control unit 50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S20).

이때,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행정구역은 도, 시군구, 읍면동과 같은 단위를 의미한다. 행정구역 단위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제어부(50)에 설정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 may divide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above administrative district refers to units such as provinces, cities, counties, districts, and towns and village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or may be selected by the user and set in the control unit 50 through a separate interface.

또한, 제어부(50)는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위지역에 포함되는 도로의 개수가 19개 ~ 21(20±1), 29 ~ 31(30±1), 39 ~ 41(40±1) 등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되도록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하는 분할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number of roads, and divides areas with a larger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so that each unit area has roads corresponding to a preset range. It can be divided to include the number. For example, the number of roads included in each unit area is within a preset range, such as 19 to 21 (20 ± 1), 29 to 31 (30 ± 1), and 39 to 41 (40 ± 1). It can be divided into unit areas.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50 may provide a division algorithm that divides an area with a large number of roads more densely so that each unit area includes the number of roads corresponding to a preset range.

이어서, 제어부(50)는 현재까지 축적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한다(S30). 지역친숙도는 이동체가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로 정의된다.Next, the control unit 50 calculates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accumulated to date (S30). Regional familiarity is defined as the unit area driving rat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bile unit has driven each unit area.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키고(S31), 매칭된 횟수에 따라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며(S33),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는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 또는 평균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control unit 50 matches each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corresponding unit area (S31), and assigns a road-specific weight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S33) ),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unit area can be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unit area based on the road-specific weight assigned to each road. Regional familiarity can be calculated as the sum or average of weights for each road.

또한 제어부(50)는 이동체의 단위지역 주행율을 지역친숙도에 더 정확히 반영시키기 위해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고(S35),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에 근거하여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S37). 보다 구체적으로, 지역친숙도 산출부(53)는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는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지역친숙도는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들의 합산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고, 도로별 가중치들의 평균값과 지역별 가중치를 곱함으로써 산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0 assigns a regional weight to the unit area in order to more accurately reflect the unit area driving rate of the mobile unit in the regional familiarity (S35), and calculates the regional familiarity based on the road-specific weight and the regional familiarity. (S37). More specifically,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3 assigns regional weights to the unit area based on the regional road use rat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roads with each weighted road to the total number of roads existing in the unit area. can do. Regional weights according to regional road usage rates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Regional familiarity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sum of road-specific weights assigned to each road by the regional weight, or by multiplying the average of the road-specific weights by the regional weight.

이어서, 제어부(5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S40).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미리 설정된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 조건은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50 searches for a route to the destination by differentially searching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S4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0 may search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preset route search conditions. The route search condition may include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may include driving ease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information, and accident-prone road information.

이때, 제어부(50)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0 may search the route so that the time required to reach it is shortened by prioritiz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it among the route search conditions as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the route search is high.

또한, 제어부(50)는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the control unit 50 gives priority to ease of driving among the route search conditions, reducing the number of turns, increasing road width,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ops on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A path can be searched to meet the ideal.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이 경로 탐색 과정에서 고려되는 비율은 지역친숙도에 따라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탐색부(55)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부(50)에는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 고려율에 따라 차별적인 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The ratio at which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ease of driving are considered in the route search process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iarity with the area. Accordingly, the route search unit 55 can perform differentiated route search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consideration factor for ease of driving, and the control unit 50 can perform differentiated route search according to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consideration factor for ease of driving. A path search algorithm may be set to do this.

이어서, 제어부(5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한다(S50). 경로안내부(60)는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50 controls the route guidance unit 60 to gui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in a differentiated manner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S50). The route guide unit 60 can guide the route by displaying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by enlarging or displaying it in normal size on map data or outputting it in voice.

이때, 제어부(50)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고,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친숙도가 낮을수록,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증가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경로안내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에 따른 경로정보가 확대 표시되는 횟수의 증감율 및 음성 출력 횟수의 증감율은 제어부(5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higher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the more the control unit 50 enlarges the route information on the map data and reduces the number of times it is displayed or the number of times it is output by voice to guide the route. The unit 60 can be controlled, and as the level of familiarity with the unit area being driven is low, the number of times the route inform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is increased or the number of times it is output by voice is increased to guide the route. The route guide unit 60 can be controlled.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the number of times the route information is enlarged and displayed and the increase/decrease rate of the number of times the voice is output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may be preset in the control unit 50.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즉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분할하고,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과정을 내비게이션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정보 및 안내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로 송신하는 경로 탐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ute search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ividing stored map data, calculating local familiarity, and differentially searching and guiding routes is perform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the navigation server, and the searched route information and guidance information are transmitt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s a route search system. 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search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단말(100), 내비게이션 서버(200), 및 무선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route search system based on local familiar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avigation terminal 100, a navigation server 2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마이크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목적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GPS 등의 위성항법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GPS 좌표를 수신함으로써 현재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receive a destination input from the user and receiv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receive a destination input from the user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d, touch screen, or microphon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receive the destination input in various ways. Additionally,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receiv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moving object using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uch as GPS.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후술할 내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경로안내정보에 근거하여,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또는 정상크기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displays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being driven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in enlarged or normal size on the map data, based on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vigation serve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You can guide the route to your destination by displaying it or outputting it by voice.

한편, 내비게이션 단말(100)은 통상적으로 차량에 탑재되어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비게이션 서버(200)로부터 경로안내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경로를 안내할 수 있는 모든 텔레매틱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not only a navigation device that is usually mounted on a vehicle and provides route guidance, but als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ablet, laptop,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owned by the user. ), etc., and may include all telematics terminals that can guide the user to the route by receiv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server 200.

무선통신망(300)은 내비게이션 단말(100)과 내비게이션 서버(200)의 통신 매체로서, 내비게이션 단말(100)과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무선통신망(300)에 의해 정보를 교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300)은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TE, WIBRO 등과 같은 무선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 표준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100) 및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상호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i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navigation server 200, and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navigation server 200 can communicat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may includ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300 such as WIFI,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LTE, and WIBRO,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standard. Additionally,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each include a network interface (not shown) for mutual wireless communication.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내비게이션 단말(100)의 경로 탐색 요청에 따라,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고,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생성한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The navigation server 200 divides the entire area on the pre-stored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in response to a route search request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accumul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o create a moving object.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regional familiarity is calcul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and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determined by differentially exploring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You can explore.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주행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주행경로를 안내하기 위해, 도로의 링크 및 각 링크의 속성 등이 포함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내비게이션 서버(20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는 지역의 도로 상황을 반영하여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업데이트 된 지도데이터를 통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store map data including road links and the properties of each link in order to search for a driving route and provide guidance on the discovered driving route. Map data stored in the navigation server 200 can be periodically updated to reflect local road conditions, and accordingly, the navigation server 200 searches for a route to the destination through the updated map data, enabling more accurate route navigation. It can be done.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미리 저장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행정구역에 따라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도로의 개수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되, 도로의 개수가 많은 지역일수록 조밀히 분할하여 상기 단위지역 각각에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 도로 개수가 포함되도록 분할할 수도 있다. 지도데이터상의 전 지역을 분할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divide the entire area on the pre-stored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districts. In addition,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number of roads. Areas with a larger number of roads are divided more densely so that each unit area includes the number of roads corresponding to a preset range. It may be possible. Since the process of dividing the entire area on the map data has been described above,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무선통신망(300)을 통해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받은 이동체의 현재의 위치정보를 축적하여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내비게이션 단말(100)이 무선통신망(300)을 통한 내비게이션 서버(200)와의 네트워크가 불가능한 사양일 경우에는, 네트워크가 가능한 환경에서(PC와 연결하여 네트워크에 접속 등) 위치정보를 내비게이션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이동 통신 업체의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전화와 같은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내비게이션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다양한 방식으로 수신하고 이를 축적하여 생성된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accumulat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to generate and stor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However, i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has specifications that do not allow networking with the navigation server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300, the location information must be sent to the navigation server ( 200), 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owned by the user can be detected and transmitted to the navigation server 20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s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a moving object in various ways and stor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generated by accumulating this information.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상기와 같이 저장된 주행 궤적 정보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calculate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stored as described above.

구체적으로,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주행 궤적 정보 각각을 매칭시켜 매칭된 횟수에 따라 각 도로에 도로별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총 도로 개수 대비 도로별 가중치가 부여된 도로 개수의 비율로 결정되는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하며, 각 도로에 부여된 도로별 가중치 및 지역별 가중치의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함으로써,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할 수 있다. 각 도로 및 주행 궤적 정보의 매칭 횟수에 따른 도로별 가중치, 지역별 도로 이용율에 따른 지역별 가중치는 내비게이션 서버(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ally, each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is matched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unit area, a weight for each road is assigned to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and the weight for each road is given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roads existing in the unit area. Based on the regional road usage rate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roads, a regional weight is assigned to the unit area, and the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s of the road-specific weight assigned to each road and the regional weight. By doing so, regional familiarity can be calculat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unit regions. The weight for each roa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tches of each road and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and the weight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road usage rate for each region may be preset in the navigation server 200. The process of calculating regional familiarity has been described above, so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내비게이션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The navigation server 200 can search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received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by differentially searching the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보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미리 설정된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경로 탐색 조건은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선회 횟수 정보, 도로 너비 정보, 및 사고다발 도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주행 용이성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search a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preset route search conditions. The route search condition may include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may also include driving ease including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urns, road width information, and accident-prone road information.

이때,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경로 탐색 조건 중 도달 소요 시간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도달 소요 시간이 단축되도록 경로를 탐색하고, 경로 탐색 대상이 되는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낮을수록 주행 용이성을 우선 조건으로 하여, 선회 횟수 감소, 도로 너비 증가, 및 사고 다발 도로 경유 횟수 감소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도록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가 탐색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higher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the time required to reach is given priority among the route search conditions, and the route is searche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loc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subject to route search is determined. The lower the degree, the easier it is to drive, and the route can be searched to mee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reducing the number of turns, increasing road width,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ops on roads with frequent accidents. The process of differentially searching routes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has been described above, so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또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내비게이션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주행중인 단위지역의 지역친숙도가 높을수록, 주행중인 도로 및 이동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지도데이터상에 확대 표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횟수를 감소시키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경로를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경로안내정보를 생성하여 내비게이션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경로안내정보는 지도데이터, 각 단위지역에서 차별적으로 탐색되어 결정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및 이에 따른 경로안내 제어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지역친숙도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가 안내되는 과정은 전술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dditionally, the navigation server 200 may generat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provide differentiated route guidanc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and provid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Specifically, the higher the regional familiarity of the unit area being driven, the more the navigation server 200 reduces the number of times it displays route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d being driven and the location of the moving object by enlarging it on the map data or through voice transmission.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guide the route by reducing the number of outputs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n other word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map data, the optimal route to the destination determined by differentially searching in each unit area, and route guidance control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ocess of differentially guiding routes according to regional familiarity has been described above, so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내비게이션 서버(200)는, 지도데이터 및 주행 궤적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지도데이터를 분할하며, 지역친숙도를 산출하여 차별적으로 경로를 탐색하고 안내하는 통합된 구성으로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주행정보 저장부, 단위지역 분할부, 지역친숙도 산출부, 경로탐색부, 및 경로안내 제어부로 분리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navigation server 200 is described as an integrated configuration that stores map data and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divides the stored map data, and calculates regional familiarity to differentially search and guide routes. Depending on the example,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of a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a unit area division unit, a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a route search unit, and a route guidance control unit.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익숙한 지역은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빠른 길 위주로 탐색하고, 낯선 지역에서는 편하고 안전한 길 위주로 탐색하며, 그에 따라 차별적으로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주행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in areas with which the user is familiar, the user mainly searches for fast routes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in unfamiliar areas, the user mainly searches for convenient and safe routes, and provides differential route guidance accordingly, thereby satisfying the user's driving satisfaction. can increa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can be mad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입력부
20: 지도데이터 저장부
30: 위치정보 수신부
40: 주행정보 저장부
50: 제어부
51: 단위지역 분할부
53: 지역친숙도 산출부
55: 경로탐색부
57: 경로안내 제어부
60: 경로안내부
100: 내비게이션 단말
200: 내비게이션 서버
300: 무선통신망
10: input unit
20: Map data storage unit
30: Location information receiver
40: Driving information storage unit
50: control unit
51: Unit area division unit
53: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55: Route search unit
57: Route guidance control unit
60: Route information section
100: Navigation terminal
200: Navigation server
300: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8)

지도데이터상의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위지역 분할부;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지역친숙도 산출부로서,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각 단위지역에 대한 상기 이동체의 주행 이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인, 지역친숙도 산출부; 및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경로탐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A unit area division unit that divides th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history of the mo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wherein the regional familiari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ing history of the moving object for each unit area.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which is determined; and
a route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a route to a destination by differentially searching routes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regional familiarity;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local familiarit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이동체가 상기 각 단위지역을 주행한 횟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단위지역 주행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gional familiarity is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area driving ra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object has driven each uni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친숙도 산출부는, 현재까지 축적된 주행 궤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해당 단위지역에 존재하는 각 도로에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획득되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해당 단위지역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determines regional familiarity for the unit area using weights obtained by match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included in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accumulated to date to each road existing in the unit area.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regional familiarity,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the degr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탐색부는, 상기 목적지까지의 도달 소요 시간 및 주행 용이성을 포함하는 경로 탐색 조건에 근거하여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되,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상기 도달 소요 시간 및 상기 주행 용이성이 경로 탐색 과정에서 고려되는 비율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oute search unit searches a rout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route search conditions including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ease of driving,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local familiarity, characterized in that it differentially searches for routes in each unit area by adjusting the rate at which the time required to reach and the ease of driving are considered in the route 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local familiarity. .
제어부가, 지도데이터상의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각 단위지역에 대한 상기 이동체의 주행 이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탐색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A step where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history of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wherein the regional familiari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ing history of the moving object for each unit area. the step being determined; and
The control unit, searching for a route to a destination by differentially searching for a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area familiarity;
A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local familiarity, comprising:
지도데이터상의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위지역 분할부;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지역친숙도 산출부로서,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각 단위지역에 대한 상기 이동체의 주행 이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인, 지역친숙도 산출부; 및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는 경로안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A unit area division unit that divides th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history of the mo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wherein the regional familiari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ing history of the moving object for each unit area. Regional familiarity calculation unit, which is determined; and
a route guidance control unit that differentially guides routes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level of regional familiarity;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local familiarity, compri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 제어부는,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로 안내 정보의 디스플레이 출력 크기, 디스플레이 출력 횟수, 또는 음성 출력 횟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route guidance control unit is a route search device based on local familiarity,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the display output size, display output count, or voice output number of rout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rea familiarity.
제어부가, 지도데이터상의 지역을 복수의 단위지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이동체의 주행 궤적 정보의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지역 각각에 대한 지역친숙도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역친숙도는 상기 각 단위지역에 대한 상기 이동체의 주행 이력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인,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지역친숙도에 따라 각 단위지역에서의 경로를 차별적으로 안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친숙도 기반의 경로 탐색 방법.
A step where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area on the map data into a plurality of unit areas;
A step in which the control unit calculates a regional familiarit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areas based on the history of the driving trajector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wherein the regional familiari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driving history of the moving object for each unit area. the step being determined; and
A control unit, differentially guiding a route in each unit area according to the level of regional familiarity;
A route search method based on local familiarity, comprising:
KR1020230116977A 2016-07-29 2023-09-04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KR102599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6977A KR102599271B1 (en) 2016-07-29 2023-09-04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974A KR102599257B1 (en) 2016-07-29 2016-07-29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KR1020230116977A KR102599271B1 (en) 2016-07-29 2023-09-04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974A Division KR102599257B1 (en) 2016-07-29 2016-07-29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460A KR20230131460A (en) 2023-09-13
KR102599271B1 true KR102599271B1 (en) 2023-11-07

Family

ID=612324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974A KR102599257B1 (en) 2016-07-29 2016-07-29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KR1020230116977A KR102599271B1 (en) 2016-07-29 2023-09-04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974A KR102599257B1 (en) 2016-07-29 2016-07-29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99257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5007B2 (en) * 2003-04-11 2009-04-15 株式会社ザナヴィ・インフォマティクス Navigation device and travel time calcul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1460A (en) 2023-09-13
KR20180014344A (en) 2018-02-08
KR102599257B1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044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navigation devices
CN107003141B (en) Alternative routes
JP5277223B2 (en) Route search device
US905761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nified directions
JP6777151B2 (en) Route search method and route search device
KR2015014382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EP3676697A1 (en) Multimodal vehicle routing system and method with vehicle parking
JP2005091303A (en) Route providing device and program
JP4246250B1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server, terminal device, and route search method
JP2020056739A (en) Route search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07114030A (en) Navigation system, mobile terminal device, and route search server
JP5708230B2 (en) Route guidance system, portable terminal, and server device
JP5538252B2 (en) Navigation system, center server, in-vehicle device
JP5454421B2 (en) Route search device
JP5114254B2 (en) Map display system, route search server, route search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102599271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based on familiarity of local area
US20160054127A1 (en) Short-path fuzzy navigation method
JP5773202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program, and navigation method
KR20130063616A (en) Vehicle route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2011112387A (en) Navigation system, route search server, terminal, method of navigation, and navigation device
JP2021179350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385255B2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method, computer program
KR201800618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path of navigation
JP6374772B2 (en) Route search system, route search method, computer program
KR102622583B1 (en) Customized multiple paths sugges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