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755B1 -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755B1
KR102597755B1 KR1020210045594A KR20210045594A KR102597755B1 KR 102597755 B1 KR102597755 B1 KR 102597755B1 KR 1020210045594 A KR1020210045594 A KR 1020210045594A KR 20210045594 A KR20210045594 A KR 20210045594A KR 102597755 B1 KR102597755 B1 KR 10259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de
driving
situ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053A (ko
Inventor
박현성
박현구
김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택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10045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75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17Modal analysis, e.g. for determining system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 및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며,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상황에 대응 가능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BASED ON ANALYSIS OF VEHICLE MODE}
본 발명은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IT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차량 기술은 다양한 IT 기술이 접목되고 지능화되는 대표적인 기술 분야이다.
이러한 차량 IT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로서, 무선통신 및 위치정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 운전 관리 등을 제공하는 텔레메틱스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텔레메틱스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는 도난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차량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변화에 대한 감지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차량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서버에서 제공하는 질의 문구와 연동하는 사용자 단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특정하게 사전에 설정된 상황, 즉, 상술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의 경우 도난 상황에 대해서만 감지 및 대응이 가능하며, 그 외에 다른 환경에서는 어떠한 처리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체감도가 낮으며,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도 상황 분석 및 대응이 가능한 지능형 차량 제어 기술에 대한 니즈가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907호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량의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상황에 대응 가능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차량의 움직임의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차량의 모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모드를 계층화 하여 구축하고 계층화된 모드 간의 전환을 제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모드 간의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 할 수 있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측면은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상기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 및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며,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 도구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 좌우 움직임 및 전후 움직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차량 내 또는 상기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 가능한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식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 및 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리포트, 차량 제어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 제어를 설정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에서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능동 대응 제어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능동 대응 제어부는,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 도구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리포트하는 리포트 모듈 및 판별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기술적 측면은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에서 수행되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 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상황에 대응 가능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모드 설정이 가능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움직임의 방향을 기초로, 다른 감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적용함에 따라 차량의 모드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드를 계층화 하여 구축하고 계층화된 모드 간의 전환을 제한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모드의 적용 및 모드 간의 전환을 보다 정확하게 설정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황적 대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적 대응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차량의 상황에 따른 움직임 감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S8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 및 그의 하부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요소들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적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전자적 시스템에서 구동 가능한 소프트웨어 자체이거나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일 기능적인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전자적 구성과 그에 대응되는 구동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순서도가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각 단계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순서도의 순서에 따라 각 단계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순서도에서의 각 단계는, 서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순서도에 따른 순서대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서도에서의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감지 도구 및 상황적 대응장치(100)를 포함한다.
감지 도구(200)는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감지 도구는, 센서 모듈(220), 카메라 모듈(230), 무선통신 모듈(24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감지 도구(200) 및 상황적 대응장치(100)를 포함하는 일체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차량과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개별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상황적 대응장치(100)를 포함하고, 감지 도구(200)는 차량에 기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모듈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 실시예에서 차량 제어 시스템(10)은 차량과 적어도 일부 기능에서 연동되어 구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센서 모듈(220)은 차량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 좌우 움직임 및 전후 움직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모듈(220)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센서 모듈(220)에서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차 문을 개폐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차 문을 개폐하게 되면 차량은 좌우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센서 모듈(220)은 이와 같이 차문이 개폐될 때 발생하는 차량의 좌우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크기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에 의한 좌우 움직임은 움직임의 크기가 작고 단시간 발생하는 반면, 측방 사고 등의 경우 좌우 움직임은 움직임의 크기가 크고 비교적 긴 시간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센서모듈(220)에서 감지된 움직임 및 그 크기는 상황 분석에 사용된다.
도 6은 트렁크를 개폐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를 개폐하게 되면 차량은 상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센서 모듈(220)은 이러한 차량의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크기 또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및 그 크기는 상황 분석에 사용된다.
도 7은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를 예시하며, 도시된 바와 차량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차량은 전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센서 모듈(220)은 이러한 차량의 전후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크기 또한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 및 그 크기는 상황 분석에 사용된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30)은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카메라 모듈(230)은 전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후진 카메라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후측방 감지 카메라, 전측방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무선통신 모듈(240)은 차량 내 또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통신 모듈(240)은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모듈(240)은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인접한 기지국과 통신하여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GPS 모듈(250)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리적 위치 정보는 차량이 이동되는지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모드는,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연동을 더 이용하여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차량을 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차량을 주차 모드로 설정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황적 대응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황적 대응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황적 대응 장치(100)는, 모드 판별부(110) 및 능동 대응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리포트 모듈(121) 및 차량 제어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의 움직임, 사용자 단말의 인식 여부 및 차량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각 모드에 대응하여 차량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리포트, 차량 제어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 제어를 설정하고, 모드 판별부(110)에서 판별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포트 모듈(121)은, 판별된 모드에 따라 감지 도구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리포트 할 수 있다.
차량 제어 모듈(122)은, 판별된 모드에 따라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제어 모듈(122)은, 차량의 ECU와 연동하여 능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황적 대응장치에서 관리하는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하, 도 4를 더 참조하여, 상황적 대응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모드 판별부(110)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차량을 주행 모드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차량을 대기 모드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차량을 주차 모드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차 모드로 판별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상황적 대응 장치(100)를 슬립 모드로 설정하여, 배터리 전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모드, 대기 모드 및 주행 모드는 하위 모드를 포함하도록 계층화 될 수 있다. 즉, 주차 모드, 대기 모드, 및 주행 모드는 제1 뎁스 모드가 되고, 주차 모드의 하위 모드(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대기 모드의 하위 모드(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및 주행 모드의 하위 모드(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는 제2 뎁스 모드가 된다.
모드 판별부(110)는 현재의 모드를 판별할 때 이전의 모드를 고려하여, 즉, 이전 모드에서 현재 모드로의 전환을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 판별부(110)는 제1 뎁스의 모드 간에는 전환을 가능하게 설정하나, 제2 뎁스의 모드는 동일한 하위 모드 그룹 내에서만 전환 가능하도록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드 판별부(110)는 제1 뎁스의 주차 모드에서 다른 제1 뎁스의 대기 모드로 전환을 가능하게 판별할 수 있으나, 제2 뎁스의 자동주차 모드에서 제2 뎁스의 엔터테인 모드로 전환은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뎁스의 자동주차 모드는 제1 뎁스의 주차 모드로 전환한 후에 주차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로 전환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감지 도구에서 생성되는 감지 정보의 종류가 제한적이므로, 서로 다른 모드라도 유사한 감지 정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모드에 대하여 계층적인 구조를 설정하여 하위 모드들을 설정함으로써, 모드의 잘못된 인식을 방지하고 모드 간의 전환을 유동적이면서도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충격 기록모드가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충격 감지 기록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수납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수납모드가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후방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으로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가 차량에 인접하면 트렁크를 오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견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견인 모드가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예컨대, 주변 영상, 충격 감지 기록 등)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 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되면,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차량의 이동을 제한하고, 차량의 온도 및 습도를 사전에 설정된 쾌적 모드로 설정하여 운영하고, 이러한 쾌적 모드는 차량의 오디오에 영향을 제한적으로 미치도록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GPS 정보 및 주행과 관련된 카메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능동 대응 제어부(120)는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되면, GPS 정보, 주행 속도 정보 및 주행 관련 카메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드 판별부(11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모드 판별부(110)는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차량 제어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 설명한 공유재산 관리 시스템을 기초로 수행되므로, 도 1 내지 도 7에서 기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할 수 있다(S810).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 할 수 있다(S820).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 할 수 있다(S830).
여기에서, 복수의 모드는,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계 S82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차량을 주행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S821).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S822).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차량을 주차 모드로 설정 할 수 있다(S823).
단계 S821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주행 모드는,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822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대기 모드는,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 및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에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823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주차 모드는,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황적 대응장치(300)는,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 하는 단계,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는 단계 및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 차량 제어 시스템
100 : 상황적 대응장치
110 : 모드 판별부 120 : 능동 대응 제어부
121 : 리포트 모듈 122 : 차량 제어모듈
210 : ECU 220 : 센서모듈
230 : 카메라 모듈 240 : 무선 통신모듈
250 : GPS 모듈

Claims (15)

  1. 차량에 구비되고,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 및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며,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고,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도구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을 상하 움직임, 좌우 움직임 및 전후 움직임으로 구분하여 감지하고, 각 움직임의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
    상기 차량 주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차량 내 또는 상기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 가능한 무선통신 모듈;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고,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며,
    상기 주차 모드, 상기 대기 모드 및 상기 주행 모드는 제1 뎁스의 모드이고, 상기 제1 뎁스의 모드는 하위 모드 그룹인 제2 뎁스 모드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주차 모드는 상기 제2 뎁스 모드로서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제2 뎁스 모드로서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제2 뎁스 모드로서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제1 뎁스의 모드 간에는 전환을 가능하게 설정하나 제2 뎁스의 모드 간에는 동일한 하위 모드 그룹 내에서만 전환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고,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적 대응 장치는,
    상기 차량의 움직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식 여부 및 상기 차량의 위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 및
    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리포트, 차량 제어를 포함하는 능동적 대응 제어를 설정하고, 상기 모드 판별부에서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능동적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능동 대응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대응 제어부는,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감지 도구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리포트하는 리포트 모듈; 및
    판별된 모드에 따라 상기 차량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10.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움직임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주변 상황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 도구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상황적 대응 장치에서 수행되는 차량 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모드를 설정하고, 각각의 모드 마다 다르게 설정된 각 모드 별 적응적 대응을 관리하는 단계;
    상기 감지 도구에서 제공된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모드에 적합한 능동적인 대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모드는,
    상기 차량이 정차되고 시동 및 전원이 꺼진 상황에 대응되는 주차 모드;
    상기 차량이 정차되어 있으나, 시동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황에 대응되는 대기 모드; 및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이거나 주행 중 정차 상황에 대응되는 주행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모드를 판별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고, 상기 차량이 운행 중이거나 운행 중 정차 상황으로 확인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엔진 또는 전원 중 적어도 하나가 활성화된 상태로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발생하지 않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 가능하면 상기 차량을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불인식이 발생하면 상기 차량을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모드, 상기 대기 모드 및 상기 주행 모드는 제1 뎁스의 모드이고, 상기 제1 뎁스의 모드는 하위 모드 그룹인 제2 뎁스 모드를 복수 개 포함하며,
    상기 주차 모드는 상기 제2 뎁스 모드로서 충격 기록모드, 수납 모드, 견인 모드 및 자동 주차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는 상기 제2 뎁스 모드로서 엔터테인 모드, 차박 모드 및 애견보호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제2 뎁스 모드로서 시내주행 모드, 고속주행 모드 및 주행 중 정차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뎁스의 모드 간에는 서로 전환이 가능하나, 상기 제2 뎁스의 모드 간에는 동일한 하위 모드 그룹 내에서만 전환 가능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주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좌우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충격 기록모드로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 대한 충격 감지 기록을 생성 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낮은 레벨의 상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수납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차량의 락 해제 또는 개폐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주차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고 차량의 위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견인 모드로 설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한 감지 기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주기적으로 리포트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정차한 이후에, 상기 차량의 도어가 개폐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감지 신호가 낮아지거나 불인식이 발생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주행이 발생하면, 상기 자동 주차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의 오디오 장치가 활성화 된 상태이면 상기 엔터테인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소정 범위 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상기 차박 모드로 설정하고,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차량의 온도 조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모드에 속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차량의 위치 변화가 없고 차량에 대한 락 기능이 설정되면 상기 애견보호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대기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대기 상황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 이내에 해당되고, 설정된 제1 시간 범위 이내에서 차량의 주행 및 정차의 전환이 설정된 횟수 이상 발생하면, 상기 시내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일정 시간 내에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시내주행 속도 범위를 초과하는 속도가 감지되고, 상기 제1 시간 범위보다 짧게 설정된 제2 시간 범위 동안 차량이 고속주행 속도범위에 해당하는 속도로 주행하면, 상기 고속주행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모드에 속한 상황에서, 상기 차량의 전후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주행 중 정차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의 엔진을 멈추도록 제어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시동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45594A 2021-04-08 2021-04-08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9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94A KR102597755B1 (ko) 2021-04-08 2021-04-08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94A KR102597755B1 (ko) 2021-04-08 2021-04-08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53A KR20220140053A (ko) 2022-10-18
KR102597755B1 true KR102597755B1 (ko) 2023-11-06

Family

ID=83803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94A KR102597755B1 (ko) 2021-04-08 2021-04-08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7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4784A (ja) * 2018-02-20 2019-08-29 株式会社ユピテル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836A (ko) * 2009-11-25 2011-06-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전조등의 고속도로 및 시가지 모드를 구현하는 가변형 전조등 시스템
KR20150097907A (ko) 2014-02-18 2015-08-2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인식 기반 차량 감지 시스템
KR20150121775A (ko) * 2014-04-21 2015-10-30 주식회사 알리온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정차 차량의 무단 이동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38415A (ko) * 2014-09-30 2016-04-07 현대위아 주식회사 적외선 감지센서를 이용한 4wd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832466B1 (ko) * 2016-06-14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주차 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154981B1 (ko) * 2019-02-21 2020-09-1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의 암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033594A (ko) * 2019-09-18 2021-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4784A (ja) * 2018-02-20 2019-08-29 株式会社ユピテル 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053A (ko) 202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97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04214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veillance of a vehicle using camera images
US9429943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valet systems and methods
JP4665882B2 (ja) 車両ドアロック制御装置
US10311658B2 (en) Unexpected impulse change collision detector
JP5820190B2 (ja) イベント監視用車載器
US1069958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mergency handoff of an autonomous vehicle
CN106740476A (zh) 一种汽车驾驶环境监控方法、装置及汽车
CN105774549A (zh) 基于车载智能终端的汽车安全控制方法及装置
CN106274801A (zh) 汽车防盗预警方法及车载后视镜
US20210363807A1 (en)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CN102890834B (zh) 汽车事故记录系统及方法
CN110461678A (zh) 自动车辆道路水检测
CN110088814A (zh) 车辆监控
CN108932762A (zh) 行车记录装置
US20210179021A1 (en)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CN109884338A (zh) 共享电动车逆行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271538A (zh) 自动泊车切换方法、电子设备及汽车
WO2022206336A1 (zh) 一种车辆监测方法、装置和车辆
KR102597755B1 (ko) 차량 모드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00401820A1 (en) Camera system to detect unusual circumstances and activities while driving
US20210230921A1 (en) Vehicle protection system,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US11062582B1 (en) Pick-up cargo bed capacitive sensor systems and methods
CN106515741A (zh) 用于机动车的自动驾驶的装置和方法
US11866068B2 (en) Detecting and responding to malfunctioning traffic signals for autonomous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