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659B1 -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 Google Patents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659B1
KR102596659B1 KR1020230035620A KR20230035620A KR102596659B1 KR 102596659 B1 KR102596659 B1 KR 102596659B1 KR 1020230035620 A KR1020230035620 A KR 1020230035620A KR 20230035620 A KR20230035620 A KR 20230035620A KR 102596659 B1 KR102596659 B1 KR 10259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mobile station
digital map
modu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추기환
최준석
이성용
신창호
윤중훈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230035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6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6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다수의 상시관측소,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는 이동국, 다수의 상시관측소가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를 수신하여 위치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 및 이동국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동경로에 거리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거리정보 수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폐색 지역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수치좌표를 측정하기 위해서 VRS를 활용한 네트워크 RTK 기술과 일반 RTK 기술로 각각 수치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plurality of permanent observatories that communicate with artificial satellites and confirm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a mobile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rtificial satellites and corrects digital map images, and the current confirmed by a plurality of permanent observatori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that receives numerical coordinates, generates a position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station, and a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that measur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distance value on the moving path. In order to measure high-accuracy numerical coordinates for a region,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is developed by using local survey data that can confirm numerical coordinates using network RTK technology using VRS and general RTK technology, respectively. It's about.

Description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리적, 지형적인 내용을 수치로 나타내는 지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해도(海圖), 지형의 기복상태를 나타내는 지형계측도(地形計測圖) 등이 있다. 즉, 수치지도는 특정지점에 대한 지리적/지형적인 특징을 수치정보로 표현하면서 도화된 이미지에 적용한 것이다.In general, a digital map refers to a map that expresses th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 content to be expressed in numbers, such as a chart showing the water depth in numbers, a topographic map showing the relief of the terrain, etc. there is. In other words, a digital map expresses the geographical/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point as numerical information and applies it to a drawn image.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여러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게 된다. 먼저, 종이지도가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거쳐 수치지도의 형태가 된 후, 각종 입력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거친다. The process of building a numerical map is completed through several processes as follows. First, the paper map becomes a digital map through digitizing or scanning, and then goes through procedures to correct various input errors.

이어서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을 거친 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하게 된다. 이후 위상 구조의 정립을 거친 수치지도에 각각의 도형자료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입력시키게 된다.Subsequently, through coordinate transformation, it is converted into an actual coordinate system to suit the user's purpose, and then a topological structure is established to determine the mutual lo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spatial objects. Afterwards, attribute data related to each geometrical data are entered into the numerical map whose topological 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이때, 상술한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에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며,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 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attribute data includes various identifier information, and as an example, a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a feature in a digital map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hich is used for a feature. It is a single identifier that represents the assigned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gency, other attribute information, etc. and is uniquely assigned to a geographical feature. It is composed of an organization code, map number, geographical feature identification code, and serial number field, and is used to manage the geographical feature, It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linking with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or cross-referencing between geographical features for search and utilization.

이렇게 제작된 수치지도는 종이지도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지도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관리와 활용성 면에서 뛰어나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gital maps produced in this way enable faster and more accurate map searches than paper maps, and are superior in terms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usability, allowing them to more effectively support various planning and decision-making.

수치지도는 사용자가 지도를 보면서 지리적, 지형적 정보를 쉽게 수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점에 대한 수치화된 공간정보가 도화된 이미지에 정확히 적용되어야 하고, 도화된 이미지 또한 공간정보에 맞춰 정확히 도시되어야 한다.In a digital map, the numerical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point must be accurately applied to the drawn imag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btain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while looking at the map, and the drawn image must also be accurately depicted according to the spatial information.

이러한 과정에서 통신량이 많은 도심지, 기준국 또는 상시관측소와의 거리가 먼 지점 등과 같이 GNSS 위치정보 등의 수치좌표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이하 '폐색 지역'이라 함)에는 인접한 다른 지역의 수치좌표를 참고해서 폐색 지역에 대한 수치좌표를 확인한다.In this process, in areas where the accuracy of numerical coordinates such as GNSS location information is relatively low (hereinafter referred to as 'occluded areas'), such as urban areas with high communication volume or points far from a reference station or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the numerical values of other adjacent areas are collected. Refer to the coordinates to check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occluded area.

그러나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는 수치좌표는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에 적용되므로 부정확한 수치좌표는 곧 부정확한 수치지도 제작에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numerical coordinates directly checked in the field are applied to the digital map image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of the digital map, inaccurate numerical coordinates can lead to the production of inaccurate digital maps.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작된 실감정사영상에서 실감 처리되지 않은 건물, 또는 처리된 건물이라 할지라도 검수자가 정한 정확도 범위를 벗어나는 건물에 대하여 기존의 수치지도와 비교하여 오류사항을 효과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heck for errors by comparing existing digital maps for buildings that have not been realistically processed in conventionally produced realistic appraisal images, or for buildings that are outside the accuracy range set by the inspector even for buildings that have been processed. The technology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종래 기술은 수치지도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감정 및 보정하는 기술일 뿐, 수치좌표에 대한 부정확성을 확인해서 수치좌표 자체를 보정하는 기술이 아니므로 종래 기술 또한 수치지도의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에 대한 높은 신뢰도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is only a technology for evaluating and correcting the digital map image of a digital map, and is not a technology for correcting the numerical coordinates themselves by checking inaccuracies in the numerical coordinates. Therefore, the prior art also provides a high level of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to the user of the digital map.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recognit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색 지역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수치좌표를 측정하기 위해서 VRS를 활용한 네트워크 RTK 기술과 일반 RTK 기술로 각각 수치좌표를 확인할 수 있는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easure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a blocked area with high accurac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ield survey data that can confirm the numerical coordinates using network RTK technology using VRS and general RTK technology, respective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

또한, 본 발명은 두 방식의 수치좌표들 간의 차이를 파악해서 특정 위치에 대한 수치지도 이미지의 불확실성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특정 방식의 수치좌표에 한정됨이 없이 높은 신뢰도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수정 및 완성할 수 있는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ck the uncertainty of a digital map image for a specific location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numerical coordinates, so it is possible to modify and complete a high reliability digital map image without being limited to a specific type of numerical coordinate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by using available local survey dat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다수의 상시관측소;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는 이동국; 다수의 상시관측소가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를 수신하여 위치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 및 이동국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동경로에 거리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거리정보 수집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permanent observatories that check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while communicating with artificial satellites; A mobile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satellites and corrects digital map images; A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that receives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multipl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s, generates a position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station; and a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that measur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distance value on the moving path;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상시관측소는, 3대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수신해서 현위치에 대한 측정수치좌표를 재확인하며 측정수치좌표를 가상기준점 서버와 이동국으로 각각 발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manent observatory receives signals in real time from three or more artificial satellites and provides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for the current location. It is desirable to recheck and transmit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and mobile sta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가상기준점 서버는, 다수의 상시관측소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1차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이동국에 인접한 3대 이상의 상시관측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시관측소의 측정수치좌표와 해당하는 기지점의 수치좌표를 비교해서 차이를 기반으로 1차 수치좌표에 대한 위치보정값을 연산하며 위치보정값을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control point server is connected to a number of permanent observatories through a network and receives primary numerical coordinates from a mobile station. After checking, search for three or mor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s adjacent to the mobile station, compare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searched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s with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known point, calculate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first numerical coordinate based on the difference, and calculate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It is desirable to transmit to a mobile st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이동국은, 인공위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GNSS모듈; 가상기준점 서버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 가상기준점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보정값을 기초로 GNSS모듈이 확인한 수치좌표를 보정하는 수치좌표 보정모듈; 수치지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모듈; 이미지 저장모듈에서 검색된 수치지도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입출력모듈; 수치지도 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대한 보완을 처리하는 보완지점 처리모듈;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모듈;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를 각각 확인하고 이를 비교하는 수치좌표 비교모듈; 및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의 이동경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의 이동경로를 수치지도 이미지에 함께 표시 및 기록하는 이동경로 표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station includes a GNSS module that verifies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while communicating in real time with a satellite; 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that processes communication with a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A numerical coordinate correction module that corrects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GNSS module based on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received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An image storage module that stores digital map images; An image input/output module that outputs a digital map image retrieved from an image storage module; A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that processes supplementation for the corresponding point in the digital map image; A photography module that photographs a specific point;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that checks and compares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ased on general RTK and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ased on network RTK, respectively; and a movement path display module that displays and records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station, which is confirmed and displayed based on general RTK,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station, which is confirmed and displayed based on network RTK, together on a digital map image;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거리정보 수집기는, 기초부; 기초부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조향을 위해서 조향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바퀴; 기초부가 이동하도록 전륜바퀴와 일렬로 설치되는 후륜바퀴; 전륜바퀴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해당 카운트 정보를 거리값 연산모듈에 전달하는 거리확인모듈; 조향축에 배치되어서 이동 중에 변화가 발생하는 전륜바퀴의 조향각을 감지하고 측정해서 거리값 연산모듈에 전달하는 방향확인모듈; 기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직지지대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국;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includes a base unit; A front wheel whose base is installed to be movable and rotatable about the steering axis for steering; Rear wheels installed in line with the front wheels so that the base moves; A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that count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ront wheel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unt information to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A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that is placed on the steering axis and detects and measures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that changes during movement and transmits it to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A mobility assistance devic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vertical support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A horizontal support coupl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support; A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A vertical drive unit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 shielding part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and a mobile station accommodated inside the shielding uni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기초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직지지대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수직지지대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is a first device tha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nd drives the vertical support in the front-back and height directions. driving part; A connec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and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equipped with a vertical support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so that rotation and angl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제1구동수단은, 기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riving means includes: a moving bod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provid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body; and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provided to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and to which a connection unit is coupled.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includes a pair of first rail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A pair of first blocks whose lower sides are movably coupled to a pair of first rails; A mov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blocks and moved together with the pair of first blocks; And a lifting support plate verticall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control unit includes a pair of second rails spaced apart and coupled to the lifting support plate; and a pair of second blocks each coupled to a pair of second rails to enable elevation.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위치조절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position control unit includes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late; Ball members each rotatably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A ball pos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ll member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ball member; and a ball damp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ball housing and the ball memb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to the ball member.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s include: a driving unit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e unit body; A lifting mechanism whos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A horizontal rotating part where one side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a rotating body to rotate the shiel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rotation damp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rive unit body to reduce vibr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상하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part includes a base body forming an open area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rts; a base shielding bod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e body and covering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A first shielding body provided to be lifted and lowered on the base shielding body and covering the open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shielding body; a second shielding body that is raised and lowered on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covers the open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a shielding drive part where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shielding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shielding body to raise and lower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상부승강바; 및 상부승강바에 마련되어 상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drive unit includes a cylinder bod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e shielding body; A cylinder rod whos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body and expands and contracts; A cylinder bracket coupled to the end of the cylinder rod; A connection unit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er bracket and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rod; A lifting guide bar with one end coupled to the base shielding body and the other side penetrating the bas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base shielding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of the first shielding body; A lifting connection body that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and the lifting guide bar to elevate and lower the connection unit and the lifting guide bar together and is disposed inside the lifting guide bar; An upper lifting bar with one side coupled to the lifting guide ba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shielding body to b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guide bar; and an upper stopper provided on the upper lifting bar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upper lifting bar; It is desirable to includ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폐색 지역에 대한 높은 정확도의 수치좌표를 측정하기 위해서 VRS를 활용한 네트워크 RTK 기술과 일반 RTK 기술로 각각 수치좌표를 확인하고, 확인한 수치좌표를 기존 수치지도 이미지 내에 동시에 표시하고, 두 방식의 수치좌표들 간의 차이를 파악해서 특정 위치에 대한 수치지도 이미지의 불확실성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 특정 방식의 수치좌표에 한정됨 없이 높은 신뢰도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수정 및 완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above configuration, checks the numerical coordinates using network RTK technology and general RTK technology using VRS in order to measure high accuracy numerical coordinates for the occluded area, and places the confirmed numerical coordinates in the existing digital map image. Since it is possible to track the uncertainty of a digital map image for a specific location by displaying it at the same time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two methods, it has the effect of modifying and completing a highly reliable digital map image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a specific method. You can get it.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일 예를 보인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이 출력한 수치지도 이미지에 촬영이미지가 링크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완지점 처리모듈이 지상이미지를 보정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현장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이 출력하는 수치지도 이미지 내 이동국의 위치를 표시한 이미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및 거리정보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이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
The attached drawings are intended as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a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an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image showing a captured image linked to a digital map image output by an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mage showing the ground image corrected by 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how a user uses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in the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image show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within a digital map image output by the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mobile station and a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obility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and the vertical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area of the ball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amping body and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hield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view showing the back of th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being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bile station.

먼저, 이해를 돕기 위해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가상기준점) 측량에 대해 설명하면, VRS 측위 방식은 멀리 떨어진 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활용해서 이동국 근처에 기준점이 있다고 가정할 때의 가상기준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생성해 내는 기술이다.First, to help you understand,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surveying will be explained. The VRS positioning method utilizes data from a distant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to determine a virtual reference point in software, assuming that there is a reference point near the mobile station. It is a technology that creates

기존 DGNSS(Differentia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에서 상기 관측소를 갖는 기준국의 거리가 수백 Km 이상이 되면 전리층 등의 영향으로 정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가상기준점 방식의 DGNSS에서는 상기 관측소로부터 멀어지더라도 수치좌표의 정확도가 유지된다. In the existing DGNSS (Differential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station and the above observatory becomes more than several hundred kilometers, accuracy deteriorat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ionosphere, etc. However, in the virtual reference point type DGNSS, the accuracy of numerical coordinates is maintained even when moving away from the observatory.

참고로, 높은 정밀도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 좌표값을 알고 있는 기준점에 기준국을 설치하고, 이동국은 기준국 및 인공위성과의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항상 2 대 이상의 GNSS 수신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VRS 측위 방식을 활용해서 기존 기준국에 설치된 상시관측소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면 기준국에서의 GNSS 관측은 불필요해진다. For reference, in order to perform high-precision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urveying, a reference station must be installed at a reference point whose coordinates are already known, and the mobile station must communicate with the reference station and satellites, so two or more GNSS receivers are always required. is needed. However, if the VRS positioning method is used to use observation data from a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installed at an existing reference station, GNSS observations at the reference station become unnecessary.

따라서, 사용자는 미지점에서만 관측을 하고 상시관측소 관측데이터에서 보정값를 다운로드해 사용하면 1 대의 수신기로도 GNSS측량이 가능하다. Therefore, GNSS surveying is possible with a single receiver if the user observes only at unknown points and downloads and uses correction values from the observation data of the regular observatory.

또한, 여러 대의 기준국을 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향상되어 더욱 능률적이다. Additionally, because there is no need to operate multiple reference stations, work efficiency is improved and it is more efficient.

이러한 VRS를 활용한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 방식의 수치좌표 확인을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numerical coordinate confirmation using the network RTK (Real Time Kinematic) method using V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VRS를 기반으로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수치지도 이미지에 링크된 수치좌표의 오류를 보완하고, 아울러 수치지도 이미지에 대한 오류 또한 보완한다. As illustrated in Figures 1 and 2,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erifies numerical coordinates based on VRS to correct errors in numerical coordinates linked to digital map images, and also compensates for errors in digital map images. .

이를 위해서, 상기 시스템은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상시관측소(30)와,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인공위성과 통신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는 이동국(10)과, 상시관측소(30)가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를 수신해서 위치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이동국(10)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20)를 포함한다. For this purpose, the system includes a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that communicates with a satellite and checks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a mobile station 10 that is carried by an operator and communicates with the satellite and corrects the digital map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and a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that communicates with the satellite and verifies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It includes a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that receives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observation station 30, generates a position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station 10.

상시관측소(30)는 주지된 바와 같이 기지점인 기준국에 설치되며, 인공위성으로부터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의 오차 보정에 기준이 된다. As is well known,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is installed at a reference station, which is a known point, and serves as a standard for error correction of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from a satellite.

상시관측소(30)에서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는 지상기준점 서버(20)로 실시간 전송된다.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at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are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ground control point server (20).

가상기준점 서버(20)는 VRS에 의한 네트워크 RTK(Real Time Kinematic)를 기반으로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시스템으로서, 상시관측소(30)와 네트워크 통신을 이루면서 상시관측소(30)로부터 현재 확인된 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is a system that verifies numerical coordinates based on network RTK (Real Time Kinematic) by VRS. It establishes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permanent observatory 30 and receives the numerical coordinates currently confirmed from the permanent observatory 30. Receive in real time.

이렇게 수신한 수치좌표는 상시관측소(30)의 기지점 좌표와 비교해서 해당 상시관측소(30)가 확인한 수치좌표의 오차율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위치보정값을 생성한 후 이동국(10)으로 전송한다. The numerical coordinates received in this way are compared with the known point coordinates of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to determine the error rate of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and based on this, a position correction valu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10. .

이동국(10)은 현장에 방문하는 작업자가 휴대하면서 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수치좌표를 기초로 현장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출력해서 작업자가 수치지도 이미지에 대한 오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확인된 오류를 보완해서 수치지도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mobile station 10 is carried by workers visiting the site and checks the numerical coordinates in real time, and outputs a digital map image of the site based on the numerical coordinates so that the worker can directly check errors in the digital map image. By correcting identified errors, the digital map image can be supplemented in real time.

이를 위해서, 이동국(10)은 인공위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GNSS모듈(11)과, 가상기준점 서버(20)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2)과, 가상기준점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위치보정값을 기초로 GNSS모듈(11)이 확인한 수치좌표를 보정하는 수치좌표 보정모듈(13)과, 수치지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모듈(14)과, 이미지 저장모듈(14)에서 검색된 수치지도 이미지를 출력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는 이미지 입출력모듈(15)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수치지도 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대한 보완을 처리하는 보완지점 처리모듈(16)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모듈(17)과,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를 각각 확인하고 이를 비교하는 수치좌표 비교모듈(18)과,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10)의 이동경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10)의 이동경로를 수치지도 이미지에 함께 표시 및 기록하는 이동경로 표시모듈(19)을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mobile station 10 includes a GNSS module 11 that verifies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while communicating with a satellite in real time, 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2 that processes communication with the virtual control point server 20, and a virtual control point server ( A numerical coordinate correction module 13 that corrects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GNSS module 11 based on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received from 20), an image storage module 14 that stores a digital map image, and an image storage module ( An image input/output module (15) that outputs the digital map image retrieved in 14) and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or's manipulation, and a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16) that processes the supplementation of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digital map image according to the operator's manipulation. and a shooting module (17) that photographs a specific point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and a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17) that checks and compares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ased on general RTK and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ased on network RTK, respectively ( 18), and a movement path display that displays and records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station 10, which is confirmed and displayed based on general RTK,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station 10, which is confirmed and displayed based on network RTK, together in a digital map image. Contains module 19.

이동국(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동 순서에 따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will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order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이동국(10)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해서 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되는 이동경로에 거리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거리정보 수집기(40)를 더 포함한다. Subsequently, it further includes a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40 that measur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10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distance value on the moving path output to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이를 위한 거리정보 수집기(40)는 이동국(10)에 구성된 바퀴에 설치되어서 상기 바퀴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거리확인모듈(41)과, 바퀴의 조향각을 측정하는 방향확인모듈(42)과, 상기 회전수와 조향각을 수신 및 연산해서 이동국(10)의 이동거리를 확인하는 거리값 연산모듈(43)을 포함한다.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40 for this purpose is installed on the wheel configured in the mobile station 10 and includes a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41 that counts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wheel, a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42 that measures the steering angle of the wheel, and It includes a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that receives and calculates the rotation speed and steering angle to confirm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10.

거리정보 수집기(40)는 이동국(10)에 구성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40 is configured in the mobile station 1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below.

1) 수치좌표 1차 확인1) First confirmation of numerical coordinates

GNSS모듈(11)은 인공위성의 신호를 수신해서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를 1차 확인한다. The GNSS module 11 receives signals from artificial satellites and first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주지된 바와 같이, GNSS모듈(11)은 최소한 3대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세기를 확인해서 현재 이동국(10)이 위치한 지점의 1차 수치좌표를 연산 확인한다.As is well known, the GNSS module 11 receives signals from at least three artificial satellites, checks the strength of the signals, and calculates and confirms the primary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point where the mobile station 10 is currently located.

본 발명에 따른 GNSS모듈(11)은 일반 GNSS 기기와 동일하게 DGNSS(Differential GNSS)를 기반으로 수치좌표에 대한 보정이 가능한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The GNSS modul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rrecting numerical coordinates based on DGNSS (Differential GNSS) like a general GNSS device, which will be explained again below.

2) VRS 통신2) VRS communication

네트워크 통신모듈(12)은 GNSS모듈(11)의 1차 수치좌표를 가상기준점 서버(20)로 전송한다.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2 transmits the primary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GNSS module 11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가상기준점 서버(20)는 기준점에 설치된 상시관측소(30)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상시관측소(30)가 확인한 측정수치좌표를 실시간으로 수신한다.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communicates in real time with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installed at the reference point and receives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in real time.

주지된 바와 같이, 상시관측소(30)는 기지점에 설치되므로 현재 위치에 대한 정확한 기지좌표가 등록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is installed at a known point, so the exact known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are registered.

이러한 환경에서 상시관측소(30)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해서 현재 측정된 측정수치좌표를 새롭게 확인하고, 새롭게 확인한 측정수치좌표와 기지좌표를 비교해서 오차율을 연산할 수 있다. In this environment,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can receive a signal from an artificial satellite, newly confirm the currently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and calculate the error rate by comparing the newly confirmed numerical coordinates with known coordinates.

가상기준점 서버(20)는 상시관측소(30)가 새롭게 확인한 측정수치좌표를 해당 상시관측소(30)의 기지좌표와 비교해서 오차율을 연산한다.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calculates an error rate by comparing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newly confirmed by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with the known coordinates of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한편, 가상기준점 서버(20)는 네트워크 통신모듈(12)로부터 수신한 1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해당 이동국(10)의 위치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상시관측소(30)에 대한 오차율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서 1차 수치좌표에 대한 위치보정값을 완성한 후 이동국(10)으로 전송한다. Meanwhile,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checks the error rate for three or mor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s 3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based on the first numerical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2, Using this,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first numerical coordinate is completed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10.

상기 위치보정값은 1차 수치좌표를 보정한 2차 수치좌표일 수도 있고, GNSS모듈(11)이 RTK 기술을 기반으로 1차 수치좌표를 2차 수치좌표로 보정할 수 있게 하는 보정값일 수도 있다.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may be a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 obtained by correcting the primary numerical coordinate, or may be a correction value that allows the GNSS module 11 to correct the primary numerical coordinate into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based on RTK technology. .

3) 이동국의 현재 위치 확인3) Che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네트워크 통신모듈(12)은 가상기준점 서버(20)로부터 위치보정값을 수신하고, 수치좌표 보정모듈(13)은 상기 위치보정값을 전달받아서 1차 수치좌표를 2차 수치좌표로 보정한다. The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12 receives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20, and the numerical coordinate correction module 13 receives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and corrects the primary numerical coordinates to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2차 수치좌표는 이동국(10)의 위치를 높은 신뢰도로 수치화한 것으로서, 상시관측소(30)와 이동국(10) 간의 거리와 통신 환경에 큰 영향 없이 수치좌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The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quantify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with high reliability, and allow the numerical coordinates to be confirmed withou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stance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and the mobile station 10.

4) 이동국의 현재 위치에 대응한 수치지도 이미지 출력4) Output of digital map imag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이미지 저장모듈(14)은 2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해당 위치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한 수치지도 이미지를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통해 출력시킨다.The image storage module 14 searches for a digital map imag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based on the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and outputs the searched digital map image through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일 예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이 출력한 수치지도 이미지에 촬영이미지가 링크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Figure 3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a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an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image showing an example of a numerical map image output by an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image that shows the image being linked.

도 3은 2차 수치좌표가 위치한 해당 수치지도 이미지로서, 이동국(10)이 상기 2차 수치좌표에 따라 상기 수치지도 이미지에 위치한 지점을 표시한다. Figure 3 is a corresponding digital map image where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are located, and displays a point where the mobile station 10 is located in the digital map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여기서, '파란색 점'은 2차 수치좌표를 기초로 해서 상기 수치지도 이미지에 이동국(10)이 위치한 지점을 표시한 것이다.Here, the 'blue dot' indicates the point where the mobile station 10 is located in the digital map image based on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참고로, '파란색 점'은 이동국(10)이 확인하는 2차 수치좌표를 따라 실시간으로 이동 표시되며, 이를 토대로 이동국(10)의 작업자는 수치지도 이미지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다.For reference, the 'blue dot' is displayed moving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mobile station 10, and based on this, the worker of the mobile station 10 confirms his or her position in the digital map image.

5) 현장 촬영5) On-site shooting

이동국(10)의 작업자는 자신이 수치지도 이미지에서 확인한 위치와 현장에서 확인한 위치를 비교해서 그 차이를 판단한다. The operator of the mobile station 10 compares the location confirmed in the digital map image with the location confirmed in the field and determines the difference.

작업자가 수치지도 이미지에 표시된 자신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확인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모듈(17)을 이용해서 현장을 촬영하고,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이용해서 수치지도 이미지에 수정대상 지점을 표시한다(도 3의 '빨간색 점' 참조).If the worker checks his/her loc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hown in the digital map image and determin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he/she photographs the scene using the photography module (17) and makes corrections to the digital map image using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Mark the target point (see 'red dot' in Figure 3).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작업자가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면서 수정대상 지점에 대한 표시를 곧바로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방식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uch screen type device so that the operator can immediately display the point to be corrected while viewing the digital map image.

또한, 촬영모듈(17)은 이미지 입출력모듈(15)과 연동하면서 디지털 이미지를 생성 입력하는 디지털 방식의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hotographing module 17 may be a digital camera that generates and inputs digital images in conjunction with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계속해서, 촬영모듈(17)에 의한 촬영이 완료되면, 도 4(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이 출력한 수치지도 이미지에 촬영이미지가 링크된 모습을 보인 이미지)에서 보인 바와 같이, 촬영모듈(17)은 촬영이미지를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로 표시된 상기 수치지도 이미지의 일 지점에 자동으로 링크한다.Subsequently, when the shooting by the shooting module 17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4 (an image showing the captured image being linked to the numerical map image output by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oting module ( 17) automatically links the captured image to a point in the digital map image indicated b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이렇게 링크하면, 작업자는 수치지도 이미지에서 보완 대상 및 지점 확인은 물론 촬영이미지와 '빨간색 점'을 참고해서 수치지도 이미지를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By linking in this way, workers can easily check the target and point of supplementation in the digital map image, as well as how to supplement the digital map image by referring to the captured image and the 'red dot'.

6) 보완지점 처리6) Processing of supplementary points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빨간색 점'이 표시된 지점에 따라 작업자가 수치지도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16 allows the operator to modify the digital map image according to the point where the 'red dot' is displayed.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수치지도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제작되고, 작업자는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이 제시하는 메뉴에 따라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조작해서 해당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완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16 is produced as an application that can edit digital map images, and the operator uses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ccording to the menu presented by the supplemental point processing module 16. Manipulate to supplement the digital map image.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에서 보인 수치지도 이미지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현장 조사를 진행하면서 보완이 필요한 특정 지점인 수정대상 지점에 표시(빨간색 점)를 하고, 도 4에서 보인 수치지도 이미지에서와 같이 링크된 촬영이미지를 참고해서 수정대상 지점에 대한 보완을 진행한다.To explain as an example, as in the digital map image shown in Figure 3, the worker marks (red dot) a correction target point, which is a specific point that needs supplementation, while conducting a field investigation, and in the digital map image shown in Figure 4, Refer to the linked captured image and proceed to supplement the point to be corr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완지점 처리모듈이 지상이미지를 보정한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Figure 5 is an image showing how 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corrects the groun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는 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된 지상이미지에서 수정대상 지점을 확인한 후 링크한 지상이미지(도 4 참조)와 비교한다. The operator checks the point to be corrected in the ground image output to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nd compares it with the linked ground image (see FIG. 4).

여기서, 수정대상 지점 중 아래에 위치한 코너는 실제 현장에서 위쪽에 위치한 코너에 비해 다소 완만한 형태를 이루므로 이를 고려해서 '보완부분'과 같이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을 통해서 해당 코너의 이미지형태를 편집한다.Here, the corn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int to be corrected has a somewhat gentler shape compared to the corner located at the top in the actual site, so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e image shape of the corner is changed through 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16 as in the 'supplementary part'. Edit .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전 수치지도 이미지는 도로 사이의 공간이 공터로 표시되는데, 링크된 지상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실제 현장은 해당 공간이 공터가 아닌 다수의 점포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ures 3 and 4, the previous digital map image shows the space between roads as an empty lot, but the actual site, which can be seen in the linked ground image, shows that the space is not an empty space but a large number of stores. You can see that it is composed.

즉, 상기 공간은 '가건물'이 점유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 공간을 '보완부분'과 같이 해당 지점의 이미지형태를 편집한다.In other words, the space is occupied by a ‘temporary building’. Accordingly, 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16 edits the image form of the corresponding space as a 'supplemental part' as shown in FIG. 5.

결국, 보완지점 처리모듈(16)은 전술한 과정에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완하고, 이를 통해서 현장에 방문한 사용자는 수정된 수치지도 이미지를 활용해서 정확히 자기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Ultimately, the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16 supplements the digital map image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rough this, a user visiting the site can accurately confirm his or her location using the modified digital map imag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현장에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input/outpu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schematically explains how a user uses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in the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for

현장을 방문한 사용자는 시스템의 일 구성인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의 화면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면서 상기 수치지도 이미지와 현장을 비교하고 수치지도 이미지의 오류 여부를 확인한다. A user who visits the site compares the digital map image with the site while looking at the digital map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system, and checks for errors in the digital map image.

그런데,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통해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는 사용자의 이동방향과 시선 등에 상관없이 항상 북쪽(N)이 화면의 상측을 향하고, 남쪽(S)이 화면의 하측을 향하도록 출력된다. However, the digital map image output through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is always output with north (N) facing the top of the screen and south (S) facing the bottom of the screen, regardless of the user's movement direction and gaze. .

즉, 사용자는 동쪽, 남쪽 또는 서쪽을 향해서 이동하더라도 이를 참고할 수 있는 수치지도 이미지는 항상 화면의 상측을 향하므로 수치지도 이미지와 현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even if the user moves toward the east, south, or west, the digital map imag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always faces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resulting in a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map image and the scene.

결국, 사용자는 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만으로는 현장과 수치지도 이미지를 매칭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서 현장에 대한 수치지도 이미지의 오류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없다.In the end, the user has difficulty matching the digital map image with the site using only the digital map image output to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nd because of this,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digital map image for the sit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수치지도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모듈(14)에서 검색해서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확인해서 해당하는 조작 내용을 처리하며 방위관측부(15b)에서 확인한 방위값과 타이머(15c)에서 확인한 시간값을 확인해서 수치지도 이미지의 배치방향을 조정하는 입출력부(15a)와, 동서남북을 기준으로 입출력부(15a)의 화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해서 방향값을 생성하는 방위관측부(15b)와, 상기 방향값의 변화가 확인되면 시간 측정을 시작해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시간값을 생성하는 타이머(15c)로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trieves and outputs the digital map image from the image storage module 14, confirms the user's operation, process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d determines the direction confirmed by the direction observation unit 15b. An input/output unit 15a adjust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igital map image by checking the value and time value confirmed by the timer 15c, and detects the direction the screen of the input/output unit 15a faces based on north, south, east, west, and generates a direction value. It consists of a direction observation unit 15b, which starts measuring time when a change in the direction value is confirmed, and a timer 15c that generates a time valu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도 7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자신의 전방에 배치해서, 입출력부(15a)의 화면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면서 북쪽으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ure 7 (a), the user places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in front of himself and moves north while viewing the digital map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put/output unit 15a.

방위관측부(15b)는 공지의 전자나침반 기능을 갖추고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이 향하는 방향이 어디인지를 동서남북 중 하나로 확인하고, 해당하는 방위값을 생성해서 입출력부(15a)로 전달한다.The direction observation unit 15b is equipped with a known electronic compass function and determines which direction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is facing based on the user as one of north, south, east and west, and generates the corresponding direction value to display the input/output unit 15a. Pass it to

한편, 타이머(15c)는 상기 방위값을 확인해서 상기 방위값의 변화가 있으면 변화가 있는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해당하는 시간값을 생성해서 입출력부(15a)로 전달한다.Meanwhile, the timer 15c checks the direction value, measures the time from the point of change if there is a change in the direction value, and generates the corresponding time valu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input/output unit 15a. .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도 7의 (a)도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북쪽을 향해 이동하다가 도 7의 (b)도면에서와 같이 동쪽을 향해 방향을 바꾸면, 방위관측부(15b)는 방향이 북쪽에서 동쪽으로 변했음을 인지해서 해당하는 방위값을 생성한 후 입출력부(15a)로 전달하고, 타이머(15c)는 이때부터 시간을 측정한다. I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moves toward the north as shown in (a) of FIG. 7 and changes direction toward the east as shown in (b) of FIG. 7, the direction observation unit 15b changes the direction. Recognizing that it has changed from north to east, the corresponding direction valu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nput/output unit 15a, and the timer 15c measures the time from this point.

계속해서, 타이머(15c)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시간값을 입출력부(15a)로 전달하고, 입출력부(15a)는 도 7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하는 수치지도 이미지가 동쪽을 향해 출력되도록 한다. Subsequently, when a certain time elapses, the timer 15c transmits the corresponding time value to the input/output unit 15a, and the input/output unit 15a generates the corresponding numerical map image as shown in (b) of FIG. 7. Make sure the output faces east.

즉, 사용자가 북쪽을 향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수치지도 이미지의 북쪽이 화면 상즉을 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동쪽을 향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을 기준으로 수치지도 이미지의 동쪽이 화면 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s facing north, the north side of the digital map image is toward the top of the screen based on the user's line of sight, and when the user is facing east, the east side of the digital map image is toward the top of the screen based on the user's line of sight. It is to be pointed towards.

참고로, 사용자는 현장 확인을 위해서 수시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는데, 이때마다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배치를 조정하면 시스템에 무리를 주고, 사용자 또한 혼란이 있으므로, 수치지도 이미지의 안정된 출력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일정시간 이상 방향이 유지될 때만 수치지도 이미지의 배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e user can change direction at any time to check the site, but adjusting the arrangement of the digital map image output each time puts a strain on the system and causes confusion for the user, so maintain a stable output state of the digital map image. To achieve this,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arrangement of the digital map image only when the direction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결국, 사용자는 입출력부(15a)의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면서 방향을 잡고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수치지도 이미지에 표시된 지형을 현장과 매칭해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Ultimately, the user can navigate and move while looking at the digital map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input/output unit 15a,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terrain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image by matching it with the site.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10)의 GNSS모듈(11)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이동국의 수치좌표(2차 수치좌표)를 확인하고, 아울러 일반 RTK를 기반으로 이동국의 수치좌표(3차 수치좌표)를 함께 확인한다. The GNSS module 11 of the mobile st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erifies the numerical coordinates (secondary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mobile station based on network RTK, and also determines the numerical coordinates (tertiary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mobile station based on general RTK. Check together.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이 출력하는 수치지도 이미지 내 이동국의 위치를 표시한 이미지이다.Figure 8 is an image show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within a digital map image output by the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렇게 확인한 수치좌표는 이동국(10)이 위치한 장소의 통신환경과, 상시관측소(30)와 이동국(10) 간의 거리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은 상기 각 방식에 따라 확인한 수치좌표를 도 8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표시한다.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in this way may differ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station 10 is loc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30 and the mobile station 10, etc., and the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18 operates according to each of the above methods. The confirmed numerical coordinates are displayed as shown in (a) of FIG. 8.

여기서, 녹색으로 표시된 제1지점은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고, 보라색으로 표시된 제2지점은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다.Here, the first point indicated in gree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s a route according to network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and the second point indicated in purple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ccording to general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It is displayed as a path.

결국, 이동국(10)의 작업자는 이미지 입출력모듈(15)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에서 일반 RTK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좌표를 함께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수치지도 이미지에 합성된 수치좌표계에 대한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end, the operator of the mobile station 10 checks the numerical coordinates based on general RTK and network RTK in the digital map image output to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nd based on this, calculates the numerical coordinate system synthesized in the digital map image. You can proceed with modifications.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을 통해 확인된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를 기초로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이동국(10)이 위치한 제1지점의 모임과 제2지점의 모임을 하나의 수치지도 이미지에 함께 표시하고, 이동경로 표시모듈(19)은 이렇게 표시되는 이동국(10)의 위치를 이동경로로 해서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표시한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based on the general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and the network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through the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18,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determines the first point where the mobile station 10 is located. The meeting and the second point are displayed together in one digital map image, and the movement path display module 19 uses the displayed posi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s the movement path as shown in (b) of FIG. 8. Display together.

여기서, 녹색으로 표시된 제1이동경로는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고, 보라색으로 표시된 제2이동경로는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경로로 표시한 것이다.Here, the first movement path shown in green represents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ccording to network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and the second movement path shown in purple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ccording to general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The location is displayed as a path.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두 경로 모두 이동국(10)의 이동로인 '종로9길'을 따라 오차범위 내에서 정확히 표시된다. Looking at the movement routes, both routes are displayed accurately within the margin of error along 'Jongno 9-gil', which is the movement route of the mobile station 10.

그런데, '종로9길'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검은색 표시 지점)가 이동로를 이탈하는 오류가 발생한다. However, at the intersection of 'Jongno 9-gil', an error occurs where the general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marked in black) deviate from the travel path.

즉, 작업자가 동일한 현장 위치에 있을 때 수치지도 이미지에 표시되는 제1,2지점(검은색 표시 지점)이 지정범위 이상의 차이를 보이며 표시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worker is at the same field locatio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black indicated points) displayed on the digital map image are displayed with a difference greater than the specified range.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은 상기 지정범위로 설정된 기준치에 따라 일반 RTK 기반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 기반 수치좌표를 서로 비교해서 상기 지정범위를 초과하는 수치좌표 지점에 대해서는 해당 수치좌표를 '재확인지점'으로 분류해 저장한다. The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18 compares the general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and the network RTK-based numerical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reference value set as the designated range, and for the numerical coordinate point exceeding the designated range, the numerical coordinate is designated as a 'recheck point'. Categorize and save.

따라서, 작업자가 '재확인지점'을 검색하면 수치좌표 비교모듈(18)은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을 제어하고, 이미지 입출력모듈(15)은 도 8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재확인지점'에 대한 수치좌표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검색해서 이동경로와 함께 출력한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searches for the 'reconfirmation point', the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18 controls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and the image input/output module 15 controls the 'reconfirmation point' as shown in (b) of FIG. 8. ' Search for a digital map image of numerical coordinates and print it along with the movement route.

작업자는 이렇게 확인된 '재확인지점'에 대해서는 현장방문 및 수치좌표 확인을 진행하고, 보완한 수치좌표를 기초로 수치지도 이미지의 지형이미지를 보완해서 이후 수치좌표 확인에 따른 작업자 또는 일반 사용자 등의 이동경로가 해당 이동로 내에 정확히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The worker visits the site and confirms the numerical coordinates for the 'reconfirmation point' identified in this way, supplements the terrain image of the digital map image based on the supplemented numerical coordinates, and then moves workers or general users according to the numerical coordinate confirmation. Ensure that the route is displayed accurately within the relevant travel rout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 및 거리정보 수집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국의 이동 모습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9 is a diagram showing a mobile station and a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a mobil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거리정보 수집기(40)는 거리확인모듈(41)과, 방향확인모듈(42)과, 거리값 연산모듈(43)을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40 includes a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41, a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42, and a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이동국(10)은 사용자가 현장에서 밀어 이동시키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거리정보 수집기(40)는, 기초부(100), 기초부(100)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조향을 위해서 조향축(11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바퀴(110), 기초부(100)가 이동하도록 전륜바퀴(110)와 일렬로 설치되는 후륜바퀴(120), 전륜바퀴(11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해당 카운트 정보를 거리값 연산모듈(43)에 전달하는 거리확인모듈(41), 조향축(111)에 배치되어서 이동 중에 변화가 발생하는 전륜바퀴(110)의 조향각을 감지하고 측정해서 거리값 연산모듈(43)에 전달하는 방향확인모듈(42), 기초부(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500), 이동보조장치(5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대(400), 수직지지대(400)의 상단에 수직지지대(400)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지지대(410), 수평지지대(4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300), 수평위치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200), 상하구동유닛(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차폐부(600) 및 차폐부(6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국(10)을 포함한다.The mobile station 10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push and move it in the field. 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40 includes a base portion 100, a front wheel 110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nd rotatable about the steering axis 111 for steering, and a base portion. A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that count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ear wheel 120 and the front wheel 110, which are installed in line with the front wheel 110 so that (100) move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unt information to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41), a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42 that is disposed on the steering axis 111 and detects and measures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110 that changes during movement and transmits it to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the base ( A mobility assistance device 500 coupled to the top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500, a vertical support 400 coupled to the top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500, and a horizontal support 400 coupl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support 40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support 400. Support 410, horizontal position part 30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410, vertical driving unit 20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art 30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It includes a shielding unit 600 and a mobile station 10 accommodated inside the shielding unit 600.

이때, 이동국(10)은 이륜차의 형태를 이루며, 이를 위해 전륜바퀴(110)와 후륜바퀴(120)는 일렬로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station 10 takes the form of a two-wheeled vehicle, and for this purpose, the front wheels 110 and rear wheels 120 are arranged in a row.

한편, 전륜바퀴(110)는 이동국(10)의 조향을 위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기초부(100)에 설치된다. Meanwhile, the front wheel 110 is installed on the base 100 to be rotatable for steering the mobile station 10.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륜바퀴(110)는 조향축(1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서 사용자가 이동국(10)의 이동방향을 물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조정시 전륜바퀴(110)는 조향축(1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front wheel 110 is rotatable around the steering shaft 111, allowing the user to physically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station 10, and when adjusting, the front wheel 110 ) rotates around the steering axis 111.

거리확인모듈(41)은 전륜바퀴(110)의 회전축에 배치되어서 전륜바퀴(11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회전수를 거리값 연산모듈(43)에 전달한다.The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41 is dispos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front wheel 110, counts the rotation speed of the front wheel 110, and transmits the rotation speed to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방향확인모듈(42)은 조향축(111)에 배치되어서 이동 중에 변화가 발생하는 전륜바퀴(110)의 조향각을 감지하고 이를 측정해서 거리값 연산모듈(43)에 전달한다.The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42 is disposed on the steering shaft 111 to detect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110 that changes during movement, measur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43.

거리값 연산모듈(43)은 거리확인모듈(41)과 방향확인모듈(42)이 각각 전달한 전륜바퀴(110)의 회전수와 조향각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기초로 이동국(10)이 현재 이동하는 거리값을 측정한다.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receives the rotation speed and steering angle information of the front wheel 110 transmitted from the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41 and the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42, respectively, and calculates the current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10 based on this. Measure the value.

이를 좀 더 설명하면, 거리값 연산모듈(43)은 전륜바퀴(110)의 원주 정보를 갖추므로 상기 회전수와 원주를 연산해서 도 10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국(10)의 거리값인 'd'를 1차 연산한다. To explain this further,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has information on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wheel 110, so it calculates the rotation speed and circumference to determine the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10 as shown in (a) of FIG. 10. Performs the first operation on the value 'd'.

계속해서, 거리값 연산모듈(43)은 조향각 정보를 확인해서 지정된 시간 동안 지정된 각도 이상의 조향각이 전달되면, 도 10의 (b)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직전 거리값인 'd'의 연산을 중단하고 해당 방향에 대한 거리값인 'd'' 연산을 새롭게 다시 시작한다. Subsequently,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43 checks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and, if a steering angle greater than the specified angle is transmitted during the specified time, stops calculating the previous distance value 'd' as shown in (b) of FIG. 10 and The calculation of 'd', which is the distance value for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s started again.

이렇게 연산한 거리값은 이동경로 표시모듈(19)에 전달되고, 이동경로 표시모듈(19)은 상기 거리값을 수치지도 이미지에 표시 및 링크시킨다. 이를 통해서 도로의 실측 거리를 수치지도에 정확히 반영해서 높은 신뢰도의 수치지도를 완성할 수 있다.The distance value calculated in this way is transmitted to the movement path display module 19, and the movement path display module 19 displays and links the distance value to the digital map image. Through this, the actual measured distance of the road can be accurately reflected in the digital map to complete a highly reliable digital map.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보조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mobility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2 is a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보조장치(500)는 기초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지지대(400)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510)와, 제1구동부(510)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520)과, 연결유닛(520)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수직지지대(4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5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500 includes a first driving part 510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100 and drives the vertical support 4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height direction, and a first driving part 510. ) and includes a connection unit 520 that moves in the front-back and height directions, and a second driving unit 530 o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520 and a vertical support 400 is moun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구동부(510)는 이동바디(511)와, 이동바디(5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512)와, 수평이동조절부(512)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520)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513)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unit 510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moving body 511,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512 provid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bile body 511, and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512. It is provided and includes a lifting control unit 513 to which the connection unit 520 is coupled.

상기 제1구동부(510)의 이동바디(511)는, 기초부(1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moving body 511 of the first driving unit 5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unit 100.

상기 제1구동부(510)의 수평이동조절부(512)는 이동바디(511)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512a)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512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512b)과, 한 쌍의 제1블록(512b)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512b)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512c)와, 이동플레이트(512c)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512d)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512 of the first driving unit 510 includes a pair of first rails 512a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511, and a pair of first rails 512a on the lower side. A pair of first blocks 512b movably coupled to and a moving plate 512c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blocks 512b and moved together with the pair of first blocks 512b. And, it includes a lifting support plate (512d)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512c).

상기 제1구동부(510)의 승강조절부(513)는 승강지지플레이트(512d)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513a)과, 한 쌍의 제2레일(513a)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513b)을 포함하고, 연결유닛(520)은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The lifting control unit 513 of the first driving unit 510 is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on a pair of second rails 513a spaced apart from the lifting support plate 512d and a pair of second rails 513a.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blocks 513b that are coupled, and the connection unit 52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blocks 513b.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직지지대(400)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530)는 연결유닛(520)에 결합되고, 연결유닛(520)은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결합되므로 한 쌍의 제2블록(513b)의 승강 시 수직지지대(400)도 한 쌍의 제2레일(513a)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riving unit 530 on which the vertical support 400 is mounte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520, and the connection unit 520 is coupled to a pair of second blocks 513b, so that a pair of When the second block 513b is lifted or lowered, the vertical support 400 may also b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air of second rails 513a.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레일(513a)은 승강지지플레이트(512d)에 결합되고, 승강지지플레이트(512d)는 이동플레이트(512c)와 같이 이동되고, 이동플레이트(512c)는 한 쌍의 제1블록(512b)에 의해 한 쌍의 제1레일(512a)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블록(512b)과 제2블록(513b)은 제어유닛(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econd rails 513a are coupled to the lifting support plate 512d, and the lifting support plate 512d moves together with the moving plate 512c, and the moving plate 512c is a pair of second rails 513a. The pair of first rails 512a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one block 512b.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lock 512b and the second block 513b can be controlled by being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상기 연결유닛(520)은 일측부는 한 쌍의 제2블록(513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구동부(530)에 결합되며 제2구동부(530)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어 제2구동부(530)에 장착된 수직지지대(4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520 has one side coupled to a pair of second blocks 513b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part 53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part 530 to rotate and angle adjust, thereby forming the second driving part 513b. The vertical support 400 mounted on 530 can also be rotated and angle adjus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유닛(520) 제2블록(513b)에 결합되는 결합판(521)과, 결합판(521)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기초부바디(522)와, 연결기초부바디(522)의 단부에 마련되는 볼부재(523)와, 제2구동부(530)에 마련된 프레임바디(531)에 탈착 결합되며 내부에 볼부재(523)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바디(524)와, 결합바디(524)의 내벽과 볼부재(523)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52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바디(525)와, 결합판(521)과 마주보는 영역의 결합바디(524)에 마련되어 볼부재(523)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시트(526)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a coupling plate 521 coupled to the second block 513b of the connection unit 520, a connection base body 52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plate 521, and a connection base body ( A ball member 523 provided at the end of 522, a coupling body 524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ame body 531 provided in the second driving unit 530 and in which the ball member 523 is rotatably accommodated, and , a rotation guide body 525 dis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oupling body 524 and the ball member 523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ball member 523, and a coupling body in the area facing the coupling plate 521 ( It includes a support sheet 526 provided at 524) to prevent the ball member 523 from being separa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구동부(530)는 프레임바디(531)에 의해 결합바디(524)에 탈착 결합되고, 결합바디(524)는 볼부재(523)에 회전 및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제2구동부(53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되고 이로 인해 제2구동부(530)에 마련된 수직지지대(400)도 회전 및 각도 조절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riving unit 5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upling body 524 by the frame body 531, and the coupling body 524 is coupled to the ball member 523 so that rotation and angle adjustment are possible. The second driving unit 530 can also rotate and adjust its angle, and as a result, the vertical support 400 provided on the second driving unit 530 can also rotate and adjust its ang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기초부바디(522)의 내부에는 홀부재(522a)가 마련되고, 이 홀부재(522a)는 볼부재(523)의 내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hole member 522a is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base body 522, and this hole member 522a may also be provided inside the ball member 523.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가이드바디(525)의 내벽에는 지지돌기(525a)가 마련되고, 이 지지돌기(525a)는 볼부재(523)의 외벽에 마련된 홈에 삽입되어 볼부재(523)의 회전을 더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support protrusion 525a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rotation guide body 525, and this support protrusion 525a is inserted into a groov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ll member 523 to form the ball member 523. The rotation can be guided more stably.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위치부와 상하구동유닛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볼하우징의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댐핑바디와 지지블록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and the vertical driv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of the ball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amping body and a suppor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은 수평위치부(300)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하부에 결합된 차폐부(600)를 승강시키거나 차폐부(600)를 반시계 방향이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ing part 300 and can lift and lower the shielding part 600 coupled to the lower part or rotate the shielding part 600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은, 차폐부(600)와 수평위치부(3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유닛바디(210)와, 구동유닛바디(210)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220)와, 일측부는 회전바디(2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차폐부(600)에 결합되어 차폐부(6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230)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2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220)에 결합되어 차폐부(6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240)와, 구동유닛바디(210)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220)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250)와, 구동유닛바디(210)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230)와 수평회전부(240)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260)를 포함한다.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includes a driving unit body 210 disposed between the shielding part 600 and the horizontal positioning part 300, and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ing unit body 210 ( 220), one side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hield 600, and the lifting drive unit 230 is coupled to the shield 600 to raise and lower,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210. And the other side is a horizontal rotating part 240 tha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20 and rotates the shielding part 60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a rotating body 220 provided inside the driving unit body 210 and rotating. ) includes a rotation damping unit 250 that reduces vibration, and a battery 260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210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lifting drive unit 230 and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240.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의 구동유닛바디(210)에는 제1베어링(211)이 마련되어 회전바디(22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A first bearing 211 is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210 of the vertical drive unit 200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rotary body 220.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의 승강구동부(230)는 차폐부(600)에 연결되어 차폐부(600) 및 내부에 수용된 이동국(1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The lifting unit 23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shielding unit 600 and can lift the shielding unit 600 and the mobile station 10 accommodated therein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승강구동부(230)는 회전바디(220)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승강실린더(231)와, 승강실린더(231)에 마련되어 차폐부(600)의 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로드(232)와, 일측부는 승강로드(232)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차폐부(600)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233)를 포함한다.The lifting drive unit 230 includes a lifting cylinder 231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rotating body 220, a lifting rod 232 provided on the lifting cylinder 231 and lifted in the direction of the shield 600, and one side. One part is coupled to the lifting rod 232,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coupling plate 233 coupled to the shielding part 600.

상기 승강구동부(230)의 승강실린더(231)는 배터리(260)에 연결되어 배터리(260)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승강실린더(23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승강실린더(231)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lifting cylinder 231 of the lifting drive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260 and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battery 260. A plurality of lifting cylinders 231 may be provided, and each lifting cylinder 23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승강구동부(230)의 결합플레이트(233)는 승강로드(232)와 차폐부(60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coupling plate 233 of the lifting drive unit 2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lifting rod 232 and the shield 600 with bolts or screws.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의 수평회전부(240)는 차폐부(6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rotating part 24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can rotate the shielding part 60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상기 수평회전부(240)는, 구동유닛바디(21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41)와, 구동모터(241)에 연결되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베벨기어(242)와, 일측부는 회전바디(22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구동베벨기어(242)와 기어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동베벨기어(243)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rotating part 240 includes a drive motor 241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210, a drive bevel gear 242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241 and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one side The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20, and the other part includes a driven bevel gear 243 that is rotated by engaging with the driving bevel gear 242.

본 실시 예에서 피동베벨기어(243)의 중심축은 회전바디(220)에 고정 결합되어 피동베벨기어(243)와 회전바디(22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entral axis of the driven bevel gear 243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20, so that the driven bevel gear 243 and the rotating body 220 can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의 회전댐핑부(250)는 구동유닛바디(210)에서 회전바디(22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rotation damping unit 25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can reduc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body 210 to the rotating body 220.

상기 회전댐핑부(250)는, 구동유닛바디(210)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제1프레임(251)과, 제1프레임(251)과 수직되게 마련되는 제2프레임(252)과, 일측부가 제2프레임(252)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제1스프링(253)과, 제1스프링(253)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롤러지지바디(254)와, 롤러지지바디(254)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회전바디(220)의 상면부를 가압하는 롤러부재(255)를 포함한다.The rotation damping unit 250 includes a first frame 25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e unit body 210, a second frame 252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frame 251, and one side provided with 2 The first spring 253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ame 252, the roller support body 254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pring 253,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ller support body 254. It includes a roller member 255 that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20.

상기 회전바디(220)의 회전 시 롤러부재(255)의 상면부를 가압하므로 회전바디(220)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When the rotary body 220 rot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roller member 255 is pressed, so the vibration of the rotary body 220 can be reduced.

또한, 회전바디(220)로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 롤러부재(255)를 통해 진동이 제1스프링(253)으로 전달되고, 제1스프링(253)으로 전달된 진동은 제1스프링(253)의 진동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rotating body 220, the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ring 253 through the roller member 255, and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irst spring 253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pring 253. Can be canceled out by vibration.

상기 상하구동유닛(200)의 배터리(260)는 구동유닛바디(210)의 벽부에 결합되며, 승강실린더(231)와 구동모터(241)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260 of the vertical driv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wall of the driving unit body 210 and can supply electric energy to the lifting cylinder 231 and the driving motor 241.

상기 수평위치부(300)는 상측부는 수평지지대(410)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상하구동유닛(200)에 연결되어 수평지지대(410)의 기울어짐에도 차폐부(600) 및 이동국(1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position part 300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410 at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200, so that the shield 600 and the mobile station 10 are horizontal even when the horizontal support 410 is tilted. can be maintained.

상기 수평위치부(300)는, 구동유닛바디(210)의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볼포스트(310)와, 볼포스트(3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볼포스트(310)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되는 볼부재(320)와, 볼부재(320)가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볼하우징(330)과, 볼하우징(330)과 볼부재(320)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330)에서 볼부재(3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340)와, 일측부는 볼하우징(33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수평지지대(410)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350)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300 includes a ball post 310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top of the drive unit body 21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all post 310,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all post 310. A ball member 320 is provided, a ball housing 330 in which the ball member 320 is rotatably disposed, and a ball housing 330 is provided between the ball housing 330 and the ball member 320. It includes a ball damping part 340 that reduces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ember 320, and a connection plate 350,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ll housing 330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410.

상기 수평위치부(300)의 볼포스트(310)는, 구동유닛바디(210)의 상면부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The ball post 31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300 may be bolted or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e unit body 210.

본 실시 예에서 볼포스트(310)는 총 4개가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볼포스트(31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ball posts 310 may be provided, and each ball post 3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수평위치부(300)의 볼부재(320)는 볼댐핑부(340)에 둘러 싸여서 볼하우징(3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all member 32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300 may be surrounded by the ball damping portion 340 and disposed inside the ball housing 330.

상기 볼부재(320)는 수평지지대(410)의 기울어짐으로 인해 볼하우징(330)이 기울어지는 경우 볼하우징(330)의 내부에서 볼댐핑부(340)와 같이 지구 중심 방향으로 회전되어 차폐부(600) 및 이동국(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ball housing 330 is tilte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410, the ball member 320 is rot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earth like the ball damping part 340 inside the ball housing 330 to form a shielding part. (600) and the mobile station (10)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상기 수평위치부(300)의 볼하우징(330)은 가장자리에 볼플랜지(331)가 마련되고, 볼플랜지(331)는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332)에 의해 연결플레이트(3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ll housing 33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300 is provided with a ball flange 331 at the edge, and the ball flange 331 is detachable from the connection plate 350 by a fastening member 332 including a bolt. can be combined.

상기 수평위치부(300)의 볼댐핑부(340)는 볼하우징(330)의 내부에 배치되어 볼부재(320)를 둘러싸며 볼부재(32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켜 차폐부(600)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The ball damping part 34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art 300 is disposed inside the ball housing 330, surrounds the ball member 320, and reduces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ball member 320 to form a shielding part 600. It is possible to attenuate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

상기 볼댐핑부(340)는, 볼하우징(330)과 볼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320)의 일측부를 덮으며 볼포스트(310)가 관통되는 제1댐핑바디(341)와, 볼하우징(330)과 볼부재(3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볼부재(320)의 타측부를 덮는 제2댐핑바디(342)와, 제1댐핑바디(341)에 마련된 제1블록결합홈(341b)에 결합되는 제1지지블록(343)과, 제1지지블록(343)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제2스프링(344)과, 제2댐핑바디(342)에 마련된 제2블록결합홈(342a)에 결합되며 제2스프링(344)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제2지지블록(345)과, 제1댐핑바디(341)와 제2댐핑바디(342)의 외벽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341)와 제2댐핑바디(342)의 회전시 볼하우징(330)과 제1댐핑바디(341), 볼하우징(330)과 제2댐핑바디(342)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부재(346)를 포함한다.The ball damping part 340 is disposed between the ball housing 330 and the ball member 320, covers one side of the ball member 320, and is a first damping body 341 through which the ball post 310 penetrates. and a second damping body 342 disposed between the ball housing 330 and the ball member 320 and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ball member 320, and a first block provided on the first damping body 341. A first support block 343 coupled to the groove 341b, a second spring 344 with one sid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lock 343, and a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econd damping body 342. A second support block 345 is coupled to (342a)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pring 344,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damping body 3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342 to form a first damping body. A lubricating member (346) that reduces friction between the ball housing (330) and the first damping body (341), the ball housing (330) and the second damping body (342) when the (3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342) rotate. ) includes.

상기 볼댐핑부(340)의 제1댐핑바디(341)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되어 볼하우징(3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first damping body 341 of the ball damping unit 34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ntaining rubber and can reduc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330.

상기 제1댐핑바디(341)에는 볼포스트(310)가 관통되는 포스트홀(341a)이 마련될 수 있고, 제1지지블록(343)이 끼우 맞춤 결합되는 제1블록결합홈(341b)이 마련될 수 있고, 윤활부재(346)가 결합되는 바디홈(341c)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damping body 341 may be provided with a post hole 341a through which the ball post 310 passes, and a first block coupling groove 341b into which the first support block 343 is fitted is provided. may be, and a body groove 341c into which the lubricating member 346 is coupled may be provided.

상기 볼댐핑부(340)의 제2댐핑바디(342)는 제1댐핑바디(341)와 같이 볼부재(320)를 둘러싸서 볼하우징(3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second damping body 342 of the ball damping unit 340 surrounds the ball member 320 like the first damping body 341 and can reduce vibration or shock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330.

본 실시 예에서 제2댐핑바디(342)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제1댐핑바디(341)와 합쳐서 볼부재(320)를 원형 형상으로 둘러쌀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damping body 342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rubber,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damping body 341 to surround the ball member 320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제2댐핑바디(342)에는 제2지지블록(345)이 끼워 맞춤 결합되는 제2블록결합홈(342a)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damping body 342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342a into which the second support block 345 is fitted and coupled.

상기 제1댐핑바디(341)와 제2댐핑바디(342)는 제2스프링(344)에 의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볼부재(3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고, 볼하우징(330)으로부터 볼부재(320)로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제2스프링(344)의 수축이나 팽창에 의해 제1댐핑바디(341), 제2댐핑바디(342)와 같이 상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irst damping body 3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34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second spring 344.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ball member 320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the shock or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330 to the ball member 320 can be reduced to the first by contraction or expansion of the second spring 344.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offset like the damping body 341 and the second damping body 342.

상기 볼댐핑부(340)의 윤활부재(346)는 제1댐핑바디(341)의 외벽에 마련된 바디홈(341c)에 마련되어 제1댐핑바디(34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lubricating member 346 of the ball damping unit 340 is provided in the body groove 341c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first damping body 341 to allow the first damping body 341 to rotate smoothly.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346)는 제2댐핑바디(342)에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윤활부재(346)는 그리스(grease)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ubricating member 346 may be provided in the same way on the second damping body 342.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lubricating member 346 may include grease.

상기 수평위치부(300)의 연결플레이트(350)는 수평지지대(4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late 350 of the horizontal position portion 300 may be detachably bolted or screw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410.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부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가 하강한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6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diagram showing the rear of the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8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being lowered according to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600)는 내부에 배치된 이동국(10)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부(600)는 내부 부품과 외부를 차단할 수 차폐할 수 있으므로 거리정보 수집기의 운반, 설치시 이동국(10)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As shown, the shield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ield the mobile station 10 placed inside from the outside. Since the shielding unit 600 can block internal components and external components, it can protect the mobile station 10 from damage during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f 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부(600)는 베이스바디(601), 베이스차폐바디(610), 제1차폐바디(620), 제2차폐바디(630), 차폐구동부(640) 및 스토퍼부(65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shielding unit 600 includes a base body 601, a base shielding body 610, a first shielding body 620, a second shielding body 630, a shielding drive unit 640, a stopper unit 650, etc. It consists of a composition of

상기 베이스바디(601)는 상하구동유닛(2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방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부도 개방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base body 601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e unit 200,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front portion, and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open rear portion.

상기 베이스바디(601)의 하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바디(602)가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돌출지지바디(602)에는 가이드절개홀(603)이 마련되고 여기에는 차폐부(600)에 마련된 실린더바디(641)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실린더바디(641)가 돌출지지바디(602)와 간섭 즉 충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A protruding support body 602 that protrudes forward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body 601 and can serve as a pla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base shielding body 610. In addition, the protruding support body 602 is provided with a guide cut hole 603, into which the cylinder body 641 provided in the shield 600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ylinder body 641 from colliding with the protruding support body 602.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돌출지지바디(602)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 또는 후방 영역을 차폐할 수 있고, 베이스바디(601)의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모두 차폐하는 경우 베이스바디(60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shielding body 610 is coupled to the protruding support body 602 of the base body 601 and can shield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601, for example, the front area or the rear area of the base body 601. In the case where both the front and rear areas of the base body 601 are shielded, they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se body 601, respectively.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는 베이스바디(601)의 하부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으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다.The base shielding body 61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ase body 601 and covers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601, and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is provided to be lifted and lowered on the base shielding body 610 to cover the base shielding body 601. It covers the open area at the top of the body 610,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is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covers the open area at the top of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킨다.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와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한다.One side of the shield driving unit 640 is coupled to the base shield body 61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shield body 630 to elevate the first shield body 620 and the second shield body 630. The stopper unit 650 is provided on the base shielding body 610 and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상기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양측에는 베이스절곡판(61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절곡판(611)에는 베이스지지레일(613)이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에 마련된 제1승강레일(62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Base bending plates 61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shielding body 610 and can be suppor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601. A base support rail 613 is provided on the base bending plate 611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rst lifting rail 623 provided on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차폐바디(610)의 중앙부에는 베이스지지판(612)이 마련된다. 베이스지지판(612)에는 베이스가이드바디(614)가 마련되어 차폐구동부(640)의 승강가이드바(645)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base support plate 61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shielding body 610. A base guide body 614 is provided on the base support plate 612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guide bar 645 of the shield driving unit 640. A cut hole 645a may be provided in the lifting guide bar 645.

상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The first shielding body 620 is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base shielding body 610 and can shield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601.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양측에는 제1절곡판(621)이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외벽에 지지될 수 있다. 제1지지판(622)에는 제1승강레일(623)이 마련되고, 제1승강레일(623)은 전술한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승강될 수 있다.First bending plates 621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can be suppor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ase body 601. A first lifting rail 623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plate 622, and the first lifting rail 623 is supported by the base support rail 613 described above and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a sliding manner.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레일(623)에는 제1지지레일(624)이 결합되어 제2차폐바디(630)에 마련된 제2승강레일(633)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rail 624 is coupled to the first lifting rail 623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lifting rail 633 provided on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또한, 상기 제1차폐바디(620)의 중앙부에는 제1지지판(622)이 마련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support plate 622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상기 제2차폐바디(630)는 제1차폐바디(620)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바디(601)의 개방된 영역을 차폐할 수 있다.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is provided to be raised and lowered on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can shield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601.

상기 제2차폐바디(630)의 양측에는 제2절곡판(631)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절곡판(631)에는 전술한 제2승강레일(633)이 마련될 수 있다.Second bending plates 631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The second bending plate 631 may be provided with the second lifting rail 633 described above.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2차폐바디(630)의 상단부에는 절곡편(632)이 마련되고, 이 절곡편(632)은 베이스바디(601)의 전방벽 또는 후방벽에 지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a bent piece 632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and this bent piece 632 may be supported on the front or rear wall of the base body 601.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폐구동부(640)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The shield driving unit 640 has one side coupled to the base shield body 61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shield body 630 to elevate and lower the first shield body 620 and the second shield body 630. You can. In this embodiment, the shield driving unit 640 may b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a control module (not shown).

상기 차폐구동부(640)는, 베이스차폐바디(6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641)와, 실린더바디(641)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642)와, 실린더로드(642)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643)과, 실린더브래킷(643)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642)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644)과,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6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지지판(612)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620)의 제1지지판(622)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645)와,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연결시켜 연결유닛(644)과 승강가이드바(645)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64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646)와,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64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630)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645)와 같이 승강되는 상부승강바(647)와, 상부승강바(647)에 마련되어 상부승강바(647)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648)를 포함한다.The shield drive unit 640 includes a cylinder body 641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e shield body 610, a cylinder rod 642 whos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body 641 and expands and contracts, and a cylinder rod 642. A cylinder bracket 643 coupled to the end of the cylinder bracket 643, one side coupled to the cylinder bracket 643 and a connection unit 644 that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rod 642, and one end coupled to the base shield body 610 and the other. The side part connects the lifting guide bar 645, which penetrates the base support plate 612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622 of the first shield body 620, and the connection unit 644 and the lifting guide bar 645. The connection unit 644 and the lifting guide bar 645 are raised and lowered together, and the lifting connection body 646 is disposed inside the lifting guide bar 645, and one side is coupled to the lifting guide bar 645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lifting guide bar 645. An upper lifting bar 647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ary shielding body 630 and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guide bar 645, and an upper stopper provided on the upper lifting bar 647 to limit the lowering height of the upper lifting bar 647 ( 648).

상기 실린더바디(641)의 하단부는 브래킷을 이용하여 베이스차폐바디(610)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body 641 can be detachably bolted to the base shield body 610 using a bracket.

상기 연결유닛(644)은, 실린더브래킷(643)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연결바디(644a)와, 제1연결바디(644a)에 결합되며 제1지지판(622)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연결바디(644b)와, 일측부는 제2연결바디(644b)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승강연결바디(646)에 결합되는 제3연결바디(644c)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unit 644 is coupled to the cylinder bracket 643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body 644a disposed on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plate 622,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body 644a and the first support plate ( It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body 644b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622, and a third connection body 644c,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body 644b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lifting connection body 646. .

본 실시 예에서 제3연결바디(644c)는 승강가이드바(645)의 외벽을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제1연결바디(644a)와 제2연결바디(644b)와 제3연결바디(644c)는 평면상 'ㄴ'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connection body 644c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wall of the lifting guide bar 645, and the first connection body 644a, the second connection body 644b, and the third connection body 644c are It may have a ‘ㄴ’ shape on the plane.

본 실시 예에서 승강가이드바(645)에는 절개홀(645a)이 마련되어 승강연결바디(646)와 승강가이드바(645)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fting guide bar 645 is provided with a cut hole 645a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lifting connection body 646 and the lifting guide bar 645.

상기 스토퍼부(650)는 베이스지지레일(613)과 제1지지레일(624)에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The stopper unit 650 is provided on the base support rail 613 and the first support rail 624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50)는, 스토퍼판(651)과, 스토퍼판(651)의 벽부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을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topper portion 650 includes a stopper plate 651 and a plurality of stopper balls 652 provided to protrude inside and outside the wall portion of the stopper plate 651.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스토퍼볼(652)이 제1승강레일(623) 또는 제2승강레일(633)에 접촉되어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topper balls 652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lifting rail 623 or the second lifting rail 633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can do.

이하에서 차폐구동부(64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on of the shield driving unit 640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차폐구동부(640)의 실린더로드(642)가 상승하면, 연결유닛(644), 연결유닛(644)과 연결된 승강가이드바(645)가 상승된다. 이때, 승강가이드바(645)의 상부에는 상부승강바(647)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승강바(647)도 같이 상승된다.When the cylinder rod 642 of the shield drive unit 640 rises, the connection unit 644 and the lifting guide bar 645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644 rise. At this time, since the upper lifting bar 647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guide bar 645, the upper lifting bar 647 is also raised.

그 결과 제1차폐바디(620)와 제2차폐바디(630)도 같이 상승되며, 제1차폐바디(620)는 베이스지지레일(613)에 지지되면서 상승되고, 제2차폐바디(630)는 제1지지레일(624)에 지지되어 상승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are also raised, and the first shielding body 620 is rais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base support rail 613,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630 is raised. It can be raised by being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rail 62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 이동국 20 : 가상기준점 서버 30 : 상시관측소
40 : 거리정보 수집기 100 : 기초부 110 : 전륜바퀴
111 : 조향축 120 : 후륜바퀴 200 : 상하구동유닛
210 : 구동유닛바디 211 : 제1베어링 220 : 회전바디
230 : 승강구동부 231 : 승강실린더 232 : 승강로드
233 : 결합플레이트 240 : 수평회전부 241 : 구동모터
242 : 구동베벨기어 243 : 피동베벨기어 250 : 회전댐핑부
251 : 제1프레임 252 : 제2프레임 253 : 제1스프링
254 : 롤러지지바디 255 : 롤러부재 260 : 배터리
300 : 수평위치부 310 : 볼포스트 320 : 볼부재
330 : 볼하우징 331 : 볼플랜지 332 : 체결부재
340 : 볼댐핑부 341 : 제1댐핑바디 341a : 포스트홀
341b : 제1블록결합홈 341c : 바디홈 342 : 제2댐핑바디
342a : 제2블록결합홈 343 : 제1지지블록 344 : 제2스프링
345 : 제2지지블록 346 : 윤활부재 350 : 연결플레이트
400 : 수직지지대 410 : 수평지지대 500 : 이동보조장치
510 : 제1구동부 511 : 이동바디 512 : 수평이동조절부
512a : 제1레일 512b : 제1블록 512c : 이동플레이트
512d : 승강지지플레이트 513 : 승강조절부 513a : 제2레일
513b : 제2블록 520 : 연결유닛 521 : 결합판
522 : 연결기초부바디 522a : 홀부재 523 : 볼부재
524 : 결합바디 525 : 회전가이드바디 525a : 지지돌기
526 : 지지시트 530 : 제2구동부 531 : 프레임바디
600 : 차폐부 601: 베이스바디 602 : 돌출지지바디
603 : 가이드절개홀 610 : 베이스차폐바디 611 : 베이스절곡판
612 : 베이스지지판 613 : 베이스지지레일 614 : 베이스가이드바디
620 : 제1차폐바디 621 : 제1절곡판 622 : 제1지지판
623 : 제1승강레일 624 : 제1지지레일 630 : 제2차폐바디
631 : 제2절곡판 632 : 절곡편 633 : 제2승강레일
640 : 차폐구동부 641 : 실린더바디 642 : 실린더로드
643 : 실린더브래킷 644 : 연결유닛 644a : 제1연결바디
644b : 제2연결바디 644c : 제3연결바디 645 : 승강가이드바
645a : 절개홀 646 : 승강연결바디 647 : 상부승강바
648 : 상부스토퍼 650 : 스토퍼부 651 : 스토퍼판
652 : 스토퍼볼
10: Mobile station 20: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30: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40: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100: Base 110: Front wheel
111: Steering shaft 120: Rear wheel 200: Up and down drive unit
210: Drive unit body 211: First bearing 220: Rotating body
230: Elevating port eastern part 231: Elevating cylinder 232: Elevating rod
233: Coupling plate 240: Horizontal rotating part 241: Drive motor
242: Drive bevel gear 243: Passive bevel gear 250: Rotation damping unit
251: 1st frame 252: 2nd frame 253: 1st spring
254: roller support body 255: roller member 260: battery
300: horizontal position part 310: ball post 320: ball member
330: Ball housing 331: Ball flange 332: Fastening member
340: Ball damping part 341: First damping body 341a: Post hole
341b: 1st block coupling groove 341c: body groove 342: 2nd damping body
342a: Second block coupling groove 343: First support block 344: Second spring
345: second support block 346: lubricating member 350: connection plate
400: Vertical support 410: Horizontal support 500: Movement assistance device
510: first driving unit 511: moving body 512: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512a: first rail 512b: first block 512c: moving plate
512d: Elevation support plate 513: Elevation control unit 513a: Second rail
513b: second block 520: connection unit 521: coupling plate
522: Connection base body 522a: Hole member 523: Ball member
524: Combined body 525: Rotation guide body 525a: Support protrusion
526: Support sheet 530: Second driving unit 531: Frame body
600: Shielding part 601: Base body 602: Protruding support body
603: Guide cut hole 610: Base shielding body 611: Base bending plate
612: Base support plate 613: Base support rail 614: Base guide body
620: First shielding body 621: First bending plate 622: First support plate
623: 1st lifting rail 624: 1st support rail 630: 2nd shielding body
631: second bending plate 632: bending piece 633: second lifting rail
640: Shield driving part 641: Cylinder body 642: Cylinder rod
643: Cylinder bracket 644: Connection unit 644a: First connection body
644b: Second connection body 644c: Third connection body 645: Elevating guide bar
645a: cut hole 646: lifting connection body 647: upper lifting bar
648: Upper stopper 650: Stopper part 651: Stopper plate
652: Stopper ball

Claims (1)

인공위성과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다수의 상시관측소; 인공위성과 통신하며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정 처리하는 이동국; 다수의 상시관측소가 확인한 현재 수치좌표를 수신하여 위치보정값을 생성하고 이를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가상기준점 서버; 및 이동국의 이동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동경로에 거리값이 표시되도록 하는 거리정보 수집기; 를 포함하되,
상기 상시관측소는,
3대 이상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수신해서 현위치에 대한 측정수치좌표를 재확인하며 측정수치좌표를 가상기준점 서버와 이동국으로 각각 발신하고,
상기 가상기준점 서버는,
다수의 상시관측소와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1차 수치좌표를 확인해서 이동국에 인접한 3대 이상의 상시관측소를 검색하고 검색된 상시관측소의 측정수치좌표와 해당하는 기지점의 수치좌표를 비교해서 차이를 기반으로 1차 수치좌표에 대한 위치보정값을 연산하며 위치보정값을 이동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국은,
인공위성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현재 수치좌표를 확인하는 GNSS모듈; 가상기준점 서버와의 통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 가상기준점 서버로부터 수신한 위치보정값을 기초로 GNSS모듈이 확인한 수치좌표를 보정하는 수치좌표 보정모듈; 수치지도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모듈; 이미지 저장모듈에서 검색된 수치지도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입출력모듈; 수치지도 이미지의 해당 지점에 대한 보완을 처리하는 보완지점 처리모듈; 특정 지점을 촬영하는 촬영모듈;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된 수치좌표를 각각 확인하고 이를 비교하는 수치좌표 비교모듈; 및 일반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의 이동경로와 네트워크 RTK를 기반으로 확인해서 표시되는 이동국의 이동경로를 수치지도 이미지에 함께 표시 및 기록하는 이동경로 표시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거리정보 수집기는,
기초부; 기초부가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조향을 위해서 조향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륜바퀴; 기초부가 이동하도록 전륜바퀴와 일렬로 설치되는 후륜바퀴; 전륜바퀴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해당 카운트 정보를 거리값 연산모듈에 전달하는 거리확인모듈; 조향축에 배치되어서 이동 중에 변화가 발생하는 전륜바퀴의 조향각을 감지하고 측정해서 거리값 연산모듈에 전달하는 방향확인모듈; 기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보조장치; 이동보조장치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의 상단에 수직지지대와 직교하도록 결합되는 수평지지대;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평위치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하구동유닛;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결합되는 차폐부; 및 차폐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국;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보조장치는,
기초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수직지지대를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 제1구동부에 마련되어 전후 방향과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연결유닛; 및 연결유닛에 일측부가 결합되며 수직지지대가 장착되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제2구동부에 회전 및 각도 조절되게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부는,
기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이동바디; 이동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는 수평이동조절부; 및 수평이동조절부에 승강되게 마련되며 연결유닛이 결합되는 승강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이동조절부는,
이동바디의 상면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레일; 하측부가 한 쌍의 제1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블록; 한 쌍의 제1블록의 상면부에 결합되어 한 쌍의 제1블록과 같이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이동플레이트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승강지지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조절부는,
승강지지플레이트에 이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일; 및 한 쌍의 제2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위치부는,
수평지지대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볼하우징; 다수의 볼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는 볼부재; 볼부재의 하단에 형성되며 볼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볼포스트; 및 볼하우징과 볼부재의 사이에 마련되어 볼하우징에서 볼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볼댐핑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구동유닛은,
수평위치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구동유닛바디;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회전되게 결합되는 회전바디; 상단이 회전바디에 결합되며 승강 가능한 승강구동부; 일측부는 구동유닛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회전바디에 결합되어 차폐부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부; 구동유닛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회전바디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댐핑부; 및 구동유닛바디에 마련되어 승강구동부와 수평회전부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를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상하구동유닛의 하부에 결합된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바디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베이스차폐바디; 베이스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베이스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1차폐바디; 제1차폐바디에 승강되게 마련되어 제1차폐바디의 상부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차폐바디; 및 일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제1차폐바디와 제2차폐바디를 승강시키는 차폐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구동부는,
베이스차폐바디의 하부에 마련되는 실린더바디; 실린더바디에 일측부가 연결되어 신축되는 실린더로드; 실린더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브래킷; 실린더브래킷에 일측부가 결합되어 실린더로드와 같이 승강되는 연결유닛; 일단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차폐바디에 결합된 베이스지지판을 관통하여 제1차폐바디의 제1지지판에 결합되는 승강가이드바;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연결유닛과 승강가이드바를 같이 승강시키며 승강가이드바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연결바디; 일측부는 승강가이드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차폐바디에 결합되어 승강가이드바와 같이 승강되는 상부승강바; 및 상부승강바에 마련되어 상부승강바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는 상부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지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정밀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Multiple permanent observatories that communicate with satellites and check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A mobile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satellites and corrects digital map images; A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that receives the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multipl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s, generates a position correction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mobile station; and a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that measur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bile station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distance value on the moving path; Including,
The permanent observation station is,
It receives signals in real tim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reconfirms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ransmits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to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and mobile station, respectively.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is,
It is connected to a number of permanent observatories through a network, checks the primary numerical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mobile station, searches for three or more permanent observatories adjacent to the mobile station, and compares the measured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searched permanent observatories with the numerical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known points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ased on this,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for the first numerical coordinate is calculated and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station.
The mobile station is,
GNSS module that communicates with satellites in real time and checks current numerical coordinates; A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that processes communication with a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A numerical coordinate correction module that corrects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y the GNSS module based on the position correction value received from the virtual reference point server; An image storage module that stores digital map images; An image input/output module that outputs a digital map image retrieved from an image storage module; A supplementary point processing module that processes supplementation for the corresponding point in the digital map image; A photography module that photographs a specific point; Numerical coordinate comparison module that checks and compares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ased on general RTK and the numerical coordinates confirmed based on network RTK, respectively; and a movement path display module that displays and records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station, which is confirmed and displayed based on general RTK,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station, which is confirmed and displayed based on network RTK, together on a digital map image; Including,
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or,
basal part; A front wheel whose base is installed to be movable and rotatable about the steering axis for steering; Rear wheels installed in line with the front wheels so that the base moves; A distance confirmation module that count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front wheel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count information to the distance value calculation module; A direction confirmation module that is placed on the steering axis and detects and measures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 that changes during movement and transmits it to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A mobility assistance devic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vertical support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A horizontal support coupl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suppor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support; A horizontal positionin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A vertical drive unit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 shielding part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and a mobile station accommodated inside the shielding unit; Includes,
The mobility assistance device is,
A first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to drive the vertical suppo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A connection unit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unit and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driving unit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equipped with a vertical support unit; It includes, and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to rotate and angle adjust,
The first driving unit,
A moving bod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provided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body; and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provided to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and to which a connection unit is coupled. Including,
The horizontal movement control unit,
A pair of first rai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A pair of first blocks whose lower sides are movably coupled to a pair of first rails; A moving plat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blocks and moved together with the pair of first blocks; And a lifting support plate vertically coupled to the moving plate; Including,
The lifting control unit,
A pair of second rails spaced apart and coupled to the lifting support plate; and a pair of second blocks each coupled to a pair of second rails to enable elevation. Includes,
The horizontal position part is,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support;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late; Ball members each rotatably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ball housings; A ball pos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ll member and having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ball member; and a ball damping part provided between the ball housing and the ball member to reduce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ball housing to the ball member.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 is,
A drive unit bod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position;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drive unit body; A lifting mechanism whos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which can be raised and lowered; A horizontal rotating part where one side is coupled to the drive unit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a rotating body to rotate the shiel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 rotation damp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rive unit body to reduce vibr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battery provided in the drive unit body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elevation drive unit and the horizontal rotation unit. Includes,
The shielding part,
a base body formed with an open area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units; a base shielding bod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e body and covering the open area of the base body; A first shielding body provided to be lifted and lowered on the base shielding body and covering the open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base shielding body; a second shielding body that is raised and lowered on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covers the open area of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a shielding drive part where one side is coupled to the base shielding body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econd shielding body to raise and lower the first shielding body and the second shielding body; Including,
The shield drive unit,
A cylinder bod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ase shield body; A cylinder rod whos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body and expands and contracts; A cylinder bracket coupled to the end of the cylinder rod; A connection unit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er bracket and is rais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rod; A lifting guide bar with one end coupled to the base shielding body and the other side penetrating the base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base shielding body and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plate of the first shielding body; A lifting connection body that connects the connection unit and the lifting guide bar to elevate and lower the connection unit and the lifting guide bar together and is disposed inside the lifting guide bar; An upper lifting bar with one side coupled to the lifting guide bar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second shielding body to b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guide bar; and an upper stopper provided on the upper lifting bar to limit the rising height of the upper lifting bar;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improve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characterized by including.
KR1020230035620A 2023-03-20 2023-03-20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KR1025966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620A KR102596659B1 (en) 2023-03-20 2023-03-20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620A KR102596659B1 (en) 2023-03-20 2023-03-20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659B1 true KR102596659B1 (en) 2023-11-01

Family

ID=8874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620A KR102596659B1 (en) 2023-03-20 2023-03-20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6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89B1 (en) * 2011-11-17 2012-03-14 주식회사 공간정보 Updating system for digital map
KR102246548B1 (en) * 2020-12-11 2021-05-03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for visualizing image by feature
KR102355477B1 (en)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Road map construction system for building real-time road map
KR102362553B1 (en) * 2021-09-28 2022-02-15 주식회사 파나시아 Image processing system that updates image data in real ti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289B1 (en) * 2011-11-17 2012-03-14 주식회사 공간정보 Updating system for digital map
KR102246548B1 (en) * 2020-12-11 2021-05-03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A spatial image-drawing system for visualizing image by feature
KR102355477B1 (en) * 2021-09-10 2022-02-08 (주) 한양지에스티 Road map construction system for building real-time road map
KR102362553B1 (en) * 2021-09-28 2022-02-15 주식회사 파나시아 Image processing system that updates image data in real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81676B (en) Geodetic instrument, method for obtaining corrected coordinates of target point, and medium
CN101932906B (en) Localization of surveying instrument in relation to ground mark
US20050057745A1 (en)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EP1744122B1 (en) Geographic data collecting system
US9513120B2 (en) Workflow improvements for stakeout
US8717432B2 (en) Geographical data collecting device
JP4944462B2 (en) Geographic data collection device
KR102260072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generating highly reliable digital map images through field survey data
KR100888716B1 (en) Gis system
US200700529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nd-based surveying in sites having one or more unstable zone(s)
KR101721467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distortion image correction
KR101683784B1 (en) Image map processing system based on image data by unmanned aerial vehicle
CN103718062A (en) Method for ensuring continuity of service of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and device thereof
KR101349116B1 (en) Editing system of digital map image with developed land scope image
KR100892442B1 (en) Surveying system
KR102338776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259921B1 (en) Image drawing management system for numerical map based on synthesis positioning information and captured image
KR101214085B1 (en) Geodetic data intergated management system for correcting data from the observation aircraft
CN107514022A (en) A kind of bull-dozer guides system
KR101349384B1 (en) Leveling survey system to confirm the position of constructure having the datum point
KR102527650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image by reflecting terrain change of gis
KR102494273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information
KR102596659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improving precision and reliability using field survey data
KR101144193B1 (en) Map data collecting system using image data and gps data
KR102481914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3D spatial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cell phone lidar and photos and method for obtaining 3D spatial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