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582B1 -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 Google Patents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582B1
KR102596582B1 KR1020220182890A KR20220182890A KR102596582B1 KR 102596582 B1 KR102596582 B1 KR 102596582B1 KR 1020220182890 A KR1020220182890 A KR 1020220182890A KR 20220182890 A KR20220182890 A KR 20220182890A KR 102596582 B1 KR102596582 B1 KR 102596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power system
system analysis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현주
박태정
김영진
서진욱
신동화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8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5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58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9/00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r aim of the analysis or the optimisation
    • G06F2119/06Power analysis or power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은,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변화 정보, 위상 변화 정보 및 발전량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버스마다 전기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사도 결정 모듈; 및 상기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버스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 유사도의 정보가 표시된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time serie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oltage magnitude change information, phase change information, and power genera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a data receiving module;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a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indicating how simila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us are relatively to each other; and a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 similarity for the plurality of buses, based on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Description

전력 계통의 대용량 시계열 자료 분석을 위한 통합적 시각화 기법{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Integrated visualization technique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 series data of power system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의 시계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can effectively analyze time series data of buses constituting a power system.

다수의 버스(bus)로 이루어진 전력 계통에서 측정되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종래의 분석 방법은, 매트랩(Matlab)과 같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위해 매번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정적인 시각화를 도출한 후 문제가 되는 시점과 지점을 확인하는 형태로 진행하는 분석 방법이다.The conventional analysis method for time series data measured in a power system consisting of multiple buses is to use a program such as Matlab to write a program each time for analysis, derive static visualization, and solve the problem. It is an analysis method that proceeds in the form of checking the point and time when .

이러한 방법은 전압의 크기, 위상, 발전량 등 여러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하면 여러 개의 창을 별도로 띄워야 하는 한계가 있으며, 매번 프로그램을 새로 작성하거나 변경하면서 분석을 진행해야 한다. 아울러 같은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라도 계열의 수가 늘어나면 선형 차트 화면이 꽉 차게 되어, 시각적인 분석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This method has the limitation of having to open multiple windows separately when trying to analyze various types of time series data such as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simultaneously, and the analysis must be performed by writing or changing a new program each time. In addition, even with the same type of time series data, as the number of series increases, the line chart screen becomes full, making visual analysis difficult.

특히, 전력 계통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위하여 측정된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자료의 크기가 매우 방대하여 기존 시스템에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보편적 시각화 방법인 선형 차트의 경우, 시계열 데이터의 수가 늘어날수록 시각화 결과의 복잡도가 올라가면서 규칙성이나 특이점을 발견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ime series data measured for efficient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ower system, the size of the data is so large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way to analyze it efficiently in existing systems.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line charts, which are a common visualization method for time series data, as the number of time series data increases, the complexity of the visualization results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discover regularities or outliers.

본 발명은 종래의 전력 시스템을 분석하는 방법에 비해 사용자가 대용량 시계열 자료의 분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allows users to shorten the analysis time of large-capacity time series data compared to conventional power system analysis methods.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의 시계열 데이터의 대표적인 통계값과 각 계열의 벡터화를 통한 유사도 측정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의 분석 방법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특이점이나 규칙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allows users to check outliers or regularities that were difficult to check in existing analysis methods by utilizing representative statistical values of time series data of the power system and similarity measurement results through vectorization of each series. It is intended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전력 시스템에서 서로 관련된 시계열 데이터를 병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다각도의 분석을 진행할 수 있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allows users to conduct multi-faceted analysis by juxtaposing time series data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power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압의 크기, 위상, 발전량 등 여러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되어서 종래의 분석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처리속도의 증가 또는 필요한 메모리용량 감소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separately execute multiple programs when the user wishes to simultaneously analyze various types of time series data such as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thereby increasing data processing speed or memory requirements compared to conventional analysis system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can improve performance such as capacity reduction.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은,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변화 정보, 위상 변화 정보 및 발전량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버스마다 전기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사도 결정 모듈; 및 상기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버스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 유사도의 정보가 표시된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is configured to receive time serie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oltage magnitude change information, phase change information, and power genera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data receiving module;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a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indicating how simila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us are relatively to each other; and a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 similarity for the plurality of buses, based on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또한,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각 버스의 지역별로 분류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배열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buses, classifies the first bus indicators of the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by region of each bus and arranges them in the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You can cre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또한, 상기 유사도 결정 모듈은, 각각의 상기 버스의 전력 위상 정보, 전력 크기 정보, 유효전력 정보 및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버스의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based on time series data of at least one of power phase information, power size information,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reactive power information of each bus. You can.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각각의 상기 버스의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버스의 2차원 벡터의 좌표가 각각의 상기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제2 버스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display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s a second bus indicator in which two-dimensional vector coordinates of each bus correspond to each bu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다른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에 비해, 상기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서로 유사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끼리 서로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게,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상기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arrange the second bus indicators of buses with similar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ies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compared to the second bus indicators of other buses, so that the second bus indicators are arrange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he map area.

또한, 상기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버스를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bus indicator among the second bus indicators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b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cond bus indicator as the target bus to be confirmed.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각 버스의 지역별로 분류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배열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classifies first bus indicators of buses corresponding to each second bus indicator by region of each bus,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of buses corresponding to each second bus indicator.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be generated to be arranged in the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들의 상기 전력 시스템에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bus to be confirmed in the power system is displayed in the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ere is.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통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power in the statistics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graph of kurtosis, deviation, average,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nfirmation target bus is displayed. You can create information on the system analysis screen.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시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displays a graph of at least one time series data of a change in voltage siz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over time of at least one bus to be confirm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be genera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제3 버스 인디케이터가 상기 확인 대상 버스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put module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graph among graphs of time series data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displays the third bus indicator in the similarity map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third bus indicator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us indicator of the confirmation target bus corresponding to the graph of the selected time series data among the confirmation target bus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된 시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시간을 확인 대상 시간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시간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기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간 인디케이터가 지시하는 시간에서의 전압의 크기, 위상 및 발전량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module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elected time as a time to be checked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time among the time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and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times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time indicator configured to indicate the confirmation target time i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And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t least one value of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at the time indicated by the time indicator of the confirmation target bus is displayed in the data size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do.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미리 설정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bus cluster image including a similarity map in which second bus indicators of preset buses are displayed i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You can.

또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들 중 하나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상기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으로 수신하고; 그리고 선택된 상기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버스들을 상기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put module: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bus cluster image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as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of buses corresponding to the bus cluster imag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bus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s cluster image as the confirmation target buses.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 중 동일 지역에 위치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is a bus cluster that includes a similarity map displaying second bus indicators of buses located in the same region among buses classified by region,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 중 유사한 기능을 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displays a bus cluster image including a similarity map displaying second bus indicators of buses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among the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in the cluster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can be genera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제3 버스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에서의 위치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통계 영역에 표시되게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position in the graph of kurtosis, deviation, mean,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bus to be confirm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s indicator is the statistics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o be displayed in the area.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전력 시스템을 분석하는 방법에 비해 사용자가 대용량 시계열 자료의 분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 user can shorten the analysis time of large-scale time series data compared to a conventional method of analyzing a pow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시스템의 시계열 데이터의 대표적인 통계값과 각 계열의 벡터화를 통한 유사도 측정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기존의 분석 방법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던 특이점이나 규칙성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representative statistical values of time series data of the power system and the similarity measurement results through vectorization of each series, users can check outliers or regularities that were difficult to check in existing analysis method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 시스템에서 서로 관련된 시계열 데이터를 병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다각도의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nduct multi-angle analysis by juxtaposing time series data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power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전압의 크기, 위상, 발전량 등 여러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되어서 종래의 분석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처리속도의 증가 또는 필요한 메모리용량 감소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ants to simultaneously analyze various types of time series data such as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execute multiple programs, thereby improving data processing spe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analysis system.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or reducing the required memory capacit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로 구성되는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기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유사도 맵 영역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기능별로 분류된 버스들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ystem composed of buses classified by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screen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in a similarity map area.
Figure 6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graph of time series data.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bus cluster image of buses classified by region.
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bus cluster image of buses classified by func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모듈'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모듈'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듈'은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pertains is omitted. The term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s, multiple '~module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or one '~module' may be implemented as a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elements. As used herein, '˜module' i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software, FPGA, or hardware components. The functions provided by '~module'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y multiple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additional components. '~Module'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resid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Additionally,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makes an exception. Th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step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ere is. 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로 구성되는 전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pow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consists of buses classified by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power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 모듈(110), 유사도 결정 모듈(120),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 입력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includes a data reception module 110, a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a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an input module 140, and a display control module 150. can do.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은 어느 한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 등의 데이터를 기초로 전력 계통 관리자 등의 사용자가 해당 전력 시스템(400)을 분석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시계열 데이터 분석 화면이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allows users such as a power system manager to analyze the power system based on data such as changes in voltage magnitud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ses constituting a power system 400. A time series data analysis screen that can be used to analyze 4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은 서버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과 유무선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단말의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전력 계통을 분석해보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is installed on a server and may be capable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may be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wishes to analyze the power system through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of the terminal using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이 반드시 서버에 마련되고,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으로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에 직접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전력 계통의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할 수만 있다면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이 어떠한 단말이나 서버에 마련되고 어떠한 방식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관없다.Meanwhile,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provided on a server and controlling the display 200 of the user termin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downloads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by downloading an application from a server,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may be provided directly to the user terminal. In other words, it does not matter which terminal or server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is installed on and how it is operated, as long as the user can analyze the time series data of the power system through the display 200 of the user terminal.

데이터 수신 모듈(110)은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 모듈(110)은 유무선의 통신으로 실제의 전력 시스템(400)으로부터 직접 해당 전력 시스템(400)의 실제 시계열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고, 미리 메모리에 저장된 과거의 시계열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The data reception module 110 may receive time series data. The data reception module 110 may receive actual time series data of the power system 400 directly from the actual power system 4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or may receive past time series data stored in memory in advance.

이때, 시계열 데이터는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열 데이터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변화 정보, 위상 변화 정보 및 발전량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가 반드시 전술한 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ime series data may be data that changes over time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For example, the time series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oltage magnitude change information, phase change information, and power genera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uses. However,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의 분석 대상인 전력 시스템(40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들은 전기적인 연결관계나 해당 전력 시스템(400)에서의 각 버스들의 기능이나 역할에 따라 서로 비슷한 시계열 특성을 가질 수도 있고 전혀 다른 시계열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power system 400, which is an analysis target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ses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se buses may have similar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r completely different time serie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r the function or role of each bus in the power system 400.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한 두 버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버스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가 유사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버스의 지역(Area)(410)에 속한 버스들은 다른 버스의 지역(410)에 속한 버스들보다 시계열 데이터가 서로 유사할 수 있다. 또한, 비록 서로 멀리 떨어진 버스들이라 하더라도, 해당 버스들의 기능이 전력 시스템(400)에 전력을 제공하는 풍력 발전소인 경우, 다른 기능을 하는 버스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가 유사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wo buse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hange in voltage magnitud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over time may be similar to that of buses that are relatively far apart. That is, buses belonging to the area 410 of the same bus may have more similar time series data than buses belonging to the area 410 of other buses. In addition, even if the buses are far apart from each other, if the function of the buses is a wind power plant that provides power to the power system 400, the size change in voltag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over time are greater than those of buses performing other functions. The changes may be similar.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은 이러한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각 버스들 상호간에 시계열 데이터의 유사한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상황이었으면 지리적 유사성 또는 기능적 유사성에 의해 서로 매우 유사한 시계열 데이터를 나타내야 하는 두 버스에서 실제로 획득된 시계열 데이터가 서로 상이하면 어떠한 버스에서 문제가 발생된 것일 수 있다.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analyze the degree of similarity of time series data between each bu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For example, if the time series data actually obtained from two bu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ch under normal circumstances should show very similar time series data due to geographical or functional similarity, a problem may have occurred in which bu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데이터 수신 모듈(110)로부터 시계열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버스마다 전기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1,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receive time series data from the data reception module 110.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determin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which indicates how relatively simila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us are to each other.

시계열 특성 유사도는 어느 특정한 버스들끼리 서로 전기적인 특성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버스의 지역(410)에 속한 버스들끼리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는 다른 버스의 지역(410)에 속한 버스와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보다 수치가 클 수 있다.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may be data indicating how simila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certain buses are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similarity of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buses belonging to the same bus area 410 may be greater than the similarity of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buses belonging to the area 410 of other buses.

또한, 비록 서로 멀리 떨어진 버스들이라 하더라도, 해당 버스들의 기능이 전력 시스템(400)에 전력을 제공하는 화력 발전소인 경우, 다른 기능을 하는 버스와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보다 해당 버스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클 수 있다. 물론, 지리적으로 가까운 버스들이거나 동일한 기능을 하는 버스들이라 해도 해당 버스들끼리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닐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buses are far apart from each other, if the function of the buses is a thermal power plant that provides power to the power system 400,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between the buses is greater than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with buses performing other functions. You can. Of course, even if buses are geographically close or perform the same function, the similarity in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buses may not necessarily be high.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각 버스들간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를 서로 비교하여 각 버스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각 버스들의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 등의 시계열 데이터를 기초로 각 버스들마다 대응되는 벡터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벡터 데이터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각 버스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determine the similarity in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each bus by comparing the change in voltage magnitud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over time between each bus. For example,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generates vector data corresponding to each bus based on time series data such as changes in voltage magnitud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of each bus, and compares these vector data with each other. The similarity of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buses can be determined.

이때,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의 차이가 큰 버스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에 비해,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가 유사한 버스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는 상대적으로 더 크도록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determines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between buses with similar voltage magnitude chang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compared to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between buses with large differences in voltage magnitude chang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change. can be determined to be relatively larger.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기반으로,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는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디스플레이(200)에 표시하는 데 필요한 신호 또는 데이터일 수 있다.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은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복수개의 버스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 유사도의 정보가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to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based on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be signals or data required to display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on the display 200.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is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and may be a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 similarity for a plurality of buses.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로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o the display control module 150. The display control module 150 may control the display 200 to display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이때,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이 서버에 마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이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이 디스플레이(200)가 마련된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서버의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서버의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디스플레이(200)가 마련된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서버 등으로 각종 신호 및 정보를 송신하거나, 디스플레이(200)가 마련된 사용자 단말 및 다른 서버 등으로부터 각종 신호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신호를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망은 3G 통신망, 4G 통신망, 5G 통신망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에 마련된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이 디스플레이(200)를 제어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이 단말의 디스플레이(200)로 전달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server, the display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display 200 by the server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in which the display control module 150 is provided. It may be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rver transmits various signals an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display 200 and other servers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various signals and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equipped with the display 200 and other servers, etc. can receiv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relessly.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3G communication networks, 4G communication networks, and 5G communication networks. In addition, when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the display control module 150 controls the display 200 to generate a signal transmitted to the display 200 of the terminal. It may be.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통해 전력 시스템(400)의 현황과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각 버스에서의 시계열 데이터, 각 버스들 간의 유사한 정도, 일반적인 경향을 벗어나는 시계열 데이터의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전력 시스템(400)을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can 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power system 400, time series data on each bu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each bus, and general trends through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The power system 400 can be managed by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ime series data that deviates.

입력 모듈(140)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모듈(140)이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PC 또는 사용자 단말에 마련되는 버튼 또는 마우스가 사용자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는 방식이거나, 디스플레이(200)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이 서버에 마련된 경우, 입력 모듈(140)이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서버의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입력의 신호를, 입력 모듈(140)이 서버의 통신 모듈로부터 전달받는 방식일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manipulate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input information by using a button or mouse provided on a PC or user terminal that control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to receive physical force from the user, or by receiving physical force from the display 200. Inpu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a touch input method, but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when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server,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the input, so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server receives the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and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the input from the server. This may be a method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communication module.

입력 모듈(140)은 수신한 입력을 기초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전달받은 신호를 기초로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될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구성이나 내용이 변경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may generate a signal based on the received input and transmit the generated signal to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o change the structure or content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0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기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basic screen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은 토폴로지 영역(Topology)(310), 유사도 맵 영역(Similarity)(320), 통계 영역(Statistics)(330), 클러스터 표시 영역(Clusters)(340), 시계열 그래프 영역(Time-series Analysis)(350) 및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360)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includes a topology area (Topology) 310, a similarity map area 320, a statistics area 330, and a cluster display area 340. ), a time-series graph area (Time-series Analysis) 350, and a data size display area 360.

다만, 이러한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구성하는 각 영역의 크기, 배열 등은 얼마든지 다를 수 있으며, 토폴로지 영역(310), 유사도 맵 영역(320), 통계 영역(330),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 및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360) 중에서 일부 영역이 표시되지 않거나 다른 형태의 분석 결과 표시 영역이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구성하더라도 상관없다.However, this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is only an example,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of each area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vary, including the topology area 310 and the similarity map area. (320), statistics area (330), cluster display area (340), time series graph area (350), and data size display area (360), some areas are not displayed or other types of analysis result display areas are displayed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t doesn't matter if you configure (300).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토폴로지 영역(310)은 분석 대상인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모든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 the topology area 310 may display first bus indicators 311 of all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to be analyzed.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는 각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기호일 수 있다.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는 대응되는 각 버스의 기능에 따라 형상이 다를 수 있고, 대응되는 각 버스의 지역(410)에 따라 색상이 다를 수 있다.The first bus indicator 311 may be a symbol displayed on the screen, one for each bus. The first bus indicator 311 may have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each corresponding bus, and may have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the region 410 of each corresponding bus.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이 각 버스의 지역(410)별로 분류되어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토폴로지 영역(310)에 배열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의 지역(410)이 9개인 경우,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9개의 색상으로 분류된 복수개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을 토폴로지 영역(310)의 9개의 영역에 분류하여 배치할 수 있다.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buses,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classifies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each bus by region 410 of each bus to display the topology area 31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generated to be arranged in . For example, if there are 9 bus areas 410,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classifies the plurality of first bus indicators 311 classified into 9 colors into 9 areas of the topology area 310. It can be placed.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각각의 버스의 전력 위상 정보, 전력 크기 정보, 유효전력 정보 및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버스의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각 버스들의 시계열 데이터들 간의 유사도를 다차원 벡터로 표현하도록 구성되는 오토인코더(AutoEncoder)를 포함할 수 있으나, 다차원 벡터를 생성하는 유사도 결정 모듈(12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어느 버스들의 다차원 벡터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클수록 해당 버스들의 다차원 벡터들도 서로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generate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based on at least one time series data of power phase information, power size information,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reactive power information of each bus. Specifically,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include an autoencoder configured to express the similarity between time series data of each bus as a multidimensional vector, but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generates a multidimensional vector.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t this time, the greater the similarity in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ultidimensional vectors of certain buses, the more similar the multidimensional vectors of the buses may have to each other.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각 버스들의 시계열 데이터의 다차원 벡터가 2차원으로 사영되어 시각화될 수 있도록, 생성된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2차원 벡터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다차원 벡터를 2차원으로 사영하여 시각화하도록 구성되는 UMAP(Uniform Manifold Approximation and Projection)을 포함할 수 있으나, 2차원 벡터를 생성하는 유사도 결정 모듈(12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어느 버스들의 다차원 벡터들 간의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클수록 해당 버스들의 2차원 벡터들도 서로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convert the generated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into two-dimensional vector data so that the multidimensional vectors of the time series data of each bus can be projected and visualized in two dimensions. Specifically,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include Uniform Manifold Approximation and Projection (UMAP) configured to project and visualize multidimensional vectors in two dimensions,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to generate a two-dimensional vector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t this time, the greater the similarity in time series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ultidimensional vectors of certain buses, the more similar the two-dimensional vectors of the buses may have to each other.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각각의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유사도 맵 영역(320)은 사용자가 각 버스들의 전기적인 시계열 특성이 서로 얼마나 유사한 지 확인하도록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각각의 좌표에 맞게 배열된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영역일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so that the second bus indicator 321 corresponding to each bus is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created. The similarity map area 320 may be an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where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are arranged according to each coordinate so that the user can check how similar the electrical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f each bus are to each other. .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는 각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기호일 수 있다.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는 대응되는 각 버스의 지역(410)에 따라 색상이 다를 수 있다.The second bus indicator 321 may be a symbol displayed on the screen, one for each bus. The second bus indicator 321 may have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the region 410 of each bus.

유사도 결정 모듈(120)은 각 버스의 2차원 벡터 데이터들을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로 전달할 수 있다.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각각의 버스의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버스의 2차원 벡터의 좌표가 각각의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로서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may transmit the two-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to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as a second bus indicator 321 in which the two-dimensional vector coordinates of each bus correspond to each bu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of ).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다른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에 비해,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서로 유사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끼리 서로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게,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configures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of buses with similar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ies to be arrange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compared to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of other bus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be generated so that indicators 321 are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즉, 사용자는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의 배치를 확인함으로써 각각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마다 대응되는 버스들 간의 시계열 데이터의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유사도 맵 영역(320)에서 가까운 위치에 모여 있는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의 버스들의 전기적인 시계열 특성이 유사함을 인식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hecks the arrangement of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o determine the time series data between the buses corresponding to each second bus indicator 321. Similarities can be confirmed.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electrical time series characteristics of the buses of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clustered at close locations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are similar.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미리 설정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bus cluster image 341 including a similarity map displaying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of preset buses in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generated.

도 5는 유사도 맵 영역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in a similarity map area, and FIG. 6 is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유사도 맵의 제2 인디케이터 중에서 일부 제2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했을 때 표시되는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displayed when the user inputs an input to select some second indicators from among the second indicators of the similarity map can be confirmed.

입력 모듈(140)은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입력 모듈(140)이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키보드 버튼 또는 마우스가 사용자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는 방식이나 디스플레이(200)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유사도 맵 영역(320)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 중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버스의 제2 인디케이터를 드래그나 클릭 등의 방식으로 선택하였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 모듈(140)이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bus indicator 321 among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At this time,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the input for selecting the second bus indicator 321 by using a keyboard button or a mouse to receive physical force from the user or by a touch input method on the display 200, using a similarity map. 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second indicator of the bus that the user wants to check among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in the area 320 by dragging or clicking. .

입력 모듈(140)은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에 대응되는 버스를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할 수 있다. 확인 대상 버스는 사용자가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버스일 수 있다.When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bus indicator 321 among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the input module 140 displays the selected second bus indicator 321. The corresponding bus can be determined as the bus to be checked. The bus to be confirmed may be a bus on which the user wishes to analyze time series data.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유사도 맵 영역(320)에서 선택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에 따라 토폴로지 영역(310)의 표시, 통계 영역(330)의 표시,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의 표시 및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360)의 표시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display of the topology area 310, the display of the statistical area 330, and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select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of the display and data size display area 360 changes.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이 각 버스의 지역(410)별로 분류되어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토폴로지 영역(310)에 배열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결정된 확인 대상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이 토폴로지 영역(310)의 다른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과 구별될 수 있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다른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의 색상을 연한 색으로 표시하고, 확인 대상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은 기본 화면에서 표시되었던 원색으로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buses corresponding to each second bus indicator 321, and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the buses corresponding to each second bus indicator 321 are generated for each bus. Th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generated to be classified by region 410 and arranged in the topology area 31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At this time,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so that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the determined confirmation target buse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first bus indicators 311 in the topology area 310.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For example,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color of other first bus indicators 311 in a light color, and displays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buses to be confirmed in the primary color displayed on the basic screen.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generated.

사용자는 확인 대상 버스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 대상 버스들의 전력 시스템(400)에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토폴로지 영역(31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A user may wish to check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buses to be checked.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nfirmation target bus in the power system 400 is displayed in the topology area 31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도 맵 영역(320)에서 선택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달라지면, 토폴로지 영역(310)에 표시된 확인 대상 버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도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 대상 버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이 달라짐에 따라, 확인 대상 버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 상호간의 연결 관계도 다르게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if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select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change,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the bus to be confirmed displayed in the topology area 310 also change. You can check it. At this time, as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the bus to be confirmed change,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bus indicators 311 of the bus to be confirmed is also displayed differently.

사용자는 확인 대상 버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통계값을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A user may wish to check various statistical values of time series data of the bus to be checked.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 대상 버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통계 영역(33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통계 영역(330)은 사용자가 각 확인 대상 버스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통계값이 어떠한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 대상 버스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외도, 첨도, 평균, 중간값, 분산 등의 대표적인 통계값은 산점도 행렬로 표현되어 분포를 전통적인 방법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통계 영역(330)에 표시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a graph of kurtosis, deviation, average,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nfirmation target bus in the statistics area 33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generated as much as possible. The statistics area 330 may be an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hat is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tatistical values of the time series data of each bus to be checked. For example, representative statistical values such as deviation, kurtosis, mean, median, and variance for the time series data of buses to be confirmed are expressed as a scatter plot matrix and displayed in the statistics area 330 so that the distribution can be analyzed in a traditional way. You can.

사용자는 확인 대상 버스의 시계열 데이터의 수치나 시간에 따른 변화의 그래프 형상을 직접 확인하고자 할 수 있다.The user may wish to directly check the numerical value of the time series data of the bus to be checked or the graph shape of changes over time.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 대상 버스의 시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351)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확인 대상 버스가 한 개이면 하나의 그래프가 표시될 수 있다. 확인 대상 버스가 복수개면, 각각의 확인 대상 버스마다 대응되는 그래프들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그래프는, 일주일 간 각 확인 대상 버스들에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또는 발전량 변화의 그래프일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a graph 351 of time series data of at least one of the change in voltage siz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over time of at least one target bus to be checked, as the time series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created to be displayed in the graph area 350. At this time, if there is one bus to be checked, one graph may be displayed. If there are multiple buses to be confirmed, graphs corresponding to each bus to be confirmed may be displayed. The displayed graph may be a graph of the change in voltage magnitude, phase change, or power generation change over time in each bus to be checked over the course of a week.

즉,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사용자가 선택한 확인 대상 버스들에 대해서 주 단위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일자별로 구분된 시계열 차트를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시계열 차트가 표시하는 시간의 길이가 반드시 주 단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at is,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so that a time series chart divided by date i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so that weekly trends can be identified for the buses se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Meanwhile, the length of time displayed by a time series char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eeks.

사용자는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의 시계열 차트가 표시하는 주 단위의 시간 중 각 날의 동일한 시각에 각 확인 대상 버스의 전압의 크기, 위상 및 발전량 등의 데이터를 각 날에 따라 구별하여 서로 비교하고자 할 수 있다.The user wishes to compare data such as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of each bus to be checked at the same time on each day among the weekly time displayed by the time series chart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by distinguishing them for each day. can do.

입력 모듈(140)은,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에 표시된 시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시간을 확인 대상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입력 모듈(140)이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키보드 버튼 또는 마우스가 사용자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는 방식이나 디스플레이(200)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의 가로축의 시간 중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시간을 드래그나 클릭 등의 방식으로 선택하였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 모듈(140)이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When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time from among the time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the input module 140 may determine the selected time as the time to be confirmed. At this time,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the input for selecting the time through a keyboard button or mouse receiving physical force from the user or a touch input method on the display 200, along the horizontal axis of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time to be checked among the times by dragging or clicking.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확인 대상 시간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352)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개일 수도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하나이면, 모든 날의 해당 시간에서의 데이터 값만 표시될 수 있다.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복수개면, 모든 날의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지시하는 복수개의 시간에서의 데이터 값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두 개면, 모든 날의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지시하는 두 개의 시간에서의 데이터 값들이 표시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may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so that a time indicator 352 configured to indicate at least one check target time i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There may be one time indicator 352 or there may be multiple time indicators 352. If there is only one time indicator 352, only data values at that time on all days can be displaye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time indicators 352, data values at a plurality of times indicated by the time indicators 352 for all days may be displayed. For example, if there are two time indicators 352 as shown in the drawing, data values at the two times indicated by the time indicators 352 for every day may be displayed.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확인 대상 버스의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지시하는 시간에서의 전압의 크기, 위상 및 발전량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36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확인 대상 버스의 개수에 따라 다른 개수의 데이터 값들이 각 날 별로 막대 그래프 등의 형태로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360)에 표시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at least one value of the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at the time indicated by the time indicator 352 of the bus to be confirmed in the data size display area 36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 can be created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At this time, a different number of data values depending on the number of buses to be checked may be displayed in the data size display area 360 in the form of a bar graph or the like for each day.

즉, 사용자는 각 날짜 별로 동일한 복수의 관심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통해, 막대 차트로 표현된 각 확인 대상 버스들의 선택된 시간에서의 데이터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시간 인디케이터(352)가 두 개인 경우, 사용자가 쉽게 두 시점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은 반투명한 막대차트를 겹쳐서 복수개의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can check the data values at the selected time of each bus to be confirmed, expressed as a bar chart, by inputting the same plurality of times of interest for each date. At this time, when there are two time indicators 352,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express data for a plurality of times by overlapping translucent bar chart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ime points.

사용자는 도시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351)들을 확인하고, 다른 그래프들과 비교했을 때 형상이 크게 상이한 그래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러한 크게 상이한 그래프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가 어떤 버스인지, 또 해당 버스의 특성은 무엇인지 검사해보고자 할 수 있다.The user can check the graphs 351 of the depicted time series data and check whether there is a graph that has a significantly different shape compared to other graphs. The user may want to check which bus is the target bus corresponding to such greatly different graphs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도 7은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graph of time series data.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모듈(140)은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에 표시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351)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graph 351 of time series data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이때, 입력 모듈(140)이 그래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키보드 버튼 또는 마우스가 사용자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는 방식이나 디스플레이(200)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시계열 그래프 영역(35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프 중에서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그래프를 드래그나 클릭 등의 방식으로 선택하였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 모듈(140)이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the input for selecting the graph by using a keyboard button or mouse to receive physical force from the user or a touch input method to the display 200, at least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350. 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selects a graph to be checked among one or more graphs by dragging or clicking.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는 선택된 그래프의 확인 대상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기호일 수 있다.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는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와 구별되는 색상이나 형상을 할 수 있다. 선택된 그래프가 한 개이면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도 한 개이고, 선택된 그래프가 복수개이면 각각의 그래프들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의 위치에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가 하나씩 표시될 수 있다.The third bus indicator 322 may be a symbol displayed on the screen corresponding to each bus to be confirmed in the selected graph. The third bus indicator 322 may have a color or shape that is distinct from the second bus indicator 321. If there is one selected graph, there is also one third bus indicator 322, and if there are multiple selected graphs, a third bus indicator 322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us indicator 321 of the bus to be confirmed corresponding to each graph. may be displayed one by one.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가 확인 대상 버스들 중에서 선택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351)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의 위치에 표시되게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유사도 맵 영역(32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third bus indicator 322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us indicator 321 of the bus to be confirmed corresponding to the graph 351 of time series data selected from among the buses to be confirmed.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320 of the analysis screen 300.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가 다른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과 구별되게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토폴로지 영역(31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는 다른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와 구별되는 색상이나 형상을 할 수 있다. 선택된 그래프가 한 개이면 다른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와 구별되는 색상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도 한 개이고, 선택된 그래프가 복수개이면 다른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와 구별되는 색상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311)들도 복수개로 표시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so that the first bus indicator 311 of the confirmation target bus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s indicator 322 is distinguished from other first bus indicators 311.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can be created to be displayed in the topology area 310. The first bus indicator 311 of the bus to be check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s indicator 322 may have a color or shape that is distinct from other first bus indicators 311. If there is one selected graph, there is only one first bus indicator 311 with a color distinct from the other first bus indicators 311, and when there are multiple selected graphs, there is only one first bus indicator 311 with a color distinct from the other first bus indicators 311. A plurality of bus indicators 311 may also be displayed.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에서의 위치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통계 영역(33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버스 인디케이터(322)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에서의 위치는, 다른 확인 대상 버스의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에서의 위치와 구별되는 색상이나 형상을 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the positions in the graph of kurtosis, deviation, average,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bus to be confirm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s indicator 322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to be displayed in the statistics area 330. At this time, the positions in the graph of the kurtosis, deviation, mean,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bus to be confirm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s indicator 322 are the kurtosis an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other bus to be confirmed. , the mean,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may have a color or shape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their positions on the graph.

즉, 사용자는 관심있는 시계열 그래프에 대해서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거나 터치 등의 입력을 통해 커서 아래 지점을 지나가는 그래프의 버스들의 인디케이터들 또는 선택된 그래프의 버스들의 인디케이터들을 적색으로 강조하여 표시하고, 다른 시각화 영역의 데이터에서도 해당 버스를 강조하여 표시되도록 화면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관심있는 확인 대상 버스를 선택(필터링)할 경우, 전체 시각화에서 해당 상호작용이 동기화되어, 필터링된 결과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at is, the user moves the mouse cursor for the time series graph of interest or uses input such as touch to highlight in red the indicators of the buses of the graph passing the point under the cursor or the indicators of the buses of the selected graph, and other visualization areas. The screen can be manipulated to highlight the corresponding bus and display the data. Additionally, when a user selects (filters) a bus of interest to view, that interaction can be synchronized across the entire visualization and the filtered result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확인 대상 버스는 전술한 방식과 같이 유사도 맵을 통해 선택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는 미리 서로 유사성이 있는 버스들끼리 클러스터링되어 그룹이 된 버스들을 한 번에 선택하고자 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bus to be confirmed may be selected through a similarity map as described above, but the user may wish to select buses that are grouped by clustering buses that have similarities to each other at once.

도 8은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bus cluster image of buses classified by region.

도 8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은 미리 서로 유사성이 있는 버스들끼리 클러스터링되어 그룹이 된 버스들을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은 각 그룹들을 구성하는 버스들의 전압의 크기, 위상, 유효전력, 무효전력 변화 등의 시계열 특성 및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 발전 정보를 병치하여 표시해서 개괄적인 경향성을 사용자가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may be an area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group so that buse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can be clustered into a group in advance to select buses at once. At this time,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juxtaposes and displays time series characteristics such as voltage size, phase,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changes of the buses constituting each group, and new renewable energy (solar power, wind power, etc.) generation information.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users can compare general trends at a glance.

입력 모듈(140)은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들 중 하나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one bus cluster image 341 among the bus cluster images 341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이때, 입력 모듈(140)이 하나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키보드 버튼 또는 마우스가 사용자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는 방식이나 디스플레이(200)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복수개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들 중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클러스터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를 드래그나 클릭 등의 방식으로 선택하였을 때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 모듈(140)이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module 140 receives an input for selecting one bus cluster image 341 by using a keyboard button or a mouse to receive physical force from the user or by a touch input method on the display 200. The input module 14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selects the bus cluster image 341 of the cluster he or she wants to check among the bus cluster images 341 by dragging or clicking.

입력 모듈(140)은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들 중 하나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를 선택하는 입력을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에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를 선택하는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40)은 선택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에 대응되는 버스들을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0 inputs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bus cluster images 341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to the second bus indicator of the buses corresponding to the bus cluster image 341. (321) can be received as an input to select. The input module 140 may determine bus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s cluster image 341 as buses to be checked.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 중 동일 지역에 위치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creates a similarity map displaying the second bus indicators 321 of buses located in the same region among buses classified by region,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bus cluster image 341 included i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도 9는 기능별로 분류된 버스들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put for selecting a bus cluster image of buses classified by function.

도 9를 참조하면, 도시된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에 대응되는 그룹으로 분류된 버스들은 모두가 전력 시스템(400)에서 동일한 지역에 속해있는 버스들은 아니더라도, 전력 시스템(400)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버스들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buses classified into groups corresponding to the bus cluster image 341 displayed in the illustrated cluster display area 340 are not all buses belonging to the same region in the power system 400, but are classified as buses in the power system 400. These may be buse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t 400.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버스들 중 유사한 기능을 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a bus cluster image 341 including a similarity map displaying second bus indicators 321 of buses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among the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on a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of 300 .

예를 들어,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은 전력 시스템(400)을 구성하는 버스들 중 풍력 발전소에 해당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321)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341)가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340)에 표시되도록 전력 계통 분석 화면(3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displays a bus cluster image 341 including a similarity map displaying second bus indicators 321 of buses corresponding to wind power plants among the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400.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may be generated to be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340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00.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전압의 크기, 위상, 발전량 등 여러 종류의 시계열 데이터를 동시에 분석하고자 할 때,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실행시키지 않아도 되어서 종래의 분석 시스템에 비해 데이터 처리속도의 증가 또는 필요한 메모리용량 감소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separately execute multiple programs when the user wants to simultaneously analyze various types of time series data such as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amount, which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analysis system. Compared to , performance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data processing speed or reducing required memory capacity.

데이터 수신 모듈(110), 유사도 결정 모듈(120), 화면 정보 생성 모듈(130), 입력 모듈(140) 및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150)은 서버, 전력 계통 분석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앞으로 설명할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ata reception module 110,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20,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130, input module 140, and display control module 150 are a plurality of processors included in a server, power system analysis device, or user terminal. It may include any one processor. Additionally,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and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in the fut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driven by a processor.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부호 수정을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메모리일 수 있다.Here, the progra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and data structures, etc., singly or in combination. Programs may be designed and produced using machine code or high-level language code. The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odifying the code, or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functions or definitions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00 described above may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At this tim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memory.

메모리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메모리는 서버에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can store programs that perform 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s described later, and the memory can execute the stored programs. The memory may be provided on the server. In the case where there are multiple processors and memories, it is possible for them to be integrated into one chip or to be provided in physically separate locations. The memory may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D-Lab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In addition, memory is non-volatile memory such as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and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for long-term storage of control programs and control data. may include.

프로세서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various logic circuits and operation circuits, process data according to a program provided from memory, and generate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s.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in forms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0: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110: 데이터 수신 모듈
120: 유사도 결정 모듈
130: 화면 정보 생성 모듈
140: 입력 모듈
150: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200: 디스플레이
300: 전력 계통 분석 화면
310: 토폴로지 영역
311: 제1 버스 인디케이터
320: 유사도 맵 영역
321: 제2 버스 인디케이터
322: 제3 버스 인디케이터
330: 통계 영역
340: 클러스터 표시 영역
341: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
350: 시계열 그래프 영역
351: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
352: 시간 인디케이터
360: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
400: 전력 시스템
410: 버스의 지역
100: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110: data reception module
120: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130: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140: input module
150: display control module
200: display
300: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310: Topology area
311: first bus indicator
320: Similarity map area
321: Second bus indicator
322: Third bus indicator
330: Statistics area
340: Cluster display area
341: Bus cluster image
350: Time series graph area
351: Graph of time series data
352: Time indicator
360: data size display area
400: Power system
410: Area of the bus

Claims (18)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변화 정보, 위상 변화 정보 및 발전량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버스마다 전기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사도 결정 모듈; 및
상기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버스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 유사도의 정보가 표시된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마다 하나씩 대응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에 표시되는 기호인 제1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각 버스의 지역별로 분류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배열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 data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ime serie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oltage magnitude change information, phase change information, and power genera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a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indicating how simila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us are relatively to each other; and
A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 similarity for the plurality of buses, based on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buses, first bus indicators, which are symbols corresponding to each bu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and displayed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re classified by region of each bus to display the topology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o be arranged in an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a display to display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삭제delete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버스 각각에 대한 전압의 크기 변화 정보, 위상 변화 정보 및 발전량 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계열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모듈;
상기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버스마다 전기적 특성이 상대적으로 서로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유사도 결정 모듈; 및
상기 시계열 특성 유사도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개의 버스들에 대한 전기적 특성 유사도의 정보가 표시된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사도 결정 모듈은,
각각의 상기 버스의 전력 위상 정보, 전력 크기 정보, 유효전력 정보 및 무효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를 기초로 각각의 상기 버스의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각각의 상기 버스의 다차원 벡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버스의 2차원 벡터의 좌표가 각각의 상기 버스마다 하나씩 대응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에 표시되는 기호인 제2 버스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 data receiving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time series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voltage magnitude change information, phase change information, and power generation change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a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indicating how simila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us are relatively to each other; and
A scree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electrical characteristic similarity for the plurality of buses, based on the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y,
The similarity determination module is,
Configured to generate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based on time series data of at least one of power phase information, power size information, active power information, and reactive power information of each bus,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vector data of each bus, the coordinates of the two-dimensional vector of each bus correspond to each bus, one by one, and analyze the power system as a second bus indicator, which is a symbol displayed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o be displayed in a similarity map area of the screen.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다른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에 비해, 상기 시계열 특성 유사도가 서로 유사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끼리 서로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게,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상기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Analyzing the power system so that the second bus indicators of buses with similar time series characteristic similarities are arrange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compared to the second bus indicators of other buses, so that the second bus indicators are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된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제2 버스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버스를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determine a bu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econd bus indicator as a target bus upo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second bus indicator among the second bus indicators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includ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각 버스의 지역별로 분류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배열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In clause 7,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bus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bus indicators, the first bus indicators of the bus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bus indicators are classified by region of each bus and arranged in the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s much as possi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들의 상기 전력 시스템에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In clause 7,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determined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in the power system of the at least one bus to be confirmed is displayed in a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통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In clause 7,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graph of kurtosis, deviation, mean,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confirmation target bus is displayed in the statistics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시간에 따른 전압의 크기 변화, 위상 변화 및 발전량 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In clause 7,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s displayed so that a graph of at least one time series data of the change in voltage size, phase change, and power generation change over time of the at least one bus to be confirmed i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Generating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래프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제3 버스 인디케이터가 상기 확인 대상 버스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표시되게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input module is,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graph among graphs of time series data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s displayed so that the third bus indicator is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third bus indicator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us indicator of the confirmation target bus corresponding to the graph of the selected time series data among the confirmation target buses.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된 시간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간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된 시간을 확인 대상 시간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시간을 지시하도록 구성되는 시간 인디케이터가 상기 시계열 그래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간 인디케이터가 지시하는 시간에서의 전압의 크기, 위상 및 발전량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데이터 크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1,
The input module is,
When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at least one time from among the time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determine the selected time as the time to be confirmed,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time indicator configured to indicate at least one confirmation target time is displayed in the time series graph area; and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t least one value of voltage magnitude, phase, and power generation at the time indicated by the time indicator of the confirmation target bus is displayed in the data size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미리 설정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In clause 7,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bus cluster image including a similarity map displaying second bus indicators of preset buses i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들 중 하나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상기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으로 수신하고; 그리고
선택된 상기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버스들을 상기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4,
The input module is: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bus cluster image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as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of buses corresponding to the bus cluster image; and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configured to determine bus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s cluster image as the confirmation target bu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지역별로 분류된 버스들 중 동일 지역에 위치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5,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a bus cluster image including a similarity map showing second bus indicators of buses located in the same region among buses classified by region is a cluster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o be displayed in a display are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전력 시스템을 구성하는 버스들 중 유사한 기능을 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5,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s displayed so that a bus cluster image including a similarity map showing second bus indicators of buses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among the buses constituting the power system i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Generating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 정보 생성 모듈은: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지리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버스 인디케이터마다 하나씩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1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각 버스의 지역별로 분류되어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배열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들의 상기 전력 시스템에서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토폴로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통계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들이 표시된 유사도 맵을 포함하는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제3 버스 인디케이터가 상기 확인 대상 버스들 중에서 상기 선택된 시계열 데이터의 그래프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의 위치에 표시되게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유사도 맵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3 버스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확인 대상 버스의 상기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첨도, 외도, 평균, 중간값 및 표준 편차의 그래프에서의 위치가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통계 영역에 표시되게 상기 전력 계통 분석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클러스터 표시 영역에 표시된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들 중 하나의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상기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버스들의 제2 버스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으로 수신하고; 그리고
선택된 상기 버스 클러스터 이미지에 대응되는 버스들을 상기 확인 대상 버스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계통 분석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3,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e screen information creation module is:
Based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bus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bus indicators, the first bus indicators of the bus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cond bus indicators are classified by region of each bus and arranged in the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as much as possible;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determined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at least one bus to be confirmed in the power system is displayed in a topolog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kurtosis, deviation, mean,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determined at least one bus to be confirmed are displayed in a statistics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a bus cluster image including a similarity map displaying second bus indicators of preset buses is displayed in a cluster display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s displayed so that the third bus indicator is displayed in the similarity map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third bus indicator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bus indicator of the confirmation target bus corresponding to the graph of the selected time series data among the confirmation target buses. generate information; and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so that the positions in the graph of kurtosis, deviation, mean, medi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the time series data of the bus to be confirm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bus indicator are displayed in the statistics area of the power system analysis screen.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f,
The input module is:
receiving an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bus cluster images displayed in the cluster display area as an input for selecting a second bus indicator of buses corresponding to the bus cluster image; and
A power system analysis system configured to determine bus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bus cluster image as the confirmation target bus.
KR1020220182890A 2022-12-23 2022-12-23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KR1025965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90A KR102596582B1 (en) 2022-12-23 2022-12-23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2890A KR102596582B1 (en) 2022-12-23 2022-12-23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582B1 true KR102596582B1 (en) 2023-10-31

Family

ID=8854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890A KR102596582B1 (en) 2022-12-23 2022-12-23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582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914A (en) * 2013-06-26 2015-01-08 양민욱 Data estimation method of power distribution
JP2016067098A (en) * 2014-09-24 2016-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ower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power system monitoring system
KR20170048185A (en) * 2015-10-26 2017-05-08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Time-series data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ime-series data processing program, and time-series data processing device
KR20190085685A (en)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power energ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20092279A (en)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크로커스 Visual Abstraction Analysis Method of Power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914A (en) * 2013-06-26 2015-01-08 양민욱 Data estimation method of power distribution
JP2016067098A (en) * 2014-09-24 2016-04-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ower system monitoring device and power system monitoring system
KR20170048185A (en) * 2015-10-26 2017-05-08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Time-series data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time-series data processing program, and time-series data processing device
KR20190085685A (en) * 2018-01-11 2019-07-19 주식회사 메이커스테크놀로지 Method for managing electric power energy,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20220092279A (en)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크로커스 Visual Abstraction Analysis Method of Pow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0021B1 (en) Enhanc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representing events
Xiang et al. Interactive correction of mislabeled training data
Protopsaltis et al. Data visualization in internet of things: tools, methodologies, and challenges
JP6404889B2 (e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for multi-sensor visual analytics, system for summarizing multi-sensor data,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mbody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for multi-sensor visual analytics
US9558572B2 (en) Visualization of data clusters
US11397633B2 (en) Unifying semi-supervised approach for machine condition monitoring and fault diagnosis
Xu et al. Interactive visual co-cluster analysis of bipartite graphs
Fujiwara et al. A visual analytics system for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large-scale networks in supercomputing systems
Wu et al. Towards better detection and analysis of massive spatiotemporal co-occurrence patterns
Ioannidis et al. Occupancy driven building performance assessment
CN108665513B (en) Draw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user behavior data
Torsney‐Weir et al. Sliceplorer: 1D slices for multi‐dimensional continuous functions
CN107122185A (en) One kind shows method for the visualization of distribution network parameters category information
Guo et al. La VALSE: Scalable Log Visualization for Fault Characterization in Supercomputers.
Cheng Visual Analytics for Relation Discovery in Multivariate Data
Chen et al. A survey of multi-space techniques in spatio-temporal simulation data visualization
Zhou et al. Cluster-aware arrangement of the parallel coordinate plots
Kappe et al. Analysis of Decadal Climate Predictions with User‐guided Hierarchical Ensemble Clustering
Steed et al. CrossVis: A visual analytics system for exploring heterogeneous multivariate data with applications to materials and climate sciences
Pan et al. RCAnalyzer: visual analytics of rare categories in dynamic networks
Sun et al. EvoSets: Tracking the sensitivity of dimensionality reduction results across subspaces
US9978162B1 (en) Rules-based causality visualization framework
Zhang et al. FaultTracer: interactive visual exploration of fault propagation patterns in power grid simulation data
KR102596582B1 (en) Integrated visualization method for analyzing large-scale time-series data of power system
Yoo et al. LongLine: Visual analytics system for large-scale audit lo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