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056B1 -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056B1
KR102594056B1 KR1020210018852A KR20210018852A KR102594056B1 KR 102594056 B1 KR102594056 B1 KR 102594056B1 KR 1020210018852 A KR1020210018852 A KR 1020210018852A KR 20210018852 A KR20210018852 A KR 20210018852A KR 102594056 B1 KR102594056 B1 KR 10259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drum
air
temperature
coffee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5190A (ko
Inventor
황규연
Original Assignee
황규연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오리진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연,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오리진커피 filed Critical 황규연
Priority to KR102021001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5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생두가 고르게 볶아지도록 패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로스팅 드럼을 포함하는 로스팅부; 상기 로스팅 드럼 내로 생두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되, 생두의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뚜껑을 내부에 구비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로스팅 드럼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에서 사용된 후 열을 잃은 공기를 흡입하여 재가열 및 재공급하는 가열부; 로스팅 진행 상황이 디스플레이 되고, 수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 버튼을 터치 또는 디스플레이부;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COFFEE BEAN ROASTING DEVICE}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커피 원두의 맛과 향을 살리면서도 효율적으로 로스팅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인스턴트 커피, 드립 커피, 에스프레소 등으로 나뉘는데, 인스턴트 커피는 열매인 생두를 볶은 원두를 빻아 분말을 물에 타서 마시는 커피이고, 드립 커피는 커피 원두를 갈아낸 후 뜨거운 물을 부어서 내려 마시는 커피이며, 에스프레소는 커피 원두를 곱게 간 후 고온고압의 물을 이용해 단시간에 추출해낸 커피로서, 모든 종류의 커피는 커피 원두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커피 원두는 커피나무의 열매 안에 있는 생두를 음용 가능한 커피 원두로 가공하기 위해 열을 가하여 볶는 과정에서 조직을 최대한 팽창시켜 생두가 가는 여러 성분을 조화롭게 표현하여 커피 특유의 맛과 향을 생성하는 로스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로스팅의 방법에는 전통적인 가정식 방법인 팬 로스팅과, 근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드럼 로스팅, 주로 인스턴트 커피 제조용으로 쓰이는 열풍 로스팅 방법이 있다.
커피의 맛과 향은 그 로스팅 온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한다.
따라서, 로스팅 프로파일을 설정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 로스팅을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로스팅 프로파일을 설정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 로스팅을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는, 하우징;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생두가 고르게 볶아지도록 패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로스팅 드럼을 포함하는 로스팅부; 상기 로스팅 드럼 내로 생두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되, 생두의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뚜껑을 내부에 구비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로스팅 드럼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에서 사용된 후 열을 잃은 공기를 흡입하여 재가열 및 재공급하는 가열부; 로스팅 진행 상황이 디스플레이 되고, 수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 버튼을 터치 또는 디스플레이부;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스팅 프로파일을 설정하여 커피의 맛과 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 로스팅을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의 공기 흐름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100)는 하우징(110), 로스팅부(111), 호퍼(113), 가열부(115), 배출부(117), 디스플레이부(119) 및 제어부(121)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에 각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로스팅부(111)는 로스팅 드럼(1111)을 구비하며, 구동모터(미도시)의 축에 연결되어 그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생두가 고르게 볶아지도록 그 내부에 패들(1113)을 구비한다. 또한, 로스팅부(111)에서 로스팅 드럼(1111)의 상부에는 로스팅 드럼(1111)에서 사용된 후 열을 잃은 공기가 가열부(115)로 재공급 될 수 있도록 에어튜브(111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스팅부(111)의 일측에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로스팅 드럼(1111)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 배출구(1117)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배출구(1117)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이탈하지 않고 배출부(117)의 수용 공간으로 쏟아져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가이드부(1119)를 형성한다.
이때, 로스팅 드럼(1111)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여 생두의 온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로스팅 드럼(1111) 내부의 열을 빠르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로스팅 드럼(1111)에서는 초고온의 바람으로 로스팅하는 방식으로 커피를 로스팅하는데, 그 로스팅에 사용된 공기는 강하게 에어튜브(1115)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렇게 빠져나가는, 즉, 배출되는 힘을 통해 로스팅 드럼(1111) 내부를 무산소 상태로 만든다. 또한, 필요에 따라 로스팅 드럼(1111)에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여 공기 유입을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금속으로 차단하고, 필요 시 그 금속을 별도의 도구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호퍼(113)는 로스팅 드럼(1111) 내로 생두를 공급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사용자가 생두를 호퍼(113)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위치하는 투입구는 넓게 형성되고, 그 생두가 로스팅 드럼(1111)의 일부에 집중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호퍼(113)의 내부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공급구는 투입구 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그 공급구에는 생두의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뚜껑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열부(115)는 하우징(110) 내에서 로스팅 드럼(1111)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로스팅 드럼(1111)의 내부로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도록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로스팅 드럼(111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서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열부(115)는 버너(1151), 사이클론(1153) 및 채프통(1155)를 포함할 수 있다.
버너(1151)는 로스팅 드럼(1111)의 내부에서 생두를 로스팅 할 수 있도록 로스팅 드럼(1111)로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가열한다.
사이클론(1153)는 로스팅 드럼(1111)의 내부에서 생두 사이사이에 균등한 열전달을 하고 열을 잃은 공기가 팬(fan)(미도시)에 의해 흡입되면, 로스팅 시에 생성된 연기를 분리하여 제거한 뒤, 연기가 제거된 공기를 버너(1151)로 재공급 한다. 그 재공급 된 공기는 재가열 및 재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뜨거운 공기를 이용하여 로스팅을 하는 열풍식 로스팅 방식으로 대류열을 많이 사용하고, 로스팅 드럼(1111)의 열기로 표면을 로스팅하는 전도열의 비율이 적어 원두 내외부의 편차가 작으면서도, 로스팅 드럼(1111) 내부에서 많은 원두의 로스팅이 균일하게 이뤄질 수 있다.
채프통(1155)은 사이클론(1153)의 하부에 위치하여 사이클론(1153)이 연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로스팅 드럼(1111)으로부터 함께 배출된 생두의 채프와 찌꺼기를 수용한다.
배출부(117)는 로스팅부(11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배출구(1117)로부터 쏟아져 배출되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A)을 형성한다. 또한 배출부(117)의 일측에는 그 수용공간(A)으로부터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배출구(1171)가 형성된다. 이때, 제2 배출구(1171)는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가 이탈하지 않고 외부로 쏟아져 배출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의 경사를 갖는 가이드부(1173)를 형성한다.
디스플레이부(119)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로스팅 진행 상황이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현재 로스팅 드럼(1111)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 로스팅 드럼(1111) 내부 공기의 온도, 로스팅 드럼(115)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로스팅 진행 시간, 및 진행 정도 등의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9)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100)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절 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때 조절 버튼은 터치식 또는 버튼식(패널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21)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제어부(121)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되고 로스팅에 사용된 후, 재가열 후 재공급 되는데, 그 구체적인 공기의 흐름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a 내지 도 2d에서 붉은색 화살표는 가열되어 로스팅 드럼(1111)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나타내고, 노란색 화살표는 로스팅 드럼(1111)에서 사용된 후 재공급되는 공기를 나타낸다.
먼저, 도 2a에서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버너(1151)에 의해 가열되고, 그 가열된 공기, 즉, 뜨거운 공기는 도 2b에서와 같이 로스팅부(111)의 로스팅 드럼(1111) 내부로 공급되어 로스팅을 위해 사용된다.
이후, 도 2c에서와 같이 로스팅에 사용되어 열을 잃은 공기는 로스팅 드럼(1111)의 상부에 배치된 에어튜브(1115)를 통해 가열부(115)로 이동하는데, 그 공기는 도 2d에서와 같이 팬에 의해 사이클론(1153)으로 재공급 되어 연기가 분리되고, 연기가 분리된 공기는 버너(1151)에 의해 재가열 되어 로스팅 드럼(1111) 내부로 재공급된다. 여기서, 사이클론(1153)에서 연기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로스팅 드럼(1111)으로부터 함께 배출된 생두의 채프와 찌꺼기가 채프통(1155)으로 떨어져 배출되게 된다. 한편, 사이클론(1153)에 의해 분리된 연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1)은 센서모듈(1211), 저장모듈(1213) 및 제어모듈(1215)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모듈(1211)은 로스팅 드럼(1111)의 내부 공기의 온도와 공급된 생두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며,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이때, 센서모듈(1211)은 복수개의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로스팅 드럼(1111)에서 사용된 후 가열부(115)로 재공급 되기 위해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로스팅 드럼(1111)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로스팅이 완료된 원두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1213)은 로스팅을 위해 사용되는 로스팅 프로파일은 물론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100)에 대한 기본 정보는 물론,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모듈(1215)은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센서모듈(1211)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호퍼(113)의 내부에 구비된 뚜껑의 오픈 여부를 제어하고, 버너(1151)에서의 공기 가열 정도를 제어하며,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215)은 저장모듈(1213)에 저장된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로스팅 드럼(1111)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호퍼(113)의 내부에 구비된 뚜껑을 오픈하여 생두가 로스팅 드럼(1111) 내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모듈(1215)은 저장모듈(1213)에 저장된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버너(1151)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줄이도록 제어하고, 버너(1151)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키우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215)은 저장모듈(1213)에 저장된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로스팅 드럼(1111)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줄이도록 제어하고, 로스팅 드럼(1111)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키우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모듈(1215)은 저장모듈(1213)에 저장된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로스팅 드럼(1111)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로스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배출구(1117)를 오픈하여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가 로스팅부(111)의 로스팅 드럼(1111)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215)은 로스팅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는 제1 배출구(1117)가 잠기도록 제어하여 로스팅이 덜 된 원두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피 원두가 항상 균일한 맛과 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저장하여 활용함으로써 로스팅 구동 환경에 맞게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여 경제적, 시간적 효율성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110: 하우징
111: 로스팅부 113: 호퍼
115: 가열부 117: 배출부
119: 디스플레이부 121: 제어부
1111: 로스팅 드럼냉각유닛 1113: 패들
1115: 에어튜브 1117: 제1 배출구
1119: 가이드부 1151: 버너
1153: 사이클론 1155: 채프통
1171: 제2 배출구 1173: 가이드부
1211: 센서부 1213: 저장모듈
1215: 제어모듈

Claims (10)

  1. 하우징;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생두가 고르게 볶아지도록 패들을 내부에 구비하는 로스팅 드럼을 포함하는 로스팅부;
    상기 로스팅 드럼 내로 생두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상부에 설치되되, 생두의 공급을 제한하기 위한 뚜껑을 내부에 구비하는 호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로스팅 드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에서 사용된 후 열을 잃은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 튜브;
    상기 로스팅 드럼의 일측면에 이격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에어 튜브에서 공급된 공기를 재가열 및 재공급하는 가열부;
    로스팅 진행 상황이 디스플레이 되고, 수동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 버튼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생두를 로스팅하기 위한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가열된 공기를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로 공급하는 버너; 및
    상기 에어 튜브에서 공급된 열을 잃은 공기를 흡입하여 연기를 분리한 뒤 연기가 분리된 공기를 상기 버너로 공급하는 사이클론; 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은 상기 버너 상에 접촉배치되어 상기 버너와 상기 사이클론은 서로 연통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로스팅 드럼에서 배출되는 생두의 채프와 찌꺼기를 수용하는 채프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 공기의 온도와 공급된 생두의 양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로스팅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센서모듈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뚜껑의 오픈 여부를 제어하고, 상기 버너에서의 공기 가열 정도를 제어하며,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 드럼은,
    스테인리스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로스팅 드럼의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호퍼의 내부에 구비된 뚜껑을 오픈하여 생두가 상기 로스팅 드럼 내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버너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줄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버너에서 가열된 공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키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로스팅 드럼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줄이도록 제어하고, 상기 로스팅 드럼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하가 되면 로스팅을 위한 화력을 키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로스팅 프로파일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로스팅 드럼 내부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면 로스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로스팅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오픈하여 로스팅이 완료된 커피 원두가 상기 로스팅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로스팅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는 상기 로스팅부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가 잠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버튼은,
    터치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KR1020210018852A 2021-02-10 2021-02-10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KR102594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52A KR102594056B1 (ko) 2021-02-10 2021-02-10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852A KR102594056B1 (ko) 2021-02-10 2021-02-10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90A KR20220115190A (ko) 2022-08-17
KR102594056B1 true KR102594056B1 (ko) 2023-10-26

Family

ID=8311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852A KR102594056B1 (ko) 2021-02-10 2021-02-10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4207A1 (en) 2012-06-21 2013-12-26 Mark L. Ludwig Smokeless coffee roas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7850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온도 프로파일에 따른 커피 로스터 제어방법
KR101448008B1 (ko) * 2013-03-06 2014-10-13 권제성 곡물 로스터
KR20150015852A (ko) * 2013-08-01 2015-02-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센서를 이용한 커피 로스터
KR20180013318A (ko) * 2016-07-29 2018-02-07 유평화 생두낙하블레이드가 구비된 수동식 커피 로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4207A1 (en) 2012-06-21 2013-12-26 Mark L. Ludwig Smokeless coffee roa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190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081B2 (en) Hot beverage brewing system and use thereof
KR101695856B1 (ko)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KR101612040B1 (ko) 자동 커피 추출장치
US4706555A (en) Electric coffee maker
US20130337132A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JPH0344522B2 (ko)
US20130220137A1 (en) Hot beverage brewing system and use thereof
GB2485073A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WO2012115448A3 (ko)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CN109414134A (zh) 自动咖啡机以及制备冲泡饮料的方法
US20200107672A1 (en) Coffee roaster and degasser
CN107529776A (zh) 带快速和/或多次萃取过程特征的咖啡机及相关的系统和方法
US201700273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ea latte
EP0213645A1 (en) An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KR102594056B1 (ko)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AU2012222219B2 (en) Hot beverage brewing system and use thereof
US20140060336A1 (en) Apparatus for Making Crema Coffee
KR101257302B1 (ko) 사이펀방식의 커피 추출기
JP2021023608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KR102428651B1 (ko) 가마솥 구조를 기반으로 한 커피 로스팅 장치
JP2000051102A (ja) コーヒーメーカ
JP2021112386A (ja) 飲料製造装置および飲料製造装置の制御方法
KR101297554B1 (ko) 커피 추출장치
JPS6334585Y2 (ko)
JPH1014774A (ja) 全自動コーヒ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