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075B1 -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075B1
KR102591075B1 KR1020210179444A KR20210179444A KR102591075B1 KR 102591075 B1 KR102591075 B1 KR 102591075B1 KR 1020210179444 A KR1020210179444 A KR 1020210179444A KR 20210179444 A KR20210179444 A KR 20210179444A KR 102591075 B1 KR102591075 B1 KR 10259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habilitation
neuromuscular control
control evaluatio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4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90568A (en
Inventor
이진혁
장기모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79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075B1/en
Publication of KR2023009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5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07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23Evaluating sense of bal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19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가이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는, 보수볼; 및 상기 보수볼의 상부에 결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레이저 광선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재활 운동 전후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재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근력 강화 및 균형감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s and guidanc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ncludes: a Bosu ball; and an upper cover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ervative ball, wherein the upper cover includes: a laser point tha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to face the front and emits a laser beam; and a tilt measureme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to measure tilt.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simply and accurately evaluat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using a single device and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valuat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before and afte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more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reby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improving the sense of balance.

Description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가이드 방법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가이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근력 강화 및 균형감각 향상을 위해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재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가이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guide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to strengthen muscle strength and improve balance. It relates to re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s and guidance methods.

무릎 및 발목 손상 환자에서 근력 약화 및 균형감각의 결손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보존적 재활치료와 수술 후에도 이러한 문제점은 지속되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다. 또한, 요통 환자 등에서도 균형감각 결손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Muscle weakness and loss of balance are continuously reported in patients with knee and ankle injuries. In particular, since these problems persist even after conserva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surgery, ac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is needed to resolve them. In addition, balance deficits often exist even in patients with back pain.

종래에는 불안정성 보드 등을 활용하여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훈련을 진행하였으며, 무릎 정렬을 위한 훈련이 강조되었다. 무릎 정렬은 하지관절 뿐만 아니라 전신 균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훈련 전후에 무릎 정렬 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필요가 있다.Previously,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training was conducted using instability boards, etc., and training for knee alignment was emphasized. Since knee alig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not only on the lower extremity joints but also on the balance of the entire bod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knee alignment before and after training.

그러나 종래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장치는 크기가 크고 고가이므로, 특정 장소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평가 장치는 재활 측면에서도 균형감각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훈련이 가능하고 근력 훈련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conventional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devices are large in size and expensive, so their use is limited to specific locations. In addition, in terms of rehabilitation, conventional evaluation devic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only provide limited training for balance and strength training is difficult.

또한, 종래의 재활 장치들은 대부분 고유수용성 훈련을 위한 구성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평가와 재활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장치는 제안된 바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most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devices are focused only on proprioceptive training, and no device that enables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at the same time has been proposed.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미국등록특허 제10,434,371호(2019.10.08.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US Patent No. 10,434,371 (registered on October 8, 2019).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재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가이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guide method that can more simply and accurately evaluat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and enable rehabilitation exercise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에 있어서, 보수볼; 및 상기 보수볼의 상부에 결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레이저 광선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 센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problem,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ncludes: a bosu ball; and an upper cover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servative ball, wherein the upper cover includes: a laser point tha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to face the front and emits a laser beam; and a tilt measurement senso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to measure tilt.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 정면 측에 정면 표시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A front marking mark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upper cover.

상기 상부커버의 외곽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고리가 구비되며, 각 고리에는 각각 밴드가 장착되고, 각 고리에 장착된 복수의 밴드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가 착용된 밴드고정부에 연결될 수 있다.Rings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cover, each ring is equipped with a band, and the plurality of bands mounted on each ring can be connected to a band fixing part worn around the user's waist.

상기 복수의 밴드는 서로 상이한 장력을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nds may have different tensions.

상기 상부커버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가 형성되며, 양측 케이스 내부에는 각각, 상기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의 측정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및 통신 모듈; 및 상기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A cas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and inside the case on both sides, respectiv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and measures the tilt measurement sensor. Control and communication modules that transmit signals to external devices; And a battery module that su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may be installed.

한편, 상술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휴대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운동을 실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한 균형 평가 및 재활 운동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ntrol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through the application. It provides a guide for performing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receives, stores and analyzes data measured during balance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provides analysis results to the user.

한편, 상술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균형 검사를 실시하도록 안내하고, 균형 검사 중에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에 의해 균형상태가 측정되는 단계; 균형상태 측정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한발 검사를 실시하도록 안내하고, 평가 결과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균형상태 측정 결과,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제1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는 단계; 상기 제1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한 후, 또는 입력된 한발 검사 결과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는 단계; 및 입력된 한발 검사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Meanwhile, in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guidance is given to perform a balance test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during the balance test, Measuring the state of balance by a tilt measurement senso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nce state, if it is confirmed to be above the preset standard value and judged to be good, guiding the user to perform a drought test and receiving the evaluation result; guiding the user to perform a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lance is not performed smoothly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nce state; After performing the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ted foot test result is not smooth, guiding the user to perform the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if the inputted one-foot test result is determined to be good, guiding the user to perform a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상기 제1 단계 재활 운동은 기 설정된 낮은 강도의 균형 및 근력 운동이고, 상기 제 2 단계 재활 운동은 기 설정된 중간 강도의 균형 및 근력 운동이며, 상기 제3 단계 재활 운동은 플라이오메트릭 또는 민첩성 운동 훈련일 수 있다.The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a preset low intensity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 the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a preset medium intensity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 and the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plyometric or agility exercise training. It can be.

제 1 내지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에 의해 균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While performing the first to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s, the state of balance can be measured using the tilt measurement sensor.

상기 제2 단계 재활 운동 또는 상기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한 후, 상기 균형 검사를 다시 실시하도록 안내하고 균형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후속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e secon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or the thir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balance test may be performed again, and subsequent steps may be repeated according to the balance measurement resul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기초로 재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재활 운동 전후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재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근력 강화 및 균형감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simply and accurately evaluat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using a single device and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evaluat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before and afte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more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reby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improving the sense of bal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한 재활 운동에 사용되는 재활운동 그림판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사용한 재활운동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the upper cover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device shown in FIG. 1 ;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habilitation exercise board used for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and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a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erforming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는 보수볼(110) 및 상부커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su ball 110 and an upper cover 120.

보수볼(110)은 반구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 등으로 형성되며, 불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예를 들어 PVC와 같은 튜브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수볼(110)은 사용자에 대한 평가 또는 재활 운동시에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위치하거나, 상부면으로 향하도록 위치하여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다.The repair ball 11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r a diamond shape, and may be made of a tube material such as PVC to increase instability. The bosu ball 110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floor or toward the upper surface during user evaluation or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may cause instability.

상부커버(120)는 보수볼(110)의 상부에 결착되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에 대한 평가 또는 재활 운동시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바닥면으로 향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The upper cover 120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su ball 110, and is made of a sturdy material, for example, plastic,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footrest that supports the user's feet during user evaluation or rehabilitation exercise, or the floor. It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face.

상부커버(12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레이저 포인트(12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부커버(120) 상에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를 위한 검사를 수행하거나 재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레이저 포인트(121)는 레이저 광선을 방사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장치(100)의 움직임을 가시화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레이저 포인트(121)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지시에 따라 레이저 광선으로 초점을 맞추는 등과 같은 방향성 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 laser point 121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120. Accordingly, while the user performs a test for evaluat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or performs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upper cover 120, the laser point 121 emits a laser beam to make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user's movement. The movement can be visualized so that the user can understand it intuitively. Furthermore, the laser point 121 can be used to perform directional movements, such as focusing a laser beam, according to instructions provided.

또한, 상부커버(120)의 중앙부에는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부커버(120) 상에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를 위한 검사를 수행하거나 재활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는 장치(100)의 전후, 좌우 기울어짐을 측정 및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균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a tilt measurement sensor 1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120. Accordingly, while the user performs a test for evaluat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or performs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upper cover 120,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measures and outputs the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tilts of the device 100. By doing this, the user's state of balance can be measured.

또한, 상부커버(120)의 상부 정면 측에는 정면 표시마크(123)가 표시될 수 있다. 정면 표시마크(123)는 상부커버(120)의 중앙부에 구비된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와 일직선상에 표시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ront marking mark 123 may be display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upper cover 120. The front display mark 123 may be display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cover 120.

추가로, 상부커버(120)의 외곽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커버(12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의 4 지점에 고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고리에는 재활운동을 위해 사용되는 밴드(130)가 장착되고 복수의 밴드(130)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착용된 밴드고정부(131)에 연결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장착된 복수의 밴드(130)은 사용자의 허리에 연결되어 저항 역할을 하게 되며, 상부커버(120)가 바닥면으로 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수볼(110) 상에서 점핑, 스쿼트 등의 동작을 수행하면 저장과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각 고리에 장착된 밴드(130)의 장력을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써 한층 더 불안정성 및 근력 강화를 유도할 수 있다. Additionally, rings may be provided at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cover 120. For example, rings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four points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cover 120, and each ring is equipped with a band 130 used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a plurality of rings. The band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and fixing part 131 worn around the user's waist (see Figure 6). The plurality of bands 130 mounted in this way are connected to the user's waist and serve as resistance, and allow the user to perform actions such as jumping and squatting on the Bosu ball 110 with the upper cover 120 facing the floor. Doing so may cause storage and instability. Additionally, by varying the tension of the bands 130 mounted on each ring, further instability and muscle strength can be induc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2의 (a)는 보수볼(110)에 결착되지 않은 상부커버(120)를 정면에서 바라 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상부커버(120)를 상부에서 바라 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pecifically showing the upper cover shown in FIG. 1, and FIG. 2(a) is a view showing the upper cover 120 that is not attached to the repair ball 110 as seen from the front. , (b) is a diagram showing the upper cover 120 viewed from the top.

도 2를 참조하면, 레이저 포인트(121)는 상부커버(120)의 양 측에서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고,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가 원형의 상부커버(120)의 중심에 구비되며, 정면 표시마크(123)가 상부커버(120)의 전면 측에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laser point 121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120 to face the front,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upper cover 120,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mark 123 is display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cover 120.

또한, 상부커버(120)의 양 측면에는 상부커버(1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가 형성될 수 있다. 양 측 케이스의 전면측에 레이저 포인트(121)가 구비되며, 양 측 케이스의 내부에는 각각 제어 및 통신 모듈(124)과 배터리 모듈(125)이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및 통신 모듈(124)은 레이저 포인트(121) 및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의 동작을 제어하고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의 측정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모듈(125)은 레이저 포인트(121) 및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Additionally, cas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120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20. A laser point 121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both cases, and a control and communication module 124 and a battery module 125 can be installed inside each case. The control and communication module 124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 121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and transmit the measurement signal of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to an external device. The battery module 125 may supply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 121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device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 단말(200)과 연결되며, 휴대 단말(200)에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portable terminal 200 include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An application for rehabilitation guide may be installed.

휴대 단말(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라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운동을 실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를 이용한 균형 평가 및 재활 운동시 측정된 데이터는 휴대 단말(200)로 전송되어 저장 및 분석되고, 분석 결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rovide a guide for perform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s as shown in FIG. 4, and accordingly,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Data measured during balance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100 ar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200, stored and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를 이용하여 균형 검사를 실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S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균형 검사는 사용자가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의 상부커버(120) 상에서 한발 또는 두발로 서서 눈을 뜨거나 또는 눈을 감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검사 중에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에 의해 균형상태가 측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first, the user may be guided to perform a balance test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S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lance test may be performed with the user standing on one or both feet on the upper cover 120 of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with eyes open or eyes closed. The balance state can be measured by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균형상태 측정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good) 한발 검사를 실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S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발 검사는 별도의 장치 사용 없이 한발 스쿼트(Single leg squat) 또는 한발 착지 검사(Drop vertical jump)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한발 스쿼트 검사 또는 한발 착지 검사에서는 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슬개골 중앙(patellar center) 및 2-3번째 발가락이 일치해야 하며, 검사에 따른 일치 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입력 받을 수 있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nce state, if it is confirmed to be above the preset standard value and is judged to be good (good), you can be guided to perform a drought test (S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ingle leg test can be performed by performing a single leg squat or a single leg landing test (drop vertical jump)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and the results can be input. Here, in the one-legged squat test or one-legged landing test,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patellar center, and 2nd to 3rd toes must match, and the consistency according to the test is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reported. You can receive input.

입력된 한발 검사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good),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S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단계 재활 운동은 플라이오메트릭 또는 민첩성 운동 훈련일 수 있다. 여기서,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은 신장-단축 기법이라고도 하며 근육을 급격히 수축한 후 즉각적으로 신장 해주는 운동으로 바운드(bound), 홉(hop), 점프(jump), 도약(leap), 스킵(skip) 등과 같은 동작들을 활용해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민첩성 운동은 스피드와 근력을 향상시키는 운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오메트릭 또는 민첩성 운동 훈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에 의해 균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If the inputted one-foot test result is determined to be good (good), the user may be guided to perform the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S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hird phase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plyometric or agility exercise training. Here, plyometric exercise is also called a stretching-shortening technique and is an exercise that rapidly contracts the muscle and then immediately stretches it, including bound, hop, jump, leap, skip, etc. It can be performed using the same movements. Additionally, agility exercises can consist of exercises that improve speed and strength. Such plyometric or agility exercise training may be configured a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 tilt measurement sensor may be used during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The state of balance can be measured by (122).

한편, 균형 상태 측정 결과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poor),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를 이용하여 제1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고(S20), 이어서 제2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S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계 재활 운동은 기 설정된 낮은 강도의 균형 및 근력 운동이고, 제 2 단계 재활 운동은 기 설정된 중간 강도의 균형 및 근력 운동일 수 있다. 여기서, 균형 및 근력 운동은 균형 감각 및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를 이용하여 재활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기울어짐 측정 센서(122)에 의해 균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formance cannot be performed smoothly as a result of the balance status measurement (poor), the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guided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S20), followed by the second stage. You can be guided to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s (S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a preset low intensity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 and the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may be a preset medium intensity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 Here, the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s are exercises to improve the sense of balance and strength and can be configured a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rehabilitation exercises are performed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While performing, the balance state can be measured by the tilt measurement sensor 122.

또한, 입력된 한발 검사 결과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poor), 상술한 제2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S30). In addition, if the inputted sweat test result is judged to be poor (poor), the user may be guided to perform the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described above (S30).

일 예에 따르면, 제1 단계 및 제 2 단계 재활 운동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재활운동 그림판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활운동 그림판은 소정의 목표 또는 과제지향적 운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한발 또는 두발로 균형감각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그림판에 제시된 하나 이상의 타겟에 레이저 광선으로 정밀하게 맞추도록 하거나, 또는 그림판에 제시된 선(직선, 사선 등)을 따라 레이저 광선의 초점이 이동하도록 하는 등의 과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s can be performed using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rawing board as shown in FIG. 5. Specifically, the rehabilitation exercise drawing board can be used for certain goal or task-oriented exercises, and when the user performs balance exercises on one or two feet, the user can precisely hit one or more targets presented on the drawing board with a laser beam, or You can perform tasks such as moving the focus of a laser beam along a line (straight line, diagonal line, etc.) shown on the drawing board.

다른 예에 따르면, 제1 단계 및 제 2 단계 재활 운동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100)에 장착된 밴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s may be performed using a band mounted on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00, as shown in FIG. 6.

이후, 제2 단계 재활 운동 또는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한 후, 계속 진행이 필요하면 상술한 S10 단계로 되돌아가 균형 검사를 다시 실시하도록 하고 실시 결과에 따라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After performing the secon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or the thir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f further progress is necessary, return to the above-mentioned step S10 to perform the balance test again, and repeat the above-described process depending on the results.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0: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110: 보수볼
120: 상부커버
121: 레이저 포인트
122: 기울어짐 측정 센서
123: 정면 표시마크
124: 제어 및 통신 모듈
125: 배터리 모듈
130: 밴드
131: 밴드고정부
100: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110: Bosu Ball
120: Top cover
121: Laser point
122: Tilt measurement sensor
123: Front marking mark
124: Control and communication module
125: battery module
130: band
131: Band fixing unit

Claims (10)

보수볼; 및
상기 보수볼의 상부에 결착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커버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검사 수행 중 또는 재활 운동 수행 중에 레이저 광선을 방사하는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기울어짐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bosu ball; and
It includes an upper cover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su ball,
The upper cover is,
A laser poin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to face the front and emits a laser beam while the user is performing an examination or rehabilitation exercise; and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ncluding a tilt measurement sensor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to measure ti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 정면 측에 정면 표시마크가 표시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n which a frontal mark is displayed on the upper front side of the uppe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외곽상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고리가 구비되며,
각 고리에는 각각 밴드가 장착되고,
각 고리에 장착된 복수의 밴드는 사용자의 허리 둘레가 착용된 밴드고정부에 연결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Rings are provided at each of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cover,
Each ring is equipped with a band,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bands mounted on each ring are connected to a band fixer on which the user's waist is wor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밴드는 서로 상이한 장력을 가지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bands have different tens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가 형성되며,
양측 케이스 내부에는 각각,
상기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의 측정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및 통신 모듈; 및
상기 레이저 포인트 및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이 장착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s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cover so as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Inside each case,
A control and communication modu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aser point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and transmits a measurement signal of the tilt measurement sensor to an external device; and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equipped with a battery module that supplies power for operation of the laser point and the tilt measurement sensor.
제 5항에 따른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 및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휴대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운동을 실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한 균형 평가 및 재활 운동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5; and
It is connected to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guide for perform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 through the application, and receives and stores data measured during balance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 system that analyzes and provides analysis results to users.
제 6 항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균형 검사를 실시하도록 안내하고, 균형 검사 중에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에 의해 균형상태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은 균형상태 측정 결과,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확인되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한발 검사를 실시하도록 안내하고, 평가 결과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균형상태 측정 결과,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제1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한 후, 또는 입력된 한발 검사 결과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2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은 입력된 한발 검사 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도록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
In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method using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6,
guiding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balance test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and measuring a balance state by the tilt measurement sensor during the balance test;
The mobile terminal guides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drought test when the balance status measurement result i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is judged to be good, and receiving the evaluation result;
guiding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lance condition is not performed smoothly;
guiding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secon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after performing the first-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putted foot test result is not smooth; and
If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inputted one-foot test result is good,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method includes guiding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 재활 운동은 기 설정된 낮은 강도의 균형 및 근력 운동이고, 상기 제 2 단계 재활 운동은 기 설정된 중간 강도의 균형 및 근력 운동이며, 상기 제3 단계 재활 운동은 플라이오메트릭 또는 민첩성 운동 훈련인 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first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a preset low intensity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 the secon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a preset medium intensity balance and strength exercise, and the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is plyometric or agility exercise training. Methods to guide phosphore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장치는 제 1 내지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하는 중에 상기 기울어짐 측정 센서에 의해 균형상태를 측정하는 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device is a re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method for measuring balance by the tilt measurement sensor while performing the first to third stage rehabilitation exercise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단계 재활 운동 또는 상기 제3 단계 재활 운동을 실시한 후, 상기 균형 검사를 다시 실시하도록 안내하고 균형상태 측정 결과에 따라 후속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조절 평가 및 재활 가이드 방법.
According to claim 7,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control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guide that guides the balance test again after performing the secon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or the third-stage rehabilitation exercise and repeats the subsequent steps according to the balance state measurement result. method.
KR1020210179444A 2021-12-15 2021-12-15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KR1025910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44A KR102591075B1 (en) 2021-12-15 2021-12-15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44A KR102591075B1 (en) 2021-12-15 2021-12-15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568A KR20230090568A (en) 2023-06-22
KR102591075B1 true KR102591075B1 (en) 2023-10-19

Family

ID=8698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444A KR102591075B1 (en) 2021-12-15 2021-12-15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07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19B1 (en) * 2009-03-27 2010-01-15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Balance diagnosis and training apparatus for reforming legs
US20150190679A1 (en) * 2013-07-03 2015-07-09 Alison M. Carbone Agility and strength improve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512B1 (en) * 2017-11-23 2019-09-20 이동훈 Core exercise device system linked to a smart device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619B1 (en) * 2009-03-27 2010-01-15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Balance diagnosis and training apparatus for reforming legs
US20150190679A1 (en) * 2013-07-03 2015-07-09 Alison M. Carbone Agility and strength improve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568A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1726B1 (en) Method and outfit for measuring of action of muscles of body
US9135347B2 (en) Exercise tracking and analysi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90258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hysical performance
US8721342B2 (en) Multi-mode acceleration-based athleticism measurement system
US20090298649A1 (en) Exercise device visual representation
JP2005524048A (en) Feedback device having a conductive fibrous body
JP4990719B2 (en) Health measuring device
KR102049096B1 (en) Mixed reality based exercise system
Raisbeck et al.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cues on performance and mechanics during a gross motor movement
US201803603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KR102591075B1 (en) Device and Guide Method for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Noyes et al. Sportsmetrics ACL intervention training program: Components and results
KR102058547B1 (en) Mixed reality based exercise system for multi user match
Bagherian et al. Characterizing lower extremity movement scores before and after fatigue in collegiate athlete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KR101686983B1 (en) Medical functional game system for active kegel exercise and abdominal breathing and driving method thereof
Graaf The Design of Vibrotactile Feedback to Coach Posture in Inline Skating
Harringe et al. Gymnastics injury prevention
AU20142327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physical performance
KR102655733B1 (en) Foot Pressure Feedback Control Method of Smart Mat
KR102476730B1 (en) Circuit training provid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orts apparatus
US11241603B2 (en) Training guidance instrument and training guidance method using the same
KR101916420B1 (en) Infant health measurement method
US10737138B1 (en) Handlebars with rebounding punching pads for an exercise device
Boman Evaluating the Segmental Contribution to Whole-Body Center-of-Mass Movement in Depth Jumping
Grădinaru et al. The contribution of plyometric exercises assisted by sensory technology on vertical jump parameters in U15 female volleyball play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