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140B1 -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140B1
KR102585140B1 KR1020210018381A KR20210018381A KR102585140B1 KR 102585140 B1 KR102585140 B1 KR 102585140B1 KR 1020210018381 A KR1020210018381 A KR 1020210018381A KR 20210018381 A KR20210018381 A KR 20210018381A KR 102585140 B1 KR102585140 B1 KR 10258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tient
automatic
invasiv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4851A (en
Inventor
지강호영
Original Assignee
지강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강호영 filed Critical 지강호영
Priority to KR1020210018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140B1/en
Publication of KR2022011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8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1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6User protection from sh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Abstract

본원은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와 전원부는, 전기적 자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연결 수단으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패드부의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하로 삽입되는 도체의 소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which includes a pad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pad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 control portion that receives stimulus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wherein the pad unit and the power unit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and the pad of the pad unit includes a conductor material to be inserted under the skin of the patien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edles.

Description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본원은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s.

일반적으로 자동심장충격기(또는 자동제세동기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심장세동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 심정지(SCA: Sudden Cardiac Arrest)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eliminates cardiac fibrillation. When the heart stops beating and blood flow to each tissue is interrupted, the supply of oxygen, etc. essential for biological activities is interrupted. This is a device that provides an external electric shock to return the heartbeat to normal when a sudden cardiac arrest (SCA) phenomenon occurs.

종래의 휴대용 자동심장충격기는 9 - 24(V)의 배터리가 내장되는데, 이러한배터리로 7 - 24(ms)의 짧은 시간 동안 150 - 200(J)의 전기 에너지를 가하기 위해서는 1,500 - 2,000(V)의 고전압이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배터리의 전원을 고전압의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고전압 커패시터(Capacitor)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고전압 커패시터는 한 번의 전기충격 이후에 재충격을 가동하기에는 약 8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성능적인 문제로 인해 8초 이내에 연속적인 전기충격이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는 적절한 조치를 할 수 없었다.Conventional portabl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have a built-in 9 - 24 (V) battery, and in order to apply 150 - 200 (J) of electrical energy for a short period of 7 - 24 (ms) with these batteries, 1,500 - 2,000 (V) A high voltage is used. Therefore, a high-voltage capacitor is used to convert the power of a general battery into high-voltage electrical energy. This high-voltage capacitor has the problem that it takes about 8 seconds to re-shock after a single electric shock. there was. Due to these performance issues, appropriate measures could not be taken for patients who required continuous electric shocks within 8 seconds.

또한, 종래의 휴대용 자동심장충격기는, 환자에 피부에 패드를 부착하여 전기충격을 가하므로, 상기 전기충격으로 인한 환자의 화상이나, 주변인의 감전 위험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pplies an electric shock by attaching a pad to the patient's skin, so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burns to the patient or electric shock to bystanders due to the electric shock.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93-001307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is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3-001307.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500 ~ 2000(V)의 고전압을 사용함으로써, 다시 충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taking a long time to recharge by using a high voltage of 1500 to 2000 (V). do.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전압을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화상이나 주변인의 감전 위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that can solve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burns to patients or electric shock to bystanders by using high voltag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sought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와 전원부는, 전기적 자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연결 수단으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패드부의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하로 삽입되는 도체의 소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ad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pad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a control signal that receives stimul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nd a power supply unit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rein the pad unit and the power unit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and the pad of the pad unit is a pad of the patient.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edles containing a conductor material that is inserted subcutaneously.

또한, 상기 침은, 은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needle may be made of silver.

본원의 제1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하측에 위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내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내면과 상면은 가부착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d has a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space therein, and a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where the plurality of needles are located. It includes an inner surface that can be provided to 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temporarily attached.

또한, 상기 내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는 에어백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가부착은 상기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분리가 될 수 있는 정도의 결합인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an airbag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temporary attachment may be such that it can be separated when the airbag is activa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백을 활성화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침은 상기 에어백의 활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activate the airbag, and the plurality of needles may be infiltrated under the patient's skin depending on the activation of the airbag.

한편, 본원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d includes a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includes the plurality of The needle may be provided to face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상면은 고무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면에 상기 하면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may be made of rubber, so that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lower surface, the plurality of needles may infiltrate subcutaneously of the patient.

한편, 본원의 제1양태 및 제2양태에 따르면, 상기 하면은, 상기 환자의 피부와 부착될 수 있도록 피부 부착 소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ower surface may include a skin attachm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한편, 본원의 제1양태에 따른 제세동 장치를 위한 패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하측에 위치되되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내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내면과 상면은 가부착된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pad for th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to have a space therein, and a plurality of pad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It includes an inner surface that can be provided so that the needle faces the low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temporarily attached.

또한, 상기 내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는 에어백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가부착은 상기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분리가 될 수 있는 정도의 결합이며, 상기 복수개의 침은 상기 에어백의 활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n airbag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temporary attachment is a bond that can be separated when the airbag is activated, and the plurality of needles are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needles depending on the activation of the airbag. The needle may be infiltrated subcutaneously of the patient.

한편, 본원의 제2양태에 따른 제세동 장치를 위한 패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면은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the pad for th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lower surface to have a space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The needle may be provided to face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상면은 고무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상면에 상기 하면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may be made of rubber, so that when a user applies force to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lower surface, the plurality of needles may infiltrate subcutaneously of the patien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are merely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be presen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1500 ~ 2000(V)의 고전압을 사용하여, 다시 충전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requiring a long time to recharge by using a high voltage of 1500 to 2000 (V).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고전압을 사용하여 환자의 화상이나 주변인의 감전 위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burns to the patient or electric shock to bystanders by using high voltage.

또한,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을 통해 침습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전기 자극이 진행되므로 미숙한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invasion is achieved through simple operat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occurs accordingly,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hat even inexperienced users can use.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의 패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의 자동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의 수동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pad of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auto-invasiveness of the auto-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manual invasiveness of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mean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es cases where it i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at the top”, “below”, “at the bottom”, or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원은 심장 제세동에 있어서, 화상 예방, 주변인의 감전 예방, 생산가 절감, 전력 컨트롤의 안정화, 배터리의 소모 에너지 감소 및 그에 따른 배터리 무게의 경량화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cardiac defibrillatio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ntended to provide the effects of preventing burns, preventing electric shock to bystanders, reducing production costs, stabilizing power control,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battery, and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battery.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일반적인 자동 심장충격기(AED)를 사용하면 인체에 150J 내지 200J의 전기 충격을 주어 심실세동을 제거하게 된다. 하지만, 심장에는 50J 이하의 전기 충격만 있으면 심실세동을 제거할 수 있다. 본원은 이러한 50J 이하의 전기충격을 주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When a typical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AED) is used, an electric shock of 150 to 200 J is given to the human body to eliminate ventricular fibrillation. However, ventricular fibrillation can be eliminated with an electric shock of less than 50 J to the heart.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ntended to provide a device for delivering an electric shock of 50J or less.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the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device 1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본 장치(100)는 패드부(110), 제어부(120) 및 전원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ad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power unit 13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부(110) 및 전원부(130)는 전기적 자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연결 수단(1)으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d unit 11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ans 1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상기 연결 수단(1)은 예를 들어, 케이블과 같이 외부에는 고무와 같은 부도체로 절연이 되고 내부에는 도체로 이루어져 전력이 통할 수 있는 전선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연결 수단(1)은 종래에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된 전력선(전선, 연결선)이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ng means 1 may refer to a wire, such as a cable, that is insulated on the outside with a non-conductor such as rubber and is made of a conductor on the inside through which power can pas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ccordingly, the connection means 1 may be a power line (wire, connection line) known in the past or developed in the future.

또한, 연결 수단(1)은 예를 들어, 후술할 제어부(120)에서 생성하는 제어 신호를 패드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means 1 may transmit,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the pad unit 1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t least one pad included in the pad unit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한편, 도 3, 후술할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의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일 수 있다.Meanwhile, Figure 3 and Figures 4 and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부(110)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패드부(110)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어 전기 자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환자의 심장이 멈추거나 미세 박동을 제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d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pad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In other words, the pad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is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can transmit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s, and may be used to stop the patient's heart or eliminate microbeating.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부(11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는 도체로 구비되되, 환자의 피하로 삽입되는 복수개의 침(114)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t least one pad of the pad unit 110 is provided as a conducto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edles 114 that are inserted under the patient's ski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침(114)은 예를 들어, 은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lurality of needles 114 may include, for example, silver.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114)은 예를 들어, 크기가 미세하여 환자의 피하에 삽입되는 경우 빠른 회복 및 출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침(114)은 예를 들어, 0.01mm 내지 0.1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needle 114 is, for example, small in size and can speed recovery and reduce bleeding when inserted under the patient's skin. More preferably, the needles 114 may be, for example, 0.01 mm to 0.1 mm.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이에 따라,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장치(100)는 작은 전기 충격(80J ~ 100J)으로도 심실 세동을 제거하며,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장치(100)는 보다 적은 충격으로도 심정지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liminate ventricular fibrillation even with a small electric shock (80J to 100J) and prevent side effec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evice 100 may be able to resolve cardiac arrest with less shock.

도 4는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100)의 자동침습을 위한 패드부(110)와 수동침습을 위한 패드부(110)에 대하여 제1양태 및 제2양태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inafter, the pad unit 110 for automatic invasiveness and the pad unit 110 for manual invasiveness of th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또한, 본원의 제1양태 및 제2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에 포함된 내면(113)은 예를 들어, 후술할 전원부(130)로부터 연결 수단(1)을 통해 전달되는 전기 자극 신호를 환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도체인 소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113 included in the pad part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example,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connection means 1. It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so that the transmitted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patient.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도면상에서 패드부(110)는 삼각형의 형상을 갖되, 상기 삼각형의 꼭지점이 뭉툭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패드부(110)의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dditionally, in the drawing, the pad portion 110 has a triangular shape, and the vertices of the triangle are shown bluntly, but the pad portion 110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pad portion 110 can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또한, 본원의 제1양태 및 제2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에 포함된 하면(111)은 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피부 부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부착 소재는 종래의 공지된 피부 부착 소재 또는 향후 개발될 피부 부착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111 included in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include a skin attachm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Of course, the skin-adhering material may be a conventionally known skin-adhering material or a skin-adhering material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또한, 본원의 제1양태 및 제2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 하면(111)은 내면(113) 혹은 상면(112)에 구비된 침(114)이 뚫고 나올 수 있도록 고무로 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111 of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esigned so that the needle 114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113 or the upper surface 112 can penetrate. It may contain a material made of rubb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제1양태 및 제2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의 상면(112) 및 내면(113)은 유연한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외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소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112 and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include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y can be moved according to external force. It may be a material that exis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본 원의 제1양태 및 제2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는 외곽에 패드부(1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하면(111), 상면(112) 및 내면(113) 보다 탄성도가 높은 소재로 이루어진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lower surface 111, an upper surface 112, and an inner surface that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pad portion 110 on the outside. (113) A means made of a material with higher elasticity can be provid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패드부(110)에 포함되는 패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111), 상기 하면(1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200)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112) 및 상면의 하측에 위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침(11)이 상기 하면(111)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내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d included in the pad portion 110 has a lower surface 111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extends from an end of the lower surface 111. It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12 that may have a space 200 therein, and an inner surface 113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where the plurality of needles 11 may be provided to face the lower surface 111. there is.

또한, 도 4를 참조하며,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패드부(110)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200)은 예를 들어, 일정 압력을 가진 기체를 포함함으로써, 일정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10)의 복수개의 침은 하면을 통하여 빠져나올 수 없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pace 200 provided inside the pad portion 110 includes gas with a certain pressure, for example, so that when a certain force is not appli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needles of the pad portion 110 may be provided so that they cannot escape through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 공간(200)은 예를 들어, 항균 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외부의 바이러스로부터 복수개의 침(114)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침(114)은 외부의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pace 200 may protect the plurality of needles 114 from external viruses by, for example, containing an antibacterial material. Accordingly, the needle 114 may be safely protected from external contaminants.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내면(113) 및 상면(112)은 가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ner surface 113 and the upper surface 112 may be temporarily attached.

또한,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내면(113) 및 상면(112) 사이에는 에어백(1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술한 가부착은 상기 에어백(115)이 활성화되는 경우 분리가 될 수 있는 정도의 결합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면(112)과 복수개의 침(114)을 포함하는 내면(113)은 가부착 되어있어, 평상시에는 침(114)을 내재하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으며, 에어백(115)이 활성화되는 경우 상기 가부착이 떨어지면서, 상기 복수개의 침(114)이 환자의 피하로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 airbag 115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3 and the upper surface 112. Accordingly, the above-mentioned temporary attachment may be a bond that can be separated when the airbag 115 is activated.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112 and the inner surface 113 including the plurality of needles 114 are temporarily attached, so that the needles 114 are normally embedded and do not protrude to the outside, and the airbag 115 is activated. In this case, the temporary attachment may be removed and the plurality of needles 114 may be inserted under the patient's ski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에어백은 예를 들어, 질화나트륨과 산화철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종래에 공지된 에어백 또는 향후 개발될 에어백 원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airbag may be made of sodium nitride and iron ox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embodiments, of course, conventionally known airbags or airbag principle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can be applied.

이를 위해서,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어부(120)는 상기 에어백(115)을 활성화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activate the airbag 115.

정리하면,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에 포함된 에어백(115)이 활성화 되기 전의 상태를,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1 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에 포함된 에어백(115)이 활성화 된 후의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In summary, referring to (a) of FIG. 4, the state before the airbag 115 included in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ctivated is shown in (b) of FIG. ),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tate after the airbag 115 included in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ctivated.

도 5는 본원의 제2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제2양태에 따르면, 패드부(110)에 포함되는 패드는,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111), 상기 하면(1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200)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112)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면(112)은 복수개의 침(114)이 상기 하면(111)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ad included in the pad portion 110 has a lower surface 111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nd extends from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111 to form a space 200 therein. It includes an upper surface 112 that may be provided, and the upper surface 11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eedles 114 facing the lower surface 111.

이에 따라, 본원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드의 상면(112)은 고무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상면(112)에 하면(111)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복수개의 침(114)이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pad may be made of rubber, so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upper surface 112 toward the lower surface 111, a plurality of needles 114 ) may be infiltrating under the patient's skin.

정리하면,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 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의 평상시 상태를,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 양태에 따른 본 장치(100)의 패드부(110)에 외력이 가해진 후의 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In summary, referring to (a) of FIG. 5, the normal state of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referring to (b) of FIG. 5,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tate after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d portion 110 of th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자극 정보는 자극 신호 패턴,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시간, 자극 신호의 주기 및 자극 신호의 시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자극 패드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패드부(11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receive stimulus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The stimul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imulation signal pattern, a stimulation signal delivery time, a stimulation signal cycle, and a stimulation signal timing.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imulation pad, and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at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the pad unit 110.

한편, 자극 신호 패턴은 물리적 자극의 패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시간은 물리적 자극이 출력되는 시간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자극 신호의 주기는 예를 들어 물리적인 자극이 주기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의 물리적인 자극의 출력 주기에 대응될 수 있으며, 자극 신호의 시기는 물리적인 자극의 출력 시기에 대응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imulus signal pattern may correspond to the pattern of the physical stimulus, and the time for transmitting the stimulus signal may correspond to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physical stimulus is output. In addition, the period of the stimulus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period of the physical stimulus when the physical stimulus is output periodically, and the timing of the stimulation signal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period of the physical stimulus.

또한, 상기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패드부(110)에 포함된 에어백(115)을 활성화하는 제어 신호, 후술할 전원부(130)가 전기적 자극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control signal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activating the airbag 115 included in the pad unit 110, a control signal controlling the power unit 130 to generate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tc.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전원부의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전원부(130)가 전기 자극 신호를 상기 주기에 따라서 패드부(110)에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signal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cycle of generating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of the power supply unit, so that the power supply unit 130 applies the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to the pad unit 110 according to the cycle.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전기적 신호인 자극 신호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20)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는 기설정된 데이터 포맷을 가진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가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자극 정보를 포함한 신호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 형식에 기초한 데이터 포맷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자극 정보를 수신할 수 있거나, 물리적인 버튼을 통해 자극 정보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wer unit 130 may receive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drive a stimulation signal, which is an electrical signal.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may be information with a preset data format.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information including stimulus information from a user, the signal including stimulus information may include a data format based on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format. That is, of course, the control unit 120 can, for example, receive stimulus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a network or receive stimulus information through a physical butt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전원부(130)는 예를 들어, 종래의 공지된 전원부가 적용될 수 있거나 향후 개발될 전원부가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wer supply unit 130 can be, for example, a conventionally known power supply unit or a power supply unit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110: 패드부 111: 하면
112: 상면 113: 내면
114: 침 115: 에어백
120: 제어부 130: 전원부
100: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110: pad part 111: bottom
112: top surface 113: inner surface
114: needle 115: airbag
120: control unit 130: power unit

Claims (10)

제세동 장치에 있어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패드를 포함하는 패드부;
사용자로부터 자극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적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드부와 전원부는, 전기적 자극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연결 수단으로 연결된 것이고,
상기 패드부의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하로 삽입되는 도체의 소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침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하측에 위치되되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내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내면과 상면은 가부착된 것이고,
상기 내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는 에어백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가부착은 상기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분리가 될 수 있는 정도의 결합인 것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In the defibrillation device,
a pad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pad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stimulus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that generates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pad portion and the power portion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an electrical stimulation signal,
The pad of the pad portion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needles containing the material of the conductor to be inserted subcutaneously into the patient,
The pad is,
The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includes an upper surface that extends from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may have a space therein, and an inner surface that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and can be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needles facing the lower surface.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re temporarily attached,
An airbag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he temporary attachment is a bond that can be separated when the airbag is activated,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은,
은으로 구비되는 것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needle is,
which is made of silve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백을 활성화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침은 상기 에어백의 활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control signal to activate the airbag,
The plurality of needles are infiltrated subcutaneously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airbag.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상면은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d is,
The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includes an upper surfac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having a space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needles facing the lower surface,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고무로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면에 상기 하면을 향하여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upper surface is made of rubber, so that when the user applies force to the upper surface toward the lower surface, the plurality of needles invade subcutaneously of the patient.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은,
상기 환자의 피부와 부착될 수 있도록 피부 부착 소재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침습 제세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6,
The bottom of the above is,
Containing a skin attachm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device.
제세동 장치를 위한 패드에 있어서,
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하면, 상기 하면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공간을 구비할 수 있는 상면 및 상기 상면의 하측에 위치되되 복수개의 침이 상기 하면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내면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내면과 상면은 가부착된 것이고,
상기 내면과 상기 상면 사이에는 에어백이 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가부착은 상기 에어백이 활성화되는 경우 분리가 될 수 있는 정도의 결합인 것인,
패드.
In the pad for a defibrillation device,
The lower surface attached to the patient's skin includes an upper surface that extends from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and can have a space therein, and an inner surface that is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and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eedles facing the lower surface. , the inner surface and upper surface are temporarily attached,
An airbag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he temporary attachment is a bond that can be separated when the airbag is activated,
pa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침은 상기 에어백의 활성에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침이 상기 환자의 피하로 침습되는 것인,
패드.
According to clause 9,
The plurality of needles are infiltrated subcutaneously of the patient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the airbag.
pad.
KR1020210018381A 2021-02-09 2021-02-09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KR1025851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81A KR102585140B1 (en) 2021-02-09 2021-02-09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81A KR102585140B1 (en) 2021-02-09 2021-02-09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51A KR20220114851A (en) 2022-08-17
KR102585140B1 true KR102585140B1 (en) 2023-10-04

Family

ID=8311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81A KR102585140B1 (en) 2021-02-09 2021-02-09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1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156A (en) 1999-06-08 2003-01-14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iquid injection method and device using chemical reaction in implantable injection device
JP2012520738A (en) * 2009-03-17 2012-09-10 カーディオスライヴ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xternal defibrillator
JP2017513581A (en) 2014-04-10 2017-06-01 カーディオラ・リミテッドCardiola Ltd. Patient heart treat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90B1 (en) * 2015-02-12 2017-02-06 주식회사 루트로닉 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using 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1156A (en) 1999-06-08 2003-01-14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グルー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Liquid injection method and device using chemical reaction in implantable injection device
JP2012520738A (en) * 2009-03-17 2012-09-10 カーディオスライヴ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External defibrillator
JP2017513581A (en) 2014-04-10 2017-06-01 カーディオラ・リミテッドCardiola Ltd. Patient heart treat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851A (en)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1650A1 (en) Wearable multiphasic cardioverter defibrillator system and method
US4895169A (en) Disposable non-invasive stimulating electrode set
US11147962B2 (en) Multipart non-uniform patient contact interface and method of use
US11083904B2 (en) Bisphasic or multiphasic pulse waveform and method
US10828500B2 (en) External defibrillator
EP3307152B1 (en) Multivector patient contact interface
US20080294210A1 (en) Leadless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US20130218252A1 (en) Electrode with redundant impedance reduction
JP2004508906A (en) Subcutaneous implantable, integrated defibrillator and optional pacemaker
US20160361555A1 (en) Multivector patient electrode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60095579A (en) Personal transcrania direct current stimulation minimizing abuse
US20050038476A1 (en) Coating/covering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defibrillation thresholds of implantable defibrillators/leads
KR102585140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invasive defibrillation
JP2012161629A (en) System to reduce device therapy pain
US20050154420A1 (en) System for terminating heart arrhythmia using electrical shocks delivered through a set of internal and external electrodes configurable to a multitude of shock configurations by selecting the shock vector(s) on a control device that also provides "over shock" safety for patients.
US200602821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dioversion
KR200489160Y1 (en) skincare apparatus
CN107224667B (en) Implanted leadless electrode
KR20180034076A (en) skincare apparatus
KR101829141B1 (en) skincare apparatus
KR101867221B1 (en) Shoes for micro-current stimulation
KR20180034292A (en) skincare apparatus
JP2023032767A (en) Glove device for multifunctional beauty and physical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