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080B1 -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080B1
KR102585080B1 KR1020210169456A KR20210169456A KR102585080B1 KR 102585080 B1 KR102585080 B1 KR 102585080B1 KR 1020210169456 A KR1020210169456 A KR 1020210169456A KR 20210169456 A KR20210169456 A KR 20210169456A KR 102585080 B1 KR102585080 B1 KR 10258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ecg
input
s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81414A (en
Inventor
김후현
송희석
이영신
최의근
이소령
권순일
안효정
Original Assignee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69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080B1/en
Publication of KR2023008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4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80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9Display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95Operational features adapted for recording user messages or anno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심전도 파형을 분류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딥러닝 또는 AI 학습을 위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여 사람마다 상이한 심전도 파형 데이터를 가공하여 의학적인 판단에 의한 특정 구간별로 모드를 설정하고 색깔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심전도 파형을 분류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Disclosed is an annotation tool providing device for classifying electrocardiogram waveforms.
This embodiment provides a tool for generating raw data for deep learning or AI learning, processing ECG waveform data that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enabling ECG waveforms to set modes and distinguish colors for specific sections based on medical judgment. Provides an annotation tool providing device for classifying.

Description

심전도 파형을 분류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form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심전도 파형을 분류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notation tool providing device for classifying electrocardiogram waveforms.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below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is embodiment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의료진의 심전도 분석을 도와주는 심전도 판독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심전도 판독 시스템은 파형의 R, P, T 피크(Peak)를 검출하고 있으며, 규칙기반으로 부정맥 검출하고 분류한다.An electrocardiogram read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help medical staff analyze electrocardiograms. Conventional electrocardiogram reading systems detect the R, P, and T peaks of the waveform, and detect and classify arrhythmia based on rules.

종래의 심전도 판독 시스템은 환자의 전체 심전도 신호 데이터를 받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딥러닝 기술은 기존 방법들에 비해 정확성이 높기 때문에 심전도 판독 알고리즘으로 최근 많이 연구되고 있다.A conventional electrocardiogram reading system receives the patient's entire electrocardiogram signal data, analyzes it, and outputs the results. Deep learning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widely studied as an electrocardiogram reading algorithm because it has higher accuracy than existing methods.

심전도를 이용한 부정맥 판단은 일정 자격을 갖춘 의료진만이 할 수 있지만 수요에 비해 인력이 부족한 현실이다. 심전도 판독 시 P, QRS, T 파형의 모양과 구간 간에 시간 차 계산, 심전도 리듬에 대한 분석 등 심전도 신호를 다양한 시각에서 판독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병상 환자의 심전도는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환자의 상태를 주시해야 하지만, 인력부족으로 인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힘들다. 심전도 분석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정확해야 하고 응급환자 발생 시에는 빠르게 동작되어야 한다.Only qualified medical staff can determine arrhythmia using an electrocardiogram, but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shortage of manpower compared to demand. When reading an ECG, it takes a lot of time because the ECG signal must be rea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calculat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shapes and sections of the P, QRS, and T waveforms, and analyzing the ECG rhythm. Medical staff must observe the patient's electrocardiogram in real time to keep an eye on the patient's condition, but continuous monitoring is difficult due to a lack of manpower. Because electrocardiogram analys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atient's life, it must be accurate and operate quick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종래의 심전도 분석은 P, QRS, T 파형 구간의 끝점, 시작점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종래의 기술은 피크(Peak)만을 찾아 그 활용도가 떨어진다. 부정맥 검출 및 분류 시 규칙기반의 알고리즘 설계는 파형의 다양성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고, 부정맥의 추가 시 새로운 규칙기반 알고리즘을 설계해야 한다.Conventional electrocardiogram analysis sometimes uses the end and start points of the P, QRS, and T waveform sections, but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nly searches for peaks, which reduces its utility. When detecting and classifying arrhythmia, rule-based algorithm design is less accurate due to the diversity of waveforms, and when arrhythmia is added, a new rule-based algorithm must be designed.

종래의 심전도 판독 시스템은 병상 환자 모니터링과 같은 실시간 판독이 필요한 곳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하다. 심전도 분석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은 구현 모델에 따라 속도 차이가 있으며, 실시간 동작을 위해 매 시간 동작할 수 없다. 심전도 파형 시각화 시 1차원 데이터에 대한 출력으로 실시간 판독 시 가독성이 떨어진다. Conventional electrocardiogram reading systems cannot be used in places where real-time reading is required, such as bedside patient monitoring. Deep learning algorithms for ECG analysis have different speed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odel, and cannot operate every hour for real-time operation. When visualizing ECG waveforms, one-dimensional data is output, which reduces readability during real-time reading.

또한, 종래의 심전도 판독 시스템은 데이터 확보를 위해 1차원 심전도 신호를 쉽게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어노테이션 툴이 존재하지 않는다.Additionally, the conventional ECG reading system does not have an annotation tool that allows easy classification of one-dimensional ECG signals to secure data.

따라서, 사용자가 분류하려는 구간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이 중요하며 분류가 완료된 데이터에 한에서 확인을 위해 그래프를 바로 적용하여 표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키 입력을 통해 파형 분류를 선택하고 마우스 입력을 통해 정확한 구간 설정 방법을 필요로 한다.
선행기술 문헌 (특허문헌 1) KR 10-2322234 B1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 way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ection that the user wants to classify, and it is necessary to apply a graph directly to the classified data for confirmation. In addition, so that users can use it intuitively, it is necessary to select waveform classification through key input and accurately set the section through mouse input.
Prior art literature (patent document 1) KR 10-2322234 B1

본 실시예는 딥러닝 또는 AI 학습을 위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여 사람마다 상이한 심전도 파형 데이터를 가공하여 의학적인 판단에 의한 특정 구간별로 모드를 설정하고 색깔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심전도 파형을 분류하기 위한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is embodiment provides a tool for generating raw data for deep learning or AI learning, processing ECG waveform data that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enabling ECG waveforms to set modes and distinguish colors for specific sections based on medical judg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nnotation tool provider for classifying.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사람에 대한 심전도 파형을 획득하는 심전도 파형 획득부; 상기 심전도 파형을 이미지화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심전도 파형 표시부; 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 상기 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심전도 파형 중 제2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구간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는 구간 설정부; 상기 심전도 파형 중 상기 특정 구간에 대해 상기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색깔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어노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is embodiment, an electrocardiogram waveform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electrocardiogram waveforms for a plurality of people; An ECG waveform display unit that images the ECG waveform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 mode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o one of a plurality of modes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a section setting unit that matches a specific section of the ECG waveform corresponding to an input from a second input unit to the ECG waveform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converted to the mode; An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is provided, comprising an annotation unit that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a preset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de for the specific section of the ECG waveform.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딥러닝 또는 AI 학습을 위한 로우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툴을 제공하여 사람마다 상이한 심전도 파형 데이터를 가공하여 의학적인 판단에 의한 특정 구간별로 모드를 설정하고 색깔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여 심전도 파형을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tool for generating raw data for deep learning or AI learning is provided to process different ECG waveform data for each person, set a mode for each specific section based on medical judgment, and color This has the effect of classifying the ECG waveform.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류된 파형을 딥러닝 및 학습 알고리즘에 학습 데이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심전도 전문가가 특정파형을 쉽게 분류할 수 있어 짧은 시간에 많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lassified waveform can be applied to learning data in deep learning and learning algorithms, and using an annotation tool, ECG experts can easily classify specific waveforms, allowing a lot of data to be secured in a short time. It works.

도 1a,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분류 어노테이션 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 모드에 따른 색상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에 따른 키보드 입력 및 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선택에 따른 가이드박스 예시(PVC-QR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가이드 박스 예시(Normal QR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결과 그래프 표현 예시(Normal QRS)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파형분류 어노테이션 툴 G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파형분류 선택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A and 1B are diagrams showing a waveform classification annotation tool scree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nnotation tool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lor table according to the graph mo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keyboard input and color according to the wavefor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guide box (PVC-QRS) according to waveform sel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section selection guide box (Normal QR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raph representation of the section selection result (Normal QR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ECG waveform classification annotation tool GUI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CG waveform classification sel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분류 어노테이션 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waveform classification annotation tool scree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Annotation Tool)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가독성을 위해 그래프 화면을 하나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파형 분류 동작 및 결과를 모두 그래프 화면 내에서 표현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뿐 아니라 다른 1차원 신호의 중요 구간을 분류할 때도 활용 가능하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uses an annotation tool to configure and output a single graph screen for user readability.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uses an annotation tool to express both waveform classification operations and results within a graph scree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be used not only for ECG waveforms but also for classifying important sections of other one-dimensional signals.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에서 1차원이며 신호의 형태와 의학적인 판단에 의해 특정 의미를 가지는 구간을 분류할 수 있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의 구간을 P 파형, T 파형, QRS 파형(Normal, PVC, PAC)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구간마다 의학적인 판단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최근 데이터 학습기반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심전도 파형을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is one-dimensional in the ECG waveform and can classify sections with specific meaning based on the shape of the signal and medical judgment.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classify sections of the ECG waveform into P waveform, T waveform, QRS waveform (Normal, PVC, PAC), etc., and each section can be a standard for medical judgment.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accurately classify ECG waveforms based on a recent data learning-based algorithm.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1차원 심전도 파형을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분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어노테이션 툴을 제공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vides an annotation tool that allows classification of one-dimensional ECG waveforms using an intuitive, user-friendly interface.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Annotation)을 수행하기 위한 툴을 제공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딥러닝 또는 머신러닝으로 심장 심전도 파형 중 특수한 구간을 분류할 때, 서로 상이한 색깔로 파형을 구분하여 표시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vides tools for performing annotation. Whe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lassifies a special section of the cardiac ECG waveform using deep learning or machine learning, it displays the waveforms in different colors.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마다 다 특수한 구간이 존재하는데, 각 구간을 나눠서 어노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툴(Tool)을 제공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vides a tool that allows each ECG waveform to have a special section and perform annotation by dividing each section.

심장은 혈액을 전신에 순환시키는 펌프로서 수축과 확장을 규칙적으로 반복한다. 심장의 펌프 작용은 심근이 수축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심장이 박동할 때마다 미약한 전기가 발생한다. 심장이 박동시 발생하는 전기로 인하여 신체 내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신체 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신체의 표면에 전위의 분포가 발생한다. The heart is a pump that circulates blood throughout the body and regularly repeats contraction and expansion. The pumping action of the heart is achieved by contraction of the myocardium, and weak electricity is generated each time the heart beats.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heart beats causes an electric current to flow within the body, and the electric current flowing within the body generates distribution of potential on the surface of the body.

심장의 활동으로 생긴 작은 전위변화를 신체 표면의 적당한 부위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유도해서 증폭하여 기록한 것이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이다.An electrocardiogram (ECG) is an electrocardiogram (ECG) that induces, amplifies, and records small electrical potential changes resulting from heart activity in an appropriate area of the body surface using a certain method.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의 파형은 P 파형(P-Wave), Q 파형(Q-Wave), R 파형(R-Wave), S 파형(S-Wave), T 파형(T-Wave)를 포함한다. P 파형은 심방 탈분극시기에 발생하고, QRS 파형은 심실 탈분극 시기에 발생하고, T 파형은 심실 재분극 시기에 발생한다.As shown in Figure 1b, the waveforms of the electrocardiogram are P wave (P-Wave), Q wave (Q-Wave), R wave (R-Wave), S wave (S-Wave), and T wave (T-Wave). ) includes. The P wave occurs during atrial depolarization, the QRS wave occurs during ventricular depolarization, and the T wave occurs during ventricular repolarization.

P 파형은 심방의 탈분극은 동방결정 부근에서 시작되며, 심방을 가로질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된다. P 파형의 첫 부분은 우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낸다. P 파형의 뒷부분은 좌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낸다. 정상적으로 P 파형은 심실 이완기동안에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P파는 상향이며 약간 둥근 모양을 보인다.The P wave depolarization of the atrium begins near the sinoatrial crystal and proceeds from right to left across the atrium. The first part of the P wave represents depolarization of the right atrium. The latter part of the P wave represents depolarization of the left atrium. Normally, the P wave occurs during ventricular diastole. Generally, P waves are upward and have a slightly rounded shape.

T 파형은 심실의 정상 재분극을 나타낸다. 정상 재분극은 심실의 심외막 표면에서 시작하여 심실벽을 통하여 심내막을 향하여 진행된다. T 파형은 심실수축기 마지막 동안에 발생한다. T 파형이 기본선으로 되돌아간 지점이 T 파형의 끝이 되며, 피크의 방향은 상향이다. QRS부터 T 형까지는 침실이 이완되는 상황이며, 따라서 중요한 구간들을 알면 심장 박동들을 분석할 수 있다. The T wave represents normal repolarization of the ventricle. Normal repolarization begins at the epicardial surface of the ventricle and progresses through the ventricular wall toward the endocardium. The T wave occurs during the end of ventricular systole. The point where the T wave returns to the baseline is the end of the T wave, and the direction of the peak is upward. From QRS to T, the bedroom is in a relaxed state, so knowing the important sections can help you analyze your heartbeats.

사람마다 심전도 분석 데이터가 모두 상이하므로 심전도 분석 데이터들을 수집할 필요가 있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분석 데이터를 빠르게 수집한 후 심전도 파형 분류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어노테이션 툴을 제공한다.Since ECG analysis data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ECG analysis data.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vides an annotation tool that allows ECG waveform classification to be easily performed after quickly collecting ECG analysis data.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P 파형, QRS 파형, T 파형에 대한 각각의 색상을 설정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 입력이 존재하면 해당 모드로 변경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each color for the P waveform, QRS waveform, and T waveform using an annotation tool.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the corresponding mode when there is input from the keyboard using an annotation tool.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 P 또는 p에 대한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P 파형으로 선택한 후 P 파형에 대응하는 구간에 마우스 이벤트로 입력받은 정보를 매칭하여 특정 구간(P 파형)으로 설정한다.If there is an input for P or p from the keyboard using an annotation tool,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lects the P waveform and then matches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ouse event to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 waveform to create a specific section (P waveform).

다시 말해,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 P 또는 p에 대한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전체 심전도 파형 중 P 파형에 대응하는 구간을 정의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when there is an input for P or p from the keyboard using an annotation tool,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defines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 waveform among the entire ECG waveform.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모드에 심전도 파형 중 특정 구간을 정의한 후 해당 데이터를 딥러닝에 입력하여 학습한 결과를 출력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uses an annotation tool to define a specific section of the ECG waveform in a mode corresponding to input from the keyboard, then inputs the data into deep learning and outputs the learned results.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복수의 심전도 파형에서 P 파형에 대응하는 구간, QRS 파에 대응하는 구간, T 파형에 대응하는 구간을 정의한 후 이를 학습한 심전도 학습 결과를 생성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학습 결과를 이용하여 심전도 파형에서 특정 구간(P 파형, QRS 파형, T 파형)에 대응하는 구간을 자동으로 추출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uses an annotation tool to define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 waveform,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QRS wave, and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T waveform in a plurality of ECG waveforms, and then generates an ECG learning result by learning these. .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automatically extracts a se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ection (P waveform, QRS waveform, T waveform) from the ECG waveform using the ECG learning results.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어노테이션 툴 제공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annotation tool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 획득부(210), 심전도 파형 표시부(220), 모드 변환부(230), 구간 설정부(240), 어노테이션부(250), 학습부(260)를 포함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ECG waveform acquisition unit 210, an ECG waveform display unit 220, a mode conversion unit 230, a section setting unit 240, an annotation unit 250, and a learning unit. Includes (260). Components included i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i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path connecting software modules or hardware modules within the device and can operate organically with each other. These components communicate using one or more communication buses or signal lines.

도 2에 도시된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hown in FIG. 2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a hardware module, or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hardware.

심전도 파형 획득부(210)는 복수의 사람에 대한 심전도 파형을 획득한다. 심전도 파형 표시부(220)는 심전도 파형을 이미지화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The ECG waveform acquisition unit 210 acquires ECG waveforms for multiple people. The ECG waveform display unit 220 images the ECG waveform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한다. 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he mode to one of a plurality of modes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1키(‘P’ 또는 ‘p’)가 입력되는 경우, P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2키(‘T’ 또는 ‘t’)가 입력되는 경우, T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when the preset first key (‘P’ or ‘p’)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second key (‘T’ or ‘t’)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3키(‘N’ 또는 ‘n’)가 입력되는 경우,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4키(‘S’ 또는 ‘s’)가 입력되는 경우, PA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o th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third key (‘N’ or ‘n’)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he mode to th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when the preset fourth key (‘S’ or ‘s’)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5키(‘V’ 또는 ‘v’)가 입력되는 경우, PV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6키(‘W’ 또는 ‘w’)가 입력되는 경우,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모드 변환부(23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7키(‘B’ 또는 ‘b’)가 입력되는 경우,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he mode to th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when the preset fifth key (‘V’ or ‘v’)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when the preset sixth key (‘W’ or ‘w’)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The mode conversion unit 230 converts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when the preset seventh key (‘B’ or ‘b’) is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모드 변환부(230)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특정 구간이 설정 완료되어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가 생성되면, 다음 모드에 대한 특정 구간의 설정 과정이 반복되도록 한다.The mode conversion unit 230 repeats the process of setting the specific section for the next mode when the specific section for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is set and ECG annotation data is generated.

구간 설정부(240)는 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제2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구간을 화면 상에 표시된 심전도 파형에 매칭한다.In the mode conversion stat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matches a specific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among the ECG waveforms to the ECG waveform displayed on the screen.

구간 설정부(240)는 P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P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P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T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T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T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노멀 QRS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normal QRS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PA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PAC QRS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PAC QRS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PV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PVC QRS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PVC QRS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노이즈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noise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 구간 설정부(24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베이스 파형 구간을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input while converted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base waveform section, the end point of which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구간 설정부(240)는 심전도 파형 상에 마우스(제2 입력부)의 입력으로 첫 번째 클릭 발생시 해당 지점을 특정 구간의 처음 시작점으로 설정한 후 마우스(제2 입력부)의 입력으로 두 번째 클릭 발생하기 전에 조작자가 구간 설정을 미리 인지하도록 심전도 파형 상에 파형의 색상에 맞춰진 박스형식의 가이드를 표시한다.When the first click occurs by inputting a mouse (second input unit) on the ECG waveform, 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corresponding point as the first starting point of a specific section and then generates a second click by inputting a mouse (second input unit). A guide in the form of a box matching the color of the waveform is displayed on the ECG waveform so that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e section setting in advance.

구간 설정부(240)는 심전도 파형 상에 마우스(제2 입력부)의 입력으로 두 번째 클릭 발생시 해당 지점을 특정 구간의 끝 지점을 설정하여 특정 구간을 설정이 완료되면 모드에 대응하는 색깔이 그래프 화면상에 바로 표시되도록 하여 조작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ction setting unit 240 sets the end point of a specific section at the corresponding point when the second click occurs by inputting the mouse (second input unit) on the ECG waveform, and when setting the specific section is completed,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de is displayed on the graph screen. It should be displayed immediately on the screen so that the operator can check it.

어노테이션부(250)는 심전도 파형 중 특정 구간에 대해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색깔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a preset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de for a specific section of the ECG waveform.

어노테이션부(250)는 P 파형 구간에 P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P 파형 색깔(하늘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어노테이션부(250)는 T 파형 구간에 T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T 파형 색깔(보라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P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P waveform color (light blue) corresponding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T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T waveform color (purple) corresponding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어노테이션부(250)는 노멀 QRS 파형 구간에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노멀 QRS 파형 색깔(녹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normal QRS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normal QRS waveform color (green) corresponding to th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어노테이션부(250)는 PAC QRS 파형 구간에 PAC QRS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PAC QRS 파형 색깔(파랑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어노테이션부(250)는 PVC QRS 파형 구간에 PVC QRS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PVC QRS 파형 색깔(빨강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PAC QRS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PAC QRS waveform color (blue) corresponding to th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PVC QRS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PVC QRS waveform color (red) corresponding to th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어노테이션부(250)는 노이즈 파형 구간에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노이즈 파형 색깔(회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어노테이션부(250)는 베이스 파형 구간에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베이스 파형 색깔(그래프 라인색)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a preset noise waveform color (gray) corresponding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in the noise waveform section. The annotation unit 25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base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base waveform color (graph line color) corresponding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학습부(260)는 복수의 사람마다 복수의 모드별로 생성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학습을 수행한 심전도 학습 결과를 생성한다.The learning unit 260 generates an ECG learning result by performing learning by inputting ECG annotation data generated by a plurality of mod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people.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 모드에 따른 색상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lor table according to the graph mod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그래프 색상이 다를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3가지 그래프 색상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preferred graph color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provide a total of three graph colors as shown in FIG. 3.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에 따른 키보드 입력 및 색상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keyboard input and color according to the wavefor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 입력으로 파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 상에 기재된 글자(P, p, T, t, N, n, S, s, V, v, W, w, B, b)를 직관적으로 의료진이 선택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에 따라 그래프 화면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각기 다르게 설정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선택된 파형에 따른 가이드 박스를 표시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uses the letters (P, p, T, t, N, n, S, s, V, v, W) written on the table as shown in FIG. 4 so that waveforms can be selected by keyboard input. , w, B, b) are arranged so that medical staff can intuitively select them. As shown in FIG. 4,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different colors displayed on the graph screen depending on the waveform.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displays a guide box according to the selected waveform.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과 마우스 이벤트 입력으로 심전도 파형 중 일부 구간을 매칭해야 하므로 직관성이 있고, 작업이 용이한 UI를 제공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provides a UI that is intuitive and easy to work with because it requires matching some sections of the ECG waveform with keyboard input and mouse event input using an annotation tool.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 입력(P, p, T, t, N, n, S, s, V, v, W, w, B, b)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input (P, p, T, t, N, n, S, s, V, v, W, w, B, b) from the keyboard using an annotation tool. Check .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로부터 입력이 존재하면, 키보드 입력에 대응하는 모드(P 파형, T 파형, Normal QRS, PAC QRS, PVC QRS, Noise 파형, 베이스 파형)로 변환한다. If there is input from the keyboard using an annotation tool,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it into a mode (P waveform, T waveform, Normal QRS, PAC QRS, PVC QRS, Noise waveform, bas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input. do.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P’ 또는 ‘p’ 입력이 존재하는 ‘P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T’ 또는 ‘t’ 입력이 존재하는 ‘T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N’ 또는 ‘n’ 입력이 존재하는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S’ 또는 ‘s’ 입력이 존재하는 ‘PA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V’ 또는 ‘v’ 입력이 존재하는 ‘PV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W’ 또는 ‘w’ 입력이 존재하는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로부터 ‘B’ 또는 ‘b’ 입력이 존재하는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where ‘P’ or ‘p’ is input from the keyboar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in which ‘T’ or ‘t’ input exists from the keyboar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in which ‘N’ or ‘n’ input is present from the keyboar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in which ‘S’ or ‘s’ input is input from the keyboar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in which ‘V’ or ‘v’ input is present from the keyboar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where ‘W’ or ‘w’ is input from the keyboar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nverts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in which ‘B’ or ‘b’ input exists from the keyboard.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에 대응하는 모드(P 파형 설정모드, T 파형 설정모드,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 PAC QRS 파형 설정모드, PVC QRS 파형 설정모드,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을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특정 구간으로 설정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uses an annotation tool to select modes corresponding to keyboard input (P waveform setting mode, T waveform setting mod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base waveform setting mode),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he first click sets the start point, the second click sets the end point) is changed to a specific section corresponding to that mode. Set as section.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이 설정되면, 해당 구간에 색깔을 변경시킨다.Whe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a section corresponding to a mouse event (the first click sets the starting point and the second click sets the end point) using an annotation tool, it changes the color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P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하늘색’으로 변경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T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보라색’으로 변경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P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light blue’.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purple’.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녹색’으로 변경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PA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파랑색’으로 변경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PV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빨강색’으로 변경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gree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blue’.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red’.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회색’으로 변경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경한 상태에서 심전도 파형 중 마우스 이벤트에 대응하는 구간을 ‘그래프 라인색’으로 변경한다. 여기서, 베이스 파형은 일반적인 파형을 의미한다.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noise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gray’.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using an annotation tool and changes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use event in the ECG waveform to ‘graph line color’. Here, the base waveform refers to a general waveform.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어노테이션 툴을 이용하여 하나의 심전도 파형에 복수의 모드(P 파형 설정모드, T 파형 설정모드,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 PAC QRS 파형 설정모드, PVC QRS 파형 설정모드,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 중 첫 번째 모드에 대한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한 그 다음 모드에 대한 시작점과 끝점을 지정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uses an annotation tool to configure a plurality of modes (P waveform setting mode, T waveform setting mod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Repeat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start and end points for the first mod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base waveform setting mode) and then specifying the start and end points for the next mode.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사람마다 심장 박동이 상이하므로, 각 사람에 대한 심전도 파형에 대해 복수의 모드 별로 구간을 설정하고, 각 구간별 색깔을 설정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Since the heartbeat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sections for each mode in the ECG waveform for each person and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with a color for each section.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복수의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학습을 수행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llects a plurality of ECG annotation data and performs learning.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파형선택에 따른 가이드박스 예시(PVC-QRS)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guide box (PVC-QRS) according to waveform sel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마우스 입력으로 클릭 앤 클릭 방식으로 심전도 파형 상에 첫 번째 클릭 발생시 구간의 처음 시작점으로 설정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 상에 두 번째 클릭 발생시 구간의 끝 지점으로 설정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구간의 클릭과 클릭 사이에 조작자가 구간이 설정되는 것을 미리 인지하기 위해서 그래프 화면상에 파형의 색상에 맞춰 박스형식의 가이드를 표현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the first starting point of the section when the first click occurs on the ECG waveform using a click-and-click method using a mouse input.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the end point of the section when the second click occurs on the ECG waveform.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displays a box-type guide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waveform on the graph screen in order for the operator to recognize in advance that the section is set between clicks of the section.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사람마다 상이한 심전도 파형을 수집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을 이미지화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ollects different ECG waveforms for each perso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images the ECG waveform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를 이용하여 모드를 변경하며, 각 모드마다 마우스를 이용해서 입력된 심전도 파형 상의 특정 구간들을 정의하여 심전도 파형과 매칭하여 저장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modes using a keyboard, and for each mode, uses a mouse to define specific sections on the input ECG waveform and generate stored ECG annotation data by matching it with the ECG waveform.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과 모드별로 특정 구간이 매칭된 한 형태로 쌓이는 구조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딥러닝으로 학습할 수 있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in a stacked structure in which specific sections are matched to ECG waveforms for each mode.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learn ECG annotation data using deep learning.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을 이미지화하고 심전도 파형 상에 모드별로 특정 구간을 정의한 일종의 메타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저장하여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기 설정된 타이밍에 맞춰서 각 레이블에 저장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reates ECG annotation data by imaging the ECG waveform and storing a type of metadata defining specific sections for each mode on the ECG waveform in time series.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tores ECG annotation data in each label according to a preset timing.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가이드 박스 예시(Normal QRS)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section selection guide box (Normal QR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 상에 두 번째 클릭이 발생하여 해당 구간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면 지정한 파형의 색상이 그래프 화면상에 바로 반영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 second click occurs on the ECG waveform and the setting for the corresponding section is complete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immediately reflects the color of the specified waveform on the graph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조작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심실과 심실 이외의 부분에서의 영향을 가지고 S 또는 V로 구분하여 PAC 또는 PVC 모드로 설정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조작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QRS 파형과 T 파형의 형태가 변형될 때 S로 구분할 수 있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lassifies the effects on the ventricles and parts other than the ventricles into S or V and sets them to PAC or PVC mode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or command.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distinguish between the QRS waveform and the T waveform as S when the shape of the QRS waveform and the T waveform are changed by the operator's manipulation or command.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생체 데이터 또는 1차원적인 시계열적인 데이터에서도 특정 파형을 구분할 수 있는 툴로서 적용 가능하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is preferably applied to ECG waveform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as a tool that can distinguish specific waveforms from other biometric data or one-dimensional time series data.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딥러닝 또는 AI 학습을 위한 로우 데이터로서 이용할 때, 정답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use ECG annotation data as correct answer data when using it as raw data for deep learning or AI learning.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추후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학습을 시키면 심전도 파형에서 의학적인 판단에 의한 특정 구간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색깔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and later inputs the ECG annotation data into a learning model to learn it. This can automatically set a specific section based on medical judgment in the ECG waveform and display a color. .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딥러닝 또는 AI 학습을 위한 로우 데이터로 입력하기 위해 노이즈를 갖는 데이터(임계치를 벗어나는 형태)를 선별하여 표본 데이터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노이즈 데이터로 판별하여 필터링한다.In order to input the ECG annotation data as raw data for deep learning or AI learning,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lects data with noise (outside the threshold), determines it as noise data with low value as sample data, and filters it. do.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간 선택 결과 그래프 표현 예시(Normal QRS)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raph representation of the section selection result (Normal QR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뿐만 아니라 다른 1차원 신호의 중요 구간을 분류할 때도 활용 가능하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an be used not only for ECG waveforms but also for classifying important sections of other one-dimensional signals.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파형분류 어노테이션 툴 GUI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ECG waveform classification annotation tool GUI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복수의 사람에 대한 심전도 파형을 획득하고, 심전도 파형을 이미지화하여 화면 상에 출력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복수의 사람에 대한 심전도 파형 리스트를 GUI 형태로 출력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 리스트 중 선택된 심전도 파형을 화면상에 출력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acquires ECG waveforms for a plurality of people, images the ECG waveforms, and outputs them on the screen.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outputs a list of ECG waveforms for a plurality of people in a GUI format.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outputs the ECG waveform selected from the ECG waveform list on the screen.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파형분류 선택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CG waveform classification selec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파형을 화면에 출력한다.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outputs the ECG waveform on the screen.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P 파형, T 파형, Normal QRS, PAC QRS, PVC QRS, Noise 파형, 베이스 파형)로 변환한다.As shown in (a) of FIG. 9,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lects one of a plurality of modes (P waveform, T waveform, Normal QRS, PAC QRS) 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 PVC QRS, Noise waveform, and Base waveform).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키보드(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에 따라 모드를 변환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다.As shown in (b) of FIG. 9,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changes the mode 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keyboard (first input unit) and with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from the mouse (second input unit) Set the starting point.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한 상태에서 마우스(제2 입력부)를 이동시키면서 선택 구간을 출력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파형 구간을 지정한다.As shown in (c) of FIG. 9,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and outputs the selection section while moving the mouse (second input unit).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pecifies a waveform section.

도 9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마우스(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하고 선택 파형을 기 설정된 색상으로 출력한다.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200)는 선택 파형을 저장하고 화면을 출력한다.As shown in (d) of FIG. 9,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ets the end point with a second click of the mouse (second input unit) and outputs the selected waveform in a preset color. The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00 stores the selected waveform and outputs the screen.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200: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210: 심전도 파형 획득부
220: 심전도 파형 표시부
230: 모드 변환부
240: 구간 설정부
250: 어노테이션부
260: 학습부
200: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210: ECG waveform acquisition unit
220: ECG waveform display unit
230: Mode conversion unit
240: Section setting unit
250: Annotation part
260: Learning Department

Claims (12)

복수의 사람에 대한 심전도 파형을 획득하는 심전도 파형 획득부;
상기 심전도 파형을 이미지화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심전도 파형 표시부;
제1 입력부로부터 입력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 변환부;
상기 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심전도 파형 중 제2 입력부의 입력에 대응하는 특정 구간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는 구간 설정부;
상기 심전도 파형 중 상기 특정 구간에 대해 상기 모드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색깔로 표시한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어노테이션부;를 포함하되.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대한 상기 특정 구간이 설정 완료되어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가 생성되면, 다음 모드에 대한 상기 특정 구간의 설정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n electrocardiogram waveform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electrocardiogram waveforms for a plurality of people;
An ECG waveform display unit that images the ECG waveform and displays it on a screen;
a mode conversion unit that converts to one of a plurality of modes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n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a section setting unit that matches a specific section of the ECG waveform corresponding to an input from a second input unit to the ECG waveform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converted to the mode;
An annotation unit that generates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a preset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de for the specific section of the ECG waveform.
The mode conversion unit,
When the specific section for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is set and the ECG annotation data is generated, the setting process for the specific section for the next mode is rep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1키가 입력되는 경우, P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P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P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P 파형 구간에 상기 P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P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first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tion setting unit is converted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the P waveform section is set by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and the end point by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t is set by matching the ECG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a preset P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P waveform setting mode in the P waveform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2키가 입력되는 경우, T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T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T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T 파형 구간에 상기 T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T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second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tion setting unit is converted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the T waveform section is set by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and the end point by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t is set by matching the ECG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T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T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T waveform set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3키가 입력되는 경우,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노멀 QRS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노멀 QRS 파형 구간에 상기 노멀 QRS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노멀 QRS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ter converts the mode to a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third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In a state where the section setting unit is converted to th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the starting point is se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and the normal QRS waveform section is set with the ending point being set with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t is set by matching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normal QRS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normal QRS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normal QRS waveform set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4키가 입력되는 경우, PA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PA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PAC QRS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PAC QRS 파형 구간에 상기 PAC QRS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PAC QRS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th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fourth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section setting unit is converted to th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the PAC QRS waveform section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and sets the ending point with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s set by matching the ECG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PAC QRS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PAC QRS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PAC QRS waveform set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5키가 입력되는 경우, PV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PVC QRS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PVC QRS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PVC QRS 파형 구간에 상기 PVC QRS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PVC QRS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ter converts th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fifth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The section setting unit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in a state converted to th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and sets the end point with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s set by matching the ECG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PVC QRS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PVC QRS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PVC QRS waveform set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6키가 입력되는 경우,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노이즈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노이즈 파형 구간에 상기 노이즈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노이즈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sixth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The section setting unit sets the starting point with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in a state converted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and sets the noise waveform section with the ending point with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t is set by matching the ECG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noise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noise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noise waveform set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부는 상기 제1 입력부로부터 기 설정된 제7키가 입력되는 경우,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하고,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로 변환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의 첫 번째 클릭으로는 시작점을 설정하고, 상기 제2 입력부의 두 번째 클릭으로 끝지점을 설정한 베이스 파형 구간을 상기 심전도 파형에 매칭하여 설정하며,
상기 어노테이션부는 상기 베이스 파형 구간에 상기 베이스 파형 설정모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베이스 파형 색깔로 표시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e conversion unit converts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when a preset seventh key is input from the first input unit,
In the state where the section setting unit is converted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the base waveform section is set by the first click of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and the end point is set by the second click of the second input unit. It is set by matching the ECG waveform,
The annotation unit generates the ECG annotation data displayed in the base waveform section in a preset base waveform color corresponding to the base waveform setting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람마다 상기 복수의 모드별로 생성된 상기 심전도 어노테이션 데이터를 입력으로 학습을 수행한 심전도 학습 결과를 생성하는 학습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learning unit that generates an ECG learning result by performing learning by inputting the ECG annotation data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mod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eople.
An electrocardiogram annotation provi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 상에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으로 첫 번째 클릭 발생시 해당 지점을 상기 특정 구간의 처음 시작점으로 설정한 후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으로 두 번째 클릭 발생하기 전에 조작자가 구간 설정을 미리 인지하도록 상기 심전도 파형 상에 파형의 색상에 맞춰진 박스형식의 가이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tion setting section
When the first click occurs on the ECG waveform by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the corresponding point is set as the first starting point of the specific section, and then the operator is made to recognize the section setting in advance before the second click occurs by the input of the second input unit. An electrocardiogram annotation provi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 box-type guide matched to the color of the waveform o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 설정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 상에 상기 제2 입력부의 입력으로 두 번째 클릭 발생시 해당 지점을 상기 특정 구간의 끝 지점을 설정하여 상기 특정 구간을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모드에 대응하는 색깔이 그래프 화면상에 바로 표시되도록 하여 조작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심전도 어노테이션 제공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tion setting unit,
When a second click occurs due to an input from the second input unit on the ECG waveform, the corresponding point is set as the end point of the specific section so that when the specific section is set,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mode is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graph screen. An ECG annotation providing devic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check.

KR1020210169456A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KR1025850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56A KR102585080B1 (en)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456A KR102585080B1 (en)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14A KR20230081414A (en) 2023-06-07
KR102585080B1 true KR102585080B1 (en) 2023-10-06

Family

ID=8676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456A KR102585080B1 (en) 2021-11-30 2021-11-30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08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4200A (en) * 2008-03-04 2011-05-0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System and method for morphological feature analysis of physiological data
KR101748261B1 (en) * 2016-04-14 2017-06-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rrhythmia by visualizing ecg data to graph
KR102322234B1 (en) * 2020-12-29 2021-11-05 (주)씨어스테크놀로지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Electrocardiogram by Using Deep Lear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4200A (en) * 2008-03-04 2011-05-0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System and method for morphological feature analysis of physiological data
KR101748261B1 (en) * 2016-04-14 2017-06-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rrhythmia by visualizing ecg data to graph
KR102322234B1 (en) * 2020-12-29 2021-11-05 (주)씨어스테크놀로지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Electrocardiogram by Using Deep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414A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7500B2 (en)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ystem for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US11445968B2 (en) Quantitative heart testing
JP5088985B2 (en) Method for analyzing physiological data and system for analyzing physiological data
JP50576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active annotation and measurement functions of time series data for centralized analysis and review
JP50576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active annotation and measurement functions of time series data
KR102322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ing Electrocardiogram by Using Deep Learning
CN111433860A (en) User interface for analyzing electrocardiograms
CN104586383A (en) Electrocardiogram waveform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JP20041602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annotation and measurement of time series data with automatic marking
CN108403105B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for electrocardio scatter points
US20220031223A1 (en)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ystem for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US20060161066A1 (en) Feature-based editing for electrocardiography
WO2021173555A2 (en) System and methods for cloud-based interactive graphic editing on ecg data
KR1023877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lectrocardiogram
US11672464B2 (en)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ystem for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CN108478214B (en) Anti-confusion superposition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cardiogram data analysis
KR102585080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nnotation Tool for Classifying ECG Wave
Gaigawali et al. Cloud based ECG monitoring and fibrillation detection for healthcare system
JP2001231760A (en) Clinical investigation work station
Jovic et al. Biomedical time series preprocessing and expert-system based feature extraction in MULTISAB platform
Ogundepo et al. Development of a Computer-Aided Application for Analyzing ECG Signals and Detection of Cardiac Arrhythmia Using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Part II: GUI Development
EP3920789A1 (en)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system for delineation and classification
Temelkov et al. The ECGview Tool for Time and Frequency Domain ECG Visualization and Signal Generation
CN117224139A (e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on-screen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17224134A (en)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linkage dete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