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581B1 -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581B1
KR102584581B1 KR1020160090700A KR20160090700A KR102584581B1 KR 102584581 B1 KR102584581 B1 KR 102584581B1 KR 1020160090700 A KR1020160090700 A KR 1020160090700A KR 20160090700 A KR20160090700 A KR 20160090700A KR 102584581 B1 KR102584581 B1 KR 102584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ident
paper
accident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9156A (en
Inventor
신승희
공병용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581B1/en
Publication of KR2018000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9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재된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차량 사고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스템은 메인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e-Paper; 및 상기 메인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며, 사고 발생 시 차량 사고 정보를 포함하는 MSD(Minimum Set of Data)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한편,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that provid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vehicle mounted on the vehicle. The system includes a main battery that supplies main power; e-Paper to display information from outside; and an e-Call module that operates based on the main power supply and transmits an MSD (Minimum Set of Data) message contain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when an accident occurs, while recording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Paper. Includes.

Figure R1020160090700
Figure R1020160090700

Description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고 후 도착하여 사고처리를 하는 구조원들의 효율적인 구조활동을 위하여 e-Paper를 통해 사고 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rough e-Paper for efficient rescue activities by rescuers who arrive after an accident and handle the accident. and its operating method.

e-Call System이란 Emergency Call System의 약어로서, 차량 사고 발생 시 차량 위치, 차량 속도, 차량 방향 및 차량 정보 등을 주변의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공공안전대응포인트)로 보내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다.The e-Call System is an abbreviation for Emergency Call System.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the vehicle location, vehicle speed, vehicle direction, and vehicle information are sent to the nearby PSAP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 for quick and efficient emergency response. It is a system that makes it happen.

2015년도부터 유럽과 러시아에서 법규화를 추진하면서 각 OEM社들이 e-Call System의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실정이며, 차량용 외부 배터리의 탈거 시에도 e-Call System은 독자적으로 동작 가능해야 한다.As legislation has been promoted in Europe and Russia since 2015, each OEM is investing heavily in the development of the e-Call System, and the e-Call System must be able to operate independently even when the external battery for the vehicle is removed.

한편, e-Call System의 동작은 ACU(Airbag Control Uni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데, 사고 발생 시, 충격감지센서가 충격량을 감지하여 ACU로 보내면, ACU는 충격감지센서로부터의 값을 통해 에어백 전개의 유무를 판단하고, 에어백 전개에 대한 유무 판단은 e-Call System의 동작 근거로 이용된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e-Call System is determined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CU (Airbag Control Unit). When an accident occurs, the impact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impact and sends it to the ACU, and the ACU receives the value from the impact sens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irbag deployment is determined,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irbag deployment is used as th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e-Call System.

사고 발생 시 동작하는 e-Call System은 사고 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고 이후 도착하여, 인명 구조 등의 사고 처리를 하는 구조대원들의 구명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The e-Call System, which operates when an accident occurs,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and does not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assist in life-saving activities of rescue workers who arrive after the accident and handle the accident, such as rescuing people.

구조대원들은 차량에 탑승하고 있던 사람의 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구명활동 중 누락되는 인원이 없도록 주변 수색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명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가 제공하면, 구명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Because rescue workers cannot know the number of people on board the vehicle, they search the surrounding area to ensure that no people are missed during life-saving activities. If information that can help with these life-saving activities is provided, life-saving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more efficiently. It can be don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후 도착하여 사고처리를 하는 구조원들의 효율적인 구조활동을 위하여 e-Paper를 통해 사고 시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rough e-Paper for efficient rescue activities by rescuers who arrive after an accident and handle the accident. To provide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은, 탑재된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차량 사고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e-Paper; 및 상기 메인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며, 사고 발생 시 차량 사고 정보를 포함하는 MSD(Minimum Set of Data)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한편,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한다.An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that provid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vehicle mounted on the vehicle, and supplies main power. main battery; e-Paper to display information from outside; and an e-Call module that operates based on the main power supply and transmits an MSD (Minimum Set of Data) message contain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when an accident occurs, while recording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Paper. Includes.

상기 시스템은 multi media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e-Call 모듈은 상기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헤드 유닛이 multi media 기능을 중지하고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head unit that performs a multi-media function, and the e-Call module transmit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so that the head unit stops the multi-media function and display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do.

상기 e-Paper에 기록되는 차량 사고 정보는 탑승자 수, 차량의 연료 종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포함한다.Vehicle accid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e-Paper includes the number of passengers, vehicle fuel typ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speed.

상기 e-Call 모듈은 내부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고, 사고 발생 시 상기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내부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여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도록 구현된다.The e-Call module includes an internal battery that supplies internal pow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main power is supplied normally when an accident occur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it operates based on the internal power to provid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s implemented to record in the e-Paper.

상기 e-Call 모듈은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공급되지 않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적정 수준의 전원 이하가 되는 경우에,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된다.
The e-Call module is implemented to determine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or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is below an appropriate level of pow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탑재된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차량 사고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사고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사고 발생을 인지하면, 차량 사고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 사고 정보를 e-Paper에 기록하거나, 보조 전원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operating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method of operating an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that provid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vehicle on which it is mounted. In this step, recognizing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Upon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determin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main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is normally supplied;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e-Paper based on the main power, or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e-Paper based on the auxiliary power. Includes the step of recording on pap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 시에 MSD 메시지를 PSAP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e-Paper에 차량 사고 정보를 기록한다.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ransmits an MSD message to PSAP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but also record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e-Paper.

따라서, 구조원들은 차량 사고 발생 지점에 도착하여 e-Paper에 기록된 차량 사고 정보를 바탕으로 구조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누락되는 인원 없이 구조활동을 할 수 있으며, 사고 시의 충돌로 인해 차량 외부로 이탈된 사고자를 용이하게 수색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rescuers can arrive at the location of a vehicle accident and conduct rescue activities based on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recorded in e-Paper, rescue activities can be performed without missing personnel, and vehicle accidents can occur due to collision during an accident. It is possible to easily search for casualties who have strayed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은 차량 사고 발생에 따라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차량 사고 정보를 e-Paper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확한 사고처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In addition,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cor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on e-paper using an auxiliary battery even if the power supply from the main battery is not normal due to a vehicle accident, so it can accurately cause an accident. Helps you process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고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Regar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included in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 disclos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Meanwhile, if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functions or operations specified within a specific block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in the flowchart. For example, two consecutive blocks may actuall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depending on the functions or operations involv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ample of a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100, 이하 시스템)은 e-Call(emergency-Call) 모듈(110), 충격 감지 센서(120), 에어백 제어 유닛(ACU: Airbag Control Unit, 130), 자이로 센서(140), 헤드 유닛(150), 메인 배터리(160), e-Paper(electric-Paper, 17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mergency call system 100 for a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Call (emergency-Call) module 110, an impact detection sensor 120, and an airbag control unit (ACU). : It may be composed of an Airbag Control Unit, 130), a gyro sensor 140, a head unit 150, a main battery 160, and an e-Paper (electric-Paper, 170).

상기 e-Call 모듈(110)은 사고 발생 시에 MSD(Minimum Set of Data)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 메시지를 PSAP(Public Safety Answering Points)로 전송함으로써 차량 사고 정보를 제공한다.The e-Call module 110 provid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by generating a Minimum Set of Data (MSD) message when an accident occurs and transmitting this message to Public Safety Answering Points (PSAP).

이때, 상기 e-Call 모듈(1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을 인식하게 되는데, 충격 감지 센서(120)로부터의 충격 값을 기반으로 에어백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ACU(130)로부터의 신호 혹은 자이로 센서(140)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을 인식한다.At this time, the e-Call module 110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ACU 130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airbag based on the impact value from the impact detection sensor 120.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s recognized based on the signal from or the gyro sensor 140.

여기서, 상기 MSD 메시지는 다양한 차량 사고 정보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ID, Message Identifier, Automatic activation 여부, VIN, 연료 종류, 시간, 차량 위치, 주행 방향, 주행 속도, 가까운 차량 위치, 탑승자 수 등을 포함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SD message includes variou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such as ID, Message Identifier, Automatic activation status, VIN, fuel type, time, vehicle location, driving direction, driving speed, nearby vehicle location, number of passengers, etc. It also includes various other information.

또한, 상기 e-Call 모듈(110)은 사고 발생 시에 MSD 메시지를 PSAP로 전송하는 한편, MM(multi media) CAN 통신을 통해 헤드 유닛(150)으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Call module 110 transmits an MSD message to PSAP when an accident occurs, and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150 through MM (multi media) CAN communication to provid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You can display it.

즉, 상기 헤드 유닛(150)은 e-Call 모듈(110)로부터 차량 사고 정보를 수신하면, 본연의 기능인 multi media 기능을 중지하고,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한다.That is, when the head unit 150 receiv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from the e-Call module 110, it stops the multi media function, which is its original function, and display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e-Call 모듈(110)은 기본적으로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한다.And, the e-Call module 110 basically operates based on power provided from the main battery 160.

하지만, 상기 e-Call 모듈(110)은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전원(‘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전원 공급 경로를 메인 배터리(160)에서 보조 배터리(114)로 전환하여, 보조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한다.However, if the e-Call module 110 determines that power ('main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it switches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main battery 160 to the auxiliary battery 114. Therefore, it operates based on auxiliary power.

여기서, 상기 e-Call 모듈(110)은 메인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공급되지 않거나,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적정 수준의 전원(ex, 7.3V) 이하가 되는 경우에,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e-Call module 110 is not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main battery 160, or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is below an appropriate level of power (ex, 7.3V). ,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이에 더하여, 상기 e-Call 모듈(110)은 차량 사고 정보를 e-Paper(170)로 전송하여, e-Paper(170)에 차량 사고 정보를 기록하며, e-Paper(170)은 차량 사고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e-Call module 110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e-Paper 170 and record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Paper 170, and the e-Paper 170 record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displays.

상기 e-Call 모듈(110)이 e-Paper(170)에 차량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것은 사고 후에 도착하는 구조대원들에게 구조활동에 유리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e-Call 모듈(110)은 탑승자의 수, 차량의 연료 종료, 사고 시의 주행 정보(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 등을 제공한다.The e-Call module 110 record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Paper 170 to provide information advantageous for rescue activities to rescue workers arriving after the accident, and the e-Call module 110 Provides the number of passengers, the vehicle's end of fuel, and driving information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speed) at the time of an accident.

상기 e-Call 모듈(110)이 탑승자의 수를 제공함으로써, 구조대원이 구조활동 중 누락되는 인원이 없도록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By providing the number of passengers, the e-Call module 110 can help rescuers ensure that no one is missed during rescue operations.

그리고, 상기 e-Call 모듈(110)이 차량의 연료 종료 및 사고 시의 주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조대원이 사고 시의 충돌로 인해 차량 외부로 이탈된 사고자를 수색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e-Call module 110 provides information on the vehicle's fuel termination and driving information at the time of an accident, thereby helping rescue workers search for victims who were left outside the vehicle due to a collision during an accident. .

이때, 상기 e-Call 모듈(110)은 사고 발생 사실을 인식한 시점에 e-Paper(170)에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사고 당시의 탑승자 수를 정확히 제공하여, 구조인원의 누락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e-Call module 110 records information in the e-Paper 170 at the time it recognizes the fact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hereby accurately providing the number of passengers at the time of the accident, preventing omission of rescue personnel, etc. There is.

그리고, 상기 e-Paper(170)는 운전 등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구조대원이 쉽게 접근 및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차량의 전면 윈드스크린(혹은 윈드쉴드) 보조석 상단 등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Paper (170)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rescuers can easily access and check it without interfering with driving, for example, at the top of the passenger seat of the front windscreen (or windshield) of the vehicle. It can be installed on the back.

또한, 야간 사고 상황에서도 구조대원들이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상기 e-Paper(170)의 테두리에 야광 물질이나 형광 물질을 형성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form a luminous material or a fluorescent material on the border of the e-Paper (170) so that rescuers can easily find it even in a night accident situation.

그리고, 상기 e-Call 모듈(110)은 상기 탑승자 수를 시트 하단에 설치된 중량 센서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Call module 110 can obtain the number of passengers from a weight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상기 e-Call 모듈(11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e-Call 모듈(110)은 처리부(111), 모뎀(MODEM, 112), 위성 측위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113), 보조 배터리(114)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e-Call module 110 in detail, the e-Call module 110 includes a processing unit 111, a modem (MODEM) 112, and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module (113). ), and includes an auxiliary battery 114.

상기 처리부(111)는 ACU(130)로부터의 신호 혹은 자이로 센서(140)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을 인식하고,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면, 사고 시의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MSD 메시지를 생성한 후 모뎀(112)을 통해서 PSAP로 전송한다.The processing unit 111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ased on a signal from the ACU 130 or a signal from the gyro sensor 140, and when it recognizes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t collects vehicle inform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generates an MSD message. Then, it is transmitted to the PSAP through the modem 112.

그리고, 상기 처리부(111)는 차량 사고 정보를 M/M CAN 통신을 통해 헤드 유닛(150)으로 전송하여, 헤드 유닛(150)에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처리부(111)는 e-Paper(170)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e-Paper(170)에 기록한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1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150 through M/M CAN communication and display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on the head unit 150. 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111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e-Paper (170) and records it in the e-Paper (170).

이때, 상기 처리부(111)는 e-Paper(170)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기에 앞서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여,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인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여 e-Paper(170)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e-Paper(170)에 기록한다.At this time, the processing unit 111 determines whether power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before transmitt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e-Paper 17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e main battery ( It operates based on power from 160),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e-Paper (170), and records it in e-Paper (170).

반면, 상기 처리부(111)는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전원 공급 경로를 메인 배터리(160)에서 보조 배터리(114)로 전환하여, 보조 배터리(114)로부터의 전원(‘보조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여 e-Paper(170)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e-Paper(170)에 기록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rocessing unit 111 determines that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it switches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main battery 160 to the auxiliary battery 114, and changes the power supply from the auxiliary battery 114 ('auxiliary power'). ), and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e-Paper (170) and records it in the e-Paper (170).

여기서, 상기 처리부(111)는 메인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공급되지 않거나,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메인 전원’)이 적정 수준의 전원(ex, 7.3V) 이하가 되는 경우에,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processing unit 111 is not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main battery 160, o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main power') is below an appropriate level (ex, 7.3V). In this cas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상기 모뎀(112)은 MSD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통신(ex, 3G/4G 등)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차량 사고 정보를 PSAP로 전송한다. 상기 모뎀(112)을 이용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The modem 112 is for transmitting MSD messages, is implement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ex, 3G/4G, etc.), and transmit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PSAP. The method of transmitt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using the modem 112 may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various methods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상기 GSNN 모듈(113)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획득되는 위치 정보를 처리부(111)로 제공하며, 상기 GSNN 모듈(113)을 이용한 차량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은 어느 하나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 공지된 다양한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GSNN module 113 is used to obtai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and provides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rocessing unit 111. The method of obtaining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SNN module 113 is not limited to any one. , Since an appropriate method can be selected and used among various known method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보조 배터리(114)는 e-Call 시스템(100)의 메인 배터리(160)가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e-Call 모듈(110)의 동작을 위한 보조용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e-Call 모듈(110)에 내장되는 배터리이다.
The auxiliary battery 114 is used as an auxiliary power source for the operation of the e-Call module 110 in situations where the main battery 160 of the e-Call system 100 cannot function normally. This is a battery built into the module 1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examined in detail. Hereinafter, we will look in more detail at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동작은 도 1의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으로서, 차량 사고 발생 시에 MSD 메시지를 전송하는 시스템(100)의 동작은 공지된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할 설명은 생략하고, e-Paper(170)에 차량 사고 정보를 기록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shown in FIG. 2 can be performed by the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100 of FIG. 1, and the operation of the system 100 for transmitting an MSD message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is a known technology and is described in detail. Th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and the explanation will focus on the operation of record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Paper (170).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e-Call 모듈(110)은 사고 발생을 인지하면(S200), 차량 사고 정보를 파악한다(S210).Referring to FIG. 2, when the e-Call module 110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S200), it determin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S210).

이때, 상기 단계 S200에서 e-Call 모듈(110)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을 인식하게 되는데, 충격 감지 센서(120)로부터의 충격 값을 기반으로 에어백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ACU(130)로부터의 신호 혹은 자이로 센서(140)로부터의 신호를 바탕으로 사고 발생을 인식한다.At this time, in step S200, the e-Call module 110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ased on 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and the ACU (ACU)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airbag based on the impact value from the impact detection sensor 120.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s recognized based on the signal from 130) or the signal from the gyro sensor 140.

그리고, 상기 단계 S210에서 e-Call 모듈(110)에 의해 파악되는 차량 사고 정보는 연료 종류, 주행 방향, 주행 속도, 탑승자 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dentified by the e-Call module 110 in step S210 includes fuel type, driving direction, driving speed, and number of passengers.

상기 단계 S210 이후, e-Call 모듈(110)은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220).After step S210, the e-Call module 110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main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is normally supplied (S220).

이때, 상기 단계 S220에서의 메인 전원의 정상 공급 여부 판단은 메인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공급되는지, 혹은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메인 전원’)이 적정 수준의 전원(ex, 7.3V) 이하가 되는지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main power is normally supplied in step S220 is determined by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or whether the power ('main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is at an appropriate level (power supply). ex, 7.3V) or lower.

그리고, 상기 단계 S220에서 e-Call 모듈(110)은 메인 배터리(160)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공급되지 않거나, 메인 배터리(16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메인 전원’)이 적정 수준의 전원(ex, 7.3V) 이하가 되는 경우에,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And, in step S220, the e-Call module 110 is not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main battery 160, o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60 ('main power') is supplied at an appropriate level (ex. , 7.3V)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한편, 상기 단계 S220에서의 판단 결과,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하면(S220-예), e-Call 모듈(110)은 메인 전원을 바탕으로 하여 e-Paper(170)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 사고 정보를 e-Paper(170)에 기록한다(S230).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power is supplied normally (S220 - Yes), the e-Call module 110 send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e-Paper 170 based on the main power. By transmitt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e-Paper (170) (S230).

반면, 상기 단계 S220에서의 판단 결과,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S220-아니오), e-Call 모듈(110)은 전원 공급 경로를 메인 배터리(160)에서 내부의 보조 배터리(114)로 전환하여(S240), 보조 배터리(114)로부터의 전원(‘보조 전원’)을 바탕으로 e-Paper(170)로 차량 사고 정보를 전송하여, 차량 사고 정보를 e-Paper(170)에 기록한다(S230).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2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S220-No), the e-Call module 110 changes the power supply path from the main battery 160 to the internal auxiliary battery 114. ) (S240), transmitt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e-Paper (170) based on power ('auxiliary power') from the auxiliary battery 114, and transmitt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e-Paper (170) Record (S2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the emergency call system for a vehicle and its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everal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implemented within one scope.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110 : e-Call(emergency-Call) 모듈
111 : 처리부
112 : 모뎀(MODEM)
113 : 위성 측위 시스템(GNSS) 모듈
114 : 보조 배터리
120 : 충격 감지 센서
130 : 에어백 제어 유닛(ACU)
140 : 자이로 센서
150 : 헤드 유닛
160 : 메인 배터리
170 : e-Paper(electric-Paper)
100: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110: e-Call (emergency-Call) module
111: processing department
112: MODEM
113: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NSS) module
114: Auxiliary battery
120: Shock detection sensor
130: Airbag control unit (ACU)
140: Gyro sensor
150: head unit
160: main battery
170: e-Paper (electric-Paper)

Claims (6)

탑재된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차량 사고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
외부로부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e-Paper; 및
상기 메인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며, 사고 발생 시 차량 사고 정보를 포함하는 MSD(Minimum Set of Data)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하는 한편,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는 e-Call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e-Paper에 기록되는 차량 사고 정보는 상기 e-call 모듈이 사고 발생을 인식한 시점에 기록되는 것으로 구조인원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사고 당시의 탑승자 수, 차량의 연료 종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e-paper의 테두리에는 야광 물질 및 형광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e-call 모듈은 상기 탑승자의 수를 시트 하단에 설치된 중량 센서로부터 획득하는 것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In the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that provid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ccurs in the vehicle,
Main battery that supplies main power;
e-Paper to display information from outside; and
It operates based on the main power supply, and when an accident occurs, it transmits an MSD (Minimum Set of Data) message contain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n e-Call module that record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on the e-Paper. doing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e-Paper is recorded at the time the e-call module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including the number of passengers at the time of the accident, the vehicle's fuel typ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to prevent rescue personnel from missing out. Includes speed,
At least one of a luminous material and a fluorescent material is formed on the border of the e-paper,
The e-call module obtains the number of passengers from a weight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multi media 기능을 수행하는 헤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e-Call 모듈은 상기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헤드 유닛으로 전송하여 상기 헤드 유닛이 multi media 기능을 중지하고 차량 사고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되는 것
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head unit performing multi media functions,
The e-Call module is implemented to transmit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head unit so that the head unit stops the multi media function and displays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Call 모듈은 내부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e-Call 모듈은 사고 발생 시 상기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여,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내부 전원을 바탕으로 동작하여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도록 구현되는 것
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Call module includes an internal battery that supplies internal power,
The e-Cal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main power is supplied normally when an accident occur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ot supplied normally, it operates based on the internal power and record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n the e-Paper.
In-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Call 모듈은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공급되지 않거나, 상기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적정 수준의 전원 이하가 되는 경우에,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되는 것
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e-Call module is implemented to determine that the main power is not supplied normally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main battery is not supplied o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is below an appropriate level of power.
In-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탑재된 차량의 사고 발생 시에 차량 사고 정보를 외부로 제공하는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사고 발생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사고 발생을 인지하면, 차량 사고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메인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메인 전원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 사고 정보를 e-Paper에 기록하거나, 보조 전원을 바탕으로 상기 차량 사고 정보를 상기 e-Paper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e-Paper에 기록되는 차량 사고 정보는 사고 발생이 인식된 시점에 기록되는 것으로 구조인원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한 사고 당시의 탑승자 수, 차량의 연료 종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e-paper의 테두리에는 야광 물질 및 형광 물질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며,
상기 탑승자의 수는 시트 하단에 설치된 중량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것인
차량용 이머전시 콜 시스템의 동작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that provides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to the outside when an accident occurs in a vehicle mounted on it,
Recognizing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Upon recognizing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determining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main power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is normally supplied; and
Depending on the judgment result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main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e-Paper based on the main power, or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e-Paper based on the auxiliary power. which includes steps to record in
The vehicle acciden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e-Paper is recorded at the time the accident occurred and includes the number of passengers at the time of the accident, the vehicle's fuel typ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speed to prevent rescue personnel from missing,
At least one of a luminous material and a fluorescent material is formed on the border of the e-paper,
The number of passengers is obtained from a weight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How to operate a vehicle emergency call system.
KR1020160090700A 2016-07-18 2016-07-18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84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00A KR102584581B1 (en) 2016-07-18 2016-07-18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0700A KR102584581B1 (en) 2016-07-18 2016-07-18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56A KR20180009156A (en) 2018-01-26
KR102584581B1 true KR102584581B1 (en) 2023-10-04

Family

ID=6102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700A KR102584581B1 (en) 2016-07-18 2016-07-18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58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3631A1 (en) 2017-02-02 2018-08-09 주식회사 케이티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2429507B1 (en) * 2018-08-17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resque device and method for contoll thereof
KR102124210B1 (en) * 2018-09-12 2020-06-18 주식회사 이노카 Composite terminal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681A (en) * 1998-12-01 2000-07-05 윤종용 Car security device and car travel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KR101428049B1 (en) * 2007-12-03 2014-08-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Wireless terminal for vehicle,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calling using the same
KR102196999B1 (en) * 2014-06-24 2020-12-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service of emergency call system
KR102264980B1 (en) * 2014-08-18 202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atching accident information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44833A (en) * 2014-10-16 2016-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oarding information of passe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9156A (en)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2062A1 (en) Safety for vehicle users
US11395117B2 (en) Vehicle emergency V2X notification based on sensor fusion
JP5817812B2 (en)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system and pedestrian collision notification system
CN103568945B (en) Vehicle collision accident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70109828A1 (en) Device-based incid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JP6668814B2 (en) Automatic traveling control device and automatic traveling control system
KR102584581B1 (en) Emergency cal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70129435A1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crash data
US20160096499A1 (en) Passenger state estimat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US20080257252A1 (en) Accident Assistance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70171733A1 (en) Vehicle head unit, user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ication of emergency state of vehicle
US11679763B2 (en) Vehicle accident surrounding information link apparatus
JP6376381B2 (en) Vehicle accident reporting system
JP2015176566A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reporting method, and program
KR1021969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service of emergency call system
CN101638078A (en) GSM/GPS-based alarming and tracking gasba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7117194A (en) Vehicular emergency call system
US11700522B2 (en) Vehicle that has automatic notification function
RU2525346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ing emergency call
US11318912B2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center device, mounting device, monitoring method,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883039B2 (en) Emergency call system terminal
US11956695B2 (en) Server for automatic emergency reporting system of vehicle
JP2020066339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449833B2 (en) Inconsistency judgment device for vehicle accidents
JP2015125697A (en) Vehicle accident rep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