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952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952B1
KR102580952B1 KR1020220030362A KR20220030362A KR102580952B1 KR 102580952 B1 KR102580952 B1 KR 102580952B1 KR 1020220030362 A KR1020220030362 A KR 1020220030362A KR 20220030362 A KR20220030362 A KR 20220030362A KR 102580952 B1 KR102580952 B1 KR 102580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bstrate
disposed
protrusion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030A (ko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0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9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Abstract

본 실시예는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리어 바디의 안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바닥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홀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커넥터의 제1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커넥터의 제2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 블랙박스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차량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고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고 기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를 고정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에 배치되는 렌즈; 상기 프론트 바디에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리어 바디의 안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바닥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홀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커넥터의 제1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커넥터의 제2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안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의 제1면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로부터 상기 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의 제2면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로부터 밖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의 말단은 상기 렌즈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기판과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서로 이격되는 4개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가압편은 상기 커넥터의 제2면의 둘레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유닛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압편 중 일부는 상기 제1가압부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압편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가압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는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기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의 상기 측판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커버와 상기 커넥터의 외면은 그라운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는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 상기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리어 바디; 상기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1기판;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1기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기판;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제2기판에 고정되는 커넥터; 및 상기 리어 바디의 안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커넥터를 제1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커넥터를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커버를 통해 전자기파 차단 및 커넥터 고정을 수행하여 제조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리어 바디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조립 과정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과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쉴드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쉴드 부재의 조립 과정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쉴드 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13의 (a)는 본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쉴드 부재의 바와 관련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의 (b)는 변형례(제2실시예)에 따른 쉴드 부재의 바와 관련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의 (c)는 본 실시예(제1실시예)에서 쉴드 부재의 바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쉴드 부재의 제조 과정 중의 전개도이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내부 돌출부(132)", "외부 돌출부(133)", "외벽 돌출부(221)" 및 "융착 돌출부(222)" 중 어느 하나를 "제1돌출부"라 칭하고 다른 하나를 "제2돌출부"라 칭하고 또 다른 하나를 "제3돌출부"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4돌출부"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리브(134)" 및 "리브(225)" 중 어느 하나를 "제1리브"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리브"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론트 기판(310)" 및 "리어 기판(320)" 중 어느 하나를 "제1기판"이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기판"이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홈(345a)" 및 "이격 홈(345b)" 중 어느 하나를 "제1홈"이라 칭하고 나머지 하나를 "제2홈"이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리어 바디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조립 과정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과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쉴드 부재의 전개도이고, 도 12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쉴드 부재의 조립 과정 중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쉴드 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보다 상세히, 도 13의 (a)는 본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쉴드 부재의 바와 관련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의 (b)는 변형례(제2실시예)에 따른 쉴드 부재의 바와 관련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의 (c)는 본 실시예(제1실시예)에서 쉴드 부재의 바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고, 도 15와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쉴드 부재의 제조 과정 중의 전개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사시도이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에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차량의 전방 카메라, 측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및 블랙박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는 렌즈(110), 배럴(120) 및 프론트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110), 배럴(120) 및 프론트 바디(1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렌즈(110), 배럴(120) 및 프론트 바디(130)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 비교예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렌즈(110), 배럴(120) 및 프론트 바디(130) 사이의 추가적인 실링(sealing)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렌즈(110), 배럴(120) 및 프론트 바디(130) 중 어느 둘 이상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는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10)는 배럴(12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110)는 배럴(120)에 수용될 수 있다. 렌즈(11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렌즈(110)는 이미지 센서(330)와 얼라인먼트될 수 있다. 즉, 렌즈(110)의 광축과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은 일치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는 렌즈(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적외선 필터(IR filter, Infrared Ray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는 배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배럴(120)은 프론트 바디(130)에 배치될 수 있다. 배럴(120)은 내부에 렌즈(110)를 수용할 수 있다. 배럴(120)의 내주면은 복수의 렌즈(11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는 프론트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에는 배럴(120)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리어 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프론트 기판(310)과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바디(130)와 배럴(120)은 일체로 형성되므로 프론트 기판(310)이 배럴(120)과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몸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1)는 배럴(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몸체부(131)의 외주는 4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몸체부(131)의 외주 중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31)는 프론트 기판(130)과 대향하는 후면(이하에서 "제1면"으로 호칭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리어 바디(200)와 대향하는 제1면(후면(rear surface))과,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되는 내부 돌출부(132)(이하에서 "제1돌출부"로 호칭할 수 있다)와 외부 돌출부(133)(이하에서 "제2돌출부"로 호칭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내부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는 프론트 바디(130)의 몸체부(131)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는 외부 돌출부(133)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는 프론트 기판(310)과 결합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의 말단과 몸체부(131)의 제1면 사이의 거리는 외부 돌출부(133)의 말단과 몸체부(131)의 제1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 수 있다. 즉, 내부 돌출부(132)가 외부 돌출부(133) 보다 돌출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의 말단면은 프론트 기판(310)의 제3면(전면(front surface))과 접착제(6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의 말단면의 외주의 크기는 프론트 기판(310)의 제3면(전면)의 외주의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600)가 프론트 기판(310)의 외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접착제(600)가 프론트 기판(310)의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는 단면이 단일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몸체부(131)의 제1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내부 돌출부(132)의 외주는 4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내부 돌출부(132)의 외주 중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외부 돌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는 프론트 바디(130)의 몸체부(131)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는 내부 돌출부(132)의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는 리어 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는 프론트 바디(130)의 몸체부(131)의 제1면의 외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는 내부 돌출부(132)와 몸체부(131)의 외주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는 단면이 단일폐곡선 형상을 갖도록 몸체부(131)의 제1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외부 돌출부(133)의 외주는 4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외부 돌출부(133)의 외주 중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바디(130)는 내부 돌출부(132)와 외부 돌출부(133) 사이에서 내부 돌출부(132)와 외부 돌출부(133)를 연결하고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리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브(134) 사이에는 복수의 이격 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리브(134)의 이격 구조는 "살빼기 구조"로 호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리브(134)의 이격 구조를 통해, 프론트 바디(130)와 리어 바디(200)의 초음파 융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프론트 바디(130)의 내부 돌출부(132)와 프론트 기판(310)을 고정하는 접착제(600)에 전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리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134)는 프론트 바디(130)의 몸체부(131)의 제1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리브(134)는 내부 돌출부(132)와 외부 돌출부(133)를 연결할 수 있다. 리브(134)는 내부 돌출부(132)와 외부 돌출부(133)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리브(134)는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리브(134) 사이에는 복수의 이격 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4)는 내부 돌출부(132)의 4개의 면 각각에 5개씩 배치될 수 있다. 리브(134)는 내부 돌출부(132)의 코너와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리브(134)는 경사면(134a)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134)는 내부 돌출부(132) 측에서 리브(134)의 말단과 몸체부(131)의 제1면 사이의 거리가 외부 돌출부(133) 측에서 리브(134)의 말단과 몸체부(131)의 제1면 사이의 거리 보다 길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34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브(134)의 말단면은 내부 돌출부(132)와 외부 돌출부(133)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경사는 외측으로 갈수록 리브(134)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사면(134a)은 리어 바디(200)의 내측 공간에 프론트 바디(130)가 삽입될 때 프론트 바디(130)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리어 바디(200)에 프론트 바디(130)가 소정 간격 정위치에서 벗어나 삽입되더라도 리브(134)의 경사면(134a)에 리어 바디(200)의 외벽 돌출부(221)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프론트 바디(130)는 삽입될수록 정위치를 찾아가게 된다. 물론, 프론트 바디(130)에 리어 바디(200)가 프론트 바디(130)를 수용하도록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이때도 마찬가지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는 이격 공간(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 공간(135)은 복수의 리브(13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격 공간(135)을 통해 초음파 결합(융착)시 외부 돌출부(133)에서 발생되는 열이 내부 돌출부(132)에 배치되는 접착제(600)에 도달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리어 바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130)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130)와의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바디(130)와 리어 바디(200)는 외부 돌출부(133)와 융착 돌출부(222)가 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30)의 외부 돌출부(133)와 리어 바디(200)의 융착 돌출부(222)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리어 바디(200)와 프론트 바디(130) 사이의 초음파 융착이란 리어 바디(200)를 고정한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30)를 가압과 함께 진동시켜 리어 바디(200)와 프론트 바디(130)의 접촉 부분이 융착되어 일체화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때, 리어 바디(200)의 융착 돌출부(222)와 프론트 바디(130)의 외부 돌출부(133)는 고온이 발생되어 융착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변형례로, 초음파 융착시 프론트 바디(130)가 고정되고 리어 바디(200)를 가압과 함께 진동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초음파 융착은 "고주파 융착", "가압/진동 융착"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프론트 바디(130)와 이격되는 바닥부(210)와, 바닥부(210)로부터 프론트 바디(130)를 향하여 연장되는 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바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는 프론트 바디(130)와 이격될 수 있다. 바닥부(210)는 프론트 바디(13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210)는 4각의 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바닥부(210)의 코너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210)에는 커넥터(350)가 통과하는 홀이 배치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220)는 바닥부(2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부(220)는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어셈블리(300)와 커버(400)를 둘러쌀 수 있다. 측부(220)는 바닥부(210)의 외주 또는 에지(edge)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부(220)는 4개로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측부(220)는 각각 인접한 다른 측부(220)와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4개의 측부(220) 중 2개의 측부(220)에는 돌기(224)와 리브(225)가 배치될 수 있다. 측부(220)의 말단(distal end)(전단(front end))은 프론트 바디(130)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바디(200)의 측부(220)는 프론트 바디(130)와 대향하는 전면(front surface)(이하에서 "제2면"이하 호칭될 수 있다)과, 제2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외부 돌출부(133)와 프론트 바디(130)의 제1면의 외주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외벽 돌출부(221)와, 외벽 돌출부(221)의 내면과 제2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융착 돌출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220)는 외벽 돌출부(221)(이하에서 "제3돌출부"로 호칭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 돌출부(221)는 측부(220)의 외주를 형성할 수 있다. 외벽 돌출부(221)는 측부(220)의 외주가 그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벽 돌출부(221)의 전면은 프론트 바디(130)의 후면에 대향할 수 있다. 외벽 돌출부(221)의 전면과 프론트 바디(130)의 몸체부(131)의 후면은 결합될 수 있다.
측부(220)는 융착 돌출부(222)(이하에서 "제4돌출부"로 호칭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융착 돌출부(222)는 측부(220)의 전면(제2면)과 외벽 돌출부(221)의 내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융착 돌출부(222)의 경사면은 측부(220)의 전면과 13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융착 돌출부(222)의 경사면은 외벽 돌출부(221)의 내면과 135도를 형성할 수 있다. 융착 돌출부(222)는 측부(22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융착 돌출부(222)와 프론트 바디(130)의 외부 돌출부(133)는 전후 방향(광축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융착 돌출부(222)와 외부 돌출부(133)는 가압/진동에 의해 융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일체화 결합에 의해 프론트 바디(130)와 리어 바디(200) 사이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실링 부재가 생략될 수 있다.
측부(220)는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외벽 돌출부(221)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외벽 돌출부(221)의 말단으로 연장되는 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홈(223)을 통해 프론트 바디(130)와 리어 바디(200) 사이의 융착이 제대로 이루어진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외측면(outer lateral surface)에 배치되는 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220)는 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24)는 브라켓(500)의 후크(521)에 걸릴 수 있다. 돌기(224)는 후방을 향하는 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리어 바디(200)에 대하여 브라켓(500)이 가압되면 후크(521)가 경사면을 타고 넘어와 돌기(224)에 걸릴 수 있다. 돌기(224)는 리어 바디(200)의 1개의 측부(220)에 2개씩, 2개의 측부(220)에 배치되어 총 4개의 돌기(22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부(220)에 돌기(224)가 배치되고 브라켓(500)에 후크(521)가 배치되지만, 변형례에서는 측부(220)에 후크가 배치되고 브라켓(500)에 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224)는 리어 바디(200)의 외측면(제2면) 중 어느 한 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따. 이때, 후크(521)는 제1돌기에 걸리는 제1후크와, 제2돌기에 걸리는 제2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24)는 후크(521)가 걸리는 제6면(전면)과, 제6면과 리어 바디(200)의 제2면(외측면)을 연결하는 제7면(후면,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224)의 제7면은 돌기(224)의 제6면과 리어 바디(200)의 제2면을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돌기(224)의 제7면은 돌기(224)의 제6면과 예각을 형성하고 리어 바디(200)의 제2면과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후크(521)가 돌기(224)의 제7면을 타고 넘어가기는 쉽지만, 반대 방향으로 후크(521)가 돌기(224)로부터 탈거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외측면(제2면)에 제1후크와 제2후크 사이에 배치되는 리브(2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리브(225)의 폭은 제1후크와 제2후크 사이의 이격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리브(225)는 브라켓(500)이 리어 바디(20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리브(225)는 브라켓(500)의 2개의 후크(5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브(225)는 2개의 돌기(2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바디(200)는 커넥터 인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30)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을 통해 커넥터(350)과 통과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30)는 안에 커넥터(35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커넥터 인출부(230)의 내주의 적어도 일부의 직경은 커넥터(350)의 직경과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넥터 인출부(230)는 커넥터(350)를 파지 및/또는 고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기판 어셈블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커버(400)의 안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리어 바디(200)와 프론트 바디(1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프론트 바디(130)에 접착제(6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프론트 기판(310)(이하에서 "제1기판"으로 호칭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은 프론트 바디(130)와 리어 바디(200) 사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은 프론트 바디(130)와 대향하는 전면(이하에서 "제3면"으로 호칭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에는 이미지 센서(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기판(310)은 "센서 기판"으로 호칭될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은 강성의 인쇄회로기판(Rigid PCB)일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은 리어 기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은 리어 기판(320)과 대향하는 제3면(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쉴드 부재(340)는 프론트 기판(310)의 제3면에 결합되는 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연결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15)는 프론트 기판(310)과 리어 기판(320)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15)는 프론트 기판(310)과 리어 기판(3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315)는 연성의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연결부(315)는 절곡될 수 있다. 연결부(315)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리어 기판(320)(이하에서 "제2기판"으로 호칭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프론트 기판(3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전원부 PCB"로 호칭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프론트 기판(3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프론트 기판(310)과 이격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커넥터(3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21)는 리어 기판(320)의 외주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321)는 적어도 일부가 쉴드 부재(340)의 홀(343b)에 배치될 수 있다. 돌기(321)는 홀(343b)에 배치되고 연장부(343a)와 대향하는 4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321)의 4개의 면은 전방을 향하는 전면과, 전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후면과, 전면과 후면을 연장하는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321)의 4개의 면 중 적어도 1개의 면이 연장부(343a)와 이격될 수 있다. 나아가, 돌기(321)의 4개의 면 중 적어도 2개의 면이 연장부(343a)와 이격될 수 있다. 또는, 돌기(321)의 4개의 면 중 적어도 3개의 면이 연장부(343a)와 이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321)와 연장부(343a)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21)와 연장부(343a) 사이에 x축 방향의 이격 공간과, z축 방향의 이격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돌기(321)는 리어 기판(320)의 제1면(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돌기와,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리어 기판(320)의 제2면(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리어 기판(320)의 외주에 제1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홈과, 리어 기판(320)의 외주에 제2돌기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리어 기판(320)의 제1면(외측면)에 배치되는 제1홈과, 제1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리어 기판(320)의 제2면(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343a)는 제1홈에 배치되는 제1연장부와, 제2홈에 배치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연장부의 내면과 제2연장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는 리어 기판(320)과 이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43a)와 리어 기판(320) 사이에 y축 방향(도 7 참조)의 이격 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리어 기판(320)과 연장부(343a) 사이의 x축, y축 및/또는 z축 방향의 이격 공간에 의해, 프론트 바디(130)에 고정되는 프론트 기판(310)과 리어 바디(200)에 고정되는 리어 기판(320) 사이에 누적 공차가 큰 경우에도 리어 바디(200)의 돌기(321)가 연장부(343a)의 홀(343b)에 삽입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3개의 돌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의 4개의 측면 중 3개의 측면에만 돌기(321)가 배치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의 4개의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는 돌기(321)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쉴드 부재(340)는 3개의 돌기(321)와 각각 결합되는 3개의 연장부(343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43a)는 몸체부(341)의 제4면(후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의 4개의 몸체부(341) 중 3개의 몸체부(341) 각각에는 연장부(343a)가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몸체부(341)에는 절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절개부는 바(345)가 제거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절개부는 제4면 보다 함몰될 수 있다.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절개부와 제4면 사이에는 이격 홈(345b)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이미지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프론트 기판(3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프론트 기판(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프론트 기판(31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330)는 프론트 기판(31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렌즈(110)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과 렌즈(110)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이미지 센서(330)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3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쉴드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프론트 기판(310)과 리어 기판(320)을 고정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프론트 기판(310)과 리어 기판(320)에 결합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에는 프론트 기판(310)과 리어 기판(320)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프론트 기판(310)의 후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리어 기판(320)과 쉴드 부재(340)는 리어 기판(320)의 돌기가 쉴드 부재(340)의 결합부(343)의 홀(343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쉴드 부재(340)는 "쉴드 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 부재(3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 부재(340)는 일체의 판재가 절곡(벤딩, bend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 부재(340)는 4개의 몸체부(341)가 4개의 연결부(344)(브릿지)에 대하여 절곡되고 제1경사부(343c)와 제2경사부(343d)가 절곡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와 프론트 기판(310)의 결합 시에 사용되는 바(345)는 쉴드 부재(340)와 프론트 기판(310)의 결합 이후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 부재(340)와 프론트 기판(310) 및 리어 기판(320) 사이의 결합은 아래의 순서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쉴드 부재(340)의 돌기(342)가 프론트 기판(310)의 후면(리어 기판(320)과 대향하는 면, 프론트 바디(130)와 대향하는 제3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쉴드 부재(340)의 돌기(342)는 프론트 기판(310)의 후면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er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론트 기판(310)의 전면(프론트 바디(130)와 대향하는 제3면)에는 이미지 센서(330)가 실장된 상태일 수 있다. 프론트 기판(310)에 이미지 센서(330)를 실장하고 이후 프론트 기판(310)에 쉴드 부재(340)를 결합할 수 있고, 프론트 기판(310)에 쉴드 부재(340)를 먼저 실장하고 이후 프론트 기판(310)에 이미지 센서(330)를 실장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론트 기판(310)의 전면에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를 접착제(600)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330) 사이의 얼라인먼트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330) 사이에 액티브 얼라인(AA, Active Align)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변형례로 프론트 기판(310)과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의 결합 후 프론트 기판(310)에 쉴드 부재(34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후, 프론트 기판(310)으로부터 연장되는 연결부(315)인 FPCB를 꺽어 리어 기판(320)을 쉴드 부재(340)의 3개소의 홀(343b)에 밀어 넣는다. 이때, 리어 기판(310)의 후면에는 커넥터(350)가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물론, 커넥터(350)는 이후에 커버(40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쉴드 부재(340)는 몸체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41)는 프론트 기판(310)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341)는 금속의 판재일 수 있다. 몸체부(341)는 4개로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341)는 4개로 구비되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몸체부(341)는 각각 인접한 몸체부(341)와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341)는 연결부(34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몸체부(341) 중 3개의 몸체부(341)에는 리어 기판(320)과 결합되는 결합부(343)가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몸체부(341)에는 바(345)가 배치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342)는 몸체부(341)의 전단(frond end)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기(342)는 1개의 몸체부(341)에 2개씩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총 4개의 몸체부(341)에 총 8개의 돌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쉴드 부재(340)와 프론트 기판(310) 사이의 결합 시 이탈 강도 상향을 목적으로 각 몸체부(341) 마다 2개소로 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탈 강도는 SMD 이탈 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몸체부(341) 마다 배치되는 2개의 돌기(342)는 이격될 수 있다. 즉, 2개의 돌기(342) 사이에는 공간(gap)이 배치될 수 있다. 만약, 돌기(342) 사이에 공간이 배치되지 않은 직선 타입 적용 시 쉴드 부재(340)의 휨이나 가공 시 변형으로 인해 인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돌기(342)를 몸체부(341)와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돌기(342)는 몸체부(341)의 일구성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쉴드 부재(340)는 결합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43)는 리어 기판(320)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몸체부(34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몸체부(341)의 후단(rear end)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3개로 구비되어 3개의 몸체부(341)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4개의 몸체부(341) 중 하나의 몸체부(341)에는 결합부(343)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3개의 결합부(343)는 리어 기판(320)의 3개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커버(400)의 측판(420)과 접촉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커버(400)의 측판(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리어 기판(320)과 대향하는 제3면(내측면(inner lateral surface))을 포함하고 제1홈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와, 리어 기판(320)과 대향하는 제4면(내측면)을 포함하고 제2홈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의 제3면과 제2결합부의 제4면 중 적어도 하나는 리어 기판(320)과 이격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연장부(343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43a)는 몸체부(34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43a)는 몸체부(341)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343a)는 몸체부(341)의 일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장부(343a)의 폭은 몸체부(341)의 폭의 40 내지 70 %일 수 있다. 연장부(343a)에는 홀(343b)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홀(343b)을 포함할 수 있다. 홀(343b)은 연장부(343a)에 배치될 수 있다. 홀(343b)에는 리어 기판(320)이 결합될 수 있다. 홀(343b)에는 리어 기판(320)의 돌기가 결합될 수 있다. 홀(343b)은 리어 기판(320)의 돌기 보다 클 수 있다. 즉, 결합부(343)와 홀(343b)에 배치된 리어 기판(32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 기판(310)과 쉴드 부재(340)는 프론트 바디(130)에 결합되고 리어 기판(320)과 커넥터(350)는 커버(400)와 리어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쉴드 부재(340)와 리어 기판(320) 사이의 이격 공간은 x축, y축 및 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리어 기판(320)에 커넥터(350)가 고정되고 커넥터(350)가 커버(400)의 가압유닛(412)에 의해 고정되고 쉴드 부재(340)와 리어 기판(320) 등 부재에 제작 공차가 있더라도 리어 기판(320)이 쉴드 부재(340)에 결합될 수 있다. 비교예로서, 쉴드 부재(340)의 홀(343b)의 크기가 리어 기판(320)의 돌기와 동일한 경우라면, 리어 기판(320)의 돌기가 쉴드 부재(340)의 홀(343b)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은 리어 바디(200)에 고정되고 쉴드 부재(320)는 프론트 바디(130)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결합부(343)는 제1경사부(34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부(343c)는 연장부(343a)로부터 밖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경사부(343c)는 연장부(343a)에 대하여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1경사부(343c)는 연장부(343a)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43)는 제2경사부(34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부(343d)는 제1경사부(343c)로부터 안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경사부(343d)는 제1경사부(343c)에 대하여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는, 제2경사부(343d)는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부(343a)와 평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경사부(343c)와 제2경사부(343d)의 형상에 의해, 리어 기판(320)을 결합부(343)의 홀(343b)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면서 리어 기판(320)을 제거하는 것도 용이할 수 있다. 리어 기판(320)을 쉴드 부재(340)의 몸체부(341)를 향하여 가압하면 리어 기판(320)의 돌기는 제1경사부(343c)를 타고 내려가 홀(343b)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제2경사부(343d)를 파지하고 외측으로 당기면 리어 기판(320)의 돌기는 홀(343b)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연결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4개의 몸체부(341)를 연결하는 4개의 연결부(34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44)는 쉴드 부재(340)의 각 모서리(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344)는 쉴드 부재(340)의 제작 공정 단순화(벤딩만으로 형상 구현)와 품질 향상을 위해 브릿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44)는 "브릿지"로 호칭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바(345)를 포함할 수 있다. 바(345)는 프론트 기판(310)에 쉴드 부재(340)를 결합할 때 쉴드 부재(340)를 파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후, 프론트 기판(310)에 대한 쉴드 부재(34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바(345)는 제거될 수 있다. 바(345)는 몸체부(34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345)는 도 13의 (a)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같이 후면(리어 기판(320)과 대향하는 면)이 몸체부(341)의 후단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몸체부(34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이때, 바(345)와 몸체부(341)의 연결부의 양측방에는 이격 홈(345b)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바(345)는 도 13의 (b)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후면이 몸체부(341)의 후단 보다 바(345)의 두께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격 홈(345b)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바(345)가 제거된 후의 형상은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바(345)가 있었던 부분의 몸체부(341)의 후단이 다른 부분의 몸체부(341)의 후단 보다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바(345)가 제거된 경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바(345)가 있었던 부분과 다른 부분에서 몸체부(341)의 후단이 일정하게 연장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바(345)가 제거됨에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가이드 홈(345a)(이하에서 "제1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345a)은 프론트 기판(310)에 대한 쉴드 부재(340)의 결합 이후 바(345)의 컷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345a)은 V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이격 홈(345b)(이하에서 "제2홈"으로 호칭될 수 있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격 홈(345b)은 제1실시예에서 바(345)와 몸체부(341)가 연결되는 부분의 양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격 홈(345b)은 U자 형상의 홈일 수 있다. 2개의 이격 홈(345b) 사이에 몸체부(341)의 절단부(바(345)가 절단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이격 홈(345b)은 제2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제거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346)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과정에서는 존재하지만, 조립 과정에서 제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쉴드 부재(340)는 제거부(346)와 연결부(344)가 만나는 부분의 양측에 형성되는 홈(34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홈(347)의 폭(도 19의 a 참조)은 0.27 mm 일 수 있다. 홈(347)의 깊이(도 19의 b 참조)는 0.05 mm 일 수 있다. 홈(347)의 곡률(도 19의 c 참조)는 R0.20 mm일 수 있다.
기판 어셈블리(300)는 커넥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기판(320)과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기판(32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기판(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커버(40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바디(20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커버(400)의 홀(411)과 리어 바디(200)의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바디(200)의 커넥터 인출부(23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커넥터(350)는 리어 기판(320)으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바디(200)를 통과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커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는 리어 바디(20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400)는 리어 바디(200)의 안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400)는 리어 바디(200)의 안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400)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400)는 "리어 쉴드 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커버(400)는 금속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버(400)는 리어 기판(320)과 그라운드(접지)될 수 있다. 커버(400)와 커넥터(350)의 외면은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400)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또는 전자기파를 차단할 수 있다.
커버(400)는 바닥판(4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10)은 리어 바디(200)의 바닥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판(410)은 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10)의 홀(411)은 커넥터(350)가 통과할 수 있다. 바닥판(410)은 커넥터(350)가 배치되는 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는 텐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의 텐션 구조는 2중 구조로 커넥터(350)를 가압할 수 있다. 커버(400)의 텐션 구조는 동시에 커넥터(350)를 중심으로 밀어 주고 커넥터(350)를 아래로 밀어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400)의 가압유닛(412)(텐션 구조)을 통해 커넥터(3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쉴드 부재(340)의 결합부(343)의 홀(343b)은 리어 기판(320)과의 결합 부분에 충분한 공차를 두도록 형성됨으로써 리어 기판(320)과 쉴드 부재(340) 사이에 누적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리어 기판(320)에 대하여 커넥터(350)의 동심이 틀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400)는 바닥판(410)에 배치되고 커넥터(3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압유닛(4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410)은 가압유닛(4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바닥판(410)의 일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고, 또는 가압유닛(412)은 바닥판(410)과는 별개의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커넥터(35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커넥터(35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커넥터(350)를 고정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제1가압부(4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압부(412a)는 커넥터(350)의 후면(커버(400)의 바닥판(410)과 대향하는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가압부(412a)는 커넥터(350)를 전방(리어 기판(3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가압부(412a)는 커넥터(350)를 리어 기판(320)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제2가압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압부(412b)는 커넥터(350)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가압부(412b)는 커넥터(350)를 바닥판(410)의 홀(411)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서로 이격되는 4개의 가압편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가압편은 커넥터(350)의 제2면(외측면)의 둘레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가압편 각각은 인접한 다른 가압편과 90도로 배치될 수 있다. 4개의 가압편 각각은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를 ㄹ포함할 수 있다. 변형례로, 가압유닛(412)은 2개의 가압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변형례로, 가압유닛(412)은 8개의 가압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변형례에서, 가압유닛(412)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복수의 가압편 중 일부는 제1가압부(412a)로 형성되고 복수의 가압편 중 나머지 일부는 제2가압부(412b)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변형례에서는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커넥터(350)의 제1면(후면)을 가압하는 제1가압부(412a)와, 커넥터(350)의 제2면(외측면)을 가압하는 제2가압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넥터(350)는 커버(400)의 바닥판(410)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면(후면)과,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홀(411)에 배치되는 제2면(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커넥터(350)를 제1방향(전방)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412a)와, 커넥터(350)를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내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41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압유닛(412)은 커넥터(350)를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넥터(350)는 커버(400)의 바닥판(4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는 바닥판(4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닥판(410)의 일부가 절개되고 절곡되어 제1가압부(412a)와 제2가압부(412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410)의 절개된 부분이 1차로 절곡되어 제1가압부(412a)가 형성되고 1차로 절곡된 부분에서 2차로 절곡되어 제2가압부(412b)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유닛(412)은 바닥판(410)으로부터 안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350)의 제1면(후면)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제1접촉부로부터 홀(411)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가압유닛(412)은 제2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350)의 제2면(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제2접촉부로부터 밖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400)는 측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측판(420)은 쉴드 부재(340)와 접촉될 수 있다. 측판(420)의 내면은 쉴드 부재(340)의 결합부(343)와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쉴드 부재(340)와 커버(400)는 접지(그라운딩, grouding)될 수 있다. 커버(400)의 측판(420)과 쉴드 부재(340)의 결합부(343)는 3개소에서 접촉될 수 있다. 측판(420)은 바닥판(410)에서 연장될 수 있다. 측판(420)은 바닥판(410)의 외주 또는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판(420)은 4개의 측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측판(420)은 리어 바디(200)의 4개의 측부(220)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측판(420)의 전단(front end)/말단(distal end)은 렌즈(110)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프론트 기판(310)과 오버랩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브라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카메라 모듈을 차량 등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리어 바디(200)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차량 등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리어 바디(20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바디(200)의 외면은 프론트 바디(130)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면(후면)과, 제1면과 프론트 바디(130)를 연결하는 제2면(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어 바디(200)의 외면은 제2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면(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200)의 외면은 제2면과 제3면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면(외측면)과 제5면(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리어 바디(200)의 외면은 하나의 후면과, 4개의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바닥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510)는 리어 바디(200)의 제1면(후면)과 대향할 수 있다. 바닥부(510)는 리어 바디(200)의 바닥부(21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510)는 커넥터(350)가 통과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가압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511)는 바닥부(510)에 배치되고 리어 바디(200)의 제1면(후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511)는 리어 바디(2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바닥부(510)는 가압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511)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가압부(511)는 "텐션 구조"로 호칭될 수 있다. 가압부(511)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가압부(511)는 바닥부(510)로부터 서로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가압부(511)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가압부와,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방향은 제2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가압부(511)는 리어 바디(200)의 바닥부(210)를 전방(프론트 바디(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돌기(224)와 후크(521) 사이의 후크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511)는 바닥부(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511)는 바닥부(510)로부터 리어 바디(200)의 후면(제1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리어 바디(200)의 후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리어 바디(200)의 후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측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520)는 리어 바디(200)의 제2면(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부(520)는 바닥부(510)의 외주 또는 에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부(520)는 4개의 측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측부(520)는 후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2개의 측부(520)는 홀(52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00)의 측부(520)는 리어 바디(200)의 4개의 외측면 중 2개의 외측면(제4면, 제5면) 각각에 배치되고 홀(522)을 포함하는 결합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523)는 차량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측부(520)에 배치되고 리어 바디(200)의 돌기(224)에 걸리는 후크(5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521)는 바닥부(51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부(520)는 후크(5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521)는 리어 바디(200)의 돌기(224)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500)의 측부(520)는 2개의 면에 2개씩의 후크(5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총 4개의 후크(5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후크(521)는 다른 2개의 후크(521)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후크(521) 사이에는 리어 바디(200)의 리브(225)가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후크(521)와 리브(225)에 의해 좌우 유격이 조절되고 조립 시 가이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어 바디(200)는 리어 바디(200)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1돌기와 제2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크(521)는 제1돌기와 제2돌기 각각에 걸릴 수 있다. 다시 말해, 후크(521)는 제1돌기에 걸리는 제1후크와, 제2돌기에 걸리는 제2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520)는 홀(522)을 포함할 수 있다. 홀(522)은 차량 등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미도시)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홀(522)에는 나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홀(522)은 "나사홀"로 호칭될 수 있다. 홀(522)은 하나의 측부(520)에 2개씩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측부(520)에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접착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600)는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100)와 프론트 기판(310)을 고정할 수 있다. 접착제(600)는 프론트 바디(130)의 내부 돌출부(132)와 프론트 기판(310)의 전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330) 사이의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접착제(600)의 가경화 상태에서 렌즈(110)와 이미지 센서(330)의 광축 얼라인먼트를 조절하고 접착제(600)의 본경화를 진행할 수 있다. 접착제(600)는 열 및/또는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론트 바디 어셈블리 200: 리어 바디
300: 기판 어셈블리 400: 커버
500: 브라켓 600: 접착제

Claims (11)

  1.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를 덮는 커버;
    상기 제1 바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버의 바닥판의 내면과 대향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홀에 배치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안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의 제1면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1접촉부로부터 상기 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의 제2면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제1접촉부가 상기 커넥터의 제1면과 접촉하는 방향은 광축방향이고,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커넥터의 제2면과 접촉하는 방향은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제2접촉부로부터 밖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제2기판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의 말단은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기판과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서로 이격되는 4개의 가압편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가압편은 상기 커넥터의 제2면의 둘레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가압편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는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기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커버의 상기 측판과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커넥터의 외면은 그라운드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 바디 어셈블리;
    상기 제1 바디 어셈블리를 덮는 커버;
    상기 제1 바디 어셈블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고정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연장되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안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를 광축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압부로부터 상기 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를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제1면은 상기 커넥터의 후면이고, 상기 커넥터의 제2면은 상기 커넥터의 측면인 카메라 모듈.
KR1020220030362A 2017-07-04 2022-03-10 카메라 모듈 KR102580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362A KR102580952B1 (ko) 2017-07-04 2022-03-10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04A KR102374764B1 (ko) 2017-07-04 2017-07-04 카메라 모듈
KR1020220030362A KR102580952B1 (ko) 2017-07-04 2022-03-10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04A Division KR102374764B1 (ko) 2017-07-04 2017-07-0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030A KR20220038030A (ko) 2022-03-25
KR102580952B1 true KR102580952B1 (ko) 2023-09-21

Family

ID=650278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04A KR102374764B1 (ko) 2017-07-04 2017-07-04 카메라 모듈
KR1020220030362A KR102580952B1 (ko) 2017-07-04 2022-03-10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04A KR102374764B1 (ko) 2017-07-04 2017-07-0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47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38A (ja) * 2000-08-09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12B1 (ko) * 2011-11-22 2013-08-09 주식회사 세코닉스 광축 조정이 용이한 자동차 카메라
KR101785368B1 (ko) * 2014-04-23 2017-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938A (ja) * 2000-08-09 2002-02-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030A (ko) 2022-03-25
KR20190004458A (ko) 2019-01-14
KR102374764B1 (ko) 202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515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502284B1 (ko) 카메라 모듈
KR102550823B1 (ko) 카메라 모듈
US20220046791A1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amera
KR102580952B1 (ko) 카메라 모듈
KR102374763B1 (ko) 카메라 모듈
JP2013042359A (ja) 撮像装置
KR102396100B1 (ko) 카메라 모듈
KR101220651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2483472B1 (ko) 차량용 카메라
KR102361050B1 (ko) 카메라 모듈 및 제조장치
US20230362466A1 (en) Camera module
KR102411132B1 (ko) 카메라 모듈
US744344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230029076A (ko) 카메라 모듈
JP2004327640A (ja) 電子機器
KR20100000378U (ko) 렌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