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564B1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 Google Patents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564B1
KR102578564B1 KR1020230012877A KR20230012877A KR102578564B1 KR 102578564 B1 KR102578564 B1 KR 102578564B1 KR 1020230012877 A KR1020230012877 A KR 1020230012877A KR 20230012877 A KR20230012877 A KR 20230012877A KR 102578564 B1 KR102578564 B1 KR 10257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nergy
facility
fire
sav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28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주)클라우드앤
주식회사 삼구아이앤씨
(주)미래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라우드앤, 주식회사 삼구아이앤씨, (주)미래비엠 filed Critical (주)클라우드앤
Priority to KR102023001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6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용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는, 건물 내 전기, 가스 및 수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별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는 사용량수집부와, 상기 건물에 대한 기후 및 재실률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부와, 제1 시간구간의 상기 에너지 사용량인 베이스라인을 제2 시간구간의 상기 환경정보일 경우에 대응하도록 수정한 수정베이스라인을 설정하고, 상기 수정베이스라인을 상기 제2 시간구간의 상기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절감량산출부와, 상기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산출된 상기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기 설정된 절감량에 맞게 상기 설비에 대한 구동조건을 제어하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비를 비상조건으로 제어하는 설비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and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for fire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energy usage by facilities that consume at least one or more of energy among electricity, gas, and water in the building. A us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climate and occupancy rate of the building, and a baseline, which is the energy usage in the first time section, is set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e in the second time section. a savings calculation unit that sets a modified baseline modified to respond to the case and calculates energy savings by comparing the modified baseline with the energy usage in the second time period; and a fi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fire in the building. and a facility control unit that controls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facility to match a preset savings amou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nergy savings amount, and controls the facility to an emergency condition when a fire is detected.

Description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본 발명은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과거의 에너지 사용량을 조정하여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정확히 판단하면서 화재를 감지하는 기술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More specifically, it discloses a technology for detecting fire while accurately determining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by adjusting the past energy usage of the building and comparing the current energy usage.

건물의 에너지 관리는 갈수록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BEMS)을 도입하는 건물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IT기술을 활용하여 건물 내의 전기, 공조, 방범, 방재와 같은 설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실내를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에너지와 관리인력비용의 절감은 물론 건물의 사용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BEMS의 경우 절감량을 주변의 환경정보를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비교한다는 점에서 실제 에너지 절감량을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Energy management in building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buildings are adopting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This utilizes IT technology to comprehensively manage facilities such as electricity, air conditioning,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within the building, and creates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which not only reduces energy and management manpower costs but also extends the life of the building. However, in the case of such BEMS, there were limitations in accurately determining the actual energy savings in that the savings were simply compared without reflecting surroun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1494호는 에너지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가능한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일반제어모드 및 절전제어모드로 작동가능한 제어모듈;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상기 일반제어모드 및 상기 절전제어모드로 제어되어 상기 공간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냉난방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Among the prior technologie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51494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device capable of evaluating energy savings, which includes one or more carbon dioxide sensors installed in a building space and capable of detect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space; A control modul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rbon dioxide sensor and capable of operating in a normal control mode and a power saving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detected through the carbon dioxide sensor; And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it includes an air conditioner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in the general control mode and the power saving control mode to adjust the conditions of the space.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과거의 전력사용데이터와 현재의 전력사용데이터를 비교하여 절감에너지량을 연산하는 것이나, 설비 단위의 실시간 에너지 절감량을 분석하기 어렵고, 기후특성 및 재실률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calculates the amount of energy saved by comparing past power use data with current power use data, but it is difficult to analyze real-time energy savings at the facility level, and monitors climate characteristics and occupancy rate in real time. Therefore,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flec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에 대한 과거의 에너지 사용량에 현재의 환경정보를 반영하여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정확히 판단하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accurately determines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by comparing the current energy usage by reflecting the curr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the past energy usage of the building.

또한, 건물 내의 화재가 발생시 비상조건으로 설비를 구동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can prevent the spread of fire by operating equipment under emergency conditions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또한, 건물의 실내공간 중 대표존을 설정하여 재실률을 분석함으로써 재실률 측정비용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can relatively increase accuracy while reducing the cost of measuring occupancy rate by analyzing the occupancy rate by setting a representative zone among the indoor spaces of the building.

또한, 설비의 효율과 잔여기한을 이용하여 설비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설비를 추천할 수 있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can calculate equipment costs using the efficiency and remaining life of the equipment and recommend replacement equip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용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는, 건물 내 전기, 가스 및 수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별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는 사용량수집부와, 상기 건물에 대한 기후 및 재실률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부와, 제1 시간구간의 상기 에너지 사용량인 베이스라인을 제2 시간구간의 상기 환경정보일 경우에 대응하도록 수정한 수정베이스라인을 설정하고, 상기 수정베이스라인을 상기 제2 시간구간의 상기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절감량산출부와, 상기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와, 산출된 상기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기 설정된 절감량에 맞게 상기 설비에 대한 구동조건을 제어하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비를 비상조건으로 제어하는 설비제어부를 포함한다.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for fire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energy usage for each facility that consumes at least one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in the building, and climate and Setting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occupancy rate, and a modified baseline in which the baseline, which is the energy usage in a first time section, is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a second time section, and a savings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energy savings by comparing the modified baseline with the energy usage in the second time period, a fi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fire in the building, and a preset savings amou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nergy savings. It controls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equipment, and includes a facilit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quipment to emergency conditions when a fire is detected.

또한, 상기 사용량수집부는 상기 건물 내에서 설치된 스마트미터계로부터 상기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되, 상기 에너지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sage collection unit collects the energy usage from a smart meter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may output a failure signal when the energy usage exceeds a preset normal range.

또한, 상기 환경정보수집부는, 상기 건물의 실내 및 실외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후정보를 수집하는 기후정보수집부와, 상기 건물 내의 실내공간을 기 설정된 구간으로 분할하여 이산화탄소농도 또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재실률을 분석하는 재실률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includes a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climate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doors and outdoors of the building, and divides the indoor space within the building into preset sections to collec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r image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occupancy rate.

또한, 상기 재실률분석부는 상기 실내공간 중 사용자의 이동경로의 중첩도가 기 설정치 이상인 구역을 대표존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존에 대한 재실률을 분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may set a zone in which the overlap of the user's movement path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mong the indoor spaces as a representative zone and analyze the occupancy rate for the representative zone.

또한, 상기 설비의 에너지 효율과 잔여 사용기한을 이용한 설비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설비비용 미만의 비용으로 대체 가능한 대체설비를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quipment cos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remaining useful life of the equipment, and alternative equipment that can be replaced at a cost less than the equipment cost can be recommended.

이에 따라, 건물에 대한 과거의 에너지 사용량에 현재의 환경정보를 반영하여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by reflecting the curr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past energy usage of the building and comparing it with the current energy usage.

또한, 건물 내의 화재가 발생시 비상조건으로 설비를 구동시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the spread of the fire can be prevented by operating the equipment under emergency conditions.

또한, 건물의 실내공간 중 대표존을 설정하여 재실률을 분석함으로써 재실률 측정비용을 줄이면서 상대적으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analyzing the occupancy rate by setting a representative zone among the indoor spaces of the building, the cost of measuring the occupancy rate can be reduced while relatively increasing accuracy.

또한, 설비의 효율과 잔여기한을 이용하여 설비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설비를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st can be calculated using the facility's efficiency and remaining period, and alternative facilities that can replace it can be recommen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환경정보수집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환경정보수집부 중 재실률분석부에서 실내공간에서 대표존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절감량산출부에서 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절감량산출부에서 수정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절감량산출부에서 대체설비를 추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모델링부가 데이터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모델링부가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setting a representative zone in an indoor space in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ccording to Figure 2.
FIG. 4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the calculation of energy savings based on a baseline in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FIG. 5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calculation of energy savings based on a modified baseline in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FIG. 6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recommendation of alternative equipment in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FIG. 7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how the modeling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generates a data model.
FIG. 8 is a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modeling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provides energy savings data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보호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terms used are term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embodiment, and the meaning of the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guardian or operator or precedents. Therefore,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f specifical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follow the definition, and if there is no specific definition, the meaning will be interpreted as general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환경정보수집부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환경정보수집부 중 재실률분석부에서 실내공간에서 대표존을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절감량산출부에서 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절감량산출부에서 수정베이스라인을 기준으로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FIG. 2. It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setting a representative zone in an indoor space in the occupancy rate analysis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and Figure 4 shows the energy savings based on the baseline in the savings calculation departmen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ure 1. This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calculating, and FIG. 5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calculating the energy savings based on the modified baseline in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100)는 사용량수집부(110), 환경정보수집부(120), 절감량산출부(130), 화재감지부(140) 및 설비제어부(150)를 포함한다.1 to 5, th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100 for fire det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age collection unit 110,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a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and a fire It includes a detection unit 140 and a facility control unit 150.

사용량수집부(110)는 건물 내 전기, 가스 및 수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10)별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공조기, 냉난방기, 쇼케이스, 승강기, 에어커텐, 보일러, 조명 등이 에너지를 사용하는 설비(10)로 설정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량수집부(110)는 건물 내 설치된 스마트미터계를 이용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미터계는 전기, 가스 및 수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미터계이다. 스마트미터계는 각 설비(10)에 설치되거나, 설비(10) 그룹에 할당되어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sage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energy usage for each facility 10 that consumes at least one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energy within the building. For example, air conditioners, air conditioners, showcases, elevators, air curtains, boilers, lighting, etc. may be set as equipment 10 that uses energy,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usage collection unit 110 can collect energy usage in real time using a smart meter installed in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smart meter is an electronic meter that can measure at least one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A smart meter can be installed in each facility (10) or assigned to a group of facilities (10) to collect energy usage.

또한, 사용량수집부(110)는 건물 내에서 설치된 스마트미터계로부터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되, 에너지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미터계로부터 정상적인 에너지 사용량이 수집되지 않는 경우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알람하기 위함이다. 사용량수집부(110)는 시간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의 정상범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낮시간에 사용되는 설비(10)인 경우 낮시간대의 에너지 사용량과 저녁시간대의 에너지 사용량의 정상범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시간대별 에너지 사용량을 반영하여 고장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usage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energy usage from a smart meter installed within the building, and may output a failure signal when the energy usage exceeds a preset normal range. This is to quickly alert the administrator if normal energy usage is not collected from the smart meter. The usage collection unit 110 is also capable of setting different normal ranges of energy usage over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equipment 10 used during the day, normal ranges for energy use during the day and energy use during the evening may be set differently. This is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reakdown by reflecting the energy usage by time period.

환경정보수집부(120)는 건물에 대한 기후 및 재실률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환경정보수집부(120)에서 수집하는 환경정보는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환경정보수집부(120)는 건물에 대해 실시간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이 경우, 환경정보는 에너지 사용량과 함께 수집되어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는 주요 요소로 사용된다. 환경정보수집부(120)는 건물의 실내 및 실외의 환경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환경정보수집부(120)는 과거의 환경정보가 누락된 경우에는 외부의 기상청서버를 이용하여 기후정보를 획득하고, 카드사서버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재실률정보를 수집하여 환경정보를 보완할 수 있다.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climate and occupancy rate of the build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is information used to adjust the energy usage of the build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real-time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In this case,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collected along with energy usage and used as a key factor in calculating energy saving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an use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building. If past environmental information is miss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can obtain climate information using an extern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and supplement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collecting user occupancy rate information using a credit card company server. .

보다 구체적으로, 환경정보수집부(120)는 기후정보수집부(121) 및 재실률분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후정보수집부(121)는 건물의 실내 및 실외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후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기후정보수집부(121)는 건물의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를 통해 기후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후정보수집부(121)는 기상청서버로부터 기후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후정보수집부(121)는 실시간으로 건물의 기후정보를 수집하며, 건물 내에서도 구역별로 기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는 건물의 실내공간을 세분화하여 기후정보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도록 하기 위함이다.More specificall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include a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1 and an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The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1 collects climate information includ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ndoors and outdoors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1 may collect climate information through temperature sensors and humidity sensors installed indoors and outdoors of the build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1 is also capable of collecting climate information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rver. The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1 collects climate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 real time, and can also collect climate information by zone within the building. This is to subdivide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and refl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ing climate information, in real time.

재실률분석부(122)는 건물 내의 실내공간을 기 설정된 구간으로 분할하여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재실률을 분석한다. 재실률분석부(122)는 건물의 실내공간에 얼마나 많은 재실자가 분포하는지를 나타내는 재실률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재실률분석부(122)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의 영상정보로부터 객체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인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추적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야간이나 실내가 어두운 곳에서의 사용자도 추적할 수 있다.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divides the indoor space within the building into preset sections and analyzes the occupancy rate using image information.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lculates an occupancy rate indicating how many occupiers are distributed in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n calculate the number of users through object recognition from image information of the indoor space using a camera. In this case, the camera can track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camera can use infrared rays to track users at night or in dark indoor areas.

또한, 재실률분석부(122)는 건물의 실내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재실률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재실률분석부(122)는 실내공간 중 사용자의 이동경로의 중첩도가 기 설정치 이상인 구역을 대표존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재실률분석부(122)는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가장 중첩도가 높은 대표존에 대한 재실률을 해당 공간의 재실률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실내 공간 전체에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도 대표존에 대한 재실률을 판단함으로써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대표존은 실내공간 내에 적어도 1개 이상 설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is also capable of calculating the occupancy rate by dividing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into a plurality of areas. For example,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sets an area in which the overlap of the user's movement path is more than a preset value among the indoor spaces as a representative zone. Here,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n track the user's movement path and set the occupancy rate for the representative zone with the highest degree of overlap as the occupancy rate for the corresponding space. This is to reduce costs by determining the occupancy rate for representative zones without installing cameras throughout the entire indoor space. At least one such representative zone can be set within the indoor space.

또한, 재실률분석부(122)는 건물 내의 실내공간의 이산화탄소량을 기준으로 재실률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실률분석부(122)는 건물 내에 복수의 가스센서로부터 이산화탄소량을 수집하여 재실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센서는 이산화탄소 외에 유해가스 성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실률분석부(122)는 대표존이 설정된 경우에는 해당 대표존에 가스센서를 설치하여 이산화탄소량을 획득하여 재실률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스센서는 이동형 로봇 형태로 형성되어 실내 영역을 이동하면서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시간대별로 사용자의 인원수가 가변되는 구역인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is also capable of calculating the occupancy rate based o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indoor space within the building.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n calculate the occupancy rate by collect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from a plurality of gas sensors in the building. For example, gas sensors can measure harmful gas components other than carbon dioxide. When a representative zone is set,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may install a gas sensor in the representative zone to obtain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calculate the occupancy rate. In this case, the gas sensor is formed in the form of a mobile robot, making it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while moving around the indoor area. This is to effectively measur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areas where the number of users varies depending on the time of day.

또한, 재실률분석부(122)는 실내 공간의 용도에 따라 재실단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재실률분석부(122)는 실내 공간의 용도 및 시간대별 재실률 테이블을 산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는 공간의 용도에 따라 재실률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재실률분석부(122)는 재실단계를 설정하여 현재 사용자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혼잡시간대에 0~3명까지는 혼잡도 1, 4~6명까지는 혼잡도 2, 7~9명까지는 혼잡도 3과 같이 재실단계를 설정한다면, 혼잡시간대에는 0~8명까지 혼잡도1, 9~16명까지는 혼잡도 2, 17~24명까지는 혼잡도 3과 같이 서로 다른 재실단계를 설정하게 된다.Additionally,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may set different occupancy levels depending on the use of the indoor space.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n calculate and manage an occupancy rate table by use and time of the indoor space. This is to reflect the variation in occupancy rate depending on the use of space. In this case,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n determine the current user level by setting the occupancy level. For example, if you set the occupancy level as congestion level 1 for 0 to 3 people during off-peak hours, occupancy level 2 for 4 to 6 people, and 3 for 7 to 9 people, then during busy hours, occupancy level 1 for 0 to 8 people. Different occupancy levels are set, such as congestion level 2 for 9 to 16 people and congestion level 3 for 17 to 24 people.

또한, 재실률분석부(122)는 이산화탄소량과 영상정보를 통해 산출된 재실률을 비교하여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 영상정보를 이용한 재실률을 최종 재실률로 판단할 수 있다. 재실률분석부(122)는 이산화탄소량과 영상정보를 통해 산출된 재실률이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가스센서나 카메라의 이상으로 재실률의 편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람하기 위함이다. 재실률분석부(122)는 고장신호의 발생 후 이산화탄소량과 영상정보에 따른 재실률이 정상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알람을 해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ompares the occupancy rate calculated through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image information and, if a deviation occurs, may determine the occupancy rate using the image information as the final occupancy rate.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is also capable of outputting a failure signal when the occupancy rate calculated through the carbon dioxide amount and image information exceeds a preset normal range. This is to determine that a deviation in the occupancy rate has occurred due to a problem with the gas sensor or camera, and to alert the manager.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122 can cancel the alarm if the occupancy rat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nd image information is within the normal range after the failure signal is generated.

또한, 환경정보수집부(120)는 미세먼지감지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세먼지감지부(123)는 건물 내 미세먼지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에 설치된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미세먼지감지부(123)는 감지된 미세먼지농도를 기반으로 실내 공기질을 평가할 수 있다. 이는 같은 에너지 사용량을 보이는 경우라도 공기질에 대한 상대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환경정보수집부(120)는 절감량산출부(130)로 출력된다.Additionall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fine dust detection unit 123. The fine dust detection unit 123 can detec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within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can be detected using a fine dust sensor installed indoors. The fine dust detection unit 123 can evaluate indoor air quality based on the detected fine dust concentration. This is to enable relative evaluation of air quality even in cases with the same energy usage. This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20 is output to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절감량산출부(130)는 과거와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을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절감량산출부(130)는 제1 시간구간의 에너지 사용량인 베이스라인을 제2 시간구간의 환경정보일 경우에 대응하도록 수정한 수정베이스라인을 설정한다. 여기서, 베이스라인은 일, 월, 년 단위의 과거 에너지 사용량의 총합이다. 제1 시점의 베이스라인을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는 경우 환경정보에 대한 요소가 고려되지 않아 정확한 비교가 어렵다. 그러나, 수정베이스라인은 제1 시간구간의 에너지 사용량을 환경정보에 반영하여 현재 시점인 환경정보로 환산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설정하므로 보다 정확한 비교가 가능하다.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energy savings by comparing past and present energy usage. For example,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sets a modified baseline in which the baseline, which is the energy usage in the first time section, is modified to correspond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second time section. Here, the baseline is the sum of past energy usage on a daily, monthly, and yearly basis. When comparing the baseline at the first point in time with the current energy usage, accurate comparison is difficult because environmental information factors are not considered. However, the modified baseline sets the energy usage by reflecting the energy usage of the first time period i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converting it to the curr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reby enabling more accurate comparison.

절감량산출부(130)는 수정베이스라인의 환경정보와 제2 시간구간의 에너지 사용량의 환경정보는 서로 같거나 동일한 수준이므로 직접적인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구간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이 100, 재실률이 20%이고, 제2 시간구간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200, 재실률이 60%인 경우 절대적인 에너지 사용량은 제2 시간구간이 100이 많게 된다. 그러나, 환경정보를 반영하여 제1 시간구간의 에너지 사용량을 재실률이 60%로 환산하면 에너지 사용량은 300이 되므로, 제2 시간구간의 에너지 사용량은 오히려 100이 절감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순히 수치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이 아니라 환경정보를 고려한 실제 에너지 절감량을 확인할 수 있다.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can directly calculate the energy savings becau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modified baseline and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energy usage in the second time period are the same or at the same level. For example, if the energy usage in the first time section is 100 and the occupancy rate is 20%, and the energy use in the second time section is 200 and the occupancy rate is 60%, the absolute energy use is 100 in the second time section. It becomes a lot. However, if the energy use in the first time section is converted to an occupancy rate of 60% by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energy use becomes 300, so it can be seen that the energy use in the second time section is actually reduced by 1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eck the actual energy savings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information, rather than simply the energy savings based on numerical values.

또한, 절감량산출부(130)는 도 6과 같이 현재 설비(10)의 에너지 효율과 잔여 사용기한을 이용하여 설비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비비용은 해당 설비(10)를 운용시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이 경우, 각 설비(10)에 대한 사용기한이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루에 평균 10시간 사용되는 공조기의 에너지 효율을 반영하여 잔여 사용기한 동안의 사용되는 전력량을 비용으로 환산하면 설비비용이 산출된다. 절감량산출부(130)는 설비비용을 기준으로, 동일한 기간 내에 더 저렴한 대체설비(11)를 추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설비(10)의 설비비용과 대체설비(11)의 설비비용의 차이가 대체설비(11)의 구입비용보다 큰 경우에는 대체설비(11)를 추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기간의 설비(10) 사용에 따른 설비비용을 줄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can calculate the facility cost us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remaining use period of the current facility 10, as shown in FIG. 6 . Here, the equipment cost refers to the cost incurred when operating the relevant equipment 10.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expiration date for each facility 10 is determined. For example, the facility cost is calculated by reflect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n air conditioner that is used for an average of 10 hours a day and convert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during the remaining period of use into a cost.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may recommend cheaper alternative equipment 11 within the same period based on equipment cost. In this cas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ility cost of the existing facility (10) and the facility cost of the replacement facility (11) is greater than the purchase cost of the replacement facility (11), the replacement facility (11) may be recommended. Accordingly, equipment costs due to long-term use of the equipment 10 can be reduced.

화재감지부(140)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한다. 건물 내의 화재는 설비(10)에 설치된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건물의 주차장이나 설비실이나 일반 사무실 등의 화재를 감지한다. 여기서, 감지센서는 연기, 가스농도, 불꽃감지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감지부(140)는 건물 내 화재가 감지되면 화재정보를 설비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이는 설비제어부(150)를 통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설비(10)를 구동하거나, 화재로 인한 전력 차단시에 대비하여 비상조건으로 설비(10)를 구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fire detection unit 140 detects fire within the building. A fire within a building can be detected through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facility (10). In this case, a fire in a building's parking lot, equipment room, or general office is detected. Here, the detection sensor can detect a fire using at least one of smoke, gas concentration, flame detection, and temperature. When a fire in the building is detected, the fire detection unit 140 outputs fir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This is to operate the facility 10 capable of extinguishing a fire through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or to operate the facility 10 under emergency conditions in preparation for a power cut due to a fire.

설비제어부(150)는 산출된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기 설정된 절감량에 맞게 설비(10)에 대한 구동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설비제어부(150)는 각 설비(1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설비제어부(150)는 에너지 절감량을 최대로 하면서 실내의 쾌적존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비(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의 쾌적존은 사용자가 쾌적하게 느낄 수 있는 온도 및 습도 구간을 의미한다. 설비제어부(150)는 에너지 절감량을 기 설정치 이상을 유지하면서 쾌적존 내로 설비(1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쾌적함과 설비(10)의 에너지 절감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facility 10 to match the preset energy savings amount according to the calculated energy savings amount.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independently control each facility 10.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10 within a range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zone while maximizing energy savings. In this case, the indoor comfort zone refers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ction in which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simultaneously satisfy user comfort and energy savings of the facility 10 by controlling the facility 10 within the comfort zone while maintaining the energy savings amount above the preset value.

또한, 설비제어부(150)는 화재감지부(140)로부터 건물 내 화재가 감지된 화재정보에 따라 비상조건으로 설비(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제어부(150)는 화재감지부(140)로부터 화재 위험도가 높은 설비(10)에 대해서는 비상조건으로 구동을 중단하거나, 구동율을 낮출 수 있다. 이 겨웅, 설비제어부(150)는 관리자 측에 해당 설비(10)에 대한 화재위험도를 알람할 수 있다. 설비제어부(150)는 화재로 인한 건물의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비(10)에 예비전원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may operate the facility 10 under emergency conditions according to fire information on a fire detected within the building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40. For exampl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may stop operation of equipment 10 with a high fire risk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40 as an emergency condition or lower the drive rate. In this cas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alert the manager of the fire risk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10.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operate the facility 10 using spare power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building's power is cut off due to a fire.

또한, 설비제어부(150)는 이미 화재가 발생한 설비(10)가 있는 경우 산소가 공급되지 않도록 설비(10) 중 공조기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는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설비제어부(150)는 설비(10) 중 화재발생지와 근접한 경우 구동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화재로 인해 설비(10)의 구동을 미리 멈추어 추가적인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if a fire has already occurred in the facility 10,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in the facility 10 so that oxygen is not supplied. This is to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10 when it is close to a fire source. This is to prevent further spread of the fire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10 in advance due to the fire.

또한, 설비제어부(150)는 소화튜브를 이용하여 화재를 자체 진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소화튜브는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용품에 대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소화튜브는 설비(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설비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설비(10) 측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설비제어부(150)는 화재위험도가 높거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설비(10)에 대해 소화튜브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소화튜브는 설비(10) 외에도 지하주차장 등 설비(10)와 이격된 공간에도 설치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is also capable of extinguishing a fire on its own using a fire extinguishing tube. Her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is used in a comprehensive sense for fire extinguishing products in which digestive fluid is stored. The fire extinguishing tub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quipment 10, and fire extinguishing liquid can be sprayed on the equipment 10 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equipment control unit 150.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fire extinguishing tube to operate for the facility 10 that is estimated to have a high fire risk or a fire has occurred. In this cas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an be installed in a space separate from the facility 10,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in addition to the facility 10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또한, 설비제어부(150)는 사용자단말의 SNS를 분석하여 쾌적존을 수정하여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비제어부(150)는 건물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단말의 SNS 상 실내의 온도 등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설비(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100)에서 관리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이용불만 중 온도, 습도, 미세먼지 등과 관련한 사항을 수집하여 쾌적존을 수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설비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실내 온도 등에 대한 이용만족도가 기 설정치 미만인 경우 쾌적존을 수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is also capable of modifying and managing the comfort zone by analyzing SNS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facility 10 by collecting big data about indoor temperature, etc. on SNS of a user terminal located in a building.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the comfort zone by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temperature, humidity, fine dust, etc. among user complaints collected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managed by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100. In this cas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may modify the comfort zone when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with respect to indoor temperature, etc. is less than a preset valu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by reflecting the user's opinion.

또한, 설비제어부(150)는 건물의 이용용도를 분석하여 설비(10)의 구동을 스케줄에 따라 다르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비제어부(150)는 평일과 주말, 근무시간과 퇴근시간, 평일과 공휴일과 같이 이용빈도가 다른 경우에 설비(10)의 구동을 차별화하는 스케줄을 설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설비제어부(150)는 조명의 세기나, 공조기의 동작시간 등을 스케줄에 따라 수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사용자의 이용빈도에 따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스케줄로 설비(1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analyze the use of the building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10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hedule. For exampl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may set and control a schedule that differentiates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10 when the frequency of use is different, such as weekdays and weekends, working hours and off-hours, and weekdays and public holidays. In this case, the facility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intensity of lighting or the operating time of the air conditioner by modifying it according to a schedule. Accordingly, the facility 10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schedule that can save energy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the building's users.

도 7은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모델링부가 데이터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 중 모델링부가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ample diagram to explain how the modeling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creates a data model, and FIG. 8 shows the energy savings amount by the modeling unit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FIG. 1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This is an example to explain providing data.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절감량 관리서버(100)는 모델링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7 , the building energy savings management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deling unit 160.

모델링부(160)는 건물 내의 구역을 모델링화하여 에너지 절감량에 따른 데이터모델(161)을 생성한다. 모델링부(160)는 절감량산출부(130)로부터 에너지 절감량 데이터를 구역별로 수집하여 3D 형태의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링부(160)는 에너지 절감량을 구간별로 나누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데이터모델(161)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절감량에 따른 구간별 색상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도 5의 (a)는 하나의 건물 내에 층별로 에너지 절감량에 따른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b)는 같은 층 내에서도 구역별로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관리자가 전체 건물의 에너지 절감량 상태를 입체적인 데이터모델(161)을 이용하여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modeling unit 160 models areas within the building and generates a data model 161 according to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The modeling unit 160 may collect energy savings data by zone from the savings calculation unit 130 and create a 3D model. For example, the modeling unit 160 may divide the energy savings by section and generate the data model 161 in different colors. In this case, the color of each sec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Figure 5(a) shows that different colors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for each floor within one building. (b) shows that even within the same floor, colors ar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energy savings for each zone. This is to allow managers to easily determine the energy savings status of the entire building using the three-dimensional data model (161).

또한, 모델링부(160)는 건물 내 구역에 형성된 식별코드(162)를 이용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코드(162)는 바코드, 큐알코드, AR코드, NFC 태그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서와 같이 모델링부(160)는 사용자단말(20)로부터 구역의 식별코드(162)가 획득되어 전송되면, 해당 구역의 에너지 절감량을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건물 내 구역의 사용자가 자신의 구역의 에너지 절감량, 환경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자신의 구역의 기간별 에너지 절감량이나 환경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deling unit 160 can provide energy savings to the user using the identification code 162 formed in the area within the building. Here, the identification code 162 may be a barcode, QR code, AR code, or NFC ta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8 ,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162 of a zone is obtained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20, the modeling unit 160 can transmit the energy saving amount of the zone to the user terminal 20. This is to allow users in areas within the building to check the amount of energy saved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ir area. In this case,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amount of energy saved or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ach period in his or her area through the user terminal 20.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recitation of the claims, which are intended to cover obvious modifications that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bed embodiments.

100 : 건물 에너지 관리서버
110 : 사용량수집부
120 : 환경정보수집부
121 : 기후정보수집부
122 : 재실률분석부
123 : 미세먼지감지부
130 : 절감량산출부
140 : 화재감지부
150 : 설비제어부
160 : 모델링부
161 : 데이터모델
162 : 식별코드
100: Building energy management server
110: Usage collection unit
120: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121: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122: Occupancy rate analysis department
123: Fine dust detection unit
130: Savings calculation unit
140: Fire detection unit
150: Equipment control unit
160: modeling department
161: Data model
162: Identification code

Claims (5)

건물 내 전기, 가스 및 수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설비별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는 사용량수집부;
상기 건물에 대한 기후 및 재실률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환경정보수집부;
제1 시간구간의 상기 에너지 사용량인 베이스라인을 제2 시간구간의 상기 환경정보일 경우에 대응하도록 수정한 수정베이스라인을 설정하고, 상기 수정베이스라인을 상기 제2 시간구간의 상기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하여 에너지 절감량을 산출하고, 상기 설비의 에너지 효율과 잔여 사용기한을 이용한 설비비용을 산출하고, 상기 설비비용 미만의 비용으로 대체 가능한 대체설비를 추천하는 절감량산출부;
상기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부;
산출된 상기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기 설정된 절감량에 맞게 상기 설비에 대한 구동조건을 제어하되,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설비를 비상조건으로 제어하고, 상기 설비의 일측에 설치되어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튜브를 구동시켜 상기 화재를 진압하는 설비제어부; 및
상기 에너지 절감량의 데이터를 상기 건물 내 구역별로 수집하여 상기 에너지 절감량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표시되는 3D 형태의 데이터모델을 생성하고, 사용자단말로부터 상기 구역 내 형성된 식별코드가 획득되어 전송되면 상기 구역의 상기 에너지 절감량을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는 모델링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A usage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energy usage for each facility that consumes at least one of electricity, gas, and water in the building;
An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that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on climate and occupancy rate for the building;
Set a modified baseline in which the baseline, which is the energy usage in the first time section, is modified to correspond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e second time section, and compare the modified baseline with the energy usage in the second time section. a savings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energy savings, calculates facility costs using the energy efficiency and remaining use period of the facility, and recommends replacement facilities that can be replaced at a cost less than the facility cost;
A fir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fire within the building;
Depending on the calculated amount of energy savings,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facility are controlled to match the preset amount of savings. However, if a fire is detected, the facility is controlled to an emergency condition, and a fire extinguishing tu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acility and storing fire extinguishing fluid is driven. a facility control unit that extinguishes the fire; and
Data on the energy savings are collected for each zone within the building to create a 3D data model in which colors are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energy savings, and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formed in the zone is obtained 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includes a modeling unit that transmits energy savings to the us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수집부는,
상기 건물 내에서 설치된 스마트미터계로부터 상기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되, 상기 에너지 사용량이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장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age collection department,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collects the energy usage from a smart meter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outputs a fault signal when the energy usage exceeds a preset normal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수집부는,
상기 건물의 실내 및 실외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기후정보를 수집하는 기후정보수집부; 및
상기 건물 내의 실내공간을 기 설정된 구간으로 분할하여 이산화탄소농도 또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재실률을 분석하는 재실률분석부를 포함하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A climat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climate information including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building; and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includes an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that divides the indoor space within the building into preset sections and analyzes the occupancy rate us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r image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실률분석부는,
상기 실내공간 중 사용자의 이동동선의 중첩도가 기 설정치 이상인 구역을 대표존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존에 대한 재실률을 분석하는 화재감지용 건물 에너지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occupancy rate analysis unit,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ion that sets an area in the indoor space where the user's movement line overlap is greater than a preset value as a representative zone and analyzes the occupancy rate for the representative zone.
삭제delete
KR1020230012877A 2023-01-31 2023-01-31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KR102578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877A KR102578564B1 (en) 2023-01-31 2023-01-31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2877A KR102578564B1 (en) 2023-01-31 2023-01-31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564B1 true KR102578564B1 (en) 2023-09-14

Family

ID=8801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2877A KR102578564B1 (en) 2023-01-31 2023-01-31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6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4B1 (en) * 2011-03-18 2011-06-14 가진기업(주) Automatic controll system for saving energy and safety
KR20120097460A (en) * 2009-05-08 2012-09-04 액센츄어 글로벌 서비시즈 리미티드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alysis system
KR101821891B1 (en) * 2016-08-24 2018-01-24 김현성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for electric power
KR20200034194A (en) * 2018-09-21 2020-03-31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Energy Reduction St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416716B1 (en) * 2021-11-04 2022-07-05 (주)미래비엠 Server for managing energy of build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460A (en) * 2009-05-08 2012-09-04 액센츄어 글로벌 서비시즈 리미티드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alysis system
KR101041224B1 (en) * 2011-03-18 2011-06-14 가진기업(주) Automatic controll system for saving energy and safety
KR101821891B1 (en) * 2016-08-24 2018-01-24 김현성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for electric power
KR20200034194A (en) * 2018-09-21 2020-03-31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 주식회사 Energy Reduction St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KR102416716B1 (en) * 2021-11-04 2022-07-05 (주)미래비엠 Server for managing energy of build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문헌 1(정우웹진 김현수 기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5593B2 (en) Power-using device monitor
US8645495B2 (en) Facility maintenance and management system
US20110113360A1 (en) Facili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terface
US8874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fferent entities
AU2009275114B2 (en) Group Management Apparatus and Group Management System
Ouf et al. Effectiveness of using WiFi technologies to detect and predict building occupancy
CA2875777C (en) Radon detection and mitigation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1202457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entity
CN107942960A (en) A kind of intelligentiz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714392B2 (en) Multi-site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20160132839A1 (en) Systems and processes for facilities maintenance scheduling
KR101834776B1 (en) A system that provides integrated control of devices through re-installed information from servers
KR20160065052A (en) Apparatus for intergration indoor environment management
KR102085130B1 (en) Energy saving air conditioner management apparatus
KR102416716B1 (en) Server for managing energy of building
Kitzberger et al. Energy savings potential of occupancy-based HVAC control in laboratory buildings
KR20130133605A (en) System and method of real-time energy diagnosis for energy saving in building
KR102578564B1 (en)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ensing fire
KR102233937B1 (en) Server of health management using semantic analysis for sensing data of care plug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JP2005104635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planning facility operation, and facility operation system
US20110307099A1 (en) Device management system
KR20240066648A (en) Management server for saving energy of building using indoor rate
Ji et al. Occupancy detec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 based on IoT environment sensors
US11054800B1 (en) Intellig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with integrated BAS and FMS, and facility management method by same intelligent automatic building control system
JP4636191B2 (en) Building equipment management analy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