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802B1 -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802B1
KR102577802B1 KR1020160038757A KR20160038757A KR102577802B1 KR 102577802 B1 KR102577802 B1 KR 102577802B1 KR 1020160038757 A KR1020160038757 A KR 1020160038757A KR 20160038757 A KR20160038757 A KR 20160038757A KR 102577802 B1 KR102577802 B1 KR 102577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electrophoretic display
seal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2129A (en
Inventor
임우진
이동진
주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브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브릭
Priority to KR102016003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802B1/en
Publication of KR2017011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픽셀전극들을 포함하는 하부기판; 공통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이 배치된 셀층을 포함하는 상부기판; 및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기판의 상부 전체를 덮고, 상기 상부기판의 측면으로 연장된 밀봉층;을 포함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ower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An upper substrate including a common electrode and a cell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are disposed on the common electrode; and a sealing layer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covering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upper substrate, and extending to a side of the upper substrate.

Description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 이를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야외에서의 우수한 시인성, 뛰어난 저전력 특성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책, 모바일 디스플레이, 옥외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s have advantages such as excellent visibility outdoors and excellent low-power characteristics, so they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books, mobile displays, and outdoor display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1차 결합한 후, 상부기판 상부에 보호층을 2차 결합하는 2회의 라미네이션 공정 및 봉지공정이 필요하여 공정이 복잡하다.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has a complicated process because it requires two lamination and encapsulation processes to first bond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and then secondarily bond the protective layer to the top of the upper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베리어 필름 및 실링제 없이도 밀봉이 가능하여 봉지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k to provide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that can be sealed without a separate barrier film and sealant, thereby simplifying the encapsulation process,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통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 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이 배치된 셀층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복수의 픽셀전극들을 포함하는 제2 기판; 및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상부 전체를 덮고, 상기 제1 기판의 측면으로 연장된 밀봉층;을 포함한다.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including a common electrode and a cell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are disposed on the common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and a sealing layer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covering the entire top of the first substrate, and extending to a side of the first substrate.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착층, 상기 셀층 및 상기 공통전극을 차례로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the cell layer, and the common electro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ubstrate.

상기 밀봉층은, 상기 공통전극의 상부 전면과, 상기 공통전극, 상기 셀층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ommon electrode, the cell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착층, 상기 셀층, 상기 공통전극 및 제1 베이스기판을 차례로 구비할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n adhesive layer, the cell layer, the common electrode, and a first base substr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ubstrate.

상기 밀봉층은,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상부 전면과, 상기 제1 베이스기판, 상기 공통전극, 상기 셀층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an upper front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base substrate, the common electrode, the cell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상기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는 핫멜트(hot melt) 접착 물질일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be a hot melt adhesive material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70 degrees and 120 degrees.

상기 제2 기판은, 제2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상의 상기 픽셀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ubstrate may include a second base substrate and the pixel electrodes on the second base substrate.

상기 제2 베이스기판의 면적은 상기 상부기판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The area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bstrate.

상기 밀봉층은 상기 제2 베이스기판의 가장자리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an upper edge surfac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은, 제1 보호시트; 상기 제1 보호시트 상부의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밀봉재; 상기 밀봉재 상부의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부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이 배치된 셀층; 상기 셀층 상부의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부의 제2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rotective sheet; A sealant includ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on the first protective sheet; an electrode layer on top of the sealant; a cel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are disposed on the electrode layer; An adhesive layer on top of the cell layer; and a second protective sheet on top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밀봉재는 2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sealant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500 μ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은,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의 일 면 상의 전극층; 상기 전극층 상부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이 배치된 셀층; 상기 셀층 상부의 점착층; 상기 베이스기판의 타 면 상의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밀봉재; 및 상기 점착층 및 상기 밀봉재의 적어도 일 측에 구비된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ubstrate; an electrode layer on one side of the base substrate; a cell layer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are disposed on the electrode layer; An adhesive layer on top of the cell layer; a sealant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on the other side of the base substrate; and a protective sheet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sealant.

상기 밀봉재는 20 내지 5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sealant may have a thickness of 20 to 500 μ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은,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밀봉재, 제1 전극층,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이 배치된 셀층이 구비된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제2 전극층이 구비된 제2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셀층이 상기 제1 기판을 마주하도록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얼라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하고, 상기 밀봉재의 상 변화를 유도하여 상기 상 변화된 밀봉재에 의해 상기 제1 기판의 상부 전면과 상기 셀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roviding a first substrate having a sealing material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 first electrode layer, and a cell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are arranged; Providing a second substrat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layer; align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so that the cell layer faces the first substrate; and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to coupl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inducing a phase change in the sealing material, and causing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o be formed by the phase-changed sealing material. and forming a sealing layer that seals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layer.

상기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보호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호시트 상부에 상기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봉재 상부에 상기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 상부에 상기 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층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includes preparing a protective sheet; Forming the sealing material on the top of the protective sheet; form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ealant; forming the cell layer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op of the cell layer.

상기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보호시트를 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may further include peeling off the first protective sheet.

상기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베이스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일 면에 상기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타 면에 상기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 상부에 상기 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층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may include preparing a first base substrate; forming the sealing material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form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forming the cell layer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op of the cell layer.

상기 밀봉재는 20 내지 5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밀봉층의 두께는 상기 밀봉재의 두께보다 낮을 수 있다. The sealing material has a thickness of 20 to 5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layer may be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밀봉층과 전극층이 일체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봉지 공정 없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어, 공정을 단순화하고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without a separate encapsulation process by providing a display film in which a sealing layer and an electrode layer are integrated,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reducing the defect 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h는 도 2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도 5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H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A to 6G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of FIG. 5.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not in a limiting sense but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example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A)은 기판(11), 기판(11)의 일 면에 차례로 배치된 전극층(12), 셀층(13) 및 점착층(14)과, 기판(11)의 타 면에 배치된 밀봉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A includes a substrate 11, an electrode layer 12, a cell layer 13, and an adhesive layer 14 sequenti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 and the substrate 11. ) may include a sealant 15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기판(11)은 투과율이 높은 광투명 소재로서, 80% 이상의 고투과율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베이스 필름일 수 있다. 기판(11)은 광투과율이 우수한 투명고분자필름으로서,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ubstrate 11 is an optically transparent material with high transmittance, and may be a base film formed of a material with a high transmittance of 80% or more. The substrate 11 is a transparent polymer film with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is made of polyethersulphone (PES), polyac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PC), cellulose triacetate (TAC), etc. It can be done,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기판(11)의 일 면에는 전극층(12), 셀층(13) 및 점착층(14)이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An electrode layer 12, a cell layer 13, and an adhesive layer 14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11.

전극층(12)은 셀층(13)에 공통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층(12)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ZnO, 및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de layer 12 may include a common electrode formed in a plate shape to be common to the cell layer 13. The electrode layer 12 includes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zinc tin oxide (IZTO), aluminum zinc oxide (AZO), ZnO, and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can do.

셀층(13)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셀은 유체에 배치되고 전계의 영향 하에서 유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대전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ell layer 13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The display cell may include an electrophoretic material disposed in a fluid and containing at least one charged particle that can move through the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electric field.

점착층(14)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감압 점착제는 구성 부재의 광학적 특성 변화를 방지하고, 접착 처리시의 경화나 건조시의 고온 프로세스를 요하지 않는 소재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착층(14)은 아크릴계 중합체나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나 합성 고무 등의 적절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14)은 에너지(예를 들어, 열 또는 UV 등)에 의해 경화될 수 있거나 또는 비경화될 수도 있다. 점착층(14)은 밀봉재(15)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4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vents changes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constituent members, and materials that do not require curing during adhesive treatment or high temperature processes during drying can be used.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4 can be made of an appropriate polymer such as acrylic polymer, silicone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polyether, or synthetic rubber. The adhesive layer 14 may be cured by energy (eg, heat or UV, etc.) or may be uncured. The adhesive layer 14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alant 15.

기판(11)의 타 면에는 밀봉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A sealant 15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11.

밀봉재(15)는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대략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으며 밀봉성과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 접착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밀봉재(15)는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이들의 코폴리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스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 폴리비닐부티랄,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즉,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수지(즉, 질산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르산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또는 상기의 재료 중 어느 하나의 코폴리머(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및 스티렌-부타디엔블록 코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alant 15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be a hot melt adhesive material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approximately 70 degrees and 120 degrees Celsius and has seal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For example, the sealant 15 may be made of polyolefin (e.g.,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and copolymers thereof), polytetrafluoroethylene, polyester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vinyl acetate, and vinyl chloride acetic acid. Vinyl copolymer, polyvinyl butyral, acrylic resin (e.g., polyacrylate, and polymethyl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olyamide (i.e., nylon),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styrene, Polyvinyl alcohol, polyurethane, cellulose resin (i.e., cellulose nitrat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obutyrate, ethyl cellulose, etc.), or a copolymer of any of the above materials (e.g.,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and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but is not limited to these.

밀봉재(15)는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ant 15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he sealant 15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to block ultraviolet rays.

밀봉재(15)는 열가소성 수지 물질이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밀봉재(15)는 대략 20 내지 500㎛의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1)는 밀봉재(15)가 열에 의해 녹아 흘러내린 후, 기판(11)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11) 상부에 잔존하는 두께 및 셀층(13)의 측면을 밀봉하기 위한 두께의 합 이상일 수 있다. The sealant 15 may be a hardened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The sealant 15 may have a first thickness T1 of approximately 20 to 500 μm. The first thickness T1 is the thickness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11 to protect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11 after the sealing material 15 melts and flows down due to heat and the thickness for sealing the side of the cell layer 13. It may be more than the sum.

점착층(14)은 보호시트(PS)로 덮여 있다. 보호시트(PS)는 점착층(14)의 면에 이물질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마찰계수가 매우 낮거나, 점착층(14)과 조직 및 구성이 다른 이형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14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sheet (PS). The protective sheet (PS) is a mean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4, and may be formed of a release film with a very low friction coefficient or a differ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from the adhesive layer 14.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1)는 하부기판(300), 하부기판(300)과 결합되고 셀층(130)을 포함하는 상부기판(100) 및 밀봉층(150a)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lower substrate 300, an upper substrate 100 coupled to the lower substrate 300 and including a cell layer 130, and a sealing layer 150a. there is.

상부기판(100)은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베이스기판(110)의 일 면에 차례로 배치된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기판(100)의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A)의 기판(11), 전극층(12), 셀층(13) 및 점착층(14)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The upper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base substrate 110, a first electrode layer 120, a cell layer 130, and an adhesive layer 140 sequenti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first electrode layer 120, cell layer 130, and adhesive layer 140 of the upper substrate 100 are the substrate 11 of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A shown in FIG. 1, It may correspond to the electrode layer 12, the cell layer 13, and the adhesive layer 14, respectively.

제1 베이스기판(110)은 투과율이 높은 광투명 소재로서, 80% 이상의 고투과율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베이스 필름일 수 있다. 제1 베이스기판(110)은 광투과율이 우수한 투명고분자필름으로서,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is an optically transparent material with high transmittance, and may be a base film formed of a material with a high transmittance of 80% or more.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is a transparent polymer film with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and includes polyethersulphone (PES, polyethersulphone), polyacrylate (PAR, polyacrylate), polyetherimide (PEI, polyetherimid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 polyethyelenen napthalate, polyethye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PC), cellulose triacetate (TAC). It can be formed as, but is not limited to this.

제1 전극층(1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에 대해 동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에 공통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시인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ZnO, 및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apply the same voltage to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include a common electrode formed in a plate shape to be common to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viewing side, and may includ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zinc tin oxide (IZTO), aluminum zinc oxide (AZO), ZnO, and transparent (TCO). It can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nductive oxide.

셀층(13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은 단일 층 또는 복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층의 디스플레이 셀(133)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셀(133)은 적어도 하나의 입자(131) 및 유체(132)를 캡슐화한 마이크로캡슐일 수 있다. In the cell layer 130,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may be arranged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single layer display cell 133 is shown. The display cell 133 may be a microcapsule encapsulating at least one particle 131 and a fluid 132.

입자(131)는 (+) 극성 또는 (-) 극성으로 대전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입자(131)는 유기 또는 무기 화합물일 수 있으며, 광을 흡수하거나 또는 광을 산란시킬 수 있다. 입자(131)는 금속 입자와 같은 반사 물질일 수 있다. 입자(131)는 컬러 입자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극성으로 대전된 입자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입자(131)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두 가지 종류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종류의 입자의 컬러는 상이할 수 있다. Particles 131 may be charged with (+) polarity or (-) polarity, and may have various colors. The particles 131 may be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and may absorb or scatter light. The particles 131 may be reflective materials such as metal particles. Particles 131 may be colored particles. Although the embodiment of Figure 1 includes only particles charged with one polarit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articles 131 may include two types of particles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colors of the two types of particles may be different.

유체(132)는 물(water),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부탄올(Butanol),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톨루엔(Toluene), 벤젠(Benzene),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아이소파라핀 오일(Isoparaffin oil),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트리에칠헥사노인, 디메치콘, 세틸오타노에이트, 디카프릴레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토코페놀아세테이트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132)는 형광물질, 인광물질, 또는 발광물질 등을 포함하거나 에너지가 인가됨에 따라 컬러 특성이 변화하는 색 가변 물질(예를 들면, 시온안료물질, 시온염료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uid 132 is water, methanol, ethanol, propanol, butanol, propylene carbonate, toluene, benzene, and hexane. ), Chloroform, Isoparaffin oil, silicone oil, ester oil, hydrocarbon oil, triethylhexanoin, dimethicone, cetyl otanoate, dicaprylate, isopropyl myristate, toco It may contain substances such as phenol acetate. The fluid 132 may include a fluorescent material, a phosphorescent material, or a luminescent material, or a color variable material whose color characteristics change as energy is applied (e.g., a Zion pigment material, a Zion dye material, etc.). .

디스플레이 셀(133)은 바인더(13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바인더(135)는 아크릴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에스테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아미드계 고분자, 에테르계 고분자, 플루오르계 고분자 및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135)는 형광물질, 인광물질, 발광물질 등이 포함되거나 에너지가 인가됨에 따라 컬러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예를 들면, 시온안료물질, 시온염료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135)는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The display cell 133 may be fixed within the binder 135. The binder 135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parent polymer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polymer, silicone polymer, ester polymer, urethane polymer, amide polymer, ether polymer, fluorine polymer, and rubber. Additionally, the binder 135 may include a fluorescent material, a phosphorescent material, a light-emitting material, or a material whose color characteristics change as energy is applied (eg, a Zion pigment material, a Zion dye material, etc.). The binder 135 may be in a hardened state.

셀층(130)은 점착층(140)을 통해 하부기판(300)과 결합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감압 점착제는 구성 부재의 광학적 특성 변화를 방지하고, 접착 처리시의 경화나 건조시의 고온 프로세스를 요하지 않는 소재가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착층(140)은 아크릴계 중합체나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나 합성 고무 등의 적절한 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에너지(예를 들어, 열 또는 UV 등)에 의해 경화될 수 있거나 또는 비경화될 수도 있다. 점착층(140)은 제2 베이스기판(310) 및 픽셀 전극(320)과 접촉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밀봉층(150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ell layer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lower substrate 30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4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events changes in the optical properties of constituent members, and materials that do not require curing during adhesive treatment or high temperature processes during drying can be used.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made of an appropriate polymer such as acrylic polymer, silicone polymer, polyester, polyurethane, polyether, or synthetic rubber.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cured by energy (eg, heat or UV, etc.) or may be uncured. The adhesive layer 140 may contact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and the pixel electrode 32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aling layer 150a.

하부기판(300)은 제2 베이스기판(310) 및 픽셀 전극(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bstrate 300 may include a second base substrate 310 and pixel electrodes 320.

제2 베이스기판(310)은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의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기판(310)은 절연성 유기물일 수 있는데,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제2 베이스기판(310)은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포일, 또는 배면이 금속층으로 코팅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and metal. For example,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an insulating organic material, such as polyethersulphone (PES), polyac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or polyethylene naphthalate ( 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olycarbonate (PC), cellulose triacetate (TAC) ),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include a metal foil containing a metal such as silver or aluminum, or a plastic film whose back surface is coated with a metal layer.

제2 베이스기판(310)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둘둘 말릴 수 있는 연성 재질의 기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베이스기판(310)은 연성(flexile)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베이스기판(310)은 페놀 계열 또는 에폭시 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제2 베이스기판(310)은 경성(rigid)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a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curved, or rolled. In this case,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made of phenol-based or epoxy-based synthetic resin. In this case,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a rigid printed circuit board.

제2 베이스기판(310)의 일 면에는 복수의 픽셀전극(320)들이 배치된 제2 전극층이 구비될 수 있다. 픽셀 전극(3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에 동일 또는 상이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픽셀 전극(320)은 단위 픽셀마다 구비되어 단위 픽셀마다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단위 픽셀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셀(133) 또는 서로 다른 컬러를 나타낼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픽셀 전극(320)은 구리, 알루미늄, 산화 인듐 주석(ITO: Indium Tin Oxide) 또는 산화 인듐 아연(IZO: Indium Zinc Oxide)의 단층구조 또는 구리, 알루미늄, ITO 또는 IZO의 물질에 니켈 또는 금 등이 더 적층된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electrode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320 are dispos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The pixel electrode 320 may apply the same or different voltage to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e pixel electrode 320 is provided for each unit pixel and can be driven independently for each unit pixel. A unit pixel may be composed of one display cell 133 or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at can display different colors. The pixel electrode 320 has a single-layer structure of copper, aluminum, indium tin oxide (ITO), or indium zinc oxide (IZO), or a material of copper, aluminum, ITO, or IZO with nickel or gold. It can be further formed into a laminated multi-layer structure.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베이스기판(310)과 픽셀 전극(3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배선들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능동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passive element and wi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and the pixel electrode 320, and in some cases, an active switching element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a thin film transistor may be further included. can do.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전면과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판(100)에 일체로 구비되었던 경화된 상태의 밀봉재가 열에 의해 녹으면서 형성된 형태가 상온에서 다시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may cover both the upper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bstrate 100. As shown in FIG. 1, the sealing layer 150a may be formed by melting the cured sealant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bstrate 100 by heat and curing it again at room temperature.

밀봉층(150a)은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으며 밀봉성과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밀봉층(150a)는 폴리올레핀(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및 이들의 코폴리머),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스테르(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 폴리비닐부티랄, 아크릴 수지(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미드(즉,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우레탄, 셀룰로오스 수지(즉, 질산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아세토부티르산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또는 상기의 재료 중 어느 하나의 코폴리머(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코폴리머, 에틸렌-아크릴산 코폴리머 및 스티렌-부타디엔블록 코폴리머)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ealing layer 150a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include a hot melt composition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70 degrees and 120 degrees and has seal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For example, the sealing layer 150a may be made of polyolefin (e.g.,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ylene, and copolymers thereof), polytetrafluoroethylene, polyester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vinyl acetate, and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vinyl butyral, acrylic resins (e.g., polyacrylates, and polymethyl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olyamides (i.e., nylon),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styrene. , polyvinyl alcohol, polyurethane, cellulose resin (i.e., cellulose nitrat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obutyrate, ethyl cellulose, etc.), or a copolymer of any of the above materials (e.g.,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thylene -acrylic acid copolymer and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but is not limited to these.

밀봉층(150a)은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he sealing layer 150a may include a UV blocking material to block UV rays.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전체를 덮고, 상부기판(100)의 측면으로 연장되고, 하부기판(300)의 상부면에서 하부기판(300)과 접촉한다.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전체, 상부기판(100)의 측면, 하부기판(300)의 상부면까지 공간 없이 밀봉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에서 제2 두께(T2)를 갖고, 상부기판(100)의 측면에서 제3 두께(T3)를 갖는다. 제2 두께(T2) 및 제3 두께(T3)는 도 1에 도시된 밀봉재(15)의 제1 두께(T1)보다 낮을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covers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upper substrate 100, extends to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contacts the lower substrate 300 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0. The sealing layer 150a can seal the entire top of the upper substrate 100,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0 without space. The sealing layer 150a has a second thickness T2 at the top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a third thickness T3 at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 The second thickness T2 and the third thickness T3 may be low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sealant 15 shown in FIG. 1 .

하부기판(300)의 면적은 상부기판(10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및 측면을 모두 커버하면서 상부기판(100)이 위치하지 않고 노출된 하부기판(300)의 가장자리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The area of the lower substrate 300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bstrate 100. The sealing layer 150a may cover both the top and sides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300 that is exposed without the upper substrate 100.

도 3a 내지 도 3h는 도 2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s 3A to 3H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of Figure 2.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기판(110)의 일 면에 밀봉재(15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베이스기판(110)은 PET, PEN, PES, PAR, PC 등과 같은 투명고분자필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3A, a sealing material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may be a transparent polymer film such as PET, PEN, PES, PAR, PC, et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밀봉재(150)는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대략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으며 밀봉성과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0)는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0)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0)는 대략 20 내지 500㎛의 제1 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alant 150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include a hot melt composition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approximately 70 degrees and 120 degrees and has seal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The sealant 150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he sealant 150 may include a UV blocking material to block UV rays. The sealant 150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T1 of approximately 20 to 500 μm.

도 3b를 참조하면, 제1 베이스기판(110)의 타 면에 제1 전극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제1 베이스기판(110)의 타 면에 ITO, IZO, IZTO, AZO, ZnO 및 TC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기판(110)의 타 면에 제1 전극층(120)을 건식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층(120)을 스퍼터링 공정을 통해 상부기판(11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B,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from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IZTO, AZO, ZnO, and TCO.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rough a dry process.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bstrate 110 through a sputtering process.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전극층(120) 상에 셀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C, a cell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셀층(130)은 액상의 바인더(135, 도 2)에 디스플레이 셀(133, 도 2)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액상의 바인더(135)와 디스플레이 셀(133)들이 혼합된 페이스트를 제1 전극층(120) 상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도포하여 코팅 또는 인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코팅은 패치 다이 코팅, 슬롯 또는 압출 코팅, 슬라이드 또는 캐스케이드 코팅, 커튼 코팅,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메니스커스 코팅, 스핀 코팅, 브러시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쇄는 실크 스크린 프린팅, 정전 프린팅, 열 프린팅, 잉크 젯 프린팅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액상의 바인더(135)는 열 또는 UV 조사에 의해 열경화 또는 광경화될 수 있다. The cell layer 130 is formed by mixing the display cells 133 (FIG. 2) with the liquid binder 135 (FIG. 2) at a certain ratio, and applying the paste mixed with the liquid binder 135 and the display cells 133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It can be formed by applying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n (120) and coating or printing. Coating can be performed by patch die coating, slot or extrusion coating, slide or cascade coating, curtain coating, roll coating, gravure coating, dip coating, spray coating, meniscus coating, spin coating, brush coating, air knife coating, etc. there is. Printing can be performed by silk screen printing, electrostatic printing, thermal printing, ink jet printing, etc. The liquid binder 135 may be heat-cured or photo-cured by heat or UV irradiation.

도 3d를 참조하면, 셀층(130) 상에 점착층(140)을 도포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감압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D,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applied on the cell layer 13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도 3e를 참조하면, 점착층(140) 상에 점착층(140)의 면에 이물질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호시트(PS)를 부착할 수 있다. 보호시트(PS)는 마찰계수가 매우 낮거나, 점착층(140)과 조직 및 구성이 다른 이형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시트(RS)가 부착된 상태에서 셀층(130)이 테스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E, a protective sheet (PS) can be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140 as a mean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40. The protective sheet (PS) may have a ver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or may be formed of a release film that has a different texture and composition from the adhesive layer 140. The cell layer 130 can be tested with the protective sheet RS attached.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밀봉재(150)가 먼저 형성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 보다 밀봉재(150)가 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셀층(130)의 손상 방지 측면에서 밀봉재(150)가 먼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aling material 150 is formed first, bu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ealing material 150 is formed later than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can be formed. However, in terms of preventing damage to the cell layer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material 150 is formed first.

도 3f를 참조하면, 밀봉재(150)가 일체로 구비된 상부기판(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0A)은 하부기판(300)과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F, the upper substrate (or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0A integrally equipped with the sealing material 150 may be combined with the lower substrate 300.

하부기판(300)은 제2 베이스기판(310, 도 2)과 제2 베이스기판(310)의 일 면에 복수의 픽셀전극(320, 도 2)들을 구비할 수 있다. The lower substrate 300 may include a second base substrate 310 (FIG. 2) and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320 (FIG. 2) on one sid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제2 베이스기판(410)은 PET, PEN, PES, PAR, PC 등과 같은 투명고분자필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기판(410)은 연성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FPCB 기판을 적용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공정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econd base substrate 410 may be a transparent polymer film such as PET, PEN, PES, PAR, or PC.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base board 41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y applying an FPCB substrate,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cess yield can be improved.

픽셀전극(420)들은 단위 픽셀에 대응하도록 단위 픽셀마다 형성될 수 있다. 픽셀전극(42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불투명 도전층 또는 ITO, IZO, IZTO, AZO, ZnO 및 TCO와 같은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Pixel electrodes 420 may be formed for each unit pixel to correspond to the unit pixel. The pixel electrode 420 is an opaque conductive layer containing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or an alloy thereof, or ITO, IZO, IZTO, AZO, ZnO. And it can be formed by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such as TCO and then patterning.

상부기판(100A)으로부터 보호시트(PS)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층(140)이 하부기판(300)을 마주하도록 상부기판(100A)을 하부기판(300)의 상부에 얼라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열 압착, 롤링 등의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상부기판(100A)과 하부기판(300)을 결합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sheet (PS) can be peeled off from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upper substrate 100A can be align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ubstrate 300 so that the exposed adhesive layer 140 faces the lower substrate 300. . Additionally,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lower substrate 300 can be joined by a lamination process such as thermal compression or rolling.

도 3g를 참조하면, 상부기판(100A) 및/또는 하부기판(300)으로 에너지(예를 들어, 열)를 가하여 밀봉층(15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기판(100A) 및/또는 하부기판(300)은 핫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거나 가열된 오븐 내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G, energy (eg, heat)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bstrate 100A and/or the lower substrate 300 to form the sealing layer 150a. The upper substrate 100A and/or the lower substrate 300 may be placed on a hot plate or in a heated oven.

상부기판(100A)과 하부기판(300)은 밀봉재(150)가 녹을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 온도는 상부기판(100A)과 하부기판(300)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약 70도 내지 120도 정도일 수 있다.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lower substrate 300 may be heated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sealing material 150 can melt. This temperature may be about 70 to 120 degrees to the extent that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lower substrate 300 are not damaged.

밀봉재(150)는 열에 의해 녹게 된다. 용해된 밀봉재(150)는 제1 베이스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의 측면을 지나 제2 베이스기판(310)의 가장자리까지 흘러내릴 수 있다. The sealant 150 is melted by heat. The dissolved sealant 150 pas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rough the sides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to the second base substrate. It may flow down to the edge of the substrate 310.

이후, 상부기판(100A) 및 하부기판(300)이 상온 상태에 놓이게 되면, 밀봉재(150)는 다시 고체화되어, 밀봉층(15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기판(110) 상부에 형성된 밀봉층(150a)의 제2 두께(T2)와 상부기판(100A)의 측면에 형성된 밀봉층(150a)의 제2 두께(T2)와는 밀봉재(150)의 제1 두께(T1) 보다 낮을 수 있다. 밀봉층(150a)의 모서리에서의 제4 두께(T4)는 제2 두께(T2)와 제3 두께(T3) 보다 낮을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lower substrate 300 are placed at room temperature, the sealing material 150 solidifies again to form the sealing layer 150a. Accordingly,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aling layer 150a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aling layer 150a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A are different from the sealing material 150. ) may be low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The fourth thickness T4 at the edge of the sealing layer 150a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2 and the third thickness T3.

밀봉층(150a)은 제1 베이스기판(110)의 상부와,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의 측면(주변부)과, 및 하부기판(300)의 가장자리 상부를 일체로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층(150a)은 제1 베이스기판(110)의 상부 전면과,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의 측면과, 및 하부기판(300)의 가장자리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층(150a)과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 간에 공간 없이 밀봉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is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sid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300 can be integrally covered. Specifically, the sealing layer 150a is form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and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0. Accordingly, the sealing layer 150a,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can be sealed without space.

도 3f에 도시된 상부기판(100A)과 하부기판(300)의 결합 공정 및 도 3g에 도시된 밀봉층(150a) 형성 공정은 상부기판(100A)과 하부기판(300)에 열 및 압력을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The joining process of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lower substrate 300 shown in FIG. 3F and the forming process of the sealing layer 150a shown in FIG. 3G simultaneously apply heat and pressure to the upper substrate 100A and the lower substrate 300. This can be done simultaneously by authorizing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B)은 전극층(12), 전극층(12)의 일 면에 차례로 배치된 셀층(13) 및 점착층(14)과, 전극층(12)의 타 면에 배치된 밀봉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B includes an electrode layer 12, a cell layer 13 and an adhesive layer 14 arranged in that order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12, and an electrode layer 12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layer 12. It may include a disposed sealant 15.

도 4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B)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A)에서 기판(11)이 제거된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 그 외 동일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B shown in FIG. 4 differs from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A shown in FIG. 1 in that the substrate 11 is removed.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other identical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전극층(12)의 일 면에 셀층(13) 및 점착층(14)이 차례로 구비될 수 있다. A cell layer 13 and an adhesive layer 14 may be sequential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layer 12.

전극층(12)의 타 면에 밀봉재(15)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재(15)는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대략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으며 밀봉성과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 접착 물질일 수 있다. 밀봉재(15)는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는 대략 20 내지 500㎛의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두께(T1)는 밀봉재(15)가 열에 의해 녹아 흘러내린 후, 기판(11) 상부를 보호하기 위해 기판(11) 상부에 잔존하는 두께 및 셀층(13)의 측면을 밀봉하기 위한 두께의 합 이상일 수 있다. A sealant 15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layer 12. The sealant 15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be a hot melt adhesive material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approximately 70 degrees and 120 degrees Celsius and has seal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The sealant 15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he sealant 15 may include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to block ultraviolet rays. The sealant 15 may have a first thickness T1 of approximately 20 to 500 μm. The first thickness T1 is the thickness remaining on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11 to protect the upper part of the substrate 11 after the sealing material 15 melts and flows down due to heat and the thickness for sealing the side of the cell layer 13. It may be more than the sum.

밀봉재(15)의 노출된 면에는 제1 보호시트(PS1)가 부착되고, 점착층(14)의 노출된 면에는 제2 보호시트(PS)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보호시트(PS1) 및 제2 보호시트(PS)는 각각 밀봉재(15)와 점착층(14)의 면에 이물질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보호시트(PS1) 및 제2 보호시트(PS)는 마찰계수가 매우 낮거나, 밀봉재(15) 및 점착층(14)과 각각 조직 및 구성이 다른 이형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protective sheet (PS1) may be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sealant 15, and a second protective sheet (PS) may be attached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4. The first protective sheet PS1 and the second protective sheet PS may function as a mean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s of the sealant 15 and the adhesive layer 14, respectively. The first protective sheet (PS1) and the second protective sheet (PS) may have a ver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or may be formed of a release film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from the sealing material 15 and the adhesive layer 14, respectively.

도 4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B)은 밀봉재(15)가 제1 전극층(12)이 형성되는 베이스기재로서 기능함으로써 전체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감소, 원자재 비용 절감, 기판에 기인한 프레넬 반사에 의한 광특성 저하 방지 효과가 있다. In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B shown in FIG. 4, the sealing material 15 functions as a base material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layer 12 is formed, there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entire display module, reducing raw material costs, and reducing Fresnel reflection due to the substrat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grad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2)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기판(110)이 제거된 점에 차이가 있다. 이하, 그 외 동일한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2 shown in FIG. 5 differs from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1 shown in FIG. 2 in that the substrate 110 is removed.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other identical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2)는 하부기판(300) 및 하부기판(300)과 결합된 상부기판(100'), 상부기판(100')을 커버하는 밀봉재(150a)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2 includes a lower substrate 300, an upper substrate 100' coupled to the lower substrate 300, and a sealing material 150a covering the upper substrate 100'. can do.

상부기판(100')은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기판(100')의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은 도 4에 도시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B)의 전극층(12), 셀층(13) 및 점착층(14)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The upper substrate 1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layer 120, a cell layer 130, and an adhesive layer 14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cell layer 130, and adhesive layer 140 of the upper substrate 100' are the electrode layer 12, cell layer 13, and adhesive layer of the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B shown in FIG. 4. Each of (14) can be responded to.

제1 전극층(1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에 대해 동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에 공통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시인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ZTO(indium zinc tin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ZnO, 및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apply the same voltage to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include a common electrode formed in a plate shape to be common to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provided on the viewing side, and may includ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zinc tin oxide (IZTO), aluminum zinc oxide (AZO), ZnO, and transparent (TCO). It can be form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conductive oxide.

셀층(13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은 단일 층 또는 복수 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층의 디스플레이 셀(133)을 도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셀(133)은 적어도 하나의 입자(131) 및 유체(132)를 캡슐화한 마이크로캡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셀(133)은 바인더(135)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바인더(135)는 경화된 상태일 수 있다. In the cell layer 130,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may be arranged in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 thi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single layer display cell 133 is shown. The display cell 133 may be a microcapsule encapsulating at least one particle 131 and a fluid 132. The display cell 133 may be fixed within the binder 135. The binder 135 may be in a hardened state.

셀층(130)은 점착층(140)을 통해 하부기판(300)과 결합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140)은 하부기판(310) 및 픽셀 전극(320)과 접촉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밀봉층(150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ll layer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lower substrate 300 through the adhesive layer 14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bstrate 310 and the pixel electrode 32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aling layer 150a.

하부기판(300)은 제2 베이스기판(310) 및 픽셀 전극(320)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bstrate 300 may include a second base substrate 310 and pixel electrodes 320.

제2 베이스기판(310)은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의 기판일 수 있다. 제2 베이스기판(310)의 일 면에는 복수의 픽셀전극(320)들이 배치된 제2 전극층이 구비될 수 있다. 픽셀 전극(32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에 동일 또는 상이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픽셀 전극(320)은 단위 픽셀마다 구비되어 단위 픽셀마다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단위 픽셀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셀(133) 또는 서로 다른 컬러를 나타낼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133)들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and metal. A second electrode layer on which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320 are dispos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The pixel electrode 320 may apply the same or different voltage to the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e pixel electrode 320 is provided for each unit pixel and can be driven independently for each unit pixel. A unit pixel may be composed of one display cell 133 or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133 that can display different colors.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기판(310)과 픽셀 전극(3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및 배선들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박막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능동 스위칭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passive element and wiring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bstrate 310 and the pixel electrode 320, and in some cases, an active switching element using a semiconductor material such as a thin film transistor may be further included. there is.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전면과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기판(100')에 일체로 구비되었던 경화된 상태의 밀봉재가 열에 의해 녹으면서 형성된 형태가 상온에서 다시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may cover both the upper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substrate 100'. As shown in FIG. 4, the sealing layer 150a may be formed by melting the cured sealant integrally provided on the upper substrate 100' by heat and curing it again at room temperature.

밀봉층(150a)은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으며 밀봉성과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include a hot melt composition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70 degrees and 120 degrees and has seal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The sealing layer 150a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he sealing layer 150a may include a UV blocking material to block UV rays.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전체를 덮고, 상부기판(100')의 측면으로 연장되고, 하부기판(300)의 상부면에서 하부기판(300)과 접촉한다.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전체, 상부기판(100)의 측면, 하부기판(300)의 상부면까지 공간 없이 밀봉할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에서 제2 두께(T2)를 갖고, 상부기판(100')의 측면에서 제3 두께(T3)를 갖는다. 제2 두께(T2) 및 제3 두께(T3)는 도 1에 도시된 밀봉재(15)의 제1 두께(T1)보다 낮을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covers the entire upper part of the upper substrate 100', extends to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contacts the lower substrate 300 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0. The sealing layer 150a can seal the entire top of the upper substrate 100',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0 without space. The sealing layer 150a has a second thickness T2 at the top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a third thickness T3 at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 The second thickness T2 and the third thickness T3 may be low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sealant 15 shown in FIG. 1 .

하부기판(300)의 면적은 상부기판(100')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밀봉층(150a)은 상부기판(100')의 상부 및 측면을 모두 커버하면서 상부기판(100')이 위치하지 않고 노출된 하부기판(300)의 가장자리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The area of the lower substrate 300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bstrate 100'. The sealing layer 150a may cover both the top and sides of the upper substrate 100'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300 that is exposed without the upper substrate 100'.

도 6a 내지 도 6g는 도 5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S. 6A to 6G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of FIG. 5.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보호시트(PS1)의 일 면에 밀봉재(150)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A, a sealant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otective sheet PS1.

제1 보호시트(PS1)는 밀봉재(15)와 조직 및 구성이 다른 이형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재(150)는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대략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으며 밀봉성과 접착성을 갖는 핫멜트(hot melt)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0)는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0)는 자외선 차단을 위한 자외선 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재(150)는 대략 20 내지 500㎛의 제1 두께(T1)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sheet PS1 may be formed of a release film that has a differ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from the sealant 15. The sealant 150 includes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may include a hot melt composition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approximately 70 degrees and 120 degrees and has sealing properties and adhesive properties. The sealant 150 may include a dehumidifying material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The sealant 150 may include a UV blocking material to block UV rays. The sealant 150 may be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T1 of approximately 20 to 500 μm.

도 6b를 참조하면, 밀봉재(150) 상부에 제1 전극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층(120)은 밀봉재(150) 상부에 ITO, IZO, IZTO, AZO, ZnO 및 TCO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스퍼터링 공정 등의 건식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sealing material 15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may be formed on the sealant 150 using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ITO, IZO, IZTO, AZO, ZnO, and TCO through a dry process such as a sputtering process.

도 6c를 참조하면, 제1 전극층(120) 상에 셀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C, a cell layer 1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셀층(130)은 액상의 바인더(135, 도 5)에 디스플레이 셀(133, 도 5)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액상의 바인더(135)와 디스플레이 셀(133)들이 혼합된 페이스트를 제1 전극층(120) 상에 단층 또는 복층으로 도포하여 코팅 또는 인쇄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액상의 바인더(135)는 열 또는 UV 조사에 의해 열경화 또는 광경화되어 경화된 바인더(135)가 될 수 있다. The cell layer 130 is formed by mixing the liquid binder 135 (FIG. 5) with the display cells 133 (FIG. 5) at a certain ratio, and applying the paste mixed with the liquid binder 135 and the display cells 133 to the first electrode layer. It can be formed by applying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on (120) and coating or printing. The liquid binder 135 may be heat-cured or photo-cured by heat or UV irradiation to become a hardened binder 135.

도 6d를 참조하면, 셀층(130) 상에 점착층(140)을 도포할 수 있다. 점착층(140)은 감압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D,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applied on the cell layer 130. The adhesive layer 140 may be formed us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도 6e를 참조하면, 점착층(140) 상에 점착층(140)의 면에 이물질이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 보호시트(PS2)를 부착할 수 있다. 제2 보호시트(PS2)는 마찰계수가 매우 낮거나, 점착층(140)과 조직 및 구성이 다른 이형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호시트(PS2)가 부착된 상태에서 셀층(130)이 테스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E, a second protective sheet PS2 may be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140 as a mean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140. The second protective sheet PS2 may have a ver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or may be formed of a release film that has a different texture and composition from the adhesive layer 140. The cell layer 130 may be tested while the second protective sheet PS2 is attached.

도 6f를 참조하면, 밀봉재(150)가 일체로 구비된 상부기판(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필름)(100B)은 하부기판(300)과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F, the upper substrate (or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100B integrally equipped with the sealing material 150 may be combined with the lower substrate 300.

하부기판(300)은 제2 베이스기판(310, 도 5)과 제2 베이스기판(310)의 일 면에 복수의 픽셀전극(320, 도 5)들을 구비할 수 있다. The lower substrate 300 may include a second base substrate 310 (FIG. 5) and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320 (FIG. 5) on one sid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제2 베이스기판(310)은 PET, PEN, PES, PAR, PC 등과 같은 투명고분자필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베이스기판(310)은 연성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FPCB 기판을 적용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공정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econd base substrate 310 may be a transparent polymer film such as PET, PEN, PES, PAR, or PC. 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base board 31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By applying an FPCB substrate,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and the process yield can be improved.

픽셀전극(320)들은 단위 픽셀에 대응하도록 단위 픽셀마다 형성될 수 있다. 픽셀전극(320)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불투명 도전층 또는 ITO, IZO, IZTO, AZO, ZnO 및 TCO와 같은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 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Pixel electrodes 320 may be formed for each unit pixel to correspond to the unit pixel. The pixel electrode 320 is an opaque conductive layer containing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or an alloy thereof, or ITO, IZO, IZTO, AZO, ZnO. And it can be formed by forming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such as TCO and then patterning.

상부기판(100B)으로부터 제1 보호시트(PS1) 및 제2 보호시트(PS2)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층(140)이 하부기판(300)을 마주하도록 상부기판(100B)을 하부기판(300)의 상부에 얼라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열 압착, 롤링 등의 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해 상부기판(100B)과 하부기판(300)을 결합할 수 있다. Peel the first protective sheet (PS1) and the second protective sheet (PS2) from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attach the upper substrate (100B) to the lower substrate ( 300) can be aligned at the top. Additionally,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the lower substrate 300 can be joined by a lamination process such as thermal compression or rolling.

도 6g를 참조하면, 상부기판(100B) 및/또는 하부기판(300)으로 에너지(예를 들어, 열)를 가하여 밀봉층(150a)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G, energy (eg, heat) may be applied to the upper substrate 100B and/or the lower substrate 300 to form the sealing layer 150a.

상부기판(100B)과 하부기판(300)은 밀봉재(150)가 녹을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 온도는 상부기판(100B)과 하부기판(300)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약 70도 내지 120도 정도일 수 있다.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the lower substrate 300 may be heated to a temperature at which the sealing material 150 can melt. This temperature may be about 70 to 120 degrees to the extent that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the lower substrate 300 are not damaged.

밀봉재(150)는 열에 의해 녹게 된다. 용해된 밀봉재(150)는 제1 베이스기판(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의 측면을 지나 제2 베이스기판(310)의 가장자리까지 흘러내릴 수 있다. The sealant 150 is melted by heat. The dissolved sealant 150 pass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rough the sides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to the second base substrate. It may flow down to the edge of the substrate 310.

이후, 상부기판(100B) 및 하부기판(300)이 상온 상태에 놓이게 되면, 밀봉재(150)는 다시 고체화되어, 밀봉층(15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베이스기판(110) 상부에 형성된 밀봉층(150a)의 제2 두께(T2)와 상부기판(100A)의 측면에 형성된 밀봉층(150a)의 제2 두께(T2)는 밀봉재(150)의 제1 두께(T1) 보다 낮을 수 있다. 밀봉층(150a)의 모서리에서의 제4 두께(T4)는 제2 두께(T2)와 제3 두께(T3) 보다 낮을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the lower substrate 300 are placed at room temperature, the sealing material 150 solidifies again to form the sealing layer 150a. Accordingly,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aling layer 150a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sealing layer 150a formed on the side of the upper substrate 100A are the sealing material 150. ) may be lower than the first thickness (T1). The fourth thickness T4 at the edge of the sealing layer 150a may be low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2 and the third thickness T3.

밀봉층(150a)은 제1 베이스기판(110)의 상부와,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의 측면(주변부)과, 및 하부기판(300)의 가장자리 상부를 일체로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층(150a)은 제1 베이스기판(110)의 상부 전면과,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의 측면과, 및 하부기판(300)의 가장자리 상부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층(150a)과 제1 베이스기판(110), 제1 전극층(120), 셀층(130) 및 점착층(140) 간에 공간 없이 밀봉될 수 있다. The sealing layer 150a is formed on the top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side (peripheral portion)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and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ubstrate 300 can be integrally covered. Specifically, the sealing layer 150a is form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and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dg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300. Accordingly, the sealing layer 150a, the first base substrate 110, the first electrode layer 120, the cell layer 130, and the adhesive layer 140 can be sealed without space.

도 6f에 도시된 상부기판(100B)과 하부기판(300)의 결합 공정 및 도 6g에 도시된 밀봉층(150a) 형성 공정은 상부기판(100B)과 하부기판(300)에 열 및 압력을 동시에 인가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The joining process of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the lower substrate 300 shown in FIG. 6F and the forming process of the sealing layer 150a shown in FIG. 6G apply heat and pressure to the upper substrate 100B and the lower substrate 300 at the same time. This can be done simultaneously by authorizing it.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제품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패널 설계와 공정이 달라지고, 소재에서부터 패널제조 그리고 기구조립에 이르기까지 일원화하여 제품을 생산하기에는 막대한 제조 설비라인 구축비용과 운영유지 비용 및 제조비용의 증가로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셀층(표시층)을 투명전극이 코팅된 투명기판에 코팅 및 건조 후 노출된 셀층에 접착층을 형성 내지 부착하였으며, 외부의 불순물 유입방지 및 제품보호를 위한 이형필름을 최종적으로 부착하여 디스플레이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부 투명기판의 노출된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별도의 이형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필름은 적용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설계/제조된 하부기판에 맞도록 재단 및 얼라인 후 열 내지 압력을 가하여 합지 및 접착을 한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재는 외부 투습으로부터 취약하며, 특히 측면으로 투습되는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합지 후 반드시 봉지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하여 실링제 내지 밀봉 기능을 하는 필름 등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영역을 밀봉해주어야 하는데 실링 영역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 필름에 코팅된 셀층과 점착층의 가장자리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매우 까다로우며, 이 과정 중 셀층의 캡슐이 파괴되어 캡슐안의 용매가 주변의 셀층을 오염시키거나 전극 표면에 잔여 불순물이 남아 도전성 물질과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합지 후 측면을 실링제로 마감하고, 별도의 베리어 필름으로 최종 밀봉을 하거나 합지 후 별도의 베리어 필름을 디스플레이 필름 상부에 부착하고 측면을 실링제를 주입 후 경화시킨다. 이러한 봉지공정은 별도의 베리어 필름과 같은 기자재 비용이 증가되고 베리어 필름과 상부의 디스플레이 필름의 계면과 합지 공정 중에 기포 유입 문제와 함께 얼라인 및 합지 등의 다수의 공정들이 추가되어 공정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수율, 생산성, 제조비용 증가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Display products using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s have different panel designs and process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producing products by unifying everything from materials to panel manufacturing and device assembly requires enormous manufacturing facility line construction costs,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s, and manufacturing costs. It may be caused by an increase. For this reason, in the past, the cell layer (display layer) was coated and dri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coated with transparent electrodes, and then an adhesive layer was formed or attached to the exposed cell layer, and a release film was finally attached to prevent external impurities from entering and to protect the product. A display film was manufactured. At this time, a separate release film may be optionally attached to protect the exposed area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The display film is cut and aligned to fit the lower substrate designed/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intended application, and then laminated and adhered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lectrophoretic display materials are vulnerable to external moisture permeation, and are especially vulnerable to moisture permeating from the side, so an encapsulation process must be performed after lamination. In order to block moisture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the edge area must be sealed using a sealant or a film with a sealing function. To secure the sealing area, the process to remove the edges of the cell layer and adhesive layer coated on the display film is very difficult. It is difficult, and during this process, the capsule of the cell layer may be destroyed and the solvent in the capsule may contaminate the surrounding cell layer, or residual impurities may remain on the electrode surface, causing poor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aterial. Therefore, after lamination, the sides may be damaged. It is finished with a sealant, and final sealed with a separate barrier film, or after lamination, a separate barrier film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display film, and the side is injected with a sealant and then cured. In this encapsulation process, the cost of equipment such as a separate barrier film increases, and the difficulty of the process increases as multiple processes such as alignment and lamination are added along with problems with bubble inflow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arrier film and the upper display film and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This can lead to problems with increased yield, productivity, and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투명기판에 핫멜트와 같이 특정온도에서만 녹아 접착력이 나오고 특정온도 이하에서는 다시 경화되는 소재를 셀층을 코팅하기 전 또는 코팅 후 투명기판에 경화된 밀봉재를 형성하고, 점착층 및 이형필름과 최종 합지한 디스플레이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투명기판의 상부에 형성된 밀봉재는 외부로부터 일정한 투습을 막을 수 있는 물질과 혼합하여 투습 방지 기능을 수행하거나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하는 입자 내지 물질들과 함께하여 특정 세기의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ming a cured sealant on a transparent substrate coated with a transparent electrode before or after coating the cell layer with a material that melts only at a certain temperature to provide adhesive strength, such as a hot melt, and hardens again below a certain temperature. , a display film that is finally laminated with an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film can be manufactured. At this time, the sealing material formed on the top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performs the function of preventing moisture penetration by mixing with a material that can prevent certain moisture penetration from the outside, or has the function of blocking ultraviolet rays of a certain intensity by combining with particles or substances that have an ultraviolet ray blocking function. It can be done.

또한 투명기판 대신 밀봉재에 전극층을 바로 형성하는 경우 전체 모듈의 두께의 감소, 원자재 비용 절감, 프레넬 반사에 의한 광특성 저하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Additionally, if the electrode layer is formed directly on the sealant instead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module, reduce raw material costs, and prevent degrad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Fresnel refl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필름을 하부기판과 합지함으로써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보호를 위하여 별도의 베리어 필름이 필요로 하지 않아 합지 후 패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으며 원자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베리어 필름의 합지를 위한 얼라인 공정 및 실링제를 채우는 공정 등이 없이도 간소화된 공정으로 하부기판과 디스플레이 필름의 합지 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에 의해 밀봉재의 물질들이 녹아 측면 영역으로 흘러 밀봉이 가능하다. By laminating the display fil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lower substrate, a separate barrier film is not required to protect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so the thickness of the panel after laminating is relatively thin and raw material costs can be reduced. there is. In addition, it is a simplified process without the need for an alignment process for bonding the barrier film and a process for filling the sealant. After bonding the lower substrate and the display film, the materials of the sealant melt and flow to the side area due to the heat applied from the outside, enabling sealing. .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순서를 기재하고 있거나 모순되지 않는다면, 각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각 단계들의 기재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nless the order of each step constitut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icitly stated or contradictory,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performing each step in the described ord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Claims (18)

공통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의 제1면 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을 포함하는 셀층을 포함하는 제1 기판;
복수의 픽셀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픽셀전극들이 상기 셀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공통전극을 마주하며 상기 제1 기판에 결합된 제2 기판; 및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상부면, 상기 공통전극의 측면, 상기 셀층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가장자리를 덮는 단일층의 밀봉층;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전극의 측면 및 상기 셀층의 측면과 상기 밀봉층 사이에 씰링재 없이 상기 밀봉층이 상기 공통전극의 측면 및 상기 셀층의 측면과 직접 접촉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substrate including a common electrode and a cell layer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on a first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a second substrat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the pixel electrodes facing the common electrode with the cel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A single-layer sealing layer compris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nd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the side of the common electrode, the side of the cell layer, and the edge of the second substrate,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in which the sealing layer directly contacts the side of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side of the cell layer without a sealing material between the side of the common electrode and the side of the cell layer and the seal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착층, 상기 셀층 및 상기 공통전극을 차례로 구비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bstrate is: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the cell layer, and the common electrode in that ord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ubstr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은,
상기 공통전극의 제1면의 반대인 제2면, 상기 공통전극, 상기 셀층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aling layer is: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in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and a side surface of the common electrode, the cell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착층, 상기 셀층, 상기 공통전극 및 제1 베이스기판을 차례로 구비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bstrate is: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 cell layer, a common electrode, and a first base substrate in that orde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substra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은,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상기 공통전극이 배치된 제1면의 반대인 제2면, 상기 제1 베이스기판, 상기 공통전극, 상기 셀층 및 상기 점착층의 측면과 접촉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ling layer is: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in contact with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on which the common electrode is disposed, and a side surfac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the common electrode, the cell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물질은, 70도 내지 120도 사이의 온도에서 녹는 핫멜트(hot melt) 접착 물질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is a hot melt adhesive material that melts at a temperature between 70 degrees and 120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제2 베이스기판 및 상기 제2 베이스기판 상의 상기 픽셀전극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ubstrate is: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base substrate and the pixel electrodes on the second base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기판의 면적은 상기 제1 기판의 면적보다 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wherein an area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is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subst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층은 상기 제2 베이스기판의 가장자리 상부면과 접촉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In clause 7,
The sealing layer is in contact with an upper edge surface of the second base substr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포함하는 밀봉재, 제1 전극층, 복수의 디스플레이 셀들을 포함하는 셀층이 차례로 구비된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제2 전극층이 구비된 제2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셀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전극층이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2 전극층을 마주하도록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얼라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결합하고,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에 열을 가하여 상기 제1 전극층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밀봉재의 상 변화를 유도하고, 상기 상 변화된 밀봉재에 의해 상기 제1 전극층의 측면 및 상기 셀층의 측면이 덮인 후 상기 밀봉재를 경화함으로써, 상기 제1 전극층의 상부면, 상기 제1 전극층의 측면 및 상기 셀층의 측면을 밀봉하는 밀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층의 두께는 상기 밀봉재의 두께보다 낮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Providing a first substrate sequentially provided with a sealant containing a thermoplastic resin material, a first electrode layer, and a cell layer containing a plurality of display cells;
Providing a second substrate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ode layer;
Align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so that the first electrode layer faces the second electrode layer of the second substrate with the cel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are combined, heat is applied to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to induce a phase change in the sealing material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phase-changed sealing material causes a change in the phase of the sealing material. Forming a sealing layer that seal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layer by covering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layer and then curing the sealant material; Contain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layer is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materi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보호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보호시트 상부에 상기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밀봉재 상부에 상기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 상부에 상기 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셀층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comprises:
Preparing a protective sheet;
Forming the sealing material on the top of the protective sheet;
form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sealant;
forming the cell layer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op of the cell lay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시트를 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compri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peeling off the protective shee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베이스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일 면에 상기 밀봉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베이스기판의 타 면에 상기 제1 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층 상부에 상기 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셀층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providing the first substrate comprises:
Preparing a first base substrate;
forming the sealing material on one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forming the first electrode layer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ase substrate;
forming the cell layer on top of the first electrode lay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forming an adhesive layer on top of the cell lay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20 내지 500㎛의 두께를 갖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aling material has a thickness of 20 to 500㎛.
KR1020160038757A 2016-03-30 2016-03-30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2577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757A KR102577802B1 (en) 2016-03-30 2016-03-30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757A KR102577802B1 (en) 2016-03-30 2016-03-30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129A KR20170112129A (en) 2017-10-12
KR102577802B1 true KR102577802B1 (en) 2023-09-13

Family

ID=6014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757A KR102577802B1 (en) 2016-03-30 2016-03-30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80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614B1 (en) * 2002-06-10 2015-03-17 이 잉크 코포레이션 Component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testing electro-optic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46B1 (en) * 2006-02-17 2013-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JP4549363B2 (en) * 2007-05-18 2010-09-22 株式会社リコー Electrophoretic particle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65688A (en) * 2008-12-08 2010-06-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rect typ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reof
KR20110074242A (en) * 2009-12-24 201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989495B1 (en) * 2012-04-04 2019-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t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40006326A (en) * 2012-07-03 2014-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015829A (en) * 2012-07-25 2014-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614B1 (en) * 2002-06-10 2015-03-17 이 잉크 코포레이션 Components and methods for forming and testing electro-optic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129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4812B (en) Process for producing a color electro-optic display
US6949825B1 (en) Laminates for encapsulating devices
JP6935874B2 (en) Electronic paper displa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870798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6873209A (en) Light control device, the transparent display including it and its manufacture method
CN102053444A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1154202A (en) Electrophoretic display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70112128A (en) Film for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KR102577802B1 (e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406805B2 (en) Method for producing substrate with adhesive layer
KR2017011242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Film
EP3783425B1 (en) Variable transmittance film and smart window including same
KR102577801B1 (en) Electrophoresi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503274B1 (en) Electrophoresi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7011242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KR20170112127A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160126379A (en) electronic paper display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 display
KR20170112425A (en) Electrophoretic Electrode Film
KR2017011242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KR20170112366A (en)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apparatus
US20220334448A1 (en) Electrophoretic display with low profile edge seal
JP2019020513A (en) Rear electrode substrate for electronic paper, electronic paper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se
JP5465612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80094426A (en) Electrophoresis display film,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phoresis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electrophoresis display apparatus
KR20170112419A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