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786B1 -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 Google Patents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786B1
KR102577786B1 KR1020220184860A KR20220184860A KR102577786B1 KR 102577786 B1 KR102577786 B1 KR 102577786B1 KR 1020220184860 A KR1020220184860 A KR 1020220184860A KR 20220184860 A KR20220184860 A KR 20220184860A KR 102577786 B1 KR102577786 B1 KR 10257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ghting device
time
elevato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8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준
주현석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시스 filed Critical (주)제이앤시스
Priority to KR102022018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7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1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together with the recording, indicating or registering of other data, e.g. of signs of ident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은 가정용 출입 현관의 천장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조명기기가 일정시간 동안 켜지고 꺼지는 스마트 센서 등; 및 상기 조명기기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 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is launched. The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ome entrance entrance to detect movement, and includes a smart sensor that turns on and off lighting equipmen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and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turns on and off from the smart sensor, etc. through a repeater, and stores the time information.

Description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 현관의 출입 횟수와 통계를 알 수 있는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that can determine the number of entrances and statistics of the home entrance.

가정용 현관의 천정에는 사람들의 출입에 따라 조명이 켜지는 조명기기가 설치된다. 조명기기는 움직임이 감지되면 켜지고 일정 시간 경과 후 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기기는 단순히 조명 기능만을 제공할 뿐, 현관 출입 시간, 출입 횟수, 출입자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A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ome entrance that turns on lights as people enter and exit. Lighting devices are set to turn on when movement is detected and turn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se lighting devices simply provide lighting functions and cannot provide entrance/exit times, number of entries, or information on visitors.

한편, 가정 내에서는 개인 사생활 노출 위험으로 인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CCTV 카메라의 설치가 쉽지 않다. 때문에 가정집을 드나드는 사람들의 정보 획득에 한계가 있다.Meanwhile, it is not easy to install a CCTV camera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within the home due to the risk of exposing personal privacy. Therefore, there are limits to obtaining information from people coming and going from home.

이러한 이유에서 집주인의 부재 시, 누군가가 현관을 출입한다면 집주인이 이를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없다. 따라서, 가정 내 현관의 출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re is currently no way for the homeowner to recognize if someone enters or exits the front door when the homeowner is abs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monitor entrance and exit of the home.

본 발명은 가정 내 현관의 출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front door access monitoring system that can provide the user with access information on the home front door.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내 현관을 출입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me entrance surveillance system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people entering the entrance of a home.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은 가정용 출입 현관의 천장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조명기기가 일정시간 동안 켜지고 꺼지는 동작을 수행하며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센서 등; 및 상기 조명기기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 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센서 등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한다.The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home entrance entrance to detect movement, and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the lighting device turns on and of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 smart sensor that stores time information; and a control server that provides security services to users b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times when the lighting device turns on and off from the smart sensor, etc. through a repeater.

또한, 상기 스마트 센서 등은, 상기 출입 현관의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 기기; 상기 조명 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조명 기기를 켜지고,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조명 기기가 꺼지도록 상기 조명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명 기기의 켜지고 꺼지는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sensor, etc.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ntrance hall;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lighting device and detecting the movement;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motion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to turn off the lighting device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nd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to turn on and off the lighting device to the repeat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관제 서버는 승강기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영상 정보가 획득된 시간과 상기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상기 영상 정보와 상기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receives video information from a CCTV camera installed in the elevator, and stores the video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ogether by matching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video information was acquired.

또한 상기 관제 서버는 가정내 출입 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적으로 사용자에게 SMS 메시지 또는 전용 앱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server can provide an alarm function that can deliver home entry event information to the user in real time through SMS messages or a dedicated app.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가정 내 현관의 출입 시간, 출입 횟수, 그리고 이들의 통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The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ntry time, number of entries,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the entrance to the home at the user's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관을 출입하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를 개략적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entrance/ex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information about objects entering and exiting the entrance at the user's reques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현관을 출입하는 사람의 영상 정보와 시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ideo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a person entering the entrance to the user terminal at the user's requ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이 설치된 가정 내 현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센서 등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rance of a home where a home entrance/exit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mart sensor of FIG. 1, etc.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Additionally,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mean both indirectly connecting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이 설치된 가정 내 현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센서 등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entrance of a home where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mart sensor in FIG. 1.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10)은 가정 내 현관(20)을 출입하는 대상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10)은 스마트 센서 등(100), 중계기(200), 그리고 관제 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home entrance/exit monitoring system 10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entering or exiting the entrance 20 within the home. The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10) includes a smart sensor (100), a repeater (200), and a control server (300).

스마트 센서 등(100)은 현관(20)의 천장에 설치된다. 스마트 센서 등(100)은 현관(20) 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감지 시 조명을 일정 시간 동안 밝힌다. 스마트 센서 등(100)은 조명 기기(110), 동체 감지 센서(120), 제어부(130), 그리고 통신부(140)를 포함한다.The smart sensor light 10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ntrance 20. The smart sensor light 100 detects movement within the entrance 20, and turns on the ligh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movement is detected. The smart sensor light 100 includes a lighting device 110,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20, a control unit 130,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조명 기기(110)는 내부에 엘이디 조명이 제공되며, 제어부(130)의 제어로 켜지고 꺼질 수 있다. The light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LED lighting inside, and can be turned on an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30.

동체 감지 센서(120)는 조명 기기(110)에 설치되며, 현관(20) 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동체 감지 센서(12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20 is installed in the lighting device 110 and detects movement within the entrance 20.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20 may be a microwave sensor.

제어부(130)는 동체 감지 센서(120)에서 움직임 신호가 감지되면, 조명기기(11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조명기기(110)를 켜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꺼지도록 조명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자체적으로 시계 기능을 가지며, 조명 기기(110)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130)의 자체 시간은 통신부를 통해 관제 서버(300)와 동기화될 수 있다. When a motion signal is detected by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20,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110.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lighting device 110 to turn on the lighting device 110 and turn it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30 has its own clock function and can obtain information on the times when the lighting device 110 turns on and turns off. The control unit 130's own time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통신부(140)는 중계기(200) 또는 사용자단말기(400)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중계기(200)에는 식별 코드가 부여된다. 식별 코드는 스마트 센서 등(100)이 설치된 가정의 주소, 층수와 호수 정보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200 or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peater 200 is given an identification code.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es the address, floor number, and number of the home where the smart sensor 100 is installed.

통신부(140)는 블루투스를 통해 중계기(200) 또는 사용자단말기(400)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중계기(200)을 통해 원격으로 스마트 센서 등(100)이 취합하는 정보 및 알람을 조회 가능하며 사용자단말기(400)와 스마트 센서 등(100)을 직접 연결하여 직관적인 조회 및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중계기 통신부(140)는 동체 감지 센서(120)에서 움직임 감지 신호가 발생되면, 중계기(200)를 통해 움직임 감지 신호와 상기 식별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와 꺼진 시간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repeater 200 or the user terminal 400 via Bluetooth. The user can view information and alarms collected by the smart sensor, etc. (100) remotely through the repeater (200), and perform intuitive inquiries and settings by directly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smart sensor, etc. (100). You can. When a motion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20, the user's repeater communication unit 140 transmits the motion detection signal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the repeater 200. Additionally,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time the lighting device 110 is turned on and the time it is turned off to the control server 300.

관제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중계기(200)와 연결되며, 중계기(200)를 통해 스마트 센서 등(100)과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중계기(200)를 통해 움직임 감지 신호, 그리고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와 꺼진 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움직임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 정보를 상기 식별 정보에 따라 시간 순서로 저장한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신호 정보들은 년/월/일/시/분/초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200 through a network,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data with the smart sensor, etc. 100 through the repeater 200. The control server 300 may receive a motion detection signal and information on the time the lighting device 110 is turned on and the time it is turned off through the repeater 200.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es motion signals whenever they occur, and stores the received signal information in time ord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signal information may include units of year/month/day/hour/minute/second.

또한, 관제 서버(3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400)와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신호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신호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 서버(300)와 연결가능한 스마트 폰, 휴대용 PC, 가정용 PC 등을 포함한다. 관제 서버(300)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가 거주하는 가정의 주소와 층수, 그리고 호수 정보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관제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정보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가정의 주소, 층수, 그리고 호수 정보와 식별 정보에 포함된 주소, 층수, 그리고 호수 정보의 일치 여부를 조회한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코드를 가진 스마트 센서 등(100)에서 발생된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와 꺼진 시간 정보를 시간순서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해당 날짜에 현관을 출입한 시간과 횟수를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일정 기간 동안 현관을 출입한 시간과 횟수를 통계로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동체 감지 센서(120)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고, 조명 기기(110))의 켜진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스마트 센서 등(100)의 제어부(130)의 시간 정보를 동기화 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server 300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4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and can transmit the signal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at the user's request. The user terminal 400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allows the user to check signal information and includes a smart phone, portable PC, home PC, etc.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The control server 300 stores user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address, floor number, and number of the home where the user resides. The user can access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dedicated app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400. When an information inquiry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400, the control server 300 determines whether the home address, floor number, and lak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user information match the address, floor number, and lak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arch for . Then,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lighting device 110 is turned on and when it is turned off, generated by the smart sensor light 100 with an identification code matching the us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400 in time order.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the user can know the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user entered and exited the entrance on that date. Additionally, the user can know the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user entered and exited the entrance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through statistics. Additionally, the user can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2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and the time interval for maintaining the lighting device 110 in an on state. Additionally, the user can synchronize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of the smart sensor, etc. 100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10)은 CCTV 카메라(510)와 승강기 제어부(520)를 더 포함한다. 아파트나 공동 주택의 경우, 승강기(500)가 설치된다. CCTV 카메라(510)는 승강기(500) 내에 설치되며, 승강기(500) 내부를 촬영한다. 승강기 제어부(520)는 탑승자가 하차하고자 하는 층수에 승강기(500)가 도착하도록 승강기(500)를 제어하며, 승강기(500)가 해당 층수에 도착할 경우 도어(530)가 개폐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승강기 제어부(520)는 승강기(500)가 도착한 층수와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점의 영상 정보를 상기 CCTV 카메라(510)로부터 획득한다. 영상 정보는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점의 정지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정보는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된 동영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10 further includes a CCTV camera 510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520.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apartment complex, an elevator 500 is installed. The CCTV camera 510 is installed within the elevator 500 and photographs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500. The elevator control unit 520 controls the elevator 500 so that the elevator 500 arrives at the floor where the passenger wants to get off, and controls the door 530 to open and close when the elevator 500 arrives at the corresponding floor. In addition, the elevator control unit 520 obtain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loors the elevator 500 arrives at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nd receives video information at the time when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from the CCTV camera 510. Acquir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a still image at the point when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dditionally, the video information may be a video captured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point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승강기 제어부(5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 서버(300)와 연결되며, 승강기(500)가 도착한 층수,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영상 정보를 관제 서버(300)에 전송한다.The elevator control unit 5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s the number of floors at which the elevator 500 arrives,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nd the video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300. do.

관제 서버(300)는 승강기(500)가 도착한 층수 정보와 스마트 센서 등(100)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층수 정보를 비교한다. 층수 정보가 일치할 경우, 관제 서버(300)는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와 스마트 센서 등(100)의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를 비교한다.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와 스마트 센서 등(100)의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일 경우, CCTV 카메라(51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The control server 300 compares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on which the elevator 500 arrived with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etc. 100. If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matches, the control server 300 compares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110 of the smart sensor 100 is turned on. If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110 of the smart sensor 100 is turned on are within a preset time range, the video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CTV camera 510 is transmitted to the lighting device ( 110) is turned on and is saved together with the information.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현관 출입 이력을 조회할 경우, 조명기기(110)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 정보와 함께 CCTV 카메라(51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When a user searches the entrance/exit history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video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CTV camera 510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times when the lighting device 110 turns on and off.

일반 가정에서는 개인 사생활 보호로 인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CCTV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 때문에 현관(20)을 출입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아파트나 공동 주택의 경우, 거주자 및 방문자들은 주로 승강기(500)를 이용하는데, 승강기(50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통해 현관(20)을 출입한 사람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탑승자가 승강기(500)를 이용하여 목적 층수에 도착하면, 승강기 제어부(520)의 제어로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된다. CCTV 카메라(510)는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점에 승강기(500)의 내부 영상을 촬영한다. 촬영 영상은 탑승자가 내린 층수 정보와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된 시간 정보와 함께 관제 서버(300)에 전송된다.In general homes, it is not easy to install CCTV cameras connected to an external network due to privacy concer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who is entering and leaving the entrance (20).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apartment complex, residents and visitors mainly use the elevator 500, and it is possible to predict who has entered and exited the entrance 20 through image information captured in the elevator 500. Specifically, when a passenger arrives at the destination floor using the elevator 500,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under the control of the elevator control unit 520. The CCTV camera 510 captures an image of the interior of the elevator 500 when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The captured video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along with information on the floor the passenger got off on and information on the time the elevator door 530 was opened.

탑승자는 승강기(500)에서 내려서 방문하고자 하는 가정의 현관문(21)을 열고 현관(20)으로 진입한다. 방문자의 움직임에 의해 조명 기기(110)가 켜진다. 조명 기기(110)가 켜지는 시간 정보는 스마트 센서 등(100)의 식별 코드와 함께 관제 서버(300)에 전송된다. 관제 서버(300)는 탑승자가 도착한 층수와 식별 코드에 포함된 가정의 층수를 비교하고, 층수 정보가 일치하면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와 조명 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를 비교한다. 탑승자가 승강기(500)에서 내려 현관(20)으로 들어가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일 예에 의하면 10초 내지 60초 내외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관제 서버(300)에는 탑승자가 승강기(500)에서 내려 현관(20)으로 들어가기까지의 예상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승강기 도어(530)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와 스마트 센서 등(100)의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일 경우, 관제 서버(300)는 승강기(500)를 이용한 탑승자가 해당 가정을 방문한 것으로 판단하고, CCTV 카메라(51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조명기기(110)가 켜진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현관을 출입한 사람의 영상 정보와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occupants get off the elevator 500, open the front door 21 of the home they wish to visit, and enter the front door 20. The lighting device 110 is turned on by the visitor's movement.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lighting device 110 is turned 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0 along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smart sensor, etc. 100. The control server 300 compares the floor number on which the passenger arrived with the number of the home floor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and if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matches, the control server 300 compares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110 is turned on. do. It does not take much time for the passenger to get off the elevator 500 and enter the entrance 20. According to one example, it may take about 10 to 60 seconds. The control server 300 has an estimated time set for the passenger to get off the elevator 500 and enter the entrance 20. If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530 is opened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110 of the smart sensor 100 is turned on are within a preset time range, the control server 300 detects that the passenger using the elevator 500 It is determined that the home has been visited, and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CTV camera 510 is stored along with information on the time when the lighting device 110 was turned on. The user can check video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person who entered and exited the entrance through the user terminal 40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100: 스마트 센서 등
110: 조명 기기
120: 동체 감지 센서
130: 제어부
140: 통신부
200: 중계기
300: 관제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500: 승강기
510: CCTV 카메라
520: 승강기 제어부
10: Home entrance access surveillance system
100: Smart sensors, etc.
110: lighting equipment
120: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130: control unit
140: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200: repeater
300: Control server
400: User terminal
500: elevator
510: CCTV camera
520: Elevator control unit

Claims (3)

가정용 출입 현관의 천장에 설치되어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조명기기가 일정 시간 동안 켜지고 꺼지는 스마트 센서 등;
상기 조명기기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 정보를 중계기를 통해 상기 스마트 센서 등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조명기기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관제 서버;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며, 전방에 승강기 도어가 설치된 승강기;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공간을 촬영하는 CCTV 카메라; 및
상기 승강기가 도착한 층수 정보,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 및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에 상기 CCTV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승강기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승강기가 도착한 층수 정보와 상기 스마트 센서 등의 식별 정보에 포함된 층수 정보가 일치할 경우,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와 상기 조명기기가 켜진 시간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는 시간 정보와 상기 조명기기가 켜진 시간 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CCTV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상기 조명기기가 켜진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A smart sensor tha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home entrance to detect movement and turns lighting devices on and off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movement is detected;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times when the lighting devices are turned on and off from the smart sensor, etc. through a repeater, and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times that the lighting devices are turned on and off;
An elevato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inside and an elevator door installed at the front;
A CCTV camera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nd taking pictures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floors the elevator arrives at, information on the time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video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CTV camera at the time the elevator door is opened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erver is,
If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on which the elevator arrived matches the floor numb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sensor, etc.,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is opened is compared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When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vator door is opened and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are within a preset time range, the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CCTV camera together with the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기는 상기 출입 현관의 천장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센서 등은,
상기 조명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체 감지 센서;
상기 움직임 감지 시 상기 조명기기를 켜지고,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조명기기가 꺼지도록 상기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명기기의 켜지고 꺼지는 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상기 중계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entrance entrance,
The smart sensors, etc.
A moving body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the lighting device and detecting the movement;
a control unit that turns on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motion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lighting device to turn off the lighting device after a preset time has elapsed; and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 signal for turning on and off the lighting device to the repeat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CTV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는 상기 승강기 도어가 개방되는 시점의 정지 영상인 가정용 현관 출입 감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home entrance access monitoring system in which the imag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CCTV camera is a still image at the time the elevator door is opened.
KR1020220184860A 2022-12-26 2022-12-26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KR102577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860A KR102577786B1 (en) 2022-12-26 2022-12-26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860A KR102577786B1 (en) 2022-12-26 2022-12-26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786B1 true KR102577786B1 (en) 2023-09-12

Family

ID=8801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860A KR102577786B1 (en) 2022-12-26 2022-12-26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78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47A (en) * 2017-08-16 2019-02-26 한국토지주택공사 System for detecting lonely death using radar LED sensor light
KR20210125368A (en) *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Io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847A (en) * 2017-08-16 2019-02-26 한국토지주택공사 System for detecting lonely death using radar LED sensor light
KR20210125368A (en) * 2020-04-08 2021-10-18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Io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788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egrating sensor output of a mobile device with a security system
US20220301401A1 (en) Control access utilizing video analytics
US9672705B2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US7106193B2 (en) Integrated alarm detection and verification device
US11640736B2 (en) Controlled indoor access using smart indoor door knobs
KR100897339B1 (en) Total security system of apartment complex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1612745B1 (en) Home security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0388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KR100809537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home network
JP2005071064A (en) Home security system
CN104620290A (en) Security arrangement and method therfor
WO201610933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ntrusion detection
KR102577786B1 (en) Home entrance monitoring system
KR20140080777A (en) Remote alarm and check system for ascertaining external visitor
JP2005216186A (en) Lockup confirmation system
JP3877171B2 (en) Security devic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009883U (en) Remote security system for coming and out applied door lock
US11064168B1 (en) Video monitoring by peep hole device
KR20110024370A (en) Private security system using of auto controling of imag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JP5210828B2 (en) Building security system
KR101704466B1 (en) Crime prevention controlling system using blackbox
KR100563229B1 (en) Integrated home management system
WO2023189476A1 (en) Guidance system, guidance method, and program
JP2004104510A (en) Monitoring system
KR102241027B1 (en) Detachable home black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