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7132B1 -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132B1
KR102577132B1 KR1020210126465A KR20210126465A KR102577132B1 KR 102577132 B1 KR102577132 B1 KR 102577132B1 KR 1020210126465 A KR1020210126465 A KR 1020210126465A KR 20210126465 A KR20210126465 A KR 20210126465A KR 102577132 B1 KR102577132 B1 KR 10257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ssage
effect
image
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3499A (ko
Inventor
한장희
주재현
조성현
Original Assignee
(주)이머시브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머시브캐스트 filed Critical (주)이머시브캐스트
Priority to KR102021012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132B1/ko
Priority to US17/864,437 priority patent/US20230107184A1/en
Publication of KR20230043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6Display of layout of documents; Preview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송신자 단말을 통해 입력 및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하는 텍스트 분석부; 파악한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이미지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연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계 이미지 생성부; 파악한 상기 텍스트 내용에 맞춰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포함시킬 3D 효과를 생성하는 효과 생성부; 및 상기 텍스트, 연계 이미지 및 3D 효과를 하나로 통합하여 XR(extended rea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에 제공하는 XR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3D TEXT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은 텍스트 메시징(Text Messaging)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텍스트 메시지를 3차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VR(Virtual Reality) 기술은 현실 세계의 객체나 배경 등을 CG(Computer Graphic) 영상으로만 제공하고, AR(Augmented Reality) 기술은 실제 사물 영상 위에 가상으로 만들어진 CG 영상을 함께 제공하며, MR(Mixed Reality) 기술은 현실 세계에 가상 오브젝트들을 섞고 결합시켜서 제공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이다. 전술한 VR, AR, MR 등을 모두 간단히 XR(extended reality) 기술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메신저(messenger)는 인터넷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대화 상대를 등록하고 메신저 화면에 출력되는 대화 상대 목록에 있는 상대방과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며, 최근에는 PC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메신저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과거 메신저는 대부분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조합한 텍스트 위주로 의사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메신저 상에서 텍스트와 별도로 이모티콘이나 스티커 등의 이미지를 사용자의 감정이나 상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모티콘이나 스티커 사용은 메신저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샘플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샘플을 선택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때문에, 반복 사용시 상대방에게 다소 상투적으로 보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 내용에 연계한 표현이나 감정을 상대방에게 제대로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텍스트 메시지의 의미를 상대방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메시지 표출 기술이 요구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4778호 (2019.08.2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반적인 텍스트 메시지를 3차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문자의 내용 및 맥락에 연계되는 3D 효과를 반영하여 XR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XR 메시지를 수신하여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미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문자의 의미 전달을 좀더 강조 및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메시지 맥락(Context)과 연관된 광고를 삽입하고 광고 삽입에 따른 보상을 메시지 송수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할 수 있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는 송신자 단말을 통해 입력 및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하는 텍스트 분석부, 파악한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이미지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연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계 이미지 생성부, 파악한 상기 텍스트 내용에 맞춰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포함시킬 3D 효과를 생성하는 효과 생성부, 및 상기 텍스트, 연계 이미지 및 3D 효과를 하나로 통합하여 XR(extended rea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에 제공하는 XR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텍스트 분석부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의미분석을 통해 단어를 추출하고 AI 기반의 학습 모델을 통해 추출한 단어에 대응하는 맥락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파악되는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배경, 아바타, 캐릭터,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송신자 별로 고유한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송신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에 대해 해당 고유 아바타를 연계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송신자 아바타를 생성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송신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자 이미지 상에 상기 송신자 포즈를 상기 송신자 아바타에 반영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송신자 및 수신자가 광고 수신에 대해 사전 동의한 경우에 파악되는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광고를 연계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3D 효과 생성부는 파악되는 상기 텍스트 내용에 맞춰 3D 효과, 페이드 효과, 글자 크기 및 색상 변환 효과, 애니메이션 및 플로팅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효과가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는 상기 XR 메시지에 광고가 삽입된 경우 광고 수신에 대해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은 송신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에 연계되는 배경, 아바타, 이모티콘,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메시지의 연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메시지 및 연계 이미지에 대해 3D 효과, AR/VR 효과, 글자 크기/색상 변환, 애니메이션 효과, 홀로그램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효과가 추가된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연계 이미지와 통합하여 하나의 3차원 XR(extended rea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일반적인 텍스트 메시지를 3차원 메시지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XR 기기를 통해서도 메시지를 받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문자의 내용 및 맥락에 연계되는 3D 효과를 반영하여 XR 메시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XR 메시지를 수신하여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미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고 문자의 의미 전달을 좀더 강조 및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메시지 맥락(Context)과 연관된 광고를 삽입하고 광고 삽입에 따른 보상을 메시지 송수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단말에 송수신되는 텍스트 메시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은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 송신자 단말(130) 및 수신자 단말(150)을 포함하고,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송신자 단말(130)과 수신자 단말(150) 사이의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 서비스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이동통신사 또는 카카오 등의 메신저 시스템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할 수 있으며, 웹사이트 등의 웹 기반의 플랫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송신자 단말(130)에서 송신하는 텍스트 메시지를 3차원 형태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150)에서 3차원 형태로 텍스트 메시지가 보이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텍스트 분석을 통해 메시지의 내용 및 맥락을 파악할 수 있고 파악한 메시지 내용 및 맥락에 맞는 3차원 형태를 결정하고 효과 이미지를 생성하여 텍스트와 함께 결정된 3차원 형태 정보 및 생성된 효과 이미지를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텍스트 메시지를 3차원 메시지로 자동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15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메시지 내용과 맥락에 맞는 광고를 텍스트 메시지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광고 수신에 대해 대가로 송신자 및 수신자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송신자 단말(130) 및 수신자 단말(150)과 블루투스, WiFi, 5G 통신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XR 텍스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외부 광고업체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송신자 단말(130) 및 수신자 단말(150)은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텍스트 메시지 송수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자 단말(130) 및 수신자 단말(150)은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노트북 등 메신저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자 단말(130) 및 수신자 단말(150)은 스마트폰(130a,150a) 및 XR 기기(130b,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자의 XR 기기(130b)는 스마트폰(130a)과 페어링되어 스마트폰(130a)에서 전송될 텍스트 메시지에 대해 변환 XR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자의 XR 기기(150b)는 스마트폰(150a)과 페어링되어 스마트폰(150a)에서 수신한 XR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XR 기기(130b,150b)는 기본적으로 HMD(Head Mounted Display)/헤드셋(Headset) 단말, VR/AR 글래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AR/VR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의 각 단계들을 처리하는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텍스트 분석부(310), 3D 효과 생성부(320), 연계 이미지 생성부(330), XR 메시지 변환부(340), 광고 보상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분석부(310)는 송신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할 수 있다. 텍스트는 비정형 데이터로 텍스트 마이닝(texr mining)을 통해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분석 및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텍스트 분석부(310)는 형태소(단어) 분석, 문자열 분석, 핵심 어구 추출, 벡터 공간 모델, 동시출현 단어, 토픽 모델링, 텍스트이 감성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머신러닝 등 텍스트를 분석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텍스트 메시지에 있는 텍스트 내용을 파악할 수 있고 메시지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텍스트 분석부(310)는 입력된 텍스트로부터 의미의 최소단위인 형태소나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한 단어나 형태소를 기반으로 텍스트 내용 및 맥락(context)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텍스트 분석부(310)는 기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을 통해 송신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단어를 추출하거나 또는 텍스트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의미분석을 통해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분석부(310)는 AI 기반의 기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 또는 의미 분석을 통해 “이번 크리스마스에는 함께 겨울바다를 보러 가자~~” 라는 텍스트 메시지로부터 “크리스마스”, “겨울바다” 등과 같은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텍스트 분석부(310)는 추출한 단어에 대응하는 맥락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텍스트 분석부(310)는 기학습된 데이터 인식 모델 또는 기 저장된 단어-맥락정보 매칭 테이블을 통해 추출된 단어에 대응하는 맥락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분석부(310)는 “크리스마스”, “겨울바다” 등과 같은 단어에 대응되는 맥락 정보로 “크리스마스 여행”, “크리스마스 날씨”, “겨울바다 풍경”, “바닷가 카페”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분석부(310)는 감성 사전을 기반으로 분석 대상이 되는 텍스트 메시지의 감성 비율을 정량화하여 기쁨, 우울, 화남, 슬픔 등의 감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텍스트의 내용 및 맥락 정보를 기초로 텍스트 메시지와 연계될 수 있는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계 이미지는 배경, 아바타, 캐릭터, 이모티콘 등으로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각 카테고리별로 키워드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들을 키워드와의 연계 비율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메시지의 내용 중 '겨울'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배경 및 캐릭터 카테고리에서 겨울을 키워드로 하여 겨울을 표현할 수 있는 배경 및 눈사람 이미지를 연계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연계될 수 있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존재할 경우 연계 비율을 기초로 연계성이 가장 높은 이미지를 연계 이미지로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송신자 별로 고유한 아바타를 선택하고 송신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에 대해 기 선택한 고유 아바타가 항상 표현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텍스트 메시지의 맥락 정보에 따라 변하는 아바타가 표현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아바타는 메시지 맥락(Message Context)에 따라 감정 표현과 제스처가 합쳐진 행동을 취할 수 있다.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송신자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송신자 이미지를 수신하고 포즈 추정(Pose Estimation)을 통해 송신자의 포즈를 인식하여 생성한 송신자 아바타의 포즈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메라는 송신자 단말(13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머신 러닝, 딥 러닝 등을 이용하여 송신자의 포즈를 분석하고 해당 아바타에 반영하여 송신자 포즈와 유사한 포즈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맥락 정보를 기초로 연계될 수 있는 광고를 연계 이미지로 결정하여 텍스트 메시지 전송시 광고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는 사전에 사용자의 동의를 통해 실행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관한 3D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텍스트의 내용에 맞춰 입체글씨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텍스트를 렌더링하여 3D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3D 텍스트 효과, 페이드(Fade) 효과, 글자 크기 및 색상 변환 효과, 애니메이션(Animation) 및 플로팅(Floating) 효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타임라인에 텍스트 트랙을 만들어 페이드 인 및 페이드 아웃을 추가시켜서 텍스트가 서서히 나타나고 사라지는 효과를 주도록 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텍스트 중 특정 일부에 대해 글자 크기 및 색상을 변환시켜 해당 글자를 강조하는 효과를 주도록 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아바타의 감정표현을 위한 애니메이션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코드는 각 감정마다 정의된 표정 애니메이션 코드 및 동작 애니메이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텍스트 내용 중 '슬픔' 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표정 애니메이션 코드는 아바타가 우는 표정을 짓도록 하는 움직임으로 정의되고, 동작 애니메이션 코드는 아바타가 양손으로 눈을 비비는 움직임으로 정의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애니메이션 코드 생성시 애니메이션 코드가 구현되는 시간 정보를 애니메이션 코드와 함께 생성할 수 있다.
3D 효과 생성부(330)는 연계 이미지에 대해 AR, VR, AI 기술을 적용하여 AR 또는 VR 효과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아바타, 이모티콘 등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표현되도록 홀로그램 효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XR 메시지 변환부(340)는 텍스트 메시지, 연계 이미지 및 3D 효과를 통합하여 하나의 XR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XR 메시지 변환부(340)는 텍스트 메시지, 연계 이미지 및 3D 효과 정보를 수신자 단말(15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XR 메시지 변환부(340)는 텍스트 메시지 및 연계 이미지를 결정된 3D 효과 처리하고 텍스트를 연계 이미지에 중첩시켜 하나의 이미지 메시지를 생성하여 수신자 단말(15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XR 메시지 변환부(340)는 3차원 연계 이미지에서 최대 깊이 값과 동일한 레벨에 텍스트를 삽입하여 삽입된 텍스트의 깊이 값이 주어진 깊이 맵의 최대 깊이 값과 매칭되도록 하여 연계 이미지와 텍스트를 조합함으로써 텍스트 메시지를 XR(extended reality) 기기(150b)를 통해 받아볼 수 있다.
광고 보상부(350)는 XR 메시지에 광고가 삽입되어 전송된 경우 광고 삽입에 동의한 송신자 및 광고가 삽입된 XR 메시지를 수신하여 광고 시청한 사용자에게 광고 송수신에 대한 대가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고 보상부(350)는 광고 내용에 맞춰 광고 업체에 방문시 사용할 수 있는 다운로드 가능한 할인 쿠폰을 제공할 수 있다. 광고 보상부(350)는 광고 송수신 횟수를 체크하고 광고 송수신 횟수에 따른 토큰 또는 현금성 포인트를 일정기간 단위로 정산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 보상부(350)는 통신요금 할인, 통신사와 관련된 상품 할인, 무료 이용권 등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텍스트 분석부(310),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 3D 효과 생성부(330), XR 메시지 변환부(340) 및 광고 보상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텍스트 분석부(310)를 통해 송신자 단말(110)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할 수 있다(단계 S410).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연계 이미지 생성부(320)를 통해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에 연계될 수 있는 배경, 아바타, 이모티콘 등의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송신자 또는 수신자가 광고 삽입에 동의한 경우에 메시지 맥락에 연계되는 내용의 광고를 결정하여 텍스트 메시지의 연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또한,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3D 효과 생성부(330)를 통해 텍스트 메시지 및 연계 이미지에 대해 3D 효과, AR/VR 효과, 글자 크기/색상 변환, 애니메이션 효과, 홀로그램 효과 등을 추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50).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00)는 XR 메시지 변환부(340)를 통해 텍스트 메시지를 연계 이미지와 통합하여 하나의 3차원 XR 메시지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70).
이후,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XR 메시지를 수신자 단말(150)에게 전송하여 수신자 단말(15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수신자의 스마트폰(150a) 또는 스마트폰(150a)에 페어링된 XR 기기(150b)에서는 수신된 XR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때 텍스트 메시지 및 이와 연관되는 배경, 아바타 등을 함께 표시하고 애니메이션 코드를 기준으로 아바타의 비주얼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D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은 XR 기기(150b)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XR 기기(150b)는 메시지를 받아 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3D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단말에 송수신되는 텍스트 메시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송신자 단말(130)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송신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수신자 단말(150)을 지정하고 텍스트 메시지를 입력 및 전송할 수 있다(도 6의 예시 참조).
도 5에서,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송신자 단말(130)과 수신자 단말(150) 간에 메시지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송신자 단말(130) 또는 수신자 단말(15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송신자 단말(130)로부터 전송된 텍스트를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텍스트 메시지의 분석을 통해 파악된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과 연계될 수 있는 배경, 아바타, 캐릭터, 이모티콘, 광고 등의 이미지를 결정하여 연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고 부여할 3D 효과를 결정할 수 있다.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텍스트, 연계 이미지 및 3D 효과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XR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15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자 단말(150)에는 XR 메시지 변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이를 구동시켜 수신되는 XR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단말(150)은 XR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대해 3D 효과를 처리하고 병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텍스트를 표시할 때 텍스트에 연계되는 배경 및 아바타를 표시하고 아바타의 표정 및 움직임을 변화시켜 텍스트와 겹쳐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연계 이미지에 광고가 포함된 경우 수신자 단말(150)에는 텍스트 메시지와 연관된 내용의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도 6 참조).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110)는 광고 수신에 대한 보상을 메시지 송신자 및 수신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송신자가 보낸 문자를 다양한 효과와 결합하여 수신자에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미요소 및 문자의 의미 전달을 더 강조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메시지 맥락과 연관된 광고를 삽입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고, XR 기기를 통해 메시지를 받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공간에서의 업무 협업, 교육, 소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110: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130: 송신자 단말 150: 수신자 단말
130a,150a: 스마트폰 130b,150b: XR 기기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텍스트 분석부 320: 연계 이미지 생성부
330: 3D 효과 생성부 340: XR 메시지 변환부
350: 광고 보상부 360: 제어부

Claims (9)

  1. 송신자 단말을 통해 입력 및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하는 텍스트 분석부;
    파악한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이미지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메시지에 대한 연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연계 이미지 생성부;
    파악한 상기 텍스트 내용에 맞춰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포함시킬 3D 효과를 생성하는 3D 효과 생성부; 및
    상기 텍스트, 연계 이미지 및 3D 효과를 하나로 통합하여 XR(extended rea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에 제공하는 XR 메시지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파악되는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배경, 아바타, 캐릭터,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결정하며 연계될 수 있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존재할 경우 연계 비율을 기초로 연계성이 가장 높은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3D 효과 생성부는
    파악되는 상기 텍스트 내용에 맞춰 3D 효과, 페이드 효과, 글자 크기 및 색상 변환 효과, 애니메이션 및 플로팅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효과가 표현되도록 하며 상기 연계 이미지에 대해 AR 또는 VR 효과 또는 아바타나 이모티콘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표현되도록 홀로그램 효과를 생성하고,
    상기 XR 메시지 변환부는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를 결정된 상기 3D 효과 처리하고 상기 텍스트를 상기 연계 이미지에 중첩시켜 하나의 이미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분석부는
    상기 텍스트 메시지로부터 단어를 추출하고 기 저장된 단어-맥락정보 매칭 테이블을 통해 추출한 단어에 대응하는 맥락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송신자 별로 고유한 아바타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송신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에 대해 해당 고유 아바타를 연계 이미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송신자 아바타를 생성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송신자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송신자 이미지 상에 상기 송신자 포즈를 상기 송신자 아바타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이미지 생성부는
    송신자 및 수신자가 광고 수신에 대해 사전 동의한 경우에 파악되는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광고를 연계 이미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XR 메시지에 광고가 삽입된 경우 광고 수신에 대해 보상을 제공하는 광고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9. 송신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메시지를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분석하여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context)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내용 및 메시지 맥락에 연계되는 배경, 아바타, 이모티콘, 광고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메시지의 연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메시지 및 연계 이미지에 대해 3D 효과, AR/VR 효과, 글자 크기/색상 변환, 애니메이션 효과, 홀로그램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생성하는 단계; 및
    효과가 추가된 상기 텍스트 메시지를 연계 이미지와 통합하여 하나의 3차원 XR(extended reality) 메시지로 변환하여 수신자 단말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파악되는 상기 메시지 맥락과 연계되는 배경, 아바타, 캐릭터, 이모티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결정하며 연계될 수 있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존재할 경우 연계 비율을 기초로 연계성이 가장 높은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효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파악되는 상기 텍스트 내용에 맞춰 3D 효과, 페이드 효과, 글자 크기 및 색상 변환 효과, 애니메이션 및 플로팅 효과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에 효과가 표현되도록 하며 상기 연계 이미지에 대해 AR 또는 VR 효과 또는 아바타나 이모티콘이 입체적인 형상으로 표현되도록 홀로그램 효과를 생성하고,
    상기 XR 메시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 및 연계 이미지를 결정된 상기 3D 효과 처리하고 상기 텍스트를 상기 연계 이미지에 중첩시켜 하나의 이미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20210126465A 2021-09-24 2021-09-24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57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465A KR102577132B1 (ko) 2021-09-24 2021-09-24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7/864,437 US20230107184A1 (en) 2021-09-24 2022-07-14 Apparatus and method for 3d text messag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465A KR102577132B1 (ko) 2021-09-24 2021-09-24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499A KR20230043499A (ko) 2023-03-31
KR102577132B1 true KR102577132B1 (ko) 2023-09-12

Family

ID=8577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465A KR102577132B1 (ko) 2021-09-24 2021-09-24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107184A1 (ko)
KR (1) KR10257713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5596A1 (en) * 2005-04-04 2006-10-12 Mor(F) Dynamics Pty Ltd Method for transforming language into a visual form
KR102014778B1 (ko) 2012-12-14 2019-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9182A (ko) * 2014-05-08 2015-11-19 주식회사 와이티앤씨글로벌 메시지 제공 방법 및 메시지 제공 장치
KR101540544B1 (ko) * 2014-09-05 2015-07-30 서용창 캐릭터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방법을 포함하는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KR20160053413A (ko) * 2014-11-04 2016-05-13 네이버 주식회사 대화창 입력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제공장치 및 방법
JP6798707B2 (ja) * 2015-07-30 2020-12-09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感情拡張アバターアニメーション
US11112963B2 (en) * 2016-05-18 2021-09-0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essaging
KR20180023879A (ko) * 2016-08-26 2018-03-07 스타십벤딩머신 주식회사 텍스트 애니메이션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62145A (ko) * 2017-11-28 2019-06-05 (주)브렉스랩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 및 메시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
KR102648993B1 (ko) * 2018-12-21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기반하여 아바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US20210365995A1 (en) * 2019-01-30 2021-11-25 Cryptorizen.Co Advertisement and reward system based on instant messenger
KR20190106850A (ko) * 2019-08-2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컨텐츠 제공 방법 및 xr 컨텐츠 제공 디바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ombard, Matthew, et al., Immersed in media: Telepresence theory, measurement & technology., Springer, 201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07184A1 (en) 2023-04-06
KR20230043499A (ko)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3465B2 (ja) エモティコンを識別および提案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665563B2 (en) Animatio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imation based on text-based data and user information
World Wide Web Consortium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 2.0
US104967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lations editor
US20140195899A1 (en) Collaborative presentation of extracted information
CN102067174B (zh) 用于使字母数字字符动画化的方法
KR101628050B1 (ko) 텍스트 기반 데이터를 애니메이션으로 재생하는 애니메이션 시스템
Costanza et al. Designable visual markers
US11625542B2 (e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configuration based on virtual world activities
CN112929253B (zh) 一种虚拟形象交互方法和装置
CN108932066A (zh) 输入法获取表情包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Hasler et al. Real-time gesture translation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cGovern et al. The Web Content Style Guide: An Essential Reference for Online Writers, Editors, and Managers
CN103999082B (zh) 用于检测社交媒体中的社区的方法、计算机程序和计算机
KR102577132B1 (ko) 3차원 텍스트 메시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N112988100A (zh) 视频的播放方法和装置
Kalsoom et al. Semiotic representation of gender in Google emojis: a liberal feminist perspective
Namikawa et al. EmojiCam: Emoji-Assisted Video Communication System Leveraging Facial Expressions
Maximenko et al. Linguosemiotic organization of heterogeneous texts (case study of media and internet texts)
Soudi et al. AfricaSign--a crowd-sourcing platform for the documentation of STEM vocabulary in African sign languages
An et al. EmoWear: Exploring Emotional Teasers for Voice Message Interaction on Smartwatches
Miller Identifying the Risks of Miscommunicating with Emoji
Kalsoom et al. Linguistics and Literature Review (LLR)
Kaur et al. Enhancing Email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 Voice-Based Email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hn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Non-linguistic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Interactive Emojis in On-line Meeting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