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269B1 -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269B1
KR102574269B1 KR1020220075560A KR20220075560A KR102574269B1 KR 102574269 B1 KR102574269 B1 KR 102574269B1 KR 1020220075560 A KR1020220075560 A KR 1020220075560A KR 20220075560 A KR20220075560 A KR 20220075560A KR 102574269 B1 KR102574269 B1 KR 102574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user
block
augmented re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두
Original Assignee
함영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두 filed Critical 함영두
Priority to KR1020220075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7Dynamic range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87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region growing; involving region merging; involving connected component lab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 인식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단말기; 및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물인식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object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 인식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촬영 시 현실의 공간에 다양한 정보를 덧씌워 보여 주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법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의 한 분야에 속하는 기술이며, 사용자가 감각으로 느끼는 실제환경에 가상환경을 합성하여 원래의 실제환경에 가상환경이 존재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컴퓨터 기법이다.
이러한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에 가상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 예를 들면, 3차원 가상환경을 정합함으로써 구현된 현실을 증강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가상환경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실사 영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3차원 가상영상은 실사영상과 정합되어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229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물 인식을 이용하여 객체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은,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단말기; 및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물인식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물인식 서버는, (a) 단순화 모듈에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가 단색톤으로 단순화되는 단계; (b) 블록 모듈에서, 상기 (a) 단계에서 단순화된 상기 사물의 이미지 상에 제 1 블록 구역이 부여되는 단계; (c) 연산 모듈에서, 상기 식별부의 영역 일부가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이, 다시 상기 제 1 블록 구역 의 크기보다 작은 제 2 블록 구역으로 구획되는 단계; (d) 상기 연산 모듈에서, 상기 각각의 제 2 블록 구역들의 위치마다 좌표가 부여되며, 상기 하나의 제 1 블록 구역 내의 제 2 블록 구역들간의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어 상기 좌표에 각각 상대적 수치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및 (f) 상기 데이터 베이스 모듈에서,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에 매칭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식 방법을 통해 사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서, 직접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사물인식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물인식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 전송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출력하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경형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경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 눈을 덮고 사용자의 얼굴에 안착되는 전단 프레임;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영상을 출력하여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두 눈 모두 또는 한쪽 눈을 덮고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 전단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어 상기 전단 프레임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안경 다리; 및 사용자의 우측 귀에 걸어 상기 전단 프레임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안경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안경 다리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어 상기 전단 프레임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패드 안착홈에 안착되는 밀착 패드;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위치를 관통하고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을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부터 노출 또는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삽입시켜 주는 제1 패드 조절부; 및 상기 밀착 패드의 후단에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위치를 관통하고 상기 밀착 패드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밀착 패드의 후단을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부터 노출 또는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삽입시켜 주는 제2 패드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패드 조절부는,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위치에서 상기 다리 프레임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되는 볼트 안착홈에 안착되는 볼트 헤드; 및 상기 볼트 안착홈의 내측 벽체를 관통하고 삽입된 뒤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볼트 넥;을 포함하는, 노출 조절 볼트;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 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삽입 설치되는 사각 하우징;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 넥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에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넥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각 하우징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 블록; 및 상기 사각 하우징에서 상기 사각 하우징의 타측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밀착 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의 밀착면을 덮고 설치되는 밀착 커버와 상기 지지 블록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밀착 커버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형 지지 실린더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체 탱크; 상기 경사형 지지 실린더와 상기 유체 탱크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를 전달하거나 공급받기 위한 유체 전달관; 상기 유체 탱크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으로 구분하면서 상기 유체 탱크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분리 격벽; 및 상기 분리 격벽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간 인식 및 사물 인식을 동시에 적용하여 가상객체의 위치를 정확한 위치에 표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의 사물 인식을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의 제 1 블록 구역 및 제 2 블록 구역을 이용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구획하는 과 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 블록 구역을 상대적 명암비 차이에 따라 수치화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사물의 이미지 중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를 구획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를 구획하는 과정과 관련하여, 제 1 블록 구역을 수치화시킨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안경형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13은 도 10의 제1 안경 다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제1 패드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4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도 16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10)은, 증강현실 단말기(300) 및 사물인식 서버(100)를 포함한다.
증강현실 단말기(300)는,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현실 단말기(300)는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 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한다.
사물인식 서버(100)는, 증강현실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증강현실 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증강현실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증강현실 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물인식 서버(100)는, 증강현실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증강현실 단말기(3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증강현실 단말기(300)는 기본적으로 위성위치정보를 현재위치정보로써 사물인식 서버(100)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증강현실 단말기(300)에 통신모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위성위치정보 뿐만 아니라 주변의 와이파이(Wi-Fi) 중계기의 위치, 기지국 위치 등이 현재위치정보로써 사물인식 서버(100)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실내에서는 위성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증강현실 단말기(30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파이(Wi-Fi) 중계기의 신호세기를 추가로 파악하여 사물인식 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실내에 위치한 와이파이(Wi-Fi) 중계기의 절대위치는 미리 사물인식 서버(10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증강현실 단말기(300)가 검색된 와이파이(Wi-Fi) 중계기의 고유번호와 신호세기를 추가로 제공할 경우, 사물인식 서버(100)에서는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상대적인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물인식 서버(100)는 증강현실 단말기(300)를 착용 또는 소지한 사용자의 현재위치정보와,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영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실제영상정보를 통해 각각의 실제객체에 할당된 가상객체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증강현실 단말기(3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100)은 단순화 모듈(110), 블록 모듈(130), 연산 모듈(150) 및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로 구성된다.
먼저, 단순화 모듈(110)은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를 단순화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사물의 이미지는, 단순화 모듈(110)을 통해 단색톤으로 단순화될 수 있으며, 단색톤은 사물의 이미지의 지배적인 색상 또는 이와 유사한 톤으로 결정될 수 있고, 상대적 명암비의 차이만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단순화 모듈(110)은 필터에 의해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터는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블록 모듈(130)은, 단순화 모듈(110)에서 단순화된 사물의 이미지 상에, 가상의 선으로 이루어진 제 1 블록 구역(210)을 구획하며, 이러한 구획은 사물의 이미지와는 무관하고,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산 모듈(150)은 각각의 제 1 블록 구역(210) 내부를 제 2 블록 구역(230)으로 다시 구획하도록 형성되며, 제 2 블록 구역(230) 역시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사각형 형태인 제 1 블록 구역(210) 한 변의 길이는 제 2 블록 구역(230) 한 변의 길이의 N 배인 바, 제 1 블록 구역(210) 내에는 N 2 개의 제 2 블록(230)이 포함된다.
또한, 연산 모듈(150)에서는, 하나의 제 1 블록 구역(210) 내의 N 2 개의 제 2 블록 구역(230)들 간의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며, 각각의 제 2 블록 구역(230)들의 위치마다 좌표가 부여됨에 따라, 제 2 블록 구역(230)들의 각각의 좌표마다 상대적 수치가 부여됨으로써, 사물의 패턴 정보(D1)가 수치화되어 생성된다.
또한, 연산 모듈(150)에서 생성된 사물의 패턴 정보(D1)는,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로 전송된다.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에는 사물의 패턴 정보(D1)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메타데이터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은 연산 모듈(150)에서 전송된 사물의 패턴 정보(D1)를 식별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매칭시킨 후, 사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 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스에서 사물에 관한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물에 관한 설명, 광고 및 주의 사항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100)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100)은, 단순화 모듈(110)에서, 상기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가 단색톤으로 단순화되는 단계(S100), 블록 모듈(130)에서, 상기 단계(S100)에서 단순화된 상기 사물의 이미지 상에 제 1 블록 구역(210)이 부여되는 단계(S110), 연산 모듈(150)에서, 상기 식별부의 영역 일부가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210)이, 다시 상기 제 1 블록 구역(210)의 크기보다 작은 제 2 블록 구역(230)으로 구획되는 단계(S120), 상기 연산 모듈(150)에서, 상기 각각의 제 2 블록 구역(230)들의 위치마다 좌표가 부여되며, 상기 하나의 제 1 블록 구역(210) 내의 제 2 블록 구역(230)들간의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어 상기 좌표에 각각 상대적 수치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D1)가 생성되는 단계(S130), 상기 단계(S130)에서 연산된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D)가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로 전송되는 단계(S140)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에서,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D)에 매칭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및 5를 함께 참조한다.
먼저, 단계(S100)에서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가 단순화 모듈(110)에 의해 단색톤으로 단순화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A" 및 "에이"라는 문자 역시, 본래의 색상과는 달리, 동일한 단색톤으로 프로세싱되는 과정을 거치게 됨에 따라, 상대적 명암비의 차이만 존재하는 이미지로 전환된다.
단계(S110)에서는, 제 1 블록 구역(210)이 부여되며, 상기 제 1 블록 구역(210)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정사각형 형태로써, 단순화 모듈(110)에 의해 전환된 사물의 이미지 상에 빈틈없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촬영되는 사물에는 식별부가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식별부는 사물의 외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사물의 포장 패키지에 형성될 수 있고, 사물의 외면 또는 포장 패키지의 부분 중 사용자에게 지배적인 인상을 주는 특정 형태가 식별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A" 및 "에이"라는 문자가 식별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단계(S120)에서는, 연산 모듈(150)을 통해, 식별부의 영역 일부가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210)이, 다시 제 1 블록 구역(210)의 크기보다 작은 제 2 블록 구역(230)으로 구획된다.
이 때, 식별부의 영역 일부가 포함되지 않는 제 1 블록 구역(210) 역시, 제 2 블록 구역(230)으로 구획될 수 있으나, 식별부의 영역이 일부라도 포함되지 않는 제 1 블록 구역(210(1, 4))은 연산 모듈(150)에 의해 빈 공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연산 모듈(150)을 통해 각각의 제 2 블록 구역(230)들의 위치마다 좌표가 부여되며, 하나의 제 1 블록 구역(210) 내의 제 2 블록 구역(230)들간의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어 상기 좌표에 각각 상대적 수치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D1)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사물의 패턴 정보(D1)는 식별부의 일부가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을 통해 생성되며, 도 4에는 제 1 블록 구역(210) 중 식별부의 일부가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210(2, 3))을 통해 설명한다.
제 1 블록 구역(210(2, 3))은 정사각형의 제 2 블록 구역(230)으로 구획되며, 제 2 블록 구역(230) 마다 상대적 명암비가 상이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블록 구역(230) 각각에는 좌표가 (x, y) 방식으로 부여되고, 여기서 x는 제 1 블록 구역(210) 내에 서의 행을 의미하며, y는 열을 의미한다.
연산 모듈(150)에서는, 제 2 블록 구역(230)들의 각각에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는 과정은, 이들간의 상대적 명암비의 순위값이 제 2 블록 구역(230) 각각에 부여될 수 있다.
가령, 제 1 블록 구역(210)이 n개의 제 2 블록 구역(230)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 2 블록 구역(230)들 간의 상대적 명암비의 순위는 1 내지 n으로 수치가 부여될 수 있으며, 만약, 제 2 블록 구역(230)들 간의 상대적 명암비의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동일한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이 때, 제 2 블록 구역(230)은 최소 단위인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블록 구역(230) 내를 차지 하고 있는 식별부의 면적을 기준으로 수치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값이 부여된 제 2 블록 구역(230)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 순위의 제 2 블록 구역(230)에 수치를 부여할 때, 이에 해당되는 순위를 건너뛸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제 1 블록 구역(210) 중 좌표 (2, 3)에 해당하는 제 1 블록 구역(210(2, 3))의 상대적 명암비를 수치화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제 2 블록 구역(230) 중 좌표 (1, 3), (1, 4), (2, 4) 및 (3, 4)는 모두 상대적 명암비가 1로 동일한 바, 도 5에는 좌표 (4, 4)의 제 2 블록 구역(230(4, 4))의 상대적 명암비가 2로 부여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값에 해당되는 순위를 건너뛴 상대적 명암비가 5로 부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제 1 블록 구역(210)은 이를 구성하는 제 2 블록 구역(230)들 간의 상대적 명암비를 이용하여 수치가 부여되며, 이들의 수치는 다시 제 1 블록 구역(210)의 좌표와 결합됨으로써, 최종적인 사물의 패턴 정보(D1)가 생성된다.
단계(S140)은 상기 단계(S130)에서 생성된 사물의 패턴 정보(D1)가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로 전송되며, 이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150)은, 전송받은 사물의 패턴 정보(D1)에 매칭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로부터 로딩하며, 이를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20)에서, 연산 모듈(150)은, 상기 식별부의 영역의 일부가 포함되는 제 1 블록 구역(210b) 중, 이웃하는 제 1 블록 구역(210)이 어느 하나라도 상기 식별부의 영역에 불포함되는 제 1 블록 구역을 모서리 블록(210c)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130)는, 모서리 블록(210c)들의 좌표를 통해 상기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D2)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단계(S140)는, 상기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D2)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로 전송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단계(S150) 이전에, 상기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에서 상기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D2)를 통해 상기 사물에 관한 정보를 먼저 필터링하는 단계(S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 및 7을 참조하면, 단계(S100)에서 단순화된 사물의 이미지는 좌표가 부여된 제 1 블록 구역(210)들로 구성되며, 식별부의 영역 일부가 포함되지 않은 제 1 블록 구역(210a), 식별부의 영역이 일부라도 포함되는 제 1 블록 구역(210b, 210c)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식별부의 영역이 일부라도 포함되는 제 1 블록 구역은, 이웃하는 제 1 블록 구역(210)이 어느 하나라도 식별부의 영역에 불포함되는 제 1 블록 구역인 모서리 블록(210c) 및 이웃하는 제 1 블로 구역(210)이 어느 하나라도 식별부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1 블록 구역(210b)로 구성된다.
상기 모서리 블록(210c)은, 식별부의 윤곽과 관련된 것이며, 모서리 블록(210c)의 좌표를 통해,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D2)를 생성할 수 있고, 도 6의 경우에는, 좌표 (1, 2), (1, 3), (2, 1), (2, 3), (3, 1), (3, 4), (4, 2) 및 (4, 3)인 제 1 블록 구역이 모서리 블록(210c)이며, 상기 좌표들을 통해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D2)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단계(S150) 이전에, 사물의 윤곽 패턴 정보를 통해 사물에 관한 정보를 1차적으로 필터링함으로써,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 상에서 사물의 패턴 정보(D1)를 매칭시킬 때,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물의 패턴 정보(D1)들의 매칭 대상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이러한 매칭 과정의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블록 구역(210) 중 식별부의 일부라도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에 1이라는 값을 부여하고, 식별부의 일부라도 포함되지 않는 제 1 블록 구역에는 0이라는 값을 부여함으로써, 이를 단순화 및 수치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식 서버(100)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외면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면, 전술한 단계들에 의해, 자동으로 식별부를 판단하고,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에서의 매칭 과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베이스 모듈(170)은 사용자에게 사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에게 사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사물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미지, 텍스트 및 동영상 등 여러가지 방식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증강현실 단말기(300)의 음성 출력부를 통해 음성으로 사물에 관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20)은, 증강현실 단말기(300), 사물인식 서버(100) 및 안경형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증강현실 단말기(300) 및 사물인식 서버(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안경형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서, 직접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한 뒤 사물인식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사물인식 서버(100)로부터 증강현실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증강현실 단말기(300)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출력하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0은 도 9의 안경형 단말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안경형 단말기(400)는, 전단 프레임(410), 디스플레이 장치(420), 제1 카메라(430), 제2 카메라(440), 제1 안경 다리(450) 및 제2 안경 다리(460)를 포함한다.
전단 프레임(410)은, 사용자의 두 눈을 덮고 사용자의 얼굴에 안착되며, 디스플레이 장치(420), 제1 카메라(430), 제2 카메라(440), 제1 안경 다리(450) 및 제2 안경 다리(46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20)는, LED 또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투사 방향으로 빔프로젝터 등과 같이 소형 화면 출력 장치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영상을 출력하여 제공하기 위해 전단 프레임(410)에서 사용자의 두 눈 모두 또는 한쪽 눈을 덮고 설치된다.
제1 카메라(430)는,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전단 프레임(410)의 일측 전단에 설치된다.
제2 카메라(440)는,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전단 프레임(410)의 타측 전단에 설치된다.
제1 안경 다리(450)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어 전단 프레임(410)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단 프레임(4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안경 다리(460)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걸어 전단 프레임(410)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단 프레임(41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도 11 내지 13은 도 10의 제1 안경 다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안경 다리(450)는, 다리 프레임(451), 밀착 패드(452), 2 패드 조절부(454), 및 제1 패드 조절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안경 다리(460)는, 후술하는 제1 안경 다리(45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안경 다리(450)의 다리 프레임(451), 밀착 패드(452), 2 패드 조절부(454), 및 제1 패드 조절부(50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리 프레임(451)은,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어 전단 프레임(410)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전단 프레임(4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밀착 패드(452), 제2 패드 조절부(454), 및 제1 패드 조절부(50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밀착 패드(452)는,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다리 프레임(451)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패드 안착홈(451a)에서 제2 패드 조절부(454), 및 제1 패드 조절부(500)에 의해 지지되어 안착된다.
제1 패드 조절부(500)는, 밀착 패드(452)의 전단에 대향하는 다리 프레임(451)의 위치를 관통하고 밀착 패드(452)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밀착 패드(452)의 전단을 패드 안착홈(451a)으로부터 노출 또는 패드 안착홈(451a)으로 삽입시켜 준다.
제2 패드 조절부(454)는, 밀착 패드(452)의 후단에 대향하는 다리 프레임(451)의 위치를 관통하고 밀착 패드(452)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밀착 패드(452)의 후단을 패드 안착홈(451a)으로부터 노출 또는 패드 안착홈(451a)으로 삽입시켜 준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3의 제1 패드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패드 조절부(500)는, 노출 조절 볼트(510), 사각 하우징(520), 지지 블록(530) 및 블록 지지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패드 조절부(454)는, 후술하는 제1 패드 조절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패드 조절부(500)의 노출 조절 볼트(510), 사각 하우징(520), 지지 블록(530) 및 블록 지지부(60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노출 조절 볼트(510)는, 밀착 패드(452)의 전단에 대향하는 다리 프레임(451)의 위치에서 다리 프레임(451)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되는 볼트 안착홈에 안착되는 볼트 헤드(511); 및 볼트 안착홈의 내측 벽체를 관통하고 삽입된 뒤 패드 안착홈(451a)으로 노출되는 볼트 넥(512);을 포함한다.
사각 하우징(520)은, 패드 안착홈(451a)으로 노출되는 볼트 넥(512)이 안착되어 지지 블록(530)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 패드(452)의 전단에 삽입 설치된다.
지지 블록(530)은,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 하우징(520)에 안착되며, 패드 안착홈(451a)으로 노출되는 볼트 넥(512)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에 볼트 체결홈(530a)이 형성되며, 볼트 넥(51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사각 하우징(52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블록 지지부(600)는, 사각 하우징(520)에서 사각 하우징(520)의 타측 개구부가 형성되는 밀착 패드(452)에서 사용자의 신체와의 밀착면을 덮고 설치되는 밀착 커버(452a)와 지지 블록(530)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블록(530)을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블록(5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4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60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하부 지지 블록(630),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 및 플레이트 지지부(6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6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뉘인 형태로 설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상측에 위치하고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하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직립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레이트 지지부(650)에 의해 하측이 지지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지지 블록(530)을 지지하며,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상측 테두리가 설치된다.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배치되어 밀착 커버(452a)에 안착되며, 상측에 하부 지지 블록(630)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6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 지지 플레이트(6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 테두리를 따라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의 하측 테두리가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된다.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원통 형상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과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플레이트 지지부(650)로 먼지 또는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플레이트 지지부(6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640)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중심 포스트(651),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를 포함한다.
중심 포스트(65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외측을 따라 서로 120º의 등간격으로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설치된다.
이때, 중심 포스트(651)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는 고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의 상하 높이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완충 지지부(700-2)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중심 포스트(651)를 중심축으로 하여 제1 완충 지지부(700-1) 및 제2 완충 지지부(700-2)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한다.
즉,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를 1/3씩 분할하여 각자가 설치된 구역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 지지부(650)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수평하게 하강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일측만이 하강하는 경우에도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 제2 완충 지지부(700-2) 또는 제3 완충 지지부(700-3) 중 어느 하나의 완충 지지부가 지지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600)는, 다양한 방향으로부터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 또는 완충시켜 줌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제1 완충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완충 지지부(700-2) 및 제3 완충 지지부(700-3)는, 후술하는 제1 완충 지지부(700-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완충 지지부(700-1)의 수직형 지지부(710),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 및 경사형 지지부(7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직형 지지부(71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713)가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711)와 하부 지지 블록(630)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712)에 의해 지지된다.
즉, 수직형 지지부(71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완충 스프링(712)의 내측을 통과하여 삽입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완충 스프링(712)은, 상부 거치대(711)를 지지함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에 의해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상부 거치대(711)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오일 등)에 의해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상승시켜 주고, 유체가 유출됨에 따라 수직형 지지부(710)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경사형 지지부(730)는, 상측에 배치되는 일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배치되는 타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동 지지 헤드(713)를 지지하며,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가 하강하여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면서 회동 지지 헤드(713)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완충 지지부(700-1)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부 지지 플레이트(6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경사형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경사형 지지부(730)는, 제1 회동 프레임(731), 제2 회동 프레임(732),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제2 완충 스프링(735),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 및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를 포함한다.
제1 회동 프레임(731)은, 상단이 회동 지지 헤드(713)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다.
제2 회동 프레임(732)은,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와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에 의해 상측이 지지되어 상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중심 포스트(651)의 하부 일측(651a)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는,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중단(H)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F3-1, F3-2, F3-3)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접철되면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이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의 각 일단이 다른 지지 링크(F3)를 구성하는 제2 링크 프레임(F2)과 제1 링크 프레임(F1)의 각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일렬로 연결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링크 프레임(F1)과 제2 링크 프레임(F2)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H)의 일측 마다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고 삽입된다.
즉, 중간 지지 프레임(734)은,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남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완충 스프링(735)은,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734)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을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관통하면서 설치된다.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는, 직선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제1 회동 프레임(731)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완충 스프링(735)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중간 지지 프레임(734)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상단을 통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접철식 지지 링크부(733)가 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를 지지한다.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회동 프레임(73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는,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가 삽입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L)를 유체 탱크(721)로 공급하고,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사이의 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유체(L)가 공급되어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736)를 배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경사형 지지부(730)는, 수직형 지지부(710)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함에 따라 회동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수직형 지지부(71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20은 도 18의 수직형 지지 실린더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유체 탱크(721), 유체 전달관(722), 분리 격벽(723) 및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포함한다.
유체 탱크(721)는, 유체(L)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하부 지지 블록(630)의 내측에 설치된다.
유체 전달관(722)은,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와 유체 탱크(721)의 하단 사이를 연통하고 설치되어 서로 간에 유체(L)를 전달하거나 공급받는다.
분리 격벽(723)은, 유체 탱크(721)를 유체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N1)과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상부 공간(N2)으로 구분하면서 유체 탱크(721)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수직 완충 스프링(724)을 지지한다.
수직 완충 스프링(724)은, 분리 격벽(723)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단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720a)는, 평상시에는 수직형 지지부(71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수직형 지지부(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며,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하여 도 18의 제1 회동 프레임(731)과 제2 회동 프레임(732) 간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형 지지 실린더(737)로부터 유체(L)가 유체 탱크(721)로 공급되어 분리 격벽(723)을 상승시켜 줌으로써 수직형 지지부(710)가 하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20 :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100: 사물인식 서버
300: 증강현실 단말기
400: 안경형 단말기

Claims (10)

  1.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하는 증강현실 단말기; 및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실제영상정보에 포함되는 식별부를 포함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물인식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물인식 서버는,
    (a) 단순화 모듈에서,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에서 촬영된 사물의 이미지가 단색톤으로 단순화되는 단계; (b) 블록 모듈에서, 상기 (a) 단계에서 단순화된 상기 사물의 이미지 상에 제 1 블록 구역이 부여되는 단계; (c) 연산 모듈에서, 상기 식별부의 영역 일부가 포함된 제 1 블록 구역이, 다시 상기 제 1 블록 구역 의 크기보다 작은 제 2 블록 구역으로 구획되는 단계; (d) 상기 연산 모듈에서, 상기 각각의 제 2 블록 구역들의 위치마다 좌표가 부여되며, 상기 하나의 제 1 블록 구역 내의 제 2 블록 구역들간의 상대적 명암비가 수치로 연산되어 상기 좌표에 각각 상대적 수치가 부여됨으로써,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연산된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 모듈로 전송되는 단계; 및 (f) 상기 데이터 베이스 모듈에서, 상기 사물의 패턴 정보에 매칭되는 사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 인식 방법을 통해 사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형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서, 직접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한 뒤 상기 사물인식 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물인식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로 전송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상기 증강현실 단말기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출력하여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안경형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 눈을 덮고 사용자의 얼굴에 안착되는 전단 프레임;
    사용자에게 3차원 가상영상을 출력하여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두 눈 모두 또는 한쪽 눈을 덮고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 전단에 설치되는 제1 카메라;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 전단에 설치되는 제2 카메라;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어 상기 전단 프레임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안경 다리; 및
    사용자의 우측 귀에 걸어 상기 전단 프레임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안경 다리;를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경 다리는,
    사용자의 좌측 귀에 걸어 상기 전단 프레임을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전단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 안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와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패드 안착홈에 안착되는 밀착 패드;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위치를 관통하고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을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부터 노출 또는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삽입시켜 주는 제1 패드 조절부; 및
    상기 밀착 패드의 후단에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위치를 관통하고 상기 밀착 패드의 후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에 따라 상기 밀착 패드의 후단을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부터 노출 또는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삽입시켜 주는 제2 패드 조절부;를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 조절부는,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대향하는 상기 다리 프레임의 위치에서 상기 다리 프레임의 외측으로 개구부를 형성되는 볼트 안착홈에 안착되는 볼트 헤드; 및 상기 볼트 안착홈의 내측 벽체를 관통하고 삽입된 뒤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볼트 넥;을 포함하는, 노출 조절 볼트;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 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밀착 패드의 전단에 삽입 설치되는 사각 하우징;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각 하우징에 안착되며, 상기 패드 안착홈으로 노출되는 상기 볼트 넥이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에 볼트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 넥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각 하우징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지지 블록; 및
    상기 사각 하우징에서 상기 사각 하우징의 타측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밀착 패드에서 사용자의 신체와의 밀착면을 덮고 설치되는 밀착 커버와 상기 지지 블록의 타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블록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밀착 커버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블록;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켜 주는 자바라식 밀폐 커버; 및
    상기 자바라식 밀폐 커버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는,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 중심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중심 포스트;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완충 지지부;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로부터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중심 포스트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완충 지지부 및 상기 제2 완충 지지부로부터 각각 120º 각도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3 완충 지지부;를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으로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동 지지 헤드가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부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상부 거치대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완충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형 지지부;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 블록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가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수직형 지지부의 하부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형 지지 실린더; 및
    일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회동 지지 헤드를 지지하며, 상기 상부 지지 플레이트가 하강하여 상기 수직형 지지부가 하강함에 따라 일단 및 타단이 각각 회동 하는 동시에 길이가 수축되는 경사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회동 지지 헤드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회동 프레임;
    상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대향하며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중심 포스트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회동 프레임;
    직선 형상의 제1 링크 프레임과 제2 링크 프레임의 각 중단이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X" 형상을 형성하는 지지 링크 다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접철식 지지 링크부;
    상기 제1 링크 프레임과 상기 제2 링크 프레임이 연결 설치되는 교차 위치의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직립되어 연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 개의 중간 지지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제2 완충 스프링;
    일단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완충 스프링 각각의 내측을 통과하면서 삽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 각각을 역시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상단을 통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이 일직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동 프레임과 상기 제2 회동 프레임 사이를 지지하는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 및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회동 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이 내측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뒤틀림 방지 바아의 타단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KR1020220075560A 2022-06-21 2022-06-21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KR102574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60A KR102574269B1 (ko) 2022-06-21 2022-06-21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560A KR102574269B1 (ko) 2022-06-21 2022-06-21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4269B1 true KR102574269B1 (ko) 2023-09-01

Family

ID=8797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560A KR102574269B1 (ko) 2022-06-21 2022-06-21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2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10A (ko)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60092292A (ko)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아이마카 광고물에 대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8285A (ko) * 2016-03-17 2017-09-27 주식회사 이웃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실내장치 제어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10A (ko) * 2009-07-30 2011-02-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증강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휴대용 단말기
KR20160092292A (ko)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아이마카 광고물에 대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8285A (ko) * 2016-03-17 2017-09-27 주식회사 이웃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실내장치 제어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3435B2 (en) Eye mounted displays and eye tracking systems
US20200342577A1 (e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74299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herical stereoscopic photographing
JP651138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8786675B2 (en) Systems using eye mounted displays
US11960086B2 (en) Image generation device, head-mounted display, and image generation method
WO2009094643A2 (en) Systems using eye mounted displays
KR20180021885A (ko) 가상 이미지 생성 시스템에서 텍스트를 더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법
US11143876B2 (en) Optical axis control based on gaze detection within a head-mountable display
US11590415B2 (en) Head mounted display and method
JP7150134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2574269B1 (ko) 사물인식을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JP6306083B2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100144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ed video-see-through for head mounted displays
JP7142762B2 (ja) 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2021003723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2219473B1 (ko) 움직이는 트릭 아트를 포함하는 vr시스템
JP2017201524A (ja) 仮想空間を提供する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3104319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NZ791441A (en)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JPWO2019026184A1 (ja) 画像生成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