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549B1 -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549B1
KR102571549B1 KR1020210127940A KR20210127940A KR102571549B1 KR 102571549 B1 KR102571549 B1 KR 102571549B1 KR 1020210127940 A KR1020210127940 A KR 1020210127940A KR 20210127940 A KR20210127940 A KR 20210127940A KR 102571549 B1 KR102571549 B1 KR 10257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voice
location information
respons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9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5277A (en
Inventor
정민선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7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549B1/en
Publication of KR2023004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고령자의 외출 시 일정 영역에서 장시간 머물게 되면 대화 방식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여, 긴급 상황 시 보호자에게 알람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해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현재 위치 정보를 GPS를 통해 획득하는 GPS 수신부, 외출 모드가 설정되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시간 동안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긴급 상황 제어부,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 출력부, 대화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긴급 상황 제어부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 및 긴급 상황 시 생성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여,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를 구현한다.When the elderly stay in a certain area for a long time when going out, the condition is checked through a conversation method, and in an emergency, an alarm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guardian to take follow-up action quickly to protect valuable lives. This device relates to a GPS receiver that acquire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obtain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outing mode is set, check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and conducts a conversation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located in a specific area for a set time. An emergency control unit that controls transmission of voice and recognizes the user's voice and then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message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 voice output unit that transmits conversational voice for emergency determination through a speaker; and conversational voice Including a voic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the user's response voice and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and a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genera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to a pre-registered guardian terminal, Implement neglect prevention devices.

Description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고령자 방치 예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령자의 외출 시 일정 영역에서 장시간 머물게 되면 대화 방식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여, 긴급 상황 시 보호자에게 알람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해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evention of neglect of the elderly, and in particular, when the elderly stay in a certain area for a long time when going out, the status is checked through a conversation method, and in an emergency, an alarm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guardian to promptly take follow-up measures to save precious lives. It relates to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that can protect the elderly.

출산율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령(화)사회에서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주요 특성은 출산율 저하에 따른 생산인구의 감소, 노인 부양비와 노령화지수의 상승, 중위연령의 증가, 80세 이상 초 고령인구의 급증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As the birth rate and death rate decrease and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various changes occur in an aging society. The main characteristics can be explained by a decrease in the working population due to a decrease in the birth rate, an increase in the elderly dependency ratio and aging index, an increase in the median age, and a rapid increase in the super-aged population over 80 years of age.

고령화의 가속화에 따라 고령자 증가와 부양 인력 부족에 관한 문제는 사회적으로 점차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인력에 관한 공백을 디지털 기술 접목을 통해 보조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With the acceleration of population aging, problems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and the lack of supportive manpower are becoming increasingly serious social problems.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to supplement these manpower vacanc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예를 들어, 고령자에게 위치 추적이 가능한 GPS 장치를 휴대하게 하고, 실시간 위치 추적을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allowing the elderly to carry a GPS device capable of location tracking and performing real-time location tracking.

이 방식은 GPS를 통해 고령자의 위치 추적은 가능하나 고령자의 상태는 인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고령자가 아주 오랫동안 한곳에 머물게 되면 그때야 비로소 GPS 위치 추적을 통해 탐색을 하게 되는 데, 이 경우에는 고령자의 생명을 담보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장시간 고령자를 방치함으로써, 고령자의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elderly through GPS, but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cannot be recognized. Therefore, when an elderly person stays in one place for a very long time, he or she searches through GPS location tracking only then, and in this case, the life of an elderly person cannot be guaranteed. That i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lderly cannot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by leaving the elderly person unattended for a long time.

또 다른 방식으로서, SK 텔레콤의 경우 서산 지역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해당서비스 전용의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한 "애니케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소위 "유케어 서비스"(U-care service;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시행하는 복지서비스로서, 만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원격 전자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전을 점검하고 응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히 구조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새로운 개념의 안심 서비스를 말함)를 개시하였다.As another method, in the case of SK Telecom, the so-called "U-care servi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s a welfare service to be implemented, a new concept of relief service implemented to check safety using a remote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o quickly rescue in case of an emergency) was launched.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 방식은 웹/앱 사이트의 위치조회페이지를 통해 대상자의 현재 위치와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보호자에게 긴급 문자를 발송하나, 이는 사용자가 긴급 버튼을 조작하는 경우에만 긴급호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긴급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에도 긴급호출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오류가 있으며, 사용자가 긴급 호출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However, this service method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a method of identifying the target's current location and moving route through the location inquiry page of the web/app site. In addition,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o the user, an emergency text message is sent to the guardian, but the emergency call service is performed on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emergency button. Therefore, there is an error in which the emergency call service is performed even when the user presses the emergency button by mistake,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service cannot be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not press the emergency call butt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5340(2013.05.28. 공개)(긴급 호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호출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3-0055340 (published on May 28, 2013) (emergency call device and emergency call method using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20906(2014.07.11. 등록)(GPS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조회 및 안심 서비스 방법)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420906 (registered on July 11, 2014) (Location inquiry and safe service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GP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GPS 위치추적을 통한 고령자 위치 추적 기술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고령자의 외출 시 일정 영역에서 장시간 머물게 되면 대화 방식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여, 긴급 상황 시 보호자에게 알람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해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elderly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and the prior art through GPS location tracking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elderly stay in a certain area for a long time when they go out, they check the status through a conversation method In an emergenc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that provides alarms and location information to guardians so that they can take follow-up actions quickly to protect valuable liv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출 시 고령자가 장시간 특정 영역에서 의도되지 않게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elderly from being unintentionally left in a specific area for a long time when going ou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귀가 모드와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a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turn mode and an outing mode;

현재 위치 정보를 GPS를 통해 획득하는 GPS 수신부;a GPS receiver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외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시간 동안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긴급 상황 제어부;When the outing mode is set by the mode setting uni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GPS receiver, and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is checked to transmit a conversation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located in a specific area for a set time. And, after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n emergenc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message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 출력부;a voice output unit transmitting a dialogue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대화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a voic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user's response voice to the dialogue voice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transmits a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emergency controller;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긴급 상황 시 생성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mergency messag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generated in an emergency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controller to a pre-registered guardian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는,In addition, the "interactive elder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보호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에 전달하는 응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response confirmation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to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and forwarding it to the emergency control unit,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는 상기 응답 확인부를 통해 보호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현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부를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response confirmation unit, the emergency control unit controls transmission of currently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상기에서 긴급 상황 제어부는,In the above, the emergency control unit,

상기 모드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모듈;a mod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mode set through the mode setting unit;

상기 모드 판단 모듈에 의해 판단한 모드가 외출 모드일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판단모듈;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module is an outing mode;

상기 판단한 모드가 외출 모드일 경우, 외출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는 시간 확인 모듈;When the determined mode is the going out mode, a time checking module for checking the lapse of going out time;

상기 시간 확인 모듈을 통해 확인한 외출 시간과 상기 위치 정보 판단모듈에 의해 판단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긴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는 상황음성 출력모듈;a situational voice output module that transmits a conversational voice for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at each preset time period based on the outing time confirmed through the time confirmation modul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상황 유무를 판단하는 긴급상황 판단모듈;an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a user's voice recognition result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상기 긴급상황 판단모듈에 의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전송할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모듈;an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for generating an emergency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a guardia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mergency message to a guardia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상기 응답 확인부를 통해 수신한 보호자 응답 신호를 기초로 보호자 응답을 확인하는 응답 확인 모듈;a response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a guardian response based on the guardian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sponse confirmation unit;

상기 응답 확인 모듈에 의해 보호자의 응답이 수신되면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a response from the guardian is received by the response confirmation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고령자의 외출 시 일정 영역에서 장시간 머물게 되면 대화 방식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여, 긴급 상황 시 보호자에게 알람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해 귀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derly stay in a certain area for a long time when going out, the status is checked through a conversation method, and in an emergency, an alarm and lo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to the guardian to promptly take follow-up actions to protect valuable lives.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출 시 고령자가 장시간 특정 영역에서 의도되지 않게 방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elderly from being unintentionally left in a specific area for a long time when going ou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긴급 상황 제어부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이다.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of Figure 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아울러 본 발명에서 "고령자"라 함은 나이가 많은 노인, 독거노인 등을 통칭하여 부르는 용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 "elderly"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 commonly referred to as the elderly,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like.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1a는 귀가 모드에서 화면 표출 상태도이고, 도 1b는 외출 모드에서 대화 음성 송출 표시 예시 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A is a screen display state diagram in return mode, and FIG.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1)는 몸체(12)의 양단에는 고령자가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1)를 손목 등에 착용하기 위한 밴드(11)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nds 11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body 12 for the elderly person to wear the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1 on the wrist or the like.

몸체(12)의 전면 중앙에는 시간정보(13)나 외출 모드 시 긴급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대화 메시지가 표시되는 표시부(15)가 구비되고, 상기 표시부(15)의 소정 위치에는 귀가 모드와 외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모드 설정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귀가 모드는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판단하지 않는 모드이며, 외출 모드는 사용자의 긴급 상황을 대화형태로 확인하기 위한 모드이다.At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body 12, a display unit 15 is provided to display time information 13 or a conversation messag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the outing mode, and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15 is provided in the return mode and the out mode. A mode setting unit 14 including a mode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is provided. Here, the return mode is a mode that does not determine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and the outing mode is a mode for confirming the user's emergency situation in the form of a conversation.

아울러 상기 몸체(12)의 소정 위치에는 긴급 상황의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는 스피커(17)와, 사용자(고령자를 의미함)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16)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speaker 17 for transmitting a conversational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a microphone 16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meaning an elderly person)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12.

사용자가 모드 설정부(14)를 통해 선택하는 모드에 따라 표시부(15)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가 달라진다.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 varies according to a mod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mode setting unit 14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의 구성도로서, 모드 설정부(14), GPS 수신부(19), 음성 인식부(20), 긴급 상황 제어부(21), 음성 출력부(22), 실시간 클록 발생기(23), 메모리(24), 긴급 메시지 전송부(25) 및 응답 확인부(26)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e setting unit 14, a GPS receiver 19, a voice recognition unit 20, an emergency control unit 21, and a voice output unit (22), a real-time clock generator 23, a memory 24, a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5 and a response check unit 26 may be included.

모드 설정부(14)는 귀가 모드와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GPS 수신부(19)는 현재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GPS를 통해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The mode setting unit 14 serves to set a return mode and an outing mode, and the GPS receiver 19 serves to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through GPS.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상기 모드 설정부(14)에 의해 외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GPS 수신부(19)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시간 동안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outing mode is set by the mode setting unit 14,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obtain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GPS receiver 19, checks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and is in a specific area for a set time. If located, it controls transmission of conversational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and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message based on a voice recognition result after recognizing a user's voice.

이러한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설정부(14)를 통해 설정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모듈(31), 상기 모드 판단 모듈(31)에 의해 판단한 모드가 외출 모드일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판단모듈(32), 상기 판단한 모드가 외출 모드일 경우, 외출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는 시간 확인 모듈(33), 상기 시간 확인 모듈(33)을 통해 확인한 외출 시간과 상기 위치 정보 판단모듈(32)에 의해 판단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긴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는 상황음성 출력모듈(34), 상기 음성 인식부(20)를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상황 유무를 판단하는 긴급상황 판단모듈(35), 상기 긴급상황 판단모듈(35)에 의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전송할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모듈(36), 상기 응답 확인부(26)를 통해 수신한 보호자 응답 신호를 기초로 보호자 응답을 확인하는 응답 확인 모듈(37), 상기 응답 확인 모듈(37)에 의해 보호자의 응답이 수신되면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모듈(38)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has a mode determination module 31 for determining the mode set through the mode setting unit 14, and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module 31 is In the case of going out mode,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2 for acquir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case the determined mode is the going out mode, the time checking module 33 for checking the elapse of going out time, and the time checking module 33 A situational voice output module 34 that transmits a conversational voice for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every preset time period based on the time of going out confirmed through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2,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 20), 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35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user's voice recognition result,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35, an emergency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An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36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message to the guardian terminal, and a response confirmation module 37 that checks the guardian response based on the guardian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sponse check unit 26 ),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8 that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the response of the guardian is received by the response confirmation module 37.

상기 보호자 단말은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보호자가 휴대하는 단말기로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구현할 수 있다.The guardian terminal is a terminal carried by a guardian of a user using the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1, and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별도로 구비된 전원 버튼을 조작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하여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1)를 초기화시키면 표시부(15)에 보호자 정보 입력창이 생성되고, 이러한 입력창을 통해 보호자 정보(예를 들어, 연락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시부(15)는 터치 패널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e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1 is initialized by operating the separately provided power button or replacing the battery, a guardian information input window is created on the display unit 15, and the guardian information (eg, contact number) is generated through this input window. ) can be registered. For this purpose, it is assumed that the display unit 15 uses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panel.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초기화된 상태에서 보호자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메모리(24)에 저장해 놓는다. 보호자 정보는 1인 또는 복수로 저장할 수 있다.If guardian information is input in an initialized state,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stores it in the memory 24 . Guardian information can be stored for one person or a plurality.

음성 출력부(22)는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스피커(17)를 통해 송출해주는 역할을 하며, 음성 인식부(20)는 마이크(16)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대화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voice output unit 22 serves to transmit a conversational voice for emergency determination through the speaker 17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ler 21, and the voice recognition unit 20 uses the microphone 16 Recognizes the user's response voice to the dialogue voice receiv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system and transmits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emergency controller 21.

음성 인식은 음성 인식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는, HMM(Hidden Markov Model), 종단간 자동 음성 인식 알고리즘(End-to-E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lgorithms)인 CTC(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LAS(Listen, Attend Spell) 등 알려진 다양한 음성인식 알고리즘을 그대로 채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Speech recognition includes HMM (Hidden Markov Model),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speech recognition, CTC (Connectionist Temporal Classification), which is an end-to-end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lgorithm, and LAS (Listen, Attend Spell). It is possible to adopt and utilize various known voice recognition algorithms.

실시간 클록 발생기(RTC 발생기)(23)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동작 타임을 설정하기 위한 실시간 클록을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A real-time clock generator (RTC generator) 23 serves to count time and generate a real-time clock for setting an operating time.

긴급 메시지 전송부(25)는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긴급 상황 시 생성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응답 확인부(26)는 보호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5 serves to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generated in an emergency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21 to a pre-registered guardian terminal, and the response confirmation unit 26 transmits the message from the guardian terminal. It serves to receive a response to the emergency message and deliver it to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상기 응답 확인부(26)를 통해 보호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현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부(25)를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토록 제어할 수 있다.When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response checking unit 26,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may control transmission of currently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5. there i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nteractive elder neglec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사용자는 댁내에 머물 경우에는 모드 설정부(14)의 귀가 모드 버튼을 누른다. 귀가 모드가 설정되면 긴급 상황 제어부(21)의 모드 판단 모듈(31)은 귀가 모드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표시부(15)에 시간 정보만을 표시한다.First, the user presses the return mode button of the mode setting unit 14 when staying at home. When the home mode is set, the mode determination module 31 of the emergency controller 21 determines the home mode, and accordingly, the emergency controller 21 displays only tim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5 .

한편, 사용자가 외출을 위해 모드 설정부(14)의 외출 모드를 누르면, 긴급 상황 제어부(21)의 모드 판단 모듈(31)은 외출 모드임을 인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going out mode of the mode setting unit 14 to go out, the mode determination module 31 of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recognizes that it is the going out mode.

외출 모드 시, 시간 확인 모듈(33)은 현재 시각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되고, 위치정보 판단모듈(32)은 GPS 수신부(19)와 연동하여 지속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24)에 저장한다. 여기서 위치정보는 메모리(24)에 저장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획득하면 데이터양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특정 주기(예를 들어, 1분 단위)로 획득하여 저장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uting mode, the time checking module 33 continuously checks the elapsed time from the current tim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2 continuously obtain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GPS receiver 19 to keep the memory 24 ) is stored i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emory 24, the amount of data increases when acquired in real tim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cquire and store data at a specific period (for example, every minute).

아울러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외출 모드 시, 획득한 위치 정보를 통해 설정시간 동안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controls to transmit a conversational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located in a specific area for a set time through the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in the outing mode.

즉, 상황음성 출력모듈(34)은 확인한 외출 시간과 상기 위치 정보 판단모듈(32)에 의해 판단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긴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한다.That is, the situational voice output module 34 transmits a conversational voice for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every preset time period based on the checked outing tim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2.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를 30분으로 설정한 것으로 가정하며, 설정된 30분을 주기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특정 영역(예를 들어, 5 ~ 10m 범위)에서 30분 이상 머물고 있으면 긴급 상황 판단시점으로 판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preset time period is set to 30 minutes, and location information is checked at a set period of 30 minutes. judge by

긴급 상황 판단시점으로 판단을 하면, 상황음성 출력모듈(34)은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대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24)로부터 인출하여 음성 출력부(22)에 전달한다.When it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 context voice output module 34 retrieves dialog voi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from the memory 24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output unit 22 .

상기 음성 출력부(22)는 상기 상황음성 출력모듈(34)로부터 출력된 대화 음성 데이터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7)로 송출한다.The voice output unit 22 converts the dialog voice data output from the situation voice output module 34 into a sound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17 .

여기서 출력되는 대화 음성은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건강 상태를 묻는 대화 음성을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컨대, "괜찮습니까?"라는 건강 상태를 묻는 대화 음성이 될 수 있다.Conversational voices output here may vary,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conversational voice asking about health status is transmitted. For example, “Are you okay?” may be a conversational voice asking about a health condition.

이때, 표시부(15)를 통해 문자로도 대화 음성 메시지를 표시해줄 수 있다.At this time, a conversational voice message may be displayed through text as well through the display unit 15 .

사용자는 스피커(17) 및/또는 표시부(15)를 통해 표출되는 대화 음성을 인식하면, 그에 대해 응답을 한다. 응답은 긍정적인 표현과 부정적인 표현으로 할 수 있다. 긍정적인 표현으로는 대화 음성에 대해 "예", "네", "괜찮다", "응", "그래", "예스"와 같은 응답이 될 수 있으며, 부정적인 표현으로는 대화 음성에 대해 "아니오", "안 좋아", "아파", "노"와 같은 응답이 될 수 있다.When the user recognizes the dialogue voice expressed through the speaker 17 and/or the display unit 15, the user responds to it. Responses can be given in positive and negative terms. Positive expressions can be responses such as "yes", "yes", "okay", "yes", "yes", "yes" to the dialogue voice, and negative expressions can be "no" to the dialogue voice. ", "I don't like it," "It hurts," or "No."

여기서 대화 음성에 대하여 일정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다시 대화 음성을 송출하고, 응답이 없으면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한다. 정해진 횟수만큼 대화 음성을 송출한 상태에서 응답이 없으면 음성 인식부(20)는 인식할 음성이 없게 된다.Here,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conversation vo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conversation voice is transmitted again, and if there is no response, it is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f there is no response in a state in which conversation voices have been transmit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voice recognition unit 20 has no voice to recognize.

사용자가 송출한 응답 음성은 마이크(16)를 통해 수신되며, 음성 인식부(20)를 통해 인식되어 긴급 상황 제어부(21)에 전달된다.The response voice sent by the user is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16, recognized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unit 20, and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긴급 상황 제어부(21) 내의 긴급상황 판단모듈(35)은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상황 유무를 판단한다. 즉, 음성 인식 결과가 긍정적이면 정상 상태로 보고, 다음 상황 음성 출력 과정으로 이동하고, 음성 인식 결과가 부정적이면 긴급 상황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정해진 횟수만큼 대화 음성을 송출한 상태에서도 음성 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긴급 상황으로 판단한다.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35 in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emergency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That is, if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s positive, it is regarded as a normal state and moves to the next situation voice output process, and if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is negative,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situation. In addition, if voice recognition is not perform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versation voices have been transmitted,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situation.

긴급상황 판단모듈(35)은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모듈(36)에 긴급 상황임을 알린다.When 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35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it notifies the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36 that it is an emergency.

상기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모듈(36)은 상기 긴급상황 판단모듈(35)에 의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전송할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모듈(36)은 LTE, CDMA, 5G와 같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긴급 메시지는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이다. 즉, 긴급 메시지는 사용자가 위급 상황이라든지 움직이지 않는 상태라든지 등을 알리는 메시지이다.The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36 generates an emergency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emergency message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35. For this purpose, it is assumed that the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36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TE, CDMA, and 5G. Here, the urgent message is a message requesting a response. That is, the emergency message is a message notifying the user of an emergency situation or a non-moving state.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을 통해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면, 응답 요청에 따라 응답을 한다. 응답을 응답 요청 버튼을 조작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guardian receives an emergency message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the guardian responds according to the response request. Response can be implemented by manipulating the response request button.

긴급 상황 제어부(21)는 긴급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로 전송한 상태에서, 응답 확인 모듈(37)은 상기 응답 확인부(26)를 통해 보호자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일정 시간 이내에 보호자 응답이 수신되면, 위치 정보 전송모듈(38)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전송한다.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미리 등록된 관계기관에 연락을 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control unit 21 transmits the emergency message to the guardian terminal, the response checking module 37 checks whether a guardian response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response checking unit 26 . As a result of this check, if a response from the guardian is receiv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38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o the guardian terminal. If a response is not received, it may be possible to contact the pre-registered related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take action.

보호자는 보호자 단말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신속하게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조치를 취하게 된다.When the guardian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guardian terminal, it quickly moves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akes action according to the user's condition.

이로써, GPS를 통해 사용자 위치만을 추적하는 기존 방식은 장시간 사용자가 방치된 상태에서만 사후 조치가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일정 시간 주기로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정확히 판별함으로써, 긴급 상황을 신속하게 판단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방치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어, 귀중한 인명을 잃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Thu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tracking only the user's location through GPS, follow-up measures were possible only when the user was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but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ly determines the user's condition through conversation with the user at regular intervals, thereby promptly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At the same time as making judgments, it is possible to prevent user neglect, and in emergency situations, follow-up measures can be taken quickly, which can also prevent the loss of valuable human life.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1: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11: 밴드
12: 몸체
13: 시간 정보
14: 모드 설정부
15: 표시부
16: 마이크
17: 스피커
19: GPS 수신부
20: 음성 인식부
21: 긴급 상황 제어부
31: 모드 판단 모듈
32: 위치정보 판단모듈
33: 시간 확인 모듈
34: 상황음성 출력모듈
35: 긴급상황 판단모듈
36: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모듈
37: 응답 확인 모듈
38: 위치정보 전송모듈
22: 음성 출력부
23: 실시간 클록 발생기
24: 메모리
25: 긴급 메시지 전송부
26: 응답 확인부
1: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11: Band
12: body
13: Time information
14: mode setting unit
15: display part
16: microphone
17: speaker
19: GPS receiver
20: voice recognition unit
21: emergency control unit
31: mode judgment module
32: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33: time check module
34: situational voice output module
35: emergency judgment module
36: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37: response check module
38: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2: audio output unit
23: real-time clock generator
24: memory
25: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26: response confirmation unit

Claims (3)

귀가 모드와 외출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부;
현재 위치 정보를 GPS를 통해 획득하는 GPS 수신부;
상기 모드 설정부에 의해 외출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GPS 수신부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설정시간 동안 특정 영역에 위치하면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한 후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메시지의 전송을 제어하는 긴급 상황 제어부;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긴급 상황 판단을 위한 대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 출력부;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대화 음성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를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에 전달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긴급 상황 시 생성되는 긴급 메시지를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긴급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는,
외출 시간과 판단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마다 긴급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대화 음성을 송출하는 상황음성 출력모듈; 사용자의 음성 인식 결과를 기초로 긴급 상황 유무를 판단하는 긴급상황 판단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주기를 기준으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임의의 영역 범위인 특정 영역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머물고 있으면 긴급 상황 판단시점으로 판단하고,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대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로부터 인출하여 출력하며, 출력한 대화 음성에 대하여 응답 음성을 인식하여 부정적인 표현이거나, 대화 음성에 대하여 일정시간 이내에 응답이 없으면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하여 대화 음성을 송출하고, 정해진 횟수만큼 대화 음성을 송출한 상태에서 응답이 없으면 긴급 상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a mode setting unit for setting a return mode and an outing mode;
a GPS receiver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When the outing mode is set by the mode setting uni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rough the GPS receiver, and the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is checked to transmit a conversation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when located in a specific area for a set time. And, after recognizing the user's voice, an emergenc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n emergency message based on the voice recognition result;
a voice output unit transmitting a dialogue voice for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a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a voice recognition unit that recognizes a user's response voice to the dialogue voice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and transmits a voice recognition result to the emergency controller; and
An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 emergency message generated in an emergency under the control of the emergency situation control unit to a pre-registered guardian terminal,
The emergency control unit,
a situational voice output module that transmits a conversational voice for confirming an emergency situation at every preset time period based on the outing time and the determined location information;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a user's voice recognition result;
The emergency control unit check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preset time period, determines that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when staying in a specific area within a range of an arbitrary area for more than a preset time, and conversational voice dat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mergency. is retrieved from the memory and outputted, and if it is a negative expression by recognizing the response voice for the output dialogue voice, or if there is no response to the dialogue voice within a certain time, the dialogue voice is transmitted repeatedly a set number of times, and the dialogue voice is transmitted a set number of times. A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situation if there is no response in the transmitted state.
청구항 1에서, 보호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긴급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에 전달하는 응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는 상기 응답 확인부를 통해 보호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면, 현재 획득한 위치 정보를 상기 긴급 메시지 전송부를 통해 상기 보호자 단말로 전송토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ponse check unit for receiving a response to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and forwarding it to the emergency control unit,
Wherein the emergency control unit controls transmission of currently obtain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emergency message transmission unit when a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response confirmation unit.
청구항 2에서,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는,
상기 모드 설정부를 통해 설정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모드 판단 모듈;
상기 모드 판단 모듈에 의해 판단한 모드가 외출 모드일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판단모듈;
상기 판단한 모드가 외출 모드일 경우, 외출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는 시간 확인 모듈;
상기 긴급상황 판단모듈에 의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되면, 보호자에게 전송할 긴급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메시지를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긴급 메시지 생성 및 전송 모듈;
상기 응답 확인부를 통해 수신한 보호자 응답 신호를 기초로 보호자 응답을 확인하는 응답 확인 모듈; 및
상기 응답 확인 모듈에 의해 보호자의 응답이 수신되면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보호자 단말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In claim 2, the emergency control unit,
a mode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 mode set through the mode setting unit;
a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ation module for obta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mode determined by the mode determination module is an outing mode;
When the determined mode is the going out mode, a time checking module for checking the lapse of going out time;
an emergency messag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odule for generating an emergency message to be transmitted to a guardia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mergency message to a guardian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is determined by the emergency determination module;
a response confirmation module for confirming a guardian response based on the guardian respons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sponse confirmation unit; and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to the guardian terminal when a response from the guardian is received by the response confirmation module.




KR1020210127940A 2021-09-28 2021-09-28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KR102571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940A KR102571549B1 (en) 2021-09-28 2021-09-28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940A KR102571549B1 (en) 2021-09-28 2021-09-28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77A KR20230045277A (en) 2023-04-04
KR102571549B1 true KR102571549B1 (en) 2023-08-28

Family

ID=8592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940A KR102571549B1 (en) 2021-09-28 2021-09-28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5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973B1 (en) * 2023-04-24 2023-10-24 (주)파밀리데이터 Senior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906B1 (en) 2010-12-24 2014-07-17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of position-report and relief service b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gps
KR20130055340A (en) 2011-11-18 2013-05-28 삼성전기주식회사 Emergency call support apparatus and ca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96343B1 (en) * 2019-02-18 2020-12-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evice for safe returning service interlocking with smart phone
KR20210025894A (en) * 2019-08-28 2021-03-10 주식회사 오퍼스원 A portable terminal for providing senior services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77A (en)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US7356473B2 (en) Management and assistance system for the deaf
KR101654609B1 (en) Remote Smart Monitoring System for Handicapped, Disabled and Elderly Living Alone and Method thereof
KR101648076B1 (en) Senior citiz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beacon signal
JP2005026861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328865B1 (en) Wrist watch for deaf and its control method
JP2009049568A (en) Reporting method and reporting system
KR102571549B1 (en) Interactive elderly neglect prevention device
CN106817475A (en) It is a kind of hidden based on intelligent terminal/mobile phone and its attached or associate device method for seeking help
CA3163132A1 (en) A personal help button and administrator system for a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pers)
KR101814171B1 (en) Emergency call system using speech recognition
KR20140122168A (en) Phonetic conversation method and device using wired and wiress communication
US20220038406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2983148B1 (en) Voice-sensitive emergency alert system
KR101170733B1 (en) Device calling for help through controlling audible frequency bands and system using thereof
KR101799874B1 (en) Situation judg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voice/sound analysis
US11087613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mergency event
KR20190023657A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using ring
CN109618322B (en) Alarm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091687A (en) Personal safety guarantee system and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6713641B (en) Time reporting method based on wearable equipment and wearable equipment
KR102425941B1 (en) Helper system using helper robot
US11915695B2 (en) Method of and a device for using a wireless receiver as a help-seeking-signal converter for rendering help using smart speakers
KR101468480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gnizing and managing emergency using smart phone
JP6677791B2 (en) Wa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