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532B1 -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532B1
KR102570532B1 KR1020220190995A KR20220190995A KR102570532B1 KR 102570532 B1 KR102570532 B1 KR 102570532B1 KR 1020220190995 A KR1020220190995 A KR 1020220190995A KR 20220190995 A KR20220190995 A KR 20220190995A KR 102570532 B1 KR102570532 B1 KR 10257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ble
contact
separation
contac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0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상
변동주
맹근영
Original Assignee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9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53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53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37Characterising or performance testing, e.g. of frequency respo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블록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검사대상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브핀이 구비되어 검사대상물에 접촉되는 컨텍블록; 각각의 상기 이동블록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 및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블록과 동일한 개수로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션드라이버; 및 상기 프로브핀에 의해 감지되는 검사신호가 송수신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컨텍블록이 연결되고, 제어부에 검사신호를 송신하는 신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드라이버 또는 상기 신호보드는, 각각 상기 이동블록 또는 상기 컨텍블록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vable block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guide rails provided in the fixed block; a lifting block slid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oving block; A connecting block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lifting block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end of the test object; a contact block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and is provided with a probe pin to contact the test object; a plurality of motion drivers installed on the fixed block in the same number as the moving block to individually transmit power and driving signals for each of the moving blocks; and a signal board to which a plurality of the contact blocks are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test signals sensed by the probe pins, and to transmit test signals to a control unit, wherein the motion driver or the signal board,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y a cable to the contact block.

Description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Multi-probe inspection device}Multi-probe inspection device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이동블록이 각각의 모션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구동신호에 따라 정렬작동 및 승강작동이 진행되면서 검사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동블록이 전원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찰되어야 하는 전원레일 및 신호레일이 생략될 수 있어 이동블록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검사작동 중에 발생되는 파티클에 의한 오작동 및 검사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사대상물의 종류가 교체되는 경우에 이동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텍블록을 검사대상물에 호환되는 다른 종류의 컨텍블록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since an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a plurality of moving blocks align and lift according to power and driving signals supplied from each motion driver, the moving block Power rails and signal rails that must be rubbed to receive power and drive signals can be omitted, so the amount of particles generated by the friction of the moving block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malfunctions and inspections caused by particles generated during inspection operation It is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that can prevent damage to the object and can easily replace the contact block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with a different type of contact block compatible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when the type of object to be inspected is replaced. it's about

일반적으로, Display(QD, OLED, MICROLED, MICRO OLED) 검사 장비는 Display 패널이 불량품인지 양품인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위치한 지점까지 Display 패널을 자동으로 이송시켜주고,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결과에 따라 Display 패널을 양품(good), 수리대상(repair), 폐기(reject)로 분류하여 카세트(cassette)에 구분 적치하여 주는 장치를 일컫는다.In general, display (QD, OLED, MICROLED, MICRO OLED) inspection equipment automatically transfers the display panel to the point where the operator is located so that the display panel can be easily inspected with the naked eye whether it is defective or good, and the inspection is completed It refers to a device that classifies display panels into good, repair, and reject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s and places them in cassettes.

일반적인 Display 검사 장비는 본체의 일측에 Display 패널의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부가 배치되고, 검사부의 일측에 Display 패널을 공급 및 회수하는 로딩/언로딩부가 배치된다.In general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an inspection unit for inspecting a display panel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loading/unloading unit for supplying and collecting display panels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pection unit.

또한, Display 검사 장비에는 Display 패널을 로딩/언로딩부에서 검사부로, 검사부에서 로딩/언로딩부로 반송하여 주는 캐리어가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a carrier that transports the display panel from the loading/unloading unit to the inspection unit and from the inspection unit to the loading/unloading unit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left/right.

검사부는 프로브 유닛 및, Display 패널을 프로브 유닛에 컨텍시킴과 더불어 광원을 제공하는 워크스테이지(work stage)로 구성된다.The inspection unit is composed of a probe unit and a work stage for contacting the display panel to the probe unit and providing a light source.

워크스테이지는 편광판 및 백라이트로 이루어지고, 워크스테이지의 후방에는 워크스테이지를 프로브 유닛에 대해 정렬함과 더불어 프로브 유닛에 접속시키는 XYθ스테이지가 설치된다.The work stage is composed of a polarizing plate and a backlight, and an XYθ stage is installed behind the work stage to align the work stage with respect to the probe unit and connect it to the probe unit.

로딩/언로딩부에는 로더로부터 반송된 Display 패널을 소정 각도(예컨대 60도)로 기울여주는 서브테이블이 설치된다.A sub-table is installed in the loading/unloading unit to incline the display panel transported from the loader at a predetermined angle (eg, 60 degrees).

또한, 검사부의 전방에는 Display 패널의 육안 검사를 행할 때에 이상이 발견되면 작업자가 이를 더욱 정밀히 확인하기 위한 현미경이 상하 및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in front of the inspection unit, a microscope is installed so that the operator can mov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 more accurately check if an abnormality is found during a visual inspection of the display panel.

로딩/언로딩부의 로더로부터 서브테이블에 Display 패널이 전달되고, 서브테이블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캐리어에 Display 패널을 전달한다.The display panel is transferred to the subtable from the loader of the loading/unloading unit, and the subtable transfers the display panel to the carrier while til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어서, 캐리어는 Display 패널을 검사부로 반송하고, 검사부에 테스트할 Display 패널이 위치되면, 후방에서 XYθ스테이지가 전진하여 캐리어의 Display 패널을 진공 흡착하여 고정하고, 고정된 Display 패널의 패드를 프로브 유닛의 리드핀에 접속시킨다.Subsequently, the carrier transports the display panel to the inspection unit, and when the display panel to be tested is located in the inspection unit, the XYθ stage advances from the rear to vacuum-adsorb and fix the display panel of the carrier, and the pad of the fixed display panel to the probe unit. Connect to the lead pin.

이와 같이 Display 패널과 프로브 유닛 간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프로브 유닛을 통해 소정의 영상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백라이트의 조명이 외부의 영상신호 입력 장치인 패턴제너레이터(pattern generator)에 의해 다양한 패턴으로 바뀌게 되고, 작업자는 이 때 구현되는 패턴으로 패널의 불량을 판별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robe unit is made,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probe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illumination of the backlight is changed into various patterns by a pattern generator, which is an external video signal input device. And the operator determines the defect of the panel by the pattern implemented at this time.

프로브 유닛은 직사각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일단에 등 간격을 가지며 설치되는 프로브 블록과, 프로브 블록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데이터 PCB와, 얼라인을 확인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얼라인 카메라로 구성된다.The probe unit includes a rectangular base plate, a probe block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on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a data PCB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o transmit signals to the probe block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It consists of an alignment camera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check the alignment.

한편, 이러한 종래의 프로브 유닛은 Display 패널의 규격에 따라 해당 패널과 대응되는 프로브 유닛을 Display 검사 장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프로브 유닛을 부착한 다음 유닛 셋-업이란 공정을 거친다.On the other hand, such a conventional probe unit is used by attaching a probe unit corresponding to the panel to the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display panel standard, and then goes through a unit set-up process after attaching the probe unit.

그러나 이러한 유닛 셋-업 공정은 Display 패널의 패드와 프로브 유닛의 리드핀을 1:1로 맞추는 작업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그 작업 시간이 보통 수 시간씩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is unit set-up process proceeds by aligning the pads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lead pins of the probe unit in a 1:1 ratio, the work usually takes several hours.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멀티 프로브 유닛이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브 유닛은, 금속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 양단에 얼라인 카메라가 설치되어 Display 검사 장비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이동자가 구비되어 Display 검사 장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자를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와, 일단이 리니어 모터 각각의 이동자에 리니어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에 프로브 블록이 고정 설치되는 이동 브래킷과, 이동 브래킷을 가이드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이격 설치되는 한쌍의 LM 가이드와, LM 가이드 사이에 스케일이 설치되고, 이동 브래킷의 저면에 헤더가 설치되어 이동 브래킷의 이동량을 검측하여 Display 검사 장비로 출력하는 엔코더와,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직사각형태로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단에 포스트에 의해 고정되는 커버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 브래킷에 의해 설치되어 프로브 블록으로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PCB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ulti-probe unit has been developed, and the multi-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metal material, and a base fixedly installed in the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with align cameras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ate and a linear moto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e plate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ers to move the mover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one end fixed to each mover of the linear motor by a linear bracket, and the other end A movable bracket to which the probe block is fixedly installed, a pair of LM guide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e plate to guide the movable bracke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cale installed between the LM guides, and a header on the bottom of the movable bracket is installed to detect the movement amount of the movable bracket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a cover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fixed by a post on the top of the base plate, and a fixed bracket on the top of the base plate It consists of a data PCB that is installed by the probe block and transmits data signals to the probe block.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2202호(2011년 03월 07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멀티 프로브 유니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2202 (published on March 7, 2011, title of the invention: multi-probe unit).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브 유닛은, 엔코더가 스케일 및 헤더로 이루어지고, 컨텍블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검사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이동 브래킷의 마찰구조 및 전원공급을 위한 이동 브래킷의 마찰구조가 구비되기 때문에 검사작동 중에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파티클이 생성되어 검사작동에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검사대상물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multi-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encoder is composed of a scale and a header, and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because the friction structure of the moving bracket for transmitting the inspection signal made by the contact block and the friction structure of the moving bracket for power supply are provi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particles are generated by friction generated during inspection, which may cause malfunction in inspection operation or damage the inspection object.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멀티 프로브 유닛은, 이동 브래킷과 컨텍블록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검사대상물의 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체결부재를 해제하여 검사대상물에 호환되는 다른 종류의 컨텍블록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컨텍블록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probe unit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movable bracket and the contact block are fixedly installed by a fastening member, when the type of object to be inspected is changed, the operator releases the fastening member to obtain a different type compatible with the object to be inspected. Since it needs to be replaced with a contact block,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ntact block replacement work.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이동블록이 각각의 모션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구동신호에 따라 정렬작동 및 승강작동이 진행되면서 검사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동블록이 전원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찰되어야 하는 전원레일 및 신호레일이 생략될 수 있어 이동블록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검사작동 중에 발생되는 파티클에 의한 오작동 및 검사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사대상물의 종류가 교체되는 경우에 이동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텍블록을 검사대상물에 호환되는 다른 종류의 컨텍블록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vable blocks are aligned and lifted according to the power and drive signals supplied from each motion driver, and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signal rail can be omitted, so the amount of particles generated by the friction of the moving block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malfunctions caused by particles generated during inspection operation and damage to inspection objects can be prevented, and types of inspection object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that can easily replace the contact block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with a different type of contact block compatible with the test object when the is replaced.

본 발명은, 고정블록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검사대상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브핀이 구비되어 검사대상물에 접촉되는 컨텍블록; 각각의 상기 이동블록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 및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블록과 동일한 개수로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션드라이버; 및 상기 프로브핀에 의해 감지되는 검사신호가 송수신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컨텍블록이 연결되고, 제어부에 검사신호를 송신하는 신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드라이버 또는 상기 신호보드는, 각각 상기 이동블록 또는 상기 컨텍블록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ovable blocks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guide rails provided in the fixed block; a lifting block slid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oving block; A connecting block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lifting block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end of the test object; a contact block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and is provided with a probe pin to contact the test object; a plurality of motion drivers installed on the fixed block in the same number as the moving block to individually transmit power and driving signals for each of the moving blocks; and a signal board to which a plurality of the contact blocks are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test signals detected by the probe pins and to transmit test signals to a control unit, wherein the motion driver or the signal board,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by a cable to the contact block.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고정블록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리니어모터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리니어코일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ably installed on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ixed block, and a linear coil is installed to slide along the linear motor installed on the fixed block, and the lifting bl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riving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is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은, 상기 모션드라이버와 상기 리니어코일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케이블; 상기 모션드라이버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케이블; 상기 신호보드와 상기 컨텍블록을 연결하는 제3케이블; 및 상기 컨텍블록과 엔코더를 연결하는 제4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able connected to the motion driver and the linear coil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driving signals; a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motion driver and the driver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a driving signal; a third cable connecting the signal board and the contact block; and a fourth cable connecting the contact block and the encod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구획하는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제1케이블, 상기 제3케이블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케이블, 상기 제4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구획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간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for partitioning a distance between the cables to prevent the cable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rei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determine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able and the third cable and the and a spacer plate protruding from the moving block to define a space between the second cable and the fourth cab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컨텍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컨텍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착탈돌기;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고, 공압 제공여부에 따라 상기 착탈돌기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홈부; 상기 컨텍블록에 형성되는 분리홈부; 교체작업의 대상물이 되는 다른 종류의 상기 컨텍블록이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블록 일측에 배치되는 분리블록; 상기 분리블록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분리홈부에 삽입되는 분리돌기; 및 상기 분리돌기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볼부재를 상기 분리돌기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공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분리블록에 구비되는 공압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contact block, wherein the detachable portion includes a detachabl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ontact block; a detachabl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detachable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rotrus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pneumatic pressure is provided; Separation grooves formed in the contact block; a separation block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contact block of a different type, which is an object of replacement work, is seated; a separa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eparation block and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and a pneumatic supply unit provided in the separation block to provide air pressure for protruding or inserting a plurality of ball members protruding from the separation protrusion from the separation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는, 복수 개의 이동블록 마다 각각의 모션드라이버가 구비되고, 모션드라이버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에 의해 전원 및 구동신호가 이동블록의 구동부에 전달되므로 전원 및 구동신호의 수신을 위해 마찰되어야 하는 전원레일 및 신호레일이 생략되어 이동블록의 마찰부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동블록의 마찰부위가 감소되면서 검사작동 중에 발생되는 파티클의 양을 줄일 수 있으므로 파티클에 의한 검사작동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파티클에 의한 검사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motion driver is provid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moving blocks, and power and driving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of the moving block by cables extending from the motion drivers, so that power and driving signals can be received. Power rails and signal rails that need to be rubbed for inspection can be omitted to reduce the frictional part of the moving block, and as the frictional part of the moving block is reduced, the amount of particles generated during the inspection operation can be reduced. can be prevent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damage to the inspection target due to partic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는, 이동블록과 컨텍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검사대상물의 종류가 교체되는 경우에 컨텍블록의 교체작업이 진행되면 이동블록이 분리블록 측으로 이동되어 컨텍블록을 분리블록 상면에 안착시키면서 컨텍블록과 분리블록을 결합시킨 후에 이동블록과 컨텍블록을 분리시키고, 분리블록에 다른 종류의 컨텍블록을 안착시켜 이동블록과 새로운 컨텍블록을 결합시키면서 컨텍블록 교체작업을 수동작업이 없이 진행할 수 있어 컨텍블록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unit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movable block and the contact block, when the type of object to be inspected is replaced, when the contact block replacement operation proceeds, the movable block moves toward the separation block. After moving and seating the contact block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block, combining the contact block and the separation block, separating the movement block and the contact block, seating a different type of contact block on the separation block, and combining the movement block and the new contact block. Block replacement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manual work,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contact block replacement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이동블록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의 컨텍블록, 연결블록 및 승강블록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결합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분리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block assembly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contact block assembly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block assembly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block mounting structure of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block mounting structure of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tact block, a connection block, and an elevating block of a contact block assembly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contact block coupling operation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contact block separation operation of the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block assembly of the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tact block assembly of the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이동블록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act block assembly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a contact block mounting structure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block mounting structure of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조립체의 컨텍블록, 연결블록 및 승강블록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결합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의 컨텍블록 분리작동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contact block, a connection block, and an elevation block of a contact block assembly of a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contact block coupling operation of the multi-probe testing device, and FIG.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contact block separation operation of the multi-probe te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는, 고정블록(10)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2)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블록(16)과, 이동블록(16)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이동블록(1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30)과, 승강블록(30)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검사대상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연결블록(32)과, 연결블록(32)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브핀(36)이 구비되어 검사대상물에 접촉되는 컨텍블록(34)과, 각각의 이동블록(16)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 및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이동블록(16)과 동일한 개수로 고정블록(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션드라이버(50)와, 프로브핀(36)에 의해 감지되는 검사신호가 송수신되도록 복수 개의 컨텍블록(34)이 연결되고, 제어부에 검사신호를 송신하는 신호보드(56)를 포함한다.1 to 9, the multi-probe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vable blocks installed to be movabl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guide rails 12 provided on a fixed block 10. (16) and a lifting block 30 slid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16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oving block 16, and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lifting block 30, A connection block 32 disposed opposite to the end of the test object, a contact block 34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32 and provided with a probe pin 36 to contact the test object, and each A plurality of motion drivers 50 installed in the fixed block 10 in the same number as the moving block 16 to individually transmit power and drive signals for each moving block 16, and detected by the probe pin 36 A plurality of contact blocks 34 are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test signals, and a signal board 56 transmits test signals to the control unit.

따라서 검사작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정렬작동이 진행되면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송신되는 전원 및 구동신호에 따라 이동블록(16)이 고정블록(1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검사대상물에 대향되는 정확한 위치로 이동되고, 정렬작동이 완료되면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부가 작동되면서 승강블록(30)이 하강하여 컨텍블록(34)이 검사대상물에 접촉되면서 검사작동을 진행하게 된다.Therefore, if the alignment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moving block 16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fixed block 10 according to the power and drivin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river 50 to accurately When the alignment operation is completed,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river 50, and the lifting block 30 descends so that the contact block 34 contacts the inspection object and proceeds with the inspection operation. do.

이때, 본 실시예의 모션드라이버(50) 또는 신호보드(56)는, 각각 이동블록(16) 또는 컨텍블록(34)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므로 컨텍블록(34) 또는 구동부에 전원 및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해 전원레일 또는 신호레일이 설치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어 이동블록(16)의 마찰부위를 절감할 수 있게된다.At this time, since the motion driver 50 or the signal board 56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6 or the contact block 34 by a cable, power and driving signals are supplied to the contact block 34 or the driving unit. In order to do this,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stallation of power rails or signal rails, thereby reducing the frictional parts of the moving block 16.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싱예는 각각의 이동블록(16) 마다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모션드라이버(50)가 설치되고,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구동신호에 따라 이동블록(16) 및 승강블록(30)이 이동되면서 검사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동블록(16)의 마찰면적이 감소되면서 이동블록(16)의 정렬작동 및 승강블록(30)의 승강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의 생성을 줄일 수 있게 되고, 파티클에 의한 오작동 및 검사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a motion driver 50 connected by a cable is installed for each moving block 16, and the moving block 16 and the moving block 16 and Since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lifting block 30 is moved, the friction area of the moving block 16 is reduced and the generation of particles generated by the alignment operation of the moving block 16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block 3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particles and damage to the inspection object.

또한, 본 실시예의 이동블록(16)은, 고정블록(10)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고정블록(10)에 설치되는 리니어모터(17)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리니어코일(18)이 설치되며, 승강블록(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므로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 및 구동신호가 케이블을 따라 리니어코일(18) 및 구동부에 제공되고, 신호보드(56)와 컨텍블록(34)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프로브핀(36)이 검사대상물과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검사신호가 신호보드(56)에 송신된 후에 제어부에 전달되므로 검사대상물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ving block 16 of this embodiment is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12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fixed block 10, and along the linear motor 17 installed on the fixed block 10 Since the linear coil 18 is installed to slide, and a drive unit for raising or lowering the lifting block 30 is provided, power and driving signals provided from the motion driver 50 are provided to the linear coil 18 and the drive unit along the cable. And, the signal board 56 and the contact block 34 are connected by a cable so that the test signal generated when the probe pin 3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st object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board 56 and t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또한, 본 실시예의 케이블은, 모션드라이버(50)와 리니어코일(18)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케이블(52)과, 모션드라이버(50)와 구동부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케이블(54)과, 신호보드(56)와 컨텍블록(34)을 연결하는 제3케이블(57)과, 컨텍블록(34)과 엔코더를 연결하는 제4케이블(58)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ble of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first cable 52 connected to the motion driver 50 and the linear coil 18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drive signals, and the first cable 52 connected to the motion driver 50 and the drive unit to transmit power or drive. A second cable 54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 third cable 57 connecting the signal board 56 and the contact block 34, and a fourth cable 58 connecting the contact block 34 and the encoder includes

따라서 고정블록(10) 상면에 설치되는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연장되는 제1케이블(52) 및 제2케이블(54)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이동블록(16)에 연결되고,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상측에 배치되는 신호보드(56)로부터 연장되는 제3케이블(57)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컨텍블록(34)에 연결되며, 신호보드(56)를 지나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4케이블(58)은 하단부가 컨텍블록(34)에 연결되어 엔코더와 컨텍블록(34)을 연결하게 된다.Therefore, the first cable 52 and the second cable 54 extending from the motion driver 5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block 10 extend downward and are connected to the moving block 16, and the motion driver 50 The third cable (57) extending from the signal board (56) disposed on the upper side extends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lock (34), and the fourth cable (58) extends upward through the signal board (56).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lock 34 to connect the encoder and the contact block 34.

상기한 바와 같이 제4케이블(58)에 의해 엔코더가 컨텍블록(34)과 연결되어 컨텍블록(34)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모션드라이버(5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이동되는 컨텍블록(34)의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면서 컨텍블록(34)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coder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lock 34 by the fourth cable 58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lock 34 can be measured, the contact block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tion driver 5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lock 34 while accuratel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34).

또한, 본 실시예는, 케이블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구획하는 간섭방지부(70)를 더 포함하고, 간섭방지부(70)는, 제1케이블(52)과 제3케이블(57) 사이의 간격과, 제2케이블(54)과 제4케이블(58) 사이의 간격을 구획하도록 이동블록(16)으로부터 돌출되는 간격플레이트(7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70 for partitioning a distance between cables to prevent cable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 spacer plate 72 protrudes from the moving block 16 to define a space between the cables 57 and a space between the second cable 54 and the fourth cable 58.

본 실시예의 간격플레이트(72)는,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이동블록(16)의 하부에 결합되고, 간격플레이트(72)의 중앙부에 이동블록(16)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굴곡되는 우회굴곡부(74)가 형성되어 간격플레이트(72)와 이동블록(16) 사이의 간격으로 제1케이블(52) 및 제2케이블(54)이 연장되고, 간격플레이트(72) 외측에 제3케이블(57) 및 제4케이블(58)이 위치되어 케이블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어 복수 개의 케이블의 꼬이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spacer plate 72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long pane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moving block 16, and the center of the spacer plate 72 is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ving block 16. A bypass bending portion 74 is formed so that the first cable 52 and the second cable 54 extend at the interval between the spacing plate 72 and the moving block 16, and the third cable 52 extends outside the spacing plate 72. The cable 57 and the fourth cable 58 are positioned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cables can be prevented from twisting and malfunctioning of the plurality of cables.

또한, 본 실시예는, 연결블록(32)과 컨텍블록(34)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80)를 더 포함하고, 착탈부(80)는, 컨텍블록(34)으로부터 돌출되는 착탈돌기(82)와, 착탈돌기(82)가 삽입되고, 공압 제공여부에 따라 착탈돌기(82)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홈부(84)와, 컨텍블록(34)에 형성되는 분리홈부(94)와, 교체작업의 대상물이 되는 다른 종류의 컨텍블록(34)이 안착되도록 고정블록(10) 일측에 배치되는 분리블록(90)과, 분리블록(90)으로부터 돌출되고 분리홈부(94)에 삽입되는 분리돌기(92)와, 분리돌기(92)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볼부재(96)를 분리돌기(92)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공압을 제공하도록 분리블록(90)에 구비되는 공압제공부(8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분리블록(9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10)과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고정블록(10)이 설치되는 검사장치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detachable portion 80 that detachably connects the connection block 32 and the contact block 34, and the detachable portion 80 protrudes from the contact block 34. A protrusion 82, a detachable protrusion 82 is inserted, and a detachable groove 84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rotrusion 82 depending on whether or not pneumatic pressure is supplied, and a separation groove 94 formed in the contact block 34 And, the separation block 9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xing block 10 so that the other type of contact block 34, which is the object of the replacement work, is seated, and protrudes from the separation block 90 and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94 Air pressure provided in the separation block 90 to provide air pressure for protruding or inserting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and the plurality of ball members 96 protrudingly installed from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from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A provision unit 86 is included.
As shown in FIG. 8 , the separation block 90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an inspection device in which the fixing block 10 is installed so as to be disposed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fixing block 10 .

본 실시예의 공압제공부(86)는 분리블록(90)에 구비되는 주입관(88)을 포함하고, 주입관(88)으로부터 분리돌기(92)까지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 공압이 공급되면 볼부재(96)가 분리돌기(92) 내부로 삽입되어 분리돌기(92)와 분리홈부(94)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The pneumatic supply unit 86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n injection pipe 88 provided in the separation block 90, and when air pressure is supplied along a flow path formed from the injection pipe 88 to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the ball member 96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and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and the separation groove 94 are converted into a separable state.

본 실시예의 착탈홈부(84)에도 볼부재(96)가 착탈홈부(84) 내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블록(32)에 구비되는 유로를 따라 공압이 제공되면 볼부재(96)가 착탈홈부(84) 외측으로 후퇴되면서 착탈돌기(82)와 착탈홈부(84)가 분리 가능한 상태로 변화된다.Also in the detachable groove 84 of this embodiment, the ball member 96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protrude into the detachable groove 84, and when air pressure is provided along the passage provided in the connection block 32, the ball member 96 is detachable. As the recess 84 is retreated to the outside, the detachable protrusion 82 and the detachable groove 84 are changed into a detachable state.

따라서 컨텍블록(34)의 결합작동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록(32)이 분리블록(90) 측으로 이동된 후에 연결블록(32)에 공압을 제공하여 볼부재(96)를 후퇴시킨 후에 연결블록(32)이 하강하면 착탈돌기(82)가 착탈홈부(84)에 삽입되고, 연결블록(32)에 제공되던 공압을 해제시키면 볼부재(96)를 지지하며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볼부재(96)를 착탈홈부(84)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면서 착탈돌기(82) 둘레면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걸림결합되어 컨텍블록(34)과 연결블록(32)이 결합되고, 이때, 컨텍블록(34)에 구비되는 프로브핀(36)이 연결블록(32)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contact block 34 proceeds, as shown in FIG. 8, after the connection block 32 is moved to the separation block 90, air pressure is supplied to the connection block 32 so that the ball member 96 ) After retracting, when the connection block 32 descends, the detachable protrusion 82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84, and when the air pressure supplied to the connection block 32 is released, the ball member 96 is supported and compressed. As the elastic member expands to its original state, the ball member 96 protrudes inward from the detachable groove 84 and engages with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tachable protrusion 82 to form a contact block 34 and a connection block 32. This is coupled, and at this time, the probe pin 36 provided on the contact block 34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lock 32, and electrical coupling is made.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블록(32)에 결합되는 컨텍블록(34)에 의해 검사작동이 진행되고, 검사대상물의 종류가 교체되는 경우에는 컨텍블록(34)의 종류를 검사대상물에 호환되는 종류의 컨텍블록(34)으로 교체하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act block 34 coupled to the connection block 32, and when the type of the inspection object is replaced, the type of the contact block 34 is changed to a contact type compatible with the inspection object. block 34, which is achieved by a separation process as shown in FIG.

컨텍블록(34)의 분리공정이 개시되면 새로운 종류의 컨텍블록(34)을 분리블록(90)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주입관(88)을 통해 분리블록(90)에 공압을 공급하여 볼부재(96)를 분리돌기(92) 내측으로 삽입시킨 후에 컨텍블록(34)을 분리블록(90) 상면에 안착시키면 분리돌기(92)가 분리홈부(94) 내부로 삽입되고, 이후에, 분리블록(90)에 제공되었던 공압을 해제시키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가 원상태로 팽창되면서 볼부재(96)를 분리돌기(92) 외측으로 돌출시키면서 분리홈부(94) 내벽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걸림결합되어 컨텍블록(34)과 분리블록(90)이 결합되어 컨텍블록(34)이 정확한 위치에 안착된다.When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contact block 34 is started, a new type of contact block 34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paration block 90, and air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paration block 90 through the injection pipe 88 to remove the ball member. When the contact block 34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paration block 90 after inserting the separation protrusion 96 into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94, and then, the separation block When the air pressure supplied to (90) is released,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expands to its original state, protruding the ball member 96 out of the separation protrusion 92, and engaging and engaging with the stepped portion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eparation groove 94 to make contact. The block 34 and the separation block 90 are combined so that the contact block 34 is seated in an accurate position.

이후에, 연결블록(32)을 분리블록(90) 상부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텍블록(34)의 결합작동이 진행되고, 컨텍블록(34)과 연결블록(32)이 결합된 후에 분리블록(90)에 공압을 제공하면 분리블록(90)과 컨텍블록(34)이 분리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므로 연결블록(32)이 상승되면 연결블록(32)과 결합된 컨텍블록(34)이 동시에 상승되면서 컨텍블록(34)의 교체작업을 완료하게 된다.After that, after the connection block 32 is placed on the separation block 90, the above-described coupling operation of the contact block 34 proceeds, and after the contact block 34 and the connection block 32 are combined, If air pressure is provided to the separation block 90, the separation block 90 and the contact block 34 are converted into a separable state, so when the connection block 32 is raised, the contact block 34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block 32 As it rises at the same time, the replacement work of the contact block 34 is completed.

여기서, 공압의 공급여부에 따라 볼부재(96)가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돌기를 홈부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ball member 96 protrudes or is insert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ir pressure is supplied and connects or separates the protrusion to the groove is a technique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who recognize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configured, specific drawings an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미설명 부호 14는 가이드레일(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블록(16)이 결합되는 슬라이딩블록(14)이다.Reference numeral 14 denotes a sliding block 14 slidably installed on the guide rail 12 and to which the moving block 16 is coupled.

이로써, 복수 개의 이동블록이 각각의 모션드라이버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및 구동신호에 따라 정렬작동 및 승강작동이 진행되면서 검사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이동블록이 전원 및 구동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마찰되어야 하는 전원레일 및 신호레일이 생략될 수 있어 이동블록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파티클의 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검사작동 중에 발생되는 파티클에 의한 오작동 및 검사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사대상물의 종류가 교체되는 경우에 이동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텍블록을 검사대상물에 호환되는 다른 종류의 컨텍블록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insp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alignment operation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moving block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power and driving signals supplied from each motion driver, the power rail and Since the signal rail can be omitted, the amount of particles generated by the friction of the moving block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malfunction and damage to the inspection object due to particles generated during inspection operation can be prevented. In the case of replac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that can easily replace the contact block detach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with a different type of contact block compatible with the inspection objec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또한,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검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other products other than the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0 : 고정블록 12 : 가이드레일
14 : 슬라이딩블록 16 : 이동블록
17 : 리니어모터 18 : 리니어코일
30 : 승강블록 32 : 연결블록
34 : 컨텍블록 36 : 프로브핀
50 : 모션드라이버 52 : 제1케이블
54 : 제2케이블 56 : 신호보드
57 : 제3케이블 58 : 제4케이블
70 : 간섭방지부 72 : 간격플레이트
74 : 우회굴곡부 80 : 착탈부
82 : 착탈돌기 84 : 착탈홈부
86 : 고압제공부 88 : 주입관
90 : 분리블록 92 : 분리돌기
94 : 분리홈부
10: fixed block 12: guide rail
14: sliding block 16: moving block
17: linear motor 18: linear coil
30: lifting block 32: connection block
34: contact block 36: probe pin
50: motion driver 52: first cable
54: second cable 56: signal board
57: third cable 58: fourth cable
70: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72: spacing plate
74: bypass bending part 80: detachable part
82: detachable protrusion 84: detachable groove
86: high pressure supply unit 88: injection pipe
90: separation block 92: separation protrusion
94: separation groove

Claims (5)

고정블록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구비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블록;
상기 승강블록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고, 검사대상물의 단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로브핀이 구비되어 검사대상물에 접촉되는 컨텍블록;
각각의 상기 이동블록 마다 개별적으로 전원 및 구동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이동블록과 동일한 개수로 상기 고정블록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모션드라이버; 및
상기 프로브핀에 의해 감지되는 검사신호가 송수신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컨텍블록이 연결되고, 제어부에 검사신호를 송신하는 신호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드라이버 또는 상기 신호보드는, 각각 상기 이동블록 또는 상기 컨텍블록에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고정블록의 리니어모터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리니어코일과, 상기 모션드라이버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케이블;
상기 승강블록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모션드라이버에 연결되어 전원 또는 구동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케이블;
상기 신호보드와 상기 컨텍블록을 연결하는 제3케이블; 및
상기 컨텍블록과 엔코더를 연결하는 제4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컨텍블록의 위치를 상기 엔코더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모션드라이버로부터 상기 제1케이블 및 상기 제2케이블을 따라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컨텍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면서 상기 컨텍블록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A plurality of movable blocks installed to be movabl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guide rails provided in the fixed block;
a lifting block slidably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oving block;
A connecting block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lifting block and disposed opposite to the end of the test object;
a contact block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lock and is provided with a probe pin to contact the test object;
a plurality of motion drivers installed on the fixed block in the same number as the moving block to individually transmit power and driving signals for each of the moving blocks; and
A plurality of contact blocks are connected to transmit and receive test signals detected by the probe pins and include a signal board for transmitting test signals to a control unit;
The motion driver or the signal board is connected to the movement block or the contact block by a cable, respectively,
the cable,
a linear coil sliding along the linear motor of the fixed block and a first cable connected to the motion driver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drive signals;
a second cable connected to a driving unit that raises or lowers the lifting block and the motion driver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a driving signal;
a third cable connecting the signal board and the contact block; and
A fourth cable connecting the contact block and the encoder,
Since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lock can be measured by the encoder,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lock is determined whil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lock moved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alo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from the motion driver.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contro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구획하는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섭방지부는, 상기 제1케이블, 상기 제3케이블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2케이블, 상기 제4케이블 사이의 간격을 구획하도록 상기 이동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간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플레이트(72)는, 수직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상기 이동블록(16)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간격플레이트(72)의 중앙부에 상기 이동블록(16)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굴곡되는 우회굴곡부(74)가 형성되어 상기 간격플레이트(72)와 상기 이동블록(16) 사이의 간격으로 상기 제1케이블(52) 및 상기 제2케이블(54)이 연장되고, 상기 간격플레이트(72) 외측에 상기 제3케이블(57) 및 상기 제4케이블(58)이 위치되어 상기 제1케이블 내지 상기 제4케이블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어 복수 개의 상기 케이블의 꼬이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dividing a distance between the cables to prevent the cables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interference prevention unit includes a spac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moving block to define a spacing between the first cable and the third cable and a spacing between the second cable and the fourth cable,
The spacing plate 72 is formed in a long pane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block 16, and the center of the spacing plate 72 is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ving block 16. A bypass bending portion 74 is formed so that the first cable 52 and the second cable 54 extend at a distance between the spacing plate 72 and the moving block 16, and the spacing plate ( 72) The third cable 57 and the fourth cable 58 are located outside so that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cable and the fourth cable can be prevented from twisting and malfunctioning of the plurality of cables. Characterized by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과 상기 컨텍블록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컨텍블록으로부터 돌출되는 착탈돌기;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고, 공압 제공여부에 따라 상기 착탈돌기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홈부;
상기 컨텍블록에 형성되는 분리홈부;
교체작업의 대상물이 되는 다른 종류의 상기 컨텍블록이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블록 일측에 배치되는 분리블록;
상기 분리블록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분리홈부에 삽입되는 분리돌기; 및
상기 분리돌기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볼부재를 상기 분리돌기로부터 돌출 또는 삽입시키는 공압을 제공하도록 상기 분리블록에 구비되는 공압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블록은, 상기 고정블록과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이 설치되는 검사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etachable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contact block,
The detachable part,
Detachabl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contact block;
a detachable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detachable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protrusio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pneumatic pressure is provided;
Separation grooves formed in the contact block;
a separation block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contact block of a different type, which is an object of replacement work, is seated;
a separation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separation block and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groove; and
A pneumatic supply unit provided in the separation block to provide air pressure for protruding or inserting a plurality of ball members protruding from the separation protrusion from the separation protrusion;
The separation block is a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inspection device in which the fixing block is installed so as to be disposed while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fixing block.
KR1020220190995A 2022-12-30 2022-12-30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KR102570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995A KR102570532B1 (en) 2022-12-30 2022-12-30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90995A KR102570532B1 (en) 2022-12-30 2022-12-30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532B1 true KR102570532B1 (en) 2023-08-25

Family

ID=8784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0995A KR102570532B1 (en) 2022-12-30 2022-12-30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53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29B1 (en) * 2016-03-04 2017-05-04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KR101958206B1 (en) * 2018-07-31 2019-07-02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KR20210035589A (en)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디이엔티 Display pannel tes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629B1 (en) * 2016-03-04 2017-05-04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KR101958206B1 (en) * 2018-07-31 2019-07-02 가온솔루션 주식회사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KR20210035589A (en) *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디이엔티 Display pannel tes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206B1 (en)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KR101732629B1 (en) Alignment device for multi probe unit
US5754057A (en) Contact mechanism for test head of semiconductor test system
US5500606A (en) Completely wireless dual-access test fixture
KR20150066018A (en) Display pane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moled panel
KR101063774B1 (en) Multi Probe Unit
US5055779A (en) Integrated board testing system
US6130547A (en) Test apparatus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assembly kit therefor
CN110221193A (en) A kind of printed circuit board online detection instrument
US6429673B1 (en) Printed wiring board inspection apparatus
WO2023216568A1 (en) Test device and test method
CN10158345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onent attachment
KR100802436B1 (en) Apparatus for contacting devices to test sockets in semiconductor test handler
JP2016080445A (en) Inspection device
US4993136A (en) Method of converting a vacuum test fixture on a board testing apparatus to a mechanical test fixture
KR102570532B1 (en) Multi-probe inspection device
KR101625951B1 (en) In circuit tester inspection System for Flexible PCB assembly for earjack assembly
KR100756438B1 (en) Probeing apparatus for testing cell of lcd
KR100674494B1 (en) System for testing circuit of wire harness
CN112595958B (en) PCBA test equipment
KR102193447B1 (en) Test socket
KR960007507B1 (en) Ic test equipment
KR20220133503A (en) Display panel test apparatus
KR20180088564A (en) Themal testing apparatus for flatpanel display
KR102591648B1 (en) Vision and energization automatic inspection device for flexible flat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