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7767B1 -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7767B1
KR102567767B1 KR1020170179354A KR20170179354A KR102567767B1 KR 102567767 B1 KR102567767 B1 KR 102567767B1 KR 1020170179354 A KR1020170179354 A KR 1020170179354A KR 20170179354 A KR20170179354 A KR 20170179354A KR 102567767 B1 KR102567767 B1 KR 102567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ontent
user
recording
conten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1476A (ko
Inventor
폴신
리차드 매큐웬 매튜
야오 스웬
Original Assignee
티브이유 네트웍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475,284 external-priority patent/US10327034B2/en
Application filed by 티브이유 네트웍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티브이유 네트웍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11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04N21/6582Data stored in the client, e.g. viewing habits, hardware capabilities, credit card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미디어 아울렛 기기에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에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며,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 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 콘텐츠는 사용자 기기 상에서 레코딩되고 인코딩된다. 대화형 맵은 미디어 아울렛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대화형 맵은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낸다. 사용자로부터의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가능하게 된다.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중앙 서버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된다.

Description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EXCHANGE OF VIDEO CONTENT}
본 발명은 2015년 3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666,467호의 일부 계속 출원으로, 2014년 3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71,224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각각 여기에 통합되어 모든 목적을 위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레코딩/전송 및 소셜 미디어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또는 라이브 비디오 콘텐츠를 획득하고, 검증하며, 지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제작에 종사하는 텔레비전 방송국 및 전문가는 매일 캠코더 또는 현장의 다른 유형의 외부 레코더(recorder)를 이용하여 수많은 비디오 콘텐츠를 촬영한다. 이러한 콘텐츠의 일부는 업링크 기기, 인공위성, 마이크로파 전송, 또는 다른 수단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텔레비전 방송국(또는 다른 뉴스 장소(news venue), 웹사이트, 등등)으로 라이브 스트리밍될 수 있다. 그러나, 콘텐츠의 대부분은 물리적으로 스튜디오 (또는 다른 생산 시설)에 가져오거나 IP를 매개로 스튜디오에 비동기적으로 전송될 때까지 원래의 캠코더 미디어 또는 레코딩 기기에 남아있게 되고, 이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일단 원본 콘텐츠(original content)가 스튜디오에 도착하면, (예를 들어, 시간-스탬프(time-stamp)를 매개로) 최종 사용자(편집자 또는 제작 스태프)에게는 레코딩 시간 이외의 레코딩의 세부 사항(detail)은 거의 제공되지 않고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원하는 콘텐츠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콘텐츠를 미리 봐야 한다.
더욱이, 소셜 미디어는 텔레비전 제작 및 뉴스 분배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는 뉴스, 스포츠, 날씨, 라이브 이벤트(live event), 엔터테인먼트 등등을 포함하는 라이브 텔레비전 제작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시청자는 언제 그리고 어디서 그들이 정보를 얻을지에 관해 더욱 많은 선택을 가짐에 따라, 전통적인 텔레비전 방송국은 시청자의 관심에 대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범위(reach)를 확대해야만 한다.
소셜 미디어는 (앵커, 뉴스 감독, 배정 데스크 매니저(assignment desk manager), 제작자, 소셜 미디어 데스크 매니저 등과 같은) 스튜디오의 제작 스태프 또는 (제작팀, 리포터/생방송 연예인, 카메라맨, 기술팀, 현장 제작자 등과 같은) 현장 스태프가 Twitter, Facebook, Google+ 등등과 같은 유명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시청자와 빠르게 소통할 수 있게 한다. 라이브 텔레비전 제작 동안 시청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함으로써, 특정 프로그램으로 즉시 시청자를 유도하여 속보와 같은 사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 그 자체는 뉴스, 스포츠, 날씨 및 다른 시간에 민감한 미디어의 전통적인 공급자와 경쟁하는 유효한 표현 수단으로 된다. 예를 들어, 속보 또는 라이브 스포츠 이벤트가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개인에 의해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레코딩되거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마트폰 및 다른 전자 기기 상에서의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보급에 기인하여, 전통적인 뉴스 리포터보다 한 개인이 속보의 시작에서 존재하거나, 또는 개인이 전통적인 미디어 보도에 의해 획득되지 않은 라이브 이벤트의 특정 시청 또는 비디오 한 토막(video snippet)을 획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지리적 장소 및/또는 시간을 기초로 콘텐츠를 검색하는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비디오 콘텐츠를 위한 시간 및 지리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정보의 저장에 관하여 GPS 시스템의 이용을 활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뉴스, 스포츠, 또는 날씨 텔레비전 채널과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의 아울렛은 전통적인 아울렛을 매개로 프레젠테이션용 소셜 미디어로부터 라이브 이벤트의 캡처 및 프레젠테이션을 가능하게 하도록 개인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거의 누구나 보도를 위한 콘텐츠에 기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유리할 것이다.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의 사람이 채팅 기능을 매개로 개인에게 지시를 안내하고 제공하도록 라이브 이벤트의 레코딩 또는 프레젠테이션 동안 개인을 지시하기 위해 이러한 라이브 이벤트를 캡처하는 과정 동안 개인과 상호작용할 수 있었다면 더욱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개인과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을 연결하고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에 대한 그들의 기여를 위해 개인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가능할 수 있다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앞의 유리한 점 및 다른 유리한 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또는 라이브 비디오 콘텐츠의 시간-기반 및 지리적 내비게이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의 시간-기반 및 지리적 내비게이션을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는 저장 및 전송을 위해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레코딩 및 인코딩 하기 위한 인터넷이 가능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레코딩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레코딩 동안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의 레코딩 장소를 나타내는 지리적 위치 정보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로부터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와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의 경로 및 현재 장소를 보여주고, 날짜 및 시간 정보와 지리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대화형 맵을 포함한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을 위해 선택 장소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중 하나로 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국부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과 연관된 로컬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저장 모듈은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로 통합될 수 있고, 또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매개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로컬 저장 모듈은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해상도 버전을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의 저-해상도 버전은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 또는 저-해상도 버전 중 적어도 하나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로컬 저장 모듈을 매개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은 선택 장소에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된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은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 또는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와 연관된 로컬 저장 모듈 중 하나로부터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될 수 있다.
선택 장소는 비디오 서버, 클라이언트 시청 기기, 방송 텔레비전 채널, 스트리밍 채널, 뉴스피드,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플랫폼, 플레이아웃 서버, 아카이브 서버, 뉴스 자동화 시스템, 비-선형 편집 시스템, CDN(content delivery network), OVP(online video portal)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다수의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각 복수의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에 대한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 및 현재 장소는 대화형 맵 상에서 디스플레이된다.
경로에 따른 각 레코딩 장소에 대해, 중간지점 인디케이터(waypoint indicator)가 대화형 맵 상의 경로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중간지점 인디케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 중 하나를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지점 인디케이터는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경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중간지점 인디케이터는 설정가능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각 경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중간지점 인디케이터는 맵의 맵 뷰를 줌잉(zooming) 또는 확장(expanding)시킬 때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중간지점에 대한 날짜, 시간 및 GPS 좌표를 나타내는 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로부터 엔트리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 중 하나를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지리적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과 연관된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카메라 장소, 비디오의 길이, 비디오 및 오디오 포맷, 타임코드, 비디오 파일 크기, 카메라 식별 정보, 소유권 및 저작권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미리 규정되거나 동적으로 로깅된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 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는 배정 이름, 지리적 장소, 카메라맨 이름, 리포터 이름, 카메라 요원 이름, 보조자 이름, 프로듀서 이름, 작품 제목, 주제 참조, 프로그램 이름, 사용자 코멘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는 소정의 메타데이터 정보 또는 소정의 메타데이터 정보의 조합에 의해 검색가능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는 날짜 범위, 시간 범위, 타임코드,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더욱 검색가능할 수 있다.
대화형 맵은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의 현재 위치, 속도, 및 방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은 비디오 카메라, 캠코더, 텔레비전 카메라, 영화 카메라, 휴대용 전자 기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IP 또는 웹 카메라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에 원격으로 엑세스하기 위한 원격 엑세스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원격 엑세스 기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원격 엑세스 기기는 컴퓨터, 랩톱 컴퓨터, 휴대용 전자 기기, 태플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는 로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우드-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는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서 레코딩된 콘텐츠의 선택된 부분,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서 레코딩된 콘텐츠의 전체, 및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다음 중 하나 일 수 있다: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에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와 동시에 레코딩 및 저장된 것; 또는 이어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과 연관된 로컬 저장기로부터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전달된 것.
대안적으로, 메타데이터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에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없이 레코딩 및 저장된 것; 또는 이어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로부터 분리되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과 연관된 로컬 저장기로부터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에 전달된 것.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 또는 경로의 일부분 상에서 줌잉 인(zooming in)을 위한 줌 기능; 맵의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 기능; 맵의 디스플레이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장소 변경 기능; 디스플레이되는 경로의 시간 및 날짜 범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 등.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시스템 실시예에 대응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의 시간-기반 및 지리적 내비게이션을 위한 방법의 실시예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을 이용해서 저장 및 전송을 위해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레코딩 및 인코딩 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레코딩의 날짜와 시간 정보 및 레코딩 동안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의 레코딩 장소를 나타내는 지리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로부터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 및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와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의 경로 및 현재 장소를 나타내는 대화형 맵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날짜 및 시간 정보와 지리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대화형 맵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을 위해 선택 장소로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중 하나를 위해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에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 상에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비디오 콘텐츠는 사용자 기기 상에서 레코딩 및 인코딩된다. 대화형 맵은 미디어 아울렛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대화형 맵은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낸다. 사용자로부터의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가능하다. 이어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중앙 서버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될 수 있다.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또한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저장 및 전송을 위해 레코딩될 수 있다.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레코딩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레코딩 동안 사용자 기기의 레코딩 장소를 나타내는 지리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는 라이브 또는 레코딩된 콘텐츠 중 하나일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는 날짜 및 시간 정보와 지리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대화형 맵을 매개로 검색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기기 장소, 비디오 길이, 비디오 및 오디오 포맷, 타임코드, 비디오 파일의 크기, 사용자 기기 식별 정보, 소유권 및 저작권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미리 규정되거나 동적으로 로그된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는 배정 이름, 지리적 장소, 사용자 이름, 작품 제목, 주제 참조, 프로그램 이름, 소스 정보(전용 텔레비전 레코딩 기기/전송기(transmitter)/수신기(receiver), 사용자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등등), 레코딩 장비의 유형, 및 사용자 코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는 소정의 메타데이터 정보 또는 소정의 메타데이터 정보의 조합에 의해 검색가능하게 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는 날짜 범위, 시간 범위, 타임코드,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더 검색가능할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 기기는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 및 이동 경로 중 적어도 하나로 대화형 맵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수의 사용자 기기는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있는 동작 사용자 기기; 및 현재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있지 않은 비동작 사용자 기기.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제공될 수 있다. 동작 사용자 기기용 아이콘은 제1 색으로 될 수 있고, 비동작 사용자 기기용 아이콘은 제2 색으로 될 수 있다.
동작 및 비동작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그룹은 맵 상에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원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원의 크기는 해당 장소에서 레코딩 소스 또는 사용자의 수에 대응할 수 있다.
채팅 기능은 사용자와 미디어 아울렛의 직원 사이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자 기기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에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채팅 기능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을 위한 협상; 라이브 비디오 콘텐츠의 현재 레코딩에 관하여 직원으로부터 사용자로의 지시 및 지도(directions and instructions); 및 미래의 레코딩 서비스의 구입을 위한 협상.
지시 및 지도는 현재 레코딩되고 있는 이미지의 변경, 레코딩의 유리한 위치의 변경, 시청 각도의 변경, 초점의 변경, 조명의 변경, 및 줌 양(zoom amount)의 변경 등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수 있다.
채팅 기능으로부터의 텍스트는 레코딩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위에 출현하는 사용자 기기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 오버레이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채팅 기능은 레코딩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위에 출현하는 사용자 기기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 키보드 오버레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화형 맵은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 속도 및 방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기기는 전자 기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IP 또는 웹 카메라, 전용 텔레비전 카메라 또는 (TVE Network Corporation, 본 발명의 소유자에 의해 제조된 것과 같은) 트랜시버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기기는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제공되고; 각 복수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대응하는 복수의 현재 장소가 대화형 맵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각 복수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대응하는 경로는 대화형 맵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각 경로에 따른 각 레코딩 장소에 대해, 중간지점 인디케이터는 대화형 맵 상의 경로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중간지점 인디케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 중 하나를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방법은 구입한 비디오 콘텐츠를 방송하는 단계, 구입한 비디오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소셜 미디어 아울렛에 포스팅하는 단계, 및 구입한 비디오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대응하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미디어 아울렛 기기,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 및 인코딩하고, 미디어 아울렛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채택된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맵은 적어도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내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을 가능하게 하는 거래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구입한 비디오 콘텐츠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중앙 서버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방법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관해 설명될 것이고,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엘리먼트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 동안 사용자 기기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대화형 맵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대화형 맵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대화형 맵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대화형 맵으로부터 사용자 기기의 그룹의 선택으로부터 초래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이드바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비디오 콘텐츠의 레코딩 동안 사용자 기기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은 채팅 기능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 9의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도 12는 키보드 오버레이를 갖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9 내지 도 11의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실시예를 제공하고, 본 발명의 범위, 적용성, 또는 구성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한 설명을 제공한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엘리먼트의 기능 및 배열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레코딩되거나 라이브 비디오의 시간-기반 및 지리적 네비게이션(geographic navigation)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이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및 아울렛(outlet)에 영향을 주는 라이브 콘텐츠(live content)의 레코딩를 획득하고, 검증하며, 지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용되는 용어 "라이브 콘텐츠", "콘텐츠" 또는 "비디오 콘텐츠"는 기록을 위해 사용가능한 경우 비디오 콘텐츠뿐만 아니라 동반된 오디오 콘텐츠도 망라한다. 더욱이, 콘텐츠는 비디오 콘텐츠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 스틸 사진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원격 장소(remote location)의 오퍼레이터(operator)가, 지리적 장소 및 발생(occurerence)의 날짜/시간 중 하나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레코딩되고 있는 라이브 이벤트의 클립(clip)을 포함하는, (다른 장소에 있을 수 있는) 레코딩 기기 상의 비디오 클립, 또는 하나 이상의 라이브 스트리밍 클립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콘텐츠의 시간-기반 및 지리적 내비게이션(me-based and geographic navigation)을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된다. 인터넷이 가능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 Internet enabled video capture and encoding module)이 저장(storage) 및 전송(transmission)을 위해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associated metadata information)의 레코딩 및 인코딩을 위해 제공된다.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레코딩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레코딩 동안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의 레코딩 장소를 나타내는 지리적 위치 정보 (geographic position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예를 들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8)를 매개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로부터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및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 remote storage and web server device)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와 연관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 graphical user interface)를 더 포함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의 경로(31; route) 및 현재 장소(current location)를 나타내는 대화형 맵(20; interactive map)을 포함하고 날짜 및 시간 정보와 지리적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는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기를 위한 선택 장소(42; select location)로 스트리밍(22; stream)되거나 다운로드(24; download)될 수 있다.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은 전송을 위해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처리(process)하도록, 그리고 네트워크(18)에 연결하도록 필수 프로세서(processor), 메모리 및 다른 하드웨어를 포함(contain)할 수 있다.
네트워크(18)는 인터넷, 위성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 WAN 또는 LAN, 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방송 업링크 시스템(over-the-air uplink system)과 같은 소정의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및/또는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국부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연관된 로컬 저장 모듈(16; local storage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저장 모듈(16)은 (예를 들어, 통합된 또는 제거가능한 메모리와 같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에 통합(integrate)될 수 있거나, 그로부터 분리(separate)될 수 있지만,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매개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에 연결될 수 있다. 로컬 저장 모듈(16)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로부터 분리되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62)은 기술이 잘 알려진, 내부 메모리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로컬 저장 모듈(16)은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high-resolution version) 및/또는 비디오 콘텐츠의 저-해상도 버전을 저장할 수 있다. 비디오 콘텐츠의 저-해상도 버전은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에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 또는 저-해상도 버전 중 적어도 하나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로컬 저장 모듈(16)을 매개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에 제공될 수 있다.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은 선택 장소(42)로 스트리밍(22)되거나 다운로드(24)된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고-해상도 버전은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연관된 로컬 저장 모듈(16) 또는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 중 하나로부터 스트리밍 되거나 다운로드될 수 있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는 또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로부터 선택 장소(42)로 직접 스트리밍되거나 다운로드될 수 있다.
선택 장소(42)는 비디오 서버, 클라이언트 시청 기기(client viewing device), 방송 텔레비전 채널(broadcast television channel), 스트리밍 채널(streaming channel), 뉴스피드(newsfeed), 웹사이트(website), 소셜 미디어 플랫폼(social media platform), 플레이아웃 서버(playout server), 아카이브 서버(archive server), 뉴스 자동화 시스템(news automation system), 비-선형 편집 시스템(non-linear editing system), CDN(content delivery network), OVP(online video portal)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장소(42)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매개로 입력(enter)될 수 있다.
시스템은 다수의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복수의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에 대해 대응하는 복수의 경로(31) 및 현재 장소가 대화형 맵(3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2개의 분리 경로(31)가 (또한 여기서 "히트 맵(heat map)"으로서 지칭되는) 도 1의 대화형 맵(30) 상에 도시되는 한편, 명확성을 위해, 단일 경로(31)만이 도 2의 대화형 맵(30) 상에 도시된다. 다수의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에 대한 다수의 경로(31)가 도시될 수 있다. 정보가 맵(3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로(31) 및/또는 특정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의 수는 설정가능(configurable)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이 현장(field)에서 동작되면, 특정 뉴스 이벤트와 가까운 오직 3개의 이러한 모듈(12)에 대한 정보가 맵(30) 상에 도시될 수 있다)
삭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로(31)에 따른 각 레코딩 장소를 위해,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 waypoint indicator)가 대화형 맵(30) 상의 경로(31)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36)을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는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중간지점 아이콘(icon), 저-해상도 사진(36),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36)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로서 중간지점 아이콘의 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예를 들어,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마우스를 근처에 가져다 대는 것(hover)을 매개로) 선택될 때,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의 위치(position), 방향(direction), 고도(altitude), 속도(speed) 및 방위 정보(bearing information)에 한정되진 않지만, 이를 포함하는,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가 일단 선택되면 나타내어질 수 있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에 관한 다양한 정보(37)를 부여한다.
중간지점 아이콘의 선택은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코딩 장소로부터 이미지 또는 비디오 클립(36)의 저-해상도 버전의 디스플레이를 초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미지 또는 비디오 클립(36)이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로서 중간지점 아이콘을 대신할 수 있다.
각 경로(31)를 따라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는 설정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31)를 따라 도시된 다수의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는 각 중간지점(32) 사이에서 시간 또는 거리의 양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2 마일 마다의 중간지점 또는 5분 마다의 중간지점). 더욱이, 각 경로(31)를 따라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는 맵(30)의 맵 뷰(map view)를 줌잉(zooming) 또는 확장(expanding)시킬 때 자동적으로 조정(adjus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뷰를 확장시킬 때, (예를 들어,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의 밀도(density) 및 공간(spacing)을 유지하면서) 더 많은 경로(31) 그리고 따라서 경로(31)에 따른 더 많은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가 자동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맵 뷰를 확장시킬 때, 나타내어진 경로(31)의 일부분에 따른 다수의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가 원하는 바와 같이 감소되거나 증가될 수 있다. 맵(30)의 특정 부분 또는 경로(31)의 일부분으로 줌잉 인(zooming in)할 때, 더 많은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가 나타내어질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각 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를 위한 날짜, 시간 및 GPS 좌표를 나타내는 표(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좌표 대신 거리 주소가 나타내어질 수 있다. 표(34)로부터 엔트리(entry)을 선택하면,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36) 중 하나를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은 지리적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연관된 GPS 모듈(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4)은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 및/또는 로컬 저장 모듈(16)에 통합될 수 있고, 또는 그들로부터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로컬 저장 모듈(16)이 비디오 캡처/인코딩 모듈(12)에 통합되는지 또는 통합되지 않는지의 여부에 따라, 로컬 저장 모듈(16) 및/또는 비디오 캡처/인코딩 모듈(12)이 GPS(14)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카메라 장소, 비디오 길이, 비디오 및 오디오 포맷, 타임코드(timecode), 비디오 파일의 크기, 카메라 식별 정보(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소유권 및 저작권 정보, 및 미리 규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동적으로 로그(log)된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 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는 배정 이름(assignment name), 지리적 장소, 카메라 맨 이름, 리포터 이름, 카메라 요원 이름, 보조자 이름, 프로듀서 이름, 작품 제목(story title), 주제 참조(subject matter reference), 프로그램 이름, 사용자 코멘트(comment)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맵(30)의 디스플레이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대응하는 검색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에 의해 이용된다. 비디오 콘텐츠는 소정의 메타데이터 정보 또는 소정의 메타데이터 정보의 조합에 의해 검색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를 매개로 검색하는 것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 상에서 검색 박스(35; search box)를 매개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는 또한 카메라 요원 이름, 작품 제목 등과 같은 부가적인 메타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검색을 좁힐(narrow) 수 있다.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 상의 키패드(keypad)를 매개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의 비디오 스크린(13;video screen) 상의 터치 스크린 키패드(touch screen keypad)를 매개로, 또는 (예를 들어, 외부 기기(17) 상의 터치 스크린(15) 또는 키패드를 매개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통신하는 외부 기기(17)를 매개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더욱이, 부가적인 메타데이터는 또한 비디오 콘텐츠의 레코딩에 이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를 매개로 입력될 수 있다.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은 비디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텔레비전 카메라, 영화 카메라, 휴대용 전자 기기,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IP 또는 웹 카메라 등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또는 네트워크(18)를 매개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20)에 원격적으로 엑세스하기 위해 원격 엑세스 기기(40; remote access device)를 통해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remote storage and web service device)에 엑세스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원격 엑세스 기기(4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원격 엑세스 기기는 여기서 논의되는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의 모든 기능(feature)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원격 엑세스 기기(40)는 컴퓨터,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용 전자 기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인터넷 가능 기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저장 기기(16)는 외부 기기(17)에 통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기기(17)는 원격 엑세스 기기(40)와 동일한 기능성(functionality)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17)는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유선 또는 로컬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18)를 매개로 그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기기(17)는 컴퓨터, 랩톱 컴퓨터, 휴대용 전자 기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소정의 다른 유형의 인터넷 가능 기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는 각각이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로컬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클라우드-기반 애플리케이션(cloud-based application)을 실행하는 컴퓨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는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서 레코딩된 콘텐츠의 선택된 일부분,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서 레코딩된 콘텐츠의 전체(entirety), 및 고-해상도 또는 저-해상도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선택된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에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와 동시에 레코딩 및 저장된 것; 또는 이어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연관된 로컬 저장 모듈(16)로부터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전달(transfer)된 것.
대안적으로, 메타데이터는 다음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간 또는 거의 실시간으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에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 없이 레코딩 및 저장된 것; 또는 이어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로부터 분리되어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과 연관된 로컬 저장 모듈(16)로부터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에 대해 전달된 것.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오퍼레이터가 (예를 들어, 맵 및 경로 추적 기능을 이용하여) 지리적 범위(geographic region)에 의해 검색할 수 있도록 한 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로 상에서 또는 경로의 일부분을 줌잉 인하기 위한 줌 기능; 맵의 영역(area)을 확대하기 위한 확대 기능; 맵의 디스플레이 장소를 변경하기 위한 장소 변경 기능; 디스플레이되는 경로의 시간 및 날짜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 등. 줌, 확대 및 장소 변경을 위한 표준 맵 내비게이션 제어(33; Standard map navigation control)가 이용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또한 예를 들어, 슬라이드가 가능한 날짜/시간 인터페이스(38; slidable date/time interface)의 이용을 통해, (현재 시간/실시간 검색(real-time search)까지 그리고 포함하는) 날짜 및/또는 시간의 범위, 타임코드, 및 현재 시간에 의해, 날짜 및 시간에 의한 비디오 콘텐츠의 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캡처 및 인코딩 모듈(12), GPS 모듈(14), 및 로컬 저장 모듈(16)은 서브시스템(10; subsystem)을 구성할 수 있다.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는 또한 다수의 서브시스템(10)으로부터 연관된 비디오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 상에서 실행(run)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는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날짜, 시간 및/또는 장소, 및 추가 이용 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비디오 콘텐츠 또는 그 선택된 일부분 (예를 들어, 콘텐츠 스트림(22) 또는 고-해상도 비디오 클립(24))을 다운로드 및/또는 패스(pass)하는 능력에 의해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서브시스템(10)은 (예를 들어, 생산 시설로부터 원격의) 현장에 위치(locate)할 수 있다.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는 예를 들어, 생산 시설 기계실(production facility machine room)에 위치할 수 있다. 원격 엑세스 기기(40)는 예를 들어, 뉴스룸(news room)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시스템(10)의 잠재적 휴대성(potential portability)에 기인하여, 서로 떨어져 있거나 또는 동일한 부근(same vicinity) 중 어느 하나의 소정의 장소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용하는 동안, 서브시스템(10)은 로컬 저장 모듈(16) (또는 비디오 캡처/인코딩 모듈(12)의 내부 메모리), 및 GPS(14)로부터의 데이터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포함하는, 연관된 메타데이터에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한다. 메타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는 대응하는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또는 대응하는 비디오 콘텐츠 없이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 상으로 나중 단계(stage)에서 동시에 레코딩되거나 전달된다. 메타 데이터는 맵(30; map) 및 대응하는 검색 기능의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도록 원격 저장 및 웹 서비스 기기(20)에 의해 이용된다. 일단 원하는 콘텐츠가 지리적 영역, 시간, 또는 다른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위치되면, (도 1에서 참조부호 2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현장으로부터 직접 원하는 선택 장소(42)로 IP를 매개로 콘텐츠를 스트림하거나, 또는 선택 장소(42)에서 (도 1에서 참조부호 2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해상도 포맷으로 콘텐츠(또는 그 일부분)를 다운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서 "시민 리포터(citizen reporter)"라고 지칭되는) 개인이 사용자 기기 상에서 가능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에 콘텐츠를 캡처한 뒤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채택(adapt)될 수 있다. 오늘 날의 사회에서는 개인이 스마트폰 또는 다른 전자 기기를 갖고 있는 것이 유행하고 있고, 이러한 기기의 대부분에는 카메라 및 비디오 레코더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캡처되고 이러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상에 업로드(upload)된 콘텐츠는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과 함께 공유될 수 있어, 스마트폰 또는 유사한 전자 기기를 갖고 있는 모든 개인은 뉴스, 스포츠, 및 날씨 채널 등과 같은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에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민 리포터"로서 변모된다.
도 3은 미디어 아울렛이 현재 레코딩되고 있거나 또는 이후에 레코딩될 콘텐츠에 대해 시민 리포터와 검색하고 구입 동의(purchase agreement)로 들어갈 수 있는(enter into)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시민 리포터는 구입을 위해 미디어 아울렛에 그들의 서비스를 광고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기기(44)를 매개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8)에 라이브 또는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더욱이, (여기서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 interactive media application)"으로 지칭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기기(44)가 미디어 아울렛(예를 들어, 미디어 아울렛 기기(50))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한 개인의 사용자 기기(44)상으로 로딩(load)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44)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톱, 휴대용 컴퓨터,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비디오 레코딩 성능(video recording capability)을 갖고 있는 다른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 가능 기기와 같은, 소정의 유형의 개인 컴퓨팅 기기(personal comput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은 네트워크(56)를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 기기(50)와 사용자 기기(44)를 연결함으로써 미디어 아울렛에서 개인 시민 리포터 및 스태프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은 시간, 날짜 및 장소 정보를 중앙 서버(52;central server)에 보냄으로써 사용자 기기(44)의 장소 추적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이미 사용자 기기(44)에 상주(resident)하고 있는 GPS 애플리케이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는 GPS 위성(54; GPS satellite)과 통신하는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또한 미디어 아울렛 스태프가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웹사이트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등의 형식(form)을 취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8)을 매개로) 개인의 기기 상에 현재 레코딩되거나 저장되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인 콘텐츠의 사진찍기 또는 레코딩에서 개인을 지시할 수 있도록 한다.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은 미디어 아울렛에서 스태프가 시민 리포터(또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다른 분배자)와의 일정한 연결 및 지속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이는 레코딩되는 콘텐츠에 걸쳐 제어뿐만 아니라 레코딩되는 콘텐츠 및 레코딩 장소의 검증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을 실행하는 개인 사용자(시민 리포터)의 네트워크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50)를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에 생성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전용 텔레비전 카메라(dedicated television camera) 또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트랜시버(transceiver), 또는 다른 인터넷 가능 기기를 포함할 수 있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50) 상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58)은 미디어 아울렛의 스태프가 (예를 들어, 국제 영역 네트워크(global area network),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56)를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에 연결된 다양한 시민 리포터의 장소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시민 리포터의 장소는 도 1에 도시되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부분과 같이 대화형 맵(3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데이터, 시간, 장소 및 다른 정보를 갖는 메타데이터는 콘텐츠의 레코딩 동안 시민 리포터의 장소를 추적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레코딩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미디어 아울렛의 라이브 또는 레코딩된 콘텐츠를 검색하도록 하나의 미디어 아울렛을 허용하기 위해, 및/또는 하나의 미디어 아울렛이 다른 미디어 아울렛에 콘텐츠를 분배하도록 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다.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 및/또는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58)은 컴퓨터 프로세스,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필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갖춘 소정의 유형의 컴퓨터화된 기기 상에서 실행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기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1) 및 히트 맵(30)은 미디어 아울렛 기기(50)상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엑세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58)을 매개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디어 아울렛 기기 및/또는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58)은 도 1과 관련되어 위에서 논의된 원격 저장 및 웹 서버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고, 대응하는 특징 및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히트 맵(30)은 리포터(본 실시예에 있어서, 1명 이상의 시민 리포터)로부터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크린 상에 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여, 미디어 스태프가 생생한(raw) 뉴스, 스포츠, 콘서트 장면(concert footage), 날씨, 교통, 사고 또는 다른 라이브 장면을 원격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 및 맵(30)에 대한 엑세스는 오직 허가(authorization)(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및 비밀 번호 또는 다른 보안 조치(security measure))에 의해서만 될 수 있다.
도 1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히트 맵(30)은 미디어 스태프가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을 실행하는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그 자체를 매개로 또는 사용자의 소셜 미디어 계정(account)의 모니터링(monitoring)을 매개로) 이들 사용자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미디어 스태프는 언제 또는 어디서 뉴스 속보가 나가는지를 쉽게 결정할 수 있고 라이브 방송(live broadcast), 소셜 미디어에 포스팅하는 것(posting), 또는 재방송(rebroadcast)을 위해 바람직한 장면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장면이 선택되면, 미디어 스태프는 시민 리포터와 통신하고, 재방송되는 것 또는 미디어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권리에 대해 시민 리포터와 구입 동의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거래(transaction)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래 엔진 인터페이스(62; transaction engine interface)를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 기기(50)에 결합된 거래 엔진(60)을 매개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거래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은행 계좌 정보 또는 (Paypal, Google Wallet 등등과 같은) 다른 유형의 전자 결제(electronic payment)가 사용자 기기(44)를 매개로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에 입력되고 거래 엔진(60) 및/또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50)와 통신될 수 있게 된다. 거래 엔진(60)은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금융 기관(64; financial entity)과 통신할 수 있다. 금융 기관(64)은 은행, 신용 카드 회사, PayPal, Google Wallet 서버, 또는 전자 결제를 처리하는 다른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 엔진(60)은 또한 거래를 위한 인보이스(invoice)를 발생시키도록 채택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구입 선택(option)이 제시(presen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독점(exclusive) 라이브 장면에 대해 더 많은 요금을 지불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사용자에 의해 레코딩된 콘텐츠(공유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적은 요금을 지불할 수 있으며, 이벤트의 레코딩된 콘텐츠에 대해서는 더욱 적은 요금을 지불할 수 있다. 가격 책정(pricing)은 현재 가격 책정, 협상된 가격 책정, 또는 경매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입한 콘텐츠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뉴스 채널과 같은 종래의 방송 아울렛, 미디어 아울렛 웹사이트, 또는 스트리밍 채널, 또는 미디어 아울렛의 소셜 미디어 채널 또는 계정을 매개로) 디스플래이 및 재방송을 위해 사용자 기기(44)로부터 미디어 아울렛 기기(50)로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구입한 콘텐츠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50)로 콘텐츠의 공급(provision) 전에 또는 동시에 중앙 서버(52)로 업로드될 수 있다.
구입 전에, 미디어 아울렛의 스태프에게는 도 1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것과 유사하게, 콘텐츠의 일부분의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36)이 제공될 수 있다.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36)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아이콘(중간지점 인디케이터)(32)을 클릭하거나 마우스를 근처에 가져다댐으로써 시청할 수 있다.
도 4는 차량 화재의 라이브 비디오 장면(45)을 레코딩하는 사용자 기기(44)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사용자 기기(44)가 선택될 때 대화형 맵(30)을 나타내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5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예를 나타낸다. 명확성을 위해, 맵(30)은 오직 선택된 사용자 기기(44)의 장소만을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사이드바(70; sidebar)에서 레코딩되는 현재 비디오 장면(45)을, 사용자 이름(72), 및 다양한 유형의 비디오 장면(예를 들어, 독점 라이브 레코딩, (또한 다른 사람들에 의해 레코딩되는) 공유된 라이브 레코딩, 및 레코딩/저장된 장면)에 대한 구입 액(74)(및 선택적적으로 설명(optionally description))과 함께 나타낸다.
도 5의 사이드바(70)는 또한 사용가능한 시민 리포터의 목록(76) 및 목록(76)으로부터 선택된 1명 이상의 시민 리포터(들)와의 통신을 위한 채팅 기능(78; chat function)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특정 영역(이 경우에는, 미국)에서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든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내는 히트 맵(30)의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다. 맵(30)은 도 6에 예시된 것에 비해 더 좁거나 더 넓은 영역을 포함하는, 상이한 영역 또는 범위가 나타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맵(30)은 단일 국가(single country), 단일 주(state), 다수의 주 또는 국가, 개별 소도시(town) 또는 도시(city), 다수의 소도시 또는 도시, 특정 지리적 범위 등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디어 아울렛에 능동적으로 전송하는 (예를 들어, 라이브 모드(live mode)의) 사용자 기기(44)는 하나의 색(예를 들어, 빨강)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고, 콘텐츠를 레코딩하지 않는 (예를 들어, 대기 모드(standby mode)의) 사용자 기기(44)는 다른 색(예를 들어, 파랑)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사용자 기기(44)는 맵(30) 상에서 함께 그룹지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매우 근접한 사용자 기기(44)는 큰 원(large circle)으로서 도시될 수 있다. 서서히 (더 작거나 더 크게) 크기가 변하는(progressively sized) 원은 사용자 기기의 대응되게 크기가 변하는 그룹을 나타내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영역에서의 사용자 기기의 수를 표시하는(denote) 숫자가 원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맵(30) 상의 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30개의 사용자 기기(44)를 표기(designate)하는, 중앙에 숫자 30을 갖는 큰 원(80)이 도시되고, 중앙에 숫자 10을 갖는 작은 원(82)은 맵(30) 상에서 원(82)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10개의 사용자 기기(44)를 나타내며, 더 작은 원(84)은 맵(30)의 대응하는 영역에서 더 적은 수의 사용자 기기(44)를 나타낸다. 라이브 모드의 사용자 기기(44)는 제1 색의 원(예를 들어, 빨간색 원)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고 대기 모드의 것은 제2 색의 원(예를 들어, 파란색 원)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원(예를 들어, 원(80, 82, 84))을 클릭함으로써, 모든 대응하는 사용자 기기(44)의 목록(라이브, 대기, 또는 양쪽 모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1)에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원 중 하나를 클릭하면, 원 내의 사용자 기기(44)에 대응하는 시민 리포터/소스(source)의 목록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사이드바(70)에서 제시될 수 있다. 목록은 스크롤가능하고(scrollable), 레코딩의 이름 또는 소스(72), 레코딩으로부터의 저-해상도 이미지 또는 비디오 클립(45), 및 레코딩과 관련하여 설명 및/또는 구입 정보(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 미디어 아울렛의 미디어 스태프는 사용자 또는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고, 콘텐츠의 구입을 위해 대응하는 거래로 들어갈 수 있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위에서 논의된 맵(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소정의 또는 모든 특징이 또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채팅 기능 특징은 미디어 스태프가 선택된 시민 리포터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채팅 기능은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6) 또는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48) 중 하나를 매개로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사용자 번호(user number) 등일 수 있는) 시민 리포터의 사용자 식별(identification)에 대해 클릭하거나 입력하는 것 또는 맵(30) 상에 디스플레이된 시민 리포터에 대한 대응하는 아이콘에 대해 클릭하는 것은 시민 리포터와의 통신을 시작(initiate)하게 할 수 있다. 채팅 기능을 이용하면, 미디어 스태프는 이어 시민 리포터에게 라이브 이벤트의 다른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획득하고, 시청 각도(viewing angle) 또는 유리한 위치(vantage point), 이미지 초점(focus point), 줌/확장 등을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스태프는 명령(command) 또는 지시(direction)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할 수 있고, 이는 시민 리포터의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텍스트 오버레이(text overlay)로서 나타날(appear) 것이다. 텍스트 오버레이는 레코딩되는 콘텐츠의 바로 위에 나타날 수 있고, 이는 텍스트를 통해 시청가능(viewable)하거나 부분적으로 시청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는 현재 사용자 기기(44) 상에서 레코딩되고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강 위의 보트의 비디오 장면(45)을 나타낸다. 도 10에서, 채팅 기능이 시작되고 미디어 스태프는 비디오 장면(45)을 시청한 후에 "보트에 카메라를 집중하여 주세요(Please center the camera on the boat)"라고 입력하고, 이 명령은 시민 리포터의 기기 스크린 상에 텍스트 박스/오버레이(86)로서 나타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명령 및 응답(reply)은 이슈(issue)가 되고 있는 이미지 또는 비디오에 관하여 기기 스크린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도 12는 미디어 스태프와 시민 리포터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나타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분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키보드 오버레이(88)의 예를 나타낸다. 키보드 오버레이(88)는, 오버레이의 아래에서 시청가능하거나 부분적으로 시청가능하게 되는, 레코딩되고 있는 콘텐츠에 걸쳐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오버레이일 수 있다. 시민 리포터로부터 미디어 스태프로의 메시지는 예를 들어, 히트 맵 상에 제공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바(70)의 채팅 기능(78)에서 또는 시민 리포터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콘텐츠 상의 오버레이로서, 미디어 아울렛 기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 기기 상 또는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의) 메시지는 단지 간단하게 나타나고 이어 은폐(hidden)될 수 있고, 또는 응답(response)이 수신될 때 및/또는 채팅 세션(session)이 종료(terminate)될 때 까지 남아있을 수 있다. 만약 메시지가 은폐되면, 맵(30) 상에 사용자 기기(44)를 나타내는 아이콘 상의 (메시지 번호, 알람, 또는 다른 라벨링(labelling)과 같은) 표시(indication)에 의해, 또는 맵(3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 상에서 보여지는 메시지 아이콘(90)에 의해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사용자로부터의 모든 메시지를 보여줄 것이다. 채팅 세션 또는 사용자 메시지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사이드바(70)에서 보여질 수 있다.
그룹 채팅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스태프는 동일한 이벤트를 보고하는(report) 다수의 시민 리포터와 채팅하기 위해 다수의 사용자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고, 또는 히트 맵(3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의 메뉴 바(menu bar) 상에 제공되는 그룹 채팅 아이콘을 클릭한 후 다수의 시민 리포터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할 수 있다. 시민 리포터가 도 7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그룹지워지는 경우, 시민 리포터의 그룹 또는 원을 클릭하면 자동적으로 해당 그룹의 모든 시민 리포터와 그룹 채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채팅 기능을 이용하면, 방송국(broadcaster)은 (예를 들어, 스포츠 이벤트, 기자 회견(news conference), 라이브 공연, 곧 발생될 태풍 또는 다른 알려진 기상 이벤트, 및 다른 예정된 이벤트 또는 야기될 일과 같은 다가오는 라이브 이벤트를 레코딩하기 위한) 미래 이벤트를 위한 레코딩 서비스를 요청하는 모든 연결된 시민 리포터에게 글로벌(global) 또는 그룹 통신을 보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는 레코딩된 콘텐츠 및/또는 라이브 콘텐츠가 판매(sale)될 수 있는 비디오 시장(video marketplace)에 업로드될 수 있다. 방송국과 같은, 사용자는 이전에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유료(fee)로 검색, 다운로드, 및 재방송할 수 있다. 방송국 또는 다른 사용자는 또한 히트 맵(30)을 이용하여 속보 및 라이브 이벤트와 관련된 라이브 콘텐츠를 검색 및 구입할 수 있고, 또한 스포츠 이벤트, 콘서트 또는 다른 엔터테인먼트 이벤트(entertainment event), 공개적으로 예정된 이벤트(publicly scheduled event)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포함하는, 다가오는/미래 라이브 이벤트를 레코딩하기 위해 개인을 확인(identify) 및 예정할 수 있다. 비디오 시장은 히트 맵(30)뿐만 아니라 그들의 장소 및/또는 운영 영역(area of operation)과 함께 시민 리포터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목록으로부터 시민 리포터를 선택하면, 해당 리포터에 의해 레코딩된 미리 레코딩된 콘텐츠의 목록을 제공할 것이다. 콘텐츠는 이름(예를 들어, 이벤트 이름 등), 콘텐츠 유형(뉴스, 스포츠, 콘서트 장면, 날씨, 태풍, 등등), 장소, 또는 다른 키워드(key word)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식별자(identifier)에 의해 열거(list)될 수 있다. 각 시민 리포터의 콘텐츠, 또는 모든 시민 리포터의 콘텐츠는 (도 2와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러한 키워드 또는 식별자에 의해 검색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날짜, 시간, 지리적 장소, 또는 다른 메타데이터를 기초로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유리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이제는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원격 장소에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콘텐츠가 레코딩된 직후에 다른 장소에서 사용자에 의해 엑세스, 검색, 및 리뷰(review)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유리하게 전통적인 미디어 아울렛이 시민 리포터로부터 라이브 또는 레코딩된 비디오 보도(coverage)를 획득하고, 라이브 보도를 위치시키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도록 하여, 사진 또는 비디오가 변하지 않았음을 검증(verify)하고, 라이브 이벤트 동안 현장에 있는 개인을 인터뷰(interview)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다양하게 예시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변경 및 적용(adaptation)이 청구 범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3)

  1.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에서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 상에서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미디어 아울렛 애플리케이션을 매개로 미디어 아울렛 기기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사용자 기기 상에서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 및 인코딩하는 단계;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저장 및 전송을 위해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레코딩하는 단계로서,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레코딩 동안 사용자 기기의 레코딩 장소를 나타내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
    미디어 아울렛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화형 맵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대화형 맵이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내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대화형 맵을 매개로,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리적 위치로부터 원격 장소에 있는 구매자가,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를 갖는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상기 구매자에 의한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 및
    사용자 기기로부터 중앙 서버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메타데이터 정보가 레코딩의 날짜 및 시간 정보, 사용자 기기 장소, 비디오의 길이, 비디오 및 오디오 포맷, 타임코드, 비디오 파일의 크기, 사용자 기기 식별 정보, 소유권 및 저작권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동적으로 로그되거나 미리 규정된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부가적인 메타데이터 정보는 배정 이름, 지리적 장소, 사용자 이름, 작품 제목, 주제 참조, 프로그램 이름, 소스 정보, 레코딩 장비 유형, 및 사용자 코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비디오 콘텐츠는 임의의 메타데이터 정보 또는 임의의 메타데이터 정보의 조합에 의해 검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비디오 콘텐츠는 날짜 범위, 시간 범위, 타임코드,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서 더 검색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 기기가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 및 이동 경로(route of travel) 중 하나로 대화형 맵 상에 나타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사용자 기기가:
    현재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있는 동작 사용자 기기; 및
    현재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있지 않은 비동작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동작 사용자 기기를 위한 아이콘이 제1 색이고 비동작 사용자 기기를 위한 아이콘이 제2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동작 및 비동작 사용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하나 이상의 그룹이 맵 상에서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원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원의 크기가 원에 의해 표시된 장소에서 사용자 기기의 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와 미디어 아울렛의 스태프 사이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자 기기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상에서 채팅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채팅 기능이: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을 위한 협상과;
    비디오 콘텐츠의 현재 레코딩에 관하여 스태프 요원으로부터 사용자로의 지시 및 지도; 및
    미래의 레코딩 서비스의 구입을 위한 협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지시 및 지도가 현재 레코딩되고 있는 이미지의 변화, 레코딩의 유리한 위치의 변화, 시청 각도의 변화, 초점의 변화, 조명의 변화, 및 줌 양(zoom amount)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채팅 기능으로부터의 텍스트(text)가 레코딩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사용자 기기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 오버레이와 같이 보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채팅 기능이 레코딩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사용자 기기 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 키보드 오버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대화형 맵이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 속도 및 방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가 전자 기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전용 텔레비전 카메라, 및 IP 또는 웹 카메라 중 하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기기에 대화형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각 복수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대응하는 복수의 현재 장소가 대화형 맵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각 복수의 사용자 기기에 대한 대응하는 경로가 대화형 맵 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각 경로를 따른 각 레코딩 장소에 대해, 중간지점 인디케이터가 대화형 맵 상의 경로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중간지점 인디케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은 대응하는 레코딩 장소에서 레코딩된 콘텐츠로부터 저-해상도 사진 또는 저-해상도 비디오 클립 중 하나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를 방송하는 단계,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를 하나 이상의 소셜 미디어 아울렛에 포스팅 하는 단계, 및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를 저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23. 미디어 아울렛 기기; 및
    비디오 콘텐츠를 레코딩하고 인코딩하고 미디어 아울렛 기기와 통신하기 위해 채택된 사용자의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고,
    사용자 기기는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저장 및 전송을 위해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레코딩하고,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는 레코딩 동안 사용자 기기의 레코딩 장소를 나타내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미디어 아울렛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는 적어도 사용자 기기의 현재 장소를 나타내는 대화형 맵이 디스플레이되고,
    미디어 아울렛 기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대화형 맵을 매개로,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지리적 위치로부터 원격 장소에 있는 구매자가, 연관된 메타데이터 정보로서 상기 지리적 위치 정보를 갖는 레코딩된 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미디어 아울렛 기기에 결합된 거래 엔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사용자로부터 상기 구매자에 의한 기록된 비디오 콘텐츠의 구입을 가능하게 하고,
    구입된 비디오 콘텐츠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중앙 서버 및 미디어 아울렛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
KR1020170179354A 2017-03-31 2017-12-26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7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75,284 2017-03-31
US15/475,284 US10327034B2 (en) 2014-03-27 2017-03-31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exchange of video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476A KR20180111476A (ko) 2018-10-11
KR102567767B1 true KR102567767B1 (ko) 2023-08-16

Family

ID=6047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354A KR102567767B1 (ko) 2017-03-31 2017-12-26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83049A1 (ko)
JP (1) JP7331308B2 (ko)
KR (1) KR102567767B1 (ko)
CN (2) CN108696709A (ko)
CA (1) CA2986289A1 (ko)
HK (1) HK12555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2111B (zh) * 2020-12-24 2023-05-16 广州博冠信息科技有限公司 直播流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514A (ja) * 2002-06-14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交通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撮像画像送信装置並びに車載用の情報表示装置と記憶媒体
JP2008217831A (ja) * 2001-03-27 2008-09-18 Nikon Corp 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方法、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JP2011216930A (ja) * 2010-03-31 2011-10-27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再生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
JP2015046151A (ja) * 2013-07-31 2015-03-1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92783B2 (en) * 2009-06-30 2014-04-08 4 Thumbs, Llc Touchscreen overlay
JP5598196B2 (ja) * 2010-09-15 2014-10-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67955A1 (en) * 2012-08-31 2014-03-06 Picshare, Inc. Instant media sharing to defined groups based on location
CN104581018A (zh) * 2013-10-21 2015-04-29 北京航天长峰科技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实现二维地图与卫星影像交互的视频监控方法
US9640223B2 (en) 2014-03-27 2017-05-02 Tvu Networks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time-based and geographic navigation of video cont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7831A (ja) * 2001-03-27 2008-09-18 Nikon Corp 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方法、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データの仲介サービス用プログラム
JP2004021514A (ja) * 2002-06-14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交通情報表示システム及び撮像画像送信装置並びに車載用の情報表示装置と記憶媒体
JP2011216930A (ja) * 2010-03-31 2011-10-27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再生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再生方法
JP2015046151A (ja) * 2013-07-31 2015-03-1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3049A1 (en) 2018-10-03
CN108696709A (zh) 2018-10-23
HK1255565A1 (zh) 2019-08-23
JP2018174516A (ja) 2018-11-08
JP7331308B2 (ja) 2023-08-23
KR20180111476A (ko) 2018-10-11
CA2986289A1 (en) 2018-09-30
CN115883885A (zh)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7034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exchange of video content
US11489936B2 (en) Location-based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and obtaining images
US8610786B2 (en) Providing multiple video perspectives of activities through a data network to a remote multimedia server for selective display by remote viewing audiences
US99127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vent-related video sharing services
JP7372008B2 (ja) ビデオコンテンツの時間ベース及び地理的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方法、装置並びにシステム
CN101809972B (zh) 使用元数据流来发现点对点内容
EP3123437B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stantly sharing video content on social media
US93171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data
US20070011704A1 (en) Content exchange system
CN105027101A (zh) 同时的内容数据流和交互作用系统
KR20140008386A (ko) 매트릭스 코드를 이용한 플레이스쉬프팅 이용
JP2009093478A (ja) 仮想空間放送装置
US20160100224A1 (en) Client Driven Video Presentation for Public Venues
KR102567767B1 (ko) 비디오 콘텐츠의 교환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8322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reaming media content
US1124594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processing, linking and monetizing a plurality of video and audio recording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POV)
KR101098271B1 (ko) 위치 기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20220021588A (ko)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JP7410611B1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ー、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220053248A1 (en) Collaborative event-based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KR20220023102A (ko) 사진 공유 sns 제공 시스템
KR20180132185A (ko) 실시간기반 및 컨텐츠 기반 실시간 공연공유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