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524B1 -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 Google Patents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524B1
KR102566524B1 KR1020230052733A KR20230052733A KR102566524B1 KR 102566524 B1 KR102566524 B1 KR 102566524B1 KR 1020230052733 A KR1020230052733 A KR 1020230052733A KR 20230052733 A KR20230052733 A KR 20230052733A KR 102566524 B1 KR102566524 B1 KR 10256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controller
sensor
mounting band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2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채길
박정인
강수운
차봉진
배봉성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3005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을 센서로 감지하는 한편,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컨트롤러의 CPU에서 처리하여 무선송신기로 사고발생 신호를 송출시키도록 한 안전모용 충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하측 외주면을 그 둘레 방향으로 감싸면서 안전모와 밀착되는 링 형상의 장착밴드를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가속도센서를 컨트롤러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상기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 뿐만 아니라, 충격 전,후에 착용자의 추락이나 쓰러짐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속도센서와 컨트롤러가 포함된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와 별도로 제작하여 놓은 다음 필요시마다 안전모상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해당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와 일체로 설치한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안전모의 제작과 충격감지장치의 수리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시키는 한편, 안전모의 파손시 충격감지장치를 함께 폐기시킴에 따른 불필요한 경제적 낭비를 방지하고, 충격감지장치의 취급과 조작에 따른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hard hat and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hard hat from the outside with a sensor, while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sensor in the CPU of the controller to transmit an accident signal to a wireless transmitter. An impact detection device for a hard hat More specifically,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together with a controll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ring-shaped mounting ba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lmet while wrappi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m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hus,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rmine not only the siz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and the position of the wearer's head where the impact was applied, but also whether the fall or fall of the wearer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impact, and at the same time, the acceleration sensor and controller The shock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ard hat, and then it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hard hat and used whenever necessar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ase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helmet,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helmet and the repair and maintenance of the impact sensor is greatly reduced, while preventing unnecessary economic waste due to the disposal of the impact sensor when the helmet is damaged. It relates to a headband type shock sens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convenience in handling and operating the shock sensing device.

Description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을 센서로 감지하는 한편, 해당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컨트롤러의 CPU에서 처리하여 무선송신기로 사고발생 신호를 송출시키도록 하되, 안전모의 하측 외주면을 그 둘레 방향으로 감싸면서 안전모와 밀착되는 링 형상의 장착밴드를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가속도센서를 컨트롤러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토록 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hard hat and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hard hat from the outside with a sensor, while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sensor in the CPU of the controller to transmit an accident signal to a wireless transmitter, but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rd hat It relates to a headband-type impact sensing device that is detachable from a helmet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together with a controll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ring-shaped mounting band that is wrapped around the helme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elmet.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건설현장 또는 조선소나 광산 등의 여러 산업현장에서는 해당 작업장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장비의 착용이 의무화 되고 있으며, 상기 안전장비 중에서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는 낙하물에 의하여 작업자의 머리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작업자의 추락시 발생하는 머리 부위의 충격 등을 일정 수준까지 완충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In general, in various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ies, construction sites, shipyards, mines, etc., it is mandatory to wear various safety equipment to protect the safety of workers engaged in the workplace. Among the safety equipment, the safety helmet worn on the worker's head is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buffering an impact applied to the head of a worker by a falling object or an impact to the head that occurs when a worker falls to a certain level.

이를 위하여, 상기 안전모는 알루미늄 등의 경량 금속이나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캡본체를 일차적으로 제작한 다음, 상기 캡본체의 하측 내주연부를 따라 착용자의 머리 부위를 감싸는 헤어밴드를 연결시키고, 상기 헤어밴드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착용자의 정수리 부분을 캡본체와 이격시키는 십자형(十) 또는 격자형(井) 완충밴드를 연결시키며, 상기 캡본체의 하단 좌,우측에는 안전모의 착용을 위한 턱끈을 연결시키게 된다.To this end, the helmet firstly manufactures a cap body using a lightweight metal such as aluminum or hard plastic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n connects a hair band covering the wearer's head along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p body, ,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air band, a cross or lattice-shaped buffer band is connected to separate the crown of the wearer from the cap body, an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p body, for wearing a safety helmet It will attach the chin strap.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안전모를 작업자가 정확하게 착용하더라도 비교적 강한 충격이 안전모에 가해질 경우에는, 해당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전달되어 착용자가 쓰러지거나 다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서는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을 감지하여 해당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상해를 초래할 수 있는 수준인지를 판단한 다음, 기준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될 시에는 작업장 주변의 현장관리소나 가까운 구급센터로 사고발생 신호를 전송시켜 신속한 사후처리가 가능토록 한 스마트 안전모가 보급되고 있다.However, even if the worker wears the helmet correctly, if a relatively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helmet,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wearer's head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wearer may fall or be injured.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impact is at a level that can cause injury to the wearer's hea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impact exceeding the standard value has been applied, an acciden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n-site management office or nearby emergency center for prompt post-processing. Smart safety helmets are becoming widespread.

상기와 같은 스마트 안전모의 대표적인 일례로서,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으로 안전모와 함께 변형되는 변형량에 비례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수 개의 시트형 감지센서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리드선과 함께 안전모의 캡본체 내측에 부착 설치하는 한편, 상기 리드선에 의하여 각각의 시트형 감지센서와 접속되는 CPU가 배터리 및 무선송신기와 함께 내장된 컨트롤러를 안전모의 캡본체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2021년 특허출원 제 176364호로 선출원 및 특허등록(제 10-2458477호) 되어 알려져 있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smart helmet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heet-type detection sensors that generate electromotive forc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deformation that is deformed with the helmet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ar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cap body of the helmet along with a lead wir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other hand, the CPU, which is connected to each sheet-type sensor by the lead wire, has a built-in controller with a battery and a wireless transmitter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cap body of the hard hat. Prior application as Patent Application No. 176364 in 2021 and patent registration (No. 10-2458477).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스마트 안전모에 따르면, 각각의 시트형 감지센서로부터 컨트롤러의 CPU로 입력된 기전력(변형량)의 값을 이용하여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량과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를 판단토록 하는 한편, 상기 충격량의 값이 기준치를 초과할 경우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정보를 사고발생 신호와 함께 컨트롤러의 무선송신기를 이용하여 외부로 송출시킴으로서, 안전사고 발생시 이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사후조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 helmet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and the location of the wearer's head to which the impact was applied are determined by using the electromotive force (deformation) value input from each sheet-type sensor to the CPU of the controll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value of the impac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earer's head to which the impact is applied is transmitted to the outside using the wireless transmitter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accident signal, so that 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prompt and appropriate This will enable follow-up.

그러나, 선출원된 스마트 안전모를 포함하여 충격감지 기능이 제공된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안전모에 있어서도, 충격감지를 위한 센서수단이 리드선과 함께 안전모의 캡본체와 일체로 제작됨으로서, 안전모 자체의 제작비용 뿐만 아니라 센서수단의 유지관리(수리나 교체) 비용 역시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전모의 파손이나 균열 등으로 인한 사용불가 판정시 해당 안전모를 센서수단과 함께 폐기시켜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경제적 낭비가 초래됨은 물론이고, 센서수단과 컨트롤러가 포함된 충격감지기구만의 독립적인 취급과 그 조작에 따른 편의성 또한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in various other types of safety helmets provided with an impact sensing function, including the previously filed smart safety helmets, the sensor means for impact sensing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cap body of the safety helmet together with the lead wire, so that not on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afety helmet itself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repair or replacement) cost of the sensor means was greatly increased, and when the helmet was determined to be unusable due to damage or cracks, the helmet had to be discarded along with the sensor means, resulting in unnecessary economic wast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independent handling of the shock sensing mechanism including the sensor means and the controller and the convenience of its operation.

특히,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량과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는 각각의 센서수단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나, 해당 충격이 낙하물 또는 구조물과의 충돌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것인지를 보다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충격이 가해진 이후 작업자가 쓰러지거나 해당 충격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일정 높이에서 추락하는 등의 상황 역시 적절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 이후의 후속조치를 구체적인 사고유형에 맞추어 최적화시키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In particular,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and the position of the wearer's head where the impact is applied can be determined to some extent accurately using each sensor means, but whether the impact is due to a falling object or a collision with a structure or a worker's fall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properly determine whether a worker fell down after an impact or a worker fell from a certain height due to the impact. It was difficult to optimize the follow-up measures according to the specific type of accident.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245847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45847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안전모의 하측 외주면을 그 둘레 방향으로 감싸면서 안전모와 밀착되는 링 형상의 장착밴드를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가속도센서를 컨트롤러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상기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 뿐만 아니라, 충격 전,후에 착용자의 추락이나 쓰러짐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속도센서와 컨트롤러가 포함된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와 별도로 제작하여 놓은 다음, 필요시마다 안전모상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탄력밴드식 충격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ring-shaped mounting band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lmet while wrappi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me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installing together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o determine not only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and the position of the wearer's head to which the impact was applied, but also whether or not the fall or fall of the wearer occurred before and after the impact. At the same tim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n elastic band-type impact sens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on the helmet whenever necessary after the shock sensing device includ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controller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helmet. as a technical challenge.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안전모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을 센서로 감지하는 한편, 해당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컨트롤러의 CPU에서 처리하여 무선송신기로 사고발생 신호를 송출시키도록 한 안전모용 충격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장치는 안전모의 하측 외주면을 그 둘레 방향으로 감싸면서 안전모와 탄력적으로 밀착 설치되는 링 형상의 장착밴드와, 상기 장착밴드를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설치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가속도센서의 사이에 해당하는 임의 위치에서 장착밴드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CPU와 무선송신기는 배터리와 함께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이고, 상기 CPU는 외부케이싱의 좌,우측 또는 이중에서 택일한 위치에 제공된 접속단자로부터 장착밴드를 따라 배선되는 리드선에 의하여 각각의 가속도센서와 접속 설치되는 한편, 상기 외부케이싱에는 컨트롤러의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은 장착밴드와 함께 안전모의 외측면과 밀착 설치되고, 상기 안전모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표면과 장착밴드의 내측면에는 논슬립표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에는 가속도센서의 영점세팅과 사고해제 신호의 송출을 위하여 CPU와 접속되는 리셋버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가 제공되는 한편, 해당 접속단자에는 수밀용 단자캡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installed on a hard hat and detects an impact applied to the hard hat from the outside with a sensor, while processing the data input from the sensor in the CPU of the controller to generate an accident signal through a wireless transmitter In the shock sensing device for a hard hat to send out, the impact sensing device includes a ring-shaped mounting band that is elastical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ard hat while wrappi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ard ha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certain arrangement along the mounting b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installed at intervals, and the controller is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a mounting ban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acceleration sensors, and the CPU and wireless transmitter are embedded in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battery. The CPU is installed connected to each acceleration sensor by a lead wire wired along the mounting band from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a location selected from the left, right or double of the outer casing, while the outer casing is connected to the on/off of the controll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switch means for off operation is provided, and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 hat together with the mounting band, and the surface of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ard hat and the mounting b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non-slip surfac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reset button connected to the CPU is provided on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for zero point setting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ransmission of an accident release signal. A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asing, and a watertight terminal cap is detachably fit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와 인접한 장착밴드측에는 길이 조정용 조임버클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가속도센서는 조임버클에 의한 장착밴드의 길이 조정 범위를 제외한 위치에 걸쳐 설치되거나, 상기 장착밴드 자체가 신축 가능한 탄력밴드가 되는 한편, 상기 리드선은 장착밴드를 따라 지그재그식의 파형으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밴드의 일측단에는 컨트롤러와 착탈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스냅식 세팅클립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일측면에는 장착밴드의 세팅클립이 내측으로 끼움 조립되어 스냅식으로 걸림 고정되는 클립홀더가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수단은 세팅클립과 클립홀더간의 조립 또는 분리에 따라 컨트롤러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접속단자는 클립홀더가 설치되지 아니한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타측면에 제공되는 한편, 상기 리드선은 해당 접속단자로부터 장착밴드를 따라 배선되어 각각의 가속도센서와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치수단은 세팅클립의 중앙부 내측에 제공되는 누름핀과 클립홀더의 중앙부 내측에 제공되는 스위치버튼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세팅클립과 클립홀더의 끼움 조립시 세팅클립의 누름핀이 클립홀더의 스위치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가 온 상태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밴드에는 각각의 가속도센서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센서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각각의 센서커버 후방면에는 센서커버의 상단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센서커버의 하단측으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압밀착판이 탄성지지축을 개재시킨 상태로 센버커버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각의 센서커버 또는 가압밀착판의 후방면은 논슬립표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ore preferred embodiment, a tightening buckle for length adjustmen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mounting band adjacent to the controller, while the acceleration sensor is installed over a position excluding the length adjustment range of the mounting band by the tightening buckle, or the mounting band itself is While being an elastic elastic band, the lead wi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ired in a zigzag waveform along the mounting band, and at one end of the mounting band, a snap-type setting clip that is detachably fitted with the controller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a clip holder is provided in which the setting clip of the mounting band is inserted inwardly and snapped into place, and the switch means turns on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ssembly or separation between the setting clip and the clip holder. Or, it is installed to be turned off,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where the clip holder is not installed, while the lead wire is wir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along the mounting band to each acceleration sensor and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means includes a push pin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art of the setting clip and a switch button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art of the clip holder, and presses the setting clip when fitting and assembling the setting clip and the clip hold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is set in the on state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switch button of the clip holder by the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cover for protecting each acceleration sensor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and, and each of th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a pressure contact plate disposed oblique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nsor cover to the rear lower side or from the lower end of the sensor cover to the rear upper side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sensor cover with an elastic support shaft interposed.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rface of each sensor cover or press fit plate is a non-slip surfa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링 형상의 장착밴드상에 가속도센서를 설치하여 이를 장착밴드상의 컨트롤러와 접속시킨 헤드밴드 방식의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와 별도로 제작하여 놓음으로서, 필요시마다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상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 뿐만 아니라, 충격 전,후에 착용자의 추락이나 쓰러짐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an acceleration sensor on a ring-shaped mounting band and connecting it to a controller on the mounting band, a head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is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afety helmet, so that the impact sensing device is installed whenever necessary. In addition to providing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on the helmet, the magnitud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location of the wearer's head where the impact was applied, as well as the fall or fall of the wearer before and after the impact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etc. has occurred.

상기와 같이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그 위치를 사고유형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 및 판단토록 함으로서, 안전사고 이후의 후속조치를 한층 더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충격감지용 센서수단을 안전모와 일체로 설치하였던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안전모의 제작과 충격감지장치의 유지관리(수리나 교체)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한편, 안전모의 파손시 충격감지장치를 함께 폐기시킴에 따른 불필요한 경제적 낭비를 방지하고, 충격감지장치의 취급과 조작에 따른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determining the magnitude and location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along with the type of accident, follow-up measures after a safety accident can be carried out more rationally and systematically.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sensor unit was installed integrally with the helmet,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helmet and the maintenanc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impact sensor can be greatly reduced, while the impact sensor is discarded together when the helmet is damaged. Therefore, unnecessary economic waste is prevented, and convenience in handling and manipulating the shock sensing devi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조임버클을 이용하여 장착밴드의 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하거나, 상기 장착밴드 자체를 신축식 탄력밴드로 하고, 안전모와 밀착되는 장착밴드와 컨트롤러의 표면을 논슬립(Non-slip) 표면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안전모의 치수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충격감지장치를 보다 더 손쉽고 견고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가속도센서의 리드선을 지그재그식의 파형(波形)으로 배선시켜 장착밴드의 빈번한 신축 조작에도 불구하고 리드선의 단선 및 이로 인한 충격감지장치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mounting band can be adjusted using the tightening buckle, or the mounting band itself is a stretchable elastic band, and the surface of the mounting band and the controller in close contact with the safety helmet is formed as a non-slip surface. As a result, it provides an effect that the impact sensor can be installed and used more easily and firmly without being greatly restricted by the size of the helmet, and the lead wire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wired in a zigzag waveform to ensure frequent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unting band.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disconnection of the lead wire and consequent failure or malfunction of the shock sensing device in spite of manipulation.

특히, 상기 장착밴드의 세팅클립을 컨트롤러의 클립홀더와 조립 또는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컨트롤러의 온(ON)/오프(OFF) 조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서, 충격감지장치의 사용 전,후로 스위치수단을 일일이 조작하는 번거러움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컨트롤러의 오프 상태로 충격감지장치가 사용되는 상황과 컨트롤러의 온 상태로 충격감지장치가 방치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충격감지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불필요한 배터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by simply assembling or separating the setting clip of the mounting band from the clip holder of the controller, the on/off operation of the controll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switch mean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shock sensing device. While minimizing the hassle of individually manipulating the controller,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ck sensor is used with the controller off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ck sensor is left in the on state of the controller. It maximizes convenience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nsing device,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n effect that can prevent unnecessary waste of batteries.

이와 더불어, 각각의 가속도센서를 케이싱 형태로 보호하는 센서커버를 이용하여 충격감지장치의 내구성과 사용수명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센서커버 후방측에 가압밀착판을 적용시킴으로서 안전모에 대한 장착밴드의 조임력과 가압밀착판의 탄성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충격감지장치를 안전모상에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센서커버의 전방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가압밀착판이 후방측에서 적절히 완충시켜 가속도센서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a sensor cover that protects each acceleration sensor in the form of a casing, the durability and service life of the impact sensing devi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a pressurized contact plate is applied to the rear side of each sensor cover to secure the safety helmet. By using both the clamping force of the mounting band and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ressure contact plate, the shock sensing device can be installed very firmly and stably on the safety helmet,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nsor cover This is to provide very useful effects, such as allowing the acceleration sensor to be more safely protected by properly buffer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가 안전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배선도.
도 5는 도 3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내부구조를 중심으로 한 개략적인 배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7은 도 6에 적용되는 컨트롤러의 내부구조를 중심으로 한 개략적인 배선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따른 충격감지장치의 신축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정면도.
도 11은 도 8의 충격감지장치가 안전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충격감지장치를 이용한 사고발생 신호의 전송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afety helmet.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wiring diagram of Figure 3;
5 is a schematic wiring diagram center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roller applied to FIG. 3;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wiring diagram center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roller applied to FIG. 6;
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impact sens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excerpted front views of main parts showing a st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hock sensing device according to FIG. 8;
11 is an enlarged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act sensing device of FIG. 8 is mounted on a helmet.
1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transmission method of an accident occurrence signal using the impact det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전모(1)의 경우에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등의 경량 금속이나 경질의 플라스틱 또는 합성수지 소재를 이용하여 캡본체를 일차적으로 제작한 다음, 상기 캡본체의 하측 내주연부를 따라 착용자의 머리 부위를 감싸는 헤어밴드(5)를 연결시키고, 상기 헤어밴드(5)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는 착용자의 정수리 부분을 캡본체와 이격시키는 십자형(十) 또는 격자형(井) 완충밴드(6)를 연결시키며, 상기 캡본체의 하단 좌,우측에는 안전모(1)의 착용을 위한 턱끈(2)을 연결시킨 것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afety helmet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ap body is primarily manufactured using a lightweight metal such as aluminum or a hard plastic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n the cap body A cross or lattice shape that connects the hair band 5 surrounding the wearer's head along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head and separates the wearer's crown from the cap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air band 5 (井)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at the buffer band 6 is connected, and the chin strap 2 for wearing the safety helmet 1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p body.

도면상 상기 좌,우 턱끈(2)에는 착용자의 머리와 얼굴 크기에 맞추어 안전모(1)를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턱끈(2)의 길이를 조정시킬 수 있는 조임버클(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 턱끈(2)의 하단에는 안전모(1)의 착용을 위한 착탈식 착용클립(4)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착용클립(4)을 사용하지 않고 좌,우 턱끈(2)을 하나의 조임버클(3)로 연결시키는 방식 또는 좌,우 턱끈(2)을 직접 묶어서 착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상기 조임버클(3)과 착용클립(4)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여러 가지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In the drawing, a tightening buckle 3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chin straps 2 to adjust the length of the chin strap 2 so that the helmet 1 can be accurately wor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head and face, At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chin straps 2, a detachable wearing clip 4 for wearing the helmet 1 is connected and installed. In some cases, the wearing clip 4 is not used and the left and right chin straps ( 2) can be connected with one tightening buckle 3 or a method of directly binding and wearing the left and right chin straps 2 is also possible, and the tightening buckle 3 and the wearing clip 4 are also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other forms may be applied.

상기와 같은 안전모(1)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모(1)에 가해진 충격을 센서로 감지하는 한편,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고발생 신호를 외부로 송출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장치(10)는 도 1 내지 도 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1)의 하측 외주면을 둘레 방향으로 감싸면서 안전모(1)와 밀착 설치되는 링 형상의 장착밴드(11)와, 상기 장착밴드(11)를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최소 2개 이상(도면상 총 4개)의 개수로 설치되는 가속도센서(12)와, 상기 가속도센서(12)의 사이에 해당하는 임의 위치에서 장착밴드(11)와 연결 설치되는 컨트롤러(1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다.It is installed on the safety helmet 1 as described above to detect the impact applied to the safety helmet 1 from the outside with a sensor, and transmit an accident signal to the outside using the data input from the sensor. The fir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5,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raps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met 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s attached to the helmet 1 in close contact with the ring-shaped mounting band ( 11), an acceleration sensor 12 installed in a number of at least two (a total of four on the draw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mounting band 1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 Corresponds to It is made by including a controller 13 connected to the mounting band 11 and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상기 가속도센서(12)는 공지된 바와 같이, 감지의 대상이 되는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출력하는 반도체 센서로서, 1축으로부터 3축에 이르는 감지축선에 의하여 그 타입이 나뉘어지고, 그 종류로서는 피에조 저항식과 정전용량식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중력가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감지의 대상이 되는 물체의 기울어진 각도와 각 방향의 가속도로부터 해당 물체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As is well known, the acceleration sensor 12 is a semiconductor sensor that outputs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acceleration applied to an object to be sensed, and its type is divided by a sensing axis ranging from one axis to three axes, Piezoresistive and capacitance types ar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the motion of the object can be more accurately detected from the tilted angle of the object to be sensed and the acceleration in each direction based on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상기와 같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가속도센서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지만,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로 하여 얇은 두께로 제작되는 장착밴드(11)의 내부에 매입(埋入)식으로 삽입시키는 데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가속도센서(12)의 원리와 특징을 이용하여 안전모(1)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 뿐만 아니라, 충격 전,후에 착용자의 추락이나 쓰러짐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Any kind of acceleration sensor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above function, but it is suitable for inserting into the inside of the mounting band 11 made of a relatively soft material and having a thin thickness. It is desirable to select and use the product, and by using the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the siz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safety helmet 1 and the location of the wearer's head where the impact was applied, as well as the wearer before and after the impact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fall or fall has occurred.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전모(1)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착용자의 머리 부위가 안전모(1)와 함께 특정 방향(충격이 가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짧은 시간동안 빠르게 요동하므로, 해당 시점의 가속도 크기와 그 방향을 가속도센서(12)로 측정하여 안전모(1)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그 위치를 일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보행을 포함한 정상적인 움직임의 속도와 승강기의 속도 등을 컨트롤러(13)상에 대조군으로 미리 입력하여 놓은 다음, 대조군의 속도를 기반으로 하여 충격 전,후에 착용자의 추락이나 쓰러짐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elmet 1, the wearer's head oscillates with the helmet 1 in a specific direction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is applied) for a short time, so the acceleration at that time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1 can be determined primarily by measuring the magnitude and direction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the speed of normal movement including the worker's walking and the speed of the elevator can be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 13), and then, based on the speed of the control group,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fall or fall of the wearer occurred before or after the impact.

예를 들어, 대조군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안전모(1)가 이동되는 한편, 그 마지막 시점에 안전모(1)에 충격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쓰러지거나 추락한 이후 그 충격이 안전모(1)에 가해진 것을 의미하고, 안전모(1)에 충격이 가해진 직후 대조군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안전모(1)가 이동된 다음, 그 마지막 시점에 안전모(1)에 충격이 재차 가해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낙하물이나 구조물과의 충돌 이후 쓰러지거나 추락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 safety helmet 1 is moved at a speed higher than the speed of the control group, and it is determined that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afety helmet 1 at the last time, the impact after the worker falls or falls is the safety helmet 1 ), and immediately after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helmet (1), the helmet (1) is moved at a speed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control group, and the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mpact is applied again to the helmet (1) at the last point This means that the worker collapsed or fell after colliding with a falling object or structure.

이와는 달리, 대조군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안전모(1)가 이동되기는 하였으나, 해당 시점의 전,후로 안전모(1)에 충격이 가해진 정황이 포착되지 아니한 경우는 작업자가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현장을 긴급히 이탈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측정방식을 통하여 안전모(1)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그 위치를 사고유형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 및 판단토록 함으로서, 안전사고 이후의 후속조치를 한층 더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Unlike this, although the safety helmet 1 was moved at a speed faster than the speed of the control group, if the situation in which the impact was applied to the safety helmet 1 was not detected before and after that time, the worker urgently left the site due to some factor Through this measurement method,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1)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judged along with the type of accident, so follow-up measures after a safety accident are carried out more rationally and systematically It can be done.

상기와 같은 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각각의 가속도센서(12)는 장착밴드(11)를 따라 180도 각도범위를 두고 최소 2개 이상의 갯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속도센서(12)를 설치갯수를 8개 이상으로 하는 것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가속도센서(12)를 컨트롤러(13)와 접속시키는 리드선(17)의 경우에도 장착밴드(11)를 따라 매입식으로 배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functions more reliably, each acceleration sensor 12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minimum number of two or more with an angle range of 180 degrees along the mounting band 1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 ) It can be seen that it is not desirable to set the number of installations to 8 or more when considering economics and efficiency at the same time, and even in the case of the lead wire 17 connecting each acceleration sensor 12 to the controller 13, the mounting band It is preferable to wire in a buried type along (11).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장착밴드(11)의 경우에는 리드선(17)을 가속도센서(12)와 함께 배선하는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모(1)에 대한 장착성 및 그 휴대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유연하고 질긴 재질의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직물 등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속도센서(12)의 안전한 매입과 안전모(1)와의 견고한 장착을 위하여 1~2mm 정도의 두께와 3~5cm 정도의 폭을 가지도록 하는 한편, 그 길이는 안전모(1)의 하측 외주면 둘레 길이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point of view, in the case of the mounting band 11, it is made of a flexible and tough material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wiring the lead wire 17 together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12, the attachment to the safety helmet 1, and its portability at the same time. It is preferable to make a material such as rubber, synthetic resin, or fabric, an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1 to 2 mm and a width of about 3 to 5 cm for safe embedding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solid installation with the helmet 1 On the other hand, the length is preferab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afety helmet 1.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3)의 경우는 앞선 선출원의 내용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된 외부케이싱(20)의 내측에 CPU(22)와 무선송신기(23) 및 배터리(21)를 콤펙트하게 집적시켜 그 크기와 무게를 최대한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가속도센서(12)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17)을 CPU(22)와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16)는 장착밴드(11)의 양측단이 연결되는 외부케이싱(20) 좌,우측면에 각각 제공함으로서, 장착밴드(11)를 따라 설치된 가속도센서(12)의 리드선(17)을 각각의 접속단자(16)마다 분배식으로 나누어 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troller 13,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CPU 22, the wireless transmitter 23 and the battery 21 are compactly installed inside the outer casing 20 made of plastic material It is desirab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to the maximum by integrating,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 for connecting the lead wire 17 extending from each acceleration sensor 12 to the CPU 22 is the mounting band 11 ) is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uter casing 20 to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so that the lead wire 17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installed along the mounting band 11 is distributed to each connection terminal 16. It is preferable to divide the wiring.

이와 더불어, 상기 컨트롤러(13)의 외부케이싱(20)에는 컨트롤러(13)의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수단으로서의 스위치버튼(18)과, 가속도센서(12)의 영점세팅 및 사고해제 신호의 송출을 위한 리셋버튼(19)과, 배터리(21)의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16)를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위치버튼(18)과 리셋버튼(19) 및 배터리(21)는 입력케이블을 거쳐 CPU(22)와 접속 설치될 것이며, 상기 리드선(17)용 접속단자(16)는 입출력케이블에 의하여 CPU(22)와 접속 설치될 것이고, 상기 리드선(17)의 경우도 전력공급 및 신호출력을 위한 입출력케이블로 이루어질 것이며, 상기 무선송신기(23)는 출력케이블에 의하여 CPU(22)와 접속 설치될 것이다.In addition, the outer casing 20 of the controller 13 includes a switch button 18 as a switch means for on/off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 zero point setting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transmission of an accident release signal. It is preferable to additionally provide a reset button 19 for and a connection terminal 16 for charging the battery 21, and the switch button 18, the reset button 19 and the battery 21 are input It will be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the CPU 22 via a cabl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 for the lead wire 17 will be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the CPU 22 by an input/output cable, and in the case of the lead wire 17, power supply and It will consist of an input/output cable for signal output,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23 will be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the CPU 22 by the output cable.

또한, 상기 충전용 접속단자(16)의 경우는 도 5에서와 같이 CPU(22)를 경유하는 입력케이블에 의하여 배터리(21)와 접속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케이싱(20)을 거쳐 배터리(21)와 직접 접속될 수도 있으며, 전자의 경우는 상기 CPU(22)에 배터리(21)의 충전스위치 기능이 추가로 제공될 것이고, 컨트롤러(13)용 외부케이싱(20)의 어느 위치에라도 충전용 접속단자(16)가 설치될 수 있으나, 장착밴드(11)와 컨트롤러(13)간의 연결작업 및 리드선(17)의 배선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외부케이싱(2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중에서 택일한 위치에 설치하되, 해당 접속단자(16)를 통하여 외부의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충전작업 이외에는 수밀용(水密用) 단자캡(14)으로 막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harging connection terminal 16, as shown in FIG. 5, it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21 by an input cable passing through the CPU 22, or the battery 21 through the outer casing 20. ), and in the former case, the charging switch function of the battery 21 is additionally provided to the CPU 22, and the charging connection is made at any position of the outer casing 20 for the controller 13. The terminal 16 can be installed, but it can be selected from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ing 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mounting band 11 and the controller 13 and the wiring work of the lead wire 17. It is installed in one location, but it is preferable to block it with a watertight terminal cap 14 other than the charging operation so that external moisture does not flow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16.

상기 리셋버튼(19)의 경우는 앞선 선출원의 내용에서와 같이, 가속도센서(12)에 의한 측정기준의 영점 세팅조작을 안전모(1)의 착용 직후 착용자가 직접 수행토록 함과 동시에, 안전모(1)를 높은 위치에서 떨어뜨리는 것과 같은 취급의 부주의로 사고발생 신호가 잘못 전송된 경우 또는 안전모(1)에 충격이 가해진 직후 착용자 스스로가 자신의 상태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 착용자 또는 제 3자가 사고해제 신호를 즉시 전송시킴으로서, 현장으로 구급차가 출동하는 등의 불필요한 후속조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reset button 19, as in the previous application, the zero point setting operation of the measurement standard by the acceleration sensor 12 is directly performed by the wearer immediately after wearing the helmet 1, and at the same time, the safety helmet 1 ) in the event that an accident signal is transmitted incorrectly due to negligence in handling, such as dropping a helmet from a high position, or if the wearer determines that there is no abnormality in his or her condition immediately after an impact is applied to the safety helmet (1), the wearer or a third party may cause an accident By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release signal, it is provided to prevent unnecessary follow-up measures such as dispatching an ambulance to the scene.

상기와 같은 영점 세팅과 사고해제 신호의 전송은 리셋버튼(19)을 누르는 방식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상기 영점 세팅은 리셋버튼(19)을 빠르게 1회 누르는 조작으로 수행되게 하고, 상기 사고해제 신호는 리셋버튼(19)을 수 초(3~5초) 정도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송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리셋버튼(19)의 조작에 따른 영점 세팅과 사고해제 신호의 송출은 리셋버튼(19)으로부터 입력케이블을 거쳐 입력된 조작신호를 CPU(22)에서 판단하여 수행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o selectively perform the zero point setting and transmission of the accident release signal as described above by pressing the reset button 19.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zero point setting is performed by quickly pressing the reset button 19 The accident release signal is sent out by an operation of pressing the reset button 19 for several seconds (3 to 5 seconds), and the zero point setting and accid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set button 19 The sending of the release signal is performed by the CPU 22 judging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reset button 19 through the input cable.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안전모(1)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장착밴드(11)의 내주면과, 상기 장착밴드(11)와 함께 안전모(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컨트롤러(13)의 외부케이싱(20) 표면은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표면(15)이 되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헤드밴드(머리띠) 방식으로 장착시켜 놓을 경우, 충격감지장치(10)가 안전모(1)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논슬립표면(15)은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한 엠보싱 표면이 바람직하다.As an additional matt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unting band 11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1 and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13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1 together with the mounting band 11 ( 20) The surface is made to be a non-slip surface 15 for preventing slipping, so that when the shock sens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 a headband (headband) method along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met 1, the impac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ing device 1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afety helmet 1 and maintains a stable mounting state, and the non-slip surface 15 is preferably an embossed surface using rubber or synthetic resin having excellent frictional force.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장치(1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3)와 인접한 장착밴드(11)측에 길이 조정용 조임버클(24)을 설치하고, 상기 조임버클(24)을 지난 위치에 해당하는 장착밴드(11)의 일측단에 컨트롤러(13)와 착탈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스냅식 세팅클립(Setting clip)(25)을 연결 설치하는 한편, 컨트롤러(13)의 외부케이싱(20) 일측면(좌측 또는 우측면)에는 장착밴드(11)의 세팅클립(25)이 내측으로 끼움 조립되어 스냅식으로 걸림 고정되는 클립홀더(Clip holder)(27)를 제공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a tightening buckle 24 for length adjustment on the side of the mounting band 11 adjacent to the controller 13. And, a snap-type setting clip 25 that is detachably fitted and assembled with the controller 13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band 11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past the tightening buckle 24, and installed. On one side (left or right side) of the outer casing 20 of the controller 13, the setting clip 25 of the mounting band 11 is inserted inwardly and assembled into a clip holder 27 that is snapped and fixed. )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가속도센서(12)의 경우는 조임버클(24)에 의한 장착밴드(11)의 길이 조정 범위를 제외한 위치에 걸쳐 설치될 것이고, 상기 접속단자(16)는 클립홀더(27)가 설치되지 아니한 컨트롤러(13)의 외부케이싱(20) 타측면(우측 또는 좌측면)에 제공되는 한편, 상기 리드선(17)은 해당 접속단자(16)로부터 장착밴드(11)를 따라 배선되어 각각의 가속도센서(12)와 접속 설치될 것이며, 그 이외의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되어진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acceleration sensor 12, it will be installed over the position excluding the length adjustment range of the mounting band 11 by the tightening buckle 2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 is installed with the clip holder 27 On the other hand, the lead wire 17 is wired along the mounting band 11 from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16, and each acceleration It will be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the sensor 12,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at is mad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조임버클(24)과 세팅클립(25) 및 클립홀더(27)는 가방이나 의류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상기 조임버클(24)은 중앙에 연결프레임이 제공된 사각링 형태를 가지는 한편, 해당 사각링으로부터 세팅클립(25)을 거쳐 우회하는 장착밴드(11)의 단부측을 중앙측 연결프레임에 결속시켜 장착밴드(11)의 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한 것이며, 상기 세팅클립(25)은 내측 방향으로 오므릴 수 있는 "ㄷ"자 형태의 탄성클립 끝단에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이고, 상기 클립홀더(27)는 세팅클립(25)이 끼움식으로 삽입되는 사각형 수납케이싱의 상,하단측에 걸림턱의 스냅식 결착구멍(28)이 형성된 것이다.The tightening buckle 24, the setting clip 25, and the clip holder 27 correspond to well-known technologies widely used in bags or clothing. To briefly explain this, the tightening buckle 24 has a connection frame in the center. While having the provided square ring shape,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band 11 detoured from the square ring through the setting clip 25 is bound to the central connection frame so that the length of the mounting band 11 can be adjusted. , The setting clip 25 has a locking jaw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c" shaped elastic clip that can be folded inward, and the clip holder 27 is inserted into the setting clip 25 in a fitting manner. Snap-type fastening holes 28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tangular storage casing.

상기와 같은 조임버클(24)을 이용하여 장착밴드(11)의 길이를 안전모(1)의 치수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장착밴드(11)의 일측단을 컨트롤러(13)측으로 당겨 세팅클립(25)을 클립홀더(27)와 끼우는 방식으로 장착밴드(11)가 안전모(1)의 둘레 부분을 강하게 조이도록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상에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팅클립(25)과 클립홀더(27)간의 조립 또는 분리에 따라 컨트롤러(13)가 자동적으로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하는 것이다.Using the tightening buckle 24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of the mounting band 11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afety helmet 1,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of the mounting band 11 is pulled toward the controller 13. The setting clip 25 is inserted into the clip holder 27 so that the mounting band 11 strongly tightens the circumference of the safety helmet 1, so that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safety helmet 1. It can be installed more firmly and stably, and most preferably, the controller 13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assembly or separation between the setting clip 25 and the clip holder 27.

이를 위하여, 상기 세팅클립(25)의 중앙부 내측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누름핀(2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립홀더(27)의 중앙부 내측에 스위치버튼(18)이 제공됨으로서, 상기 세팅클립(25)과 클립홀더(27)의 끼움 조립시 세팅클립(25)의 누름핀(26)이 클립홀더(27)의 스위치버튼(18)을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13)가 온 상태로 자동 세팅되는 한편, 상기 세팅클립(25)과 클립홀더(27)의 분리시 누름핀(26)에 의한 스위치버튼(18)의 누름조작이 해제되어 컨트롤러(13)가 오프 상태로 자동 세팅되는 것이다.To this end, a push pin 26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tegrally form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tting clip 25, and a switch button 18 is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ip holder 27, When the setting clip 25 and the clip holder 27 are fitted and assembled, the controller 13 is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switch button 18 of the clip holder 27 by the push pin 26 of the setting clip 25.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ting clip 25 and the clip holder 27 are separated,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switch button 18 by the push pin 26 is released, and the controller 13 is automatically set to the off state will be.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충격감지장치(10)의 사용 전,후로 스위치수단을 일일이 조작하는 번거러움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컨트롤러(13)의 오프 상태로 충격감지장치(10)가 사용되는 상황과 컨트롤러(13)의 온 상태로 충격감지장치(10)가 방치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앞서 설명되어진 누름핀(26)과 스위치버튼(18)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간단한 예를 들자면 상기 클립홀더(27)의 내측에 세팅클립(25)과의 접촉센서를 설치하여 해당 센서와 세팅클립(25)간의 접촉유무로 컨트롤러(13)의 온/오프 조작을 수행토록 한 것을 들 수 있다.Through the above method, while minimizing the hassle of individually manipulating the switch mean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ck sensing device 10 is used in the off state of the controller 13 and the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ck sensing device 10 is left in the on state of (13), and if this function can be achieved, the push pin 26 and switch button 18 method described above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switch means can be applied. As a simple example, a contact sensor with the setting clip 25 is installed inside the clip holder 27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contact between the sensor and the setting clip 25.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n/off operation of (13).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지장치(10)는 도 8 내지 도 11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팅클립(25)과 클립홀더(27)를 장착밴드(11)와 컨트롤러(13)에 적용시킨 것은 앞선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 2실시예에서 길이 조정용 조임버클(24)을 사용한 것과는 달리,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밴드(11) 자체를 신축(伸縮) 가능한 소재로 제작된 탄력밴드로 하여 그 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상기 장착밴드(11)를 따라 각각의 가속도센서(12)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케이싱 방식의 센서커버(30)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8 to 11,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tting clip 25 and the clip holder 27, the mounting band 11 and the controller 13 ) is applied in the same way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unlike the use of the tightening buckle 24 for length adjust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the mounting band 11 itself is stretchable (伸縮). ) It is made of an elastic band made of an available material so that its length can be adjusted, while a casing type sensor cover 30 that protects each acceleration sensor 12 from the outside along the mounting band 11 is added. it is installed

상기와 같이 장착밴드(11) 자체를 신축성 소재로 제작된 탄력밴드로 하게 되면,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장착밴드(11)를 양측으로 당겨내는 것만으로도 충격감지장치(10)의 길이를 안전모(1)의 치수에 맞추어 용이하게 조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해당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상에 장착시키는 즉시 장착밴드(11)가 그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각각의 센서커버(30) 및 컨트롤러(13)와 함께 안전모(1)를 조이게 되므로, 제 2실시예의 경우보다 한층 더 손쉽고 견고하며 안정적인 방식으로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상에 장착시킬 수 있는 한편, 상기 센서커버(30)를 이용하여 충격감지장치(10)의 내구성과 사용수명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unting band 11 itself is made of an elastic b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length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can be reduced simply by pulling the mounting band 11 to both sides as shown in FIGS. 9 and 10.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afety helmet 1, and as soon as the corresponding shock sensing device 10 is mounted on the safety helmet 1, the mounting band 11 is each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Since the safety helmet 1 is tightened together with the sensor cover 30 and the controller 13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hock sensing device 10 can be mounted on the safety helmet 1 in a more easy, robust and stable manner than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sensor cover 30, durability and service life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 상기 리드선(17)의 경우는, 장착밴드(11)의 빈번한 신축 조작에도 불구하고 가속도센서(12)와 접속단자(16)간의 단선 및 이로 인한 충격감지장치(10)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시 말해서 장착밴드(11)의 신축 방향을 따라 리드선(17)이 장착밴드(11)와 함께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지그재그식의 파형으로 배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전모(1)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각각의 센서커버(30) 후방면에도 앞서 설명되어진 논슬립표면(15)을 적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In the case of the lead wire 17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onnection between the acceleration sensor 12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6 despite frequent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unting band 11 and the resulting shock sensing device ( 10) to prevent failure or malfunction, in other words, wiring in a zigzag waveform so that the lead wire 17 can be unfolded or retracted along with the mounting band 11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unting band 11 It is preferable, and it is advantageous to apply the previously described non-slip surface 15 to the rear surface of each sensor cover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센서커버(30) 후방면에 센서커버(30)의 상단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센서커버(30)의 하단측으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압밀착판(29)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가압밀착판(29)의 상단측 또는 하단측이 탄성지지축(31)을 개재시킨 상태로 센서커버(30)와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센서커버(30)의 후방면이 아닌 가압밀착판(29)의 후방면이 논슬립표면(15)으로 형성될 것이다.Even more preferably, the pressure contac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each of the sensor covers 30, inclin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nsor cover 30 to the rear lower side, or disposed inclin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nsor cover 30 to the rear upper side. While providing a plate 29,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pressing plate 29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sensor cover 30 with the elastic support shaft 31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sensor The rear surface of the press plate 29, not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30, will be formed as the non-slip surface 15.

상기와 같이 각각의 센서커버(30) 후방측에 가압밀착판(29)을 추가로 적용시키게 되면, 안전모(1)에 대한 장착밴드(11)의 조임력과 가압밀착판(29)의 탄성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상에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센서커버(30)의 전방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가압밀착판(29)이 후방측에서 적절히 완충시켜 가속도센서(12)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며,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가압밀착판(29)을 측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센서커버(30)의 후방면 좌측단이나 우측단에 연결시켜 놓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is additionally applied to the rear side of each sensor cover 30, the tightening force of the mounting band 11 to the helmet 1 and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Together,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can be mounted very firmly and stably on the safety helmet 1, and the impact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nsor cover 30 is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29 on the rear sid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acceleration sensor 12 more safely by appropriately buffering it, and from the same point of view, in the state where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is laid sideways,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30 Of course, you can also connect them.

또한, 상기 가압밀착판(29)을 센서커버(30)와 연결시키는 탄성지지축(31)의 경우에는, 가압밀착판(29)과 센서커버(30)의 연결부위를 따라 힌지축이 관통되는 다수 개의 힌지튜브(Hinge tube)를 서로 엇갈리게 고정시켜 놓은 다음, 각각의 힌지튜브가 일련(一連)의 튜브라인(Tube line)을 이루도록 가압밀착판(29)과 센서커버(30)를 경사지게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해당 튜브라인을 따라 힌지축을 관통식으로 삽입시키되, 각각의 힌지튜브 사이마다 코일형 비틀림 스프링을 개재시키는 방식을 대표적인 일례로 들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lastic support shaft 31 connecting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to the sensor cover 30, the hinge axis penetrates alo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and the sensor cover 30 After fixing a plurality of hinge tubes in an alternating manner,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and the sensor cover 30 are obliquely butted so that each hinge tube forms a series of tube lines. In the state, a typical example is a method in which a hinge shaft is inserted along a corresponding tube line in a penetrating manner, and a coil-type torsion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each hinge tube.

상기 코일형 비틀림 스프링은 개략 "∧"자 형태로 하여 그 자유단부측이 가압밀착판(29)과 센서커버(30)간의 연결부 내측에 놓임에 따라, 가압밀착판(29)이 소정의 경사각도를 두고 센서커버(30)의 후방면측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것이며,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앞서 설명되어진 방식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 방식의 탄성지지축(31)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스프링수단을 개재시키지 않고 가압밀착판(29) 자체를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금속판으로 하여 센서커버(30)와 연결시키는 방식도 가능하다.The coil-type torsion spring has a substantially "∧" shape, and as its free end is placed insid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and the sensor cover 30,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t will be made to be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sensor cover 30, and if this function can be achieved, other various types of elastic support shaft 31 can be applied in addition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as well as a separat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itself to the sensor cover 30 by using a metal plate having excellent elastic restoring force without intervening the spring means.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제 2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정용 조임버클(24)이나,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신축식 장착밴드(11) 및 가속도센서(12)의 센서커버(30)는 앞선 제 1실시예에도 단독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충격감지장치(10)가 산업현장에 널리 사용되는 작업용 안전모(1)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외에도 오토바이용 헬멧이나 레저스포츠형 헬멧과 같은 다른 종류의 안전모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an additional matter, the tightening buckle 24 for length adjustm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sensor cover 30 of the telescopic mounting band 1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1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It is revealed that it can be applied independently to the embodiment, and in FIGS. 1 and 2,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work helmet 1 widely used in industrial fields, but in addition to motorcycle Of course, it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safety helmets such as helmets or leisure sports helmets.

상기와 같이 산업현장에서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안전모(1)와 오토바이용 헬멧 또는 레저스포츠형 헬멧으로 사용되는 안전모는 착용자의 활동장소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따른 안전사고의 유형 및 해당 사고 이후의 후속조치 측면에 있어 다소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충격감지장치(10)의 컨트롤러(13)에 내장된 무선송신기(23)로부터 외부로 송출되는 사고위험 신호의 전송경로 역시 도 12에 도시된 경로를 바탕으로 하여 안전모(1)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및 조정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helmet (1) used for work in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helmet used as a motorcycle helmet or a leisure sports helmet are the type of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wearer's activity place and impact from the outside, and follow-up measures after the accident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side, and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accident danger signal trans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23 built in the controller 13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is also shown in FIG. Based on the route, it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r use of the helmet (1).

다시 말해서, 각종 산업현장에 사용되는 작업용 안전모(1)의 경우는 컨트롤러(13)의 무선송신기(23)로부터 송출되는 사고발생 신호가 해당 작업장의 현장관리소(8)로 직접 전송되게 하거나,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7)를 통하여 현장관리소(8)와 구급센터(9)로 동시 전송되게 하고, 오토바이용 헬멧 또는 레저스포츠용 헬멧으로 사용되는 안전모의 경우는 컨트롤러(13)의 무선송신기(23)로부터 송출되는 사고발생 신호가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7)를 통하여 구급센터(9)로 직접 전송되게 한다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safety helmet 1 for work us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the accid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23 of the controller 13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ield management office 8 of the corresponding workplace, or the wearer's It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field management office (8) and the first aid center (9)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7), and in the case of a helmet used as a helmet for motorcycle or leisure sports,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23) of the controller (13). That is, the transmitted accident signal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emergency center 9 through the wearer's portable terminal 7.

상기 휴대용 단말기(7)는 안전모(1)의 착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오토바이를 이용한 배달이나 레저스포츠 활동에 동반되는 다른 어떠한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라도 스마트폰의 앱(App: Application)과 유사한 방식으로 충격감지장치(10)와의 동기화(同期化, Synchronization: 2개 이상의 대상을 적절한 방법으로 결합하고 제어하여 위상을 같게 하는 것)를 거쳐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현장관리소(8)와 구급센터(9)에서는 충격감지장치(10)의 무선송신기(23) 또는 착용자의 휴대용 단말기(7)를 거쳐 전송된 신호를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로 판단하여 신속한 구급조치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내용 역시 선출원에 이미 언급되어진 사항이다.The portable terminal 7 may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smartphone possessed by the wearer of the helmet 1, but any other type of portable terminal accompanied by delivery using a motorcycle or leisure sports activities may be applied to the smartphone app (App : Application), it can be used through synchronization with the shock sensing device 10 (Synchronization: combining and controlling two or more objects in an appropriate way to make them the same phase), and the on-site management office ( 8) and the first aid center 9 determine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er 23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or the wearer's portable terminal 7 with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to perform prompt first aid measures This is also a matter already mentioned in the earlier applic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링 형상의 장착밴드(11)상에 가속도센서(12)를 설치하여 이를 장착밴드(11)상의 컨트롤러(13)와 접속시킨 머리띠 방식의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와 별도로 제작하여 놓음으로서, 필요시마다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상에 용이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가속도센서(12)를 이용하여 안전모(1)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해당 충격이 가해진 착용자 머리 부위의 위치 뿐만 아니라, 충격 전,후에 착용자의 추락이나 쓰러짐 등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celeration sensor 12 is installed on the ring-shaped mounting band 11 and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 on the mounting band 11, a headband type shock sensing device ( 10) is manufactured and placed separately from the helmet 1, so that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can be easily mounted and used on the helmet 1 whenever necessary, and the safety helmet 1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12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fall or fall of the wearer occurred before or after the impact, as well as the size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impact and the location of the wearer's head to which the impact was applied.

상기와 같이 안전모(1)에 가해진 충격의 크기와 그 위치를 사고유형과 함께 종합적으로 분석 및 판단토록 함으로서, 안전사고 이후의 후속조치를 한층 더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충격감지용 센서수단을 안전모(1)와 일체로 설치하였던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안전모(1)의 제작과 충격감지장치의 유지관리(수리나 교체)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한편, 안전모(1)의 파손시 충격감지장치를 함께 폐기시킴에 따른 불필요한 경제적 낭비를 방지하고, 충격감지장치의 취급과 조작에 따른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determining the magnitude and location of the impact applied to the helmet (1) along with the type of accident, follow-up measures after a safety accident can be carried out more rationally and systematically, and the shock detection sensor Unlike the conventional case in which the means is integrally installed with the helmet 1,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elmet 1 and the maintenance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impact sensing device can be greatly reduced, while the helmet 1 is damaged.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economic waste caused by disposing of the shock sensing device together,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handling and manipulating the shock sensing device.

또한, 상기 조임버클(24)을 이용하여 장착밴드(11)의 길이 조정이 가능토록 하거나, 상기 장착밴드(11) 자체를 신축식 탄력밴드로 하고, 안전모(1)와 밀착되는 장착밴드(11)와 컨트롤러(13)의 표면을 논슬립표면(15)으로 형성시킴으로서, 안전모(1)의 치수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충격감지장치(10)를 보다 더 손쉽고 견고하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속도센서(12)의 리드선(17)을 지그재그식의 파형으로 배선시켜 장착밴드(11)의 빈번한 신축 조작에도 불구하고 리드선(17)의 단선 및 이로 인한 충격감지장치(10)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mounting band 11 can be adjusted using the tightening buckle 24, or the mounting band 11 itself is an elastic elastic band, and the mounting band 11 in close contact with the safety helmet 1 ) and the controller 13 by forming a non-slip surface 15, it is possible to mount and use the impact sensing device 10 more easily and firmly without being greatly restricted by the size of the safety helmet 1, and the acceleration sensor The lead wire 17 of (12) is wired in a zigzag waveform so that the disconnection of the lead wire 17 and the resulting failure or malfunction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do not occur despite frequent stretching and contraction of the mounting band 11. can avoid

특히, 상기 장착밴드(11)의 세팅클립(25)을 컨트롤러(13)의 클립홀더(27)와 조립 또는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도 컨트롤러(13)의 온/오프 조작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서, 충격감지장치(10)의 사용 전,후로 스위치수단을 일일이 조작하는 번거러움을 최소화시키는 한편, 컨트롤러(13)의 오프 상태로 충격감지장치(10)가 사용되는 상황과 컨트롤러(13)의 온 상태로 충격감지장치(10)가 방치되는 상황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충격감지장치(10)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과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불필요한 배터리(21)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simply assembling or separating the setting clip 25 of the mounting band 11 from the clip holder 27 of the controller 13, the on/off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ile minimizing the hassle of individually manipulating switch mean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the sensing device 10, the situation in which the shock sensing device 10 is used in the off state of the controller 13 and the shock in the on state of the controller 13 A situation in which the sensing device 10 is left unattended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thereby maximizing convenience and efficienc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and simultaneously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the battery 21 .

이와 더불어, 각각의 가속도센서(12)를 케이싱 형태로 보호하는 센서커버(30)를 이용하여 충격감지장치(10)의 내구성과 사용수명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센서커버(30) 후방측에 가압밀착판(29)을 적용시킴으로서 안전모(1)에 대한 장착밴드(11)의 조임력과 가압밀착판(29)의 탄성반발력을 함께 이용하여 충격감지장치(10)를 안전모(1)상에 매우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센서커버(30)의 전방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가압밀착판(29)이 후방측에서 적절히 완충시켜 가속도센서(12)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sensor cover 30 that protects each acceleration sensor 12 in the form of a casing, durability and service life of the shock sensing device 10 can be sufficiently secured, and each sensor cover 30 By applying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to the rear side, the shock sens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the safety helmet 1 by using both the clamping force of the mounting band 11 to the helmet 1 and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pressure contact plate 29.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nsor cover 30 can be adequately buffered from the rear side to protect the acceleration sensor 12 more safely. There is.

1 : 안전모 2 : 턱끈 3,24 : 조임버클
4 : 착용클립 5 : 헤어밴드 6 : 완충밴드
7 : 휴대용 단말기 8 : 현장관리소 9 : 구급센터
10 : 충격감지장치 11 : 장착밴드 12 : 가속도센서
13 : 컨트롤러 14 : 단자캡 15 : 논슬립표면
16 : 접속단자 17 : 리드선 18 : 스위치버튼
19 : 리셋버튼 20 : 외부케이싱 21 : 배터리
22 : CPU 23 : 무선송신기 25 : 세팅클립
26 : 누름핀 27 : 클립홀더 28 : 결착구멍
29 : 가압밀착판 30 : 센서커버 31 : 탄성지지축
1: safety helmet 2: chin strap 3,24: tightening buckle
4: wearing clip 5: hair band 6: buffer band
7: Portable terminal 8: On-site management office 9: Emergency center
10: shock sensing device 11: mounting band 12: acceleration sensor
13: controller 14: terminal cap 15: non-slip surface
16: connection terminal 17: lead wire 18: switch button
19: reset button 20: outer casing 21: battery
22: CPU 23: wireless transmitter 25: setting clip
26: push pin 27: clip holder 28: fastening hole
29: pressing plate 30: sensor cover 31: elastic support shaft

Claims (12)

안전모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안전모에 가해진 충격을 센서로 감지하는 한편, 해당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컨트롤러의 CPU에서 처리하여 무선송신기로 사고발생 신호를 송출시키도록 한 안전모용 충격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장치는 안전모의 하측 외주면을 둘레 방향으로 감싸면서 안전모와 밀착 설치되는 링 형상의 장착밴드와, 상기 장착밴드를 따라 일정한 배치간격을 두고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는 가속도센서의 사이에 해당하는 임의 위치에서 장착밴드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CPU와 무선송신기는 배터리와 함께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에 내장되는 것이고, 상기 CPU는 외부케이싱의 좌,우측 또는 이중에서 택일한 위치에 제공된 접속단자로부터 장착밴드를 따라 배선되는 리드선에 의하여 각각의 가속도센서와 접속 설치되는 한편, 상기 외부케이싱에는 컨트롤러의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장착밴드에는 각각의 가속도센서를 외측에서 보호하는 케이싱 방식의 센서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안전모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각각의 센서커버 후방면에는 센서커버의 상단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센서커버의 하단측으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압밀착판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가압밀착판의 상단측 또는 하단측이 탄성지지축을 개재시킨 상태로 센서커버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
In the impact detection device for a hard hat installed in a hard hat to detect an impact applied to the hard hat from the outside with a sensor, while processing data input from the sensor in the CPU of the controller to transmit an accident signal to a wireless transmitter,
The impact sensing device includes a ring-shaped mounting band wrapped around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lmet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elmet, and acceleration sensors installed in at least two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mounting band, The controller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mounting band at an arbitrary position between the acceleration sensor,
The CPU and the wireless transmitter are built into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together with the battery, and the CPU accelerates each acceleration by a lead wire wired along the mounting band from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outer casing or at a location selected from among them. While connected to the sensor, the outer casing is provided with a switch means for on/off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 casing-type sensor cover for protecting each acceleration sensor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on the mounting band, and the rear surface of each sensor cover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is disposed inclin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nsor cover to the rear lower side, A pressure contact plate is provided that is incline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nsor cover to the rear upper side, while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pressure contact plate is connected to the sensor cover with an elastic support shaft interposed therebetween. Detachable headband type shock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은 장착밴드와 함께 안전모의 외측면과 밀착 설치되고, 상기 안전모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표면과 장착밴드의 내측면에는 논슬립표면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together with the mounting band, and a non-slip surface is provided on the outer casing surface of the controll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b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A headband-type impact sensing device that is detachable from the helmet,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에는 가속도센서의 영점세팅과 사고해제 신호의 송출을 위하여 CPU와 접속되는 리셋버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The headband-type impact sensing device detachable from a helm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set button connected to a CPU is provided on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to set the zero point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ransmit an accident release signal.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접속단자가 제공되고, 해당 접속단자에는 수밀용 단자캡이 착탈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connection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and a watertight terminal cap is detachably fit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Detachable headband type shock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인접한 장착밴드측에는 길이 조정용 조임버클이 장착밴드상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속도센서는 조임버클에 의한 장착밴드의 길이 조정 범위를 제외한 위치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 tightening buckle for length adjustment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band on the side of the mounting band adjacent to the controlle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installed over a position excluding the length adjustment range of the mounting band by the tightening buckle. A headband-type impact sensor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hard 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밴드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제작된 탄력밴드가 되고, 상기 리드선은 장착밴드를 따라 지그재그식의 파형으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Claim 2] The headband-type impact sensor detachable from a safety helme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band is an elastic band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lead wire is wired in a zigzag waveform along the mounting band. Device.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밴드의 일측단에는 컨트롤러와 착탈 가능하게 끼움 조립되는 스냅식 세팅클립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좌측 또는 우측면에는 장착밴드의 세팅클립이 내측으로 끼움 조립되어 스냅식으로 걸림 고정되는 클립홀더가 제공되며,
상기 스위치수단은 세팅클립과 클립홀더간의 조립 또는 분리에 따라 컨트롤러를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접속단자는 클립홀더가 설치되지 아니한 컨트롤러의 외부케이싱 우측 또는 좌측면에 제공되는 한편, 상기 리드선은 해당 접속단자로부터 장착밴드를 따라 배선되어 각각의 가속도센서와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snap-type setting clip that is detachably fitted and assembled with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unting band, and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band. A clip holder is provided in which the setting clip is assembled by inserting it inward and is fixed with a snap.
The switch means is installed to turn on or of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ssembly or separation between the setting clip and the clip holder,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on the right or left side of the outer casing of the controller where the clip holder is not installed. The lead wire is wired from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terminal along the mounting band to connect and install with each acceleration senso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수단은 세팅클립의 중앙부 내측에 제공되는 누름핀과 클립홀더의 중앙부 내측에 제공되는 스위치버튼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세팅클립과 클립홀더의 끼움 조립시 세팅클립의 누름핀이 클립홀더의 스위치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가 온 상태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witch means includes a push pin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tting clip and a switch button provided insid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lip holder, and when the setting clip and the clip holder are fitted and assembled, the setting clip A headband-type impact sensing device detachable from a helme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is set to an on state by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switch button of the clip holder by the push p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가압밀착판의 후방면은 논슬립표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와의 착탈이 가능한 헤드밴드식 충격감지장치.The headband-type impact sensing device detachable from the helme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rear surface of the pressure contact pl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elmet is a non-slip surface.
KR1020230052733A 2023-04-21 2023-04-21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KR102566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733A KR102566524B1 (en) 2023-04-21 2023-04-21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2733A KR102566524B1 (en) 2023-04-21 2023-04-21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524B1 true KR102566524B1 (en) 2023-08-16

Family

ID=8784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2733A KR102566524B1 (en) 2023-04-21 2023-04-21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52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30U (en) * 2013-10-22 2014-01-30 日本電設工業株式会社 Helmet wearing equipment
JP3204166U (en) * 2016-02-29 2016-05-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Light fixing band
CN207854018U (en) * 2017-01-05 2018-09-11 杭州美盛红外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mounting device and head-wearing device applied to head-wearing device
KR20190088846A (en)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KR102458477B1 (en) 2021-12-10 2022-10-31 대한민국 Smart safety helmet with sensing function of impact
KR20230048894A (en) * 2021-10-05 2023-04-12 원유석 Shock Detection Apparatus for Hard Ha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530U (en) * 2013-10-22 2014-01-30 日本電設工業株式会社 Helmet wearing equipment
JP3204166U (en) * 2016-02-29 2016-05-19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Light fixing band
CN207854018U (en) * 2017-01-05 2018-09-11 杭州美盛红外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mounting device and head-wearing device applied to head-wearing device
KR20190088846A (en) * 2018-01-19 2019-07-2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Safety Helmet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and Communication
KR20230048894A (en) * 2021-10-05 2023-04-12 원유석 Shock Detection Apparatus for Hard Hat
KR102458477B1 (en) 2021-12-10 2022-10-31 대한민국 Smart safety helmet with sensing function of impa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294B2 (en) Impact awareness device
US20160358447A1 (en) Intelligent waistband and intelligent falling-over emergency pre-warning system
US10200524B2 (en) Hand-held tool system
KR102061561B1 (en) Smart helmet and safety management including the same
US20160073708A1 (en) Wearable inflating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rresting falls through gaps in structures, and method of use
KR102052548B1 (en) Apparatus for detecing wear of safety helmet and safety helmet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2774502A1 (en) Shoe comprising sensors
US20030197608A1 (en) Person-individual emergency recognition system
US20160279752A1 (en) Device for Protecting an Operator from being Injured by a Machine Tool, and Method for this Purpose
WO2016182116A1 (en) Smart safety helmet
US9998893B2 (en) Mobile function device
KR20100115688A (en) Safety cap and head band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
KR102458477B1 (en) Smart safety helmet with sensing function of impact
KR102448783B1 (en) Smart safety helmet and safety helmet wearing managing apparatus of using thereof
KR20170050813A (en) Smart helmet
KR102566524B1 (en) Head band type impact sensing device possible for separating from safety helmet
KR20110077295A (en) Safety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safety cap for detecting biological signal
KR101803319B1 (en) An attachable air bag system on safety harness
KR102582028B1 (en) Shock Detection Apparatus for Hard Hat
KR102151978B1 (en) The Monitoring System for Wearing Safety Cap of Worker
KR20180075219A (en) Helmet system for recognizing dangerous situation
KR101227533B1 (en) Wearable roboti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state
JPH10310919A (en) Protective suit
KR102473116B1 (en) Safety helmet to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chinstrap is fastened or not
KR101487752B1 (en) Lift safety control system using safety helmet with vibration sens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