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804B1 -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 Google Patents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804B1
KR102563804B1 KR1020220114862A KR20220114862A KR102563804B1 KR 102563804 B1 KR102563804 B1 KR 102563804B1 KR 1020220114862 A KR1020220114862 A KR 1020220114862A KR 20220114862 A KR20220114862 A KR 20220114862A KR 102563804 B1 KR102563804 B1 KR 10256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less
layer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석인
한권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804B1/en
Priority to US18/071,817 priority patent/US202400920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804B1/en
Priority to JP2023145662A priority patent/JP2024041053A/en
Priority to EP23196002.2A priority patent/EP4338955A1/en
Priority to CN202311174389.7A priority patent/CN11769825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2Alternating layers, e.g. ABAB(C), AABBAAB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한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평균 등가 소음도가 78dB이하이고, 영률이 280 kgf/㎟ 이하라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우수한 유연성을 나타내어 소음성이 개선되고, 투명성도 확보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The polyester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layer containing lactic acid residues; And a second layer containing terephthalate residues and adipic acid residues; a polyester film comprising a layered body alternately laminated, wherein the polyester film was subjected to a rotation of 180 degrees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in film noise level evaluation. It has characteristics such as an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78 dB or less and a Young's modulus of 280 kgf/mm2 or less. The polyester film exhibits excellent flexibility, improves noise performance, and has properties capable of securing transparency.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포장재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Polyester film and packing material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구현예는 소음도가 개선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음도가 개선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적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multilayer polyester film with improved noise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material to which a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with improved noise level is applied.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비교적 단기간에 생분해되고 유해성분이 거의 남지 않는 재사용이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알려져 있다.Polylactide resin is known as a reusable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biodegradabl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nd leaves almost no harmful components.

그러나, 이러한 폴리락타이드 수지는 필름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 매우 큰 소음을 내며 이는 실제 상품화에 한계로 작용하여 왔다.However, when processed and used in the form of a film, such a polylactide resin generates very loud noise, which has been a limitation in commercialization.

이러한 폴리락타이드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폴리락트산을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블렌딩하여 필름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폴리락트산과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터와의 낮은 상용성 등으로 인해 최종 필름의 투명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투명성이 요구되는 포장 용도에는 사용하기 어려웠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se polylactide resins, there is a method of imparting flexibility to the film by blending polylactic acid with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but in this case, low compatibility between polylactic acid and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Due to such factors, the transparency of the final film was significantly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use it for packaging applications requiring transparency.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foregoing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known art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한국 등록특허 제10-090414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4144 한국 등록특허 제10-240421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404216

구현예의 목적은 소음성이 개선되고, 투명성도 확보 가능하며 생분해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현예의 목적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polyester film having improved noise properties, ensuring transparency, and having biodegradable properties. An object of embodiments is to provide a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구현예는,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layer comprising a lactic acid residue; And a second layer containing terephthalate residues and adipic acid residues; to provide a polyester film comprising a laminated body alternately laminated.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한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평균 등가 소음도가 78dB이하이다.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has an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78 dB or less in evaluation of film noise level in which rotation of 180 degrees is applied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영률은 280 kgf/㎟ 이하일 수 있다.The Young's modulus of 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may be 280 kgf/mm 2 or less.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250 Hz에서 소음도가 63 dB 이하일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noise level of 63 dB or less at 25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when the laminate has a thickness of 16 μm.

상기 적층체는 헤이즈가 10% 이하일 수 있다.The laminate may have a haze of 10% or less.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헤이즈가 10% 이하일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haze of 10% or less.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500 Hz에서 소음도가 53 dB 이하인 것일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noise level of 53 dB or less at 5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when the laminate has a thickness of 16 μm.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이 30 층 이상 교대적층된 것일 수 있다.In the laminate, 30 or more layer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alternately stacked.

상기 제1층은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layer may further include a hydroxyalkanoate residue.

상기 제1층은 상기 락트산 잔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를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may include 1 to 7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alkanoate resid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residue.

상기 제2층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코 테레프탈라이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ayer may include a polybutylene adipate co-terephthalide resin.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두께의 비율은 1: 0.2 내지 1.5일 수 있다.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1:0.2 to 1.5.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스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kin layer.

상기 스킨층은 상기 적층체의 일면 및 타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skin lay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aminate, respectively.

상기 스킨층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수지; 및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skin layer may include a first resin containing lactic acid residue; and inorganic particles.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해 필름 소음도 평가를 했을 때, 250 Hz, 500 Hz, 1000 Hz, 2000 Hz, 4000 Hz 및 8000 Hz에서의 소음도가 모두 80 dB 이하일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of the embodiment comprises a first layer comprising lactic acid residues; and a second layer including terephthalate residues and adipic acid residues; wherein the polyester film is rotated at 180 degrees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to evaluate film noise level. , the noise level at 250 Hz, 500 Hz, 1000 Hz, 2000 Hz, 4000 Hz and 8000 Hz may all be less than 80 d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현예는, 위에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described above.

상기 포장재는, 식품 포장재 또는 일회용품 포장재일 수 있다.The packaging material may be a food packaging material or a disposable product packaging material.

구현예는 생분해성을 가지면서도 소음 발생 정도가 감소된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구현예는 사람의 가청 영역대 특히 저음부의 소음 발생을 죽이면서도 환경 친화적이고, 비교적 투명하며, 적절한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과 이를 활용한 포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may provide a polyester film and the like having biodegradability and reduced noise generation. Embodiments may provide a polyester film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relatively transparent, and has mechanical strength and flexibility of an appropriate level or higher, and a packaging material using the same, while suppressing noise generation in the human audible range, particularly in the low-pitched sound region.

도 1, 도2a 및 도2b는 각각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례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구현예의 소음도 평가에 적용되는 소음측정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
1, 2a and 2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ross section, respectively.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oise measurement method applied to noise level evaluation of an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예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mplementations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combination of these" includ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rkush form means a mixture or combination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xpression of the Markush form, It means includ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 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A and/or B" means "A, B, or A and B".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동일한 용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the same terms from each other.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기재한 ppm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ppm described without special mention is based on weight.

도면은 설명을 목적으로 그 구성을 과장하거나 생략하여 제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구현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는다.The drawings may be presented with exaggerated or omitted configuration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thus the scope of rights of the embodiments is not limited and interpreted.

생분해성 고분자로 대표적인 폴리락트산 수지는 기존의 석유계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대체할 필름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폴리락트산 수지를 적용한 필름은 사용 시에 비교적 큰 부스럭거리는 소리(loud crackling sound)가 발생하고, 이는 필름을 포장재 등으로 활용하는 것을 막는 단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특히, 과자 봉투, 빵 봉투 등과 같은 생활에 밀접한 식품 포장재로 폴리락트산 수지를 함유하는 필름을 적용할 때, 이 부스럭거리는 소리는 사용자에게 불쾌한 감각을 일으키는 소음으로 작용할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biodegradable polymer, polylactic acid resi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film material to replace the existing petroleum-based polyester film. However, the film to which the polylactic acid resin is applied generates a relatively loud crackling sound when used, which is pointed out as a disadvantage that prevents the film from being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In particular, when a film containing polylactic acid resin is applied to a food packaging material close to life, such as a cookie bag or a bread bag, this rustling sound may act as a noise that causes an unpleasant sensation to the user.

소음은 소음 공해(noise pollution)라 불릴 정도로 사회 문제화되기도 하고, 감소시켜야 할 대상이다. 또, 불필요하게 시끄러운 소리를 발생시키는 제품은 소비자가 선택을 꺼리기 때문에, 친환경을 목적으로 생분해성 필름이 기존의 석유화학 기반의 필름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생분해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Noise is a social problem to the extent that it is called noise pollution, and it is an object that needs to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consumers are reluctant to select products that generate unnecessarily loud noises, in order for biodegradable films to replace existing petrochemical-based films for the purpose of eco-friendlin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biodegradable films that do not generate unnecessary noise. It is important.

발명자들은 생분해 특성을 얻으면서도 동시에 소음 발생 정도가 낮은 필름을 제조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였고, 그 결과로 구현예를 제시한다. 발명자들은 구현예를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부스럭거리는 소리 발생을 감소시키고,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얻어 식품 등의 포장재로 활용하기에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하고 구현예를 제시한다.The inventors have made various attempts to manufacture a film with low noise generation while obtaining biodegradable properties, and as a result, embodiments are presented. The inventors reduce the rustling sound of the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through the embodiment, obtain a mechanical strength of a certain level or more, confirm that it is excellent for use as a packaging material such as food, and propose an embodiment.

도 1, 도2a 및 도2b는 각각 구현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례를 단면으로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3은 구현예의 소음도 평가에 적용되는 소음측정방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해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1, 2a and 2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cross sec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noise measurement method applied to noise level evaluation of the embodiment.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층(52);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54);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50)를 포함한다(도 1 참조).A polyester fil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ayer 52 containing lactic acid residues; and a second layer 54 including a terephthalate residue and an adipic acid residue; a laminate 50 alternately stacked (see FIG. 1).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위에서 설명한 적층체(50)와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배치되는 스킨층(70)을 포함한다(도 2a 및 도 2b 참고)A polyester film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laminate 50 described above and a skin layer 70 dispos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laminate (see FIGS. 2A and 2B).

적층체laminate

상기 적층체(50)는 서로 구분되는 고분자 수지를 함유하는 제1층과 제2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이다. The laminate 50 is a laminate in which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containing distinct polymer resins are alternately laminated.

제1층(52)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한다.The first layer 52 includes residues of lactic acid.

제1층(52)은 폴리락트산계 수지(PLA based resin, polylactic acid based resin)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52 may include a polylactic acid based resin (PLA based resin).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석유기반의 수지와 달리 바이오매스(biomass)를 기반으로 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억제에 도움이 된다. 또, 생분해성으로, 매립 시 수분 및 미생물에 의해 석유기반 수지에 비해 빠른 분해가 진행되어, 환경 친화적이다.Unlike petroleum-based resins, polylactic acid-based resins are based on biomass and help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In addition, as it is biodegradable,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is decomposed faster than petroleum-based resin by moisture and microorganisms during landfill.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상기 제1층 전체를 기준으로 50 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고,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93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또는 97 중량%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 99.9 중량% 이하, 또는 99 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50% by weight or more, 80% by weight or more, 85% by weight or more, 90% by weight or more, 93% by weight or more, 95% by weight or more, or 97% by weight or mor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first layer. can be included as In addition, it may be included in 99.9% by weight or less, or 99% by weight or less.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L-락트산 잔기, D-락트산 잔기, D, L-락트산 잔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may include L-lactic acid residues, D-lactic acid residues, D, L-lactic acid residues, or combinations thereof.

폴리락트산계 수지에서 L-락트산 잔기의 함량은 폴리락트산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80 몰% 이상일 수 있고, 83 몰% 이상, 85 몰% 이상, 88 몰% 이상, 90 몰% 이상 또는 92 몰% 이상일 수 있다. 또, L-락트산의 함량은 99 몰% 이하일 수 있고, 97 몰% 이하, 95 몰% 이하, 또는 93 몰% 이하 일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의 내열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ent of L-lactic acid residues in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may be 80 mol% or more, 83 mol% or more, 85 mol% or more, 88 mol% or more, 90 mol% or more, or 92 mol% based on the total polylactic acid-based resin. may be ideal In addition, the content of L-lactic acid may be 99 mol% or less, 97 mol% or less, 95 mol% or less, or 93 mol% or less. In this case, the heat resistance properties of the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폴리락트산계 수지에서 D-락트산 잔기의 함량은 폴리락트산계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0 몰% 초과, 0.5 몰% 이상, 또는 1 몰% 이상일 수 있다. 또, D-락트산의 함량은 5 몰% 이하, 또는 3 몰%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의 연신 공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ntent of D-lactic acid residues in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may be greater than 0 mol%, 0.5 mol% or more, or 1 mol% or more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Also, the content of D-lactic acid may be 5 mol% or less, or 3 mol% or less. In this case, the stretching processability of the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100,000 1,000,000 g/mol, 예컨대 100,000 내지 800,000 g/mol, 100,000 내지 500,000 g/mol, 또는 100,000 내지 3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필름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100,000 to 1,000,000 g/mol, such as 100,000 to 800,000 g/mol, 100,000 to 500,000 g/mol, or 100,000 to 300,000 g/mol.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ay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satisfies the above range, it can help to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lm.

제1층(52)은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52 may further include hydroxyalkanoate moieties.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는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PHA resin, polyhydroxyalkanoates resin)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다.The hydroxyalkanoate moiety may be derived from a polyhydroxyalkanoates resin (PHA resin).

제1층(52)은 폴리락트산계 수지와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ayer 52 may include a polylactic acid-based resin and a polyhydroxyalkanoates resin.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는 화학적 합성 또는 미생물(박테리아 또는 조류;algae)에 의해 생성 가능한 반결정성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화합물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제조에 활용된다.Polyhydroxyalkanoates resins are semi-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unds that can be produced by chemical synthesis or microorganisms (bacteria or algae), and are used in the manufacture of biodegradable plastics.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는 폴리[3-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3-HB); 폴리[4-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P4-HB); 폴리[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PHV); 폴리[3-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코-폴리[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PHBV); 폴리[3-폴리[3-하이드록시헥사노에이트](PHC); 폴리[3-하이드록시헵타노에이트](PHH); 폴리[3-하이드록시옥타노에이트](PHO); 폴리[3-하이드록시노나노에이트](PHN); 폴리[3-하이드록시데카노에이트](PHD); 폴리[3-하이드록시도데카노에이트](PHDD); 및 폴리[3-하이드록시 테트라데카노에이트](PHT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Polyhydroxyalkanoates resins include poly[3-hydroxybutyrate](P3-HB); poly[4-hydroxybutyrate] (P4-HB); poly[3-hydroxyvalerate] (PHV); poly[3-hydroxybutyrate]-co-poly[3-hydroxyvalerate] (PHBV); poly[3-poly[3-hydroxyhexanoate] (PHC); poly[3-hydroxyheptanoate] (PHH); poly[3-hydroxyoctanoate] (PHO); poly[3-hydroxynonanoate] (PHN); poly[3-hydroxydecanoate] (PHD); poly[3-hydroxydodecanoate] (PHDD); and poly[3-hydroxy tetradecanoate] (PHTD).

구체적으로,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는 3-하이드록시부틸레이트 잔기(3-hydroxybutyrate 잔기, 3HB 잔기), 4-하이드록시 부틸레이트 잔기(4-hydroxybutyrate 잔기, 4HB 잔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lyhydroxyalkanoates resin is composed of 3-hydroxybutyrate residues (3-hydroxybutyrate residues, 3HB residues), 4-hydroxybutyrate residues (4-hydroxybutyrate residues, 4HB residues), and combinations thereof. It may contain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는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3HB 잔기를 50 몰% 이상 포함할 수 있고, 55 몰% 이상, 또는 60 몰%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기를 100 몰% 이하로 포함할 수 있고, 80 몰% 이하, 또는 70 몰%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The polyhydroxyalkanoates resin may contain 50 mol% or more, 55 mol% or more, or 60 mol% or more of 3HB residues based on the total polyhydroxyalkanoates resin. 100 mol% or less of the residue may be included, 80 mol% or less, or 70 mol% or less may be included.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는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4HB 잔기를 50 몰% 이하로 포함할 수 있고, 45 몰% 이하, 또는 40 몰% 이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기를 0 몰% 이상으로 포함할 수 있고, 20 몰% 이상, 또는 30 몰% 이상 포함할 수 있다.The polyhydroxyalkanoates resin may contain 50 mol% or less, 45 mol% or less, or 40 mol% or less of 4HB residues based on the total polyhydroxyalkanoates resin. The residu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 mol% or more, 20 mol% or more, or 30 mol% or more.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는 4HB 잔기와 3HB 잔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 전체를 기준으로 4HB 잔기를 30 몰% 내지 35 몰%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의 결정화도를 조절하여 기계적 물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polyhydroxyalkanoates resin may include both 4HB residues and 3HB residues, and may include 30 mol% to 35 mol% of 4HB residues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the polyhydroxyalkanoates resin. In this case, the crystallinity of the film may be adjusted to help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제1층(52)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와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츠 수지가 블렌딩된 수지를 적용해 제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일정 수준 이상의 생분해성과 적절한 기계적 물성이라는 특징을 부여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52 may be prepared by applying a blended resin of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and the polyhydroxyalkanoates resin. Through this, it can contribute to imparting characteristics such as biodegradability and appropriate mechanical properties to the polyester film at least a certain level.

제1층(52)에 포함된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는 락트산 잔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7 중량부일 수 있고, 2 내지 6 중량부 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로 상기 잔기들을 갖는 수지를 적용하면, 필름에 강도를 부여하고 이축 연신 과정에서 결정화도 제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딱딱한 제1층의 물성을 조절해 전체적으로 보다 소음도가 감소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The hydroxyalkanoate residue included in the first layer 52 may be 1 to 7 parts by weight or 2 to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actic acid residue. When a resin having the above residues is applied in this range, it can impart strength to the film, help control the crystallinity in the biaxial stretching process, and provide a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overall by adjus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latively hard first layer. can do.

제1층(52)에 적용되는 수지는 210 ℃에서 용융점도가 5,000 P 이상, 또는 7,000 P 이상일 수 있고, 14,000 P 이하, 또는 12,000 P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압출 방식으로 적층체를 제조할 때 안정적인 작업성을 가질 수 있다.The resin applied to the first layer 52 may have a melt viscosity of 5,000 P or more, or 7,000 P or more, or 14,000 P or less, or 12,000 P or less at 210 °C.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have stable workability when manufacturing a laminate by an extrusion method.

제1층(52)은 무기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예시적으로 블로깅 방지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layer 52 may further include inorganic particles. The inorganic particles may illustratively serve as an anti-blogging age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층에 적용되는 무기입자는, 예시적으로 실리카(SiO2), 탄산칼슘(CaCO3), 산화인듐주석(ITO), 수산화알루미늄(Al2(OH)3). 산화아연(ZnO), 이산화티탄(TiO2), 또는 황산바륨(BaSO4)을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inorganic particles applied to the first layer include silica (SiO 2 ), calcium carbonate (CaCO 3 ), indium tin oxide (ITO), and aluminum hydroxide (Al 2 (OH) 3 ). Zinc oxide (ZnO), titanium dioxide (TiO 2 ), or barium sulfate (BaSO 4 ) may be included.

상기 무기입자는 D50이 1 ㎛ 이상일 수 있고, 1.5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D50은 3 ㎛ 이하, 또는 2 ㎛ 이하일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may have a D 50 of 1 μm or more, or 1.5 μm or more. The D 50 may be 3 μm or less or 2 μm or less.

상기 무기입자는 제1층 또는 스킨층에, 각층 전체를 기준으로 2,000 ppm 이하로 포함될 수 있고, 1,500 ppm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를 상기 스킨층에 포함하는 경우, 블로킹 방지제로 역할 할 수 있다.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layer or the skin layer in an amount of 2,000 ppm or less and 1,500 ppm or less based on the entirety of each layer. Whe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skin layer, it may serve as an antiblocking agent.

또한,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무기입자를 제1층이 포함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소음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layer includes inorganic particles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it may help to reduce noise generation of the polyester film.

제1층(52)은 통상의 정전인가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블로킹 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될 수 있다.The first layer 52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antistatic age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 heat stabilizer, a sunscreen, an antiblocking agent, or a combination thereof as needed.

제2층(54)은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한다.The second layer 54 includes terephthalate residues and adipic acid residues.

제2층(54)은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터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아디픽산 잔기와 테레프탈레이트 잔기를 포함한다.The second layer 54 has an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and specifically includes an adipic acid residue and a terephthalate residue.

상기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아디프산인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잔기와 테레프탈산인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잔기를 포함할 수 있고, 글리콜 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based resin may include an aliphatic dicarboxylic acid residue of adipic acid and an aromatic dicarboxylic acid residue of terephthalic acid, and may further include a glycol residue.

상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예시적으로 숙신산, 세박산, 글루탈산, 말론산, 옥살산, 아젤라산, 또는 노난디카복실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liphatic dicarboxylic acid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succinic acid, sebacic acid, glutalic acid, malonic acid, oxalic acid, azelaic acid, or nonanedicarboxylic acid.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예시적으로 이소프탈산, 나프탈렌-2,6-디카복실산, 디페닐설폰산디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복실산, 또는 시클로헥산디카복실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romatic dicarboxylic acid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isophthalic acid, naphthalene-2,6-dicarboxylic acid, diphenylsulfonic acid dicarboxylic acid, diphenylether dicarboxylic acid, diphenoxyethane dicarboxylic acid, or 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there is.

상기 글리콜 잔기는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2-메틸-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알킬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잔기가 일 수 있다.The glycol residue is ethylene glycol, 1,3-propanediol, 1,4-butanediol, 1,5-pentanediol, 1,6-hexanediol, propylene glycol, neopentyl glycol, 2-methyl-1,3-propane It may be any one residue selected from alkylene glycols such as diol and diethylene glycol, 1,4-cyclohexanediol, 1,4-cyclohexanedimethanol, polyethylene glycol, and mixtures thereof.

제2층(54)에 포함되는 수지는, 산 성분 전체를 기준으로 지방족 성분의 함량이 30 몰% 이상, 40 몰% 이상, 45 몰% 이상, 또는 50 몰% 이상일 수 있다. 또 상기 지방족 성분 산 성분 전체를 기준으로 80 몰% 이하, 70 몰% 이하, 또는 60 몰%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생분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sin included in the second layer 54 may have an aliphatic component content of 30 mol% or more, 40 mol% or more, 45 mol% or more, or 50 mol% or more based on the total acid component. In addition, the aliphatic component may be 80 mol% or less, 70 mol% or less, or 60 mol% or less based on the total acid component. In this case, the biodegradability of the polyester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제2층(54)에 적용되는 수지는 예시적으로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BAT) 수지일 수 있고, 이 경우 소음도 감소와 필름 제조 과정에서의 작업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The resin applied to the second layer 54 may be illustratively a 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resin, and in this case, it may help to reduce noise and improve workability in the film manufacturing process.

제2층(54)에 적용되는 수지는 210 ℃에서 용융점도가 3,000 P 이상, 또는 4,000 P 이상일 수 있고, 9,000 P 이하, 또는 7,000 P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압출 방식으로 적층체를 제조할 때 안정적인 작업성을 가질 수 있다.The resin applied to the second layer 54 may have a melt viscosity of 3,000 P or more, or 4,000 P or more, and 9,000 P or less, or 7,000 P or less, at 210 °C.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have stable workability when manufacturing a laminate by an extrusion method.

상기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터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Mw)이 예컨대 50,000 내지 400,000 g/mol, 예컨대 50,000 내지 300,000 g/mol, 예컨대 50,000 내지 200,000 g/mol, 또는 예컨대 50,000 내지10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 분자량(Mw)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법(GP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층에 적용되는 수지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가공성을 가질 수 있다.The aliphatic-aromatic copolymer polyester-based resi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for example, 50,000 to 400,000 g/mol, for example 50,000 to 300,000 g/mol, for example 50,000 to 200,000 g/mol, or for example 50,000 to 100,000 g/mol ca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ay b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 this case, it may have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resin applied to the first layer and excellent processability.

제2층(54)은 통상의 정전인가제, 대전방지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블로킹 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 필요에 따라 더 포함될 수 있다. The second layer 54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antistatic agent, an antistatic agent, an antioxidant, a heat stabilizer, a sunscreen, an antiblocking agent, or a combination thereof as needed.

제2층(54)은 제1층(52)과 비교하여 유연한 특징을 가진다.The second layer 54 has a softer character compared to the first layer 52 .

비교적 딱딱한 제1층과 상대적으로 유연한 제2층은 교대로 적층되어 적층체(50)를 형성한다. 제1층에 의해 적층체 전체적으로 기계적 물성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수 있고, 제1층과 제2층의 상호작용으로 필름 사용 과정에서의 소음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폴리락트산 필름과 비교해서 등가소음도 및 저음 주파수 대역대의 소음도가 유의미하게 감소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The relatively hard first layer and the relatively soft second layer are alternately laminated to form the laminate 50 .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laminate as a whole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by the first layer, and noise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using the film can be reduced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n particular, compared to the polylactic acid fil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m with significantly reduced equivalent noise level and low-frequency noise level.

또, 적층체의 다층 적층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적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제1층에 적용되는 수지와 제2층에 적용되는 수지를 블렌딩하여 단층으로 형성한 필름과 비교해 헤이즈 값이 낮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구현예는 가시광에서 광투과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multi-layer lamination of the laminat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polyester film can also be improved. It has this lowering characteristic. Accordingly, embodiments can provide a film having excellent light transmittance in visible light.

적층체(50)의 전체 층수는 4층 이상일 수 있고, 6층 이상일 수 있고, 10층 이상일 수 있고, 30 층 이상, 34층 이상, 또는 36층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424층 이하, 324층 이하, 또는 224층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적층체의 전체 층수는 후술하는 스킨층에 제1층 수지와 동일한 수지를 적용하여 적층체의 제1층과 서로 이웃하는 스킨층의 층간 구별이 어려운 경우, 적층체의 제1층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정한 층수를 기준으로 한다.The total number of layers of the laminate 50 may be 4 or more, 6 or more, 10 or more, 30 or more, 34 or more, or 36 or more. The laminate may have 424 layers or less, 324 layers or less, or 224 layers or less. When the total number of layers of the laminate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first layer of the laminate and the adjacent skin layers by applying the same resin as the first layer resin to the skin layer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layer of the laminate is considered to exist. It is based on the number of floors determined by assumption.

적층체(50)는 제1층(52)과 제2층(54)을 다층 구조로 교대적층 함으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기계적 강도를 적절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소음도가 개선된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laminate 50, the first layer 52 and the second layer 54 are alternately laminated in a multi-layer structure, thereby providing a multi-layer polyester film with improved noise level while maintain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olyester film at an appropriate level or higher. can provide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이 36층 이상 교대적층된 것일 수 있고 36 내지 144 층으로 교대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스낵 봉투와 같은 일반적인 봉지 용도로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소음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In the laminate, 36 or more layer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alternately laminated, or 36 to 144 layers may be alternately laminated. In this case, noise generated when the polyester film is applied to a general bag such as a snack bag can be substantially reduced.

적층체(50)에서, 제1층(52)과 제2층(54)의 평균 두께의 비율은 1:0.2 내지 1.5일 수 있다.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평균 두께 비율은 1:0.3 내지 1.3일 수 있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개별 층 평균 두께 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적절한 수준 이상의 필름 강도 유지와 함께 소음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laminate 50, the averag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52 and the second layer 54 may be 1:0.2 to 1.5. An averag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1:0.3 to 1.3. When the average layer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satisfies the above range, a noise reduction effect may be obtained while maintaining a film strength of an appropriate level or higher.

적층체(50)는 미생물과 수분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실질적으로 완전한 생분해가 가능해 환경 친화적인 특성 갖는다.The laminate 50 can be substantially completely biodegrad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n environment where microorganisms and moisture exist, and thus has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적층체(50)는 180 도의 회전을 800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한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평균 등가 소음도가 78db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평균 등가 소음도는 77.5 dB 이하, 76 dB 이하, 74.5 dB 이하, 또는 73 dB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평균 등가 소음도는 72 dB 이상일 수 있다.The laminate 50 may have an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78 db or less in evaluation of film noise level in which rotation of 180 degrees is applied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may be 77.5 dB or less, 76 dB or less, 74.5 dB or less, or 73 dB or less.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may be 72 dB or more.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는 소음분석기(14)를 활용해 측정했다. 측정용 샘플 필름(또는 적층체)은 A4 크기로 재단되었고, 외부 소음이 차단된 박스 내에 배치된 바(10)에 샘플의 긴 단부를 고정부(12, 예시: 지그)로 잡아 고정하고, 바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필름의 소음을 발생시킨다. 소음분석기의 측정부가 배치된 말단과 필름 사이의 거리(d)는 약 10 cm를 적용한다. 소음의 발생은, 바를 800RPM의 속도로 180도 회전시켜 발생하는 소음도를 측정하고, 회전은 30초 이상 지속한다(도 3 참고).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was measured using a noise analyzer (14). The sample film (or laminate) for measurement is cut to an A4 size, and the long end of the sample is held by a fixing part (12, example: jig) to the bar 10 placed in a box where external noise is blocked, and the bar is By rotating the film, noise is generated. The distance (d) between the film and the end where the measuring part of the noise analyzer is placed is about 10 cm. For the generation of noise, the noise level generated by rotating the bar 180 degrees at a speed of 800 RPM was measured, and the rotation continued for 30 seconds or more (see FIG. 3).

예시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된 650(W)*450(D)*500(H) mm의 박스 내에서 A4 크기로 재단된 필름을 준비하고, Cirrus Research PIC사의 디지털 소음분석기(모델명:CR-162C)를 배치한다(도 3 참고). 소음분석기는 준비된 필름으로부터 약 10c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필름의 양 끝을 지그로 잡아 180도 회전, 800RPM, 30초 이상 소음을 내어 소음을 측정한다. 데이터의 분석은 NoiseTools Software 프로그램을 적용한 것을 기준으로 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주파수 각각에서의 30초동안의 소음도, 등가소음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31.5 Hz에서 16,000 Hz 범위에서 소음도와 등가소음도를 측정할 수 있다.Illustratively, a film cut to A4 size is prepared in a box of 650 (W) * 450 (D) * 500 (H) mm made of polycarbonate, and a digital noise analyzer from Cirrus Research PIC (model name: CR- 162C) is placed (see Fig. 3). The noise analyzer is located about 10 cm away from the prepared film, holds both ends of the film with a jig, rotates it 180 degrees, rotates it at 800 RPM, and makes noise for more than 30 seconds to measure the noise. Data analysis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NoiseTools Software program. Through the program,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noise level, equivalent noise level, etc. for 30 seconds at each specific frequency. Illustratively, the noise level and the equivalent noise level can be measured in the range of 31.5 Hz to 16,000 Hz.

상기 평균 등가 소음도의 평가는 상기 적층체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15 ㎛ 내지 30 ㎛에서 선택된 어느 한 두께에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한다.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is based on a value measured at a thickness of the laminate or the polyester film selected from 15 μm to 30 μm.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250 Hz에서 소음도가 63 dB 이하, 62 dB 이하, 61 dB 이하, 또는 60 dB 이하이 수 있다. 이는 저음을 나타내는 주파수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소음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The laminate 50 may have a noise level of 63 dB or less, 62 dB or less, 61 dB or less, or 60 dB or less at 25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This means having a relatively low noise level at a frequency representing a bass sound.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500 Hz에서 소음도가 53 dB 이하, 52 dB 이하, 51 dB 이하, 또는 50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시끄럽다고 느끼는 비교적 저음부의 소음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The laminate 50 may have a noise level of 53 dB or less, 52 dB or less, 51 dB or less, or 50 dB or less at 5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This means that the noise level of a relatively low-pitched part that people feel is noisy is low.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1,000 HZ에서 59 dB 이하, 57 dB 이하, 56 dB 이하, 55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비교적 낮은 음역대의 소음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the film noise level may be 59 dB or less, 57 dB or less, 56 dB or less, or 55 dB or less at 1,000 HZ. This means that the noise level in a relatively low range is low.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2,000 HZ에서 67 dB 이하, 66 dB 이하, 65 dB 이하, 64 dB 이하 또는 63.5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크게 느끼는 주파수의 소음으로, 실질적으로 소음도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the film noise level may be 67 dB or less, 66 dB or less, 65 dB or less, 64 dB or less, or 63.5 dB or less at 2,000 HZ. This is noise at a frequency that is generally perceived as high by humans, and means that the noise level is substantially reduced.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4,000 Hz에서 75 dB 이하, 74 dB 이하, 73 dB 이하, 72 dB 이하, 또는 71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크게 느끼는 주파수의 소음이면서 필름에서 가장 큰 소음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소음도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the film noise level may be 75 dB or less, 74 dB or less, 73 dB or less, 72 dB or less, or 71 dB or less at 4,000 Hz. This is a region in which noise at a frequency that is generally perceived as high by humans and the largest noise occurs in the film, which means that the noise level is substantially reduced.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8,000 Hz에서 72 dB 이하, 71 dB 이하, 70.5 dB 이하, 70 dB 이하, 69 dB 이하, 또는 68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비교적 고음의 소음 발생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it may be 72 dB or less, 71 dB or less, 70.5 dB or less, 70 dB or less, 69 dB or less, or 68 dB or less at 8,000 Hz. This means that the generation of relatively high-pitched noise is reduced.

적층체(50)는,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16,000 Hz에서 63 dB 이하, 62 dB 이하, 60 dB 이하, 또는 58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고음의 소음 발생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is 16 μm, it may be 63 dB or less, 62 dB or less, 60 dB or less, or 58 dB or less at 16,000 Hz. This means that the generation of high-pitched noise is reduced.

적층체(50)는 헤이즈(haze)가 10% 이하, 9 % 이하, 또는 8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헤이즈는 2 % 이상 또는 4 % 이상일 수 있다. 이는 적절한 광학적 특성으로 포장재로 적용하기에 충분한 수준의 헤이즈 값으로, 락트산 잔기를 갖는 수지와 지방족-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단순 블렌딩하는 것과 비교해 특히 우수한 특성이다. 이는 위의 두 수지를 단순 블렌딩 하는 경우 양 수지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수지가 뿌옇게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구현예는 적층체의 구조를 적용해서, 양 수지의 좋지 않은 상용성에 의해 발생하는 광학적 특성의 저하를 억제하고, 우수한 광학적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헤이즈는 일본정밀과학사(Nihon Semitsu Kogaku)의 Hazemeter(모델명: SEP-H)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한다.The laminate 50 may have a haze of 10% or less, 9% or less, or 8% or less. The haze may be 2% or more or 4% or more. This is a haze value sufficient to be applied as a packaging material with appropriate optical properties, and is particularly excellent compared to simple blending of a resin having a lactic acid residue and an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resin. When the above two resins are simply blended, the compatibility of both resins is not good, and the resin becomes cloudy. In embodiments,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a laminat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terioration in optical properties caused by poor compatibility of both resins and to obtain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The haze is based on a value measured using a Hazemeter (model name: SEP-H) of Nihon Semitsu Kogaku.

스킨층skin layer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스킨층(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kin layer 70 .

스킨층(70)은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2a 참고).The skin layer 7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aminate (see FIG. 2A).

스킨층(70)은 상기 적층체의 일면 또는 타면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도 2b 참고).The skin layer 7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laminate (see FIG. 2B).

스킨층(70)은 상기 제1층(52)의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스킨층(70)은 상기 제2층(54)의 수지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 전체적으로 생분해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The resin of the first layer 52 may be applied to the skin layer 70 . The resin of the second layer 54 may be applied to the skin layer 70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manufacturing workability of the polyester film, and it is possible to impart biodegradable properties to the film as a whole.

스킨층(70)은 제1층의 수지를 적용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계적 물성 향상, 작업성 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kin layer 70 can further improve mechanical properties and workability of the polyester film when the resin of the first layer is applied.

스킨층(70)은 제1층과 마찬가지로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첨가제가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skin layer 70 may include inorganic particles as in the first layer, and additives may be applied as needed.

스킨층(70)의 두께는 적층체(50)의 두께 100을 기준으로 5 내지 25의 두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스킨층(70)의 두께는 0.8 ㎛ 이상, 1.2 ㎛ 이상, 또는 2 ㎛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두께의 상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70 may be applied in a thickness ratio of 5 to 25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50 100 . The skin layer 70 may have a thickness of 0.8 μm or more, 1.2 μm or more, or 2 μm or more, and the upper limit of the thicknes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만약 적층체의 상하부 모두에 상기 스킨층이 적용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스킨층의 두께는 한쪽 스킨층의 두께를 의미한다.If the skin layer is appli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aminate, the thickness of the skin layer described above means the thickness of one skin layer.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에 스킨층(70)이 적용되면, 필름 표면의 강도가 우수하고 전체적으로 촉감과 내슬립성 등이 제어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kin layer 70 is applied to the polyester film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m having excellent surface strength and controlled tactility and slip resistance as a whole.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 초 이상 적용한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평균 등가 소음도가 78 dB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평균 등가 소음도는 77.5 dB 이하, 76 dB 이하, 74.5 dB 이하, 또는 73 dB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평균 등가 소음도는 72 dB 이상일 수 있다. 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n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78 dB or less in evaluation of film noise level in which rotation of 180 degrees is applied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may be 77.5 dB or less, 76 dB or less, 74.5 dB or less, or 73 dB or less.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may be 72 dB or more.

예시적으로, 약 25 ㎛ 두께를 기준으로, 모두 동일한 측정 조건을 적용하여 측정하면, 석유계 재료에 기반한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평균 등가 소음도는 약 80.3 dB, 폴리락타이드 수지를 적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평균 등가 소음도는 약 83 내지 85 dB 수준으로 차이가 난다.Illustratively, based on a thickness of about 25 μm, when all are measured using the same measurement conditions,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a general polyester film based on a petroleum-based material is about 80.3 dB, that of a polyester film using a polylactide resin.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s differ by about 83 to 85 dB.

구현예의 평균 등가 소음도는, 폴리락트산 수지 등 생분해성 고분자를 적용하면서도 소음 발생을 실질적으로 억제 또는 감소시킨다. 즉, 구현예는 제품의 포장재 등으로 적용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석유계 재료에 기반한 것)보다 더 소음을 억제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the embodiment substantially suppresses or reduces noise generation while applying biodegradable polymers such as polylactic acid resin. That is, embodiments can provide a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that suppresses noise more than a polyester film (based on petroleum-based materials) applied as a packaging material for a product or the like.

상기 평균 등가 소음도의 평가 또는 소음도 평가는 상기 적층체 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10 ㎛ 내지 30 ㎛에서 선택된 어느 한 두께에서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한다.The evaluation of the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r the evaluation of the noise level is based on a value measured at a thickness of the laminate or the polyester film selected from 10 μm to 30 μm.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250 Hz에서 소음도가 63 dB 이하, 62 dB 이하, 61 dB 이하, 또는 60 dB 이하이 수 있다. 이는 저음을 나타내는 주파수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소음도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noise level of 63 dB or less, 62 dB or less, 61 dB or less, or 60 dB or less at 25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This means having a relatively low noise level at a frequency representing a bass sound.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500 Hz에서 소음도가 53 dB 이하, 52 dB 이하, 51 dB 이하, 또는 50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시끄럽다고 느끼는 비교적 저음부의 소음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noise level of 53 dB or less, 52 dB or less, 51 dB or less, or 50 dB or less at 5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This means that the noise level of a relatively low-pitched part that people feel is noisy is low.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1,000 HZ에서 59 dB 이하, 57 dB 이하, 56 dB 이하, 55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비교적 낮은 음역대의 소음도가 낮은 것을 의미한다. 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59 dB or less, 57 dB or less, 56 dB or less, or 55 dB or less at 1,0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This means that the noise level in a relatively low range is low.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2,000 HZ에서 67 dB 이하, 66 dB 이하, 65 dB 이하, 64 dB 이하 또는 63.5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크게 느끼는 주파수의 소음으로, 실질적으로 소음도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67 dB or less, 66 dB or less, 65 dB or less, 64 dB or less, or 63.5 dB or less at 2,0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This is noise at a frequency that is generally perceived as high by humans, and means that the noise level is substantially reduced.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4,000 Hz에서 75 dB 이하, 74 dB 이하, 73 dB 이하, 72 dB 이하, 또는 71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크게 느끼는 주파수의 소음이면서 필름에서 가장 큰 소음이 발생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소음도가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75 dB or less, 74 dB or less, 73 dB or less, 72 dB or less, or 71 dB or less at 4,0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This is a region in which noise at a frequency that is generally perceived as high by humans and the largest noise occurs in the film, which means that the noise level is substantially reduced.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8,000 Hz에서 72 dB 이하, 71 dB 이하, 70.5 dB 이하, 70 dB 이하, 69 dB 이하, 또는 68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비교적 고음의 소음 발생이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72 dB or less, 71 dB or less, 70.5 dB or less, 70 dB or less, 69 dB or less, or 68 dB or less at 8,000 Hz. This means that the generation of relatively high-pitched noise is reduced.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는, 16,000 Hz에서 63 dB 이하, 62 dB 이하, 60 dB 이하, 또는 58 dB 이하일 수 있다. 이는 고음의 소음 발생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be 63 dB or less, 62 dB or less, 60 dB or less, or 58 dB or less at 16,000 Hz. This means that the generation of high-pitched noise is reduced.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헤이즈(haze)가 1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haze)는 6.5% 이상 9.5%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헤이즈(haze)는 7% 이상 9%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헤이즈(haze) 범위를 가지는 경우 투명성이 확보되어 투광성이 필요한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는 일본정밀과학사(Nihon Semitsu Kogaku)의 Hazemeter(모델명: SE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polyester film may have a haze of 10% or less. In addition, the polyester film may have a haze of 6.5% or more and 9.5% or less. In addition, the polyester film may have a haze of 7% or more and 9% or less. When it has the haze range as described above, transparency is secured and can be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requiring light transmission. The haze was measured using a Hazemeter (model name: SEP-H) of Nihon Semitsu Kogaku.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영률이 280 kgf/㎟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영률은 ASTM D882에 의거해 측정한 것을 기준으로 하며, 필름의 종방향인 MD방향과 횡방향인 TD방향의 평균값인 평균 영률을 의미한다. 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Young's modulus of 280 kgf/mm2 or less. The Young's modulus is based on the measurement according to ASTM D882, and means the average Young's modulus,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MD direction, which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m, and the TD direction, which is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lm.

상기 영률은 280 kgf/㎟ 이하, 275 kgf/㎟ 이하, 270 kgf/㎟ 이하, 220 kgf/㎟ 이하, 200 kgf/㎟ 이하, 또는 160 kgf/㎟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영률은 80 kgf/㎟ 이상, 100 kgf/㎟ 이상, 120 kgf/㎟ 이상, 125 kgf/㎟ 이상, 또는 150 kgf/㎟ 이상일 수 있다. 영률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유연한 필름이 소음 발생이 적은 것으로 취급하기도 하나, 발명자들의 반복된 실험 결과로는, 영률의 고저와 필름의 소음 발생 정도는 반드시 일정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 다만, 필름이 전체적으로 보다 유연한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나타낸다.The Young's modulus may be 280 kgf/mm2 or less, 275 kgf/mm2 or less, 270 kgf/mm2 or less, 220 kgf/mm2 or less, 200 kgf/mm2 or less, or 160 kgf/mm2 or less. The Young's modulus may be 80 kgf/mm 2 or more, 100 kgf/mm 2 or more, 120 kgf/mm 2 or more, 125 kgf/mm 2 or more, or 150 kgf/mm 2 or more. The Young's modulus is one of the indicators of the flexibility of the polyester film, and it is sometimes treated as having little noise generation. don't However, it shows that the film has a more flexible property as a whole.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인장강도가 3 kgf/㎟ 이상, 4 kgf/㎟ 이상, 5 kgf/㎟ 이상, 또는 7 kgf/㎟ 이상일 수 있고, 17 kgf/㎟ 이하, 15 kgf/㎟ 이하, 또는 12 kgf/㎟ 이하일 수 있다. MD 방향과 TD 방향의 인장강도가 다른 경우 이들의 상기 인장강도는 이들의 평균 값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포장재로 적용하기에 적절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tensile strength of 3 kgf/mm2 or more, 4 kgf/mm2 or more, 5 kgf/mm2 or more, or 7 kgf/mm2 or more, 17 kgf/mm2 or less, 15 kgf/mm2 or less. or less, or 12 kgf/mm2 or less. When the tensile strengths of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re different, the tensile strengths mean their average values. The polyester film may have a tensile strength suitable for application as a packaging material.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신율이 60 % 이상, 70 % 이상, 또는 75 % 이상일 수 있고, 120 % 이하일 수 있다. MD 방향과 TD 방향의 신율이 다른 경우 이들의 상기 신율은 이들의 평균 값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포장재료 적용하기에 적절한 신율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n elongation of 60% or more, 70% or more, or 75% or more, and may be 120% or less. When the elongation rates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re different, the elongation rate means an average value thereof. The polyester film may have elongation propertie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packaging materials,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열수축률이 5% 이하, 4 % 이하 또는 3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열수축률은 0.5 % 이상일 수 있다. 이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일정 수준 이상의 치수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구현예는 안정적인 열수축률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heat shrinkage rate of 5% or less, 4% or less, or 3% or less. The heat shrinkage rate may be 0.5% or more. This means that the polyester film has dimensional stability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and the embodiment may have stable heat shrinkage characteristics.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두께가 1,000 ㎛ 이하, 800 ㎛ 이하, 600 ㎛ 이하, 400 ㎛ 이하, 200 ㎛ 이하, 100 ㎛ 이하, 또는 6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두께는 10 ㎛ 이상, 또는 15 ㎛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장재로 적용하기에 적절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may have a thickness of 1,000 μm or less, 800 μm or less, 600 μm or less, 400 μm or less, 200 μm or less, 100 μm or less, or 60 μm or less. The thickness may be 10 μm or more, or 15 μm or more. In this case, it may have a thickness suitable for application as a packaging material.

구현예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해 필름 소음도 평가를 했을 때 소음도가 80 dB 이하일 수 있고, 77 dB 이하일 수 있고, 75 dB 이하일 수 있다. 이 때, 소음도는 각각 250 Hz, 500 Hz, 1000 Hz, 2000 Hz, 4000 Hz 및 8000 Hz에서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The polyester film 1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ayer comprising lactic acid residues; and a second layer including a terephthalate residue and an adipic acid residue; wherein the polyester film 100 is rotated at 180 degrees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to evaluate the film noise level. The noise level may be 80 dB or less, 77 dB or less, or 75 dB or less. At this time, the noise levels mean values measured at 250 Hz, 500 Hz, 1000 Hz, 2000 Hz, 4000 Hz, and 8000 Hz, respectively.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100)은 사람들이 주로 인식하는 저음부터 고음에 이르는 다양한 주파수의 소음이 전체적으로 낮아서, 친환경적이고, 일정 수준 이상의 기계적인 강도를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조용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lyester film 100 is generally low in noise of various frequencies ranging from low to high tones that people mainly recognize,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ester film tha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relatively quiet while having mechanical strength above a certain level.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yester film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은, 조성물 준비단계,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ester fil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preparing a composition, obtaining an unstretched sheet; and obtaining a polyester film.

조성물 준비단계는,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수지 조성물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수지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이하, 제1단계라 칭함).The composition preparation step is a step of preparing a firs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lactic acid residues and a seco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erephthalate residues and adipic acid residu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step).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는 상기 제1수지 조성물 및 상기 제2수지 조성물을 각각 용융 압출하여 상기 제1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과 상기 제2수지를 포함하는 제2층이 교대로 적층된 적층체를 포함하는 미연신 시트를 얻는 단계이다(이하, 제2단계로 칭함).Obtaining an unstretched sheet is a laminate in which a first layer including the first resin and a second layer including the second resin are alternately laminated by melt-extruding the first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respectively. This is a step of obtaining an unstretched sheet containing a sie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step).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단계는, 상기 적층된 시트를 연신하고 열고정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단계이다(이하, 제3단계라 칭함).The step of obtaining a polyester film is a step of obtaining a polyester film by stretching and heat-setting the laminated shee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step).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적층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것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기재는 생략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lyester film and the laminat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above.

제1수지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제1층의 수지, 무기입자, 첨가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수지 조성물은, 위에서 설명한 제2층의 수지, 첨가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the resin of the first layer described above, inorganic particles, additives, and the like.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the resin of the second layer described above, additives, and the like.

제1층 수지와 제2층 수지의 210 ℃에서 용융점도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이러한 용융점도를 갖는 수지를 상기 제1수지 조성물과 제2수지 조성물에 적용하면 압출 방식을 적용해 적층체를 제조하기에 유리하다.The melt viscosities of the first layer resin and the second layer resin at 210 ° C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when a resin having such a melt viscosity is applied to the first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a laminate is manufactured by applying an extrusion method. advantageous to do

상기 제1수지 조성물과 상기 제2수지 조성물은 제1단계 및/또는 제2단계에서 은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고, 수분은 150 pp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may be subjected to a step of removing silver moisture in the first step and/or the second step, and the moisture content is preferably 150 ppm or less.

제2단계는 피드블록 등의 통상의 필름 적층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필름 적층 수단은, 제1층과 제2층에 대응되는 용융수지가 적층되게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스킨층의 수지가 토출되는 부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으로 상기 제1수지 조성물 또는 상기 제2수지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작업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용융수지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등의 방식으로 적층체의 각 층의 두께 비율과 스킨층의 두께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a conventional film stacking means such as a feed block may be applied. Illustratively, the film stacking un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molten resi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may be discharged in a laminated manner, and may further include a portion where the resin of the skin layer is discharged. When the first resin composition or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to the skin layer, workability may be further improv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hickness ratio of each layer of the laminate and the thickness ratio of the skin layer in a manner such as controlling the discharge amount of the molten resin.

두께 비율 등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고, 후술하는 연신 공정 등을 고려해, 각 층의 두께는 제어하여 적용 가능하다. The thickness ratio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thickness of each layer can be controlled and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tching process described later.

제2단계는 용융 압출 후에 상기 미연신 시트를 냉각롤에 밀착시키는 등의 과정으로 시트화할 수 있다.In the second step, after melt extrusion, the unstretched sheet may be formed into a sheet by a process such as bringing the unstretched sheet into close contact with a cooling roll.

제3단계는 상기 시트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신 후에는 열고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step includes stretching the sheet in machine and transverse directions. After the stretching, a heat setting step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연신은 이축연신이 적용될 수 있고, 축차이축연신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은 50℃ 내지 80℃로 예열한 후, 40℃ 내지 100℃에서 종방향(MD)으로 2 내지 4배 종연신하는 단계 및 50℃ 내지 150℃에서 횡방향(TD)으로 3 내지 6배 연신하는 것일 수 있다. The stretching may be biaxial stretching or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Specifically, the stretching step of preheating at 50 ℃ to 80 ℃, followed by longitudinal stretching 2 to 4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MD) at 40 ℃ to 100 ℃ and 3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at 50 ℃ to 150 ℃ It may be to stretch 6 times.

상기 열고정 단계는 50℃ 내지 150℃, 70℃ 내지 150℃, 100℃ 내지 150℃, 또는 110℃ 내지 140℃에서 수행될 수 있다.The heat setting step may be performed at 50 °C to 150 °C, 70 °C to 150 °C, 100 °C to 150 °C, or 110 °C to 140 °C.

상기 연신과 상기 열고정을 통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치수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Through the stretching and the heat setting, the polyester film can improve mechanical strength and improve dimensional stability while having a thin thickness.

포장재packaging material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포장재는, 위에서 설명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한 것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A packaging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polyester film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lyester film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at described above.

포장재는, 예를 들어 일회용 포장재, 식품 포장재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알루미늄 박, 컬러층 등이 더 포함되어 적용될 수 있다.Packaging materials, for example, disposable packaging materials, food packaging materials, etc. may be applied, the polyester film may be applied as it is, and aluminum foil, color layers, etc.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pplied.

상기 포장재는, 생분해성 수지가 적용되어 이산화탄소 발생 문제를 감소시키고, 특정 조건에서 거의 완전한 생분해가 가능해 친환경적이다. 또, 기존의 생분해성 필름으로 연구되고 있는 폴리락트산 수지를 적용하면서도 소음도를 낮추고 기계적 강도 등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며, 헤이즈 값도 적절한 수준으로 확보해, 포장재 등으로 활용도가 우수하다.The packaging material is eco-friendly because a biodegradable resin is applied to reduce the problem of carbon dioxide generation and is almost completely biodegradable under specific conditions. In addition, while applying polylactic acid resin, which is being researched as an existing biodegradable film, the noise level is lowered, mechanical strength, etc. ar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higher, and the haze value is secured at an appropriate level, so it is excellent in utilization as a packaging material.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현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구현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mplement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실시예 1 내지 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1. Preparation of polyester films of Examples 1 and 2

제1수지 조성물은 제1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93.9 중량부,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계 중합체를 6 중량부, 및 탄산칼슘 0.1 중량부의 혼합 수지를 적용하였다.For the first resin compositio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resin, 93.9 parts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olymer, 6 parts by weight of polyhydroxyalkanoate polymer, and 0.1 part by weight of calcium carbonate were applied.

상기 제1수지에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D-락타이드 함량 약 1 내지 약 3 몰%이고, 섭씨 210 도에서 용융점도가 약 7,000 내지 약 12,000P (poise)이고,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계 중합체는 4HB 함량이 30 내지 35 몰% 이며, 탄산칼슘은 입자가 D50 = 1.5 ㎛ 인 것을 적용하였다.In the first resin, the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has a D-lactide content of about 1 to about 3 mol%, a melt viscosity of about 7,000 to about 12,000 P (poise) at 210 degrees Celsius, and a polyhydroxyalkanoate-based polymer has a 4HB content of 30 to 35 mol%, and calcium carbonate has a particle size of D50 = 1.5 μm.

제2수지로는 제2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섭씨 210도에서 용융점도가 약 4000 내지 약 7,000 P(poise)를 가지며, 산 성분 중 지방족 성분의 함량이 50 몰%인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코 테레프탈라이드 수지를 100중량부로 적용하였다.The second resin has a melt viscosity of about 4000 to about 7,000 P (poise) at 210 degrees Celsiu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econd resin, and a polybutylene adipate co with an aliphatic component content of 50 mol% among acid components A terephthalide resin was applied at 100 parts by weight.

제1수지는 제습건조기로 섭씨 60 도에서 8시간 이상, 제2수지는 제습건조기로 섭씨 80 도에서 2 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The first resin was dried in a dehumidifying dryer at 60 degrees Celsius for 8 hours or more, and the second resin was dried in a dehumidifying dryer at 80 degrees Celsius for more than 2 hours to remove moisture.

2 개의 압출기와 미리 설정한 층수로 교대로 적층되는 다층피드블럭을 사용하여, 제1수지는 온도가 섭씨 210 도인 압출기로, 제2수지는 온도가 섭씨 210 도인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였다. 제1수지와 제2수지의 토출량 비(부피피)는 70:30으로 적용하였다.Using two extruders and a multi-layer feed block alternately stacked with a preset number of layers, the first resin was melt-extruded with an extruder having a temperature of 210 degrees Celsius and the second resin with an extruder having a temperature of 210 degrees Celsius. The discharge amount ratio (volume)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was applied at 70:30.

다층피드블럭 내에서 제1수지 조성물은 36층, 제2수지 조성물은 36층으로 분기 후 교대 적층되었고, 각각 제1층과 제2층이 72층으로 적층되었고, 상면 및 하면의 최외각층에는 각각 전체 두께의 약 10%으로 스킨층이 위치하도록 했으며, 스킨층에는 제1수지 조성물이 적용되어 제1층과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했다. 이후 780 mm Die 통과 후 섭씨 20 도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최외각층 포함 73층(스킨층과 제1층이 이웃한 부분은 1개의 층으로 취급함)의 미연신 다층 시트를 얻었다.In the multi-layer feed block, the first resin composition was branched into 36 layers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was branched into 36 layers and then alternately lamin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were laminated into 72 layers, respectively, and the outermost layer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ere respectively A skin layer was positioned at about 10% of the total thickness, and a first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skin layer to have the same composition as the first layer. Then, after passing through a 780 mm die, it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cooling roll cooled to 20 degrees Celsius to obtain an unstretched multilayer sheet of 73 layers including the outermost layer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kin layer and the first layer is treated as one layer).

미연신 다층 시트를 섭씨 65 도에서 종방향 3.0배, 섭씨 85 도에서 횡방향 4.0배로 연신한 후 열고정을 섭씨 120도에서 이완율 1%로 진행해 20 ㎛ 이축연신 다층 필름(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After the unstretched multilayer sheet was stretched 3.0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at 65 degrees Celsius and 4.0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85 degrees Celsius, heat setting was performed at a relaxation rate of 1% at 120 degrees Celsius to obtain a 20 μm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film (Example 1). manufactured.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연신 및 열고정 후에 25 ㎛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하였다.Example 2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but was prepared to have a thickness of 25 μm after stretching and heat setting.

2. 실시예 3 내지 4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2. Preparation of polyester films of Examples 3 to 4

실시예 3은, 제1수지 조성물과 제2수지 조성물은 위와 동일하게 적용하되, 제1수지 조성물과 제2수지 조성물의 토출량 비(부피비)를 50:50으로 적용하였다.In Example 3, the first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we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above, but the discharge amount ratio (volume ratio) of the first resin composition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at 50:50.

다층피드블럭 내에서 제1수지 조성물은 36층, 제2수지 조성물은 36층으로 분기 후 교대 적층되었고, 각각 제1층과 제2층이 72층으로 적층되었고, 상면 및 하면의 최외각층에는 각각 전체 두께의 약 8%으로 스킨층이 위치하도록 했으며, 스킨층에는 제1수지 조성물이 적용되어 제1층과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했다.In the multi-layer feed block, the first resin composition was branched into 36 layers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was branched into 36 layers and then alternately lamin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were laminated into 72 layers, respectively, and the outermost layer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ere respectively The skin layer was positioned at about 8% of the total thickness, and the first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skin layer to have the same composition as the first layer.

다른 과정은 실시예 1의 제조와 동일하게 적용해, 20 ㎛ 이축연신 다층 필름(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Other procedures wer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a 20 μm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film (Example 1).

실시예 4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25 ㎛ 이축연신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4, a 25 μm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film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실시예 5는, 다층피드블럭 내에서 제1수지 조성물은 15층, 제2수지 조성물은 15층으로 분기 후 교대 적층되었고, 각각 제1층과 제2층이 30층으로 적층되었고, 상면 및 하면의 최외각층에는 각각 스킨층이 위치하도록 했으며, 스킨층에는 제1수지 조성물이 적용되어 제1층과 동일한 조성을 갖도록 했다. 총 31층의 필름을 제조했고, 필름의 두께는 20 ㎛ 이었다.In Example 5, in the multi-layer feed block, the first resin composition was branched into 15 layers and the second resin composition was branched into 15 layers and then alternately laminated, and the first and second layers were laminated into 30 layers,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skin layer was placed on the outermost layer of each, and a first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skin layer to have the same composition as the first layer. A total of 31 layers of film was prepared,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was 20 μm.

3.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3. Preparation of polyester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비교예 1은 D-락타이드 함량 약 1 % 내지 약 3 몰%이고, 섭씨 210 도에서 용융점도가 약 7,000 내지 약 12,000 P를 갖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제습건조기로 섭씨 80도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제1수지층의 수지는 온도가 섭씨 210 도인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였다. 780mm Die 통과 후 섭씨 20 도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단층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단층 미연신 시트를 섭씨 65 도에서 종방향 3.0배, 섭씨 85도에서 횡방향 3.8배로 연신한 후 열고정온도 섭씨 120 도 및 이완율 약 1 %를 부여하여 약 20 ㎛ 이축연신 단층 필름을 제조하였다.Comparative Example 1 used a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having a D-lactide content of about 1% to about 3 mol% and a melt viscosity of about 7,000 to about 12,000 P at 210 degrees Celsius. Moisture was removed by drying for 6 hours at 80 degrees Celsius with a dehumidifying dryer. The resin of the first resin layer was melt-extruded with an extruder having a temperature of 210 degrees Celsius. After passing through a 780 mm die, it was adhered to a cooling roll cooled to 20 degrees Celsius to obtain a single-layer unstretched sheet. The obtained single-layer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0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at 65 degrees Celsius and 3.8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85 degrees Celsius, and then given a heat setting temperature of 120 degrees Celsius and a relaxation rate of about 1% to obtain a biaxially stretched single-layer film of about 20 μm. manufactured.

비교예 2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80중량%와 제2수지 20중량%를 블렌딩하여 사용하였고, 섭씨 200 도의 이축압출기에서 블렌딩 하였다. 이를 제습건조기로 섭씨 60 도 8 시간 동안 건조한 후, 섭씨 약 210 도에서 용융압출하여 30 ㎛ 단층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 미연신 시트를 비교예 2의 필름으로 적용했다. In Comparative Example 2, 80%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used in Example 1 and 20% by weight of the second resin were blended and used, and blended in a twin-screw extruder at 200 degrees Celsius. After drying this in a dehumidifying dryer at 60 degrees Celsius for 8 hours, it was melt-extruded at about 210 degrees Celsius to prepare a 30 μm single-layer unstretched sheet. This unstretched sheet was applied as the film of 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3은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10중량%와 제1수지에서 사용된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90중량%를 핸드 믹싱 후 섭씨 200 도의 이축압출기에서 블렌딩 하여 칩으로 가공하고, 제습건조기로 섭씨 60도에서 8시간 이상 건조하였다. 이 후 온도가 섭씨 210 도인 싱글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780mm Die 통과 후 섭씨 20 도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단층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단층 미연신 시트를 섭씨 65 도에서 종방향 3.0배, 섭씨 85 도에서 횡방향 3.8배로 연신한 후 열고정온도 섭씨 120 도 및 이완율 약 1 %를 부여하여 약 20 ㎛ 이축연신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3, after hand mixing 10% by weight of polyhydroxyalkanoate and 9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used in the first resin, they were blended in a twin-screw extruder at 200 degrees Celsius, processed into chips, and processed into chips using a dehumidifying dryer at 60 degrees Celsius. dried for more than 8 hours. Thereafter, the melt was extruded with a single extruder at a temperature of 210 degrees Celsius, passed through a 780 mm die, and then adhered to a cooling roll cooled to 20 degrees Celsius to obtain a single-layer unstretched sheet. The obtained single-layer unstretched sheet was stretched 3.0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at 65 degrees Celsius and 3.8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85 degrees Celsius, and then given a heat setting temperature of 120 degrees Celsius and a relaxation rate of about 1% to obtain a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film of about 20 μm. manufactured.

비교예 4는 제1층의 수지로서 D-락타이드 함량 약 1 내지 3 몰%이고, 섭씨 210 도에서 용융점도가 약 7,000 내지 12,000 P를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와 제2층의 수지로서 섭씨 210 도에서 용융점도가 약 4000 내지 약 7,000 P를 가지며, 산 성분 중 지방족 성분의 함량이 50 몰%인 PBAT 수지를 사용하였다. 제1수지의 수지는 제습건조기로 섭씨 60 도에서 8시간 이상, 제2수지는 제습건조기로 섭씨 80 도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2개의 압출기와 두층이 교대로 적층되는 다층피드블럭을 사용하여, 제1수지의 수지는 온도가 섭씨 210 도인 압출기로, 제2수지의 수지는 온도가 섭씨 210 도인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였다. 제1수지와 제2수지의 토출량 비(부피비)는 70:30으로 적용하였다. 다층피드블럭 내에서 제1수지는 36층, 제2수지는 36층으로 분기 후 제1수지와 제2수지가 교대로 적층하였으며, 상/하면 최외각층에는 전체 두께의 약 20%의 두께로 제1수지가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후 780mm Die 통과 후 섭씨 20 도로 냉각된 냉각롤에 밀착시켜 최외각층 포함 73층(제1층과 스킨층이 직접 접하는 부분은 층구분이 없어 1층으로 취급함)의 미연신 다층 시트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미연신 다층 시트를 섭씨 65 도에서 종방향 3.0배, 섭씨 85 도에서 횡방향 4.0배로 연신한 후 열고정온도 섭씨 120 도 및 이완율 1%를 부여하여 20 ㎛ 이축연신 다층 필름을 제조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4, a polylactic acid-based polymer having a D-lactide content of about 1 to 3 mol% and a melt viscosity of about 7,000 to 12,000 P at 210 degrees Celsius as a resin for the first layer and a resin for the second layer at 210 degrees Celsius In , a PBAT resin having a melt viscosity of about 4000 to about 7,000 P and an aliphatic component content of 50 mol% among acid components was used. The resin of the first resin was dried in a dehumidifying dryer at 60 degrees Celsius for 8 hours or more, and the second resin was dried in a dehumidifying dryer at 80 degrees Celsius for more than 2 hours to remove moisture. Using two extruders and a multilayer feed block in which two layers are alternately laminated, the resin of the first resin was melt-extruded with an extruder having a temperature of 210 degrees Celsius and the resin of the second resin was melt-extruded with an extruder having a temperature of 210 degrees Celsius. The discharge amount ratio (volume ratio) of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was applied as 70:30. In the multi-layer feed block, the first resin branched into 36 layers and the second resin branched into 36 layers, and then the first resin and the second resin were alternately stacked, and the upper and lower outermost layers were divided into about 20% of the total thickness. 1 resin was placed. Thereafter, after passing through a 780mm die, it wa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cooling roll cooled at 20 degrees Celsius to obtain an unstretched multilayer sheet of 73 layers including the outermost layer (the portion in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kin layer is treated as one layer because there is no layer distinction). The obtained unstretched multilayer sheet was stretched 3.0 times in the machine direction at 65 degrees Celsius and 4.0 tim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85 degrees Celsius, and then subjected to a heat setting temperature of 120 degrees Celsius and a relaxation rate of 1% to prepare a 20 μm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 film. .

4. 물성의 평가4.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필름의 소음도 평가Noise level evaluation of film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된 650(W)*450(D)*500(H) mm의 박스 내에서 A4 크기(210 mm x 297 mm)로 재단된 필름을 준비하고, Cirrus Research PIC사의 디지털 소음분석기(모델명:CR-162C)를 배치했다. 소음분석기는 준비된 필름으로부터 약 10c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필름의 양 끝을 지그로 잡아 180도 회전, 800RPM, 30초 이상 소음을 내어 소음을 측정했다. 데이터의 분석은 NoiseTools Software 프로그램의 등가소음도 및 주파수별 소음도 모드를 적용했다. 프로그램을 통해, 특정 주파수에서의 30초동안의 소음도, 등가소음도 등을 평가해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냈다.A film cut to A4 size (210 mm x 297 mm) was prepared in a box of 650 (W) * 450 (D) * 500 (H) mm made of polycarbonate, and a digital noise analyzer (model name of Cirrus Research PIC) was used. :CR-162C) was placed. The noise analyzer was placed about 10 cm away from the prepared film, held both ends of the film with a jig, and rotated 180 degrees at 800 RPM for more than 30 seconds to measure the nois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equivalent noise level and noise level mode for each frequency of the NoiseTools Software program were applied. Through the program, the noise level and equivalent noise level for 30 seconds at a specific frequency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table below.

기계적 물성 평가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ASTM D882에 의거하여 필름 시편을 만든 후, 길이 150 mm, 폭 15mm로 절단한 후, 척간 간격이 50 mm가 되도록 장착하여 상기 시편을 인장시험기, 인스트론 5566A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200 mm/min로 실험한 후, 측정 시작점부터 신율 3% 도달 시점까지의 직선 기울기 값을 영률(Young's modulus, kgf/㎟)로 측정하였다.After making a film specimen in accordance with ASTM D882, cut it into a length of 150 mm and a width of 15 mm, mount it so that the gap between chucks is 50 mm, and test the specimen at a tensile speed of 200 mm/min using a tensile tester, Instron 5566A. After the experiment, the value of the straight line slope from the start of measurement to the point of reaching 3% elongation was measured as Young's modulus (kgf/mm2).

인장강도는 인장 시 최대강도(kgf/mm2), 신율은 샘플 파단 시점에 초기 대비늘어난 비율(%)로 동일한 장비를 활용해 측정하였다. The tensil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the same equipment as the maximum strength at tension (kgf/mm 2 ) and the elongation as the percentage (%) of the initial increase at the time of sample fracture.

헤이즈haze

일본정밀과학사(Nihon Semitsu Kogaku)의 Hazemeter(모델명:SEP-H)를 이용하여 ASTM D1003 표준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I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STM D1003 standard using a Hazemeter (model name: SEP-H) of Nihon Semitsu Kogaku.

각 측정 결과들은 아래 표 1 및 2에 정리했다. Each measurement result is summarized in Tables 1 and 2 below.

실시예 #Example #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2Example 2 실시예3Example 3 실시예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필름 두께(um)Film thickness (um) 2020 2525 2020 2525 2020 스킨층 수number of skin layers 22 22 22 22 22 1층/2층 set 층수1st/2nd floor set number of floors 3636 3636 3636 3636 1515 전체 적층수total number of layers 7373 7373 7373 7373 3131 조성
(Wt%)
Furtherance
(wt%)
PBATPBAT 3030 3030 5050 5050 3030
PLAPLA 65.7365.73 65.7365.73 46.9546.95 46.9546.95 65.7365.73 PHAPHAs 4.24.2 4.24.2 3.03.0 3.03.0 4.24.2 무기입자* inorganic particles * 0.070.07 0.070.07 0.050.05 0.050.05 0.070.07 소음도
(dB)
noise level
(dB)
250Hz250Hz 60.760.7 62.762.7 59.859.8 60.960.9 60.560.5
500Hz500Hz 50.650.6 52.752.7 5050 51.251.2 50.350.3 1000Hz1000Hz 54.854.8 58.258.2 54.354.3 55.755.7 54.454.4 2000Hz2000Hz 64.264.2 66.866.8 63.263.2 65.665.6 63.863.8 4000Hz4000Hz 72.172.1 74.274.2 70.270.2 72.472.4 71.871.8 8000Hz8000Hz 70.370.3 71.671.6 67.167.1 69.169.1 70.170.1 등가소음도(dB)Equivalent noise level (dB) 75.175.1 77.177.1 72.972.9 75.275.2 75.175.1 평균 인장강도(kgf/mm2)Average tensile strength (kgf/mm 2 ) 9.959.95 9.39.3 5.55.5 4.34.3 10.310.3 평균 신율(%)Average Elongation (%) 101.5101.5 102.5102.5 91.591.5 8181 9999 평균 영률(kgf/mm2)Average Young's modulus (kgf/mm 2 ) 274274 268268 122122 158158 262262 Haze(%)Haze (%) 7.57.5 8.98.9 6.96.9 7.67.6 9.39.3

* 조성 중 무기입자는 탄산칼슘임. *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composition are calcium carbonate.

실시예 #Example #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참고예reference example 필름 두께(um)Film thickness (um) 2020 3030 2020 2020 PET 100% 20 um 필름PET 100% 20um film 스킨층 수number of skin layers 단층fault 단층fault 단층fault 22 1층/2층 set 층수1st/2nd floor set number of floors -- -- -- 3636 전체 적층수total number of layers 1One 1One 1One 7373 조성
(Wt%)
Furtherance
(wt%)
PBATPBAT 00 2020 -- 3030
PLAPLA 99.999.9 8080 9090 69.9369.93 PHAPHAs 00 00 1010 00 무기입자inorganic particles 0.10.1 -- -- 0.070.07 소음도
(dB)
noise level
(dB)
250Hz250Hz 62.762.7 -- 6161 -- 6464
500Hz500Hz 52.852.8 -- 51.151.1 -- 53.753.7 1000Hz1000Hz 59.159.1 -- 56.156.1 -- 59.059.0 2000Hz2000Hz 69.169.1 -- 65.865.8 -- 67.167.1 4000Hz4000Hz 7878 -- 73.873.8 -- 73.873.8 8000Hz8000Hz 77.377.3 -- 82.282.2 -- 71.771.7 등가소음도(dB)Equivalent noise level (dB) 81.281.2 8080 76.876.8 79.879.8 7878 평균 인장강도(kgf/mm2)Average tensile strength (kgf/mm 2 ) 15.2515.25 4.24.2 15.115.1 1010 27.527.5 평균 신율(%)Average Elongation (%) 134134 293293 111111 110110 136136 평균 영률(kgf/mm2)Average Young's modulus (kgf/mm 2 ) 384384 173173 339339 288288 397397 Haze(%)Haze (%) 1.51.5 2525 11.411.4 44 2.72.7

* 조성 중 비교예 1 및 비교예 4의 무기입자는 실리카임. * Among the compositions, the inorganic particle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4 are silica.

비교예 1은 PLA를 단독으로 사용한 필름으로, 80dB 이상의 등가소음도를 가져거 다소 시끄러운 특징이 있었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영률 값도 비교적 커서 필름의 유연성이 다소 떨어졌다. Comparative Example 1 was a film using PLA alone, and it was reconfirmed that it had an equivalent noise level of 80 dB or more and was somewhat noisy. The Young's modulus value was also relatively large, and the flexibility of the film was somewhat lowered.

비교예 2는 비교예 1과 달리 PLA에 PBAT를 블렌드한 수지를 사용한 필름으로, 유연성은 향상되었으나 등가소음도는 여전히 80dB를 유지하고 있어 큰 소음이 발생되었고, Haze값이 크게 상승했다. 이는 두 수지의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Unlike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is a film using a resin in which PLA is blended with PBAT, and the flexibility is improved, but the equivalent noise level is still maintained at 80 dB, so loud noise is generated and the Haze value is greatly increased.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poor usability of the two resins.

비교예 3은 PLA에 PHA를 블렌드한 수지를 사용한 필름으로, 영율은 300 kgf/mm2 이상으로 다소 유연성이 부족했고, Haze 값도 큰 편으로 평가되었다.In Comparative Example 3, a film using a resin blended with PLA and PHA had a Young's modulus of 300 kgf/mm 2 or more, which was somewhat lacking in flexibility, and had a high Haze value.

비교예 4는 비교예 3과 달리 PLA에 PHA를 블렌드하지 않고, PLA와 PBAT의 교대적층 구조를 사용한 필름으로, 다른 비교예에 비해 낮은 Haze 값을 가져 투광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다만 여전히 높은 등가소음도와 영률을 가지고 있다.Unlike Comparative Example 3, Comparative Example 4 is a film using an alternating layered structure of PLA and PBAT without blending PHA with PLA, and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light transmittance due to a lower Haze value than other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it still has a high equivalent noise level and Young's modulus.

실시예 들의 경우, 필름의 등가소음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Haze값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In the case of the examples, the equivalent noise level of the film tended to be lowe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aze value was low.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에서는 각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등가소음도가 80dB 이하이고, 영률이 300 kgf/mm2 이하임과 동시에 Haze는 10%를 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In Examples 1 to 4, it was confirmed that each polyester film had an equivalent noise level of 80 dB or less, a Young's modulus of 300 kgf/mm 2 or less, and a Haze of no more than 1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수진들은 모두 생분해성 수지로 제조되어, 생분해 특성과 함께 기존 생분해성 수지 필름의 단점이던 소음 발생 정도를 감소시켜 포장재 등으로 활용도를 향상시켰다.All of the resi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ade of biodegradable resin, and improved utilization as packaging materials by reducing the degree of noise generation, which was a disadvantage of existing biodegradable resin films, along with biodegradable properti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m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100: 폴리에스테르 필름
50: 적층체
52: 제1층
54: 제2층
70: 스킨층
10: 바
12: 고정부
14: 소음분석기
d: 거리
100: polyester film
50: laminate
52: first layer
54: second layer
70: skin layer
10: bar
12: fixing part
14: noise analyzer
d: distance

Claims (11)

폴리락트산계 수지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한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평균 등가 소음도가 78dB이하이고, 영률이 280 kgf/㎟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 first layer comprising a polylactic acid-based resin and a polyhydroxyalkanoate resin; And a second layer containing a terephthalate residue and an adipic acid residue; a polyester film comprising a laminated body in which a laminate is alternately laminated,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contains lactic acid residues,
The polyester film has an average equivalent noise level of 78 dB or less and a Young's modulus of 280 kgf / ㎟ or less in the evaluation of film noise level applied with rotation of 180 degrees at 800 rpm for 30 seconds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250 Hz에서 소음도가 63 dB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is 16 μm, the polyester film has a noise level of 63 dB or less at 25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헤이즈가 10%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ester film has a haze of 10% or less, a polyest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두께가 16 ㎛일 때, 상기 필름 소음도 평가에서 500 Hz에서 소음도가 53 dB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is 16 μm, the polyester film has a noise level of 53 dB or less at 500 Hz in the film noise level evalu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이 30 층 이상 교대적층된 것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laminate is a polyester film in which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are alternately laminated with 30 or more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는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를 더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hydroxyalkanoate resin further comprises a hydroxyalkanoate residue, a polyester fil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잔기를 1 내지 7 중량부로 포함하고,
상기 제2층은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코 테레프탈라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layer contains 1 to 7 parts by weight of the hydroxyalkanoate residu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The second layer comprises a polybutylene adipate co terephthalide resin, a polyest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의 두께의 비율은 1: 0.2 내지 1.5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1: 0.2 to 1.5, a polyester fil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스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은 상기 적층체의 일면 및 타면 상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킨층은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1수지; 및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According to claim 1,
The polyester film further comprises a skin layer,
The skin layer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aminate, respectively,
The skin layer may include a first resin containing lactic acid residue; And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 polyester film.
폴리락트산계 수지 및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제1층; 및 테레프탈레이트 잔기와 아디픽산 잔기를 포함하는 제2층;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상기 폴리락트산계 수지는 락트산 잔기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80 도의 회전을 800 rpm으로 30초 이상 적용해 필름 소음도 평가를 했을 때, 250 Hz, 500 Hz, 1000 Hz, 2000 Hz, 4000 Hz 및 8000 Hz에서의 소음도가 모두 80 dB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A first layer comprising a polylactic acid-based resin and a polyhydroxyalkanoate resin; And a second layer containing a terephthalate residue and an adipic acid residue; a polyester film comprising a laminated body in which a laminate is alternately laminated,
The polylactic acid-based resin contains lactic acid residues,
The polyester film has a noise level of 80 dB or less at 250 Hz, 500 Hz, 1000 Hz, 2000 Hz, 4000 Hz and 8000 Hz when the film noise level is evaluated by applying a rotation of 180 degrees at 800 rpm for more than 30 seconds, polyester film.
제1항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하는, 포장재.
A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the polyester film according to claim 1 .
KR1020220114862A 2022-09-13 2022-09-13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KR102563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62A KR102563804B1 (en) 2022-09-13 2022-09-13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US18/071,817 US20240092069A1 (en) 2022-09-13 2022-11-30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JP2023145662A JP2024041053A (en) 2022-09-13 2023-09-07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s
EP23196002.2A EP4338955A1 (en) 2022-09-13 2023-09-07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CN202311174389.7A CN117698253A (en) 2022-09-13 2023-09-12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62A KR102563804B1 (en) 2022-09-13 2022-09-13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804B1 true KR102563804B1 (en) 2023-08-04

Family

ID=8756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862A KR102563804B1 (en) 2022-09-13 2022-09-13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92069A1 (en)
EP (1) EP4338955A1 (en)
JP (1) JP2024041053A (en)
KR (1) KR102563804B1 (en)
CN (1) CN117698253A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44B1 (en) 2007-08-16 2009-06-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Biodegradable biaxially oriented laminate film
US20110244186A1 (en) * 2010-03-31 2011-10-06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and improved moisture barrier
US20110244185A1 (en) * 2010-03-31 2011-10-06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KR20120041974A (en) * 2010-10-22 2012-05-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Multi-layer biodegradable film
US20150132512A1 (en) * 2012-06-05 2015-05-14 Metabolix, Inc. Biobased Rubber Modified BioDegradable Polymer Blends
KR102404216B1 (en) 2021-07-30 2022-05-31 씨제이제일제당(주) Biodegradable packag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security pack and security method of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8795B2 (en) * 2001-03-27 2004-10-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olyhydroxyalkanoate copolymer and polylactic acid polymer compositions for laminates and films
JP2003276143A (en) * 2002-03-25 2003-09-30 Mitsui Chemicals Inc Multilayered film of aliphatic polyester
US20070014977A1 (en) * 2005-07-12 2007-01-18 Daniel Graney Multilayer Film
EP2698252A4 (en) * 2011-04-12 2014-12-03 Teijin Ltd Oriented laminated film
US9034983B2 (en) * 2012-03-01 2015-05-19 Saudi Basic Industries Corporation Poly(butylene-co-adipate terephthal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WO2014206996A1 (en) * 2013-06-27 2014-12-31 Futerro S.A. Multilayer film comprising biopolymers
KR20220114862A (en) 2021-02-09 2022-08-17 박철훈 Braille terminal for the visually impaire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44B1 (en) 2007-08-16 2009-06-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Biodegradable biaxially oriented laminate film
US20110244186A1 (en) * 2010-03-31 2011-10-06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and improved moisture barrier
US20110244185A1 (en) * 2010-03-31 2011-10-06 Toray Plastics (America), Inc. Biaxially oriented polylactic acid film with reduced noise level
KR20120041974A (en) * 2010-10-22 2012-05-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Multi-layer biodegradable film
US20150132512A1 (en) * 2012-06-05 2015-05-14 Metabolix, Inc. Biobased Rubber Modified BioDegradable Polymer Blends
KR102404216B1 (en) 2021-07-30 2022-05-31 씨제이제일제당(주) Biodegradable packaging, preparation method thereof, security pack and security method of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8955A1 (en) 2024-03-20
JP2024041053A (en) 2024-03-26
CN117698253A (en) 2024-03-15
US20240092069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1786B1 (en) Biodegradable layered sheet
EP2059390B1 (en) Multilayered aliphatic polyester film
JP4794187B2 (en) Film cutter and storage box with film cutter
JP5819432B2 (en) Multilayer biodegradable film
TWI265869B (en) Reflecting film
JP4210492B2 (en) Biodegradable film and biodegradable bag comprising the film
JP4167107B2 (en) Polylactic acid biaxially stretched laminated film
JP2005053223A (en) Aliphatic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KR102563804B1 (en) Polyester film and packaging material
KR100612149B1 (en) Polyester film of superior antibiosis and heat seal
JP4543313B2 (en) Polyester film
JP5074215B2 (en) Biaxially oriented laminated film
JP3754840B2 (en) Multi-layer polyester sheet and packaging container
KR102662486B1 (en) Multilayer barrier film and packing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JP4694822B2 (en) Reflective film
KR102625876B1 (en) Multi-layer biodegradable film, preperation method thereof, and environment-friendly packing material comprising same
JP2004202844A (en) 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laminate excellent in weatherability
JPWO2018020888A1 (en) White polylactic acid resin layer, laminate, card substrate, card, and white polylactic acid resin layer production method
JP200618179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biodegradable laminated film
JP2024511750A (en) Biaxially stretched films, laminate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the films
JP2001011209A (en) Packaging film, packaging material and packaging bag
CN117222527A (en) Biaxially stretched film, laminate and environment-friendly packaging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20230127586A (en) Multilayer barrier film and packing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JP5018947B2 (en) White polylactic acid film
JP2001038866A (en) Laminated polyester film with gas barrier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