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522B1 -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522B1
KR102562522B1 KR1020200087590A KR20200087590A KR102562522B1 KR 102562522 B1 KR102562522 B1 KR 102562522B1 KR 1020200087590 A KR1020200087590 A KR 1020200087590A KR 20200087590 A KR20200087590 A KR 20200087590A KR 102562522 B1 KR102562522 B1 KR 10256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water
extraction unit
bever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9191A (en
Inventor
김형석
권승환
복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riority to KR102020008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522B1/en
Publication of KR2022000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5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4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a cartridge, e.g. having grooves or protrusions to separate cartridge from the bottom of the brew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취수코크를 포함하는 출수유닛 및 상기 필터에서 정수된 물이 유동하면서 음료가 추출되는 캡슐이 수용되는 캡슐수용부가 구비되는 추출유닛을 포함한다.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equipped with a filter for purifying supplied raw water, a water outlet unit including a water intake cock for providing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to the user, and a beverage is extracted while the water purified by the filter flows. and an extraction unit provided with 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a capsule is accommodated.

Description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Coke housing module for extracting capsule beverage and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캡슐이 추출되는 경우에도 각 음료가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음료 본연의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ke housing module for extracting a capsule beverage and an apparatus for extracting a capsule beverag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maintain the original taste of the beverage by preventing each beverage from being mixed even when different types of capsules are extracted.

최근 분말상의 커피가 담긴 커피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액상의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이 커피를 마시는 새로운 타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른 다양한 캡슐커피 추출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Recently, a method of extracting liquid coffee by supplying hot water to coffee capsules containing powdered coffee has been widely used as a new type of drinking coffee, and various capsule coffee extraction devices have been disclosed accordingly.

그리고 캡슐커피 역시 다양한 맛과 향을 가지는 많은 종류가 사용자들에 판매가 되고 있다. In addition, many types of capsule coffees with various tastes and flavors are sold to users.

특히 최근에는 커피 이외에 차 등을 유사한 방식으로 추출하여 마시는 방식 및 이러한 장치 역시 판매가 되고 있다. In particular, recently, a method of extracting and drinking tea in a similar manner in addition to coffee and such devices are also being sold.

그러나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사용자에 제공되는 경로가 하나이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맛 또는 풍미를 가지는 캡슐을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경우 미세하게 맛이 섞이게 되고, 캡슐이 제공하고자 하는 본연의 맛 또는 풍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only one route, if capsules having different types of tastes or flavors are continuously extracted, the tastes are finely mixed, and the original taste or flavor that the capsule intends to provide is not lost to the user. The problem is that it cannot be provided to

나아가 커피와 차의 경우 전혀 다른 형태의 음료이기 때문에 하나의 추출장치에서 커피와 차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통한 추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Furthermore, since coffee and tea are completely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extraction through different types of capsules such as coffee and tea is not possible in one extraction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002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400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유동하는 경로를 다르게 제공하여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캡슐을 범용적으로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 캡슐음료 추출용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ifferent flow path for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to extract a capsule beverage that can be extract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 capsules universally and includes the same To provide a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은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유동하는 제3유동홀 및 제4유동홀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는 각 유동홀에서 유입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배출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이 형성되는 코크 하우징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ke housing module for extracting a capsule bever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formed with a third flow hole and a fourth flow hole through which a beverage extracted from a capsule flows, and flows through each flow hole disposed below the plate. It includes a coke housing in which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in which beverages are discharged are formed.

그리고 상기 2개의 유동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있고, 상기 코크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크팁을 포함할 수 있다. And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two flow holes, and may include a cock tip detachably coupled to the coke housing.

한편,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이 공간과 각각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홀이 형성되는 추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홀에 끼워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part of the coke housing, an extraction protrusion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wo spaces, and two water outlet holes are formed in the front, and can be fitted into the water outlet holes.

또한,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부가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detachab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ke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two spaces, and having two water outlets formed in the front.

한편,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장치는 상기 설명한 코크하이중 모듈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the above-described coke high middle module.

그리고 상기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는 어느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3유동홀에 대응되는 제1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캡슐수용부는 다른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4유동홀에 대응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of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wherein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s any one type of capsule and corresponds to the third flow hole A first flow hole may be formed,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may accommodate another type of capsule, and a second flow hol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low hole may be formed.

그리고 추출유닛의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 및 상기 제2캡슐수용부가 삽입되었음을 인지하여 삽입되는 제1캡슐수용부 또는 제2캡슐수용부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의 제1유동홀 및 상기 제2캡슐수용부의 제3유동홀을 인지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further comprising an input means for manipulating the extrac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ate, wherein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art or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recognizes that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are inserted and is inserted. Part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hall sensor for recognizing the first flow hole of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flow hole of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하우징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A coke housing module for extracting a capsule beverage and a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더라도 각 캡슐 고유의 음료의 맛이 섞이지 않게 음료의 추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First, even if different types of capsules are used, it is possible to extract beverages without mixing the unique beverage tastes of each capsule.

둘째, 코크하우징의 출수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자의 간편한 교체 또는 세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outlet of the coke housing is formed to be replaceabl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ace or wash it.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음료 추출장치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시제품 사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6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추출유닛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 및 커피캡슐수용부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하우징 돌출부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을 통한 음료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에서 코크팁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추출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 및 본체 사이의 배관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정수기의 추출유닛 및 출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8는 도21의 분해사시도;
도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의 시제품 사진;
도3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인 도29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의 다른 실시예의 배관 및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6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2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37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3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kitche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raction uni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of a prototype of an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io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extractio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ceiving a capsule in the capsule accommod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psule is accommodated in a capsule accommod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capsule in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ea capsule receiving portion and the coffee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state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tea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state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coffee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protrus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verage discharging process through the coke housing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coke tip from the coke housing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cok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that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wire connect the extraction unit and the main bod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mmodating a connector of a connecting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ip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ction unit and the main body and the flow of wat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cept in which a water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kitchen;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on unit and a water extraction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1;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photograph of a prototype of a modified exampl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wir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of the pip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low of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of pipes and the flow of water in Fig. 29, which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pipes and fluid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6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the water extraction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7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ody, the water extraction unit and the extraction uni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through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can be easily proposed, but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도1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캡슐음료 추출장치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장치는 본체(100), 추출유닛(200),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을 포함한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kitchen. Referring to Figure 1,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extraction unit 200, a connecting pipe 30 and a connecting wire 40.

공지된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경우 별도의 물통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을 직접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부에서 주방으로 공급되는 급수원의 물을 정수하고, 정수된 물을 이용하여 캡슐음료를 추출한다. In the case of a known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 separate water container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directly supplies water to extract the beverage, whereas 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from a water supply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kitchen is purified, and the purified water is used to extract the beverage. Extract capsule beverage.

그리고 정수를 위한 필터 등이 구비된 본체(100)와 캡슐(c)이 수용되는 추출유닛(200)이 분리된 상태로 구성하여, 추출유닛(20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size of the extraction unit 200 can be minimized by configuring the main body 100 equipped with a filter for purified water and the extraction unit 200 accommodating the capsule c in a separated state.

나아가 후술하는 것과 같이 냉수, 온수, 정수 등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출수유닛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디자인적 일체감이 있는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을 모듈 형태로 포함한 정수기 형태로 구성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Furthermore, as described later, when a separate water outlet unit for supplying cold water, hot water, purified water, etc. is provided, the user may configure a water purifier that includes a water outlet unit and an extraction unit with a sense of design unity in a modular form. . Details abo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나아가 본체(100)는 싱크대의 하부에 추출유닛(200)은 싱크대의 상부 또는 아일랜드 식당 등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rthermore, the main body 100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by placing the extraction unit 200 at the top of the sink or at a location desired by the user, such as an island restaurant.

한편,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일랜드 식탁에 설치되는 경우,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급수관이 제공되는 경우 본체(100)를 아일랜드 식탁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지만, 급수관이 싱크대의 하부에만 제공되는 경우, 본체(1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본체(100)와 추출유닛(200)을 연결하는 배관(30) 및 전선(40)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부재(1)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nstalled on an island table as shown in FIG. 1, when a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sland table, the main body 10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island table, but when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 The body 100 may be disposed under the sink, and may be provided with a shielding member 1 for shielding the pipe 30 and the wire 40 connecting the body 100 and the extraction unit 200. .

그리고 도1에서의 본체(100)의 경우 출수기능이 없지만, 도2에서와 같이 본체(100')는 출수기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1에서와 같이 본체(100) 및 출수유닛(200)을 같이 선택하지 않고, 출수유닛(200)만을 선택하는 경우 기존의 정수기 형태의 본체(100')에 출수유닛(200)을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100 in FIG. 1, there is no water extraction function, but as in FIG. 2, the main body 100' may have a water extraction function.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only the water extraction unit 200 without selecting both the main body 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200 as shown in FIG. 1, the water extraction unit 200 ) can be connected.

이 경우 연결배관은 정수기 형태의 본체(100')의 과일 등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 라인에 연결되거나, 정수가 출수되는 라인에 연결되어 정수기에서 정수된 물로 음료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ipe may be connected to a washing water line for washing fruits or the lik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orm of a water purifier, or connected to a lin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so that a beverage may be extracted with purified water from the water purifier.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시제품 사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시예의 추출유닛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io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ototype photo of the extractio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tractio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extraction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내지 도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진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추출유닛(200)의 하부에 컵 또는 받침대(260)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3 to 6, the extraction unit 200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n upper part of the cylindrical shape is inclined forward. Accordingly, a space in which the cup or pedestal 260 can be located is formed under the extraction unit 200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은 베이스(210), 하우징(220), 조작부(230), 고정부(240), 캡슐수용부(250), 받침대(260)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extraction unit 20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210, a housing 220, a control unit 230, a fixing unit 240, a capsule receiving unit 250, and a pedestal 260.

베이스(210)는 전체 추출유닛(200)의 하부구조를 형성한다. 베이스(210)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점에 고정이 되는 방식이 채택된다. The base 210 forms the lower structure of the entire extraction unit 200 . The base 21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so that the user can place it in a desired position, as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but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being fixed to a point selected by the user is adopted.

도5를 참조하면, 싱크대 등의 설치위치에 관통구(H)를 타공하고, 관통구(H)를 통과하여 고정부(240)와 결합이 되면서 설치위치에 고정이 된다. Referring to FIG. 5, a through-hole (H) is drilled at an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a sink, and the through-hole (H) passes through and is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240 to be fixed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베이스(210)와 고정부(240) 사이의 체결에는 다양한 구조 또는 방식이 채택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베이스(210)의 하부에는 관통구(H)에 삽입되는 돌기(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211)와 고정부(24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베이스(210)가 설치 위치에 고정이 된다. Although various structures or methods may be adopted for fastening between the base 210 and the fixing part 240, a protrusion 211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H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ase 210 in this embodiment. do. In addition, the base 210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screwing between the protrusion 211 and the fixing part 240 .

한편, 베이스(210), 돌기(211) 및 고정부(240)에는 후술하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이 추출유닛(200)의 외부로 내부에 노출되도록 내부에 상, 하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배관(30), 연결전선(40) 및 본체(100)는 싱크대의 하부에 배치되고, 추출유닛(200)만 싱크대의 상부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노출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210, the protrusion 211 and the fixing part 240 pass through the top and bottom of the inside so that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traction unit 200. space is formed.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ipe 30, the connection wire 40, and the main body 100 are disposed under the sink, and only the extraction unit 200 is exposed at the top of the sink at a position selected by the user.

하우징(220)은 베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전체적인 출수유닛(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캡슐음료의 추출을 위한 공지의 다양한 부품을 수용한다. 즉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의 캡슐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housing 2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210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200 and accommodates various well-known parts for extracting capsule beverages. That is, a structure capable of extracting capsule beverages in various known ways may be adopted inside the housing 220 .

구체적으로 하우징(220)은 상부가 절곡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220)은 추출유닛(200)의 측면 및 상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의 하우징은 추출유닛(200)의 측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원기둥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조작부(230)가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housing 2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portion bent. That is, the housing 220 may form the side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200, but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forms the side surface of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ylinder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230 to be described later.

하우징(220)은 전면하우징(221) 및 후면하우징(222)을 포함할 수 있고, 전면하우징(221)에는 후술하는 캡슐수용부(2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홀(221b)이 전면에 형성되고, 하부에 후술하는 코크팁(272)이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는 돌출부(221a)가 형성된다. The housing 220 may include a front housing 221 and a rear housing 222, and an opening hole 221b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221 so that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protrusion 221a forming a surface on which a cock tip 272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is formed at the bottom.

조작부(230)는 전면하우징(221) 및 후면하우징(222)의 상면 개구된 부분에 설치되어 전체 추출유닛(200)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조작부(230)에는 추출유닛(200)의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trol unit 230 is installed on the upper open portions of the front housing 221 and the rear housing 222 to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entire extraction unit 20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30 may have an input means for operating the extraction unit 200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tate.

도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에 캡슐이 수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coffee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coffee capsule receiv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It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capsule is accommodated in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uni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캡슐수용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캡슐(c)(예를 들어 커피, 차 등)이 수용되고, 하우징(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수용되는 캡슐의 종류에 따라서 복수 개의 캡슐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피, 차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 각 종류에 대응되는 캡슐수용부를 사용하여 음료의 맛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and 9, various types of beverage capsules (c) (eg, coffee, tea, etc.) are accommodated in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220. In addition,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units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apsules to be accommodated. Therefore, when using different types of capsules such as coffee and tea, the user can prevent the flavors of beverages from being mixed by using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each type.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가 구비되고, 제1캡슐수용부는 커피캡슐이 수용되는 커피캡슐수용부(250)이고, 제2캡슐수용부는 차캡슐이 수용되는 차캡슐수용부(250')인 것으로 설명을 한다.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wo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and a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re provided,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is a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in which coffee capsules are accommodated, and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s tea capsules.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a tea capsule receiving portion 250 '.

한편 또 다른 종류의 음료나 다양한 종류의 차 캡슐 사용시 맛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캡슐수용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ree or more capsule accommodating units may be provided to prevent flavors from being mixed when us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or various types of tea capsule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수용부(250, 250')의 개수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추출플레이트(280)에도 2개의 배출홀(280a, 280b)가 형성되고, 코크하우징(270)의 내부에도 2개의 공간(S1, S2)이 형성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wo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are also formed in the extraction plate 280 to be described lat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250 and 250', and also inside the coke housing 270. Two spaces S1 and S2 will be formed.

캡슐수용부(250,250'))는 하우징(220)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하우징(221)에 형성된 개구홀(221b)를 통하여 하우징(220)에 결합된다.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250 and 250' may be coupled to various positions of the housing 220, but in this embodiment, they are coupled to the housing 220 through an opening hole 221b formed in the front housing 221.

캡슐수용부(250, 250')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체적으로 동일하지만, 캡슐(c)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홀(252a, 252b)이 형성된 위치가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피캡슐수용부(250)에는 제1배출홀(252a)이 왼쪽에 되어 후술하는 제3배출홀(280b)을 통하여 제2공간(S2)로 유동한다. 그리고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캡슐수용부(250')에는 제2배출홀(252b)이 오른쪽에 배치되어 제4배출홀(280a)을 통하여 제1공간(S1)으로 유동한다. Although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250 and 250' is generally the sam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ocation of the discharge holes 252a and 252b through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c is discharge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first discharge hole 252a is on the left side of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and flows into the second space S2 through the third discharge hole 280b to be described later. And, as shown in FIG. 8, the second discharge hole 252b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and flows into the first space S1 through the fourth discharge hole 280a.

한편, 제1배출홀(252a) 및 제2배출홀(252b)의 위치를 제외한 커피캡슐수용부(250) 및 차캡슐수용부(25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 커피캡슐수용부(25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and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except for the positions of the first discharge hole 252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52b are the same,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 250) is described as a standard.

커피캡슐수용부(250)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캡슐(c)를 넣거나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재(251), 베이스부재(252), 수용부재(253) 및 추출부재(254)를 포함한다.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may adopt various structures in which the user can conveniently insert or remove the capsule (c), and in this embodiment, the housing member 251, the base member 252, the accommodating member 253 ) and an extraction member 254.

하우징부재(251)는 커피캡슐수용부(250)가 삽입되는 개구홀(221b)를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캡슐수용부(250)가 개구홀(221b)를 통하여 하우징(220)에 결합이 되는 경우 하우징(220)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The housing member 251 serves to shield the opening hole 221b into which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is inserted. Therefore, when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is coupled to the housing 220 through the opening hole 221b, it forms a part of the exterior of the housing 220.

그리고 하우징부재(251)에는 해당 캡슐수용부(250,250')가 커피캡슐수용부(250)인지 차캡슐수용부(250')인지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문양 등의 표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도10 참조).In addition, the housing member 251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of various patterns to confirm whether the corresponding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s 250 and 250' are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or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FIG. 10). reference).

베이스부재(252)는 추출부재(254) 캡슐(c)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부재(251)의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The base member 252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member 25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extract member 254 capsule (c) can be located.

그리고 베이스부재(252)의 상면은 후술하는 추출부재(25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추출부재(254)를 통과한 추출음료가 하부로 유동할 수 있는 제1배출홀(252a)가 형성된다(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차캡슐수용부(250')에는 제2배출홀(252b)가 형성될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52 may be recessed so that an extraction member 254 described later may be inserted, and a first discharge hole 252a through which the extracted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extraction member 254 may flow downward. ) is formed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scharge hole 252b will be formed in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추출부재(254)는 베이스부재(252)의 상면에 위치하고, 캡슐(c)의 상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돌기(254b) 및 캡슐(c)에서 추출된 음료가 배출되는 추출홀(2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슐(c) 내부 음료의 효과적인 추출을 위하여 돌기(254b) 및 추출홀(254a)는 다수개가 캡슐(c) 상면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The extraction member 254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ember 252, and has a projection 254b for forming a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c) and an extraction hole 254a through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c) is discharged. is formed In addition, for effective extraction of the beverage inside the capsule (c), a plurality of protrusions 254b and extraction holes 254a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c).

수용부재(253)는 베이스부재(2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캡슐(c)이 수용되는 공간(253a)이 형성되며, 캡슐(c)의 하부가 노출되는 홀(253b)이 형성된다. The accommodating member 253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ase member 252, a space 253a accommodating the capsule c is formed, and a hole 253b through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c is exposed is formed.

즉, 사용자는 추출부재(254)의 상면에 캡슐(C)를 올려놓은 수용부재(253)를 회전시킴에 따라 캡슐(C)이 수용부재(253) 내부의 공간(253a)에 위치하게 된다. That is, as the user rotates the accommodating member 253 on which the capsule C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traction member 254, the capsule C is located in the space 253a inside the accommodating member 253.

그리고 수용부재(253)의 홀(253a)을 통하여 캡슐(c)의 상부에 구멍이 뚫리면서 캡슐(c)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추출된 음료는 추출부재(252)의 돌기(254b)에 의하여 뚫린 캡슐(c) 상면의 구멍 및 추출홀(254a)을 통하여 배출된다. In addition, water is supplied into the capsule (c) while a hole is dri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apsule (c) through the hole (253a) of the accommodating member (253). And the extracted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sule (c) punctured by the projection (254b) of the extraction member (252) and the extraction hole (254a).

도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 및 커피캡슐수용부의 전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차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캡슐수용부가 결합된 경우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Figure 10 is a view showing the front of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state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display state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coffee capsul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캡슐음료추출장치에서는 차 또는 커피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을 사용하는 경우의 각 음료의 맛이 썩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료의 종류별로 다수의 캡슐수용부를 구비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apsule accommodating units for each type of beverage to prevent the taste of each beverage from spoiling when different types of capsules such as tea or coffee are us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캡슐수용부(250) 및 차캡슐수용부(25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캡슐수용부(250, 250')가 삽입되었음을 홀센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지를 하고, 조작부(23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각 캡슐의 추출방식 등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a coffe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and a tea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are provid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each of the capsule accommodating units 250 and 250' has been inser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hall sensor, and to provide the user with a method for extracting each capsule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manipulation unit 230.

도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하우징 돌출부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을 통한 음료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에서 코크팁이 분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protrusion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verage discharging process through the coke housing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oke tip is separated from the coke housing of the embodiment.

도13 내지 도15을 참조하면, 하우징(220)에 수용되는 캡슐수용부(250)의 하부에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이 형성된 플레이트(280)이 구비된다. 따라서 캡슐수용부(250)에서 배출되는 음료는 배출홀(280a, 280b)를 통과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3 to 15 , a plate 280 having two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20 . Therefore,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배출홀(280a, 280b)은 3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이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Three or more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may be provided, but in this embodiment, two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are formed.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재(281)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재(281)는 2개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선택된 배출홀(280a, 280b)를 차폐한다. 결국 캡슐수용부(250)에서 배출되는 음료는 사용자가 선택한 배출홀(280a, 280b)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281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two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20 . Two opening and closing members 281 are provided and shield the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selected by the user. As a result,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capsule receiving unit 250 moves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selected by the user.

한편, 개폐부재(281)로는 배출홀(280a, 280b)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개폐부재(281)는 상, 하 이동하면서 배출홀(280a, 280b)를 차폐하는 개폐부(281a), 개폐부(281a)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탄성부(281b)를 포함한다. Meanwhil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may be adopt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81 . Specifically,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81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81a for shielding the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while moving up and down, and an elastic portion 281b for resto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81a to its original position. includes

그리고 개폐부(281)의 상, 하 이동에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수용부(250, 250')에 각각 형성된 제1배출홀(252a) 및 제2배출홀(252b)를 통하여 추출되는 음료의 압력을 통하여 개폐부(281a)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Further, although a separate driving unit may be provided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281 up and dow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discharge hole 252a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252b formed in the capsule accommodating units 250 and 250', respectively. ) Through the pressure of the beverage extracted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281a) is moved to the lower.

즉, 캡슐(C)의 추출을 통하여 가압되어 배출되는 음료는 하우징에 결합된 캡슐수용부(250,250')의 종류에 따라 제1배출홀(252a) 또는 제2배출홀(252b)로 가압된 상태로 배출이 되게 된다. That is, the pressurized beverage discharged through extraction of the capsule C is pressuriz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252a or the second discharge hole 252b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250 or 250' coupled to the housing. will be emitted with

따라서 제1배출홀(252a)를 통하여 가압된 음료가 배출되는 경우 제3배출홀(280b)를 차폐하는 개폐부(281a)가 하부로 이동을 하면서 제3배출홀(280b)을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제2배출홀(252b)를 통하여 가압된 음료가 배출되는 경우 제4배출홀(280a)을 차폐하는 개폐부(281a)가 하부로 이동을 하면서 제4배출홀(280a)를 개방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pressurized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hole 252a, the third discharge hole 280b is opened while the opening/closing portion 281a shielding the third discharge hole 280b moves downward. And when the pressurized beverage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hole 252b, the fourth discharge hole 280a is opened while the opening/closing portion 281a shielding the fourth discharge hole 280a moves downward.

코크하우징(270)은 선택된 배출홀(280a, 280b)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는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The coke housing 270 supplies the beverage moving downward through the selected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to the user.

코크하우징(270)의 내부에는 음료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는 2개의 배출홀(280a, 280b)이 구비되므로 각 배출홀(280a, 280b)에서 배출되는 음료의 이동경로가 중복되지 않도록 코크하우징(270) 내부의 격벽(27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271)에 의하여 코크하우징(270) 내부의 공간은 2개의 공간(S1, S2)으로 구획된다. Inside the coke housing 270 is formed a receiving space in which beverages are accommodated. In this embodiment, since two discharge holes 280a and 280b are provided, a partition wall 271 inside the coke housing 270 is formed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each discharge hole 280a and 280b does not overlap. In addition, the space inside the coke housing 270 is divided into two spaces S1 and S2 by the partition wall 271 .

따라서 2개의 추출홀(280a, 280b)에서 배출되는 음료는 경로가 중복되지 않도록 각 공간(S1, S2)를 통하여 코크팁(272b)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Therefore, the beverage discharged from the two extraction holes 280a and 280b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coke tip 272b through the respective spaces S1 and S2 so that the paths do not overlap.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서로 다른 종류의 캡슐(c)(예를 들어, 커피캡슐과 차캡슐)을 동시에 사용을 하여 음료를 추출하더라도 서로 경로가 중복되지 않아 세척을 하지 않더라도 맛이 썩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uses different types of capsules (c) (eg, coffee capsules and tea capsules) at the same time to extract the beverage, the paths do not overlap each other, so even if not washed, the taste is not spoiled. can do.

한편,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코크팁(272b)은 하우징(220) 돌출부(221a)의 하부로 노출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크팁(272b)를 분리하여 교체 또는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cock tip 272b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20 protrusion 221a.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replace or clean the cock tip 272b by separating it.

코크팁(272b)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코크하우징(270)의 저면에 돌출돌기(272a)가 형성되고, 코크팁(272b)는 상기 돌기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한다. The caulk tip 272b may adopt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or combined by the user, and in this embodiment, a protrusion 272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ulk housing 270, and the caulk tip 272b is Adopts a structure screwed to the protrusion.

그리고 돌출부(221a)의 저면, 코크팁(272b)의 둘레에는 음료가 추출되는 과정에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부(223)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shielding portion 223 may be formed arou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221a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ck tip 272b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scattering during extraction.

도16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코크하우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한 코크하우징의 변형예들의 경우 음료의 전체적인 추출과정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16 to 19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a cok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modifications of the coke housing described below, the overall extraction process of the beverage is the same, so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도16 및 도1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코크하우징(1270)의 하부에는 상부의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홀이 형성된 추출돌기(12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추출돌기의 2개의 출수홀에 끼워지는 커버(1272b)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ures 16 and 17, the bottom of the coke housing 1270 of this modified examp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two spaces, the extraction projection (1272a) formed with two water outlet holes in the front is formed. In addition, a cover 1272b fitted to the two water outlet holes of the extraction protrusion is provided.

커버(1272b)는 위생성, 결합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실시예에서의 코크하우징(270)과 같이 하우징(220)의 돌출부(221a)의 하부로 커버(1272b)가 노출이 되고, 사용자는 커버(1272b)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1272b is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hygiene, ease of coupling, and the like. And, like the cock housing 270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ver 1272b is exposed to the lower part of the protrusion 221a of the housing 220, and the user can easily replace or separate the cover 1272b for cleaning. There will be.

도18 및 도19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코크하우징(2270)의 하부에는 상부의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부가 형성된 노즐(2272)이 코크하우징(227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18 and 19, the lower part of the coke housing 2270 of this modification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two spaces, and the nozzle 2272 formed with two water outlets in the front is detachable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ke housing 2270. possibly combined

그리고 노즐(2272)는 하우징(220)의 돌출부(221a)의 하부에 노출이 되고, 사용자는 노즐(2272)를 간편하게 교체 또는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을 것이다. Also, the nozzle 2272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221a of the housing 220, and the user can easily replace or separate the nozzle 2272 for cleaning.

도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이 추출유닛 및 본체를 연결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연결전선의 연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connecting pipe and connecting wire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raction unit and the main body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nnection, and FIG. 23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mmodating a connector of a connection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내지 도2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추출유닛(200)과 연결배관(30) 및 전선(4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0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필터 등이 수용된다. 특히 후술하는 것과 같이 추출유닛(200)과 함께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수유닛(300)이 함께 본체(100)에 연결되는 경우 본체(100)에는 정수, 온수, 냉수 등 정수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추가적인 부품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ures 20 to 23,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connection pipe 30 and wire 40. In addition,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body 100 to accommodate various types of filters therein. In particula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water extraction unit 300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water purifier together with the extra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performs general functions of a water purifier such as water purification, hot water, and cold water. Additional parts may be provided to do so.

특히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101)의 경우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체(100)의 전면에 위치하고, 전면커버(102)를 분리한 다음 교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filter 101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it should be replaced periodically. Therefore, it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and can be replaced after removing the front cover 102.

본체(1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110), 연결전선결합부(120), 배수배관결합부(130), 원수배관결합부(14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사용자가 추출유닛(200)의 위치 및 본체(100)의 위치를 주방에 상황에 맞게 선택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0, a connection wire coupling part 120, a drain pipe coupling part 130, and a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140.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loca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location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 to the kitchen situation.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따라 본체(100)와 출수유닛(200) 사이의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100)와 원수공급원과의 거리 및 본체(100)와 배수구와의 거리 역시 달라지게 된다.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200 va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raw water supply sour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drain also vary.

이러한 조건에서 정수기 설치작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본체(200)에는 연결배관결합부(110), 연결전선결합부(120), 배수배관결합부(130), 원수배관결합부 (140)가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를 설치과정에서 작업자는 사용자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의 위치를 결정하면, 상기 거리에 따라 배관 및 전선 등의 거리를 결정하고, 본체에 배관 및 전선 등을 결합시키는 작업만으로 간단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order to effectively install the water purifier under these conditions, the body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0, a connection wire coupling part 120, a drain pipe coupling part 130, and a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140. . Therefor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the operator determines the distance of pipes and wire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attaches the pipes and wires to the main bod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to install by simply connecting.

물론 물이 유동하는 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배관결합부(110), 배수배관결합부(130), 원수배관결합부(140)의 경우 결합시 누수가 되지 않는 구성을 채택하여야 할 것이다.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0, the drain pipe coupling part 130, and the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140 to which the pipes through which water flows are connected, a configuration that does not leak during coupling should be adopt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결합부(110)는 정수연결배관결합부(111)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112)을 포함한다. 연결전선결합부(120)는 신호전선결합부(121) 및 전기전선결합부(122)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1 and a drain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2. The connection wire coupling portion 120 includes a signal wire coupling portion 121 and an electric wire coupling portion 122 .

연결배관(30)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연결되고,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를 유동하는 물이 흐른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배관(30)은 정수연결배관(31) 및 배수연결배관(32)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pipe 30 is connected between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and water flowing between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flows. Specifically, the connection pipe 3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31 and a drain connection pipe 32.

연결배관(30)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나, 사용자가 선택한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의 위치에 따른 길이 및 연결 후 누수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nnection pipe 30 may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between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but there is no leakage after the length and conne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selected by the user.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at it should not.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위치결정에 따라 연결배관(30)의 길이가 결정되고, 연결배관(30)의 양측에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에 결합을 위한 고정구를 결합한 다음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에 결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ipe 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of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by the user, and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ipe 30. After combining the fixture for coupling, it will be able to be coupled to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200)에 충분한 길이의 연결배관(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제공이 된다. 그리고 설치과정에서 사용자의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의 위치결정에 따라 결정된 길이로 자른 다음 끝단에 연결구(34)를 결합시키고, 본체(100)의 정수연결배관결합부(112) 및 배수연결배관결합부(113)에 각각 결합을 시키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pipe 30 having a sufficient length is coupled to the extraction unit 200. And in the installation process, after cutting to the length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ing of the user's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or 34 is coupled to the end, and the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12 of the main body 100 and It is coupled to the drain connection pipe coupling portion 113, respectively.

연결전선(40)은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연결되어,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각 부품에 제어적인 신호와 전기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전선(40)는 전원연결전선(41) 및 신호연결전선(42)을 포함한다. 그러나 설계과정에 따라 하나의 전선이 연결전선이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연결전선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connection wire 40 is connected between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and supplies control signals and electricity to each part distributed and disposed in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Specifically, the connection wire 4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power connection wire 41 and a signal connection wire 42. However, depending on the design process, one wire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wire or three or more connection wires may be provided.

연결전선(40)도 연결배관과 마찬가지로 설치과정에서 길이가 선택이 되어야 할 것이고,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사이에 효과적으로 연결되지 위한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nection wire 40 will also have to be selected in length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like the connection pipe, and various structures for effectiv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may be adopted.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200) 및 본체(100) 각각에서 연결전선(40)이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연결구(43)가 결합되고, 각 연결구가 체결됨에 따라 연결이 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on wire 40 is extended from each of the extraction unit 200 and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or 43 is coupled to the extended end, and the connection is made as each connector is fastened.

한편, 연결전선(40)은 배수배관(30)과 달리 추출유닛(100) 및 본체(200) 사이에서 연결구에 의하여 체결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구(43)를 수용하는 하우징(4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44)의 내부에는 연결구(43)의 형태에 대응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연결구(43)는 하우징(44)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이 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rain pipe 30, the connection wire 40 is fastened between the extraction unit 100 and the main body 200 by a connector.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44 accommodating the connector 43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n accommoda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or 43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44, and the connector 43 is received and fixed inside the housing 44.

일반적으로 연결구(43)가 싱크대 하부 공간 등에 위치하는 바, 싱크대 하부 등의 누수 등이 발생을 하더라도 하우징(44)은 연결구(43)가 누수에 노출되어 누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In general, since the connector 43 is located in a space under the sink, the housing 44 functions to prevent leakage due to the connector 43 being exposed to water leakage even if a leak occur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ink.

한편, 본 발명의 캡슐음료 추출장치는 원수배관(50) 및 배수배관(60)을 더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aw water pipe 50 and a drain pipe 60.

원수배관(50)의 일단은 본체(100)의 원수배관결합부(1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주방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된다. 그리고 배수배관(60)의 일단은 본체(100)의 배수배관결합부(13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배수구에 결합된다. One end of the raw water pipe 50 is coupled to the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14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aw water supply source of the kitchen. And one end of the drain pipe 60 is coupled to the drain pipe coupling portion 130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도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출유닛 및 본체 사이의 배관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ipe connection between the extraction unit and the main body and the flow of wa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4을 참조하면, 원수배관(50)을 통하여 본체(100)로 유입되는 물은 필터(101)을 거치면서 정수가 되게 된다. 그리고 정수연결배관(31)을 통하여 본체(100)에서 추출유닛(200)으로 유입된다. Referring to FIG. 24 , water flowing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raw water pipe 50 become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01 . And purified water flows into the extraction unit 200 from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31.

추출유닛(200)으로 유입된 물은 펌프(280)를 통하여 가압된 상태로 캡슐수용부(250)로 들어간다. 그리고 캡슐수용부(250) 내부에 위치하는 캡슐(c)의 음료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료는 코크하우징(27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extraction unit 200 enters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250 in a pressurized state through the pump 280 . Then, the beverage of the capsule (c) located inside the capsule accommodating part 250 is extracted, and the extracted beverage passes through the coke housing 270 and is supplied to the user.

그리고 펌프를 통한 가압과정에서 여분의 물은 배수연결배관(32)을 통하여 추출유닛(200)에서 본체(100)로 유입되고, 배수배관(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pressurization through the pump, excess water flows from the extraction unit 200 to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drain connection pipe 3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60.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이 주방에 설치되는 개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출수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2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 water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stalled in a kitchen, and FIG. 2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5 및 도26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은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를 덮는 커버유닛(29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정수기의 전체적인 구성 및 물의 유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25 and 26, the extraction unit 200' of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ver unit 290 covering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Also, since the overall configuration and flow of water of the water purifier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below.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면, 해당 지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타공을 한다. 그리고 관통구(H)를 통하여 추출유닛(100)과 고정구(14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추출유닛(200)을 고정한다(도5 참조).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user determines a desired position, a through-hole (H) is drilled in the upper plate of the sink at the corresponding point. Then, the extraction unit 200 is fixed by fastening the extraction unit 100 and the fixture 140 through the through hole H (see FIG. 5).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정수기를 철거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출유닛(200)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 관통구(H)가 노출이 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싱크대의 상판의 경우 원목, 대리적 등으로 제작되어 복원이 쉽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싱크대 상판의 타공을 꺼려하는 경우에 있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or when the loca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needs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existing through-hole H is expos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top plate of a general sink, it is not easy to restore because it is made of hardwood or substitute, and accordingly, some users may be reluctant to perforate the sink top plate.

따라서 본 발명의 커버유닛(290)을 이용하면, 싱크대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커버유닛(290)을 조립하는 경우 사용자가 추출유닛(200)의 설치위치를 변경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뚫은 경우에도 새로운 관통구(H)를 뚫지 않더라도 추출유닛(200)의 위치의 변경이 가능하다. Therefore, if the cover unit 29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may not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forming a through hole H in the top plate of the sink. 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additional cover unit 290,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In addition, even when through-holes H are drilled in the top plate of an existing sink,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can be changed without drilling a new through-hole H.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290)은 직선커버(291) 및 곡선커버(292)를 포함한다. 직선커버(291) 및 곡선커버(292)는 다양한 길이 및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개개의 결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추출유닛(200)과 연결되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을 차폐할 수 있을 것이다. Specifically, the cover unit 290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straight cover 291 and a curved cover 292. The straight cover 291 and the curved cover 292 are provided to form various lengths and angles, and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s ( 40) can be shielded.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의 베이스(210)에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이 하부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형성된다. 그러나 본실시예의 추출유닛(200')의 베이스(210')에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이 노출될 수 있도록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된다. 따라서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은 베이스(210')의 측면으로 배출이 되고, 배출이 된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은 직선커버(291) 및 곡선커버(292)를 통하여 차폐가 되게 된다. 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210 in the above embodiment is formed with an opening so that the connecting pipe 30 and the connecting wire 40 can exit to the lower portion.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side of the base 210' of the extraction unit 200' of this embodiment is opened so that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can be exposed. Therefore,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are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base 210 ', and the discharged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are the straight cover 291 and the curved cover 292 ) through which it is shielded.

한편,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의 완벽한 차폐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베이스(210')는 직선커버(291) 또는 곡선커버(29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or the perfect shielding of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the base 210 'of this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fastened to the straight cover 291 or the curved cover 292. You will be able to.

한편, 마지막 직선커버(291) 또는 곡선커버(292)로부터 노출되는 연결배관(30) 및 연결전선(40)는 최대한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는 지점을 통하여 싱크대 하부 등에 위치하는 본체(100)와 연결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ipe 30 and the connection wire 40 exposed from the last straight cover 291 or curved cover 292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ink through a point tha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s much as possible. this could b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커버유닛(290)은 연결커버(293)을 더 포함한다. 연결커버(293)은 베이스와 같이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고,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However, the cover unit 290 in 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cover 293. Like the base, the connection cover 293 is form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its side surface is opened and at least a portion of its lower surface is opened.

그리고 연결커버(293)는 베이스(210')와 같이 직선커버(291) 또는 곡선커버(292)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이 될 수 있는 구조가 채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연결커버(293)의 하부는 상기 실시예의 베이스(200)와 같이 고정부(240)과 나사결합이 되는 돌기(293a)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Also, the connection cover 293 may adopt a structure capable of being detachably fastened to the straight cover 291 or the curved cover 292 like the base 210'. Als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cover 293 may have a protrusion 293a screwed into the fixing part 240 like the base 200 of the above embodiment.

즉, 본 실시예의 연결커버(293)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에 싱크대의 상판에 관통구(H)를 형성한 경우, 형성된 관통구(H)에 연결커버(293)을 설치함에 따라 새로운 관통구(H)를 형성하지 않고도 추출유닛(200')의 위치를 연결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the connection cover 293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a through hole H is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sink in the past, a new through hole H is installed as the connection cover 293 is installed in the formed through hole H. )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osition of the extraction unit 200 'without forming.

나아가 싱크대의 상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교체가 용이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싱크볼(S)에 타공을 하고, 타공된 싱크볼에 연결커버(293)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정수기의 설치도 가능할 것이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unching a hole in the stainless steel sink bowl (S), which is relatively easy to replace compared to the top plate of the sink, and installing the connection cover 293 to the holed sink bowl.

도2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정수기의 추출유닛 및 출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8는 도27의 분해사시도이다.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on unit and a water extraction unit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7 .

도27 및 도28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본체(1100),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포함한다. 27 and 28, the wate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00, an extraction unit 1200, and a water extraction unit 1300.

본 실시예의 정수기는 상기 설명한 캡슐음료 추출장치에 정수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출수유닛(13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한 구성이다. The wate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additionally include a water extraction unit 1300 capable of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water purifier to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described above.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수유닛(1300)을 추가적으로 구비함에 따라, 정수기의 정수, 온수, 냉수의 공급 또는 공지된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 본체(1100), 출수유닛(1300) 또는 추출유닛(12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water purifier is additionally provided, parts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of the water purifier or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known water purifier are the main body 1100,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or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unit 1200.

즉, 사용자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0) 및 추출유닛(200)만 사용하여 캡슐음료 추출장치로 사용하거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100),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사용하여 캡슐음료 추출장치 및 정수기를 동시에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at is, the user can use only the main body 100 and the extraction unit 200 as a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r the main body 1100,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water extrac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it 1300 may be used at the same time as a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nd a water purifier.

또한, 본체(1100) 및 출수유닛(1300)만 구비하는 경우, 정수기로만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only the body 1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provided, it can be used only as a water purifier.

그리고 상기 3가지의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다가 간단한 유닛 교체 및 배관연결과정을 통하여 다른 하나의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use any one of the three embodiments and easily change to another form through a simple unit replacement and pipe connection process.

특히, 최근 정수기 관련하여 사용자들의 렌탈을 이용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상기 3가지의 형태 중 어느 하나를 렌탈을 이용하여 사용하다가 다른 하나의 서비스로 변경을 하는 경우에 렌탈 사용자 입장에서 간단한 교체만으로 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렌탈 서비스 제공을 하는 입장에서도 장비의 교체를 최소화하면서 서비스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In particular, since the use of rental by users in relation to water purifiers has rece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using one of the three types of rental and changing to another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ntal user, only a simple replacement service use of is possible. Furthermore,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viding rental services, there will be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rvice while minimizing the replacement of equipment.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캡슐음료의 추출을 위한 추출유닛(1200) 및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출수유닛(1300)이 본체(1100)와 연결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복수 개의 추출유닛(1200) 또는 출수유닛(1300)이 주방에 다양한 지점에 설치를 위하여 본체에 연결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extraction unit 1200 for extracting a capsule beverage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water purifier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0 has been described, but a plurality of extraction units 1200 or The water outlet unit 13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for installation at various points in the kitchen.

나아가 캡슐음료추출 또는 정수 기능 이외의 얼음의 추출 등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이 모듈 형태로 공급되어 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Furthermore, a unit performing other functions, such as extracting capsule beverages or extracting ice other than water purification, may be supplied in the form of a module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0.

즉,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이 디자인적인 일체성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본체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주방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가 될 수 있다.That is, units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re provided to have design integrity,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an be arranged in various locations in the kitche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또한, 각 유닛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한의 부품만 유닛에 구비를 하고, 다른 부품들의 싱크대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에 배치를 하여 외부에 노출이 되는 각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re will be an advantage that each unit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miniaturized by providing only the minimum parts that perform the functions of each unit in the unit and arranging other parts in the main body located below the sink.

나아가 본체(1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사용자을 설치자는 유닛을 추가 또는 제거함에 있어서 간편하게 유닛을 선택하고,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을 연결 또는 제거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사용형태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Furtherm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1100 is provided, the installer of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unit in adding or removing a unit, and change the type of use with a simple operation of connecting or removing a connecting pipe and a connecting wir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는 본체(1100) 및 본체에서 공급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을 포함한다. That is, the water purifi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0 and a first unit and a second unit through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flows.

제1유닛 및 제2유닛으로는 정수, 온수, 냉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는 출수기능이 있는 출수유닛(1200), 수용되는 캡슐(c)으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유닛(1300), 공급되는 물을 통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디스펜서유닛 등 본체(1100)에서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유닛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include a water extraction unit 1200 having a water extraction function capable of supplying at least one of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an extraction unit 1300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the accommodated capsule (c), and supplying A unit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us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1100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such as a dispenser unit that generates ice through water that is used, may be used.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닛 및 제2유닛이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인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Specif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unit and the second unit are described based on the water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extraction unit 1300.

후술하는 것과 같이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을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유닛(1400)을 더 포함한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extraction unit 1300 may be disposed in different positions, but in this embodiment, the base unit 1400 for fixing the water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extraction unit 1300 is used. contains more

베이스유닛(1400)는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이 고정될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고, 추출유닛고정부(1410) 및 출수유닛고정부(1420)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출수유닛(1200) 및 추출유닛(1300)이 베이스유닛(1400)에 고정되기 때문에 2개의 고정부가 형성되나, 고정부는 고정되는 유닛의 개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ase unit 1400 is formed with an area to which the water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extraction unit 1300 can be fixed, and the extraction unit fixing part 141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fixing part 1420 are formed.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extraction unit 1300 are fixed to the base unit 1400, two fixing parts are formed, but the fixing part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ixed units.

추출유닛고정부(1410) 및 출수유닛고정부(1420)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이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의 하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extraction unit fixing part 141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fixing part 14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which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can be fix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It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한편,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의 작동을 위해서는 물이 유동하는 연결배관과 전기적신호가 전달되는 연결전선이 연결이 되어야 한다. Meanwhile, in order to operate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s and a connection wire through which electrical signals are transmitted must be connected.

물을 공급 또는 회수하는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은 베이스유닛(1400)을 관통하여 양자에 연결될 수 있다. A connection pipe and a connection wire for supplying or collecting water may pass through the base unit 1400 and be connected to both.

예를 들어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 양자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고, 추출유닛(1200)에 연결된 다음,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이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it may be connected to both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respectively, or may be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n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may be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300)으로는 온수, 정수, 냉수가 유동함에 따라 연결배관이 추출유닛(1200)에 연결되는 연결배관보다 많다. 따라서 출수유닛(1300)과 본체(1100)가 연결되고,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이 연결된다. As hot water,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flow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n this embodiment, more connection pipes than connection pipes connected to the extraction unit 1200 are provided. 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main body 1100 are connected,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are connected.

즉, 출수유닛(1300)과 본체(1100)은 제1연결배관(1030)으로 연결되고, 제1연결배관(1030)은 제1정수연결배관(1031), 제1온수연결배관(1032) 및 제1배수연결배관(1033)을 포함한다. That is,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main body 1100 are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on pipe 1030, and the first connection pipe 1030 includes a first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31, a first hot water connection pipe 1032, and A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033 is included.

그리고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은 제2연결배관(1070)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배관(1070)은 제2정수연결배관(1071) 및 제2배수연결배관(1072)를 포함한다.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are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on pipe 1070, and the second connection pipe 1070 connects the second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71 and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072. include

그리고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제1정수연결배관(1031)과 연결되어 정수를 공급받고, 제2배수연결배관(1072)는 제2배수연결배관(1033)과 연결되어 배수가 유동하게 된다. 구체적인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은 후술한다. And the second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1071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1031 to receive purified water, and the second drainage connection pipe 107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age connection pipe 1033 so that the drainage flows. do. The connection of specific pipes and the flow of water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베이스유닛(1400)의 하부에는 제1연결배관(1030)이 관통하도록 개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고정부(1340)를 통하여 베이스유닛(1400)는 고정이 되게 된다. Meanwhile,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unit 140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ipe 1030 passes therethrough, and the base unit 1400 is fixed through the fixing part 1340 as described above.

연결전선의 경우 역시 추출유닛(1200), 출수유닛(1300) 및 본체(110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00)와 출수유닛(1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추출유닛(1200)에는 외부 전원가 연결되는 콘센트(1200a)가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wire, it may als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extraction unit 1200,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main body 1100. 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extraction The unit 12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having an outlet 1200a to which external power is connected.

그리고 베이스유닛(1400)의 전방에는 출수유닛(1300) 및 추출유닛(1200)에서 나오는 물 또는 음료 등을 수용하는 컵 등이 위치하거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받침대(1500)가 구비될 수 있다. Also, in front of the base unit 1400, a cup for accommodating water or beverages discharged from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may be positioned, or a pedestal 1500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may be provided.

도2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2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9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서의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을 연결하지 않는다. 즉,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는 각각 별개의 급수유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2정수연결배관(1071')는 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Referring to FIG. 29, the second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71' in this modification does not connect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That is,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each use separate water supply passages. For example, the second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7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0 or to a separate water supply source.

도 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도3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의 시제품 사진이다. 도30 및 31를 을 참조하면,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의 좌, 우 위치가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유닛(1400')의 추출유닛고정부 및 출수유닛고정부 역시 좌, 우 변경된 상태가 된다. 나아가 받침대 역시 상기 실시예와 좌, 우가 변경된 상태로 제공이 된다. 30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1 is a photograph of a prototype of the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0 and 31 ,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may be modified. Accordingly, the extraction unit fixing part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fixing part of the base unit 1400' are also left and right changed. Furthermore, the pedestal is also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changed from the above embodiment.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용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의 좌, 우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하여 설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modified examp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can be easily changed and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도3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연결배관 및 연결전선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3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wir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of the pipe and the flow of water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32 및 도33를 참조하면, 원수배관(1050) 및 배수배관(1060)은 본체(1100)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체(1100)와 출수유닛(1300)은 제1연결배관(1030) 및 연결전선(1040)이 연결된다. 32 and 33, the raw water pipe 1050 and the drain pipe 106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0. The main body 1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connected by a first connection pipe 1030 and a connection wire 1040.

본 실시예의 본체(1100) 및 출수유닛(1300)에는 정수, 온수, 냉수의 공급 및 다양한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품이 나누어 배치된다. In the main body 1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of this embodiment, parts capable of supplying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and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of a water purifier are divided and dispos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효과적인 정수, 온수, 냉수를 제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부품만 출수유닛(1300)에 구비하고, 나머지 부품은 본체(1100)에 구비하여, 출수유닛(1300)의 부피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100)는 싱크대의 하부 등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부가 있는 곳에 위치시키고, 적은 부피의 출수유닛(1300)을 원하는 지점에 간편하게 위치시키거나 옮길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ncludes only minimum parts for providing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that are effective to the user, and the remaining parts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0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 Therefore, the user can place the main body 1100 in a place with relatively little space, such as the lower part of a sink, and conveniently place or move the small-volume water outlet unit 1300 to a desired location.

또한 온수공급기능이 있는 정수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유량제어부(5)와 가열기(6)의 배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유량제어부(5)는 본체(1100)에 구비하고, 가열기(6)만 출수유닛(1300)에 배치를 시킨다. 따라서 출수유닛(1300)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출수되는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rrangement of the flow control unit 5 and the heater 6 generally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having a hot water supply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control unit 5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0, and only the heater 6 discharges water It is placed in unit 1300. Accordingly, the size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can be minimized and the water to be extracted can be heated more effectively.

원수배관(1050)으로 들어온 물은 필터(101)를 통과하면서 정화가 된다. 그리고 정수의 경우 필터(101)에서 제1정수연결배관(1031) 및 출수밸브(8)을 통하여 사용자에 공급된다. Water entering the raw water pipe 1050 is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01. In the case of purified water, it is supplied to the user from the filter 101 through the first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31 and the water outlet valve 8.

냉수의 경우 증발기(4)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된 후, 역시 제1정수연결배관(1031) 및 출수밸브(8)를 통하여 사용자에 공급된다. 한편, 본체(1100)의 내부에는 증발기(4)에서의 냉각을 위한 냉각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 응축기(2)가 구비될 것이다. In the case of cold water, after being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 it is also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31 and the water outlet valve 8. Meanwhile, a condenser 2 for forming a cooling cycle for cooling in the evaporator 4 will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100 .

온수의 경우 유량조절부(5)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제어되고, 제1온수연결배관(1032)을 통과한 후, 가열기(6) 및 출수밸브(8)를 통하여 사용자에 공급된다. In the case of hot water, the flow rate is control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w control unit 5,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hot water connection pipe 1032, it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heater 6 and the water outlet valve 8.

한편,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0)와 출수유닛(1300) 사이의 거리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제1정수연결배관(1031) 및 제1온수연결배관(1032)의 길이가 수 미터에 이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배관에 장시간 수용된 물의 경우 배수를 한 다음 새로운 물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1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s formed long, the lengths of the first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31 and the first hot water connection pipe 1032 may reach several meters. In this case, in the case of water stor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for a long time, it is preferable to drain the water and then provide new water.

따라서 장시간 미사용이라는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제1정수연결배관(1031) 또는 제1온수연결배관(1032)의 물은 제1배수연결배관(1033) 및 배수배관(10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Therefore,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it has not been used for a long time is applied, the water in the first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1031 or the first hot water connection pipe 1032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033 and the drain pipe 1060. .

추출유닛(1200)의 경우 정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제2정수연결배관(1071) 및 제2배수연결배관(107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제1정수연결배관(1031)과 연결되어 정수가 유동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extraction unit 1200, a second water purification connection pipe 1071 and a second drainage connection pipe 1072 for supplying and draining purified water are provided. The second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71 is connected to the first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31 so that purified water flows.

그리고 제2배수연결배관(1072)는 제1배수연결배관(1072)과 연결되어 캡슐(c)의 추출에 사용된 후의 물은 제1배수연결배관으로 유동하게 된다. Also, the second drain connection pipe 1072 is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1072 so that water after being used for extracting the capsule (c) flows into the first drain connection pipe.

도3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정수기의 변형예인 도29의 배관의 연결 및 물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of pipes and the flow of water in FIG. 29, which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제2정수연결배관(1071')은 출수유닛(1300)과 추출유닛(1200)을 연결하지 않는다. 즉, 제2정수연결배관(1071')는 본체(1100)와 연결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급수원과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this modific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71' does not connect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That is, the second purified water connection pipe 1071'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0 or may be connected to a separate water supply source.

도35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2실시예의 배관 및 유체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low of pipes and fluid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의 전체적인 배관의 구성 및 유체의 유동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출수유닛(1300)에는 안전배수배관(1080)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안전배수배관(1080)은 가열기(6)에 연결되고, 가열기(6)의 과압시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1080)에는 체크밸브(1080a)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전배수배관(1080)을 유동하는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며, 본 실시예에서의 안전배수배관(1080)의 타단은 배수배관(60)에 연결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piping and the flow of fluid in this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previous embodiment. However, a safety drain pipe 1080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n this embodiment. Specifically, the safety drain pipe 1080 is connected to the heater 6 and is a flow path for discharging water vapor when the heater 6 is overpressured. In addition, a check valve 1080a may be provided in the safety drain pipe 1080. And water vapor flowing through the safety drain pipe 108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safety drain pipe 1080 in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60.

도36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3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7은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제4실시예의 본체, 출수유닛 및 추출유닛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6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water extraction unit and extraction unit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7 shows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body, water extraction unit and extraction uni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that represents

도3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이 서로 분리하여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36, in this embodiment,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dispos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이 분리하여 배치가 되는 점에서 전체적인 배관의 연결 및 유체의 흐름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In that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disposed separately, the connection of the entire pipe and the flow of the flui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제1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연결하는 제2연결배관(1070)이 베이스유닛(1400)의 내부에 수용이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동시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유닛(1400)이 구비되지 않고,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은 각각의 베이스(1210, 1310)를 가지게 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ion pipe 1070 connecting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base unit 140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base unit 1400 for simultaneously fixing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is not provided,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respectively bases 1210 and 1310 ) will have

특히 출수유닛(1300)의 베이스(1310)의 경우 제1연결배관(1030) 및 연결전선(1040)이 관통하여, 고정부(1340)에 의하여 싱크대의 상판에 고정된다. 그리고 추출유닛(1200)의 베이스는 기립을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ase 1310 of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the first connection pipe 1030 and the connection wire 1040 pass through and are fixed to the top plate of the sink by the fixing part 1340. And the base of the extraction unit 1200 is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standing up.

추출유닛(1200)과 출수유닛(1300)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제2연결전선(1070)은 외부로 노출이 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도20 및 도21에서 설명한 커버유닛(290)이 적용되어 제2연결전선(1070)을 차폐하게 된다. As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cond connection wire 107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unit 290 described in FIGS. 20 and 21 of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shield the second connection wire 1070.

구체적인 커버유닛(290)의 구조 및 결합방법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specific structure and coupling method of the cover unit 290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을 원하는 지점에 이동하여 배치를 할 수 있고, 이에 다른 배관들의 노출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fter all,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can move and arrange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t a desired point, there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other pipes.

도3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이 각각 본체에 연결된다. 즉 상기 실시예와 달리 추출유닛(1200)과 본체(1300)는 제3연결배관(1070')에 의하여 직접 연결이 된다. Referring to FIG. 37,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raction unit 1200 and a water extraction unit 1300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at is, unlike the above embodiment,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main body 1300 are directly connected by the third connection pipe 1070'.

그리고 추출유닛(1200) 및 출수유닛(1300)은 각각의 베이스(1210, 1310)를 가지고 각각의 베이스(1210, 1310)는 고정구(1240, 1340)에 의하여 고정이 되게 된다. Also, the extraction unit 1200 and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have respective bases 1210 and 1310, and each base 1210 and 1310 is fixed by fixtures 1240 and 1340.

이하 다른 구성 및 유체의 유동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other configurations and flow of fluid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ollowing descriptions are omitted.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에 제1연결배관(1030) 및 제3연결배관(1070')이 직접 연결이 되므로 사용자는 출수유닛(1300) 및 추출유닛(1200)을 사용하다가 추출유닛(1200)만 사용을 하더라도 본체(1100)에 제3연결배관(1070')만을 연결하여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irst connection pipe 1030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1070'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user can use the water extraction unit 1300 and the extraction unit 1200 before using the extraction unit 1200. Even if only ) is used, it is possible to use only the third connection pipe 107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0.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본체 110: 연결배관결합부
120: 연결전선결합부 130: 원수배관결합부
140: 배수배관결합부 200: 추출유닛
210: 베이스 220: 하우징
230: 디스플레이부 240: 고정부
250: 캡슐수용부 260: 받침대
270: 코크하우징 280: 추출플레이트
290: 커버유닛 1300: 출수유닛
1040: 베이스유닛 1030: 제1연결배관
1040: 연결전선 1070: 제2연결배관
1400: 베이스유닛 1410: 추출유닛고정부
1420: 출수유닛고정부
100: main body 110: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120: connection wire coupling part 130: raw water pipe coupling part
140: drain pipe coupling part 200: extraction unit
210: base 220: housing
230: display unit 240: fixing unit
250: capsule receiving unit 260: pedestal
270: coke housing 280: extraction plate
290: cover unit 1300: water outlet unit
1040: base unit 1030: first connection pipe
1040: connection wire 1070: second connection pipe
1400: base unit 1410: extraction unit fixing part
1420: water extraction unit fixing part

Claims (9)

캡슐에서 추출되는 음료가 유동하는 제3유동홀 및 제4유동홀 형성된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는 각 유동홀에서 유입되는 음료가 수용되고 배출되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이 형성되는 코크 하우징;
을 포함하는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 하우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음료 추출용 코크 하우징 모듈은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개구홀이 형성되고,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캡슐음료 추출장치의 개구홀을 차폐하는 제1캡슐수용부 및 제2캡슐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는 어느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3유동홀에 대응되는 제1유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캡슐수용부는 다른 한 종류의 캡슐이 수용되고, 상기 제4유동홀에 대응되는 제2유동홀이 형성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 plate formed with a third flow hole and a fourth flow hole through which the beverage extracted from the capsule flows; and
a coke housing in which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re formed in which beverages introduced from each flow hole disposed below the plate are accommodated and discharged;
Including a coke housing module for extracting capsule beverages,
The coke housing module for extracting the capsule beverage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and an opening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shielding the opening hole of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ng device while being selectively coupled to the housing of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ng device,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es any one type of capsule and has a first flow hole corresponding to the third flow hole,
The second capsule receiving portion accommodates another type of capsule and has a second flow hole corresponding to the fourth flow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동홀 및 제4유동홀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machine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third flow hole and the fourth flow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코크팁을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ccording to claim 1,
Capsule beverage extraction machine including a cork tip detachably coupled to the cok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2개의 공간과 각각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홀이 형성되는 추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홀에 끼워지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ccording to claim 1,
An extraction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ke housing and communicates with the two spaces, respectively, and has two water outlet holes formed in the front,
Capsule beverage extraction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cover fitted into the water outlet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2개의 공간과 연통되고, 전방에 2개의 출수부가 형성된 노즐을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ccording to claim 1,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nozzle detachab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ke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two spaces, and having two water outlets formed in the fro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추출유닛의 조작을 위한 입력수단 및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캡슐수용부 및 상기 제2캡슐수용부가 삽입되었음을 인지하여 삽입되는 제1캡슐수용부 또는 제2캡슐수용부의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put means for operating the extraction unit and a display unit for indicating the status,
A capsule beverage extracting machine that recognizes that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are inserted and outputs information of the inserted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art or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to the display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슐수용부의 제1유동홀 및 상기 제2캡슐수용부의 제3유동홀을 인지하는 홀센서를 더 포함하는 캡슐음료추출머신.
According to claim 8
The capsule beverage extraction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hall sensor for recognizing the first flow hole of the first capsule accommodating part and the third flow hole of the second capsule accommodating part.
KR1020200087590A 2020-07-15 2020-07-15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KR1025625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90A KR102562522B1 (en) 2020-07-15 2020-07-15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590A KR102562522B1 (en) 2020-07-15 2020-07-15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91A KR20220009191A (en) 2022-01-24
KR102562522B1 true KR102562522B1 (en) 2023-08-03

Family

ID=80049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590A KR102562522B1 (en) 2020-07-15 2020-07-15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522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4B1 (en) * 2008-01-07 2009-07-29 주식회사 하닌 Dispenser-integrated cold / hot water dispenser for discharging coffee and te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60301A1 (en) * 2006-02-17 2007-08-18 Maddalena Ricotti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AN INFUSION OF AN AROMATIC DRINK
NL2007192C2 (en) * 2011-02-07 2012-08-08 Bravilor Holding Bv BEVERAGE PREPARATION DEVICE EQUIPPED WITH A MANUAL ADJUSTABLE OUTFLOW DEVICE.
KR102449623B1 (en) 2015-10-02 2022-09-30 코웨이 주식회사 Capsul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KR20190070154A (en) * 2017-12-12 2019-06-20 서순석 3D food printer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714B1 (en) * 2008-01-07 2009-07-29 주식회사 하닌 Dispenser-integrated cold / hot water dispenser for discharging coffee and t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91A (en)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0544B2 (en) Supply device for dialysis apparatuses
CA2708473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20020028920A (en) Filtered fluid dispensing system
US6701826B2 (en) Electric coffee maker for selectively brewing Espresso coffee and Americano coffee
AU2018347169B2 (en) Refrigerator
CN101472831A (en) Drink tapping device for a keg and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the tapping device and a keg
SE509625C2 (en) Device for brewing beverages and dispensing hot water
KR102562522B1 (en)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KR102532689B1 (en)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CN104709864B (en) Beverage lifting supplies machine
KR102411725B1 (en) Purifier including Multiple Separated Unit
KR102610982B1 (en) Cock Housing Module for Discharging Beverage Capsule and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KR20230098529A (en) Storage Unit for Capsule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and Capsule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098124A (en) Storage Unit for Capsule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KR20230084107A (en) Capsule Drawer and Storage Unit for Capsule Beverage Dischar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8697261B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or connecting tap water and tap water kit
CN104674924B (en) Nozzle assembly inside warm water body cleaning device
CN201360836Y (en) Automatic tea maker
CN201036722Y (en) Filter element combining device
JP3747165B2 (en) Cylinder type valve device
KR20200097551A (en) Purifier Water Discharging Unit for Purifier
KR102205880B1 (en) Purifier having Separated Water Discharging Uni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20200039081A (en) Water purifier
CN218267379U (en) Integrative tap of cup washing device
CN215759359U (en) Integrated sin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