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2141B1 - Machine tool - Google Patents

Machine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2141B1
KR102562141B1 KR1020180037999A KR20180037999A KR102562141B1 KR 102562141 B1 KR102562141 B1 KR 102562141B1 KR 1020180037999 A KR1020180037999 A KR 1020180037999A KR 20180037999 A KR20180037999 A KR 20180037999A KR 102562141 B1 KR102562141 B1 KR 10256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unit
guide
machine too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5228A (en
Inventor
박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8003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141B1/en
Publication of KR2019011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1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26Storage devices; Drive mechanisms therefor
    • B23Q3/15534Magazines mounted on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53Tensioning devices or tool holder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52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parts of devices for automatically inserting or removing tools
    • B23Q3/155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 B23Q2003/155414Transfer mechanisms, e.g. tool gripping arms; Drive mechanisms therefore the transfer mechanism comprising two or more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베드; 상기 베드에 설치되어 공작물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상기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컬럼을 지지하는 새들; 및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매거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컬럼 또는 상기 새들에 형성되어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고, 공구교환시간을 감소하여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d; a table installed on the bed and on which a workpiece is seated; a column movably installed on the bed; A spindle movably installed in the column to rotate a tool to process a workpiece; Saddles movably installed on the bed to support the column; and a tool magazine unit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ools in order to supply tools to the spindle, wherein the tool magazine unit is formed on the column or the saddle to promot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and reduce tool exchange time to increase productivity. can increase

Description

공작기계{Machine tool}Machine tool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구 매거진 유닛이 컬럼 또는 새들에 형성되어 공작기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직형 머시닝센터와 같은 공작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e tool such as a vertical machining center in which a tool magazine unit is formed on a column or a saddle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machine tool.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refers to a machine used for the purpose of processing a metal/non-metal workpiece into a desired shape and dimension using an appropriate tool by various cutting processing methods or non-cutting processing methods.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s, door type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type NC boring machines, CNC lathes, and multi-tasking machin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o suit the purpose of the work. It is being used.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Among machine tools, a multi-tasking machine refers to a turning center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al automatic tool changer (ATC) and tool magazine that performs various types of machining such as turning, drilling, tapping, and milling. In a multi-tasking machine, an operator loads or replaces tools necessary for machining by manually loading the tools into the tool magazine.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in use have a control panel to which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is applied. Such a control panel has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has a table on which the material, which is a workpiece, is seated and transported for processing, a pallet for preparing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that rotates with a tool or workpiece combined, a tailstock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etc. provide etc.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a machine tool, a table, a tool post, a main shaft, a tailstock, a resting ball, etc. are provided with a feed unit that feeds along a feed axis to perform various machining operation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Also, in general, machine tools use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or a turret is used as a tool storage space for stor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These machine tools use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is used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area for stor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 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machine tools are provided with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to minimize non-processing time.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automatically exchanges pallets between the workpiece processing area and the workpiece installation area. A workpiece may be mounted on the pallet.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Tool Changer)를 구비한다.Also, in general, a machine tool includes an automatic tool changer (ATC) for withdrawing or re-accommodating a specific tool from a tool magazine according to a command of a numerical controller to improv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라 함은 자동공구교환장치 등을 구비하고, 여러 종류의 공구를 교환하여 선반, 밀링, 드릴링, 보링머신 등에서 할 수 있는 광범위한 가공을 수행하는 공작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크게 추축이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수직형(vertical) 머시닝센터와 수평형(horizontal) 머시닝센터로 나누어진다.In general, a machining center refers to a machine tool that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tool changer and exchanges various types of tools to perform a wide range of machining that can be performed on a lathe, milling, drilling, boring machine, etc. It is divided into a vertical machining center and a horizontal machining center in which the axis is mounted vertically.

수직형 머시닝센터는 베드와 베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새들과, 이러한 새들에 설치되어 공작물이 놓여지는 테이블과, 베드의 후방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컬럼과 이 컬럼에 장착되는 스핀들과 이러한 스핀들을 구동시키고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 전달계와 전자제어계를 구비하고, 추가로 자동공구교환장치와 공구 매거진 및 공구를 클램핑하는 주축대를 구비할 수 있다.The vertical machining center has a bed and saddle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d, a table installed on these saddles and on which workpieces are placed, a column mounted vertically at the rear of the bed, a spindle mounted on this column, and driving these spindles A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an electronic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may be provided, and an automatic tool changer, a tool magazine, and a headstock for clamping tools may be further provided.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공작기계(1)는 주축대(2)에 스핀들(3)이 주축대(2)에 공구 매거진(4)이 서로 양측에 장착되어 주축대(2)의 중량이 증가하고 전체적으로 공작기계와 구조물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공작기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machine tool 1, a spindle 3 is mounted on the headstock 2 and a tool magazine 4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headstock 2, so that the weight of the headstock 2 is reduced. As the weight of the machine tool and the structure increases as a who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iniaturization and lightening of the machine tool cannot be promoted.

또한, 종래 공작기계(1)는 공구 매거진(4)이 커짐에 따라 전체적인 중량 증대에 의해 고속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됨에 따라 공구교환시간이 증가하고 비가공시간 증대에 따라 생산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achine tool 1 cannot move at high speed due to the overall weight increase as the tool magazine 4 increases, so the tool change time increases and the productivity decreases as the non-machining time increases.

더욱이, 종래 공작기계(1)는 다수의 스핀들(3)을 갖는 공작기계의 경우 공구 확장성이 제한되고, 공구 매거진(4)이 서로 분리되어 있음에 크기가 커져서 공작기계가 대형화되고, 2개의 장비를 유지보수함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the conventional machine tool 1 has limited tool expandability in the case of a machine tool having a plurality of spindles 3, and since the tool magazines 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ize of the machine tool is large, and the machine tool is large. As equipment is maintain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costs and time increase.

게다가, 종래 공작기계(1)는 공구 매거진(4)을 포함한 각종 부품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공간활용도가 저해되고 작업자의 이동공간이 증가함에 따라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achine tool 1, as the size of various parts including the tool magazine 4 increases, space utilization is inhibited and the operator's movement space increases,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operator.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6967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69674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60184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660184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870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7087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8450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4508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155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1550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9232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923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구 매거진 유닛이 컬럼 또는 새들에 분리 없이 일체로 형성되어 공구 매거진 유닛 뿐만아니라 공작기계의 소형화 및 경령화를 도모하고, 증량감소에 의해 고속이동을 통해 공구교환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비가공시간 감소에 의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ool magazine unit is integrally formed without separation from the column or saddle to promote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not only the tool magazine unit but also the machine tool, and weight reduction It is to provide a machine tool capable of increasing productivity by reducing non-machining time by maximally shortening tool change time through high-speed moveme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 매거진 유닛의 가이드부, 링크부, 그립퍼부, 롤러부의 구조와 결합에 의해 공구 매거진 유닛의 작동시에 안정적인 구동과 공구 확장성에 의해 컬럼이나 새들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공작기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증가하고, 다수의 스핀들을 구비한 공작기계에서도 공구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lumn or saddle by stable driving and tool expandability during opera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by combin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guide part, the link part, the gripper part, and the roller part of the tool magazine unit. Accordingly,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machine tool are increased, and a machine tool capable of simultaneously exchanging tools even in a machine tool having a plurality of spindles is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베드; 상기 베드에 설치되어 공작물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상기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컬럼을 지지하는 새들; 및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 매거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컬럼 또는 상기 새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d; a table installed on the bed and on which a workpiece is seated; a column movably installed on the bed; A spindle movably installed in the column to rotate a tool to process a workpiece; Saddles movably installed on the bed to support the column; and a tool magazine unit accommodating a plurality of tools in order to supply tools to the spindle, wherein the tool magazine unit is formed in the column or the saddl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컬럼 또는 상기 새들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 선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장착되어 공구를 수납하는 복수의 그립퍼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구름접촉하여 상기 링크부와 상기 그립퍼부를 지지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ncludes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column or the saddle;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a guide part formed at an outer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a link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unit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a plurality of gripper units mounted on the link unit and accommodating tools; and a roller part supporting the link part and the gripper part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복수의 그립퍼부는 각각, 상기 공구를 수납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수납되는 공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gripper units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ncludes a gripping unit for accommodating the tool; and a clamping unit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tool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의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 설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굴곡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및 각각의 상기 가압부의 선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portion of the gripper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body portion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Pressing parts bent inwardly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and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a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outward from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ressing portion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의 상기 클램핑부의 가압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40도 이상 내지 89도 이하의 각도를 갖도록 굴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ing part of the clamping part of the gripper part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s formed to be bent to have an angle of 40 degrees or more to 89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It can b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의 상기 파지부는 핑거부; 상기 그립퍼부를 상기 링크부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핑거부의 후방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핑거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ping portion of the gripper por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ncludes a finger portion; Coupling parts extending from both rear sides of the finger part to fasten the gripper part to the link part; and a ke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ng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의 브릿지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 내측으로 함입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그립퍼부와 상기 롤러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브릿지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por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body portion; a bridge portion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ating portion recess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accommodate a bridge portion of another link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bridge portion to connect the gripper portion and the rolle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는 상기 결합홈부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부에 수직방향으로 함임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por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groove formed in a part of the main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의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 선단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ncludes a first guide extending along an upper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 second gui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in a height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a lower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face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third guid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long the outer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롤러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3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unit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ncludes a first roller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a second roller form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ller in a height direction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and a third roller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third gui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인접하고 상기 제1 가이드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4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or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s adjacent to the first guide and is formed to extend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further comprising a fourth guide. can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롤러부는 상기 제1 롤러의 높이방향 상부에 상기 제1 롤러와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4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4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unit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roller on the upper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roller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the fourth guide. A fourth roller; may further includ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상기 스핀들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의 공구교환은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직선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indle of the machine tool is formed in plural, and the tool change of the spindle is performed in the straight part of the support frame of the tool magazine uni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은 공구교환영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부의 공구 수납유무를 확인하는 공구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may further include a tool checking unit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in the tool exchange area to check whether the gripper unit is storing tools.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구교환영역에서 공구교환시에 상기 링크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를 고정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fix the link unit so that the link unit does not move during tool exchange in the tool exchange area. ;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결합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adjusting unit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fasten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Cylinder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and a fixing pin reciprocating in a height direction by the cylind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may further include a tension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ink unit.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공구 매거진 유닛이 컬럼 또는 새들에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형성되어도 공구 매거진 유닛을 포함한 공작기계의 전체적인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여 이동체의 고속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ool magazine units ar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columns or saddles, the overall size and weight of the machine tool including the tool magazine unit can be reduced to enable high-speed movement of the movable body. It work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경량화 및 소형화에 따른 고속이동을 통해 공구교환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non-processing time by shortening the tool change tim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high-speed movement according to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공구 매거진 유닛의 가이드부, 링크부, 그립퍼부, 롤러부의 구조와 결합에 의해 공구 매거진 유닛의 작동시에 안정적인 구동과 공구 확장성에 의해 컬럼이나 새들에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공작기계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증가하고, 유지보수 비용과 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olumn or saddle by stable driving and tool expandability during opera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by combin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guide unit, the link unit, the gripper unit, and the roller unit of the tool magazine uni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stability of the machine tool and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time.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다수의 스핀들을 구비한 공작기계에서 공구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어 공구교환시간 단축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exchange tools in a machine tool having a plurality of spind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operator convenience and reduce work costs by reducing tool exchange time.

도 1은 종래 공작기계에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이 새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구 매거진 유닛의 지지프레임과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일측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이 새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구 매거진 유닛의 지지프레임과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새들에 공구 매거진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구동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 그립퍼부, 및 롤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 그립퍼부, 및 롤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 그립퍼부, 및 롤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에 공구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의 가압부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에 공구가 결합한 상태의 가압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에 공구가 결합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state in which a tool magazine is mounted on a conventional machine tool.
2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one side to explain the support frame and the guide por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addle.
4 and 5 show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upport frame and a guide portion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tool magazine unit is mounted on a saddle.
5 and 6 show perspective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a tool magazine unit is mounted on a saddl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uni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link part, a gripper part, and a roll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link part, a gripper part, and a roll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part, a gripper part, and a roll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re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pressing part in a state in which no tool is coupled to the gripper part of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pressing part in a state in which a tool is coupled to a gripp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ool is coupled to a gripper uni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5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기계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indic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therefore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rule out addi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이 새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구 매거진 유닛의 지지프레임과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일측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이 새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공구 매거진 유닛의 지지프레임과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새들에 공구 매거진 유닛이 장착된 상태에서 일측 및 타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upport frame and guide of the tool magazine unit in a state where the tool magazine unit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addle It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one side to explain the part. 4 and 5 show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support frame and a guide portion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tool magazine unit is mounted on a saddle. 5 and 6 show perspective view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a state in which a tool magazine unit is mounted on a saddle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구동부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 그립퍼부, 및 롤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 그립퍼부, 및 롤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링크부, 그립퍼부, 및 롤러부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에 공구가 결합하지 않은 상태의 가압부를 나타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에 공구가 결합한 상태의 가압부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구 매거진 유닛의 그립퍼부에 공구가 결합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내고, 도 14는 도 5의 D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7 show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iving uni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link part, a gripper part, and a roll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and FIG. 9 is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link part, a gripper part, and a roll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in a coupled state, and FIG. 10 is a combined link part, a gripper part, and a roll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lan view of the condition. 11 shows a pressing part in a state where no tool is coupled to the gripper par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press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tool is coupled to the gripper part. 13 shows a conceptual view of a state in which a tool is coupled to a gripper unit of a tool magazine unit of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shows an enlarged view of part D of FIG. 5 .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3 및 도 5 내지 도 6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 즉, 도 4 내지 도 8에서 안쪽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먼쪽 즉 도 4 내지 도 8에서 바깥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링크부를 기준으로 앞쪽, 즉 외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며,새들이나 컬럼에 인접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링크부를 기준으로 뒷쪽 즉 새들이나 컬럼에 인접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X-axis direction in Figs. 3 and 5 to 6, and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whil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in Figs. 3 and 6. 5 to 6, it mean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means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while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upward (upper) means an upward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pointing upward of the Z axis in FIGS. 3 and 5 to 6, and downward (lower) means a downward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in FIG. 3 and FIGS. 5 and 6 mean a direction toward the bottom of the Z axis. In addition, the inside means a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that is, the inside in FIGS. 4 to 8, and the outside means a relatively far side from the center, that is, outside in FIGS. 4 to 8, in the same member. In addition, "front" refers to the front side of the link portion, that is, a direction toward the outer space, and refers to a direction adjacent to the saddle or column, and "rear" refers to the rear side of the link portion, that is, adjacent to the saddle or column. means the direction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는 베드(100), 테이블(200), 컬럼(300), 스핀들(400), 새들(500), 공구 매거진 유닛(600), 및 이송부(700)를 포함한다.A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4 . As shown in FIG. 2,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d 100, a table 200, a column 300, a spindle 400, a saddle 500, a tool magazine unit ( 600), and a transfer unit 700.

지면 또는 베이스에 베드(100)가 설치된다. 베드(100)는 공작물을 가공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고,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공간과 서포트 기능을 수행한다. The bed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or base. The bed 100 serves as a support for processing a workpiece, and serves as a space and a support function in which parts necessary for processing a workpiece are installed.

테이블(200)은 베드(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테이블(200)에 공작물(6)이 안착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테이블(200)은 고정 테이블 또는 회전 테이블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테이블(200)은 필요에 따라 베드(100)의 상부에서 수직방향, 수평방향, 높이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할 수도 있다.The table 200 is installed on top of the bed 100, and the workpiece 6 is seated on the table 20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table 200 may be formed as a fixed table or a rotary table. That is, the table 200 may move and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and height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ed 100 as needed.

컬럼(300)은 베드(100)의 측면이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컬럼(300)은 베드(300)에 대해 높이방향 상방으로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컬럼(300)은 이송부(700), 구체적으로 컬럼 이송부(710)에 의해 베드(10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Column 300 is movably installed on the side or top of the bed (100).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olumn 300 is installed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d 300 .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column 300 may be mov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from the top of the bed 100 by the transfer unit 700 , specifically the column transfer unit 710 .

스핀들(400)은 컬럼(3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6)을 가공하기 위해 공구(5)를 회전시킨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400)은 이송부(700), 구체적으로 스핀들 이송부(720)에 의해 컬럼(300)이 일측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 spindle 400 is movably installed in the column 300 to rotate the tool 5 to machine the workpiece 6 .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spindle 400 may move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one side of the column 300 by the transfer unit 700 , specifically, the spindle transfer unit 720 .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400)은 주축대에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주축대는 컬럼(300)에 높이방향의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거, 주축대와 스핀들(400)의 상하방향 이동을 통해 후술하는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그립퍼부(650)에 장착된 공구와 공구를 교환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2 , the spindle 400 may be installed on the headstock, and the headstock may be installed in the column 300 to be movable vertically in the height direction, or A tool installed in the gripper unit 65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exchanged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pindle 400.

또한, 생산성을 증가하기 위해 주축대에 설치되는 스핀들(400)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스핀들(400)은 제1 스핀들(410)과 제2 스핀들(420)이 주축대에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2개가 설치되고, 최대 8개까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pindles 400 installed on the headstock may be installed to increase productivity. Preferably, two spindles 400 are installed so that the first spindle 410 and the second spindle 420 face each other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headstock, and up to eight spindles may be installed.

새들(500)은 베드(10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새들(500)은 컬럼(300)에 인접하도록 베드(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새들(500)은 이송부(700), 구체적으로 새들 이송부(730)에 의해 베드(100)의 상부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새들(500)은 베드(100)의 상부에서 컬럼(3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addle 500 is mov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ed 100. The saddle 500 is installed on top of the bed 10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column 30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saddle 500 may m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rom the top of the bed 100 by the transfer unit 700 , specifically the saddle transfer unit 730 . In addition, the saddle 500 serves to support the column 300 on top of the bed 100 .

공구 매거진 유닛(600)은 공작기계의 가공 프로그램이나 가공 상태 또는 작업자에 의해 가공을 위한 가장 적합한 공구를 스핀들에 공구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한다.The tool magazine unit 600 accommodates a plurality of tools in order to supply tools most suitable for machining to a spindle according to a machining program or a machining state of a machine tool or an operator.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은 컬럼(300) 또는 새들(500)에 일체로 형성된다. 즉,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지지 프레임(610)이 컬럼(300)의 프레임이나 새들(500)의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어 공구 확장성을 담보하고, 주축대를 기준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구 매거진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여 컬럼이나 새들, 스핀들의 고속이동을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2 ,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lumn 300 or the saddle 500 . That is, the support frame 61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of the column 300 or the frame of the saddle 500 to ensure tool expandability and prevent separation based on the headstock.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the tool magazine enable high-speed movement of columns, saddles and spindles.

또한, 컬럼(300), 스핀들(400), 및 새들(500)이 이송부(700)에 의해 모두 이동 가능함에 따라 수치제어부나 PLC의 가공 프로그램에 따라 스핀들(400)이 공구교환영역(A)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스핀들이 동시에 후술하는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그립퍼부(650)에 장착된 공구(5)와 빠르게 교체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공작기계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umn 300, the spindle 400, and the saddle 500 are all movable by the transfer unit 700, the spindle 400 moves to the tool change area A according to the machining program of the numerical control unit or PLC. By moving, a plurality of spindles can be simultaneously exchanged with the tool 5 mounted on the gripper unit 65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quickly, and the machine tool can be made compact as a whole.

이러한 이송부(700)는 LM 가이드와 볼스크류 및 모터로 형성된다.This transfer unit 700 is formed of an LM guide, a ball screw, and a motor.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은 지지 프레임(610), 구동부(620), 가이드부(630), 링크부(640), 복수의 그립퍼부(650), 및 롤러부(660)를 포함한다.2 to 6,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610, a driving unit 620, a guide unit 630, and a link unit. 640 , a plurality of gripper parts 650 , and a roller part 660 .

공구 매거진 유닛(600)과 스핀들(400), 새들(500), 및 컬럼(300)의 이송부(700)에 의한 이송을 통해 공구를 교환한다. 이러한 공구교환 작업은 수치제어부나 PLC의 명령에 가공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수치제어부는 NC(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control)를 포함하고, 각종 수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수치제어부는 가공부의 가공프로그램, 공구의 가동프로그램 등이 내장되고, 수치제어부의 구동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동한다. Tools are exchanged through transfer by the tool magazine unit 600, the spindle 400, the saddle 500, and the transfer unit 700 of the column 300. This tool change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umerical control unit or PLC command and processing program. The numerical control unit includes a numerical control (NC) or a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and various numerical control programs are embedded therein. That is, the numerical control unit has a processing program of the processing unit, an operation program of a tool, and the like, and the program is automatically load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numerical control unit.

이러한 수치제어부는 이송부(700), 공구 매거진 유닛(600), 스핀들(400) 및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소정의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을 수행한다.The numerical control unit communicates with the transfer unit 700, the tool magazine unit 600, the spindle 400, and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through a predetermined protocol.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치제어부는 주조작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주조작부는 화면표시 프로그램과 화면표시 선택에 따른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화면표시 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표시화면에 소프트웨어 스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인식하여 기계 동작의 입출력 명령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erical control unit includes a main operation unit, and this main operation unit includes a screen display program and a data input program according to screen display selection, and the screen display It displays the software switch on th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program, recognizes the ON/OFF of the software switch,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issuing input/output commands for machine operation.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조작부는 공작기계의 하우징, 케이스, 또는 일측에 설치되어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main operation unit is installed on a housing, a case, or one side of the machine tool and includes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지지 프레임(610)은 컬럼(300)의 프레임 또는 새들(500)의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다. 즉, 지지 프레임(610)은 컬럼(300) 프레임의 외주면 또는 새들(500)의 프레임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컬럼(300)이나 새들(500)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결정된다.The support frame 610 is integrally fixed to the frame of the column 300 or the frame of the saddle 500. That is, the support frame 610 is formed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column 300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of the saddle 500, and the sha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lumn 300 or the saddle 500.

지지 프레임(6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직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직선부(611)와 직선부(611)의 양단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곡선부(6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6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when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straight portion 611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portion 612 formed round at both ends of the straight portion 611 are provided. can do.

또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핀들(40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핀들(400)의 공구교환은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지지 프레임(610)의 직선부(611)에서 이루어진다. 즉, 스핀들(40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공작기계(10)에서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지지 프레임(610)은 반드시 직선부(611)를 구비해야 하고, 공구가 교환되는 공구교환영역(A)은 이러한 직선부(611)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곡선부(612)로만 지지 프레임(61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스핀들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간 제약과 간섭 등으로 인해 동시에 공구를 교환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6 , when a plurality of spindles 400 are formed, the tool exchange of the spindle 400 is carried out at the straight portion 611 of the support frame 61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It is done. That is, in the machine tool 10 in which a plurality of spindles 400 are formed, the support frame 61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must have a straight part 611 and the tool exchange area A where tools are exchanged. ) is located on this straight line portion 611. This is because when the support frame 610 is formed only of the curved portion 612, tools cannot be exchanged simultaneously due to space limitations and interference when a plurality of spindles are formed.

이처럼, 지지 프레임(610)이 직선부(611)를 구비하고, 스핀들(400)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공구이 이루어지는 공구교환영역은 직선부(611)에 위치함에 따라 복수개의 스핀들에서 동시에 공구교환을 할 수 있어 공구교환시간 감소에 따라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작업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As such, when the support frame 610 has the straight portion 611 and the spindle 400 is formed in plural numbers, the tool change area in which tools are made is located in the straight portion 611, so that tool exchange i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plurality of spindles. Therefore, productivity can be maximiz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ool change time and operator convenience can be promoted.

구동부(620)는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링크부(640)를 회전순환시키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동부(620)는 회전동력을 원활하게 발생하기 용이하도록 곡선부(612)에 설치된다.The driving unit 62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for rotating and circulating the link unit 640 . 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driving unit 620 is installed on the curved part 612 to facilitate the smooth generation of rotational power.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620)는 브라켓(621), 모터부(622), 및 감속부(623)를 구비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 스프로켓과 아이들 스프로켓을 구비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the drive unit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621 , a motor unit 622 , and a deceleration unit 623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driving sprocket and an idle sprocket are provided.

브라켓(621)에 의해 모터부(622)와 감속부(623) 및 구동 스프로켓이 지지 프레임(610)이나 새들(500) 프레임 또는 컬럼(300) 프레임에 설치된다. 구동 스프로켓이 모터부(622)에 설치되고 각 곡선부(612)에 링크부(640)를 지지 및 회전하기 위한 아이들 스프로켓이 설치된다. 즉, 링크부(640)는 구동 스프로켓과 아이들 스프로켓에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하나의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구동부(620)의 모터부(62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모터부(622)는 서보모터로 형성될 수 있고, 수치제어부나 PLC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감속부(623)에 의해 모터부(622)의 회전동력이 감속되어 원하는 회전속도로 링크부(640)를 회전시키고 링크부(6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tor unit 622, the reduction unit 623, and the drive sprocket ar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the saddle 500 frame, or the column 300 frame by the bracket 621. A driving sprocket is installed on the motor unit 622 and an idle sprocket for supporting and rotating the link unit 640 is installed on each curved unit 612 . That is, the link unit 64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sprocket and the idle sprocket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form a closed loop,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unit 622 of the driving unit 620. The motor unit 622 may be formed of a servo motor and driven by control of a numerical control unit or PLC.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unit 622 is reduced by the deceleration unit 623 to rotate the link unit 640 at a desired rotational speed and prevent the link unit 640 from being damaged.

가이드부(630)는 지지 프레임(610)의 외측 선단에 형성된다. 즉, 가이드부(630)는 새들(600)이나 컬럼(50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The guide part 630 is formed at the outer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610 . That is, the guide part 630 is formed to face the outside of the saddle 600 or the column 500 .

링크부(640)는 구동부(620)의 회전동력에 의해 가이드부(63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640)는 가이드부(630)를 따라 순환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 스프로켓과 아이들 스프로켓과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된다.The link unit 64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unit 630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620 . As described above, the link unit 640 is connected to the drive sprocket and the idle sprocket so as to be circularly rotated along the guide unit 630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

복수의 그립퍼부(650)가 링크부(640)에 장착되어 공구(5)를 수납한다. 즉, 연결되는 2개의 링크부(640)에 1개의 그립퍼부(650)가 장착되고, 각각의 1개의 그립퍼부(650)는 1개의 공구(5)를 수납한다.A plurality of gripper units 650 are mounted on the link unit 640 to accommodate the tool 5 . That is, one gripper part 650 is mounted on two connected link parts 640, and each one gripper part 650 accommodates one tool 5.

롤러부(660)는 가이드부(630)와 구름접촉하여 링크부(640)와 그립퍼부(650)를 지지한다. 즉, 롤러부(660)는 가이드부(630)와 구름접촉을 통해 공구교환시나 그립퍼부(650)에 무거운 공가가 장착되거나 링크부(640)의 이동시에 링크부(640)와 그립퍼부(650)가 지지 프레임(610)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oller unit 660 supports the link unit 640 and the gripper unit 650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unit 630 . That is, the roller unit 660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unit 630 when a tool is changed, when a heavy load is mounted on the gripper unit 650, or when the link unit 640 moves, the link unit 640 and the gripper unit 650 )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long the support frame 610.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공구 매거진 유닛의 경량화 및 소형화에 따른 고속이동을 통해 공구교환시간을 최대한 단축하여 비가공시간 감소에 따라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tool change time as much as possible through high-speed movement according to the light weight and miniaturization of the tool magazine unit,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non-processing time.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은 공구확인부(670) 및/또는 장력조절부(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to 6,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ool checking unit 670 and/or a tension adjusting unit 690. can

공구확인부(670)는 공구교환영역(A)에서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교환될 위치에 있는 그립퍼부(650)에 공구 수납유무를 확인한다. The tool checking unit 67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in the tool exchange area A and checks whether or not the tool is stored in the gripper unit 650 at the position to be exchanged.

즉, 공구확인부(670)는 공구교환영역(A) 상의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공구교환영역 내에서 현재 공구 교환될 위치에 놓여진 그립퍼부(650)에 공구가 수납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공구교환시에 스핀들(400)과의 충돌을 방지한다. That is, the tool checking unit 670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610 on the tool exchange area A and checks whether a tool is stored in the gripper unit 650 placed at the current tool exchange position in the tool exchange area. A collision with the spindle 400 is prevented during tool change.

따라서, 스핀들(400)의 파손에 의한 보수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maintenance cost and time due to damage of the spindle 400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장력조절부(690)는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링크부(640)의 장력을 조절한다. 그립퍼부(650)의 고속 회전 또는 고하중의 공구 장착 등에 의해 링크부(640)와 그립퍼부(650)가 처지게 될 수 있다. The tension adjusting unit 69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ink unit 640 . The link unit 640 and the gripper unit 650 may sag due to high-speed rotation of the gripper unit 650 or mounting of a tool with a high load.

이처럼 링크부(640)가 처지게 되면 장력조절부(690)를 통해 링크부(640)의 결합 장력을 조절하여 그립퍼부(650)와 롤러부(660)가 가이드부(660)에 밀착시켜 진동이나 소음을 방지하고, 공구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As such, when the link unit 640 sags, the coupling tension of the link unit 640 is adjusted through the tension adjusting unit 690 so that the gripper unit 650 and the roller unit 660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unit 660 to vibrate. or noise, and prevent tool damage.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장력조절부(690)가 지지 프레임(610)의 곡선부(612)에 2개가 설치되어 해당 그립퍼부(650)의 갯수와 그립퍼부(650)에 장착되는 공구의 무게, 링크부(640)의 회전속도 등에 따라 적절한 토크의 장력을 링크부에 인가한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preferably, two tension adjusting units 690 are installed on the curved part 612 of the support frame 610, and the number of gripper parts 650 and the number of gripper parts 650 are mounted on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to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link unit 640, and the like, an appropriate torque tension is applied to the link unit.

도 5 내지 도 6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은 위치조절부(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6 and 14 ,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unit 680 .

위치조절부(680)는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공구교환영역(A)에서 공구교환시에 링크부(640)가 이동하지 않도록 링크부(640)를 고정한다. 즉, 위치조절부(680)는 공구교환영역에서 공구교환시에 공구 위치의 정확도를 증가하여 공구교환영역에 위치하는 그립퍼부(650)가 고정되어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스핀들(400)의 이동에 의한 공구교환시에 그립퍼부(650)가 이동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공구교환을 도모하고, 공작기계의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고정영역(B)에 설치된다. 이처럼, 위치조절부(680)에 의해 그립퍼부의 정확한 포지션닝이 가능하여 가공정밀도와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position adjusting unit 68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to fix the link unit 640 so that the link unit 640 does not move during tool exchange in the tool exchange area A. That is, the position adjusting unit 680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tool position during tool exchange in the tool exchange area so that the gripper unit 650 located in the tool exchange area is fixed and does not move, and prevents the movement of the spindle 400. It is installed in the fixing area (B) to prevent the gripper unit 650 from moving or shaking during tool exchange, to promote accurate tool exchange,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machine tool. As such, accurate positioning of the gripper unit is possible by the position adjusting unit 680, so that processing precision and stability can be maximized.

도 5 내지 도 6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은 위치조절부(680)는 체결부(681), 실린더(682), 및 고정핀(78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to 6 and 14,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unit 680, a fastening unit 681, and a cylinder 682 ), and a fixing pin 783.

체결부(681)는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된다. 즉, 체결부(681)는 고정영역(B)에서 지지 프레임(610)에 볼트, 리벳, 용접과 같은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The fastening part 681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 That is, the fastening part 681 is fixedly installed to the support frame 610 in the fixing area B by a known coupling means such as bolts, rivets, or welding.

실린더(682)가 체결부(681)에 결합 설치된다.The cylinder 682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681 and installed.

고정핀(683)이 실린더(681)의 일측단의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즉, 고정핀(683)은 실린더(681)의 높이방향 상하부로 왕복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링크부(640)의 고정홈부(645)에 삽입된다. The fixing pin 683 reciprocat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one end of the cylinder 681. That is, the fixing pin 683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645 of the link part 64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reciprocating up and dow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ylinder 681.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수치제어부나 PLC의 가공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명령에 의해 공구교환시에 고정영역(B)의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된 위치조절부(680)의 실린더(682)가 작동하면 고정핀(683)이 하강하여 돌출된다. 이후 고정홈부(645)에 삽입체결되어 링크부(64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공구교환이 완료되면, 실린더(682)가 작동하고, 고정핀(683)이 승강하여 인입되면서 고정홈부(645)에 이탈하고, 이후 구동부(620)의 작동에 의해 링크부(640)까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4, the cylinder 682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680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610 of the fixed area B operates when the tool is exchanged by a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program of the numerical control unit or PLC. When the fixing pin 683 descends and protrudes. After that, it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xing groove 645 to prevent the link unit 640 from moving. Thereafter, when the tool exchange is completed, the cylinder 682 operates, the fixing pin 683 moves up and down, moves away from the fixing groove 645, and then operates the drive unit 620 to reach the link unit 640. will rotate

또한, 도 5 내지 도 6 및 도 14에 1개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지지 프레임(610)에 위치조절부(680)가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구교환시에 링크부(640)가 이동하는 것을 더욱 완벽하게 방지하여 공구나 공구 매거진 유닛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작기계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only one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in FIGS. 5 to 6 and 14 ,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position adjusting units 680 may be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610 as nee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completely prevent the link unit 640 from moving during tool exchang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tool or the tool magazine unit, thereby increasing the lifespan of the machine tool.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복수의 그립퍼부(650)는 각각 공구(5)를 수납하는 파지부(651) 및 파지부(651)에 수납되는 공구(5)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핑부(652)를 포함한다. 2 to 14, a plurality of gripper parts 65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ripping parts for accommodating the tools 5, respectively ( 651) and a clamping portion 652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tool 5 accommodated in the holding portion 651.

도 4 내지 도 6,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부(651)는 핑거부(651a), 결합부(651b), 및/또는 키(651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8 to 10, and 13, the gripping portion 651 includes a finger portion 651a, an engaging portion 651b, and/or a key 651c.

핑거부(651a)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부(651)의 외형을 형성한다. 핑거부(651a)의 마주하는 양측 선단은 후술하는 가압부(652b)의 일부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스토퍼기능을 수행한다.The finger portion 651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gripping portion 651 . The opposite ends of the finger portion 651a perform a stopper function of supporting and fixing a part of the pressing portion 652b to be described later.

결합부(651b)는 그립퍼부(650)를 링크부(640)에 체결하기 위해 핑거부(651a)의 후방 양측에 연장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립퍼부(650)는 링크부(640)에 핀이나 리벳, 볼트를 통해 롤러부(660)와 함께 결합된다.Coupling parts 651b extend from both rear sides of the finger part 651a to fasten the gripper part 650 to the link part 640 . Accordingly, the gripper part 650 is coupled to the link part 640 together with the roller part 660 through pins, rivets, or bolts.

키(651c)는 핑거부(651a)의 몸통 중앙에 돌출 형성된다. 키(651c)의해 공구(5)가 파지부(651)에 클램핑부(652)와 함께 견고하게 체결되면서 공구(5)의 방향성이 유지되어 복수의 스핀들(400)에 용이하게 공구교환이 이루어지고,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하여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key 651c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body of the finger portion 651a. While the tool 5 is firmly fastened to the gripping part 651 together with the clamping part 652 by the key 651c, the orientation of the tool 5 is maintained so that the tool can be easily exchanged in the plurality of spindles 400.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by shortening the tool change time.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클램핑부(652)는 바디부(652a), 가압부(652b), 및 절곡부(652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 the clamping portion 652 includes a body portion 652a, a pressing portion 652b, and a bent portion 652c.

바디부(652a)는 파지부(651)에 결합 설치된다. 즉, 바디부(652a)는 파지부(651)의 핑거부(651a)의 몸통에 볼트, 리벳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 설치된다.The body part 652a is coupled to the gripping part 651. That is, the body part 652a is coupled and installed to the body of the finger part 651a of the gripping part 651 by a coupling means such as a bolt or a rivet.

가압부(652b)는 바디부(652a)의 양단에서 바디부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굴곡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652b)는 핑거부(651a)의 양측단 보다 길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절곡부(652c)는 핑거부(651a)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구교환시에 그립퍼부(650)에 탈부착되는 공구(5)에 대해 탄성가압과 스냅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공구의 클램핑/언클램핑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652b is bent inward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body portion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652a and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addition, the pressing portion 652b is formed to be longer than both ends of the finger portion 651a, and a bent portion 652c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utside the finger portion 651a. Accordingly, when exchanging tools, the tool 5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gripper unit 650 is easily elastically pressed and snap-coupled, so that the clamping/unclamping operation of the tool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즉, 가압부(652b)는 바디부(652a)의 양단에서 바디부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40도 이상 89도 미만 사이의 각도(θ)를 갖도록 굴곡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그립퍼부(650)의 파지부(651)로 공구(5)가 인입되면 공구(5)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공구(5)를 클램핑한다. 가압부(652b)의 굴곡 각도(θ)가 40도 미만인 경우 공구의 직경에 따라 공구가 파지부 내부로 인입될 수가 없거나 탄성 가압력이 너무 커서 공구를 손상시킬 수 있고, 89도를 초과하는 경우 가압 탄성력이 너무 약해 공구가 파지부(651)에 파지한 상태에서 공구의 파지가 불가능하여 공구가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클램핑시에 공구의 손상을 최소화면서 다양한 크기의 공구가 장착될 수 있고, 링크부(640)의 이동중에 공구가 그립퍼부(650)에서 낙하하거나 공구가 클램핑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압부(652b)의 굴곡 각도(θ)는 70도 이상 내지 89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pressing part 652b is bent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652a to have an angle θ of between 40 degrees and less than 89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body part, and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gripper part ( When the tool 5 is pulled into the gripping portion 651 of 650, 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tool 5 to clamp the tool 5. If the bending angle (θ) of the pressing part 652b is less than 40 degrees, the tool cannot be retracted into the gripping part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tool, or the elastic pressing force is too large to damage the tool. Since the elastic force is too weak, it is impossible to grip the tool while the tool is gripped by the gripping portion 651, and the tool falls. Therefore, tools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while minimizing tool damage during clamping, and the pressing part prevents tools from falling from the gripper part 650 or not being clamped while the link part 640 moves. The bending angle θ of 652b is preferably 70 degrees or more and less than 89 degrees.

절곡부(652c)가 각각의 가압부(652b)의 선단에서 바디부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즉, 절곡부(652c)는 가압부(652b)의 선단에서 바디부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가압부(652b)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됨에 따라 공구(5)가 파지부(651)로 인입될 때에 공구(5)를 스냅결합에 의해 결합하는 형태로 된다.The bent portion 652c is formed to be bent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body portion at the front end of each pressing portion 652b. That is, the bending part 652c is formed to be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essing part 652b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of the body part at the front end of the pressing part 652b, so that the tool 5 can hold the gripping part 651 When drawn in, the tool 5 is coupled by snap coupling.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공구(5)가 파지부(651) 내부로 인입되면 가압부(652b)의 굴곡 각도(θ)가 언클램핑시보다 커지면서 공구(5)를 탄성가압하게 된다. 또한, 절곡부(652c)가 공구(5)의 홈에 스냅결합되면서 공구를 이중으로 가압하여 공구를 안정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1 to 13 , when the tool 5 is drawn into the gripping part 651, the bending angle θ of the pressing part 652b becomes larger than during unclamping, and the tool 5 is elastically pressed. . In addition, the tool can be stably clamped by doubly pressing the tool while the bent portion 652c is snap-coupled to the groove of the tool 5 .

또한, 언클램핑시에는 공구를 클램핑부(65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환함에 따라 클램핑부(652)나 파지부(651)의 손상없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공구를 교환할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unclamping, as the tool is exchanged while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lamping part 652, the tool can be exchanged quickly and stably without damaging the clamping part 652 or the gripping part 651.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클램핑부(652)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의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바디부(652a), 가압부(652b), 및 절곡부(652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핑부(652)의 두께(t)는 1.3mm 이상 내지 2.5mm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부(652)의 두께(t)가 1.3mm 미만인 경우에는 소정의 탄성 가압력을 발휘할 수 없고 2.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clamping portion 652 is formed in the form of a "c"-shaped leaf spring as a whole, and the body portion 652a, the pressing portion 652b, and the bent portion 652c are integrally formed. can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t) of the clamping part 652 is formed within 1.3 mm or more and 2.5 mm or less. When the thickness t of the clamping portion 652 is less than 1.3 mm, a predetermined elastic pressing force cannot be exerted, and when it exceeds 2.5 mm,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링크부(640)는 본체부(641), 브릿지부(642), 안착부(643), 결합홈부(644), 및 고정홈부(645)를 포함한다.8 to 10, the link portion 64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641, a bridge portion 642, and seating. It includes a part 643, a coupling groove part 644, and a fixing groove part 645.

본체부(641)는 대략 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링크부(640)의 외형을 형성한다.The body portion 64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link portion 640 .

브릿지부(642)는 본체부(641)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브릿지부(642)는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640)의 안착부(643)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부(643)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로 본체부(641)이 일측에 형성된다. The bridge portion 642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641 in a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the body portion 64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ridge portion 642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643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643 of the other adjacent link portion 640 .

안착부(643)는 본체부(641)의 타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의 브릿지부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부(641)의 수평방향 내측으로 함입 형성된다. 즉, 1개의 링크부(640)에서 브릿지부(642)는 본체부(64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안착부(643)는 본체부의 타측에서 함입 형성되어 브릿지부(642)는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의 안착부로 삽입되고, 안착부는 그 뒤에서 이웃하는 링크부의 브릿지부를 수용한다.The seating portion 643 is recessed into the body portion 6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accommodate a bridge portion of another link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641 . That is, in one link part 640, the bridge part 642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641, and the seating part 643 is formed inden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so that the bridge part 64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main body part. The sea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eat portion of the link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receives the bridge portion of the adjacent link portion behind it.

결합홈부(644)는 그립퍼부(650)와 롤러부(660)를 연결하기 위해 안착부(643)가 함입 형성되는 위치의 본체부(641)와 브릿지부(642)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 644 is formed by vertically penetrating the body portion 641 and the bridge portion 642 where the seating portion 643 is recessed to connect the gripper portion 650 and the roller portion 660. do.

고정홈부(645)는 결합홈부(644) 사이에서 본체부(641)의 일부에 수직방향으로 함임 형성된다. 즉, 고정홈부(64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의 고정핀(683)이 삽입되도록 본체부(641)의 일부에 결합홈부(644)의 사이에 함입 형성된다.The fixing groove 645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main body 641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644 . That is, the fixing groove 645 is formed in a part of the main body 641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644 so that the fixing pin 683 of the position adjusting unit is inserted as described above.

이처럼, 링크부(640)가 서로 각 관절 형태로 형성되고, 이러한 링크부(640)에 그립퍼부(650)가 결합됨에 따라 간단한 구조와 경량화를 통해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고, 경량화에 의해 새들이나 컬럼, 또는 스핀들의 고속이동에 의해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link parts 640 are formed in the form of each joint, and as the gripper part 650 is coupled to these link parts 640, i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hrough a simple structure and light weight, making it easy to move and light weight. Tool change time can be shortened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high-speed movement of saddles, columns, or spindles.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가이드부(630)는 제1 가이드(631), 제2 가이드(632), 제3 가이드(633), 및 제4 가이드(634)를 포함한다.3 to 6, the guide unit 63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uide 631 and a second guide 632 , a third guide 633, and a fourth guide 634.

제1 가이드(631)는 지지 프레임(610)의 외주면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The first guide 631 extends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610 .

제2 가이드(632)는 제1 가이드(631)와 높이방향(Z)으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지지 프레임(610)의 외주면의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The second guide 632 extends along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6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631 in the height direction Z and face each other in parallel.

제3 가이드(633)는 지지 프레임(610)의 외측 선단을 따라 제1 가이드(631)와 제2 가이드(632) 사이에 연장 형성된다. 즉, 제3 가이드(633)는 제1 가이드(631)와 제2 가이드(632)가 지지 프레임(610)이 외주면의 상하부로 돌출 연장 형성될 때에 그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 상의 하부면을 의미한다.The third guide 633 extends between the first guide 631 and the second guide 632 along the outer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610 . That is, the third guide 633 refer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guide 631 and the second guide 632 when the support frame 610 protrudes and extends upward and downwar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제4 가이드(634)는 제1 가이드(631)와 인접하고 제1 가이드(631)의 높이방향(Z) 상부로 연장 형성된다. 제4 가이드(634)는 제1, 2, 3 가이드(631, 632, 633)과 달리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4 가이드(634)는 제1 가이드(631)와 인접하고 제1 가이드(631)의 높이방향(Z) 상부로 연장되면서 제1 가이드(631)의 수평방향(X)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The fourth guide 634 is adjacent to the first guide 631 and extends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first guide 631 . Unlike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s 631, 632, and 633, the fourth guide 634 does not necessarily exist and may be added as needed. In addition, the fourth guide 634 is adjacent to the first guide 631 and extends upwar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first guide 631 while extending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X of the first guide 631. do.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10)의 공구 매거진 유닛(600)의 롤러부(660)는 제1 롤러(661), 제2 롤러(662), 제3 롤러(663), 및 제4 롤러(664)를 포함한다.3 to 6, the roller unit 660 of the tool magazine unit 600 of the machine too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ller 661 and a second roller 662 , a third roller 663, and a fourth roller 664.

제1 롤러(661)는 제1 가이드(631)와 구름접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롤러(661)가 제1 가이드(631) 면(G1)에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first roller 661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631 .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roller 661 is installed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1 of the first guide 631 .

제2 롤러(662)는 제1 롤러(661)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제2 가이드(632)와 구름접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롤러(662)가 제2 가이드(632) 면(G2)에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second roller 662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ller 661 in the height direction, and makes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632 .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second roller 662 is installed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2 of the second guide 632 .

제3 롤러(663)는 제1 롤러(661) 및 제2 롤러(662)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제3 가이드(633)와 구름접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3 롤러(663)가 제3 가이드(633) 면(G3)에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다.The third roller 663 is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roller 661 and the second roller 662 and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third guide 633 .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third roller 663 is installed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3 of the third guide 633 .

제4 롤러(664)는 제1 롤러(661)의 높이방향 상부에 제1 롤러(661)와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제4 가이드(634)와 구름접촉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4 롤러(664)가 제4 가이드(634) 면(G4)에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제4 롤러(664)는 제1, 2, 3 롤러(661, 662, 663)과 달리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4 가이드(634)와 함께 필요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The fourth roller 664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first roller 661 above the first roller 661 in the height direction and makes rolling contact with the fourth guide 634 . 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fourth roller 664 is installed to make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4 of the fourth guide 634 . Unlike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llers 661, 662, and 663, the fourth roller 664 does not necessarily exist, and may be added along with the fourth guide 634 as needed.

그립퍼부(650)가 링크부(640)에 결합되고, 링크부(640)에 지지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링크부(640)가 이동하거나 공구교환영역(A)에서 공구가 교환되거나, 자중이 무거운 공구가 그립퍼부(6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술한 롤러부(660)와 가이드부(630)가 이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구동을 도모한다.The gripper unit 650 is coupled to the link unit 640,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610 to the link unit 640 so that the link unit 640 moves, tools are exchanged in the tool exchange area A, or self-weight In a state where this heavy tool is mounted on the gripper part 650, the above-described roller part 660 and guide part 630 support it to promote stable driving.

구체적으로, 제1 롤러(661)가 제1 가이드(631) 면(G1)에 구름접촉하고, 제2 롤러(662)가 제2 가이드(632) 면(G2)에 구름접촉, 즉 연속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링크부(640)의 이동시(회전시)에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roller 661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1 of the first guide 631, and the second roller 662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2 of the second guide 632, that is, in continuous contact. sta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mote operator's convenience 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vibration or noise when the link unit 640 is moved (when rotating).

또한, 제3 롤러(663)가 제3 가이드(633) 면(G3)에 구름접촉하여 그립퍼부(650)와 링크부(640)가 중력방향으로 처짐이 없이 유지되거나 링크부(640)를 처짐없이 이동시켜 장비의 손상을 최소하여 유지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roller 663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3 of the third guide 633 so that the gripper part 650 and the link part 640 are maintained without deflection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r the link part 640 is deflected. It can be moved without damage to the equipment,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time.

게다가, 제4 롤러(664)가 제4 가이드(634) 면(G4)에 구름접촉하여 공구자체의 중량에 의해 그립퍼부(650)와 링크부(640)가 처지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롤러(664)와 제4 가이드(634)에 의해 공구교환시에 스핀들(400)이 승하강 이동에 따른 공구교환시에 그립퍼부(650)와 링크부(64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4 가이브(634)는 공구교환영역(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ourth roller 664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urface G4 of the fourth guide 634 to secondarily prevent the gripper part 650 and the link part 640 from sagging due to the weight of the tool itself. . In addition, the fourth roller 664 and the fourth guide 634 prevent the gripper part 650 and the link part 640 from sagging when the spindle 400 moves up and down when the tool is changed due to the fourth roller 664 and the fourth guide 634. To this end, the fourth guide 634 is preferably formed in the tool changing area A.

또한, 제1, 2 롤러(661, 662)는 동일 재질로 형성되고, 제3, 4 롤러(663, 664)는 제1, 2 롤러(661, 662)와 서로 다른 재질 또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661 and 66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third and fourth rollers 663 and 664 may be formed of a different material or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and second rollers 661 and 662. can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는 공구 매거진 유닛이 가이드부, 링크부, 그립퍼부, 롤러부에 의해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구동하면서 무게를 현저히 감소하여 고속이동에 의해 공구교환시간을 단축할 뿐만아니라, 다수의 스핀들의 공구교환을 동시에 수행하여 공구교환시간을 감소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공작기계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단축하며, 공작기계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magazine unit is driven most stably and efficiently by the guide part, the link part, the gripper part, and the roller part,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weight and shortens the tool exchange time by high-speed movement. ,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ool exchange of multiple spindles to reduce tool exchange time, thereby maximizing productivit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machine tools, and improving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machine tool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종래 공작기계, 2 : 주축대,
3 : 스핀들, 4 : 공구 매거진,
5 : 공구, 6 : 공작물,
10 : 공작기계, 100 : 베드,
200 : 테이블, 300 : 컬럼,
400 : 스핀들, 410 : 제1 스핀들,
420 : 제2 스핀들, 500 : 새들,
600 : 공구 매거진 유닛, 610 : 지지 프레임,
611 : 직선부, 612 : 곡선부,
620 : 구동부, 621 : 브라켓,
622 : 모터부, 623 : 감속부,
630 : 가이드부, 631 : 제1 가이드,
632 : 제2 가이드, 633 : 제3 가이드,
634 : 제4 가이드, 640 : 링크부,
641 : 본체부, 642 : 브릿지부,
643 : 안착부, 644 : 결합홈부,
645 : 고정홈부, 650 : 그립퍼부,
651 : 파지부, 651a : 핑거부,
651b : 결합부, 651c : 키,
652 : 클램핑부, 652a : 바디부,
652b : 가압부, 652c : 절곡부,
660 : 롤러부, 661 : 제1 롤러,
662 : 제2 롤러, 663 : 제3 롤러,
664 : 제4 롤러, 670 : 공구확인부,
680 : 위치조절부, 681 : 체결부,
682 : 실린더, 683 : 고정핀,
690 : 장력조절부, 700 : 이송부,
710 : 컬럼 이송부, 720 : 스핀들 이송부,
730 : 새들 이송부, A : 공구교환영역,
B : 고정영역, C : 바디부의 중심축.
1: conventional machine tool, 2: headstock,
3: spindle, 4: tool magazine,
5: tool, 6: workpiece,
10: machine tool, 100: bed,
200: table, 300: column,
400: spindle, 410: first spindle,
420: second spindle, 500: saddle,
600: tool magazine unit, 610: support frame,
611: straight part, 612: curved part,
620: driving unit, 621: bracket,
622: motor unit, 623: reduction unit,
630: guide unit, 631: first guide,
632: second guide, 633: third guide,
634: fourth guide, 640: link unit,
641: body part, 642: bridge part,
643: seating part, 644: coupling groove,
645: fixing groove, 650: gripper,
651: grip part, 651a: finger part,
651b: coupling part, 651c: key,
652: clamping part, 652a: body part,
652b: pressing part, 652c: bending part,
660: roller unit, 661: first roller,
662: second roller, 663: third roller,
664: fourth roller, 670: tool check unit,
680: position control unit, 681: fastening unit,
682: cylinder, 683: fixing pin,
690: tension control unit, 700: transfer unit,
710: column transfer unit, 720: spindle transfer unit,
730: saddle transfer unit, A: tool exchange area,
B: fixed area, C: central axis of the body.

Claims (17)

베드;
상기 베드에 설치되어 공작물이 안착되는 테이블;
상기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컬럼;
상기 컬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상기 베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컬럼을 지지하는 새들; 및
상기 스핀들에 공구를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공구를 수납하고 상기 컬럼의 둘레 또는 상기 새들의 둘레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공구 매거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이 상기 스핀들과 동일한 X축 선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핀들이 상기 베드 상에서 이동 가능한 어떤 위치에서 가공하는 중이라도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의 X축 방향의 이동없이 상기 스핀들이 Y축 방향 및/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직접 공구교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bed;
a table installed on the bed and on which a workpiece is seated;
a column movably installed on the bed;
A spindle movably installed in the column to rotate a tool to process a workpiece;
Saddles movably installed on the bed to support the column; and
A tool magazine unit configured to accommodate a plurality of tools in order to supply tools to the spindle and formed on either the periphery of the column or the saddle,
As the tool magazine unit moves on the same X-axis line as the spindle, the spindle moves in the Y-axis direction and / 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and directly performs tool exch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컬럼 또는 상기 새들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 선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동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에 장착되어 공구를 수납하는 복수의 그립퍼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구름접촉하여 상기 링크부와 상기 그립퍼부를 지지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1,
The tool magazine unit,
a support frame fixed to the column or the saddle;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a guide part formed at an outer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a link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unit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unit;
a plurality of gripper units mounted on the link unit and accommodating tools; and
and a roller part supporting the link part and the gripper part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립퍼부는 각각,
상기 공구를 수납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수납되는 공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gripper parts,
a gripper for accommodating the tool; and
A machine tool comprising a; clamping unit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tool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파지부에 결합 설치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양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굴곡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가압부; 및
각각의 상기 가압부의 선단에서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clamping part,
a body portion coupled to the gripping portion;
Pressing parts bent inwardly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and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A machine tool comprising a;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outward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ressing por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40도 이상 내지 89도 이하 사이의 각도로 굴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4,
The pressing part is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bent at an angle between 40 degrees or more and 89 degrees or less bas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ar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핑거부;
상기 그립퍼부를 상기 링크부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핑거부의 후방 양측에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핑거부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holding part,
finger part;
Coupling parts extending from both rear sides of the finger part to fasten the gripper part to the link part; and
A machine tool comprising: a key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nger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브릿지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서 인접하는 다른 링크부의 브릿지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수평방향 내측으로 함입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그립퍼부와 상기 롤러부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와 상기 브릿지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link part,
body part;
a bridge portion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 seating portion recess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body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rder to accommodate a bridge portion of another link portion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nd a coupling groove formed by penetrating the body portion and the bridge portion in a vertical direction to connect the gripper portion and the roller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결합홈부 사이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부에 수직방향으로 함임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7,
The link part,
The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ixing groove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cessed in a portion of the main body between the coupling groov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의 상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와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마주하면서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주면의 하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 선단을 따라 상기 제1 가이드와 제2 가이드 사이에 연장 형성되는 제3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part,
a first guide extending along an upper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a second gui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uide in a height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a lower por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so as to face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machine tool comprising a; third guide extending between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along the outer front end of the support fram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1 롤러;
상기 제1 롤러와 높이방향으로 이격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2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와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3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9,
The roller part,
a first roller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a second roller formed to face each oth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ller in a height direction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and
and a third roller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third gui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인접하고 상기 제1 가이드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제4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10,
The guide part,
A machine tool further comprising a fourth guide adjacent to the first guide and extending upwardl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롤러의 높이방향 상부에 상기 제1 롤러와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4 가이드와 구름접촉하는 제4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11,
The roller part,
The machine tool further comprising a fourth roller installed above the first roller in a height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first roller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ourth gui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의 공구교환은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직선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spindle is formed in plurality,
The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the tool change of the spindle is made in the straight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of the tool magazine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은,
공구교환영역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부의 공구 수납유무를 확인하는 공구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tool magazine unit,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tool check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in the tool exchange area to check whether tools are stored in the gripper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구교환영역에서 공구교환시에 상기 링크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링크부를 고정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tool magazine unit,
The machine tool according to claim 1 ,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fixing the link unit so that the link unit does not move when a tool is exchanged in a tool exchange are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결합 설치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의해 높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15,
The position control unit,
a fasten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Cylinder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and
A machine tool comprising a fixing pin reciprocating in the height direction by the cylin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매거진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링크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
According to claim 3,
The tool magazine unit,
The machine tool further comprising a; tension adjust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ink unit.
KR1020180037999A 2018-04-02 2018-04-02 Machine tool KR1025621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99A KR102562141B1 (en) 2018-04-02 2018-04-02 Machine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99A KR102562141B1 (en) 2018-04-02 2018-04-02 Machine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28A KR20190115228A (en) 2019-10-11
KR102562141B1 true KR102562141B1 (en) 2023-08-01

Family

ID=6821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99A KR102562141B1 (en) 2018-04-02 2018-04-02 Machine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1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88669B (en) * 2022-06-27 2024-01-12 株洲泰金机械有限责任公司 Machine tool cutter storag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035A (en) * 2001-05-11 2002-11-26 Tsubakimoto Chain Co Chain with tool retaining gripp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728A (en) * 1993-12-17 1995-07-11 Showa Seiko Kk Device for multi-spindle simultaneous tool changing in machine tool
KR20030069674A (en) 2002-02-22 2003-08-27 두산메카텍 주식회사 An automatic tool changer of Vertical Machining Center
KR20090015501A (en) 2007-08-09 2009-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ool moving apparatus of magazine for apparatus auto-changing tool
KR20120084508A (en) 2011-01-20 2012-07-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The tool magazine of the tool machine
KR101875442B1 (en) 2012-01-27 2018-07-09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A tool position determinating device for automatic tool changer of machine tool
KR102165418B1 (en) * 2014-01-28 2020-10-14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Tool magazine system
KR20160092326A (en) 2015-01-27 2016-08-04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Machine tool
KR101660184B1 (en) 2015-10-30 2016-09-26 현대위아 주식회사 Slide-type automatic tool chang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035A (en) * 2001-05-11 2002-11-26 Tsubakimoto Chain Co Chain with tool retaining gri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28A (en)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071B1 (en) Auto toool cha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US11433497B2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102446405B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CN113412175B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102562141B1 (en) Machine tool
KR20210111551A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3985998B2 (en) Machine tools for complex machining
CN113382821B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00086840A (en) Tail Stock
KR100864049B1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KR101891576B1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with automatic pallet changer
KR20210122614A (en) Tool storage device of machine tool
KR20190115376A (en) Turret tool device of machine tool
KR102435068B1 (en) Machine tool
KR102495718B1 (en) Tool chang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230201965A1 (en) Machine tool
KR20230130357A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20190098424A (en) Automatic pallet changer
EP4173751A1 (en) Magazine and machine tool
KR102413980B1 (en) 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magazine tool
KR20230157007A (en) Option door apparatus of auto tool changer and auto tool chang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30120322A (en) Pallet positioning device of machine tool
KR20220109045A (en) Tail Stock
KR20220141530A (en) Multi pallet system of machine tool
KR20220151890A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tool in the tool magazine and tool magazin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