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823B1 - Carrier drone - Google Patents

Carrier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823B1
KR102561823B1 KR1020210085613A KR20210085613A KR102561823B1 KR 102561823 B1 KR102561823 B1 KR 102561823B1 KR 1020210085613 A KR1020210085613 A KR 1020210085613A KR 20210085613 A KR20210085613 A KR 20210085613A KR 102561823 B1 KR102561823 B1 KR 102561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modron
locking
storage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05005A (en
Inventor
박민준
조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론프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론프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론프릭
Priority to KR102021008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823B1/en
Publication of KR2023000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50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8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5/00Aircraft transported by aircraft, e.g. for release or reberthing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2Airborn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1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의 하방향으로 신속하게 수직 투하될 수 있는 캐리어 드론이 소개된다.
이 캐리어 드론은 비행이 가능한 모드론과, 복수 개로 제공되는 자드론과, 자드론이 모드론에 수납 가능하도록 모드론에 장착되는 격납모듈을 포함하고, 격납모듈은 모드론에 장착되고 자드론의 격납공간을 제공하는 격납 프레임과, 격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자드론의 수직방향 토출을 안내하도록 격납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가이드와, 자드론을 격납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 유닛과, 자드론에 대한 락킹 유닛의 고정이 해제될 때, 자드론을 레일 가이드에서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압력을 제공하는 푸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A carrier drone capable of rapidly dropping a plurality of drones vertically down the modron is introduced.
This carrier drone includes a modron that can fly, a plurality of Zadrons, and a storage module mounted on the Modron so that the Zadr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A containment frame providing a containment space, a plurality of rail guides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containment frame to guide the discharge of the Zadr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Zadron to the containment frame. It may include a locking unit for fixing to the locking unit, and a push unit for providing a push pressure for discharging the zadron to the outside from the rail guide when the locking unit is released.

Description

캐리어 드론{CARRIER DRONE}Carrier drone {CARRIER DRONE}

본 발명은 캐리어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drone.

드론(Drone, 무인 비행기)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며,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Drone (UAV) is a general ter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uninhabited aerial vehicles (UAVs) in the shape of airplanes or helicopters that can fly and control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and are used in various civil fields other than military use. is also being used.

일반적인 드론은 프로펠러의 갯수에 따라 쿼드콥터(4개), 헥사콥터(6개) 및 옥토콥터(8개)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드론은 모 카메라 등을 탑재할 수 있는 몸체부와, 비행을 위한 회전익 구조체와, 이/착륙용 다리와, 회전익 구조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General drones can be divided into quadcopters (4), hexacopters (6) and octocopters (8)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This drone may be composed of a body part capable of mounting a parent camera, a rotor structure for flight, take-off/landing legs, an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rotor structure.

그런데, 소형 드론의 경우,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만으로는 20∼30분 정도의 비행이 가능한 정도여서, 목표 지점이 멀리 떨어져 있으면, 소형 드론은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배터리에 대한 용량을 증가시키려고 해도, 배터리의 밀도에 대한 충전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지 않는 이상, 소형 드론의 동작 시간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small drone, it is possible to fly for about 20 to 30 minutes with only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drone, so if the target point is far away, it may be difficult for the small drone to move to the target point. Even if an attempt is mad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battery, it is difficult to drastically increase the operation time of a small drone unless the amount of charge relative to the density of the battery is dramatically improved.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드론 스테이션이 구비된 차량을 이용하여 소형 드론을 목표 지점의 근처까지 이동시킨 후, 차량의 드론 스테이션에서 소형 드론을 목표 지점으로 비행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fter moving a small drone to the vicinity of a target point using a vehicle equipped with a drone station, the small drone can be flown to the target point from the drone station of the vehicle.

그러나 차량은 도로를 통해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지형에 제한이 따르고,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vehicle moves to the target point through the road, the terrain on which the vehicle can move is limited, and it may take a lot of time to move to the target point.

등록특허공보 10-2077545(2020.02.10)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10-2077545 (2020.0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자드론을 모드론을 통해 먼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고, 모드론에 격납된 복수 개의 자드론을 모드론의 하방향으로 신속하게 수직 투하시킬 수 있는 캐리어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plurality of child drones can be moved over a long distance through the modron, and a plurality of child drones stored in the modron can be moved vertically vertically quickly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odr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rier drone that can be dropp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행이 가능한 모드론; 복수 개로 제공되는 자드론; 및 상기 자드론이 상기 모드론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모드론에 마련되는 격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자드론의 격납공간을 제공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자드론의 수직방향 토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가이드; 및 상기 자드론을 상기 격납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dron capable of flight; Zadrons available in multiples; and a storage module provided in the modron so that the subdrone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the storage module being mounted on the modron,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subdrone; rail guides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tainment frame to guide discharge of the dron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drone to the storage frame.

이때,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자드론에 대한 상기 락킹 유닛의 고정이 해제될 때, 상기 자드론을 상기 레일 가이드에서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압력을 제공하는 푸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torag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ush unit providing push pressure for discharging the z-drone from the rail guide to the outside when the locking unit is not fixed to the z-drone.

또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격납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자드론의 리어 바가 삽입 가능한 락킹 슬릿부를 제공하는 홀더; 상기 락킹 슬릿부에 입출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바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 로드; 상기 락킹 로드를 상기 락킹 슬릿부에 입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락킹 모터; 및 상기 락킹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락킹 로드 사이를 구동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unit includes a holder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frame and providing a locking slit into which the rear bar of the drone can be inserted; a locking rod installed in the holder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locking slit and selectively fixing the rear bar; a locking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locking rod into and out of the locking slit; And it may include a link member driving and connecting between the drive shaft of the locking motor and the locking rod.

또한, 상기 모드론은 내부에 상기 격납모듈이 장착되고, 하부에 상기 자드론이 토출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는 모 바디; 상기 모 바디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모 아암; 양력 조절을 위해 상기 모 아암의 끝단에 마련되는 모 프로펠러; 및 상기 모 바디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 장착되는 랜딩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ron includes a mother body in which the storage module is mount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rone can be discharge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a parent arm connected to an upper edge portion of the parent body; A parent propell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parent arm for lift control; And it may include a landing leg mounted on the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또한, 상기 모드론은 상기 격납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ron may further include a mother camera for monitoring an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또한, 상기 모드론은 상기 격납 프레임의 상기 격납 공간을 외기로 송풍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장착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r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fan mounted on the containment frame to blow air to the containment space of the containment frame.

또한, 상기 랜딩 레그는 상기 모 바디에 대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상기 모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모 바디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장착되는 랜딩 바; 상기 랜딩 바가 상기 모 바디에 대하여 펼쳐지거나 상기 모 바디의 랜딩홀부로 접히도록 상기 랜딩 바를 상기 모 바디모 바디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랜딩 바가 상기 모 바디의 랜딩홀부에 접힐 때, 상기 랜딩홀부에 매칭되는 랜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nding leg may include a landing bar mounted on a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ther body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with respect to the mother body;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landing bar in the mother body so that the landing bar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other body or folded into a landing hole of the mother body; and a landing cover that matches the landing hole when the landing bar is folded into the landing hole of the mother body.

또한, 상기 자드론은 자 바디; 상기 자 바디에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자 아암; 양력 조절을 위해 상기 자 아암의 끝단에 마련되는 자 프로펠러; 및 상기 자 바디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상기 락킹 유닛의 락킹 로드에 의해 락킹되는 걸림홀부가 제공하는 리어 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Zadrone may include a Jabody; a ruler arm connected to an edge portion of the ruler body; A ruler propell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ruler arm for lift control; and a rear bar connected to a rear side of the child body and provided by a locking hole portion locked by a locking rod of the locking unit.

또한, 상기 자드론은 상기 자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폭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ld drone may further include an explosi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hild body.

또한, 상기 격납모듈은 하강신호에 따라, 상기 자드론의 작동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온시켜 상기 자드론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unit configured to mechanically turn on an operating switch of the child drone to operate the child drone in response to a falling signal.

또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모터; 상기 스위치 모터를 상기 격납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스위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모터의 작동시, 회전을 통해 상기 자드론의 전원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푸시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switch motor;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switch motor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frame; And it may include an on-off switch that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witch motor and mechanically pushes the power switch of the drone through rotation when the switch motor operat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 내에서 수직 형태로 격납됨으로써,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의 수직 하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직 투하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child drones can be effectively vertically dropped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modron by storing a plurality of child drones in a vertical form within the modr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에서 수직 투하될 때, 복수 개의 자드론을 모드론의 수직 하방향으로 푸시함으로써, 복수 개의 자드론을 모드론에서 신속하게 투하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 plurality of child drones are vertically dropped from the modron, by pushing the plurality of child drones vertically downward of the modron, the plurality of child drones can be quickly dropped from the modron.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드론의 내부에 설치된 모 카메라를 통해, 모드론에 탑재된 자드론의 정상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drone mounted on the modron can be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a parent camera installed inside the modr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드론이 탑재된 격납모듈이 모드론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자드론이 분리된 격납모듈을 모드론에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storage module from which the Zadrone is detached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Modron because the storage module in which the Zadrone is mounte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odr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드론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드론의 측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드론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드론이 분리된 상태의 캐리어 드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격납모듈을 다른 방향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드론이 탑재된 상태의 캐리어 드론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드론의 제어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드론이 캐리어 드론의 격납모듈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드론이 캐리어 드론의 격납모듈에서 분리되어 수직 하방향으로 투하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drone viewed from the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of a carrier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rier drone viewe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rrier drone in a state in which the drone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4 .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module of FIG. 5 from another direc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rrier drone in a state in which a child drone is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7 .
9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carrier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one is mounted in a storage module of a carrier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ne is separated from a storage module of a carrier drone and dropped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ing', 'supporting', 'connecting', 'supplying', 'transferring', or 'contacting'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connected to, supported by,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may be supplied, delivered, or contacted,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expressions such as upper, lower, side, etc. ar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and it is made clear in advance that they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region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or groups.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드론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details of a carrier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드론(10)은, 목표 지점 근처까지 장거리 비행하여 이동한 후, 복수 개의 자드론(200)을 하방향으로 수직 투하할 수 있다. 캐리어 드론(10)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 통신 장치를 통해, 무선 조정이 가능한 드론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드론(10)은 모드론(100), 자드론(200), 격납모듈(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11, the carrier dro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oving by flying over a long distance near a target point, vertically drops a plurality of drones 200 downward. can do. The carrier drone 1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rone capable of wireless control through various types of telecommunication devices. The carrier drone 10 may include a modron 100, a drone 200, a storage module 300, and a controller 400.

구체적으로, 모드론(100)은 장거리 비행이 가능한 대형 크기의 비행 드론일 수 있다. 모드론(100)에는 격납모듈(300)을 통해 복수 개의 자드론(200)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드론(100)은 모 바디(110), 모 아암(120), 모 프로펠러(130), 랜딩 레그(140), 모 카메라(150) 및 냉각팬(16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dron 100 may be a large-sized flying drone capable of long-distance flight. A plurality of self-drone 200 may be mounted on the modron 100 through the storage module 300 . The modron 100 may include a parent body 110, a parent arm 120, a parent propeller 130, a landing leg 140, a parent camera 150, and a cooling fan 160.

모 바디(110)는 모드론(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일 수 있다. 모 바디(110)의 전방부는 바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한 유선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 바디(110)는 하부 바디(111)와, 하부 바디(1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 바디(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other body 110 may be a housing provid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modron 100. The front part of the parent body 110 may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to reduce wind resistance. The parent body 110 may include a lower body 111 and an upper body 112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body 111 .

하부 바디(111)는 모 바디(110)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하부 바디(111)의 하측 가장자리부에는 랜딩 레그(140)가 입출 가능한 랜딩홀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바디(111)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자드론(200)이 하방향으로 토출 가능한 개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1a)는 복수 개의 자드론(200)이 통과 가능한 크기의 관통홀 형상일 수 있다. The lower body 111 may constitute the lower part of the mother body 110 . A landing hole 113 through which the landing leg 140 can enter and exit may be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lower body 111 . An opening 111a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200 can be discharged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111 . The opening 111a may have a shape of a through hole having a size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200 can pass.

상부 바디(112)는 모 바디(11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부 바디(112)의 상부에는 안테나(170)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부 바디(112)의 가장자리부에는 복수 개의 모 아암(120)이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body 112 may constitute the upper part of the parent body 110 . An antenna 170 may be protruded from the top of the upper body 112 . A plurality of mother arms 120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upper body 112 .

일 예로, 상부 바디(112)의 가장자리부에는 4개의 모 아암(120)이 설치될 수 있다. 4개의 모 아암(120)은 상부 바디(112)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론(100)은 모 아암(120) 및 모 프로펠러(130)가 상부 바디(112)에 4개 장착되는 쿼드콥터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모 아암(120) 및 모 프로펠러(13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four molar arms 120 may b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upper body 112 . The four mother arm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upper body 112 . In this embodiment, the modron 100 is in the form of a quadcopter in which four parent arms 120 and parent propellers 130 are mounted on the upper body 112,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rent arms 120 and Of course, the number of parent propellers 130 can be variously changed.

모 아암(120)은 모 바디(11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모 아암(120)의 끝단에는 비행을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모 프로펠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아암의 끝단에는 하나의 모 프로펠러(13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arent arm 120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parent body 110 . At the end of the mother arm 120, a parent propeller 130 providing lift for flight may be mounted. For example, one parent propeller 130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one arm.

모 프로펠러(130)는 모 아암(120)의 끝단에 설치되어, 양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 프로펠러(130)는 프로펠러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모 프로펠러(130)는 양력 조절을 통해 모드론(100)이 부양 및 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모 프로펠러(130)는 통상의 드론 프로펠러와 대응되는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arent propeller 13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other arm 12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ift. To this end, the parent propeller 13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a propeller motor (not shown). The parent propeller 130 may allow the modron 100 to float and fly through lift control. Since the parent propeller 13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a typical drone propell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랜딩 레그(140)는 모 바디(110)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서 입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드론(100)의 착륙시, 랜딩 레그(140)는 모드론(100)의 안전한 착륙을 위해, 모 바디(110)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서 회전되면서 모 바디(110)의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모드론(100)의 착륙시 랜딩 레그(140)는 모드론(100)의 원활한 비행을 위해, 모 바디(110)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서 회전되면서 모 바디(11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The landing leg 140 may be mounted in and out of the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110. For example, when the modron 100 lands, the landing leg 140 is rotated at the lower edge of the modron 110 and spreads to the outside of the modron 110 for safe landing of the modron 100. can In addition, when the modron 100 lands, the landing leg 140 rotates at the lower edge of the modron 110 and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modron 110 for smooth flight of the modron 100. It can be.

이러한 랜딩 레그(140)는 랜딩 바(141), 액츄에이터(142) 및 랜딩 커버(143)를 포함할 수 있다. 랜딩 바(141)는 모 바디(110)의 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모 바디(110)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될 수 있다. 랜딩 바(141)는 액츄에이터(14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모 바디(110)의 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42)의 작동에 의한 랜딩 바(141)의 폭방향 회전시, 랜딩 바(141)는 모 바디(110)의 랜딩홀부(113)에서 입출될 수 있다. The landing leg 140 may include a landing bar 141 , an actuator 142 and a landing cover 143 . The landing bar 141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110 so as to be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ther body 110 . The landing bar 141 may be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rent body 110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the actuator 142 . When the landing bar 141 is rotat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142, the landing bar 141 may enter and exit from the landing hole 113 of the parent body 110.

액츄에이터(142)는 랜딩 바(14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랜딩 바(141)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액츄에이터(142)는 랜딩 바(141)가 모 바디(110)에서 펼쳐지는 정방향으로 랜딩 바(141)를 회전시킬 수 있고, 랜딩 바(141)가 모 바디(110)의 내측공간에 인입되는 역방향으로 랜딩 바(1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The actuator 142 may provide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landing bar 141 to the landing bar 141 . For example, the actuator 142 may rotate the landing bar 141 in the forward direction in which the landing bar 141 is spread in the mother body 110, and the landing bar 141 enters the inner space of the mother body 110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landing bar 141 in the reverse direction.

랜딩 커버(143)는 랜딩 바(141)의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랜딩 커버(143)는 하부 바디(111)의 랜딩홀부(113)에 매칭되는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랜딩 바(141)가 모 바디(110)의 랜딩홀부(113)에 인입될 때, 랜딩 커버(143)는 랜딩홀부(113)에 매칭되어 삽입될 수 있고, 이때, 랜딩 커버(143)의 외면은 하부 바디(111)의 외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The landing cover 143 may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landing bar 141 . The landing cover 143 may be provided in a size matching the landing hole 113 of the lower body 111 . When the landing bar 141 is inserted into the landing hole 113 of the mother body 110, the landing cover 143 may be matched and inserted into the landing hole 113, and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landing cover 143 may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1 .

모 카메라(150)는 격납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을 모니터링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 카메라(150)는 격납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격납모듈(300)에 탑재된 자드론(200)의 이상 여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parent camera 15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that monitors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310 . The mother camera 150 can check the abnormal state of the drone 200 mounted in the storage module 300 in real time by monitoring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310 .

냉각팬(160)은 격납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을 송풍시킬 수 있다. 냉각팬(160)은 격납 프레임(310)의 내측 공간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격납 프레임(310)에 장착/탑재된 각종 부품과 자드론(200)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cooling fan 160 may blow air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310 . The cooling fan 160 supplies air to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310 to prevent overheating of various parts mounted on/mounted on the storage frame 310 and the drone 200 in advance.

자드론(200)은 단/중거리 비행이 가능한 소형 크기의 비행 드론일 수 있다. 자드론(20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드론(200)은 격납모듈(300)을 통해 모드론(10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자드론(200)은 자 바디(210), 자 아암(220), 자 프로펠러(230), 리어 바(240), 폭발물(250), 자 레일(260) 및 자 카메라(270)을 포함할 수 있다.Zadrone 200 may be a small-sized flying drone capable of short/mid-range flight. Zadrone 20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 plurality of drones 200 may be mounted on the modron 100 through the storage module 300 . The child drone 200 may include a child body 210, a child arm 220, a child propeller 230, a rear bar 240, explosives 250, a child rail 260 and a child camera 270. can

자 바디(210)는 자드론(200)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자 바디(210)에는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는 자 프로펠러(230)의 프로펠러 모터와 구동 연결되어, 프로펠러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자 바디(210)의 가장자리부에는 자 아암(220)이 연결될 수 있다. The child body 2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hild drone 200 . A battery may be provided in the child body 210 . The battery may be driven and connected to the propeller motor of the own propeller 230 to supply power to the propeller motor. The ruler arm 220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ruler body 210 .

자 아암(220)은 자 바디(210)에 가장자리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4개의 자 아암(220)은 자 바디(210)에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4개의 자 아암(220)은 자 바디(210)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드론(200)은 자 아암(220) 및 자 프로펠러(230)가 자 바디(210)에 4개 장착되는 쿼드콥터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자 아암(220) 및 자 프로펠러(23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A plurality of ruler arms 220 may be provided on the ruler body 210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edge portion. For example, the four ruler arms 220 may b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ruler body 210 . The four ruler arms 2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edge of the ruler body 210 . In this embodiment, the child drone 200 is a quadcopter type in which four of the child's arms 220 and the child's propellers 230 are mounted on the child's body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hild's arm 220 and The number of child propellers 230 may be variously changed.

모 아암(120)은 모 바디(11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모 아암(120)의 끝단에는 비행을 위한 양력을 제공하는 모 프로펠러(13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모 아암(120)의 끝단에는 하나의 모 프로펠러(13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arent arm 120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parent body 110 . At the end of the mother arm 120, a parent propeller 130 providing lift for flight may be mounted. For example, one mother propeller 130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one mother arm 120 .

자 프로펠러(230)는 양력 조절을 위해 자 아암(220)의 끝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의 자 프로펠러(230)는 하나의 자 아암(220)에 설치될 수 있다. 자 프로펠러(230)는 프로펠러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자 프로펠러(230)는 양력을 조절하여 자드론(200)을 부양 및 비행시킬 수 있다. The ruler propeller 230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uler arm 220 for lift control. For example, one ruler propeller 230 may be installed in one ruler arm 220 . The child propeller 230 may be rotated by receiving driving force from a propeller motor (not shown). The child propeller 230 may float and fly the child drone 200 by adjusting lift.

리어 바(240)는 자 바디(210)의 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리어 바(240)의 양 단부는 자 바디(210)의 후방측에 위치한 자 아암(220)의 끝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바(240)에는 걸림홀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자드론(200)이 격납모듈(300)의 레일 가이드(320)에 탑재될 때, 걸림홀부(241)에는 락킹 유닛(330)의 락킹 로드(332)가 삽입되는데, 이때, 자드론(200)은 락킹 유닛(330)의 락킹 로드(33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The rear bar 24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child body 210 . Both ends of the rear bar 24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ends of the ruler arms 22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ruler body 210 . An engaging hole 241 may be formed in the rear bar 240 . When the Zadron 200 is mounted on the rail guide 320 of the storage module 300, the locking rod 332 of the locking unit 330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 241. At this time, the Zadron 200 The locking unit 330 may be caught and fixed by the locking rod 332 .

폭발물(250)은 자 바디(210)의 일측부에 고정될 수 있다. 폭발물(250)은 목표 지점에 충돌시 폭발되는 충격 폭발식 폭발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폭발물(250)은 목표 지점에 충돌시 폭발되는 충격 폭발식 폭발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폭발물(250)은 정해진 시간에 폭발되는 타임 폭발식 폭발물이거나,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의해 폭발되는 스위치식 폭발물일 수도 있을 것이다.The explosives 250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child body 210 . Explosives 250 may be impact-explosive explosives that are detonated upon impact on a target point. In this embodiment, the explosives 250 have been described as shock explosives that explode when they collide with a target point,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xplosives 250 are time explosives that explode at a set time or user's operation. It could be a switched explosive that is detonated by a signal.

자 레일(260)은 자 바디(21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 레일(260)의 전단 및 후단은 자 아암(220)의 전방측 끝단과 후방측 끝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자 레일(260)은 수납모듈의 레일 가이드(320)를 따라 이동 가능한 수 레일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자드론(200)이 격납모듈(300)에 격납되거나 격납모듈(300)에서 투하될 때, 자 레일(260)은 레일 가이드(320)의 레일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ruler rails 26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uler body 210 .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uler rail 260 may b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ruler arm 220, respectively. Since the self-rail 260 is made in the form of a male rail movable along the rail guide 320 of the storage module, when the self-drone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00 or dropped from the storage module 300, The rail 260 may move along the rail groove of the rail guide 320 .

자 카메라(270)는 자 바디(210)의 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자 카메라(270)는 자드론(200)의 비행시, 자드론(200)이 비행하는 주변의 이미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hild camera 27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hild body 210 . The child camera 270 may provide image information of surroundings in which the child drone 200 flies when the child drone 200 is in flight.

격납모듈(300)은 자드론(200)이 모드론(100)에 수납 가능하도록 모드론(100)에 마련될 수 있다. 격납모듈(300)은 모드론(100)의 내측 공간에 착탈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격납모듈(300)을 모드론(100)에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드론(200)이 탑재되지 아니한 격납모듈(300)을 자드론(200)이 탑재된 격납모듈(300)로 교체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300 may be provided in the modron 100 so that the drone 2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100. Since the storage module 300 is detachable from the inner space of the modron 100,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storage module 300 in the modron 100. For example, the storage module 300 on which the drone 200 is not mounted can be replaced with the storage module 300 on which the drone 200 is mounted.

격납모듈(300)은 격납 프레임(310), 레일 가이드(320), 락킹 유닛(330) 및 푸시 유닛(340)을 포함할 수 있다. 격납 프레임(310)은 모드론(1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격납 프레임(310)은 모드론(100)의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형태의 프레임 형태일 수 있다. 격납 프레임(310)은 자드론(200)이 격납 가능한 격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torage module 300 may include a storage frame 310 , a rail guide 320 , a locking unit 330 and a push unit 340 . The storage frame 310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modron 100 . The storage frame 310 may be in the form of a frame that opens downward of the modron 100 . The storage frame 310 may provide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drone 200 can be stored.

격납 프레임(310)에는 레일 가이드(320), 락킹 유닛(330), 푸시 유닛(340) 및 스위치 유닛(350)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격납 프레임(310)의 양측벽에는 레일 가이드(320)가 수직 형태로 장착될 수 있고, 격납 프레임(310)의 상부에는 락킹 유닛(330) 및 푸시 유닛(340)이 장착될 수 있다.A rail guide 320 , a locking unit 330 , a push unit 340 , and a switch unit 350 may be mounted on the storage frame 310 . For example, the rail guides 320 may be vertically mounted on both side walls of the storage frame 310, and the locking unit 330 and the push unit 34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storage frame 310. .

레일 가이드(320)는 격납 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일 가이드(320)는 격납 프레임(310)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자드론(200)의 격납 또는 투하시, 자드론(20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각각의 레일 가이드(320)는 자드론(200)의 자 레일(260)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암 레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드론(200)이 격납모듈(300)에 격납되거나 격납모듈(300)에서 투하될 때, 레일 가이드(320)는 자 레일(260)의 이동을 모드론(100)의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rail guides 32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orage frame 310 . The plurality of rail guides 320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orage frame 310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drone 200 when the drone 200 is stored or dropped. Each rail guide 32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arm rail in which the child rail 260 of the drone 200 can slide. Accordingly, when the child drone 200 is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00 or dropped from the storage module 300, the rail guide 320 moves the child rail 260 in the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of the modron 100. It can be guided downward.

락킹 유닛(330)은 자드론(200)을 격납 프레임(310)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락킹 유닛(330)은 홀더(331), 락킹 로드(332), 락킹 모터(333) 및 링크 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unit 330 may provide a clamp function capable of selectively fixing the drone 200 to the storage frame 310 . To this end, the locking unit 330 may include a holder 331, a locking rod 332, a locking motor 333 and a link member 334.

홀더(331)는 격납 프레임(3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홀더(331)의 단부에는 자드론(200)의 리어 바(240)가 삽입 가능한 락킹 슬릿부(331a)가 형성될 수 있다. 락킹 슬릿부(331a)에는 락킹 로드(332)가 입출됨에 따라, 락킹 슬릿부(331a)에서는 자드론(200)의 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der 331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orage frame 310 . A locking slit portion 331a into which the rear bar 240 of the drone 200 can be inserted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holder 331 . As the locking rod 332 enters and exits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the locking of the drone 200 may be performed in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예컨대, 자드론(200)의 리어 바(240)가 홀더(331)의 락킹 슬릿부(3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락킹 모터(333)가 작동되면, 락킹 모터(333)의 작동에 의해 락킹 로드(332)는 리어 바(240)의 걸림홀부(241)를 관통하도록 이동되므로, 리어 바(240)는 락킹 로드(332)에 의해 구속될 수 있고, 결국, 자드론(200)은 락킹 유닛(330)에 의해 격납모듈(300)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cking motor 333 is operated while the rear bar 240 of the drone 20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of the holder 331, locking by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otor 333 Since the rod 332 is moved to pass through the engaging hole 241 of the rear bar 240, the rear bar 240 can be constrained by the locking rod 332, and eventually, the drone 200 is a locking unit It can be fixed to the storage module 300 by means of 330 .

락킹 로드(332)는 락킹 슬릿부(331a)에 입출가능하도록 홀더(331)에 지지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락킹 로드(332)는 리어 바(240)가 홀더(331)의 락킹 슬릿부(3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어 바(240)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락킹 로드(332)는 링크 부재(334)를 매개로 락킹 모터(333)와 구동 연결되어, 락킹 모터(333)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locking rod 332 may be supportably installed in the holder 331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The locking rod 332 may selectively fix the rear bar 240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bar 24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of the holder 331 . The locking rod 332 may be driven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motor 333 via the link member 334 and receive driving force from the locking motor 333 .

락킹 모터(333)는 링크 부재(334)를 통해 락킹 로드(332)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락킹 모터(333)의 구동축에는 링크 부재(334)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락킹 모터(333)의 작동시, 락킹 로드(332)는 락킹 슬릿부(331a)에서 입출될 수 있다.The locking motor 333 may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locking rod 332 through the link member 334 . A link member 334 may be driven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locking motor 333 . When the locking motor 333 is operated, the locking rod 332 may enter and exit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링크 부재(334)는 락킹 모터(333)의 구동축과 락킹 로드(332) 사이를 구동 연결할 수 있다. 링크 부재(334)는 락킹 모터(333)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 링크편(334a)과, 제1 링크편(334a)과 락킹 로드(332) 사이에 힌지 연결되는 제2 링크편(334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락킹 모터(333)의 구동력은 구동축, 제1 링크편(334a) 및 제2 링크편(334b)을 통해 락킹 로드(332)로 전달될 수 있다.The link member 334 may drive and connect between the driving shaft and the locking rod 332 of the locking motor 333 . The link member 334 includes a first link piece 334a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locking motor 333 and a second link piece 334b hinged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link piece 334a and the locking rod 332. can be made with The driving force of the locking motor 333 may be transmitted to the locking rod 332 through the driving shaft, the first link piece 334a and the second link piece 334b.

푸시 유닛(340)은 레일 가이드(320)에서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푸시 유닛(340)은 탄성스프링(미도시)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푸시가능하도록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푸시핀(34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ush unit 340 may provide push pressure to discharge the rail guide 320 to the outside. The push unit 340 may include an elastic spring (not shown) and a push pin 341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pring so as to be pus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자드론(200)이 격납모듈(300)에 탑재되어 락킹 유닛(330)에 의해 고정될 때, 푸시핀(341)은 격납모듈(300)에 탑재된 자드론(20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락킹 유닛(330)에 의한 자드론(200)의 고정 해제시, 푸시핀(341)은 자드론(200)을 모드론(100)의 수직 하방향으로 푸시할 수 있다.When the Zadrone 200 is mounted on the storage module 300 and fixed by the locking unit 330, the push pin 341 may elastically support the Zadrone 200 mounted on the storage module 300. .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unit 330 releases the locking of the drone 200, the push pin 341 may push the drone 200 vertically downward of the modron 100.

스위치 유닛(350)은 컨트롤러(400)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받아 자드론(200)의 작동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킬 수 있다. The switch unit 350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0 and mechanically turn the operation switch of the drone 200 “On” or “Off”.

스위치 유닛(350)은 스위치 모터(351), 고정 브라켓(352) 및 온오프 스위치(3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모터(351)는 온오프 스위치(353)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모터(351)의 회전축은 온오프 스위치(353)와 구동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모터(351)의 작동시, 스위치 모터(351)는 온오프 스위치(353)를 일방향(일 예로, 시계방향) 또는 타방향(일 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switch unit 350 may include a switch motor 351 , a fixing bracket 352 and an on/off switch 353 . The switch motor 351 may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on/off switch 353 . A rotating shaft of the switch motor 351 may be driven and connected to the on/off switch 353 . When the switch motor 351 operates, the switch motor 351 may rotate the on/off switch 353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or in another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고정 브라켓(352)은 스위치 모터(351)를 격납 프레임(310)의 상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2)는 스위치 모터(351)를 감싸는 "U"자 형태의 브라켓으로 구성될 수 있고, 고정 브라켓(352)의 양단부는 볼트를 통해 격납 프레임(3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352)는 스위치 모터(351)를 격납 프레임(310)의 상부, 보다 자세하게는 격납 프레임(310)의 상면에 고정하므로, 자드론(200)이 모드론(100)에서 하강 이동될 때, 자드론(200)과 스위치 유닛(350) 사이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352 may fix and install the switch motor 351 on the top of the storage frame 310 . The fixing bracket 352 may be configured as a “U” shaped bracket surrounding the switch motor 351, and both ends of the fixing bracket 352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torage frame 310 through bolts. . Since the fixing bracket 352 fixes the switch motor 351 to the top of the storage frame 310, more specifically, to the top surface of the storage frame 310, when the drone 200 moves down from the modron 100 , Interference between the drone 200 and the switch unit 35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온오프 스위치(353)는 스위치 모터(351)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편(353a)과, 회전편(353a)의 단부에 이격 배치되는 제1 스위치 바(353b) 및 제2 스위치 바(35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위치 바(353b) 및 제2 스위치 바(353c) 사이에는 자드론(200)의 전원 스위치(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이들 제1 스위치 바(353b) 및 제2 스위치 바(353c)는 자드론(200)의 전원 스위치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므로, 자드론(200)의 전원 스위치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더라도, 제1 스위치 바(353b) 및 제2 스위치 바(353c)를 통해 자드론(200)의 전원 스위치 작동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고, 결국, 전원 스위치 의 작동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The on/off switch 353 includes a rotating piece 353a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witch motor 351, and a first switch bar 353b and a second switch bar 353c spaced apart from the ends of the rotating piece 353a. can be made with A power switch (not shown) of the drone 2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witch bar 353b and the second switch bar 353c. Since these first switch bars 353b and second switch bars 353c are spaced apart with the power switch of the drone 200 interposed therebetween, even if a gap occurs between the power switches of the drone 200, the first The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of the drone 200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hrough the switch bar 353b and the second switch bar 353c, and eventually, the operation stability of the power switch can be secured.

이에 따라, 스위치 모터(351)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353)가 일방향(일 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온오프 스위치(353)의 제1 스위치 바(353b)는 자드론(200)의 전원 스위치를 일방향으로 푸시함으로써, 자드론(200)을 기계적으로 "온(On)" 시킬 수 있다. 반면에 스위치 모터(351)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 스위치(353)가 타방향(일 예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온오프 스위치(353)의 제2 스위치 바(353c)는 자드론(200)의 전원 스위치를 타방향으로 푸시함으로써, 자드론(200)을 기계적으로 "오프(Off)"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on/off switch 353 is rotated in one direction (eg, clockwis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motor 351, the first switch bar 353b of the on/off switch 353 is the drone ( By pushing the power switch of 200 in one direction, the drone 200 may be mechanically “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on/off switch 353 is rotated in another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motor 351, the second switch bar 353c of the on/off switch 353 is By pushing the power switch of 200 in the other direction, the drone 200 can be mechanically “off”.

컨트롤러(400)는 모드론(100), 락킹 유닛(330), 푸시 유닛(340) 및 스위치 유닛(350)을 전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400)는 안테나(17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작동신호를 인가받거나, 모드론(100), 락킹 유닛(330) 및 푸시 유닛(340)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400 may control the modron 100, the locking unit 330, the push unit 340, and the switch unit 350 as a whole.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0 may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user through the antenna 170 or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odron 100, the locking unit 330, and the push unit 340 to the user.

일 예로, 컨트롤러(400)는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모 프로펠러(130), 액츄에이터(142), 모 카메라(150), 냉각팬(160), 락킹 유닛(330), 푸시 유닛(340) 및 스위치 유닛(350)의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특히, 자드론(200)의 투하가 필요한 시점에서, 사용자로부터 자드론(200)의 하강신호를 입력받으면, 컨트롤러(400)는 자드론(200)의 작동 스위치가 기계적으로 "온(On)"되도록 스위치 유닛(350)을 제어함으로써, 자드론(200)의 동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자드론(2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400 operates the parent propeller 130, actuator 142, parent camera 150, cooling fan 160, locking unit 330, push unit 340 and The switch unit 350 can be operated or stopped. In particular, when receiving a descending signal of the zadron 200 from the user at the time when the zadrone 200 needs to be dropped, the controller 400 turns the operating switch of the zadron 200 mechanically "on". By controlling the switch unit 350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event power waste of the zadrone 200 in advance and prevent overheating of the zadrone 200 .

이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troller 400 may be implemented by an arithmetic un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a memory, and the like, and since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캐리어 드론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ction and effect of the carrier dron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복수 개의 자드론(200)이 탑재된 격납모듈(300)을 모드론(100)에 장착하여, 비행을 위한 캐리어 드론(10)의 비행 준비를 완료한다. First, the storage module 300 in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200 are mounted is mounted on the modron 100 to complete the flight preparation of the carrier drone 10 for flight.

이때, 복수 개의 자드론(200)은 락킹 유닛(330)을 통해 격납모듈(30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예컨대, 복수 개의 자드론(200)이 레일 가이드(320)를 따라, 격납모듈(300)에 탑재되면, 자드론(200)의 리어 바(240)가 홀더(331)의 락킹 슬릿부(331a)에 삽입되는데, 이때, 락킹 유닛(330)의 락킹 로드(332)는 락킹 모터(333)의 작동에 의해 리어 바(240)의 걸림홀부(241)를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rones 200 ar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to the storage module 300 through the locking unit 330 .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zadrons 200 are mounted in the storage module 300 along the rail guide 320, the rear bar 240 of the zadrons 200 is attached to the locking slit portion 331a of the holder 331 At this time, the locking rod 332 of the locking unit 330 may be fixed by penetrating the locking hole 241 of the rear bar 240 by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motor 333 .

모드론(100)에 대한 격납모듈(3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캐리어 드론(10)은 사용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목표 지점을 향해 비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작동신호가 안테나(170)를 통해 캐리어 드론(10)에 인가되면, 모드론(100)의 모 프로펠러(130)가 작동되면서, 모드론(100)의 랜딩 레그(140)는 모 바디(110)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서 회전되면서 모드론(100)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되고, 캐리어 드론(10)은 목표 지점을 향해 비행할 수 있다. When the mounting of the storage module 300 on the modron 100 is completed, the carrier drone 10 can fly toward a target point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ignal. When the user's oper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carrier drone 10 through the antenna 170, the mother propeller 130 of the modron 100 operates, and the landing leg 140 of the modron 100 moves the mother body ( 110)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odron 100 while being rotated at the lower edge, and the carrier drone 10 can fly toward a target point.

캐리어 드론(10)이 목표 지점의 근처에 도달하면, 자드론(200)에 대한 락킹 유닛(330)의 고정이 해제된다. 락킹 유닛(330)의 고정이 해제되면, 이와 동시에, 푸시 유닛(340)은 자드론(200)의 적어도 일부를 푸시함으로써, 모드론(100)의 수직 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자드론(200)을 신속하게 수직 투하할 수 있다.When the carrier drone 10 reaches the vicinity of the target point, the fixation of the locking unit 330 to the drone 200 is released. When the fixation of the locking unit 330 is released, at the same time, the push unit 340 pushes at least a portion of the zadrons 200 to move the plurality of zadrons 200 vertically downward of the modron 100. It can be delivered quickly vertically.

모드론(100)에서 수직 투하된 복수 개의 자드론(200)은, 미리 입력된 목표 지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지점까지 비행한 후, 목표 지점의 목표물을 향해 충돌할 수 있다. 이때, 자드론(200)이 장착된 폭탄물은 목표물과의 충돌로 인해 폭파됨으로써, 목표물을 제거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drones 200 vertically dropped from the modron 100 may fly to the target poin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point input in advance, and then collide toward the target at the target point. At this time, the bomb to which the drone 200 is mounted is detonated due to collision with the target, thereby removing the targe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 내에서 수직 형태로 격납됨으로써,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의 수직 하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수직 투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자드론이 모드론에서 수직 투하될 때, 복수 개의 자드론을 모드론의 수직 하방향으로 푸시함으로써, 복수 개의 자드론을 모드론에서 신속하게 투하될 수 있고, 모드론의 내부에 설치된 모 카메라를 통해, 모드론에 탑재된 자드론의 정상 작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자드론이 격납된 격납모듈이 모드론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므로, 격납모듈을 모드론에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child drones are stored in a vertical form in the modron, the plurality of child drones can be effectively dropp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modron, and the plurality of child drones can be vertically dropped in the modron. When dropping vertically, by pushing a plurality of child drones vertically down the modron, the plurality of child drones can be quickly dropped from the modron, and mounted on the modron through a camera installed inside the modron. It has excellent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monitor the normal operating state of the zadrone in real time, and since the storage module in which the zadrone is store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odron, the containment module can be easily replaced from the modron.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캐리어 드론
100 :모드론 110 :모 바디
120 :모 아암 140 :랜딩 레그
141 :랜딩 바 142 :액츄에이터
143 :랜딩 커버 150 :모 카메라
160 :냉각팬
200 :자드론 210 :자 바디
220 :자 아암 230 :자 프로펠러
250 :리어 바 241 :걸림홀부
250 :폭발물 300 :격납모듈
310 :격납 프레임 320 :레일 가이드
330 :락킹 유닛 331 :홀더
332 :락킹 로드 333 :락킹 모터
334 :링크부재 334a :링크부재
334b :링크부재 340 :푸시 유닛
341 :푸시 핀
10: Carrier drone
100: Modron 110: Modron
120: Mo arm 140: Landing leg
141: landing bar 142: actuator
143: Landing cover 150: Mo camera
160: cooling fan
200: Zadrone 210: Zabody
220: ruler arm 230: ruler propeller
250: rear bar 241: hooking hole
250: explosives 300: containment module
310: storage frame 320: rail guide
330: locking unit 331: holder
332: locking rod 333: locking motor
334: link member 334a: link member
334b: link member 340: push unit
341: push pin

Claims (11)

비행이 가능한 모드론;
복수 개로 제공되는 자드론; 및
상기 자드론이 상기 모드론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는 격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자드론의 격납공간을 제공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자드론의 수직방향 토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가이드; 및
상기 자드론을 상기 격납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론은
내부에 상기 격납모듈이 장착되고, 하부에 상기 자드론이 토출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는 모 바디, 상기 모 바디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모 아암, 양력 조절을 위해 상기 모 아암의 끝단에 마련되는 모 프로펠러, 상기 모 바디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 장착되는 랜딩 레그, 및 상기 격납 프레임의 내측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 카메라를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 modron that can fly;
Zadrons available in multiples; and
A storage module mounted on the modron so that the drone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The storage module is
a storage frame mounted on the modron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drone;
rail guides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tainment frame to guide discharge of the dron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drone to the storage frame,
The mod theory is
A parent body in which the containment module is mount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rone can be discharged is formed at the bottom, a parent arm connected to an upper edge of the mother body, and a parent provided at the end of the mother arm to control lift. Including a propeller, a landing leg mounted on the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and a mother camera for monitoring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frame,
carrier dr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자드론에 대한 상기 락킹 유닛의 고정이 해제될 때, 상기 자드론을 상기 레일 가이드에서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푸시압력을 제공하는 푸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module is
Further comprising a push unit for providing a push pressure for ejecting the zadron from the rail guide to the outside when the locking unit is not fixed to the zadron.
carrier dr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격납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자드론의 리어 바가 삽입 가능한 락킹 슬릿부를 제공하는 홀더;
상기 락킹 슬릿부에 입출가능하도록 상기 홀더에 설치되어, 상기 리어 바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킹 로드;
상기 락킹 로드를 상기 락킹 슬릿부에 입출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락킹 모터; 및
상기 락킹 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락킹 로드 사이를 구동 연결하는 링크 부재를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unit
a holder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and providing a locking slit into which the rear bar of the drone can be inserted;
a locking rod installed in the holder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locking slit and selectively fixing the rear bar;
a locking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locking rod into and out of the locking slit; and
Including a link member for driving connection between the drive shaft of the locking motor and the locking rod,
carrier dr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비행이 가능한 모드론;
복수 개로 제공되는 자드론; 및
상기 자드론이 상기 모드론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는 격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자드론의 격납공간을 제공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자드론의 수직방향 토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가이드; 및
상기 자드론을 상기 격납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론은
내부에 상기 격납모듈이 장착되고, 하부에 상기 자드론이 토출 가능한 개구가 형성되는 모 바디, 상기 모 바디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모 아암, 양력 조절을 위해 상기 모 아암의 끝단에 마련되는 모 프로펠러, 상기 모 바디의 하측 가장 자리부에 장착되는 랜딩 레그, 및 상기 격납 프레임의 상기 격납공간에 외기로 송풍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장착되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 modron that can fly;
Zadrons available in multiples; and
A storage module mounted on the modron so that the drone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The storage module is
a storage frame mounted on the modron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drone;
rail guides provided in plural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ontainment frame to guide discharge of the dron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drone to the storage frame,
The mod theory is
A parent body in which the containment module is mounted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drone can be discharged is formed at the bottom, a parent arm connected to an upper edge of the mother body, and a parent provided at the end of the mother arm to control lift. A propeller, a landing leg mounted on the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and a cooling fan mounted on the storage frame to blow outside air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frame.
carrier dr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레그는
상기 모 바디에 대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상기 모 바디의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모 바디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장착되는 랜딩 바;
상기 랜딩 바가 상기 모 바디에 대하여 펼쳐지거나 상기 모 바디의 랜딩홀부로 접히도록 상기 랜딩 바를 상기 모 바디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 및
상기 랜딩 바가 상기 모 바디의 랜딩홀부에 접힐 때, 상기 랜딩홀부에 매칭되는 랜딩 커버를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landing leg is
a landing bar mounted on a lower edge of the mother body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ther body so as to be unfolded or folded with respect to the mother body;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landing bar in the mother body so that the landing bar is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other body or folded into a landing hole of the mother body; and
When the landing bar is folded into the landing hole of the mother body, including a landing cover that matches the landing hole,
carrier drone.
비행이 가능한 모드론;
복수 개로 제공되는 자드론; 및
상기 자드론이 상기 모드론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는 격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자드론의 격납공간을 제공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자드론의 수직방향 토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가이드, 및 상기 자드론을 상기 격납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자드론은
자 바디;
상기 자 바디에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자 아암;
양력 조절을 위해 상기 자 아암의 끝단에 마련되는 자 프로펠러; 및
상기 자 바디의 후방측에 연결되고, 상기 락킹 유닛의 락킹 로드에 의해 락킹되는 걸림홀부가 제공하는 리어 바를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 modron that can fly;
Zadrons available in multiples; and
A storage module mounted on the modron so that the drone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The storage module is
A storage frame mounted on the modron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z-drone,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perpendicular to the storage frame to guide discharge of the z-drone in a vertical direction A rail guide extending in a direction, and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drone to the storage frame,
The Zadron is
Zabody;
a ruler arm connected to an edge portion of the ruler body;
A ruler propell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ruler arm for lift control; and
And a rear bar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child body and provided by a locking hole portion locked by a locking rod of the locking unit.
carrier dron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드론은
상기 자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폭발물을 더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ccording to claim 8,
The Zadron is
Further comprising an explosiv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hild body,
carrier drone.
비행이 가능한 모드론;
복수 개로 제공되는 자드론; 및
상기 자드론이 상기 모드론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는 격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격납모듈은
상기 모드론에 장착되고, 상기 자드론의 격납공간을 제공하는 격납 프레임, 상기 격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상기 자드론의 수직방향 토출을 안내하도록 상기 격납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가이드, 및 상기 자드론을 상기 격납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락킹 유닛, 하강신호에 따라, 상기 자드론의 작동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온시켜 상기 자드론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 modron that can fly;
Zadrons available in multiples; and
A storage module mounted on the modron so that the drone can be accommodated in the modron;
The storage module is
A storage frame mounted on the modron and providing a storage space for the z-drone,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ment frame, perpendicular to the storage frame to guide discharge of the z-drone in a vertical direction A rail guide extending in the direction,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zadron to the storage frame, and a switch unit for operating the zadron by mechanically turning on the operation switch of the zadron according to a descending signal ,
carrier dro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모터;
상기 스위치 모터를 상기 격납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및
상기 스위치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모터의 작동시, 회전을 통해 상기 자드론의 전원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푸시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캐리어 드론.
According to claim 10,
The switch unit
switch motor;
a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switch motor to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frame; and
An on-off switch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switch motor and mechanically pushing the power switch of the drone through rotation when the switch motor is operated,
carrier drone.
KR1020210085613A 2021-06-30 2021-06-30 Carrier drone KR102561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13A KR102561823B1 (en) 2021-06-30 2021-06-30 Carrier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613A KR102561823B1 (en) 2021-06-30 2021-06-30 Carrier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005A KR20230005005A (en) 2023-01-09
KR102561823B1 true KR102561823B1 (en) 2023-08-02

Family

ID=8489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613A KR102561823B1 (en) 2021-06-30 2021-06-30 Carrier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8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93B1 (en) * 2023-09-26 2024-04-02 주식회사 위즈윙 Drone stations and how to transport th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131B1 (en) * 2023-04-28 2023-11-23 이상묵 Transport dron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109A (en) * 2008-08-21 2010-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Unmanned aircraf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5060020U (en) * 2015-08-31 2016-03-02 深圳市飞研智能科技有限公司 Promote two unmanned aerial vehicle of duration
KR101802198B1 (en) * 2016-05-09 2017-11-28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consist of a mother ship and baby ship
US20180194458A1 (en) * 2016-12-28 2018-07-12 Autel Robotics Co., Lt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35262B1 (en) 2018-06-29 2019-01-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of drone intelligence munitions and flight vehicle for close-in weapon system against missile, drone intelligence munitions or drone for close-in weapon system against missile
US20200003529A1 (en) * 2017-12-23 2020-01-02 Moshe Benezra Scalable drone launcher
KR102307265B1 (en) 2019-08-05 2021-09-30 김응기 Agricultural dro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099B1 (en) * 2017-05-30 2019-01-24 김상수 fire suppression drone
KR102162848B1 (en) * 2018-11-26 2020-10-07 주식회사 위즈윙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077545B1 (en) 2019-06-25 2020-02-14 유효선 Dron station with storage and wireless charg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7109A (en) * 2008-08-21 2010-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Unmanned aircraf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5060020U (en) * 2015-08-31 2016-03-02 深圳市飞研智能科技有限公司 Promote two unmanned aerial vehicle of duration
KR101802198B1 (en) * 2016-05-09 2017-11-28 유콘시스템 주식회사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consist of a mother ship and baby ship
US20180194458A1 (en) * 2016-12-28 2018-07-12 Autel Robotics Co., Ltd.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00003529A1 (en) * 2017-12-23 2020-01-02 Moshe Benezra Scalable drone launcher
KR101935262B1 (en) 2018-06-29 2019-01-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Operating method of drone intelligence munitions and flight vehicle for close-in weapon system against missile, drone intelligence munitions or drone for close-in weapon system against missile
KR102307265B1 (en) 2019-08-05 2021-09-30 김응기 Agricultural dr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493B1 (en) * 2023-09-26 2024-04-02 주식회사 위즈윙 Drone stations and how to transport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5005A (en) 202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823B1 (en) Carrier drone
US1009341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EP36385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U2016337362B2 (en) Parachute control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EP3272652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80086458A1 (en) Airframe
JP6016041B2 (en) Flying object
EP2772429A1 (en) Four-rotor aircraft
US9387939B2 (en) VTOL—twin—propeller—attitude—control—air—vehicle
KR101564380B1 (en) Unmanned vehicle
JP2013531573A (en) Reconfigurable battery-powered drone system
US20210300558A1 (en) Power supply assembly
US20190144097A1 (en) Energy dispersion plug for uav
US20230202680A1 (en) Versatile Hybrid Drone and Nest System
KR102162848B1 (en) Multi purpose extension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66777B1 (en) Rotor structure constru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70030881A (en) A dron
EP3896548B1 (en) Helicopter lighting system, helicopte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illuminating an environment of a helicopter
CN211108026U (e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786942B1 (en) The Drone with Thrust Vectoring Fuction
KR20190088208A (en) Boom mounting apparatus used for unmanned flying object and unmanned flying object using the same
KR102375492B1 (en) Module Type Tail-Sitter Vtol UAV Drone
EP2868577B1 (en) Remotely controllable airplane adapted for belly-landing
CN112977824A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 with detection and striking functions and convenient to carry by individual soldier
KR20190002758U (en) Unmanned aerial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